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4178B1 - 차량 페달 - Google Patents

차량 페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4178B1
KR100724178B1 KR1019990058554A KR19990058554A KR100724178B1 KR 100724178 B1 KR100724178 B1 KR 100724178B1 KR 1019990058554 A KR1019990058554 A KR 1019990058554A KR 19990058554 A KR19990058554 A KR 19990058554A KR 100724178 B1 KR100724178 B1 KR 1007241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al
acceleration
shaft
module
ba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8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48209A (ko
Inventor
토마스 한네발트
라인하르트 첸커
Original Assignee
만네스만 파우데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만네스만 파우데오 아게 filed Critical 만네스만 파우데오 아게
Publication of KR200000482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82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41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41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60T7/06Disposition of pedal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 G05G1/46Means, e.g. links, for connecting the pedal to the controlled uni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528Foot operated
    • Y10T74/20534Acceler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uxiliary Drives, Propulsion Controls, And Safety Devices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차량 페달은 페달 바아(16)와, 상기 페달에 회전가능한 방식으로 고정 연결되며 베어링 위치(28, 32)가 배열되는 페달 샤프트(18)를 갖는다. 현재까지, 페달 바아(16)는 통상 베어링 위치 사이에 있는 알루미늄 블록에 의해 페달 샤프트(18)에 고정되어 왔다. 가속-페달 모듈(10)을 제조하는 동안에 설치비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페달 바아(16)는 두 베어링 위치(28, 32)의 측면으로 페달 샤프트(18)상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제안한다. 이것은 페달 레버(14)의 제조 및 베어링 배열체(28, 32)에 페달 레버의 설치를 용이하게 한다.

Description

차량 페달 {PEDAL OF A VEHICLE}
도 1은 가속-페달 모듈의 부분 단면된 평면도.
도 2는 도 1에 따른 가속-페달 모듈의 전부하 위치에서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3은 도 2와 관련하여 90˚회전된 측면도.
도 4는 가속-페달의 아이들 위치에서 도 2에 대응하는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가속-페달 모듈 12: 베이스 판
14: 가속-페달 레버 16: 페달 바아
18: 페달 샤프트 20: 각진 부분
22: 페달 플레이트 24: 고정 홀
26: 제 1 베어링 블록 28: 제 1 칼러 베어링
30: 제 2 베어링 블록 32: 제 2 칼러 베어링
34: 환상 그루우브 36, 38: 잠금 와셔
40: 플라스틱 슬리브 42: 환상 함몰부
44: 접점-압력 스프링 46: 제 1 헬리컬 스프링
48: 제 2 헬리컬 스프링 50: 레그
52: 센서 54: 고착 나사
56: 슬롯 57: 클로오 요소
58: 판상-금속 앵글 60: 자유 앵글 레그
62: 스프링 클립 64: 리벳
본 발명은 페달 바아와, 상기 페달 바아에 회전가능한 방식으로 연결되며 베어링 위치가 제공되는 페달 샤프트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차량 페달은 예를 들면, 모터 차량에서 가속-페달로서 사용된다. 공지된 페달 바아 및 가속 페달의 페달 샤프트는 통상 알루미늄 블록과 리테이닝 핀에 의해 서로에 대해 회전 가능한 방식으로 서로 고정된 개개의 부품들로서, 서로 분리되도록 설계된다. 이를 위해, 페달 샤프트와 페달 바아는 고정 핀의 삽입을 위한 보어를 구비할 필요가 있다. 또한, 두 부품들을 서로 설치하기 위해서는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 페달 바아는 일단 페달 샤프트가 베어링 위치에 설치되면 고정되어, 자유 공간의 부족으로 인해 설치를 어렵게 하거나, 페달 샤프트 상에 사전에 고정되어, 그러한 설치 순서가 제일 먼저 가능한 경우, 페달 샤프트를 베어링 위치에 설치하는 것을 더욱더 어렵게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조가 용이하고 베어링 위치에 바로 설치할 수 있는 차량 페달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이러한 목적은 페달 바아가 두 베어링 위치의 측면에서 페달 샤프트 상에 일체로 형성되는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페달에 의해, 페달 바아와 페달 샤프트로 이루어진 예비조립 유닛은 일 측면으로부터의 베어링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한, 베어링 위치 사이에 페달 바아를 위한 어떠한 공간도 요구되지 않기 때문에, 그 결과 베어링 위치 자체가 자유로이 선택되는 방식으로 용이하게 배열가능하고, 추가 구조 요소, 예컨데 가속 페달용 복귀 스프링이 베어링 위치 사이에 배열되는 것이 용이해진다.
페달 바아는 직접 또는 연결봉을 거쳐서 페달 샤프트 상에 측방향으로 용접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페달 바아와 페달 샤프트가 일체(one piece)로 설계되며, 단면이 원형인 페달 바아는 페달 샤프트를 형성하기 위하여, 페달 바아의 단부에서 본질적으로 직각을 이룬다. 페달 바아와 페달 샤프트로 이루어진 이러한 유닛은, 아주 직접적이고 비용면에서 효율적인 방식으로 다수개 제조될 수 있다. 페달 바아의 원형 단면은 페달 샤프트가 베어링 요소에 직접 설치되는 것을 가능케 한다. 페달 바아와 페달 샤프트로 이루어진 유닛이 비-원형 단면이라면, 본질적으로 환상 외부 표면을 갖는 추가 요소들이 베어링 위치의 영역에서 페달 샤프트 상에 부착되어야 한다. 페달 바아와 페달 샤프트 사이의 전이구역에 U-형상의 각진 부분이 제공될 수 있으며, 그 결과 페달 바아의 가상 연장선은 대략 페달 샤프트의 중앙에 놓여지게 된다. 이를 통해 페달 바아는 공지의 가속 페달의 경우와 유사한 방식으로 페달 샤프트에 관하여 위치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차량 페달을 설치하기 위한 가속-페달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가속-페달 모듈의 경우에 있어서, 본 발명은 베이스 판상에 배열되어 베어링 블록에 고정된 베어링을 갖도록 페달 샤프트의 2개의 베어링 위치를 제공한다.
베이스 판상에서 베어링 블록 내에 베어링을 이와 같이 배열하는 것은, 예를 들어 판상금속으로부터 비용-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전체 모듈의 제조비를 특히 낮출 수 있다. 이 경우에, 하나 이상의 베어링 블록이 베이스 판과 하나의 유닛을 이루도록 설계될 수 있으며, 및/또는 하나 이상의 베어링 블록이 베이스 판상에 용접될 수 있다. 특히, 설치시 비용이 많이 드는 베어링 하우징과 비교할 때, 이러한 베어링 블록을 갖는 베이스 판을 사용함으로써 상당한 비용절감을 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페달 샤프트용 베어링으로서 베어링 블록에 개구를 도입하는 플랜지 부싱이 사용된다. 통상적으로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곧바른 플랜지 부싱이면 충분하지만, 또한 만족되어야 할 요구조건들이 더 높을 때에는 비철금속으로 만들어진 플랜지 베어링 또는 롤링-접점 베어링이 고려될 수 있다.
페달 샤프트를 베어링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고정시키는 것은 통상적으로 잠금 와셔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데, 적절한 것으로 판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한편으로는 부싱의 플랜지상에, 다른 한편으로는 제 2 잠금 와셔상에 축방향으로 지지되는 잠금 와셔가 외부 플랜지 부싱과 페달 샤프트의 자유단 사이의 페달 샤프트상에 축방향으로 고정되며, 상기 제 2 잠금 와셔는 관련 베어링 블록상에 또는 베이스 판상에 고정된다. 이러한 배열에서, 페달 샤프트를 양 방향에서 축방향으로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단일 잠금 와셔를 설치하면 충분하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페달 샤프트의 자유단은, 예를 들면 페달 샤프트의 자유단에 슬롯이 파이는 것과 같이, 축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는 방식으로 회전각 센서에 결합되며, 센서의 집게 요소가 상기 슬롯에 체결된다.
공지된 센서의 커플링과 비교하여, 센서의 가동부, 예를 들면 전위차계의 슬라이더가 고정적으로 페달 샤프트에 할당된 경우에, 상기의 실시예는 직접 설치될 수 있을 뿐 아니라, 결함이 있는 센서를 신속하고 최대한 비용효과적으로 교환가능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필요한 것은 단지 센서의 체결 요소와 센서의 전기적 연결이 해제되는 것 뿐이다.
전기 가속 페달의 경우에, 초기 형태의 케이블-제어 시스템과 유사하게, 가속 페달이 힘-히스테리시스(force-hysteresis)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속 페달의 경우, 이러한 히스테리시스는, 플라스틱 슬리브가 베이스 판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방식으로, 페달 샤프트의 베어링 위치 사이에 배열되며, 또한 페달 샤프트의 원주표면상에 반경 접점 압력을 작용시킨다는 점에서 특히 신속하고 최대 비용효과적인 방식으로 달성될 수 있다. 그 결과 발생하는 마찰 모멘트는 원하는 방식으로 페달의 유지력을 감소시키며, 주행시 안락함이 향상된다. 페달 샤프트가 베어링 안으로 삽입되기 때문에 플라스틱 슬리브는 설치비를 많이 들이지 않고 설치될 수 있다. 페달 바아는 두 베어링 위치 사이에서 어떠한 설치공간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베어링 위치 사이의 모든 축방향 설치공간을 플라스틱 슬리브가 차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슬리브는 반경 접점 압력을 적용시키거나 또는 증가시키는 접점-압력 스프링을 구비한다.
접점-압력 스프링은, 비교적 긴 작동 시간을 거칠지라도, 히스테리시스를 일으키기 위해 여전히 충분한 접점 압력이 존재하도록 한다. 또한 원칙적으로는 접점 압력이 슬리브의 내부 보어의 적합한 끼워맞춤에 의해 얻어질 수 있지만, 이는 작동 동안 마찰 모멘트의 변화를 초래하고, 이에 상응하여 힘 히스테리시스가 영향을 받는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플라스틱 슬리브는 축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슬롯을 가진다.
이 슬롯은 페달 샤프트상에서 플라스틱 슬리브의 접점 압력 때문에 발생하는 마모를 줄일 수 있고, 마찰 모멘트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체의 길이에 걸쳐서 뻗어 있는 축방향 슬롯을 구비한 슬롯이 형성된 플라스틱 슬리브는 접점-압력 스프링과 결합하여, 반경방향 접점 압력이 더 정확하게 적용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플라스틱 슬리브, 플라스틱 슬리브의 슬리브-유사형 접점-압력 스프링 및 비틀림을 받는 헬리컬 스프링으로 설계된 2개의 복귀 스프링이 페달 샤프트의 둘레에 동심적으로 배열된다. 이는 가속페달의 모든 본질적인 기능 요소들을 극히 공간절약형 방식으로 배열가능하도록 만들며, 또한 가속페달은 베이스 판, 베어링 부싱, 플라스틱 슬리브 및 복귀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예비 조립 유닛 안으로 페달 샤프트를 끼워 넣는 동작에 의해 계속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복귀 스프링이 파손되는 경우를 대비하여, 대기 상태에서 충분한 비상 작동 성능을 유지하는 여분 시스템(redundant system)을 얻기 위한 제 2 복귀 스프링이 필요하다.
아이들링 스톱(idling stop)으로서 페달 바아의 피봇 통로(pivot path)안으로 돌출하는 앵글은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판상에 배열된다. 이러한 앵글은 베이스 판상에 용이하게 리벳 결합되거나, 또는 용접될 수 있으며, 원하는 위치에서 페달 이동을 차단하기 위하여 개개의 차량 조건들에 따라서 형성될 수 있다.
필요하다면, 스프링 클립이 베이스 판상에 용이하게 배열될 수 있으며, 스프링 클립의 레그들이 확장되어 킥다운 위치에서 그들 사이에 페달 바아를 수용한다. 스프링 클립의 레그를 확장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힘은 가속페달이 증가된 압력을 받을 것을 요구하며, 이 증가된 압력은 운전자에게 킥다운 위치가 도달되었다고 신호를 보낸다.
도 1은 본질적으로 베이스 판(12)과, 베이스 판상에 설치된 가속-페달 레버(14)로 이루어진 가속-페달 모듈(10)을 도시한다. 가속-페달 레버(14)는 원형강 바아로부터 하나의 유닛으로 형성되며, 가속-페달 레버는 일단에 페달 바아(16)를, 타단에 페달 샤프트(18)를 형성하고, 바아 영역(16) 및 샤프트 영역(18)은 본질적으로 U-형상의 각진 부분(20)을 통해서 서로 연결된다. 각진 부분(20)은 페달 바아(16)의 가상적인 연장부가 대략 페달 샤프트(18)의 중앙 구역에 놓이도록 설계된다. 페달 플레이트(22)는 페달 바아(16)의 자유단에 용접되며 운전자의 발의 동작을 받는 표면을 형성한다.
3 개의 결합 홀(24)의 도움을 받아, 차량에 결합된 베이스 판(12)은 페달 샤프트(18)를 설치할 목적으로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제 1 칼러 베어링(28)이 안내되는, 일체형 제 1 베어링 블록(26)을 구비한 딥 드로잉된(deep-drawn) 강판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 2 베어링 블록(30)은 베이스 판(12)상에 용접되며, 상기 제 2 베어링 블록은 페달 샤프트(18)를 설치할 목적으로 그 안으로 안내된 제 2 칼러 베어링(32)을 구비한다. 페달 샤프트(18)에는 그 자유단과 제 2 칼러 베어링(32) 사이에 잠금 와셔(36)가 수용될 수 있는 환상 그루우브(34)가 제공된다. 잠금 와셔(36)는 한쪽 측면이 제 2 칼러 베어링(32)의 칼러상에 지지되며, 다른 한쪽 측면이 하우징상에 고정된 잠금 와셔(38)상에 지지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단일 샤프트가 설치된 잠금 와셔를 설치함으로써 양방향으로 축방향을 따라서 페달 샤프트(18)가 고정된다.
플라스틱 슬리브(40)는 2개의 베어링 블록(26, 30) 사이에 축방향으로 고정되고, 페달 샤프트가 2개의 칼러 베어링(28, 32) 안으로 끼워짐에 따라서 그것이 설치되었을 때 플라스틱 슬리브안으로 밀리는 페달 샤프트(18)를 구비한다. 플라스틱 슬리브(40)는 페달 샤프트(18)용 마찰 파트너로서 역할을 하며, 반경 접점 압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플라스틱 슬리브의 외부표면의 환상 함몰부(42)에 동축으로 놓여있는 접점-압력 스프링(44)의 형상을 갖는 접점-압력 스프링(44)을 구비하며, 스프링-강 슬리브의 형상을 갖는다. 페달 샤프트(18)가 칼러 베어링들(28, 32)에 설치될 때 설치비를 증가시키지 않고 설치될 수 있는 플라스틱 슬리브(40)는 가속-페달 레버(14)의 피봇팅동안에 마찰 모멘트를 생성하여 작동력에 요구되는 히스테리시스를 초래한다.
더 큰 직경의 제 1 헬리컬 스프링(46)과 더 작은 직경의 제 2 헬리컬 스프링(48)이 플라스틱 슬리브(40)의 둘레에 동축으로 배열되어 있다. 비틀림 하중을 받는 2개의 헬리컬 스프링은 예비응력이 주어진 상태에서, 일 측면은 베이스 판(12)의 가이드(도시되지 않음)에 고정되고, 타 측면은 레그(50)를 거쳐 가속-페달 레버(14)상에 설치된다. 2개의 헬리컬 스프링(46, 48)은 가속-페달 레버(14)를 아이들링 위치 방향으로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 스프링으로서 역할을 한다. 스프링들이 이중 배열로 배열됨으로써 2개의 스프링 중 하나가 파손된다하더라도 비상 작동 성능을 갖는 여분 시스템이 보장된다. 2개의 헬리컬 스프링(46, 48)은 또한 페달 샤프트(18)가 칼러 베어링(28, 32)들 안으로 밀리기 전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
페달 샤프트(18)의 자유단은 센서(52)의 가동부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연결관계에 있으며, 센서는 고착 나사(54)에 의해 베이스 판(12)상에 설치된다. 이를 위해, 페달 샤프트(18)의 회전축과 교차하는 슬롯(56)이 자유 축 단에 제공되며, 슬롯은 예를 들면, 전위차계의 슬라이더에 연결되는 대응 집게 요소(57)와 맞물린다. 슬롯(56)을 통한, 선택된 형상-맞춤 맞물림은 샤프트상에 고착 요소들을 해제할 필요 없이 고착 나사들(54)을 해제시켜 신속한 방식으로 센서(52)를 교체하는 것을 가능케 한다. 센서(52)는 차량 엔진을 조정하는 조정 장치(도시되지 않음)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센서는 페달 위치에 대응하는 전기신호를 조정 장치에 보낸다. 슬롯(56) 이외에, 페달 샤프트(18)와 센서(52)의 가동부 사이에는, 또 다른 회전가능한 고정 연결 요소, 예를 들면 사각 스터드, 또는 사각 소켓, 톱니 배열체 등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판상-금속 앵글(58)이 베이스 판(12)상에 제공되며, 판상-금속 앵글의 자유 앵글 레그(60)는 페달 바아(16)의 피봇 통로로 돌출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레그(60)는 가속-페달 레버(14)용 아이들링 스톱을 형성하며, 가속-페달 레버(14)는 헬리컬 스프링들(46, 48)의 복귀력하에서 레그(60)에 기대도록 위치된다(도4 참고). 아이들링 위치는 대응하게 형성된 판상-금속 앵글에 의해 개개의 차량 타입에 용이하게 적용된다.
또한, 스프링 클립(62)이 베이스 판(12)상에 고정되며, 스프링 클립의 레그들은 가속 페달의 전부하 위치에서 탄성 맞댐 상태로 페달 바아(16)를 둘러싼다(도 2 및 도 3 참고). 이는, 가속 페달의 전부하 위치를 달성하기 위해, 예를 들면, 자동 변속기를 갖는 차량에 있어서 킥다운 위치에서와 같이, 증가된 페달 압력이 요구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래서 킥다운 스위치는 스프링 클립(62)에 의해 용이하게 시뮬레이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스프링 클립(62)은 페달 바아(16)의 피봇 평면에 놓여있기 때문에, 판상-금속 앵글(58)과 스프링 클립(62)은 단일 리벳(64)에 의해 베이스 판(12)상에서 함께 고정될 수 있다. 킥다운 위치가 없는 가속-페달 모듈의 경우에, 판상-금속 앵글(58)은 또한 베이스 판(12)상에 용접될 수 있다.
예시된 전형적인 실시예에서의 각진 페달 레버(14) 대신에, 페달 바아(16)가 연결 레버를 통해 페달 샤프트(18)상에 측방향으로 용접되는 변형 실시예들을 갖추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이 때에는 페달 레버(14)가 더 이상 베이스 판(12)을 넘어서는 정도까지 돌출되지 않기 때문에, 가속-페달 모듈의 설치 공간을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가속-페달 레버(14) 자체를 제조하는 데는 추가적인 설치단계들이 요구된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하기 용이하고 베어링 위치에 바로 설치할 수 있는 차량 페달이 제공된다.

Claims (17)

  1. 페달 바아(16) 및 페달 샤프트(18)를 구비한 차량 페달로서, 상기 페달 샤프트는 상기 페달 바아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방식으로 연결되며, 상기 페달 샤프트 상에 두개의 베어링 위치(28, 32)가 제공되는 차량 페달에 있어서, 상기 페달 바아(16, 20)는 상기 2개의 베어링 위치(28, 32)의 측면에서 상기 페달 샤프트(18)상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페달 바아(16)와 상기 페달 샤프트(18)는 하나의 유닛으로 설계되며, 상기 페달 바아(16)는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페달 바아의 단부가 직각으로 각이 짐으로써 상기 페달 샤프트(18)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페달.
  2. 삭제
  3. 제 1 항에 따른 차량 페달을 구비한 가속-페달 모듈로서,
    상기 페달 샤프트(18)의 상기 2개의 베어링 위치는 베이스 판(12)상에 배열된 베어링 블록(26, 30)에 고정된 베어링(28, 3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페달 모듈.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판(12)은 판상금속으로 형성되며, 상기 베어링 블록 중 하나 이상의 베어링 블록(26)은 상기 베이스 판(12)과 하나의 유닛으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페달 모듈.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블록 중 하나 이상의 베어링 블록(30)은 상기 베이스 판(12)상에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페달 모듈.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블록(26, 30)의 개구부에는 상기 페달 샤프트(18)용 베어링으로서 플랜지 부싱(28, 32)이 도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페달 모듈.
  7. 제 6 항에 있어서,
    일 측면에서 상기 플랜지 부싱 중 외부 플랜지 부싱(32)의 플랜지상에 지지되고, 타 측면에서 제 2 잠금 와셔(38)상에 축방향으로 지지되는 잠금 와셔(36)가 제공되고, 상기 잠금 와셔(36)는 상기 외부 플랜지 부싱(32)과 상기 페달 샤프트의 자유단 사이에서 상기 페달 샤프트(18)상에 축방향으로 고정되며, 상기 제 2 잠금 와셔는 관련된 상기 베어링 블록(30) 또는 상기 베이스 판(12)상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페달 모듈.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페달 샤프트(18)의 자유단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방식으로 회전각 센서(52)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페달 모듈.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페달 샤프트(18)의 자유단에는 슬롯(56)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각 센서(52)의 집게 요소(57)가 상기 슬롯(56)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페달 모듈.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페달 샤프트(18)의 상기 베어링 위치(28, 32) 사이에는 상기 베이스 판(12)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방식으로 플라스틱 슬리브(40)가 배열되고, 상기 플라스틱 슬리브(40)는 상기 페달 샤프트(18)의 환상 표면상에서 반경 접점 압력을 일으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페달 모듈.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슬리브(40)는 상기 반경 접점 압력을 작용시키거나 또는 증가시키는 접점-압력 스프링(4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페달 모듈.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슬리브(40)는 축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슬롯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페달 모듈.
  13.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판(12)과 상기페달 바아(16) 사이에는 예비 응력을 받는 하나 이상의 복귀 스프링(46, 48)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페달 모듈.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슬리브(40), 상기 플라스틱 슬리브의 슬리브 유사형 접점-압력 스프링(44) 및, 비틀림을 받는 헬리컬 스프링들(46, 48)로서 설계되는 2개의 복귀 스프링들이 상기 페달 샤프트(18) 둘레에 동심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페달 모듈.
  1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판(12)상에는 상기 페달 바아(16)의 피봇 통로로 돌출하는 앵글(58, 60)이 아이들링 스톱으로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페달 모듈.
  1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판(12)상에는 스프링 클립(62)이 배열되고, 상기 스프링 클립의 레그들이 확장되어 상기 스프링 클립 사이의 킥다운 위치에 상기 페달 바아(16)를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페달 모듈.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앵글(58)과 상기 스프링 클립(62)은 리벳(64)에 의해 상기 베이스 판(12)상에 함께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페달 모듈.
KR1019990058554A 1998-12-18 1999-12-17 차량 페달 KR1007241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858698A DE19858698A1 (de) 1998-12-18 1998-12-18 Fahrzeugpedal
DE19858698.1 1998-12-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8209A KR20000048209A (ko) 2000-07-25
KR100724178B1 true KR100724178B1 (ko) 2007-05-31

Family

ID=7891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8554A KR100724178B1 (ko) 1998-12-18 1999-12-17 차량 페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305240B1 (ko)
EP (1) EP1010595B1 (ko)
JP (1) JP2000177426A (ko)
KR (1) KR100724178B1 (ko)
DE (2) DE1985869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3430B1 (ko) * 2007-11-30 2009-04-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엑셀 페달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26619B1 (en) 1998-12-09 2002-07-30 Cts Corporation Pedal with integrated position sensor
EP1098237B1 (en) * 1999-11-04 2005-01-19 CTS Corporation Electronic accelerator pedal having a kickdown feature
JP2002048232A (ja) * 2000-08-02 2002-02-15 Jatco Transtechnology Ltd 無段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CN1682173B (zh) * 2002-07-17 2011-08-17 Ksr技术公司 带有滞后器件的、电子控制的踏板组件
US7017443B2 (en) * 2003-01-30 2006-03-28 Drivesol Worldwide, Inc. Kickdown for pedal assembly
US6955103B2 (en) * 2003-01-30 2005-10-18 Teleflex Incorporated Kickdown member for pedal assembly
US20050097980A1 (en) * 2003-11-07 2005-05-12 Brad Menzies Kickdown mechanism
JP4164057B2 (ja) * 2004-09-24 2008-10-08 ジヤトコ株式会社 ベルト式無段変速機
KR100718541B1 (ko) * 2005-12-13 2007-05-15 주식회사 동희산업 기계 오르간식 가속페달 장치
DE102006051526B4 (de) * 2006-10-27 2016-10-13 Methode Electronics Malta Ltd. Betätigungseinrichtung für einen Positionssensor für die Position eines Pedals eines Kraftfahrzeuges
ITTO20070149U1 (it) * 2007-12-05 2009-06-06 Sistemi Comandi Meccanici S C Dispositivo di variazione della resistenza all'affondamento per il pedale acceleratore di un autoveicolo.
JP5092764B2 (ja) * 2008-01-21 2012-12-05 株式会社デンソー アクセルペダル装置
KR20110117237A (ko) * 2009-02-18 2011-10-26 시티에스 코포레이션 차량용 가속기 폐달
JP4998839B2 (ja) * 2010-06-07 2012-08-15 株式会社デンソー ペダル装置
KR101300043B1 (ko) * 2011-06-13 2013-08-29 주식회사 트루윈 전자식 가속페달의 히스테리시스 모듈
CN106274475B (zh) 2011-10-07 2018-12-14 Cts公司 具有迟滞总成的车辆踏板总成
DE102018210481A1 (de) 2018-06-27 2020-01-02 Zf Friedrichshafen Ag Pedaleinrichtung mit einer Fußauflag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56740A (en) * 1979-03-08 1982-11-02 Nissan Motor Company, Limited Tiltable pedal apparatus
JPH04356740A (ja) * 1991-06-03 1992-12-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トラッキング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30710A (en) * 1930-12-01 1933-10-17 Bendix Brake Co Operating mechanism
US4194720A (en) * 1977-06-27 1980-03-25 Towmotor Corporation Transmission control
US4528590A (en) * 1983-11-09 1985-07-09 Allied Corporation Electronic treadle
US4958607A (en) * 1989-04-18 1990-09-25 Williams Controls, Inc. Foot pedal arrangement for electronic throttle control of truck engines
JP2767921B2 (ja) * 1989-09-07 1998-06-2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アクセルペダル構造
US4944269A (en) * 1989-09-18 1990-07-31 Siemens-Bendix Automotive Electronics L.P. Accelerating pedal for electronic throttle actuation system
US5233882A (en) * 1990-07-12 1993-08-10 General Motors Corporation Remote control lever module
US5133225A (en) * 1991-01-15 1992-07-28 Williams Controls, Inc. Electronic foot pedal having improved biasing arrangement
US5529296A (en) * 1992-11-05 1996-06-25 Nippondenso Co., Ltd. Pedal return device having improved hysteresis characteristics
DE19631212C1 (de) * 1996-08-02 1997-12-18 Daimler Benz Ag Fahrpedaleinhei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56740A (en) * 1979-03-08 1982-11-02 Nissan Motor Company, Limited Tiltable pedal apparatus
JPH04356740A (ja) * 1991-06-03 1992-12-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トラッキング制御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3430B1 (ko) * 2007-11-30 2009-04-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엑셀 페달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10595A3 (de) 2002-05-08
EP1010595B1 (de) 2006-04-05
JP2000177426A (ja) 2000-06-27
DE59913302D1 (de) 2006-05-18
EP1010595A2 (de) 2000-06-21
KR20000048209A (ko) 2000-07-25
US6305240B1 (en) 2001-10-23
DE19858698A1 (de) 2000-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4178B1 (ko) 차량 페달
CA2164427C (en) Foot pedal devices for controlling engines
US6474191B1 (en) Electronic accelerator pedal having a kickdown feature
US4958607A (en) Foot pedal arrangement for electronic throttle control of truck engines
KR19990007335A (ko) 미리 조립된 복합 고정 장치 및 그 조립 방법
US6167778B1 (en) Gas pedal for a motor vehicle
CN108349520A (zh) 用于机动车辆的转向柱和用于制造转向柱的方法
US6470768B2 (en) Accelerator with attachment of pedal arm
US5865067A (en) Pedal mounting structure and method of installing a pedal in an automotive vehicle
JPS63284032A (ja) 変速セレクタレバー組立体
KR100499536B1 (ko) 차량의클러치또는브레이크용조작장치
KR0120837Y1 (ko) 자동차용 토션바가 장착되는 콘트롤 암의 체결구조
WO2023068337A1 (ja) 反力付与装置
WO2024070629A1 (ja) アクセル装置
KR100361298B1 (ko) 자동차용 액셀케이블의 장력조절장치
KR100218790B1 (ko) 자동차의 클러치 릴리스 포크의 힌지 결합 구조
KR200156039Y1 (ko) 차량의 자동변속기 케이블 연결용 조립체
JPH11343882A (ja) アクセルペダル装置
KR100195496B1 (ko) 자동차용 캠샤프트와 캠기어의 조립장치
JP2544708Y2 (ja) シャシダイナモメータ上の自動車運転用ロボット
CN118119521A (zh) 反作用力赋予装置
KR200187366Y1 (ko) 자동차용 클러치 페달
CN113175485A (zh) 具有分段铰接装置的杠杆执行器
KR100199737B1 (ko) 액셀레이터페달 설치장치
KR100551084B1 (ko) 클러치 릴리즈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