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8207B1 - 계단용 논슬립 - Google Patents

계단용 논슬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8207B1
KR101878207B1 KR1020180011879A KR20180011879A KR101878207B1 KR 101878207 B1 KR101878207 B1 KR 101878207B1 KR 1020180011879 A KR1020180011879 A KR 1020180011879A KR 20180011879 A KR20180011879 A KR 20180011879A KR 101878207 B1 KR101878207 B1 KR 1018782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p
horizontal
frame
elastic member
horizontal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1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동은
채명묵
이민호
Original Assignee
우진글로벌 주식회사
채명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진글로벌 주식회사, 채명묵 filed Critical 우진글로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118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82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82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82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E04F11/104Treads
    • E04F11/16Surfaces thereof; Protecting means for edges or corners thereof
    • E04F11/163Protecting means for edges or cor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계단용 논슬립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미끄럼 방지를 위해 계단의 모서리에 부착되는 계단용 논슬립에 있어서, 측단면이 볼록한 호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수평부 및 상기 수평부의 전단에서 후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수직부를 포함하여, 'ㄱ'자 형태로 형성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과 상기 계단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수평부 및 탄성부재에 의해 이중 탄성 구조로 미끄럼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용 논슬립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계단용 논슬립{Non-slip for stairs}
본 발명은 계단용 논슬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미끄럼 방지를 위해 계단의 모서리에 부착되어 호의 형상인 프레임 및 탄성부재의 구성으로 이중 탄성 구조로써 하중에 의한 탄성을 이용하여 미끄럼을 방지하는 계단용 논슬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계단 논슬립은 계단의 모서리부분에 설치하여 계단 모서리의 마모를 대신하고 보행자의 안전을 유도하여 보행에 도움을 주기 위한 미끄럼 방지용 안전장치로, 평상시의 계단을 오르내릴 때 슬립현상에 의한 안전사고를 줄이기 위한 미끄럼 방지턱을 말한다.
이러한 논스립은 다양한 재질과 구성이 제안되고 있는데, 대표적으로 계단 모서리를 감싸게 설치됨으로써 모서리를 보호하면서도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단면이 'ㄱ'자형인 논슬립이 있다.
이때 논슬립은 슬립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논-슬립(non-slip)재료로 구성되어야 하며, 노출된 외부환경에 대한 내구성을 유지하기 위해 고강도, 고연신율, 고인성, 우수한 내식성 등을 가져야 한다.
종래의 논슬립에 있어서는 그 접촉표면에 복수의 미끄럼 방지턱을 형성하고 있으나 미끄럼 현상을 방지하기에는 충분치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야간에 조명이 충분하지 못한 곳에서는 계단이 잘 식별되지 않을 수 않아 발을 헛디뎌 넘어지거나 미끄러지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어 상당히 위험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미끄럼 방지 효과를 증대시키고 어두운 상황에서도 계단을 명확히 식별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논슬립의 개발이 필요하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미끄럼 방지를 위해 계단의 모서리에 부착되어 호의 형상인 프레임 및 탄성부재의 구성으로 이중 탄성 구조로써 하중에 의한 탄성을 이용하여 미끄럼을 방지하는 계단용 논슬립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계단용 논슬립은 미끄럼 방지를 위해 계단의 모서리에 부착되는 계단용 논슬립에 있어서, 측단면이 볼록한 호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수평부 및 상기 수평부의 전단에서 후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수직부를 포함하여, 'ㄱ'자 형태로 형성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과 상기 계단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수평부 및 탄성부재에 의해 이중 탄성 구조로 미끄럼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용 논슬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계단용 논슬립은 상기 수평부의 상면 정면측 및 수직부의 정면 상측 중 하나 이상에 설치되는 형광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계단용 논슬립은 상기 수평부의 후단과 상기 수직부의 하단이 상기 계단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평부는 상기 수평부의 정면측에 형성되고 하면이 상기 계단에 지지되는 지지홈; 상기 수평부에 상기 지지홈 후측에 형성되고 후면측으로 교번하여 형성되는 볼록부 및 오목부를 포함하는 미끄럼방지부 및 상기 수평부에 상기 미끄럼방지부 후측에 형성되고 상기 계단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제1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볼록부는 측단면이 볼록한 호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볼록부는 상기 볼록부 중심에서 전후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상단에 형성되는 보조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계단용 논슬립은 'ㄱ'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 양측에 설치되고, 내측면에 형성된 가이드홀을 포함하는 보호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홈은 양측면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홀을 따라 이동가능한 결합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계단용 논슬립의 상기 오목부는 상기 오목부의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다수개의 삽입홀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탄성부재 상면에 상기 삽입홀에 대응되고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는 삽입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부에 하중이 가해질 경우 상기 수평부의 하강으로 인해 상기 삽입돌기가 상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계단용 논슬립은 미끄럼 방지를 위해 계단의 모서리에 부착되어 호의 형상인 프레임 및 탄성부재의 구성으로 이중 탄성 구조로써 하중에 의한 탄성을 이용하여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어두운 환경에서 계단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어 안전사고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탄성에 의해 충격을 완화시켜 계단, 계단용 논슬립 등의 파손율을 낮출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계단용 논슬립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계단용 논슬립의 프레임을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계단용 논슬립이 계단의 모서리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설치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계단용 논슬립의 보호 프레임을 포함한 모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계단용 논슬립의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계단용 논슬립이 계단의 모서리에 설치된 모습 및 하중이 가해졌을 때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계단용 논슬립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계단용 논슬립의 프레임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계단용 논슬립이 계단의 모서리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설치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계단용 논슬립의 보호 프레임을 포함한 모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계단용 논슬립(1)은 미끄럼 방지를 위해 계단의 모서리에 부착되는 것으로, 이중 탄성 구조로 형성되어 하중에 의한 탄성을 이용하여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계단용 논슬립(1)은 프레임(10), 탄성부재(20) 및 형광부재(미도시)를 포함하여 이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프레임(10)은 수평부(100) 및 수직부(110)를 포함하고, 'ㄱ'자 형태인 판의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계단의 모서리에 거치되어 감싸도록 설치될 수 있다.
설치시 프레임(10)은 수평부(100)의 후단과 수직부(110)의 하단이 계단에 고정될 수 있다. 이는 볼록한 호(R)의 형상으로 형성된 수평부(100)가 하중(L)에 의해 눌리면서 정면측으로 유연하게 이동되었다가 하면측으로 다시 이동하여 제자리로 돌아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프레임(10)은 가볍고 튼튼하며 탄성이 있고 내식성이 강한 알루미늄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튼튼하고 탄성이 있으며 내식성이 우수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수평부(100)는 측단면이 볼록한 호(R)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탄성을 주기 위한 것으로 수평부(100)에 하중이 가해질 경우 탄성을 주게 되어 미끄럼 방지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수평부(100)는 지지홈(101), 미끄럼방지부(102) 및 제1 고정부(103)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홈(101)은 수평부(100)의 정면측에 수평부(10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홈(101)의 하면이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홈(101)의 하면이 계단에 접하게 되고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홈(101)은 볼록한 호(R)의 형상으로 형성된 수평부(100)가 지지홈(101) 및 제1 고정부(103)를 제외하고 상시에 계단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고 수평부(100)와 계단 사이에 탄성부재(20)가 구비될 수 있으며, 하중으로 눌릴 때 지지해주는 역할을 수 있다.
또한, 지지홈(101)은 미끄럼방지부(102)에 하중이 가해지는 것에 따라 계단면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미끄럼방지부(102)는 수평부(100)에 지지홈(101) 후측에 형성되며, 하중이 가해졌을 때 탄성을 주어 충격을 흡수하고 미끄럼 방지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미끄럼방지부(102)는 볼록부(1020) 및 오목부(1021)를 포함하고, 볼록부(1020) 및 오목부(1021)가 후면측으로 교번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볼록부(1020)는 수평부(10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즉, 측단면이 볼록한 호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볼록부(1020)에서도 탄성이 발생하여 수평부(100)의 탄성을 더욱 높여줄 수 있다.
또한, 볼록부(1020)는 돌출부(1020a)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1020a)는 볼록부(1020) 중심에서 전후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돌출부(1020a)는 볼록부(102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하나로 형성될 수 있으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개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돌출부(1020a)는 2개가 전후방향으로 서로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으나, 서로 다른 각도의 기울기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돌출부(1020a)는 θ의 각도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θ는 30 내지 60°로 형성될 수 있으며, 45°가 가장 바람직하다.
이러한 돌출부(1020a)는 θ의 각도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미끄럼방지를 위한 마찰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계단을 오르고 내려가는 보행자 진입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마찰력을 최대화하여 미끄럼 방지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볼록부(1020) 상측에 볼록부(102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고, 측단면이 오목한 호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돌출부(1020a)는 상단에 2개 이상의 보조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보조돌기는 돌출부(1020a)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고,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개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미끄럼방지부(102)의 마찰력을 증가시켜 미끄럼 방지 효과를 더 높일 수 있다.
오목부(1021)는 수평부(10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오목부(1021)의 하면이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평부(100)에 하중이 가해졌을 때 하측으로 이동되어 오목부(1021)의 하면이 탄성부재(20)에 지지되고 받쳐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미끄럼방지부(102)가 마찰력을 발생시켜 미끄럼을 방지하고, 볼록부(1020) 및 수평부(100)에 의해 탄성을 주어 충격을 완화하고 하중을 받쳐주게 되어 미끄럼 방지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제1 고정부(103)는 수평부(100)에 미끄럼방지부(102) 후측에 형성되어 계단에 밀착되게 고정될 수 있다. 즉, 제1 고정부(103)는 수평부(100)의 후단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고정부(103)를 계단에 고정시킬 때 접착제, 나사 고정 등 다양한 고정 방식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수평부(100)는 제1 형광부재 설치부(10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형광부재 설치부(104)는 수평부(100)의 상면에서 정면측에 수평부(10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형광부재(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지지홈(101)의 상측에 홈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광부재(미도시)가 수평부(100)의 상면 정면측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하여 계단을 내려오는 보행자가 계단을 식별하기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수직부(110)는 수평부(100)의 전단에서 후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직부(110)는 제2 고정부(111) 및 제2 형광부재 설치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고정부(111)는 수직부(110)의 하단에 형성되어 계단에 밀착되게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평부(100)가 하중에 의해 눌리고 정면 방향으로 이동될 때 수직부(110)의 상단도 같이 정면 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다.
제2 형광부재 설치부(112)는 수직부(110)의 정면에서 상측에 수직부(11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형광부재(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2 형광부재 설치부(112)는 수직부(110)의 정면에 상측 및 후측 설치돌기가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측 및 후측 설치돌기 사이에 형광부재(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광부재(미도시)가 수직부(110)의 정면 상측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하여 계단을 올라가는 보행자가 계단을 식별하기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탄성부재(20)는 프레임(10)과 계단 사이에 설치될 수 있고, 더욱 구체적으로 미끄럼방지부(102)와 계단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20)의 상면은 프레임(1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재(20)는 내노화성이 우수하고 탄성력이 우수한 실리콘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탄성력이 우수하고 계단과 밀착력이 높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계단용 논슬립(1)이 이중 구조로 형성되어, 계단용 논슬립(1)에 하중이 가해질 때 탄성부재(20)가 하중(보행자에 의한 힘 또는 무게)을 더 받쳐주고 충격을 더 흡수할 수 있다.
또한, 계단용 논슬립(1)의 하중에 의한 움직임이 최소화되어 보행자의 보행에 영향이 최소화되도록 할 수 있다.
형광부재(미도시)는 프레임(10)에 설치되어 어두운 환경에서 보행자의 계단 식별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형광부재(미도시)는 프레임(10)의 수평부(100)의 정면측 및 수직부(110)의 정면 상측 중 하나 이상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제1 형광부재 설치부(104) 및 제2 형광부재 설치부(112) 중 하나 이상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계단용 논슬립(1)은 보호프레임(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지지홈(101)은 양측면 하단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결합돌기(1010)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돌기(1010)는 프레임(10)의 양측에 설치된 보호프레임(30)의 가이드홀(300)에 삽입되어 가이드홀(30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호프레임(30)과 프레임(10)이 연결되면서도 프레임(10)이 하중이 가해져 변형이 발생하는데 보호프레임(30)에 의해 영향 받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보호프레임(30)은 'ㄱ'자 형태로 형성되어 프레임(10) 양측에 설치되고, 내측면에 형성된 가이드홀(3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보호프레임(30)은 프레임(10)의 내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먼지 등이 들어가지 않도록 할 수 있고, 탄성부재(20)를 보호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홀(300)은 보호프레임(30)의 내측면에 정후면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계단용 논슬립의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계단용 논슬립이 계단의 모서리에 설치된 모습 및 하중이 가해졌을 때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계단용 논슬립(1)은 오목부(1021)가 삽입홀(1021a), 탄성부재(20)가 삽입돌기(2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삽입홀(1021a), 삽입돌기(200)를 제외하고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계단용 논슬립(1)은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계단용 논슬립(1)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삽입홀(1021a) 및 삽입돌기(200)에 대하여만 설명하기로 한다.
삽입홀(1021a)은 오목부(1021)의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삽입홀(1021a)은 단면적이 작은 원형 형상의 홀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의 홀로 형성될 수 있다.
삽입돌기(200)는 탄성부재(20) 상면에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삽입돌기(200)는 삽입홀(1021a)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삽입홀(1021a)의 형상, 위치 및 수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레임(10)의 내부에 탄성부재(20)가 위치하고 삽입홀(1021a)에 삽입돌기(200)가 하측에서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수평부(100)에 하중이 가해질 경우 수평부(100)의 하강으로 인해 삽입돌기(200)가 삽입홀(1021a)로부터 상측으로 더욱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삽입돌기(200)는 볼록부(1020)와 동일하게 돌출될 수 있고 더 높이 돌출될 수도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시에는 수평부(100)의 삽입홀(1021a)에 삽입돌기(200)가 삽입되어 있는 상태이고,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중이 가해지면 수평부(100)가 하강하면서 삽입돌기(200)가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삽입돌기(200)가 상측으로 더욱 돌출되어 볼록부(1020)를 도와 마찰력을 더 높여줄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계단용 논슬립은 미끄럼 방지를 위해 계단의 모서리에 부착되어 호의 형상인 프레임 및 탄성부재의 구성으로 이중 탄성 구조로써 하중에 의한 탄성을 이용하여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어두운 환경에서 계단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어 안전사고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탄성에 의해 충격을 완화시켜 계단, 계단용 논슬립 등의 파손율을 낮출 수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계단용 논슬립을 제1 및 제2 실시예로 나누어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성 및 이해가 쉽도록 하기 위해 실시예를 나눠 설명한 것으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실시예의 구성은 설계 변경하여 서로 적용될 수 있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 계단용 논슬립
10: 프레임
100: 수평부
101: 지지홈
1010: 결합돌기
102: 미끄럼방지부
1020: 볼록부
1020a: 돌출부
1021: 오목부
1021a: 삽입홀
103: 제1 고정부
104: 제1 형광부재 설치부
110: 수직부
111: 제2 고정부
112: 제2 형광부재 설치부
20: 탄성부재
200: 삽입돌기
30: 보호프레임
300: 가이드홀

Claims (8)

  1. 미끄럼 방지를 위해 계단의 모서리에 부착되는 계단용 논슬립에 있어서,
    측단면이 볼록한 호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수평부 및 상기 수평부의 전단에서 후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수직부를 포함하여, 'ㄱ'자 형태로 형성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과 상기 계단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수평부 및 탄성부재에 의해 이중 탄성 구조로 미끄럼을 방지하며,
    상기 수평부는,
    상기 수평부의 정면측에 형성되고 하면이 상기 계단에 지지되는 지지홈;
    상기 수평부에 상기 지지홈 후측에 형성되고 후면측으로 교번하여 형성되는 볼록부 및 오목부를 포함하는 미끄럼방지부 및
    상기 수평부에 상기 미끄럼방지부 후측에 형성되고 상기 계단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제1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볼록부는 측단면이 볼록한 호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용 논슬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단용 논슬립은,
    상기 수평부의 상면 정면측 및 수직부의 정면 상측 중 하나 이상에 설치되는 형광부재를 더 포함하는 계단용 논슬립.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단용 논슬립은,
    상기 수평부의 후단과 상기 수직부의 하단이 상기 계단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용 논슬립.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상기 볼록부 중심에서 전후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계단용 논슬립.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단에 형성되는 보조 돌기를 포함하는 계단용 논슬립.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단용 논슬립은,
    'ㄱ'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 양측에 설치되고, 내측면에 형성된 가이드홀을 포함하는 보호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홈은 양측면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홀을 따라 이동가능한 결합돌기를 포함하는 계단용 논슬립.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오목부의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다수개의 삽입홀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탄성부재 상면에 상기 삽입홀에 대응되고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는 삽입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부에 하중이 가해질 경우 상기 수평부의 하강으로 인해 상기 삽입돌기가 상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용 논슬립.
KR1020180011879A 2018-01-31 2018-01-31 계단용 논슬립 KR1018782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1879A KR101878207B1 (ko) 2018-01-31 2018-01-31 계단용 논슬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1879A KR101878207B1 (ko) 2018-01-31 2018-01-31 계단용 논슬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8207B1 true KR101878207B1 (ko) 2018-07-13

Family

ID=62913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1879A KR101878207B1 (ko) 2018-01-31 2018-01-31 계단용 논슬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82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6618A (ko) 2021-09-07 2023-03-15 김선영 계단용 논슬립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6727Y1 (ko) * 1989-04-27 1992-09-26 이명호 계단용 논스립
JPH10205091A (ja) * 1997-01-28 1998-08-0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階段の滑り止め構造
KR200228765Y1 (ko) * 2001-01-17 2001-07-19 주식회사 유영화학 계단용 논슬립
KR100636288B1 (ko) * 2006-07-03 2006-10-20 주식회사 우진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 계단의 논슬립 패드
KR100668055B1 (ko) * 2006-05-15 2007-01-11 (주)건축사사무소서희건축 공동주택용 계단의 논슬립구조
KR100890923B1 (ko) * 2007-05-16 2009-04-02 (주)상지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계단의 논슬립 구조
KR100891729B1 (ko) * 2007-07-16 2009-04-03 이정선 계단 논슬립 및 그 제조장치
KR101614446B1 (ko) * 2014-01-28 2016-04-29 허택인 계단 논슬립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6727Y1 (ko) * 1989-04-27 1992-09-26 이명호 계단용 논스립
JPH10205091A (ja) * 1997-01-28 1998-08-0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階段の滑り止め構造
KR200228765Y1 (ko) * 2001-01-17 2001-07-19 주식회사 유영화학 계단용 논슬립
KR100668055B1 (ko) * 2006-05-15 2007-01-11 (주)건축사사무소서희건축 공동주택용 계단의 논슬립구조
KR100636288B1 (ko) * 2006-07-03 2006-10-20 주식회사 우진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 계단의 논슬립 패드
KR100890923B1 (ko) * 2007-05-16 2009-04-02 (주)상지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계단의 논슬립 구조
KR100891729B1 (ko) * 2007-07-16 2009-04-03 이정선 계단 논슬립 및 그 제조장치
KR101614446B1 (ko) * 2014-01-28 2016-04-29 허택인 계단 논슬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6618A (ko) 2021-09-07 2023-03-15 김선영 계단용 논슬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0497B1 (ko) 보행의 편리성을 개선한 데크 및 계단 데크
KR101878207B1 (ko) 계단용 논슬립
KR100591742B1 (ko) 공동주택 계단의 논슬립 완충구조
KR100668055B1 (ko) 공동주택용 계단의 논슬립구조
KR200451675Y1 (ko) 안전보호구용 계단커버
KR101627774B1 (ko) 사다리용 미끄럼 방지장치
US20090178886A1 (en) Ladder stabilizer
JP2014073889A (ja) エスカレータの踏段
KR200491619Y1 (ko) 미끄럼 방지 패드
KR101892818B1 (ko) 계단 미끄럼 방지 안전 프레임
KR20110132145A (ko) 미끄럼방지부재
CN210973516U (zh) 一种梯级侧边条及自动扶梯
KR100752553B1 (ko) 계단 모서리 보호대
JP4050268B2 (ja) 段鼻部材
KR200378242Y1 (ko) 계단용 미끄럼 방지구
KR200378241Y1 (ko) 분리 결합형 계단용 미끄럼 방지구
KR20060075264A (ko) 계단용 미끄럼 방지구
JP4221442B1 (ja) 滑り止めマット、マットの補強部材及び昇降具
KR200380126Y1 (ko) 계단용 미끄럼 방지구
KR200294620Y1 (ko) 계단용 논슬립
KR20180051203A (ko) 계단 미끄럼 방지 안전 프레임 설치방법
KR101276296B1 (ko) 미끄럼 방지용 줄사다리 발판고정기구
CN110615346A (zh) 一种梯级侧边条及自动扶梯
CN210316286U (zh) 一种适用于老人使用的建筑楼梯
KR100583846B1 (ko) 개선된 구조의 에스컬레이터 계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