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6510B1 - 자동차용 풋 레스트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풋 레스트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6510B1
KR100726510B1 KR1020050075322A KR20050075322A KR100726510B1 KR 100726510 B1 KR100726510 B1 KR 100726510B1 KR 1020050075322 A KR1020050075322 A KR 1020050075322A KR 20050075322 A KR20050075322 A KR 20050075322A KR 100726510 B1 KR100726510 B1 KR 1007265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foot rest
plate
footrest plate
foot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5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0932A (ko
Inventor
한성준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753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6510B1/ko
Publication of KR20070020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09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6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65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ootrests
    • B60N3/06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ootrests with protection systems against abnormal g-fo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ootrests
    • B60N3/063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ootrests with adjustment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09Control elements or operating handles movable from an operative to an out-of-the way position, e.g. pedals, switch knobs, window crank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58Rests or guides for relevant parts of the operator's body
    • G05G1/60Foot rests or foot gu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풋 레스트 구조에 관한 것으로 일 단은 차체의 대시 패널(1)에 힌지부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운전자의 발을 올려놓는 풋레스트 플레이트(10)와, 상기 풋레스트 플레이트(10)가 각도를 가지고 기울어지도록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이 풋레스트 플레이트(10)에 올려지는 운전자의 발을 편안하게 지지하도록 하는 스프링지지수단(20)과, 상기 풋레스트 플레이트(10)에 구비되어 이 풋레스트 플레이트(10)가 정해진 범위를 넘어 회전하게 되면 풋레스트의 회전을 정지시켜 그 위치를 고정시키는 플레이트회동제어수단(30)으로 구성되어 풋레스트 플레이트(10)가 일정 각도 이상으로는 운전석 측으로 회동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충돌 사고 발생 시 풋레스트 플레이트(10)가 대시 패널(1)에 의해 밀려 운전석 측으로 밀려 회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정면충돌 시 풋레스트에 얹어 놓은 발목이 갑자기 꺾이고, 부러지는 것을 방지하여 운전자의 상해치를 감소시킬 수 있어 사고 발생 시 안전성을 획기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풋 레스트 구조{Structure of foot rest for automobile}
도 1 은 풋 레스트가 설치된 차량의 실내를 도시한 개략도
도 2 는 본 발명인 풋 레스트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 단면도
도 4a 내지 도 4b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사용 상태 단면도
*도면 중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 : 대시 패널 2 : 클러치 페달
3 : 가속 페달 4 : 브레이크 페달
5 : 풋 레스트 10 : 풋레스트 플레이트
20 : 스프링지지수단 30 : 플레이트회동제어수단
31 : 힌지축 32 : 그루브축
33 : 제어축케이싱 34 : 스토퍼
35 : 지지스프링 40 : 스토퍼릴리즈부
41 : 릴리즈버튼 42 : 리턴스프링
본 발명은 자동차용 풋 레스트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전방 충돌 시 탑승자의 발목이 꺾이는 것을 방지하여 상해치를 저감시킬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운전석 아래쪽 대시 패널 쪽에는 클러치 페달, 가속 페달, 브레이크 페달 등이 구비되어 있다.
통상 수동 변속기용 차량에서 운전자는 오른 발로 가속 페달과 브레이크 페달을 조작하고, 왼발로 클러치 페달을 조작하게 된다.
여기서, 클러치 페달의 왼쪽에는 발 받침대 역할을 하는 풋 레스트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 풋 레스트는 운전자가 클러치 페달을 조작하지 않을 때 왼발을 내려놓은 상태에서 보다 편안하게 운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풋 레스트는 차량이 코너링할 때 운전자의 왼발 한쪽을 힘껏 지지하기 위한 역할도 수행하게 된다.
또한, 클러치 페달이 없는 자동 변속기용 차량에도 운전자가 왼발을 올려놓고 보다 편안하게 운전할 수 있도록 수동 변속기용 차량에서와 같은 풋 레스트가 구비된다.
풋 레스트는 통상 차량의 프런트 바디, 즉 엔진실과 차 실내를 구분하는 대시 패널 측에 풋레스트 플레이트의 일단이 힌지 결합되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풋레스트 플레이트는 운전자가 발을 편안하게 올려놓을 수 있도록 어느 정도 경사진 모양으로 형성되며, 스프링부재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풋 레스트는 풋레스트 플레이트가 상기 대시 패널에 완전히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차량의 정면으로 충돌할 때, 대시 패널과 함께 풋 레스트 플레이트가 밀리게 되고, 이때 순간적으로 운전자의 발목이 심하게 꺾이면서 부상의 정도가 심해지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정면충돌 사고 발생 시 풋 레스트 플레이트가 일정 각도 이상으로 밀려 회동하면 플레이트회동제어수단에 의해 더 이상 차체 밀림에 의해 밀림 방향으로 회동되지 않도록 하여 운전자의 발목이 급격히 꺾이게 되는 것을 방지하여 운전자의 상해치를 줄이고 안전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풋 레스트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일 단은 차체의 대시 패널(1)에 힌지부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운전자의 발을 올려놓는 풋레스트 플레이트(10)와; 상기 풋레스트 플레이트(10)가 각도를 가지고 기울어지도록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이 풋레스트 플레이트(10)에 올려지는 운전자의 발을 편안하게 지지하도록 하는 스프링지지수단(20)과; 상기 풋레스트 플레이트(10)에 구비되어 이 풋레스트 플레이트(10)가 정해진 범위를 넘어 회전하게 되면 풋레스트의 회전을 정지시켜 그 위치를 고정시키는 플레이트회동제어수단(30)으로 구성된 자동차용 풋 레스트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회동제어수단(30)은 상기 풋레스트 플레이트(10)의 뒷면에 고정되며, 이 풋레스트 플레이트(10)의 회동 중심이 되는 힌지축(31)과; 상기 힌지축(31)의 일 측으로 돌출되며, 외주면에 한 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게 단속하는 래칫톱니(32a)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그루브축(32)과; 상기 그루브축(32)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 측면에 스토퍼장착홈(33b)이 간격을 두고 다 수개 형성된 결합구멍(33a)이 축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차체 대시 패널(1)에 설치 고정되는 제어축케이싱(33)과; 상기 제어축케이싱(33)의 스토퍼장착홈(33b)에 삽입되어 단부가 그루브축(32)의 래칫톱니(32a) 사이에 끼워져 래칫톱니(32a)가 걸리는 스토퍼(34)와; 상기 제어축케이싱(33)의 스토퍼장착홈(33b) 내에 장착되어 상기 스토퍼(34)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지지스프링(35)으로 구성된다.
즉, 제어축케이싱(33)의 결합구멍(33a)에 그루브축(32)이 결합되어 힌지부를 이뤄 풋레스트 플레이트(10)가 발목이 펴지는 방향으로는 회동이 가능하고, 발목이 접혀지는 방향으로는 그루브축(32)의 외주면에 형성된 래칫톱니(32a)에 스토퍼(34)가 걸리게 됨으로써, 상기 래칫톱니(32a) 사이의 간격만큼만 회동이 가능하게 되어, 주행 중 충돌 사고가 발생되어 차체의 대시 패널(1)이 운전석 측으로 밀려 이동하더라도 그루브축(32)의 래칫톱니(32a)가 스토퍼(34)에 걸려 풋레스트 플레이트(10)가 발목이 접혀지는 방향으로의 회동되지 않게 되고, 이로인해 상해치가 줄어들게 되는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풋 레스트가 설치된 차량의 실내를 도시한 개략도로서, 클러치 페달의 왼 편에 풋 레스트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 는 본 발명인 풋 레스트를 도시한 분해사시도로서, 플레이트회동제어수단이 풋레스트 플레이트의 힌지부에 그루브축과 스토퍼, 이 그루브축과 스토퍼가 결합되는 제어축케이싱 등으로 구성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3 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 단면도로서, 제어축케이싱 내부에서 스토퍼가 그루브축의 걸림치 사이에 삽입되어 걸림으로써 발목이 펴지는 방향으로는 풋레스트 플레이트가 회동되나 그 반대 방향으로는 스토퍼가 그루브축의 걸림치에 걸려 회동되지 않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4a 내지 도 4b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사용 상태 단면도로 서, 해제버튼을 눌러 스토퍼가 그루브축의 걸림치에 삽입된 상태에서 벌려 이탈시킴으로써 풋레스트 플레이트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하,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석 아래쪽 대시 패널(1) 쪽에는 운전을 위해 클러치 페달(2), 가속 페달(3), 브레이크 페달(4)이 구비되며, 클러치 페달(2)의 왼 편에 운전자가 클러치 페달(2)을 조작하지 않을 때 왼발을 내려놓은 상태에서 보다 편안하게 운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하는 풋 레스트(5)가 구비된다.
이 풋 레스트(5)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판형상으로 형성된 풋레스트 플레이트(10)로 구성되며, 이 풋레스트 플레이트(10)는 힌지부로 회동 가능하게 대시 패널(1)에 장착된다.
또 이 풋레스트 플레이트(10)의 후면에는 스프링지지수단(20)이 구비되어 이 풋레스트 플레이트(10)에 운전자가 발을 얹어 놓을 경우 편안한 각도를 가지도록 풋레스트 플레이트(10)를 탄성적으로 지지한다.
이 스프링지지수단(20)은 풋레스트 플레이트(10)를 탄성적으로 지지할 뿐만 아니라 운전자가 풋레스트 플레이트(10)에서 발을 뗄 경우 풋레스트 플레이트(10)가 일정한 위치를 가지도록 한다.
한편, 상기 풋레스트 플레이트(10)에는 이 풋레스트 플레이트(10)가 일정각도 이상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플레이트회동제어수단(30)이 구비된다.
이 플레이트회동제어수단(30)은 상기 풋레스트 플레이트(10)의 뒷면에 고정되며, 이 풋레스트 플레이트(10)의 회동 중심이 되는 힌지축(31)과;
상기 힌지축(31)의 일 측으로 돌출되며, 외주면에 한 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게 단속하는 래칫톱니(32a)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그루브축(32)과;
상기 그루브축(32)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 측면에 스토퍼장착홈(33b)이 간격을 두고 다 수개 형성된 결합구멍(33a)이 축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차체 대시 패널(1)에 설치 고정되는 제어축케이싱(33)과;
상기 제어축케이싱(33)의 스토퍼장착홈(33b)에 삽입되어 단부가 그루브축(32)의 래칫톱니(32a) 사이에 끼워져 래칫톱니(32a)가 걸리는 스토퍼(34)와;
상기 제어축케이싱(33)의 스토퍼장착홈(33b) 내에 장착되어 상기 스토퍼(34)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지지스프링(35)으로 구성된다.
즉,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축케이싱(33)의 결합구멍(33a)에 그루브축(32)이 결합되어 힌지부를 이뤄 풋레스트 플레이트(10)가 발목이 펴지는 방향으로는 회동이 가능하나, 발목이 접혀지는 방향으로는 그루브축(32)의 외주면에 형성된 래칫톱니(32a)에 스토퍼(34)가 걸리게 됨으로 이 래칫톱니(32a) 사이의 간격만큼만 회동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주행 중 충돌 사고가 발생되어 차체의 대시 패널(1)이 운전석 측으로 밀려 이동하더라도 그루브축(32)의 래칫톱니(32a)가 스토퍼(34)에 걸려 풋레스트 플레이트(10)가 발목이 접혀지는 방향으로의 회동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어축케이싱(33)에는 스토퍼(34)를 그루브축(32)의 래칫톱니(32a)에서 이탈시켜 스톱상태를 해제하는 스토퍼릴리즈부(40)가 구비된다.
이 스토퍼릴리즈부(40)는 제어축케이싱(33)의 결합구멍(33a)에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축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스토퍼(34)의 단부를 밀어 스토퍼(34)를 스토퍼장착홈(33b) 내측으로 삽입시키는 릴리즈버튼(41)과;
상기 릴리즈버튼(41)을 제어축케이싱(33) 내부에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이동 후 원위치로 리턴시키는 리턴스프링(42)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릴리즈버튼(41)은 제어축케이싱(33)의 결합구멍(33a)에 결합되는 부분이 단부측으로 갈수록 그 직경이 작아지도록 기울어진 제 1 경사면(41a)으로 이루어지고, 이 릴리즈버튼(41)의 단부가 결합되는 스토퍼(34)의 단부에는 제 1 경사면(41a)에 대응되는 경사를 가지는 제 2 경사면(42b)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4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릴리즈버튼(41)을 밀어 제어축케이싱(33)의 결합구멍(33a) 내부로 이동시키면 제 1 경사면(41a)이 스토퍼(34)의 제 2 경사면(42b)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스토퍼(34)를 밀어 스토퍼(34)를 스토퍼장착홈(33b)으로 삽입시키는 것이다.
이렇게 스토퍼(34)가 스토퍼장착홈(33b)으로 삽입되어 그루브축(32)에 형성된 래칫톱니(32a) 사이에서 이탈되면 래칫톱니(32a)가 스토퍼(34)에 걸리지 않게 됨으로 풋레스트 플레이트(10)가 스프링지지수단(2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대형사고가 아닌 정도의 사고에 의하여 풋레스트 플레이트(10)가 회동 가능한 방향으로 회동하여 스토퍼된 상태에서 간단히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풋레스트 플레이트(10)가 원위치로 복귀된 후 릴리즈버튼(41)에 가했던 가압력을 해제하면 도 4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릴리즈버튼(41)은 리턴스프링(42)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고, 스토퍼(34)는 지지스프링(35)에 의해 스토퍼장착홈(33b)에서 돌출되어 그루브축(32)의 래칫톱니(32a) 사이에 끼워지도록 복귀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풋레스트 플레이트가 일정 각도 이상으로는 운전석 측으로 회동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충돌 사고 발생 시 풋레스트 플레이트가 대시 패널에 의해 밀려 운전석 측으로 밀려 회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정면충돌 시 풋레스트에 얹어 놓은 발목이 갑자기 꺾이고, 부러지는 것을 방지하여 운전자의 상해치를 감소시킬 수 있어 사고 발생 시 안전성을 획기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5)

  1. 삭제
  2. 일 단은 차체의 대시 패널(1)에 힌지부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운전자의 발을 올려놓는 풋레스트 플레이트(10)와; 상기 풋레스트 플레이트(10)가 각도를 가지고 기울어지도록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이 풋레스트 플레이트(10)에 올려지는 운전자의 발을 편안하게 지지하도록 하는 스프링지지수단(20)과; 상기 풋레스트 플레이트(10)에 구비되어 이 풋레스트 플레이트(10)가 정해진 범위를 넘어 회전하게 되면 풋레스트의 회전을 정지시켜 그 위치를 고정시키는 플레이트회동제어수단(30)으로 구성된 자동차용 풋 레스트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회동제어수단(30)은 상기 풋레스트 플레이트(10)의 뒷면에 고정되며, 이 풋레스트 플레이트(10)의 회동 중심이 되는 힌지축(31)과; 상기 힌지축(31)의 일 측으로 돌출되며, 외주면에 한 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게 단속하는 래칫톱니(32a)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그루브축(32)과; 상기 그루브축(32)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 측면에 스토퍼장착홈(33b)이 간격을 두고 다 수개 형성된 결합구멍(33a)이 축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차체 대시 패널(1)에 설치 고정되는 제어축케이싱(33)과; 상기 제어축케이싱(33)의 스토퍼장착홈(33b)에 삽입되어 단부가 그루브축(32)의 래칫톱니(32a) 사이에 끼워져 래칫톱니(32a)가 걸리는 스토퍼(34)와; 상기 제어축케이싱(33)의 스토퍼장착홈(33b) 내에 장착되어 상기 스토퍼(34)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지지스프링(35)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풋 레스트 구조.
  3. 청구항 2 에 있어서, 상기 제어축케이싱(33)에는 스토퍼(34)를 그루브축(32)의 래칫톱니(32a)에서 이탈시켜 스톱상태를 해제하는 스토퍼릴리즈부(4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풋 레스트 구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릴리즈부(40)는 제어축케이싱(33)의 결합구멍(33a)에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축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스토퍼(34)의 단부를 밀어 스토퍼(34)를 스토퍼장착홈(33b) 내측으로 삽입시키는 릴리즈버튼(41)과;
    상기 릴리즈버튼(41)을 제어축케이싱(33) 내부에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이동 후 원위치로 리턴시키는 리턴스프링(4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풋 레스트 구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릴리즈버튼(41)은 제어축케이싱(33)의 결합구멍(33a)에 결합되는 부분이 단부측으로 갈수록 그 직경이 작아지도록 기울어진 제 1 경사면(41a)으로 이루어지고, 이 릴리즈버튼(41)의 단부가 결합되는 스토퍼(34)의 단부에는 제 1 경사면(41a)에 대응되는 경사를 가지는 제 2 경사면(42b)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풋 레스트 구조.
KR1020050075322A 2005-08-17 2005-08-17 자동차용 풋 레스트 구조 KR1007265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5322A KR100726510B1 (ko) 2005-08-17 2005-08-17 자동차용 풋 레스트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5322A KR100726510B1 (ko) 2005-08-17 2005-08-17 자동차용 풋 레스트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0932A KR20070020932A (ko) 2007-02-22
KR100726510B1 true KR100726510B1 (ko) 2007-06-11

Family

ID=43653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5322A KR100726510B1 (ko) 2005-08-17 2005-08-17 자동차용 풋 레스트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65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55762B (zh) * 2017-12-14 2020-09-18 宝沃汽车(中国)有限公司 歇脚板总成及其控制系统、控制方法以及车辆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97341A (ja) 1997-04-28 1998-11-10 Honda Motor Co Ltd 自動車用フットレスト装置
KR20030040019A (ko) * 2001-11-14 2003-05-22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전원장치
JP2003212026A (ja) 2002-01-21 2003-07-30 Kanto Auto Works Ltd 自動車座席用のフットレスト装置
KR20050009105A (ko) * 2003-07-15 2005-01-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풋 레스트
KR20190000980A (ko) * 2017-06-26 2019-01-04 이동원 퍼스널 헬스케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97341A (ja) 1997-04-28 1998-11-10 Honda Motor Co Ltd 自動車用フットレスト装置
KR20030040019A (ko) * 2001-11-14 2003-05-22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전원장치
JP2003212026A (ja) 2002-01-21 2003-07-30 Kanto Auto Works Ltd 自動車座席用のフットレスト装置
KR20050009105A (ko) * 2003-07-15 2005-01-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풋 레스트
KR20190000980A (ko) * 2017-06-26 2019-01-04 이동원 퍼스널 헬스케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0932A (ko) 2007-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66379B2 (ja) 枢動ドアハンドルの意図しない動作を妨げる方法
KR100298053B1 (ko) 자동차용브레이크페달장치
JP6615596B2 (ja) 自動車用シートクッションエクステンション装置
US20090152924A1 (en) Headrest for Vehicle
JP3306049B2 (ja) シートベルトのバックル
JP3733034B2 (ja) アシストグリップ
KR100726510B1 (ko) 자동차용 풋 레스트 구조
JPH064129Y2 (ja) シフトレバー装置
JP2959235B2 (ja) ペダル装置
KR100936526B1 (ko) 상해방지를 위한 자동차용 브레이크 장치
JP6665053B2 (ja) ドアトリムアームレスト構造
KR100522869B1 (ko) 자동차의 풋 레스트
JP3652158B2 (ja) アクセルペダル取付構造
JP2548311Y2 (ja) プッシュロック装置
JP4744712B2 (ja) 自動変速操作装置
JPS6110530Y2 (ko)
JP3743554B2 (ja) 自動車用シート装置
JP3209339B2 (ja) 車両用自動変速機の操作装置
KR200293201Y1 (ko) 차량용 힌지형 시트리클라이너
JPH0583521U (ja) ラチェット機構
JP2934013B2 (ja) 車両用自動変速機の操作装置
JP4029806B2 (ja) 自動車のペダル支持構造
JP3715732B2 (ja) ウォーム装置
JP2006059300A (ja) 車両用ペダル
CN115817296A (zh) 座椅调节结构、靠背组件、座椅以及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