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2256B1 - 분기기 연동장치용 조절식 스퀘어바 및 이의 연동방법 - Google Patents

분기기 연동장치용 조절식 스퀘어바 및 이의 연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2256B1
KR101022256B1 KR1020080125882A KR20080125882A KR101022256B1 KR 101022256 B1 KR101022256 B1 KR 101022256B1 KR 1020080125882 A KR1020080125882 A KR 1020080125882A KR 20080125882 A KR20080125882 A KR 20080125882A KR 101022256 B1 KR101022256 B1 KR 1010222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plate
plate
square bar
length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5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7353A (ko
Inventor
전세곤
윤병현
백인혁
Original Assignee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25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2256B1/ko
Publication of KR201000673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73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22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22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5/00Local operating mechanisms for points or track-mounted scotch-blocks; Visible or audible signals; Local operating mechanisms for visible or audible signals
    • B61L5/02Mechanical devices for operating points or scotch-blocks, e.g. local manual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7/00Remote control of local operating means for points, signals, or track-mounted scotch-blocks
    • B61L7/02Remote control of local operating means for points, signals, or track-mounted scotch-blocks using mechanical transmission, e.g. wire, lev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ilway Tra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철기에 간류를 부착하여 텅레일의 포인트 외에 2곳 이상의 지지점을 더 설치하여 전철기가 한번 작동시 전달력이 간류를 통하여 전달됨과 동시에 텅레일 전환시 고른 밀착과 궤간 확보가 가능하게 하기 위한 간류(스페이싱바) 간 스퀘어바로 하여 전철기에서 간류로 전달되는 스트로크량을 스페이싱바와 스퀘어바간 조절식 스퀘어바로 구성하여 텅레일의 고른 밀착 및 노즈레일의 전환을 용이하도록 한 분기기 연동장치용 조절식 스퀘어바 및 이의 연동방법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분기기 연동장치용 조절식 스퀘어바는 소정의 폭과 두께 및 길이를 갖는 판상체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소정의 위치에 볼트공이 형성된 상부결합판과; 상기 상부결합판의 하부에 배치되며, 소정의 폭과 두께 및 길이를 갖는 판상체로 이루어진 중간결합판과; 상기 중간결합판의 하부에 배치되며, 소정의 폭과 두께 및 길이를 갖는 판상체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소정의 위치에 볼트공이 형성된 하부결합판과; 상기 상부결합판과 하부결합판의 볼트공을 관통시켜 결합되는 체결부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분기기 연동장치용 조절식 스퀘어바 연동방법은 소정의 폭과 두께 및 길이를 갖는 판상체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소정의 위치에 볼트공이 형성된 하부결합판을 배치하고, 상기 하부결합판 상에 하부결합판의 길이방향의 직각방향으로 소정의 폭과 두께 및 길이를 갖는 판상 체로 이루어진 중간결합판을 배치하며, 상기 중간결합판 상에 중간결합판의 길이방향의 직각방향으로 소정의 폭과 두께 및 길이를 갖는 판상체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소정의 위치에 볼트공이 형성된 상부결합판을 배치한 후, 상기 상부결합판과 하부결합판의 볼트공을 관통시켜 체결부재로 체결하여 스퀘어바를 조립한 후, 상기 상부결합판, 중간결합판 및 하부결합판의 가운데 핀공 및 장공을 통해서 결합핀을 삽입하고, 상기 하부결합판의 측면 조절공에 볼트를 삽입 및 회전시켜 중간결합판의 장공의 폭만큼 스퀘어바의 길이를 조정함을 특징으로 한다.
분기기 연동장치, 스퀘어바

Description

분기기 연동장치용 조절식 스퀘어바 및 이의 연동방법{control square bar for turnout interlocks and it's interlocking method}
본 발명은 분기기 연동장치용 조절식 스퀘어바 및 이의 연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전철기에 간류를 부착하여 텅레일의 포인트 외에 2곳 이상의 지지점을 더 설치하여 전철기가 한 번 작동시 전달력이 간류를 통하여 전달됨과 동시에 텅레일 전환시 고른 밀착과 궤간 확보가 가능하게 하기 위한 간류(스페이싱바) 간 분기기 연동장치용 조절식 스퀘어바 및 이의 연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기기 연동장치는 선로의 기본레일 상을 주행하는 철도차량이 원하는 방향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그 진로를 변경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연동장치는 선로가 외측에 구비된 수동식 또는 기계식 및 전기 전철기를 이용하여 기본레일의 내측에 설치된 텅레일을 좌우로 이동시켜서 한 쌍의 기본레일 중 어느 일측 기본레일에 텅레일을 밀착시킴으로써, 차량의 진로변경이 가능하다.
종래의 연동장치는 기본레일의 외측에 구비되며, 텅레일을 좌우 이동시켜 선로를 전환하는 전철기와 상기 텅레일에 결합되어 상호 대향되는 기억쇠와, 상기 기 억쇠 사이에 개재되며 텅레일의 밀착 조절 또는 쇄정조절이 가능한 연결간과, 상기 연결간과 기억쇠를 연결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간과 기억쇠를 연결하는 스크류조를 구비하는 텅레일 연결부와; 상기 텅레일 연결부와 전철기를 연결하는 접속간과; 상기 텅레일 연결부의 상부측에 구비되어 한 쌍의 텅레일을 연결하며, 동작간에 의해 전철기와 연결되어 텅레일을 이동시키는 수단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연동장치는 접속간의 일단이 연결간의 중심부에 연결되기 때문에 텅레일의 밀착조절 또는 쇄정조절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선로 상에서 작업을 하므로 철도차량에 의한 인명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간에서 쇄정조절작업을 할 때는 전철기의 쇄정작동부를 확인하면서 작업을 하는데, 연결간과 전철기의 쇄정작동부 사이는 거리가 멀어, 작업자 혼자서 쇄정조절 작업을 하는 것이 상당히 불편하고, 이에 따라 많은 수의 작업자가 투입되므로 유지관리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연결간이 침목보다 상향으로 돌출되기 때문에 작업자가 선로 상을 보행하거나 또는 작업할 때 특히 야간작업시 텅레일 연결부에 발이 걸림으로써 인명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고, 철도차량이 선로 상에서 상향으로 돌출된 연결간을 통과할 때 철도차량의 하부 또는 그 하측부에 설치된 부품이 연결간과 부딪혀 사고가 발생되어 연동장치 및 철도차량이 파손됨으로써 유지관리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종래의 연동장치는 선로에 연동장치를 위한 별도의 설치 공간이 필요 하며, 지형적으로 협소한 선로구간에는 연동장치의 설치가 불가능하며, 침목 외측에 연동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가 필요하며, 전철기(직선측, 곡선측 부착)에 따라 연동장치의 설치 및 유지보수가 상당히 어려우며, 텅레일의 길이가 긴 경우에는 연결간 수량 및 길이가 길어져 전환력 손실이 크게 발생되어 텅레일의 밀착력이 떨어지는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출원인이 특허공개 10-2008-0062496호 분기기용 연동장치 구조 및 연동방법을 제안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분기기용 연동장치 구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평행한 기본레일 사이에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텅레일을 상기 어느 일측 기본레일에 밀착시켜 선로를 변경시키는 연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동장치는 기본레일의 외측에 설치되는 전철기와; 상기 전철기의 일측에 연결 고정되는 제1포인트 연결부와; 상기 제1포인트 연결부의 타측에 연결 고정되는 포인트 가이드와; 상기 포인트 가이드의 일측에 연결 고정되는 제2포인트 연결부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포인트 연결부는 텅레일에 일측 및 타측이 고정 설치되며, 가늘고 긴 바형상으로 이루어진 연결간과, 상기 연결간에 힌지로 연결되며, 봉 형상으로 이루어진 연결봉과, 상기 연결봉에 일측이 힌지로 연결되며, 직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가운데에 볼트가 체결된 스퀘어바와, 상기 스퀘어바의 중앙에 볼트에 의해서 고정 설치되며, 중앙에 스퀘어바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핀이 형성된 인터커넥팅스탠드와, 상기 인터커넥팅스탠드와 일측 상면이 연결되고, 타측은 침목 일측에 나 사스파이크로 고정 설치되는 벨크랭크베어링과, 상기 벨크랭크베어링에 일측이 볼트 결합되며 사각판으로 이루어진 보강판과, 상기 보강판에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이 전철기가 위치된 침목 반대편 위치의 침목상에 나사스파이크로 고정되는 베어링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제2포인트 연결부는 텅레일에 일측 및 타측이 고정 설치되며, 가늘고 긴 바형상으로 이루어진 연결간과, 상기 연결간에 힌지로 연결되며, 봉 형상으로 이루어진 연결봉과, 상기 연결봉에 일측이 힌지로 연결되며, 직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가운데에 볼트가 체결된 스퀘어바와, 상기 스퀘어바의 중앙에 볼트에 의해서 고정 설치되며, 중앙에 스퀘어바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핀이 형성된 인터커넥팅스탠드와, 상기 인터커넥팅스탠드와 일측 상면이 연결되고, 타측은 침목 일측에 나사스파이크로 고정 설치되는 벨크랭크베어링과, 상기 벨크랭크베어링에 일측이 볼트 결합되며 사각판으로 이루어진 보강판과, 상기 보강판에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이 전철기가 위치된 침목 반대편 위치의 침목상에 나사스파이크로 고정되는 베어링과, 상기 스퀘어바의 일측이 삽입되고, 타측은 너트가 체결되고, 중앙이 상향으로 돌출 형성된 스크류로드로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분기기용 연동장치 구조 및 연동방법은 직각형상의 일체형 스퀘어바와 스페이싱바 양끝에 링크시 현장에서 천공 및 링크가 이루어지므로 스트로크 변동시 텅레일 및 노즈부의 밀착불량이 발생되며, 스트로크 불량시 스페이싱바의 길이 및 직각 형상의 일체형 스퀘어바를 다시 제작하여, 현장 맞춤하게 되어 유지보수 및 작업상 어려움이 발생되는 문제점 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전철기에 간류를 부착하여 텅레일의 포인트 외에 2곳 이상의 지지점을 더 설치하여 전철기가 한번 작동시 전달력이 간류를 통하여 전달됨과 동시에 텅레일 전환시 고른 밀착과 궤간 확보가 가능하게 하기 위한 간류(스페이싱바) 간 스퀘어바로 하여 전철기에서 간류로 전달되는 스트로크량을 스페이싱바와 스퀘어바간 조절식 스퀘어바로 구성하여 텅레일의 고른 밀착 및 노즈레일의 전환을 용이하도록 한 분기기 연동장치용 조절식 스퀘어바 및 이의 연동방법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분기기 연동장치용 조절식 스퀘어바는 소정의 폭과 두께 및 길이를 갖는 판상체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소정의 위치에 볼트공이 형성된 상부결합판과; 상기 상부결합판의 하부에 배치되며, 소정의 폭과 두께 및 길이를 갖는 판상체로 이루어진 중간결합판과; 상기 중간결합판의 하부에 배치되며, 소정의 폭과 두께 및 길이를 갖는 판상체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소정의 위치에 볼트공이 형성된 하부결합판과; 상기 상부결합판과 하부결합판의 볼트공을 관통시켜 결합되는 체결부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분기기 연동장치용 조절식 스퀘어바 연동방법은 소정의 폭과 두께 및 길이를 갖는 판상체로 이루어짐과 동 시에 소정의 위치에 볼트공이 형성된 하부결합판을 배치하고, 상기 하부결합판 상에 하부결합판의 길이방향의 직각방향으로 소정의 폭과 두께 및 길이를 갖는 판상체로 이루어진 중간결합판을 배치하며, 상기 중간결합판 상에 중간결합판의 길이방향의 직각방향으로 소정의 폭과 두께 및 길이를 갖는 판상체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소정의 위치에 볼트공이 형성된 상부결합판을 배치한 후, 상기 상부결합판과 하부결합판의 볼트공을 관통시켜 체결부재로 체결하여 스퀘어바를 조립한 후, 상기 상부결합판, 중간결합판 및 하부결합판의 가운데 핀공 및 장공을 통해서 결합핀을 삽입하고, 상기 하부결합판의 측면 조절공에 볼트를 삽입 및 회전시켜 중간결합판의 장공의 폭만큼 스퀘어바의 길이를 조정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분기기 연동장치용 조절식 스퀘어바 및 이의 연동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조절식 스퀘어바가 조절식 링크 구조이므로 스트로크 변동에 따른 텅레일 및 노즈부 밀착불량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조절식 스퀘어바의 현장 맞춤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조절식 스퀘어바의 유지보수 및 조립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넷째, 본 발명은 분기기 연동장치의 포인트부 또는 크로싱부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기기 연동장치용 조절식 스퀘어바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분기기 연동장치용 조절식 스퀘어바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분기기 연동장치용 조절식 스퀘어바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분기기 연동장치용 조절식 스퀘어바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분기기 연동장치용 조절식 스퀘어바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분기기 연동장치용 조절식 스퀘어바는 소정의 폭과 두께 및 길이를 갖는 판상체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소정의 위치에 볼트공(112)이 형성된 상부결합판(100)과; 상기 상부결합판(100)의 하부에 배치되며, 소정의 폭과 두께 및 길이를 갖는 판상체로 이루어진 중간결합판(200)과; 상기 중간결합판(200)의 하부에 배치되며, 소정의 폭과 두께 및 길이를 갖는 판상체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소정의 위치에 볼트공(330)이 형성된 하부결합판(300)과; 상기 상부결합판(100)과 하부결합판(300)의 볼트공(112, 113)을 관통시켜 결합되는 체결부재(400)로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분기기 연동장치용 조절식 스퀘어바(S)는 도 3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결합판(100)과, 중간결합판(200) 및 하부결합판(300)이 체결부재(400)를 매개로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진 장치이다
여기서, 상기 상부결합판(100)은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상의 판상체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양측에 볼트공(112, 113)이 형성되고, 가운데 에 핀공(114)이 형성된 본체부(110)와, 상기 본체부(110)의 일측과 일체로 연결 형성됨과 동시에 폭이 다소 좁아지면서 길이가 길고 단부에 연결공(122)이 형성된 연장부(120)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부(110)는 그 저면 양측단에 일정한 길이로 외측으로 돌출 연장되도록 지지부(116)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116)에는 그 직각방향으로 내측에 일정한 크기로 절개되는 요입부(117)이 형성된 구조이다.
이와 같은 양측단의 지지부(116)는 지지부(116) 사이에 중간결합판(200)을 상부결합판(100)과 직각방향으로 배치시킨 후, 상기 중간결합판(200)을 지지부(116)에서 감싸는 형상으로 하여 중간결합판(200)과 상부결합판(100)과의 긴밀한 체결을 위해서 본체부(110)의 저면에 양측단에 일정한 거리를 두고 형성된 하향으로 돌출 형성시킨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부(110)의 단부쪽 볼트공(112)에는 외측으로 일정한 크기로 절개되는 절개홈(118)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절개홈(118)은 절개홈(118)내에 형성된 볼트공(112)에 체결부재(400)의 볼트(410)를 용이하게 삽입하기 위해 형성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연장부(120)에는 본체부(110)의 단부로부터 연결공(122)의 일단까지 소정의 기울기를 갖는 경사면(124)이 일정구간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124)의 타단으로부터 연결공(122)의 타단까지 평활한 상태가 유지되는 평활면(126)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경사면(124)을 형성한 이유는 분기기의 연동장치내 로드와의 높이 레일을 맞추기 위함이다.
상기 경사면(124)는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형성할 수 도 있음을 밝혀둔다.
즉, 상기 상부결합판(100)은 본체부(110)와 연장부(120)가 일체로 형성된 구조로서, 특히, 상기 상부결합판(100)은 중간결합판(20) 및 하부결합판(30)과 결합되는 부재로서, 상부결합판(100)의 양측의 볼트공(112, 113)에 체결부재(400)의 볼트(410)와 와셔(420)로 체결된다.
한편, 상기 중간결합판(200)은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 판상체로 이루어지며, 가운데에 타원형 장공(212)이 형성된 본체부(210)와, 상기 본체부(210)로부터 일체로 연결 형성됨과 동시에 폭이 다소 좁아지면서 길이가 길고 단부에 연결공(222)이 형성된 연장부(22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부(210)는 사각형 판상체로 이루어지며, 가운데에 타원형 장공(212)이 형성된 구조이다.
또한, 상기 연장부(220)에는 본체부(210)의 단부로부터 연결공(222)의 일단까지 소정의 기울기를 갖는 경사면(224)이 일정구간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224)의 타단으로부터 연결공(222)의 타단까지 평활한 상태가 유지되는 평활면(226)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경사면(224)을 형성한 이유는 분기기의 연동장치내 로드와의 높이를 맞추기 위함이다.
즉, 상기 중간결합판(200)은 본체부(210)와 연장부(220)가 일체로 형성된 구조로, 특히 상부결합판(100)과 하부결합판(300) 사이에 삽입되어 연결되며, 중간에 타원형 장공(212)이 천공 형성된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하부결합판(300)은 도 16 내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사각형 판상체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가운데 부분에 소정의 직경을 갖는 핀공(310)이 형성되고, 상기 핀공(310)의 좌우측에는 각각 일정한 높이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턱(320)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턱(320)에는 각각 볼트공(330)이 형성되며, 상기 핀공(310)의 하부 측면에 핀공(310)의 직각방향으로 조절공(340)이 형성된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돌출턱(320)은 중간결합판(200)이 직각방향으로 긴밀하게 삽입되도록 하부결합판(300)의 표면의 양측단에서 상향으로 일정한 높이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는 상기 중간결합판(200)이 상부결합판(100)과 하부결합판(300)의 사이에 삽입되어, 중간결합판(200)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서, 각각 상부결합판에는 지지부가 형성되고, 하부결합판에는 돌출턱이 형성된 것이다.
즉, 상기 하부결합판(300)은 상부연결판(100)에 연결되는 양측면의 돌출턱(320)에 천공 형성된 볼트공(330)에 체결부재(400)의 볼트(410) 및 와셔(420)로 체결되며, 측면 일측에 볼트 천공구멍인 조절공(340)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체결부재는 볼트(410)와 와셔(420)로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스퀘어바(S)는 한 쌍의 평행한 기본레일 사이에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텅레일을 상기 어느 일측 기본레일에 밀착시켜 선로를 변경시키는 연동장치에 고정 설치되거나 크로싱부의 가동크로싱의 노즈부를 밀착시켜 선로를 변경시키는 연동장치에 고정 설치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분기기 연동장치용 스퀘어바 연동에 대해 설명한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분기기 연동장치용 조절식 스퀘어바가 분기기의 포인트부 연동장치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분기기 연동장치용 조절식 스퀘어바가 분기기의 크로싱부 연동장치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분기기 연동장치용 스퀘어바 연동방법은 소정의 폭과 두께 및 길이를 갖는 판상체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소정의 위치에 볼트공(330)이 형성된 하부결합판(300)을 배치하고, 상기 하부결합판(300)상에 하부결합판(300)의 길이방향의 직각방향으로 소정의 폭과 두께 및 길이를 갖는 판상체로 이루어진 중간결합판(200)을 배치하며, 상기 중간결합판(200)상에 중간결합판(200)의 길이방향의 직각방향으로 소정의 폭과 두께 및 길이를 갖는 판상체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소정의 위치에 볼트공(112)이 형성된 상부결합판(100)을 배치한 후, 상기 상부결합판(100)과 하부결합판(300)의 볼트공(112, 113, 330)을 관통시켜 체결부재(400)로 체결하여 스퀘어바(S)를 조립한 후, 상기 상부결합판(100), 중간결합판(200) 및 하부결합판(300)의 가운데 핀공(114, 310) 및 장공(212)을 통해서 결합핀(P)을 삽입하고, 상기 하부결합판(300)의 측면 조절공(340)에 볼트(B)를 삽입 및 회전시켜 중간결합판(200)의 장공(212)의 폭만큼 스퀘어바(S)의 길이를 조정한다.
상기 상부결합판(100)은 사각형상의 판상체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양측에 볼트공(112, 113)이 형성되고, 가운데에 핀공(114)이 형성된 본체부(110)와, 상기 본체부(110)의 일측과 일체로 연결 형성됨과 동시에 폭이 다소 좁아지면서 길이가 길고 단부에 연결공(122)이 형성된 연장부(120)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부(110)는 그 저면에 일정한 길이로 외측으로 돌출 연장되도록 지지부(116)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110)의 단부쪽 볼트공(112)에는 외측으로 일정한 크기로 절개되는 절개홈(118)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116)에는 그 직각방향으로 내측에 일정한 크기로 절개되는 요입부(117)이 형성되며, 상기 연장부(120)에는 본체부(110)의 단부로부터 연결공(122)의 일단까지 소정의 기울기를 갖는 경사면(124)이 일정구간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124)의 타단으로부터 연결공(122)의 타단까지 평활한 상태가 유지되는 평활면(126)이 형성된다.
상기 중간결합판(200)은 사각형 판상체로 이루어지며, 가운데에 타원형 장공(212)이 형성된 본체부(210)와, 상기 본체부(210)로부터 일체로 연결 형성됨과 동시에 폭이 다소 좁아지면서 길이가 길고 단부에 연결공(222)이 형성된 연장부(220)로 구성되고, 상기 연장부(220)에는 본체부(210)의 단부로부터 연결공(222)의 일단까지 소정의 기울기를 갖는 경사면(224)이 일정구간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224)의 타단으로부터 연결공(222)의 타단까지 평활한 상태가 유지되는 평활면(226)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결합판(300)은 전체적으로 사각형 판상체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가운데 부분에 소정의 직경을 갖는 핀공(310)이 형성되고, 상기 핀공(310)의 좌우측 에는 각각 일정한 높이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턱(320)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턱(320)에는 각각 볼트공(330)이 형성되며, 상기 핀공(310)의 하부 측면에 핀공(310)의 직각방향으로 조절공(340)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재(400)는 볼트(410)와 와셔(420)로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 및 방법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분기기 연동장치용 조절식 스퀘어바 및 이의 연동방법은 상부결합판(100)과 중간결합판(200)과 하부결합판(300)을 체결부재(400)로 결합하여 스퀘어바(S)를 조립한 후, 상기 중간결합판(200)의 타원형 장공(212)에 결합핀(P)을 연결시켜, 하부결합판(300)의 일측면에 형성된 조절공(340)을 통해 볼트(B)를 삽입 및 회전시켜 타원형 장공(212)의 폭만큼 중간결합판(200)을 이동시켜 스퀘어바(S)의 길이를 조정하여, 간류로 전달되는 스크로크량을 조절하는 작용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분기기용 포인트 연동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종래의 분기기용 크로싱 연동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종래의 분기기용 연동장치이 스퀘어바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기기 연동장치용 조절식 스퀘어바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분기기 연동장치용 조절식 스퀘어바를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분기기 연동장치용 조절식 스퀘어바를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분기기 연동장치용 조절식 스퀘어바를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분기기 연동장치용 조절식 스퀘어바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분기기 연동장치용 조절식 스퀘어바의 상부결합판을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분기기 연동장치용 조절식 스퀘어바의 상부결합판을 도시한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분기기 연동장치용 조절식 스퀘어바의 상부결합판을 도시한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분기기 연동장치용 조절식 스퀘어바의 상부결합판을 도시한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분기기 연동장치용 조절식 스퀘어바의 중간결합판을 도시한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분기기 연동장치용 조절식 스퀘어바의 중간결합판을 도시한 정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분기기 연동장치용 조절식 스퀘어바의 중간결합판을 평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분기기 연동장치용 조절식 스퀘어바의 하부결합판을 도시한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분기기 연동장치용 조절식 스퀘어바의 하부결합판을 도시한 정면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분기기 연동장치용 조절식 스퀘어바의 하부결합판을 도시한 측면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분기기 연동장치용 조절식 스퀘어바의 하부결합판을 도시한 평면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분기기 연동장치용 조절식 스퀘어바가 분기기의 포인트부 연동장치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분기기 연동장치용 조절식 스퀘어바가 분기기의 크로싱부 연동장치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상부결합판 110: 본체부
112: 볼트공 113: 볼트공
114: 핀공 116: 지지부
117: 요입부 118: 절개홈
120: 연장부 122: 연결공
124: 경사면 126: 평활면
200: 중간결합판 210: 본체부
212: 타원형 장공 220: 연장부
222: 연결공 224: 경사면
226: 평활면 300: 하부결합판
310: 핀공 320: 돌출턱
330: 볼트공 340: 조절공
400: 체결부재 410: 볼트
420: 와셔 B: 볼트
P: 결합핀 S: 스퀘어바

Claims (12)

  1. 소정의 폭과 두께 및 길이를 갖는 판상체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소정의 위치에 볼트공(112)이 형성된 상부결합판(100)과; 상기 상부결합판(100)의 하부에 배치되며, 소정의 폭과 두께 및 길이를 갖는 판상체로 이루어진 중간결합판(200)과; 상기 중간결합판(200)의 하부에 배치되며, 소정의 폭과 두께 및 길이를 갖는 판상체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소정의 위치에 볼트공(330)이 형성된 하부결합판(300)과; 상기 상부결합판(100)과 하부결합판(300)의 볼트공(112, 113)을 관통시켜 결합되는 체결부재(400)로 이루어지는 스퀘어바(S)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결합판(100)은 사각형상의 판상체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양측에 볼트공(112, 113)이 형성되고, 가운데에 핀공(114)이 형성된 본체부(110)와, 상기 본체부(110)의 일측과 일체로 연결 형성됨과 동시에 폭이 다소 좁아지면서 길이가 길고 단부에 연결공(122)이 형성된 연장부(12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기 연동장치용 조절식 스퀘어바.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10)는 그 저면에 일정한 길이로 외측으로 돌출 연장되도록 지지부(116)가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기 연동장치용 조절식 스퀘어바.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10)의 단부쪽 볼트공(112)에는 외측으로 일정한 크기로 절개되는 절개홈(118)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기 연동장치용 조절식 스퀘어바.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16)에는 그 직각방향으로 내측에 일정한 크기로 절개되는 요입부(117)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기 연동장치용 조절식 스퀘어바.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120)에는 본체부(110)의 단부로부터 연결공(122)의 일단까지 소정의 기울기를 갖는 경사면(124)이 일정구간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124)의 타단으로부터 연결공(122)의 타단까지 평활한 상태가 유지되는 평활면(126)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기 연동장치용 조절식 스퀘어바.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결합판(200)은 사각형 판상체로 이루어지며, 가운데에 타원형 장공(212)이 형성된 본체부(210)와, 상기 본체부(210)로부터 일체로 연결 형성됨과 동시에 폭이 다소 좁아지면서 길이가 길고 단부에 연결공(222)이 형성된 연장 부(22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기 연동장치용 조절식 스퀘어바.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220)에는 본체부(210)의 단부로부터 연결공(222)의 일단까지 소정의 기울기를 갖는 경사면(224)이 일정구간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224)의 타단으로부터 연결공(222)의 타단까지 평활한 상태가 유지되는 평활면(226)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기 연동장치용 조절식 스퀘어바.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결합판(300)은 전체적으로 사각형 판상체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가운데 부분에 소정의 직경을 갖는 핀공(310)이 형성되고, 상기 핀공(310)의 좌우측에는 각각 일정한 높이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턱(320)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턱(320)에는 각각 볼트공(330)이 형성되며, 상기 핀공(310)의 하부 측면에 핀공(310)의 직각방향으로 조절공(340)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기 연동장치용 조절식 스퀘어바.
  10. 삭제
  11. 삭제
  12. 소정의 폭과 두께 및 길이를 갖는 판상체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소정의 위치에 볼트공(330)이 형성된 하부결합판(300)을 배치하고, 상기 하부결합판(300)상에 하부결합판(300)의 길이방향의 직각방향으로 소정의 폭과 두께 및 길이를 갖는 판상체로 이루어진 중간결합판(200)을 배치하며, 상기 중간결합판(200)상에 중간결합판(200)의 길이방향의 직각방향으로 소정의 폭과 두께 및 길이를 갖는 판상체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소정의 위치에 볼트공(112)이 형성된 상부결합판(100)을 배치한 후, 상기 상부결합판(100)과 하부결합판(300)의 볼트공(112, 113, 330)을 관통시켜 체결부재(400)로 체결하여 스퀘어바(S)를 조립한 후, 상기 상부결합판(100), 중간결합판(200) 및 하부결합판(300)의 가운데 핀공(114, 310) 및 장공(212)을 통해서 결합핀(P)을 삽입하고, 상기 하부결합판(300)의 측면 조절공(340)에 볼트(B)를 삽입 및 회전시켜 중간결합판(200)의 장공(212)의 폭만큼 스퀘어바(S)의 길이를 조정하며, 상기 스퀘어바(S)는 소정의 폭과 두께 및 길이를 갖는 판상체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소정의 위치에 볼트공(112)이 형성된 상부결합판(100)과; 상기 상부결합판(100)의 하부에 배치되며, 소정의 폭과 두께 및 길이를 갖는 판상체로 이루어진 중간결합판(200)과; 상기 중간결합판(200)의 하부에 배치되며, 소정의 폭과 두께 및 길이를 갖는 판상체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소정의 위치에 볼트공(330)이 형성된 하부결합판(300)과; 상기 상부결합판(100)과 하부결합판(300)의 볼트공(112, 113)을 관통시켜 결합되는 체결부재(40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기 연동장치용 조절식 스퀘어바 연동방법.
KR1020080125882A 2008-12-11 2008-12-11 분기기 연동장치용 조절식 스퀘어바 및 이의 연동방법 KR1010222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5882A KR101022256B1 (ko) 2008-12-11 2008-12-11 분기기 연동장치용 조절식 스퀘어바 및 이의 연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5882A KR101022256B1 (ko) 2008-12-11 2008-12-11 분기기 연동장치용 조절식 스퀘어바 및 이의 연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7353A KR20100067353A (ko) 2010-06-21
KR101022256B1 true KR101022256B1 (ko) 2011-03-21

Family

ID=42366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5882A KR101022256B1 (ko) 2008-12-11 2008-12-11 분기기 연동장치용 조절식 스퀘어바 및 이의 연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225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512603A2 (en) * 2003-09-04 2005-03-09 Westinghouse Brake And Signal Holdings Limited Point drive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512603A2 (en) * 2003-09-04 2005-03-09 Westinghouse Brake And Signal Holdings Limited Point drive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7353A (ko) 2010-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6808B1 (ko) 분기기용 연동장치 구조 및 연동방법
KR101057006B1 (ko) 철도분기기용 철관연동장치 및 연동방법
CA1232884A (en) Railroad frog having movable wing rails
DD295998A5 (de) Gleis fuer modelleisenbahnen mit gleisbettung
KR101022256B1 (ko) 분기기 연동장치용 조절식 스퀘어바 및 이의 연동방법
DE102012013286B4 (de) Vorrichtung zur Befestigung einer Schiene auf einem Träger
EP1033438A1 (en) Turnout base plate fastening structure
KR100776272B1 (ko) 철도 분기기 시스템
KR100268159B1 (ko) 철도 레일의 분기기 시스템
KR100738591B1 (ko) 분기기용 잠금장치
EP0214925B1 (de) Eisenbahnweiche
WO2018091353A2 (de) Spannklemme, führungsplatte und befestigungspunkt zum befestigen einer schiene auf einem untergrund
KR101040550B1 (ko) 전철기용 연결간 내장형 철침목 및 이의 조립방법
US3612394A (en) Railroad crossing
KR100967139B1 (ko) 분기기용 밀착쇄정 제어장치 및 방법
KR101224136B1 (ko) 철도궤도의 자갈도상용 pc침목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
CA2375046A1 (en) Cross frog
GB2417508A (en) Fastening device for fixing a stock rail in a set of railway points
KR200310653Y1 (ko) 융설장치를 장착하기 위한 고정장치
US403897A (en) Tie-bar clip for split switches
US450983A (en) Combined tie-bar and slide-plate for railroad-tracks
US457905A (en) Railway-switch
US386429A (en) Railway-crossing
US324773A (en) Samuel ii
US312619A (en) Adjustable railway frog and switch combin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