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8186Y1 - 선박용 엑세스 홀 가드부 - Google Patents

선박용 엑세스 홀 가드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8186Y1
KR200468186Y1 KR2020110000346U KR20110000346U KR200468186Y1 KR 200468186 Y1 KR200468186 Y1 KR 200468186Y1 KR 2020110000346 U KR2020110000346 U KR 2020110000346U KR 20110000346 U KR20110000346 U KR 20110000346U KR 200468186 Y1 KR200468186 Y1 KR 2004681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ss hole
horizontal connecting
guard
support membe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03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5324U (ko
Inventor
전홍석
노덕현
안태현
정운곤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100003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8186Y1/ko
Publication of KR2012000532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532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81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818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 B63B19/12Hatches; Hatchways
    • B63B19/28Other safety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4Stanchions; Guard-rails ; Bulwark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4Railin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선박용 엑세스 홀 가드부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엑세스 가드부는 선박의 엑세스 홀에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둘 이상의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일 측에 결합되며 상기 엑세스 홀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가드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선박용 엑세스 홀 가드부{Access hole guard device for ship}
본 고안은 선박용 엑세스 홀 가드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은 내부에 다수의 보이드 스페이스(Void Space)를 포함하며, 이러한 보이드 스페이스는 선박 내부의 선실, 화물기계실 또는 엔진룸의 일 측에 배치설계된다.
이때, 보이드 스페이스는 엑세스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엑세스 홀은 보이드 스페이스의 바닥 부분에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엑세스 홀은 보이드 스페이스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엑세스 홀은 보이드 스페이스와 선실, 화물기계실 또는 엔진룸 사이에 관통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선원은 엑세스 홀을 통해 보이드 스페이스에서 선실, 화물기계실 또는 엔진룸에 접근할 수 있다. 또는 선원은 엑세스 홀을 통해 검사장비 또는 계측장비 등을 선실, 화물기계실 또는 엔진룸으로 신속하게 옮길 수 있다.
이때, 엑세스 홀은 개구된 상태로 보이드 스페이스의 바닥에 노출된다. 따라서, 엑세스 홀의 근처를 지나가는 선원들이 엑세스 홀에 추락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엑세스 홀에 인접하는 위치에 엑세스 홀 가드부를 설치함으로써 선원이 엑세스 홀에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박의 엑세스 홀에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둘 이상의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일 측에 결합되며 상기 엑세스 홀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가드부재를 포함하는 선박용 엑세스 홀 가드부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드부재는, 상기 둘 이상의 지지부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평 연결부재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평 연결부재의 양측에 엑세스 홀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평 연결부재는 복수개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수평 연결부재의 양측에 형성되는 돌출부를 상하 수직으로 연결하는 수직 연결부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드부재는, 상기 둘 이상의 지지부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평 연결부재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평 연결부재의 일 측에 엑세스 홀을 감싸도록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평 연결부재는 복수개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수평 연결부재의 일 측에 형성되는 돌출부를 상하 수직으로 연결하며, 상기 복수개의 수평 연결부재의 타 측을 상하 수직으로 연결하는 수직 연결부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둘 이상의 지지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평 연결부재를 지지하는 제 1 지지부재와, 상기 제 1 지지부재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평 연결부재를 지지하는 제 2 지지부재와, 상기 제 2 지지부재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돌출부를 지지하는 제 3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지지부 및 가드부재를 사용하여 선원이 엑세스 홀에 접근하는 공간을 제한하도록 하는 것에 의해 선원이 엑세스 홀에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엑세스 홀 가드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선박용 엑세스 홀 가드부가 선박에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엑세스 홀 가드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선박용 엑세스 홀 가드부가 선박에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엑세스 홀 가드부(100)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선박용 엑세스 홀 가드부(100)가 선박(S)에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 하면, 선박용 엑세스 홀 가드부(100)는 둘 이상의 지지부(11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110)는 보이드 스페이스(Void Space, S1)의 바닥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110)는 별도의 고정수단에 의해 보이드 스페이스(S1)의 바닥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별도의 고정수단은 용접 또는 볼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별도의 고정수단은 볼트인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지지부(110)는 상기 볼트에 의해 보이드 스페이스(S1)의 바닥으로부터 위치가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부(110)는 선원이 충돌할 때 발생되는 충격으로 인해 보이드 스페이스(S1)의 바닥으로부터 위치가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둘 이상의 지지부(110)는 제 1 지지부재(111)를 포함한다. 제 1 지지부재(111)는 상기 볼트에 의해 보이드 스페이스(S1)의 바닥에 설치되며, 엑세스 홀(S2)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엑세스 홀(S2)은 보이드 스페이스(S1)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엑세스 홀(S2)은 보이드 스페이스(S1)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엑세스 홀(S2)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엑세스홀(S2)은 양측에 직선부(S2a, S2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엑세스 홀(S2)은 양측에 곡선부(S2c, S2d)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지지부재(111)는 엑세스 홀(S2)의 직선부(S2a, S2b)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지지부재(111)는 엑세스 홀(S2)의 곡선부(S2c, S2d)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지지부재(111)의 일 측에는 가드부재(120)가 결합될 수 있다. 제 1 지지부재(111)는 가드부재(12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둘 이상의 지지부(110)는 제 2 지지부재(112)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지지부재(112)는 볼트에 의해 보이드 스페이스(S1)의 바닥에 설치되며, 엑세스 홀(S2)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지지부재(112)는 엑세스 홀(S2)의 직선부(S2a, S2b)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지지부재(112)는 엑세스 홀(S2)의 곡선부(S2c, S2d)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 2 지지부재(112)는 상기 제 1 지지부재(111)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지지부재(112)의 일 측에는 가드부재(120)가 결합될 수 있다. 제 2 지지부재(112)는 가드부재(12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지지부(110)는 상기 제 1 지지부재(111) 및 제 2 지지부재(112)를 포함함으로써 가드부재(120)의 위치를 효과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지지부(110)는 제 1 지지부재(111) 및 제 2 지지부재(112)를 포함함으로써 가드부재(120)에 전달하는 지지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제 1 지지부재(111) 및 제 2 지지부재(112)는 강도가 높은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지지부재(111) 및 제 2 지지부재(112)는 철 또는 합금강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제 1 지지부재(111) 및 제 2 지지부재(112)의 높이는 보이드 스페이스(S1)의 바닥면으로부터 1m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선박용 엑세스 홀 가드부(100)는 가드부재(120)를 포함한다. 상기 가드부재(120)는 엑세스 홀(S2)이 보이드 스페이스(S1)에 노출되는 면적을 줄일 수 있도록 배치된다.
가드부재(120)는 적어도 하나의 수평 연결부재(121)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수평 연결부재(121)는 복수개의 수평 연결부재들(121a, 121b)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복수개의 수평 연결부재들(121a, 121b)이 제 1 수평 연결부재(121a) 및 제 2 수평 연결부재(121b)를 포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복수개의 수평 연결부재들(121a, 121b)은 제 1 수평 연결부재(121a)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수평 연결부재(121a)는 제 1 지지부재(111) 및 제 2 지지부재(11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수평 연결부재(121a)는 상기 별도의 고정수단에 의해 제 1 지지부재(111) 및 제 2 지지부재(11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별도의 고정수단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용접 또는 볼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별도의 고정수단은 볼트인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 1 수평 연결부재(121a)는 볼트에 의해 제 1 지지부재(111) 및 제 2 지지부재(112)에 결합될 수 있다.
복수개의 수평 연결부재들(121a, 121b)은 제 2 수평 연결부재(121b)를 포함한다. 제 2 수평 연결부재(121b)는 제 1 수평 연결부재(121a)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 2 수평 연결부재(121b)는 제 1 지지부재(111) 및 제 2 지지부재(11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2 수평 연결부재(121b)는 볼트에 의해 제 1 지지부재(111) 및 제 2 지지부재(112)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가드부재(120)는 제 1 수평 연결부재(121a) 및 제 2 수평 연결부재(121b)에 의해 제 1 지지부재(111) 및 제 2 지지부재(112)의 일 측에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가드부재(120)는 제 1 수평 연결부재(121a) 및 제 2 수평 연결부재(121b)에 의해 제 1 지지부재(111) 및 제 2 지지부재(112)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가드부재(120)는 제 1 수평 연결부재(121a) 및 제 2 수평 연결부재(121b)에 의해 선원이 충돌할 때 발생되는 충격으로 인해 제 1 지지부재(111) 및 제 2 지지부재(112)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제 1 수평 연결부재(121a) 및 제 2 수평 연결부재(121b)는 강도가 높은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수평 연결부재(121a) 및 제 2 수평 연결부재(121b)는 철 또는 합금강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수평 연결부재(121a) 및 제 2 수평 연결부재(121b)는 선원이 부딪힐 때 발생되는 충격에 의해 형상이 변형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때, 가드부재(120)는 수직 연결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직 연결부(123)는 제 1 수평 연결부재(121a) 및 제 2 수평 연결부재(121b)의 일 측 또는 양 측에 결합될 수 있다.
수직 연결부(123)는 제 1 수평 연결부재(121a) 및 제 2 수평 연결부재(121b)의 일 측 또는 양 측에 형성되는 돌출부(122a, 122b)의 일 측에 결합되어, 상기 돌출부(122a, 122b)의 일 측을 상하 수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수평 연결부재(121a) 및 제 2 수평 연결부재(121b)는 수직 연결부(123)의 높이방향으로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가드부재(120)는 돌출부(122a, 122b)를 포함한다. 상기 돌출부(122a, 122b)는 엑세스 홀(S2)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22a, 122b)는 제 1 수평 연결부재(121a) 및 제 2 수평 연결부재(121b)의 양 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22a, 122b)가 형성된 제 1 수평 연결부재(121a) 및 제 2 수평 연결부재(121b)는 양 측이 구부러진 'U'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가드부재(120)는 엑세스 홀(S2)을 효과적으로 감쌀 수 있다.
예를 들어, 엑세스 홀(S2)은 보이드 스페이스(S1)의 모서리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엑세스 홀(S2)의 제 1 직선부(S2a)는 보이드 스페이스(S1)의 제 1 벽면(S1a)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엑세스 홀(S2)의 제 1 곡선부(S2c)는 보이드 스페이스 (S1)의 제 2 벽면(S1b)벽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도 2 참고)
따라서, 선원은 엑세스 홀(S2)에 접근할 수 있는 공간에 제한을 받을 수 있다.
이때, 본 고안에 따른 제 1 지지부재(111)는 엑세스 홀(S2)의 제 2 곡선부(S2d)의 일 측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 2 지지부재(112)는 엑세스 홀(S2)의 제 2 곡선부(S2d)의 타 측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지지부재(112)는 제 1 지지부재(111)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지지부재(111) 및 제 2 지지부재(112)에 결합되는 가드부재(120)는 엑세스 홀(S2)의 제 2 곡선부(S2d)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가드부재(120)가 엑세스 홀(S2)의 제 2 곡선부(S2d)를 감싸도록 배치됨으로써 선원이 엑세스 홀(S2)에 접근할 수 있는 공간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가드부재(120)는 제 1 수평 연결부재(121a) 및 제 2 수평 연결부재(121b)에 형성된 돌출부(122a, 122b)에 의해 엑세스 홀(S2)의 직선부(S2a, S2b)의 일정부분을 추가로 감쌀 수 있다. 따라서, 선원이 엑세스 홀(S2)에 접근할 수 있는 공간을 추가로 제한할 수 있도록 한다.
즉, 가드부재(120)는 선원이 엑세스 홀(S2)에 접근하기 위해 필요한 공간만남기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가드부재(120)는 선원이 엑세스 홀(S2)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엑세스 홀(S2)의 근처에 선박용 엑세스 홀 가드부(100)를 배치함으로써 선원이 엑세스 홀(S2)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해, 엑세스 홀(S2)에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엑세스 홀 가드부(200)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선박용 엑세스 홀 가드부(200)가 선박(S)에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 1 실시예와 상이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를 참고 하면, 선박용 엑세스 홀 가드부(200)는 가드부재(220)를 포함한다. 가드부재(220)는 엑세스 홀(S2)이 보이드 스페이스(S1)에 노출되는 면적을 줄일 수 있도록 배치된다.
가드부재(220)는 적어도 하나의 수평 연결부재(221)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수평 연결부재(221)는 복수개의 수평 연결부재(221a, 221b)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복수개의 수평 연결부재(221a, 221b)는 제1 수평 연결부재(221a) 및 제 2 수평 연결부재(221b)를 포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복수개의 수평 연결부재(221a, 221b)는 제 1 수평 연결부재(221a)를 포함한다. 제 1 수평 연결부재(221a)는 제 1 지지부재(211) 및 제 2 지지부재(21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수평 연결부재(221a)는 볼트에 의해 제 1 지지부재(211) 및 제 2 지지부재(212)에 결합될 수 있다.
복수개의 수평 연결부재(221a, 221b)는 제 2 수평 연결부재(221b)를 포함한다. 제 2 수평 연결부재(221b)는 제 1 수평 연결부재(221a)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 2 수평 연결부재(221b)는 제 1 지지부재(211) 및 제 2 지지부재(21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2 수평 연결부재(221b)는 볼트에 의해 제 1 지지부재(211) 및 제 2 지지부재(212)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가드부재(220)는 제 1 수평 연결부재(221a) 및 제 2 수평 연결부재(221b)에 의해 제 1 지지부재(211) 및 제 2 지지부재(212)의 일 측에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가드부재(220)는 제 1 수평 연결부재(221a) 및 제 2 수평 연결부재(221b)에 의해 제 1 지지부재(211) 및 제 2 지지부재(212)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가드부재(220)는 제 1 수평 연결부재(221a) 및 제 2 수평 연결부재(221b)에 의해 선원이 충돌할 때 발생되는 충격으로 인해 제 1 지지부재(211) 및 제 2 지지부재(212)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때, 가드부재(220)는 수직 연결부(2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직 연결부(223)는 제 1 수평 연결부재(221a) 및 제 2 수평 연결부재(221b)의 일 측 또는 양측에 결합될 수 있다.
수직 연결부(223)는 제 1 수평 연결부재(221a) 및 제 2 수평 연결부재(221b)의 일 측에 형성된 돌출부(222a, 222b)를 상하 수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수직 연결부(223)는 제 1 수평 연결부재(221a) 및 제 2 수평 연결부재(221b)의 타 측을 상하 수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수평 연결부재(221a) 및 제 2 수평 연결부재(221b)는 수직 연결부(223)의 높이방향으로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가드부재(220)는 돌출부(222a, 222b)를 포함한다. 돌출부(222a, 222b)는 엑세스 홀(S2)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돌출부(222a, 222b)는 제 1 수평 연결부재(221a) 및 제 2 수평 연결부재(221b)의 일 측에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222a, 222b)는 'ㄱ'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ㄱ'자 형상으로 형성된 돌출부(222a, 222b)가 형성된 가드부재(220)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가드부재(220)는 엑세스 홀(S2)을 효과적으로 감쌀 수 있다.
예를 들어, 엑세스 홀(S2)은 보이드 스페이스(S1)의 벽면 부분에 인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엑세스 홀(S2)의 제 1 직선부(S2a)는 보이드 스페이스(S1)의 제 2 벽면(S1b)에 인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엑세스 홀(S2)의 제 1 곡선부(S2c)는 보이드 스페이스(S1)의 제 2 벽면(S1b)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도 4 참고)
따라서, 선원은 엑세스 홀(S2)에 접근할 수 있는 공간이 제한을 받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엑세스 홀(S2)의 제 1 곡선부(S2c)가 보이드 스페이스(S1)의 제 2 벽면(S2b)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제 1 지지부재(211)는 엑세스 홀(S2)의 제 2 직선부(S2b)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 2 지지부재(212)는 엑세스 홀(S2)의 제 2 직선부(S2b)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 2 지지부재(212)는 제 1 지지부재(211)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 1 지지부재(211) 및 제 2 지지부재(212)에 결합되는 수평 연결부재(221)는 엑세스 홀(S2)의 제 2 직선부(S2b)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가드부재(220)가 엑세스 홀(S2)의 제 2 직선부(S2b)에 배치됨으로써 선원이 엑세스 홀(S2)에 접근할 수 있는 공간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가드부재(220)는 돌출부(222a, 222b)에 의해 엑세스 홀(S2)의 제 2 곡선부(S2d)를 감쌀 수 있다. 가드부재(220)는 돌출부(222a, 222b)에 의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엑세스 홀(S2)을 감쌀 수 있다
따라서, 선원이 엑세스 홀(S2)에 접근할 수 있는 공간이 추가로 제한될 수 있다.
이때, 지지부(210)는 제 3 지지부재(213)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제 3 지지부재(213)는 보이드 스페이스(S1)의 바닥에 설치될 수 있다. 제 3 지지부재(213)는 일 측에 돌출부(222a, 222b)가 결합되도록 보이드 스페이스(S1)의 바닥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 3 지지부재(213)는 별도의 고정수단에 의해 보이드 스페이스(S1)의 바닥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별도의 고정수단은 용접 또는 볼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222a, 222b)는 제 3 지지부재(213)로부터 지지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돌출부(222a, 222b)는 자중에 의해 형상이 변형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S: 선박
S1: 보이드 스페이스
S2: 엑세스 홀
100: 선박용 엑세스 홀 가드부
110: 지지부
120: 가드부재

Claims (6)

  1. 선박의 엑세스 홀에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둘 이상의 지지부; 및
    상기 각각의 지지부의 일 측에 결합되어 서로 연결되며 상기 엑세스 홀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가드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가드부재는,
    상기 둘 이상의 지지부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평 연결부재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평 연결부재의 일 측에 엑세스 홀을 감싸도록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평 연결부재는 복수개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수평 연결부재의 일 측에 형성되는 돌출부를 상하 수직으로 연결하며, 상기 복수개의 수평 연결부재의 타 측을 상하 수직으로 연결하는 수직 연결부가 추가로 형성되는 선박용 엑세스 홀 가드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드부재는,
    상기 둘 이상의 지지부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평 연결부재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평 연결부재의 양측에 엑세스 홀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선박용 엑세스 홀 가드부.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평 연결부재는 복수개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수평 연결부재의 양측에 형성되는 돌출부를 상하 수직으로 연결하는 수직 연결부가 추가로 형성된 선박용 엑세스 홀 가드부.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둘 이상의 지지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평 연결부재를 지지하는 제 1 지지부재와,
    상기 제 1 지지부재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평 연결부재를 지지하는 제 2 지지부재와,
    상기 제 2 지지부재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돌출부를 지지하는 제 3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선박용 엑세스 홀 가드부.
KR2020110000346U 2011-01-13 2011-01-13 선박용 엑세스 홀 가드부 KR2004681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0346U KR200468186Y1 (ko) 2011-01-13 2011-01-13 선박용 엑세스 홀 가드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0346U KR200468186Y1 (ko) 2011-01-13 2011-01-13 선박용 엑세스 홀 가드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324U KR20120005324U (ko) 2012-07-23
KR200468186Y1 true KR200468186Y1 (ko) 2013-07-29

Family

ID=46874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0346U KR200468186Y1 (ko) 2011-01-13 2011-01-13 선박용 엑세스 홀 가드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818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5955B1 (ko) * 2013-01-04 2014-11-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엑세스 홀 가드구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6989A (ja) 2000-11-09 2002-05-22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手 摺
KR100717609B1 (ko) * 2004-05-21 2007-05-15 명성산업개발 주식회사 가드레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6989A (ja) 2000-11-09 2002-05-22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手 摺
KR100717609B1 (ko) * 2004-05-21 2007-05-15 명성산업개발 주식회사 가드레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324U (ko) 2012-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75829A (ko) 해양구조물용 헬리콥터 착륙장
JP2007230459A (ja) バッテリーボックス取付構造
KR200468186Y1 (ko) 선박용 엑세스 홀 가드부
US20100032236A1 (en) Fall arrest system
JP5253234B2 (ja) エレベータかご天井上巾木装置
CN203806895U (zh) 电梯井隔障
KR20150000547U (ko) 가이드 소켓을 갖는 해치 및 이를 구비하는 선박
KR200473064Y1 (ko) 케이블 정리용 지그
KR101060358B1 (ko) 건축용 배설 파이프 지지장치
KR20140003753U (ko) 케이블 트레이용 커버
KR20180000624U (ko) 복공판용 상하 방진 장치
KR101603783B1 (ko) 매트 스위치
JP3186305U (ja) 欄干兼用防護柵
KR20140003022U (ko) 선박 및 해양조물용 안전핸드레일
KR200465978Y1 (ko) 케이블 트레이 서포터 및 이를 구비한 선박
KR200470181Y1 (ko) 선박용 함몰형 핸드레일 기구
JP6510355B2 (ja) 車体底部構造
KR20180002720U (ko) 케이블 트레이 고정 장치
JP2013237321A (ja) 車両の配管固定部構造
KR20140058084A (ko) 선박용 크로스 케이블 트레이
JP4627434B2 (ja) エレベーターの昇降路装置
KR20140004881U (ko) 선박용 맨홀의 안전 장치
KR101205877B1 (ko) 선박용 장비 고정 시트
KR101271758B1 (ko) 선박의 격벽 구조체
JP5901260B2 (ja) 筐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