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6005B1 - 피로 강도가 우수한 고강도 강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피로 강도가 우수한 고강도 강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6005B1
KR100706005B1 KR1020057006402A KR20057006402A KR100706005B1 KR 100706005 B1 KR100706005 B1 KR 100706005B1 KR 1020057006402 A KR1020057006402 A KR 1020057006402A KR 20057006402 A KR20057006402 A KR 20057006402A KR 100706005 B1 KR100706005 B1 KR 1007060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s
less
fatigue strength
strength
st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6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50137A (ko
Inventor
도루 하야시
아키히로 마츠자키
Original Assignee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3009795A external-priority patent/JP450749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009787A external-priority patent/JP448748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009784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4263199A/ja
Application filed by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50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01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60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60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8/00Solid state diffusion of only non-metal elements into metallic material surfaces; 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gas,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 C23C8/06Solid state diffusion of only non-metal elements into metallic material surfaces; 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gas,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using gases
    • C23C8/08Solid state diffusion of only non-metal elements into metallic material surfaces; 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gas,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using gases only one element being applied
    • C23C8/24Nitriding
    • C23C8/26Nitriding of ferrous surface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ungsten, tantalum, molybdenum, vanadium, or niob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itanium or zirconiu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493Composite; i.e., plural, adjacent, spatially distinct metal components [e.g., layers, joint, etc.]
    • Y10T428/12639Adjacent, identical composition, components
    • Y10T428/12646Group VIII or IB metal-base
    • Y10T428/12653Fe, containing 0.01-1.7% carbon [i.e., ste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493Composite; i.e., plural, adjacent, spatially distinct metal components [e.g., layers, joint, etc.]
    • Y10T428/12771Transition metal-base component
    • Y10T428/12861Group VIII or IB metal-base component
    • Y10T428/12903Cu-base component
    • Y10T428/12917Next to Fe-base component
    • Y10T428/12924Fe-base has 0.01-1.7% carbon [i.e., ste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493Composite; i.e., plural, adjacent, spatially distinct metal components [e.g., layers, joint, etc.]
    • Y10T428/12771Transition metal-base component
    • Y10T428/12861Group VIII or IB metal-base component
    • Y10T428/12951Fe-base component
    • Y10T428/12958Next to Fe-base component
    • Y10T428/12965Both containing 0.01-1.7% carbon [i.e., ste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493Composite; i.e., plural, adjacent, spatially distinct metal components [e.g., layers, joint, etc.]
    • Y10T428/12771Transition metal-base component
    • Y10T428/12861Group VIII or IB metal-base component
    • Y10T428/12951Fe-base component
    • Y10T428/12972Containing 0.01-1.7% carbon [i.e., stee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 Heat Treatment Of Articles (AREA)

Abstract

모재 강도가 1000MPa 이상이고 회전 굽힘 피로 강도가 550MPa 이상인, 우수한 강도와 피로 강도를 겸비한 고강도 강재를 제공한다. C: 0.3∼0.8질량%, Si: 0.01∼0.9질량% 및 Mn: 0.01∼2.0질량% 를 함유하고, 잔부는 Fe 및 불가피 불순물의 조성으로 함과 함께, 강 조직을 입경 7㎛ 이하인 페라이트와 세멘타이트 조직, 또는 입경 7㎛ 이하인 페라이트와 세멘타이트와 펄라이트 조직으로 한다. 그리고, 고주파 담금질 후의 표층부를 구오스테나이트 입경 12㎛ 이하인 마르텐사이트 조직으로 한다. 또는, 질화 처리 후의 표층부의 페라이트 조직의 입경이 10㎛ 이하인 미세 조직으로 한다.

Description

피로 강도가 우수한 고강도 강재 및 그 제조방법 {HIGH-STRENGTH STEEL PRODUCT EXCELLING IN FATIGUE STRENGTH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조강(條鋼)을 사용한 자동차 부품, 예를 들어 등속 조인트, 드라이브 샤프트, 크랭크 샤프트, 커넥팅 로드 및 허브 등에 적용하여 바람직한, 피로 강도가 우수한 고강도 강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커넥팅 로드 및 허브 등의 제품은, 열간 단조 또는 전조를 실시하고 그 후 절삭 가공하여 제조되어 왔다. 등속 조인트, 드라이브 샤프트, 크랭크 샤프트 및 허브 등의 제품은 기계 가공성을 높이기 위한 어닐링, 또는 구형화 어닐링 후 열간 단조 또는 전조를 실시하고, 그 후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고주파 담금질 또는 질화 처리하여 제조되어 왔다. 이러한 용도의 제품에 대해서는, 차체 경량화를 위해 고강도화와 고피로수명화가 요구되고 있다.
종래부터 피로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개재물의 최대직경을 작게 하는 것 및 개재물의 수를 감소시키는 것이 가장 유효하다고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는 Al, N, Ti, Zr 및 S 등의 각 성분을 적절히 조정한 후에 황화물의 최대직경을 10㎛ 이하로, 또 청정도를 0.05% 이상으로 함으로써 피로 강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특히 고강도재에서 는 반복 응력을 받으면 입계 파괴가 발생하기 쉬워져, 목표로 하는 피로 강도가 얻어지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예를 들어 특허문헌 2 에는 선형 또는 막대형 압연강재에서 축심과 평행하고 또 축심에서 직경의 1/4 떨어진 위치의 단위면적 100㎟ 중에 존재하는 산화물 및 황화물을 20개 이하로 억제함으로써 피로 특성 및 전동 피로 특성을 개선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에서는, 피로 강도의 최대치는 770MPa 정도에 지나지 않아, 최근의 굽힘 피로 강도에 대한 요구에는 응할 수 없었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302778호
특허문헌 2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1749호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상기 현상을 감안하여 개발된 것으로, 성분조정과 함께 조직을 적절히 제어함으로써, 강도가 1000MPa 이상이고 회전 굽힘 피로 강도가 550MPa 이상인, 우수한 강도와 피로 강도를 겸비한 고강도 강재를, 그 유리한 제조방법과 함께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모재 조직과 표층부 조직을 적절히 제어함으로써, 모재 강도가 1000MPa 이상이고 고주파 담금질 후 또는 질화 후의 회전 굽힘 피로 강도가 800MPa 이상인, 우수한 강도와 피로 강도를 겸비한 고강도 강재를, 그 유리한 제조방법과 함께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예의연구를 거듭한 결과, 이하에 서술하는 지견을 얻었다.
(1) 강재의 결정입경을 미세하게 하면 강도 및 피로 강도가 함께 향상되지만, 단순히 결정입경을 미세하게만 해서는 본 발명이 목표로 하는 피로 강도는 얻어지지 않는다.
(2) 성분을 조정하여 강 조직을 미세입자 페라이트뿐만 아니라 미세입자 세멘타이트가 생성되도록 하면, 피로 강도가 효과적으로 향상된다. 또한, 이 미세분산 세멘타이트는 균일 신장을 크게 하는 작용이 있기 때문에, 재료의 가공성이 향상된다.
(3) 강 조직을 미세 페라이트와 미세 세멘타이트를 갖는 조직으로 하기 위해서는, 강의 성분 조정에 더하여 550∼700℃ 의 온도역에서 변형 1.0 이상의 가공을 실시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4) 강재의 결정입경을 미세하게 하면 강도 및 피로 강도가 함께 향상되지만, 단순히 결정입경을 미세하게만 해서는 그 후의 고주파 담금질에 의해 결정입자가 조대화되기 때문에, 본 발명이 목표로 하는 피로 강도는 얻어지지 않는다.
(5) 성분을 조정하여 강 조직을 미세 페라이트뿐만 아니라 미세 세멘타이트가 생성되도록 하면, 이 미세분산 세멘타이트 및 모재 페라이트 입자계가 고주파 가열시에 오스테나이트화의 핵으로 작용하여 다수의 핵으로부터 오스테나이트화가 일어나게 되기 때문에,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마르텐사이트의 구오스테나이트(prior austenite) 입경도 미세화된다. 그 결과, 고주파 담금질 후에도 강도 및 피로 강도가 각별히 향상된다.
(6) 고주파 담금질에서는 비교적 저온으로 하는 것이 개선효과는 크다.
(7) 강재의 결정입경을 미세하게 하면 강도 및 피로 강도가 함께 향상되지만, 그 후 표층부에 질화 처리를 실시하는 경우에는, 단순히 결정입경을 미세하게만 해서는 그 후의 질화 처리에 의해 결정립이 조대화되기 때문에, 본 발명이 목표로 하는 피로 강도는 얻어지지 않는다.
(8) 성분을 조정하여 강 조직을 미세 페라이트뿐만 아니라 미세 세멘타이트가 생성되도록 하면, 이 미세분산 세멘타이트가 질화시에 피닝의 역할을 하여 페라이트의 입자 성장을 억제한다. 그 때문에,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표층부의 페라이트 입경도 미세해진다. 그 결과, 질화 처리 후에서도 강도 및 피로 강도가 각별히 향상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즉, 본 발명의 요지 구성은 다음과 같다.
1. C: 0.3∼0.8질량%,
Si: 0.01∼0.9질량% 및
Mn: 0.01∼2.0질량%
를 함유하고, 잔부는 Fe 및 불가피 불순물의 조성이 되고, 조직은 입경이 7㎛ 이하인 페라이트와 세멘타이트 조직, 또는 입경이 7㎛ 이하인 페라이트와 세멘타이트와 펄라이트 조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로 강도가 우수한 고강도 강재.
2. 1 의 강재에 있어서, 추가로,
Mo: 0.05∼0.6질량%
를 함유하는 조성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로 강도가 우수한 고강도 강재.
3. 2 의 강재에 있어서, 추가로
Al: 0.015∼0.06질량%,
Ti: 0.005∼0.030질량%,
Ni: 1.0질량% 이하,
Cr: 1.0질량% 이하,
V: 0.1질량% 이하,
Cu: 1.0질량% 이하,
Nb: 0.05질량% 이하,
Ca: 0.008질량% 이하 및
B: 0.004질량% 이하
중에서 선택한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함유하는 조성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로 강도가 우수한 고강도 강재.
4. 1, 2 또는 3 에 있어서, 세멘타이트의 조직분율이 4vol%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로 강도가 우수한 고강도 강재.
5. 2 의 강재에 있어서, 추가로 고주파 담금질 후의 표층부가 구오스테나이트 입경이 12㎛ 이하인 마르텐사이트 조직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로 강도가 우수한 고강도 강재.
6. 5 의 강재에 있어서, 추가로
Al: 0.015∼0.06질량%,
Ti: 0.005∼0.030질량%,
Ni :1.0질량% 이하,
Cr: 1.0질량% 이하,
V: 0.1질량% 이하,
Cu: 1.0질량% 이하,
Nb: 0.05질량% 이하,
Ca: 0.008질량% 이하 및
B: 0.004질량% 이하
중에서 선택한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함유하는 조성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로 강도가 우수한 고강도 강재.
7. 2 의 강재에 있어서, 추가로,
질화 처리 후의 표층부의 페라이트 입경이 1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로 강도가 우수한 강재의 표층부에 질화 처리에 의한 경화층을 갖추는 고강도 강재.
8. 7 의 강재에 있어서, 추가로,
Al: 0.015∼0.06질량%,
Ti: 0.005∼0.030질량%,
Ni: 1.0질량% 이하,
Cr: 1.0질량% 이하,
V: 0.1질량% 이하,
Cu: 1.0질량% 이하,
Nb: 0.05질량% 이하,
Ca: 0.008질량% 이하, 및
B: 0.004질량% 이하
중에서 선택한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함유하는 조성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로 강도가 우수한 고강도 강재.
9. 7 또는 8 에 있어서, 모재 조직 중에서의 세멘타이트의 조직분율이 4vol%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로 강도가 우수한 고강도 강재.
10. C: 0.3∼0.8질량%,
Si: 0.01∼0.9질량% 및
Mn: 0.01∼2.0질량%
를 함유하고, 잔부는 Fe 및 불가피 불순물의 조성이 되는 강소재를 550∼700℃ 의 온도역에서 변형이 1.0 이상인 가공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로 강도가 우수한 고강도 강재의 제조방법.
11. 10 에 있어서, 강소재가, 추가로
Mo: 0.05∼0.6질량%
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로 강도가 우수한 고강도 강재의 제조법.
12. 11 에 있어서, 강소재가, 추가로
Al: 0.015∼0.06질량%,
Ti: 0.005∼0.030질량%,
Ni: 1.0질량% 이하,
Cr: 1.0질량% 이하,
V: 0.1질량% 이하,
Cu: 1.0질량% 이하,
Nb: 0.05질량% 이하,
Ca: 0.008질량% 이하 및
B: 0.004질량% 이하
중에서 선택한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함유하는 조성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로 강도가 우수한 고강도 강재의 제조방법.
13. 11 에 있어서,
강소재를, 550∼700℃
의 온도역에서 변형이 1.0 이상인 가공을 실시하고, 그 후에 고주파 담금질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로 강도가 우수한 고강도 강재의 제조방법.
14. 13 에 있어서, 강소재가, 추가로,
Al: 0.015∼0.06질량%,
Ti: 0.005∼0.030질량%,
Ni: 1.0질량% 이하,
Cr: 1.0질량% 이하,
V: 0.1질량% 이하,
Cu: 1.0질량% 이하,
Nb: 0.05질량% 이하,
Ca: 0.008질량% 이하 및
B: 0.004질량% 이하
중에서 선택한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함유하는 조성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로 강도가 우수한 고강도 강재의 제조방법.
15. 11 에 있어서,
강소재를, 550∼700℃ 의 온도역에서 변형이 1.0 이상인 가공을 실시하고, 그 후에 표층부에 질화 처리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로 강도가 우수한 고강도 강재의 제조방법.
16. 15 에 있어서, 강소재가, 추가로
Al: 0.015∼0.06질량%,
Ti: 0.005∼0.030질량%,
Ni: 1.0질량% 이하,
Cr: 1.0질량% 이하,
V: 0.1질량% 이하,
Cu: 1.0질량% 이하,
Nb: 0.05질량% 이하,
Ca: 0.008질량% 이하 및
B: 0.004질량% 이하
중에서 선택한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함유하는 조성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로 강도가 우수한 고강도 강재의 제조방법.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서 강재의 성분 조성을 상기의 범위로 한정한 이유에 대하여 설명한다.
C: 0.3∼0.8질량%
C 는 모재의 강도를 상승시킴과 함께 필요량의 세멘타이트를 확보하기 위해 필요한 원소이다. 여기에서, C 함유량이 0.3질량% 가 되지 않으면 상기 효과가 얻어지지 않고, 한편 0.8질량% 를 초과하면 피삭성이나 피로 강도, 단조성의 저하를 초래하기 때문에, C 량은 0.3∼0.8질량% 의 범위로 한정하였다.
Si: 0.01∼0.9질량%
Si 는 탈산제로서 작용할 뿐만 아니라 강도의 향상에도 효과적으로 기여하지만, 함유량이 0.01질량% 가 되지 않으면 그 첨가효과가 떨어지고, 한편 0.9질량% 를 초과하면 피삭성 및 단조성의 저하를 초래하기 때문에, Si 량은 0.01∼0.9질량% 의 범위로 한정하였다.
Mn: 0.01∼2.0질량%
Mn 은 강도의 향상뿐만 아니라 피로 강도의 향상에 효과적으로 기여하지만, 함유량이 0.01질량% 가 되지 않으면 그 첨가효과가 떨어지고, 한편 2.0질량% 를 초과하면 피삭성이나 단조성을 열화시키기 때문에, Mn 량은 0.01∼2.0질량% 의 범위로 한정하였다.
이상 기본 성분에 대하여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에서는 그 외에도 이하에 서술하는 원소를 적절히 함유시킬 수 있다.
Mo: 0.05∼0.6질량%
Mo 는 페라이트 입자의 성장을 억제하는 데에 있어서 유용한 원소이고, 그러기 위해서는 적어도 0.05질량% 를 필요로 하지만, 0.6질량% 를 초과해 첨가하면 피삭성의 열화를 초래하기 때문에, Mo 량은 0.05∼0.6질량% 의 범위로 한정하였다.
Al: 0.015∼0.06질량%
Al 은 강의 탈산제로서 작용한다. 그러나, 함유량이 0.015질량% 가 되지 않으면 그 첨가효과가 떨어지고, 한편 0.06질량% 를 초과하면 피삭성 및 피로 강도의 저하를 초래하기 때문에, Al 량은 0.015∼0.06질량% 의 범위로 한정하였다.
Ti: 0.005∼0.030질량%
Ti 는 TiN 의 피닝 효과에 의해 결정입자를 미세화하기 위해 유용한 원소이고, 이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적어도 0.005질량% 의 첨가를 필요로 하지만, 0.030질량% 을 초과해 첨가하면 피로 강도의 저하를 초래하기 때문에, Ti 량은 0.005∼0.030질량% 의 범위로 한정하였다.
Ni: 1.0질량% 이하
Ni 는 강도상승 및 Cu 첨가시의 균열 방지에 효과적이지만, 1.0질량% 를 초과해 첨가하면 담금질 균열을 일으키기 쉬워지므로, 1.0질량% 이하로 한정하였다.
Cr: 1.0질량% 이하
Cr 은 강도상승에 효과적이지만, 1.0질량% 를 초과해 첨가하면 탄화물을 안정화시켜 잔류 탄화물의 생성을 촉진하고 입계 강도를 저하시키며, 또 피로 강도의 저하도 초래하기 때문에, 1.0질량% 이하로 한정하였다.
V: 0.1질량% 이하
V 는 탄화물이 되어 석출됨으로써 피닝에 의한 조직미세화 효과를 발휘하는 유용원소이지만, 0.1질량% 를 초과해 첨가해도 효과가 포화되기 때문에, 0.1질량% 이하로 한정하였다.
Cu: 1.0질량% 이하
Cu 는 고용강화 및 석출강화에 의해 강도를 향상시키는 유용원소이고, 또한 담금질성의 향상에도 효과적으로 기여하지만, 함유량이 1.0질량% 를 초과하면 열간 가공시에 균열이 발생하기 쉬워 제조가 곤란해지기 때문에, 1.0질량% 이하로 한정하였다.
Nb: 0.05질량% 이하
Nb 는 석출에 의해 페라이트 입자를 피닝하는 효과가 있지만, 0.05질량% 를 초과해 첨가해도 그 효과는 포화되기 때문에, 0.05질량% 이하로 한정하였다.
Ca: 0.008질량% 이하
Ca 는 개재물을 구형화하여 피로 특성을 개선하는 유용원소이지만, 0.008질량% 를 초과해 첨가하면 개재물이 조대화되고, 반대로 피로 특성을 열화시키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0.008질량% 이하로 한정하였다.
B: 0.004질량% 이하
B 는 입계 강화에 의해 피로 특성을 개선할 뿐만 아니라 강도를 향상시키는 유용원소이지만, 0.004질량% 를 초과해 첨가해도 그 효과는 포화되기 때문에, 0.004질량% 이하로 한정하였다.
이상 적합 성분 조성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에서는 성분 조성을 상기 범위로 한정하는 것만으로는 불충분하며, 이하에 서술하는 바와 같이 강 조직의 조정도 중요하다.
조직이, 입경이 7㎛ 이하인 페라이트와 세멘타이트 조직 또는 입경이 7㎛ 이하인 페라이트와 세멘타이트와 펄라이트 조직
조직이, 7㎛ 이하의 페라이트와 세멘타이트 조직 또는 7㎛ 이하의 페라이트와 세멘타이트와 펄라이트 조직이 아니면, 본 발명에서 목표인 강도 ≥ 1000MPa 가 얻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페라이트 입경은 7㎛ 이하로 한정하였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이하이다.
모재 조직, 즉 고주파 담금질 전의 조직 (고주파 담금질 후의 표층부 담금질 조직 이외의 부분에 상당) 이, 입경이 7㎛ 이하인 페라이트와 세멘타이트 조직 또는 입경이 7㎛ 이하인 페라이트와 세멘타이트와 펄라이트 조직이 아니면, 본 발명에서 목표인 1000MPa 이상의 모재 강도가 얻어지지 않는다. 또한, 페라이트 입경이 7㎛ 이하가 아니면, 그 후에 고주파 담금질을 적용한 경우 고주파 담금질 적용부의 구오스테나이트 입경이 12㎛ 이하가 되지 않아 피로 강도가 향상되지 않는다. 따라서, 모재의 페라이트 입경은 7㎛ 이하로 한정하였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이하이다.
모재 조직, 즉 질화 처리 전의 조직 (질화 처리 후의 표층부 질화층 이외의 부분에 상당) 이, 입경이 7㎛ 이하인 페라이트와 세멘타이트 조직, 또는 입경이 7㎛ 이하인 페라이트와 세멘타이트와 펄라이트 조직이 아니면, 본 발명에서 목표인 1000MPa 이상의 모재 강도가 얻어지지 않는다. 또한, 페라이트 입경이 7㎛ 이하가 아니면, 그 후에 질화 처리를 실시한 경우 질화층의 페라이트 입경이 10㎛ 이하가 되지 않는다. 따라서, 모재의 페라이트 입경은 7㎛ 이하로 한정하였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이하이다.
또, 페라이트 입경이 2㎛ 이하가 되면 펄라이트 조직이 소실되어 페라이트-세멘타이트 조직이 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은 본 발명을 저해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석출되는 세멘타이트의 양 (조직분율) 은 체적분율 (vol%) 로 4%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멘타이트는 피로 강도의 향상에 기여하는 것 외에, 다량으로 미세하게 석출함으로써 균일 신장을 크게 하여 재료의 가공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도 있다. 여기에서, 석출된 세멘타이트의 크기는 약 1㎛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이하이다. 그리고, 석출되는 펄라이트량은 약 20vol%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펄라이트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전혀 석출되지 않아도 된다. 또, 세멘타이트, 펄라이트 이외의 잔부 조직은 페라이트이다. 이 페라이트량은, 가공성 확보의 관점에서 40vol%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한 바와 같은 페라이트와 세멘타이트 조직 또는 페라이트와 세멘타이트와 펄라이트 조직은, 강재의 제조공정 중 온간 단조 공정에서 550∼700℃ 의 온도역에서 변형이 1.0 이상인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바람직하게 얻을 수 있다.
고주파 담금질 후의 표층부가 구오스테나이트 입경이 12㎛ 이하인 마르텐사이트 조직
구오스테나이트 입경이 12㎛ 이하가 아니면, 본 발명에서 목표인 800MPa 이상이라는 높은 굽힘 피로 강도를 얻을 수 없다. 그 때문에, 고주파 담금질 후의 조직에서의 구오스테나이트 입경은 12㎛ 이하로 한정하였다. 바람직하게는 5㎛ 이하이다.
또, 상기한 고주파 담금질 후의 조직은 모재 조직을 입경이 7㎛ 이하인 페라이트와 세멘타이트 조직 또는 입경이 7㎛ 이하인 페라이트와 세멘타이트와 펄라이트 조직으로 한 후에, 후술하는 조건으로 고주파 담금질을 실시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질화 처리 후의 표층부의 페라이트 입경이 10㎛ 이하
질화 처리 후의 표층부, 즉 질화층의 페라이트 입경이 10㎛ 이하가 아니면, 본 발명에서 목표인 800MPa 이상이라는 높은 굽힘 피로 강도를 얻을 수 없다. 그 때문에, 질화 처리 후의 표층부 조직에서의 페라이트 입경은 10㎛ 이하로 한정하였다. 바람직하게는 5㎛ 이하이다.
또, 상기한 질화 처리 후의 표층부 조직은, 모재 조직을, 입경이 7㎛ 이하인 페라이트와 세멘타이트 조직, 또는 입경이 7㎛ 이하인 페라이트와 세멘타이트와 펄라이트 조직으로 한 후에, 후술하는 조건으로 질화 처리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 강의 제조조건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소정 성분 조성으로 조정한 강재를 선봉 압연(wire rod rolling)한 후 온간 단조(warm forging)한다. 온간 단조한 강재를 모재로 한다. 온간 단조한 강재에 절삭 등의 마무리 가공을 실시하여 제품화한다. 또는, 온간 단조한 강재에 필요에 따라 냉견(cold drawing) 공정을 실시한 후 고주파 담금질을 실시하여 제품으로 한다. 또는, 온간 단조한 강재에 필요에 따라 절삭 등의 공정을 실시한 후 질화 처리하여 제품화한다.
상기 온간 단조 공정에서, 페라이트 입경을 7㎛ 이하로 하기 위해서는 550∼700℃ 의 온도역에서 변형이 1.0 이상인 가공을 실시하는 것이 유리하다. 여기에서, 가공온도가 550℃ 미만이면 조직이 가공조직 그대로이며 미세화되지 않는다. 한편, 가공온도가 700℃ 를 초과하면 결정입경이 7㎛ 를 초과하여 역시 미세화되지 않는다. 또한, 가공량이 변형에서 1.0미만이면 가공이 불충분하고 작은 각 입계(angle boundaries)가 대부분을 차지하게 되기 때문에, 강도는 물론 피로 특성이 향상되지 않는다.
상기 모재 조직으로 한 후, 고주파 담금질을 실시하여 표층부를 경화시킨다. 이 때의 고주파 담금질 조건은 가열온도: 800∼1000℃, 주파수: 0.3∼400kHz 를 채용할 수 있다. 가열온도가 800℃ 가 되지 않으면 오스테나이트화가 불충분하고, 한편 1000℃ 를 초과하면 오스테나이트 입경이 조대해진다. 또한, 주파수가 0.3kHz 가 되지 않으면 급속하고 충분한 온도상승이 얻어지지 않고, 한편 400kHz 를 초과하면 담금질 깊이가 얕아져, 굽힘 피로 강도가 향상되지 않는다.
상기한 모재 조직으로 한 후 질화 처리하고 표층부를 경화시켜, 내마모성을 향상시킨다. 이 때의 질화 처리 조건은 500∼650℃ 의 온도범위에서 1∼100시간, 질화 분위기 중에 유지하는 것이다. 이 질화 처리에서는 질소의 원료가 기체이어도 되고 액체이어도 된다.
질화온도가 500℃ 가 되지 않으면 질소가 강 속에 들어가기 어려워 충분한 질화를 바랄 수 없다. 한편, 650℃ 를 초과하면 모재의 입자 성장을 억제하기 어려워 페라이트 입자가 조대화된다. 또한, 질화시간이 1h 이 되지 않으면 질소가 충분히 강 속에 들어가지 않기 때문에 질화의 효과가 작고, 한편 100h 를 초과하여 질화 처리해도 그 효과는 포화된다.
실시예 1
표 1 에 나타내는 성분 조성이 되는 강재를 봉 압연한 후, 표 2 에 나타내는 조건으로 온간 단조하여 60×60×120㎜ 의 제품을 얻었다. 이 제품에서 인장시험편, 회전 굽힘 피로 시험편 및 피삭성 시험편을 채취하였다. 제품의 페라이트 결정 입경, 세멘타이트량 및 펄라이트량 및 인장강도, 회전 굽힘 피로 강도 및 피삭성에 대해 조사한 결과를 표 2 에 병기한다. 또, 온간 단조시의 변형량은 유한요소해석법에 의해 단조면의 마찰계수를 0.3 으로 하여 산출하였다. 또, 피삭성은 외주 선삭 시험에서의 공구수명이 JIS G5101 의 SC 재와 동등 또는 그 이상인 경우를 ○, SC 재보다도 떨어지는 경우를 × 로 하여 평가하였다.
표 2 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조직을 입경이 7㎛ 이하인 페라이트와 세멘타이트 조직 또는 페라이트와 세멘타이트와 펄라이트 조직으로 한 발명예는 모두 강도 ≥ 1000MPa 라는 우수한 강도가 얻어질 뿐만 아니라 회전 굽힘 피로 강도 ≥ 550MPa 라는 우수한 피로 강도를 얻을 수 있었다.
이에 반하여, 단조시의 변형량이 작은 No.6 의 비교예에서는, 페라이트 입자 가 미세화되지 않아 회전 굽힘 피로 강도가 낮다. 또한, 단조 온도가 낮은 No.7 의 비교예에서는 조직이 가공조직이 되고, 한편 단조 온도가 높은 No.8 의 비교예에서는 페라이트 입자가 미세화되지 않으며, 그 때문에 회전 굽힘 피로 강도가 낮다.
또한 Mo 량이 과잉인 No.13 의 비교예에서는 피삭성이 저하하였다. 그리고, C 량이 부족한 No.14 의 비교예에서는 강도가 부족하고, 한편 C 가 과잉인 No.15 의 비교예에서는 피삭성의 저하를 초래하였다.
실시예 2
표 3 에 나타내는 성분 조성이 되는 강재를 봉 압연한 후, 표 4 에 나타내는 조건으로 온간 단조하여 60×60×120㎜ 의 모재를 얻었다. 이 모재에서 인장 시험편, 회전 굽힘 피로 시험편 및 피삭성 시험편을 채취하였다. 이어서, 회전 굽힘 피로 시험편에는 가열온도: 900℃, 주파수: 12kHz 의 조건으로 고주파 담금질을 하였다. 모재의 페라이트 결정 입경, 세멘타이트량, 펄라이트량, 인장강도 및 피삭성 그리고 고주파 담금질 후의 담금질 조직의 구오스테나이트 결정 입경 및 고주파 담금질 후의 시험편의 회전 굽힘 피로 강도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를 표 4 에 병기한다. 또, 온간 단조시의 변형량은 유한요소해석법에 의해 단조면의 마찰계수를 0.3 으로 하여 산출하였다. 또, 피삭성은 외주 선삭 시험에서의 공구수명이 통상의 SC 재와 동등 또는 그 이상인 경우를 ○, SC 재보다도 떨어지는 경우를 × 로 하여 평가하였다.
표 4 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모재 조직을 입경이 7㎛ 이하인 페라이트와 세멘타이트 조직 또는 입경이 7㎛ 이하인 페라이트와 세멘타이트와 펄라이트 조직으로 한 발명예는 모두 모재 강도가 1000MPa 이상이라는 우수한 강도가 얻어질 뿐만 아니라, 고주파 담금질 후의 표층부 조직도 구오스테나이트 입경이 12㎛ 이하인 미세한 마르텐사이트 조직이 되어, 회전 굽힘 피로 강도가 800MPa 이상이라는 우수한 피로 강도를 얻을 수 있었다.
이에 반하여, 모재의 페라이트 입경이 7㎛ 을 초과하고 있으면 모재 강도가 부족함과 함께 고주파 담금질 후의 구오스테나이트 입경도 조대화되어 회전 굽힘 피로 강도도 불충분하였다.
특히 단조 온도가 낮은 No.7 의 비교예에서는 조직이 가공조직이 되고, 한편 단조 온도가 높은 No.8 의 비교예에서는 페라이트 입자가 미세화되지 않았다. 또한, 그러한 조대인 페라이트 조직에 고주파 담금질을 하더라도, 얻어지는 마르텐사이트의 구오스테나이트 입경은 12㎛ 이하로는 되지 않았다.
또한, Mo 를 첨가하지 않은 No.12 의 비교예에서는, 모재 페라이트 입자는 미세화되었지만 고주파 담금질 후의 구오스테나이트 입경이 조대해졌다. 한편, Mo 량이 과잉인 No.13 의 비교예에서는 피삭성이 저하하였다.
그리고, C 량이 부족한 No.14 의 비교예에서는 담금질되지 않고, 한편 C 가 과잉인 No.15 의 비교예에서는 피삭성의 저하를 초래하였다.
실시예 3
표 5 에 나타내는 성분 조성이 되는 강재를 봉 압연한 후, 표 6 에 나타내는 조건으로 온간 단조하여 60×60×120㎜ 의 모재를 얻었다. 이 모재에서 인장 시험편, 회전 굽힘 피로 시험편 및 피삭성 시험편을 채취하였다. 이어서, 회전 굽힘 피로 시험편에 대해서는 표 6 에 나타내는 조건으로 질화 처리하였다. 모재의 페라이트 결정 입경, 세멘타이트량, 펄라이트량, 인장강도, 그리고 피삭성 및 질화 처리 후 표층부의 페라이트 입경 및 회전 굽힘 피로 강도에 대해 조사한 결과를 표 6 에 병기한다. 또, 온간 단조시의 변형량은 유한요소해석법에 의해 단조면의 마찰계수를 0.3 으로 하여 산출하였다. 또, 피삭성은 외주 선삭 시험에서의 공구수명이 통상의 SC 재와 동등 또는 그 이상인 경우를 ○, SC 재보다도 떨어지는 경우를 × 로 하여 평가하였다.
표 6 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모재 조직을 입경이 7㎛ 이하인 페라이트와 세멘타이트 조직 또는 입경이 7㎛ 이하인 페라이트와 세멘타이트와 펄라이트 조직으로 한 발명예는 모두 모재 강도가 1000MPa 이상이라는 우수한 강도가 얻어질 뿐만 아니라, 질화 처리 후의 표층부 조직도 페라이트 입경이 10㎛ 이하인 미세한 조직이 되어, 회전 굽힘 피로 강도 ≥ 800MPa 라는 우수한 피로 강도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피삭성도 우수하였다.
이에 반하여, 모재의 페라이트 입경이 7㎛ 을 초과하고 있으면 질화 처리 후의 페라이트 입경도 조대화되어 회전 굽힘 피로 강도가 불충분하였다.
특히, 단조 온도가 낮은 No.6 의 비교예에서는 조직이 가공조직이 되고, 한편 단조 온도가 높은 No.7 및 단조시의 변형량이 작은 No.8 의 비교예에서는 페라이트 입자가 미세화되지 않았다. 또, 그러한 조대인 페라이트 조직에 질화 처리를 하더라도, 질화 영역의 페라이트 입경은 10㎛ 이하로는 되지 않았다.
또한, Mo 를 첨가하지 않은 No.13 의 비교예에서는, 모재 페라이트 입자는 미세화되었지만 질화 처리 후의 페라이트 입경이 커져 회전 굽힘 피로 강도가 불충분하였다. 그리고, C 량이 부족한 No.1 의 비교예에서는 질화 처리 후의 페라이트 입경이 조대해지고 모재 강도 및 회전 굽힘 피로 강도가 불충분하였다. 한편 C 가 과잉인 No.4 의 비교예에서는 피삭성의 저하를 초래하였다. 또, 질화 처리하지 않은 No.9 의 비교예에서는 충분한 회전 굽힘 피로 강도가 얻어지지 않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모재 강도가 1000MPa 이상이고 회전 굽힘 피로 강도가 550MPa 이상, 또는 회전 굽힘 피로 강도가 800MPa 이상인, 우수한 강도와 피로 강도를 겸비한 고강도 강재를 안정적으로 얻을 수 있다.
Figure 112005019341816-pct00001
Figure 112005019341816-pct00002
Figure 112005019341816-pct00003
Figure 112005019341816-pct00004
Figure 112005019341816-pct00005
Figure 112005019341816-pct00006

Claims (16)

  1. C: 0.3∼0.8질량%,
    Si: 0.01∼0.9질량% 및
    Mn: 0.01∼2.0질량%
    를 함유하고, 잔부는 Fe 및 불가피 불순물의 조성이 되고, 조직은 입경이 7㎛ 이하인 페라이트와 세멘타이트 조직, 또는 입경이 7㎛ 이하인 페라이트와 세멘타이트와 펄라이트 조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로 강도가 우수한 고강도 강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추가로,
    Mo: 0.05∼0.6질량%
    를 함유하는 조성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로 강도가 우수한 고강도 강재.
  3. 제 2 항에 있어서, 추가로
    Al: 0.015∼0.06질량%,
    Ti: 0.005∼0.030질량%,
    Ni: 1.0질량% 이하,
    Cr: 1.0질량% 이하,
    V: 0.1질량% 이하,
    Cu: 1.0질량% 이하,
    Nb: 0.05질량% 이하,
    Ca: 0.008질량% 이하 및
    B: 0.004질량% 이하
    중에서 선택한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함유하는 조성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로 강도가 우수한 고강도 강재.
  4.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세멘타이트의 조직분율이 4vol%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로 강도가 우수한 고강도 강재.
  5. 제 2 항에 있어서, 추가로 고주파 담금질 후의 표층부가 구오스테나이트(prior austenite) 입경이 12㎛ 이하인 마르텐사이트 조직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로 강도가 우수한 고강도 강재.
  6. 제 5 항에 있어서, 추가로
    Al: 0.015∼0.06질량%,
    Ti: 0.005∼0.030질량%,
    Ni :1.0질량% 이하,
    Cr: 1.0질량% 이하,
    V: 0.1질량% 이하,
    Cu: 1.0질량% 이하,
    Nb: 0.05질량% 이하,
    Ca: 0.008질량% 이하 및
    B: 0.004질량% 이하
    중에서 선택한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함유하는 조성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로 강도가 우수한 고강도 강재.
  7. 제 2 항에 있어서, 추가로,
    질화 처리 후의 표층부의 페라이트 입경이 1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로 강도가 우수한 강재의 표층부에 질화 처리에 의한 경화층을 구비하는 고강도 강재.
  8. 제 7 항에 있어서, 추가로,
    Al: 0.015∼0.06질량%,
    Ti: 0.005∼0.030질량%,
    Ni: 1.0질량% 이하,
    Cr: 1.0질량% 이하,
    V: 0.1질량% 이하,
    Cu: 1.0질량% 이하,
    Nb: 0.05질량% 이하,
    Ca: 0.008질량% 이하, 및
    B: 0.004질량% 이하
    중에서 선택한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함유하는 조성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로 강도가 우수한 고강도 강재.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모재 조직 중에서의 세멘타이트의 조직분율이 4vol%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로 강도가 우수한 고강도 강재.
  10. C: 0.3∼0.8질량%,
    Si: 0.01∼0.9질량% 및
    Mn: 0.01∼2.0질량%
    를 함유하고, 잔부는 Fe 및 불가피 불순물의 조성이 되는 강소재를 550∼700℃ 의 온도역에서 변형이 1.0 이상인 가공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로 강도가 우수한 고강도 강재의 제조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강소재가, 추가로
    Mo: 0.05∼0.6질량%
    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로 강도가 우수한 고강도 강재의 제조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강소재가, 추가로
    Al: 0.015∼0.06질량%,
    Ti: 0.005∼0.030질량%,
    Ni: 1.0질량% 이하,
    Cr: 1.0질량% 이하,
    V: 0.1질량% 이하,
    Cu: 1.0질량% 이하,
    Nb: 0.05질량% 이하,
    Ca: 0.008질량% 이하 및
    B: 0.004질량% 이하
    중에서 선택한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함유하는 조성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로 강도가 우수한 고강도 강재의 제조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강소재를, 550∼700℃
    의 온도역에서 변형이 1.0 이상인 가공을 실시하고, 그 후에 고주파 담금질을 가열온도 : 800∼1000℃, 주파수 : 0.3∼400kHz 에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로 강도가 우수한 고강도 강재의 제조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강소재가, 추가로,
    Al: 0.015∼0.06질량%,
    Ti: 0.005∼0.030질량%,
    Ni: 1.0질량% 이하,
    Cr: 1.0질량% 이하,
    V: 0.1질량% 이하,
    Cu: 1.0질량% 이하,
    Nb: 0.05질량% 이하,
    Ca: 0.008질량% 이하 및
    B: 0.004질량% 이하
    중에서 선택한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함유하는 조성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로 강도가 우수한 고강도 강재의 제조방법.
  15. 제 11 항에 있어서,
    강소재를, 550∼700℃ 의 온도역에서 변형이 1.0 이상인 가공을 실시하고, 그 후에 표층부에 질화 처리를 500∼650℃ 의 온도범위에서 1∼100 시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로 강도가 우수한 고강도 강재의 제조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강소재가, 추가로
    Al: 0.015∼0.06질량%,
    Ti: 0.005∼0.030질량%,
    Ni: 1.0질량% 이하,
    Cr: 1.0질량% 이하,
    V: 0.1질량% 이하,
    Cu: 1.0질량% 이하,
    Nb: 0.05질량% 이하,
    Ca: 0.008질량% 이하 및
    B: 0.004질량% 이하
    중에서 선택한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함유하는 조성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로 강도가 우수한 고강도 강재의 제조방법.
KR1020057006402A 2003-01-17 2004-01-07 피로 강도가 우수한 고강도 강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7060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009795A JP4507494B2 (ja) 2003-01-17 2003-01-17 疲労強度に優れた高強度鋼材の製造方法
JP2003009787A JP4487482B2 (ja) 2003-01-17 2003-01-17 疲労強度に優れた高強度鋼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JP-P-2003-00009784 2003-01-17
JPJP-P-2003-00009787 2003-01-17
JPJP-P-2003-00009795 2003-01-17
JP2003009784A JP2004263199A (ja) 2003-01-17 2003-01-17 疲労強度に優れた高強度鋼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0137A KR20050050137A (ko) 2005-05-27
KR100706005B1 true KR100706005B1 (ko) 2007-04-12

Family

ID=32776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6402A KR100706005B1 (ko) 2003-01-17 2004-01-07 피로 강도가 우수한 고강도 강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60057419A1 (ko)
EP (2) EP1584700A4 (ko)
KR (1) KR100706005B1 (ko)
TW (1) TWI267558B (ko)
WO (1) WO20040656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3822B1 (ko) * 2010-05-06 2013-04-12 주식회사 포스코 초미세립 고강도 고인성 선재 및 그 제조방법
US9738945B2 (en) * 2012-01-31 2017-08-22 Nissan Motor Co., Ltd. Process for producing forged product
CN102634736B (zh) * 2012-04-13 2014-12-10 中信重工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提升机主轴用的45MnMo钢及其制备方法
JP6149927B2 (ja) 2013-04-10 2017-06-21 新日鐵住金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ラックバー用圧延丸鋼材およびステアリングラックバー
WO2015029553A1 (ja) 2013-08-26 2015-03-05 新日鐵住金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ラックバー用圧延丸鋼材およびステアリングラックバー
JP2017122500A (ja) * 2016-01-08 2017-07-13 株式会社神戸製鋼所 大型クランク軸
EP3489379A4 (en) * 2016-07-19 2020-01-08 Nippon Steel Corporation STEEL FOR INDUCTION HARDNESS
WO2018016503A1 (ja) * 2016-07-19 2018-01-25 新日鐵住金株式会社 高周波焼入れ用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83910A (ja) * 1995-04-17 1996-10-29 Nippon Steel Corp 冷間加工性と捩り疲労強度特性を兼備した高周波焼入れ軸部品用鋼材
JPH11217649A (ja) * 1998-01-30 1999-08-10 Nippon Steel Corp 冷間加工性と高強度特性を兼備した高周波焼入れ用鋼材とその製造方法
JPH11229083A (ja) * 1998-02-17 1999-08-24 Sanyo Special Steel Co Ltd 被削性に優れる軸受用鋼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7167B2 (ja) * 1980-06-09 1984-04-19 株式会社不二越 鋼の焼入方法
JPH0517821A (ja) * 1991-07-12 1993-01-26 Nippon Steel Corp 焼き割れの少ない高周波焼入れ部品の製造方法
EP0643148B1 (en) * 1993-03-12 2002-06-19 Nippon Steel Corporation Steel material for induction-hardened shaft part and shaft part made therefrom
JP2916069B2 (ja) * 1993-09-17 1999-07-05 新日本製鐵株式会社 高強度高周波焼入れ軸部品
JPH0853714A (ja) * 1994-08-09 1996-02-27 Kobe Steel Ltd ねじり疲労強度に優れた機械構造用軸物部品
JP2979987B2 (ja) * 1994-12-20 1999-11-22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軟窒化用鋼
JP3432944B2 (ja) * 1995-03-16 2003-08-04 新日本製鐵株式会社 捩り疲労強度の優れた高周波焼入れ軸部品用鋼材
JP3466328B2 (ja) * 1995-05-18 2003-11-10 新日本製鐵株式会社 高寿命高周波焼入れ軸受用鋼材
JPH09324258A (ja) * 1996-06-04 1997-12-16 Daido Steel Co Ltd 窒化処理部品
JPH10219393A (ja) * 1997-02-04 1998-08-18 Sumitomo Metal Ind Ltd 軟窒化用鋼材、軟窒化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WO1998049362A1 (fr) * 1997-04-30 1998-11-05 Kawasaki Steel Corporation Acier presentant une ductilite et une resistance elevees et procede de production de ce materiau
US6290789B1 (en) * 1997-06-26 2001-09-18 Kawasaki Steel Corporation Ultrafine-grain steel pipe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H1136044A (ja) * 1997-07-16 1999-02-09 Nkk Corp 打抜き加工性に優れた高炭素鋼
DE69811200T2 (de) * 1997-07-22 2003-10-09 Nippon Steel Corp Einsatzstahl mit hervorragender verhinderung der sekundärrekristallisation während der aufkohlung,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halbzeug für aufzukohlende teile
US6083455A (en) * 1998-01-05 2000-07-04 Sumitomo Metal Industries, Ltd. Steels, steel products for nitriding, nitrided steel parts
JP3593255B2 (ja) * 1998-04-17 2004-11-24 山陽特殊製鋼株式会社 高強度シャフトの製造方法
JPH11302778A (ja) 1998-04-23 1999-11-02 Sumitomo Metal Ind Ltd 被削性に優れた低延性非調質鋼材
JP4219023B2 (ja) * 1998-11-19 2009-02-04 新日本製鐵株式会社 高強度ドライブシャフトとその製造方法
JP2000154828A (ja) * 1998-11-19 2000-06-06 Nippon Steel Corp 耐フレーキング特性と軸部強度に優れた等速ジョイント用外輪とその製造方法
US6390924B1 (en) * 1999-01-12 2002-05-21 Ntn Corporation Power transmission shaft and constant velocity joint
US6319337B1 (en) * 1999-02-10 2001-11-20 Ntn Corporation Power transmission shaft
JP3904351B2 (ja) * 1999-02-26 2007-04-11 独立行政法人物質・材料研究機構 高強度・高靱性棒材とその製造方法
JP3554505B2 (ja) * 1999-05-26 2004-08-18 新日本製鐵株式会社 機械構造用熱間圧延線材・棒鋼及びその製造方法
WO2001075186A1 (fr) * 2000-04-04 2001-10-11 Nippon Steel Corporation Barre a fil ou barre d'acier laminee a chaud pour utilisation dans des structures de machine pouvant se dispenser de recuit, et procede de fabrication associe
JP2001355047A (ja) 2000-06-14 2001-12-25 Kawasaki Steel Corp 冷間加工性と高周波焼入れ性に優れた高炭素鋼管およ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83910A (ja) * 1995-04-17 1996-10-29 Nippon Steel Corp 冷間加工性と捩り疲労強度特性を兼備した高周波焼入れ軸部品用鋼材
JPH11217649A (ja) * 1998-01-30 1999-08-10 Nippon Steel Corp 冷間加工性と高強度特性を兼備した高周波焼入れ用鋼材とその製造方法
JPH11229083A (ja) * 1998-02-17 1999-08-24 Sanyo Special Steel Co Ltd 被削性に優れる軸受用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267558B (en) 2006-12-01
KR20050050137A (ko) 2005-05-27
EP1961831A1 (en) 2008-08-27
EP1584700A4 (en) 2007-03-28
TW200418997A (en) 2004-10-01
US20060057419A1 (en) 2006-03-16
EP1584700A1 (en) 2005-10-12
WO2004065647A1 (ja) 2004-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78806A (ko) 마텐자이트형 열간 단조용 비조질강 및 열간 단조 비조질강 부품
JP4266340B2 (ja) 冷間加工性及び耐衝撃特性に優れた高周波焼入用高強度線材及びこの線材を利用した鋼部品
KR100740414B1 (ko) 재질 이방성이 작고 강도, 인성 및 피삭성이 우수한비조질 강 및 그의 제조 방법
JP3562192B2 (ja) 高周波焼入用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428581B1 (ko) 강도 및 인성이 우수한 비조질강 및 이를 이용한 선재의 제조방법
WO2007123164A1 (ja) 内燃機関用ピストンリング材
JP4983099B2 (ja) 衝撃特性と疲労特性に優れた鋼軸部品とその製造方法
KR100706005B1 (ko) 피로 강도가 우수한 고강도 강재 및 그 제조방법
JPH07118791A (ja) 高面疲労強度機械構造用部品及びその製法
JP4266341B2 (ja) 冷間鍛造性及び肌焼処理時の耐粗粒化特性に優れた球状化焼鈍省略肌焼用鋼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3055714A (ja) 非調質鋼鍛造加工品及びその製法、並びにそれを用いた内燃機関用コンロッド部品
JP2009197314A (ja) 機械構造用部品
JP3550886B2 (ja) 被削性および疲労強度に優れた高周波焼入用の歯車用鋼材の製造方法
JP4752800B2 (ja) 非調質鋼材
KR101458348B1 (ko) 열간 단조용 비조질강 및 열간 단조 비조질품 및 그 제조 방법
JP2022510381A (ja) 焼き戻し工程を省略するためのバネ用鋼材およびこの鋼材を利用したバネ製造方法
JP4427772B2 (ja) 高疲労強度を有するマルエージング鋼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マルエージング鋼帯
CN108220805B (zh) 耐应力腐蚀性优异的高强度弹簧用钢丝及其制造方法
JP2007107046A (ja) 高周波焼入れ用鋼材
JP4507149B2 (ja) 高疲労強度を有する動力伝達ベルト用マルエージング鋼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動力伝達ベルト用マルエージング鋼帯
JP4487482B2 (ja) 疲労強度に優れた高強度鋼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458604B2 (ja) 高周波焼入れ部品の製造方法
JPH1129836A (ja) 高周波焼入れ用機械構造用鋼
JP2008144270A (ja) 疲労特性と靭性に優れた機械構造用非調質鋼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機械構造用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4124190A (ja) ねじり特性に優れる高周波焼もどし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