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5394U - 자동차의 전조등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전조등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5394U
KR19990025394U KR2019970037901U KR19970037901U KR19990025394U KR 19990025394 U KR19990025394 U KR 19990025394U KR 2019970037901 U KR2019970037901 U KR 2019970037901U KR 19970037901 U KR19970037901 U KR 19970037901U KR 19990025394 U KR19990025394 U KR 1999002539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light
detector
speed
voltag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79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세욱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700379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5394U/ko
Publication of KR1999002539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5394U/ko

Links

Landscapes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의 속도와 전조등의 온/오프신호와 배터리의 전압신호에 기초하여 전조등을 제어할 수 있는 자동차의 전조등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조등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1)와, 차량의 설정속도를 검출하는 속도 검출부(2)와, 전조등의 온/오프를 검출하는 온/오프 검출부(3)와, 배터리의 설정전압을 검출하는 전압 검출부(4)와, 상기 속도 검출부(2)와 온/오프 검출부(3) 및 전압 검출부(4)로부터 검출된 신호를 입력으로 하며 상기 검출된 신호를 기초로 하여 전조등을 온/오프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기(5)와, 상기 제어기(5)로부터 출력되는 전조등 온/오프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전조등(6)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차량의 속도를 검출하고, 전조등의 온/오프를 검출하고, 배터리의 전압을 검출한 후 상기 검출된 신호에 기초하여 전원부(1)로부터 전조등(6)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배터리의 방전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전조등(6)을 수동으로 온/오프 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운전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전조등 제어장치(CONTROL DEVICE OF HEAD LAMP FOR AN AUTOMOBILE)
본 고안은 차량의 전조등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속도와 전조등의 온/오프신호와 배터리의 전압신호에 기초하여 전조등을 제어할 수 있는 자동차의 전조등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등화장치는 그 기능면에서 크게 2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 번째는 대상물을 잘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조명기능과, 나머지는 다른 차나 기타 도로 이용자에게 자신의 차의 주행상태를 알리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신호 기능이다.
전조등이나 안개등은 조명을 목적으로 한 것이고, 방향 지시등, 후미등, 제동등 따위는 신호를 목적으로 한 것이며 상기 신호기능을 가진 램프들은 구조상 일체로 형성된 것이 많으며 이것을 조합등 이라고 한다.
조명을 목적으로 하는 상기 전조등은 야간에 자동차가 안전하게 주행하기 위해 전방을 조명하는 램프이며 전구와 반사경 및 렌즈로 이루어진 램프유닛과 상이 램프유닛을 차체에 부착하여 조정하는 기구로 구성된다. 전조등의 모양은 원형 이외에 각형 등이 있으나 SAE규격, ECE규격에 접합한 모양과 치수 이외의 것을 사용할 수 없으며 램프유닛은 조립형, 세미 실드 빔형, 실드 빔형 또는 메탈백 실드 빔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상기 조립형은 렌즈 반사경 전구가 조립되어 램프유닛을 구성하고 있다. 전구는 두 개의 필라멘트가 있으며 하나는 원거리를 비추는 하이빔(High Beam)의 역할을 하고, 다른 하나는 교행할 때 대향차나 사람이 현혹되지 않도록 광도를 약하게 하고 동시에 빔을 낮추는 로우빔(Low Beam)의 역할을 한다. 이러한 방식의 전조등은 렌즈나 전구를 별도로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공기중의 습기나 먼지 등이 들어가 조명효율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상기 세미 실드 빔형은 렌즈와 반사경이 일체로 되어있고 전구는 별개로 설치하게 되어 있어서 전구가 끊어졌을 때 전구만 갈아 끼우면 된다. 그러나 전구 설치부를 통해 약간의 공기 유통이 있기 때문에 반사경이 흐려지기 쉽다.
실드 빔형은 반사경과 필라멘트가 일체로 되어있고 내부는 진공상태로 되어있어 그 내부에 아르곤이나 질소가스 등 불활성 가스를 봉입하여 등 자체가 하나의 전구로 되어있다. 반사경은 반사율을 높이기 위하여 그 표면에 알루미늄으로 도금되어 있으며 렌즈는 투과성이 좋은 투명한 유리를 성형하여 만들고, 렌즈 소자에는 좌우 방향과 상하 방향으로 굴절시켜 빛을 확산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방식의 전조등은 필라멘트가 끊어지면 전체를 교환하여야 하고 교환비용도 비싸게 된다.
상기 메탈백 실드 빔형은 반사경이 일체로 밀봉되어 있고, 반사경은 금속으로 만들어져 있으며 전구를 끼우는 부분이 반사경에 납땜으로 되어있고 내부는 밀폐되어 있다 이러한 방식의 전조등은 전구의 필라멘트가 끊어지면 전체를 교환하여야하고 제작은 쉬우나 성능이 실드 빔형에 비하여 떨어진다.
이러한 전조등에 사용되는 전구는 광원인 텅스텐을 재질로 이루어지며 12V 또는 24V가 있다. 12V의 전구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주행용 필라멘트는 그 용량이 50W이고 광속은 약 900루멘이므로 효율은 18루멘/W가 된다.
생활이 풍족해지면서 정해진 공간 내에 자동차의 보급이 대폭 늘어난 반면 이에 따른 도로의 확장이 따라주지 않음으로써 자동차의 정체가 심해지고 있다. 특히, 아침저녁 출퇴근할 때 또는 연휴 때 자동차의 정체현상이 점차 심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때, 야간인 경우 전방차량 및 대향차량에 눈부심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전조등을 소등하게 된다.
이와 같이 밝은 빛을 내는 전조등은 정체시에 엔진의 회전수가 감소하여 배터리의 방전을 일으키며 또한 이러한 전조등 점/소등을 수동으로 조작해야 함으로써 운전에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의 전조등이 온 되고 차량의 속도가 설정속도 이하로 감속될 때 배터리의 전압이 설정전압 이하로 떨어질 경우 전조등이 오프 되도록 한 자동차의 전조등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전조등 제어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전조등 제어장치를 도시한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원부 2 : 속도 검출부
3 : 온/오프 검출부 4 : 전압 검출부
5 : 제어기 6 : 전조등
22 : 제 1 비교기 23 : 제 2 비교기
24 : 제 3 비교기 25 : 앤드게이트
26 : 트랜지스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전조등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1)와, 차량의 설정속도를 검출하는 속도 검출부(2)와, 전조등의 온/오프를 검출하는 온/오프 검출부(3)와, 배터리의 설정전압을 검출하는 전압 검출부(4)와, 상기 속도 검출부(2)와 온/오프 검출부(3) 및 전압 검출부(4)로부터 검출된 신호를 입력으로 하며 상기 검출된 신호를 기초로 하여 전조등을 온/오프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기(5)와, 상기 제어기(5)로부터 출력되는 전조등 온/오프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전조등(6)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어기(5)는 상기 속도 검출부(2)와 온/오프 검출부(3)와 전압 검출부로부터 검출되는 신호를 입력으로 하며 상기 검출된 신호가 모두 하이 신호일 때 하이 신호를 출력하는 앤드게이트(25)와, 상기 앤드게이트(25)의 출력이 하이 신호일 때 온 되는 트랜지스터(26)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전조등 제어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전조등 제어장치를 도시한 구성도로서, 전조등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1)와, 차량의 설정속도를 검출하는 속도 검출부(2)와, 전조등의 온/오프를 검출하는 온/오프 검출부(3)와, 배터리의 설정전압을 검출하는 전압 검출부(4)와, 상기 속도 검출부(2)와 온/오프 검출부(3) 및 전압 검출부(4)로부터 검출된 신호를 입력으로 하며 상기 검출된 신호를 기초로 하여 전조등을 온/오프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기(5)와, 상기 제어기(5)로부터 출력되는 전조등 온/오프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전조등(6)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전조등 제어장치를 도시한 회로도로서, 상기 제어기(5)는 상기 속도 검출부(2)와 온/오프 검출부(3)와 전압 검출부로부터 검출되는 신호를 입력으로 하며 상기 검출된 신호가 모두 하이 신호일 때 하이 신호를 출력하는 앤드게이트(25)와, 상기 앤드게이트(25)의 출력이 하이 신호일 때 온 되는 트랜지스터(26)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전조등 제어장치에 대한 동작원리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속도 검출부(2)의 제 1 비교기(22)는 설정속도를 입력으로 하며 입력되는 차량속도와 설정속도를 비교하여 차량속도가 설정속도 이하로 저하할 때 하이 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설정속도는 임의로 설정할 수 있으나 0 내지 10km 사이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온/오프 검출부(3)의 제 2 비교기(23)는 전조등 스위치가 온일 때 하이 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전압 검출부(4)의 제 3 비교기(24)는 설정전압을 입력으로 하며 입력되는 배터리의 전압과 설정전압을 비교하여 배터리의 전압이 설정전압 이하로 강하하였을 때 하이 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설정전압은 임의로 설정할 수 있으나 11.5 내지 12v 사이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교기(22,23,24)들로부터 출력된 신호는 제어기(5)내의 앤드게이트(25)로 입력되며 상기 입력된 신호들이 모두 하이 신호일 때 앤드게이트(25)는 하이 신호가 출력되며 이 신호는 트랜지스터(26)의 베이스에 입력되어 트랜지스터(26)를 온 시킴으로써 전원부(1)로부터 전조등(6)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전조등(6)을 소등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속도 검출부(2)로부터 검출되는 차량의 속도와, 온/오프 검출부(3)로부터 검출되는 전조등 온 신호와, 전압 검출부(4)로부터 검출되는 배터리 전압신호를 기초로 하여 전조등(6)을 제어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필요에 따라서 배터리 전압에 관계없이 본 고안의 목적을 실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에는 단지 전압 검출부(2)만을 제거하면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차량의 속도를 검출하고, 전조등의 온/오프를 검출하고, 배터리의 전압을 검출한 후 상기 검출된 신호에 기초하여 전원부로부터 전조등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배터리의 방전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전조등을 수동으로 온/오프 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운전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전조등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1)와,
    차량의 설정속도를 검출하는 속도 검출부(2)와,
    전조등의 온/오프를 검출하는 온/오프 검출부(3)와,
    배터리의 설정전압을 검출하는 전압 검출부(4)와,
    상기 속도 검출부(2)와 온/오프 검출부(3) 및 전압 검출부(4)로부터 검출된 신호를 입력으로 하며 상기 검출된 신호를 기초로 하여 전조등을 온/오프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기(5)와,
    상기 제어기(5)로부터 출력되는 전조등 온/오프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전조등(6)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전조등 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5)는 속도 검출부(2)와 온/오프 검출부(3)와 전압 검출부로부터 검출되는 신호를 입력으로 하며 상기 검출된 신호가 모두 하이 신호일 때 하이 신호를 출력하는 앤드게이트(25)와, 상기 앤드게이트(25)의 출력이 하이 신호일 때 온 되는 트랜지스터(26)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전조등 제어장치.
KR2019970037901U 1997-12-16 1997-12-16 자동차의 전조등 제어장치 KR1999002539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7901U KR19990025394U (ko) 1997-12-16 1997-12-16 자동차의 전조등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7901U KR19990025394U (ko) 1997-12-16 1997-12-16 자동차의 전조등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5394U true KR19990025394U (ko) 1999-07-05

Family

ID=69681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7901U KR19990025394U (ko) 1997-12-16 1997-12-16 자동차의 전조등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5394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76865B2 (ja) 車両用照明装置
JP4869473B2 (ja) 白熱ランプ
FR2842282B1 (fr) Projecteur de vehicule automobile avec lampe a deux filaments
KR19990025394U (ko) 자동차의 전조등 제어장치
KR19990027192U (ko) 자동차의 전조등 제어장치
KR19990025300U (ko) 전조등 제어장치
KR19990027153U (ko) 자동차의 전조등 제어장치
KR19990027160U (ko) 자동차의 위급 상황시 경고장치
KR19990027183U (ko) 자동차의 전조등 제어장치
US2417501A (en) Automobile headlight signal indicator
CN219140591U (zh) 一种新型带信号功能的led辅助尾灯
CN211822205U (zh) 一种防眩目汽车照明灯
KR19990025331U (ko) 후방차량의 시야 가림 방지장치
KR19990040139A (ko) 자동차의 브레이크등 식별회로
KR200273381Y1 (ko) 사고 표시등
JPH07246873A (ja) 車両用前照灯
KR850002330Y1 (ko) 차량용 전조등의 전구
KR0174185B1 (ko) 자동차의 헤드 램프의 벌브 필라멘트 구조
KR19990027164U (ko) 자동차의 상향등 제어장치
CN114811514A (zh) 一种备用汽车灯及汽车
JPH0249604Y2 (ko)
KR19980078774A (ko) 차량의 헤드 램프
KR0170619B1 (ko) 유압식 전조등
KR980007462U (ko) 자동 점멸가능한 안개등
KR19980026651A (ko) 자동차의 상향전조등 점등식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C193 Request for withdrawal (aband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