KR100732265B1 - 대칭성이 개선되고, 선택적으로 대역 감쇠 저지가 향상된 듀얼 모드 표면 탄성파 필터 - Google Patents

대칭성이 개선되고, 선택적으로 대역 감쇠 저지가 향상된 듀얼 모드 표면 탄성파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2265B1
KR100732265B1 KR1020027001975A KR20027001975A KR100732265B1 KR 100732265 B1 KR100732265 B1 KR 100732265B1 KR 1020027001975 A KR1020027001975 A KR 1020027001975A KR 20027001975 A KR20027001975 A KR 20027001975A KR 100732265 B1 KR100732265 B1 KR 1007322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ducers
filter
track
transducer
electrically conn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1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9924A (ko
Inventor
게오르그 슈트라우스
Original Assignee
에프코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프코스 아게 filed Critical 에프코스 아게
Publication of KR200200299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99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22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22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0023Balance-unbalance or balance-balance networks
    • H03H9/0028Balance-unbalance or balance-balance networks using surface acoustic wave devices
    • H03H9/0033Balance-unbalance or balance-balance networks using surface acoustic wave devices having one acoustic track only
    • H03H9/0042Balance-unbalance or balance-balance networks using surface acoustic wave devices having one acoustic track only the balanced terminals being on opposite sides of the track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0023Balance-unbalance or balance-balance networks
    • H03H9/0028Balance-unbalance or balance-balance networks using surface acoustic wave devices
    • H03H9/0047Balance-unbalance or balance-balance networks using surface acoustic wave devices having two acoustic tracks
    • H03H9/0052Balance-unbalance or balance-balance networks using surface acoustic wave devices having two acoustic tracks being electrically cascaded
    • H03H9/0057Balance-unbalance or balance-balance networks using surface acoustic wave devices having two acoustic tracks being electrically cascaded the balanced terminals being on the same side of the track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0023Balance-unbalance or balance-balance networks
    • H03H9/0028Balance-unbalance or balance-balance networks using surface acoustic wave devices
    • H03H9/0047Balance-unbalance or balance-balance networks using surface acoustic wave devices having two acoustic tracks
    • H03H9/0052Balance-unbalance or balance-balance networks using surface acoustic wave devices having two acoustic tracks being electrically cascaded
    • H03H9/0061Balance-unbalance or balance-balance networks using surface acoustic wave devices having two acoustic tracks being electrically cascaded the balanced terminals being on opposite sides of the track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02Details
    • H03H9/125Driving means, e.g. electrodes, coils
    • H03H9/145Driving means, e.g. electrodes, coils for networks using surface acoustic waves
    • H03H9/14544Transducers of particular shape or position
    • H03H9/14588Horizontally-split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02Details
    • H03H9/125Driving means, e.g. electrodes, coils
    • H03H9/145Driving means, e.g. electrodes, coils for networks using surface acoustic waves
    • H03H9/14544Transducers of particular shape or position
    • H03H9/14591Vertically-split transduc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urface Acoustic Wave Elements And Circuit Network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 1 변환기(11, 111 ...) 및 제 2 변환기(21, 22 ...)가 입력 및/또는 출력 및/또는 커플 변환기(다중 트랙 실행에 있어서)로서 언제나 짝수의 핑거를 가지며, 점대칭을 이루는 가운데, 1개 또는 2개의 트랙이 실행되는 구조를 선택하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분할 트랙(10',10")을 선택함으로써 대칭성이 개선되고 및/또는 대역 감쇠 저지가 향상되는 듀얼 모드 표면 탄성파 필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대칭성이 개선되고, 선택적으로 대역 감쇠 저지가 향상된 듀얼 모드 표면 탄성파 필터 {DUAL-MODE SURFACE WAVE FILTER WITH ENHANCED SYMMETRY AND OPTIONALLY ENHANCED STOP-BAND ATTENUATION}
본 발명은, 듀얼 모드 표면 탄성파(SAW: Surface Acoustic Wave, 표면 탄성파) 필터(DMS-필터)로 명명된 타입으로, 바람직하게는 가장 많이 선택되는 고주파 표면 탄성파 필터에 관한 것이다. 이 대신에 종모드 공명기 필터라는 명칭 역시 사용된다. 상기와 같은 표면파 필터는 전자기계식 필터로서, 변환기 및 공명기와 같은 이 전자기계식 필터의 구성요소는 압전 기판의 표면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필터는 예컨대 단일 트랙 필터(single track filter)로서 공지되어 있다. 보다 많은 선택을 위하여 상기의 필터 트랙 2개가 하나의 필터로 모아지고 직렬 연결되어 각 기판상에 배치되는 필터 역시 제조되어 사용된다. 도 13A 및 도 13B에서는 공지된 단일 트랙 DMS-필터 및 서로 연결되어 있는 2개의 단일 트랙-DMS-필터로 구성된 직렬 연결 이중 트랙 필터가 도시된다.
각 표면파 트랙과 관련하여 상기 양쪽 타입의 필터는 각기 단자 공명기 구조물 및 반사기 구조물을 가지며 또한 이 공명기 구조물과 반사기 구조물 사이에 신호 입출력을 위한 변환기로서 하나 이상의 인터디지털 구조물을 갖는다.
공지된 단일 트랙 필터(10)에 대한 도 13A의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제 1의) 변환기가 (1)로서 표시되고, 2개의 그 밖의 (제 2의)변환기가 (21 및 22)로서 표시되며, 반사기 구조물은 (31)로서 표시된다. 상기 변환기(21 및 22)는 여기서, 필터내에서 생성되어 이용되어질 표면파(4)를 위해서, 필터의 입력부로서 방향(5)으로 전기적으로 병렬 연결된다. 또한 도면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상기 입력변환기는 양쪽이 대칭을 이루는 신호 입력(IN bal/IN bal)에 의하여 또는 지면(IN ground)에 대하여 한쪽이 비대칭적인(IN unbal) 입력에 의하여 대칭으로 또는 비대칭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출력부로서 사용되는 변환기(1)의 단자는 대칭을 이루는(OUT bal 및 OUT bal) 출력이다. 위와 같은 필터에서는 입력 및 출력이 뒤바뀔 수 있으며, 뒤바뀌어 이용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3B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 2개의 트랙 및 단일 트랙 필터(10,110)를 포함하는 공지된 직렬 연결 필터가 도시된다. 도 13A의 도면부호가 도 13B에서도 사용된다. 상기 직렬 연결 필터에서는 예컨대 변환기(1)가 선택적으로 비대칭/대칭을 이루는 필터의 입력부로서 제공된다. 필터의 출력부는 변환기(1')이다. 그 밖의 변환기(21,121,22,122)는, 본 결선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양쪽 트랙(10 및 110)과 전기적으로 서로 결합되어 있는 커플 변환기이다.
실제로, 도 13A에 따른 단일 트랙 배치에 의한 변환기(1) 및 도 13B의 변환기(1 및 1')는 표면파의 방향(5)에 수직인 중심면(M)과 관련하여 언제나 반사 대칭을 이루며, 따라서 서로 연결된 홀수의 핑거(finger)를 갖게 된다. 상기 2개의 도면에서는 예컨대 변환기(1 및 1')에 각각 배치된 5개의 인터디지털 핑거가 여기에 해당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입력신호가 비대칭 혹은 대칭을 이루는 경우에 해당 필터에 있는 출력신호의 대칭성이 보다 개선되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제 1 항의 특징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에 대한 그 밖의 구성 및 개선예는 종속항에서 도출된다.
본 발명에 대한 부연 설명 및 이에 따른 변형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공개서에 속해 있는 도면에 대한 명세서에 나타나 있다.
도 1에서는 도 13A에서와 같이 여기서도 또한, 예컨대 입력부로서 제공되어 있는, 2개의 병렬 연결된 (제 2의)변환기(21 및 22)를 가진 듀얼 모드-단일 트랙 필터가 도시된다. 상기 입력부는 대칭을 이루거나 또는 비대칭적인 입력부로서 구동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실행되는 (제 1의)변환기는 본 도면에서 (11)로 표시되며, 대칭을 이루며 구동되어야할 출력변환기로서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에 맞게 여기서 예컨대 4개의 핑거를 가진 상기 변환기(11)는 짝수의 변환기 핑거를 갖는다. 또한 상기 변환기는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동일한 수량의(실제로 여기에 상당하는) 짝수의 서로 연결되어 있는 인터디지털 변환기 핑거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원칙적으로 선행 기술, 즉 홀수의 핑거를 가진 변환기(1)와 구분된다.
도 1에 있는 필터는 대칭을 이루는 입력신호에서 뿐만 아니라 비대칭적인 입 력신호에서도 대칭을 이루는 출력신호를 제공하며, 또한 본 목적에 맞게 특히 높은 대칭성을 갖는다.
도 2및 도 3에서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이중 트랙 필터가 도시된다. 발명의 본질상 상기 필터는, 변환기(11 및 111)가 또한 오로지 짝수의 전극 핑거를 갖는다는 점에서만 선행 기술(도 13B)과 구분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 1 변환기는 앞서 정의된 중심면(M)(파동의 전파방향(5)에 수직임)과 관련하여 반사 대칭을 이루고 있지는 않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기 필터는 본 발명에 따른 조치에 의해서 개선된 대칭성을 갖는다. 선행 기술(도 13B)에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변환기(11)는 여기서 예컨대 선택적으로 비대칭 또는 대칭을 이루는 입력부를 형성하며, 상기 변환기(111)는 필터의 단자(43a,43b)를 가지며 대칭을 이루는 출력부를 형성한다. 여기서 각각의 양쪽 (제 2의)변환기(21 및 22)와 (121 및 122)는 도시된 것과 같이 커플 변환기로서 서로 연결된다. 도 2에 따른 필터는 양쪽 트랙(10 과 110) 사이에서 공통 모드(common mode)로 결합된 필터이다. 도 3에 따른 필터는, 양쪽 트랙(10 과 110) 사이의 결합이 푸쉬-풀(push-pull)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것은 상기 커플 변환기(22 및 122)가 도 2에서와는 반대의 극을 가진 구조를 가짐으로써 실행된다. 이외에도 도 3에 따른 필터에서는, 암시하는 바와 같이 접지가 선택적으로 가능하다.
도 2A는 도 2의 변형된 실시예이다. 변형된 점은, 출력부로 표시된 상기 (제 1의)변환기(111)가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된 2개의 변환기 부분(1111 및 1112)으 로 구성된다는 것이며, 이 변환기 부분은 각각 짝수의(각 4개의 핑거로 도시된다) 핑거를 갖거나 또한 홀수의 핑거를 갖는다. 상기 필터에서는 입력(IN) 대 출력(OUT)의 임피던스 변압비율이 1:4로 나타난다.
도 2, 도 2A 및 도 3에 따른 다중 트랙의 듀얼 모드 필터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나타난 장점은, 이미 본 발명에 따른 도 1의 필터에 나타난 장점에 추가적으로 보다 개선된 대칭성을 갖는다.
도 4A 및 도 4B에서는 도 2에 따라 실행된 필터에 의하여 달성된 개선점, 보다 정확히 말해서 도 13B에 따른 필터에 비해 개선된 점이 도시된다. 달성된 대칭성을 나타내는 측정곡선은 (41)로서 표시되며, 이 측정곡선은 (42)로서 표시되는 주어진 주파수 대역에 있어서 주파수상에 걸쳐 있다. 측정곡선(41)은 신호비율을 재현한다. 이것은, (접지에 대한) 단자(43a,43b)에 있는 2개의 4단자-측정에 있어서 측정되는 개별신호와의 비율을 말한다. 이 경우에 측정기기와 결합되어 있지 않은 각각의 단자는 측정시스템의 관련-조파저항에 의하여 차단된다. 도 4A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곡선(43), 즉 진폭비율 값은 0 dB에 근접한다(도면에서 (44)로 표시된다). 도 4B에서는, 보다 정확히 말해서 주파수 대역(42)에 있어서, 대칭을 이루는 출력신호의 위상차(△
Figure 112002004553182-pct00001
)에 대한 진행이 곡선(141)으로서 도시된다. 도 4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위상차는 전체 주파수 대역을 넘어서서 180°만큼 근접한다(△
Figure 112002004553182-pct00002
-180°로서 도시된다).
또한 도 4A 및 4B에서는 대칭을 나타내는 곡선(45) 및 위상차를 나타내는 곡선(145)이 기재되어 있는데, 상기 곡선(45,145)은 도 13B에 따른 선행 기술에 의한 필터에서 검출된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한 진보성은 도 4에서 명백하게 알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서는 도 1 및 도 3에 따른 필터에 대한 개선예가 도시된다. 도 6에 따른 필터는 커플 변환기의 전극을 반전시킴으로써 도 2에 따른 필터에 대한 개선예가 된다.
도 5에서는 다중의 음향 기계적으로 결합된 단일 트랙 필터가 도시되며, 이 경우에 필터는 필터의 트랙내에 변환기가 있는 트랙(510)을 가지며, 상기 변환기는 각각 짝수의 변환기 핑거를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지침은 도 5의 필터에서도 충족된다. 도 5의 필터에는 도 1의 제 1 변환기(11)에 일치하는 다수의 (n) 병렬 연결된 (제 1의)변환기(11a,11b, ... 11n)가 제공된다. 또한 도 5에서는 상기 변환기가 예컨대 대칭을 이루는 출력부로서 연결된다. 마찬가지로 도 1의 변환기(21 및 22)에 일치하는 짝수의 변환기 핑거를 가진 (n+1)개의 (제 2의) 변환기(21a,21b, ..., 21n+1)가 제공되며, 또한 도 5에서 상기 변환기는 필터의 입력부로서 서로 병렬 연결된다. 여기에 부속한 반사기 구조물은 (31)로서 표시된다. 도 5에 따른 상기 실시에 의하여 특히 넓어진 대역폭을 가질 수 있다.
유사한 방식으로 도 6에 따른 필터는 도 5에 일치하는, 도 2 및 도 3에 따른 이중 트랙 필터에 대한 개선예로서 트랙(610 및 6110)에 의하여 실행된다. 상기 트랙(610)은 도 5에 따른 필터의 트랙(510) 구조 및 도 2에 따른 필터의 트랙(10) 구조와 일치한다. 또한 개선예로서 상기 트랙(610)은 한편으로는 변환기(11a,11b, ... 11n)를 포함하며, 다른 한편으로는 변환기(21a,21b. ..., 21n+1)를 포함한다. 상기 변환기가 서로 병렬 연결되어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또한 상기 변환기는 도 6에서 보여지는 결선도에 따라 트랙(610)내에서 출력변환기 및 입력변환기로 이용된다. 이와 같은 내용은 변환기(111a, 111b, ..., 111n; 121a, 121b, ..., 121n+1)를 포함하고, 도 2 및 도 3에 따른 개선예이자 본 발명의 개선예를 갖는 도 6의 이중 트랙 필터에 있는 그 밖의 변환기(11, 111)를 포함하는 도 6에 있는 필터의 제 2 트랙(6110)에도 해당된다. 상기의 조치에 의하여 (또한) 주어진 대역외에 대역 감쇠 저지가 개선된다.
도 7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또 하나의 개선예가 도시되며, 상기 형성에 의하여 (추가적으로) 듀얼 모드 필터에 있어서 향상된 저지 선택성이 달성될 수 있다.
게다가 도 7에 따른 필터에서는, 언제나 (제 1의)변환기(11', 111) 및 여기서는 추가적으로 변환기(11")가 짝수의 핑거를 포함한다.
도 7에 따른 새로운 원리에서는, 도 2에 따른 필터와 달리 트랙(10)이 2개의 트랙(10' 및 10")으로 분할되며, 각각 (중앙) 트랙(110')의 절반 크기의 구경을 갖는다. 도 7의 필터에서는 변환기(11')의 단자(a)가 변환기(11")의 단자(a)와 결합되며, 변환기(11')의 단자(b)는 변환기(11")의 단자(b)와 결합된다. 그러므로 상기 양쪽 (제 1의)변환기(11' 및 11")는 전기적으로 병렬 연결된다. 상기 양쪽 트랙(10' 및 10")에 있는 (도 2 및 도 7에서는 커플 변환기인) (제 2의)변환기의 결선도, 다시 말해서 트랙(110')의 변환기(221 및 222)와 한편으로는 변환기(21' 및 22') 및 다른 한편으로는 변환기(21" 및 22")의 결선방식은 도 7로부터 도출된다. 여기서는, 도 2에서와 같이, 공통 모드 회로가 제시된다. 반사기 구조물(31', 31")은 트랙(10' 및 10")으로의 분할에 의해서 트랙(10)의 반사기 구조물(31)로부터 도출된다. 트랙(110')의 반사기는 (31)로서 표시된다.
트랙(110')에 있는 (제 2의)커플 변환기(221 및 222)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또 다른 특성이다. 상기 (제 2의)커플 변환기(221 및 222)는,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부분으로 분할된다. 커플 변환기(221)는, 도면에서 볼 수 있는 2개의 부분 (2211) 및 (2212), 즉 구성적인 구조에 의하여 단일체로 형성된 2개의 인터디지털 변환기로 구성된다. 이 경우에 변환기(221 및 222) 내부에서의 음향적인 파장(wave field)의 위상은 파동의 전파방향에 수직으로 일정하다. 단자들간의 임피던스 차이는 4배 내지는 ¼배에 달한다. 커플 변환기(222) 및 그 부분인 (2221) 및 (2222)의 경우에도 상기와 동일하다.
도 7에 따른 필터의 작동 원리는 다음과 같다:
상기 분리로 인하여 양쪽의 입력부 필터 트랙(10' 및 10")이 형성되고, 또한 이 입력부 필터 트랙(10' 및 10")은 대칭을 이루며 필터 구조에 통합된다. 이 안에 포함되어 있는 제 1 및 제 2 변환기 (11',21',22') 및 (11",21",22") 각각의 임피던스는 2등분된 구경으로 인하여 변환기(11,21 및 22)의 2배 크기만큼 된다. 상기 변환기(11' 및 11")는 병렬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도 2에 따른 필터 및 트랙(110)에서와 동일하게 높은 입력 임피던스가 존재한다. 변환기 (21' 및 21") 와 (22' 및 22")는 각각 도시된 회로에서 직렬 연결된다. 이것에 의해서 각 변환기의 임피던스는, 도 2의 변환기(21,22)와 비교하여, 4배 높아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분할된 변환기(221)는 (마찬가지로 변환기(222) 역시) 직렬 연결된 변환기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변환기(221,222)의 임피던스 또한 비교적 4배만큼 높다.
도 7에 따른 본 발명에 대한 개선예는 이러한 구성내에서, 도 1 내지 도 3의 필터의 경우 및 일반적으로 실제로 요구되는 것과 같이, 동일한 크기의 임피던스를 갖는다.
도 7에 따른 필터는 구성적인 구조로 인하여 이미 높은 대칭성을 갖는다. 이것은 도 8A에 따른 대칭성에 대한 측정곡선(41) 및 도 8B에 따른 위상 진행에 대한 측정곡선(141)으로 알 수 있다. 도 8A 및 도 8B에 대한 그 밖의 설명은 도 4A 및 도 4B에 대한 설명을 참조하면 된다. 도 7에 따른 필터는 대칭성과 관련하여 보다 개선된 구성적인 구조로 인하여 이와 같은 필터의 기판 표면에서 특히 높은 대칭성을 가지며,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또한 대역 감쇠 저지가 개선된다. 도 9A 및 도 9B에서는 상기 필터의 신호 대칭성에 대한 곡선(41) 및 주어진 필터 대역(42)외에 있는 영역에 있는, 여기서는 2 내지 6 GHz의 주파수 영역내에 있는, 관련 위상 진행 곡선(141)이 도시된다. 본 도면에서 점선으로된 곡선(45) 및 (145)는 선행 기술에 따른 필터의 비교 값을 도시한다.
도 10에서는 전기적으로 병렬 연결된 2개의 제 1 트랙(10',10") 및 제 3 트랙(110')을 가진 도 7에 따른 필터의 전송 특성이 도시된다. 도 7에 따른 필터는 밸룬(balun) 기능을 갖는다. 곡선(E)은 도 7에 따른 필터의 전송 특성을 나타내며, 곡선(St)은 도 13B에 따른 선행 기술에 의한 이중 트랙 필터의 전송 특성을 나타낸다.
도 11에서는 도 7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에 대한 개선예가 도시되며, 상기 개선예는 근본적으로 도 1 내지 도 3에 따른 실시에 대한 도 6의(그럼으로써 또한 도 5의) 개선예와 유사하다. 도 6의(도 5의) 개선예에 주어진 설명은 동일하게도 도 11에 따른 실시에도 해당된다. 도 11에 사용된 도면 부호 역시 기존의 도면에서와 동일하다. 본 발명에 따른 짝수의 핑거 수량 및 트랙중 하나(10')에 있어서 점대칭 구조를 가진 (제 1의)변환기는 (11'a, 11'b, ...,)로서 표시된다. 트랙중 다른 하나인 (10")에 있어서 (제 1의)변환기(11"a, 11"b, ...,)의 경우도 상기와 동일하다. 또한 여기서 상기 트랙(10' 및 10")은 이중 트랙 필터에 있는 하나의 트랙(10)에 해당한다. 도 11의 중앙에 있는, 제 3 트랙의 변환기(111a, 111b, ...,)는 각각 제 1 변환기이다. 상기 트랙(10',10" 및 110')에 있는 제 1 변환기는 각기 트랙 내부에서 전기적으로 서로 병렬 연결된다. 이 경우에 상기 트랙(10' 및 10")의 이러한 병렬 회로는 다시금 전기적으로 서로 병렬 연결되는데, 즉 각각 (a) 및 (b)로 표시된 단자의 결합에 의하여 병렬 연결된다. 도 11에서 상기 병렬 회로, 다시 말해서 단자(a) 및 (b)는 필터의 입력부(IN)로서 명백하게 나타난다. 각 트랙(10' 및 10")마다 상기 (제 1의)변환기 n-배가 제공된다. 여기에 (n+1)배의 수량에 있어서는 커플 변환기로서 이용되는 트랙(10' 및 10")의 (제 2의)변환기(21'a, 21'b,...,21'n+1 및 21"a, 21"b,...,21"n+1) 및 트랙(110)의 (제 2의)변환기(221a, 221b, ..., 221n+1)가 제공된다.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제 2의)변환기 역시 각기 트랙내에서 전기적으로 서로 병렬 연결된다. 그 외에도 (제 2의)변환기는, 도 11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개별적인 트랙 사이에서 전기적으로 서로 결합되는데, 즉 전기적인 결선도상 이중 트랙 필터 타입으로 도시된 3중 트랙의 필터에 있어서 커플 변환기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상기 각 트랙에 있는 그 밖의 반사기는 (31', 31'' 및 31)로서 표시된다.
선행 기술과는 달리 한편으로는 예컨대 도 6에 따른 필터에 의해서, 다른 한편으로는 도 7에 따른 필터에 의해서 얻어지는 장점을 통해서 도 7에 따른 필터에 있는 향상된 또한 구성적으로 실행되는 대칭성을 지닌 도 11에 따른 다중 트랙 필터가 달성된다.
도 11의 필터에는 도 7에 도시된 것 이외에 중앙의 제 3 트랙(110')에 있는 제 2 변환기(221a, ...)가 도시되는데, 이 제 2 변환기(221a, ...)는 도 7에서 이미 설명된,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되어 작용하고, 음향파적으로 병렬 연결되어 작용하는 부분(2211 및 2212)으로 구성된다.
도 12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변환기, 제 2 변환기 및 도시된 실시 타입에 사용될 수 있는 변환기에 대한 몇몇 실시예가 도시되는데, 즉 가중 변환기(도 12A) 및/또는 임피던스 변압을 갖는 변환기(도 12B 내지 도 12D)가 도시된다. 도 12A에 있는 변환기 역시 저마다 전체적으로 짝수의 핑거 수량을 갖는다. 이것은 도 12B, 도 12C 및 도 12D에 있는 변환기에도 동일하게 해당된다. 도 12B의 변환기는 1:4(및 4:1)의 임피던스 변압비율을 갖는다. 도 12C 및 도 12D의 변환기는 전체 수(선택적으로)와는 다른 임피던스 변압비율을 구성하도록 형성된다. 발명의 본질상 공통점으로서, 대칭성과 관련하여 도 12A 내지 도 12D의 변환기 역시 점대칭을 이루며 실행된다.

Claims (9)

  1. 듀얼 모드 표면 탄성파 필터로서, 상기 필터는:
    입력 단자 및 출력 단자 - 상기 입력 단자 및 상기 출력 단자 중 하나 이상은 균형잡혀 있음 -;
    제1 필터 트랙 및 제2 필터 트랙으로서, 각각의 필터 트랙이:
    각각의 버스바(busbar)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인터디지털 방식으로(interdigitally) 배치되어 있는 짝수인 다수의 변환기 핑거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제1 변환기;
    다수의 제2 변환기로서, 각각의 제2 변환기가 각각의 버스바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인터디지털 방식으로 배치되어 있는 짝수인 다수의 변환기 핑거를 포함하는 다수의 제2 변환기; 및
    반사기 구조를 포함하는 제1 필터 트랙 및 제2 필터 트랙
    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변환기들은 커플 변환기로 작용하며, 상기 제1 필터 트랙의 제2 변환기들은 제2 필터 트랙의 각각의 제2 변환기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필터 트랙의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변환기는 입력 변환기로 작용하며;
    상기 제2 필터 트랙의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변환기는 출력 변환기로 작용하며;
    상기 입력 및 출력 단자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균형잡힌 단자는 각각의 입력 및 출력 변환기의 버스바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각각의 필터 트랙에서, 상기 제1 변환기의 핑거 배치는 각각의 변환기의 중심에 관하여 점대칭이고;
    각각의 필터 트랙에서, 상기 제1 변환기는 두 개의 각각의 제2 변환기들 사이에 배치되고;
    각각의 트랙에서, 상기 두 개의 제2 변환기들의 핑거 배치는 대응하는 제1 변환기의 중심에 관하여 서로에 점대칭; 또는
    각각의 트랙에서, 상기 두 개의 제2 변환기들의 핑거 배치는, 파동 전파 방향과 직교하며 대응하는 제1 변환기의 중심을 통과하는 축에 관하여 서로에 반사 대칭(mirror-symmetrical)인, 듀얼 모드 표면 탄성파 필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터 트랙과 상기 제2 필터 트랙의 각각에:
    상호 병렬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n겹의 다수의 제1 변환기들 - n은 1보다 큰 정수임 -;
    상호 병렬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n+1)겹의 다수의 제2 변환기들;
    상기 입력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필터 트랙의 다수의 제1 변환기들;
    상기 출력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필터 트랙의 다수의 제1 변환기들;
    을 포함하는, 듀얼 모드 표면 탄성파 필터.
  3. 제 2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제1 트랙을 더 포함하는, 듀얼 모드 표면 탄성파 필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두 개의 제1 필터 트랙을 포함하며,
    두 개의 제1 필터 트랙의 제1 변환기들은 입력 단자에 관하여 서로와 병렬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 트랙의 제2 변환기들은 상기 두 개의 제1 트랙의 제2 변환기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 트랙의 각각의 제2 변환기 및 상기 제1 트랙의 각각의 제2 변환기들은 직렬로 연결되며, 상기 제2 트랙의 각각의 제2 변환기는 상기 제1 트랙들의 각각의 제2 변환기들 사이에 배치되는, 듀얼 모드 표면 탄성파 필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트랙들의 각각은:
    상호 병렬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각각 n겹의 다수의 제1 변환기들 - n은 1보다 큰 정수임 -;
    상호 병렬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n+1)겹의 다수의 제2 변환기들;
    상기 입력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필터 트랙의 n겹의 다수의 제1 변환기들;
    상기 출력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필터 트랙의 n겹의 다수의 제1 변환기들을 포함하는, 듀얼 모드 표면 탄성파 필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트랙 및 제2 트랙 중 하나 이상에는, 각각의 트랙의 제1 변환기 및 제2 변환기들 중 하나 이상이 가중되는, 듀얼 모드 표면 탄성파 필터.
  7.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필터 트랙의 제1 변환기 및 제2 변환기들 중 하나 이상은:
    상기 각각의 변환기가, 상호 직렬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호 병렬로 음향파적으로 배치되는 부 변환기들(sub-transducers)을 포함하는 점에서 임피던스 변환을 포함하는, 듀얼 모드 표면 탄성파 필터.
  8. 삭제
  9. 삭제
KR1020027001975A 1999-08-16 2000-07-26 대칭성이 개선되고, 선택적으로 대역 감쇠 저지가 향상된 듀얼 모드 표면 탄성파 필터 KR1007322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938748A DE19938748B4 (de) 1999-08-16 1999-08-16 Dualmode-Oberflächenwellen-Filter mit verbesserter Symmetrie und erhöhter Sperrdämpfung
DE19938748.6 1999-08-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9924A KR20020029924A (ko) 2002-04-20
KR100732265B1 true KR100732265B1 (ko) 2007-06-25

Family

ID=7918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1975A KR100732265B1 (ko) 1999-08-16 2000-07-26 대칭성이 개선되고, 선택적으로 대역 감쇠 저지가 향상된 듀얼 모드 표면 탄성파 필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667673B1 (ko)
EP (1) EP1205026B1 (ko)
JP (1) JP4739624B2 (ko)
KR (1) KR100732265B1 (ko)
CN (1) CN1244984C (ko)
CA (1) CA2381262A1 (ko)
DE (2) DE19938748B4 (ko)
WO (1) WO200101351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20842B2 (en) 2000-02-14 2004-04-13 Murata Manufacturing Co., Ltd. Surface acoustic wave filter device having first through third surface acoustic wave filter elements
JP2001267885A (ja) * 2000-03-17 2001-09-28 Fujitsu Media Device Kk 弾性表面波装置
DE10013861A1 (de) * 2000-03-21 2001-09-27 Epcos Ag Dualmode-Oberflächenwellenfilter mit verbesserter Symmetrie und erhöhter Sperrdämpfung
JP3391347B2 (ja) 2000-06-26 2003-03-3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縦結合共振子型弾性表面波フィルタ
JP3440935B2 (ja) 2000-11-29 2003-08-25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弾性表面波フィルタ
FR2821997B1 (fr) * 2001-03-06 2003-05-30 Thomson Csf Filtre a ondes acoustiques de surface
JP2002300004A (ja) * 2001-03-29 2002-10-11 Kyocera Corp 弾性表面波フィルタ
EP1249934B1 (en) * 2001-04-09 2013-07-31 Murata Manufacturing Co., Ltd. Surface acoustic wave apparatus and communications unit
JP4734751B2 (ja) * 2001-04-16 2011-07-27 エプソントヨコム株式会社 平衡型弾性表面波フィルタ
JP3509771B2 (ja) * 2001-04-18 2004-03-22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弾性表面波フィルタ装置、通信装置
EP1263137B1 (en) * 2001-05-31 2017-07-26 Skyworks Filter Solutions Japan Co., Ltd. Surface acoustic wave filter, balanced type filter and communication device
JP3873807B2 (ja) * 2001-06-22 2007-01-3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弾性表面波装置、通信装置
JP3564114B2 (ja) * 2001-07-11 2004-09-0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弾性表面波フィルタ、及びそれを用いた通信機器
JP3820954B2 (ja) 2001-10-12 2006-09-13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弾性表面波装置、通信装置
JP3743341B2 (ja) * 2001-10-17 2006-02-0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弾性表面波装置
JP4049612B2 (ja) * 2002-04-19 2008-02-20 富士通メディアデバイス株式会社 弾性表面波装置
JP3764731B2 (ja) * 2002-10-18 2006-04-12 富士通メディアデバイス株式会社 多重モード弾性表面波フィルタ及び分波器
FR2848745B1 (fr) * 2002-12-17 2005-04-08 Temex Sa Filtre dms a faibles pertes d'insertion et symetrie optimisee
DE10302633B4 (de) * 2003-01-23 2013-08-22 Epcos Ag SAW-Bauelement mit verbessertem Temperaturgang
CN1842962A (zh) * 2004-09-02 2006-10-04 株式会社村田制作所 平衡型声表面波滤波器
DE102004048715B4 (de) * 2004-10-06 2014-05-22 Epcos Ag SAW-Filter mit Impedanz-Transformation
KR100936896B1 (ko) 2004-10-22 2010-01-14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밸런스형 탄성 표면파 필터
WO2006048999A1 (ja) * 2004-11-04 2006-05-11 Murata Manufacturing Co., Ltd. バランス型sawフィルタ
ATE403270T1 (de) * 2004-11-04 2008-08-15 Murata Mfg Co Ltd Patent Secti Symmetrie-saw-filter
JP2006295434A (ja) * 2005-04-08 2006-10-26 Epson Toyocom Corp 弾性表面波フィルタ
JP4537254B2 (ja) * 2005-04-28 2010-09-01 富士通メディアデバイス株式会社 弾性表面波フィルタおよび分波器
DE102005020086B4 (de) * 2005-04-29 2013-07-11 Epcos Ag Elektrisches Multiband-Bauelement
US20070030594A1 (en) * 2005-08-04 2007-02-08 Biskeborn Robert G Tape recording head with overlapping read transducers
JP4244057B2 (ja) 2006-08-30 2009-03-25 富士通メディアデバイス株式会社 バランスフィルタおよび分波器
JPWO2008149619A1 (ja) * 2007-06-06 2010-08-19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弾性波フィルタ装置
US8427258B2 (en) * 2007-07-26 2013-04-23 Kyocera Corporation Surface acoustic wave device and communication device
US7938562B2 (en) 2008-10-24 2011-05-10 Altair Engineering, Inc. Lighting including integral communication apparatu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706652A (ko) * 1995-04-11 1997-11-03 노미야마 아키히코 탄성 표면파 장치(surface acoustic wave device)
KR19980064527A (ko) * 1996-12-25 1998-10-07 무라따미치히로 탄성 표면파 공진자 필터
KR19990024026A (ko) * 1997-08-29 1999-03-25 무라따 미치히로 탄성 표면파 필터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54387A (en) 1977-10-06 1981-03-03 U.S. Philips Corporation Acoustic wave devices
JPS555573A (en) * 1978-06-29 1980-01-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Surface acoustic wave filter
JP3254779B2 (ja) * 1993-01-05 2002-02-12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多電極形弾性表面波装置
WO1997000556A1 (en) 1995-06-16 1997-01-03 Northern Telecom Limited Cascaded surface wave device filters
JPH09205342A (ja) * 1996-01-26 1997-08-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弾性表面波フィルタ
JP3239064B2 (ja) 1996-05-28 2001-12-17 富士通株式会社 弾性表面波装置
DE19638370C2 (de) * 1996-09-19 2001-06-13 Epcos Ag Oberflächenwellenfilter für unsymmetrische/symmetrische und symmetrische/symmetrische Betriebsweise
JP3186604B2 (ja) * 1996-10-09 2001-07-1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弾性表面波フィルタ装置
FR2762458B1 (fr) * 1997-04-18 1999-07-09 Thomson Csf Dispositif a ondes acoustiques de surface a couplage par proximite a entrees/sorties differentielles
DE19724259C2 (de) * 1997-06-09 2002-11-14 Epcos Ag Dualmode-Oberflächenwellenfilter
JPH1197966A (ja) * 1997-09-22 1999-04-09 Tdk Corp 弾性表面波フィルタ
JP3391347B2 (ja) * 2000-06-26 2003-03-3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縦結合共振子型弾性表面波フィル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706652A (ko) * 1995-04-11 1997-11-03 노미야마 아키히코 탄성 표면파 장치(surface acoustic wave device)
KR19980064527A (ko) * 1996-12-25 1998-10-07 무라따미치히로 탄성 표면파 공진자 필터
KR19990024026A (ko) * 1997-08-29 1999-03-25 무라따 미치히로 탄성 표면파 필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9924A (ko) 2002-04-20
CN1244984C (zh) 2006-03-08
DE50011392D1 (de) 2005-11-24
DE19938748A1 (de) 2001-03-22
CA2381262A1 (en) 2001-02-22
WO2001013514A1 (de) 2001-02-22
US6667673B1 (en) 2003-12-23
JP2003507917A (ja) 2003-02-25
EP1205026B1 (de) 2005-10-19
DE19938748B4 (de) 2007-02-01
EP1205026A1 (de) 2002-05-15
JP4739624B2 (ja) 2011-08-03
CN1370350A (zh) 2002-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2265B1 (ko) 대칭성이 개선되고, 선택적으로 대역 감쇠 저지가 향상된 듀얼 모드 표면 탄성파 필터
JP3435640B2 (ja) 縦結合共振子型弾性表面波フィルタ
US5790000A (en) Cascaded surface wave device filters providing balanced and unbalanced signal connections
EP0924857A2 (en) Surface acoustic wave filter
JP3534080B2 (ja) 弾性表面波フィルタ装置
US6717489B2 (en) Longitudinally connected resonator type surface acoustic wave filter
CA2403770A1 (en) A dual mode surface acoustic wave filter with improved symmetry and increased stop-band attenuation
JPWO2016190216A1 (ja) 弾性波装置および通信装置
WO2006068086A1 (ja) バランス型sawフィルタ
JPH10303683A (ja) 近接結合を有する差動入出力弾性表面波デバイス
CN101006640A (zh) 平衡型声波滤波器件
US20020109431A1 (en) Surface acoustic wave filter device
US5896071A (en) Surface wave device balun resonator filters
JP2001308672A (ja) 弾性表面波フィルタ装置
KR100517069B1 (ko) 표면 탄성파 필터
JP3826816B2 (ja) 弾性表面波装置
KR100896897B1 (ko) 탄성 표면파 장치 및 그를 이용한 통신 장치
JP2004343573A (ja) 弾性表面波装置、通信機
US7429905B2 (en) Balanced acoustic wave filter
KR20020074516A (ko) 리액턴스 소자를 포함하는 표면파 필터
KR100757684B1 (ko) 밸런스형 탄성표면파 필터
JP2003124782A (ja) 弾性表面波フィルタ、通信装置
KR100648568B1 (ko) 탄성 표면파 장치
JP3757893B2 (ja) 弾性表面波装置、および、これを搭載した通信装置
KR100638889B1 (ko) 표면 탄성파 필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