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8535B1 - 철도분기기 조절간 - Google Patents
철도분기기 조절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58535B1 KR101258535B1 KR1020110074915A KR20110074915A KR101258535B1 KR 101258535 B1 KR101258535 B1 KR 101258535B1 KR 1020110074915 A KR1020110074915 A KR 1020110074915A KR 20110074915 A KR20110074915 A KR 20110074915A KR 101258535 B1 KR101258535 B1 KR 10125853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ail
- tongue
- lead screw
- railway
- interv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7/00—Switches; Crossings
- E01B7/02—Tongues; Associated construc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5/00—Rails; Guard rails; Distance-keeping means for them
- E01B5/16—Distance keep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205/00—Electrical insulation of railway track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ailway Tracks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도분기기의 텅레일의 위치 변경 시 상기 텅레일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철도분기기 조절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상기 철도분기기 조절간은 연결부재 및 텅레일 간격유지 장치를 포함하고 있어, 상기 텅레일 간격유지 장치가 상기 연결부재를 따라 이동 가능함으로써, 철도의 운영 시에는 상기 텅레일 간격유지 장치가 상기 침목 사이에 위치하며, 도상다짐작업 및 보수작업 시 상기 텅레일 간격유지 장치가 상기 침목 상으로 이동하여 도상다짐작업 및 보수작업이 용이하도록 하는 철도분기기 조절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기본레일과 상기 기본레일로부터 분기되는 분기레일이 형성된 철로에서 상기 기본레일과 분기레일의 철도 선로를 변경하기 위하여, 상기 기본레일 사이에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텅레일과, 상기 텅레일과 기본레일 사이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철도선로를 변경하는 철도분기기에서, 상기 텅레일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기위하여 상기 텅레일 사이에 설치되는 철도분기기 조절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결부재 및 텅레일 간격유지 장치를 포함하고 있어, 상기 텅레일 간격유지 장치가 상기 연결부재를 따라 이동 가능함으로써, 유지와 보수가 용이한 철도분기기조절간에 관한 것이다.
철도분기기는 하나의 레일을 두 개로 분리시켜 선택적으로 이동시키거나 두 개의 레일을 하나의 레일로 병합시키는 구성요소로 철도를 구성함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구성요소이다.
상기 철도분기기는 기본레일(1)과 상기 기본레일(1)로부터 분기되는 분기레일이 형성된 철로에서 상기 기본레일(1)과 분기레일의 철도 선로를 변경하기 위하여, 상기 기본레일(1) 사이에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텅레일(2)과, 상기 텅레일(2)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철도분기기 조절간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철도분기기는 상기 기본레일(1)과 텅레일(2) 사이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철도선로를 변경한다.
또한, 철도분기기는 상기 기본레일(1), 분기레일, 텅레일(2)의 위치에 따라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인트부, 리드부, 크로싱부로 구성된다. 상기 포인트부는 분기가 시작되는 부분이며, 기본레일(1) 또는 분기레일로 열차를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리드부는 분기기의 중간부분에 위치하며, 포인트부의 후단부에 연결되어 열차가 기본레일(1) 또는 분기레일로 향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크로싱부는 철도분기기의 가장 후단에 위치하며 열차가 기본레일(1) 또는 분기레일로 완전히 분리 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철도분기기는 상기 포인트부에 위치한 상기 텅레일(2)과 기본레일(1) 사이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철도선로를 변경하며, 상기 텅레일(2)과 기본레일(1) 사이의 간격 조절을 위하여 텅레일(2)의 위치가 변경된다.
이 때, 상기 텅레일(2)의 위치 변경 시 상기 텅레일(2)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상기 텅레일(2)과 기본레일(1)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철도분기기 조절간이 설치된다.
또한, 철도 선로는 레일과 침목(3) 및 도상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침목(3)은 레일을 소정의 위치에 고정하도록 지지함과 동시에 차륜의 하중을 도상에 널리 분포시키기 위해 레일 하부에 깔아 놓은 목재 또는 콘크리트 재료이다.
또한, 도상은 철도 선로의 노반(路盤)과 침목(3) 사이의 자갈 ㅇ쇄석이 깔린 부분으로 철도의 궤도에서 침목(3)이 받는 차량의 무게를 노반(路盤)에 골고루 분산시켜 침목(3)의 이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와 같은 역할을 유지하기 위하여 주기적으로 도상다짐작업이 필요하다.
도 2a는 종래의 철도분기기 조절간(2000)(이하 선행기술1)을 나타낸 것이다.
도 2a를 참조하여 종래의 철도분기기 조절간(2000)을 설명한다.
종래의 철도 분기기 조절간(2000)은 상기 텅레일(2)과 연결되며 절곡된 판형태의 연결판(30)과, 상기 텅레일(2)의 길이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연결되어 텅레일(2)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간(50), 상기 간격간과 상기 연결판(30)을 연결하는 고정부재(40) 및 상기 간격간(50)에 결합되는 접속판(60) 및 절연판(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의 철도분기기 조절간(2000)은 상기 연결판(30)이 절곡된 형태를 가지므로 상기 텅레일(2)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설치되되, 침목(3) 사이의 도상에 인접하게 설치되었다. 이는 상기 철도분기기 조절간(2000)이 차륜의 하중을 견딤과 동시에 구조적 안정성을 가지기 위함이다.
하지만, 종래와 같이 철도분기기 조절간을 상기 침목(3)사이에 설치할 경우, 도상다짐작업 시 기계의 사용이 불가능하여 수작업으로 도상다짐작업이 이루어지며, 작업성이 좋지 않을 뿐 아니라 도상의 저항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선행기술1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것이 한국등록특허 0706322호("레일 분기기의 조절간 설치구조", 이하 선행기술2)로서 도 2b에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선행기술2의 철도분기기 조절간(2000')는 도상다짐작업 및 보수작업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철도분기기 조절간(2000')을 상기 침목(3) 상에 설치하였으며,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연결판(30')을 'T'자형 주조물로 대체하고, 상기 연결판(30')과 고정부재(40')를 결합하는 볼트(10')를 수평방향으로 결합하였다.
도 2b에 도시된 철도분기기 조절간은 상기 연결판(30')의 형상을 대체하고 볼트(10')의 결합 방향을 수평으로 변형시킴으로서 구조적 안정성을 어느 정도 향상시킬 수는 있지만, 상기 침목(3) 상에 위치하여 차륜의 하중에 의한 충격이 완화됨 없이 즉각적으로 전달되므로,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키는데 한계가 있으며 그 신뢰성이 높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인 철도분기기 조절간은 연결부재 및 텅레일 간격유지 장치를 포함하고 있어, 상기 텅레일 간격유지 장치가 상기 연결부재를 따라 이동 가능함으로써, 철도의 운영 시에는 상기 텅레일 간격유지 장치가 상기 침목 사이에 위치하며, 도상다짐작업 및 보수작업 시 상기 텅레일 간격유지 장치가 상기 침목 상으로 이동하여 도상다짐작업 및 보수작업이 용이하도록 하는 철도분기기 조절간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기본레일(1)과 상기 기본레일(1)로부터 분기되는 분기레일이 형성된 철로에서 상기 기본레일(1)과 분기레일의 철도 선로를 변경하기 위하여, 상기 기본레일(1) 사이에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텅레일(2)과, 상기 텅레일(2)과 기본레일(1) 사이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철도선로를 변경하는 철도분기기에서, 상기 텅레일(2)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기위하여 상기 텅레일(2) 사이에 설치되는 철도분기기 조절간에 있어서, 상기 철도분기기 조절간은 상기 텅레일(2) 사이의 내측방향에 구비되는 연결부재(100); 및 상기 텅레일(2)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텅레일(2)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위치 변경될 수 있도록 하는 텅레일 간격유지 장치(200);가 구비되되, 상기 텅레일 간격유지 장치(200)는 상기 연결부재(100)에 연결되어 상기 연결부재(100)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재(100)는 일측 방향이 개구되어 'ㄷ'자 형태의 단면을 가지며, 상기 연결부재(100)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상기 텅레일(2) 사이에 내측 방향으로 대항되도록 위치하고 상기 텅레일(2)에 밀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텅레일 간격유지 장치(200)는 상기 텅레일(2)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연결부재(100)에 내부에 연결되는 리드스크류(210); 상기 텅레일(2)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리드스크류(210)와 연결되어 상기 텅레일(2)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간(240); 상기 리드스크류(210)에 결합되어 상기 리드스크류(210)와 간격간(240)을 연결하며, 상기 간격간(240)이 상기 리드스크류(2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이동부재(220); 및 상기 리드스크류(210)에 결합되어 상기 이동부재(220)를 고정하는 고정부재(2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부재(230)는 복수개의 너트 및 와셔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텅레일 간격유지 장치(200)는 절연판(242)과 접속판(241)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상기 간격간(240)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철도분기기 조절간은 철도의 운영 시에는 상기 텅레일 간격유지 장치가 침목 사이에 위치하여 차륜의 하중을 견딤과 동시에 구조적 안정성을 가지며, 도상다짐작업 및 보수작업 시 상기 텅레일 간격유지 장치가 상기 침목 상으로 이동하여 도상다짐작업 및 보수작업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도상다짐작업 및 보수작업이 용이하여 열차의 주행 안정성을 확보하여 승차감 개선 및 운행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종래와 같이 상기 침목 사이에 철도분기기 조절간이 설치된 경우 수작업으로 도상다짐작업을 실시했으나, 본 발명인 철도분기기 조절간은 이동이 가능하여 기계의 사용이 가능하므로 도상다짐작업 및 보수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철도분기기의 전체 개략도.
도 2는 종래의 철도분기기 조절간
도 3은 본 발명인 철도분기기 조절간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철도분기기 조절간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인 철도분기기 조절간의 텅레일 간격유지 장치의 움직임을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인 철도분기기 조절간이 철도분기기에 설치되어 텅레일 간격유지 장치가 움직이는 것을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종래의 철도분기기 조절간
도 3은 본 발명인 철도분기기 조절간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철도분기기 조절간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인 철도분기기 조절간의 텅레일 간격유지 장치의 움직임을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인 철도분기기 조절간이 철도분기기에 설치되어 텅레일 간격유지 장치가 움직이는 것을 나타낸 평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과제 해결 수단 및 효과를 가진 본 발명인 철도분기기 조절간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철도분기기는 기본레일(1)과 상기 기본레일(1)로부터 분기되는 분기레일이 형성된 철로에서, 열차의 선로 변경을 위한 설비이다.
상기 철도분기기는 상기 기본레일(1)과, 상기 기본레일(1)로부터 분기되는 분기레일과, 철도 선로를 변경하기 위하여 상기 기본레일(1) 사이에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텅레일(2)로 이루어지며, 상기 철도분기기는 상기 텅레일(2)과 기본레일(1) 사이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열차의 선로를 변경한다.
본 발명은 철도분기기 조절간에 관한 것으로, 상기 철도분기기 조절간은 선로 변경을 위하여 상기 텅레일과 기본레일 사이의 간격조절 시 상기 텅레일(2)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기위하여 상기 텅레일(2) 사이에 설치되는 장치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철도분기기 조절간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을 참조로 본 발명의 철도분기기 조절간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인 철도분기기 조절간은 상기 텅레일(2) 사이에 위치하며 한 쌍의 텅레일(2)이 마주보는 측면에 설치되는 연결부재(100) 및 상기 텅레일(2)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텅레일(2)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위치 변경될 수 있도록 하는 텅레일 간격유지 장치(200)가 구비되되, 상기 텅레일 간격유지 장치(200)는 상기 연결부재(100)에 연결되어 상기 연결부재(100)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재(100)는 일측 방향이 개구되어 'ㄷ'자 형태의 단면을 가지며, 상기 연결부재(100)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상기 텅레일(2) 사이에 내측 방향으로 대항되도록 위치하고 상기 텅레일(2)에 밀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재(100)의 'ㄷ'자 형태는 단순히 'ㄷ'자 형으로 한정하지 않으며, 상기 텅레일 간격유지 장치(200)가 상기 연결부재(100)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목적에 벗어남 없이 변형 실시 가능하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100)를 상기 텅레일(2)에 고정하는 고정수단은 볼트(400) 일 수 있으며 상기 볼트(400)는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도상(4)에 수평방향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텅레일 간격유지 장치(200)는 상기 텅레일(2)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연결부재(100)에 내부에 연결되는 리드스크류(210); 상기 텅레일(2)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리드스크류(210)와 연결되어 상기 텅레일(2)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간(240); 상기 리드스크류(210)에 결합되어 상기 리드스크류(210)와 간격간(240)을 연결하며, 상기 간격간(240)이 상기 리드스크류(2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이동부재(220); 및 상기 리드스크류(210)에 결합되어 상기 이동부재(220)를 고정하는 고정부재(230);을 포함한다.
상기 리드스크류(210)는 상기 연결부재(100)의 내부에 연결되며, 상기 리드스크류(210)와 연결부재(100)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수단은 너트일 수 있다.
상기 이동부재(220)는 일정영역에 삽입홀(221)이 중공되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홀(221)은 상기 이동부재(220)가 상기 리드스크류(2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철도분기기 조절간은 상기 이동부재(220)와 간격간(240)을 결합하는 결합부재(50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500)는 일측이 상기 이동부재(220)와 연결되고, 타측에 상기 간격간(240)과 연결될 수 있도록 내측에 오목하게 형성된 삽입홈이 존재하며, 상기 삽입홈은 내주면에 나사홈이 형성되어, 둘레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상기 간격간(240)과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500)와 이동부재(220)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은 볼트(300) 및 너트(40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230)는 제1너트(231), 제1와셔(232), 제2너트(234) 및 제2와셔(2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텅레일 간격유지 장치(200)는 절연판(242)과 접속판(241)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상기 간격간(240)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연판(242)과 접속판(241)을 고정하는 고정수단은 너트 및 볼트(400)일 수 있으며, 상기 절연판(242)과 접속판(241)을 간격간(240)에 고정하는 목적에 벗어남 없이 변형실시 가능하다.
도 4는 상기 연결부재(100)와 텅레일 간격유지 장치(200)의 결합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연결부재(100)와 텅레일 간격유지 장치(200)의 결합관계에 대하여 서술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리드스크류(210)에 결합된 상기 이동부재(220)를 고정하는 고정부재(230)는 복수개의 너트 및 와셔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텅레일 간격유지 장치(200)는 리드스크류(210)에 이동부재(220)와 상기 제1너트(231), 제2너트(234), 제1와셔(232) 및 제2와셔(233)를 포함하는 고정부재(230)가 결합되며, 상기 텅레일 간격유지 장치(200)는 제1너트(231), 제1와셔(232), 이동부재(220), 제2와셔(233), 제2너트(234)의 순서로 상기 리드스크류(210)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인 철도분기기 조절간(1000)이 이동하는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인 철도분기기 조절간(1000)이 철로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로 본 발명인 철도분기기 조절간(1000)의 이동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철도분기기 조절간(1000)은 철도 운행 시, 도 6a과 같이 상기 침목(3) 사이 공간, 즉 도상(4)에 상기 텅레일 간격유지 장치(200)가 위치되며, 도상다짐작업 및 보수작업 시, 도 6b과 같이 상기 침목(3) 위에 상기 텅레일 간격유지 장치(200)가 위치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텅레일 간격유지 장치(200)가 상기 도상(4)에서 상기 침목(3)으로 이동되는 경우, 먼저, 본 발명의 철도분기기 조절간(1000)은 상기 리드스크류(210)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제1너트(231)가 일측에서 타측으로 해제되어 이동되며, 그 다음 제1와셔(232), 이동부재(220), 제2와셔(233), 제2너트(234)가 순차적으로 이동된다.
반대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텅레일 간격유지 장치(200)가 상기 침목(3)에서 상기 도상(4)으로 이동되는 경우, 먼저, 본 발명의 철도분기기 조절간(1000)은 상기 리드스크류(210)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제2너트(234)가 타측에서 일측으로 해제되어 이동되며, 그 다음 제2와셔(233), 이동부재(220), 제1와셔(232), 제1너트(231)가 순차적으로 이동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230)는 복수개의 너트 및 와셔에 한정하지 않으며, 상기 이동부재(220)를 고정하는 목적에 벗어남 없이 변형실시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0 : 철도분기기 조절간
100 : 연결부재 200 : 텅레일 간격유지 장치
210 : 리드스크류 220 : 이동부재
221 : 삽입홀 230 : 고정부재
231 : 제1너트 232 : 제1와셔
233 : 제2와셔 234 : 제2너트
240 : 간격간 241 : 접속판
242 : 절연판 300 : 볼트
400 : 너트 500 : 결합부재
Claims (5)
- 기본레일(1)과, 상기 기본레일(1)로부터 분기되는 분기레일과, 상기 기본레일(1)과 분기레일의 철도 선로를 변경하기 위하여 상기 기본레일(1) 사이에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텅레일(2)로 이루어지며, 상기 텅레일(2)과 기본레일(1) 사이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철도선로를 변경하는 철도분기기에서,
상기 텅레일(2)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기위하여 상기 텅레일(2) 사이에 설치되는 철도분기기 조절간(1000)에 있어서,
상기 철도분기기 조절간(1000)은
상기 텅레일(2) 사이의 내측방향에 구비되는 연결부재(100); 및
상기 텅레일(2)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텅레일(2)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위치 변경될 수 있도록 하는 텅레일 간격유지 장치(200);가 구비되되,
상기 텅레일 간격유지 장치(200)는 상기 연결부재(100)에 연결되어 상기 연결부재(100)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분기기 조절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100)는
일측 방향이 개구되어 'ㄷ'자 형태의 단면을 가지며, 한 쌍으로 구성되어 상기 텅레일(2) 사이에 내측 방향으로 대항되도록 위치하고, 상기 텅레일(2)에 밀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분기기 조절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텅레일 간격유지 장치(200)는
상기 텅레일(2)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연결부재(100)에 내부에 연결되는 리드스크류(210);
상기 텅레일(2)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리드스크류(210)와 연결되어 상기 텅레일(2)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간(240);
상기 리드스크류(210)에 결합되어 상기 리드스크류(210)와 간격간(240)을 연결하며, 상기 간격간(240)이 상기 리드스크류(2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이동부재(220); 및
상기 리드스크류(210)에 결합되어 상기 이동부재(220)를 고정하는 고정부재(2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분기기 조절간.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230)는 복수개의 너트 및 와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분기기 조절간.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텅레일 간격유지 장치(200)는 절연판(242)과 접속판(241)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상기 간격간(240)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분기기 조절간.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74915A KR101258535B1 (ko) | 2011-07-28 | 2011-07-28 | 철도분기기 조절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74915A KR101258535B1 (ko) | 2011-07-28 | 2011-07-28 | 철도분기기 조절간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13331A KR20130013331A (ko) | 2013-02-06 |
KR101258535B1 true KR101258535B1 (ko) | 2013-04-30 |
Family
ID=47893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74915A KR101258535B1 (ko) | 2011-07-28 | 2011-07-28 | 철도분기기 조절간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58535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740Y1 (ko) | 2002-10-07 | 2003-01-14 | 김태명 | 선로전환장치의 텅레일 연결용 절연조인트 |
KR100706322B1 (ko) | 2005-12-24 | 2007-04-13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레일 분기기의 조절간 설치구조 |
-
2011
- 2011-07-28 KR KR1020110074915A patent/KR101258535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740Y1 (ko) | 2002-10-07 | 2003-01-14 | 김태명 | 선로전환장치의 텅레일 연결용 절연조인트 |
KR100706322B1 (ko) | 2005-12-24 | 2007-04-13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레일 분기기의 조절간 설치구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13331A (ko) | 2013-02-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1360864A (zh) | 钢轨安装系统 | |
KR20140056834A (ko) | 매립형 궤도를 구성하는 레일의 선형설정을 위한 레일 조립대 | |
US9206556B2 (en) | Elevated frog and rail crossing track assembly | |
KR20120002915A (ko) | 전철기의 첨단 레일용 롤러 장치 | |
KR101678589B1 (ko) | 탄성체 전용 트램 궤광조립대 | |
AU2007260579B2 (en) | Rail track crossing | |
CN201962557U (zh) | 一种铁路无砟轨道跨越线下结构缝板式结构 | |
DK151817B (da) | Fremgangsmaade til fremstilling af en plan overgang for en vej, hvor denne krydser et jernbanespor | |
KR100866808B1 (ko) | 분기기용 연동장치 구조 및 연동방법 | |
CA2851890C (en) | Vehicle line | |
KR101258535B1 (ko) | 철도분기기 조절간 | |
KR100948279B1 (ko) | 레일조정장치를 구비한 매립식 철도궤도 구조 | |
KR101057006B1 (ko) | 철도분기기용 철관연동장치 및 연동방법 | |
JP6781682B2 (ja) | まくらぎ直結軌道の施工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軌きょう支承装置 | |
BG2112U1 (bg) | Релсово скрепление за дървени траверси | |
JP2016169528A (ja) | 横断角度対応枕木 | |
KR100927825B1 (ko) | 도상콘크리트의 횡단배수로 거푸집 | |
CN201406612Y (zh) | 横向可调预应力单元轨道板 | |
CN203654097U (zh) | 一种扣件结构及使用该扣件结构的曲线道岔 | |
RU190499U1 (ru) | Универса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еспечения безопасности движения и уменьшения бокового износа рельсов | |
KR100906684B1 (ko) | 측방 안내방식 고무차륜형 경량전철 안내레일 체결시스템 | |
WO2020049156A3 (de) | Weichenanordnung mit elastisch gelagerten weichentragplatten | |
CN102182119A (zh) | 一种铁路无砟轨道跨越线下结构缝结构 | |
KR100927826B1 (ko) | 도상콘크리트의 횡단배수로 거푸집 | |
KR100927827B1 (ko) | 도상콘크리트의 횡단배수로 거푸집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