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3249B1 - 백열 램프 - Google Patents

백열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3249B1
KR100703249B1 KR1020000056607A KR20000056607A KR100703249B1 KR 100703249 B1 KR100703249 B1 KR 100703249B1 KR 1020000056607 A KR1020000056607 A KR 1020000056607A KR 20000056607 A KR20000056607 A KR 20000056607A KR 100703249 B1 KR100703249 B1 KR 1007032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candescent
daytime running
coil
lamp
high b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6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30496A (ko
Inventor
시스흐카인골프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010030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04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32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32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KELECTRIC INCANDESCENT LAMPS
    • H01K9/00Lamps having two or more incandescent bodies separately heated
    • H01K9/08Lamps having two or more incandescent bodies separately heated to provide selectively different light effects, e.g. for automobile headla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1/162Incandescent light sources, e.g. filament or halogen lamps
    • F21S41/164Incandescent light sources, e.g. filament or halogen lamps having two or more fila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400/00Special features or arrangements of exterior signal lamps for vehicles
    • B60Q2400/30Daytime running lights [DRL], e.g. circuits or arrangement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3/00Combination of light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전조등의 하이 빔(high beam)을 생성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백열 코일(incandescent coil)을 가진 백열 램프(incandescent lamp)에 관한 것이며, 이 램프는 부가적으로 주간 주행등(daytime running light)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디밍된(dimmed) 하이 빔을 절전형 주간 주행등(daytime running light : DRL)으로서 이용하면, 하이 빔에 속하는 광분포(light distribution)는 주간 주행등의 기능에 부적당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하이 빔이 주간 주행등의 최대 광도(luminous intensity)에 관한 요건들이 충족된다면 하이 빔은 백열 램프의 전구에서 할로겐 싸이클(halogen cycle)이 더 이상 유지될 수 없을 정도로 강하게 디밍되어야 할 것이다. 이것은 전구 내부의 흑화 현상(blackening)을 유발하고 램프 수명을 더 단축한다. 자동차 전조등에서의 주간 주행등 기능의 실현을 개선하는 백열 램프를 생성하기 위해서, 백열 램프는 자동차 전조등 내에 하이 빔을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백열 코일 및 자동차 전조등에서 주간 주행등을 생성하는 적어도 제 2 백열 코일을 구비하도록 제공된다.

Description

백열 램프{INCANDESCENT LAMP}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백열 램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백열 램프를 반사기 내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자동차 전조등의 하이 빔(high beam)을 생성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백열 코일(incandescent coil)을 가진 백열 램프(incandescent lamp)에 관한 것으로, 이 램프에 의해서 주간 주행등(daytime running light)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주행 중인 자동차는 불충분한 가시성(visibility)에 의해서 주간에도 많은 교통 사고를 일으킨다. 이에 따라, 사고를 피하기 위해서, 자동차에는 소위 주간 주행등(daytime running lights : DRL)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주간 주행등은 자동차가 주행 중인 다른 자동차 운전자들에게 (예를 들면, 눈부심에 등에 의한) 어떤 심각한 불쾌감을 주지 않고도 더 잘 보일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이러한 주간 주행등의 기동은, 예를 들면 주변 광 레벨(ambient light level) 및 모터 구동(motor running)(이 경우에 계속적으로 스위치-온 상태일 것임)과 같은 주어진 주변 변수와 관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변 광이 특정한 수치 아래로 떨어지는 순간, 주간 주행등에서 로우 빔(low beam)으로의 전환이 있을 것이다. 또한, 주간 주행등은, 특히 전력 소비를 줄이기 위해서, 자동차가 단지 정차하고 있을 뿐일 때에도 스위치 오프(switched off)된다. 주간 주행등의 요건은 수평으로의 대칭 정렬에 관해서는 자동차 전조등의 메인 빔(main beam)의 요건과 비슷하다. 그러나, 광 분포(light distribution) 및 광도(intensity)에 대한 요건은 확연히 다르다. 주간 주행등의 광도(intensity)는 메인 빔에 비해 실질적으로 더 낮고 수평 방향으로 더 광범위하게 분포된다. 비교적 예리한 수평 상의 포커싱(focusing)(소위 기준 축 상의 HV 포인트)과는 대조적으로, 주간 주행등(DRL)은 더 넓고 더 평탄해야 한다. 주간 주행등(DRL)에 부과되는 요건은 로우 빔과 하이 빔에 대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법으로 정해져 있다. 또한, 주간 주행등은 수명이 길고, 전력 소비가 적어야 한다.
주간 주행등의 기능의 구현을 위한 알려진 해결책은 기존의 전조등에 대한 전압의 감소(디밍(dimming))에 기초를 두고 있다. 기존 백열 램프의 디밍(dimming)은 백열 램프의 전체 전력 소비와 관련하여 생성되는 가시광선의 비율을 급격히 감소시키기 때문에 광 효율(luminous efficacy)의 상당한 손실을 초래한다. 이것은 또한 전력 소모를 상당히 증가시켜, 자동차의 연료 소비를 바람직하지 못하게 증가시킨다. 광(light)의 디밍(dimming)을 이용한 구현의 다른 측면은, 법적 요건 때문에 그의 광 분포가 주로 도로를 향해 조사되어 어두운 곳에서 다가오는 운전자들이 눈부시지 않게 한다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분포는 디밍 상태를 계속 유지하여, 광의 일부분만이 통행에 참여하고 있는 사람들의 시계의 개선에 기여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이런 방식으로 구현된 주간 주행등은 낮은 효율을 가지며 에너지 절약형 주간 주행등(DRL)으로는 적당하지 않다. 디밍된 하이 빔을 주간 주행등으로서 이용하면 또한 하이 빔의 광 분포가 주간 주행등의 기능으로 적당하지 않게 된다는 단점이 있다. 하이 빔은 너무 예리하게 포커싱되기 때문에, 하이 빔의 광도의 분포는 주간 주행등에 관한 법적 요건을 충족시키지 못한다. 또한, 하이 빔이 주간 주행등의 최대 광도에 관한 요건을 충족한다고 하더라도, 하이 빔은 형광 램프의 전구 내의 할로겐 싸이클이 더 이상 유지될 수 없을 정도로 디밍되어야 할 것이다. 이것은 전구 내부의 흑화(blackening) 및 램프 수명의 단축을 야기한다.
미국 특허 출원 US 5,614,788에는 주변 조건에 반응하는 자동 주간 주행등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프론트 라이트(front light)를 구비한 자동차용의 자동 주간 주행등 시스템은 주간 주행등을 제어하는 회로를 포함하는데, 이 제어 회로는 자동차의 점화 장치가 스위치 온(switched on)되고 스타터(starter)가 스위치 오프(switched off)되는 경우에 메인 빔용의 백열 코일에 감소 전압을 공급한다. 하이 빔에 의해서 구현되는 이러한 주간 주행등 시스템은 상기 공지된 단점을 갖는다.
또한, 독일 특허 출원 공개 공보 DE 195 10 542에는 케이블 장비의 배선 내에 실질적인 변화없이 다수의 제어 회로를 이용하여 정규 전조등(normal headlight), 로우 빔 전조등 및 주간 주행등(DRL) 사이의 스위칭을 실행할 수 있는 전조등 회로가 개시되어 있다. 전조등의 스위칭 시에 케이블 장치 배선의 단순화가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디밍(dimming)을 통하여 생성된 주간 주행등은 공지된 단점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 전조등에서의 주간 주행등 기능의 개선된 구현을 가능하게 하는 백열 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백열 램프가 자동차 전조등에서 하이 빔을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백열 코일과, 자동차 전조등에서 주간 주행등을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백열 코일을 포함한다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제 2 백열 코일과 하이 빔을 위한 백열 코일의 결합은 놀랍도록 간단한 방식으로 하이 빔의 기능과 주간 주행등의 기능을 제공하는 램프를 획득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백열 램프 내로의 통합은 기존의 어떠한 기능도 저하시키지 않고서 다양한 자동차 전조등에서의 이용 가능성을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자동차 전조등은 새로이 제작될 필요가 없고, 개조된 반사기를 이용하여 계속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백열 램프의 다른 유리한 실시예에서, 제 2 형광 코일을 형성하는 최대 30 W 전력의 백열 코일을 제공한다. 주간 주행등은 주간 주행등을 생성하는 제 2 백열 코일에 대한 지름, 길이, 재료 및 다른 변수들의 적절한 선택을 통하여 최적화될 수 있다. 특히, 백열 코일은 약 20 W(최대 30 W)의 전력에서 최대 광 효율(단위 전력당 생성되는 광량(lm/W))이 달성되도록 설계될 것이다. 약 20 W의 값은 상기 요건(특히 법적 요건)의 관점에서 주간 주행등에 바람직한 것으로 간주된다. 이에 비해, 하이 빔을 생성하는 제 1 백열 코일은 대개 65 W의 전력을 가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 2 백열 코일은 제 1 백열 코일의 축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백열 램프의 캡(cap)에서 보았을 때, 제 2 백열 코일은 제 1 백열 코일의 뒤에 배치될 수도 있고 또는 앞에 배치될 수도 있다. 두 개의 백열 코일을 하나의 공통 광학 축 상에 배열하면, 백열 램프를 수용할 수 있고, 전조등 유닛(unit) 내에 주간 주행 빔뿐만 아니라 적당한 하이 빔을 생성하는 반사기를 구현하는 좋은 가능성을 제공한다. 주어진 응용 분야의 요건들이 상이한 배열(예를 들면, 서로 평행하거나 서로에 대해 직각인 배열)을 더 유리하게 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백열 램프의 전구 내에 두 개의 백열 코일을 배열하는 다른 배열도 가능하다. 이들 요건은, 예를 들면 백열 램프가 포함될 전조등 또는 백열 램프 그 자체에 부과되는 법적 요건일 수 있다. 제조 공정에 기초하여 특수한 요건이 제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유리한 실시예들은 후속하는 종속항에서 정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면을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후술될 것이다.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백열 램프의 구성 원리를 도시한다. 램프 캡(1)은 전구(bulb)(2)에 기밀의 방식으로 접속되어 있다. 투명 유리 전구(2)는 공지된 진공(vacuumtight) 방식으로 밀봉되었으며, 할로겐을 함유하고 있다. 제 1 백열 코일(3)과 제 2 백열 코일(4)은 전구(2) 내에 배치되어, 백열 램프가 자동차 전조등에 포함되어 있을 때에 하이 빔 및 주간 주행 빔을 각각 생성한다. 자동차 전조등(도시하지 않음)은 램프 캡(1)에 적합한 홀더(holder)를 가진 반사기를 포함하고, 상기 백열 램프가 그 안에 맞춰서 고정되게 한다.
삭제
도 2는 도시하지 않은 전조등의 일부를 형성하는 반사기(5) 내의 본 발명에 따른 백열 램프의 두 개의 백열 코일(3, 4)의 배열을 도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하이 빔을 위한 백열 코일(3)은 반사기(5)와 함께 평행한 형태로 나오는 빔(6)을 생성한다. 백열 코일(3)과 마찬가지로, 주간 주행등을 위한 백열 코일(4)은 전조등의 광학 축(7) 상에 그 코일 축이 놓이고, 반사기(5)의 개구부에서 보았을 때에 백열 코일(3) 뒤에 배치된다. 백열 코일(4)은 반사기(5)와 함께 주간 주행등에 해당하는 더 넓은 빔(8)을 생성하는데, 이것은 반사기(5)로부터 배출될 때 덜 예리하게 포커싱된다. 백열 램프의 전구(2) 및 램프 캡(1)은 이 기능적인 도면에서는 명료성을 위해 도시하지 않았다. 백열 전구는 램프 캡(1)의 적당한 홀더에 의해서 공지된 방식으로 반사기(5)에 단단히 고정된다. 이것으로 백열 램프를 반사기(5) 내의 원하는 위치에 양호하게 정렬하고, 그 후에 고정할 수 있다. 반사기(5)는 이러한 경우에 두 개의 빔(6, 8)이 생성될 수 있게 하는 형태를 가진다.
본 발명은 자동차 전조등의 하이 빔을 생성하는 데에 이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백열 코일을 가진 백열 램프를 제공하는데, 이 램프는 주간 주행등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Claims (6)

  1. 자동차 전조등에서 하이 빔(high beam)(6)을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백열 코일(incandescent coil)(3)과,
    자동차 전조등에서 주간 주행 빔(daytime running beam)(8)을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백열 코일(4)을 구비하되,
    상기 제 2 백열 코일(4)은 상기 제 1 백열 코일(3)의 축(7) 상에 위치하는
    백열 램프(incandescent lamp).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백열 코일(4)을 형성하기 위해 최대 30W 전력의 백열 코일(4)을 구비하는 백열 램프.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백열 램프의 램프 캡(lamp cap)(1)에서 보았을 때에, 상기 제 2 백열 코일(4)은 상기 제 1 백열 코일(3)의 전방에 위치하는 백열 램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백열 램프의 램프 캡(1)에서 보았을 때에, 상기 제 2 백열 코일(4)이 상기 제 1 백열 코일(3)의 후방에 위치하는 백열 램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백열 코일(3) 및 상기 제 2 백열 코일(4)은 기밀형(gastight)의 투명 용기(2) 내에 수용되고,
    상기 기밀형의 투명 용기(2)는 한 면에서 기밀 방식으로 램프 캡(1)에 접속되며,
    상기 제 1 백열 코일(3)의 제 1 접속부에 제 1 전기 전류 리드(electrical current lead)가 제공되고, 상기 제 2 백열 코일(4)의 제 1 접속부에 제 2 전기 전류 리드가 제공되며, 상기 제 1 백열 코일(3) 및 상기 제 2 백열 코일(4)의 제 2 접속부에 제 3 전기 전류 리드가 제공되고,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전기 전류 리드는 상기 램프 캡(1)을 통과하는
    백열 램프.
KR1020000056607A 1999-09-28 2000-09-27 백열 램프 KR1007032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946297.6 1999-09-28
DE19946297A DE19946297A1 (de) 1999-09-28 1999-09-28 Glühlamp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0496A KR20010030496A (ko) 2001-04-16
KR100703249B1 true KR100703249B1 (ko) 2007-04-03

Family

ID=7923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6607A KR100703249B1 (ko) 1999-09-28 2000-09-27 백열 램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439739B1 (ko)
EP (1) EP1089324B1 (ko)
JP (1) JP4869473B2 (ko)
KR (1) KR100703249B1 (ko)
CN (1) CN1175469C (ko)
DE (1) DE199462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06074A (ja) 2002-04-12 2003-10-28 Koito Mfg Co Ltd 自動車用ヘッドランプのオートレベリング装置
FR2842282B1 (fr) * 2002-07-15 2004-12-17 Valeo Vision Projecteur de vehicule automobile avec lampe a deux filaments
US6955439B2 (en) * 2003-02-21 2005-10-18 Guide Corporation Dual filament static bending lamp
DE10328214A1 (de) * 2003-06-24 2005-02-10 Hella Kgaa Hueck & Co. Beleuchtungseinrichtung für ein Fahrzeug
DE10344130A1 (de) * 2003-09-24 2005-04-21 Bayerische Motoren Werke Ag Scheinwerfer
FR2872564B1 (fr) * 2004-07-02 2007-03-16 Valeo Vision Sa Dispositif d'eclairage et/ou de signalisation pour vehicule automobile
DE102004053644A1 (de) 2004-11-03 2006-05-04 Patent-Treuhand-Gesellschaft für elektrische Glühlampen mbH Fahrzeugscheinwerferlampe
WO2006090294A1 (en) * 2005-01-14 2006-08-3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Light-emitting unit and light-emitting method thereof
CN2842724Y (zh) * 2005-04-28 2006-11-29 飞利浦(中国)投资有限公司 卤钨灯
JP4653044B2 (ja) * 2006-09-04 2011-03-16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車両前照灯
DE602006008471D1 (de) * 2006-09-19 2009-09-24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Kraftfahrzeugscheinwerfer mit zwei Funktionen
DE102007059340B4 (de) 2006-12-19 2019-10-24 Osram Gmbh Stromzuführungssystem
JP4983278B2 (ja) 2007-01-31 2012-07-25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車両用灯具
DE102007008147A1 (de) * 2007-02-19 2008-08-21 Patent-Treuhand-Gesellschaft für elektrische Glühlampen mbH Halogenglühlampe
US20090134763A1 (en) * 2007-11-26 2009-05-28 Miller Jack V 3-Way parabolic reflector lamp
JP5008547B2 (ja) * 2007-12-26 2012-08-22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車両用灯具
DE102008009204B4 (de) * 2008-02-15 2020-04-23 HELLA GmbH & Co. KGaA Scheinwerfer für ein Kraftfahrzeug
WO2010032143A1 (en) * 2008-09-18 2010-03-25 Philips Intellectual Property & Standards Gmbh Lighting unit and vehicle headlamp
DE102010001255A1 (de) * 2010-01-27 2011-07-28 Osram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81543 Leuchtenanordnung
CN111396824A (zh) * 2019-06-05 2020-07-10 华域视觉科技(上海)有限公司 车灯光学元件、车灯模组、车辆前照灯及车辆
DE202022106509U1 (de) 2022-11-22 2024-02-28 Marelli Automotive Lighting Reutlingen (Germany) GmbH Reflexionslichtmodul für Fernlicht und Tagfahrlicht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568401A (ko) * 1968-04-11 1969-05-23
DE2049362A1 (en) * 1970-10-08 1972-04-13 Kunststoff Sonderbau Goenner & Gas filled incandescent lamps - with outer shielding esp for motor vehicles
DE2112052A1 (de) * 1971-03-12 1972-09-14 Heinz Goenner Gasgefuellte elektrische Zweiwendel-Halogenlampe mit je einer Wendel fuer das Fern- und Abblendlicht mit einer Abschirmung
US4598342A (en) * 1984-07-09 1986-07-01 Gte Products Corporation Low wattage double filament tungsten-halogen lamp
FR2568721B1 (fr) * 1984-08-03 1986-12-05 Lampes Elect Fab Reunies Lampe electrique a incandescence pour vehicule automobile
JPS621301A (ja) * 1985-06-27 1987-01-07 Nec Corp アンテナの方向調整方法
JPH0753365B2 (ja) * 1986-08-25 1995-06-07 松下電工株式会社 化粧単板の製造方法
JPS63173742A (ja) * 1987-01-13 1988-07-18 Honda Motor Co Ltd 車両用ヘツドライト装置
JP2542910B2 (ja) * 1988-08-09 1996-10-09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自動車用前照灯
JPH0716247Y2 (ja) * 1990-04-20 1995-04-12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ヘッドランプ
JPH07109721B2 (ja) * 1990-08-07 1995-11-22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輌用前照灯
US5081565A (en) * 1990-11-08 1992-01-14 Chrysler Corporation Daytime running light system
GB2251122B (en) * 1990-12-14 1994-09-14 Piaa Corp Vehicular lighting device
FR2694373B1 (fr) * 1992-07-30 1994-11-04 Valeo Vision Projecteur de véhicule automobile comportant une lampe à deux filaments pour engendrer sélectivement un faisceau antibrouillard et un faisceau de route.
PL295778A1 (en) * 1992-08-28 1994-03-07 Andrzej Matkowski Pass and road headlight bulb with an additional filament for headlights to be used during daytime
US5578893A (en) * 1993-11-16 1996-11-26 Piaa Corporation Bulb for vehicular lighting equipment
JPH07257268A (ja) 1994-03-23 1995-10-09 Yazaki Corp ヘッドランプ回路
US5614788A (en) 1995-01-31 1997-03-25 Autosmart Light Switches, Inc. Automated ambient condition responsive daytime running light system
JP2978747B2 (ja) * 1995-10-23 1999-11-15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ヘッドライト用ハロゲン電球
JPH09237504A (ja) * 1996-02-23 1997-09-09 Patent Treuhand Ges Elektr Gluehlamp Mbh 下向き及び上向きライト用自動車前照灯
JP4057090B2 (ja) * 1996-06-06 2008-03-0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電球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5469C (zh) 2004-11-10
JP2001135109A (ja) 2001-05-18
DE19946297A1 (de) 2001-04-12
EP1089324A1 (de) 2001-04-04
CN1290027A (zh) 2001-04-04
EP1089324B1 (de) 2013-03-20
KR20010030496A (ko) 2001-04-16
US6439739B1 (en) 2002-08-27
JP4869473B2 (ja) 2012-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3249B1 (ko) 백열 램프
CN101235950B (zh) 车辆前照灯
US20030147252A1 (en) Front lighting system for a motor vehicle
JP2004533707A (ja) 複数フィラメント型の自動車ヘッドライトランプ
JP5145232B2 (ja) 前照灯
US8203257B2 (en) Vehicle headlamp that produces a lower intensity light beam above the light/dark cutoff line
US3373311A (en) Automobile headlamp system
CN202494007U (zh) 越野车双光透镜氙气前照灯
HU186083B (en) System of automobile headlights
CA1262245A (en) Lighting module for motor vehicle lighting system
CN214664172U (zh) 可加大照射范围的汽车灯
EP0805763B1 (en) A method and arrangement for controlling the headlights of automotive vehicles
US2076074A (en) Light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JP2860249B2 (ja) 自動車用ハロゲン電球
KR101770693B1 (ko) 조명기구 조립체
JPH07246873A (ja) 車両用前照灯
JPS6258081B2 (ko)
KR0170619B1 (ko) 유압식 전조등
JP2004284371A (ja) 自動車における前照灯の減光装置
KR19980078774A (ko) 차량의 헤드 램프
Reif Lighting technology
KR19990027153U (ko) 자동차의 전조등 제어장치
KR19990025394U (ko) 자동차의 전조등 제어장치
KR19990025300U (ko) 전조등 제어장치
KR19990027192U (ko) 자동차의 전조등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