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0550B1 - 전철기용 연결간 내장형 철침목 및 이의 조립방법 - Google Patents

전철기용 연결간 내장형 철침목 및 이의 조립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0550B1
KR101040550B1 KR1020080125884A KR20080125884A KR101040550B1 KR 101040550 B1 KR101040550 B1 KR 101040550B1 KR 1020080125884 A KR1020080125884 A KR 1020080125884A KR 20080125884 A KR20080125884 A KR 20080125884A KR 101040550 B1 KR101040550 B1 KR 1010405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ght walls
walls
train
built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5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7355A (ko
Inventor
전세곤
윤병현
백인혁
Original Assignee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258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0550B1/ko
Publication of KR201000673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73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0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05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7/00Switches; Crossings
    • E01B7/22Special sleepers for switches or crossings; Fasten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3/00Easily dismountable or movable tracks, e.g. temporary railways; Detail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1B23/02Tracks for light railways, e.g. for field, colliery, or mine use
    • E01B23/06Switches; Portable switches; Turnou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3/00Transverse or longitudinal sleepers; Other means resting directly on the ballastway for supporting rails
    • E01B3/16Transverse or longitudinal sleepers; Other means resting directly on the ballastway for supporting rails made from ste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ailway Tra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철기에 의해 이동가능한 텅레일을 위한 구동장치 및 부속의 연결간 및 간류부재들을 조작에 지장없이 철침목의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한 전철기용 연결간 내장형 철침목 및 이의 조립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철기용 연결간 내장형 철침목은 상부가 개방되고, 소정의 간격을 두고 좌우에 설치되는 좌, 우측벽과 상기 좌, 우측벽의 하단부에 수평하게 일체로 형성되는 바닥판으로 이루어지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전방쪽 내측에 삽입되며, 상부가 개방되고, 소정의 간격을 두고 좌우에 설치되는 좌, 우측벽과 상기 좌, 우측벽의 하단부에 수평하게 일체로 형성되는 바닥판과 상기 좌, 우측벽의 상단부로부터 각각 외측으로 일정부분이 연장 형성되는 좌, 우측날개판으로 이루어지는 전철기위치부와; 상기 본체부의 후방쪽 내측에 삽입되며, 상부가 개방되고, 소정의 간격을 두고 좌우에 설치되는 좌, 우측벽과 상기 좌, 우측벽의 하단부에 수평하게 일체로 형성되는 바닥판과 상기 좌, 우측벽의 상단부로부터 각각 내측으로 일정부분 연장 형성되는 좌, 우측돌출부로 이루어진 레일위치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철기용 연결간 내장형 철침목 조립방법은 상부가 개방되고, 소정의 간격을 두고 좌우에 설치되는 좌, 우측벽과 상기 좌, 우측벽의 하단부에 수평하게 일체로 형성되는 바닥판으로 이루어지는 본체부를 배치하고, 상기 본체부의 전방쪽 내측으로 상부가 개방되고, 소정의 간격을 두고 좌우에 설치되는 좌, 우측벽과 상기 좌, 우측벽의 하단부에 수평하게 일체로 형성되는 바닥판과 상기 좌, 우측벽의 상단부로부터 각각 외측으로 일정부분이 연장 형성되는 좌, 우측날개판으로 이루어지는 전철기위치부를 설치하고, 상기 본체부의 후방쪽 내측으로 상부가 개방되고, 소정의 간격을 두고 좌우에 설치되는 좌, 우측벽과 상기 좌, 우측벽의 하단부에 수평하게 일체로 형성되는 바닥판과 상기 좌, 우측벽의 상단부로부터 각각 내측으로 일정부분 연장 형성되는 좌, 우측돌출부로 이루어진 레일위치부를 설치함을 특징으로 한다.
전철기, 연결간, 내장형, 철침목, 조립방법

Description

전철기용 연결간 내장형 철침목 및 이의 조립방법{The spacing member having within type steel railroad tie for switch and this establishment method}
본 발명은 전철기용 연결간 내장형 철침목 및 이의 조립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분기기의 구역, 전철기에 의해 이동가능한 텅레일을 위한 구동장치 및 부속의 연결간 및 간류부재들을 조작에 지장없이 철침목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한 전철기용 연결간 내장형 철침목 및 이의 조립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철기용 가로 내지 중공침목은 DE4315200C2에 공지되었다. 모든 기능수단이 설치되어 있음에도 정상적인 콘크리트 혹은 목재 침목 상에 다소 맞춰 조정되는 횡단면 폭 및 횡단면 높이를 가능케 하기 위해 상기 콘크리트 혹은 목재 침목에서 중공 침목 프로파일의 상부 부분 영역 내지 개방 영역 내에까지 돌출되는 방식으로 위치 고정된 가이드들과 잭, 캠 로드 및 캠 로드 가이드와 같은 이동식 부품들을 구비한 기능 부재들이 배치되며, 그에 반해 중공 침목 프로파일의 하부에는 전철기 구동 로드 및 전철기 위치 표시 링크가 수용된다.
레일들의 지지를 위해 강으로 이루어진 상기한 중공 침목 프로파일은 상측에 측면으로 돌출되는 빔 플랜지를 포함한다.
잠금부재 및 이 잠금부재의 링크용 구동장치는 길이방향 연장부에서 볼 때 측면에서 중공 침목 프로파일 옆에 위치한다. 가로 침목의 측면 내지 선단에 플랜지 결합되는 구동장치는 DE42229014A1 및 CH621168에 공지되었다.
상기한 잠금침목으로 가로침목 내지 중공침목은 콘크리트 혹은 목재 침목과의 그 맞춤조정을 바탕으로 중공침목 뿐 아니라 이에 이웃한 콘크리트 혹은 목재 침목들의 균일한 다짐성을 보장해야 하나, DE4315200C2에 공지된 기능부재 및 부품들의 추가 설치 인하여 침목의 설치공간이 매우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상기한 DE4315200C2의 공지기술은 전철기의 연결간, 조절간 등 간류를 수용할 수 없고, 포인트 첨단부 부분다짐 작업을 할 수 없고, 포인트 상판, 분기기 선형, 전철기의 변동없이 철침목의 교체가 사실상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전철기에 의해 이동가능한 텅레일을 위한 구동장치 및 부속의 연결간 및 간류부재들을 조작에 지장없이 철침목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한 전철기용 연결간 내장형 철침목 및 이의 조립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철기용 연결간 내장형 철침목은 상부가 개방되고, 소정의 간격을 두고 좌우에 설치되는 좌, 우측벽과 상기 좌, 우측벽의 하단부에 수평하게 일체로 형성되는 바닥판으로 이루어지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전방쪽 내측에 삽입되며, 상부가 개방되고, 소정의 간격을 두고 좌우에 설치되는 좌, 우측벽과 상기 좌, 우측벽의 하단부에 수평하게 일체로 형성되는 바닥판과 상기 좌, 우측벽의 상단부로부터 각각 외측으로 일정부분이 연장 형성되는 좌, 우측날개판으로 이루어지는 전철기위치부와; 상기 본체부의 후방쪽 내측에 삽입되며, 상부가 개방되고, 소정의 간격을 두고 좌우에 설치되는 좌, 우측벽과 상기 좌, 우측벽의 하단부에 수평하게 일체로 형성되는 바닥판과 상기 좌, 우측벽의 상단부로부터 각각 내측으로 일정부분 연장 형성되는 좌, 우측돌출부로 이루어진 레일위치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철기용 연결간 내장형 철침목 조립방법은 상부가 개방되고, 소정의 간격을 두고 좌우에 설치되는 좌, 우측벽과 상기 좌, 우측벽의 하단부에 수평하게 일체로 형성되는 바닥판으로 이루어지는 본체부를 배치하고, 상기 본체부의 전방쪽 내측으로 상부가 개방되고, 소정의 간격을 두고 좌우에 설치되는 좌, 우측벽과 상기 좌, 우측벽의 하단부에 수평하게 일체로 형성되는 바닥판과 상기 좌, 우측벽의 상단부로부터 각각 외측으로 일정부분이 연장 형성되는 좌, 우측날개판으로 이루어지는 전철기위치부를 설치하고, 상기 본체부의 후방쪽 내측으로 상부가 개방되고, 소정의 간격을 두고 좌우에 설치되는 좌, 우측벽과 상기 좌, 우측벽의 하단부에 수평하게 일체로 형성되는 바닥판과 상기 좌, 우측벽의 상단부로부터 각각 내측으로 일정부분 연장 형성되는 좌, 우측돌출부로 이루어진 레일위치부를 설치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철기용 연결간 내장형 철침목 및 이의 조립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전철기의 연결간, 조절간 등 간류를 수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철침목으로 교체시 포인트 첨단부 자갈다짐작업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은 포인트 상판, 분기기 선형, 전철기의 변동없이 철침목만 교체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넷째, 본 발명은 상판과 철침목간의 절연으로 절연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은 철침목을 사용함으로써, 철제품의 재활용이 가능하고, 적용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철기용 연결간 내장형 철침목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철기용 연결간 내장형 철침목을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철기용 연결간 내장형 철침목을 도시한 좌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철기용 연결간 내장형 철침목을 도시한 우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철기용 연결간 내장형 철침목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철기용 연결간 내장형 철침목을 도시한 저면도이며,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전철기용 연결간 내장형 철침목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철기용 연결간 내장형 철침목(S)은 상부가 개방되고, 소정의 간격을 두고 좌우에 설치되는 좌, 우측벽(110, 120)과 상기 좌, 우측벽(110, 120)의 하단부에 수평하게 일체로 형성되는 바닥판(130)으로 이루어지는 본체부(100)와; 상기 본체부(100)의 전방쪽 내측에 삽입되며, 상부가 개방되고, 소정의 간격을 두고 좌우에 설치되는 좌, 우측벽(210, 220)과 상기 좌, 우측벽(210, 220)의 하단부에 수평하게 일체로 형성되는 바닥판(230)과 상기 좌, 우측벽(210, 220)의 상단부로부터 각각 외측으로 일정부분이 연장 형성되는 좌, 우측날개판(240, 250)으로 이루어지는 전철기위치부(200)와; 상기 본체부(100)의 후방쪽 내측에 삽입되며, 상부가 개방되고, 소정의 간격을 두고 좌우에 설치되는 좌, 우측벽(310, 320)과 상기 좌, 우측벽(310, 320)의 하단부에 수평하게 일체로 형성되는 바닥판(330)과 상기 좌, 우측벽(330)의 상단부로부터 각각 내측으로 일정부분 연장 형성되는 좌, 우측돌출부(340, 350)로 이루어진 레일위치부(300)로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전철기용 연결간 내장형 철침목(S)은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0)와 전철기위치부(200) 및 레일위치부(300)가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진 부재이다.
여기서, 상기 본체부(100)는 상부가 개방되고, 소정의 간격을 두고 좌우에 설치되는 좌, 우측벽(110, 120)과 상기 좌, 우측벽(110, 120)의 하단부에 수평하게 일체로 형성되는 바닥판(130)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좌, 우측벽(110, 120)은 전철기위치부(200)의 좌, 우측날개판(240, 250)을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즉, 본체부(100)는 철도차량의 궤도주행의 결과 생기는 하중과 힘을 해당 분기기의 기본레일(N)로 흡수해야 하는 장소로, 전철기위치부(200)의 좌, 우측날개판(240, 250)에 작용하는 모든 힘을 본체부(100)에 확실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좌, 우측날개판(240, 250)의 하부를 본체부(100)의 좌, 우측벽(110, 120)으로 지지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전철기위치부(200)는 상부가 개방되고, 소정의 간격을 두고 좌우에 설치되는 좌, 우측벽(210, 220)과 상기 좌, 우측벽(210, 220)의 하단부에 수평하게 일체로 형성되는 바닥판(230)과 상기 좌, 우측벽(210, 220)의 상단부로부터 각각 외측으로 일정부분이 연장 형성되는 좌, 우측날개판(240, 25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좌측날개판(240)과 우측날개판(250)상에 걸쳐 판상체로 이루어진 전철기용 상판(400)이 고정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한 전철기위치부(200)는 그 상부에 전철기(R)가 설치되는 부분으로서, 전철기(R)의 설치 및 구동시 작용하는 하중 및 변위를 수용하기 위해서 본체부(100)내에 전철기위치부(200)가 일정부분 삽입된 상태로 설치되며, 특히 상기 전철기위치부(200)의 좌우측벽(210, 220)에는 그 위에 전철기(R)용 상판(400)을 설치하기 위해 좌우측벽(210, 220)을 외측으로 직각으로 절곡하여 좌, 우측날개판(240, 250)을 형성한 것이다.
한편, 상기 레일위치부(300)는 상부가 개방되고, 소정의 간격을 두고 좌우에 설치되는 좌, 우측벽(310, 320)과 상기 좌, 우측벽(310, 320)의 하단부에 수평하게 일체로 형성되는 바닥판(330)과 상기 좌, 우측벽(310, 320)의 상단부로부터 각각 내측으로 일정부분 연장 형성되는 좌, 우측돌출부(340, 35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레일위치부(300)는 그 상부에 기본레일(N)과 텅레일(T)이 설치되는 부분으로서, 본체부(100)의 내측에 레일위치부(300)가 일정부분 삽입된 상태로 설치되며, 특히 상기 레일위치부(300)의 좌, 우측벽(310, 320)에는 그 위에 기본레일(N) 및 텅레일(T)용 상판을 설치하기 위해서 상기 좌, 우측벽(310, 320)의 내측으로 일정부분 절곡된 좌, 우측돌출부(340, 350)가 형성되고, 상기 좌, 우측돌출부(340, 350)를 형성한 것이다.
특히, 상기 레일위치부(300)의 좌측돌출부(340)과 우측돌출부(350)상에 걸쳐 설치되는 기본레일(N) 및 텅레일(T)용 상판(600)은 전체적으로 사각형 판상체로 이루어지며, 외측단에서 내측으로 일정한 형상으로 절취되는 절취부(610)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이, 레일위치부(300)의 좌측돌출부(340)과 우측돌출부(350)상에 걸쳐 기본레일(N) 및 텅레일(T)용 상판(600)이 서로 대향되게 설치되되, 상기 레일위치부(300)의 좌측벽(310)과 우측벽(320)의 외측에 다수개의 삼각형상의 브라켓(500)이 용접 설치되고, 기본레일(N) 및 텅레일(T)용 상판(600)은 좌, 우측벽(310, 320)의 브라켓(500)과 좌, 우측돌출부(340, 350) 상에 걸쳐 서로 대향되게 고정 설치된다.
즉, 상기 기본레일(N) 및 텅레일(T)용 상판(600)은 그 절취부(610)가 마주보 는 상태로 설치되며, 이와 같은 일측 절취부(610)와 타측 절취부(610)의 구간은 텅레일(T)을 기본레일(N)로의 이동을 위한 구동장치가 설치되는 부분으로 기본레일(N) 및 텅레일(T)용 상판(600)의 일정부분 절개 형성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전철기용 연결간 내장형 철침목(S)은 종래의 콘크리트침목 또는 목침목의 횡단면 치수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분기기 구동장치의 구역에서도 궤도의 수직 및 수평탄성거동을 방해하지 않으므로, 고속구간의 승차감이 향상되는 작용효과가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전철기용 연결간 내장형 철침목 조립 및 설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철기용 연결간 내장형 철침목 조립방법은 상부가 개방되고, 소정의 간격을 두고 좌우에 설치되는 좌, 우측벽(110, 120)과 상기 좌, 우측벽(110, 120)의 하단부에 수평하게 일체로 형성되는 바닥판(130)으로 이루어지는 본체부(100)를 배치하고, 상기 본체부(100)의 의 전방쪽 내측으로 상부가 개방되고, 소정의 간격을 두고 좌우에 설치되는 좌, 우측벽(210, 220)과 상기 좌, 우측벽(210, 220)의 하단부에 수평하게 일체로 형성되는 바닥판(230)과 상기 좌, 우측벽(210, 220)의 상단부로부터 각각 외측으로 일정부분이 연장 형성되는 좌, 우측날개판(240, 250)으로 이루어지는 전철기위치부(200)를 설치하고, 상기 본체부(100)의 후방쪽 내측으로 상부가 개방되고, 소정의 간격을 두고 좌우에 설치되는 좌, 우측벽(310, 320)과 상기 좌, 우측벽(310, 320)의 하단부에 수평하게 일체로 형성되는 바닥판(330)과 상기 좌, 우측벽(330)의 상단부로부 터 각각 내측으로 일정부분 연장 형성되는 좌, 우측돌출부(340, 350)로 이루어진 레일위치부(300)를 설치한다.
상기 전철기위치부(200)의 좌측날개판(240)과 우측날개판(250)상에 걸쳐 전철기(R)용 상판(400)을 고정 설치한다.
상기 레일위치부(300)의 좌측벽(210)과 우측벽(220)의 외측에 삼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브라켓(500)을 용접 설치한다.
상기 레일위치부(300)의 좌측돌출부(340)과 우측돌출부(350)상에 걸쳐 전체적으로 사각형 판상체로 이루어지며, 외측단에서 내측으로 일정한 형상으로 절취되는 절취부(610)가 형성된 기본레일(N) 및 텅레일(T)용 상판(600)을 서로 대향되게 브라켓(500) 상에 고정 설치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 및 조립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전철기용 간류 내장형 철침목 및 이의 조립방법은 분기기의 구역, 전철기(R)에 의해 이동가능한 텅레일(T)을 위한 구동장치 및 부속의 연결간(J) 및 간류부재들을 조작에 지장없이 철침목(S) 내부에 수용할 수 있으며, 철침목(S) 교체시 포인트 첨단부 STT작업이 가능하며, 포인트 상판, 분기기 선형, 전철기(R)의 변동없이 철침목(S)만 교체가 가능하며, 상판과 철침목(S)간의 절연으로 절연성이 우수한 작용효과가 있다.
특히 텅레일(T)의 구역에서도 하이테크화된 기계식 타이탬퍼의 적용, 즉 수준측량계와 궤도이상장치를 구비한 완전기계화 타이탬퍼의 사용이 가능한 작용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철기용 연결간 내장형 철침목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철기용 연결간 내장형 철침목을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철기용 연결간 내장형 철침목을 도시한 좌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철기용 연결간 내장형 철침목을 도시한 우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철기용 연결간 내장형 철침목을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철기용 연결간 내장형 철침목을 도시한 저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철기용 연결간 내장형 철침목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철기용 연결간 내장형 철침목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철기용 연결간 내장형 철침목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전철기용 연결간 내장형 철침목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본체부 110: 좌측벽
120: 우측벽 130: 바닥판
200: 전철기위치부 210: 좌측벽
220: 우측벽 230: 바닥판
240: 좌측날개판 250: 우측날개판
300: 레일위치부 310: 좌측벽
320: 우측벽 330: 바닥판
340: 좌측돌출부 350: 우측돌출부
400: 전철기용 상판 500: 브라켓
600: 기본레일 및 텅레일용 상판 610: 절취부
J: 연결간 N: 기본레일
R: 전철기 S: 전철기용 간류 내장형 침목
T: 텅레일

Claims (8)

  1. 상부가 개방되고, 소정의 간격을 두고 좌우에 설치되는 좌, 우측벽(110, 120)과 상기 좌, 우측벽(110, 120)의 하단부에 수평하게 일체로 형성되는 바닥판(130)으로 이루어지는 본체부(100)와;
    상기 본체부(100)의 전방쪽 내측에 삽입되며, 상부가 개방되고, 소정의 간격을 두고 좌우에 설치되는 좌, 우측벽(210, 220)과 상기 좌, 우측벽(210, 220)의 하단부에 수평하게 일체로 형성되는 바닥판(230)과 상기 좌, 우측벽(210, 220)의 상단부로부터 각각 외측으로 일정부분이 연장 형성되는 좌, 우측날개판(240, 250)으로 이루어지는 전철기위치부(200)와;
    상기 본체부(100)의 후방쪽 내측에 삽입되며, 상부가 개방되고, 소정의 간격을 두고 좌우에 설치되는 좌, 우측벽(310, 320)과 상기 좌, 우측벽(310, 320)의 하단부에 수평하게 일체로 형성되는 바닥판(330)과 상기 좌, 우측벽(330)의 상단부로부터 각각 내측으로 일정부분 연장 형성되는 좌, 우측돌출부(340, 350)로 이루어진 레일위치부(30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철기용 연결간 내장형 철침목.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철기위치부(200)의 좌측날개판(240)과 우측날개판(250)상에 걸쳐 전철기용 상판(400)이 고정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철기용 연결간 내장형 철침목.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위치부(300)의 좌측벽(210)과 우측벽(220)의 외측에 다수개의 브라켓(500)이 용접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철기용 연결간 내장형 철침목.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500)은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철기용 연결간 내장형 철침목.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위치부(300)의 좌측돌출부(340)과 우측돌출부(350)상에 걸쳐 기본레일 및 텅레일용 상판(600)이 서로 대향되게 고정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철기용 연결간 내장형 철침목.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레일 및 텅레일용 상판(600)은 전체적으로 사각형 판상체로 이루어지며, 외측단에서 내측으로 일정한 형상으로 절취되는 절취부(610)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철기용 연결간 내장형 철침목.
  7.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레일 및 텅레일용 상판(600)은 브라켓(500) 상에 고정 설치됨을 전 철기용 연결간 내장형 철침목.
  8. 상부가 개방되고, 소정의 간격을 두고 좌우에 설치되는 좌, 우측벽(110, 120)과 상기 좌, 우측벽(110, 120)의 하단부에 수평하게 일체로 형성되는 바닥판(130)으로 이루어지는 본체부(100)를 배치하고,
    상기 본체부(100)의 의 전방쪽 내측으로 상부가 개방되고, 소정의 간격을 두고 좌우에 설치되는 좌, 우측벽(210, 220)과 상기 좌, 우측벽(210, 220)의 하단부에 수평하게 일체로 형성되는 바닥판(230)과 상기 좌, 우측벽(210, 220)의 상단부로부터 각각 외측으로 일정부분이 연장 형성되는 좌, 우측날개판(240, 250)으로 이루어지는 전철기위치부(200)를 설치하고,
    상기 본체부(100)의 후방쪽 내측으로 상부가 개방되고, 소정의 간격을 두고 좌우에 설치되는 좌, 우측벽(310, 320)과 상기 좌, 우측벽(310, 320)의 하단부에 수평하게 일체로 형성되는 바닥판(330)과 상기 좌, 우측벽(330)의 상단부로부터 각각 내측으로 일정부분 연장 형성되는 좌, 우측돌출부(340, 350)로 이루어진 레일위치부(300)를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철기용 연결간 내장형 철침목 조립방법.
KR1020080125884A 2008-12-11 2008-12-11 전철기용 연결간 내장형 철침목 및 이의 조립방법 KR1010405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5884A KR101040550B1 (ko) 2008-12-11 2008-12-11 전철기용 연결간 내장형 철침목 및 이의 조립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5884A KR101040550B1 (ko) 2008-12-11 2008-12-11 전철기용 연결간 내장형 철침목 및 이의 조립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7355A KR20100067355A (ko) 2010-06-21
KR101040550B1 true KR101040550B1 (ko) 2011-06-16

Family

ID=42366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5884A KR101040550B1 (ko) 2008-12-11 2008-12-11 전철기용 연결간 내장형 철침목 및 이의 조립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05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35268B (zh) * 2012-03-15 2015-04-15 扬州凯思特机械有限公司 一种道岔曲轨的转轨方法及转轨器
CZ2017120A3 (cs) * 2017-03-03 2018-04-18 AŽD Praha s.r.o. Pražec snímačů polohy pohyblivých výměnových jazyků železniční výhybky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0159A (ko) * 2006-05-10 2009-01-29 슈비하크 아게 중공 침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0159A (ko) * 2006-05-10 2009-01-29 슈비하크 아게 중공 침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7355A (ko) 2010-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12661B1 (ja) レール座屈防止用保安装置
PL173950B1 (pl) Podkład poprzeczny do kolejowych urządzeń torowych
KR101040550B1 (ko) 전철기용 연결간 내장형 철침목 및 이의 조립방법
US8556217B1 (en) Elevated frog and rail crossing track assembly
CA2323847C (en) Hollow tie switch assembly
JP5894675B2 (ja) 車両線路
US20110155864A1 (en) Device for fixing a switch setting device on stock rails of a rail switch
DE50107240D1 (de) Betonlose Schwelle
KR101034752B1 (ko) 안내 궤도가 설치되는 지지대용 거푸집
CN203834298U (zh) 一种钢岔枕
KR20110080822A (ko) 철도분기기용 철관연동장치 및 연동방법
KR101061078B1 (ko) 콘크리트 궤도 분기기용 탄성패드
AU2813401A (en) Superstructure points device
DK1026321T3 (da) Forbindelsesanordning af stål til jernbanesveller, især til spændbeton-sporskiftesveller
KR20070035005A (ko) 전철기용 조정 장치를 구비한 가로 침목
JP2014066111A (ja) 鉄道線路横断用舗装板及びその舗装構造
JP2004263551A5 (ko)
JP2007120044A (ja) まくら木
JP5400868B2 (ja) 連続的な敷設床を備える固形トラック路
KR200465375Y1 (ko) 차상신호시스템용 발리스 설치대
KR100906684B1 (ko) 측방 안내방식 고무차륜형 경량전철 안내레일 체결시스템
JP6236513B1 (ja) 交換用コンクリート製まくらぎの施工方法と交換用コンクリート製まくらぎ
US20140231533A1 (en) Track assembly
KR910020268A (ko) 그루우브형 안내트랙의 전철기
CN202081348U (zh) 一种铁路无砟轨道跨越线下结构缝点式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