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7609B1 - 가드레일 - Google Patents

가드레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7609B1
KR100717609B1 KR1020040036279A KR20040036279A KR100717609B1 KR 100717609 B1 KR100717609 B1 KR 100717609B1 KR 1020040036279 A KR1020040036279 A KR 1020040036279A KR 20040036279 A KR20040036279 A KR 20040036279A KR 100717609 B1 KR100717609 B1 KR 1007176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road
support member
cross
guard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6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1106A (ko
Inventor
김동익
Original Assignee
명성산업개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명성산업개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명성산업개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362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7609B1/ko
Publication of KR200501111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11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7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76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3/0254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with rotary motor
    • A61H23/0263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with rotary motor using rotating unbalanced ma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61H2201/5038Interfaces to the user freely programmable by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43Position of the patient substantially horizontal
    • A61H2203/0456Sup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의 일측 또는 양측의 지면에 설치된 포스트와, 그 포스트로부터 도로측으로 연장설치된 지지부재와, 그 지지부재의 도로측 단부에 도로의 진행방향으로 설치된 레일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레일 중 일부가 도로측으로 돌출되도록, 지지부재 중 일부가 도로측으로 돌출되어 설치된 구조의 가드레일을 제시함으로써, 자동차의 가드레일에 대한 충돌사고시, 자동차가 레일의 돌출된 부분과 덜 돌출된 부분에 점차적으로 수차에 걸쳐 충돌을 일으키게 하므로, 우수한 완충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가드레일, 완충, 도로

Description

가드레일{GUARDRAIL}
도 1은 종래의 가드레일의 사시도.
도 2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가드레일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2는 제1실시예의 횡단면도.
도 3은 제2실시예의 횡단면도.
도 4는 제3실시예의 횡단면도.
도 5는 제3실시예의 사시도.
도 6은 제4실시예의 횡단면도.
도 7은 제5실시예의 횡단면도.
도 8은 제5실시예의 사시도.
도 9는 제6실시예의 횡단면도.
도 10은 지지부재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포스트 200 : 지지부재
200a : H 빔 201 : 지지부재 연결판
202 : 레일 연결판 203 : 중앙 연결부
210 : 상부 지지부재 220 : 중앙부 지지부재
230 : 하부 지지부재 300 : 레일
300a : 물결 형상의 레일
본 발명은 가드레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도로를 운행하는 자동차의 충돌시 완충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가드레일(guardrail)이란, 본래 열차운행시 바퀴의 탈선으로 인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선 레일의 안쪽 또는 바깥쪽에 설치한 레일을 일컫는 것이나, 최근에는 자동차 도로의 양쪽에 설치한 방호책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가드레일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가드레일은 도로의 일측 또는 양측의 지면에 설치된 포스트(10)와, 그 포스트(10)의 도로측면에 도로의 진행방향으로 설치된 레일(30)과, 그 포스트(10) 및 레일(30)을 연결고정하는 고정부재(20)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레일(30)은 그 횡단면이 도로측에 대하여 돌부와 요부를 갖는 물결 형상의 구조(30a)를 취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는 도로를 진행하는 자동차가 사고로 인하여 가드레일에 충돌하는 경우, 완충효과를 높이기 위함이다.
그런데, 가드레일은 낭떠러지와 같은 도로 주변의 위험지역으로 자동차가 이탈하는 대형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매우 중요한 구조물임에도 불구하고, 그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구조에 관한 개발이 부족하였으므로,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자동차의 대형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완충효과를 높인 구조의 가드레일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도로의 일측 또는 양측의 지면에 설치된 포스트와; 상기 포스트로부터 상기 도로측으로 연장설치된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도로측 단부에 상기 도로의 진행방향으로 설치된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레일 중 일부가 상기 도로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지지부재 중 일부가 상기 도로측으로 돌출되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레일을 제시한다.
이러한 가드레일은 지지부재 및 레일의 일부가 도로측으로 돌출되어 설치되고, 그 나머지 일부는 상대적으로 덜 돌출되는 구조를 취하므로, 사고시 자동차가 레일의 돌출된 부분과 덜 돌출된 부분에 점차적으로 수차에 걸쳐 충돌을 일으키게 되는바, 보다 우수한 완충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재는 일지점의 횡단면이 하나의 부재에 의해 형성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그 도로측 단부가 상하방향으로 경사를 갖도록 설치된 구조를 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지지부재는 그 상단이 상기 도로측으로 인접하도록 설치된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재는 일지점의 횡단면이 복수의 부재에 의해 형성된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포스트는 연직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지지부재는 일지점의 횡단면에서 서로 길이가 상이하도록 설치된 구조를 취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지지부재는 일지점의 횡단면에서 상측에 위치한 상부 지지부재와 하측에 위치한 하부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지지부재 중 상기 상부 지지부재의 길이가 가장 긴 구조를 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복수의 지지부재는 일지점의 횡단면에서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향할수록 점점 길이가 짧게 형성된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복수의 지지부재 중 중앙부에 위치한 지지부재(220)의 길이가 가장 짧은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레일은 일지점의 횡단면이 하나의 부재에 의해 형성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레일은 그 횡단면이 도로측에 대하여 돌부와 요부를 갖는 물결 형상의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레일은 상하방향으로 경사를 갖도록 설치된 구조를 취할 수 있으며, 그 레일은 그 상단이 상기 도로측으로 인접하도록 설치된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레일은 일지점의 횡단면이 복수의 부재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레일은 그 횡단면이 도로측에 대하여 돌부와 요부를 갖는 물결 형상의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복수의 레일 중 상측에 위치한 레일의 내측면 하단과 그 하측에 위치한 레일의 외측면 상단이 상호 대향되도록 설치되거나, 상기 복수의 레일 중 하측에 위치한 레일의 내측면 상단과 그 상측에 위치한 레일의 외측면 하단이 상호 대향되도록 설치된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포스트에 연결되는 지지부재 연결판과; 상기 레일에 연결되는 레일 연결판과; 상기 지지부재 연결판과 레일 연결판을 연결하는 중앙 연결부를; 포함하는 구조를 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지지부재는 H 빔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가드레일은 도로의 일측 또는 양측의 지면에 설치된 포스트(100)와; 상기 포스트(100)로부터 상기 도로측으로 연장설치된 지지부재(200)와; 상기 지지부재(200)의 도로측 단부에 상기 도로의 진행방향으로 설치된 레일(300)을; 포함하고, 상기 레일(300) 중 일부가 상기 도로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지지부재(200) 중 일부가 상기 도로측으로 돌출되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의 가드레일은 본 발명의 지지부재(200)와 같은 구조가 없거나, 있더라도 일률적인 폭을 가지고 있으므로, 레일의 돌출구조가 단순한 구성을 취하게 되는 바, 자동차의 충돌시 일률적인 완충효과를 기대할 수 밖에 없었다.
이에 비해, 본 발명에 의한 가드레일은 지지부재(200) 및 레일(300)의 일부 가 도로측으로 돌출되어 설치되고, 그 나머지 일부는 상대적으로 덜 돌출되는 구조를 취하므로, 사고시 자동차가 레일(300)의 돌출된 부분과 덜 돌출된 부분에 점차적으로 수차에 걸쳐 충돌을 일으키게 되는바, 보다 우수한 완충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나아가, 이러한 완충효과에 기인하여 다음과 같은 부수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자동차가 레일에 충돌을 시작하여 포스트에 이르기까지, 상기와 같은 완충효과에 의해 자동차의 힘이 가드레일 구조물 전체에 분배되므로, 같은 재질 및 양의 자재를 사용하더라도, 우수한 강도 및 내구성을 갖는 구조물을 얻을 수 있어, 사고에 의한 가드레일 구조물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다.
둘째, 가드레일의 충격 완화효과의 반사적 효과로서, 충돌시 자동차에 전달되는 충격도 완화되므로, 자동차 및 운전자가 받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셋째, 충돌시 사고차량이 가드레일을 파괴하고 도로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낭떠러지와 같은 도로 주변의 위험지역으로 자동차가 이탈함에 따른 대형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넷째, 자동차의 가드레일에 대한 충돌사고시, 그 사고차량이 가드레일로부터 튕겨져 나와 후속차량과 충돌함에 따라 2차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데, 상기와 같은 완충구조는 자동차의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므로, 사고차량이 가드레일에 충돌 후 튕겨져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바, 2차 사고에 따른 대형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레일(300) 중 일부가 도로측으로 돌출되도록, 지지부재(200) 중 일부가 도로측으로 돌출되어 설치된 구조는 다음과 같이 다양한 실시예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우선, 지지부재(200)의 구조에 관한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첫째,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200)는 일지점의 횡단면이 하나의 부재에 의해 형성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이 경우, 하나의 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지지부재(200)의 일부가 도로측으로 돌출됨으로써, 점차적 충돌이 가능한 구조를 얻을 수 있으며, 도 2 및 도 3은 지지부재(200)의 도로측 단부가 상하방향으로 경사를 갖도록 설치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지지부재(200)는 그 상단이 도로측으로 인접하도록 설치할 수도 있고, 그 하단이 도로측으로 인접하도록 설치할 수도 있는데, 후자의 구성을 취하는 경우, 충돌시 자동차가 가드레일 구조물을 타고 넘는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으므로, 전자의 구성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도 4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200)는 일지점의 횡단면이 복수의 부재(210,220,230)에 의해 형성된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포스트(100)를 연직방향으로 설치하고, 일지점의 횡단면에서 복수의 지지부재(210,220,230)가 서로 길이가 상이하도록 설치함으로써, 사고차량의 점차적 충돌이 가능한 구조를 얻을 수 있다.
복수의 지지부재(210,220,230)는 일지점의 횡단면에서 상측에 위치한 상부 지지부재(210)와 하측에 위치한 하부 지지부재(230)를 포함하여, 3개 이상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복수의 지지부재(210,220,230) 중 상기 상부 지지부재(210)의 길이가 타 지지부재(220,230)에 비해 가장 긴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하부 지지부재(230)가 가장 긴 구조를 취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충돌한 자동차가 가드레일을 타고 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는바,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자동차의 전면부가 점차적으로 충돌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지지부재(210,220,230)가 일지점의 횡단면에서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향할수록 점점 길이가 짧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부 지지부재(210)의 길이가 가장 길고, 중앙부 지지부재(220)가 그 다음으로 길고, 하부 지지부재(230)가 가장 짧은 구성을 취하는 것이 그것인데, 주변 시공여건 등을 감안하여 특수한 경우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에 위치한 지지부재(220)의 길이가 가장 짧은 구성 등을 취하더라도 무방하다.
이하, 레일(300)의 구조에 관한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레일(300) 중 일부가 상기 도로측으로 돌출되도록 하기 위하여, 지지부재(200) 중 일부가 상기 도로측으로 돌출되어 설치된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특징으로 하는 것이므로, 상술한 실시예에서 본 바와 같이, 하나 또는 복수의 지지부재(200)에 의해 그 지지부재(200)의 일부가 도로측으로 돌출되는 구성을 취하는 한, 레일(300)은 하나의 부재에 의해 형성되든, 복수의 부재에 의해 형성되든 관계없다.
첫째,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300)은 일지점의 횡단면이 하나의 부재에 의해 형성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일부가 도로측으로 돌출된 지지부재(200)의 도로측 단부에 레일(300)이 설치된 구조를 취함으로써 점차적 충돌이 가능한 구조를 얻을 수 있으며, 도 2 및 도 3은 지지부재(200)의 도로측 단부 및 레일(300)의 도로측 면이 상하방향으로 경사를 갖도록 설치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종래의 가드레일에 있어서도, 횡단면이 도로측에 대하여 돌부와 요부를 갖는 물결 형상의 레일(300a)이 적용되고 있었는바, 이러한 구조는 본 발명의 경우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도 3은 지지부재(300)의 도로측 단부에 상기와 같은 물결 형상의 레일(300a)이 설치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레일(300) 및 지지부재(200)는 그 상단이 도로측으로 인접하도록 설치할 수도 있고, 그 하단이 도로측으로 인접하도록 설치할 수도 있는데, 후자의 구성을 취하는 경우, 충돌시 자동차가 가드레일 구조물을 타고 넘는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으므로, 전자의 구성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및 도 3은 일지점의 횡단면이 하나의 부재에 의해 형성된 지지부재(200) 및 레일(300)에 관한 실시예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도 4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200)가 복수의 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에도, 레일(300)이 일지점의 횡단면에서 하나의 부재에 의해 형성된 구조를 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둘째, 도 4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300)은 일지점의 횡단면이 복수의 부재(310,320,330)에 의해 형성된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단면이 도로측에 대하여 돌부와 요부를 갖는 물결 형상의 레일(300a)이 적용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이러한 물결 형상의 레일(300a)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레일(310,320,330)의 양단의 요부가 각각의 지지부재(210,220,230)의 도로측 단면 내부 영역에 포함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고,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레일(310,320,330)의 양단이 각각의 지지부재(210,220,230)의 도로측 단면 내부 영역에 포함되지 않고, 일부가 외부 영역으로 연장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레일(310,320,330) 중 상측에 위치한 레일(310)의 내측면 하단과 그 하측에 위치한 레일(320)의 외측면 상단이 상호 대향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고, 반대로 하측에 위치한 레일(330)의 내측면 상단과 그 상측에 위치한 레일(320)의 외측면 하단이 상호 대향되도록 설치된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를 취하는 경우, 자동차의 가드레일에 대한 충돌사고시, 레일(300) 및 지지부재(200)가 포스트(100) 측으로 압축되면서, 상기 레일(300)의 연장부분끼리 접촉이 일어나게 되는데,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은 완충효과를 소정 증진한다는 장점을 갖는다.
이하, 지지부재(200)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가드레일에 있어서, 지지부재(200)는 레일(300) 중 일부가 도로측으로 돌출되도록 하기 위하여, 그 지지부재(200)의 일부가 도로측으로 돌출되어 설치될 수 있는 구조이면 어느 것이나 관계없다.
도 10은 이와 같은 지지부재(200)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포스트(100)에 연결되는 지지부재 연결판(201)과; 상기 레일(300)에 연결되는 레일 연결판(202)과; 상기 지지부재 연결판(201)과 레일 연결판(202)을 연결하는 중앙 연결부(203)를; 포함하는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구조는 H 빔(200a)을 소정 길이로 절단함으로써,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가드레일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자동차의 가드레일에 대한 충돌사고시, 자동차가 레일의 돌출된 부분과 덜 돌출된 부분에 점차적으로 수차에 걸쳐 충돌을 일으키게 되는바, 우수한 완충효과를 얻을 수 있다.
둘째, 자동차가 레일에 충돌을 시작하여 포스트에 이르기까지, 상기와 같은 완충효과에 의해 자동차의 힘이 가드레일 구조물 전체에 분배되므로, 같은 재질 및 양의 자재를 사용하더라도, 우수한 강도 및 내구성을 갖는 구조물을 얻을 수 있어, 사고에 의한 가드레일 구조물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다.
셋째, 가드레일의 충격 완화효과의 반사적 효과로서, 충돌시 자동차에 전달되는 충격도 완화되므로, 자동차 및 운전자가 받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넷째, 충돌시 사고차량이 가드레일을 파괴하고 도로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낭떠러지와 같은 도로 주변의 위험지역으로 자동차가 이탈함에 따른 대형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다섯째, 자동차의 가드레일에 대한 충돌사고시, 그 사고차량이 가드레일로부터 튕겨져 나와 후속차량과 충돌함에 따라 2차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데, 상기와 같은 완충구조는 자동차의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므로, 사고차량이 가드레일에 충돌 후 튕겨져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바, 2차 사고에 따른 대형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Claims (2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도로의 일측 또는 양측의 지면에 설치된 포스트와;
    상기 포스트로부터 상기 도로측으로 연장설치된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도로측 단부에 상기 도로의 진행방향으로 설치된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레일 중 일부가 상기 도로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지지부재 중 일부가 상기 도로측으로 돌출되어 설치되며,
    상기 지지부재는 일지점의 횡단면이 복수의 부재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포스트는 연직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지지부재는 일지점의 횡단면에서 서로 길이가 상이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레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부재는 일지점의 횡단면에서 상측에 위치한 상부 지지부재와 하측에 위치한 하부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레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부재 중 상기 상부 지지부재의 길이가 가장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레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부재는 일지점의 횡단면에서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향할수록 점점 길이가 짧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레일.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부재 중 중앙부에 위치한 지지부재(220)의 길이가 가장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레일.
  11.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일지점의 횡단면이 하나의 부재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레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그 횡단면이 도로측에 대하여 돌부와 요부를 갖는 물결 형상의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레일.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상하방향으로 경사를 갖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레일.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그 상단이 상기 도로측으로 인접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레일.
  15.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일지점의 횡단면이 복수의 부재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레일.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그 횡단면이 도로측에 대하여 돌부와 요부를 갖는 물결 형상의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레일.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레일 중 상측에 위치한 레일의 내측면 하단과 그 하측에 위치한 레일의 외측면 상단이 상호 대향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레일.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레일 중 하측에 위치한 레일의 내측면 상단과 그 상측에 위치한 레일의 외측면 하단이 상호 대향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레일.
  19. 삭제
  20. 삭제
KR1020040036279A 2004-05-21 2004-05-21 가드레일 KR1007176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6279A KR100717609B1 (ko) 2004-05-21 2004-05-21 가드레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6279A KR100717609B1 (ko) 2004-05-21 2004-05-21 가드레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1106A KR20050111106A (ko) 2005-11-24
KR100717609B1 true KR100717609B1 (ko) 2007-05-15

Family

ID=37286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6279A KR100717609B1 (ko) 2004-05-21 2004-05-21 가드레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76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186Y1 (ko) * 2011-01-13 2013-07-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엑세스 홀 가드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8063B1 (ko) * 2012-10-31 2013-07-19 피엔에이건설 주식회사 교량용 난간
KR101510873B1 (ko) * 2014-09-15 2015-04-09 이인숙 도로용 가드레일
CN110080135A (zh) * 2019-04-26 2019-08-02 湖北省交通投资集团有限公司 一种防侧倾护栏和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88721A (ja) * 2000-04-05 2001-10-19 Fm Railing Kk 車両用防護柵
KR20020000774A (ko) * 1999-03-12 2002-01-05 허버트 발랑텡 엔진의 작동 매개변수의 측정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0774A (ko) * 1999-03-12 2002-01-05 허버트 발랑텡 엔진의 작동 매개변수의 측정 방법
JP2001288721A (ja) * 2000-04-05 2001-10-19 Fm Railing Kk 車両用防護柵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3288721 *
2002561530000 *
2002774150000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186Y1 (ko) * 2011-01-13 2013-07-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엑세스 홀 가드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1106A (ko) 2005-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3458B1 (ko) 충격흡수용 도로 중앙분리대
KR101182975B1 (ko) 가드레일구조체
KR100717609B1 (ko) 가드레일
JP3577497B2 (ja) 道路用防護装置
KR200453404Y1 (ko) 충격흡수 및 가드레일판이 상승되는 가드레일
KR100737745B1 (ko) 충격흡수 가드레일
KR200387087Y1 (ko) 가이드레일용 충격흡수대
KR100769270B1 (ko) 완충용 가드레일
KR100682791B1 (ko) 차량용 방호 울타리
KR20100007313U (ko) 가드레일 보강제 지주 완충 충격흡수 패킹
KR100587652B1 (ko) 소음 및 충격 흡수 수단이 구비된 도로 중앙분리대
KR100676457B1 (ko) 이중 충격 흡수판이 교차 설치된 가드레일
KR100773333B1 (ko) 가드레일용 차량충격 완충장치
KR20130068744A (ko) 에너지 흡수부재를 갖는 도로용 가드레일
KR200283362Y1 (ko) 이중 가드레일판으로 되는 가드레일
CN113356112A (zh) 一种公路护栏防撞气囊装置
KR101134717B1 (ko) 중앙분리대용 가드레일
KR200422841Y1 (ko) 충격 흡수용 연결브라켓
KR100540983B1 (ko) 중앙분리대 및 가드레일의 충격 와해 흡수시설
KR200277749Y1 (ko) 완충용 방호책
JPH10110413A (ja) 緩衝式コンクリート防護柵
KR200274028Y1 (ko) 내향만곡된 와이어 고정구를 갖는 도로 가드레일
KR200274017Y1 (ko) 완충용 가드레일
KR100465922B1 (ko) 도로에서 충격 흡수용 가이드 레일
KR101102617B1 (ko) 도로용 충격완화 가드레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