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4446B1 - 계단 논슬립 - Google Patents

계단 논슬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4446B1
KR101614446B1 KR1020140010102A KR20140010102A KR101614446B1 KR 101614446 B1 KR101614446 B1 KR 101614446B1 KR 1020140010102 A KR1020140010102 A KR 1020140010102A KR 20140010102 A KR20140010102 A KR 20140010102A KR 101614446 B1 KR101614446 B1 KR 1016144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p
horizontal
horizontal frame
elastic section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0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9457A (ko
Inventor
허택인
Original Assignee
허택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택인 filed Critical 허택인
Priority to KR10201400101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4446B1/ko
Publication of KR20150089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94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44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44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E04F11/104Treads
    • E04F11/16Surfaces thereof; Protecting means for edges or corner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계단 논슬립을 개시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논슬립을 구성하는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이 접하는 모서리 부분에 탄성구간을 이루는 탄성구간부를 구성하는 한편, 계단의 수평면에 복수의 논슬립 구멍(줄눈)을 현장에서 직접 가공한 후 이에 조립부재를 통해 논슬립을 설치 고정한 것이며, 이에따라 현장에서 작업하게 되는 논슬립구멍의 가공 위치가 정확하지 않더라도 논슬립에 부여된 탄성구간인 탄성구간부를 통해 논슬립의 설치 위치 편차를 보상하여 계단의 수평면과 수직면이 접하는 모서리 부분에 논슬립의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을 정확하게 밀착 고정하여 미끄럼 방지 성능을 높여 안전사고를 줄임은 물론, 논슬립이 계단의 모서리 부분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시킨 것이다.

Description

계단 논슬립 {Non-Slip for Stairs}
본 발명은 계단 논슬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대리석 또는 인조 대리석 계단의 모서리 부분에 논슬립을 고정 설치시 논슬립이 조립부재를 통해 계단의 모서리 부분에 고정되어 유동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고, 특히 계단의 모서리 부분인 수평면에 논슬립 구멍(줄눈)을 가공한 후 이에 조립부재를 삽입하여 논슬립의 고정이 이루어질 때, 현장에서 작업하게 되는 논슬립 구멍의 가공 위치가 정확하지 않더라도 논슬립에 부여된 탄성구간을 통해 논슬립의 설치 위치 편차를 보상하여 계단의 모서리 부분에 논슬립을 정확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계단 논슬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계단 논슬립은 계단의 모서리부분에 설치하여 계단 모서리의 마모를 대신하고 보행자의 안전을 유도하여 보행에 도움을 주기 위한 미끄럼 방지용 안전장치로, 평상시의 보행 중 미끄러져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줄이기 위한 미끄럼 방지턱을 말한다.
이와 같이 현재 사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계단 논슬립은 공개특허공보 제 10-2010-0041044 호(공개일 2010.04.22), 그리고 첨부된 도 1에서와 같이, 계단의 수평면과 수직면이 접하는 모서리 부분에 축광띠(1)와 논슬립(2)이 설치된 수평프레임(501)과 수직프레임(502)을 설치하여 건물을 출입하는 사람의 발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용도로 제작된 것이다.
그러나, 종래 계단 논슬립은 공개특허공보와 첨부된 도 1에서와 같이, 계단(100)의 수평면과 수직면이 접하는 모서리 부분에 밀착 고정시키기 위해, 우선 계단(100)의 수평면에 피스고정홀(503)을 현장에서 직접 가공한 후 이에 피스(504) 또는 고정앵커(또는 칼브럭)를 체결하여 계단 논슬립을 이루는 수평프레임(501)의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인데, 이 경우 계단의 수평면에 가공되는 피스고정홀(503)의 위치가 정확하지 않을 경우 계단의 수평면 및 수직면이 접하는 모서리 부위에 논슬립을 이루는 수직프레임(502)이 정확하게 밀착되지 못하고 들뜸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이에 논슬립을 분리 후 다시 계단의 수평면에 피스고정홀(503)을 새롭게 가공하여야 등 논슬립 설치작업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었다.
한편, 계단에 대리석 또는 인조 대리석이 시공되어 있을 경우, 상기와 같이 새로운 피스고정홀을 가공할 때 대리석의 파손 위험이 있고, 이에따라 종래에는 새로운 논슬립을 제작한 후 이를 새로 고정시킬 수 밖에 없는 것이다.
즉, 종래에는 논슬립을 계단의 모서리 부분에 나사를 이용하여 설치할 때, 그 변형이 불가능하므로 한번 고정작업이 이루어지면 위치 수정이 어려운 단점이 있고, 이에따라 첫번째 논슬립의 고정작업에 불량이 발생할 경우에는 불량이 발생한 논슬립을 폐기하고 새로운 논슬립을 고정시켜야 하는 등 그 고정 작업이 어렵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논슬립을 구성하는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이 접하는 모서리 부분에 탄성구간을 이루는 탄성구간부를 구성하는 한편, 계단의 수평면에 복수의 논슬립 구멍(줄눈)을 현장에서 직접 가공한 후 이에 조립부재를 통해 논슬립이 설치 고정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현장에서 작업하게 되는 논슬립구멍의 가공 위치가 정확하지 않더라도 논슬립에 부여된 탄성구간인 탄성구간부를 통해 논슬립의 설치 위치 편차를 보상하여 계단의 수평면과 수직면이 접하는 모서리 부분에 논슬립의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이 정확하게 밀착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계단 논슬립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 계단 논슬립은, 복수의 논슬립구멍이 줄눈 형태로 가공된 대리석 또는 인조 대리석 계단의 모서리 부분 수평면에 밀착되는 수평프레임과, 대리석 또는 인조 대리석 계단 모서리 부분 수직면에 밀착되는 수직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수평프레임은 상기 논슬립구멍에 끼움 결합되는 조립부재를 통해 계단의 모서리부분 수평면에 고정 설치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은 상기 계단에서 논슬립구멍의 가공위치가 정확하지 않을 때, 상기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이 계단의 모서리 부분 수평면과 수직면에 정확하게 밀착시키도록 탄성력으로 설치에 따른 조립편차를 흡수하게 되는 탄성구간부로 연결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수평프레임 상면에 연질의 논슬립띠가 결합되는 다단의 제 2 장착홈을 형성하고, 상기 수직프레임 외측에는 축광띠가 결합되는 제 3 장착홈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프레임에는 제 2 장착홈을 일정간격을 두고 배열 형성하되, 상기 제 2 장착홈들 사이의 평면상에는 제 1 요철부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탄성구간부의 평면상에는 상기 탄성구간부의 꺽임 탄성력 발휘를 위한 제 2 요철부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탄성구간부의 두께는 상기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하고, 상기 탄성구간부의 탄성력에 따른 꺽임각도는 85°∼89°의 범위내인 것이다.
또한, 상기 탄성구간부의 두께는 상기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의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하고, 상기 탄성구간부의 탄성력에 따른 꺽임각도는 85°∼89°의 범위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평프레임의 저면에는 상기 계단의 모서리 부분 수평면에 가공된 논슬립구멍의 절개 가공폭보다 좁은 절개 가공폭을 가지는 다단의 미세조정홈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조립부재는 상기 미세조정홈에 끼움되는 제 1 끼움부와, 상기 논스립구멍에 끼움되는 제 2 끼움부로 이루어지는 금속핀으로 구성한다.
또한, 상기 금속핀은 알루미늄 재질(Al)인 것이다.
또한, 상기 조립부재는 상기 수평프레임의 저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계단의 모서리 부분 수평면에 가공된 논슬립구멍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돌기인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논슬립을 구성하는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이 접하는 모서리 부분에 탄성구간을 이루는 탄성구간부를 구성하는 한편, 계단의 수평면에 복수의 논슬립 구멍(줄눈)을 현장에서 직접 가공한 후 이에 조립부재를 통해 논슬립을 설치 고정한 것으로, 이를 통해 현장에서 작업하게 되는 논슬립구멍의 가공 위치가 정확하지 않더라도 논슬립에 부여된 탄성구간인 탄성구간부를 통해 논슬립의 설치 위치 편차를 보상하여 계단의 수평면과 수직면이 접하는 모서리 부분에 논슬립의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이 정확하게 밀착 고정하여 미끄럼 방지 성능을 높여 안전사고를 줄임은 물론, 논슬립이 계단의 모서리 부분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계단 논슬립의 설치상태를 보인 단면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 계단 논슬립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 계단 논슬립의 구조를 보인 측면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인 계단 논슬립의 설치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로 계단 논슬립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로 계단 논슬립의 구조를 보인 측면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인 계단 논슬립의 설치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로 계단 논슬립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로 계단 논슬립의 구조를 보인 측면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인 계단 논슬립의 설치 상태를 보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 계단 논슬립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 계단 논슬립의 구조를 보인 측면 개략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인 계단 논슬립의 설치 상태를 보인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첨부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계단 논슬립은, 복수의 논슬립구멍(101)이 줄눈 형태로 가공된 대리석 또는 인조 대리석 계단(100)의 모서리 부분 수평면에 밀착되고 축광띠(1)가 결합되는 제 1 장착홈(11)과 연질의 논슬립띠(2)가 결합되는 다단의 제 2 장착홈(12)이 상면에 형성되는 고강도의 수평프레임(10)과, 대리석 또는 인조 대리석 계단(100) 모서리 부분 수직면에 밀착되고 축광띠(1)가 결합되는 제 3 장착홈(21)이 상면에 형성되는 고강도의 수직프레임(20)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한편, 상기 수평프레임(30)은 상기 논슬립구멍(101)에 끼움 결합되는 조립부재인 알루미늄(Al)의 금속핀(31)을 통해 계단(100)의 모서리부분 수평면에 고정 설치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수평프레임(10)과 수직프레임(20)은 상기 계단(100)에서 논슬립구멍(101)의 가공위치가 정확하지 않을 때, 상기 수평프레임(10)과 수직프레임(20)이 계단(100)의 모서리 부분 수평면과 수직면에 정확하게 밀착시키도록 탄성력으로 설치에 따른 조립편차를 흡수하게 되는 탄성구간부(40)로 연결 구성하여둔 것이다.
이때, 상기 탄성구간부(40)의 두께(T1)는 상기 수평프레임(10)과 수직프레임(20)의 두께(T2)보다 얇게 형성하고, 상기 탄성구간부(40)의 탄성력에 따른 꺽임각도는 85°∼89°의 범위내이고, 바람직하게는 89°인 것이다.
그리고, 상기 수평프레임(10)의 저면에는 상기 계단(100)의 모서리 부분 수평면에 가공된 논슬립구멍(101)의 절개 가공폭보다 좁은 절개 가공폭을 가지는 다단의 미세조정홈(14)을 형성하는 한편, 평면에는 연질의 논슬립띠(2)가 결합되는 제 1 장착홈(11)의 주변에 제 1 요철부(13)를 형성하고, 상기 금속핀(31)은 상기 미세조정홈(14)에 끼움되는 제 1 끼움부(31a)과 상기 논스립구멍(101)에 끼움되는 제 2 끼움부(31b)로 구성하여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탄성구간부(40)의 평면상에는 제 2 요철부(41)를 형성하여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계단 논슬립은 첨부된 도 2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우선 대리석 또는 인조 대리석 계단(100)의 모서리 부분 수평면에 복수의 논슬립구멍(줄눈)(101)을 현장에서 가공하여둔다.
다음으로, 상기 계단(100)의 수평면과 수직면이 접하게 되는 모서리 부분에 수평프레임(10)과 수직프레임(20) 및, 상기 수평프레임(10)과 수직프레임(20)의 두께(T2)보다 얇은 두께(T1)을 가지면서(T1<T2) 꺽임각도가 85°∼89°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89°의 꺽임각도를 가지는 탄성구간부(40)로 이루어진 계단 논슬립을 올려놓는다.
다음으로, 상기 수평프레임(10)의 저면에는 다단의 미세조정홈(14)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다단을 이루는 상기 미세조정홈(14)에 금속핀(31)의 제 1 끼움부(31a)를 끼움 결합시키는 한편, 복수를 이루는 상기 논슬립구멍(101) 중 어느 하나에 상기 금속핀(31)의 제 2 끼움부(31b)를 끼움 결합시켜, 상기 계단(100)의 모서리 부분 수평면에서 계단 논슬립을 이루는 수평프레임(10)을 밀착시켜 고정하고, 계단(100)의 모서리 부분 수직면에서 계단 논슬립을 이루는 수직프레임(20)을 밀착시켜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계단(100)의 수평면에서 상기 논슬립구멍(101)의 가공 위치에 오류가 발생하여, 상기 수직프레임(20)이 계단(100)의 모서리 부분 수직면에 밀착되지 않을 때, 상기 수평프레임(10)과 수직프레임(20)을 연결하는 탄성구간부(40)가 89°의 꺽임 탄성력을 발휘하여 조립편차를 흡수하게 되므로, 상기 수직프레임(20)은 상기 탄성구간부(40)의 꺽임 탄성력에 따른 조립편차 흡수로 인해 상기 계단(100)의 모서리 부분 수직면에 별도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안정된 접착 고정이 정교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계단(100)의 수평면에서 상기 논슬립구멍(101)의 가공 위치에 오류가 크게 발생하여, 상기 수평프레임(10)의 설치 위치가 크게 벗어나더라도, 상기 수평프레임(10)의 저면에서 다단의 미세조정홈(14) 중 어느 하나에 끼움되는 금속핀(31)의 제 1 끼움부(31a)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계단(100)의 모서리 부분 수평면에서 수평프레임(10)의 설치 위치를 변경하여 그 설치위치를 정교하게 맞출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금속핀(31)과 탄성구간부(40)를 통해 계단 논슬립의 수평프레임(10)과 수직프레임(20)을 계단(100)의 모서리 부분 수평면과 수직면에 정교하게 밀착시켜 비접착의 방법으로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수평프레임(10)의 제 1 장착홈(11)과 제 2 장착홈(12), 그리고 수직프레임(20)의 제 3 장착홈(21)에 각각 축광띠(1)와 연질의 논슬립띠(2)를 결합시키면, 계단 논슬립에 대한 설치가 완성되는 것이다.
한편, 첨부된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로, 이는 수평프레임(10)의 저면에 끼움돌기(311)를 일체로 구성하여둔 것이다.
즉, 상기 끼움돌기(311)는 계단(100)의 모서리 부분 수평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논슬립구멍(101) 중 어느 하나에 끼움되는 것으로, 이를 통해 수평프레임(10)과 수직프레임(20)의 설치 위치를 고정하는 한편, 조립편차가 발생하더라도 그 조립편차는 89°의 꺽임 탄성력을 가지는 탄성구간부(40)에 의해 흡수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이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와 동일부분에 대하여는 동일부호로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첨부된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로, 이는 탄성구간부(40)의 두께(T1')를 상기 수평프레임(10)과 수직프레임(20)의 두께와 동일(T1'=T2)하게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탄성구간부(40)의 탄성력에 따른 꺽임각도를 85°∼89°의 범위내, 바람직하게는 89°로 이루어지는 한 후, 수평프레임(10)의 저면에 끼움돌기(311)를 일체로 구성하는 한편, 수평프레임(10)의 평면상에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 1 요철부(13)를 형성하지 않고 연질의 논슬립띠(12)가 장착되는 제 2 홈(12)의 개수를 확장 구성한 것이며, 이하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에서와 동일부분에 대하여는 동일부호로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 계단 논슬립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 ; 축광띠 2 ; 논슬립띠
10; 수평프레임 11; 제 1 장착홈
12; 제 2 장착홈 13; 제 1 요철부
14; 미세조정홈 20; 수직프레임
21; 제 3 장착홈 31; 금속핀
31a; 제 1 끼움부 31b; 제 2 끼움부
311; 끼움돌기 40; 탄성구간부
41; 제 2 요철부 100; 계단
101; 논슬립구멍

Claims (10)

  1. 복수의 논슬립구멍이 줄눈 형태로 가공된 대리석 또는 인조 대리석 계단의 모서리 부분 수평면에 밀착되는 수평프레임과, 대리석 또는 인조 대리석 계단 모서리 부분 수직면에 밀착되는 수직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수평프레임은 상기 논슬립구멍에 끼움 결합되는 조립부재를 통해 계단의 모서리부분 수평면에 고정 설치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은 상기 계단에서 논슬립구멍의 가공위치가 정확하지 않을 때, 상기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이 계단의 모서리 부분 수평면과 수직면에 정확하게 밀착시키도록 탄성력으로 설치에 따른 조립편차를 흡수하게 되는 탄성구간부로 연결 구성하는 한편,
    상기 수평프레임의 저면에는 상기 계단의 모서리 부분 수평면에 가공된 논슬립구멍의 절개 가공폭보다 좁은 절개 가공폭을 가지는 다단의 미세조정홈을 형성하여 상기 조립부재가 상기 계단 논슬립구멍의 위치에 근접하게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 논슬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프레임의 상면에는 축광띠가 결합되는 제 1 장착홈과 연질의 논슬립띠가 결합되는 다단의 제 2 장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프레임 외측에는 축광띠가 결합되는 제 3 장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 논슬립.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프레임에는 연질의 논슬립띠가 결합되는 제 2 장착홈을 일정간격을 두고 배열 형성하되, 상기 제 2 장착홈들 사이의 평면상에는 고강도의 제 1 요철부를 돌출되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 논슬립.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구간부의 평면상에는 상기 탄성구간부의 꺽임 탄성력 발휘를 위한 제 2 요철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 논슬립.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구간부의 두께는 상기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하고, 상기 탄성구간부의 탄성력에 따른 꺽임각도는 85°∼89°의 범위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 논슬립.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구간부의 두께는 상기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의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하고, 상기 탄성구간부의 탄성력에 따른 꺽임각도는 85°∼89°의 범위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 논슬립.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부재는 상기 미세조정홈에 끼움되는 제 1 끼움부와, 상기 논슬립구멍에 끼움되는 제 2 끼움부로 이루어지는 금속핀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 논슬립.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핀은 알루미늄 재질(A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 논슬립.
  10. 삭제
KR1020140010102A 2014-01-28 2014-01-28 계단 논슬립 KR1016144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0102A KR101614446B1 (ko) 2014-01-28 2014-01-28 계단 논슬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0102A KR101614446B1 (ko) 2014-01-28 2014-01-28 계단 논슬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9457A KR20150089457A (ko) 2015-08-05
KR101614446B1 true KR101614446B1 (ko) 2016-04-29

Family

ID=53885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0102A KR101614446B1 (ko) 2014-01-28 2014-01-28 계단 논슬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444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8207B1 (ko) * 2018-01-31 2018-07-13 우진글로벌 주식회사 계단용 논슬립
KR20190064125A (ko) 2017-11-30 2019-06-10 주식회사 이레테크 탄소발열을 이용한 계단 융설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266U (ko) 2017-11-22 2019-05-30 이명호 계단용 논슬립 프레임
JP7011968B2 (ja) * 2018-04-23 2022-01-27 東リ株式会社 階段用シート及びその施工方法並びに階段構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4620Y1 (ko) 2002-08-26 2002-11-08 이상만 계단용 논슬립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9427Y1 (ko) * 1991-12-18 1996-10-21 채동숙 계단용 미끄럼 방진물의 설치구조
KR20060075264A (ko) * 2004-12-28 2006-07-04 백미영 계단용 미끄럼 방지구
KR20080008006A (ko) * 2006-07-19 2008-01-23 박태균 축광소재를 이용한 논슬립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4620Y1 (ko) 2002-08-26 2002-11-08 이상만 계단용 논슬립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4125A (ko) 2017-11-30 2019-06-10 주식회사 이레테크 탄소발열을 이용한 계단 융설구조
KR101878207B1 (ko) * 2018-01-31 2018-07-13 우진글로벌 주식회사 계단용 논슬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9457A (ko) 2015-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4446B1 (ko) 계단 논슬립
US11021868B2 (en) Finishing panel fixing device
US20080034696A1 (en) Covering Device for Floor Coverings
US10344483B2 (en) Baluster joint block
KR101129697B1 (ko)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KR102256356B1 (ko) 데크조립체
US10907361B2 (en) Fixture and wall structure for buildings
US10651783B2 (en) Solar module and solar module frame
KR101880208B1 (ko) 데크 조립체와 이의 조립방법
KR101900736B1 (ko) 횡대의 축방향 회동방지 결합구조를 가지는 난간 구조물
KR101877129B1 (ko) 계단 미끄럼 방지 안전 프레임 설치방법
JP6204079B2 (ja) 建物外壁におけるタイル支持方法及び建物
KR20140006280U (ko) 앵커 볼트 및 석재 외장 패널
US11001362B2 (en) Aircraft canopy having a window pane with an integrated flange and load-transferring and distributing members
JP2016195664A (ja) シンクの取付方法および取付構造
KR101914796B1 (ko) 창짝용 글레이징 비드 결합체 및 이를 이용한 유리 고정방법
JP6553889B2 (ja) 板材の取付構造
KR101845928B1 (ko) 계단식 데크 플레이트 체결 장치
RU2599557C2 (ru) Элемент решетки переливного желоба
KR20130128721A (ko)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WO2014011791A1 (en) Fixture for assembling a solar module assembly
JP2010013844A (ja) 道路橋伸縮装置、及び道路橋伸縮装置の製造方法
EP3347542B1 (en) Step for modular staircase
KR100928319B1 (ko) 코너부 시공용 싱크대 상판 및 그의 시공방법
JP6421066B2 (ja) 水切りユニットおよび建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