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7500Y1 - 정션박스 - Google Patents
정션박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87500Y1 KR200487500Y1 KR2020160006543U KR20160006543U KR200487500Y1 KR 200487500 Y1 KR200487500 Y1 KR 200487500Y1 KR 2020160006543 U KR2020160006543 U KR 2020160006543U KR 20160006543 U KR20160006543 U KR 20160006543U KR 200487500 Y1 KR200487500 Y1 KR 200487500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junction box
- vehicle
- box body
- vibration
- vibration absorb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9—Electronic box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6—Assembled boxe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0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s on the outside of ca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차량 엔진룸에 마련되어 상기 차량 내부의 전장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정션박스는, 정션박스 본체와, 상기 정션박스 본체의 일 모서ㄹ리에 형성되어, 상기 차량의 차체에 상기 정션박스 본체를 고정시키는 복수의 차량 고정부와, 상기 차체와 인접하는 상기 정션박스 본체의 타 모서리에 장착되며, 상기 차량 구동 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하여 상기 정션박스 본체로 진동의 전달을 방지하는 진동흡수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정션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차량 구동 시, 차량의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정션박스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 설치된 정션박스는 차량의 전원분배 및 전장품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정션박스는 복수의 위치에서 볼트를 이용하여 차량이 차체에 고정된다.
보다 자세하게,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션박스(10)는 차량의 차체와 접하며, 볼트가 조립되는 차체고정부(12, 14)와, 정션박스(10)가 차체에 위치하되, 볼트가 조립되어 고정되기 전에 정션박스(10)가 차체에 가(假) 거치될 수 있도록 거치부(18) 등을 포함한다.
상기 구성의 정션박스(10)는 차체 상에 거치되어 고정되는 구조임에 반해, 차체고정부(12, 14)는 정션박스(10)의 상단 전방 모서리와 상단 후방 모서리에 형성되어 있어 차량 구동 시, 발생하는 진동이 정션박스(10) 하부에 응집되고, 응집된 진동에 의해 정션박스(10)의 하부 측에 공진이 과다하게 발생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정션박스(10)가 차체에 고정되는 초기 위치에서 이탈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션박스(10)와 차체를 볼트 고정하는 고정 위치인 차체고정부(12, 14, 16)의 개수를 증가시켜 구성하기도 한다. 그러나, 볼트 고정 위치가 증가할수록 차체와 정션박스(10)의 체결 공수가 증가하여 작업 공수가 증가하므로 생산 효율의 저하가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차체와의 체결 공수 증가 없이 차량 구동 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하여 내구성이 향상된 정션박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면에 따라 차량 엔진룸에 마련되어 상기 차량 내부의 전장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정션박스는, 정션박스 본체와, 상기 정션박스 본체의 일 모서리에 형성되어, 상기 차량의 차체에 상기 정션박스 본체를 고정시키는 복수의 차량 고정부와, 상기 차체와 인접하는 상기 정션박스 본체의 타 모서리에 장착되며, 상기 차량 구동 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하여 상기 정션박스 본체로 진동의 전달을 방지하는 진동흡수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과제해결 수단에 의해 본 고안은 정션박스에 진동흡수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차량 구동 시, 차체에서 발생한 진동을 진동흡수부재에서 흡수함에 따라, 차체의 진동이 정션박스의 정션박스 본체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정션박스와 차체가 고정되는 차량 고정부는, 정션박스 본체의 일 모서리에 형성되는데, 차체와 접하는 타 모서리에는 상기 차량 고정부가 형성되지 않아 차량 구동 시, 차체에 전달되는 진동이 차체와 접하는 정션박스 본체의 모서리에 응집되기도 한다. 이를 방지하고자, 차체와 접하는 정션박스 본체의 타 모서리에 진동흡수부재를 설치하여 응집된 진동에 의한 정션박스 본체의 타 모서리의 과도한 공진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해, 차량이 구동하여도 정션박스가 흔들리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정션박스가 차체에 고정된 초기 위치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정션박스에 설치된 진동흡수부재는 차체와 고정되는 구성이 아니고, 차체에 안착되는 구성으로, 차체와 정션박스를 고정하는 정션박스와 차체를 고정하는 체결공수는 그대로 유지하면서 차량 구동에 따라 발생한 진동이 정션박스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정션박스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정션박스가 차량 차체에 설치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정션박스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 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4의 장착부재 및 진동흡수부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진동흡수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정션박스가 차량 차체에 설치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정션박스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 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4의 장착부재 및 진동흡수부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진동흡수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정면도이다.
하기의 설명에서 본 고안의 특정 상세들이 본 고안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는데,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고안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본 고안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정션박스가 차량 차체에 설치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정션박스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 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4의 장착부재 및 진동흡수부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진동흡수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정면도이다.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고안의 정션박스(100)의 구조는 차량의 엔진룸에 설치된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차량의 엔진룸 이외에 차량 내부에 설치되는 정션박스에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정션박스(100)는 차량 엔진룸에 마련되어 차량 내부의 전장품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정션박스(100)는 정션박스 본체(110)와, 정션박스 본체(110)의 일 모서리에 형성되어 차량의 차체(50)에 정션박스 본체(110)를 고정시키는 복수의 차량 고정부(120, 140)와, 차체(50)와 인접하는 정션박스 본체(110)의 타 모서리에 장착되며, 차량 구동 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하여 상기 정션박스 본체(110)로 진동의 전달을 방지하는 진동흡수부재(1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따른 정션박스(100)의 정션박스 본체(110)는 볼트를 이용하여 차체(50)와 복수의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복수의 차량 고정부(120, 140)를 포함한다.
상기 차량 고정부(120, 140)는 예를 들어 정션박스 본체(110)의 전방 상단 모서리와, 후방 상단 모서리에 형성되는 예를 들지만(도 3의 방향축 참고), 상기 차량 고정부(120, 140)는 정션박스(100)가 차체(50)에 설치되는 위치와 설치 방향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차량 고정부(120, 140)는 차체(50)와 조립 시, 볼트가 설치되도록 정션박스측 볼트공(122, 142)을 포함한다.
이때, 차체(50)는 상기 차량 고정부(120, 140)와 맞물리는 정션박스 고정부(미도시)를 포함하고, 상기 정션박스 고정부에는 볼트가 삽입, 장착될 수 있도록 차체측 볼트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정션박스 본체(110)는 정션박스 본체(110)의 타 모서리에 형성되어 진동흡수부재(180)가 장착되는 장착부재(160)를 포함한다. 상기 장착부재(160)는 상기 차량 고정부(120, 140)와 가로지르는 대각선 방향의 정션박스 본체(110) 하측 모서리에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 정션박스 본체(110)가 사각 형상이라고 가정하면, 상기 차량 고정부(120, 140)는 정션박스 본체(110)의 우측 모서리와, 좌측 모서리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정션박스 본체(110)는 정션박스(100)가 차체(50)에 고정되는 방향인 좌측에서 우측(도 3의 방향축 참고) 정션박스 본체(110)의 측면에 형성되어, 차체(50)와 정션박스 본체(110)가 접한 상태에서 정션박스 본체(110)를 차체(50) 상에 일시적으로 가(假) 고정하는 가고정부(도 1의 거치부(18) 참고)를 더 포함한다.
상기 구성의 정션박스(100)를 차체(50)에 고정하면, 정션박스 본체(110) 하측은 별도의 고정구조 없이 차체(50) 상에 거치되어 있는 구조이다. 따라서, 차량이 구동할 때, 발생하는 진동이 상기 정션박스 본체(110) 하측에 그대로 전달되어 진동이 응집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정션박스 본체(110) 하측에 공진이 과도하게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정션박스 본체(110) 하측에 진동흡수부재(180)가 설치되는 장착부재(160)를 형성한다.
이때, 장착부재(160)는 가고정부의 반대측의 정션박스 본체(110) 하측 모서리에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 장착부재(160)는 정션박스 본체(110) 하측 전방 모서리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상기 차량 고정부(120, 140)가 정션박스 본체(110)의 좌측 후방 모서리와, 우측 전방 모서리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정션박스 본체(110)의 좌측 후방 모서리와 우측 전방 모서리는 차체(5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장착부재(160)는 정션박스 본체(110)의 하측 전방 모서리에 형성되어 정션박스 본체(110) 하측 전방 모서리와 차체(50) 사이를 고정하는 역할을 하게 되어 차량 구동 시 발생하는 진동이 정션박스 본체(110) 하측에 진동이 응집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장착부재(160)가 정션박스 본체(110) 하측 전방 모서리에 형성된 예를 들지만, 상기 장착부재(160)의 형성 위치는 조건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장착부재(160)는 차체(50) 표면과 직접 접하는 부분으로 차량 구동 시, 차체(5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 장착부재(160)를 통해 정션박스(100)로 전달되어 정션박스(100)의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고자, 장착부재(160)에는 진동흡수부재(180)가 설치되어 차량 구동 시 발생한 진동을 흡수하도록 한다.
상기 진동흡수부재(180)를 살펴보면, 진동흡수부재(180)는 장착부재(160)에서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로 인해, 진동흡수부재(180)가 마모되거나 파손되었을 경우 정션박스 본체(110)에서 분리하여 새로운 진동흡수부재로 교체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차량 구동 시 발생한 진동을 지속적으로 흡수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진동흡수부재(180)가 장착부재(160)에서 탈착 가능하도록 진동흡수부재(180)를 향해 돌출된 돌부(162)를 포함하고, 진동흡수부재(180)는 돌부(162)가 삽입, 장착되는 홈 또는 홀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돌부장착부(182)를 포함한다.
즉, 진동흡수부재(180)는 차체(50)와 인접하는 장착부재(160)의 단부에 설치되되, 장착부재(160)의 측면에 형성된 돌부(162)가 진동흡수부재(180)의 돌부장착부(182)에 끼움된다.
보다 자세하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부(162)는 상측은 평면으로 형성되고, 측면이 정션박스 본체(110)의 하측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때, 돌부장착부(182)는 돌부(162)가 삽입, 관통되도록 홀(H)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구성의 돌부(162)와 돌부장착부(182)가 조립되면 돌부(162) 상측에 돌부장착부(182)의 홀 내측 상면이 안착, 걸림되는 구조이며, 상기 돌부(162)는 홀에서 충분히 관통되도록 형성되어 돌부(162)와 돌부장착부(182)가 조립되면, 분리되는 것을 최소화하게 된다.
다시 도면을 참고하면, 상기 진동흡수부재(180)는 돌부장착부(182) 하측에 형성되어 장착부재(160)와 차체(50) 사이에 위치하고, 연질의 재질로 형성되어 차량 구동 시, 차량에서 발생한 진동을 흡수하는 진동흡수부(184)를 포함하며, 진동흡수부(184)의 상측과 하측 사이에는 간극(G)이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진동흡수부(184)는 고무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로 인해 차량 구동 시, 발생한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여 정션박스(100)로 진동이나 충격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특히, 진동흡수부(184)의 상측과 하측 사이에는 간극(G)이 형성되고, 상기 간극(G)과 인접한 진동흡수부(184)의 내면에는 차량 구동 시, 차량에서 발생한 진동에 의해 간극(G)이 좁아지며 탄성 변형되는 탄성부(186)가 마련된다.
차량이 구동하면, 차량에서 발생한 진동에 의해 진동흡수부재(180)가 상, 하로 소정의 이동이 일어난다. 이때, 상기 탄성부(186)는 진동흡수부재(180)의 이동에 의해 간극(G)의 너비가 증감하며 진동에 의한 충격을 완화하게 된다.
이를 위해, 탄성부(186)는 진동흡수부(184)의 상측과 접하는 하측면은 U-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된다. 이때 탄성부(186)의 상측면은 탄성 변형 시, 탄성부(186)의 하측면과 유사하게 U-자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굴곡 없는 평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시 도면을 참고하면, 진동흡수부(184)는 진동흡수부(184) 내부는 중공으로 형성되며, 진동흡수부(184) 내부에는 유체(O)가 주입되어 있다. 예를 들어, 진동흡수부(184) 내부에 주입되는 유체(O)는 실리콘 오일이 될 수 있으며, 상기 진동흡수부(184) 내부에 주입되는 유체(O)에 의해 차량 구동 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탄성부(186)와 진동흡수부(184)가 직접 접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진동흡수부재(18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구성의 정션박스(100)에 진동흡수부재(180)를 설치함으로써, 차량 구동 시, 차체(50)에서 발생한 진동을 진동흡수부재(180)에서 흡수함에 따라, 차체(50)의 진동이 정션박스(100)의 정션박스 본체(110)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특히, 정션박스(100)와 차체(50)가 고정되는 차량 고정부(120, 140)는, 정션박스 본체(110)의 일 모서리에 형성되는데, 차체(50)와 접하는 모서리에는 상기 차량 고정부(120, 140)이 형성되지 않아 차량 구동 시, 차체(50)에 전달되는 진동이 차체(50)와 접하는 정션박스 본체(110)의 모서리에 응집되기도 한다. 이를 방지하고자, 차체(50)와 접하는 정션박스 본체(110)의 타 모서리에 진동흡수부재(180)을 설치하여 응집된 진동에 의한 정션박스 본체(110)의 타 모서리의 과도한 공진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차량이 구동하여도 정션박스(100)가 흔들리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정션박스(100)가 차체(50)에 고정된 초기 위치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더욱이 정션박스(100)에 설치된 진동흡수부재(180)는 차체(50)와 고정되는 구성이 아니고, 차체(50)에 안착되는 구성으로, 차체(50)와 정션박스(100)를 고정하는 정션박스(100)와 차체(50)를 고정하는 체결공수는 그대로 유지하면서 차량 구동에 따라 발생한 진동이 정션박스(10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00: 정션박스 110: 정션박스 본체
120, 140: 차량 고정부 160: 장착부재
180: 진동흡수부재
120, 140: 차량 고정부 160: 장착부재
180: 진동흡수부재
Claims (8)
- 차량 엔진룸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차량 내부의 전장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정션박스는,
정션박스 본체와,
상기 정션박스 본체에 형성되어, 상기 차량의 차체에 상기 정션박스 본체를 고정시키는 복수의 차량 고정부와,
상기 차체와 인접하는 상기 정션박스 본체의 타 모서리에 장착되며, 상기 차량 구동 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하여 상기 정션박스 본체로 발생한 진동 전달을 방지하는 진동흡수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흡수부재는,
상기 차량 구동 시 상기 차량에서 발생한 진동을 흡수하며, 상측과 하측 사이에 간극이 형성된 진동흡수부; 및
상기 간극과 인접한 상기 진동흡수부의 내면에 마련되며, 상기 차량 구동 시, 상기 차량에서 발생한 진동에 의해 상기 간극이 좁아지며 탄성 변형되는 탄성부;
를 포함하는 이중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진동흡수부는 상기 탄성부보다 연질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박스.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션박스 본체는, 상기 정션박스 본체의 타 모서리에 형성되어 상기 진동흡수부재가 장착되는 장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진동흡수부재는 상기 장착부재에서 탈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박스.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재는, 상기 진동흡수부재를 향해 돌출 형성된 돌부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흡수부재는, 상기 돌부가 삽입, 장착되는 홈 또는 홀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돌부장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박스.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진동흡수부재는,
상기 돌부장착부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장착부재와 상기 차체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박스.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진동흡수부 내부는 중공으로 형성되며, 상기 진동흡수부 내부에는 유체가 주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박스. - 삭제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정션박스 본체는,
상기 차량 고정부의 인접한 상기 정션박스 본체의 일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차체와 상기 정션박스 본체가 접한 상태에서 상기 정션박스 본체를 상기 차체 상에 가 고정하는 가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박스.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차량 고정부는, 상기 정션박스 본체의 좌측 및 우측 모서리에 형성되고,
상기 장착부재는, 상기 가고정부와 반대측의 상기 정션박스 본체 하측 모서리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박스.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60006543U KR200487500Y1 (ko) | 2016-11-09 | 2016-11-09 | 정션박스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60006543U KR200487500Y1 (ko) | 2016-11-09 | 2016-11-09 | 정션박스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01481U KR20180001481U (ko) | 2018-05-17 |
KR200487500Y1 true KR200487500Y1 (ko) | 2018-09-28 |
Family
ID=62296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60006543U KR200487500Y1 (ko) | 2016-11-09 | 2016-11-09 | 정션박스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87500Y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238127A (ja) * | 2001-02-06 | 2002-08-23 | Yazaki Corp | 車両用電気接続箱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284949A (ja) * | 1996-04-19 | 1997-10-31 | Yazaki Corp | 電気接続箱の取付構造 |
KR101151899B1 (ko) * | 2010-08-30 | 2012-05-31 | 주식회사 경신 | 정션박스 |
-
2016
- 2016-11-09 KR KR2020160006543U patent/KR200487500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238127A (ja) * | 2001-02-06 | 2002-08-23 | Yazaki Corp | 車両用電気接続箱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01481U (ko) | 2018-05-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2022386A (zh) | 风扇固定装置 | |
CN108025632B (zh) | 发动机悬置构造 | |
US9157442B2 (en) | Fan with integrated vibration absorbing structure | |
KR20170072673A (ko) | 자력을 이용한 짐벌 댐퍼 | |
CN104284564A (zh) | 包括风扇马达的振动抑制机构的风扇罩和马达驱动装置 | |
KR20060134713A (ko) | 벽걸이형 기기의 벽면 고정 장치 | |
KR200487500Y1 (ko) | 정션박스 | |
US20070219474A1 (en) | Messaging device | |
KR200473605Y1 (ko) | 방진와셔 | |
KR200478421Y1 (ko) | 방진부를 구비한 정션박스 고정부 | |
JP6078023B2 (ja) | 電気機器ケース | |
KR20160051984A (ko) | 차량용 머드 가더 | |
JP2007120672A (ja) | 防振マウント | |
KR100504659B1 (ko) | 차량의 인쇄회로기판 설치 구조 | |
KR20180000624U (ko) | 복공판용 상하 방진 장치 | |
KR100921307B1 (ko) | 차량의 엔진 마운트 | |
JP2010283254A (ja) | ファンユニットの保持部材 | |
JP2020045020A (ja) | エンジンマウント構造 | |
US8379381B1 (en) | Rugged solid state hard drive with silicone gel damping | |
JP2006183693A (ja) | 防振装置及びエンジン架装方法 | |
CN211321106U (zh) | 一种可自调心的u型减震支架及电机 | |
KR101151902B1 (ko) | 프로텍터 고정장치 | |
KR102069976B1 (ko) | 옥외용 변압기의 방진모듈 | |
JP6768576B2 (ja) | 制振構造 | |
US20120255949A1 (en) | Mounting device for driving memb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X70R |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 ||
AMND | Amendment | ||
GRNO |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