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1729B1 - 계단 논슬립 및 그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계단 논슬립 및 그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1729B1
KR100891729B1 KR1020070071050A KR20070071050A KR100891729B1 KR 100891729 B1 KR100891729 B1 KR 100891729B1 KR 1020070071050 A KR1020070071050 A KR 1020070071050A KR 20070071050 A KR20070071050 A KR 20070071050A KR 100891729 B1 KR100891729 B1 KR 1008917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plate
plate material
slip
rollers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1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7867A (ko
Inventor
이정선
Original Assignee
이정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선 filed Critical 이정선
Priority to KR10200700710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1729B1/ko
Publication of KR200900078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78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1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17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3/00Corrugating sheet metal, rods or profiles; Bending sheet metal, rods or profiles into wave form
    • B21D13/04Corrugating sheet metal, rods or profiles; Bending sheet metal, rods or profiles into wave form by rolling
    • B21D13/045Corrugating sheet metal, rods or profiles; Bending sheet metal, rods or profiles into wave form by rolling the corrugations being parallel to the feeding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E04F11/104Treads
    • E04F11/16Surfaces thereof; Protecting means for edges or corners thereof
    • E04F11/17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 Shaping Metal By Deep-Drawing,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계단 논슬립 및 그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계단의 선단부분 상면 및 전면 각각을 커버하도록 부착되는 평면부 및 전면부가 직각을 이루도록 절곡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평면부에는 다수의 미끄럼방지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논슬립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방지돌기들은 평면부의 저면에서 상면을 향해 돌출되어 그 상단이 논슬립의 길이방향으로 향해 찢어진 슬릿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논슬립 및 그 제조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발명이다.
Figure R1020070071050
계단 논슬립, 상·하부 압착롤러, 가압돌기, 돌기수용홈, 수평압착돌기, 상·하부 안내롤러

Description

계단 논슬립 및 그 제조장치{Non-Slip step of stairs and manufacturing process thereof}
건축물의 상,하층을 연결하는 계단, 지하철의 출입구 계단 및 연결통로 계단, 야외 공원이나 하천부지 등등에 설치되는 계단을 보행하는 사람들이 미끄러지지 않고 안전하게 보행할 수 있도록 계단의 각층 선단부에 고정 설치되는 계단 논슬립과 이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계단에 설치되는 논슬립에는 여러 종류가 있는데, 그 중 금속제 논슬립은 황동, 스테인레스스틸, 알루미늄으로 제조된 것이 있다.
상기한 금속제 논슬립 중 황동제 논슬립은 색상이 변색되는 현상이 나타나 주기적으로 닦아주어야 하는 번거로운 불편이 있으며, 스테인레스스틸제 논슬립의 경우는 변색되지 않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강도가 강하여 자체적으로 미끄럼방지돌기를 형성시키기가 매우 어려워 종래의 스테인레스스틸제 논슬립은 고무계 재질이나 연질합성수지 재질로 된 별도의 미끄럼방지부재를 조립식으로 부착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스테인레스스틸제 논슬립은 논슬립본체의 상면에 미끄럼방지부재가 별도로 조립식으로 부착되기 때문에 논슬립 자체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폐단이 있으며, 이러한 폐단은 보행자의 보행을 불편을 초래하게 된다.
또한 사람들은 깨지지 않는 물품 등이 포장된 무거운 박스를 계단 위에서 아래로 운반할 때 그 박스를 들고 운반하지 않고 계단에 내려놓은 상태로 끌고 내려가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이 경우 계단의 각층 선단에 설치된 논슬립 본체에 조립식으로 부착된 미끄럼방지부재가 그 본체에서 이탈되는 경우가 발생되는데, 이와 같이 논슬립 본체에서 이탈된 미끄럼방지부재는 재조립하여 설치하였더라도 쉽게 이탈된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특히 많은 사람이 왕래하는 지하철의 출입구, 연결통로 및 야외 공원 등등의 계단에 설치된 논슬립 본체에서 미끄럼방지부재가 이탈되는 현상이 나타나게 될 때에는 왕래하는 사람들에 의해 이탈된 미끄럼방지부재를 원래의 상태로 재조립되는 경우가 그리 많지 않게 되므로써 계단을 왕래하는 사람들의 보행을 안전하게 지킬 수 없게 된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스테인레스스틸제 논슬립에서 나타나는 제반 사항을 감안하여 스테인레스스틸판재만을 사용하여 논슬립을 제조하므로써 논슬립의 두께를 계단을 왕래하는 사람들로 하여금 보행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고 안전하게 계단을 보행할 수 있는 얇은 두께를 갖는 스테인레스스틸제 논슬립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또한 일정 폭으로 된 띠상의 스테인레스스틸판재를 소재로 하여 연속적으로 논슬립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논슬립 자체에 다수의 미끄럼방지돌기가 돌출되도록 형성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다수의 미끄럼방지돌기를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데에도 목적을 두고 발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계단 논슬립은,
계단의 선단부분 상면 및 전면 각각을 커버하도록 부착되는 평면부 및 전면부가 직각을 이루도록 절곡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평면부에는 다수의 미끄럼방지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논슬립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방지돌기들은 평면부의 저면에서 상면을 향해 돌출되어 그 상단이 논슬립의 길이방향으로 향해 찢어진 슬릿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미끄럼방지돌기들은 논슬립의 길이방향을 향해 일정간격을 유지한 채 한 줄 이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계단 논슬립 제조장치는,
일정 폭의 스테인레스스틸판재로 된 띠상의 금속판소재가 이송되는 방향을 향해 수직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수직지지대;
상기 수직지지대의 전방에 고정 설치되어 수직지지대를 향해 금속판소재를 수평상으로 연속해서 이송을 안내하는 소재공급부;
상기 수직지지대에 동일한 높이에 형성되며, 일정한 간격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제1 내지 제7 하부 회전축;
상기 제1 내지 제7 하부 회전축 각각의 상측에 형성된 복수의 승강이동홈에 상,하로의 승강이동이 가능하게 끼워진 상태에서 높이조절볼트에 의하여 설치 높이가 조절되는 복수의 높이조절구 각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제1 내지 제7 상부 회전축;
상기 제1 하부 회전축의 전단부에 축설되어 있고, 외주면에는 상기 소재공급부에서 공급되는 금속판소재의 저부에서 상향으로 가압하여 다수의 미끄럼방지돌기를 상향으로 돌출되게 하는 다수의 가압돌기들이 복수 열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제1 하부 압착롤러;
상기 제1 상부 회전축의 전단부에 축설되어 있고, 외주면에는 상기 제1 하부 압착롤러의 가압돌기들에 의해 금속판소재의 상면으로 돌출되는 미끄럼방지돌기들 을 수용할 수 있도록 환형상으로 된 복수의 돌기수용홈과 상기한 각 돌기수용홈 사이에 형성되어 금속판소재의 상면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돌기가 교대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1 상부 압착롤러;
상기 제2 및 제3 하부 회전축 각각의 전단부에 축설되며, 다수의 미끄럼방지돌기가 형성된 금속판소재의 평면부를 면접촉상태로 지지하면서 안내하도록 외주면이 밋밋한 평면지지부와, 상기 평면지지부의 전단에는 평면지지부의 직경보다 점차로 작아지는 직경으로 형성되어 상기한 금속판소재의 일단이 예각상으로 하향 절곡되는 것을 허용하는 1차 및 2차 경사지지면과, 상기 평면지지부 후단에는 평면지지부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돌출 형성된 상태에서 끝부분으로 갈수록 점차로 작아지는 직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금속판소재의 타단을 평면부보다 높게 돌출시키면서 끝단으로 갈수록 점차 하향으로 경사지도록 절곡시키는 후단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제2 및 제3 하부 압착롤러;
상기 제2 및 제3 상부 회전축 각각의 전단부에 축설되며, 금속판소재의 상면으로 돌출된 다수의 미끄럼방지돌기들을 수용하는 복수의 돌기수용홈과 상기한 돌기수용홈들 사이사이에 형성되어 금속판소재의 상면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돌기가 교대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2 및 제3 상부 압착롤러;
상기 제4 및 제 5 하부 회전축 각각의 전단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3 상,하부 압착롤러를 통과하는 금속판소재의 평면부를 안내하도록 밋밋한 외주면으로 형성된 평면지지부와, 상기 평면지지부의 전단에 금속판소재의 일단이 직각에 가까운 예각으로 절곡되는 것을 허용하는 3차 및 4차 경사지지면이 형성되어 있는 제4 및 제5 하부 압착롤러;
상기 제4 및 제5 상부 회전축 각각의 전단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금속판소재의 상면으로 돌출된 다수의 미끄럼방지돌기들을 수용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돌기수용홈과, 상기한 돌기수용홈들 사이사이에 형성되어 금속판소재의 상면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돌기가 교대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4 및 제5 상부 압착롤러;
상기 제6 및 제7 하부 회전축 각각의 전단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5 상,하부 압착롤러를 통과하는 금속판소재의 평면부를 안내하도록 밋밋한 외주면으로 형성된 평면지지부와, 상기 평면지지부의 전단에 금속판소재의 일단이 직각으로 절곡되는 것을 허용하는 직각지지면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제6 및 제7 하부 압착롤러;
상기 제6 및 제7 상부 회전축 각각의 전단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금속판소재의 상면으로 돌출된 다수의 미끄럼방지돌기들을 수용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돌기수용홈과, 상기한 돌기수용홈들 사이사이에 형성되어 금속판소재의 상면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돌기가 교대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6 및 제7 상부 압착롤러;
상기 제1 내지 제7 상,하부 회전축 각각의 후단부에 서로 맞물린 상태로 설치되어 있는 제1 내지 제7 상,하부 기어;
상기 제1 내지 제7 상,하부 기어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내지 제7 하부 기어들 사이사이에 치합되도록 설치되는 제1 내지 제6 아이들기어;
상기 제1 내지 제7 하부 회전축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하부 회전축에 축착되어 모터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구동하게 되는 구동장치;
를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7 상,하부 압착롤러 각각은 금속판소재를 똑바르게 이송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 하부 압착롤러의 양단에는 금속판소재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갖는 전,후단 환형홈이 형성되어 있고, 제 2 내지 제7 하부 압착롤러 각각에는 후단 환형홈이 하나씩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상부 압착롤러의 양단에는 상기한 전,후단 환형홈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진 상태로 설치되는 전,후단 환형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제2 내지 제7 상부 압착롤러 각각에는 상기한 후단 환형홈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진 상태로 설치되는 후단 환형돌기가 하나씩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4 내지 제7 하부 압착롤러 각각의 전단에는 제3 상,하부 압착롤러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예각상으로 하향 절곡된 금속판소재의 일단이 점차적으로 직각이 되도록 가압하게 되는 제1 내지 제4 수평압착롤러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5 및 제6 상부 압착롤러 사이와 제7 상부 압착롤러 후방 각각에는 금속판소재의 후단부 상,하면을 동시에 압착지지하는 복수의 상,하부 안내롤러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하부 안내롤러 각각은 금속판소재가 논슬립 형상으로 가공될 때 제1 내지 제7 상,하부 압착롤러들의 압착작용으로 발생되는 마찰열에 의해 뒤틀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 금속판소재의 후단부를 그 이송방향에 대하여 수직지지대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회전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계단 논슬립은 녹이 슬지 않는 스테인레스스틸판재로 되어 있어 변색이나 탈색되는 현상이 나타나지 않으며, 계단에 미리 박아놓은 칼블럭(상품명)에 나사못을 나사조립하는 방법으로 논슬립을 조립식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하며, 논슬립에 다수 돌출 형성된 미끄럼방지돌기의 상단에 형성된 슬릿구멍은 찢어진 상태로 거칠거칠하게 형성되어 신발바닥을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므로써 계단을 왕래하는 사람들을 안전하게 보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제조장치는 롤상으로 감겨있는 일정 폭으로 된 띠상의 금속판소재를 소재공급부로 연속 공급하여 제1 내지 제7 상,하부 압착롤러로 압착가공하여 다수의 미끄럼방지돌기들이 복수열로 돌출 형성된 논슬립을 연속적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또한 논슬립에 돌출 형성되는 미끄럼방지돌기들의 여러 모양으로 형성시킬 수 있고 또 적당한 길이로 절단하여 생산할 수 있으므로 계단을 시공하는 업체의 주문에 맞추어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논슬립 및 그 제조장치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논슬립 사시도이며,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의 논슬립 평면도 및 단면도들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한 실시예의 도면에 도시된 논슬립(1)은 계단의 각층 선단 수평상면에 밀착 설치되는 평면부(11)와 선단 수직상단에 밀착 설치되는 전면부(12)가 직각을 이루도록 절곡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평면부(11)의 선단부(11a) 및 후단부(11b) 각각은 평면부보다 높게 돌출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선단부(11a)는 전면부(12)와 직각을 이루는 연결된 상태이고, 상기한 후단부(11b)는 평면부보다 높게 형성된 상태에서 끝단으로 갈수록 점차로 낮아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논슬립(1)의 특징은, 평면부(11)에 한 줄 이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미끄럼방지돌기(2)들 각각의 상부에 찢어진 상태로 슬릿구멍(21)을 형성한 것에 있다.
상기 각 미끄럼방지돌기(2) 상부의 슬릿구멍(21)은 논슬립(1)의 길이방향을 향해 찢어지는 상태로 형성되므로 그 주연부가 거칠거칠해져 계단을 왕래하는 사람들의 신발바닥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는 작용을 나타낸다.
그리고 상기 논슬립(1)의 평면부(11)에 돌출되는 다수의 미끄럼방지돌기(2)들은 도 2 및 도 3의 도시와 같이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복수줄 형성되거나 또는 다이아몬드모양(마름모꼴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도 4의 도시와 같이 평면부(11)에 다수의 미끄럼방지돌기(2)를 한 줄로 형성함과 동시에 복수의 요철부(22)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논슬립(1)은 롤상으로 감겨있는 띠상의 스테인레스스틸제 금속판재를 소재로 하여 연속적으로 제조되는 것인데, 상기 논슬립(2)을 제조하는 장치에 대하여 도 5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제조장치를 설명함 에 있어 같은 구성요소에 대하여서는 같은 명칭, 같은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상기 도 5의 도시는 본 발명의 논슬립 제조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수직지지대(3)의 전방에는 도시하지 아니한 롤상으로 감겨있는 금속판소재(P)를 수평상태로 안내하여 공급하는 소재공급부(31)가 고정 설치되어 있다.
상기 수직지지대(3)에는 일정한 높이에서 일정간격을 유지한 채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제1 내지 제7 하부 회전축(5a∼5g)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각 하부 회전축들 각각의 상측에 형성된 복수의 승강이동홈(32a∼32g) 각각에는 높이조절구(33a∼33g)가 하나씩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한 각 높이조절구들은 높이조절볼트(34a∼34g)들에 의해 상,하로 승강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높이조절구(33a∼33g)들 각각에는 제1 내지 제7 상부 회전축(4a∼4g)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7 상,하부 회전축(4a∼4g)(5a∼5g)들 각각의 전단부에는 제1 내지 제7 상,하부 압축롤러(6a∼6g)(7a∼7g)들이 소재공급부(31)에서 수평상으로 공급되는 금속판소재(P)의 상,하면을 동시에 압착하면서 금속판소재(P)를 이송시키는 구조로 설치되어 있다.
도 6은 제1 상,하부 압착롤러(4a)(5a)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상기 수직지지대(3)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1 하부 회전축(5a)의 전단부에는 제1 하부 압착롤러(7a)가 축착되어 있으며, 상기 제1 하부 압착롤러의 외주면에는 논슬립(1)의 평면부(11)에 돌출되는 다수의 미끄럼방지돌기(2)를 형성시키기 위한 가압돌기(71)가 다수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한 가압돌기(71)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 된 논슬립(1)과 같이 평면부(11)에 복수의 줄로 형성되게 하거나 또는 다이아몬드모양으로 표현되는 다수의 미끄럼방지돌기(2)들을 형성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며, 또는 도면에 도시하지 아니한 모양으로 미끄럼방지돌기(2)를 돌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다수의 가압돌기(71)들은 제1 하부 압착롤러(7a)가 회전하면서 금속판소재(P)를 이송시킬 때 그 저부를 상향으로 가압하여 금속판소재(P) 상면으로 돌출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기한 각 가압돌기(71)에 의해 상향으로 돌출되는 미끄럼방지돌기(2)들의 상부가 찢어지는 상태로 형성되어 슬릿구멍(21)의 주연부가 거칠거칠한 상태가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 하부 압착롤러(7a)의 상부에 형성되어 금속판소재(P)의 상면을 압착하면서 이송기키는 제1 상부 압착롤러(6a)는 그 외주면에 상기 제1 하부 압착롤러(7a)에 형성된 다수의 가압돌기(71)들에 의해 상향으로 돌출되는 미끄럼방지돌기(2)들을 수용하는 복수의 돌기수용홈(61)과 금속판소재(P) 상면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돌기(62)들이 교대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 상,하부 압착롤러(6a)(7a)들은 소재공급부(31)에서 공급되는 금속판소재(P)를 똑바르게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1 하부 압착롤러(7a)의 외주면에는 금속판소재(P)의 폭과 같은 간격으로 떨어진 위치의 양측에 전,후단 환형홈(72)(73)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상부 압착롤러(6a)의 양단에는 상기한 전,후단 환형홈(72)(73)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져 금속판소재(P)의 양단을 구속하여 금속판소재(P)를 똑바른 이송을 안내하는 전,후단 환형돌 기(63)(64)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 도 7은 제2 상,하부 압착롤러(6b)(7b)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수직지지대(3)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2 하부 회전축(5b)의 전단부에는 제2 하부 압착롤러(7b)가 축착되어 있으며, 상기 제2 하부 압착롤러의 외주면은 다수의 미끄럼방지돌기(2)들이 형성된 금속판소재(P)의 저부에 선접촉하는 상태로 지지하면서 이송시킬 수 있도록 밋밋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하부 압착롤러(7b)의 전단에는 논슬립(1)의 전면부(12)를 형성시키기 위하여 상기 금속판소재(P)의 일단이 하향을 향해 예각상으로 절곡되는 것을 허용하는 1차 경사지지면(74)이 형성되어 있으며(도면 참조), 상기 제2 하부 압착롤러(7b)의 후단측에는 금속판소재(P)의 타단을 상향으로 돌출시키기 위한 후단 돌출부(75)와 후단 환형홈(7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후단 돌출부(75)는 그 단면구조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후단 환형홈(73)을 향해 하향으로 경사지는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상부 압착롤러(6b)의 외주면에는 금속판소재(P)에 돌출 형성된 다수의 미끄럼방지돌기(2)들을 수용하는 복수의 돌기수용홈(61)와 금속판소재(P) 상면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돌기(62)가 교대로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제2 상부 압착롤러(6b)의 전단에는 금속판소재(P)의 일단을 상기 제2 하부 압착롤러(7b)의 1차 경사지지부(74)에 밀착되도록 예각상으로 절곡시켜주기 위한 1차 경사압착부(65)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후단에는 상기 제2 하부 압착롤러(7b)의 후단 환형홈(73)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져 금속판수재(P)의 후단을 지지하게 되는 후단 환 형돌기(64)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 도 8의 도시는 제3 상,하부 압착롤러(6c)(7c)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제3 하부 압착롤러(7c)의 일단에는 제2 하부 압착롤러(7b)의 1차 경사지지면(74)에서 예각상으로 절곡된 것을 직각에 한번 더 절곡되는 것을 허용하는 2차 경사지지면(76)이 형성되어 있으며, 후단에는 제2 하부 압착롤러(7b)의 후단에 형성된 것과 동일한 구조의 후단 돌출부(75)와 후단 환형홈(7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3 상부 압착롤러(6c)의 외주면에는 상기한 제1 및 제2 상부 압차롤러에 형성된 것과 동일한 구조로 된 복수의 돌기수용홈(61)과 지지돌기(62)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전단에는 금속판소재(P)의 일단을 2차적으로 절곡시키기 위한 2차 경사압착부(66)가 형성되어 있고, 그 후단에는 제2 하부 압착롤러(7b)의 후단 환형홈(73)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져 금속판소재(P)를 지지하는 후단 환형돌기(64)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 도 9 및 도 10의 도시는 제4 및 제5 상,하부 압착롤러(6d)(7d),(6e)(7e)와 제1 및 제2 수평압착롤러(8a)(8b) 각각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제4 및 제5 하부 압착롤러(7d)(7e)의 외주면은 밋밋하고, 그들의 일단 각각에는 제4 상,하부 압착롤러(6d)(7d)에 의하여 예각상으로 절곡된 금속판소재(P)의 일단을 직각에 가까운 각도로 절곡시키기 위한 3차 및 4차 경사지지면(77)(78)이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제4 및 제5 하부 압착롤러(7d)(7e) 각각에는 후단 환형홈(73)이, 제4 및 제5 상부 압착롤러(6d)(6d)에는 상기의 후단 환형홈(73)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후단 환형돌기(6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4 및 제5 하부 압착롤러(7d)(7e) 각각의 전방 상측에는 제3 상,하부 압착롤러(6c)(7c)에서 예각상으로 절곡되면서 이송되는 금속판소재(P)의 절곡된 일단을 3차 및 4차 경사지지면(77)(78)을 향해 압착하면서 회전작동을 하는 제1 및 제2 수평압착롤러(8a)(8b)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의 제1 및 제2 수평압착롤러(8a)(8b)의 압착작동에 의해 금속판소재(P)의 일단은 직각에 가까운 각도로 절곡 형성된다.
다음, 도 11의 도시는 제6 및 제7 상,하부 압착롤러(6f)(7f),(6g)(7g)와 제3 및 제4 수평압착롤러(8c)(8d)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제6 및 제7 하부 압착롤러(7f)(7g)의 외주면은 밋밋하고, 그들 각각의 일단은 제2 수평압착롤러(8b)에 의하여 직각에 가까운 예각으로 절곡된 금속판소재(P)의 일단을 직각으로 절곡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수직단면으로 형성된 직각지지면(79)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들의 후단 각각에는 후단 돌출부(75)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제6 및 제7 하부 압착롤러(7f)(7g) 각각의 후단에 형성된 후단 환형홈(73)에는 제6 및 제7 상부 압착롤러(6f)(6g)의 후단에 형성된 후단 환형돌기(64)가 끼워진 상태에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6 및 제7 하부 압착롤러(7f)(7g) 각각의 전방 상측에는 제2 수평압착롤러(8b)에 의해 직각이 가까운 각도록 절곡되면서 이송되는 금속판소재(P)의 절곡된 일단을 제6 및 제7 하부 압착롤러(7f)(7g) 각각의 직각지지면(79)을 향해 압착하면서 회전작동을 하는 제3 및 제4 수평압착롤러(8c)(8d)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의 제3 및 제4 수평압착롤러(8c)(8d)의 압착작동에 의해 금속판소 재(P)의 일단은 직각으로 절곡된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 제5 및 제6 상부 압착롤러(6e)(6f)의 사이와 제7 상부 압착롤러(6g) 후방 각각에는 금속판소재(P)의 타단(제2 내지 제7 하부 압착롤러의 후단 돌출부에서 의해 상향으로 돌출되게 가공된 부분)의 상,하면을 동시에 압착 지지하면서 회전하도록 설치된 복수의 상,하부 안내롤러(9a)(9b)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 안내롤러(9a)는 수직지지대(3)에 경사상으로 설치된 지지몸체(9)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도 5 및 도 12 참조)
상기 상,하부 안내롤러(9a)(9b) 각각은 금속판소재(P)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절곡가공되는 논슬립(1)의 전면부(12)를 향해 경사진 각도로 설치된 상태(도 13 참조)에서 절곡 가공이 완료되는 논슬립(1)을 이송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이와 같이 상,하부 안내롤러(9a)(9b)들을 경사지게 설치한 이유는 금속판소재(P)가 제1 내지 제7 상,하부 압착롤러들 사이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마찰열에 의해 절곡 가공되는 논슬립(1)이 후단부(11b)쪽으로 휘어지려는 작용을 상쇄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따라서 제7 상,하부 압착롤러(6g)(7g) 사이를 연속해서 통과하는 논슬립(1)은 휘어지지 않고 똑바르게 인출되므로써 양질의 논슬립(1)을 제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1 내지 제7 상,하부 압착롤러들 각각은 동력원인 모터(도시 생략)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 내지 제7 상,하부 회전축(4a∼4g)(5a∼5g) 각각의 후단부에는 서로 맞물린 상태로 설치된 상,하부 기어(60a∼60g)(70a∼70g)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하부 회전축들 중 선택된 어느 하나 회전축(5a)에는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체인기어(M)(또는 풀리, 기어 등)가 설치되어 있다.(도 6 참조)
그리고 상기 체인기어(M)로 전달된 회전동력으로 상기 제1 내지 제7 상,하부 회전축들을 동일한 속도로 회전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내지 제7 하부 기어(70a∼70g)들 사이사이에는 제1 내지 제6 아이들기어(50a∼50f)가 치합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즉, 제1 아이들기어(50a)는 제1 하부기어(70a)와 제2 하부기어(70b) 양측에 치합된 구조로 설치되어 있으며, 이와 같이 제2 내지 제6 아이들기어(50b∼50f)들도 제2 내지 제7 하부기어 사이사이에 치합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도 5 참조)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논슬립 제조장치로 논슬립을 제조하는데 따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수직지지대(3)에 설치된 제1 내지 제7 상,하부 회전축(4a∼4g)(5a∼5g)들 중 선택된 하나의 하부 회전축(5a)에 축착된 체인기어(M)에 모터로부터 회전동력이 전달되면 상기 체인기어(M)에 전달된 회전력은 제1 내지 제6 아이들리어(50a∼50f) 및 제1 내지 제7 상,하부 기어(60a∼60g)(70a∼70g)에 의하여 제1 내지 제7 상부 회전축(4a∼4g) 및 제1 내지 제7 상부 압착롤러(6a∼6g)는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한편, 제1 내지 제7 하부 회전축(5a∼5g) 및 제1 내지 제7 하부 압착롤러(7a∼7g)는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소재공급부(31)를 통해 연속해서 공급되는 금속판소재(P)는 제1 상,하부 압착롤러(6a)(7a) 사이에 압착되는 상태로 이송되는 것인데, 이때 상기 제1 상,하부 압착롤러(6a)(7a) 사이로 이송되는 금속판소재(P)는 그 양단이 제1 상부 압착롤러(6a)의 전,후 양단에 형성된 전,후단 환형돌기(63)(64)에 의하여 구속된 상태에서 제1 하부 압착롤러(7a)의 외주면에 복수줄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가압돌기(71)들이 금속판소재(P)의 저면을 상향으로 가압하여 돌출시키게 되므로써 금속판소재(P)의 상면에는 다수의 미끄럼방지돌기(2)들이 도 2 내지 도4의 도시와 같이 복수줄로 돌출 형성되는데, 상기한 각 가압돌기(71)들은 삼각형의 단면으로 돌출되어 있어 금속판소재(P)의 저면에서 상향으로 가압할 때 미끄럼방지돌기(2)들의 상단이 찢어지게 하여 슬릿구멍(21)을 형성시키게 되며, 또한 이와 같이 금속판소재(P)의 상면으로 다수의 미끄럼방지돌기(2)들이 돌출되게 함과 동시에 그 상단이 잘 찢어질 수 있도록 상기 제1 상부 압착롤러(6a)의 외주면에 형성된 복수줄의 돌기수용홈(61)들 사이사이의 지지돌기(62)들이 상기한 각 가압돌기(71)들에 의해 상향으로 돌출되는 각 미끄럼방지돌기(2)들 사이사이를 눌러주게 되므로써 각 가압돌기(71)에 의해 가압되는 부분은 상향으로 늘어나면서 미끄럼방지돌기(2)를 돌출시키게 될 때 그 상단이 찢어지면서 슬릿구멍(21)을 형성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금속판소재(P)는 제1 상,하부 압착롤러(6a)(7a)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가압돌기(71)들에 의해 복수의 미끄럼방지돌기(2)들이 돌출 형성되는 것이며, 이어서 제2 내지 제3 상,하부 압착롤러(6b,6c)(7b,7c)를 통과할 때에는 금속판소재(P)의 상면으로 돌출된 다수의 미끄럼방지돌기(2)들은 복수의 돌기수용홈(61)들 사이사이를 통과하게 되므로 상기한 각 가압돌기(71)들에 의해 돌출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되는 한편, 상기 금속판소재(P)의 일단(도면상 우측단)은 1차 경사압착부(65)와 1차 경사지지면(74) 및 2차 경사압착부(66)와 2차 경사지지면(76) 각각에 의해 예각상으로 절곡되어지며, 또한 상기 금속판소재(P)의 타단(도면상 좌측단)은 후단돌출부(75)에 의해 경사진 상태로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제4 내지 제7 상,하부 압착롤러(6d∼6g)(7d∼7g)들은 제3 상,하부 압착롤러(6c)(7c) 사이를 통과한 금속판소재(P)에서 상향으로 돌출된 미끄럼방지돌기(2)들을 그대로 유지시킨 채 이송시키는 한편, 상기 제4 내지 제7 하부 압착롤러(7d∼7g)의 전방 상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1 내지 제4 수평압착롤러(8a∼8d)들이 예각상으로 절곡된 금속판소재(P)의 일단을 순차적으로 가압하여 직각상태가 되도록 절곡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금속판소재(P)는 제1 내지 제7 상,하부 압착롤러(6a∼6g)(7a∼7g) 사이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다수의 미끄럼방지돌기(2)들이 돌출 형성되고 또 전,후단부(11a,11b)와 직각상으로 절곡된 전면부(12) 등이 형성될 때 마찰열이 발생되며, 이러한 마찰열에 의해 제조공정이 완료되는 논슬립(2)이 후단부(11b) 쪽으로 휘어지려는 현상이 나타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제5 및 제6 상,하부 압착롤러(6e,6f)(7e,7f) 사이와 제7 상,하부 압착롤러(6g)(7g) 후방 각각에 설치되어 상기 논슬립(1)의 후단부(11b) 상,하면을 동시에 압착 지지하는 상,하부 안내롤러(9a)(9b)들이 논슬립(1)이 휘어지려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밀어내는 작용으로 휘어지려는 힘을 상쇄시키게 되므로써 제7 상,하부 압착롤러(6g)(7g) 사이를 통과하게 되는 논슬립(1)은 똑바르게 인출되는 상태로 제조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건물이나 야외 공원 등의 계단에 설치되어 사람들이 계단을 안전하게 보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므로 계단의 각층 선단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논슬립 사시도.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의 논슬립 평면도 및 단면도들.
도 5는 본 발명의 논슬립 제조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6 내지 도 11은 논슬립 제조장치의 제1 내지 제7 상,하부 압착롤러의 구성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및 단면도들.
도 12는 논슬립 제조장치에서 금속판소재의 후단부를 안내하는 상,하부 안내롤러의 작동상태도.
도 13은 논슬립 제조장치의 상,하부 안내롤러가 금속판소재의 후단부를 밀어내는 방향을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논슬립 11 : 평면부
11a : 전단부 11b : 후단부
12 : 전면부 2 : 미끄럼방지돌기
21 : 슬릿구멍 3 : 수직지지대
31 : 소재공급부 32a∼32g : 승강이동홈
33a∼33g : 높이조절구 34a∼34g : 높이조절볼트
4a∼4g : 제1 내지 제7 상부 회전축
5a∼5g : 제1 내지 제7 하부 회전축
6a∼6g : 제1 내지 제7 상부 압착롤러
61 : 돌기수용홈 62 : 지지돌기
63,64 : 전,후단 환형돌기 65,66 : 1차 및 2차 경사압착부
7a∼7g : 제1 내지 제7 하부 압착롤러
71 : 가압돌기 72,73 : 전,후단 환형홈
74,76 : 1차 및 2차 경사지지면 75 : 후단 돌출부
77,78 : 3차 및 4차 경사지지면 79 : 직각지지면
8a∼8d :제1 내지 제4 수평압착롤러
9a,9b : 상,하부 안내롤러 9 : 지지몸체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일정 폭의 스테인레스스틸판재로 된 띠상의 금속판소재가 이송되는 방향을 향해 수직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수직지지대;
    상기 수직지지대의 전방에 고정 설치되어 수직지지대를 향해 금속판소재를 수평상으로 연속해서 이송을 안내하는 소재공급부;
    상기 수직지지대에 동일한 높이에 형성되며, 일정한 간격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제1 내지 제7 하부 회전축;
    상기 제1 내지 제7 하부 회전축 각각의 상측에 형성된 복수의 승강이동홈에 상,하로의 승강이동이 가능하게 끼워진 상태에서 높이조절볼트에 의하여 설치 높이가 조절되는 복수의 높이조절구 각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제1 내지 제7 상부 회전축;
    상기 제1 하부 회전축의 전단부에 축설되어 있고, 외주면에는 상기 소재공급부에서 공급되는 금속판소재의 저부에서 상향으로 가압하여 다수의 미끄럼방지돌기를 상향으로 돌출되게 하는 다수의 가압돌기들이 복수 열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제1 하부 압착롤러;
    상기 제1 상부 회전축의 전단부에 축설되어 있고, 외주면에는 상기 제1 하부 압착롤러의 가압돌기들에 의해 금속판소재의 상면으로 돌출되는 미끄럼방지돌기들을 수용할 수 있도록 환형상으로 된 복수의 돌기수용홈과 상기한 각 돌기수용홈 사이에 형성되어 금속판소재의 상면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돌기가 교대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1 상부 압착롤러;
    상기 제2 및 제3 하부 회전축 각각의 전단부에 축설되며, 다수의 미끄럼방지돌기가 형성된 금속판소재의 평면부를 면접촉상태로 지지하면서 안내하도록 외주면이 밋밋한 평면지지부와, 상기 평면지지부의 전단에는 평면지지부의 직경보다 점차로 작아지는 직경으로 형성되어 상기한 금속판소재의 일단이 예각상으로 하향 절곡되는 것을 허용하는 1차 및 2차 경사지지면과, 상기 평면지지부 후단에는 평면지지부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돌출 형성된 상태에서 끝부분으로 갈수록 점차로 작아지 는 직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금속판소재의 타단을 평면부보다 높게 돌출시키면서 끝단으로 갈수록 점차 하향으로 경사지도록 절곡시키는 후단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제2 및 제3 하부 압착롤러;
    상기 제2 및 제3 상부 회전축 각각의 전단부에 축설되며, 금속판소재의 상면으로 돌출된 다수의 미끄럼방지돌기들을 수용하는 복수의 돌기수용홈과 상기한 돌기수용홈들 사이사이에 형성되어 금속판소재의 상면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돌기가 교대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2 및 제3 상부 압착롤러;
    상기 제4 및 제 5 하부 회전축 각각의 전단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3 상,하부 압착롤러를 통과하는 금속판소재의 평면부를 안내하도록 밋밋한 외주면으로 형성된 평면지지부와, 상기 평면지지부의 전단에 금속판소재의 일단이 직각에 가까운 예각으로 절곡되는 것을 허용하는 3차 및 4차 경사지지면이 형성되어 있는 제4 및 제5 하부 압착롤러;
    상기 제4 및 제5 상부 회전축 각각의 전단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금속판소재의 상면으로 돌출된 다수의 미끄럼방지돌기들을 수용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돌기수용홈과, 상기한 돌기수용홈들 사이사이에 형성되어 금속판소재의 상면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돌기가 교대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4 및 제5 상부 압착롤러;
    상기 제6 및 제7 하부 회전축 각각의 전단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5 상,하부 압착롤러를 통과하는 금속판소재의 평면부를 안내하도록 밋밋한 외주면으로 형성된 평면지지부와, 상기 평면지지부의 전단에 금속판소재의 일단이 직각으로 절곡되는 것을 허용하는 직각지지면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제6 및 제7 하부 압착롤 러;
    상기 제6 및 제7 상부 회전축 각각의 전단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금속판소재의 상면으로 돌출된 다수의 미끄럼방지돌기들을 수용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돌기수용홈과, 상기한 돌기수용홈들 사이사이에 형성되어 금속판소재의 상면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돌기가 교대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6 및 제7 상부 압착롤러;
    상기 제1 내지 제7 상,하부 회전축 각각의 후단부에 서로 맞물린 상태로 설치되어 있는 제1 내지 제7 상,하부 기어;
    상기 제1 내지 제7 상,하부 기어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내지 제7 하부 기어들 사이사이에 치합되도록 설치되는 제1 내지 제6 아이들기어;
    상기 제1 내지 제7 하부 회전축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하부 회전축에 축착되어 모터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구동하게 되는 구동장치;
    를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 논슬립 제조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7 상,하부 압착롤러 각각은 금속판소재를 똑바르게 이송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 하부 압착롤러의 양단에는 금속판소재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갖는 전,후단 환형홈이 형성되어 있고, 제 2 내지 제7 하부 압착롤러 각각에는 후단 환형홈이 하나씩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상부 압착롤러의 양단에는 상기한 전,후단 환형홈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진 상태로 설치되는 전,후단 환형돌기가 형성 되어 있고, 제2 내지 제7 상부 압착롤러 각각에는 상기한 후단 환형홈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진 상태로 설치되는 후단 환형돌기가 하나씩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 논슬립 제조장치.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내지 제7 하부 압착롤러 각각의 전단에는 제3 상,하부 압착롤러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예각상으로 하향 절곡된 금속판소재의 일단이 점차적으로 직각이 되도록 가압하게 되는 제1 내지 제4 수평압착롤러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 논슬립 제조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및 제6 상부 압착롤러 사이와 제7 상부 압착롤러 후방 각각에는 금속판소재의 후단부 상,하면을 동시에 압착지지하는 복수의 상,하부 안내롤러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 논슬립 제조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안내롤러 각각은 금속판소재가 논슬립 형상으로 가공될 때 제1 내지 제7 상,하부 압착롤러들의 압착작용으로 발생되는 마찰열에 의해 뒤틀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 금속판소재의 후단부를 그 이송방향에 대하여 수직지지대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회전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 논슬립 제조장치.
KR1020070071050A 2007-07-16 2007-07-16 계단 논슬립 및 그 제조장치 KR1008917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1050A KR100891729B1 (ko) 2007-07-16 2007-07-16 계단 논슬립 및 그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1050A KR100891729B1 (ko) 2007-07-16 2007-07-16 계단 논슬립 및 그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7867A KR20090007867A (ko) 2009-01-21
KR100891729B1 true KR100891729B1 (ko) 2009-04-03

Family

ID=40488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1050A KR100891729B1 (ko) 2007-07-16 2007-07-16 계단 논슬립 및 그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17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8207B1 (ko) * 2018-01-31 2018-07-13 우진글로벌 주식회사 계단용 논슬립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8358B1 (ko) * 2016-10-10 2019-10-04 주식회사 돈호알앤디 축광부와 논슬립부가 동시에 이격되어 형성되는 계단용 논슬립의 제조방법
FR3073538B1 (fr) * 2017-11-16 2020-10-09 3M Innovative Properties Co Nez de marche ayant des caracteristiques antiderapantes integrees
CN111947209B (zh) * 2020-08-19 2021-05-18 浙江奥普家居有限公司 一种大功率卫生间浴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95082A (en) 1995-01-19 1997-01-21 Gandara Systems Sheet metal corrugator
KR19990083945A (ko) * 1999-08-27 1999-12-06 박중순 건축물의 미끄럼 방지장치
KR20030080426A (ko) * 2002-04-08 2003-10-17 배기만 미끄럼방지를 위한 신발의 밑창
KR20060039087A (ko) * 2004-11-02 2006-05-08 김아름 스테인레스재 논슬립과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95082A (en) 1995-01-19 1997-01-21 Gandara Systems Sheet metal corrugator
KR19990083945A (ko) * 1999-08-27 1999-12-06 박중순 건축물의 미끄럼 방지장치
KR20030080426A (ko) * 2002-04-08 2003-10-17 배기만 미끄럼방지를 위한 신발의 밑창
KR20060039087A (ko) * 2004-11-02 2006-05-08 김아름 스테인레스재 논슬립과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8207B1 (ko) * 2018-01-31 2018-07-13 우진글로벌 주식회사 계단용 논슬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7867A (ko) 2009-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1729B1 (ko) 계단 논슬립 및 그 제조장치
KR0151725B1 (ko) 승객용 컨베이어의 수평지지표면 및 그의 제조방법
CA2730702C (en) Method for producing steel fibres
US7341139B2 (en) Travelator, moving ramp or escalator
EP2033930B1 (de) Fahreinrichtung mit Abweiservorrichtung
RU2007130686A (ru) Лифт с ремнем, ремень для такого лифта,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такого ремня, композиционный ремень из таких ремней и способ монтажа такого композиционного ремня в лифте
WO2006017290A3 (en) Fatigue-resistance sheet slitting method and resulting sheet
US20150128422A1 (en) Method of forming steel cladding construction for buildings
EP2021271A1 (en) Arrangement in the drive machinery of a travelator, method for changing the drive belt of the handrail belt of the handrail of a travelator, and support element of the handrail belt of the handrail of a travelator
US5881859A (en) Escalator handrail drive mechanism
JP2004352498A (ja) エスカレータまたは動く歩道のための手摺り駆動装置
US20070213154A1 (en) Drive mechanism for non-personnel lifting device
KR101072537B1 (ko) 그레이팅의 지지부재 제조장치
EP0970805B1 (en) Unit for joining paper sheets together in corrugated board manufacturing equipment
KR101531282B1 (ko) 엠보싱 파형강판 제조장치
US20110239728A1 (en) Driving Means and Device for Working Sheet-Like Material
US8662874B2 (en) Cogged belt for conveying articles and/or for power transmission, and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realising the cogged belt
WO2009026655A1 (en) A cladding sheet
CN101209795A (zh) 直线扶手驱动装置
JP4431416B2 (ja) ゴムクローラ
EP1541326A1 (en) Tire component affixing device
EP1170154A3 (en) Compact, low-clearance, traction assist device
KR101097890B1 (ko) 지압 및 슬립방지 데크재
EP1101724A3 (en) Balustrades for an escalator
KR20140073004A (ko) 수평 이송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