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1896B1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1896B1
KR100721896B1 KR1020057019962A KR20057019962A KR100721896B1 KR 100721896 B1 KR100721896 B1 KR 100721896B1 KR 1020057019962 A KR1020057019962 A KR 1020057019962A KR 20057019962 A KR20057019962 A KR 20057019962A KR 100721896 B1 KR100721896 B1 KR 1007218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drum
laundry
metal ion
wash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9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3041A (ko
Inventor
히로후미 요시까와
무기헤이 이께미즈
마사히로 니시오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03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30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18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18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2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37/225Damping vibrations by displacing, supplying or ejecting a material, e.g. liquid, into or from counterbalancing pocke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40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centrifugal separation of water from the laundr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48Preventing or reducing imbalance or nois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16Imbalanc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07Arrangements of water soften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6Imbalance; Noise leve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2Changing sequence of operational steps; Carrying out additional operational steps; Modifying operational steps, e.g. by extending duration of ste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6Remaining operation time; Remaining operational cy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세탁기에, 세탁물이 수용되는 드럼(630)과, 금속 이온을 용출하여 물에 첨가하는 이온 용출 유닛과, 수용조의 회전 시의 불균형을 검지하는 검지 수단(701)과, 불균형 수정 수단(702)을 마련한다. 불균형 수정 수단(702)은 이온 용출 유닛으로부터 드럼(630)에 공급되는 금속 이온 첨가수의 공급 후에 실행되는 드럼(630)의 탈수 회전 시에 검지 수단(701)이 드럼(630)의 불균형을 검지한 경우에, 상기 금속 이온 첨가수의 미공급 시에서의 불균형 검지 시와는 다른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상기 불균형을 수정한다. 상기한 다른 처리는 수돗물의 공급이 아닌 상기 급속 이온 첨가수를 드럼(630)에 공급하여 교반을 하는 균형 수정 헹굼이다. 이에 의해, 세탁물에 부여된 금속 이온에 의한 항균 효과를 잃게 되는 일 없이, 탈수 회전 시의 드럼(630)의 불균형 수정을 행할 수 있다.
수조, 드럼, 검지 수단, 불균형 수정 수단, 도어 패킹, 균형추, 배수관, 트랜스

Description

세탁기{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이온 용출 수단으로부터 금속 이온 첨가수를 수용조(드럼 또는 세탁조)에 공급하여, 수용조 내에 수용되는 세탁물에 대하여 항균 처리를 하는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탈수 회전 시의 수용조의 불균형을 수정하는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세탁기로 세탁물을 세탁할 때, 물(특히 헹굼수)에 마무리 물질을 첨가하는 일이 종종 행해진다. 마무리 물질로서 일반적인 것은 유연제나 풀제이다. 이밖에 최근에는 세탁물에 항균성을 갖게 하는 마무리 처리의 필요가 높아지고 있다.
세탁물은 위생상의 관점에서는 태양으로 말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최근에는 여성 취업률의 향상이나 핵가족화의 진행에 의해, 낮에는 집에 아무도 없는 가정이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가정에서는 실내 말림에 의존하지 않을 수가 없다. 또한, 낮에 누군가가 집에 있는 가정에 있어서도 우천 시는 실내에서 말리게 된다.
실내에서 말리는 경우, 태양으로 말리는 것과 비교하여 세탁물에 세균이나 곰팡이가 번식되기 쉬워진다. 장마 시와 같은 고습 시나 저온 시 등, 세탁물의 건조에 시간이 걸리는 경우에는 이 경향은 현저하다. 또한, 번식 상황에 따라서는 세탁물이 이상한 냄새를 발할 때도 있다.
또한, 최근에는 절약 의식이 높아져, 입욕 후의 목욕물을 세탁에 재이용하는 가정이 많아지고 있다. 그런데 밤새 방치한 목욕물은 세균이 증가하고, 이 세균이 세탁물에 부착되어 더욱 번식하여 이상한 냄새의 원인이 된다고 하는 문제도 발생하고 있다.
이로 인해, 일상적으로 실내 말림을 할 수밖에 없는 가정, 혹은 목욕물을 세탁에 재이용하는 가정에서는 세균이나 곰팡이의 번식을 억제하기 위해 세탁물에 항균 처리를 하고자 하는 요청이 강하다.
한편, 최근에는 섬유에 항균 방취 가공이나 제균 가공을 한 의류도 많아지고 있다. 그러나 가정 내의 섬유 제품을 전부 항균 방취 가공이 완료된 것으로 갖추는 것은 곤란하다. 또한, 항균 방취 가공의 효과는 세탁을 거듭함에 따라 떨어져 간다.
그래서 세탁 시마다, 세탁물을 항균 처리하고자 하는 생각이 생겨났다. 예컨대 특허 문헌 1에는 은 이온, 동 이온 등 살균력을 갖는 금속 이온을 발생하는 이온 발생기기를 장비한 상기 세탁기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 문헌 2에는 세정수에 은 이온을 첨가하는 은 이온 첨가 유닛을 구비한 세탁기가 기재되어 있다. 특히, 특허 문헌 2의 세탁기에서는 물에 3 내지 50 ppb(part per billion)의 농도로 은 이온을 첨가하여 세탁물에 항균성을 부여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또, 특허 문헌 1이라 함은 일본국 공개 실용신안 공보「실용신안 공개 평5-74487호 공보(1993년 10월 12일 공개)」를 가리키고 있다. 또한, 특허 문헌 2라 함은 일본국 공개 특허 공보「일본 특허 공개 제2001-276484호 공보(2001년 10월 9일 공개)」를 가리키고 있다.
그런데 상기 한 특허 문헌 1·2의 세탁기는 모두 회전축이 수직 방향이 되도록 세탁조가 배치된, 소위 종형의 세탁기(수직형 세탁)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근년에는 회전축이 수직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도록 드럼이 배치된, 소위 횡형의 세탁기(드럼 세탁)도 개발되어 있다.
여기서, 종형의 세탁기에서는 세탁조의 회전축이 수직 방향을 따라서 있으므로, 세탁물에 작용하는 중력은 회전축에 평행한 방향이 된다. 이 경우, 세탁조 내에서의 치우침이 일어나기 어려워 세탁물의 무게 중심이 회전축 상이 되기 쉽다. 따라서 불균형도 발생하기 어렵다. 또, 불균형이라 함은 세탁물이 세탁조 내에서 치우쳐 배치됨으로써, 탈수 작동 시에 자주 회전 균형이 잡히지 않고, 또한 계속되는 탈수 공정에서 세탁조나 세탁기 본체가 크게 진동하는 현상을 말한다. 또한, 종형의 세탁기에서는 세탁조의 무게 중심이 수직 방향인 회전축 상에 있으며, 그 회전축은 모터의 바로 위에 있다. 그로 인해, 세탁조의 하중을 모터부에서 지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대하여, 횡형의 세탁기에서는 회전축이 수직 방향에 없으므로 세탁물에 작용하는 중력이 회전축의 방향과는 다르다. 즉, 드럼의 정지 시에는 세탁물이 드럼의 하부에 모이지만, 그 상태에서는 세탁물의 무게 중심은 회전축 상에는 없다. 드럼이 회전하여, 세탁물에 원심력이 가동하면 세탁물은 드럼의 주위 방향으로 압박되지만, 그것이 균일해지지 않으면 불균형이 된다. 따라서 회전축이 수직 방향 이 아닌 횡형의 세탁기에서는 그 구조상 불균형발생 빈도가 매우 높다.
그래서 이러한 불균형을 수정하는 것이 필요해지지만, 이 수정 방법으로서는 드럼 내에 물을 넣어 교반하여, 세탁물의 배치를 약간 바꾸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드럼 내에 물을 넣는 것만으로는 탈수 공정의 전 공정에서 세탁물에 부착시킨 금속을 잃게 되므로, 모처럼 행한 항균 처리의 효과를 유지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생긴다. 이러한 문제는 종형의 세탁기에 있어서 불균형이 발생한 경우라도 마찬가지로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세탁물에 부여된 금속 이온에 의한 항균 효과를 잃게 하는 일 없이, 탈수 회전 시의 수용조의 불균형 수정을 할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세탁기에서는 이온 용출 수단으로부터 수용조에 공급되는 금속 이온 첨가수의 공급 후에 실행되는 상기 수용조의 탈수 회전 시에, 검지 수단이 상기 수용조의 불균형을 검지한 경우에 불균형 수정 수단이 상기 금속 이온 첨가수의 미공급 시에서의 불균형 검지 시와는 다른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상기 불균형을 수정한다.
여기서, 금속 이온 첨가수의 미공급 시에서의 불균형 수정으로서는, 예컨대 수용조에 물(예컨대 수돗물)을 공급하여 세탁물을 교반하는 처리를 들 수 있다. 따라서 이와는 다른 처리로서는 이온 용출 수단에 의해 얻을 수 있는 금속 이온 첨가수를 수용조에 공급하여 교반을 하는 균형 수정 헹굼을 생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금속 이온 첨가수의 공급 후에 실행되는 상기 수용조의 탈수 회전 시에 검지 수단이 상기 수용조의 불균형을 검지했을 때에는, 상기 금속 이온 첨가수의 공급이라 하는 통상의 수돗물을 공급하는 처리와는 다른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앞서 금속 이온 첨가수의 공급에 의한 항균 처리로 세탁물에 부여된 금속 이온이 씻겨 없어졌다고 해도, 이후의 금속 이온 첨가수의 공급에 의해 그 씻겨 없어진 만큼을 확실하게 보충할 수 있다. 따라서 앞선 항균 처리에 의해 세탁물에 부여된 항균 효과를 잃는 일 없이 불균형 수정을 할 수 있다. 즉, 세탁물에 대한 항균 처리의 실효성을 담보하면서 불균형 수정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불균형 수정 수단은 상기 균형 수정 헹굼에서의 상기 수용조에의 상기 금속 이온 첨가수의 공급량을, 그 이전 공정에서의 상기 금속 이온 첨가수의 공급량보다도 적게 하는 제어를 해도 좋다. 앞서 금속 이온 첨가수의 공급 공정(예컨대 헹굼 공정)에 의해 세탁물에서의 항균 효과를 발휘시키는 데 필요한 양의 금속 이온은 이미 공급이 완료되어 있으므로, 이후의 균형 수정 헹굼으로 씻겨 없어진 만큼을 고려했다 해도, 항균 효과를 발휘시키는 데 필요한 양의 금속 이온을 전혀 공급할 필요가 없다. 이로써, 균형 수정 헹굼에 의해 세탁물의 항균 처리에 제공되지 않고 그대로 씻겨 없어져 버리는 불필요한 금속 이온이 출현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불균형 수정 수단은 상기 균형 수정 헹굼에서의 상기 수용조에의 상기 금속 이온 첨가수의 금속 이온 농도를, 그 이전 공정에서의 상기 금속 이온 첨가수의 금속 이온 농도보다도 적게 하는 제어를 해도, 상기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횡 드럼식 세탁기의 외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2는 상기 세탁기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수직 단면도이다.
도3은 상기 세탁기가 구비하는 급수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4는 상기 세탁기에서의 세탁 공정 전체의 흐름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5는 상기 세탁 공정에서의 세탁 공정의 상세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6은 상기 세탁 공정에서의 헹굼 공정의 상세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7은 상기 세탁 공정에서의 탈수 공정의 상세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8은 상기 세탁기가 구비하는 이온 용출 유닛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수평 단면도이다.
도9는 상기 이온 용출 유닛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수직 단면도이다.
도10은 상기 이온 용출 유닛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회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11은 상기 이온 용출 유닛으로부터의 금속 이온의 용출 및 금속 이온 첨가수의 투입 시퀀스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12는 상기 세탁기의 메인 급수 밸브 및 서브 급수 밸브의 개폐 타이밍과, 이온 용출 유닛의 각 전극에의 전압 인가 타이밍을 나타내는 시간도이다.
도13은 상기 세탁기에 있어서, 탈수 시의 드럼의 불균형을 수정하기 위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14는 금속 이온 첨가수에서의 은 이온 농도와 정균 활성치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대해 도1 내지 도14를 기초로 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1. 세탁기의 구성)
도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횡 드럼식 세탁기(601)의 외관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고, 도2는 횡 드럼식(횡형) 세탁기(601)의 수직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횡 드럼식 세탁기(601)는 상자 형태의 본체(610)를 갖고 있다. 본체(601)의 내부에는 수조(620)와 세탁물이 수용되는 드럼(630)이 배치되어 있다. 수조(620)도 드럼(630)도 원통형이며, 각각 한쪽 단부면에 세탁물 투입구(621, 631)를 갖고 있다.
드럼(630)의 바닥부 중심으로부터는 외부를 향해 축(632)이 돌출되어 있다. 이 축(632)이 수조(620)의 바닥부 중심에 마련된 베어링(622)에 지지됨으로써, 드럼(630)과 수조(620)는 드럼(630)을 안으로, 수조(620)를 밖으로 하는 동심 배치로 되어 있다.
수조(620) 및 드럼(630)은 도시하지 않은 서스펜션 기구에 의해, 축선이 대략 수평이 되도록 본체(610) 내에서 지지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조(620) 및 드럼(630)은 축선이 수평면에 대하여 각도 θ(예컨대 15°)의 경사를 이루고 있고, 세탁물 투입구(621, 631) 쪽이 약간 들려 올라간 형태로 되어 있다. 즉, 수조(620) 및 드럼(630)은 회전축이 수직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것은 드럼(630)의 내부를 보기 쉽게 하기 위해, 그리고 세탁물의 출입을 쉽게 하기 위해서이다.
또, 횡 드럼식의 세탁기(601)에 있어서는 상기 경사 각도 θ가 0°내지 30°의 범위를 상정하고 있으나, 회전축이 수직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고 있으면, 이 범위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체(610)의 정면측 외벽에는 세탁물 투입구(621, 631)와 마주보도록 개구(611)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개구(611)의 전방면에는 옆으로 여는 도어(612)가 설치되어 있다. 개구(611)와 세탁물 투입구(621)는 연질 합성수지 또는 고무로 이루어지는 도어 패킹(613)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도어 패킹(613)은 드럼(630) 안에서 생기는 물방울이나 젖은 세탁물을 출입할 때의 물방울의 떨어짐, 혹은 세탁물 투입구(621)로부터 물의 넘침 등이 본체(610)의 내부를 적게 하는 것을 막는 것이다.
도어 패킹(613)의 내주면에는 환 형상의 립(614)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립(614)은 도어(612)의 내면에 마련된 돌기부(615)의 외주에 밀착함으로써, 도어 패킹(613)과 도어(612)의 간극에서 물이 새는 것을 막고 있다. 돌기부(615)는 드럼(630) 속의 세탁물이 세탁물 투입구(621)로부터 불거져 나오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돌기부(615)는 드럼(630)의 내부를 들여다 볼 수 있도록 투명 재료로 형성되어도 좋다.
드럼(630)의 주위벽에는 다수의 탈수 구멍(633)이 형성되어 있고, 이 탈수 구멍(633)을 통하여 드럼(630)과 수조(620) 사이를 물이 왕래하도록 되어 있다. 드럼(630)의 내주면에는 복수의 배플(634)이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배플(634)은 드럼(630)의 회전에 수반하여 세탁물을 걸어서 들어올려 위쪽에서 낙하시킨다.
드럼(630)의 외면 및 세탁물 투입구(631)에는 균형추(발랜서)(635)가 부착되어 있다. 또, 도2에서는 세탁물 투입구(631)에 부착한 환 형상의 균형추(635)만 도시하고 있으며, 드럼(630)의 외면에 부착한 균형추는 도시하고 있지 않다. 균형추(635)는 드럼(630)이 고속 회전했을 때에 발생하는 진동을 억제하는 것이다.
수조(620)의 바닥부 외면에는 모터(640)가 부착되어 있다. 모터(640)는 다이렉트 드라이브 형식인 것으로, 그 회전자에 드럼(630)의 축(632)이 연결 고정되어 있다. 또, 상기 베어링(622)은 모터(640)의 하우징에 부착되어, 모터(640)의 구성 요소의 일부로 되어 있다.
수조(620)의 위쪽 공간에는 전자적으로 개폐하는 급수 밸브(50)가 배치되어 있다. 급수 밸브(50)는 본체(610)를 관통하여 후방으로 돌출시키는 접속관(51)을 갖고 있다. 접속관(51)에는 수돗물 등의 상수를 공급하는 급수 호스(도시하지 않음)가 접속되어 있다. 급수 밸브(50)로부터는 급수관(52)이 연장되어 있다. 급수관(52)의 선단부는 용기 형상의 급수구(53)에 접속되어 있다. 급수구(53)는 도3에 나타내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3은 정면측에서 본 급수구(53)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급수구(53)는 표면이 개구되어 있고, 내부는 좌우로 구획되어 있다. 좌측의 구획은 세제를 넣어 두는 준비 공간이 되는 세제실(54)이다. 우측의 구획은 세탁용 마무리제를 넣어 두는 준비 공간이 되는 마무리제실(55)이다. 세제실(54)의 바닥부에는 도어 패킹(613)의 상부에 접속한 급수 노즐(652)의 집수되(653)에 주수하는 주수구(56)가 설치되어 있다. 마무리제실(55)에는 동일하게 집수되(653)에 주수하는 사이폰부(57)가 설치되어 있다.
사이폰부(57)는 마무리제실(55)의 바닥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상승하는 내관(57a)과, 내관(57a)을 덮을 수 있는 캡 형상의 외관(57b)으로 되어 있다. 내관(57a)과 외관(57b) 사이에는 물이 지나가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내관(57a)의 바닥부는 집수되(653)를 향해 개구하고 있다. 외관(57b)의 하단부는 마무리제실(55)의 바닥면과 소정의 간극을 유지하여, 이곳이 물의 입구가 된다. 내관(57a)의 상단부를 넘는 레벨까지 마무리제실(55)에 물이 주입되면, 사이폰 작용이 일어나 물은 사이폰부(57)를 통해 마무리제실(55)로부터 흡출되어 집수되(653)로 낙하한다.
급수 밸브(50)는 메인 급수 밸브(50a)와 서브 급수 밸브(50b)로 이루어져 있다. 접속관(51)은 메인 급수 밸브(50a) 및 서브 급수 밸브(50b)의 양쪽에 공통으로 있다. 급수관(52)은 메인 급수 밸브(50a)에 접속된 메인 급수관(52a)과 서브 급수 밸브(50b)에 접속된 서브 급수관(52b)으로 이루어져 있다.
메인 급수관(52a)은 세제실(54)에 접속되어 있고, 서브 급수관(52b)은 마무리제실(55)에 접속되어 있다. 즉, 메인 급수관(52a)으로부터 세제실(54)을 통해 집수되(653)에 주수하는 경로와, 서브 급수관(52b)으로부터 마무리제실(55)을 통해 집수되(653)에 주수하는 경로가 형성되어 있고, 게다가 이들이 다른 계통으로 되어 있다.
세제실(54)의 상면 및 마무리제실(55)의 상면은 각각 본체(610)의 외부를 향해 개구되어 있다. 이 개구에는 각각 도시하지 않은 덮개가 설치되어 있다.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서 덮개를 열어 세제실(54)에는 세제를, 마무리제실(55)에는 마무리제를 각각 투입하게 된다.
도2로 되돌아가 설명을 계속한다. 수조(620)의 가장 낮아진 부위에는 배수구(623)가 마련되고 있고, 이곳에 배수관(660)의 일단부가 접속되어 있다. 배수관(660)의 타단부는 필터 케이싱(661)에 접속되어 있다. 필터 케이싱(661) 안에는 실밥 필터(662)가 삽입되어 있다. 실밥 필터(662)는 합성수지의 망이나 천에 의해 형성되어, 세탁액 속의 실밥을 포집한다. 필터 케이싱(661)의 일단부는 착탈 가능한 캡(663)으로 폐쇄되어 있으며, 캡(663)을 떼어내어 실밥 필터(662)를 청소하거나, 교환하거나 할 수 있다.
필터 케이싱(661)의 타단부에는 배수관(664)이 접속되어 있다. 필터(662)를 통과한 배수는 배수관(664)을 거쳐서 본체(610) 밖으로 배출된다. 배수관(664)의 도중에는 배수 밸브(665)가 설치되어 있다.
필터 케이싱(661)에는 에어 트랩(671)이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에어 트랩(671)으로부터 도출된 도압 파이프(672)의 상단부에 수위 센서(673)가 설치되어 있다. 수위 센서(673)는 에어 트랩(671) 내의 압력 변화에 따라서 자성체를 코일 내 에서 이동시키고, 그 결과 발생하는 코일의 인덕턴스 변화를 발진 주파수의 변화로서 검출하고, 이 발진 주파수의 변화로부터 수위를 판독하는 것이다. 여기서 판독하는 것은 드럼(630) 속의 수위이다.
본체(610)의 전방부 상면에는 조작 패널(616)이 설치되어 있다. 조작부(616)에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 패널이나 버저를 갖춘 표시부(682)와, 각종 스위치의 조작 버튼군에 의해 구성되는 조작 스위치부(684)가 배치되어 있다.
도2에 나타내는 부호 690은 마이크로 컴퓨터를 주된 구성 요소로 하는 제어부이다. 제어부(690)는 하드디스크 등 필요한 기억 장치를 포함하여, 기억 수단을 겸하고 있다. 제어부(690)는 본체(610) 중에 조작 패널(616)과 근접하여 배치되어 있고, 조작 스위치부(684)를 통해 사용자로부터의 조작 지령을 받아 모터(640), 급수 밸브(50) 및 배수 밸브(665)에 동작 지령을 발한다. 또한, 제어부(690)는 표시부(682)에는 표시 지령을 발한다. 제어부(690)는 후술하는 이온 용출 유닛(100)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회로(120)(도10 참조)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한 조작 패널(616)은 사용자가 원하는 세탁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입력부이다. 제어부(690)는 조작 패널(616)에 의해 설정된 세탁 모드에 따라서 개별 공정을 선택하여 실행하게 된다. 상기 개별 공정으로서는, 예를 들어 세탁 공정, 헹굼 공정, 탈수 공정, 건조 공정을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690)가 실행하는 세탁 공정은 상기 세탁 모드에 따라서, 세탁 공정, 헹굼 공정, 탈수 공정, 건조 공정 중 적어도 1개 또는 그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2. 세탁기의 동작)
다음에, 상기 구성의 횡 드럼식 세탁기(601)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사용자는 도어(612)를 열어 드럼(630) 안에 세탁물을 넣는 동시에, 급수구(53)의 세제실(54)에 세제를 넣는다. 필요하다면, 사용자는 마무리제실(55)에 마무리제를 넣는다. 마무리제는 세탁 공정의 도중에 넣어도 좋다.
세제의 투입 준비를 한 후, 사용자는 도어(612)를 닫고 조작 패널(616)의 조작 스위치부(684)의 조작 버튼군을 조작하여 세탁 조건(세탁 모드)을 선택한다. 마지막으로, 사용자가 시작 버튼을 누르면 도4 내지 도7의 흐름도를 따라 상기 세탁 모드에 따른 세탁 공정이 수행된다.
도4는 세탁 공정 전체의 흐름도이다. 단계 S201에서는 설정한 시각에 세탁을 시작하는 예약 운전의 선택이 이루어져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예약 운전이 선택되어 있으면, 단계 S206으로 진행한다. 선택되어 있지 않으면, 단계 S202로 진행한다.
단계 S206으로 진행한 경우에는 운전 개시 시각이 되었는지 여부의 확인이 행해진다. 운전 시작 시각이 되면, 단계 S202로 진행한다.
단계 S202에서는 세탁 공정의 선택이 이루어져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선택이 이루어져 있으면, 단계 S300으로 진행한다. 단계 S300의 세탁 공정의 내용은 별도로 도5의 흐름도에서 설명한다. 세탁 공정 종료 후는 단계 S203으로 진행한다. 한편, 단계 S202에서 세탁 공정의 선택이 이루어져 있지 않으면, 즉시 단계 S203으로 진행한다.
단계 S203에서는 헹굼 공정의 선택이 이루어져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선택되어 있으면, 단계 S400으로 진행한다. 단계 S400의 헹굼 공정의 내용은 별도로 도6의 흐름도에서 설명한다. 헹굼 공정 종료 후는 스텝 S204로 진행한다. 한편, 단계 S204에서 헹굼 공정의 선택이 이루어져 있지 않으면, 즉시 단계 S204로 진행한다.
또, 헹굼 공정은 복수 회에 걸쳐도 좋다. 도4에서는 헹굼 공정을 3회에 걸쳐 실시하는 것으로 하고, 각 회의 단계 번호에는「S400-1」「S400-2」「S400-3」과 갈래 번호를 붙여 표기하고 있다. 헹굼 공정의 횟수는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금속 이온과 마무리제를 각각 별도의 헹굼 공정에서 투입하는 경우는 최저라도 2회는 필요하다. 한편, 금속 이온과 다른 마무리제를 동시에 동일한 헹굼 공정에서 투입해도 된다. 이 경우, 헹굼 공정의 횟수는 한 번 이상이면 된다.
단계 S204에서는 탈수 공정의 선택이 이루어져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선택되어 있으면, 단계 S500으로 진행한다. 단계 S500의 탈수 공정의 내용은 별도로 도7의 흐름도에서 설명한다. 탈수 공정 종료 후는 단계 S205로 진행한다. 한편, 단계 S204에서 탈수 공정의 선택이 이루어져 있지 않으면, 즉시 단계 S205로 진행한다.
단계 S205에서는 제어부(690), 특히 그 속에 포함되는 연산 장치(마이크로 컴퓨터)에 의한 종료 처리가 순서에 따라서 자동으로 진행된다. 또한, 제어부(690)는 세탁 공정이 완료된 것을 종료 음으로 사용자에게 알린다. 모든 처리가 종료된 후, 횡 드럼식 세탁기(601)는 다음 세탁 공정에 대비하여 대기 상태로 되돌아간다.
또, 건조 공정이 선택되어 있는 경우에는 단계 S204 후, 건조 공정을 행하면 좋다. 이 건조 공정에서는, 예컨대 드럼(630) 내에 온풍을 공급함으로써 세탁물이 건조된다. 드럼(630)으로부터 배출되는 고온다습한 공기는 냉각수에 의해 냉각되어, 상기 공기 중의 습기가 물로 변환된다. 즉, 상기 건조 공정에서는 수냉 제습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냉각수에 의해 냉각된 물은 배수관(664)을 통해 기기 밖으로 배출된다.
(3. 각 세탁 공정의 상세)
다음에, 상기 세탁 공정 중, 세탁 공정, 헹굼 공정, 탈수 공정의 각 개별 공정의 상세에 대해 도5 내지 도7을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3-1. 세탁 공정)
우선, 세탁 공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5는 세탁 공정의 흐름도이다. 스텝 S301에서는 수위 센서(673)가 검지하고 있는 드럼(630) 내의 수위 데이터의 도입이 행해진다. 단계 S302에서는 용량 감지의 선택이 이루어져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용량 감지의 선택이 선택되어 있으면, 단계 S308로 진행한다. 단계 S308에서는 드럼(630)의 회전 부하에 의해 세탁물의 양을 측정하는 용량 감지를 한다. 그리고 용량 감지 후는 단계 S303으로 진행한다. 한편, 단계 S302에서 용량 감지가 선택되어 있지 않으면, 즉시 단계 S303으로 진행한다.
단계 303에서는 메인 급수 밸브(50a)가 개방되어, 메인 급수관(52a) 및 급수구(53)를 통해 드럼(630)에 물이 주수된다(정확하게 말하면, 수조(620)에 물이 부 어지고, 그 물이 탈수 구멍(633)을 통해 드럼(630)으로 침입하는 것이다). 급수구(53)의 세제실(54)에 넣은 세제도 물에 섞여 드럼(30)에 투입된다. 이때, 배수 밸브(665)는 폐쇄되어 있다. 수위 센서(673)가 설정 수위를 검지하였다면 메인 급수 밸브(50a)는 폐쇄된다. 그리고 단계 S304로 진행한다.
단계 S304에서는 융합 텀블링을 한다. 이 융합 텀블링에서는 드럼(630)이 저속으로 회전하고, 세탁물을 물에서 꺼내어서는 다시 물속으로 낙하시켜, 세탁물에 물을 충분히 흡수시킨다. 또한, 세탁물의 여러 곳에 포획되어 있던 공기를 릴리프시킨다.
융합 텀블링 후, 단계 S306으로 이행한다. 단계 S306에서는 드럼(630)이 세탁 텀블링의 패턴으로 회전하고, 세탁물을 높게 들어올리고서는 낙하시킨다. 이 낙하 시의 충격에 의해, 세탁물의 섬유 사이에 물의 분류(噴流)가 발생하여, 세탁물이 빨아진다.
세탁 텀블링 기간이 지난 후, 단계 S307로 진행한다. 단계 S307에서는 드럼(630)이 완만하게 회전한다. 드럼(630)이 완만하게 회전한 경우, 세탁물은 높은 위치로 들어 올려지기 전에, 낮은 위치에서 드럼(630)으로부터 떨어져 낙하한다.
여기서, 세탁물이 높은 위치로부터 낙하한 경우에는 세탁물은 드럼(630)의 내벽에 세게 내리쳐지게 되어, 내벽에 철썩 들러붙는다. 그로 인해, 드럼(630)이 고속의 탈수 회전을 시작했을 때, 불균형이 해소되기 어렵다.
이에 대하여, 세탁물이 낮은 위치에서 드럼(630)의 내벽으로부터 떨어진 경우, 세탁물은 세게 내리쳐진다고 하기보다도 오히려 굴러가는 것 같이 느껴져 세탁 물끼리가 비교적 살짝 겹친다. 이 상태이면, 드럼(630)이 고속의 탈수 회전을 시작했을 때에, 세탁물이 사방으로 분산되기 쉽다. 즉, 균형을 잡기 쉽다. 그로 인해, 드럼(30)을 완만하게 회전시켜 세탁물을 풀어, 탈수 회전에 대비하는 것이다.
(3-2. 헹굼 공정)
다음에, 도6의 흐름도를 기초로 하여 헹굼 공정의 내용에 대해 설명한다.
최초로, 단계 S500의 탈수 공정(여기서는 헹굼 공정 중의 탈수 공정이므로, 중간 탈수 공정이라 칭함)이 오지만, 이에 대해서는 도7의 흐름도에서 설명한다. 단계 S500에서의 중간 탈수 후는 단계 S401로 진행한다. 단계 S401에서는 메인 급수 밸브(50a)가 개방되어 설정 수위까지 급수가 행해진다.
급수 후, 단계 S402로 진행한다. 단계 S402에서는 융합 텀블링이 행해진다. 융합 텀블링은 세탁 공정의 단계 S304에서 행한 공정과 마찬가지이다.
융합 텀블링 후는 단계 S405로 진행한다.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드럼(630)은 헹굼 텀블링의 패턴으로 회전한다. 드럼(630)은 회전에 의해 세탁물을 물에 잠수시키고, 또한 위쪽으로 들어올려서는 낙하시킨다. 이에 의해, 세탁물의 헹굼이 행해진다.
헹굼 텀블링의 기간이 지난 후, 단계 S406으로 이행한다. 단계 S406에서는 드럼(630)이 완만하게 회전하여 세탁물을 풀고, 탈수 회전에 대비한다.
또, 상기 설명에서는 드럼(630) 안에 헹굼수를 모아 두고 헹굼을 하는「저장 헹굼」을 실행하는 것으로 했지만, 항상 새로운 물을 보급하는 주수 헹굼, 혹은 세탁물에 물을 뿌리기 시작하는 샤워 헹굼을 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3-3. 탈수 공정)
다음에, 도7의 흐름도를 기초로 하여 탈수 공정의 내용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단계 S501에서 배수 밸브(665)를 개방한다. 이에 의해, 드럼(630) 속의 세탁물 혹은 헹굼수는 배수 밸브(665)를 통해 배수된다. 배수 밸브(665)는 탈수 공정 중은 개방된 상태이다.
소정 시간이 지나 세탁물로부터 대부분의 물이 빠진 상태에서, 드럼(630)이 탈수 회전을 시작한다. 드럼(630)이 고속으로 회전하면, 세탁물은 원심력에 의해 드럼(630)의 내주벽에 들러붙게 된다. 이에 의해, 세탁물에 포함되어 있던 물도 드럼(630)의 내주 벽면에 모여 탈수 구멍(633)으로부터 방출된다. 탈수 구멍(633)을 벗어난 세탁수는 수조(620)의 내면으로 세게 내리쳐지고, 수조(620)의 내면을 타고 수조(620)의 밑바닥부로 흘러 떨어진다. 그리고 배수구(623), 배수관(660), 필터 케이싱(661), 배수관(664) 및 배수 밸브(665)를 통해 외부 상자(610) 밖으로 배출된다.
도7의 시퀀스에서는 단계 S502와 단계 S503에서 비교적 저속의 탈수 운전을 행한 후, 단계 S504와 단계 S505에서 고속의 탈수 운전을 하는 조립으로 되어 있다. 단계 S505 후는 단계 S506으로 이행한다. 단계 S506에서는 모터(640)에의 통전을 끊는 동시에 브레이크를 작용시키는 일없이 드럼(630)을 관성으로 회전시켜 자연 정지에 이르게 한다.
(4. 이온 용출 유닛의 구성)
다음에, 횡 드럼식 세탁기(601)가 구비하는 이온 용출 유닛(100)에 대해 설 명한다.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온 용출 유닛(100)(이온 용출 수단)은 메인 급수관(52a)의 도중, 즉 메인 급수 밸브(50a)와 세제실(54)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하, 도8 및 도9를 기초로 하여 이온 용출 유닛(100)의 구조와 기능 및 횡 드럼식 세탁기(601)에 탑재되어 발휘하는 역할에 대해 설명한다.
도8 및 도9는 이온 용출 유닛(100)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고, 도8은 그 수평 단면도를 나타내고, 도9는 그 수직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온 용출 유닛(100)은 합성수지 등의 절연 재료로 이루어지는 케이스(110)를 갖고 있다. 케이스(110)는 한쪽 단부에 물의 유입구(111)를 갖고 있고, 다른 쪽 단부에 물의 유출구(112)를 갖고 있다. 케이스(110)의 내부에는 2매의 판형 전극(113·114)이 서로 평행한 형태로, 또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전극(113·114)은 항균성을 갖는 금속 이온의 기초가 되는 금속, 즉 은, 동, 아연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전극(113·114)에는 각각 일단부에 단자(115·116)가 마련된다. 전극(113)과 단자(115), 전극(114)과 단자(116)는 각각 일체화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들을 일체화할 수 없는 경우에는 전극과 단자 사이의 접합부 및 케이스(110) 내의 단자 부분을 합성수지로 코팅하여 물과의 접촉을 끊어, 전식(電食)이 생기지 않도록 해 둔다. 단자(115·116)는 케이스(110) 밖으로 돌출되어, 제어부(690) 안의 구동 회로(120)(도10 참조)에 접속되어 있다.
케이스(110)의 내부에 있어서는 전극(113·114)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물 이 흐르게 되어 있다. 케이스(110) 안을 물이 흐르고 있는 상태에서, 전극(113·114)에 전압을 인가하면, 전극(113·114)의 양극 측으로부터 전극 구성 금속의 금속 이온이 용출한다. 전극(113·114)은 예컨대 2 ㎝ × 5 ㎝, 두께 1 ㎜ 정도의 은 플레이트이며, 5 ㎜의 거리를 사이를 두고 배치되어 있다.
전극(113·114)을 구성하는 금속은 은, 동, 아연 혹은 그들의 합금인 것이 바람직하다. 은 전극으로부터 용출하는 은 이온 및 아연 전극으로부터 용출하는 아연 이온은 살균 효과가 우수하고, 동 전극으로부터 용출하는 동 이온은 곰팡이 방지성이 우수하다. 한편, 그들의 합금으로부터는 성분 금속의 이온을 동시에 용출시킬 수 있으므로, 이에 의해 우수한 살균 효과 및 곰팡이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이온 용출 유닛(100)의 구성에 의해, 후술하는 제어부(690)[구동 회로(120)]는 전극(113·114)에의 전압의 인가 유무로 금속 이온의 용출/비용출을 선택할 수 있다. 또, 제어부(690)는 전극(113·114)에 흐르게 하는 전류나 전압 인가 시간을 제어함으로써, 금속 이온의 용출량, 바꿔 말하면 금속 이온 첨가수에서의 금속 이온의 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제오라이트 등의 금속 이온 담지체로부터 금속 이온을 용출시키는 방식과 비교하여, 금속 이온을 투입하는지 여부의 선택이나 금속 이온의 농도 조절을 전부 전기적으로 할 수 있으므로 사용하기가 편리하다. 또한, 제어부(690)는 급수 밸브(50)의 개폐량을 조절하여 이온 용출 유닛(100)에 공급되는 물의 단위 시간당의 양(급수 유량, 급수 속도)을 변화시킴으로써, 금속 이온 첨가수의 금속 이온 농도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금속 이온 농도의 조정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전극(113·114)으로부터의 단위 시간당의 금속 용출량은, 대개 전류치에 비례한다. 따라서 전극(113·114)에 큰 전류를 흐르게 함으로써 금속 이온 첨가수에서의 금속 이온 농도를 쉽게 고농도로 할 수 있다.
또한, 전극(113·114)에 흐르게 하는 전류치가 일정하면, 단위 시간당의 금속 용출량이 일정하므로, 전류를 흐르게 하는 시간(전압 인가 시간)을 길게 함으로써, 더욱 많은 양의 금속을 용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급수 경로 중에 이온 용출 유닛(100)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 소정 수량과 소정 농도로부터 계산되는 소정 질량의 금속이 용출될 때까지 급수를 하면서 금속의 용출을 하여 소정 질량의 금속이 용출되면, 금속의 용출을 멈춰 소정 수량에 달할 때까지 급수를 계속한다.
이와 같이, 금속의 용출을 하는 시간을 길게 함으로써, 금속의 용출량을 늘려 금속 농도를 높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전극(113·114)에 전류를 흐르게 하는 시간은 세탁기(601)가 드럼(630)에의 급수에 요하는 시간을 상회할 수 없으므로, 적절한 급수 유량(급수 속도)으로 제어할 필요가 있다. 예컨대, 전류치가 29 mA인 경우, 급수 속도가 19 L/분에서는 금속 이온 농도를 최대 95 ppb로 할 수 없지만, 급수 속도를 10 L/분으로 함으로써 금속 이온 농도를 최대 180 ppb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급수량은 각 가정에 따라 다르지만, 최대 급수량은 급수 밸브의 선택으로 제어 가능하고, 그보다 낮은 유량에서는 급수에 요하는 시간이 그보다 길어져, 보다 농도를 높이기 쉬워지므로 문제는 없다.
(5. 이온 용출 유닛의 구동 회로의 구성)
다음에, 이온 용출 유닛(100)을 구동하는 구동 회로(120)에 대해 설명한다.
도10은 구동 회로(120)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상용 전원(121)에 트랜스(122)가 접속되어 있고, 이 트랜스(122)가 100 V를 소정의 전압으로 강압(降壓)한다. 트랜스(122)의 출력 전압은 전파 정류 회로(123)에 의해 정류된 후, 정전압 회로(124)에 의해 정전압이 된다. 정전압 회로(124)에는 정전류 회로(125)가 접속되어 있다. 정전류 회로(125)는 후술하는 전극 구동 회로(150)에 대하여, 전극 구동 회로(150) 내의 저항치의 변화에 관계없이 일정한 전류를 공급하도록 동작한다.
상용 전원(121)에는 트랜스(122)와 병렬로 정류 다이오드(126)가 접속되어 있다. 정류 다이오드(126)의 출력 전압은 콘덴서(127)에 의해 평활화된 후, 정전압 회로(128)에 의해 정전압이 되어, 마이크로 컴퓨터(130)에 공급된다. 마이크로 컴퓨터(130)는 트랜스(122)의 일차측 코일의 일단부와 상용 전원(121) 사이에 접속된 트라이악(129)을 기동 제어한다.
전극 구동 회로(150)는 NPN형 트랜지스터(Q1 내지 Q4), 다이오드(D1·D2), 저항(R1 내지 R7)을 도면과 같이 접속하여 구성되어 있다. 트랜지스터(Q1)와 다이오드(D1)는 포토 커플러(151)를 구성하고, 트랜지스터(Q2)와 다이오드(D2)는 포토 커플러(152)를 구성하고 있다. 즉, 다이오드(D1·D2)는 포토 다이오드이며, 트랜지스터(Q1·Q2)는 포토 트랜지스터이다.
현재, 마이크로 컴퓨터(130)로부터 라인(L1)에 하이 레벨의 전압, 라인 레벨 (L2)에 로우 레벨의 전압 또는 오프(OFF)(제로 전압)가 부여되면, 다이오드(D2)가 온(ON)이 되고, 또한 그에 따라서 트랜지스터(Q2)도 온이 된다. 트랜지스터(Q2)가 온이 되면, 저항(R3·R4·R7)에 전류가 흘러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에 바이어스가 걸려 트랜지스터(Q3)는 온이 된다.
한편, 다이오드(D1)는 오프이므로, 트랜지스터(Q1)는 오프, 트랜지스터(Q4)도 오프가 된다. 이 상태에서는 양극 측의 전극(113)으로부터 음극 측의 전극(114)을 향해 전류가 흐른다. 이에 의해, 이온 용출 유닛(100)에서는 양이온의 금속 이온과 음이온이 발생한다.
이온 용출 유닛(100)에 장시간 한 방향으로 전류를 흐르게 하면, 도10에서 양극 측으로 되어 있는 전극(113)이 마모 감쇄하는 동시에, 음극 측으로 되어 있는 전극(114)에는 수중의 칼슘 등의 불순물이 스케일로서 고정 부착된다. 또한, 전극의 성분 금속의 염화물 및 황화물이 전극 표면에 발생한다. 이것은 이온 용출 유닛(100)의 성능 저하를 초래하므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극의 극성을 반전하여 전극 구동 회로(150)를 운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극의 극성을 반전하는 데 있어서는 라인(L1·L2)의 전압을 반대로 하여, 전극(113·114)을 역방향으로 전류가 흐르도록 마이크로 컴퓨터(130)가 제어를 바꾼다. 이 경우, 트랜지스터(Q1·Q4)가 온, 트랜지스터(Q2·Q3)가 오프가 된다. 마이크로 컴퓨터(130)는 카운터 기능이 있어, 소정 카운트 수에 달할 때마다 상술한 절환을 행한다.
전극 구동 회로(150) 내의 저항 변화, 특히 전극(113·114)의 저항 변화에 의해 전극 사이를 흐르는 전류치가 감소하는 등의 사태가 생긴 경우에는 정전류 회로(125)가 그 출력 전압을 올려 전류의 감소를 방지한다. 그러나 누적 사용 시간이 길어지면 이온 용출 유닛(100)이 수명을 다한다. 이 경우, 전극의 극성 반전이나, 특정 극성인 시간을 평상시보다도 길게 하여 전극에 부착된 불순물을 강제적으로 제거하는 전극 세정 모드로의 절환이나 정전류 회로(125)의 출력 전압 상승을 실시해도, 전류 감소를 막을 수 없게 된다.
그래서 본 회로에서는 이온 용출 유닛(100)의 전극(113·114) 사이를 흐르는 전류를 저항(R7)에 생기는 전압에 의해 감시하여, 그 전류가 소정의 최소 전류치에 달하면, 그것을 전류 검지 수단이 검지하도록 하고 있다. 전류 검지 회로(160)가 그 전류 검지 수단이다. 최소 전류치를 검지했다고 하는 정보는 포토 커풀러(163)를 구성하는 포토 다이오드(D3)로부터 포토 트랜지스터(Q5)를 거쳐서 마이크로 컴퓨터(130)에 전달된다. 마이크로 컴퓨터(130)는 라인(L3)을 거쳐서 알림 수단을 구동하여 소정의 경고 알림을 하게 한다. 경고 알림 수단(131)이 그 알림 수단이다. 경고 알림 수단(131)은 조작 패널(616) 또는 제어부(690)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전극 구동 회로(15b) 내에서의 쇼트 등의 사고에 대해서는 전류가 소정의 최대 전류치 이상이 된 것을 검출하는 전류 검지 수단이 준비되어 있고, 이 전류 검지 수단의 출력을 기초로 하여 마이크로 컴퓨터(130)는 경고 알림 수단(131)을 구동한다. 전류 검지 회로(161)가 그 전류 검지 수단이다. 또한, 정전류 회로(125)의 출력 전압이 미리 정한 최소값 이하가 되면, 전압 검지 회로(162)가 이것을 검지하여, 마찬가지로 마이크로 컴퓨터(130)가 경고 알림 수단(131)을 구동 한다.
(6. 금속 이온의 용출·투입 공정)
다음에, 이온 용출 유닛(100)이 생성한 금속 이온의 용출 및 투입 공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11은 금속 이온의 용출과 투입의 시퀀스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11의 시퀀스는 도6의 헹굼 공정의 흐름 중, 예컨대 단계 S401(급수)의 단계에서 수행된다. 즉, 헹굼이 시작되면 단계 S411에서 조작 패널(616)에서의 선택 동작으로「금속 이온의 투입」이 선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또, 이 확인 스텝은 훨씬 앞에 두더라도 좋다. 단계 S411에서「금속 이온의 투입」이 선택되어 있으면 단계 S412로 진행하고, 선택되어 있지 않으면 후술하는 단계 S412'로 진행한다.
단계 S412에서는 메인 급수 밸브(50a)가 열려 이온 용출 유닛(100)에 소정 유량의 물을 흐르게 한다. 동시에, 제어부(690)의 구동 회로(120)가 전극(113·114)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여, 전극 구성 금속의 이온을 수중에 용출시킨다. 이때, 전극 사이를 흐르는 전류는 직류이다. 금속 이온 첨가수는 급수구(53)로부터 드럼(630)에 투입된다.
제어부(690)는 소정량의 금속 이온 첨가수를 투입하여, 헹굼수의 금속 이온 농도가 소정값에 달하였다고 판단한 곳에서, 전극(113·114)에의 전압 인가를 정지한다.
여기서, 금속 이온 첨가수의 투입 시에는 마무리제의 투입도 행해진다. 마무리제는 서브 급수 밸브(50b)를 열어 급수구(53)의 마무리제실(55)에 물을 흐르게 함으로써 투입된다. 마무리제실(55)에 마무리제가 넣어져 있으면, 그 마무리제는 사이폰부(57)로부터 물과 함께 세탁조(30)에 투입된다. 마무리제실(55) 안의 수위가 소정 높이에 달해야 비로소 사이폰 효과가 발생하므로, 시기가 되어서 물이 마무리제실(55)에 주입될 때까지, 액체의 마무리제를 마무리제실(55)에 보유 지지해 둘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마무리제의 투입 선택은 하지 않고, 항상 마무리제를 투입하는 것을 전제로 한 동작이 행해진다. 또, 사용자가 마무리제를 투입하고 싶지 않은 경우에는 마무리제실(55)에 마무리제를 세트하지 않으면 된다.
단, 본 실시 형태에서는 메인 급수 밸브(50a)와 서브 급수 밸브(50b)는 동시에는 열리지 않는 사양으로 했다. 이것은 동시에 열리면 총 급수량이 커져, 세제 투입 박스로부터 물이 넘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는,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690)는 최초에 5초간 서브 급수 밸브(50b)만을 열고, 10초간 메인 급수 밸브(50a)만을 연다고 하는 동작을 4회 반복하고, 그 후 20초간 서브 급수 밸브(50b)만을 열고, 그 후 소정 수위를 검지할 때까지 메인 급수 밸브(50a)만을 연다. 이러한 동작으로 함으로써 세제 투입 박스로부터 물이 넘치는 일도 없으며, 마무리제도 안정적으로 투입할 수 있다.
이때,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690)는 이온 용출 유닛(100)의 전극(113·114)에의 전압 인가를, 메인 급수 밸브(50a)를 열고 있을 때만 행하도록 하고 있다. 이것은 메인 급수 밸브(50a)로부터의 급수 경로 중에 이온 용출 유닛(100)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이다. 즉, 메인 급수 밸브(50a)가 폐쇄되어 있을 때에는 이온 용출 유닛(100) 안에 물이 거의 존재하지 않아, 그 상태에서 전압을 인가 하면 전류가 어느 정도 흐르는지 알 수 없어 금속 이온의 용출량이 불명확해져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온 용출 유닛(100)의 제어부(690)의 구동 회로(120)의 전원과, 메인 급수 밸브(50a)의 전자 밸브의 전원을 동일한 전원으로부터 도중에서 분기하는 형태로 병렬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각 전원을 따로따로 마련함으로써, 각 전원의 온/오프를 독립하여 제어할 수 있으므로, 메인 급수 밸브(50a)가 열려 있을 때 이외는 보다 확실하게 이온 용출 유닛(100)에의 전압 인가가 행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690)는 전극(113·114)의 극성이 20초 간격으로 반전하도록 상기 각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고 있다. 또, 상기 도면에서는 한쪽 전극이 양극이 되는 경우를 +로, 음극이 되는 경우를 -로 표기하고 있다.
이러한 전극 극성의 반전 제어를 하는 이유는 이하와 같다.
(1) 양극으로부터는 금속 이온이 용출하므로, 한쪽 전극이 쭉 양극이 되면 그 전극만이 마모 감쇄한다.
(2) 음극에는 칼슘 등으로 이루어지는 스케일이 부착되기 쉽다. 이 스케일은 스케일이 부착된 전극을 양극으로 함으로써 제거할 수 있지만, 한쪽 전극이 쭉 음극이 되어 있으면 스케일의 부착량이 많아져, 양극으로 해도 제거하기 어려워진다.
이들의 문제점을 회피하기 위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극의 극성을 주기적 으로 반전시키는 제어를 행하고 있다.
한편, 단계 S412'에서는 금속 이온의 첨가는 하지 않는다. 즉, 제어부(690)가 메인 급수 밸브(50a)를 열어 이온 용출 유닛(100)에 소정 유량의 물을 흐르게 하는 점은 동일하지만, 이온 용출 유닛(100) 안의 전극(113·114)에의 전압 인가는 하지 않는다. 그 이외의 점에서는 단계 S412와 동일하다.
(7. 불균형 수정에 대해)
다음에, 본 발명의 가장 특징적인 부분인 탈수 공정 시에서의 불균형 수정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세탁기(601)는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검지 수단(701)과 불균형 수정 수단(702)을 갖고 있다.
검지 수단(701)은 드럼(630)의 회전 시의 불균형을 검지하는 것이며, 예컨대 터치 센서, 쇼크 센서, 가속도 센서 등의 물리적인 검지 수단이나, 모터의 전압/전류 패턴을 해석하는 등의 소프트웨어적인 검지 수단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불균형 수정 수단(702)은 드럼(630)에의 금속 이온 첨가수의 공급 후에 실행되는 드럼(630)의 탈수 회전 시에 검지 수단(701)이 불균형을 검지한 경우에, 상기 금속 이온 첨가수의 미공급 시에서의 불균형 검지 시와는 다른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상기 불균형을 수정한다. 이 불균형 수정 수단(702)은 예컨대 제어부(690)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그 밖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의 다른 처리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금속 이온 첨가수를 드럼(630)에 공급하여 교반을 하는 균형 수정 헹굼으로 하고 있다.
탈수 공정에 있어서, 검지 수단(701)이 불균형을 검지한 경우, 불균형 검지가 1회째인 경우에는 불균형 수정 수단(702)은 균형 수정으로서 드럼(630)에의 금속 이온 첨가수의 급수는 하지 않고, 텀블링을 하여 세탁물을 풀고, 다시 탈수에 착수한다. 그리고 한번 균형 수정을 한 후의 탈수에서 검지 수단(701)이 다시 불균형을 검지하고, 다시 균형 수정이 필요해진 경우에는 불균형 수정 수단(702)은 드럼(630)에 금속 이온 첨가수를 공급하면서 텀블링을 하여, 세탁물을 푼다.
여기서, 앞서 헹굼 공정에서 드럼(630)에 금속 이온 첨가수를 공급하여, 세탁물에 대하여 항균 처리를 행하고 있었던 경우에는 드럼(630)에의 급수에 의해 세탁물에 부착되어 있는 일부의 금속 이온을 잃게 되어, 항균성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급수를 하지 않음으로써 세탁물의 항균성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보다도, 급수를 함으로써 세탁물을 푸는 효과 쪽이 커 균형 수정 효과가 크다.
그래서 불균형 수정 수단(702)은 균형 수정 시의 급수에도 금속 이온 첨가수를 사용하여, 이 금속 이온 첨가수를 드럼(630)에 공급함으로써, 세탁물의 항균성 저하를 막고 있다.
또, 탈수를 행할 때까지 금속 이온의 투입이 선택되어 있지 않고, 헹굼 시에 항균 처리를 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불균형 수정 수단(702)은 균형 수정 시에 금속 이온 첨가수의 공급은 하지 않고, 통상의 수돗물을 드럼(630)에 공급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불균형 수정 수단(702)은 항균 처리 후에서의 드럼(630)의 탈수 회전 시의 불균형 수정을 할 때에, 금속 이온 첨가수를 드럼(630)에 공급하여 교반을 하는 균형 수정 헹굼을 하고 있다. 금속 이온 첨가수 의 미공급 시에 불균형을 검지한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통상의 수돗물을 공급하여 불균형 수정을 하지만, 항균 처리를 이미 행한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균형 수정 헹굼이라 하는 금속 이온 첨가수의 미공급 시와는 다른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앞선 항균 처리에 의해 세탁물에 부여된 금속 이온이 씻겨 없어졌다고 해도, 이후의 불균형 수정에서의 금속 이온 첨가수의 공급에 의해, 그 씻겨 없어진 만큼을 확실하게 보충할 수 있다. 따라서 앞선 항균 처리에 의해 세탁물에 부여된 항균 효과를 잃는 일없이 불균형 수정을 할 수 있다. 즉, 세탁물에 대한 항균 처리의 실효성을 담보하면서, 불균형 수정을 할 수 있다.
또한, 앞선 헹굼 공정에서 이미 금속 이온에 의한 항균 처리가 실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불균형 수정 수단(702)은 균형 수정 헹굼에 있어서 드럼(630)에의 금속 이온 첨가수의 공급량을, 그 이전의 공정(헹굼 공정)에서의 금속 이온 첨가수의 공급량보다도 적게 하도록 해도 된다. 이러한 제어를 해도, 탈수 시의 급수에 잃게 되는 금속 이온을, 균형 수정 헹굼에서의 금속 이온 첨가수의 공급에 의해 충분히 보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앞선 금속 이온 첨가수의 공급 공정(헹굼 공정)에서 세탁물에서의 항균 효과를 발휘시키는 데 필요한 양의 금속 이온은 이미 공급이 완료되었으므로, 이후의 균형 수정 헹굼에 의해 씻겨 없어진 만큼을 고려했다고 해도, 항균 효과를 발휘시키는 데 필요한 양의 금속 이온을 전혀 공급할 필요가 없다. 이에 의해, 균형 수정 헹굼에 의해 세탁물의 항균 처리에 이용되지 않고 그대로 씻겨져 버리는 불필요한 금속 이온이 출현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동일한 이유로부터, 앞선 헹굼 공정에 의해 이미 금속 이온에 의한 항균 처리가 실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불균형 수정 수단(702)은 균형 수정 헹굼에 있어서, 드럼(630)에 공급되는 금속 이온 첨가수의 금속 이온 농도를, 그 이전의 공정(헹굼 공정)에서 공급되는 금속 이온 첨가수의 금속 이온 농도보다도 적게 하도록 해도 된다.
또, 상술한 균형 수정은 종형의 세탁기에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금속 이온 첨가수의 공급량의 조정은 불균형 수정 수단(702)이 급수 밸브(50)의 개폐를 조정함으로써 가능하다.
(8. 은 이온 농도의 설정)
다음에, 이온 용출 유닛(100)에 의해 생성되는 금속 이온 첨가수의 은 이온 농도의 설정에 대해 설명한다.
횡 드럼식 세탁기(601)에서는 종형의 세탁기보다도 세탁 시에서의 물의 사용량이 적기 때문에 은 이온 농도를 종형 세탁기와 동등하게 하고 있었던 것은 종형 세탁기인 경우보다도 항균 처리에 이용되는 은 이온량이 적어 세탁물에의 항균 처리를 실효가 있는 것으로 할 수 없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횡 드럼식 세탁기(601)에서의 항균 처리에 제공되는 금속 이온 첨가수(제1 금속 이온 첨가수)의 은 이온 농도와, 그때의 세탁물에서의 항균 효과와의 관계를 조사하여, 횡 드럼식 세탁기(601)에서 항균 효과를 얻는 데 필요한 은 이온 농도를 조사했다.
여기서, 항균 효과의 평가에 대해서는 JIS(일본 공업 규격) L1902 : 2002를 기초로 하는 정량 시험법(균액 흡수법)에 의해 행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세탁 시에 보통 헹굼을 한 천(A1)과 항균 처리(은 이온 코팅)를 한 천(A2)의 각각에, 균액(노란색 포도상구균)을 접종하여, 37 ℃의 온도로 18 시간 보존한 후, 각각의 균 수를 측정하여, 이들의 log 증감치 차이를 정균 활성치로 하고, 이 정균 활성치를 기초로 하여 항균 효과의 평가를 하였다. 세탁은 천 부하 7 ㎏, 헹굼 시 수량 30 L로 행하였다. 예컨대, 18시간 후의 균 수가, 천(A1)이 1.9 × 107개/㎖이며, 천(A2)이 2.4 × 106개/㎖이면, 정균 활성치는 log(1.9 × 107) - 1og(2.4 × 106) = 0.9가 된다. 표 1은 이때의 은 이온 농도와 정균 활성치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표 1]
은 이온 농도(ppb) 0 90 120
정균 활성치 0.1 1.1 2.5
표1의 결과로부터, 은 이온 농도가 단조 증가함에 따라서, 정균 활성치도 단조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정균 활성치가 2 이상이면, 항균 효과가 있다고 인정받고 있다. 따라서 표1로부터는 은 이온 농도가 120 ppb 이상이면, 정균 활성치도 2.5 이상이므로 항균 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여기서, 은 이온 농도와 정균 활성치의 관계를 다시 조사하기 위해, 표1의 결과로부터 은 이온 농도와 정균 활성치의 관계의 그래프화를 시도했다. 도14는 표1의 결과를 기초로 하여 은 이온 농도와 정균 활성치의 관계를 그래프화한 것이 다.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은 이온 농도를 횡축(x축)에, 정균 활성치를 세로축(y축)에 취하였을 때, 표1의 은 이온 농도와 정균 활성치를 양 좌표에 갖는 3점을 순조롭게 잇는 곡선은 단조 증가의 함수인 y = 0.0998 exp(0.0268x)에서 근사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함수로부터, 정균 활성치가 2가 되는 은 이온 농도, 즉 y = 2가 될 때의 x의 값을 구하면, x = 112이다.
따라서 정균 활성치가 2 이상이면, 항균 효과가 있다고 인정받고 있으므로, 도14로부터 은 이온 농도가 112 ppb 이상이면 항균 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검지 수단(701)이 탈수 시의 불균형을 검지하여, 불균형 수정 수단(702)에 의한 균형 수정이 행해진 경우의 시험도 실시했다. 균형 수정 시의 급수량을 12.4 L, 농도를 48 ppb로 했지만, 정균 활성치는 2 이상으로 유지되고 있어, 항균성은 유지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동일한 구성의 세탁기(601)로 은 이온 농도 120 ppb, 천 부하 7 ㎏, 헹굼 시 수량 30 L로 하여, 디프테로이드에 대한 항균 성능의 평가도 행하였다. 평가 방법으로서는 JIS(일본 공업 규격) L1902 : 2002를 기초로 하는 정량 시험법(균액 흡수법)을 참고로, 디프테로이드의 일종인 코리네박테륨 크세로시스에 균종을 변경하여 시험을 실시했다. 그 결과, 항균 처리(은 이온 코팅)를 한 천과 JIS L1902의 균액 흡수법에서 정해진 컨트롤 천과의 18 시간 후의 균 수의 차이의 대수치는 2.1이었다.
JIS L1902의 균액 흡수법에서는 디프테로이드와는 다른 균종(노란색 포도상 구균)이기는 하지만, 균 수의 차이의 대수치가 2.0 이상으로 항균성이 있다고 하고 있다. 또한, JIS Z2801이나 전국 가정 전기제품 공정거래 협의회의「균 등의 억제에 관한 용어 사용 기준」등의 항균 성능이나 제균 성능을 측정하는 시험에 있어서도, 균 수의 차이의 대수치가 2.0 이상이다라고 하는 것이 항균력·제균력을 평가하는 하나의 목표가 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한 시험 결과로부터, 상기 조건 하에서는 디프테로이드에 대한 항균력도 있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은 이온 농도가 900 ppb를 넘는 물(금속 이온 첨가수)로 세탁물의 헹굼을 반복한바, 헹굼 횟수가 3회일 때는 세탁물에 외견상의 변화는 인정받을 수 없었지만, 헹굼 횟수가 5회가 되면, 태양 건조 후의 반사율이 헹굼 전과 비교하여, 3 % 저하했다. 이것은 은 화합물에 유래하는 검은 변색물이 세탁물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백색의 세탁물에서는 그와 같은 흑화물의 부착은 눈에 띄기 쉽고, 또한 백색이 아닌 세탁물이라도 세탁을 반복하면, 흑화물이 눈에 띄게 될 가능성도 있다. 이에 의해, 은 이온 농도의 상한은 900 ppb이다고 생각할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횡 드럼식 세탁기(601)에 있어서 이온 용출 유닛(100)으로부터 용출되는 금속 이온(은 이온)이 첨가된 금속 이온 첨가수에서의 은 이온 농도는 112 ppb 이상 900 ppb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20 ppb 이상 900 ppb 이하이면, 더욱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횡 드럼식 세탁기(601)는 전극(113·114)으로부터 금속 이온을 용출시켜 물에 첨가하는 이온 용출 유닛(100)과, 회전축이 수직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세탁물이 수용되는 드럼(630)을 구비한 세탁 기이고, 상기 금속 이온은 은 이온이며, 금속 이온 첨가수(제1 금속 이온 첨가수)에서의 은 이온 농도가 112 ppb 이상인 구성이다.
이에 의해, 예컨대 종형의 세탁기에서의 세탁물의 항균 처리에 제공되는 제2 금속 이온 첨가수(은 이온 농도 ; 3 내지 50 ppb)와 비교하여, 동일 수량에 포함되는 은 이온량이 많기 때문에, 원래 물의 사용량이 적은 횡 드럼식 세탁기(601)에서도 세탁물에 대한 항균 효과를 발휘하는 데 필요한 은 이온량(정균 활성치가 2 이상이 되는 은 이온량)을 최저한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횡 드럼식 세탁기(601)에 있어서도, 종형 세탁기에서의 항균 처리에 의해 얻을 수 있는 항균 효과와 동등 혹은 그 이상의 항균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세탁물에 대한 항균 처리를 확실하게 행하여, 항균 효과를 확실하게 발휘시킬 수 있다.
특히, 제1 금속 이온 첨가수에서의 은 이온 농도가 120 ppb 이상이면, 은 이온 농도 112 ppb일 때보다도, 더욱 많은 양의 은 이온을 물에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금속 이온 첨가수의 양이 은 이온 농도 112 ppb일 때와 같은 양이었던 경우에는 그와 같은 은 이온 농도(112 ppb)의 제1 금속 이온 첨가수를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은 이온에 의한 항균 효과를 더욱 발휘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금속 이온 첨가수의 양이 은 이온 농도가 112 ppb일 때보다도 적은 경우라도, 그와 동등한 이온량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항균 효과를 얻으면서 또한 물의 양을 줄일 수 있어, 절수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하는 이점도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횡 드럼식 세탁기(601)에서는 제1 금속 이온 첨가수에서의 은 이온 농도가 900 ppb 이하인 구성이다. 이로써, 은 이온량의 과다에 의해 은 화합물(흑화물)이 발생하여 세탁물에 부착되어, 세탁물이 더러워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금속 이온의 농도 제어를 함으로써, 수량 변화가 있더라도 항균 처리에 필요한 금속 이온량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본 실시 형태의 횡 드럼식 세탁기(601)는 아래와 같이 표현할 수도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의 횡 드럼식 세탁기(601)는 세탁물이 수용되는 수용조[드럼(630)]와, 전극(113·114)으로부터 금속 이온을 용출시켜 물에 첨가하여, 금속 이온 첨가수를 상기 수용조에 공급하는 이온 용출 유닛(100)을 구비한 세탁기이며, 이온 용출 유닛(100)으로부터 드럼(630)에 공급되는 금속 이온 첨가수의 수량에 따라서, 상기 금속 이온 첨가수의 금속 이온 농도를 변화시키는 제어부(690)(제어 수단)를 구비하고 있는 구성이다.
예컨대, 세탁물의 양이 일정한 경우, 드럼(630)에 공급하는 금속 이온 첨가수의 수량을 적게 하면, 제어부(690)가 상기 금속 이온 첨가수의 금속 이온 농도를 예컨대 112 ppb 이상으로 증대시킨다. 이러한 농도 제어에 의해, 금속 이온 첨가수의 공급량이 적은 경우라도, 상기 세탁물에 대한 항균 효과를 발휘하는 데 필요한 금속 이온량을 확보할 수 있어, 세탁물에 대한 항균 처리를 확실하게 행하여 항균 효과를 확실하게 발휘시킬 수 있다.
또한, 반대로 드럼(630)에 공급하는 금속 이온 첨가수의 수량을 많게 하면, 제어부(690)가 상기 금속 이온 첨가수의 금속 이온 농도를 예컨대 112 ppb 이상이 되는 범위로 감소시킨다. 금속 이온 농도가 일정한 경우, 금속 이온 첨가수의 물 량이 증대하면, 이에 수반하여 그에 포함되는 금속 이온량도 증대하지만, 지나치게 증대하면 여분의 금속 이온은 세탁물의 항균 처리에 제공되지 않고서 배수로 그대로 흐르게 되어 낭비가 된다. 또한, 세탁물에 부착되는 금속도 증대하여, 세탁물이 더러워지는 사태도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의 농도 제어에 의해 이러한 문제점을 회피할 수 있다.
또, 제어부(690)는 이온 용출 유닛(100)으로부터 드럼(630)에 공급되는 금속 이온 첨가수의 공급 수위에 따라서, 상기 금속 이온 첨가수의 금속 이온 농도를 변화시키는 구성이라도 좋고, 이 경우에서도 상기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온 용출 유닛(100)으로부터 드럼(630)에 공급되는 금속 이온 첨가수의 수량이 변화되면, 욕비(浴比)도 변화된다. 여기서, 욕비란 세탁물의 양(kg)과 상기 드럼(630)에 공급되는 물의 수량(L)과의 비(L/kg)를 나타내는 것, 바꿔 말하면 세탁물 1 ㎏당의 사용 수량을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제어부(690)는 욕비에 따라서 상기 금속 이온 첨가수의 금속 이온 농도를 변화시키는 구성이라도 좋다고 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690)는 욕비가 작아지면 상기 금속 이온 농도를 예컨대 112 ppb 이상으로 증대시키는 한편, 욕비가 커지면 상기 금속 이온 농도를 예컨대 정균 활성치가 2 이상이 되는 범위로 감소시키는 제어를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또, 드럼(630)에 투입된 세탁물의 양(총 중량, 부하량)은 도시하지 않은 검지 수단에 의해 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제어부(690)는 상기 검지 수단으 로 검지된 세탁물의 양과, 조작 패널(616)에서 설정되는 사용 수량을 기초로 하여 욕비를 연산하고, 이 욕비에 따라서 금속 이온 농도를 변화시키게 된다.
이 구성이라도, 욕비의 변화에 관계없이 세탁물의 양에 따라서 필요한 금속 이온량을 항상 확보할 수 있다. 그 결과, 수용조에 공급하는 금속 이온 첨가수의 수량 변화가 있어, 욕비가 변화된 경우라도 소정량의 세탁물에 대한 항균 처리를 확실하게 행하여 항균 효과를 확실하게 발휘시킬 수 있다. 아울러, 필요 이상의 금속 이온이 세탁물의 항균 처리에 제공되지 않고서 배수로 그대로 흘러 낭비가 되거나, 세탁물에 부착되는 금속의 증대에 의해 세탁물이 더러워지거나 하는 것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천 부하 7 ㎏, 헹굼 시 수량 30 L의 조건, 즉 세탁물의 천 부하 7 ㎏을 욕비 4.3 L/kg의 조건으로 여러 가지 실험을 한 결과를 나타내었지만, 이 결과로부터 세탁물의 천 부하 7 ㎏을 욕비 4.3 L/kg 이하로 세탁이나 헹굼 등을 하는 세탁기에서는 금속 이온 농도를 112 ppb 이상(더욱 바람직하게는 120 ppb 이상)으로 함으로써 금속 이온을 첨가한 세탁물에서의 정균 활성치를 2 이상으로 할 수 있어, 양호한 항균 효과를 세탁물에 줄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욕비 5L/kg(세탁물의 천 부하 7 ㎏) 이하로 세탁을 하는 세탁기에서는 세탁물의 정균 활성치는 2 이상 혹은 그에 가까운 값을 얻을 수 있다고 생각되어, 양호한 항균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생각된다.
즉, 세탁물에 사용하는 금속 이온 첨가수의 욕비가 5L/kg(세탁물의 천 부하 7 ㎏) 이하인 경우에는 제어부(690)가 이온 용출 유닛(100)으로부터 공급되는 금속 이온 첨가수의 금속 이온 농도를 112 ppb 이상[바람직하게는, 욕비 4.3 L/kg(세탁물의 천 부하 7 ㎏) 이하이면 금속 이온 농도 120 ppb 이상]이 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세탁물에 항균 효과를 확실하게 줄 수 있다고 생각된다. 이에 의해, 불필요한 양의 금속 이온을 소비하지 않고, 충분한 정균 활성치를 얻을 수 있는 금속 이온을 세탁물에 첨가할 수 있다.
바꿔 말하면, 저욕비로 동작하는 세탁기에서의 필요 최저량의 금속 이온 농도를 설정함으로써, 원래 흡수성이 높은 것이나 낮은 것이 혼재하는 세탁물에 대하여, 낮은 금속 이온 농도이면 충분한 항균 효과를 줄 수 없고, 또한 지나칠 정도로 높은 금속 이온 농도에서는 불필요한 금속 이온을 소비하게 된다고 하는 세탁기 특유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어, 효율적인 금속 이온에 의한 항균 효과를 세탁물에 줄 수 있다.
또, 이상에서는 금속 이온 농도의 제어를 제어부(690)에 의해 행하고 있지만, 금속 이온 농도를 112 ppb 이상(바람직하게는 120 ppb 이상) 900 ppb 이하가 되는 범위 내에서, 금속 이온 농도를 미리 설정해 두는 구성으로 해도 물론 상관없다.
또한, 유효한 정균 활성치(예를 들면 2 이상)를 얻는 데 적합한 일정량의 세탁물(예컨대 7 ㎏)에 사용하는 일정 농도 또한 일정 수량의 금속 이온 첨가수(예컨대 90 ppb에서 42 L)를 금속 이온을 첨가하는 경우의 기준욕비(6L/kg)로 하고, 상기 금속 이온 농도 90 ppb를 기준욕비에 있어서 항균 효과가 발휘되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는 정균 활성치를 얻을 수 있는 경우의 농도(기준 농도)로 하면, 본 발명 에서는 이하의 제어를 해도 좋다.
즉, 제어부(690)는 금속 이온 농도가 미리 정한 기준 농도가 되도록 이온 용출 유닛(100)에 의한 금속 이온의 용출량을 제어할 때, 세탁·헹굼·탈수·건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공정에서 사용하는 사용수량의 욕비가 이와 동일한 양(총 중량, 부하량)의 세탁물에서의 기준욕비에 대하여 작아진 경우에는 상기 금속 이온 농도를 기준 농도보다도 높게 하고, 상기 공정에서의 욕비가 이와 동일량의 세탁물에서의 기준욕비에 대하여 커진 경우에는 상기 금속 이온 농도를 상기 일정한 기준 농도로 유지하거나 또는 상기 기준농도보다도 낮게 하는 제어를 해도 좋다.
이러한 금속 이온 농도 제어에 의해 어떻게 욕비가 변화되어도 사용하는 세탁물의 양에 따라서 결정되는 항균 효과를 발휘하는 데 필요한 금속 이온량(예컨대 정균 활성치 2 이상이 되는 금속 이온량)을 거의 과부족 없이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욕비가 변화해도, 사용하는 금속 이온의 낭비를 줄이면서 사용하는 세탁물에 대하여 항균 효과를 확실하게 부여할 수 있어, 욕비의 변화에도 충분히 대응할 수 있다.
이상의 점으로부터, 본 실시 형태의 세탁기(1)는 급수 수량, 급수 수위, 욕비가 어떻게 변화해도, 금속 이온을 첨가한 세탁물의 정균 활성치가 2 이상이 되도록 제어부(690)가 이온 용출 유닛(100)으로부터 공급되는 금속 이온 첨가수의 금속 이온 농도를 변화시키는 제어를 하면 좋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이상의 점으로부터 횡 드럼식 세탁기(601)는 전극(113·114)으로부터 금속 이온을 용출시켜 물에 첨가하는 이온 용출 유닛(100)과 회전축이 수직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세탁물이 수용되는 드럼(630)을 구비한 세탁기이며, 상기 금속 이온은 은 이온이며, 상기 드럼(630) 내의 세탁물의 항균 처리에 제공되는 제1 금속 이온 첨가수에 포함되는 은 이온량이 회전축이 수직 방향이 되도록 세탁조가 배치되는 종형 세탁기에서의 세탁물의 항균 처리에 필요한 양의 제2 금속 이온 첨가수에 포함되는 은 이온량 이상이 되도록, 상기 제1 금속 이온 첨가수에서의 은 이온 농도가 설정되어 있는 구성이라고도 할 수 있다.
또한, 횡 드럼식 세탁기(601)는 전극(113·114)으로부터 금속 이온을 용출시켜 물에 첨가하는 이온 용출 유닛(100)과 회전축이 수직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세탁물이 수용되는 드럼(630)을 구비한 세탁기이고, 상기 금속 이온은 은 이온이며, 상기 드럼(630) 내의 세탁물의 항균 처리에 제공되는 제1 금속 이온 첨가수의 은 이온 농도가 회전축이 수직 방향이 되도록 세탁조가 배치되는 종형 세탁기에서의 세탁물의 항균 처리에 필요한 제2 금속 이온 첨가수의 양보다도 적은 수량으로, 상기 제2 금속 이온 첨가수에 의한 항균 효과와 동등한 항균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농도로 설정되어 있는 구성이라고도 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금속 이온으로서, 주로 은 이온을 사용하는 예에 대해 설명했지만, 수량이나 욕비에 따라서 금속 이온 첨가수의 금속 이온 농도를 변화시키는 본 발명의 구성은 금속 이온으로서 동 이온이나 아연 이온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물론 적용할 수 있다. 또한, 그 경우라도 금속 이온의 농도 변화의 적정한 범위는 약 112 ppb 이상 900 ppb 이하, 바람직하게는 120 ppb 이상 900 ppb 이하라고 생각할 수 있다.
(9. 금속 이온 첨가수의 수량 제어)
다음에, 이온 용출 유닛(100)으로부터 공급되는 금속 이온 첨가수의 수량 제어에 대해 설명한다.
횡 드럼식 세탁기(601)에서의 세탁 공정은 세탁 공정, 헹굼 공정, 탈수 공정, 필요에 따라서 건조 공정의 복수의 개별 공정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어 수단으로서의 제어부(690)가 이온 용출 유닛(100)으로부터의 금속 이온(은 이온)의 용출을 상기 어느 하나의 개별 공정 중에서 행하는 동시에, 상기 금속 이온의 용출을 하는 개별 공정의 수량을, 다른 공정의 수량보다도 증대시키는 제어를 행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금속 이온의 용출을 상기 개별 공정으로서의 헹굼 공정 중에서 행하고 있지만, 이때 제어부(690)는 상기 헹굼 공정의 수량을, 그 전에 행해지는 세탁 공정의 수량보다도 증대시키는 제어를 행하고 있다. 예를 들어, 세탁 공정에서의 수량이 20 L이면, 헹굼 공정에서의 수량은 예컨대 30 L이다.
또, 이러한 수량 제어는 제어부(690)가 상기 개별 공정마다 급수 밸브(50)의 개폐를 조절함으로써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690)는 수위 센서(도시하지 않음)가 소정 수위를 검출할 때까지 급수 밸브(50)를 계속 개방하면서 소정 수위를 검출하면 급수 밸브(50)를 폐쇄함으로써, 수량을 조절한다. 또한, 여기서는 금속 이온 용출 공정에서 용출된 금속 이온(은 이온)이 첨가된 물(금속 이온 첨가수)의 은 이온 농도는 항균 처리에 적합한 범위인 상술한 112 ppb 이상 900 ppb 이하라고 한다.
이와 같이, 제어부(690)가 은 이온의 용출을 하는 개별 공정(예컨대 헹굼 공정)에서의 수량을, 다른 개별 공정(예컨대 세탁 공정)에서의 수량보다도 많게 하는 제어를 함으로써, 드럼(630) 속의 세탁물(예컨대 천)이 그 개별 공정(헹굼 공정)에서 물에 의해 잠기기 쉬워진다. 이 결과, 용출된 은 이온이, 더욱 균일하게 세탁물에 부착되기 쉬워진다. 따라서 세탁물에서의 항균 효과를 세탁물 전체에 걸쳐 더욱 균일하게 얻을 수 있어, 항균 처리를 보다 실효가 있는 것으로 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690)가 은 이온의 용출을 헹굼 공정 중에서 행하고, 헹굼 공정에서의 수량을, 그 앞의 세탁 공정에서의 수량보다도 증대시키는 제어를 행함으로써 세탁 공정에서 오염이 제거된 세탁물의 헹굼 시에, 세탁물이 균일하게 헹굼수(금속 이온 첨가수)에 잠겨, 헹굼수에 포함되는 은 이온이 세탁물 전체에 의해 균일하게 부착된다. 따라서 헹굼 시에서의 항균 처리에 의해, 세탁물 전체에 걸쳐 균일한 항균 효과를 확실하게 얻을 수 있다.
(10. 드럼 회전 제어)
다음에, 헹굼 공정에서의 드럼(630)의 회전 제어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11의 흐름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이온 용출 유닛(100)으로부터의 금속 이온(은 이온)의 용출은 도6의 헹굼 공정의 흐름 중, 예컨대 단계 S401의 급수의 단계, 즉 단계 S500의 중간 탈수 공정 후에 수행되고 있다. 이때, 제어부(690)는 상기 중간 탈수 후에, 금속 이온 첨가수를 드럼(630)에 급수하고 드럼(630)을 회전시킴으로써, 드럼(630) 내면에 들러붙은 세탁물을 상기 금속 이온 첨가수에 침지시키는 제어를 행하고 있다. .
종형의 세탁기인 경우, 탈수 시의 세탁조의 고속 회전에 의해 탈수 후의 세탁물(예컨대 천)이 세탁조 내면의 전면에 강하게 들러붙어 버리므로, 그 후 세탁물의 전부에 대하여 은 이온 처리를 하는 경우에는 세탁조 내의 은 이온수의 수위를 높여, 모든 세탁물을 은 이온수에 담그고, 세탁물을 세탁조 내면으로부터 떼어내기 위해 세탁물을 강하게 교반할 필요가 있다.
이로 인해, 종형의 세탁기에서는 헹굼 공정에서의 중간 탈수 후에 은 이온 급수를 하여, 예컨대 10분간의 은 이온 헹굼을 하는 경우, 예컨대 최초의 4분간은 펄세이터를 1.9초간 온하는 한편, 0.7초간 오프하여 세탁물을 강하게 교반하게 된다. 또, 펄세이터에 의한 교반은 천(세탁물)을 상하게 하는 작용이 강하고, 또한 모터에의 부하도 커서 10분간 행할 수 없으므로 최초의 4분간만 교반을 하는 것이 보통이다.
이에 반해, 본 실시 형태의 횡 드럼식 세탁기(601)에서는 드럼(630)이 횡축 회전 혹은 그에 가까운 회전이므로, 드럼(630)의 회전에 의한 중간 탈수에 의해 드럼(630)의 내면에 세탁물이 들러붙어도, 드럼(630)을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상기 세탁물을 드럼(630) 내에 급수된 금속 이온 첨가수에 침지시킬 수 있다. 또, 드럼(630)이 회전을 계속하면, 드럼(630) 내면에 들러붙은 세탁물은 금속 이온 첨가수에의 침지와 상기 물로부터의 이탈을 반복한다.
또한, 중간 탈수 후의 세탁물은 드럼(630)의 내면에 들러붙어 있어 부피가 커지지 않으므로, 은 이온수(금속 이온 첨가수)의 드럼(630) 내에서의 수위가 낮더 라도, 상기 은 이온수에 잠기기 쉬워진다. 따라서 금속 이온 첨가수를 사용하지 않는 통상의 헹굼 시의 욕비에 대하여, 중간 탈수 후의 금속 이온 첨가수에 의한 헹굼의 욕비를 작게 하여, 은 이온 농도를 높이는 제어를 하여 절수해도 된다.
따라서 횡 드럼식 세탁기(601)에서는 중간 탈수 후의 항균 처리에 있어서, 종형 세탁기의 세탁조일수록 드럼(630)을 고속으로 회전시킬 필요가 없다. 이 결과, 드럼(630) 내의 세탁물을 강하게 교반시키지 않아도 되어, 예컨대 10분간, 비교적 원만한 회전 속도(예를 들면 50회전/분)로 드럼(630)을 회전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세탁물의 교반에 수반하는 손상(예컨대 천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드럼(630)의 저속 회전에 의해, 그 구동 수단(예컨대 모터)의 부하를 경감할 수도 있어, 구동 수단 나아가서는 횡 드럼식 세탁기(601)에서의 소비 전력을 줄일 수도 있다.
특히, 제어부(690)는 10회전/분 이상 120회전/분 이하의 비교적 저속인 회전 속도로 드럼(630)을 회전시킴으로써, 드럼(630) 내면에 들러붙은 세탁물을 상기 금속 이온 첨가수에 침지시킴으로써, 상기한 효과를 확실하게 얻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작용 효과를 발휘하므로, 본 실시 형태의 세탁기(601)는 세탁물을 수용하는 수용조가 회전축이 수직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도록 설치되는 드럼(630)이며, 상기 세탁물의 세탁 공정은 헹굼 공정을 포함하고 있고, 제어부(690)(제어 수단), 이온 용출 유닛(100)에서의 금속 이온의 용출을 상기 헹굼 공정 안에서 행하는 동시에, 상기 헹굼 공정에서의 중간 탈수 후에 금속 이온 첨가수를 드럼(630)에 급수하고, 드럼(630)을 회전시킴으로써, 드럼(30) 내면에 들러붙은 세탁물 을 상기 금속 이온 첨가수에 침지시키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11. 세탁기 내의 항균·항곰팡이 효과)
다음에, 횡 드럼식 세탁기(601)의 세탁기 내의 항균·항곰팡이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횡 드럼식 세탁기(601)에서는 드럼(630)이나 수조(620)가 거의 옆으로 배치되므로, 세탁물을 세탁기(601)의 정면에서 넣는 경우가 많다. 그로 인해, 드럼(630)에 세탁물을 수용하기 위한 덮개인 도어(612)는 통상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탁기(601)의 정면에 설치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세탁기(601)의 상면 이외의 면에 도어(612)를 설치하면, 그곳에서 물이 샐 가능성이 있다. 그로 인해, 세탁기(601)에서는 도어 패킹(613)을 마련하고 있어, 도어(612)를 닫았을 때에 도어(612)와 본체(610)의 밀봉성이 높아 본체(610) 내부를 밀폐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횡 드럼식 세탁기(601)에서는 종형의 세탁기와 달리, 사용하지 않을 때에 도어(612)를 열어 두는 것도 공간적인 면에서 어렵다.
따라서 횡 드럼식 세탁기(601)에서는 세탁 종료 후에 세탁기(601) 내부에 남은 물이 건조되기 어려운 상황에 있다. 또한, 횡 드럼식 세탁기(601) 안에는 시스템 키친에의 조립 수요에 의해, 펌프에 의한 배수를 하는 경우도 있지만, 특히 이 경우, 중력에 의한 자연 배수와 비교하여 남은 물 자체가 많아진다.
또한, 최근은 종형의 세탁기에 있어서도, 건조 기능이 있어 건조 시의 열이나 습기 혹은 발생하는 먼지를 외부로 새게 하지 않아, 밀폐성이 높은 구조로 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기종에서는 횡 드럼식의 세탁기(601)와 마찬가지로, 세탁기 내에 물이 남기 쉽다.
이와 같이 세탁기 내에 물이 남아 있으면, 이 남은 물이 부패하여 악취를 발하거나, 곰팡이도 번식되기 쉬워져 위생적으로 좋지 않다. 특히, 세탁기 내는 세탁물에 부착되어 있던 오염이나 세제 찌꺼기 등의 영양분이 풍부하여 균, 곰팡이 등이 증식하기 쉽다. 또한, 그와 같은 균이 세탁물에 부착되면, 세탁물이 더러워지거나, 세탁이 완료된 의류를 몸에 착용했을 때에, 피부에 악영향을 줄 가능성도 있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하의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이러한 문제점을 회피하도록 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횡 드럼식 세탁기(601)에서는 세탁 공정에서의 전 개별 공정(세탁 공정, 헹굼 공정, 탈수 공정, 필요에 따라서 건조 공정)이 종료된 후에 세탁기 내에 잔존하는 물[더욱 상세하게는 이온 용출 유닛(100)으로부터 배수관(664)을 통한 배수 경로 내에 잔존하는 물]이, 이온 용출 유닛(100)으로부터 용출되는 금속 이온(은 이온)을 포함하는 금속 이온 첨가수(은 이온수)로 되어 있다. 이것은 제어부(690)가 세탁 공정 중, 물을 필요로 하는 최종 개별 공정에서 이온 용출 유닛(100)으로부터 금속 이온을 용출하여 상기 물에 첨가하는 제어를 함으로써 실현 가능하다.
예컨대, 세탁 모드에 의해 건조 공정이 실행되지 않는 경우에는 도4의 흐름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부(690)는 물의 공급을 필요로 하는 개별 공정의 최 종 공정[헹굼 공정의 최종 헹굼 공정(도4의 단계 S400-3)]에 있어서, 상술한 은 이온 급수를 한다. 이 경우, 드럼(630) 내에 급수된 은 이온수는 세탁물의 항균 처리에 제공된 후, 탈수 공정에 의해 탈수되어 세탁기 밖으로 배수된다. 이때, 상기 은 이온수는 완전히 세탁기 밖으로 배출되는 것은 아니고, 완전히 배출되지 않고서 조금 드럼(630) 안이나 배수 경로[예컨대 배수관(664)] 안에 남는 것이 보통이다. 또한, 물의 공급을 필요로 하는 최종 개별 공정 종료 후는, 그 후에 드럼(630) 안이나 배수 경로를 다른 물이 흐르는 일도 없다.
또한, 상기 최종 공정이 수냉 제습에 의한 건조 공정인 경우에는 제어부(690)는 상기 건조 공정에 있어서 이온 용출 유닛(100)으로부터 용출되는 금속 이온을, 드럼(630)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수에 첨가하는 제어를 한다. 이 경우, 상기 공기의 냉각이 끝난 후는 상기 냉각수는 배수 경로[예컨대 배수관(664)]를 거쳐서 세탁기 밖으로 배출된다. 이 경우라도, 상기 냉각수는 완전히 세탁기 밖으로 배출되는 것은 아니고, 완전히 배출되지 않고서 조금 상기 배수 경로 안에 남는 것이 보통이다. 또한, 건조 공정은 세탁 공정의 최종 공정이므로, 그 후에 상기 배수 경로를 다른 물이 흐르는 일도 없다.
또, 수냉 제습 방식을 채용하는 건조 공정에서는 상기 냉각수가 필요하고, 건조 공정은 세탁 공정의 최종에서 행해지는 개별 공정이므로, 상기 건조 공정은 세탁 공정 중에서도 물의 공급을 필요로 하는 최종 개별 공정이라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제어부(690)(제어 수단)는 세탁물의 세탁 공정을 구성하는 적어도 1개의 개별 공정이 실행될 때에, 그 개별 공정 중 물을 필요로 하는 최종 개 별 공정에서, 이온 용출 유닛(100)으로부터 금속 이온을 용출시켜 물에 첨가시키는 제어를 한다. 이에 의해, 세탁 공정의 전 개별 공정이 종료된 후는 기기 내[이온 용출 유닛(100)으로부터 배수관(664)을 통한 배수 경로 중]에 물이 잔존한다고 해도, 그 잔존하는 물이 금속 이온 첨가수가 된다.
여기서, 세탁기 내에 잔존하는 물이 보통의 수돗물이면, 그 물이 부패하여 악취를 발하거나, 곰팡이가 번식하는 일도 있다. 특히, 횡 드럼식 세탁기(601)에서는 전방면의 도어(612) 등으로부터 물이 새는 것을 막을 필요가 있으므로, 종형의 세탁기와 비교하여 밀폐성이 높고, 게다가 특히 세탁기 내의 드럼(630) 안에 잔존하는 물이 증발하기 어려워 악취나 곰팡이가 발생하기 쉬운 것은 상술한 바와 같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의 상술한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최종 공정 종료 후에 세탁기 내에 잔존하는 물이 항균성을 갖는 금속 이온수이므로, 밀폐성이 높은 세탁기 내에서도, 상기 금속 이온수에 포함되는 금속 이온(은 이온)에 의한 항균 작용에 의해 남은 물에서 악취가 발생하거나, 남은 물이 원인이 되어 기기 내에서 곰팡이가 번식되는 것을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위생적으로 우수한 횡 드럼식 세탁기(601)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물을 필요로 하는 상기 최종 개별 공정이 수용조에 수용되는 세탁물을 헹구는 헹굼 공정일 때는 제어부(690)는 상기 헹굼 공정에 있어서 이온 용출 유닛(100)으로부터 용출되는 금속 이온을, 상기 수용조에 공급되는 물에 첨가시키는 구성이다. 이에 의해, 헹굼 공정 종료 후에 기기 내에 잔존하는 금속 이온 첨가수에 의해, 악취나 곰팡이의 발생을 억제하여 위생적인 면을 확실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최종 개별 공정이 세탁물을 수용하는 수용조에 온풍을 공급하여 세탁물을 건조하는 동시에, 상기 수용조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냉각수에 의해 냉각하는 건조 공정인 경우에는 제어부(690)는 상기 건조 공정에 있어서, 이온 용출 유닛(100)으로부터 용출되는 금속 이온을 상기 냉각수에 첨가시키는 구성이다. 이에 의해, 건조 공정 종료 후에 세탁기 내에 잔존하는 금속 이온 첨가수에 의해 악취나 곰팡이의 발생을 억제하여 위생적인 면을 확실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런데 이상에서는 수용조[드럼(630)]로부터 물이 배출되는 배출 경로(이하, 제1 배출 경로라고도 칭함)와, 건조 공정에서 사용되는 냉각수의 배출 경로(이하, 제2 배출 경로라고도 칭함)가 공통되는 것을 전제로 이야기를 진행시켰지만, 세탁기(601)의 구조상, 반드시 그와 같이 배출 경로를 공통으로 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도 있다. 즉, 제1 배출 경로와 제2 배출 경로가 그 일부 또는 전부가 다르게 설치되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이 제1 배출 경로와 제2 배출 경로 중 적어도 일부가 다른 경우, 세탁물의 세탁 공정을 구성하는 개별 공정으로서, (1) 상기 수용조에 온풍을 공급하여 세탁물을 건조하는 동시에, 상기 수용조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냉각수에 의해 냉각하는 건조 공정과, (2) 상기 건조 공정의 직전에서 상기 수용조에 물을 공급하는 공정(예컨대 헹굼 공정)이, 선택된 세탁 모드에 따라서 양쪽 모두 실행되면, 물을 필요로 하는 최종 개별 공정은 상기 (1)의 공정이 되므로, 상기 최종 개별 공정 에서 사용하는 냉각수에만 금속 이온을 첨가시켜도, 제2 배출 경로 중에 금속 이온 첨가수를 남길 수 있지만, 제1 배출 경로 중에 금속 이온 첨가수를 남길 수 없다.
그래서 제1 배출 경로와 제2 배출 경로 중 적어도 일부가 다르고, 상기 (1)(2)의 공정이 양쪽 모두 실행되는 경우에는 제어부(690)는 이온 용출 유닛(100)으로부터 용출되는 금속 이온을, 상기 (2)의 공정에서 상기 수용조에 공급되는 물과 상기 (1)의 건조 공정에서 사용되는 상기 냉각수와의 양쪽에 첨가시키는 제어를 하도록 하면 좋다.
이에 의해, 상기 (1)(2)의 각 공정의 종료 후는 제1 및 제2 각각의 배출 경로에 있어서, 최종적으로 금속 이온 첨가수를 남길 수 있다. 따라서 기기 내의 각각의 배출 경로 내의 남은 물의 부패에 의한 악취 발생이나 곰팡이의 번식을 억제할 수 있어, 위생적으로 우수한 세탁기를 실현할 수 있다.
(12. 기타)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발명의 주지를 일탈하지 않은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변경을 가하여 실시할 수 있다.
예컨대, 이온 용출 유닛(100)의 배치 부위는 급수 밸브(50)로부터 급수구(53)까지의 사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접속관(51)으로부터 급수구(53)까지의 사이이면 어디라도 좋다. 즉 급수 밸브(50)의 상류측에 둘 수도 있다. 이온 용출 유닛(100)을 급수 밸브(50)보다 상류에 두는 것으로 하면, 이온 용출 유닛(100)은 항상 물에 잠겨 있게 되어, 밀봉 부재가 건조되어 변질하여 물이 새는 등의 일이 없어진다.
또한, 이온 용출 유닛(100)을 외부 상자(10)의 밖에 두어도 좋다. 예컨대 이온 용출 유닛(100)을 교환 가능한 카트리지의 형상으로 하고, 접속관(51)에 나사 삽입 등의 수단으로 부착하여, 이 카트리지에 급수 호스를 접속하는 등의 구성을 생각할 수 있다.
카트리지 형상으로 하는지의 여부는 별도로 하여, 이온 용출 유닛(100)을 외부 상자(10)의 밖에 두는 것으로 하면, 세탁기(1)의 일부에 설치한 문을 열거나, 패널을 제거하거나 하지 않고 이온 용출 유닛(100)을 교환할 수 있어, 보수가 편리하다. 게다가 세탁기(1) 내부의 충전부에 닿는 일이 없으므로 안전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외부 상자(10)의 밖에 둔 이온 용출 유닛(100)에는 구동 회로(120)로부터 연장한 케이블을 방수 커넥터를 거쳐서 접속하여 전류를 공급하면 좋지만, 구동 회로(120)로부터의 급전에 의존하지 않고 전지를 전원으로 하여 구동하는 것으로 해도 좋고, 급수의 물흐름에 접하도록 수차를 구비한 수력 발전 장치를 전원으로서 구동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온 용출 유닛(100)을 독립된 상품으로서 판매하여, 세탁기 이외의 기기에의 탑재를 촉진해도 좋다.
또한, 이온 용출 유닛(100)을 수조(620) 내에서, 소정 수위까지 급수되었을 때에 물에 잠기는 위치에 배치해도 된다. 그렇게 하면 이온 용출 유닛(100)이 수조(620) 내의 물에 잠겨 있을 때는 급수의 타이밍과 무관하게 언제나 금속 이온을 용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금속 이온을 용출시키는 데 충분한 시간을 들일 수 있 어, 금속 이온을 고농도로 사용하거나 혹은 소정 농도를 얻는 데 낮은 전류 및 전압으로 끝내거나 할 수 있다.
또한, 이온 용출을 위해 세탁 공정에 급수 시퀀스를 마련할 필요가 없으므로, 세탁의 전 공정에 요하는 시간을 길게 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드럼(630)에 급수하는 물 중에 금속 이온을 첨가하는 경우, 금속 이온의 용출에 필요한 시간을 확보하기 위해, 급수 유량을 줄일 필요도 생긴다. 이것은 세탁 시간의 장시간화에 결부되지만, 이 구성이면 그와 같은 배려는 불필요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회전축이 수직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드럼(630)을, 세탁물이 수용되는 수용조로서 갖는 횡형의 세탁기(601)에 대해 설명했지만, 수량이나 욕비에 따라서 금속 이온 첨가수의 금속 이온 농도를 변화시키는 구성을 비롯한 본 실시 형태에서 서술한 구성은 회전축이 수직 방향이 되도록 세탁조를 상기 수용조로서 갖는 종형의 세탁기에도, 물론 적용할 수 있다.
또한, 금속 이온을 용출하는 이온 용출 수단에 관해서는 상술하는 구성[이온 용출 유닛(100)]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온 용출 수단은, 예컨대 카트리지 내에 금속 이온 용출재(은 용출재이면 황화은 등)를 장전하여, 카트리지 내에 물을 통과시킴으로써 금속 이온 용출하는 것으로 구성되어도 상관없다. 급수되는 한정된 양의 물의 금속 이온 농도를 단시간에 세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점에서는 상술한 이온 용출 유닛(100)이 이과 동등한 금속 이온 농도의 제어를 할 수 있는 것이 적합하다.
본 발명은 탈수 회전 시의 수용조(드럼, 세탁조)의 불균형 수정에 이용되는 금속 이온 첨가수를 생성하는 이온 용출 수단을 구비한 세탁기에 이용 가능하다.

Claims (5)

  1. 세탁물이 수용되는 수용조와,
    금속 이온을 용출하여 물에 첨가하는 이온 용출 수단을 포함하는 세탁기이며,
    상기 수용조의 회전 시의 불균형을 검지하는 검지 수단과,
    상기 이온 용출 수단으로부터 상기 수용조에 공급되는 금속 이온 첨가수의 공급 후에 실행되는 상기 수용조의 탈수 회전 시에 상기 검지 수단이 상기 수용조의 불균형을 검지한 경우에, 상기 금속 이온 첨가수를 상기 수용조에 공급하여 교반을 하는 균형 수정 헹굼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불균형을 수정하는 불균형 수정 수단을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균형 수정 수단은 상기 균형 수정 헹굼에서의 상기 수용조에의 상기 금속 이온 첨가수의 공급량을, 그 이전의 공정에서의 상기 금속 이온 첨가수의 공급량보다도 적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균형 수정 수단은 상기 균형 수정 헹굼에서의 상기 수용조에의 상기 금속 이온 첨가수의 금속 이온 농도를, 그 이전의 공정에서의 상기 금속 이온 첨가수의 금속 이온 농도보다도 적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5. 제1항, 제3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조는 회전축이 수직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드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KR1020057019962A 2003-04-22 2004-04-09 세탁기 KR1007218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117447A JP2004321320A (ja) 2003-04-22 2003-04-22 洗濯機
JPJP-P-2003-00117447 2003-04-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3041A KR20060003041A (ko) 2006-01-09
KR100721896B1 true KR100721896B1 (ko) 2007-05-25

Family

ID=33308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9962A KR100721896B1 (ko) 2003-04-22 2004-04-09 세탁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905121B2 (ko)
EP (1) EP1616989B1 (ko)
JP (1) JP2004321320A (ko)
KR (1) KR100721896B1 (ko)
CN (1) CN100519883C (ko)
TW (1) TWI279467B (ko)
WO (1) WO20040947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6503B1 (ko) * 2002-11-26 2006-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의 건조 시간제어 방법
DE10260149A1 (de) * 2002-12-20 2004-07-01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Vorrichtung zur Bestimmung des Leitwertes von Wäsche, Wäschetrockner und Verfahren zur Verhinderung von Schichtbildung auf Elektroden
JP3638018B1 (ja) * 2003-11-10 2005-04-13 シャープ株式会社 洗濯機
KR100757871B1 (ko) * 2006-02-06 2007-09-11 삼성전자주식회사 종합정보통신망 가입자 단말기에 전력/데이터를 공급하기위한 전력선 통신 시스템 및 제어 방법
JP4476274B2 (ja) * 2006-02-14 2010-06-09 シャープ株式会社 洗濯機
KR101432585B1 (ko) * 2007-03-06 2014-08-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물질 채집 장치 및 이의 청소방법
KR101348719B1 (ko) 2007-03-06 2014-0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물질 채집 장치
KR101348718B1 (ko) 2007-03-06 2014-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물질 채집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
KR101360205B1 (ko) * 2007-03-06 2014-0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물질 채집 장치 및 이를 적용한 세탁기
KR101441917B1 (ko) * 2007-03-06 2014-09-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물질 채집 장치 및 이를 적용한 세탁기
KR101192001B1 (ko) * 2007-04-06 2012-10-18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EP1983088A1 (en) * 2007-04-18 2008-10-22 Whirlpool Corporation A method for rinsing fabric in a washer and washer adapted to carry out this method.
KR20080098952A (ko) * 2007-05-08 2008-11-12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용 터브 및 이를 구비한 드럼 세탁기
US8695381B2 (en) * 2008-03-28 2014-04-15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Laundering device vibration control
US9284675B2 (en) * 2009-09-15 2016-03-15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washing and washing machine
KR101687544B1 (ko) * 2009-09-21 2016-1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 방법 및 세탁기
KR20110116794A (ko) 2010-04-20 2011-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CN102277707A (zh) * 2010-06-12 2011-12-14 黄才林 一种带阀的洗衣机滚筒
CN104342876A (zh) * 2013-08-08 2015-02-11 海尔集团公司 一种利用水位传感器检测撞桶信息的洗衣机及检测方法
JP6467703B2 (ja) * 2014-12-12 2019-02-13 アクア株式会社 脱水機
KR102583484B1 (ko) 2016-02-01 2023-09-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수위 감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 방법
CN105937126B (zh) * 2016-06-28 2019-04-16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洗衣机及其控制方法和装置
US10816439B2 (en) * 2017-10-23 2020-10-27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Methods of testing washing machine appliances
CN111485371B (zh) * 2019-01-24 2022-11-04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用于洗涤设备的平衡修正方法
CN109985342B (zh) * 2019-04-09 2021-04-13 山东乐普韦尔自动化技术有限公司 一种变电站移动式消防机器人
CN113026296A (zh) * 2019-12-09 2021-06-25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洗衣机控制方法和洗衣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6790A (ja) * 1999-08-10 2001-02-20 Hitachi Ltd 電気洗濯機
JP2001276484A (ja) * 2000-03-30 2001-10-09 Toto Ltd 洗濯機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9663Y2 (ja) * 1979-10-30 1984-08-25 株式会社東芝 自動洗濯機
JPS5669372A (en) 1979-11-06 1981-06-10 Shinko Fuaudoraa Kk Manufacture of glass internal coating metal tube
JPS5796686A (en) 1981-10-14 1982-06-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Driving device for washing machine
JPS58118794A (ja) * 1981-12-30 1983-07-14 株式会社東芝 洗濯機
CH662804A5 (en) 1985-01-31 1987-10-30 Paul Mueller Apparatus for the silver treatment of fresh water or utility water for sterilising the water
JPH0397497A (ja) 1989-09-11 1991-04-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洗濯機
JP3032338B2 (ja) 1991-09-13 2000-04-1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非水電解液二次電池
JPH05103895A (ja) * 1991-10-15 1993-04-27 Toshiba Corp 洗濯機の異常振動検出装置
JPH06269592A (ja) 1993-03-17 1994-09-27 Toshiba Corp 洗濯機
CA2142687A1 (en) 1994-02-22 1995-08-23 Dale E. Mueller Method of rinsing in a vertical axis washer
US5887456A (en) 1995-08-30 1999-03-30 Sharp Kabushiki Kaisha Drum type drying/washing machine
ES2146130B1 (es) 1995-12-27 2001-02-16 Fagor S Coop Metodo de lavado de ropa en una lavadora domestica.
JP3316427B2 (ja) 1997-07-23 2002-08-19 三洋電機株式会社 遠心脱水装置
US6286344B1 (en) * 1999-02-04 2001-09-11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with tilted tub assembly
JP3530076B2 (ja) * 1999-07-02 2004-05-24 シャープ株式会社 ドラム式洗濯機
GB0006506D0 (en) * 2000-03-18 2000-05-10 Notetry Ltd Laundry appliance
JP3423270B2 (ja) 2000-03-30 2003-07-07 三洋電機株式会社 ドラム式洗濯機
JP2002113288A (ja) 2000-10-12 2002-04-16 Mitsubishi Rayon Co Ltd 洗濯方法及び洗濯機
JP3504624B2 (ja) 2001-03-12 2004-03-08 株式会社稲本製作所 洗濯脱水機の脱水方法
JP3862549B2 (ja) * 2001-11-08 2006-12-27 シャープ株式会社 乾燥洗濯機
JP4010887B2 (ja) 2002-06-26 2007-11-21 シャープ株式会社 洗濯機
JP2004105692A (ja) 2002-07-26 2004-04-08 Sharp Corp 洗濯機
JP4017504B2 (ja) * 2002-11-19 2007-12-05 シャープ株式会社 洗濯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6790A (ja) * 1999-08-10 2001-02-20 Hitachi Ltd 電気洗濯機
JP2001276484A (ja) * 2000-03-30 2001-10-09 Toto Ltd 洗濯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510600A (en) 2005-03-16
EP1616989B1 (en) 2012-07-11
CN100519883C (zh) 2009-07-29
EP1616989A1 (en) 2006-01-18
JP2004321320A (ja) 2004-11-18
EP1616989A4 (en) 2008-02-27
CN1833064A (zh) 2006-09-13
US20060185403A1 (en) 2006-08-24
TWI279467B (en) 2007-04-21
US7905121B2 (en) 2011-03-15
KR20060003041A (ko) 2006-01-09
WO2004094716A1 (ja) 2004-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1896B1 (ko) 세탁기
JP3957619B2 (ja) イオン溶出ユニット及びこれを搭載した機器
KR100873545B1 (ko) 세탁기
JP3957616B2 (ja) イオン溶出ユニット及びこれを搭載した機器
JP3957583B2 (ja) 洗濯機
JP2004105692A (ja) 洗濯機
JP4010887B2 (ja) 洗濯機
JP2005065746A (ja) 洗濯機
JP2007215588A (ja) 全自動洗濯機
JP3957655B2 (ja) 乾燥機能付き洗濯機
JP4024257B2 (ja) 洗濯機
JP4159399B2 (ja) 洗濯機
JP2004321306A (ja) 洗濯機
JP2004057856A (ja) イオン溶出ユニット及びこれを搭載した洗濯機
JP4417404B2 (ja) 洗濯機
JP4136675B2 (ja) 洗濯機
JP2004057855A (ja) イオン溶出ユニット及びこれを搭載した洗濯機
JP2004248861A (ja) イオン溶出ユニット、イオン溶出ユニットを搭載した機器、及びイオン溶出ユニットを搭載した洗濯機
JP3963793B2 (ja) イオン溶出ユニット及びこれを搭載した洗濯機
JP2004216199A (ja) イオン溶出ユニット、イオン溶出ユニットを搭載した機器、及びイオン溶出ユニットを搭載した洗濯機
JP3957617B2 (ja) 洗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