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3783B1 - 매트 스위치 - Google Patents

매트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3783B1
KR101603783B1 KR1020140098144A KR20140098144A KR101603783B1 KR 101603783 B1 KR101603783 B1 KR 101603783B1 KR 1020140098144 A KR1020140098144 A KR 1020140098144A KR 20140098144 A KR20140098144 A KR 20140098144A KR 101603783 B1 KR101603783 B1 KR 1016037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over member
ground
base
alumin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8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8023A (ko
Inventor
이구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앤엔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앤엔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앤엔피
Publication of KR201500480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80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3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37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01H13/16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adapted for operation by a part of the human body other than the hand, e.g. by foot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트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지면에 설치되며, 알루미늄 또는 마그네슘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 바닥부재와, 상기 바닥부재의 상면에 설치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접착되는 복수의 간격유지밴드와, 상기 간격유지밴드들 사이의 상기 베이스 상면에 설치된 다수의 테이프 스위치와, 상기 간격유지밴드의 상면에 부착되는 표면에 부착되는 표면판이 마련된 스위치 유닛과, 상기 스위치 유닛의 상부를 덮도록 상기 표면판의 상면에 설치되며, 알루미늄 또는 마그네슘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 커버부재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매트 스위치는 위치 유닛의 상하부를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된 바닥부재 및 커버부재로 감싸도록 하여 내구성 및 내식성을 향상시키므로 사용수명을 증가시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매트 스위치{Mat switch}
본 발명은 매트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알루미늄 또는 마그네슘 소재를 사용하여 내식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킨 매트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방호용 매트 스위치는 출입문의 입구 바닥에 설치하여 출입상태의 점검 또는 출입 카운팅을 수행하거나, 산업분야의 설비 또는 장치 근처에 설치하여 작업자가 발로 밟을 경우 안전을 위하여 설비 또는 장치의 작동을 정지하도록 하는 용도로 많이 사용된다.
상기와 같은 용도로 사용되는 방호용 매트 스위치는 바닥과 연접되는 고무재질의 베이스를 다양한 모양으로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의 상면 사방 가장자리에는 역시 고무재질의 간격유지밴드를 접착하여 고정한다.
상기 간격유지밴드의 내부에는 많은 수의 테이프 스위치를 배열하고 그 위에 요철무늬를 가지는 표면판을 부착 고정하여 구성하고, 견고한 상태의 고정을 위하여 가장자리에는 가이드프레임을 결합한다.
그러나 종래의 방호용 매트는 고무재질로 형성되어 있어 내구성 및 내식성이 낮아 사용수명이 비교적 짧다는 단점이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85159호 : 안전매트 스위치 등록특허공보 제10-0430072호 : 스위치가 설치된 안전매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위치 유닛의 상하부를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된 바닥부재 및 커버부재로 감싸도록 하여 내구성 및 내식성을 향상시킨 매트 스위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매트 스위치는 지면에 설치되며, 알루미늄 또는 마그네슘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 바닥부재와, 상기 바닥부재의 상면에 설치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접착되는 복수의 간격유지밴드와, 상기 간격유지밴드들 사이의 상기 베이스 상면에 설치된 다수의 테이프 스위치와, 상기 간격유지밴드의 상면에 부착되는 표면에 부착되는 표면판이 마련된 스위치 유닛과, 상기 스위치 유닛의 상부를 덮도록 상기 표면판의 상면에 설치되며, 알루미늄 또는 마그네슘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 커버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바닥부재 및 커버부재는 상기 베이스 및 표면판보다 더 큰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매트 스위치는 상기 커버부재의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지면과 상기 바닥부재 사이에 미끄럼 발생을 방지하는 스톱퍼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톱퍼는 상기 커버부재와 바닥부재의 사이 공간을 폐쇄할 수 있도록 상기 커버부재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형성된다.
상기 스톱퍼는 상기 커버부재의 상면 가장자리에 안착되며, 상기 커버부재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형성된 안착플레이트와, 상기 커버부재 외측의 상기 안착플레이트 단부에 하방으로 연장되되, 상기 커버부재와 바닥부재의 사이공간을 폐쇄할 수 있도록 하단부가 지면에 접하도록 형성된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안착플레이트의 단부로부터 상기 커버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커버부재로부터 멀어질수록 지면에 인접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플레이트와, 상기 경사플레이트의 단부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하면이 지면에 접하도록 하방으로 연장되며, 하면에는 상방으로 인입된 고정홈이 형성된 지지블럭과,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블럭에 대향되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측면에 상기 지지블럭 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안착플레이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1보강바와, 상기 지지블럭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보강바에 대향되는 상기 지지블럭의 측면에 상기 지지플레이트 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안착플레이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2보강바와, 상기 경사플레이트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블럭과 지지플레이트 사이의 상기 경사플레이트 하면에 하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안착플레이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3보강바를 구비한다.
또한, 작업자 또는 이동수단이 통과시 상기 경사플레이트에 대해 미끄럼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경사플레이트의 상면에 다수의 방지돌기가 형성된다.
상기 방지돌기는 상기 안착플레이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것으로서, 상기 커버부재로부터 이동하는 상기 작업자 또는 이동수단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경사플레이트의 상면에 대해 직교하게 상방으로 돌출된 수직면과, 상기 수직면의 상단부로부터 상기 커버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커버부재로 이동하는 상기 작업자 또는 이동수단이 용이하게 상기 커버부재에 도달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게 단부가 상기 경사플레이트의 상면에 접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을 구비한다.
상기 스톱퍼는 소정의 강도를 갖도록 알루미늄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매트 스위치는 위치 유닛의 상하부를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된 바닥부재 및 커버부재로 감싸도록 하여 내구성 및 내식성을 향상시키므로 사용수명을 증가시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매트 스위치에 대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매트 스위치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매트 스위치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매트 스위치에 대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매트 스위치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매트 스위치(10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매트 스위치(100)는 출입문의 입구에 설치하여 출입 카운트용으로 사용되거나 산업현장의 설비 전방 또는 위험지역의 입구에 설치하여 위험발생시 또는 위험구역으로 무의식적으로 진입하는 과정에서 매트 스위치(100)를 밟을 경우 카운팅이 되거나 설비 또는 장치의 작동을 중단시켜 안전사고를 방지한다.
상기 매트 스위치(100)는 지면에 설치되는 바닥부재(110)와, 상기 바닥부재(110)의 상면에 설치되는 스위치 유닛(120)과, 상기 스위치 유닛(120)의 상부를 덮도록 설치되는 커버부재(130)를 구비한다.
바닥부재(110)는 스위치 유닛(120)의 하면을 덮을 수 있도록 스위치 유닛(120)의 하면보다 더 큰 단면적을 갖는 판형으로 형성된다. 바닥부재(110)는 스위치 유닛(120)의 하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내구성 및 내식성이 우수한 알루미늄이나 마그네슘으로 형성된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바닥부재(110)가 사각형의 단면으로 형성된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상기 바닥부재(110)는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매트 스위치(100)가 설치되는 장소 및 설치공간에 따라 삼각형 또는 육각형과 같은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바닥부재(110)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지면에 대해 미끄러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면 네 모퉁이에 각각 고무소재의 미끄럼 방지부재가 설치될 수도 있다.
스위치 유닛(120)은 고무재질의 베이스(121)와, 상기 베이스(121)의 상면 가장자리에 접착되는 복수의 간격유지밴드(122)와, 상기 간격유지밴드(122)들 사이의 상기 베이스(121) 상면에 설치된 다수의 테이프 스위치(123)와, 상기 간격유지밴드(122)의 상면에 부착되는 표면에 부착되는 표면판(124)을 구비한다.
베이스(121)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형으로 형성되며, 바닥부재(110)의 상면 중앙부에 고정된다. 이때, 베이스(121)는 가장자리가 바닥부재(11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바닥부재(110)보다 작은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 베이스(121)는 사각형의 단면으로 형성된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상기 베이스(121)는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삼각형 또는 육각형과 같은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간격유지밴드(122)는 베이스(121)의 상면 사방 가장자리에 각각 설치되며, 베이스(121)의 상면에 대해 상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된다. 상기 간격유지밴드(122)는 표면판(124)으로부터 전달되는 외력에 의해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고무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테이프 스위치(123)는 다수개가 간격유지밴드(122)들 사이의 베이스(121)의 상면에 설치된다. 상기 테이프 스위치(123)는 상면에 표면판(124)이 접할 수 있도록 간격유지밴드(122)의 높이에 대응되는 높이로 형성된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설치된 테이프 스위치(123)는 표면판(124)으로부터 전달되는 외력을 감지하는 것으로서, 표면판(124)의 상면에 작업자이나 대차와 같은 이동수단이 접촉되는 것을 감지하거나 표면판(124)의 상면에 안착된 작업자이나 이동수단의 무게를 감지한다.
커버부재(130)는 표면판(124)의 상면에 부착되며, 스위치 유닛(120)의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표면판(124)의 단면적보다 더 큰 단면적으로 형성된다. 커버부재(130)는 스위치 유닛(120)의 상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내구성 및 내식성이 우수한 알루미늄이나 마그네슘으로 형성된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커버부재(130)가 사각형의 단면으로 형성된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상기 커버부재(130)는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매트 스위치(100)가 설치되는 장소 및 설치공간에 따라 삼각형 또는 육각형과 같은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커버부재(130)의 상면에는 시각적으로 위험 또는 안전지대 등으로 표시하는 검은색의 제1패턴과, 노란색의 제2패턴이 교호적으로 배열되되, 제1 및 제2패턴이 각각 사선으로 표시되어 있으나,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커버부재(130)의 상면에는 다양한 색상과 형상의 로고, 문자 등이 표시될 수도 있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매트 스위치(100)는 스위치 유닛(120)의 상하부를 알루미늄 또는 마그네슘 재질로 형성된 바닥부재(110) 및 커버부재(130)로 감싸도록 하여 내구성 및 내식성을 향상시키므로 사용수명을 증가시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3 및 도 4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매트 스위치(200)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매트 스위치(200)는 상기 커버부재(130)의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지면과 상기 바닥부재(110) 사이에 미끄럼 발생을 방지하는 스톱퍼(210)를 더 구비한다. 상기 스톱퍼(210)는 안착플레이트(211), 지지플레이트(212), 경사플레이트(213), 지지블럭(214), 제1보강바(215), 제2보강바(216), 제3보강바(217) 및 방지돌기(218)를 구비한다.
안착플레이트(211)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형으로 형성되며, 하면이 커버부재(130)의 상면 가장자리에 안착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안착플레이트(211)는 커버부재(130)의 가장자리를 따라 사각형으로 폐궤적을 이루며 연장형성된다.
지지플레이트(212)는 커버부재(130) 외측의 안착플레이트(211) 단부에 하방으로 연장되되, 커버부재(130)와 바닥부재(110)의 사이공간을 폐쇄할 수 있도록 하단부가 지면에 접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지지플레이트(212)는 안착플레이트(211)의 연장방향으로 따라 연장형성된다.
지지플레이트(212)에 의해 커버부재(130) 및 바닥부재(110) 사이의 공간이 폐쇄되므로 테이프 스위치(123)로 물이나 이물질이 침투되어 테이프 스위치(123)가 오작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경사플레이트(213)는 안착플레이트(211)의 단부로부터 상기 커버부재(13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되, 상기 커버부재(130)로부터 멀어질수록 지면에 인접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커버부재(130)는 상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작업자 또는 이동수단이 용이하게 커버부재(130)의 상측으로 유도된다. 이때, 상기 경사플레이트(213)는 안착플레이트(211)의 연장방향을 따라 폐궤적을 이루며 연장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블럭(214)은 경사플레이트(213)의 단부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하면이 지면에 접하도록 하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지지블럭(214)은 지면에 대한 접촉면적이 확장될 수 있도록 경사플레이트(213)의 단부로부터 지지플레이트(212) 측으로 소정길이 연장형성된다. 이때, 지지블럭(214)은 안착플레이트(211)의 연장방향을 따라 폐궤적을 이루며 연장형성된다. 또한, 지지블럭(214)에는 지면의 요철이 삽입되어 걸릴 수 있도록 고정홈(221)이 하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깊이 인입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고정홈(221)은 지지블럭(214)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블럭(214)은 지면에 대한 접촉면적이 확장되고, 고정홈(221)에 의해 지면에 형성된 요철이 걸리므로 보다 견고하게 매트 스위치(200)를 지면에 지지시킨다.
제1보강바(215)는 지지플레이트(212)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블럭(214)에 대향되는 상기 지지플레이트(212)의 측면에 상기 지지블럭(214) 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안착플레이트(2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이때, 제1보강바(215)는 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길이 이격된 위치의 지지플레이트(212)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보강바(216)는 상기 지지블럭(214)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보강바(215)에 대향되는 상기 지지블럭(214)의 측면에 상기 지지플레이트(212) 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안착플레이트(2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이때, 제2보강바(216)는 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길이 이격된 위치의 지지블럭(214)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보강바(217)는 상기 경사플레이트(213)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블럭(214)과 지지플레이트(212) 사이의 상기 경사플레이트(213) 하면에 하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안착플레이트(2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이때, 제3보강바(217)는 하방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지돌기(218)는 작업자 또는 이동수단이 통과시 상기 경사플레이트(213)에 대해 미끄럼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경사플레이트(213)의 상면에 다수개가 상방으로 돌출형성된다. 상기 방지돌기(218)는 상기 안착플레이트(211)의 길이방향을 따라 폐궤도를 이루며 연장형성되며, 다수개가 경사플레이트(213)의 경사면(223)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방지돌기(218)는 상기 커버부재(130)로부터 이동하는 상기 작업자 또는 이동수단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경사플레이트(213)의 상면에 대해 직교하게 상방으로 돌출된 수직면(222)과, 상기 수직면(222)의 상단부로부터 상기 커버부재(13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커버부재(130)로 이동하는 상기 작업자 또는 이동수단이 용이하게 상기 커버부재(130)에 도달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게 단부가 상기 경사플레이트(213)의 상면에 접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223)을 구비한다.
한편,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스톱퍼(210)는 내구성 및 내식성이 우수한 알루미늄이나 마그네슘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톱퍼(210)에 의해 매트 스위치(200)는 지면에 대해 견고하게 지지되며, 커버부재(130)와 바닥부재(110) 사이로 물이나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이 방지되어 테이퍼 스위치의 사용수명을 증가시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매트 스위치
110: 바닥부재
120: 스위치 유닛
121: 베이스
122: 간격유지밴드
123: 테이프 스위치
124: 표면판
130: 커버부재

Claims (8)

  1. 지면에 설치되며, 알루미늄 또는 마그네슘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 바닥부재와; 상기 바닥부재의 상면에 설치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접착되는 복수의 간격유지밴드와, 상기 간격유지밴드들 사이의 상기 베이스 상면에 설치된 다수의 테이프 스위치와, 상기 간격유지밴드의 상면에 부착되는 표면에 부착되는 표면판이 마련된 스위치 유닛과; 상기 스위치 유닛의 상부를 덮도록 상기 표면판의 상면에 설치되며, 알루미늄 또는 마그네슘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 커버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바닥부재 및 커버부재는 상기 베이스 및 표면판보다 더 큰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재의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지면과 상기 바닥부재 사이에 미끄럼 발생을 방지하는 스톱퍼;가 구비되며,
    상기 스톱퍼는 상기 커버부재의 상면 가장자리에 안착되며, 상기 커버부재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형성된 안착플레이트와, 상기 커버부재 외측의 상기 안착플레이트 단부에 하방으로 연장되되, 상기 커버부재와 바닥부재의 사이공간을 폐쇄할 수 있도록 하단부가 지면에 접하도록 형성된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안착플레이트의 단부로부터 상기 커버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커버부재로부터 멀어질수록 지면에 인접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플레이트와, 상기 경사플레이트의 단부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하면이 지면에 접하도록 하방으로 연장되며, 하면에는 상방으로 인입된 고정홈이 형성된 지지블럭과,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블럭에 대향되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측면에 상기 지지블럭 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안착플레이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1보강바와, 상기 지지블럭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보강바에 대향되는 상기 지지블럭의 측면에 상기 지지플레이트 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안착플레이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2보강바와, 상기 경사플레이트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블럭과 지지플레이트 사이의 상기 경사플레이트 하면에 하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안착플레이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3보강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 스위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작업자 또는 이동수단이 통과시 상기 경사플레이트에 대해 미끄럼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경사플레이트의 상면에 다수의 방지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 스위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방지돌기는 상기 안착플레이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것으로서, 상기 커버부재로부터 이동하는 상기 작업자 또는 이동수단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경사플레이트의 상면에 대해 직교하게 상방으로 돌출된 수직면과,
    상기 수직면의 상단부로부터 상기 커버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커버부재로 이동하는 상기 작업자 또는 이동수단이 용이하게 상기 커버부재에 도달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게 단부가 상기 경사플레이트의 상면에 접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 스위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는 소정의 강도를 갖도록 알루미늄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 스위치.










KR1020140098144A 2013-10-25 2014-07-31 매트 스위치 KR1016037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7846 2013-10-25
KR1020130127846 2013-10-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8023A KR20150048023A (ko) 2015-05-06
KR101603783B1 true KR101603783B1 (ko) 2016-03-17

Family

ID=53386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8144A KR101603783B1 (ko) 2013-10-25 2014-07-31 매트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37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4416Y1 (ko) * 2020-03-09 2021-10-12 주영율 안전용 매트 스위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1838B1 (ko) 2008-04-14 2009-02-03 주식회사 유피스 방호용 매트 스위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1838B1 (ko) 2008-04-14 2009-02-03 주식회사 유피스 방호용 매트 스위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8023A (ko) 2015-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46726B1 (en) Chain with protection device
KR101605007B1 (ko) 난간 구조물
CN109415186B (zh) 电梯设备
US20090295117A1 (en) Anti-slip device for heavy construction equipment
US20190186157A1 (en) Safety fence assembly
KR101603783B1 (ko) 매트 스위치
KR20080076066A (ko) 승강기의 추락방지장치
US20190186158A1 (en) Safety fence assembly
US10457481B2 (en) Structure protector
US20100032236A1 (en) Fall arrest system
CN106232515B (zh) 电梯设备
JP5253234B2 (ja) エレベータかご天井上巾木装置
CN203806895U (zh) 电梯井隔障
KR20080000358U (ko) 작업용 발판
JP2014073889A (ja) エスカレータの踏段
KR101878207B1 (ko) 계단용 논슬립
KR20180000870U (ko) 그레이팅용 미끄럼 방지구
JP2011153012A (ja) エレベータのピット装置
KR20110009078U (ko) 작업용 안전발판
CA3000055A1 (en) Lift system
KR100881838B1 (ko) 방호용 매트 스위치
JP2012106848A (ja) 乗客コンベア
KR100910185B1 (ko) 승강기 도어슈의 보강장치
KR200468186Y1 (ko) 선박용 엑세스 홀 가드부
JP4486547B2 (ja) 止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