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0624U - 복공판용 상하 방진 장치 - Google Patents

복공판용 상하 방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0624U
KR20180000624U KR2020160004922U KR20160004922U KR20180000624U KR 20180000624 U KR20180000624 U KR 20180000624U KR 2020160004922 U KR2020160004922 U KR 2020160004922U KR 20160004922 U KR20160004922 U KR 20160004922U KR 20180000624 U KR20180000624 U KR 2018000062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flat plate
plate
fasten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49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태감
임문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평안철강
윤태감
임문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평안철강, 윤태감, 임문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평안철강
Priority to KR20201600049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0624U/ko
Publication of KR2018000062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62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08Temporary pavings
    • E01C9/083Temporary pavings made of metal, e.g. plates, net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5Individual couplings or spacer elements for joining the prefabricated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16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metallic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복공판용 상하 방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복공판의 저면에 설치되어 복공판을 지지하는 지지대와의 진동이나 충격을 방지하는 한편, 배수 및 통기가 원활하도록 하여 복공판에 부식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판상의 방진부재(10)와; 상기 방진부재(10)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복공판(1)의 저면에 형성된 체결공(3)을 관통하여 탄력적으로 결합 가능한 체결부재(20)를 포함하여, 별도의 공구 없이 편리하게 설치가 가능하여 시공성을 높이는 한편, 제품의 상품성 및 내구성은 물론 제품의 시장경쟁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복공판용 상하 방진 장치{VERTICAL VIBRATION PROOF APPARATUS FOR DECK PLATE}
본 고안은 복공판용 상하 방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복공판의 저면에 설치되어 복공판을 지지하는 지지대와의 진동이나 충격을 방지하는 한편, 배수 및 통기가 원활하도록 하여 복공판에 부식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한 장치로써, 별도의 공구 없이 편리하게 설치가 가능하여 시공성을 높이는 한편, 제품의 상품성 및 내구성은 물론 제품의 시장경쟁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공판(deck plate)이란 지하에 개삭공법으로 터널을 축조하는 경우, 굴삭에 앞서 노상의 왕래에 지장을 끼치지 않도록 부설되는 대략 직사각형의 판형 부재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복공판을 도시하는 도로서, 도 1의 (a)는 사시도이며, 도 1의 (b)는 저면 사시도이다.
일반적인 복공판(1)은 대개 다수의 I형강 또는 H형강을 나란히 용접하여 도 1에 예시한 바와 같이 판형으로 제작된다.
이러한 복공판(1)의 상측면에는 도 1의 (a)와 같이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격자 무늬를 형성하는 것이 보통이며, 복공판(1)의 모서리 인근에는 운반용 홀(2)을 형성하여 복공판(1)의 운반 등에 사용하고 있다.
또한, 복공판(1)의 하측면에는 도 1의 (b)와 같이 스토퍼(4)를 마련하여 복공판(1)의 시공 후 좌우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보조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체결공(3) 등이 형성되어 있다.
도 2는 종래의 복공판의 시공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종래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I형강 또는 H형강으로 이루어진 지지대(5)를 수평하게 설치한 상태에서, 이 지지대(5) 상에 복공판(1)을 올려놓는 형태로 시공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이 지지대(5) 상에 시공된 복공판(1)은 그 저면에 형성되어 있는 스토퍼(4)에 의해 좌우 유동이 제한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에 있어서는 복공판(1)의 저면과 지지대(5)가 직접 상하로 접촉한 상태(도 2의 A부위 참조)를 유지하고 있었다.
이 때문에, 복공판(1)의 저면과 지지대(5)의 사이에 미세한 들뜸이 발생할 경우, 복공판(1)의 위로 차량이 주행함에 따라 복공판(1)과 지지대(5) 사이에서는 반복적으로 진동이나 충격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복공판(1)과 지지대(5) 사이에서 발생하는 진동이나 충격은 기본적으로 복공판(1)이나 지지대(5)의 손상을 유발시키기 쉬울 뿐 아니라, 충격음을 발생시켜 소음의 원인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단순히 방진 패드를 복공판(1)과 지지대(5) 사이에 삽입할 수 있으나, 방진 패드의 삽입이 쉽지 않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게다가, 방진 패드와 복공판(1) 사이 또는 방진 패드와 지지대(5) 사이로 빗물이 들어가게 되면, 그 사이의 물은 배수나 통기가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비교적 장기간 동안 잔존하게 된다.
그 결과, 종래에 단순히 방진 패드를 삽입하는 것은 복공판(1)이나 지지대(5)의 부식을 유발시키는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기술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복공판의 저면에 별도의 공구 없이 편리하게 설치가 가능하여 시공성을 높이는 한편, 복공판과 지지대 사이에서 진동이나 충격을 방지하여 마모나 소음의 발생을 억제하는 동시에, 배수 및 통기가 원활하도록 하여 복공판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부식을 예방할 수 있음으로써, 제품의 상품성 및 내구성은 물론 제품의 시장경쟁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복공판용 상하 방진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은 판상의 방진부재와; 상기 방진부재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복공판의 저면에 형성된 체결공을 관통하여 탄력적으로 결합 가능한 체결부재를 포함함으로써 달성된다.
이때, 상기 체결부재는 원기둥 형상의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끝단에 형성되는 원추 형상의 걸림부를 포함하여; 다수가 마련되는 것이 좋다.
이와 함께, 상기 걸림부는 분할 슬릿에 의해 다수로 분할 형성되는 것이 양호하다.
그리고, 상기 방진부재에는 상기 체결부재가 형성되는 방향을 향해 돌출되는 돌부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반대로, 상기 방진부재에는 상기 체결부재가 형성되는 반대 방향을 향해 돌출되는 요부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뿐 아니라, 상기 방진부재에는 상기 체결부재가 형성되는 방향을 향해 돌출되는 돌부와; 상기 체결부재가 형성되는 반대 방향을 향해 돌출되는 요부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와 더불어, 상기 방진부재의 돌부와 요부는, 상기 방진부재의 중심을 기준으로 멀어짐에 따라 서로 교번하여 등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상기 방진부재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이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방진부재와 상기 체결부재는, 서로 다른 재질로 이중 사출되어 일체로 제작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복공판의 저면에 별도의 공구 없이 편리하게 설치가 가능하여 시공성을 높이는 한편, 복공판과 지지대 사이에서 진동이나 충격을 방지하여 마모나 소음의 발생을 억제하는 동시에, 배수 및 통기가 원활하도록 하여 복공판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부식을 예방할 수 있음으로써, 제품의 상품성 및 내구성은 물론 제품의 시장경쟁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고안인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복공판을 도시하는 도,
도 2는 종래의 복공판의 시공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복공판용 상하 방진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복공판용 상하 방진 장치에 대한 변형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복공판용 상하 방진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복공판용 상하 방진 장치의 시공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자신의 고안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히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 및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복공판용 상하 방진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복공판용 상하 방진 장치에 대한 변형예를 도시하는 사시도로서, 도 4의 (a)는 방진부재(10)에 돌부(14)만이 형성된 예를 나타내며, 도 4의 (b)는 방진부재(10)에 요부(16)만이 형성된 예를 나타낸다.
그리고, 도 5는 본 고안의 복공판용 상하 방진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복공판용 상하 방진 장치의 시공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복공판용 상하 방진 장치는 복공판(1)의 저면에 별도의 공구 없이 편리하게 설치가 가능하여 시공성을 높이는 한편, 복공판(1)과 지지대(5) 사이에서 진동이나 충격을 방지하여 마모나 소음의 발생을 억제하는 동시에, 배수 및 통기가 원활하도록 하여 복공판(1)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부식을 예방할 수 있음으로써, 제품의 상품성 및 내구성은 물론 제품의 시장경쟁력을 증대시킬 수 것을 그 기술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복공판용 상하 방진 장치는 도 3에 예시한 바와 같이, 판상의 방진부재(10)와; 상기 방진부재(10)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복공판(1)의 저면에 형성된 체결공(3)을 관통하여 탄력적으로 결합 가능한 체결부재(2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고안의 복공판용 상하 방진 장치는 크게 방진부재(10) 및 체결부재(20)를 포함하는 것으로, 기존의 복공판(1) 저면에 형성된 체결공(3)에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우선, 방진부재(10)는 폴리 프로필렌 수지, 폴리 에틸렌 수지, 고무, 폴리 우레탄 등과 같이 성형성이 우수하고 방진 특성을 가진 재질로 제작된 대략 판상의 몸체(12)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방진부재(10)는 방진 특성을 가지고 있다 할지라도 그 위에 높은 중량의 복공판(1)이 놓이더라도 기본적인 형태를 어느 정도 유지할 수 있을 정도의 강성을 지니고 있는 것이 양호하다.
그리고, 체결부재(20)는 상기 방진부재(10)로부터 대략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방진부재(10)와는 별도로 제작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진부재(10)와 동일한 재질로 일체를 이루어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체결부재(20)는 기존의 복공판(1) 저면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공(3)(도 1의 (b) 참조)에 탄력적으로 결합 가능하다.
즉, 상기 체결부재(20)의 일부가 탄력적으로 변형되면서 상기 체결공(3) 내부를 통과할 수 있으며, 상기 체결공(3)을 통과한 후 외형이 탄성 복원되면서 체결공(3)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형상으로 성형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20)는 도 3과 같이, 원기둥 형상의 연결부(22)와; 상기 연결부(22)의 끝단에 형성되는 원추 형상의 걸림부(24)를 포함하여; 다수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도 5에 예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22)는 복공판(1)에 형성된 체결공(3) 내에 위치하는 부위에 해당하며, 상기 걸림부(24)는 복공판(1)의 체결공(3)을 통과하여 그 안쪽에 위치한 상태로 걸쳐지는 부위에 해당한다.
이를 위해, 상기 연결부(22)는 대략 상기 복공판(1)의 하측면 두께에 해당하는 높이를 갖는 것이 양호하다.
그리고, 상기 걸림부(24)는 탄력적인 변형이 가능하여 복공판(1)의 체결공(3)을 통과한 후, 체결공(3) 안쪽에서 벌어지도록 복원되어 쉽게 분리되지 않는 단면 형상을 가지고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걸림부(24)는 대략 원추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제작되는 것이 복공판(1)의 체결공(3)에 삽입되거나, 삽입된 후 체결공(3)으로부터 빠져 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데 바람직할 것이다.
그 결과, 본 고안의 복공판용 상하 방진 장치는 작업자가 별도의 공구 없이도 손쉽게 복공판(1)의 저면에 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이점을 가진다.
특히, 상기 체결부재(20)는 하나의 방진부재(10)에 대하여 최소 둘 이상의 다수가 형성되는 것이 양호하며, 이에 따라 상기 방진부재(10)가 복공판(1)의 저면에 결합된 상태에서 스스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상기 걸림부(24)는 분할 슬릿(25)에 의해 다수로 분할 형성되는 것이 양호할 것이다.
상기 분할 슬릿(25)은 상기 걸림부(24)의 경사면을 분할시키는 것으로, 하나 또는 둘 이상 성형될 수 있으며, 이러한 분할 슬릿(25)은 개수가 많을 수로 체결부재(20)를 복공판(1)의 체결공(3)에 보다 쉽게 삽입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 걸림부(24)가 체결공(3)으로부터 빠져나오기도 쉽기 때문에, 상기 분할 슬릿(25)의 개수는 걸림부(24)의 재료 물성치나 치수를 고려하여 적절한 개수로 성형되는 것이 좋다.
따라서, 본 고안의 복공판용 상하 방진 장치는 상술한 체결부재(20)에 의해 복공판(1)의 저면에 결합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복공판(1)이 지지대(5) 위에 놓이게 됨으로써, 도 5 및 도 6에 예시한 바와 같이 방진부재(10)가 복공판(1)과 지지대(5) 사이에 위치하도록 시공되는 것이다.
위에서는 단순히 방진부재(10)의 재료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으나, 상기 방진부재(10)의 단면 형상을 적절하게 형성함으로써 빗물에 대한 배수성이나 공기에 대한 통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방진부재(10)에는 도 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부재(20)가 형성되는 방향을 향해 돌출되는 돌부(14)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방진부재(10)의 몸체(12)로부터 도면상 상방향을 향하며, 상기 몸체(12)의 폭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다수의 돌부(14)를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다르게, 상기 방진부재(10)에는 도 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부재(20)가 형성되는 반대 방향을 향해 돌출되는 요부(16)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즉, 방진부재(10)의 몸체(12)로부터 도면상 아래방향을 향하며, 상기 몸체(12)의 폭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다수의 요부(16)를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이뿐 아니라, 상기 방진부재(10)에는 도 3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부재(20)가 형성되는 방향을 향해 돌출되는 돌부(14)와; 상기 체결부재(20)가 형성되는 반대 방향을 향해 돌출되는 요부(16)가 형성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즉, 방진부재(10)의 몸체(12)로부터 도면상 상방향을 향하며, 상기 몸체(12)의 폭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돌부(14)를 형성하는 동시에, 방진부재(10)의 몸체(12)로부터 도면상 아래방향을 향하며, 상기 몸체(12)의 폭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요부(16)를 함께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의 복공판용 상하 방진 장치가 복공판(1)과 지지대(5) 사이에 시공되었을 때,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단면 형태를 이루게 된다.
즉, 방진부재(10)의 몸체(12)로부터 상방향을 향해 돌출되는 돌부(14)는 위쪽의 복공판(1)을 지지하는 한편, 그 아래에 배수 및 통기 공간(B)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함께, 방진부재(10)의 몸체(12)로부터 아래 방향을 향해 돌출되는 요부(16)는 아래 쪽의 지지대(5)를 지지하는 한편, 그 위에 배수 및 통기 공간(B)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복공판(1)의 하부로 빗물 등이 유입되어, 방진부재(10)와 복공판(1) 사이 또는 방진부재(10)와 지지대(5) 사이에 들어가더라도, 상술한 배수 및 통기 공간(B)으로 쉽게 배수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뿐 아니라, 완전한 배수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하더라도 배수 및 통기 공간(B)을 통해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비교적 짧은 시간 내에 수분이 제거되게 된다.
그 결과, 본 고안의 복공판용 상하 방진 장치를 시공함으로써 방진부재(10)가 시공된 인근의 부위에서 복공판(1) 및 지지대(5)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부식을 효과적으로 예방하는 효과를 가진다.
특히, 하나의 방진부재(10)에 돌부(14)와 요부(16)가 함께 형성되는 경우에는 도 3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방진부재(10)의 돌부(14)와 요부(16)는 상기 방진부재(10)의 중심을 기준으로 멀어짐에 따라 서로 교번하여 등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상기 방진부재(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이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는, 단순히 방진부재(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부(14)와 요부(16)를 교번하여 형성할 경우, 좌우 대칭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으며, 이러한 좌우 불균형은 복공판(1)의 편심된 움직임을 유발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방진부재(10)에 형성되는 돌부(14)와 요부(16)는 방진부재(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는 것이 복공판(1)의 유동을 방지하는 데 효과적일 것이다.
마지막으로, 위에서는 상기 방진부재(10)와 상기 체결부재(20)는 별도로 제작되어 일체로 조립될 수 있으며, 혹은 상기 방진부재(10)와 상기 체결부재(20)가 일체로 제작될 수 있음을 설명하였다.
이때, 상술한 방진부재(10)와 체결부재(20)를 동일한 재질로 성형하는 경우에는 일체로 제작하기 쉬울 것이다.
하지만, 상기 방진부재(10)와 상기 체결부재(20)는 서로 각기 다른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서로 다른 재질로 제작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방진부재(10)와 상기 체결부재(20)는, 서로 다른 재질로 이중 사출되어 일체로 제작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이중사출이란 하나의 제품에 대해 국부적으로 서로 다른 재질을 이용하여 일체로 성형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상기 방진부재(10)의 재질과 상기 체결부재(20)의 재질을 소망하는 재료 물성치를 가진 다른 재질로 선택하여 일체로 용이하게 성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복공판용 상하 방진 장치는 체결부재(20)가 도 1의 (b)에 예시한 복공판(1)의 저면에 형성된 체결공(3)에 결합된다.
이때, 도 5 및 도 6과 같이 상기 체결부재(20)의 걸림부(24)는 탄력적으로 변형되어 체결공(3)을 통과하여 내부에 걸쳐지게 되며, 연결부(22)는 상기 체결공(3) 내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공사 현장에 수평하게 가설되어 있는 지지대(5) 위에 복공판(1)이 시공되며, 이에 따라, 방진부재(10)는 복공판(1)의 저면과 지지대(5)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그 결과, 복공판(1) 위로 차량이 통행하더라도 복공판(1)과 지지대(5) 사이에 들뜸이 발생하더라도 진동이나 소음이 전혀 발생치 않게 된다.
게다가, 상기 방진부재(10)에는 몸체(12) 상에 돌부(14) 혹은 요부(16), 또는 돌부(14)와 요부(16)가 함께 형성되어 있어, 상기 방진부재(10)와 복공판(1) 사이 또는 상기 방진부재(10)와 지지대(5) 사이에 배수 및 통기 공간(B)을 형성하게 된다.
이에 따라, 빗물이 복공판(1)의 하부로 유입되더라도 빗물이 배수 및 통기 공간(B)을 통해 쉽게 배출되며, 혹은 일부의 물이 잔존하더라도 배수 및 통기 공간(B)으로 공기가 통과하면서 짧은 시간 내에 건조될 수 있다.
그 결과, 방진부재(10)가 위치하는 부위에서 복공판(1)이나 혹은 지지대(5)에서 발생할 수 있는 국부적인 부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복공판용 상하 방진 장치는 작업자가 복공판(1)의 저면에 별도의 공구 없이 편리하게 설치가 가능하여 시공성을 높이게 된다.
또한, 복공판(1)과 지지대(5) 사이에서 진동이나 충격을 방지하여 마모나 소음의 발생을 억제하는 동시에, 배수 및 통기가 원활하도록 하여 복공판(1)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부식을 예방할 수도 있게 된다.
그 결과, 본 고안의 복공판용 상하 방진 장치는 제품의 상품성 및 내구성은 물론 제품의 시장경쟁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는 탁월한 이점을 지닌 고안인 것이다.
상기 실시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례로서,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의 도면이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 : 복공판 3 : 체결공
5 : 지지대 10 : 방진부재
12 : 몸체 14 : 돌부
16 : 요부 20 : 체결부재
22 : 연결부 24 : 걸림부
25 : 분할 슬릿

Claims (8)

  1. 판상의 방진부재와;
    상기 방진부재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복공판의 저면에 형성된 체결공을 관통하여 탄력적으로 결합 가능한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용 상하 방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원기둥 형상의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끝단에 형성되는 원추 형상의 걸림부를 포함하여;
    다수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용 상하 방진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분할 슬릿에 의해 다수로 분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용 상하 방진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방진부재에는;
    상기 체결부재가 형성되는 방향을 향해 돌출되는 돌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용 상하 방진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방진부재에는;
    상기 체결부재가 형성되는 반대 방향을 향해 돌출되는 요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용 상하 방진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방진부재에는;
    상기 체결부재가 형성되는 방향을 향해 돌출되는 돌부와;
    상기 체결부재가 형성되는 반대 방향을 향해 돌출되는 요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용 상하 방진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방진부재의 돌부와 요부는;
    상기 방진부재의 중심을 기준으로 멀어짐에 따라 서로 교번하여 등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상기 방진부재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이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용 상하 방진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방진부재와 상기 체결부재는;
    서로 다른 재질로 이중 사출되어 일체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용 상하 방진 장치.
KR2020160004922U 2016-08-24 2016-08-24 복공판용 상하 방진 장치 KR2018000062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4922U KR20180000624U (ko) 2016-08-24 2016-08-24 복공판용 상하 방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4922U KR20180000624U (ko) 2016-08-24 2016-08-24 복공판용 상하 방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624U true KR20180000624U (ko) 2018-03-06

Family

ID=61649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4922U KR20180000624U (ko) 2016-08-24 2016-08-24 복공판용 상하 방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0624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4024Y1 (ko) * 2020-04-09 2021-07-16 서주스틸 주식회사 복공판 패드
KR20210107388A (ko) 2020-02-24 2021-09-01 엘에스일렉트릭(주) 방진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7388A (ko) 2020-02-24 2021-09-01 엘에스일렉트릭(주) 방진 장치
WO2021172740A1 (ko) 2020-02-24 2021-09-02 엘에스일렉트릭(주) 방진 장치
KR200494024Y1 (ko) * 2020-04-09 2021-07-16 서주스틸 주식회사 복공판 패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076255B (zh) 隔振装置
CN100593480C (zh) 车辆部件的振动隔离支持结构
JP6258676B2 (ja) ファスナー
KR20180000624U (ko) 복공판용 상하 방진 장치
JP2016185204A (ja) 表皮係止用クリップ
JP6169810B2 (ja) 燃料タンクの車体取付構造
JP2015074333A (ja) ボックス
KR20180000625U (ko) 복공판용 수평 방진 장치
KR20190048277A (ko) 방음벽
KR20170003543U (ko) 보강재가 내장된 방음판용 프레임
JP6078023B2 (ja) 電気機器ケース
JP6560958B2 (ja) 制振ダンパ用コンクリートマス及び制振ダンパ
JP2009041610A (ja) ダイナミックダンパ
JP6801864B2 (ja) 外装材の仮支持部材
KR200484181Y1 (ko) 무소음 방진 스틸그레이팅
KR101608441B1 (ko) 방음벽 프레임
KR100952442B1 (ko) 장선부재의 길이 연결용 방진패드
JP6466816B2 (ja) まくらぎ防振装置
JP6789167B2 (ja) 衝撃吸収材
JP2019156020A (ja) 鉄道車両の荷物棚
JP2017128922A (ja) 床構造
KR101384822B1 (ko) 자동차 도어용 고무제품 결합 장치
JP6856397B2 (ja) アンカーホルダ
KR200487500Y1 (ko) 정션박스
JP6651260B2 (ja) ウォーターフェン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