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3430B1 - 차량용 엑셀 페달 조립체 - Google Patents

차량용 엑셀 페달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3430B1
KR100893430B1 KR1020070123542A KR20070123542A KR100893430B1 KR 100893430 B1 KR100893430 B1 KR 100893430B1 KR 1020070123542 A KR1020070123542 A KR 1020070123542A KR 20070123542 A KR20070123542 A KR 20070123542A KR 100893430 B1 KR100893430 B1 KR 1008934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al
torsion spring
vehicle
accelerator pedal
bu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3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익상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23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34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34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34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2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Auxiliary Drives, Propulsion Controls, And Safet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에 구비된 엑셀 페달 조립체의 페달 암 작동에 따라 발생 되었던 작동 노이즈 및 내구성 문제를 개선하여 상기한 페달 암 작동에 따른 노이즈 발생이 최소화 되도록 운전자의 발에 의해 푸쉬(Push) 되는 엑셀 페달이 구비되고, 상기한 엑셀 페달과 연결 설치되어 상측 단부가 지지 브라켓상에 구비된 토션 스프링에 삽입 설치된 힌지핀을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페달 암; 및 상기 토션 스프링의 내측에 설치되며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 부쉬 몸체, 상기한 부쉬 몸체의 외측에 설치되며 운전자에 의해 엑셀 페달이 푸쉬될 때 노이즈 발생 저감과 함께 진동 발생이 최소화 되도록 토션 스프링의 내측면 일부분과 면접촉이 이루어지는 댐핑부가 형성된 부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용 엑셀 페달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엑셀 페달, 페달 암, 노이즈, 토션 스프링

Description

차량용 엑셀 페달 조립체{Accel pedal assembly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에 구비된 엑셀 페달 조립체에 설치되는 부쉬부에 댐핑부를 추가로 형성하여 엑셀 페달 작동에 따른 노이즈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차량용 엑셀 페달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구비된 엑셀 페달 조립체는 엔진의 회전속도를 조정하기 위해서 스로틀밸브를 조정하는 엑셀페달 및 엑셀페달과 연결 설치된 구성 부품을 을 말한다.
상기한 엑셀 페달 조립체는 운전자의 발에 의해 푸쉬(Push) 가압 되는 엑셀 페달이 구비된 페달 암과, 상기한 페달 암의 상측 단부에는 힌지핀의 외측에 원통 형상의 부쉬가 설치되고, 상기한 부쉬는 토션 스프링의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한 페달 암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한 엑셀 페달 조립체에 설치된 부쉬는 운전자에 의해 엑셀 페달이 푸쉬됨과 동시에 페달 암이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토션 스프링이 직경 방향으로 축소되면서 부쉬면 전체 영역에 걸쳐서 면접촉이 발생 된다.
이와 같이 운전자에 의해 엑셀 페달이 작동될 때마다 상기한 부쉬와 토션 스 프링간에 면접촉 및 마찰에 의한 노이즈가 빈번하게 발생되어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 또는 탑승객에게 불필요한 소음을 발생하는 요인으로 지적되었다.
상기한 부쉬와 토션 스프링간의 접촉 소음은 차량의 상품성을 저하시키고, 정숙한 차 실내 환경을 요구하는 소비자의 요구에 부흥하지 못하여 이에 대한 불만을 야기시켜 이에 대한 시급한 대책을 필요로 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엑셀 페달 작동에 따른 부쉬부의 노이즈 발생 저감 및 상기한 부쉬부의 강성 증대가 가능한 차량용 엑셀 페달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엑셀 페달 조립체는 운전자의 발에 의해 푸쉬(Push) 되도록 엑셀 페달이 구비되고, 상기한 엑셀 페달과 연결 설치되어 상측 단부가 지지 브라켓상에 구비된 토션 스프링에 삽입 설치된 힌지핀을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페달 암; 및
상기 토션 스프링의 내측에 설치되며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 부쉬 몸체, 상기한 부쉬 몸체의 외측에 설치되며 운전자에 의해 엑셀 페달이 푸쉬될 때 노이즈 발생 저감과 함께 진동 발생이 최소화 되도록 토션 스프링의 내측면 일부분과 면접촉이 이루어지는 댐핑부가 형성된 부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부쉬부의 댐핑부는 부쉬 몸체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길이 방향 상에 U자 형태로 양단부가 각각 이격된 날개편이 구비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날개편의 두께는 양단부로 갈수록 감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댐핑부는 부쉬 몸체의 외측에 동일 간격으로 각각 이격되어 위치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날개편의 양단부 사이에는 홈부가 형성되어 운전자에 의해 엑셀 페달이 푸쉬될 때 토션 스프링의 내측면과 면접촉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엑셀 페달 조립체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엑셀 페달 조립체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엑셀 페달 조립체의 댐핑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엑셀 페달 조립체의 작동 상태도이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운전자의 발에 의해 푸쉬(Push) 되도록 엑셀 페달(110)이 구비되고, 상기한 엑셀 페달(110)과 연결 설치되어 상측 단부가 지지 브라켓(10)상에 구비된 토션 스프링(200)에 삽입 설치된 힌지핀(20)을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페달 암(120); 및
상기 토션 스프링(200)의 내측에 설치되며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 부쉬 몸체(302)와, 상기한 부쉬 몸체(302)의 외측에 설치되며 운전자에 의해 엑셀 페달(110)이 푸쉬될 때 노이즈 발생 저감과 함께 진동 발생이 최소화 되도록 토션 스프링(200)의 내측면 일부분과 면접촉이 이루어지는 댐핑부(310)가 형성된 부쉬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부쉬부(300)의 댐핑부(310)는 부쉬 몸체(302)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길이 방향 상에 U자 형태로 양단부가 각각 이격된 날개편(312)이 구비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날개편(312)의 두께는 양단부로 갈수록 감소 되는 것을 특징 으로 한다.
왜냐하면, 상기한 날개편(312)의 두께가 일정한 두께를 유지할 때보다 양단부로 감소되게 이루어지는 것이 탄성 발생 측면에서 유리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의한 댐핑부(310)는 부쉬 몸체(302)의 외측에 동일 간격으로 각각 이격되어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왜냐하면, 토션 스프링(200)이 직경 방향으로 탄성 변형이 이루어지면서 상기한 댐핑부(310)와 면접촉 할 때 상기한 토션 스프링(200)과 댐핑부(310) 간에 균일한 탄성력이 유지되기 위해서이다.
본 발명에 의한 날개편(312)의 양단부 사이에는 홈부(320)가 형성되어 운전자에 의해 엑셀 페달(110)이 푸쉬될 때 토션 스프링(200)의 내측면과 면접촉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엑셀 페달 조립체의 작동 상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엑셀 페달 조립체(100)는 운전자에 의해 엑셀 페달(110)이 푸쉬 되기 이전에는 토션 스프링(200)의 내측에 위치한 부쉬부(300)의 댐핑부(310)가 토션 스프링(200)의 내측면과 면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운전자에 의해 엑셀 페달(110)이 푸쉬 되면서 페달 암(120)은 푸쉬되는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한 페달 암(120)에 설치된 토션 스프링(200)에 권취 형성된 스프링의 직경이 감소되면서 부쉬부(300)의 댐핑부(310)를 가압하기 시작한다.
상기한 댐핑부(310)에는 토션 스프링(200)의 직경 감소에 따라 날개편(312)이 토션 스프링(200)의 내측면과 면접촉이 되면서 토션 스프링(200)의 중심 방향으로 밴딩(Bending)이 이루어지면서 페달 암(120)의 이동 변위에 따라 탄성 변형된다.
상기한 날개편(312)은 두께가 균일하게 형성되지 않고 양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감소되도록 이루어져 있어서 토션 스프링(200)과 면 접촉에 의해 가해지는 가압력을 전달받아 원활한 댐핑(Damping)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댐핑부(310)는 부쉬 몸체(302)의 원주 방향 상에 동일 간격으로 이격되어 위치하고 있어서 토션 스프링(200)이 직경 중심 방향으로 축소가 발생될 때 상기한 토션 스프링(200)의 내측면과 댐핑부(310)는 균일 지점 반력으로 지지되고, 날개편(312)이 U자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토션 스프링(200)의 내측면 전체에서 면 접촉이 발생되지 않고 상기한 날개편(312)이 위치한 부위에서만 면접촉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최소의 접촉면적을 유지하면서 상기한 날개편(312)이 탄성 변형되어 페달 암(120)의 작동에 따른 노이즈 발생을 억제하게 된다.
또한, 날개편(312)에 형성된 홈부(320)는 토션 스프링(200)의 내측면과 면접촉이 이루어지지 않아 접촉 노이즈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엑셀 페달 조립체는 엑셀 페달 작동에 따른 노이즈를 감소시켜 차 실내로 불필요한 소음발생을 방지하여 차량의 상품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부쉬부의 내마모성이 향상되어 고장 발생에 따른 수리비가 발생되지 않아 불필요한 비용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엑셀 페달 조립체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엑셀 페달 조립체의 댐핑부를 도시한 도면.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엑셀 페달 조립체의 작동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힌지핀 110 : 엑셀 페달
120 : 페달 암 200 : 토션 스프링
300 : 부쉬부 310 : 댐핑부
312 : 날개편 320 : 홈부

Claims (5)

  1. 운전자의 발에 의해 푸쉬(Push) 되도록 엑셀 페달이 구비되고, 상기한 엑셀 페달과 연결 설치되어 상측 단부가 지지 브라켓상에 구비된 토션 스프링에 삽입 설치된 힌지핀을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페달 암; 및
    상기 토션 스프링의 내측에 설치되며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 부쉬 몸체, 상기한 부쉬 몸체의 외측에 설치되며 운전자에 의해 엑셀 페달이 푸쉬될 때 노이즈 발생 저감과 함께 진동 발생이 최소화 되도록 토션 스프링의 내측면 일부분과 면접촉이 이루어지는 댐핑부가 형성된 부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부쉬부의 댐핑부는 부쉬 몸체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길이 방향 상에 U자 형태로 양단부가 각각 이격된 날개편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엑셀 페달 조립체.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편의 두께는 양단부로 갈수록 감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엑셀 페달 조립체.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댐핑부는 부쉬 몸체의 외측에 동일 간격으로 각각 이격되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엑셀 페달 조립체.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편의 양단부 사이에는 홈부가 형성되어 운전자에 의해 엑셀 페달이 푸쉬될 때 토션 스프링의 내측면과 면접촉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엑셀 페달 조립체.
KR1020070123542A 2007-11-30 2007-11-30 차량용 엑셀 페달 조립체 KR1008934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3542A KR100893430B1 (ko) 2007-11-30 2007-11-30 차량용 엑셀 페달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3542A KR100893430B1 (ko) 2007-11-30 2007-11-30 차량용 엑셀 페달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3430B1 true KR100893430B1 (ko) 2009-04-17

Family

ID=40757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3542A KR100893430B1 (ko) 2007-11-30 2007-11-30 차량용 엑셀 페달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343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1147B1 (ko) * 2013-04-16 2014-10-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페달답력의 조절장치
KR20160002979A (ko) * 2013-05-21 2016-01-08 도요다 뎃코우 가부시키가이샤 차량용 파킹 브레이크의 조작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8209A (ko) * 1998-12-18 2000-07-25 요한 요트너,헤르베르트 코네감프 차량 페달
JP2006183799A (ja) 2004-12-28 2006-07-13 Kojima Press Co Ltd 回転抵抗装置および回転抵抗装置を備えたペダル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8209A (ko) * 1998-12-18 2000-07-25 요한 요트너,헤르베르트 코네감프 차량 페달
KR100724178B1 (ko) * 1998-12-18 2007-05-31 만네스만 파우데오 아게 차량 페달
JP2006183799A (ja) 2004-12-28 2006-07-13 Kojima Press Co Ltd 回転抵抗装置および回転抵抗装置を備えたペダル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1147B1 (ko) * 2013-04-16 2014-10-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페달답력의 조절장치
KR20160002979A (ko) * 2013-05-21 2016-01-08 도요다 뎃코우 가부시키가이샤 차량용 파킹 브레이크의 조작 장치
KR101717007B1 (ko) * 2013-05-21 2017-03-15 도요다 뎃코우 가부시키가이샤 차량용 파킹 브레이크의 조작 장치
US9944258B2 (en) 2013-05-21 2018-04-17 Toyoda Iron Works Co., Ltd. Device for operating vehicular parking brak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4700B1 (ko) 차량용 전자식 가속페달 장치
KR20140047119A (ko) 배기가스 터보차저의 구동력 전달 장치
JP7404505B2 (ja) オービタル・テンショナ
WO2016013337A1 (ja) 車両用ペダル装置の軸受部構造および鍔付きブッシュ
EP1154345B1 (en) Automobile pedal device
JP2013502344A (ja) 非接触式センサを有するブレーキペダルアッセンブリ
CN109219714A (zh) 连续传动装置及用于连续传动装置的张紧系统
WO2011101723A4 (en) Electronic throttle control pedal assembly with hysteresis
US20170262010A1 (en) Bearing bush and pedal device having the bearing bush
US20010029805A1 (en) Pedal
KR100893430B1 (ko) 차량용 엑셀 페달 조립체
KR20080085371A (ko) 돌출형 디스턴스 부재를 구비한 텔레스코픽 장치
CN111022711A (zh) 排气阀
WO2011067864A1 (ja) 枢動アーム型操作装置
BRPI0508493A (pt) braço guia para a suspensão de rodas de um automóvel
JP4911778B2 (ja) スタビライザの軸受装置
WO2000066385A1 (en) A control pedal assembly
CN103963642B (zh) 产生迟滞的踏板装置
JP5704008B2 (ja) スタビライザーバー取付用ブッシュ
KR20200121423A (ko) 차량 페달장치용 힌지부시
KR101755998B1 (ko) 가속페달 장치의 킥 다운 스위치
CN104827840A (zh) 控制臂衬套、控制臂组件和汽车
CN218198242U (zh) 车辆的制动踏板总成和车辆
JP2004068827A (ja) 緩衝ブッシュ
CN220517986U (zh) 一种踏板装置和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