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1179B1 - 균형 중량부가 견고하게 설치된 가동부, 악기 및 균형중량부를 내부에 조립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균형 중량부가 견고하게 설치된 가동부, 악기 및 균형중량부를 내부에 조립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1179B1
KR100711179B1 KR1020060023487A KR20060023487A KR100711179B1 KR 100711179 B1 KR100711179 B1 KR 100711179B1 KR 1020060023487 A KR1020060023487 A KR 1020060023487A KR 20060023487 A KR20060023487 A KR 20060023487A KR 100711179 B1 KR100711179 B1 KR 1007111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ance weight
weight piece
ridges
hollow space
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3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0211A (ko
Inventor
히또시 이즈따니
노보루 야마시따
사또시 이노우에
Original Assignee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5072226A external-priority patent/JP466128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5087558A external-priority patent/JP4887644B2/ja
Application filed by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00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02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1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11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C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 G10C3/00Details or accessories
    • G10C3/12Keyboards; Ke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00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 F25D3/12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using solidified gases, e.g. carbon-dioxide snow
    • F25D3/14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using solidified gases, e.g. carbon-dioxide snow portable, i.e. adapted to be carried person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201/00Insulation
    • F25D2201/10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 F25D2201/12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using an insulating packing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3/00Details of 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tails of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 F25D2303/08Devices using cold storage material, i.e. ice or other freezable liquid
    • F25D2303/083Devices using cold storage material, i.e. ice or other freezable liquid using cold storage material disposed in closed wall forming part of a container for products to be cooled
    • F25D2303/0832Devices using cold storage material, i.e. ice or other freezable liquid using cold storage material disposed in closed wall forming part of a container for products to be cooled the liquid is disposed in an accumulator pack locked in a closable wall forming part of the contain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3/00Details of 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tails of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 F25D2303/08Devices using cold storage material, i.e. ice or other freezable liquid
    • F25D2303/084Position of the cold storage material in relationship to a product to be cooled
    • F25D2303/0844Position of the cold storage material in relationship to a product to be cooled above the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각 건반(10a/10b)의 전방부에 균형 중량편(12)이 내장되도록 피아노의 건반(10a/10b)은 관련된 작동 유닛(2) 및 해머(3)의 총 중량에 대해 가압되고, 키의 나무 바아(11)는 환경 조건에 의해 팽창가능하고 수축될 수 있기 때문에, 균형 중량편(12)이 느슨해지기 쉽고, 균형 중량편(12)은 2밀리미터 이하의 미세한 피치로 적어도 7번 반복된 릿지(65) 및 골부(64)와 형성되고, 릿지(65)의 최대 직경은 나무 바아(11)에 형성된 구멍(11a/11b)의 내경보다 약간 더 길고, 구멍(11a/11b)으로 균형 중량편(12)이 가압되는 동안, 릿지(65)는 내면부를 탄성적으로 변형되게 만들고, 균형 중량편(12)이 목표 위치에 도달될 때, 내면부(68)는 균형 중량편(12)이 그곳에 넣어지도록 골부(64)로 들어간다.
균형 중량편, 건, 릿지, 골부, 내면부, 바아, 원통 구멍, 홈, 해머, 스트링

Description

균형 중량부가 견고하게 설치된 가동부, 악기 및 균형 중량부를 내부에 조립하는 방법{MOVABLE PART FIRMLY EQUIPPED WITH BALANCE WEIGHT, MUSICAL INSTRUMENT AND METHOD OF ASSEMBLING BALANCE WEIGHT THEREIN}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건반 악기의 구조를 도시하는 개략적 측면도.
도2는 건반 악기에 합체된 흰 건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3은 흰 건에 내장된 균형 중량편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4는 균형 중량편의 릿지 및 골부의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5는 릿지, 골부 및 바아의 파형 내면부의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6은 균형 중량편의 제1 변형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7은 균형 중량편의 제2 변형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8은 건반으로 가압된 균형 중량편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9는 도8의 A-A선을 따라 취하고 부분적으로 확대된 구멍 및 균형 중량편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10은 구멍으로 압입된 후의 균형 중량편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11은 도10의 B-B선을 따라 취하고 바아에 맞물린 돌출부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12는 균형 중량편의 제3 변형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13은 바아로 가압된 중량 균형편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14는 도13의 C-C선을 따라 취하고 바아로 가압된 균형 중량편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15는 구멍으로 압입된 후의 균형 중량편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16은 도15의 D-D선을 따라 취하고 가압 작업동안에 형성된 홈으로부터 오셋된 균형 중량편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17은 균형 중량편의 제4 변형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18은 바아에 형성된 타원형 구멍으로 가압된 균형 중량편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19는 도18의 E-E선을 따라 취하고 균형 중량편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20은 타원형 구멍에 압입된 균형 중량편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21은 도20의 F-F선을 따라 취하고 균형 중량편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22는 균형 중량편의 제5 변형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23은 균형 중량편의 제6 변형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2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건반 악기에 합체된 흰 건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25는 흰 건에 내장된 균형 중량편의 단면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26은 균형 중량편의 외주연면 상에 단위 형상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27은 외주연면 상에 반복된 단위 형상의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28은 흰 건에 형성된 구멍과 정렬된 균형 중량편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29는 도28의 G-G선을 따라 취하고 흰 건으로 가압된 균형 중량편을 도시하 는 단면도.
도30은 균형 중량편의 삽입 동안에 구멍을 형성하는 내부면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31은 내부면부에 넣어진 균형 중량편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32는 반복 수와 기준력에 대한 힘의 비율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33a 및 도33b는 단위 형상과 다르게 형성된 균형 중량편의 샘플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34a 및 도34b는 서로로부터 릿지의 폭과 골부의 폭 사이의 비율이 다른 다른 샘플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35는 도25 및 도26에 도시된 균형 중량편의 제1 변형예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36은 구멍/오목부와 다른 변형 사이의 결합을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a/10b : 가동부
11a/11b : 중공 공간
64; 74; 14b; 17b; 19b : 간극
12; 12A; 12G; 12H : 균형 중량편
67; 77; 14; 17; 19; 24 : 단위 형상
65; 75; 14a; 17a; 19a : 릿지
64; 74; 14b; 17b; 19b : 골부
본 발명은 건(key)과 같은 건반의 가동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중량편이 설치된 건반의 가동 부품부와, 건반을 가진 건반 악기 및 가동 부품부로 중량편을 조립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피아노는 건반 악기의 전형적인 예이다. 검은 건 및 흰 건은 위 아래로 조정하기 위한 방식으로 균형 레일상에 배열되고, 해머를 회전하도록 구동하기 위한 작동 유닛과 각각 연결된다. 피아니스트가 총 중량에 대해 검은/흰 건의 전방부를 누르도록 작동 유닛과 해머의 총 중량은 연관된 검은/흰 건의 후방부 상에 가해진다.
작동 유닛 및 해머에 의한 모멘트는 작지 않고, 건반 작동을 덜 신속하게 만든다. 작동 유닛 및 해머에 의한 모멘트를 감소시키기 위해, 흰색과 검정색으로 착색된 나무 바아에 균형 중량편이 내장되고 균형 중량편은 작동 유닛 및 해머에 의한 모멘트에 대해 역 모멘트를 생성한다.
균형 중량편은 주로 나무 바아에 형성된 구멍으로 삽입되고, 소성 변형을 통해 구멍에 끼워진다. 균형 중량편을 구멍에 끼우기 위해, 납과 같은 연성 중재료의 균형 중량편을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납은 환경을 오염시킨다. 다른 중금속은 납만큼 연성이 아니고, 중금속으로 만들어진 균형 중량편은 떨어지기 쉽다.
다양한 대응책이 제안되었다. 그 대응책 중 하나는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3-150148호에 개시되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에 개시된 종래 기술의 균형 중량편은 일반적으로 기둥 형상이고, 환형 릿지는 중앙축 방향의 간격에서 기둥 형상 본체의 주연면 상에 형성된다. 환형 릿지의 각각은 기둥 형상 분체의 후단면에 평행한 후방 링형 면과 후단면을 향해 기울어진 전방 링형 면을 갖는다.
종래 기술의 균형 중량편은 다음과 같이 나무 바아와 조립된다. 원통형 관통 구멍이 나무 바아에 형성되고, 측면 상에 개방된다. 원통형 관통 구멍은 종래 기술의 균형 중량편의 외경보다 약간 작은 내경을 갖는다. 종래 기술의 균형 중량편의 각각은 원통형 관통 구멍 중 하나에 할당된다.
작업자는 종래 기술의 균형 중량편의 전단면을 원통형 관통 구멍으로 유도하고 원통형 관통 구멍의 중심축과 종래 기술의 균형 중량편의 중심축을 정렬한다. 작업자는 종래 기술의 균형 중량편을 원통형 관통 구멍으로 가압한다. 종래 기술의 균형 중량편이 원통형 관통 구멍의 다른 개구를 향해 전진할 때, 종래 기술의 균형 중량편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전방 링형 면은 나무 바아의 내면부로 맞물린다.
그러나, 환형 릿지는 종래 기술의 균형 중량편을 원통형 관통 구멍에 안정하게 유지시킬 수 없다. 작업자가 원통형 구멍으로 종래 기술의 균형 중량편을 가압하는 동안 종래 기술의 균형 중량편이 환형 릿지를 구비한 나무 바아의 내면부를 절단하는 사실 때문이다. 즉, 원통형 관통 구멍은 일부 환형 릿지가 나무 바아로 약간 맞물리도록 조립 작업동안에 내경이 확장된다. 나무 바아는 환형 릿지가 느 슨해지도록 조립 후에 건조된다. 결과적으로, 종래 기술의 균형 중량편은 원통형 관통 구멍에서 달그락거리고, 일부 균형 중량편은 나무 바아에서 떨어진다.
따라서, 균형 중량편이 느슨하게 되는 것을 줄이는 악기의 가동 부품부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중요한 목적이다.
가동 부품부를 가진 건반 악기를 제공하는 것이 또한 본 발명의 중요한 목적이다.
악기의 가동 부품부의 바아로 균형 중량편을 견고하게 끼우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또 다른 본 발명의 중요한 목적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본체의 내면부에 균형 중량편을 탄성적으로 압입하는 것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내면부에 의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중공 공간이 형성된 본체와, 2밀리미터 이하의 미세한 피치로 적어도 하나의 중량편의 상기 표면 상에서 적어도 7번 반복되고 간극을 형성하는 단위 형상이 형성되고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내면부가 탄성적으로 간극으로 들어가도록 중공 공간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중량편을 포함하는 악기의 가동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사운드를 생성하기 위한 복수의 부품부를 포함하는 악기가 제공되는데, 적어도 하나는 상기 사운드를 생성하기 위해 순차적으로 가동되고, 복수의 부품부의 상기 적어도 하나는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내면부 에 의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중공 공간이 형성된 본체와, 2밀리미터 이하의 미세한 피치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량편의 표면 상에서 적어도 7번 반복되고 간극을 형성하는 단위 형상이 형성되고,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내면부가 탄성적으로 상기 간극으로 들어가도록 중공 공간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중량편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a)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내면부에 의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중공 공간이 형성된 본체와, 2밀리미터 이하의 미세한 피치로 적어도 하나의 중량편의 상기 표면 상에서 적어도 7번 반복되고 간극을 형성하는 단위 형상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중량편을 준비하는 단계와, b) 상기 내면부가 단위 형상에 의해 탄성적으로 변형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공 공간에 적어도 하나의 중량편을 삽입하는 단계와, c) 내면부의 탄성적으로 변형된 부분이 간극으로 들어가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공 공간에 특정 위치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량편을 정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악기의 가동부에서 중량편을 조립하는 단계가 제공된다.
가동 부품부, 건반 악기 및 방법의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다음의 설명에서, 용어"전방"은 용어"후방"의 변형된 위치보다 핑거링을 위해 걸상에 앉은 플레이어에 더 가까운 위치를 나타내고, 전방 위치와 일치하는 후방 위치 사이의 그려진 선은 전방 및 후방에서 연장되고, 측방향은 전방 및 후방에서 직각으로 교차한다. 위 및 아래 방향은 전방 및 후방과 측방향에 의해 형성되 는 평면에 수직방향이다.
도1을 참조하면, 그랜드 피아노는 대체적으로 건반(1), 작동 유닛(2), 해머(3), 스트링(4), 댐퍼(5), 페달 시스템(6) 및 피아노 캐비넷(7)을 포함한다. 건반(1)은 피아노 캐비넷(7)의 하부를 형성하는 건 베드(7a)의 전방부 상에 장착되고, 검은 건(10a) 및 흰 건(10b)을 포함한다. 검은 건(10a) 및 흰 건(10b)은 주지된 패턴으로 놓여있고, 건 베드(7a)를 향해 기울어질 수 있다. 긴 바아(11)는 검은 건 및 흰 건(10a/10b) 각각의 실질적 부분을 형성하고, 예를 들어 나무 또는 합성수지처럼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재료로 형성된다.
검은 건(10a)의 전방부 및 흰 건(10b)의 전방부 상에 플레이어가 힘을 가할 때, 전방부는 건 베드(7a)를 향해 내려온다. 즉, 검은 건 및 흰 건(10a 및 10b)은 휴지 위치에서 종료 위치까지 그 경로로 이동한다. 반면, 전방부로부터 힘이 제거되면, 전방부는 작동 유닛(2) 및 해머(3)의 총 중량에 의해 올라간다. 상세히, 균형 레일(7b)은 건 베드(7a)상에서 측면으로 연장한다. 균형 레일(7b)은 검은 건 및 흰 건(10a/10b)의 전방부가 음을 올리거나 내릴 수 있도록 검은 건 및 흰 건(10a/10b)에 받침점을 제공한다. 작동 유닛(2)은 건 베드(7a) 상에 작동 브래킷(2b)에 의해 차례로 지지되는 위픈 레일(2a)에 의해 검은 건 및 흰 건(10a/10b)의 후방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캡스턴 하부(1a)를 통해 검은 건 및 흰 건(10a/10b)에 연결된다. 작동 유닛(2)의 각각은 관련된 검은/흰 건(10a/10b)의 후방부에 중량을 가한다. 해머(3)는 작동 브래킷(2b)에 의해 차례로 지지된 생크 플랜지 레일(3a)에 의해 지지되고, 작동 유닛(2)의 일부를 형성하는 잭(2c)의 상부면 에 받쳐져 있다. 해머(3)의 각각은 관련된 작동 유닛(2) 상에 중량을 가한다. 따라서, 작동 유닛(2) 및 해머(3)의 총 중량은 관련된 검은 건 및 흰 건(10a/10b)의 후방에 작용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 유닛(2) 및 해머(3)의 총 중량은 검은 건 및 흰 건(10a/10b)의 전방부를 건 베드(7a) 위에 뜨게 만든다. 작동 유닛(2) 및 해머(3)의 총 중량은 균형 레일(7b)에 대해 모멘트를 생성한다. 모멘트는 너무 커서 플레이어가 건반 운동을 빠르게 일으키기 어렵다. 균형 중량편(12)은 모멘트의 일부를 상쇄시키도록 검은 건 및 흰 건(10a/10b)의 전방부에 내장된다. 이런 이유로, 플레이어는 빠르게 건반 운동을 일으킬 수 있다.
이 경우에, 한쌍의 균형 중량편(12)은 검은 건 및 흰 건(10a/10b)의 바아(11)에 형성된 관통 구멍(11a/11b)으로 측면으로 연장하고, 균형 중량편(12)은 바아(11)의 측면 상에 노출된다. 균형 중량편(12)은 예를 들어, 철, 텅스텐 또는 구리처럼 무해한 금속으로 만들어진다. 그러나, 환경 오염의 원인 때문에 납은 균형 중량편(12)에 사용될 수 없다. 소형 균형 중량편은 바아(11)에 쉽게 내장되기 때문에, 금속이 큰 특정 중량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버팀대같은 합금은 균형 중량편(12)에 이용가능하다. 균형 중량편(12)이 분말 함유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경우에, 분말 함유 합성수지는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재료와 강성에 있어 다르다.
도1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복수의 릿지가 미세한 피치로 균형 중량편(12) 각각의 주연면 상의 복수의 골부와 교번된다. 릿지의 최대 직경은 관통 구멍 (11a/11b)의 내부 직경보다 약간 더 길다. 균형 중량편(12)은 관통 구멍(11a/11b)의 중앙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관통 구멍(11a/11b)에 가압된다. 균형 중량편(12)은 관통 구멍(11a/11b)을 형성하는 내면부에 스크랩핑없이 관통 구멍(11a/11b) 깊이 전진한다. 내면부는 릿지에 의해 탄성적으로 변형된다. 균형 중량편(12)이 관통 구멍(11a/11b)의 표적 위치에 도착하면, 내부면은 골부로 탄성적으로 들어가고, 릿지에 탄성력을 가한다. 결과적으로, 균형 중량편(12)은 내면부에 넣어지고, 느슨해지지 않는다.
균형 중량편(12)은 중앙축에 평행한 방향과 다른 특정 방향의 관통 구멍(11a/11b)에 또한 이동될 수 있다. 릿지가 관통 구멍으로 전진하는 동안, 미세한 피치로 반복된 릿지는 바아(11)의 내부면부를 탄성적으로 변형되게 만들고, 탄성적으로 변형된 부분은 골부로 연장한다. 즉, 릿지 및 골부는 관통 구멍을 형성하는 내부면을 파형으로 만든다. 그러나, 내면부는 스크랩되지 않는다. 따라서, 파형 내면부는 릿지에 탄성력을 가하고, 균형 중량편(12)이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한다. 균형 중량편(12)이 늑정 방향으로 이동되면, 내면부는 관통 구멍(11a/11b)에서 균형 중량편(12)이 좀 더 안정되게 유지시킨다. 그러나, 균형 중량편(12)은 이미 내면부에 넣어졌기 때문에, 특정 방향으로 이동은 피할 수 있다.
본 발명자는 실험을 통해 미세한 피치가 2밀리미터 이하이고 단위 형상 즉, 릿지 및 골부의 조합이 적어도 7번 반복되었음을 확인된다. 관통 구멍(11a/11b)의 직경은 1밀리미터만큼 작은 단위 형상의 최대 직경보다 짧았다. 그러나, 관통 구멍(11a/11b)의 직경은 단위 형상의 최대 직경보다 적어도 0.2밀리미터만큼 더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요약하면, 단위 형상과 구멍 사이의 직경의 차이는 0.2밀리미터와 1.0밀리미터 사이의 범위 내에 있다. 릿지의 상부와 골부의 하부 사이의 최소 거리는 0.2밀리미터이다. 그 후, 릿지는 스크랩핑없이 관통 구멍(11a/11b)을 형성하는 내면부에서 부드럽게 넣어진다. 릿지가 둥근 경우에, 내면부는 릿지의 스크랩핑으로부터 방지된다. 샘플은 10밀리미터의 본체 주연면 상에서 10번 반복된 단위 형상을 갖도록 설계되고, 10밀리미터의 본체는 내면부에 넣어진다. 그 후, 샘플은 미는 방향 및 당기는 방향에서 긴 서비스 시간동안 가압된 기준력보다 더 큰 큰 외력에 대해 저항할 수 있다. 따라서, 균형 중량편(12)은 단위 형상의 반복 및 미세한 피치에 의해 특정지어진다.
스트링(4)은 해머(3) 상에서 신장되고, 자유 회전 단부에서 해머(3)와 부딧힌다. 그 후, 스트링(4)은 진동하고, 어쿠스틱 피아노 톤은 스트링(4)을 진동함을 통해 생성된다. 댐퍼(5)는 검은 건 및 흰 건(10a/10b)의 후방부 위 간격에 제공되고, 관련된 검은 건 및 흰 건(10a/10b)에 의해 상하 운동이 선택적으로 구동된다. 검은 건 및 흰 건(10a/10b)이 휴지 위치에 있는 동안, 댐퍼(5)는 스트링(4)과 접촉하여 유지되고, 댐퍼(5) 각각은 스트링(4)이 진동하는 공진으로부터 관련된 스트링(4)을 방지한다. 검은 건 및 흰 건(10a/10b)은 스트링(4)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종료 위치로 가는 길에 관련된 검은 건 및 흰 건(10a/10b)에 의해 상향으로 들어올려진다. 검은 건 및 흰 건(10a/10b)이 관련된 댐퍼(5)를 스트링(4)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유지시키는 동안, 해머(3)가 충돌을 통해 관련된 스트링(4)의 진동을 일으키도록 스트링(4)은 떨려진다.
페달 시스템(6)은 적어도 댐퍼 페달과 소프트 페달을 포함한다. 플레이어가 댐퍼 페달을 밟을 때, 어쿠스틱 피아노 톤이 연장되도록 페달 시스템(6)은 모든 댐퍼(5)가 스트링(4)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유지시킨다. 반면, 해머(3)로 쳐진 다수의 스트링(4)이 감소되도록 소프트 페달은 건반(1)이 스트링(4)에 대해 측면으로 활주하게 한다. 결과적으로, 어쿠스틱 피아노 톤의 볼륨은 작아진다.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균형 중량편(12)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한 피치로 반복된 릿지가 형성되고, 바아(11)에 맞물려진 상기 릿지는 균형 중량편(12)이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런 이유로, 균형 중량편은 바아에서 달그락거리거나 떨어지지 않는다.
제1 실시예
도2를 참조하면, 흰 건(10b) 중 하나는 바아(11)와, 균형 중량편(12) 및 커버판(11c)을 포함한다. 이 경우에, 바아(11)는 나무로 만들어지고, 그랜드 피아노에 장착된 후에 전방 및 후방에 평행한 세로방향을 갖는다. 원통형 구멍(11a 또는 11b)은 바아(11)에 형성되고, 직각에서 세로 방향으로 교차하는 중앙축을 갖는다. 원통형 구멍(11a 또는 11b)은 실제로 서로 평행하다. 원통형 구멍(11a 또는 11b)은 바아(11)의 양측면 상에 개방되고, 균형 중량편(12)은 원통형 구멍(11a 또는 11b)에 제공된다.
균형 중량편(12)은 구리로 만들어지고, 원통형 구멍(11a 또는 11b)에 각각 안정되게 내장된다. 균형 중량편(12)은 이후에 본 명세서에서 자세히 설명된다. 커버판(11c)은 흰색으로 착색되고, 전방부 및 전단면의 상부면은 흰 커버판(11c)으 로 덮혀진다.
도3을 참조하면, 균형 중량편(12)은 일반적으로 육각형 기둥 형상이다. 일반적인 육각형 기둥은 구름 주연부를 갖고, 단면 사이에 중앙축을 갖는다. 육각형 관통 구멍(66)은 일반적으로 육각형 기둥으로 형성된다. 육각형 관통 구멍(66)은 중앙축으로 평행하게 연장하고, 양단면(63)에 개방된다.
일반적으로 육각형 기둥은 최대 직경 및 회소 직경 사이의 특정 직경에서 준-주연면을 갖도록 가정된다. 9개의 골부(64) 및 10개의 릿지(65)는 준 주연면 상에 발생한다. 각각의 릿지(65)가 6개의 코너를 갖도록 릿지(65)는 육각형 판형이다. 그러나, 릿지(65) 사이의 부분은 육각형 또는 링형이다. 대향하는 코너 사이의 각각의 대각선은 원통형 구멍(11a 또는 11b)의 직경보다 약간 더 길다.
10개의 릿지(65)는 9개의 골부(64)로 변경되고, 그곳에서 연속적인 9개의 릿지(65)와 골부(64) 각각은 단위 형상(67)을 형성한다. 이 경우에, 단위 형상(67)은 중앙축의 방향에 1.05밀리미터의 피치에서 9번 반복된다. 즉, 릿지(65)의 마루부는 서로로부터 1.05밀리미터 이격되고, 골부(64)의 하부는 또한 서로로부터 0.52밀리미터 이격된다. 마루부와 하부 사이의 거리는 0.52밀리미터로 조정된다. 도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릿지(65)는 둥글고, 곡률의 반경은 0.26밀리미터이다. 유사하게, 골부(64)는 반원 단면을 갖고, 곡률의 반경은 또한 0.26밀리미터이다.
균형 중량편(12)은 다음에서처럼, 바아(11)에 내장된다. 우선, 작업자는 원통형 구멍(11a 또는 11b)의 중앙축과 균형 중량편(12)의 중앙축을 정렬하고, 원통형 구멍(11a 또는 11b)으로 균형 중량편(12)을 가압한다. 균형 중량편(12)이 원통 형 구멍(11a 또는 11b)으로 전진하는 동안, 릿지(65)는 바아(11)의 내면부가 탄성적으로 변형하게 만들고, 탄성적으로 변형된 부분은 골부(64)로 연장한다. 따라서, 내면부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형이고, 파형면부는 균형 중량편(12)이 원통형 구멍(11a 또는 11b)에서 안정하도록 유지시킨다. 릿지(65)가 미세한 피치에서 둥글려지고 이격되어서, 내면부는 스크랩되지 않고, 탄성력은 릿지(65)에 확실히 가해진다.
이 경우에, 작업자는 육각형 단면을 가진 공구를 육각형 관통 구멍(66)에 삽입하고, 균형 중량편(12)을 중앙축에 대해 원통형 구멍(11a 또는 11b)에 돌린다. 둥근 릿지(65)는 내면부를 스크랩되게 만들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릿지(65)의 코너는 그곳에 맞물리도록 내면부에 탄성 변형을 일으킨다. 결과적으로, 균형 중량편(12)은 바아(11)의 내면부에 의해 단단하게 파지된다. 작업자가 균형 중량편(12)을 돌리지 않고 작업을 종료했어도, 파형 내면부는 원통형 구멍(11a 또는 11b)에서 균형 중량편(12)을 안정하게 유지시킨다.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이해된 바와 같이, 내면부가 원통형 구멍(11a 및 11b)으로 삽입되는 동안에 릿지(65)와 함께 탄성적으로 변형되도록 9개의 릿지(65)는 2밀리미터 이하의 미세한 피치로 정렬된다. 파형 내면부는 릿지(65) 상에 탄성력을 가하고, 릿지(65)를 조이기 위해 골부로 확장한다. 따라서 균형 중량편(12)은 원통형 구멍(11a 및 11b)에서 느슨해지지 않는다.
제1 실시예의 변형예
도6은 균형 중량편(12)의 제1 변형예(12A)를 도시한다. 균형 중량편(12A)은 중앙 기둥(73)을 갖고, 열쌍의 릿지(75)는 중앙 기둥(73)의 주연면 상에 형성되고, 중앙축은 양단면 사이에 연장한다. 육각형 구멍(76)은 중앙 기둥(73)에서 형성되고 중앙축의 방향으로 연장한다.
열쌍의 릿지(75)는 중앙축의 방향에서 릿지(75)들과 동일한 미세한 피치로 서로로부터 이격되고, 각쌍의 릿지(75)는 180도만큼 중앙 기둥(73)의 원주방향으로 이격된다. 릿지(75)의 각각은 양측을 향해 폭이 감소하고, 릿지(65)와 유사하게 둥근다. 둥근 단면은 릿지(65)의 단면의 그것과 유사한 곡률의 반경을 갖는다. 그러나, 각쌍의 릿지(75)는 서로로부터 단절되고, 중앙 기둥(73)의 주연면은 그 사이에 노출된다. 갭(74)은 릿지(75) 가운데 발생하고, 갭(74)의 최대 깊이는 릿지(65)의 상부와 골부(64)의 하부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다.
각각의 릿지(75) 및 관련된 갭(74)은 단위 형상(77)을 형성한다. 이 경우에, 단위 형상(77)은 중앙 기둥(73)의 주연면 상에서 20번 반복된다.
균형 중량편(12A)은 다음에서처럼 검은 건의 바아 또는 흰 건의 바아에 내장된다. 구멍은 바아에 형성되고, 타원형 단면을 갖는다. 타원형 단면의 주축은 각쌍의 릿지 사이의 최대거리보다 약간 더 길다.
작업자는 구멍과 균형 중량편(12A)을 정렬하고, 구멍으로 균형 중량편(12A)을 가압한다. 균형 중량편(12A)이 구멍으로 전진하는 동안, 릿지(75)는 내면부를 탄성적으로 변형되게 만들고, 탄성적으로 변형된 부분은 갭(74)에 확장한다. 따라서, 내면부는 파형이다. 파형 내면부는 릿지(75)에 탄성력을 가하고, 갭(74)의 확장부 사이에 릿지(75)를 조인다.
이 경우에, 작업자는 육각형 구멍(76)으로 공구를 삽입하고, 구멍에 중앙축에 대해 균형 중량편(12A)을 돌린다. 결과적으로, 내면부가 균형 중량편을 좀더 안정하게 유지시키도록 릿지(75)는 내면부로 맞물린다.
균형 중량편(12A)은 7번 이상 단위 형상의 반복과 2밀리미터 이하의 미세한 피치의 장점으로 제1 실시예의 모든 장점을 달성한다.
제2 변형예 내지 제6 변형예는 구멍으로의 삽입 후의 운동에 의해 특징지어진다. 도7은 제2 변형예(12B)를 도시한다. 균형 중량편(12B)은 구리로 만들어지고, 중앙 기둥(13), 헤드(14) 및 8개의 돌출부(15)를 포함한다. 중앙 기둥(13), 헤드(14) 및 8개의 돌출부(15)는 단일 구조로 형성된다. 중앙 기둥(13)은 직경에 있어 원통형 구멍(11a 및 11b)의 직경과 대략 같다. 그러나, 180도 만큼씩 서로로부터 이격된 돌출부(15)가 마루부를 갖고 있는 한 직경이 원통형 구멍(11a/11b)의 직경보다 약간 짧은 것이 허용가능하고, 그 사이의 거리는 원통형 구멍(11a/11b)의 직경보다 더 길다.
헤드(14)는 절두 원추형이고, 중앙 기둥(13)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다. 중앙 기둥(13)의 중심선은 헤드(14)의 중심선과 정렬되고, 헤드(14)의 주연면은 중앙 기둥(13)의 주연면과 병합되도록 테이퍼 형성된다. 헤드(14)는 원통형 구멍(11a/ 11b)의 직경보다 더 긴 직경을 갖는다.
육각형 구멍(16)은 중심선을 따라 연장하고, 헤드(14)의 상부면 상에 개방된다. 8개의 돌출부(15)는 두개의 열을 형성하고, 각 열의 4개의 돌출부(15)는 원주방향으로 90도만큼씩 서로로부터 이격되고, 열 중 하나의 4개의 돌출부(15)는 중심 선에 평행한 방향으로 나머지 열의 4개의 돌출부(15)로부터 각각 이격된다. 돌출부(15)의 각각은 삼각형 피라미드로 형상지어지고, 따라서 세 개의 주연면(15a, 15b 및 15c)을 갖는다. 주연면(15a)이 테이퍼 형성된 헤드(14)의 주연면으로 유도되도, 나머지 두개의 주연면(15b 및 15c)은 중앙 기둥(13)의 중심선과 어떤 비틀려진 관계가 아닌 모서리(15d)를 형성한다.
균형 중량편(12B)은 다음과 같이 원통형 구멍(11a 및 11b)에 내장된다. 우선, 작업자는 중앙 기둥(13)의 단면을 바아(11)의 측면으로 유도하고, 원통형 구멍(11a 또는 11b)의 중심축과 중앙 기둥(13)의 중심선을 정렬한다. 작업자는 펀치 및 해머로 균형 중량편(12B)을 원통형 구멍(11a 또는 11b)으로 가압한다. 균형 중량편(12B)이 원통형 구멍(11a 또는 11b)으로 전진하는 동안, 네 개의 홈(17)이 도8 및 도9에 도시된 것처럼 형성되도록 바아(11)의 내면부는 스크랩된다. 헤드(14)가 원통형 구멍(11a 또는 11b)의 입구에 도달할 때, 균형 중량편(12B)이 원통형 구멍(11a 또는 11b)으로 가압되도록 작업자는 또한 힘을 헤드(14)에 가한다. 헤드(14)는 도9에 참조번호(18)에 의해 나타낸 것처럼 입구를 넓히게 만든다.
이어서, 작업자는 육각형 구멍(16)으로 육각형 공구(도시되지 않음)를 삽입하고, 균형 중량편(12B)과 함께 육각형 공구를 돌린다. 작업자가 균형 중량편(12B)을 돌리는 동안, 내면부는 돌출부(15)와 또한 스크랩되고, 돌출부(15)는 홈(17)으로부터 오프셋된다. 즉, 도10 및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5)는 내면부로 맞물려진다. 이 경우에, 힘이 원통형 구멍(11a 또는 11b)로부터 균형 중량편(12B)을 당기기 위한 방향으로 균형 중량편(12B)에 가해져도, 균형 중량편(12B) 이 떨어지지 않도록 원주방향의 홈(17a)을 형성하는 내면부 사이에서 주연면(15a)은 조여진다.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돌출부(15)가 홈(17)으로부터 오프셋 되도록 원통형 구멍(11a/11b)에서 그곳의 중심선에 대해 균형 중량편(12B)이 회전된다. 원주방향의 홈(17a)을 형성하는 내벽은 돌출부(15)가 원통형 구멍(11a/11b)의 중심축 방향으로 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균형 중량편(12B)은 느슨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균형 중량편(12B)은 원통형 구멍(11a 및 11b)에서 달그락 거리지도 떨어지지도 않는다.
도12는 제3 변형예(12C)를 도시한다. 균형 중량편(12C)은 구리로 만들어지고, 일반적으로 육각형 기둥으로 형성된다. 3개의 원주방향 홈(24)은 간격을 두고 육각형 기둥으로 형성되고, 원주방향 홈(24)은 서로로부터 육각형판(23)이 이격되게 만든다. 4개의 육각형판(23)의 각각은 바아(11)의 내면부가 스크랩되게하는 6개의 코너(25)를 갖는다. 육각형 구멍(26)은 육각형 기둥의 중심선을 따라 형성되고, 양단면에서 개방된다.
균형 중량편(12C)은 검은 건 및 흰 건(11)과 유사한 건반의 나무 바아(21)에 내장된다. 원통형 구멍(21a)은 바아(11)의 폭의 방향으로 연장하고, 바아(11)의 측면 상에서 개방된다. 육각형판(23)의 대각선(1)은 원통형 구멍(21a)의 직경보다 약간 더 길다.
균형 중량편(12C)은 다음과 같이, 원통형 구멍(21a)에 내장된다. 우선, 작업자는 원통형 구멍(21a)과 균형 중량편(12C)을 정렬하고, 해머(도시되지 않음)로 균형 중량편(12C)을 원통형 구멍(21a)에 가압한다. 균형 중량편(12C)이 원통형 구멍(21a)으로 전진하는 동안, 내면부는 코너(25)와 스크랩되고, 여섯 개의 홈(24b)은 도13 및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면부에 형성된다.
이어서, 작업자는 육각형 렌치같은 공구를 육각형 구멍(26)으로 삽입하고 원통형 구멍(21a)의 중심축에 대해 60도만큼씩 균형 중량편(12C)을 돌린다. 그러나, 작업자는 60도이상으로 균형 중량편(12C)을 돌리지 않는다. 작업자가 균형 중량편(12C)을 돌리는 동안, 내면부는 코너(25)와 또한 스크랩되고, 원주방향 홈(27)은 도15 및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기에 형성된다. 따라서 코너(25)는 홈(21b)으로부터 오프셋되고, 홈(24)은 나무로 채워진다. 결과적으로, 균형 중량편(12C)은 바아(21)에 의해 체결되고 느슨해지지 않는다.
제3 변형예(12C)는 제2 변형예(12B)의 모든 장점을 달성한다.
도17은 제4 변형예(12D)를 도시한다. 균형 중량편(12D)은 중앙 기둥(33) 및 중앙 기둥(33)의 원주방향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두쌍의 릿지(35)를 포함한다. 육각형 구멍(36)은 중앙 기둥(33)에 형성되고, 중앙 기둥(33)의 중심선에 평행하게 연장한다. 두 쌍의 릿지(35)는 기둥(33)의 중심선에 대해 뒤틀려진 평면상에 있다. 즉, 두쌍의 릿지(35)는 볼트의 톱니형으로 형성된다. 두쌍의 릿지(35) 중 하나는 중심선에 평행한 방향으로 나머지 쌍으로부터 이격된다. 각쌍의 릿지(35)는 서로로부터 180도 만큼씩 원주방향으로 이격된다. 릿지(35)의 각각은 일단부에서 최대폭을 갖고, 다른 단부를 향해 점차적으로 감소된다.
균형 중량편(12D)은 다음과 같이 검은 건(10a) 또는 흰 건(10b)과 유사한 건 반의 나무 바아(31)에 내장된다. 나무 바아(31)는 타원형 구멍(31a)에 형성되고, 타원형 구멍(31a)은 균형 중량편(12D) 중 하나에 할당된다.
작업자는 최대 폭이 타원형 구멍(31a)의 주 직경에 대해 평행한 방식으로 균형 중량편(12D)을 유도하고, 도18 및 도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원형 구멍(31a)으로 균형 중량편(12D)을 가압한다. 작업자는 해머로 균형 중량편(12D)을 칠 수도 있다. 균형 중량편(12D)이 타원형 구멍(31a)으로 전진하는 동안, 타원형 구멍(31a)을 형성하는 내면부는 릿지(35)와 부분적으로 스크랩되고, 두 축방향 홈은 내면부에 남는다.
이어서, 작업자는 육각형 구멍(36)으로 육각형 렌치를 삽입하고, 90도 이상으로 균형 중량편(12D)을 돌린다. 그 후, 내면부는 원주방향으로 또한 스크랩되고, 원주 방향 홈(37)은 내면부 상에 형성된다. 따라서, 도20 및 도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릿지(35)가 내면부에서 조여지도록 릿지(35)는 원주방향을 따라서 축방향 홈으로부터 오프셋된다. 따라서, 제4 변형예는 제2 변형예의 모든 장점을 달성한다. 또한, 두쌍의 릿지(35)가 기둥(33)의 중심선에 대해 뒤틀려지기 때문에, 작업자는 회전 운동을 통해 타원형 구멍 깊은 곳으로 균형 중량편을 이동한다. 따라서, 릿지(35)는 균형 중량편(12D)이 타원형 구멍(31a)으로부터 트롭오프되기 힘들게 만든다.
도22는 제5 변경예(12E)를 도시한다. 균형 중량편(12E)은 구리로 만들어지고, 기둥형으로 형상지어진다. 원형 구멍(46)은 기둥의 중심선 방향으로 기둥형으로 형상지어진다. 나무 바아(41)는 원형 구멍(41a)에 형성된 검은 건 및 흰 건 (10a/10b)의 일부를 형성한다. 원형 구멍(41a)의 직경은 균형 중량편(12E)의 직경보다 약간 더 짧다.
균형 중량편(12E)은 다음에서처럼 바아(41)에 내장된다. 우선, 작업자는 균형 중량편(12E)을 원형 구멍(41a)으로 가압한다. 이어서, 작업자는 단면의 개구로부터 원형 구멍(41a)으로 로드(도시되지 않음)를 삽입하고, 나머지 단면으로부터 로드 돌출을 만든다. 작업자는 손으로 로드의 양단부를 파지하고, 원형 구멍(41a)의 중심축에 대해 로드를 기울인다. 그 후, 단면의 원주 방향 부분(45a 및 45b)은 원형 구멍(46)을 형성하는 내면부에 넣어지고, 도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곳에 오목부(47a)를 형성한다. 따라서, 내면부는 오목부(47a 및 47b)에 원주 방향 부분(45a 및 45b)을 유지시킨다. 힘이 가압 방향에서 균형 중량편(12E)에 의도하지 않게 가해질 때, 원주 방향 부분(45b)은 힘에 대해 저항한다. 반면에, 힘이 당기는 방향으로 가해질 때, 나머지 부분(45a)은 힘에 대해 저항한다. 이런 이유로 균형 중량편(12E)은 원형 구멍(41a)으로부터 떨어지기 힘들다.
제5 변형예는 제2 변형예의 모든 장점을 달성한다. 또한, 제2 변경예 내지 제4 변경예의 생산 비용보다 생산 비용이 낮도록 균형 중량편(12E)은 제2 변형예 내지 제4 변형예보다 더 간단하다.
도23은 제6 변경예(12F)를 도시한다. 균형 중량편(12F)은 어떤 구멍이 그곳에 형성된 점을 제외하면 제2 변경예(12B)와 형상에 있어 유사하다. 이런 이유로, 균형 중량편(12F)의 부품 및 부분은 상세 설명없이 제2 변경예(12B)의 일치하는 부품과 부분을 지칭하는 참조번호로 분류된다.
균형 중량편(12F)은 다음과 같이 바아(11)에 내장된다. 우선, 작업자는 균형 중량편(12B)과 유사하게 균형 중량편(12F)을 바아(11)로 가압한다. 이어서, 작업자는 벤치로 균형 중량편(12F)을 조인다. 그 후 내면부는 원주 방향으로 돌출부(15)와 스크랩되고, 원주 방향 홈은 내면부에 남겨진다. 따라서, 돌출부(15)는 떨어지는 것으로부터 균형 중량편(12F)을 방지하기 위해 축방향 홈으로부터 오프셋된다.
균형 중량편(12F)은 제2 변경예의 모든 장점을 달성한다. 어떤 구멍도 회전 운동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균형 중량편(12F)은 균형 중량편(12B)보다 간단하고, 생산 비용이 낮아진다.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이해된 것과 같이, 균형 중량편(12 및 12A)은 7번 이상 반복되는 단위 형상(67 및 77)을 갖고, 단위 형상(67 및 77)은 2밀리미터 이하의 피치로 배열된다. 균형 중량편(12 및 12A)이 느슨해지지 않도록 실험을 통해 본 발명에서 확인되는 범위 내에 7번과 2밀리미터 이하의 피치는 있다. 이런 이유로, 균형 중량편(12 및 12A)은 검은 건 및 흰 건(10a 및 10b)에서 달그락 거리거나 떨어지기 힘들다.
균형 중량편(12B 내지 12F)과 유사하게, 균형 중량편(12 및 12A)은 또한 구멍으로 삽입되는 동안 형성된 축 방향 홈으로부터 오프셋이 만들어진다. 릿지(65, 75), 돌출부(15) 및 코너(25 및 45a/45b)는 구멍을 형성하는 내면부에서 넣어진다. 결과적으로 내면부는 구멍으로 또한 가압하는 방향뿐만 아니라 당기는 방향에서의 힘에 대해 저항하고, 균형 중량편(12, 12A 및 12B 내지 12F)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 한다.
제2 실시예
도면의 도24를 참조하면, 균형 중량편(12G)은 흰 건(10b)과 검은 건이 함께 건반의 일부를 형성하는 흰 건(10b)의 나무 바아(11)에 내장되고, 건반은 본 발명을 실시하는 또 다른 그랜드 피아노에 합체된다. 제2 실시예를 실행하는 그랜드 피아노는 도1에 도시된 그랜드 피아노와 구조에 있어 유사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은 반복을 피하기 위해 설명은 이후 본 명세서에서 균형 중량편(12G)에 초점이 맞춰진다.
바아(11)에 사용된 재료에 탄성 변형을 일으키기 위해서, 균형 중량편(12G)은 값에 있어서 바아(11)에 사용된 재료보다 더 큰 강성을 갖는 강성재로 만들어진다. 이 경우에, 바아(11)는 나무로 만들어지고, 균형 중량편(12G)은 철로 만들어진다.
균형 중량편(12G)은 기둥형이고, 중심선(CL1)을 갖는다. 양단부는 참조번호(13a 및 13b)로 나타내진 것처럼 테이퍼 형성되고, 단위 형상(14)은 테이퍼 형성된 부분(13a 및 13b) 사이 주연면 상에서 반복된다. 도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균형 중량편(12G)은 가상 주연면(PH1)을 갖도록 가정된다. 단위 형상(14)은 릿지(14a) 및 골부(14b)를 포함한다. 각 릿지(14a)의 마루부(14c)는 둥글고, 골부(14b)의 하부(14d)는 둥근 면에 의해 형성된다. 즉, 릿지(14a)는 반원 링이고, 골부(14b)는 반원링형 홈이다.
단위 패터(14)는 0.64밀리미터의 피치로 반복된다. 즉, 릿지(14a) 중 하나 의 마루부(14c)는 중심선(CL1)의 방향으로 0.64밀리미터만큼 인접한 릿지(14a)의 마루부(14c)로부터 이격되고, 각 골부(14b)의 하부(14d)는 중심선(CL1)의 방향으로 또한 0.64 밀리미터만큼 인접한 골부(14b)의 하부(14d)로부터 이격된다. 이후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릿지(14a)는 반원 단면을 갖고, 반원단면은 0.16 밀리미터의 곡률 반경을 갖는다. 유사하게, 골부(14b)는 반원 단면을 갖고, 반원 단면은 0.16 밀리미터의 곡률 반경을 갖는다. 마루부(14c)와 하부(14d) 사이의 거리(D1)는 0.32 밀리미터이다. 단위 형상(14)은 테이퍼 형성된 부분(13a 및 13b) 사이에서 16번 반복된다. 따라서, 단위 형상(14)의 반복은 즉, 7 이상의 범위 내에 있고, 피치는 2밀리미터 이하의 범위 내에 또한 있다.
균형 중량편(12G)의 최대 직경은 릿지(14a)의 마루부(14c)에서 측정되고, 원형 구멍(11a 및 11b)의 내경은 균형 중량편(12G)의 최대 직경보다 0.3밀리미터만큼 더 짧다. 따라서, 최대 직경과 내경 사이의 차이는 1밀리미터 이하의 범위 내에 또한 있다.
균형 중량편(12G)은 다음과 같이, 나무 바아(11)에 내장된다. 우선, 작업자는 도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련된 원형 구멍(11a 및 11b)의 중심축과 균형 중량편(12G)의 중심선(CL1)을 정렬한다. 이어서, 작업자는 (도시되지 않음) 프레스 기계에 균형 중량편(12G)을 올려놓고, 도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스 기계의 펀치로 균형 중량편(12G)의 단면에 힘(F1)을 가한다. 균형 중량편(12G)은 원형 구멍(11a 및 11b)으로 가압된다.
도30에 참조번호(15)로 나타낸 바와 같이, 균형 중량편(12G)이 원형 구멍 (11a 및 11b)으로 전진하는 동안, 릿지(14a)는 원형 구멍(11a 및 11b)을 형성하는 내면부에 탄성력이 생기게 한다. 그러나, 내면부는 릿지(14a)로 스크랩되지 않는다. 최대 직경과 내경 사이의 차이가 단지 0.3밀리미터인 사실 때문이다. 내면부가 스크랩되지 않는 또 다른 이유는 릿지(14a)가 둥글기 때문이다.
균형 중량편(12G)이 원형 구멍(11a 및 11b)의 목표 위치에 도달할 때, 작업자는 균형 중량편(12G)으로부터 힘을 제거한다. 그 후 도31에 참조번호(16)로 나타낸 바와 같이 내면부는 골부(14b)로 들어가고, 릿지(14a)는 내면부에 넣어진다. 또한, 릿지(14a)가 체결되도록 내면부는 릿지(14a)에 탄성력을 가한다. 결과적으로, 큰 마찰력은 내면부와 릿지(14a) 사이에서 균형 중량편(12G)의 활주 운동에 대해 생긴다.
본 발명자는 나무 바아에 형성된 구멍에 넣어진 후에 균형 중량편(12G)에 가해진 외력에 대해 반복된 단위 형상(14)의 효과를 확인했다. 본 발명자는 샘플을 준비했다. 샘플 중 하나는 본 명세서에 "제1 샘플"로 언급된 균형 중량편(12G)과 동일하다. 나머지 샘플은 균형 중량편(12G)으로부터의 단위 형상의 수만이 다르고, "제2 샘플" 및 "제3 샘플"로 참조된다. 단위 형상은 제2 샘플의 주연면 상에 형성되지 않고, 단위 형상은 제3 샘플의 주연면 상에서 30번 반복된다.
샘플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을 통해 나무 바아의 내면부에 각각 넣어진다. 본 발명자는 기준력을 건반의 내면부가 일상적인 사용동안에 즉, 온도와 습도가 30도씨와 20% 내지 95%로 조정된 환경에서 중심선의 방향으로 균형 중량편 상에 가해진 외력에 대해 그곳에 균형 중량편을 유지시키는 임계 저항으로 형성한다.
본 발명자는 샘플 상에 가해진 힘을 다양화했다. 기준력에 대한 힘의 비율은 도32에 세로좌표의 축 상에 번호로 나타냈다. 제2 샘플이 기준력의 반 이하의 외력에 저항했지만, 제1 샘플 및 제3 샘플은 큰 외력을 견뎌냈다. 본 발명자가 도32에 힘의 비율 값을 구상할 때, 그 값은 선형 라인(LN1)위에서 발견되고 선형 라인(LN1)은 7 정도에서 기준력과 교차했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반복의 최소 횟수는 7번이라고 결론지었다.
본 발명자는 또한 균형 중량편의 샘플을 또한 준비했다. 제4 샘플은 그곳의 중심선의 방향에 미세한 피치로 8번 반복된 단위 형상(14)에 형성되고, 릿지(14a)와 골부(14b)는 도3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 중 하나에 가까운 일 단부에 집중된다. 반면, 제5 샘플은 제4 샘플의 것과 일치하는 미세한 피치로 또한 8번 반복된 단위 형상(14)에 형성되고, 릿지(14a)와 골부(14b)는 도3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부 사이에 주연면 상에 발생된다.
본 발명자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을 통해 바아의 내면부로 제4 샘플과 제5 샘플이 넣어지고, 제4 샘플과 제5 샘플에 가해지는 외력을 다양화했다. 제5 샘플은 제4 샘플 상에 가해진 힘보다 더 큰 외력을 견뎌냈다. 그러나, 두개의 샘플 모두 기준력을 견뎌냈다. 따라서, 릿지(14a)와 골부(14b)의 위치는 외력에 대한 저항에 심각한 영향력을 갖지 않는다.
본 발명자는 두개의 샘플 즉, 제6 샘플 및 제7 샘플을 준비했다. 제6 샘플은 소정의 피치에 단위 형상(17)에 형성되고, 제7 샘플은 단위 형상(17)의 소정의 피치와 동일한 피치에서 단위 형상(19)에 형성된다. 좁은 릿지(17a)와 넓은 골부 (17b)는 도3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 형상(17)의 결합으로 형성되고, 릿지(17a)의 마루부와 골부(17b)의 하부 사이의 중간 지점을 통과하는 가상 평면상에 좁은 릿지(17a)의 폭과 넓은 골부(17b)의 폭은 3:7로 조정된다. 반면에, 넓은 릿지(19a)와 좁은 골부(19b)는 도3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 형상(19)의 결합으로 형성되고, 릿지(19a)의 마루부와 골부(19b)의 하부 사이의 중간 지점을 통과하는 가상 평면 상에 넓은 릿지(19a)의 폭과 좁은 골부(19b)의 폭은 7:3으로 조정된다.
본 발명자는 구멍을 형성하는 나무 바아의 내면부에 제6 샘플과 제7 샘플을 넣고, 제6 샘플과 제7 샘플이 견뎌낸 것에 대해 외력을 결정했다. 제7 샘플은 제6 샘플에 가해진 힘보다 큰 힘을 견뎌냈다. 그러나, 두 샘플 모두 반복의 횟수와 피치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는한 기준력을 견뎌냈다.
본 발명자는 릿지의 폭과 골부의 폭 사이에 비율이 다른 샘플을 준비했다. 본 발명자는 릿지의 폭과 골부의 폭 사이의 비율을 3:10에서 결정한다. 비율이 30%보다 작을 때, 샘플은 기준력 이하의 힘을 견디지 못한다. 반면, 골부(19b)의 폭이 1밀리미터보다 더 좁을 때, 샘플은 기준력을 견디지 못한다.
전술된 설명으로부터 이해된 바와 같이, 균형 중량편(12G)은 바아(11)에 대해 재료보다 더 큰 강성을 가진 재료로 만들어지고, 그 단위 형상은 미세한 피치 즉, 2밀리미터 이하에서 다수번 즉, 7번 이상 균형 중량편(12G)의 주연면 상에서 반복된다. 균형 중량편(12G)은 미세한 피치의 장점으로 내면부에 스크랩핑없이 구멍(11a/11b)을 형성하는 내면부에 탄성적으로 넣어진다. 둥근 릿지(14a)는 내면부를 스크랩핑 하지않고 삽입을 수행한다.
제2 실시예의 변경예
도35는 제2 실시예의 제1 변경예(12H)를 도시한다. 균형 중량편(12H)은 기둥형이고, 단위 형상(24)은 기둥의 주연면상에 반복된다. 릿지(14a) 및 골부(14b)는 단위 형상(14)과 유사하게 단위 형상(24)의 결합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릿지(14a)는 단일 나선형과 서로 병합된다. 즉, 릿지(14a)는 기둥의 중심선에 대해 비스듬히 연장한다. 따라서, 골부(14b)는 연속된다. 단위 형상(24)은 360도씩 나선형의 일부를 휘감고, 피치, 단면, 최대 직경과 내경과 깊이 사이의 차이는 단위 형상(14)과 동일하다. 단위 형상(24)은 7번 이상 반복된다.
균형 중량편(12H)은 균형 중량편(12G)의 모든 장점을 달성한다. 또한, 비스듬하게 정렬된 릿지(14a)는 작업자가 균형 중량편(12H)을 스크래핑없이 구멍으로 쉽게 삽입하도록 기둥의 중심선의 방향으로 추력을 생성한다.
나머지 변경예는 다른 단면을 갖는다. 도36은 구멍의 단면 또는 오목부의 단면과 나머지 변경예의 단면 사이의 결함을 도시한다. 도36에 세 개의 기둥이 있다.
제일 왼쪽의 기둥은 원형 단면을 가진 구멍/오목부와 서로와 단면이 다른 다섯 개의 균형 중량편 사이에 결합을 도시한다. 다섯 개의 균형 중량편은 연장된 원형 단면, 반원 단면, 노치가 형성된 원형 단면, 원통형 단면 및 세 개의 호로 둘러싸인 단면을 갖는다.
제일 오른쪽의 기둥은 육각형 단면을 가진 구멍/오목부와 서로와 단면이 다른 두개의 균형 중량편 사이에 결합을 도시한다. 두개의 균형 중량편은 사각형 단 면과 연장된 원형 단면을 각각 갖는다.
중앙 기둥은 연장된 원형 단면을 가진 구멍/오목부와 서로와 단면이 다른 네 개의 균형 중량편 사이에 결합을 도시한다. 네 개의 균형 중량편은 연장된 원형 단면, 사각형 단면, 원형 단면 및 연장된 원형 단면을 각각 갖는다.
여러개의 결합은 구멍/오목부와 균형 중량편 사이에 영역이 다르지만, 적어도 주연면의 부분은 오목부/구멍을 형성하는 내면부와 충돌하게 되고, 단위 형상의 반복은 내면부가 구멍/오목부로 삽입되는 동안 내면부를 탄성적으로 변형되게 만든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가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범위 내에서의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만들어질 수 있는 것이 이 기술 분야의 당업자들에게 명백해 질 것이다.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작동 유닛(2), 해머(3), 댐퍼(5)의 부분을 형성하는 댐퍼 레버 및 페달 시스템(6)같은 다른 가동 부품부를 부속할 수 있다. 균형 중량편은 목표값에 중량을 조절하기 위해 이 가동 부품부에 내장될 수 있다.
균형 중량편(12)의 제2 변경예 내지 제6 변경예(12B 내지 12F)가 2밀리미터 이하의 미세한 피치로 7번 반복된 단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다른 변경예는 구멍에 그것을 돌리지 않고 구멍에서 안정한다.
균형 중량편(12)의 또다른 변경예는 중앙 기둥의 중심축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줄로 배열된 반원형 돌출부를 가질 수 있다. 반원형 돌출부는 각 줄에서 2밀리미터 이하의 미세한 피치로 서로로부터 이격되고, 반원 돌출부의 수는 각 줄에서 적어도 7이다.
균형 중량편(12)의 또 다른 변경예는 어떤 관통 구멍도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작업자는 펜치나 핀치같은 적당한 공구로 또 다른 변경예를 돌린다.
부분(45a 및 45b)은 균형 중량편(12)의 또 다른 변경예에서 원주 방향으로부터 돌출할 수 있다.
구멍은 제2 변경예 내지 제5 변경예(12B, 12C, 12D 및 12E)에서 형성되지 않는다. 작업자는 삽입후의 운동에 대해 펜치로 균형 중량편을 조인다. 진공 컵 또는 핀치는 삽입 후의 운동에 대해 이용 가능하다.
균형 중량편(12B 내지 12F)은 구멍의 직경보다 약간 더 짧은 직경을 갖는다. 삽입후에, 돌출 또는 릿지는 내면부의 일부분 상에 그것을 가압함으로써 내면부에 넣어진다.
바아에서 형성된 구멍은 삼각형 단면, 사각형 단면, 육각형 단면, 다각형 단면 또는 그 단면의 결합일 수 있다.
구멍(11a/11b, 21a, 31a 및 41a)은 측면 상에 개방된 오목부와 대체될 수 있다.
균형 중량편(12, 12A, 12B 내지 12F)은 악기의 또 다른 부분상에 내장될 수 있다. 중량편은 예의 방식으로 피아노의 댐퍼 레버에 내장될 수 있다. 중량편은 균형 중량편(12, 12A 내지 12F)과 대체 될 수 있다.
골부는 반원 단면과 다른 단면을 가질 수 있다. 골부는 내면부가 그곳으로 탄성적으로 들어가도록 허용하기만을 기대하기 때문에, 한쌍의 평평한 면은 골부의 각각에서 형성될 수 있다.
도36에 도시된 단면은 본 발명의 기술 범위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구멍 또는 오목부는 도36에 도시된 균형 중량편의 단면에 일치하는 단면을 갖는다. 구멍/오목부 및 균형 중량편은 타원형 단면 또는 다각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그랜드 피아노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에 어떤 제한을 두지 않는다. 균형 중량편은 직립형 피아노, 예를 들어 자동 플레이어 건반 악기 및 뮤트 피아노, 전자 건반 악기같은 혼성 건반 악기, 현이 있는 악기를 위한 활 및 타악기를 위해 요구된다.
균형 중량편(12 및 12A 내지 12F)은 로드를 부분적으로 상쇄시키지 않는다. 즉, 중량편은 가동식 부품의 총 중량을 증가시키도록 기대될 수 있다.
릿지 및 골부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에 어떤 제한을 두지 않는다. 단위 형상은 간격에서 원형 선 또는 나선형 선 상에 배열되는 복수의 범프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 및 수정예의 부품부 또는 부분은 다음과 같이 청구항 언어로 관련될 수 있다.
검은 건 및 흰 건(1a 및 10b)은 "본체"로서 역할을 하고, 나무 바아(11)는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내면부"를 제공한다. 균형 중량편(12, 12A, 12G 내지 12F)은 "중량편"으로서 역할을 한다. 구멍(11a, 11b)의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중공 공간", 골부(14b)는 "간격"의 전체 구성으로 일치한다.
검은 건 및 흰 건(10a/10b), 작동 유닛(2)의 부품부, 해머(3), 스트링(4) 및 댐퍼(5)의 부품부는 "복수의 부품부"와 일치하고, 검은 건 및 흰 건(10a/10b)의 각각은 "상기 부품부 중 적어도 하나"로서 역할을 한다.
본 발명으로 원통형 관통 구멍에서 달그락 거리거나 떨어지는 종래 기술의 균형 중량편과 달리 균형 중량편을 덜 느슨하게 하는 악기의 가동 부품부와 그런 가동 부품부를 가진 건반 악기를 제공할 수 있고,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내면부에 탄력적이면서 견고하게 균형 중량편을 끼울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0)

  1. 악기의 가동부(10a/10b)이며,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내면부(11)에 의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중공 공간(11a/11b)이 형성된 본체(11)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공 공간(11a/11b)에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중량편(12; 12A; 12G; 12H)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량편(12; 12A; 12G; 12H)은 2밀리미터 이하의 미세한 피치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량편(12; 12A; 12G; 12H)의 표면 상에서 적어도 7번 반복되고 간극(64; 74; 14b; 17b; 19b)을 형성하는 단위 형상(67; 77; 14; 17; 19; 24)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내면부(11)가 탄성적으로 상기 간극(64; 74; 14b; 17b; 19b)으로 들어가도록 상기 중공 공간(11a/11b)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형상(67; 77; 14; 17; 19; 24)은 릿지(65; 75; 14a; 17a; 19a) 및 골부(64; 74; 14b; 17b; 19b)로 형성되고, 골부(64; 74; 14b; 17b; 19b)는 상기 간극을 형성하는 가동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릿지(65; 75; 14a; 17a; 19a)의 상부가 둥근 가동부.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 형상의 릿지(65; 75; 14a; 17a; 19a)는 상기 골 부(64; 74; 14b; 17b; 19b)에 의해 그곳에 인접한 상기 단위 형상의 릿지로부터 이격된 가동부.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형상(24)의 릿지는 모든 릿지가 나선 릿지를 형성하도록 그곳에 인접한 상기 단위 형상(24)의 릿지에 연속되는 가동부.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릿지(14a; 17a; 19a)는 상기 골부(14b; 17b; 19b)의 대응 폭의 30% 및 상기 대응 폭의 100% 사이의 범위 내에 있는 폭을 가진 가동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골부(14b; 17b; 19b)의 상기 대응 폭은 1밀리미터 이하인 가동부.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면은 원형, 타원형, 연장된 원형, 반원형, 노치가 형성된 원형, 링형, 사각형 및 육각형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가동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형상(67; 77; 14; 17; 19; 24)의 단면은 상기 중공 공간(11a/11b)의 단면 상의 대응 거리보다 더 긴 거리를 갖는 가동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형상(14; 17; 19; 24)의 상기 단면과 상기 중공 공간(11a/11b)의 상기 단면은 직경이 다른 원인 가동부.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원들 사이에 직경의 차이는 1밀리미터와 0.2밀리미터 사이의 범위 내에 있는 가동부.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극(64; 74; 14b; 17b; 19b)의 깊이는 0.2밀리미터 이상인 가동부.
  13. 사운드를 생성하기 위한 복수의 부품부(10a/ 10b/ 2/ 3/ 4/ 5)를 포함하는 악기이며,
    상기 복수의 부품부의 적어도 하나(10a/ 10b)는 상기 사운드를 생성하기 위해 순차적으로 가동되고,
    상기 복수의 부품부의 상기 적어도 하나(10a/10b)는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내면부(11)에 의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중공 공간(11a/11b)이 형성된 본체와,
    2밀리미터 이하의 미세한 피치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량편(12; 12A; 12G; 12H)의 표면 상에서 적어도 7번 반복되고 간극(64; 74; 14b; 17b; 19b)을 형성하는 단위 형상(67; 77; 14; 17; 19; 24)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내면부(11)가 탄성적으로 상기 간극(64; 74; 14b; 17b; 19b)으로 들어가도록 상기 중공 공간(11a/11b)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중량편(12; 12A; 12G; 12H)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부품부의 상기 적어도 하나는 건반(1)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건(10a/10b)인 악기.
  15. 제13항에 있어서, 릿지(65; 75; 14a; 17a; 19a) 및 골부(64; 74; 14b; 17b; 19b)는 조합하여 상기 단위 형상(67; 77; 14; 17; 19; 24)을 형성하는 악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릿지(65; 75; 14a; 17a; 19a)는 둥근 상부를 갖는 악기.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릿지(14a; 17a; 19a)는 0.2밀리미터에서 1.0밀리미터의 범위 내에 있는 소정의 값에 의해 상기 중공 공간(11a/11b)의 단면 상의 대응 거리보다 더 긴 단면 상의 최대 거리를 갖는 악기.
  18. 악기의 가동부(10a/10b)내에서 중량편(12; 12A; 12G; 12H)을 조립하는 방법이며,
    a)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내면부(11)에 의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중공 공간(11a/11b)이 형성된 본체와, 2밀리미터 이하의 미세한 피치로 적어도 하나의 중량편의 표면 상에서 적어도 7번 반복되고 간극(64; 74; 14b; 17b; 19b)을 형성하는 단위 형상(67; 77; 14; 17; 19; 24)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중량편(12; 12A; 12G; 12H)을 마련하는 단계와,
    b) 상기 내면부(11)가 상기 단위 형상(67; 77; 14; 17; 19; 24)에 의해 탄성적으로 변형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공 공간(11a/11b)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량편(12; 12A; 12G; 12H)을 삽입하는 단계와,
    c) 상기 내면부(11)의 탄성적으로 변형된 부분(68;16)이 상기 간극(64; 74; 14b; 17b; 19b)으로 들어가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공 공간(11a/11b)의 특정 위치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량편(12; 12A; 12G; 12H)을 정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량편(12; 12A; 12G; 12H)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공 공간으로 삽입되는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량편(12; 12A; 12G; 12H)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공 공간(11a/11b)의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형상(14; 17; 19; 24)은 0.2밀리미터 내지 1.0밀리미터 범위 내에 있는 소정의 값에 의해 상기 중공 공간의 단면 상의 대응 거리보다 더 긴 단면 상의 거리를 갖는 방법.
KR1020060023487A 2005-03-15 2006-03-14 균형 중량부가 견고하게 설치된 가동부, 악기 및 균형중량부를 내부에 조립하는 방법 KR1007111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072226A JP4661283B2 (ja) 2004-03-22 2005-03-15 可動部材における重りの取付方法
JPJP-P-2005-00072226 2005-03-15
JP2005087558A JP4887644B2 (ja) 2005-03-25 2005-03-25 可動部材
JPJP-P-2005-00087558 2005-03-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0211A KR20060100211A (ko) 2006-09-20
KR100711179B1 true KR100711179B1 (ko) 2007-04-24

Family

ID=36463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3487A KR100711179B1 (ko) 2005-03-15 2006-03-14 균형 중량부가 견고하게 설치된 가동부, 악기 및 균형중량부를 내부에 조립하는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7999162B2 (ko)
EP (1) EP1703487A3 (ko)
KR (1) KR100711179B1 (ko)
CN (1) CN1835067B (ko)
TW (1) TWI28673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286736B (en) 2005-03-15 2007-09-11 Yamaha Corp Movable part firmly equipped with balance weight, musical instrument and method of assembling balance weight therein
US8729371B2 (en) * 2008-09-02 2014-05-20 Tokyo Metropolitan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Stringed instrument,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JP6339356B2 (ja) * 2013-12-13 2018-06-06 株式会社河合楽器製作所 鍵盤用錘
US10347224B2 (en) * 2015-08-28 2019-07-09 Kawai Musical Instruments Manufacturing Co., Ltd Key of keyboard instrument
JP6822240B2 (ja) 2017-03-16 2021-01-27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鍵盤装置および鍵盤楽器
JP6857327B2 (ja) * 2017-03-17 2021-04-14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鍵盤装置および鍵盤楽器
FR3087506B1 (fr) * 2018-10-22 2021-07-02 Bernard Proot Accessoire de fixation rotatif
DE202022103944U1 (de) 2022-07-13 2023-10-16 Christoph Kerschgens Tastengewichte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2014A (ko) * 2001-09-07 2003-03-15 가부시키가이샤 가와이가끼세이사꾸쇼 악기용 건반
JP2003108113A (ja) 2001-09-27 2003-04-11 Kawai Musical Instr Mfg Co Ltd 鍵 盤
JP2003150148A (ja) 2001-11-08 2003-05-23 Yamaha Corp 鍵盤楽器の鍵盤
JP2005031174A (ja) 2003-07-08 2005-02-03 Kawai Musical Instr Mfg Co Ltd ピアノの鍵
KR100509302B1 (ko) 2001-11-08 2005-08-18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안정한 건 밸런스편으로 조정된 건을 갖는 건반 악기
JP2006113526A (ja) 2004-03-22 2006-04-27 Yamaha Corp 可動部材における重りの取付方法
US20060207404A1 (en) 2005-03-15 2006-09-21 Yamaha Corporation Movable part firmly equipped with balance weight, musical instrument and method of assembling balance weight therein

Family Cites Families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17832A (en) 1937-03-04 1938-05-17 George W Wellner Anchor bolt
US2393923A (en) 1944-02-29 1946-01-29 Miller Edwin August Multiple anchoring means
DE1207065B (de) 1960-05-14 1965-12-16 Artur Fischer Spreizduebel
US3478641A (en) 1967-02-07 1969-11-18 Dohmeier Hans Otto Anchor or roof bolts and the like
DE1922903A1 (de) * 1968-08-29 1970-03-19 O M A S Die Grilli Sturba & Co Klaviatur
DE2328412C3 (de) 1973-06-04 1975-11-27 Springfix-Befestigungstechnik Gmbh, 7335 Salach Befestigungselement
JPS5323219U (ko) * 1976-08-05 1978-02-27
US4827609A (en) 1987-06-16 1989-05-09 Mars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mounting components on a printed circuit board or similar mounting surface
SE469238B (sv) 1990-03-05 1993-06-07 Lars Alf Fraendberg Expanderbar foerankringsanordning innefattande ett rullelement
US5142834A (en) 1990-07-12 1992-09-01 Donnelly Corporation Vehicle trim assembly and fastener therefor
KR920002363A (ko) * 1990-07-31 1992-02-28 한태희 전자식 타자기의 페이지 설정방법
IT1254730B (it) 1992-03-23 1995-10-10 Antonio Giovannetti Dispositivo di ancoraggio,per esempio per componenti di mobili e simili
US5585582A (en) * 1992-11-25 1996-12-17 Stanwood; David C. Methods for inertial balancing of piano key mechanisms
US5368427A (en) 1993-02-08 1994-11-29 General Motors Corporation Quarter turn fastener
US5468109A (en) 1993-02-11 1995-11-21 Franco Ferrari Quick removable fasteners in particular for furniture
US5591927A (en) 1993-09-17 1997-01-07 Yamaha Corporation Keyboard musical instrument having key action mechanisms movable to and from strings
US6116836A (en) 1994-07-26 2000-09-12 Composite Technologies Corporation Connector for composite insulated wall and method for making the wall
EP1150022A3 (fr) 1996-11-12 2001-12-05 Elyce Innovation Système et procédé d'assemblage, et dispositifs pourvus de ce système
US6119993A (en) 1996-12-18 2000-09-19 Youngblood; Gary S. Climbing anchors
US5704750A (en) * 1997-01-16 1998-01-06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Multiple use screw with tapered threads
US5897401A (en) 1997-07-01 1999-04-27 Solid State Stamping, Inc. Serrated starred pin
DE19756764A1 (de) 1997-12-19 1999-06-24 Fischer Artur Werke Gmbh Steckdübel
US5897278A (en) 1998-02-05 1999-04-27 Southco, Inc. Turn fastener
US6109578A (en) 1998-08-10 2000-08-29 Guthrie; Karl Borehole-engaging apparatus
US6531651B2 (en) * 1999-11-11 2003-03-11 Kabushiki Kaisha Kawai Gakki Seisakusho Key for musical instrument
JP4375695B2 (ja) 2000-07-21 2009-12-02 株式会社ニフコ 部品の取付装置
DE10049218C2 (de) 2000-09-28 2003-01-02 Phoenix Contact Gmbh & Co Elektronikgehäusesystem
JP3077661U (ja) 2000-11-13 2001-05-29 株式会社チップ・オン・メディア カード・アダプタ
US6575682B1 (en) 2000-11-16 2003-06-10 Illinois Tool Works Inc. Quarter turn fastener
JP4576042B2 (ja) 2000-11-27 2010-11-04 株式会社河合楽器製作所 鍵盤
FR2821130B1 (fr) 2001-02-16 2003-12-12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Agrafe de fixation d'un element de carrosserie sur la structure d'un vehicule automobile
JP3849437B2 (ja) 2001-03-07 2006-11-22 ヤマハ株式会社 鍵盤楽器用鍵盤
US6676352B2 (en) 2001-03-13 2004-01-13 Ju-Ching Chen-Chi Fasteners with improved retaining effect
US6568893B2 (en) 2001-05-24 2003-05-27 Illinois Tool Works Inc. Double quarter turn fastener
JP3820936B2 (ja) 2001-07-31 2006-09-13 ヤマハ株式会社 キーセンサ、キーセンサの被検出板および鍵盤楽器
US6540463B2 (en) 2001-08-27 2003-04-01 Illinois Tool Works, Inc. Blind hole panel nut
JP2003122344A (ja) * 2001-10-09 2003-04-25 Kawai Musical Instr Mfg Co Ltd 鍵 盤
JP2003122343A (ja) * 2001-10-09 2003-04-25 Kawai Musical Instr Mfg Co Ltd 鍵 盤
JP3775289B2 (ja) 2001-11-29 2006-05-17 ヤマハ株式会社 鍵盤楽器の鍵盤
US7129404B2 (en) 2001-11-08 2006-10-31 Yamaha Corporation Keyboard musical instrument having keys regulated with stable key balance pieces and process for fabricating keys
JP2003216141A (ja) * 2002-01-24 2003-07-30 Mitsubishi Material Cmi Kk 鍵盤装置
US6779232B2 (en) 2002-02-28 2004-08-24 Alexis Cerul Protector sleeve for wires and pipes in wood frame construction
US6935527B1 (en) 2002-03-22 2005-08-30 Richard E. Brock Locking filler cap
JP4013251B2 (ja) 2003-02-21 2007-11-28 ヤマハ株式会社 自動演奏装置の取り付け用加工装置
JP2004294772A (ja) 2003-03-27 2004-10-21 Yamaha Corp 自動演奏ピアノ
US20050002753A1 (en) 2003-07-03 2005-01-06 Haas James R. Rotary fastener, fastenable material, fastener system, and storage system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2014A (ko) * 2001-09-07 2003-03-15 가부시키가이샤 가와이가끼세이사꾸쇼 악기용 건반
JP2003108113A (ja) 2001-09-27 2003-04-11 Kawai Musical Instr Mfg Co Ltd 鍵 盤
JP2003150148A (ja) 2001-11-08 2003-05-23 Yamaha Corp 鍵盤楽器の鍵盤
KR100509302B1 (ko) 2001-11-08 2005-08-18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안정한 건 밸런스편으로 조정된 건을 갖는 건반 악기
JP2005031174A (ja) 2003-07-08 2005-02-03 Kawai Musical Instr Mfg Co Ltd ピアノの鍵
JP2006113526A (ja) 2004-03-22 2006-04-27 Yamaha Corp 可動部材における重りの取付方法
US20060207404A1 (en) 2005-03-15 2006-09-21 Yamaha Corporation Movable part firmly equipped with balance weight, musical instrument and method of assembling balance weight therei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03487A3 (en) 2017-02-15
KR20060100211A (ko) 2006-09-20
EP1703487A2 (en) 2006-09-20
CN1835067A (zh) 2006-09-20
TW200636675A (en) 2006-10-16
US20060207404A1 (en) 2006-09-21
CN1835067B (zh) 2010-08-18
TWI286736B (en) 2007-09-11
US7999162B2 (en) 2011-08-16
US20110259169A1 (en) 2011-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1179B1 (ko) 균형 중량부가 견고하게 설치된 가동부, 악기 및 균형중량부를 내부에 조립하는 방법
KR100637817B1 (ko) 키이 내에 평형기가 맞물려 설치된 키이를 갖는 건반 악기및 키이에 평형기를 고정하는 방법
US6649821B2 (en) Keyboard musical instrument equipped with key-touch regulator provided between keys and stationery member
DE102007000347A1 (de) Tastaturvorrichtung
US6774294B2 (en) Key for musical instrument
US6417440B2 (en) Damper formed of powder-containing synthetic resin and keyboard musical instrument equipped with the same
US7067730B2 (en) Keyboard musical instrument having keys regulated with stable key balance pieces
JP2006242339A (ja) ボルト孔隠蔽用キャップ
US7129404B2 (en) Keyboard musical instrument having keys regulated with stable key balance pieces and process for fabricating keys
US6005178A (e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simulating acoustic piano keytouch characteristics
DE102015121087B3 (de) Akkordzither mit einer Dämpfungseinrichtung
DE112018004712T5 (de) Musikinstrument und Schwingungserzeuger
CN101833943A (zh) 钢琴锤柄与锤座
JP2003108113A (ja) 鍵 盤
DE19537261C2 (de) Herstellungsverfahren für besaitete Tasteninstrumente
DE102020127845B3 (de) Tasteninstrument, insbesondere Klavier
DE20013648U1 (de) Steelpan
DE10164310B4 (de) Klavier
US7087824B2 (en) Device for striking a percussion instrument
AT508620A2 (de) Elektronisches musikinstrument
DE202008016499U1 (de) Rhythmus-Musikinstrument
Nelson Design and dynamic simulation of a novel piano action mechanism
WO2003023758A1 (de) Schlagzeugsto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