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6808B1 - 분기기용 연동장치 구조 및 연동방법 - Google Patents

분기기용 연동장치 구조 및 연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6808B1
KR100866808B1 KR1020060138386A KR20060138386A KR100866808B1 KR 100866808 B1 KR100866808 B1 KR 100866808B1 KR 1020060138386 A KR1020060138386 A KR 1020060138386A KR 20060138386 A KR20060138386 A KR 20060138386A KR 100866808 B1 KR100866808 B1 KR 1008668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int
crossing
fixed
train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8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62496A (ko
Inventor
박춘복
황광하
이영수
박광련
유응대
Original Assignee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383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6808B1/ko
Publication of KR20080062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24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68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68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5/00Local operating mechanisms for points or track-mounted scotch-blocks; Visible or audible signals; Local operating mechanisms for visible or audible signals
    • B61L5/02Mechanical devices for operating points or scotch-blocks, e.g. local manual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5/00Local operating mechanisms for points or track-mounted scotch-blocks; Visible or audible signals; Local operating mechanisms for visible or audible signals
    • B61L5/02Mechanical devices for operating points or scotch-blocks, e.g. local manual control
    • B61L5/026Mechanical devices for operating points or scotch-blocks, e.g. local manual control fixing switch-rails to the driv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7/00Remote control of local operating means for points, signals, or track-mounted scotch-blocks
    • B61L7/02Remote control of local operating means for points, signals, or track-mounted scotch-blocks using mechanical transmission, e.g. wire, leve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7/00Switches; Crossings
    • E01B7/22Special sleepers for switches or crossings; Fasten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7/00Switches; Crossings
    • E01B7/28Cros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ailway Tracks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철기에 간류를 부착하여 텅레일의 포인트 외에 2곳 이상의 지지점을 더 설치하여 전철기가 한번 작동시 전달력이 간류를 통하여 전달되어 동시에 텅레일을 이동시킴으로써 고른 밀착과 궤간 확보가 가능하며, 지형에 상관없이 침목 중앙에 연동장치를 부착하여 텅레일의 고른 밀착 및 노즈레일의 전환을 용이하도록 한 분기기용 연동장치 구조 및 연동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분기기용 연동장치는 한 쌍의 평행한 기본레일 사이에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텅레일을 상기 어느 일측 기본레일에 밀착시켜 선로를 변경시키는 연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동장치는 기본레일의 외측에 설치되는 전철기와; 상기 전철기의 일측에 연결 고정되는 제1포인트 연결부와; 상기 제1포인트 연결부의 타측에 연결 고정되는 포인트 가이드와; 상기 포인트 가이드의 일측에 연결 고정되는 제2포인트 연결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분기기용 연동장치 구조는 크로싱부의 가동크로싱의 노즈부를 밀착시켜 선로를 변경시키는 연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동장치는 크로싱부의 가동노즈부 외측에 설치되는 전철기와; 상기 전철기의 일측에 연결 고정되는 제1크로싱 연결부와; 상기 제1크로싱 연결부의 타측에 연결 고정되는 크로싱 가이드와; 상기 크로싱 가이드의 일측에 연결 고정되는 제2크로싱 연결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분기기용 연동장치 연동방법은 한 쌍의 평행한 기본레일 사이에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텅레일을 상기 어느 일측 기본레일에 밀착시켜 선로를 변경시키는 분기기용 연동장치 연동방법에 있어서, 상기 연동장치는 기본레일의 외측에 설치되는 전철기와; 상기 전철기의 일측에 연결 고정되는 제1포인트 연결부와; 상기 제1포인트 연결부의 타측에 연결 고정되는 포인트 가이드와; 상기 포인트 가이드의 일측에 연결 고정되는 제2포인트 연결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포인트 연결부 또는 제2포인트 연결부에는 포인트의 길이에 따라 다수개의 포인트 연결부를 연결 설치하며, 상기 연동장치는 포인트의 침목 중앙, 직선측 구간, 곡선측 구간중 어느 하나의 구간에 설치하며, 상기 전철기는 포인트의 길이에 따라 적어도 2대 이상을 설치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분기기용 연동장치 연동방법은 크로싱부의 가동크로싱의 노즈부를 밀착시켜 선로를 변경시키는 연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동장치는 크로싱부의 가동노즈부 외측에 설치되는 전철기와; 상기 전철기의 일측에 연결 고정되는 제1크로싱 연결부와; 상기 제1크로싱 연결부의 타측에 연결 고정되는 크로싱 가이드와; 상기 크로싱 가이드의 일측에 연결 고정되는 제2크로싱 연결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크로싱 연결부 또는 제2크로싱 연결부에는 크로싱의 길이에 따라 다수개의 크로싱 연결부를 연결 설치하며, 상기 연동장치는 크로싱의 직선측 구간 또는 곡선측 구간에 설치하며, 상기 전철기는 크로싱의 길이에 따라 적어도 2대 이상을 설치함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R1020060138386
분기기, 연동장치, 포인트, 크로싱

Description

분기기용 연동장치 구조 및 연동방법{The interlocking device structure for turnout, and the interlocking metho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기기용 포인트 연동장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1,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기기용 포인트 연동장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2,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기기용 포인트 연동장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3,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기기용 포인트 연동장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4,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분기기용 포인트 연동장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5,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분기기용 포인트 연동장치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분기기용 크로싱 연동장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1,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분기기용 크로싱 연동장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2,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분기기용 크로싱 연동장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3,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분기기용 크로싱 연동장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4,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분기기용 연동장치 구조의 파이프 조립상태를 도시한 조립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분기기용 연동장치 구조의 가이드롤러 조립 상태를 도시한 조립도,
도 13은 도 12의 "A" 부분을 확대 도시한 상세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분기기용 연동장치 구조의 트랜스미션가이드를 도시한 정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분기기용 연동장치 구조의 트랜스미션가이드를 도시한 측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분기기용 연동장치 구조의 트랜스미션가이드를 도시한 평면도,
도 17은 도 16의 A-A선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본기기용 연동장치 구조의 인터커넥팅스탠드를 도시한 정면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분기기용 연동장치 구조의 인터커넥팅스탠드를 도시한 측면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분기기용 연동장치 구조의 인터커넥팅스탠드를 도시한 평면도,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분기기용 연동장치 구조의 스페이싱바를 도시한 평면도,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분기기용 연동장치 구조의 스페이싱바를 도시한 측면도,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분기기용 연동장치 구조의 스퀘어바를 도시한 평면도,
도 24는 도 23의 B-B선 단면도,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분기기용 연동장치 구조의 스퀘어바를 도시한 측면도,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분기기용 연동장치 구조의 브라켓을 도시한 정면도,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분기기용 연동장치 구조의 브라켓을 도시한 측면도,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분기기용 연동장치 구조의 브라켓을 도시한 평면도,
도 29는 본 발명에 따른 분기기용 연동장치 구조의 가이드베어링을 도시한 정면도,
도 30은 본 발명에 따른 분기기용 연동장치 구조의 가이드베어링을 도시한 측면도,
도 31은 본 발명에 따른 분기기용 연동장치 구조의 가이드베어링을 도시한 v평면도,
도 32는 본 발명에 따른 분기기용 연동장치 구조의 베어링을 도시한 정면도,
도 33은 본 발명에 따른 분기기용 연동장치 구조의 베어링을 도시한 측면도,
도 34는 본 발명에 따른 분기기용 연동장치 구조의 베어링을 도시한 평면도,
도 35는 본 발명에 따른 분기기용 연동장치 구조의 보강판를 도시한 정면도,
도 36은 본 발명에 따른 분기기용 연동장치 구조의 보강판를 도시한 측면도,
도 37은 본 발명에 따른 분기기용 연동장치 구조의 보강판을 도시한 평면도,
도 38은 본 발명에 따른 분기기용 연동장치 구조의 스크류로드를 도시한 평면도,
도 39는 도 38의 C-C선 단면도,
도 40은 본 발명에 따른 분기기용 연동장치 구조의 너트와 커플링이 구비된 스크류로드를 도시한 정면도,
도 41은 도 40의 E-E선 단면도,
도 42는 도 40의 F-F선 단면도,
도 43은 본 발명에 따른 분기기용 연동장치 구조의 너트와 커플링이 구비된 스크류로드를 도시한 평면도,
도 44는 본 발명에 따른 분기기용 연동장치 구조의 첨단부 전철기를 도시한 평면도,
도 45는 본 발명에 따른 분기기용 연동장치 구조의 크로싱 전철기를 도시한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텅레일, 가드레일 12: 트랜스미션가이드
14: 가이드롤러 16: 스페이싱바
18: 상판 20: 볼트
22: 벨크랭크베어링 24: 가이드베어링
26: 침목 28: 인터커넥팅스탠드
30: 스퀘어바 32: 스크류로드
34: 로드엔드 36: 체결핀
38: 전철기 40: 너트
42: 침목나사 44: 브라켓
46: 베어링 48: 보강판
50: 기본레일, 주레일 52: 연결간
54: 연결봉 56: 커넥팅플레이트
A: 제1포인트 연결부 B: 포인트 가이드
C: 제2포인트 연결부 D: 제1크로싱 연결부
E: 크로싱 가이드 F: 제2크로싱 연결부
G: 제3크로싱 연결부 I: 연동장치
N: 노즈부 W: 윙레일
본 발명은 분기기용 연동장치 구조 및 연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철기에 간류를 부착하여 텅레일의 포인트 외에 2곳 이상의 지지점을 더 설치하여 전철기가 한번 작동시 전달력이 간류를 통하여 전달되어 동시에 텅레일을 이동시키는 분기기용 연동장치 구조 및 연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동장치는 선로의 기본레일 상을 주행하는 철도차량이 원하는 방향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그 진로를 변경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연동장치는 선로의 외측에 구비된 수동식 또는 기계식 및 전기 (전철기)를 이용하여 기본레일의 내측에 설치된 텅레일을 좌우로 이동시켜서 한 쌍의 기본레일 중 어느 일측 기본레일에 텅레일을 밀착시킴으로써, 철도차량의 진로변경이 가능하다.
종래의 연동장치는 기본레일의 외측에 구비되며, 텅레일을 좌우 이동시켜 선로를 전환하는 전철기와 상기 텅레일에 결합되어 상호 대향하는 기억쇠와, 상기 기억쇠 사이에 개재되며 텅레일의 밀착 조절 또는 쇄정조절이 가능한 연결간과, 상기 연결간과 기억쇠를 연결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간과 기억쇠를 연결하는 스크류조를 구비하는 텅레일 연결부와; 상기 텅레일 연결부와 전철기를 연결하는 접속간과; 상기 텅레일 연결부의 상부측에 구비되어 한 쌍의 텅레일을 연결하며, 동작간에 의해 전철기와 연결되어 텅레일을 이동시키는 수단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연동장치는 접속간의 일단이 연결간의 중심부에 연결되기 때문에 텅레일의 밀착조절 또는 쇄정조절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선로 상에서 작업을 하므로 철도차량에 의한 인명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간에서 쇄정조절작업을 할 때는 전철기의 쇄정작동부를 확인하면서 작업을 하는데, 연결간과 전철기의 쇄정작동부 사이는 거리가 멀어, 작업자 혼자서 쇄정조절 작업을 하는 것이 상당히 불편하고, 이에 따라 많은 수의 작업자가 투입되므로 유지관리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연결간이 침목보다 상향으로 돌출되기 때문에 작업자가 선로상을 보행하거나 또는 작업할 때 특히 야간작업시 텅레일 연결부에 발이 걸림으로써 인명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고, 철도차량이 선로 상에서 상향으로 돌출된 연결간을 통과할 때 철도차량의 하부 또는 그 하측부에 설치된 부품이 연결간과 부딪혀 사고가 발생되어 연동장치 및 철도차량이 파손됨으로써 유지관리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종래의 연동장치는 선로에 연동장치를 위한 별도의 설치 공간이 필요하며, 지형적으로 협소한 선로구간에는 연동장치의 설치가 불가능하며, 침목 외측에 연동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가 필요하며, 전철기(직선측, 곡선측 부착)에 따라 연동장치의 설치 및 유지보수가 상당히 어려우며, 텅레일의 길이가 긴 경우에는 연결간 수량 및 길이가 길어져 전환력 손실이 크게 발생되어 텅레일의 밀착력이 떨어지는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전철기에 간류를 부착하여 텅레일의 포인트 외에 2곳 이상의 지지점을 더 설치하여 전철기가 한번 작동시 전달력이 간류를 통하여 전달되어 동시에 텅레일을 이동시킴으로써 고른 밀착과 궤간 확보가 가능하며, 지형에 상관없이 침목 중앙에 연동장치를 부착하여 텅레일의 고른 밀착 및 노즈레일의 전환을 용이하도록 한 분기기용 연동장치 구조 및 연동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분기기용 연동장치는 한 쌍의 평행한 기본레일 사이에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텅레일을 상기 어느 일측 기본레일에 밀착시켜 선로를 변경시키는 연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동장치는 기본레일의 외측에 설치되는 전철기와; 상기 전철기의 일측에 연결 고정되는 제1포인트 연결부와; 상기 제1포인트 연결부의 타측에 연결 고정되는 포인트 가이드와; 상기 포인트 가이드의 일측에 연결 고정되는 제2포인트 연결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분기기용 연동장치 구조는 크로싱부의 가동크로싱의 노즈부를 밀착시켜 선로를 변경시키는 연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동장치는 크로싱부의 가동노즈부 외측에 설치되는 전철기와; 상기 전철기의 일측에 연결 고정되는 제1크로싱 연결부와; 상기 제1크로싱 연결부의 타측에 연결 고정되는 크로싱 가이드와; 상기 크로싱 가이드의 일측에 연결 고정되는 제2크로싱 연결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분기기용 연동장치 연동방법은 한 쌍의 평행한 기본레일 사이에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텅레일을 상기 어느 일측 기본레일에 밀착시켜 선로를 변경시키는 분기기용 연동장치 연동방법에 있어서, 상기 연동장치는 기본레일의 외측에 설치되는 전철기와; 상기 전철기의 일측에 연결 고정되는 제1포인트 연결부와; 상기 제1포인트 연결부의 타측에 연결 고정되는 포인트 가이드와; 상기 포인트 가이드의 일측에 연결 고정되는 제2포인트 연결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포인트 연결부 또는 제2포인트 연결부에는 포인트의 길이에 따라 다수개의 포인트 연결부를 연결 설치하며, 상기 연동장치는 포인트의 침목 중앙, 직선측 구간, 곡선측 구간중 어느 하나의 구간에 설치하며, 상기 전철기는 포인트의 길이에 따라 적어도 2대 이상을 설치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분기기용 연동장치 연동 방법은 크로싱부의 가동크로싱의 노즈부를 밀착시켜 선로를 변경시키는 연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동장치는 크로싱부의 가동노즈부 외측에 설치되는 전철기와; 상기 전철기의 일측에 연결 고정되는 제1크로싱 연결부와; 상기 제1크로싱 연결부의 타측에 연결 고정되는 크로싱 가이드와; 상기 크로싱 가이드의 일측에 연결 고정되는 제2크로싱 연결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크로싱 연결부 또는 제2크로싱 연결부에는 크로싱의 길이에 따라 다수개의 크로싱 연결부를 연결 설치하며, 상기 연동장치는 크로싱의 직선측 구간 또는 곡선측 구간에 설치하며, 상기 전철기는 크로싱의 길이에 따라 적어도 2대 이상을 설치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분기기용 연동장치 구조는 한 쌍의 평행한 기본레일(50) 사이에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텅레일(10)을 상기 어느 일측 기본레일(50)에 밀착시켜 선로를 변경시키는 연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동장치(I)는 기본레일(50)의 외측에 설치되는 전철기(38)와; 상기 전철기(38)의 일측에 연결 고정되는 제1포인트 연결부(A)와; 상기 제1포인트 연결부(A)의 타측에 연결 고정되는 포인트 가이드(B)와; 상기 포인트 가이드(B)의 일측에 연결 고정되는 제2포인트 연결부(C)로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분기기용 연동장치 구조는 전철기(38), 제1포인트 연결부(A), 포인트 가이드(B) 및 제2포인트 연결부(C)가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진 장치이다.
여기서, 상기 제1포인트 연결부(A)는 텅레일(10)에 일측 및 타측이 고정 설치되며, 가늘고 긴 바형상으로 이루어진 연결간(52)과, 상기 연결간(52)에 힌지로 연결되며, 봉 형상으로 이루어진 연결봉(54)과, 상기 연결봉(54)에 일측이 힌지로 연결되며, 직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가운데에 볼트가 체결된 스퀘어바(30)와, 상기 스퀘어바(30)의 중앙에 볼트에 의해서 고정 설치되며, 중앙에 스퀘어바(30)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핀이 형성된 인터커넥팅스탠드(28)와, 상기 인터커넥팅스탠드(28)와 일측상면이 연결되고, 타측은 침목(26) 일측에 나사스파이크로 고정 설치되는 벨크랭크베어링(22)과, 상기 벨크랭크베어링(22)에 일측이 볼트 결합되며 사각판으로 이루어진 보강판(48)과, 상기 보강판(48)에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이 전철기(38)가 위치된 침목(26) 반대편 위치의 침목(26) 상에 나사스파이크로 고정되는 베어링(46)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포인트 가이드(B)는 하단 양측부에 지지발을 가지면서 상단부가 서로 대칭되는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진 트랜스미션가이드(12)와, 상기 트랜스미션가이드(12)가 안착되도록 평활면을 가지면서 일측이 돌출 형성된 가이드베어링(24)과, 상기 트랜스미션가이드(12)를 가로질러 연결 설치되면서 긴 봉형상으로 이루어진 스페이싱바(16)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포인트 연결부(C)는 텅레일(10)에 일측 및 타측이 고정 설치되며, 가늘고 긴 바형상으로 이루어진 연결간(52)과, 상기 연결간(52)에 힌지로 연결되며, 봉 형상으로 이루어진 연결봉(54)과, 상기 연결봉(54)에 일측이 힌지로 연결되며, 직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가운데에 볼트가 체결된 스퀘어바(30)와, 상기 스퀘어바(30)의 중앙에 볼트에 의해서 고정 설치되며, 중앙에 스퀘어바(30)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핀이 형성된 인터커넥팅스탠드(28)와, 상기 인터커넥팅스탠드(28)와 일측상면이 연결되고, 타측은 침목(26) 일측에 나사스파이크로 고정 설치되는 벨크랭크베어링(22)과, 상기 벨크랭크베어링(22)에 일측이 볼트 결합되며 사각판으로 이루어진 보강판(48)과, 상기 보강판(48)에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이 전철기(38)가 위치된 침목(26) 반대편 위치의 침목(26) 상에 나사스파이크로 고정되는 베어링(46)과, 상기 스퀘어바(30)의 일측이 삽입되고, 타측은 너트가 체결되고, 중앙이 상향으로 돌출 형성된 스크류로드(32)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제1포인트 연결부(A) 또는 제2포인트 연결부(C)에는 포인트의 길이에 따라 다수개의 포인트 연결부가 연결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분기기용 연동장치 연동방법은 한 쌍의 평행한 기본레일(50) 사이에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텅레일(10)을 상기 어느 일측 기본레일(50)에 밀착시켜 선로를 변경시키는 분기기용 연동장치 연동방법에 있어서, 상기 연동장치(I)는 기본레일(50)의 외측에 설치되는 전철기(38)와; 상기 전철기(38)의 일측에 연결 고정되는 제1포인트 연결부(A)와; 상기 제1포인트 연결부(A)의 타측에 연결 고정되는 포인트 가이드(B)와; 상기 포인트 가이드(B)의 일측에 연결 고정되는 제2포인트 연결부(C)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포인트 연결부(A) 또는 제2포인트 연결부(C)에는 포인트의 길이에 따라 다수개의 포인트 연결부를 연결 설치하며, 상기 연동장치(I)는 포인트의 침목(26) 중앙, 직선측 구간, 곡선측 구간 중 어느 하나의 구간에 설치하며, 상기 전철기(38)는 포인트의 길이에 따라 적어도 2대 이상을 설치한다.
[실시예]
한편,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분기기용 연동장치 구조는 크로싱부(C)의 가동크로싱의 노즈부(N)를 밀착시켜 선로를 변경시키는 연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동장치(I)는 크로싱부(C)의 가동 크로싱의 노즈부(N)의 외측에 설치되는 전철기(38)와; 상기 전철기(38)의 일측에 연결 고정되는 제1크로싱 연결부(D)와; 상기 제1크로싱 연결부(D)의 타측에 연결 고정되는 크로싱 가이드(E)와; 상기 크로싱 가이드(E)의 일측에 연결 고정되는 제2크로싱 연결부(F)로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분기기용 연동장치 구조는 전철기(38), 제1크로싱 연결부(D), 크로싱 가이드(E) 및 제2크로싱 연결부(F)가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진 장치이다.
여기서, 상기 제1크로싱 연결부(D)는 전철기(38)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너트가 체결되고, 중앙이 상향으로 돌출 형성된 스크류로드(32)와, 상기 스크류로드(32)에 일측이 삽입되고, 직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가운데에 볼트가 체결된 스퀘어바(30)와, 상기 스퀘어바(30)의 중앙에 볼트에 의해서 고정 설치되며, 중앙에 스퀘어바(30)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핀이 형성된 인터커넥팅스탠드(28)와, 상기 인터커넥팅스탠드(28)와 일측상면이 연결되고, 타측은 침목(26) 일측에 나사스파이크로 고정 설치되는 벨크랭크베어링(22)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크로싱 가이드(E)는 하단 양측부에 지지발을 가지면서 상단부가 서로 대칭되는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진 트랜스미션가이드(12)와, 상기 트랜스미션가이드(12)가 안착되도록 평활면을 가지면서 일측이 돌출 형성된 가이드베어링(24)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크로싱 연결부(F)는 전철기(38)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너트가 체결되고, 중앙이 상향으로 돌출 형성된 스크류로드(32)와, 상기 스크류로드(32)에 일측이 삽입되고, 직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가운데에 볼트가 체결된 스퀘어바(30)와, 상기 스퀘어바(30)의 중앙에 볼트에 의해서 고정 설치되며, 중앙에 스퀘어바(30)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핀이 형성된 인터커넥팅스탠드(28)와, 상기 인터커넥팅스탠드(28)와 일측상면이 연결되고, 타측은 침목(26) 일측에 나사스파이크로 고정 설치되는 벨크랭크베어링(22)과, 상기 스크류로드(32)와 스퀘어바(30) 사이에 연결되는 로드엔드(34)와, 상기 인터커넥팅스탠드(28)에 일측이 고정되며, 봉 형상으로 이루어진 연결봉(54)과, 상기 연결봉에 연결 설치되면서 긴 봉형상으로 이루어진 스페이싱바(16)와, 상기 스페이싱바(16)를 하부에서 지지 고정해주는 브라켓(44)으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제1크로싱 연결부(D) 또는 제2크로싱 연결부(F)에는 크로싱의 길이에 따라 다수개의 크로싱 연결부가 연결 설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분기기용 연동장치 연동방법은 크로싱부의 가동크로싱의 노즈부(N)를 밀착시켜 선로를 변경시키는 연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동장치(I)는 크로싱부(C)의 가동노즈부(N) 외측에 설치되는 전철기(38)와; 상기 전철기(38)의 일측에 연결 고정되는 제1크로싱 연결부(D)와; 상기 제1크로싱 연결부(D)의 타측에 연결 고정되는 크로싱 가이드(E)와; 상기 크로싱 가이드(E)의 일측에 연결 고정되는 제2크로싱 연결부(F)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크로싱 연결부(D) 또는 제2크로싱 연결부(F)에는 크로싱의 길이에 따라 다수개의 크로싱 연결부를 연결 설치하며, 상기 연동장치(I)는 크로싱의 직선측 구간 또는 곡선측 구간에 설치하며, 상기 전철기(38)는 크로싱의 길이에 따라 적어도 2대 이상을 설치한다.
이상에서의 설명은 본 발명에 따른 분기기용 연동장치 구조를 크게 포인트와 크로싱으로 나누어 설명하였으나, 이하에서는 포인트와 크로싱의 구분없이 기술적 사상에 대해서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분기기용 연동장치 구조는 텅레일(10) 첨단부 벌링량의 중립위치에 가도록 연동장치(I)의 트랜스미션가이드(12)와 가이드롤러(14)를 조립 및 설치하되, 트랜스미션가이드(12)를 가이드롤러(14)가 연동장치(I)의 스페이싱바(16)와 간섭되지 않게 상판(18) 위에 위치시킴과 동시에 볼트(20)로 체결하고, 연동장치(I)의 벨크랭크베어링(22)과 가이드베어링(24)을 침목(26) 위에 직각으로 맞추어 조립하며, 상기 벨크랭크베어링(22)과 가이드베어링(24) 상에 인터커넥팅스탠드(28)와 스퀘어바(30)를 부착하며, 전철기 체결용 상판(18)을 침목(26) 상에 설치함과 동시에 연동장치(I)의 스페이싱바(16)와 스크류로드(32) 및 로드엔드(34)를 조립하며, 각 스페이싱바(16)의 스크류로드(32)를 로드엔드(34)에 체결해서 스페이싱바(16)와 조립하되, 고정 스크류로드(32)를 한쪽 스퀘어바(30)에 체결핀(36)으로 고정하고, 스크류로드(32)를 반대쪽 스퀘어바(30) 에 스크류로드(32)를 회전시키면서 세팅한 후, 체결핀(36)으로 고정하고, 전철기(38) 측의 스페이싱바(16)와 연동장치(I) 측의 스퀘어바(30)를 조립하고, 텅레일(10)을 스트로크 양쪽으로 전환시켜 텅레일(10) 밀착상태를 확인하면서 연동장치(I) 측 스크류로드(32)를 회전시켜 미세조정한다.
여기서, 상기 벨크랭크베어링(22)과 가이드베어링(24) 상에 인터커넥팅스탠드(28)와 스퀘어바(30)의 부착은 각 벨크랭크베어링(22)과 가이드베어링(24) 상에 인터커넥팅스탠드(28)와 스퀘어바(30)를 부착하되, 양쪽 스퀘어바(30)가 침목(26)과 평행하게 위치시킨다.
또한, 상기 전철기(38)는 전철기 체결용 상판(18)을 침목(26)에 설치하고 전철기(38)를 중립상태로 위치시킨다.
그리고 상기 전철기(38) 측의 스페이싱바(16)와 연동장치(I) 측의 스퀘어바(30)를 조립은 전철기(38)를 양쪽으로 전환하면서 VCC의 후크가 양쪽 똑같이 걸리도록 하면서 전철기(38) 측 스크류로드(32)를 조정한다.
또한, 상기 연동장치(I) 측 스크류로드(32)를 회전시켜 미세조정 후 스크류로드(32)의 너트(40)를 로드엔드(34) 쪽으로 회전 밀착시켜서 연동장치(I)의 길이가 변경되지 않도록 시행한다.
그리고 상기 연동장치(I) 측 스크류로드(32)를 회전시켜 미세조정 후 스퀘어바(30) 및 스크류로드(32)의 체결핀(36)과 스크류로드(32)의 나사산 부위에 그리스를 주유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분기기용 연동장치 구 조의 연동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분기기용 연동방법은 텅레일(10) 첨단부 벌링량의 중립위치에 가도록 조정하고, 쐐기를 사용하여 고정하며, 트랜스미션가이드(12)와 가이드롤러(14)를 조립 및 설치하되, 트랜스미션가이드(12)를 가이드롤러(14)가 스페이싱바(16)와 간섭되지 않게 상판(18) 위에 위치시킴과 동시에 볼트(20)로 체결하고, 벨크랭크베어링(22)과 가이드베어링(24)을 침목(26) 위에 직각으로 맞추어 조립하며, 상기 벨크랭크베어링(22)과 가이드베어링(24) 상에 인터커넥팅스탠드(28)와 스퀘어바(30)를 부착하며, 전철기 체결용 상판(18)을 침목(26) 상에 설치함과 동시에 스페이싱바(16)와 스크류로드(32) 및 로드엔드(34)를 조립하며, 각 스페이싱바(16)의 스크류로드(32)를 로드엔드(34)에 체결해서 스페이싱바(16)와 조립하되, 고정 스크류로드(32)를 한쪽 스퀘어바(30)에 체결핀(36)으로 고정하고, 스크류로드(32)를 반대쪽 스퀘어바(30)에 스크류로드(32)를 회전시키면서 세팅한 후, 체결핀(36)으로 고정하고, 전철기(38)의 스페이싱바(16)와 스퀘어바(30)를 조립하고, 텅레일(10)을 스트로크 양쪽으로 전환시켜 텅레일(10) 밀착상태를 확인하면서 스크류로드(32)를 회전시켜 미세조정하고, 상기 벨크랭크베어링(22)과 가이드베어링(24) 상에 인터커넥팅스탠드(28)와 스퀘어바(30)의 부착은 각 벨크랭크베어링(22)과 가이드베어링(24) 상에 인터커넥팅스탠드(28)와 스퀘어바(30)를 부착하되, 양쪽 스퀘어바(30)가 침목(26)과 평행하게 위치시키고, 상기 전철기(38)는 전철기 체결용 상판(18)을 침목(26)에 설치하고 전철기(38)를 중립상태로 위치시키며, 상기 전철기(38)의 스페이싱바(16)와 스퀘어바(30)와의 조립은 전철기(38)를 양쪽으로 전환하면서 VCC의 후크가 양쪽 똑같이 걸리도록 하면서 전철기(38)측 스크류로드(32)를 조정하며, 상기 스크류로드(32)를 회전시켜 미세조정 후 스크류로드(32)의 너트(40)를 로드엔드(34) 쪽으로 회전 밀착시켜서 연동장치(I)의 길이가 변경되지 않도록 조정하고, 상기 스크류로드(32)를 회전시켜 미세조정 후 스퀘어바(30) 및 스크류로드(32)의 체결핀(36)과 스크류로드(32)의 나사산 부위에 그리스를 주유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연동장치(I)의 설치를 각 부분별로 나누어 상세히 설명한다.
(1) 연동장치(I)의 스페이싱바(16) 부분 조립 및 설치방법
텅레일(10)(또는 가동크로싱의 포인트레일) 첨단부 벌림량의 중립위치에 가도록 조립하고, 쐐기를 사용하여 고정한다.
벨크랭크베어링(22)과 가이드베어링(24) 등을 침목(26) 위에 직각을 맞추어 조립한다.
각 벨크랭크베어링(22)과 가이드베어링(24) 위에 인터커넥팅스탠드(28)와 스퀘어바(30)를 부착하되, 양쪽 스퀘어바(30)가 침목(26)과 평행이 되게 위치시킨다.
단, 텅레일(10) 제일 첨단의 스퀘어바(30)는 정해진 각도로 출하시 세팅되어 있다.
전철기 체결용 상판(18)을 침목(26)에 설치하고, 전철기(38)를 위치시키고, 중립상태로 놓는다.
전철기(38)에 연결되는 스페이싱바(16)와 스크류로드(32), 로드엔드(34)를 조립한다.
단, 연동장치(I) 측의 스퀘어바(30)와 조립은 하지 않는다.
각 스페이싱바(16)의 스크류로드(32)를 로드엔드(34)에 체결해서 스페이싱바(16)와 조립할 준비를 한다.
고정 스크류로드(32)를 먼저 한쪽 스퀘어바(30)에 체결핀(36)으로 고정한 후, 스크류로드(32)를 반대쪽 스퀘어바(30)에 스크류로드(32)를 회전시키면서 세팅한 후 체결핀(36)으로 고정한다.
전철기(38) 측의 스페이싱바(16)(스크류로드(32)가 체결된 상태)와 연동장치(I) 측의 스퀘어바(30)를 조립한다.
전철기(38)를 양쪽으로 전환하면서 VCC(VPM)의 후크가 양쪽 똑같이 걸리도록 전철기(38) 측 스크류로드(32)를 조정한다.
텅레일(10)을 스트로크 양쪽으로 전환시켜 텅레일(10) 밀착상태를 확인하면서 연동장치(I) 측 스크류로드(32)를 회전시켜 최종 미세조정을 시행한다.
연동장치(I) 및 텅레일(10)(또는 포인트레일)의 작동, 밀착이 원활하면 스크류로드(32)의 너트(40)를 로드엔드(34)쪽으로 회전, 밀착시켜서 더 이상 연동장치(I)의 길이가 변경되지 않도록 한다.
조립작업이 완료되면 스퀘어바(30) 및 스크류로드(32)의 체결핀(36)과 스크류로드(32)의 나사산 부위에 그리스를 주유하여 작동의 원활성을 높이고 이물질 반입을 방지한다.
(2) 트랜스미션가이드(12)와 가이드롤러(14)의 조립 및 설치방법
텅레일(10)(또는 가동크로싱의 포인트레일) 첨단부 벌림량의 중립위치에 가도록 조정하고, 쐐기를 사용하여 고정한다.
트랜스미션가이드(12)를 가이드롤러(14)가 연동장치(I) 스페이싱바(16)와 간섭이 되지 않도록 상판(18) 위에 위치시킨다.
텅레일(10)(또는 가동크로싱의 포인트레일) 좌우로 전환하면서 스페이싱바(16)의 상태를 점검한다.
텅레일(10) 전환시 일부 스페이싱바(16)가 가이드롤러(14)에 접촉되어 벤딩현상이 발생할 수 있지만, 그 현상은 연동장치(I)의 전단과 후단의 전환시점의 차이에 의한 현상으로 이상현상은 아니다.
상기 조립방법을 준수하여도 스페이싱바(16)의 벤딩상태가 심하다면 조정용 홀을 이용하여 가이드롤러(14)의 사이 간격을 확대하여 상기한 동일한 방법으로 트랜스미션가이드(12)를 세팅한다.
연동장치(I)의 전환에 문제가 없을 때에는 가이드롤러(14)에 그리스를 주유하고,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서 반드시 보호커버를 설치하고, 분할핀으로 고정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순서로 조립하는 분기기용 연동장치 구조(I)의 유지보수는 주기적으로 텅레일(10)의 접촉상태를 확인하여 기준 이하 상태일 때는 스크류로드(32)를 조정하여 밀착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단, 포인트처럼 스페이싱바(16)가 여러 개 연결되어 있을 경우는 한 부분의 스크류로드(32)로 과도한 조정작업은 피해야 한다.
조정작업 후에는 반드시 너트(40)를 회전시켜 조정상태를 고정하여야 한다.
주기적으로 가이드롤러(14)와 스페이싱바(16)의 접촉상태를 확인하여 벤딩현상이 과다하면, 가이드롤러(14)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여 교정작업을 시행한다.
필요하다면 트랜스미션가이드(12)의 위치를 조정할 수도 있다.
텅레일(10) 사이에 이물질이 끼어서 전환 및 밀착이 안 될 경우도 있으므로 항상 테스트 및 점검시에는 연동장치(I)의 조정 및 전환 전에 이물질을 제거하여야 한다.
주기적 점검시 스퀘어바(30)와 스크류로드(32)의 체결부위, 스크류로드(32), 가이드롤러(14) 부위 등에 그리스를 주유하여 원활한 연동장치(I)의 작동을 유지한다.
또한, 벨크랭크베어링(22)과 가이드베어링(24)의 침목(26) 고정상태 및 스퀘어바(30)와 트랜스미션가이드(12)의 고정상태 등을 점검하여 침목나사(42) 및 볼트(20)의 체결력을 조정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분기기용 연동장치 구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은 텅레일 정밀한 궤간 확보가 가능하며, 텅레일 밀착력이 향상되며, 노즈부 밀착력이 향상되며, 원가절감 및 안전성이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연동장치 부착을 위한 침목 내, 외측의 별도의 로드공간이 필요치 않는 장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전철기의 설치위치(직선, 곡선측 부착)에 관계없이 연동장치를 용이하게 부설 및 유지보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본 발명은 연결로드에 의한 전환력 손실이 적어 텅레일 밀착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은 전철기의 전환력이 직접 텅레일 전체에 전달되므로, 텅레일의 밀착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Claims (15)

  1. 한 쌍의 평행한 기본레일 사이에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텅레일을 상기 어느 일측 기본레일에 밀착시켜 선로를 변경시키는 연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동장치는 기본레일의 외측에 설치되는 전철기와; 상기 전철기의 일측에 연결 고정되는 제1포인트 연결부와; 상기 제1포인트 연결부의 타측에 연결 고정되는 포인트 가이드와; 상기 포인트 가이드의 일측에 연결 고정되는 제2포인트 연결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1포인트 연결부는 텅레일에 일측 및 타측이 고정 설치되며, 가늘고 긴 바형상으로 이루어진 연결간과, 상기 연결간에 힌지로 연결되며, 봉 형상으로 이루어진 연결봉과, 상기 연결봉에 일측이 힌지로 연결되며, 직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가운데에 볼트가 체결된 스퀘어바와, 상기 스퀘어바의 중앙에 볼트에 의해서 고정 설치되며, 중앙에 스퀘어바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핀이 형성된 인터커넥팅스탠드와, 상기 인터커넥팅스탠드와 일측상면이 연결되고, 타측은 침목 일측에 나사스파이크로 고정 설치되는 벨크랭크베어링과, 상기 벨크랭크베어링에 일측이 볼트 결합되며 사각판으로 이루어진 보강판과, 상기 보강판에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이 전철기가 위치된 침목 반대편 위치의 침목상에 나사스파이크로 고정되는 베어링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기용 연동장치 구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트 가이드는 하단 양측부에 지지발을 가지면서 상단부가 서로 대칭되는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진 트랜스미션가이드와, 상기 트랜스미션가이드가 안착되도록 평활면을 가지면서 일측이 돌출 형성된 가이드베어링과, 상기 트랜스미션가이드를 가로질러 연결 설치되면서 긴 봉형상으로 이루어진 스페이싱바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기용 연동장치 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포인트 연결부는 텅레일에 일측 및 타측이 고정 설치되며, 가늘고 긴 바형상으로 이루어진 연결간과, 상기 연결간에 힌지로 연결되며, 봉 형상으로 이루어진 연결봉과, 상기 연결봉에 일측이 힌지로 연결되며, 직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가운데에 볼트가 체결된 스퀘어바와, 상기 스퀘어바의 중앙에 볼트에 의해서 고정 설치되며, 중앙에 스퀘어바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핀이 형성된 인터커넥팅스탠드와, 상기 인터커넥팅스탠드와 일측상면이 연결되고, 타측은 침목 일측에 나사스파이크로 고정 설치되는 벨크랭크베어링과, 상기 벨크랭크베어링에 일측이 볼트 결합되며 사각판으로 이루어진 보강판과, 상기 보강판에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이 전철기가 위치된 침목 반대편 위치의 침목상에 나사스파이크로 고정되는 베어링과, 상기 스퀘어바의 일측이 삽입되고, 타측은 너트가 체결되고, 중앙이 상향으로 돌출 형성된 스크류로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기용 연동장치 구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포인트 연결부 또는 제2포인트 연결부에는 포인트의 길이에 따라 다수개의 포인트 연결부가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기용 연동장치 구조.
  6. 크로싱부의 가동크로싱의 노즈부를 밀착시켜 선로를 변경시키는 연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동장치는 크로싱부의 가동노즈부 외측에 설치되는 전철기와; 상기 전철기의 일측에 연결 고정되는 제1크로싱 연결부와; 상기 제1크로싱 연결부의 타측에 연결 고정되는 크로싱 가이드와; 상기 크로싱 가이드의 일측에 연결 고정되는 제2크로싱 연결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1크로싱 연결부는 전철기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너트가 체결되고, 중앙이 상향으로 돌출 형성된 스크류로드와, 상기 스크류로드에 일측이 삽입되고, 직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가운데에 볼트가 체결된 스퀘어바와, 상기 스퀘어바의 중앙에 볼트에 의해서 고정 설치되며, 중앙에 스퀘어바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핀이 형성된 인터커넥팅스탠드와, 상기 인터커넥팅스탠드와 일측상면이 연결되고, 타측은 침목 일측에 나사스파이크로 고정 설치되는 벨크랭크베어링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기용 연동장치 구조.
  7. 삭제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싱 가이드는 하단 양측부에 지지발을 가지면서 상단부가 서로 대칭되는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진 트랜스미션가이드와, 상기 트랜스미션가이드가 안착되도록 평활면을 가지면서 일측이 돌출 형성된 가이드베어링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기용 연동장치 구조.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2크로싱 연결부는 전철기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너트가 체결되고, 중앙이 상향으로 돌출 형성된 스크류로드와, 상기 스크류로드에 일측이 삽입되고, 직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가운데에 볼트가 체결된 스퀘어바와, 상기 스퀘어바의 중앙에 볼트에 의해서 고정 설치되며, 중앙에 스퀘어바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핀이 형성된 인터커넥팅스탠드와, 상기 인터커넥팅스탠드와 일측상면이 연결되고, 타측은 침목 일측에 나사스파이크로 고정 설치되는 벨크랭크베어링과, 상기 스크류로드와 스퀘어바 사이에 연결되는 로드엔드와, 상기 인터커넥팅스탠드에 일측이 고정되며, 봉 형상으로 이루어진 연결봉과, 상기 연결봉에 연결 설치되면서 긴 봉형상으로 이루어진 스페이싱바와, 상기 스페이싱바를 하부에서 지지 고정해주는 브라켓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기용 연동장치 구조.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크로싱 연결부 또는 제2크로싱 연결부에는 크로싱의 길이에 따라 다수개의 크로싱 연결부가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기용 연동장치 구조.
  11. 한 쌍의 평행한 기본레일 사이에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텅레일을 상기 어느 일측 기본레일에 밀착시켜 선로를 변경시키는 분기기용 연동장치 연동방법에 있어서,
    상기 연동장치는 기본레일의 외측에 설치되는 전철기와; 상기 전철기의 일측에 연결 고정되는 제1포인트 연결부와; 상기 제1포인트 연결부의 타측에 연결 고정되는 포인트 가이드와; 상기 포인트 가이드의 일측에 연결 고정되는 제2포인트 연결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포인트 연결부 또는 제2포인트 연결부에는 포인트의 길이에 따라 다수개의 포인트 연결부를 연결 설치하며, 상기 연동장치는 포인트의 침목 중앙, 직선측 구간, 곡선측 구간중 어느 하나의 구간에 설치하며, 상기 전철기는 포인트의 길이에 따라 적어도 2대 이상을 설치하며,
    상기 제1포인트 연결부는 텅레일에 일측 및 타측이 고정 설치되며, 가늘고 긴 바형상으로 이루어진 연결간과, 상기 연결간에 힌지로 연결되며, 봉 형상으로 이루어진 연결봉과, 상기 연결봉에 일측이 힌지로 연결되며, 직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가운데에 볼트가 체결된 스퀘어바와, 상기 스퀘어바의 중앙에 볼트에 의해서 고정 설치되며, 중앙에 스퀘어바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핀이 형성된 인터커넥팅스탠드와, 상기 인터커넥팅스탠드와 일측상면이 연결되고, 타측은 침목 일측에 나사스파이크로 고정 설치되는 벨크랭크베어링과, 상기 벨크랭크베어링에 일측이 볼트 결합되며 사각판으로 이루어진 보강판과, 상기 보강판에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이 전철기가 위치된 침목 반대편 위치의 침목상에 나사스파이크로 고정되는 베어링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기용 연동장치 연동방법.
  12. 삭제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트 가이드는 하단 양측부에 지지발을 가지면서 상단부가 서로 대칭되는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진 트랜스미션가이드와, 상기 트랜스미션가이드가 안착되도록 평활면을 가지면서 일측이 돌출 형성된 가이드베어링과, 상기 트랜스미션가이드를 가로질러 연결 설치되면서 긴 봉형상으로 이루어진 스페이싱바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기용 연동장치 연동방법.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포인트 연결부는 텅레일에 일측 및 타측이 고정 설치되며, 가늘고 긴 바형상으로 이루어진 연결간과, 상기 연결간에 힌지로 연결되며, 봉 형상으로 이루어진 연결봉과, 상기 연결봉에 일측이 힌지로 연결되며, 직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가운데에 볼트가 체결된 스퀘어바와, 상기 스퀘어바의 중앙에 볼트에 의해서 고정 설치되며, 중앙에 스퀘어바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핀이 형성된 인터커넥팅스탠 드와, 상기 인터커넥팅스탠드와 일측상면이 연결되고, 타측은 침목 일측에 나사스파이크로 고정 설치되는 벨크랭크베어링과, 상기 벨크랭크베어링에 일측이 볼트 결합되며 사각판으로 이루어진 보강판과, 상기 보강판에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이 전철기가 위치된 침목 반대편 위치의 침목상에 나사스파이크로 고정되는 베어링과, 상기 스퀘어바의 일측이 삽입되고, 타측은 너트가 체결되고, 중앙이 상향으로 돌출 형성된 스크류로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기용 연동장치 연동방법.
  15. 삭제
KR1020060138386A 2006-12-29 2006-12-29 분기기용 연동장치 구조 및 연동방법 KR1008668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8386A KR100866808B1 (ko) 2006-12-29 2006-12-29 분기기용 연동장치 구조 및 연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8386A KR100866808B1 (ko) 2006-12-29 2006-12-29 분기기용 연동장치 구조 및 연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2496A KR20080062496A (ko) 2008-07-03
KR100866808B1 true KR100866808B1 (ko) 2008-11-04

Family

ID=39814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8386A KR100866808B1 (ko) 2006-12-29 2006-12-29 분기기용 연동장치 구조 및 연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680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9461B1 (ko) * 2013-02-28 2015-05-12 주식회사 포스코엔지니어링 동력 케이블 견인방식 철도시스템의 레일-동력 케이블 교차점에서의 레일 전환장치
KR102580175B1 (ko) 2022-09-23 2023-09-20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매립형 선로전환기를 구비한 산악철도의 랙 궤도용 분기부 구조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7139B1 (ko) * 2008-12-11 2010-07-05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분기기용 밀착쇄정 제어장치 및 방법
AT13174U3 (de) * 2012-02-09 2014-04-15 Voestalpine Hytronics Gmbh Einrichtung zum Umstellen einer Schienenweiche
US11661094B2 (en) * 2018-05-21 2023-05-30 Vossloh Signaling Usa, Inc. Reverse angled point slider
KR102445048B1 (ko) * 2022-03-18 2022-09-22 주식회사베스트엔지니어링 공용화 사용이 가능한 pc침목이 적용된 선로전환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9301A (ja) * 1999-07-27 2001-02-13 Railway Technical Res Inst 転てつ機
KR20020070214A (ko) * 2002-07-31 2002-09-05 연장익 선로전환장치
JP3615529B2 (ja) 2002-08-22 2005-02-02 株式会社トミー 鉄道模型用ポイント
KR100616721B1 (ko) 2001-05-07 2006-08-28 파우아에 아이젠반지스테메 게엠베하 철도 분기기 및 트랙에 철도 분기기를 설치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9301A (ja) * 1999-07-27 2001-02-13 Railway Technical Res Inst 転てつ機
KR100616721B1 (ko) 2001-05-07 2006-08-28 파우아에 아이젠반지스테메 게엠베하 철도 분기기 및 트랙에 철도 분기기를 설치하는 방법
KR20020070214A (ko) * 2002-07-31 2002-09-05 연장익 선로전환장치
JP3615529B2 (ja) 2002-08-22 2005-02-02 株式会社トミー 鉄道模型用ポイン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9461B1 (ko) * 2013-02-28 2015-05-12 주식회사 포스코엔지니어링 동력 케이블 견인방식 철도시스템의 레일-동력 케이블 교차점에서의 레일 전환장치
KR102580175B1 (ko) 2022-09-23 2023-09-20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매립형 선로전환기를 구비한 산악철도의 랙 궤도용 분기부 구조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2496A (ko) 2008-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6808B1 (ko) 분기기용 연동장치 구조 및 연동방법
US4637578A (en) Railroad frog having movable wing rails
KR101057006B1 (ko) 철도분기기용 철관연동장치 및 연동방법
AU2003231165B2 (en) Drop down lug for railroad switch application
EP2241674B1 (de) System zum Erstellen eines Flucht-, Rettungs- oder Dienstwegs in Gleisanlagen
JP5297248B2 (ja) レール締結装置
EP2670913B1 (en) A clamping mechanism for securing at least one object, in particular a barrier, to a rail, and assembly
KR100738591B1 (ko) 분기기용 잠금장치
RU2401901C2 (ru) Железнодорожный рельс, направляющая рельсовая колея и способ их применения (варианты)
DE102017122770A1 (de) Eindeckung für Bahngeleise
EP2003247A2 (en) Lateral extension device for railway tracks
KR100706322B1 (ko) 레일 분기기의 조절간 설치구조
WO2006117350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fahrwegträgers für eine magnetschwebebahn und fahrwegträger
KR101022256B1 (ko) 분기기 연동장치용 조절식 스퀘어바 및 이의 연동방법
EP2609254B1 (de) Klappbare weiche
CN112281551B (zh) 一种箱型护轨装置及其制作方法
JP7345169B2 (ja) 横取装置
US20210010205A1 (en) Rail bolt locking device
US20240167231A1 (en) Rail Brace Assembly
RU2339756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вышения поперечной устойчивости рельсошпальной решетки в балласте (варианты)
KR200404783Y1 (ko) 철도 침목
AU2022278414A1 (en) Assembly comprising at least one rail and a support
DE102004054353B3 (de) Vorrichtung zur Befestigung eines Objektes am Profil eines einen Schienenfuß aufweisenden Schienenprofilstranges
AU646579B2 (en) Portable turnouts
US20130264431A1 (en) Rail mount point detector for railroad switch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8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