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6651A - 자동차의 상향전조등 점등식별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상향전조등 점등식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6651A
KR19980026651A KR1019960045159A KR19960045159A KR19980026651A KR 19980026651 A KR19980026651 A KR 19980026651A KR 1019960045159 A KR1019960045159 A KR 1019960045159A KR 19960045159 A KR19960045159 A KR 19960045159A KR 19980026651 A KR19980026651 A KR 199800266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light
buzzer
upright
light
tur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5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수
Original Assignee
김영석
아시아자동차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석, 아시아자동차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석
Priority to KR1019960045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26651A/ko
Publication of KR19980026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6651A/ko

Links

Landscapes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상향전조등 점등상태 식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향전조등 점등상태를 시각적인 방법 뿐만아니라 청각적인 방법 즉, 부저를 사용하여 상향전조등 점등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알리기 위한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해 본 발명은 평행한 광선이 되어 비치도록 설치된 상향전조등(10)과, 밧데리(B)의 전원을 차단하여 상기 상향전조등(10)을 점멸시키기 위한 상향전조등스위치(20)와, 상향전조등(10)이 점등되었음을 알리기 위한 경고등으로 이루어진 상향전조등(10) 점등상태 알림장치에 있어서, 상기 경고등과 병렬로 연결된 부저(4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향전조등(10)이 점등되었을 때 경고등과 아울러 부저(40)가 울리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상향전조등 점등식별 장치
본 발명은 자동차의 등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등화장치의 상향전조등 점등시 인스트루먼트 패널상의 표시등의 점등과 아울러 부저음을 발하게하여 상향전조등 점등상태를 더욱 잘 식별할 수 있도록 한 상향전조등 점등식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등화장치는 그 기능면에서 2가지로 구분할 수 있는데, 그것은 대상물을 잘 보기위한 것을 목적으로하는 조명기능과, 다른 차나 기타 도로 이용자에게 자기차의 주행상태를 알리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신호기능이다.
상기 조명기능을 목적으로 하는 등화장치는 전조등, 안개등, 후진등, 실내등, 계기등이 있으며, 상기 신호기능을 목적으로 하는 등화장치는 방향지시등, 제동등, 비상표시등, 위험신호등이 있다.
상기 전조등은 법령으로 정해진 밝기를 가지고, 또 대향차와 교차할 때 눈부심을 주지않는 성능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이 때문에 램프내에는 주행용, 교차용의 필라멘트가 있으며, 각각 반사경으로 반사되어 주행빔 및 교차빔으로 이루어지며 이들이 렌즈에 의해 적절한 배광이 되어 전방을 정확하게 비추게 되어 있다.
상기 주행용 필라멘트는 반사경의 집점위치에 있고 또 교차용의 필라멘트는 초점보다 약간 위의 위치에 있다. 따라서 주행용의 필라멘트에 전류가 흐르면 주행빔은 거의 평행한 광선이 되어 비치고 렌즈에 의해 좌우로 폭은 넓고 상하로 좁은 배광 특성을 나타내도록 방사된다. 또 교차용의 필라멘트에 전류가 흐를 때는 대향차에 눈부심을 주지 않도록 배광은 전체적으로 오른쪽으로 치우치고 또 상방향으로 비치는 빛도 억제되어 방사된다.
상기 주행빔은 교차빔에 비해 상방향으로 비치기 때문에 통상 상향전조등이라고 불리우며 교차빔은 하향전조등이라고 불리운다. 따라서 본원에서도 이하 상향전조등과 하향전조등이라고 한다.
그런데 상향전조등은 거의 평행한 광선이 되어 전방을 정확하게 비추기는 하나 대향차에 눈부심을 줄뿐만아니라 앞차의 운전자에게 눈부심주기 때문에 운전자에게 상향전조등이 점등되었음을 알리기 위한 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도1에 상향전조등 점등상태를 알리기 위한 장치의 회로를 간략하게 구성하였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향전조등스위치(20)를 온시키면 밧데리(B)의 전원이 상향전조등(10)용 필라멘트에 공급되어 점등되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또한 인스투르먼트 패널상에 위치한 경고등(30)이 점등되도록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향전조등(10)이 점등되면 인스투르먼트 패널상의 경고등(30)도 점등되어 운전자에게 상향전조등(10)이 점등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
그러나, 상향전조등(10) 점등상태를 알리는 경고등(30)의 밝기가 어둡고, 시각적인 관찰이 필요함으로 운전자가 상향전조등(10)의 온/오프상태를 의식적으로 인식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불편함을 해소시키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향전조등 점등상태를 시각적인 방법 뿐만아니라 청각적인 방법 즉, 부저를 사용하여 상향전조등 점등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알리기 위한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1은 종래의 상향전조등 점등식별 장치를 나타낸 회로구성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상향전조등 점등식별 장치를 나타낸 회로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상향전조등 20 : 상향전조등스위치
30 : 경고등 40 : 부저
상기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평행한 광선이 되어 비치도록 설치된 상향전조등과, 밧데리의 전원을 차단하여 상향전조등을 점멸시키기 위한 상향전조등스위치와, 상향전조등이 점등되었음을 알리기 위한 경고등으로 이루어진 상향전조등 점등상태 알림장치에 있어서, 상기 경고등과 병렬로 연결된 부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상향전조등스위치를 작동시켜 상향전조등이 점등되면 경고등이 점등됨과 아울러 부저에 전원이 공급되어 청각적인 신호를 발하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종래 구성과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부호 및 명칭을 사용한다.
도2는 본 발명에 의해 이루어진 청각적인 신호를 발하게 하기 위해 부저(40)를 부가 설치한 회로구성도를 나타내었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의 전조등중에서 평행한 광선이 비치도록 설치된 상향전조등(10)과, 밧데리(B)의 전원을 단속하여 상향전조등(10)의 점멸을 제어하는 상향전조등스위치(20)와, 상향전조등스위치(20)에 의해 단속되어 공급되는 전원에 따라 점멸되는 상향전조등(10)과, 상향전조등(10)이 점등되었을 때 점등되도록 연결된 경고등(30)과, 전원을 공급받으면 소리를 발하도록 된 부저(40)가 경고등(30)과 병렬로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전방의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상향전조 등을 점등시키면 밧데리(B)의 전원이 상향전조 등에 공급됨으로 상향전조등(10)이 점등되고, 또한 상향전조등(10)이 점등되었음을 알리기 위한 경고등(30)이 점등된다. 이와 아울러 부저(40)에도 전원이 공급되어 청각적인 신호를 발하게 되어 상향전조등(10)이 점등되었음을 바로 인지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향전조등이 점등되었음을 시각적인 방법 뿐만아니라 청각적인 방법으로 운전자에게 알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전자는 야간주행시 운전에만 집중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상향전조 등을 점등한 사실을 잠시 잊었을 경우에도 계속적으로 청각적인 신호가 계속발하게 됨으로 상향전조 등을 오프시킬 수 있어 주행중 대향차나 전방의 차량에게 불편함을 주지않아 안전운행을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광선이 평행하게 비치도록 설치된 상향전조등(10)과;
    밧데리(B)의 전원을 차단하여 상기 상향전조등(10)을 점멸시키기 위한 상향전조등스위치(20)와;
    상기 상향전조등(10)이 점등되었음을 알리기 위한 경고등(30)으로 이루어진 상향전조등 점등식별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경고등(30)과 병렬로 연결된 부저(40)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자동차의 상향전조등 점등식별 장치.
KR1019960045159A 1996-10-10 1996-10-10 자동차의 상향전조등 점등식별 장치 KR199800266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5159A KR19980026651A (ko) 1996-10-10 1996-10-10 자동차의 상향전조등 점등식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5159A KR19980026651A (ko) 1996-10-10 1996-10-10 자동차의 상향전조등 점등식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6651A true KR19980026651A (ko) 1998-07-15

Family

ID=66289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5159A KR19980026651A (ko) 1996-10-10 1996-10-10 자동차의 상향전조등 점등식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2665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6972A (ko) * 2010-05-18 2011-11-24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자동차의 상향등 자동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6972A (ko) * 2010-05-18 2011-11-24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자동차의 상향등 자동 제어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30903A (en) Arrangement in vehicle headlamps
US3517384A (en) Low beam signaling apparatus
KR19980026651A (ko) 자동차의 상향전조등 점등식별 장치
KR200282037Y1 (ko) 자동차의 상향등 제어장치
KR100350633B1 (ko) 차량의 아웃사이드 미러에 운행정보제공을 위한 표시장치
US2417501A (en) Automobile headlight signal indicator
KR200273381Y1 (ko) 사고 표시등
KR19980034814U (ko) 차량의 전조등 자동 점멸장치
KR19990040139A (ko) 자동차의 브레이크등 식별회로
KR200148265Y1 (ko) 헤드램프의 이상유무에 따른 보조램프구동장치
KR19990027160U (ko) 자동차의 위급 상황시 경고장치
KR0166299B1 (ko) 자동차 전조등의 광도 조절 장치
KR19980023092A (ko) 자동차 헤드램프 상향등 상태 표시장치
KR200147361Y1 (ko) 차량용 조합형 헤드램프
KR19990035002A (ko) 미등 단락시 점등되는 미등 경보등
KR19980048094U (ko) 전방폭 감지장치
KR19980034817U (ko) 자동차의 등화장치 자동 점멸장치
KR19990041154U (ko) 차량의 전조등 상태 알림 장치
KR19990041155U (ko) 차량의 전조등 상태 알림 장치
KR19980031734U (ko) 자동차의 상향전조등 및 비상등 동시 작동장치
KR19990025331U (ko) 후방차량의 시야 가림 방지장치
KR19980074142A (ko) 차량의 등화장치 조절장치
KR19980029781U (ko) 보조램프를 갖는 차량용 헤드램프
KR19980037220U (ko) 차량용 2중헤드램프
KR19980037223U (ko) 차량용 2중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