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8186Y1 - 선박용 엑세스 홀 가드부 - Google Patents
선박용 엑세스 홀 가드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68186Y1 KR200468186Y1 KR2020110000346U KR20110000346U KR200468186Y1 KR 200468186 Y1 KR200468186 Y1 KR 200468186Y1 KR 2020110000346 U KR2020110000346 U KR 2020110000346U KR 20110000346 U KR20110000346 U KR 20110000346U KR 200468186 Y1 KR200468186 Y1 KR 20046818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ccess hole
- horizontal connecting
- guard
- support member
- suppor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 B63B19/12—Hatches; Hatchways
- B63B19/28—Other safety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4—Stanchions; Guard-rails ; Bulwarks or the lik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4—Railin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선박용 엑세스 홀 가드부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엑세스 가드부는 선박의 엑세스 홀에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둘 이상의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일 측에 결합되며 상기 엑세스 홀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가드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선박용 엑세스 홀 가드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은 내부에 다수의 보이드 스페이스(Void Space)를 포함하며, 이러한 보이드 스페이스는 선박 내부의 선실, 화물기계실 또는 엔진룸의 일 측에 배치설계된다.
이때, 보이드 스페이스는 엑세스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엑세스 홀은 보이드 스페이스의 바닥 부분에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엑세스 홀은 보이드 스페이스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엑세스 홀은 보이드 스페이스와 선실, 화물기계실 또는 엔진룸 사이에 관통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선원은 엑세스 홀을 통해 보이드 스페이스에서 선실, 화물기계실 또는 엔진룸에 접근할 수 있다. 또는 선원은 엑세스 홀을 통해 검사장비 또는 계측장비 등을 선실, 화물기계실 또는 엔진룸으로 신속하게 옮길 수 있다.
이때, 엑세스 홀은 개구된 상태로 보이드 스페이스의 바닥에 노출된다. 따라서, 엑세스 홀의 근처를 지나가는 선원들이 엑세스 홀에 추락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엑세스 홀에 인접하는 위치에 엑세스 홀 가드부를 설치함으로써 선원이 엑세스 홀에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박의 엑세스 홀에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둘 이상의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일 측에 결합되며 상기 엑세스 홀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가드부재를 포함하는 선박용 엑세스 홀 가드부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드부재는, 상기 둘 이상의 지지부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평 연결부재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평 연결부재의 양측에 엑세스 홀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평 연결부재는 복수개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수평 연결부재의 양측에 형성되는 돌출부를 상하 수직으로 연결하는 수직 연결부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드부재는, 상기 둘 이상의 지지부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평 연결부재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평 연결부재의 일 측에 엑세스 홀을 감싸도록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평 연결부재는 복수개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수평 연결부재의 일 측에 형성되는 돌출부를 상하 수직으로 연결하며, 상기 복수개의 수평 연결부재의 타 측을 상하 수직으로 연결하는 수직 연결부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둘 이상의 지지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평 연결부재를 지지하는 제 1 지지부재와, 상기 제 1 지지부재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평 연결부재를 지지하는 제 2 지지부재와, 상기 제 2 지지부재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돌출부를 지지하는 제 3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지지부 및 가드부재를 사용하여 선원이 엑세스 홀에 접근하는 공간을 제한하도록 하는 것에 의해 선원이 엑세스 홀에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엑세스 홀 가드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선박용 엑세스 홀 가드부가 선박에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엑세스 홀 가드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선박용 엑세스 홀 가드부가 선박에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선박용 엑세스 홀 가드부가 선박에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엑세스 홀 가드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선박용 엑세스 홀 가드부가 선박에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엑세스 홀 가드부(100)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선박용 엑세스 홀 가드부(100)가 선박(S)에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 하면, 선박용 엑세스 홀 가드부(100)는 둘 이상의 지지부(11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110)는 보이드 스페이스(Void Space, S1)의 바닥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110)는 별도의 고정수단에 의해 보이드 스페이스(S1)의 바닥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별도의 고정수단은 용접 또는 볼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별도의 고정수단은 볼트인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지지부(110)는 상기 볼트에 의해 보이드 스페이스(S1)의 바닥으로부터 위치가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부(110)는 선원이 충돌할 때 발생되는 충격으로 인해 보이드 스페이스(S1)의 바닥으로부터 위치가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둘 이상의 지지부(110)는 제 1 지지부재(111)를 포함한다. 제 1 지지부재(111)는 상기 볼트에 의해 보이드 스페이스(S1)의 바닥에 설치되며, 엑세스 홀(S2)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엑세스 홀(S2)은 보이드 스페이스(S1)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엑세스 홀(S2)은 보이드 스페이스(S1)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엑세스 홀(S2)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엑세스홀(S2)은 양측에 직선부(S2a, S2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엑세스 홀(S2)은 양측에 곡선부(S2c, S2d)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지지부재(111)는 엑세스 홀(S2)의 직선부(S2a, S2b)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지지부재(111)는 엑세스 홀(S2)의 곡선부(S2c, S2d)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지지부재(111)의 일 측에는 가드부재(120)가 결합될 수 있다. 제 1 지지부재(111)는 가드부재(12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둘 이상의 지지부(110)는 제 2 지지부재(112)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지지부재(112)는 볼트에 의해 보이드 스페이스(S1)의 바닥에 설치되며, 엑세스 홀(S2)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지지부재(112)는 엑세스 홀(S2)의 직선부(S2a, S2b)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지지부재(112)는 엑세스 홀(S2)의 곡선부(S2c, S2d)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 2 지지부재(112)는 상기 제 1 지지부재(111)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지지부재(112)의 일 측에는 가드부재(120)가 결합될 수 있다. 제 2 지지부재(112)는 가드부재(12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지지부(110)는 상기 제 1 지지부재(111) 및 제 2 지지부재(112)를 포함함으로써 가드부재(120)의 위치를 효과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지지부(110)는 제 1 지지부재(111) 및 제 2 지지부재(112)를 포함함으로써 가드부재(120)에 전달하는 지지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제 1 지지부재(111) 및 제 2 지지부재(112)는 강도가 높은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지지부재(111) 및 제 2 지지부재(112)는 철 또는 합금강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제 1 지지부재(111) 및 제 2 지지부재(112)의 높이는 보이드 스페이스(S1)의 바닥면으로부터 1m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선박용 엑세스 홀 가드부(100)는 가드부재(120)를 포함한다. 상기 가드부재(120)는 엑세스 홀(S2)이 보이드 스페이스(S1)에 노출되는 면적을 줄일 수 있도록 배치된다.
가드부재(120)는 적어도 하나의 수평 연결부재(121)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수평 연결부재(121)는 복수개의 수평 연결부재들(121a, 121b)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복수개의 수평 연결부재들(121a, 121b)이 제 1 수평 연결부재(121a) 및 제 2 수평 연결부재(121b)를 포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복수개의 수평 연결부재들(121a, 121b)은 제 1 수평 연결부재(121a)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수평 연결부재(121a)는 제 1 지지부재(111) 및 제 2 지지부재(11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수평 연결부재(121a)는 상기 별도의 고정수단에 의해 제 1 지지부재(111) 및 제 2 지지부재(11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별도의 고정수단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용접 또는 볼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별도의 고정수단은 볼트인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 1 수평 연결부재(121a)는 볼트에 의해 제 1 지지부재(111) 및 제 2 지지부재(112)에 결합될 수 있다.
복수개의 수평 연결부재들(121a, 121b)은 제 2 수평 연결부재(121b)를 포함한다. 제 2 수평 연결부재(121b)는 제 1 수평 연결부재(121a)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 2 수평 연결부재(121b)는 제 1 지지부재(111) 및 제 2 지지부재(11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2 수평 연결부재(121b)는 볼트에 의해 제 1 지지부재(111) 및 제 2 지지부재(112)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가드부재(120)는 제 1 수평 연결부재(121a) 및 제 2 수평 연결부재(121b)에 의해 제 1 지지부재(111) 및 제 2 지지부재(112)의 일 측에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가드부재(120)는 제 1 수평 연결부재(121a) 및 제 2 수평 연결부재(121b)에 의해 제 1 지지부재(111) 및 제 2 지지부재(112)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가드부재(120)는 제 1 수평 연결부재(121a) 및 제 2 수평 연결부재(121b)에 의해 선원이 충돌할 때 발생되는 충격으로 인해 제 1 지지부재(111) 및 제 2 지지부재(112)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제 1 수평 연결부재(121a) 및 제 2 수평 연결부재(121b)는 강도가 높은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수평 연결부재(121a) 및 제 2 수평 연결부재(121b)는 철 또는 합금강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수평 연결부재(121a) 및 제 2 수평 연결부재(121b)는 선원이 부딪힐 때 발생되는 충격에 의해 형상이 변형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때, 가드부재(120)는 수직 연결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직 연결부(123)는 제 1 수평 연결부재(121a) 및 제 2 수평 연결부재(121b)의 일 측 또는 양 측에 결합될 수 있다.
수직 연결부(123)는 제 1 수평 연결부재(121a) 및 제 2 수평 연결부재(121b)의 일 측 또는 양 측에 형성되는 돌출부(122a, 122b)의 일 측에 결합되어, 상기 돌출부(122a, 122b)의 일 측을 상하 수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수평 연결부재(121a) 및 제 2 수평 연결부재(121b)는 수직 연결부(123)의 높이방향으로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가드부재(120)는 돌출부(122a, 122b)를 포함한다. 상기 돌출부(122a, 122b)는 엑세스 홀(S2)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22a, 122b)는 제 1 수평 연결부재(121a) 및 제 2 수평 연결부재(121b)의 양 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22a, 122b)가 형성된 제 1 수평 연결부재(121a) 및 제 2 수평 연결부재(121b)는 양 측이 구부러진 'U'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가드부재(120)는 엑세스 홀(S2)을 효과적으로 감쌀 수 있다.
예를 들어, 엑세스 홀(S2)은 보이드 스페이스(S1)의 모서리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엑세스 홀(S2)의 제 1 직선부(S2a)는 보이드 스페이스(S1)의 제 1 벽면(S1a)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엑세스 홀(S2)의 제 1 곡선부(S2c)는 보이드 스페이스 (S1)의 제 2 벽면(S1b)벽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도 2 참고)
따라서, 선원은 엑세스 홀(S2)에 접근할 수 있는 공간에 제한을 받을 수 있다.
이때, 본 고안에 따른 제 1 지지부재(111)는 엑세스 홀(S2)의 제 2 곡선부(S2d)의 일 측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 2 지지부재(112)는 엑세스 홀(S2)의 제 2 곡선부(S2d)의 타 측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지지부재(112)는 제 1 지지부재(111)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지지부재(111) 및 제 2 지지부재(112)에 결합되는 가드부재(120)는 엑세스 홀(S2)의 제 2 곡선부(S2d)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가드부재(120)가 엑세스 홀(S2)의 제 2 곡선부(S2d)를 감싸도록 배치됨으로써 선원이 엑세스 홀(S2)에 접근할 수 있는 공간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가드부재(120)는 제 1 수평 연결부재(121a) 및 제 2 수평 연결부재(121b)에 형성된 돌출부(122a, 122b)에 의해 엑세스 홀(S2)의 직선부(S2a, S2b)의 일정부분을 추가로 감쌀 수 있다. 따라서, 선원이 엑세스 홀(S2)에 접근할 수 있는 공간을 추가로 제한할 수 있도록 한다.
즉, 가드부재(120)는 선원이 엑세스 홀(S2)에 접근하기 위해 필요한 공간만남기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가드부재(120)는 선원이 엑세스 홀(S2)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엑세스 홀(S2)의 근처에 선박용 엑세스 홀 가드부(100)를 배치함으로써 선원이 엑세스 홀(S2)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해, 엑세스 홀(S2)에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엑세스 홀 가드부(200)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선박용 엑세스 홀 가드부(200)가 선박(S)에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 1 실시예와 상이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를 참고 하면, 선박용 엑세스 홀 가드부(200)는 가드부재(220)를 포함한다. 가드부재(220)는 엑세스 홀(S2)이 보이드 스페이스(S1)에 노출되는 면적을 줄일 수 있도록 배치된다.
가드부재(220)는 적어도 하나의 수평 연결부재(221)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수평 연결부재(221)는 복수개의 수평 연결부재(221a, 221b)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복수개의 수평 연결부재(221a, 221b)는 제1 수평 연결부재(221a) 및 제 2 수평 연결부재(221b)를 포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복수개의 수평 연결부재(221a, 221b)는 제 1 수평 연결부재(221a)를 포함한다. 제 1 수평 연결부재(221a)는 제 1 지지부재(211) 및 제 2 지지부재(21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수평 연결부재(221a)는 볼트에 의해 제 1 지지부재(211) 및 제 2 지지부재(212)에 결합될 수 있다.
복수개의 수평 연결부재(221a, 221b)는 제 2 수평 연결부재(221b)를 포함한다. 제 2 수평 연결부재(221b)는 제 1 수평 연결부재(221a)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 2 수평 연결부재(221b)는 제 1 지지부재(211) 및 제 2 지지부재(21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2 수평 연결부재(221b)는 볼트에 의해 제 1 지지부재(211) 및 제 2 지지부재(212)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가드부재(220)는 제 1 수평 연결부재(221a) 및 제 2 수평 연결부재(221b)에 의해 제 1 지지부재(211) 및 제 2 지지부재(212)의 일 측에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가드부재(220)는 제 1 수평 연결부재(221a) 및 제 2 수평 연결부재(221b)에 의해 제 1 지지부재(211) 및 제 2 지지부재(212)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가드부재(220)는 제 1 수평 연결부재(221a) 및 제 2 수평 연결부재(221b)에 의해 선원이 충돌할 때 발생되는 충격으로 인해 제 1 지지부재(211) 및 제 2 지지부재(212)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때, 가드부재(220)는 수직 연결부(2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직 연결부(223)는 제 1 수평 연결부재(221a) 및 제 2 수평 연결부재(221b)의 일 측 또는 양측에 결합될 수 있다.
수직 연결부(223)는 제 1 수평 연결부재(221a) 및 제 2 수평 연결부재(221b)의 일 측에 형성된 돌출부(222a, 222b)를 상하 수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수직 연결부(223)는 제 1 수평 연결부재(221a) 및 제 2 수평 연결부재(221b)의 타 측을 상하 수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수평 연결부재(221a) 및 제 2 수평 연결부재(221b)는 수직 연결부(223)의 높이방향으로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가드부재(220)는 돌출부(222a, 222b)를 포함한다. 돌출부(222a, 222b)는 엑세스 홀(S2)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돌출부(222a, 222b)는 제 1 수평 연결부재(221a) 및 제 2 수평 연결부재(221b)의 일 측에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222a, 222b)는 'ㄱ'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ㄱ'자 형상으로 형성된 돌출부(222a, 222b)가 형성된 가드부재(220)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가드부재(220)는 엑세스 홀(S2)을 효과적으로 감쌀 수 있다.
예를 들어, 엑세스 홀(S2)은 보이드 스페이스(S1)의 벽면 부분에 인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엑세스 홀(S2)의 제 1 직선부(S2a)는 보이드 스페이스(S1)의 제 2 벽면(S1b)에 인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엑세스 홀(S2)의 제 1 곡선부(S2c)는 보이드 스페이스(S1)의 제 2 벽면(S1b)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도 4 참고)
따라서, 선원은 엑세스 홀(S2)에 접근할 수 있는 공간이 제한을 받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엑세스 홀(S2)의 제 1 곡선부(S2c)가 보이드 스페이스(S1)의 제 2 벽면(S2b)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제 1 지지부재(211)는 엑세스 홀(S2)의 제 2 직선부(S2b)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 2 지지부재(212)는 엑세스 홀(S2)의 제 2 직선부(S2b)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 2 지지부재(212)는 제 1 지지부재(211)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 1 지지부재(211) 및 제 2 지지부재(212)에 결합되는 수평 연결부재(221)는 엑세스 홀(S2)의 제 2 직선부(S2b)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가드부재(220)가 엑세스 홀(S2)의 제 2 직선부(S2b)에 배치됨으로써 선원이 엑세스 홀(S2)에 접근할 수 있는 공간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가드부재(220)는 돌출부(222a, 222b)에 의해 엑세스 홀(S2)의 제 2 곡선부(S2d)를 감쌀 수 있다. 가드부재(220)는 돌출부(222a, 222b)에 의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엑세스 홀(S2)을 감쌀 수 있다
따라서, 선원이 엑세스 홀(S2)에 접근할 수 있는 공간이 추가로 제한될 수 있다.
이때, 지지부(210)는 제 3 지지부재(213)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제 3 지지부재(213)는 보이드 스페이스(S1)의 바닥에 설치될 수 있다. 제 3 지지부재(213)는 일 측에 돌출부(222a, 222b)가 결합되도록 보이드 스페이스(S1)의 바닥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 3 지지부재(213)는 별도의 고정수단에 의해 보이드 스페이스(S1)의 바닥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별도의 고정수단은 용접 또는 볼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222a, 222b)는 제 3 지지부재(213)로부터 지지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돌출부(222a, 222b)는 자중에 의해 형상이 변형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S: 선박
S1: 보이드 스페이스
S2: 엑세스 홀
100: 선박용 엑세스 홀 가드부
110: 지지부
120: 가드부재
S1: 보이드 스페이스
S2: 엑세스 홀
100: 선박용 엑세스 홀 가드부
110: 지지부
120: 가드부재
Claims (6)
- 선박의 엑세스 홀에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둘 이상의 지지부; 및
상기 각각의 지지부의 일 측에 결합되어 서로 연결되며 상기 엑세스 홀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가드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가드부재는,
상기 둘 이상의 지지부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평 연결부재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평 연결부재의 일 측에 엑세스 홀을 감싸도록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평 연결부재는 복수개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수평 연결부재의 일 측에 형성되는 돌출부를 상하 수직으로 연결하며, 상기 복수개의 수평 연결부재의 타 측을 상하 수직으로 연결하는 수직 연결부가 추가로 형성되는 선박용 엑세스 홀 가드부.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드부재는,
상기 둘 이상의 지지부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평 연결부재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평 연결부재의 양측에 엑세스 홀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선박용 엑세스 홀 가드부.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평 연결부재는 복수개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수평 연결부재의 양측에 형성되는 돌출부를 상하 수직으로 연결하는 수직 연결부가 추가로 형성된 선박용 엑세스 홀 가드부.
- 삭제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둘 이상의 지지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평 연결부재를 지지하는 제 1 지지부재와,
상기 제 1 지지부재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평 연결부재를 지지하는 제 2 지지부재와,
상기 제 2 지지부재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돌출부를 지지하는 제 3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선박용 엑세스 홀 가드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10000346U KR200468186Y1 (ko) | 2011-01-13 | 2011-01-13 | 선박용 엑세스 홀 가드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10000346U KR200468186Y1 (ko) | 2011-01-13 | 2011-01-13 | 선박용 엑세스 홀 가드부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05324U KR20120005324U (ko) | 2012-07-23 |
KR200468186Y1 true KR200468186Y1 (ko) | 2013-07-29 |
Family
ID=46874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10000346U KR200468186Y1 (ko) | 2011-01-13 | 2011-01-13 | 선박용 엑세스 홀 가드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68186Y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65955B1 (ko) * | 2013-01-04 | 2014-11-28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선박용 엑세스 홀 가드구조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146989A (ja) | 2000-11-09 | 2002-05-22 |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 手 摺 |
KR100717609B1 (ko) * | 2004-05-21 | 2007-05-15 | 명성산업개발 주식회사 | 가드레일 |
-
2011
- 2011-01-13 KR KR2020110000346U patent/KR200468186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146989A (ja) | 2000-11-09 | 2002-05-22 |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 手 摺 |
KR100717609B1 (ko) * | 2004-05-21 | 2007-05-15 | 명성산업개발 주식회사 | 가드레일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05324U (ko) | 2012-07-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30075829A (ko) | 해양구조물용 헬리콥터 착륙장 | |
JP2007230459A (ja) | バッテリーボックス取付構造 | |
KR200468186Y1 (ko) | 선박용 엑세스 홀 가드부 | |
US20100032236A1 (en) | Fall arrest system | |
JP5253234B2 (ja) | エレベータかご天井上巾木装置 | |
CN203806895U (zh) | 电梯井隔障 | |
KR20150000547U (ko) | 가이드 소켓을 갖는 해치 및 이를 구비하는 선박 | |
KR200473064Y1 (ko) | 케이블 정리용 지그 | |
KR101060358B1 (ko) | 건축용 배설 파이프 지지장치 | |
KR20140003753U (ko) | 케이블 트레이용 커버 | |
KR20180000624U (ko) | 복공판용 상하 방진 장치 | |
KR101603783B1 (ko) | 매트 스위치 | |
JP3186305U (ja) | 欄干兼用防護柵 | |
KR20140003022U (ko) | 선박 및 해양조물용 안전핸드레일 | |
KR200465978Y1 (ko) | 케이블 트레이 서포터 및 이를 구비한 선박 | |
KR200470181Y1 (ko) | 선박용 함몰형 핸드레일 기구 | |
JP6510355B2 (ja) | 車体底部構造 | |
KR20180002720U (ko) | 케이블 트레이 고정 장치 | |
JP2013237321A (ja) | 車両の配管固定部構造 | |
KR20140058084A (ko) | 선박용 크로스 케이블 트레이 | |
JP4627434B2 (ja) | エレベーターの昇降路装置 | |
KR20140004881U (ko) | 선박용 맨홀의 안전 장치 | |
KR101205877B1 (ko) | 선박용 장비 고정 시트 | |
KR101271758B1 (ko) | 선박의 격벽 구조체 | |
JP5901260B2 (ja) | 筐体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X70R |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 ||
AMND | Amendment | ||
GRNO |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