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1902B1 - 프로텍터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프로텍터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1902B1
KR101151902B1 KR1020110047511A KR20110047511A KR101151902B1 KR 101151902 B1 KR101151902 B1 KR 101151902B1 KR 1020110047511 A KR1020110047511 A KR 1020110047511A KR 20110047511 A KR20110047511 A KR 20110047511A KR 101151902 B1 KR101151902 B1 KR 1011519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or
tray
receiving groove
mounting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7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to KR10201100475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19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19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19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6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support for line-connecting terminals within the box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02G3/0616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로텍터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동원을 장착하는 트레이, 및 이 트레이에 함몰되어 와이어하네스를 삽입한 프로텍터를 수용하는 수용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별도의 볼팅 공정 없이 프로텍터를 고정할 수 있어 작업 공수를 줄일 수 있고, 엔진룸에 프로텍터 설치 작업을 위한 공간을 확보하지 않아도 된다.

Description

프로텍터 고정장치{WIRING PROTECTOR MOUNTING DEVICE}
본 발명은 프로텍터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별도의 볼팅 공정 없이 프로텍터를 고정할 수 있어 작업 공수를 줄일 수 있고, 엔진룸에 프로텍터 설치 작업을 위한 공간을 확보하지 않을 수 있는 프로텍터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각 전장품들을 전력 구동원인 배터리나 발전기에 와이어하네스로 연결되어 있다.
그런데, 와이어하네스를 고정시켜 놓지 않으면, 차량의 주행진동으로 인해서 와이어하네스가 심하게 유동되고, 또한 다른 부품과 마찰을 일으켜서 파손되는 사태가 발생되기 때문에, 반드시 수 개의 프로텍터로 고정시켜야 한다. 각 프로텍터는 커넥터로 서로 연결되어 지지를 받도록 되어 있다.
그래서, 프로텍터는 구동원에 볼팅으로 결합 고정된다.
기존 와이어하네스 보호용 프로텍터는 고정을 위해 볼트 등의 기계체결요소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고정 작업 공수가 증가하고, 죄이는 작업을 위한 엔진룸의 공간 확보가 필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별도의 볼팅 공정 없이 프로텍터를 고정할 수 있어 작업 공수를 줄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프로텍터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엔진룸에 프로텍터 설치 작업을 위한 공간을 별도로 확보하지 않을 수 있는 프로텍터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텍터 고정장치는: 구동원을 장착하는 트레이, 및 상기 트레이에 함몰되어 와이어하네스를 삽입한 프로텍터를 수용하는 수용홈부를 포함한다.
상기 트레이는 상기 구동원을 장착하기 위해 장착홈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프로텍터는 결합부에 의해 상기 수용홈부 내측에 장착시 상기 트레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수용홈부 내측에 해당되는 상기 트레이에 구비되는 블럭, 상기 수용홈부에 장착되는 상기 프로텍터 방향에 해당되는 상기 블럭의 일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돌부, 상기 프로텍터의 가장자리에 탄성적으로 연장되는 탄성리브, 및 상기 탄성리브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부를 수용하여 결합하는 결합홀부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텍터는 정위치 장착을 위해 상기 블럭의 양측에 접하는 가이드리브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구동원은 상기 수용홈부에 수용된 상기 프로텍터의 상측에 접한 채 상기 트레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프로텍터 고정장치는 종래 기술과 달리 별도의 볼팅 공정 없이 프로텍터를 고정할 수 있어 작업 공수를 줄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엔진룸에 프로텍터 설치 작업을 위한 공간을 별도로 확보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텍터 고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텍터 고정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텍터 고정장치의 프로텍터를 트레이에 결합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텍터 고정장치의 설치 완성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프로텍터 고정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텍터 고정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텍터 고정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텍터 고정장치의 프로텍터를 트레이에 결합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텍터 고정장치의 설치 완성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텍터 고정장치는 엔진룸(도시하지 않음)에 배선되는 와이어하네스(4)를 정렬하여 보호하는 프로텍터(protector,6)를 고정하는 것으로서, 트레이(10) 및 수용홈부(20)를 포함한다.
트레이(tray,10)는 발전기나 배터리 등과 같은 구동원(2)을 고정 장착하고, 와이어하네스(4)를 정렬하고 있는 프로텍터(6)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트레이(10)는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엔진룸 내측에 해당되는 차체(도시하지 않음) 등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 설치된다.
이때, 트레이(10)는 구동원(2)을 고정하여 지지한다.
특히, 구동원(2)은 트레이(10)에 장착된 상태로 차량의 흔들림시 최초 결합 위치에서 위치 변경될 수 있다.
그래서, 트레이(10)는 구동원(2)을 장착하기 위해 장착홈부(12)를 형성한다. 즉, 트레이(10)는 평판 형상이고, 장착홈부(12)는 구동원(2)의 하측을 수용하기 위해 트레이(10)에 함몰 형성된다.
여기서, 장착홈부(12)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고, 구동원(2)은 하측에 장착홈부(12) 형상으로 돌출 형성할 수도 있고, 하측 자체를 장착홈부(12)와 동일 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구동원(2)과 트레이(10)는 체결부재(14)에 의해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체결부재(14)는 볼트 등 다양한 기계체결요소로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수용홈부(20)는 트레이(10)에 함몰되어 프로텍터(6)를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프로텍터(6)는 차량의 엔진룸에 배선되는 와이어하네스(4)를 삽입하여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프로텍터(6)는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이에 따라, 수용홈부(20)는 프로텍터(6)를 끼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때, 프로텍터(6)는 트레이(10)에 견고하게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즉, 프로텍터(6)는 결합부(30)에 의해 수용홈부(20) 내측에 장착시 트레이(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결합부(30)는 블럭(32), 걸림돌부(34), 탄성리브(36) 및 결합홀부(38)를 포함한다.
블럭(32)은 수용홈부(20) 내측에 해당되는 트레이(10)에 구비된다. 물론, 블럭(32)은 트레이(10)에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고, 트레이(10) 자체일 수도 있다. 그리고, 블럭(32)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아울러, 걸림돌부(34)는 수용홈부(20)에 장착되는 프로텍터(6) 방향에 해당되는 블럭(32)의 일측으로 돌출된다.
물론, 걸림돌부(34)는 블럭(32)에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그리고, 탄성리브(36)는 프로텍터(6)의 가장자리에 탄성적으로 연장된다. 그래서, 탄성리브(36)는 탄성적으로 휘어질 수 있게 된다. 더욱 상세히, 탄성리브(36)는 프로텍터(6)의 가장자리에서 소정 연장 후 상측으로 절곡된다.
이때, 탄성리브(36)는 프로텍터(6)에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결합홀부(38)는 탄성리브(36)에 형성되어 걸림돌부(34)를 수용하여 결합하게 된다. 즉, 결합홀부(38)는 탄성리브(36)의 절곡되어 상향하는 부위에 통공되어 걸림돌부(34)를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도 3에서처럼, 작업자가 와이어하네스(4)를 정렬한 프로텍터(6)를 트레이(10)의 수용홈부(20)에 안착한 후 트레이(10) 방향으로 밀게 되면, 탄성리브(36)는 걸림돌부(34)에 의해 탄성적으로 프로텍터(6) 방향으로 휘어지게 된다.
그리고 나서, 도 4에서처럼, 작업자가 프로텍터(6)를 더 밀게 되면, 걸림돌부(34)가 결합홀부(38)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하면서, 탄성리브(36)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 프로텍터(6) 반대 방향으로 원위치된다.
그러면, 걸림돌부(34)는 결합홀부(38)에 걸리게 되고, 이에 따라, 프로텍터(6)는 간단한 조립 동작을 통해 트레이(10)에 조립된다.
한편, 작업자가 탄성리브(36)를 프로텍터(6) 방향으로 밀게 되면, 걸림돌부(34)는 결합홀부(38)로부터 이탈되고, 이로 인해, 프로텍터(6)는 트레이(10)로부터 쉽게 분리 가능하게 된다.
또한, 프로텍터(6)가 트레이(10)의 수용홈부(20) 정위치에 조립되도록 안내됨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프로텍터(6)는 정위치 장착을 위해 블럭(32)의 양측에 접하는 가이드리브(40)를 구비한다.
즉, 프로텍터(6)가 수용홈부(20)에 장착될 때, 가이드리브(40)는 블럭(32)을 따라 안내된다. 그래서, 프로텍터(6)는 수용홈부(20)의 정위치에 조립 가능하게 된다.
이때, 가이드리브(40)는 서로 마주하게 한 쌍씩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가이드리브(40)는 블럭(32)의 양측에 각각 접함에 따라, 프로텍터(6)는 쉽게 수용홈부(20)에 정위치 조립됨과 아울러 수용홈부(20)에 수용된 후 흔들리지 않게 된다.
또한, 구동원(2)과 프로텍터(6)는 서로 유격된 위치에서 트레이(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나, 트레이(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서로 구속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구동원(2)을 통해 트레이(10)로부터 프로텍터(6)의 이탈이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도 5에서처럼, 구동원(2)은 수용홈부(20)에 수용된 프로텍터(6)의 상측에 접한 채 트레이(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즉, 프로텍터(6)는 수용홈부(20)에 수용될 경우 트레이(10)의 표면과 동일 높이를 이루게 되고, 구동원(2)이 트레이(10)와 결합시 자연적으로 프로텍터(6)를 누르게 된다.
그래서, 프로텍터(6)는 트레이(1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2: 구동원 4: 와이어하네스
6: 프로텍터 10: 트레이
12: 장착홈부 20: 수용홈부
30: 결합부 32: 블럭
34: 걸림돌부 36: 탄성리브
38: 결합홀부 40: 가이드리브

Claims (6)

  1. 구동원을 장착하는 트레이; 및
    상기 트레이에 함몰되어 와이어하네스를 삽입한 프로텍터를 수용하는 수용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텍터 고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상기 구동원을 장착하기 위해 장착홈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텍터 고정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텍터는 결합부에 의해 상기 수용홈부 내측에 장착시 상기 트레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텍터 고정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수용홈부 내측에 해당되는 상기 트레이에 구비되는 블럭;
    상기 수용홈부에 장착되는 상기 프로텍터 방향에 해당되는 상기 블럭의 일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돌부;
    상기 프로텍터의 가장자리에 탄성적으로 연장되는 탄성리브; 및
    상기 탄성리브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부를 수용하여 결합하는 결합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텍터 고정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텍터는 정위치 장착을 위해 상기 블럭의 양측에 접하는 가이드리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텍터 고정장치.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원은 상기 수용홈부에 수용된 상기 프로텍터의 상측에 접한 채 상기 트레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텍터 고정장치.
KR1020110047511A 2011-05-19 2011-05-19 프로텍터 고정장치 KR1011519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7511A KR101151902B1 (ko) 2011-05-19 2011-05-19 프로텍터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7511A KR101151902B1 (ko) 2011-05-19 2011-05-19 프로텍터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1902B1 true KR101151902B1 (ko) 2012-05-31

Family

ID=46272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7511A KR101151902B1 (ko) 2011-05-19 2011-05-19 프로텍터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19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6098B1 (ko) * 2021-09-13 2023-02-06 주식회사 경신 와이어링 프로텍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75737A (ja) 1998-03-19 1999-10-08 Yazaki Corp ハーネス用プロテクタの固定構造
JP2002218623A (ja) 2001-01-16 2002-08-02 Sumitomo Wiring Syst Ltd ワイヤハーネス用プロテクタおよびプロテクタの車体固定構造
KR20090111705A (ko) * 2008-04-22 2009-10-2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박스
JP2010269649A (ja) 2009-05-20 2010-12-02 Yazaki Corp ワイヤハーネスの固定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75737A (ja) 1998-03-19 1999-10-08 Yazaki Corp ハーネス用プロテクタの固定構造
JP2002218623A (ja) 2001-01-16 2002-08-02 Sumitomo Wiring Syst Ltd ワイヤハーネス用プロテクタおよびプロテクタの車体固定構造
KR20090111705A (ko) * 2008-04-22 2009-10-2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박스
JP2010269649A (ja) 2009-05-20 2010-12-02 Yazaki Corp ワイヤハーネスの固定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6098B1 (ko) * 2021-09-13 2023-02-06 주식회사 경신 와이어링 프로텍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24042B2 (ja) 電気接続箱およびワイヤハーネス
JP5973957B2 (ja) 接続ユニット
US11834873B2 (en) Side-door lock for a motor vehicle
US8004837B2 (en) Control device
KR100820604B1 (ko) 자동차용 와이어하네스 보호용 프로텍터
JP2013034340A (ja) 電気接続箱
KR20160025465A (ko) 와이어 하니스의 고정 구조
JP2013243858A (ja) 付設ボックス付電気接続箱
KR101151902B1 (ko) 프로텍터 고정장치
JP5096305B2 (ja) コネクタ用固定具
CN106571708B (zh) 将动力线固定于基础部件的固定用具、固定组件以及固定方法
KR100820595B1 (ko) 와이어 하네스의 프로텍터
KR20140073925A (ko) 그로멧 삽입 장치
JP2012224267A (ja) 電装部品装着板
KR20180066613A (ko) 와이어링 하네스 프로텍터
KR100622778B1 (ko) 차량의 와이어하네스용 프로텍터
JP6446525B1 (ja) 配線用グロメット
KR100637696B1 (ko)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클립
US20130309890A1 (en) Connector holding structure
KR200350966Y1 (ko) 와이어 하네스 보호용 프로텍터
KR200473363Y1 (ko) 그로멧
JP6135341B2 (ja) ワイヤーハーネス及びベース体
JP5798499B2 (ja) 電気接続箱
KR200390964Y1 (ko) 와이어 하네스 보호용 클립 구조
KR101070399B1 (ko) 커넥터 설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