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4226B1 - 철도 분기기의 가드레일 지지용 t블록 및 이를 이용한 목침목 분기기 pc침목화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철도 분기기의 가드레일 지지용 t블록 및 이를 이용한 목침목 분기기 pc침목화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4226B1
KR102224226B1 KR1020200135833A KR20200135833A KR102224226B1 KR 102224226 B1 KR102224226 B1 KR 102224226B1 KR 1020200135833 A KR1020200135833 A KR 1020200135833A KR 20200135833 A KR20200135833 A KR 20200135833A KR 102224226 B1 KR102224226 B1 KR 1022242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sleeper
guard
guard rail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5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한
권호진
김민환
임근태
박성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안
광주광역시도시철도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안, 광주광역시도시철도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안
Priority to KR1020200135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42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42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42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7/00Switches; Crossings
    • E01B7/20Safety means for switches, e.g. switch point protectors, auxiliary or guiding rail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9/00Laying, rebuilding, or taking-up tracks; Tools or machines therefor
    • E01B29/16Transporting, laying, removing, or replacing rails; Moving rails placed on sleepers in the track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5/00Rails; Guard rails; Distance-keeping means for them
    • E01B5/18Guard rails; Connecting, fastening or adjusting mea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201/00Fastening or restraining methods
    • E01B2201/04Fastening or restraining methods by bolting, nailing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chines For Laying And Maintaining Railw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도 분기기의 가드레일 지지용 T블록 및 이를 이용한 목침목 분기기 PC침목화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가드레일의 분리 및 설치 작업을 보다 안전하고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는 철도 분기기의 가드레일 지지용 T블록 및 이를 이용한 목침목 분기기 PC침목화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철도 분기기에 마련된 주레일과 가드레일의 사이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되, 주레일과 마주한 채로 밀착되는 제1측면과 가드레일과 마주한 채로 밀착되는 제2측면을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주레일과 가드레일 사이에 위치하면서 가드레일이 주레일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삽입형 지지부; 및 상기 삽입형 지지부의 상단부에 일체형의 구조로 형성되며, 주레일에 안착되는 제1저면과, 가드레일에 안착되는 제2저면을 포함하도록 형성된 거치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분기기의 가드레일 지지용 T블록 및 이용한 목침목 분기기 PC침목화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철도 분기기의 가드레일 지지용 T블록 및 이를 이용한 목침목 분기기 PC침목화 시공방법{T-block for supporting guard rail of turnout and a method of replacing sleepers of turnout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철도 분기기에 설치되어 있는 목침목을 PC침목으로 교체하는 과정에서 가드레일의 교체작업을 원활하고 안전하며 정밀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T블록 및 이를 이용한 목침목 분기기 PC침목화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철도선로에서 분기기(Turnout)는 열차 또는 차량을 한 궤도에서 타 궤도로 전이시키기 위하여 설치된 궤도상의 설비로서, 열차운영을 위한 철도 선로망을 구축하는데 있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설비의 하나이다.
이러한 분기기는 포인트부와 리드부 및 크로싱부로 이루어지며, 선로가 분기된 지점에 설치한 장치를 포인트부라 하고, 궤도가 완전히 분리되는 개소에 설치한 장치를 크로싱부라고 하며, 포인트부와 크로싱부를 연결한 부분을 리드부라 한다.
상기와 같은 분기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열차가 크로싱부를 지나는 과정에서 차륜이 궤도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가드레일이 주레일의 주변에 설치된다.
도 1은 가드레일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예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가드레일(20)은 주레일(10)의 인접한 곳에서 주레일(10)과 평행한 구조를 갖도록 배치되며, 침목에 고정되게 설치된 가드상판(30)에 주레일(10)과 함께 고정된다.
한편, 상기 가드레일(20)은 가드레일(20)과 가드상판(30)의 수직부(31)를 관통하여 너트(42)와 체결되는 볼트(41)에 의해 가드상판(30)에 고정되며, 수직부(31)와 너트(42)의 사이에는 주레일(10)과 가드레일(20)의 사이의 플랜지웨이폭(W)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조절판(50)이 설치된다.
이와 같이 설치된 가드레일(20)은 열차의 주행으로 인한 차륜과의 마찰로 인해 마모되며, 이로 인하여 플랜지웨이폭(W)이 서서히 넓어지면서 허용한도를 초과하게 될 경우, 차륜의 이탈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없게 되므로 가드레일(20)의 교체나 위치 조절이 요구된다.
또한, 분기기에 설치된 목침목의 노후화로 인하여 침목의 교체가 요구될 경우, 기 설치된 가드레일(20)을 분리하고 침목의 교체 후 다시 설치하는 작업이 요구된다.
한편, 가드레일(20)은 일정구간 주레일(10)을 따라 연장될 수 있도록 긴 길이를 가지며, 강철로 이루어져 상당한 무게를 갖는 중량물이므로 분리 및 조립 작업 시 상당한 주의와 어려움이 따른다.
특히, 가드레일(20)은 볼트(41)와 너트(42)의 체결에 의해 가드상판(30)에 고정되는 하단부 보다 차륜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주레일(10)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상단부의 무게가 큰 관계로 가드레일(20)의 분리를 위해 볼트(41)를 풀게 될 경우 상단부의 무게로 인해 가드레일(20)이 주레일(10) 방향(A)으로 기울어지는 현상이 발생되며, 마찬가지로, 가드레일(20)을 가드상판(30)에 설치할 경우에도 설치위치에 배치된 가드레일(20)은 상단부 무게로 인해 주레일(10) 방향(A)으로 기울어지는 현상이 발생된다.
가드레일(20)의 설치나 분리 과정에서 가드레일(20)이 기울어지는 현상이 발생될 경우, 작업자의 안전을 위협하게 될 뿐만 아니라, 볼트(41)가 관통하도록 가드레일(20)에 형성된 구멍과 가드상판(30)에 형성된 구멍이 어긋나게 되므로 볼트(41)의 설치나 해체 작업에 어려움이 따르게 된다.
따라서, 가드레일(20)의 설치 및 분리 시 가드레일(20)의 기울어짐에 대비하기 위한 별도의 인력이 필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2079295호(2020.02.19.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가드레일의 분리 및 설치 작업을 보다 안전하고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는 철도 분기기의 가드레일 지지용 T블록 및 이를 이용한 목침목 분기기 PC침목화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은 철도 분기기에 마련된 주레일과 가드레일의 사이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되, 주레일과 마주한 채로 밀착되는 제1측면과 가드레일과 마주한 채로 밀착되는 제2측면을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주레일과 가드레일 사이에 위치하면서 가드레일이 주레일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삽입형 지지부; 및 상기 삽입형 지지부의 상단부에 일체형의 구조로 형성되며, 주레일에 안착되는 제1저면과, 가드레일에 안착되는 제2저면을 포함하도록 형성된 거치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분기기의 가드레일 지지용 T블록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철도 분기기의 가드레일 지지용 T블록에 있어서, 상기 제1측면과 제2측면 중 적어도 한 측면은 삽입형 지지부가 상광하협(上廣下夾)의 사다리꼴 구조를 갖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철도 분기기의 목침목을 PC침목으로 갱환함에 있어서, 철도 차륜의 지지를 위하여 목침목에 설치된 레일을 목침목으로부터 분리하고, 목침목에 연결된 신호선 고정핀 및 신호박스 고정볼트를 제거하며, 목침목에 설치된 전철기를 분리하는 준비단계(S10); 철도 분기기에 설치된 목침목을 제거하는 목침목 제거단계(S20); 목침목이 제거된 자리에 PC침목을 설치하는 PC침목 설치단계(S30); PC침목에 철도 차륜의 지지를 위한 레일을 설치하는 레일 설치단계(S40);로 이루어지되, 상기 PC침목 설치단계(S30)에서 가드레일을 설치할 때, 상기 T블록의 삽입형 지지부가 주레일과 가드레일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가드레일과 T블록을 배치한 상태에서 가드레일을 가드상판에 고정하는 볼트의 체결작업을 실시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분기기의 가드레일 지지용 T블록을 이용한 목침목 분기기 PC침목화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철도 분기기의 가드레일 지지용 T블록을 이용한 목침목 분기기 PC침목화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준비단계(S10)에서 고정볼트가 제거된 신호박스는 레일의 리프트 작업에 대비하여 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도록 받침목으로 받치고, 고정핀이 제거된 신호선은 레일 상부에서 고정되도록 묶어 레일의 리프트 작업 시 신호선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철도 분기기의 가드레일 지지용 T블록을 이용한 목침목 분기기 PC침목화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PC침목 설치단계(S30)에서 PC침목의 설치공간 확보를 위한 레일의 리프트 시 전철기를 레일과 함께 리프트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철도 분기기의 가드레일 지지용 T블록을 이용한 목침목 분기기 PC침목화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레일 설치단계(S40)에서 텅레일과 리드레일의 사이에 형성되는 절연 이음부가 크로싱 보다 기본레일에 근접한 위치에 형성된 경우, 절연 이음부의 앞쪽에는 기본레일과 텅레일을 결속하는 체결부가 하나의 상판에 구비된 일체형 상판을 적용하고, 절연 이음부의 뒤쪽에는 주레일과 리드레일을 결속하는 체결부가 각각 구비된 분리형 상판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철도 분기기에 설치된 목침목을 PC침목으로 갱환하는 작업과정에서 가드레일의 분리 및 설치 작업을 보다 안전하고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목침목을 PC침목으로 갱환하는 과정에서 레일 및 신호 관련 부품(신호박스, 신호선)의 손상을 방지하여 레일과 신호박스 및 신호선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 은 가드레일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T블록의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T블록의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T블록이 주레일과 가드레일의 사이에 배치된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5 는 분기기의 평면 구조도,
도 6 은 'A'부 상세도,
도 7 은 신호선이 레일 상부에 고정된 상태를 보인 사진,
도 8 은 신호박스의 하부에 받침목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과 연계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T블록의 사시도를,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T블록의 단면도를,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T블록이 주레일과 가드레일의 사이에 배치된 상태를 보인 예시도를, 도 5는 분기기의 평면 구조도를, 도 6은 'A'부 상세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T블록(100)은 철도 분기기의 목침목을 PC침목으로 갱환하는 과정에서 주레일(10)과 가드레일(20)의 사이에 배치되어 가드레일(20)이 주레일(10)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삽입형 지지부(110)와 거치부(120)로 구성되며, 삽입형 지지부(110)와 거치부(120)는 일체형의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삽입형 지지부(110)는 주레일(10)과 가드레일(20)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가드레일(20)이 주레일(10)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부분으로, 주레일(10)의 측면부와 마주한 채로 밀착되는 제1측면(111)과, 가드레일(20)의 측면부와 마주한 채로 밀착되는 제2측면(112)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삽입형 지지부(110)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사각형의 횡단면을 가지며, 가드레일(20)과 마찬가지로 주레일(10)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된다.
한편, 주레일(10)과 가드레일(20)의 사이에 형성되는 플랜지웨이폭의 시공오차에 상관없이 오차에 상관없이 삽입형 지지부(110)의 제1측면(111)과 제2측면(112)이 주레일(10)과 가드레일(20)에 안정적으로 밀착될 수 있도록 제1측면(111)과 제2측면(112) 중 적어도 한 측면은 경사진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측면(111)과 제2측면(112) 중 적어도 한 측면은 삽입형 지지부(110)의 횡단면이 상광하협(上廣下夾)의 사다리꼴 구조를 갖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거치부(120)는 삽입형 지지부(110)가 주레일(10)과 가드레일(20)의 사이에 안정적으로 위치하도록 지지하는 것으로, 주레일(10)의 상면에 안착되는 제1저면(121)과, 가드레일(20)의 상면에 안착되는 제2저면(122)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거치부(120)는 수평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횡단면을 가지며, 삽입형 지지부(110)의 상부에 일체형의 구조로 형성되어 삽입형 지지부(110)와 함께 'T'자 형상의 횡단면을 갖는 T블록(100)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T블록(100)은 가드레일(20)의 분리 및 설치 작업 시에만 사용되는 것이므로, 강철 보다 가벼운 합성수지 등의 경량소재로 구성되어 취급의 편의성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T블록(100)을 이용한 본 발명에 따른 목침목 분기기 PC침목화 시공방법은 준비단계(S10), 목침목 제거단계(S20), PC침목 설치단계(S30), 레일 설치단계(S40)로 이루어진다.
상기 준비단계(S10)는 기존 레일 및 신호 관련 부품(신호선, 신호박스)이 침목의 교체과정에서 손상되지 않고 원래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목침목으로부터 분리하는 공정으로, 신호선과 신호박스 그리고 레일과 전철기(60)를 목침목으로 분리하는 것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목침목에 연결된 신호선 고정핀을 제거하고, 신호박스 고정볼트를 해체하며, 고정핀이 제거된 신호선이 목침목을 PC침목으로 교체하는 과정에서 손상되지 않도록 레일의 상부에 묶어 고정하고(도 7 참조), 신호박스의 하부로 별도의 받침목을 설치(도 8 참조)하여 레일의 리프트 과정에서 레일과 신호박스를 연결하는 신호선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분기기를 구성하도록 목침목에 설치된 기본레일(11), 주레일(10), 텅레일(12), 리드레일(13), 가드레일(20) 등의 레일을 목침목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하여 레일을 목침목에 고정하도록 설치된 공지의 탄성클립 및 레일 체결구를 목침목으로부터 분리하게 된다.
한편, 전철기(60)의 분리는 목침목에 박힌 나사스파이크를 제거하는 것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목침목 제거단계(S20)는 준비단계(S10)가 완료된 후 실시되는 공정으로, 목침목의 제거에 앞서 목침목의 해체 및 PC침목의 설치를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잭을 이용하여 레일을 리프트 시키는 작업이 선행된다.
한편, 레일의 리프트 작업 시 전철기(60)와 연결된 연결봉 또는 연결장치에 무리가 갈 수 있으므로 레일의 리프트 위치에 맞추어 전철기(60)를 함께 리프트 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리프트 작업을 통해 예정된 높이로 레일이 부상되면, 분기기에 설치된 모든 목침목을 제거하게 된다.
상기 PC침목 설치단계(S30)는 준비된 PC침목을 목침목이 제거된 자리에 삽입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레일 설치단계(S40)는 PC침목 상에 가드상판(30) 및 레일 체결구를 설치하고, 가드레일(20) 및 레일을 설치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PC침목에 설치된 가드상판(30)에 주레일(10)과 가드레일(20)을 설치함에 있어서, 주레일(10)을 먼저 설치하고, 가드레일(20)을 T블록(100)과 함께 설치위치에 배치한 상태에서 볼트체결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즉, 가드레일(20)을 설치위치에 배치하되, T블록(100)의 삽입형 지지부(110)가 주레일(10)과 가드레일(20)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T블록(100)을 배치하게 되면, 가드레일(20)이 주레일(10)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것이 방지됨에 따라 볼트 체결 작업을 안전하고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가드레일(20)을 설치함에 있어서, 주레일(10)과 가드레일(20)의 사이간격인 플랜지웨이폭의 조절이 요구될 경우, 조절판(50)이 이용될 수 있으며, 가드레일(20)을 고정하는 모든 볼트의 체결이 완료되면 T블록(100)은 제거된다.
한편, 텅레일(12)과 리드레일(13)의 사이에 형성되는 절연 이음부(J)가 크로싱(16) 보다 기본레일(11)에 근접한 위치에 형성되고, 절연 이음부(J)의 뒤쪽에서 기본레일(11)과 텅레일(12)이 하나의 상판에 설치된 경우, 기본레일(11)과 텅레일(12)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궤도 회로가 형성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텅레일(12)과 리드레일(13)의 사이에 형성되는 절연 이음부(J)가 크로싱(16) 보다 기본레일(11)에 근접한 위치에 형성될 경우, 절연 이음부(J)의 앞쪽에는 기본레일(11)과 텅레일(12)을 결속하는 체결부가 하나의 상판에 구비된 일체형 상판(30-1)을 적용하고, 절연 이음부(J)의 뒤쪽에는 주레일(10)과 리드레일(13)을 결속하는 체결부가 각각 구비된 분리형 상판(30-2)을 적용하여 주레일(10)과 리드레일(13)이 전기적으로 완전히 분리된 구조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모든 레일의 설치가 완료되면, 자갈 다짐과 함께 신호박스를 PC침목에 고정하고, 레일 상부에 묶어 두었던 신호선을 원위치에 돌려놓음으로써 목침목을 PC침목으로 갱환하는 작업을 완료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목침목 분기기 PC침목화 시공방법은 C형 가드레일은 H형 가드레일로 교체할 경우를 기준으로 한 것으로, 목침목 상에 H형 가드레일이 설치된 경우, H형 가드레일을 분리하는 과정에서 상기 T블록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주레일 11: 기본레일
12: 텅레일 13: 리드레일
16: 크로싱 20: 가드레일
30-1: 일체형 상판 30-2: 분리형 상판
110: 삽입형 지지부 111: 제1측면
112: 제2측면 120: 거치부
121: 제1저면 122: 제2저면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철도 분기기의 목침목을 PC침목으로 갱환함에 있어서,
    철도 차륜의 지지를 위하여 목침목에 설치된 레일을 목침목으로부터 분리하고, 목침목에 연결된 신호선 고정핀 및 신호박스 고정볼트를 제거하며, 목침목에 설치된 전철기(60)를 분리하는 준비단계(S10);
    철도 분기기에 설치된 목침목을 제거하는 목침목 제거단계(S20);
    목침목이 제거된 자리에 PC침목을 설치하는 PC침목 설치단계(S30);
    PC침목에 철도 차륜의 지지를 위한 레일을 설치하는 레일 설치단계(S40);로 이루어지되,
    상기 PC침목 설치단계(S30)에서 가드레일(20)을 설치할 때, 삽입형 지지부(110)와 거치부(120)가 구비된 철도 분기기의 가드레일 지지용 T블록(100)의 상기 삽입형 지지부(110)가 주레일(10)과 가드레일(20)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가드레일(20)과 T블록(100)을 배치한 상태에서 가드레일(20)을 가드상판(30)에 고정하는 볼트의 체결작업을 실시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분기기의 가드레일 지지용 T블록을 이용한 목침목 분기기 PC침목화 시공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준비단계(S10)에서 고정볼트가 제거된 신호박스는 레일의 리프트 작업에 대비하여 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도록 받침목으로 받치고, 고정핀이 제거된 신호선은 레일 상부에서 고정되도록 묶어 레일의 리프트 작업 시 신호선이 손상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분기기의 가드레일 지지용 T블록을 이용한 목침목 분기기 PC침목화 시공방법.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PC침목 설치단계(S30)에서 PC침목의 설치공간 확보를 위한 레일의 리프트 시 전철기(60)를 레일과 함께 리프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분기기의 가드레일 지지용 T블록을 이용한 목침목 분기기 PC침목화 시공방법.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레일 설치단계(S40)에서 텅레일(12)과 리드레일(13)의 사이에 형성되는 절연 이음부(J)가 크로싱(16) 보다 기본레일(11)에 근접한 위치에 형성된 경우, 절연 이음부(J)의 앞쪽에는 기본레일(11)과 텅레일(12)을 결속하는 체결부가 하나의 상판에 구비된 일체형 상판(30-1)을 적용하고, 절연 이음부(J)의 뒤쪽에는 주레일(10)과 리드레일(13)을 결속하는 체결부가 각각 구비된 분리형 상판(30-2)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분기기의 가드레일 지지용 T블록을 이용한 목침목 분기기 PC침목화 시공방법.
KR1020200135833A 2020-10-20 2020-10-20 철도 분기기의 가드레일 지지용 t블록 및 이를 이용한 목침목 분기기 pc침목화 시공방법 KR1022242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5833A KR102224226B1 (ko) 2020-10-20 2020-10-20 철도 분기기의 가드레일 지지용 t블록 및 이를 이용한 목침목 분기기 pc침목화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5833A KR102224226B1 (ko) 2020-10-20 2020-10-20 철도 분기기의 가드레일 지지용 t블록 및 이를 이용한 목침목 분기기 pc침목화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4226B1 true KR102224226B1 (ko) 2021-03-05

Family

ID=75163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5833A KR102224226B1 (ko) 2020-10-20 2020-10-20 철도 분기기의 가드레일 지지용 t블록 및 이를 이용한 목침목 분기기 pc침목화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422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56318A (ja) * 2002-11-07 2004-06-03 Nippon Kido Kogyo Kk バリアフリー型レール側方間隙閉塞構造、及びレール側方の間隙閉塞方法
JP2015193978A (ja) * 2014-03-31 2015-11-05 株式会社レールテック 分岐器トング位置調整具
KR102079295B1 (ko) 2019-09-23 2020-02-19 주식회사 세안 상승방지턱을 가진 분기기용 가드레일 체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56318A (ja) * 2002-11-07 2004-06-03 Nippon Kido Kogyo Kk バリアフリー型レール側方間隙閉塞構造、及びレール側方の間隙閉塞方法
JP2015193978A (ja) * 2014-03-31 2015-11-05 株式会社レールテック 分岐器トング位置調整具
KR102079295B1 (ko) 2019-09-23 2020-02-19 주식회사 세안 상승방지턱을 가진 분기기용 가드레일 체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1635601A (en) Hollow tie switch assembly
US9074325B2 (en) Portable temporary turnout system for rails
KR102224226B1 (ko) 철도 분기기의 가드레일 지지용 t블록 및 이를 이용한 목침목 분기기 pc침목화 시공방법
US11001973B2 (en) Apparatus and components for turnout/crossover section for railway track
KR102105230B1 (ko) 기존 철도선로와 철도운행을 유지하는 철도교량 시공방법
KR102079295B1 (ko) 상승방지턱을 가진 분기기용 가드레일 체결장치
EP1552063B1 (en) Turnout/crossover section for railway track
KR101912229B1 (ko) 철도용 레일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철도레일 보강방법
US8603376B1 (en) Railroad direct fixation tie covering system
WO2018193253A1 (en) A non-intrusive turnout system for a railway track
KR100319577B1 (ko) 고무보판 건널목 장치
KR102101169B1 (ko) 철도레일 처짐방지장치 및 그 시공방법
US2911154A (en) Rail connecting device
JP3396051B2 (ja) 簡易軌框防護桁装置
US4892249A (en) Railroad grade crossing with improved transverse spline and anchoring assembly
US4732320A (en) Railroad grade crossing with transverse securing splines
US5797565A (en) Railway diamond crossing
KR20170075480A (ko) 철도용 레일 지지장치
KR102661787B1 (ko) 열차운행선 작업자 안전을 위한 철도횡단 통로
KR102323489B1 (ko) 철도 건널목
KR102461246B1 (ko) 무도상 철도교량의 궤도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2497799B1 (ko) 철도 콘크리트 도상에 설치된 선로전환기 받침의 목침목을 콘크리트 블록으로 바꾸기 위한 교체 시공방법
JPH0449203Y2 (ko)
KR102298286B1 (ko) 현장 타설식 철도 콘크리트 도상 노후 목침목의 갱환방법
KR102497798B1 (ko) 철도 콘크리트 도상에 설치된 선로전환기 받침의 목침목을 선로전환기 받침판으로 바꾸기 위한 교체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