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1974B1 - 스로어웨이 팁 및 스로어웨이식 커터 - Google Patents

스로어웨이 팁 및 스로어웨이식 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1974B1
KR100731974B1 KR1020010016975A KR20010016975A KR100731974B1 KR 100731974 B1 KR100731974 B1 KR 100731974B1 KR 1020010016975 A KR1020010016975 A KR 1020010016975A KR 20010016975 A KR20010016975 A KR 20010016975A KR 100731974 B1 KR100731974 B1 KR 1007319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edges
tip
cutting
throwaway tip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6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07544A (ko
Inventor
나가타리키히코
시모무라히로시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마테리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마테리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마테리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107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75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19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19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16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 B23C5/20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with removable cutte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 B23C5/202Plate-like cutting inserts with special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16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 B23C5/20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with removable cutte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 B23C5/22Securing arrangements fo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 B23C5/2204Securing arrangements fo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with cutting inserts clamped against the walls of the recess in the cutter body by a clamping member acting upon the wall of a hole in the insert
    • B23C5/2208Securing arrangements fo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with cutting inserts clamped against the walls of the recess in the cutter body by a clamping member acting upon the wall of a hole in the insert for plate-like cutting inserts 
    • B23C5/2213Securing arrangements fo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with cutting inserts clamped against the walls of the recess in the cutter body by a clamping member acting upon the wall of a hole in the insert for plate-like cutting inserts  having a special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00/00Details of milling cutting inserts
    • B23C2200/04Overall shape
    • B23C2200/0433Parallelogram
    • B23C2200/0438Parallelogram roun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00/00Details of milling cutting inserts
    • B23C2200/08Rake or top surfaces
    • B23C2200/085Rake or top surfaces discontinuo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00/00Details of milling cutting inserts
    • B23C2200/12Side or flank surfaces
    • B23C2200/123Side or flank surfaces curv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00/00Details of milling cutting inserts
    • B23C2200/16Supporting or bottom surfaces
    • B23C2200/165Supporting or bottom surfaces with one or more groo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00/00Details of milling cutting inserts
    • B23C2200/20Top or side views of the cutting e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00/00Details of milling cutting inserts
    • B23C2200/20Top or side views of the cutting edge
    • B23C2200/201Details of the nose radius and immediately surrounding are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00/00Details of milling cutting inserts
    • B23C2200/28Angles
    • B23C2200/287Positive rake ang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7/00Cutters, for shaping
    • Y10T407/19Rotary cutting tool
    • Y10T407/1906Rotary cutting tool including holder [i.e., head] having seat for inserted tool
    • Y10T407/1908Face or end mill
    • Y10T407/191Plural simultaneously usable separable tools in common seat or common clamp actuator for plural simultaneously usable too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7/00Cutters, for shaping
    • Y10T407/23Cutters, for shaping including tool having plural alternatively usable cutting edges
    • Y10T407/235Cutters, for shaping including tool having plural alternatively usable cutting edges with integral chip breaker, guide or deflector

Abstract

본 발명은 세로 및 가로이송 절삭시에 마무리가공도 행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이를 위해, 대략 마름모꼴형상의 팁(1)이고, 상면(3)의 대각방향의 한 쌍의 예각코너부에 형성한 각 노즈부(8)에 연결되는 두 개의 절삭날(6, 6)은 노즈부(8)로부터 이간됨에 따라 점차 착좌면에 가까워지도록 볼록곡선형상으로 경사지게 한다. 두 개의 절삭날(6, 6)은 노즈부(8)근방에 서로 대략 직각을 이루는 직선상의 부 절삭날(6a, 6b)을 각각 갖는다. 상면(3)의 경사면(9)은 양각의 경사각을 갖고 노즈부(8)로부터 둔각코너부(Q, Q)를 연결하는 대각선의 영역을 향해 절삭날(6)을 따라 점점 착좌면에 가까워지는 비틀린 경사면으로 한다. 공구본체(21)에 노즈부(8)를 선단외주측에 위치시켜 팁(1)을 장착한다. 그리고 한 쪽의 절삭날(6)은 외주날(6A)을 이루는 동시에 그 부 절삭날(6Aa)은 공구본체(21)의 축선(O)에 대략 평행하게 하고, 다른 쪽 절삭날(6)은 정면날(6B)을 이루는 동시에 그 부 절삭날(6Ba)은 축선(O)에 대략 직교하도록 배치한다.

Description

스로어웨이 팁 및 스로어웨이식 커터{THROW AWAY TIP AND THROW AWAY TYPE CUTT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스로어웨이 팁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스로어웨이 팁의 A방향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스로어웨이 팁의 B방향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스로어웨이 팁의 C부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낸 스로어웨이 팁 노즈부의 부분측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낸 스로어웨이 팁의 D-D선 단면도이다.
도 7은 실시형태에 따른 스로어웨이 팁을 플런징 밀링(plunging milling) 공구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중앙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나타낸 플런징 밀링 공구를 우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7에 나타낸 플런징 밀링 공구의 저면도이다.
도 10은 도 7에 나타낸 플런징 밀링 공구를 선단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1은 실시형태에 따른 플런징 밀링 공구로 플런징 밀링을 행하는 상태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스로어웨이 팁 2:하면(착좌면)
3:상면 6:절삭날
6A:외주날 6B:정면날
6a,6Aa,6Ba:부 절삭날 8:노즈부
9:경사면 20:플런징 밀링 공구
24:칩주행면(경사면)
본 발명은 엔드밀 등의 커터에 장착해서 절삭에 이용되는 스로어웨이 팁(이하, 팁이라고 한다) 및 이 스로어웨이식 커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플런징 밀링이나 3차원 가공 등에 이용되는 회전 절삭공구의 일례로서 일본국 특허공개 평성 11-226812호 공보에 개시된 프레이즈(fraise)공구가 있다. 이 프레이즈 공구는 장착되는 스로어웨이 팁이 대략 마름모꼴의 평판형상을 이루고 있고, 공구본체로의 장착상태에서 외주날에는 코너부에 회전축선과 평행을 이루는 부 절삭날이 설치되고, 정면날에는 부 날끝각도(오목각)가 0.5∼10°의 범위에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 프레이즈 공구를 세로로 이송해서 플런징 밀링에 이용할 경우에는 외주날의 부 절삭날로 마무리가공을 실시하게 되지만, 가로로 이송해서 가공하는 경우에는 정면날로 부 날끝각도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마무리가공을 행할 수 없고, 마무리가공시에 별도의 마무리용 팁을 교환장착해서 사용하지 않을 수 없었다. 또 같은 이유에 의해 이 팁은 오른손용으로 사용할 수 있지만 왼손용으로는 사용할 수 없다라는 결점도 있었다.
게다가, 이 팁은 대략 평판형상이므로 공구본체에 장착할 때 반경방향 경사각을 음각으로 취하면 팁부착시트의 백메탈부(back metal part)의 두께는 두꺼워지지만 절삭성은 나빠져 절삭저항이 커진다라는 결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플런징 밀링에도 가로이송가공에도 이용할 수 있어 마무리가공도 가능한 스로어웨이 팁 및 스로어웨이식 커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로어웨이 팁은 착좌면에 대향하는 상면의 노즈부에 연결한 두 개의 능선으로 이루어진 두 개의 절삭날은 노즈부로부터 이간됨에 따라 점차 착좌면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이들 두 개의 절삭날은 노즈부근방에 서로 대략 직각을 이루는 부 절삭날을 각각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두 개의 절삭날이 교차하는 노즈부 근방에 대략 직교하는 두 개의 부 절삭날을 각각 설치함으로써, 플런징 밀링에 있어서는 외주날의 부 절삭날이, 가로이송시에는 정면날의 부 절삭날이 각각 마무리날로서 기능해서 거친 절삭을 행할 시에도 마무리가공이나 중간거침(medium-rough) 마무리가공 등의 마무리절삭을 행할 수 있고, 노즈부의 양측의 절삭날에 부 절삭날을 설치함으로써 오른손용과 왼손용 어느 것에도 사용할 수 있어 손잡이와 관계없는 팁을 얻을 수 있다. 게다가 절삭날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공구본체로의 팁착좌면의 부착자세보다 절삭날의 지름방향 경사각[래디얼 레이크 각(radial rake angle)]이 중심아래방향이 되므로 절삭성이 향상되어 절삭저항을 낮출 수 있다.
또, 부 절삭날은 각각 대략 직선을 이루고 있어도 좋다.
이 부 절삭날에 의해 양호한 마무리 또는 중간거침 마무리가공을 행할 수 있다.
또 두 개의 절삭날은 대략 볼록곡선을 이루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이 절삭날은 수평방향으로도 볼록부를 이루고 있어도 좋다.
절삭날을 볼록곡선으로 함으로써 작업물에 날을 댈 때의 충격이 작고, 얕은 절삭시에는 노즈부의 선단으로부터 피삭재(被削材)에 날을 대고, 깊은 절삭시에는 절삭날의 내측부분부터 날을 대어서 절삭을 개시할 수 있어 피삭재에 대한 절삭영역이 점차 확대되므로 절삭날에 대한 충격을 약화시켜 절삭날의 결손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두 개의 절삭날은 부 절삭날에 연결되는 영역이 90°미만의 예각, 예를 들면 80°정도로 해도 좋다.
또 스로어웨이 팁은 대략 4각형 판형상을 이루고 있어 상면의 노즈부는 대향해서 한 쌍 설치되고, 상면의 경사면은 이들 노즈부로부터 다른 한 쌍의 모서리를 연결하는 대각선을 향해 점차 하면과의 거리가 짧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외주날 또는 정면날에 의해 생성된 절삭 칩은 상면을 대각선의 영역까지 유도되어 컬(curl)되고, 절단되어 이 대각선의 영역을 따라 상면에서부터 공구본체의 기단측으로 배출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스로어웨이식 커터는 공구본체에 상술한 구성을 갖는 스로어웨이 팁이 노즈부를 선단외주측에 위치시켜 장착되어 이루어진 스로어웨이식 커터로서, 한 쪽의 절삭날은 외주날을 이루는 동시에 그 부 절삭날은 공구본체의 축선에 대략 평행하게 되고, 다른 쪽의 상기 절삭날은 정면날을 이루는 동시에 그 부 절삭날은 축선에 대략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플런징 밀링에 있어서는 외주날의 부 절삭날이, 가로이송시에는 정면날의 부 절삭날이 각각 마무리날로서 기능해서 거친 절삭을 행할 때에도 마무리가공이나 중간 거침 마무리가공 등의 마무리절삭을 행할 수 있고, 노즈부의 양측 절삭날에 부 절삭날을 설치함으로써 오른쪽손용과 왼쪽손용 어느 것으로도 사용할 수 있어 손잡이와 관계없는 팁을 얻을 수 있다. 게다가 절삭날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공구본체로의 팁착좌면의 부착자세보다 절삭날의 지름방향 경사각(래디얼 레이크 각)이 중심아래방향이 되므로 절삭성이 향상되어 절삭저항을 낮출 수 있다.
또 스로어웨이 팁은 공구본체의 팁포켓에 장착되고, 그 팁포켓에 있어서의 상기 스로어웨이 팁의 기단측 영역은 공구본체의 내측에서 외주측을 향해 점차 스로어웨이 팁의 착좌면측(공구본체의 회전방향후방측)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어도 좋다.
절삭시에는 스로어웨이팁의 기단측으로 보내진 칩은 경사면에서 외주측으로 유도되어 외측으로 보내어져 배출된다.
또 팁포켓의 경사면은 정면날에 대향하는 기단측 능선을 따라 공구본체의 내측에서 외측을 향해 점차 스로어웨이 팁의 착좌면측(공구본체의 회전방향후방측)으로 경사져 있어도 좋다.
팁상면의 경사면상을 주행하는 칩은 기단측에 보내어져 경사면으로 원활하게 이행(移行)해서 이 경사면으로부터 기단측으로 배출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첨부도면에 의해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스로어웨이 팁을 나타낸 것으로, 도 1은 스로어웨이 팁의 평면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팁의 A방향측면도, 도 3은 도 1에 나타낸 팁의 B방향 측면도, 도 4는 도 1에 나타낸 팁의 C부 확대도, 도 5는 도 4에 나타낸 노즈부의 부분측면도, 도 6은 도 1에 나타낸 팁의 D-D선 단면도, 도 7은 스로어웨이 팁을 플런징 밀링 공구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중앙종단면도, 도 8은 플런징 밀링 공구를 우측편에서 본 측면도, 도 9는 플런징 밀링 공구의 저면도, 도 10은 플런징 밀링 공구를 선단측에서 본 사시도, 도 11은 실시형태에 따른 플런징 밀링 공구로 플런징 밀링을 행하는 상태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낸 본 실시형태에 따른 스로어웨이 팁(1)은 예를 들면 초경합금 등으로 이루어지며, 대략 다각형 판형상, 특히 대략 사각형 판형상, 도면에서는 대략 마름모꼴 판형상으로 되고, 착좌면을 이루는 하면(2)에 대향하는 상면(3)에 경사면이 형성되고, 네 둘레의 각 측면(4…)이 릴리이프 면(relief face)이 되고, 이들 상면(3)과 각 측면(4)이 교차하는 네 변을 이루는 능선부에 절삭날(6)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 각 측면(4)은 하면(2)으로부터 상면(3)을 향해 점차 외측으로 경사지게 포지티브 릴리이프 각(relief angle)을 갖는 릴리이프 면을 구성하고, 포지티브 팁으로 되어 있다. 또, 릴리이프 각은 0°의 네가티브로 해도 좋다.
상면(3)의 중앙부에는 상하면을 관통해서 나사관통구멍(7)이 형성되어 있고, 상면(3)의 대향하는 한 쌍의 예각 코너부(P, P)와 둔각 코너부(Q,Q) 중, 예각 코너부(P, P)에 절삭가공시의 절삭에 이용되는 노즈부(8, 8)가 설치되어 있다. 또, 나사관통구멍(7)대신에 평면형상의 클램프면을 형성해도 좋다.
도 1 및 도 4에 나타낸 노즈부(8)에 있어서, 그 양측의 한 쌍의 절삭날(6, 6)은 각각 외측으로 볼록부를 이루는 대략 원호형상을 이루고 있고, 코너부(P)에 연결되는 짧은 영역은 직선형상의 부 절삭날(6a, 6a)을 이루는 동시에 이들 부 절삭날(6a)과 둔각의 코너부(Q)와의 사이가 원호형상의 볼록곡선을 이루고 있다. 게다가 각 절삭날(6)은 코너부(P)에 있어서 하면(2)과의 거리가 최대이고 코너부(P)로부터 둔각의 코너부(Q)를 향해 점차 하면(2)과의 거리가 감소되도록 경사져서 전체적으로 볼록곡선을 이루고 있지만, 부 절삭날(6a)의 영역에서는 직선형상으로 경사져 있다.
또, 부 절삭날(6a)에 대해서 하면(2)과 평행한 직선형상을 이루도록 형성해도 좋다.
또, 상면(3)에 있어서, 각 절삭날(6)의 내측은 랜드(12)를 통해 중앙의 나사관통구멍(7)을 향해 점차 하면(2)과의 거리가 감소되도록 예를 들면, 종단면에서 볼 때 볼록곡면 또는 평면을 이루고 있어 양각의 경사각을 갖는 경사면(9)으로 되고, 그 내측에서는 나사관통구멍(7)의 주위를 둘러싸는 예를 들면, 대략 사각형 평면을 이루는 바닥면(10)이 형성되고, 바닥면(10)은 하면(2)과 대략 평행하게 되어 있다. 게다가 각 경사면(9)은 코너부(P)에서의 교차부(9a)로부터 둔각의 코너부(Q)를 향해 절삭날(6)을 따라 점차 하면(2)과의 거리가 감소하도록 경사면을 이루고 있다.
게다가 상면(3)에서 둔각의 한 쌍의 코너부(Q, Q)를 연결하는 도 1에서 1점 쇄선으로 나타낸 대각선(R)의 영역과 겹치는 경사면(9, 9)의 바닥부(9b)에서는 바닥면(10)과의 접속부로부터 둔각의 코너부(Q, Q)를 향해 하면(2)과의 거리가 점차 작아지도록 중앙측에서부터 외측으로 경사져 있다. 그 때문에, 상면(3)의 각 경사면(9)은 각 노즈부(8)의 교차부(9a)로부터 둔각의 코너부(Q)를 연결하는 대각선(R)의 영역인 바닥부(9b)를 향해 점차 하면(2)에 가까워지도록 비틀어지면서 경사지는 비틀린 경사면을 형성하고 있다.
또 도 1 및 도 4에 나타낸 스로어웨이 팁(1)을 평면에서 볼 때, 노즈부(8)에 있어서, 서로 교차하는 두 개의 절삭날(6,6)의 부 절삭날(6a, 6a)은 서로 대략 직교하고 있고, 예를 들면 90°30´(±30˝)의 각도를 이루고 있다. 절삭날(6, 6)의 각 부 절삭날(6a, 6a)근방의 둔각 코너부(Q, Q)로부터의 부분의 상호 각도(θ)는 예각, 예를 들면 80°를 이루고 있다.
또 각 측면(4)에 있어서, 코너부(P)의 코너측면부(4a)는 코너부(P)의 원호형상 능선을 따르는 대략 볼록곡면형상으로 하고, 부 절삭날(6a)에 연결되는 제1측면부(4b)는 평면형상으로 하고, 절삭날(6)의 그 나머지부분인 제2측면부(4c)에 대해서는 절삭날(6)의 원호형상을 따라 예를 들면 대략 원통둘레면형상을 이루는 볼록곡면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 하면(2)에 있어서, 나사관통구멍(7)의 주위에는 나사관통구멍(7)의 내경으로부터 대경의 착좌 오목부(13)가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스로어웨이 팁(1)은 도 1에 나타낸 평면에서 볼 때 나사관통구멍(7)의 중심선에 대해서 회전대칭을 이루고, 또 둔각 코너부(Q, Q)를 연결하는 대각선(R)에 대해서 선대칭이라고 말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스로어웨이 팁(1)은 상술한 구성을 구비하고 있고, 이어서, 이 스로어웨이 팁(1)을 장착한 회전 절삭공구의 일례로서 플런징 밀링 공구에 대해서 도 7 내지 도 11에 의해 설명한다.
도 7 내지 도 10에 나타낸 플런징 밀링 공구(20)의 중심을 이루는 축선(O)둘레에 회전하는 공구본체(21)는 대략 원통형상을 이루고 있고, 그 선단외주측이 소정 간격(도면에서는 3개)으로 절제되어 각각 팁포켓(22)이 형성되고, 각 팁포켓(22)의 선단외주부에 오목부형상의 팁부착시트(23)가 형성되어 스로어웨이 팁(1)이 시트(25)를 통해 나사 등으로 각각 고정되어 있다.
이 플런징 밀링 공구(20)는 주로 플런징 밀링에 이용되지만, 평면 절삭가공이나 경사 절삭가공 등에도 이용할 수 있다.
장착상태의 각 스로어웨이 팁(1)은 하면(2)이 팁부착시트(23)의 바닥벽상의 시트(25)에 장착되어 상면(3)이 공구본체(21)의 회전방향을 향하고 있고, 노즈부(8)가 공구본체(21)의 선단외주측으로 돌출해서 위치한다. 그리고, 이 노즈부(8)를 구성하는 한 쪽의 절삭날(6)이 외주측에 위치해서 외주날(부호 6A를 붙인다)로 되고, 다른 쪽의 절삭날(6)이 선단측에 위치해서 정면날(부호 6B를 붙인다)로 되어 있다.
또, 외주날(6A)의 부 절삭날(6Aa)은 공구본체(21)의 축선(O)과 대략 평행하게 되고, 정면날(6B)의 부 절삭날(6Ba)은 축선(O)과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부 절삭날(6Aa)에 연속하는 외주날(6A)은 정면날(6B)과 예각을 이루고 있으므로 기단측을 향함에 따라 볼록곡선의 궤적으로 곡선(O)측으로 점차 인입되고, 동시에 정면날(6B)의 부 절삭날(6Ba)에 연속하는 부분도 지름방향 내측을 향함에 따라 볼록곡선의 궤적으로 기단측으로 점차 인입되는 형상을 이루게 된다.
또, 공구본체(21)의 팁포켓(22)에 있어서, 도 7 및 도 11에 나타내듯이 팁(1)의 기단측에서는 정면날(6B)에 대향하는 절삭에 이용되지 않는 노즈부(8)의 정면날(6B)이 설치되고, 또한 기단측에서 칩을 기단측에 보내기 위한 칩주행면(24)이 설치되어 있다. 이 칩주행면(24)은 절삭에 이용되지 않는 정면날(6B)이 지름방향에서 볼 때 내측[축선(O)측]에서 외측으로 점차 공구본체(21)의 회전방향 후방측[팁하면(2)측]을 향해 경사지고 있는 것에 맞추어, 지름방향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점차 공구본체(21)의 회전방향 후방측을 향해 경사지는 경사면을 형성하고 있다. 이 칩주행면(24)은 평면형상 또는 볼록곡면형상을 형성하여 점차 경사지면서 공구본체(21)의 외주면과 교차하고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플런징 밀링 공구(20)를 이용해서 축선(O)둘레에 공구본체(21)를 회전시키면서 예를 들면 도 11에 나타내듯이 피삭재(W)에 대해서 축선(O)방향으로 절삭하여 플런징 밀링을 행하고, 축선(O)방향으로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차례로 이송하여 절삭한다. 이것에 의해 공구본체(21)의 둘레방향에 소정간격으로 배열된 스로어웨이 팁(1…)으로 단속적으로 절삭가공한다.
각 스로어웨이 팁(1)은 플런징 밀링에서는 축선(O)에 대략 직교하는 정면날(6B)로 주된 절삭, 예를 들면 거친 절삭을 행하면서 외주날(6A)의 가장 외측에 돌출하는 노즈부(8)의 부 절삭날(6Aa)로 중간거침 마무리절삭을 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정면날(6B)에 의한 날을 댈 때의 거동은 공구본체(21)로의 팁(1)의 부착자세에도 상관있지만, 도 11의 경우, 다음과 같이 행할 수 있다.
즉, 공구본체(21)의 회전절삭시의 지름방향의 절삭이 얕은 경우, 각 스로어웨이 팁(1)의 정면날(6B)에서는 그 선단측인 노즈부(8)의 코너부(P) 및 부 절삭날(6Aa)부근의 외측 영역에서 피삭재(W)에 날을 대어, 계속해서 볼록곡면형상을 이루는 정면날(6B)의 내측 즉, 축선(O)측에 서서히 절삭영역이 확대되게 된다.
또 공구본체(21)의 회전절삭시의 지름방향의 절삭이 깊은 경우, 각 스로어웨이 팁(1)의 정면날(6B)에서는 그 지름방향에 있어서 볼록곡선형상의 중앙영역의 가장 회전방향 선단측으로 돌출하는 부분에서 날을 대어, 계속해서 정면날(6B)의 외측 및 내측으로 서서히 절삭영역이 넓어지게 된다.
그 때문에, 정면날(6B)에 있어서 지름방향의 절삭깊이가 얕은 경우와 깊은 경우의 어느 경우라도 한 점에서 날을 대어 서서히 절삭영역이 확대되게 되므로 날을 댈 때의 정면날(6B)에 대한 충격이 작고 절삭날의 결손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정면날(6B)에 의해 생성된 칩은 상면(3)의 경사면(9)을 주행해서 가장 파인 대각선(R)으로부터 절삭에 이용되지 않는 노즈부(8)의 경사면측에서 컬되고, 절단되어 대각선(R)을 지나 팁(1)의 기단측에 보내지고, 다시 팁포켓(22)의 칩주행면(24)을 지나 공구본체(21)의 기단측에서 외측으로 배출된다.
또 플런징 밀링 공구(20)를 이용해서 가로이송절삭을 행할 경우, 도 7에 나타내듯이 주된 절삭은 외주날(6A)로 행하고, 정면날(6B)의 부 절삭날(6Ba)로 가공면의 중간거침 마무리절삭을 행하게 된다.
또한, 외주날(6A)에 대해서는, 선단측에서부터 기단측을 향해 볼록곡선을 그리면서 서서히 회전방향 후방측으로 후퇴해서 배치되어 있으므로, 생성된 칩은 상면(3)의 경사면(9)이 기단측으로 보내어져서 대각선(R)에서 컬되고, 절곡(折曲)되며 다시 기단측에 보내어져서 칩주행면(24)을 통해 배출된다.
또, 상술한 설명에서는 스로어웨이 팁(1)을 오른손용 공구본체(21)에 장착한 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이것 대신에 왼손용 공구본체에 장착해서 절삭가공에 이용해도 좋다.
또 실시형태에서는 플런징 밀링과 가로이송가공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경사이송가공 등의 3차원 가공에 이용해도 좋은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상술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스로어웨이 팁(1)에 의하면, 오른손용과 왼손용 중 어느 공구본체에나 장착할 수 있고, 거친 가공에 이용해도 축선(O)방향의 플런징 밀링에 있어서는 외주날(6A)의 부 절삭날(6Aa)로 중간거침 마무리가공할 수 있고, 축선(O)방향으로 대략 직교하는 가로이송가공에 있어서는 정면날(6B)의 부 절삭날(6Ba)로 중간거침 마무리가공할 수 있다. 또한, 노즈부(8)의 팁두께가 최대에서 절삭날강도가 높고 둔각코너부(Q, Q)의 대각선(R)의 영역에서 팁두께가 최소가 됨으로써 상면(3)에서의 칩의 컬, 절곡과 기단측으로의 배출유도를 행할 수 있다. 또 각 절삭날(6)은 노즈부(8)로부터 둔각코너부(Q)를 향해 점차 높이가 낮아지는 볼록곡선형상으로 함으로써 절삭가공에 있어서 날을 댈 때의 충격이 작아 손상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 실시형태에 따른 플런징 밀링 공구(20)에 의하면, 절삭가공에 있어서 날을 댈 때의 충격이 작고 손상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데다가 칩의 기단측 및 외주측으로의 배출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고, 또한 팁(1)의 기단측에는 팁포켓(22)의 칩주행면(24)이 기단측의 정면날(6B)을 따라 지름방향내측에서부터 외측을 향해 점차 회전방향후방측으로 경사져 있으므로 칩의 배출이 한층 더 원활하게 행해진다.
또,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스로어웨이 팁(1)에 대해서 절삭날(6)을 볼록곡선형상으로 형성했지만, 직선의 경사형상으로 형성해도 좋다. 또 팁(1)의 형상은 마름모꼴판형상으로 한정되지는 않고, 또 평면에서 보아 대각선(R)에 의한 선대칭형상이나 회전대칭형상에도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노즈부(8)를 갖고 있으면 각종 임의의 형상을 채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플런징 밀링 공구(20)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엔드밀이나 프레이즈 등의 회전절삭공구나 선삭공구 등의 각종 스로어웨이식 커터에 채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로어웨이 팁은 착좌면에 대향하는 상면의 노즈부에 연결한 두 개의 절삭날은 노즈부로부터 이간됨에 따라 점차 착좌면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져서 형성되고, 이들 두 개의 절삭날은 노즈부근방에 서로 대략 직각을 이루는 부 절삭날을 각각 갖기 때문에, 플런징 밀링에 있어서는 외주날의 부 절삭날이, 가로이송시에서는 정면날의 부 절삭날이 각각 마무리날로서 기능하여 거친 절삭을 행할 때에도 마무리절삭을 행할 수 있고, 또한 노즈부의 양측 절삭날에 부 절삭날을 설치함으로써 오른손용과 왼손용의 어느 것에나 사용할 수 있어 손잡이와 관계없는 팁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절삭날이 착좌면에 대해서 경사져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공구본체로의 팁착좌면의 부착자세보다 절삭날의 지름방향 경사각(래디얼 레이크 각)이 중심아래방향이 되므로 절삭성이 향상되어 절삭저항을 낮출 수 있다.
또 부 절삭날은 각각 대략 직선을 이루고 있으므로, 양호한 마무리 또는 중간 거친 마무리가공을 행할 수 있다.
또 두 개의 절삭날은 대략 볼록곡선을 이루고 있으므로, 피삭재에 대한 날을 댈 때의 충격이 작고, 얕은 절삭시나 깊은 절삭시에 절삭날의 일부에서 날을 대어 절삭을 개시해서 피삭재에 대한 절삭영역이 점차 확대되므로 절삭날에 대한 충격을 약화하여 절삭날의 결손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스로어웨이 팁은 대략 사각형의 판형상을 이루고 있고 상면의 노즈부는 대각방향으로 한 쌍 형성되고, 상면은 이들 노즈부로부터 다른 한 쌍의 모서리를 연결하는 대각선을 향해 점차 착좌면과의 거리가 짧아지도록 경사져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외주날 또는 정면날에 의해 생성된 칩은 경사면을 갖는 상면의 대각선의 영역까지 유도되어 컬되고, 절단되어 이 대각선의 영역을 따라 상면에서부터 공구본체의 기단측으로 배출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스로어웨이식 커터는 공구본체에 이러한 구성의 스로어웨이 팁이 노즈부를 선단외주측으로 위치시켜서 장착되어 이루어진 스로어웨이식 커터로서, 한 쪽의 절삭날은 외주날을 이루는 동시에 그 부 절삭날은 공구본체의 축선에 대략 평행하게 되고, 다른 쪽의 절삭날은 정면날을 이루는 동시에 그 부절삭날은 축선에 대략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므로, 플런징 밀링에 있어서는 외주날의 부 절삭날이, 가로이송시에 있어서는 정면날의 부 절삭날이 각각 마무리날로서 기능해서 거친 절삭을 행할 때에도 마무리절삭을 행할 수 있고, 또한 노즈부의 양측 절삭날에 부 절삭날을 설치함으로써 손잡이와 관계없는 팁을 얻을 수 있다. 또 절삭날이 경사져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공구본체로의 팁의 부착자세보다 절삭날의 지름방향 경사각(래디얼 레이크 각)이 중심아래방향이 되므로 절삭성이 향상되어 절삭저항을 낮출 수 있다.
또 스로어웨이 팁은 공구본체의 팁포켓에 장착되고, 그 팁포켓에 있어서의 스로어웨이 팁의 기단측 영역은 공구본체의 내측에서부터 외측을 향해 점차 스로어웨이 팁의 착좌면측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으므로, 스로어웨이 팁의 기단측으로 보내진 칩은 경사면에서 외주측으로 유도되어 원활하게 배출된다.
또 팁포켓의 경사면은 정면날에 대향하는 기단측의 능선을 따라 공구본체의 축선측으로부터 외주측을 향해 점차 스로어웨이 팁의 착좌면측으로 경사지고 있으므로, 팁의 경사면을 주행하면서 칩은 기단측으로 보내어져서 경사면에 원활하게 이행되어 기단측으로 배출된다.

Claims (19)

  1. 착좌면에 대향하는 상면의 노즈부에 연결된 두 개의 절삭날은 노즈부로부터 이간됨에 따라 점차 착좌면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두 개의 절삭날은 노즈부 근방에서 서로 직각을 이루는 부 절삭날을 각각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로어웨이 팁.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 절삭날은 각각 직선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로어웨이 팁.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절삭날은 볼록곡선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로어웨이 팁.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절삭날은 부 절삭날에 연결되는 영역이 90°미만의 예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로어웨이 팁.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로어웨이 팁은 사각형의 판형상이고, 상기 상면의 노즈부는 대향해서 한 쌍 형성되며, 상기 상면의 경사면은 이들 노즈부로부터 다른 한 쌍의 모서리를 연결하는 대각선을 향해 점차 하면과의 거리가 짧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로어웨이 팁.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 절삭날은 각각 직선형이고, 상기 두 개의 절삭날은 볼록곡선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로어웨이 팁.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 절삭날은 각각 직선형이고, 상기 두 개의 절삭날은 부 절삭날에 연결되는 영역이 90°미만의 예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로어웨이 팁.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 절삭날은 각각 직선형이고, 상기 스로어웨이 팁은 사각형의 판형상이며 상기 상면의 노즈부는 대향해서 한 쌍 설치되고, 상기 상면의 경사면은 이들 노즈부로터 다른 한 쌍의 모서리를 연결하는 대각선을 향해 점차 하면과의 거리가 짧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로어웨이 팁.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 절삭날은 각각 직선형이고, 상기 두 개의 절삭날은 볼록곡선형이며, 또한 부 절삭날에 연결되는 영역이 90°미만의 예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로어웨이 팁.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 절삭날은 각각 직선형이고, 상기 두 개의 절삭날은 볼록곡선형이며, 또한 상기 스로어웨이 팁은 사각형의 판형상이고, 상기 상면의 노즈부는 대향해서 한 쌍 설치되고, 상기 상면의 경사면은 이들 노즈부로부터 다른 한 쌍의 모서리를 연결하는 대각선을 향해 점차 하면과의 거리가 짧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로어웨이 팁.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 절삭날은 각각 직선형이고, 상기 두 개의 절삭날은 부 절삭날에 연결되는 영역이 90°미만의 예각을 이루고 있고, 또한 상기 스로어웨이 팁은 사각형의 판형상이며 상기 상면의 노즈부는 대향해서 한 쌍 설치되고, 상기 상면의 경사면은 이들 노즈부로부터 다른 한 쌍의 모서리를 연결하는 대각선을 향해 점차 하면과의 거리가 짧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로어웨이 팁.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 절삭날은 각각 직선형이고, 상기 두 개의 절삭날은 볼록곡선형이며, 또한 부 절삭날에 연결되는 영역이 90°미만의 예각을 이루고 있고, 또한 상기 스로어웨이 팁은 사각형의 판형상이며, 상기 상면의 노즈부는 대향해서 한 쌍 설치되고, 상기 상면의 경사면은 이들 노즈부로부터 다른 한 쌍의 모서리를 연결하는 대각선을 향해 점차 하면과의 거리가 짧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로어웨이 팁.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절삭날은 볼록곡선형이고, 또한 부 절삭날에 연결되는 영역이 90°미만의 예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로어웨이 팁.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절삭날은 볼록곡선형이고, 상기 스로어웨이 팁은 사각형의 판형상이며, 상기 상면의 노즈부는 대향해서 한 쌍 설치되고, 상기 상면의 경사면은 이들 노즈부로부터 다른 한 쌍의 모서리를 연결하는 대각선을 향해 점차 하면과의 거리가 짧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로어웨이 팁.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절삭날은 볼록곡선형이고, 또한 부 절삭날에 연결되는 영역이 90°미만의 예각을 이루는 동시에, 상기 스로어웨이 팁은 사각형의 판형상이며, 상기 상면의 노즈부는 대향해서 한 쌍 설치되고, 상기 상면의 경사면은 이들 노즈부로부터 다른 한 쌍의 모서리를 연결하는 대각선을 향해 점차 하면과의 거리가 짧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로어웨이 팁.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절삭날은 부 절삭날에 연결되는 영역이 90°미만의 예각을 이루는 동시에, 상기 스로어웨이 팁은 사각형의 판형상이며 상기 상면의 노즈부는 대향해서 한 쌍 설치되고, 상기 상면의 경사면은 이들 노즈부로부터 다른 한 쌍의 모서리를 연결하는 대각선을 향해 점차 하면과의 거리가 짧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로어웨이 팁.
  17. 공구본체에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스로어웨이 팁이 상기 노즈부를 선단외주측에 위치시켜 장착되어 이루어진 스로어웨이식 커터로서, 한 쪽의 상기 절삭날은 외주날을 이루는 동시에 그 부 절삭날은 공구본체의 축선에 평행하고, 다른 쪽의 상기 절삭날은 정면날을 이루는 동시에 그 부 절삭날은 상기 축선에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로어웨이식 커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스로어웨이 팁은 공구본체의 팁포켓에 장착되고, 그 팁포켓내에 있어서의 상기 스로어웨이 팁의 기단측영역은 공구본체의 내측에서부터 외측을 향해 점차 스로어웨이 팁의 착좌면측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로어웨이식 커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팁포켓의 경사면은 상기 정면날에 대향하는 기단측의 능선을 따라 공구본체의 내측에서부터 외측을 향해 점차 스로어웨이 팁의 착좌면측으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로어웨이식 커터.
KR1020010016975A 2000-05-23 2001-03-30 스로어웨이 팁 및 스로어웨이식 커터 KR1007319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52001 2000-05-23
JP2000152001 2000-05-23
JP2001-088502 2001-03-26
JP2001088502A JP4576735B2 (ja) 2000-05-23 2001-03-26 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及びスローアウェイ式カッ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7544A KR20010107544A (ko) 2001-12-07
KR100731974B1 true KR100731974B1 (ko) 2007-06-25

Family

ID=26592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6975A KR100731974B1 (ko) 2000-05-23 2001-03-30 스로어웨이 팁 및 스로어웨이식 커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540447B2 (ko)
EP (1) EP1157768B1 (ko)
JP (1) JP4576735B2 (ko)
KR (1) KR100731974B1 (ko)
AT (1) ATE303223T1 (ko)
DE (1) DE60112993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34467B4 (de) * 2000-07-15 2010-09-30 Robert Bosch Gmbh Scheibenförmiger Messerkopf und handgeführtes Elektrowerkzeug
AT410188B (de) * 2001-01-18 2003-02-25 Boehlerit Gmbh & Co Kg Schneidwerkzeug und wendeschneidplatte
JP4304935B2 (ja) * 2002-03-11 2009-07-29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切削工具及び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
JP3775321B2 (ja) * 2002-03-20 2006-05-17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およびスローアウェイ式切削工具
DE10342060B4 (de) * 2002-09-11 2009-06-04 Kyocera Corp. Einwegspitze
IL153093A0 (en) 2002-11-26 2003-06-24 Iscar Ltd Cutting insert and cutting tool
SE527378C2 (sv) * 2003-05-08 2006-02-21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Skär för svarvning försett med en eggfas
US7220083B2 (en) 2003-10-15 2007-05-22 Tdy Industries, Inc. Cutting insert for high feed face milling
JP4596773B2 (ja) * 2003-12-25 2010-12-15 京セラ株式会社 スローアウェイインサート
IL160223A (en) * 2004-02-04 2008-11-26 Carol Smilovici Double-sided cutting insert and milling cutter
SE527851C2 (sv) 2004-02-11 2006-06-20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Skärverktyg, skär samt del till skärverktyg med serrationskopplingsytor
JP2006224278A (ja) * 2005-02-21 2006-08-31 Mitsubishi Materials Corp フライスカッター用インサート
US7934891B2 (en) * 2005-07-05 2011-05-03 Seco Tools Ab Cutting insert for turning with a recess intended to facilitate flow of a cooling jet
JP2007283467A (ja) * 2006-04-20 2007-11-01 Mitsubishi Materials Corp 切削インサート及び切削工具
US7870717B2 (en) * 2006-09-14 2011-01-18 Honeywell International Inc. Advanced hydrogen auxiliary power unit
JP4981811B2 (ja) 2006-09-29 2012-07-25 京セラ株式会社 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これを用いる切削工具、並びに切削方法
IL178813A (en) * 2006-10-23 2010-06-30 Iscar Ltd Placing a tangential cut that is harnessed with a bulge at the base
US7905687B2 (en) 2007-01-16 2011-03-15 Tdy Industries, Inc. Cutting insert, tool holder, and related method
KR101516826B1 (ko) * 2008-03-31 2015-05-04 미쓰비시 마테리알 가부시키가이샤 드릴용 인서트 및 인서트 드릴
US7905689B2 (en) 2008-05-07 2011-03-15 Tdy Industries, Inc. Cutting tool system, cutting insert, and tool holder
US8491234B2 (en) 2009-02-12 2013-07-23 TDY Industries, LLC Double-sided cutting inserts for high feed milling
US7976250B2 (en) 2009-02-12 2011-07-12 Tdy Industries, Inc. Double-sided cutting inserts for high feed milling
US9586264B2 (en) 2009-04-28 2017-03-07 Kennametal Inc. Double-sided cutting insert for drilling tool
DE102009020373A1 (de) 2009-05-08 2010-11-11 Kennametal Inc. Fräser-Schneideinsatz
KR20120020153A (ko) * 2009-06-16 2012-03-07 가부시키가이샤 탕가로이 절삭용 인서트 및 날끝교환식 정면 밀링 커터
US8807884B2 (en) 2009-12-18 2014-08-19 Kennametal Inc. Tool holder for multiple differently-shaped cutting inserts
JP5620929B2 (ja) * 2010-01-29 2014-11-05 京セラ株式会社 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切削工具、並びにそれを用いた切削加工物の製造方法
AT12004U1 (de) * 2010-02-25 2011-09-15 Ceratizit Austria Gmbh Schneideinsatz
WO2012147924A1 (ja) * 2011-04-28 2012-11-01 京セラ株式会社 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切削工具、並びにそれを用いた切削加工物の製造方法
JP5715688B2 (ja) * 2011-04-28 2015-05-13 京セラ株式会社 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切削工具、並びにそれを用いた切削加工物の製造方法
JP5723447B2 (ja) * 2011-05-31 2015-05-27 京セラ株式会社 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切削工具、並びにそれを用いた切削加工物の製造方法
EP2727672B1 (en) * 2011-06-30 2020-04-15 Kyocera Corporation Cutting insert, cutting too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ut product using cutting tool
WO2013065347A1 (ja) * 2011-10-31 2013-05-10 京セラ株式会社 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切削工具、並びにそれを用いた切削加工物の製造方法
EP2783779B1 (en) * 2011-11-25 2017-11-01 Sumitomo Electric Hardmetal Corp. Indexable cutting insert for milling
DE102012104082A1 (de) * 2012-05-09 2013-11-14 Walter Ag Wendeschneidplatte für Eckfräser
US9283626B2 (en) 2012-09-25 2016-03-15 Kennametal Inc. Double-sided cutting inserts with anti-rotation features
US9011049B2 (en) 2012-09-25 2015-04-21 Kennametal Inc. Double-sided cutting inserts with anti-rotation features
CN103008743B (zh) * 2012-12-26 2015-11-18 镇江新区恒锋工具有限公司 可转位双面铣刀片
EP2805786B1 (en) * 2013-05-21 2019-07-10 Pramet Tools, S.R.O. Indexable cutting insert having side supporting valley, and a milling tool
KR101704629B1 (ko) * 2013-09-11 2017-02-08 미츠비시 히타치 쓰루 가부시키가이샤 날끝 교환식 회전 절삭 공구
JP6258950B2 (ja) * 2013-09-30 2018-01-10 京セラ株式会社 切削インサート、切削工具および切削加工物の製造方法
US9289836B2 (en) * 2014-01-09 2016-03-22 Iscar, Ltd. Double-sided indexable cutting insert and cutting tool therefor
WO2015163326A1 (ja) * 2014-04-22 2015-10-29 株式会社タンガロイ 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切削工具
JP5979619B2 (ja) * 2014-05-26 2016-08-24 株式会社タンガロイ 切削インサート、ボデーおよび切削工具
US9776258B2 (en) * 2015-03-04 2017-10-03 Kennametal Inc. Double-sided, trigon cutting insert with rounded minor cutting edge and cutting tool therefor
EP3153261B1 (en) * 2015-10-09 2018-04-04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AB Turning insert and method
KR102133164B1 (ko) * 2016-08-26 2020-07-13 미츠비시 히타치 쓰루 가부시키가이샤 절삭 인서트 및 날끝 교환식 회전 절삭 공구
PL3315235T3 (pl) 2016-10-27 2022-12-19 Pramet Tools, S.R.O. Wkładka skrawająca i narzędzie frezujące
US11179785B2 (en) 2016-12-09 2021-11-23 Moldino Tool Engineering, Ltd. Cutting insert and indexable edge rotary cutting tool
US10131004B1 (en) * 2017-05-04 2018-11-20 Ingersoll Cutting Tool Company Cutting insert having non-identical rectangular end surfaces with raised and lowered corner portions and cutting tool
CN110944783B (zh) * 2017-07-27 2021-03-26 京瓷株式会社 切削刀片、切削工具以及切削加工物的制造方法
EP3456450B1 (en) * 2017-09-13 2022-12-21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AB Cutting insert and crank shaft milling tool
EP3476508A1 (en) * 2017-10-31 2019-05-01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AB Turning insert
JP6825068B1 (ja) * 2019-11-22 2021-02-03 ダイジ▲ェ▼ット工業株式会社 切削用インサート、高送り用回転切削工具及び隅削り用回転切削工具
CN115916441A (zh) * 2020-09-02 2023-04-04 住友电工硬质合金株式会社 旋转切削工具用切削刀具和旋转切削工具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99549A (en) * 1985-06-06 1987-10-13 Mitsubishi Kinzoku Kabushiki Kaisha Insert rotary cutter
US5904450A (en) * 1996-07-05 1999-05-18 Iscar Ltd Cutting insert with a rounded corner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95913A (ja) 1985-02-25 1986-08-30 Sumitomo Metal Ind Ltd 真空精錬炉における溶鋼炭素含有量制御方法
JPS61201719A (ja) 1985-03-01 1986-09-06 Kubota Ltd 加熱炉用スキツドボタン構造
JPH07104150B2 (ja) 1985-07-23 1995-11-13 川崎製鉄株式会社 測長装置
JPS6232709A (ja) 1985-08-05 1987-02-12 Hisamatsu Nakano パラボラアンテナ装置
JPS6232718A (ja) 1985-08-05 1987-02-12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アナログ信号の2値化方法
JPS6232714A (ja) 1985-08-06 1987-02-12 Clarion Co Ltd オフセツト電圧補正回路
JPS6232717A (ja) 1985-08-06 1987-02-12 Sumitomo Electric Ind Ltd 波形整形回路
JPS6235713A (ja) 1985-08-08 1987-02-16 Mitsubishi Electric Corp ゲ−トタ−ンオフサイリスタのゲ−ト駆動回路
JPS6235712A (ja) 1985-08-08 1987-02-16 Yokogawa Electric Corp 半導体スイツチ装置
JPH01170512U (ko) * 1988-05-19 1989-12-01
IL93883A (en) * 1989-04-12 1993-02-21 Iscar Ltd Cutting insert for a milling cutting tool
US5082401A (en) * 1990-12-18 1992-01-21 Kennametal Inc. Cutting insert for light feed rate
DE4136417A1 (de) * 1991-11-05 1993-05-06 Krupp Widia Gmbh, 4300 Essen, De Schneideinsatz
JP2556520Y2 (ja) * 1991-12-26 1997-12-03 京セラ株式会社 仕上げバイトのチップ
JPH05309514A (ja) * 1992-05-07 1993-11-22 Mitsubishi Materials Corp 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
SE500719C2 (sv) * 1993-01-27 1994-08-15 Sandvik Ab Skär med skruvformigt vriden spånyta
US5388932A (en) * 1993-09-13 1995-02-14 Kennametal Inc. Cutting insert for a milling cutter
EP0742743B1 (de) * 1994-01-31 1997-10-22 Widia GmbH Wendeschneidplatte und zugehöriges werkzeug
JP3196566B2 (ja) 1995-05-10 2001-08-06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及びスローアウェイ式カッタ
DE59707332D1 (de) * 1996-08-23 2002-06-27 Widia Gmbh Schneideinsatz zum bohren und bohrwerkzeug
JPH10277830A (ja) 1997-03-31 1998-10-20 Mitsubishi Materials Corp 突き加工用カッタ
JPH1133815A (ja) 1997-07-18 1999-02-09 Mitsubishi Materials Corp 突き加工工具
JP4155364B2 (ja) 1997-10-17 2008-09-24 日立ツール株式会社 縦送り用スローアウェイ式フライス工具
JPH11138323A (ja) * 1997-11-11 1999-05-25 Sumitomo Electric Ind Ltd ボールエンドミル用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
JPH11197934A (ja) * 1998-01-16 1999-07-27 Mitsubishi Materials Corp 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及びボールエンドミル
JPH11226812A (ja) 1998-02-12 1999-08-24 Hitachi Tool Eng Ltd 縦送り加工用ta式フライス工具
SE512040C2 (sv) * 1998-05-06 2000-01-17 Sandvik Ab Vändskär för pinnfräsar
SE514032C2 (sv) * 1998-09-08 2000-12-11 Seco Tools Ab Verktyg och skär för fräsning
JP2000280103A (ja) * 1999-03-29 2000-10-10 Ngk Spark Plug Co Ltd 切削工具及びホルダ付工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99549A (en) * 1985-06-06 1987-10-13 Mitsubishi Kinzoku Kabushiki Kaisha Insert rotary cutter
US5904450A (en) * 1996-07-05 1999-05-18 Iscar Ltd Cutting insert with a rounded cor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303223T1 (de) 2005-09-15
US6540447B2 (en) 2003-04-01
US20010051077A1 (en) 2001-12-13
EP1157768B1 (en) 2005-08-31
DE60112993T2 (de) 2006-06-29
EP1157768A1 (en) 2001-11-28
JP2002046010A (ja) 2002-02-12
KR20010107544A (ko) 2001-12-07
JP4576735B2 (ja) 2010-11-10
DE60112993D1 (de) 2005-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1974B1 (ko) 스로어웨이 팁 및 스로어웨이식 커터
US6050752A (en) Cutting insert
CN100591447C (zh) 旋转切削工具
JP2001079710A (ja) 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
KR20130018892A (ko) 절삭 인서트와 절삭 공구, 및 그것들을 사용한 절삭 가공물의 제조 방법
JP2008229745A (ja) 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インサート着脱式転削工具
JP6052455B1 (ja) 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切削工具
JP2002066811A (ja) 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
EP1355755B1 (en) Cutting tool and cutting inserts
JP2001009628A (ja) 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及びスローアウェイ式カッタ
JP4823266B2 (ja) 切削方法
JP2002052415A (ja) 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及びスローアウェイ式切削工具
JP2004174684A (ja) スローアウェイエンドミルの製造方法
WO1992006811A1 (en) Throwaway cutter and throwaway tip
JPH01321101A (ja) スローアウエイチップ
JP3022002B2 (ja) 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およびスローアウェイ式穴明け工具
JP2003291003A (ja) 切削工具
JP5243396B2 (ja) 隅削り用刃先交換式チップとミーリングカッタ
JP4337240B2 (ja) 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及びスローアウェイ式切削工具
JP2003191119A (ja) ボールエンドミル用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
JPS6210015Y2 (ko)
JPH01228705A (ja) 切削工具
JP2508723Y2 (ja) さらい刃付き正面フライス
JP3744692B2 (ja) スローアウェイ式エンドミル
JP2562665Y2 (ja) 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及びこれを備えたボールエンドミ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