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6322B1 - 레일 분기기의 조절간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레일 분기기의 조절간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6322B1
KR100706322B1 KR1020050129154A KR20050129154A KR100706322B1 KR 100706322 B1 KR100706322 B1 KR 100706322B1 KR 1020050129154 A KR1020050129154 A KR 1020050129154A KR 20050129154 A KR20050129154 A KR 20050129154A KR 100706322 B1 KR100706322 B1 KR 1007063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plate
screw
bolt
rail
screw j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9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6322B9 (ko
Inventor
엄기영
엄주환
박춘복
황광하
윤병현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816153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706322(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50129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63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6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6322B1/ko
Publication of KR100706322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6322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7/00Switches; Crossings
    • E01B7/02Tongues; Associated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5/00Rails; Guard rails; Distance-keeping means for them
    • E01B5/16Distance kee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ailway Tra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일 분기기의 조절간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텅 레일 결합부의 중앙부에서 나사죠 결합부가 일체로 돌출되도록 주물로 성형하여 전체적으로 "T"자 형상을 갖는 연결판과; 상기 연결판의 나사죠 결합부에서 수평방향으로 결합되는 볼트와 너트에 의해 일단부가 고정 설치되는 나사죠와; 일단부에 형성된 볼트부는 상기 나사죠에 체결되고 타단부에 형성된 단조부의 상하부에는 절연판과 접속판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상태에서 수개의 너트와 볼트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간격간으로 구성하되, 상기 연결판과 나사죠 및 간격간은 침목의 상면부에서 직선을 이루며 텅 레일 사이에 고정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도상 다짐 작업시 멀티플 암(arm)의 사용이 가능하여 STT 작업을 통해 분기부의 도상 저항력을 증대시킬 수 있고, 둘째 연결판을 주조물로 대체함으로써 구조적인 안전성과 생산성을 높일 수 있어 기능에 대한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으며, 셋째 연결판과 나사죠를 상호 연결시켜 줄 때 볼트를 수평방향으로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여 나사 결합을 간단히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 볼트의 결합력 약화 및 상호 분리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분기기, 조절간, 텅 레일, 연결판, 나사죠, 간격간

Description

레일 분기기의 조절간 설치구조{Control stick installation structure of a turnout}
도 1은 일반적인 분기기의 구성도.
도 2는 종래 조절간의 설치상태 평면도.
도 3은 종래 조절간이 텅 레일 사이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 조절간이 텅 레일 사이에 설치된 상태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 조절간이 텅 레일 사이에 설치된 상태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설치구조가 분기기 상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전체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텅 레일 2 : 주 레일
3 : 침목 4 : 조절간
41 : 연결판 43 : 간격간
44 : 절연판 45 : 접속판
46 : 볼트 47 : 너트
48 : 와셔 49 : 분할핀
50 : 나사죠 411 : 텅 레일 결합부
412 : 나사죠 결합부 431 : 볼트부
432 : 단조부 501 : 결합편
본 발명은 레일 분기기의 조절간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레일 분기기의 포인트부에 위치하여 탄성 분기기의 텅 레일 전환시 텅 레일간에 정확한 궤간을 유지하면서 텅 레일이 주 레일에 정확히 밀착되도록 하는 조절간을 침목의 상부에서 텅 레일 사이에 설치하여 도상 다짐 작업시 멀티플 암(arm)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분기기의 침목 다짐 및 궤도 틀림을 정정하는 분기기 침목 다짐기(Switch Tie Tamper; 이하 'STT'라 약칭 함) 작업이 가능하여 분기부의 도상 저항력을 증대시킬 수 있고, 연결판을 주조물로 대체함으로써 구조적인 안전성과 생산성을 높일 수 있어 기능에 대한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차장 구간에서는 본선으로부터 측선으로 진로를 바꾸는 등 하나의 선로에서 다른 선로로 분기하기 위하여 분기 지점에 설치한 궤도설비를 분기기라 하고, 이와 같은 분기기의 방향을 전환시키는 것을 선로 전환기라 한다.
이때, 상기 철도 레일의 분기기 시스템은 한 쌍의 레일로 구성된 하나의 선 로를 두 개의 선로로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여 주행하는 열차가 두 개의 선로 중에 어느 한쪽의 선로를 선택하여 주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고정 레일과 텅 레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분기기는 어느 선로로 진입할 것인가를 선택하는 포인트부와, 궤간선(레일)이 교차하는 크로싱부 및 포인트부의 후단에서 크로싱부의 전단 사이에 형성된 리드부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분기기의 포인트부에는 탄성 분기기의 텅 레일(1) 전환시 텅 레일간에 정확한 궤간을 유지하면서 텅 레일(1)이 주 레일(2)에 정확히 밀착되도록 하기 위한 조절간(4)이 설치된다.
그런데, 종래 분기기의 포인트부에 조절간(4)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상 자갈이 깔리는 침목(3) 사이에서 텅 레일(1)이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상호 연결시켜 주는 형태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종래 조절간(4)은 도 3과 같이 철판을 절곡하여서 된 연결판(41)의 일단부를 볼트(46)와 너트(47)를 통해 텅 레일(1)의 목 부위에 고정 설치하고, 나사죠(421)를 일체로 구비한 연결간(42)은 텅 레일(1)의 하방부까지 처진 형태를 갖는 상기 연결판(41)의 자유단부에 볼트(46)와 너트(47)를 통해 상호 연결하며, 상기 연결간(42)의 나사죠(421)에는 간격간(43)의 일단부를 나사 체결방식으로 연결하고, 상기 간격간(43)의 타단부 상하부에는 절연판(44)과 접속판(45)을 순차적으로 적층된 상태에서 수개의 너트(47)와 볼트(46)에 의해 상호 연결된 구성을 갖는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조절간(4)을 이용하여 텅 레일(1)의 간격을 조절할 때에는 상기 연결판(41)과 볼트(46) 및 너트(47)에 의해 상호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는 간격간(43)을 회동시켜 연결간(42)의 나사죠(421)에 결합된 상기 간격간(43)의 나사부가 텅 레일(1) 측으로 이동되도록 하여 텅 레일(1)의 간격을 좁히거나, 그로부터 더 이격되도록 하여 텅 레일(1)의 간격이 더 벌어지도록 하는 방식을 통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 조절간(4)은 우선적으로 침목(3)과 침목(3) 사이의 공간부 상에서 텅 레일(1) 사이에 설치되어 있어 도상 다짐 작업시 멀티풀 암의 사용이 불가능하여 사람들이 일일이 수작업을 통해 도상 다짐 작업을 실시해야 하므로 작업성이 좋지 않아 인건비가 많이 들게 될 뿐만 아니라, 분기부의 도상 저항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연결판(41)이 철판을 절곡 형성하고, 이에 나사죠(421)를 일체로 구비한 연결간(42)을 볼트(46)와 너트(47)를 통해 상호 연결시켜 준 구성으로 되어 있어 상기 볼트(46)가 연결판(41)과 연결간(42)의 결합부에서 수직방향으로 관통되는 형태로 설치되므로 볼트(46)와 너트(47)를 통해 연결판(41)상에 연결간(42)을 결합시킬 때 볼트(46)가 침목(3) 사이의 노상으로 낙하되지 않도록 손 등으로 잡아주는 상태에서 너트를 체결시켜 주어야만 하여 볼트 체결 작업이 매우 복잡하고 힘이 들게 될 뿐만 아니라, 차량의 빈번한 통과로 인한 충격이 지속적으로 가해질 때 연결판(41)과 연결간(42)을 상호 결합시켜 주는 상기 볼트(46)와 너트(47)의 체결력이 약화되어 이들이 상호 분리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레일 분기기의 포인트부에 위치하여 탄성 분기기의 텅 레일 전환시 텅 레일간에 정확한 궤간을 유지하면서 텅 레일이 주 레일에 정확히 밀착되도록 하는 조절간을 침목의 상부에서 텅 레일 사이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첫째 도상 다짐 작업시 멀티플 암(arm)의 사용이 가능하여 STT 작업을 통해 분기부의 도상 저항력을 증대시킬 수 있고, 둘째 연결판을 주조물로 대체함으로써 구조적인 안전성과 생산성을 높일 수 있어 기능에 대한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고, 셋째 연결판과 나사죠를 상호 연결시켜 줄 때 볼트를 수평방향으로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여 나사 결합을 간단히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 볼트의 결합력 약화 및 상호 분리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레일 분기기의 조절간 설치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텅 레일 결합부의 중앙부에서 나사죠 결합부가 일체로 돌출되도록 주물로 성형하여 전체적으로 "T"자 형상을 갖는 연결판과; 상기 연결판의 나사죠 결합부에서 수평방향으로 결합되는 볼트와 너트에 의해 일단부가 고정 설치되는 나사죠와; 일단부에 형성된 볼트부는 상기 나사죠에 체결되고 타단부에 형성된 단조부의 상하부에는 절연판과 접속판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상태에서 수개의 너트와 볼트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간격간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연결판은 침목의 상면부에서 텅 레일의 목 부위에 볼트와 너트의 체결에 의해 고정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 조절간이 텅 레일 사이에 설치된 상태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 조절간이 텅 레일 사이에 설치된 상태의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설치구조가 분기기 상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전체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절간 설치구조는, 평판형의 텅 레일 결합부(411)의 중앙부에서 나사죠 결합부(412)가 일체로 돌출되도록 주물로 성형하여 전체적으로 "T"자 형상을 갖는 연결판(41)과;
상기 연결판(41)의 나사죠 결합부(412)에서 수평방향으로 결합되는 볼트(46)와 너트(47)에 의해 일단부가 고정 설치되는 나사죠(50)와;
일단부에 형성된 볼트부(431)는 상기 나사죠(50)에 체결되고 타단부에 형성된 단조부(432)의 상하부에는 절연판(44)과 접속판(45)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상태에서 너트(47)와 볼트(46)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간격간(43)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연결판(41)은 침목(3)의 상면부에서 텅 레일(1)의 목 부위에 볼트(46)와 너트(47)의 체결에 의해 고정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너트(47)가 체결되는 상기 볼트(46)의 나선부 단부에는 각각 너트(47)의 분리를 방지하는 분할핀(49)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51, 52는 텅 레일(1)의 간격 조절이 완료된 후 간격간(43)의 회동을 방지하기 위한 너트와 와셔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조절간(4)은 자갈 도상이 노출된 상태를 갖는 침목(3) 사이의 공간부에서 텅 레일(1) 사이에 설치되는 것이 아니고, 도 6과 같이 침목(3)의 상면 중심선 상에서 길이방향으로 텅 레일(1) 사이에 설치한 것을 주요 기술 구성요소로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조절간(4)을 침목(3)의 상면부에 설치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조절간(4)의 구성요소 중 하나인 연결판(41)은 철판으로 절곡 형성하는 종래와 달리 주조를 통해 성형한 것이다.
이때, 상기 연결판(41)은 일측부에는 볼트 통과공(411a)이 양단부에 구비된 평판형의 텅 레일 결합부(411)가 형성되고, 상기 텅 레일 결합부(411)의 중앙부에서 직각 방향으로는 나사죠 결합부(412)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도록 주물을 통해 성형함으로써 평면에서 볼 때 대략 "T"자 형상을 갖게 된다.
이와 같이 연결판(41) 자체를 주조물로 성형하게 되면 철판으로 제작한 것에 비하여 구조적인 안전성과 생산성을 높일 수 있어 기능에 대한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평 단면이 대략 "T"자 형상을 갖는 상기 연결판(41)을 텅 레일(1)의 목 부위에 볼트(46)와 너트(47) 및 와셔(48)를 이용하여 고정시키게 되 면 종래와 달리 상기 연결판(41)이 침목(3)의 상면부에 위치되는 텅 레일(1)의 목 부분에서 내측부로 거의 직각을 이루며 돌출된 형태를 갖게 되므로 상기 연결판(41)의 나사죠 결합부(412)가 침목(3)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상 높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연결판(41)의 나사죠 결합부(412)는 나사죠(50)의 일단부에 돌출된 결합편(501)에 끼워질 수 있도록 "U"자 형태를 갖게 성형하고, 상기 나사죠(50)를 연결판(41)의 나사죠 결합부(412)에 고정시켜 주기 위한 볼트(46)가 끼워지는 볼트 통과공(412a)은 나사죠 결합부(412)에서 수평방향으로 천공된 형태를 갖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판(41)의 나사죠 결합부(412)에 나사죠(50)의 일단부에 형성된 결합편(501)을 끼우고 이들을 상호 고정하고자할 때에는 상기 볼트(46)를 수평방향으로 끼운 상태에서 와셔(48)를 끼우고 너트(47)를 체결시켜 주면 되므로 나사 결합을 간단히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 볼트(46)의 결합력 약화 및 볼트(46)와 너트(47)가 외부의 충격 등에 의해 상호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판(41)과 나사죠(50)를 상호 연결시켜 줄 때 볼트(46)를 수평방향으로 결합시킬 수 있어 나사 결합을 간단히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 볼트(46)와 너트(47)의 결합력 약화 및 상호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나사죠(50)에는 종래와 같이 간격간(43)의 일단부에 형성된 볼트부(431)를 체결시키고, 상호 맞닿는 형태를 갖는 상기 간격간(43)의 타단부인 단조부(432)의 상하부 역시 절연판(44)과 접속판(45)을 순차적으로 적층시킨 후 너트 (47)와 볼트(46)들을 이용하여 상호 연결시켜 주면 된다.
이때, 상기 절연판(44)과 접속판(45)을 간격간(43)의 단조부(432) 상하부에 순차적으로 적층시킨 후 너트(47)와 볼트(46)들을 체결할 때에는 작업의 효율성과 볼트(46)의 이탈 방지 등을 감안하여 볼 때 상기 간격간(43)의 단조부(432)를 포함하여 절연판(44)과 접속판(45)이 수직방향으로 세워지도록 한 상태에서 볼트(46)들을 각각에 천공된 볼트 통과공에 끼워 자체의 자중 등에 의해 볼트(46)가 볼트 통과공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한 후 와셔(48)들을 볼트(46)의 나사부에 끼우고 너트(47)를 체결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와 같이 침목(3)의 상부에서 텅 레일(1)의 목 부분에 고정된 연결판(41) 사이에 나사죠(50)와 간격간(43)를 결합하고, 상기 간격간(43)의 단조부(432)에 절연판(44)과 접속판(45)을 위치시켜 볼트(46)와 와셔(48) 및 너트(47)들의 체결을 통해 상호 연결시키면 조절간(4) 자체가 도 5와 같이 침목(3)의 상부에서 일정 높이를 유지한 채 텅 레일(1) 사이에서 직선을 유지하게 되므로 상기 텅 레일(1)들이 조절간(4)에 의해 정확한 간격을 유지하게 됨은 물론 텅 레일(1)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되며 주 레일과 접촉 및 이격될 때 이동방향으로 정확한 압력을 받게 되므로 텅 레일(1)이 정확하고 원활하게 이동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조절간(4)을 침목(3)의 상면부에서 텅 레일(1) 사이에 설치됨으로써 침목(3) 사이의 도상 다짐 작업시 멀티플 암(arm)의 사용이 가능하여 STT 작업을 통해 분기부의 도상 저항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너트(47)가 체결되는 모든 볼트(46)의 나선부 단부에는 필요에 따라 분할핀(49)을 설치하여 줌으로써 각각의 너트(47)가 볼트(46)로부터 분해되는 것을 완벽히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그 정신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일탈하는 일없이,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전술한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서 나타내는 것으로서, 명세서 본문에 의해서는 아무런 구속도 되지 않는다. 다시, 특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에 속하는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 내의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절간 설치구조에 의하면, 레일 분기기의 포인트부에 위치하여 탄성 분기기의 텅 레일 전환시 텅 레일간에 정확한 궤간을 유지하면서 텅 레일이 주 레일에 정확히 밀착되도록 하는 조절간을 침목 사이가 아닌 침목의 상부에 설치하여 줌으로써, 첫째 도상 다짐 작업시 멀티플 암(arm)의 사용이 가능하여 STT 작업을 통해 분기부의 도상 저항력을 증대시킬 수 있고, 둘째 연결판을 주조물로 대체함으로써 구조적인 안전성과 생산성을 높일 수 있어 기능에 대한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으며, 셋째 연결판과 나사죠를 상호 연결시켜 줄 때 볼트를 수평방향으로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여 나사 결합을 간단히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 볼트의 결합력 약화 및 상호 분리되는 것을 미연 에 방지할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5)

  1. 평 단면이 "T"자 형상을 갖고 텅 레일의 목부위에 고정 설치되는 연결판과;
    상기 연결판의 나사죠 결합부에 수평방향으로 결합되는 볼트와 너트에 의해 일단부가 고정 설치되되, 상기 너트가 체결되는 볼트의 나선부 단부에는 각각 너트의 분리를 방지하는 분할핀이 설치된 나사죠와;
    일단부에 형성된 볼트부는 상기 나사죠에 체결되고 타단부에 형성된 단조부의 상하부에는 절연판과 접속판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상태에서 너트와 볼트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간격간과;
    상기 연결판과 나사죠 및 간격간은 침목의 상면부에서 직선을 이루며 텅 레일 사이에 고정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분기기의 조절간 설치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은 평판형의 텅 레일 결합부의 중앙부에서 나사죠 결합부가 일체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분기기의 조절간 설치구조.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050129154A 2005-12-24 2005-12-24 레일 분기기의 조절간 설치구조 KR1007063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9154A KR100706322B1 (ko) 2005-12-24 2005-12-24 레일 분기기의 조절간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9154A KR100706322B1 (ko) 2005-12-24 2005-12-24 레일 분기기의 조절간 설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6322B1 true KR100706322B1 (ko) 2007-04-13
KR100706322B9 KR100706322B9 (ko) 2007-04-13

Family

ID=38161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9154A KR100706322B1 (ko) 2005-12-24 2005-12-24 레일 분기기의 조절간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632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6801B1 (ko) 2010-12-30 2012-11-05 한국철도공사 철도 분기기용 거치식 롤러장치
KR101258535B1 (ko) 2011-07-28 2013-04-30 한국철도공사 철도분기기 조절간
KR20200009630A (ko) * 2018-07-19 2020-01-30 한국철도공사 철도분기기 길이조절용 조절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31366U (ja) * 1983-02-23 1984-09-03 吉原鉄道工業株式会社 転てつ器におけるフロントロツドの設定位置調整装置
JPH0752799A (ja) * 1993-07-27 1995-02-28 Railway Technical Res Inst 分岐器の先端鎖錠用接続装置
JP2003013401A (ja) * 2001-06-28 2003-01-15 East Japan Railway Co ゲージタイ
JP2004268772A (ja) 2003-03-10 2004-09-30 Yoshihara Tetsudo Kogyo Kk 分岐器転換鎖錠用フロントロッド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31366U (ja) * 1983-02-23 1984-09-03 吉原鉄道工業株式会社 転てつ器におけるフロントロツドの設定位置調整装置
JPH0752799A (ja) * 1993-07-27 1995-02-28 Railway Technical Res Inst 分岐器の先端鎖錠用接続装置
JP2003013401A (ja) * 2001-06-28 2003-01-15 East Japan Railway Co ゲージタイ
JP2004268772A (ja) 2003-03-10 2004-09-30 Yoshihara Tetsudo Kogyo Kk 分岐器転換鎖錠用フロントロッド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6801B1 (ko) 2010-12-30 2012-11-05 한국철도공사 철도 분기기용 거치식 롤러장치
KR101258535B1 (ko) 2011-07-28 2013-04-30 한국철도공사 철도분기기 조절간
KR20200009630A (ko) * 2018-07-19 2020-01-30 한국철도공사 철도분기기 길이조절용 조절간
KR102154318B1 (ko) * 2018-07-19 2020-09-09 한국철도공사 철도분기기 길이조절용 조절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6322B9 (ko) 2007-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35745B2 (en) Device for joining rails
KR20100108180A (ko) 레일 좌굴 방지용 보안장치
KR100706322B1 (ko) 레일 분기기의 조절간 설치구조
CA2884426C (en) Single bend rail
KR100866808B1 (ko) 분기기용 연동장치 구조 및 연동방법
US7735746B2 (en) Device for insolated joint for joining rails
US4637578A (en) Railroad frog having movable wing rails
KR100738591B1 (ko) 분기기용 잠금장치
KR100984846B1 (ko) 선로전환장치용 기억쇠
KR102154318B1 (ko) 철도분기기 길이조절용 조절간
JP7214582B2 (ja) 軌道融雪用ノズルの防護装置
US2548414A (en) Bending tool for rail bond conductors
US1788622A (en) Railway-track structure
KR200420420Y1 (ko) 철도교량의 침목체결구
KR20200003489A (ko) 유동방지간 아귀와샤
CN206308560U (zh) 外锁闭装置
KR200354598Y1 (ko) 시저스 분기기
KR102224226B1 (ko) 철도 분기기의 가드레일 지지용 t블록 및 이를 이용한 목침목 분기기 pc침목화 시공방법
KR101131585B1 (ko) 선로전환장치용 기억쇠
US20240167231A1 (en) Rail Brace Assembly
KR200256805Y1 (ko) 철도교량 침목 체결장치
KR100776265B1 (ko) 레일용 이음매장치 및 그 체결방법
KR100920338B1 (ko) 가동 브래킷 홀더
US732069A (en) Railway-rail track-bridge.
CN2601200Y (zh) 可调节式轨道电路过轨线紧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2

Year of fee payment: 8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2

Year of fee payment: 12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0001542;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70518

Effective date: 201811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13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14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5000064;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190621

Effective date: 20210127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200001155;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90104

Effective date: 202105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