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3092A - 자동차 헤드램프 상향등 상태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헤드램프 상향등 상태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3092A
KR19980023092A KR1019960042524A KR19960042524A KR19980023092A KR 19980023092 A KR19980023092 A KR 19980023092A KR 1019960042524 A KR1019960042524 A KR 1019960042524A KR 19960042524 A KR19960042524 A KR 19960042524A KR 19980023092 A KR19980023092 A KR 199800230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uplight
signal
generating means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2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식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10199600425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23092A/ko
Publication of KR19980023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3092A/ko

Links

Landscapes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헤드램프 상향등 점등상태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자동차를 운행하는 과정에서 운행중인 자동차의 상향등이 점등된 상태로 주행하게 되는 경우, 대향된 자동차에서 상향등이 점등된 상태를 감지하여 감지된 신호로 전조등을 점멸시켜 운행중인 운전자에게 알리도록 한 상향등 점등상태 표시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대향된 자동차에서 전방을 비추는 헤드램프의 광원을 감지하는 광감지부(10)와; 전원전압(Vcc)에 의해 일정한 주기를 갖는 펄스를 출력하는 사각파발생수단(40)과; 상기 광감지부(10)에서 감지된 신호를 증폭하고, 증폭된 신호로 광원량을 감지하여 상향등 또는 하향등신호 인지를 비교하는 비교수단(20)과; 상기 비교수단(20)으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따라 일정한 단 펄스를 출력하는 단펄스발생수단(30); 상기 단펄스발생수단(30)과 사각파발생수단(40)에서 출력된 신호를 논리 신호로 변환하는 논리곱회로(50)와; 상기 논리곱회로(50)에서 출력된 신호에 의해 운행중인 자동차의 운전자에게 상향등이 점등된 상태를 알리도록 헤드램프(65)를 간헐적인 점소등시키는 헤드램프점멸부(60)로 이루므로 운행중인 자동차의 운전자가 상향등이 점등된 상태를 알리는 장치인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 헤드램프 상향등 상태 표시장치
본 발명은 자동차 헤드램프 상향등 점등상태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를 운행하는 과정에서 운행중인 자동차의 상향등이 점등된 상태로 주행하게 되는 경우, 대향된 자동차에서 상향등이 점등된 상태를 감지하여 감지된 신호로 전조등을 점멸시켜 운행중인 운전자에게 알리도록 한 상향등 점등상태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헤드램프는 두 개의 필라멘트가 있으며, 하나는 먼 곳을 비추는 하이비임(High beam)의 역할을 하고, 다른 하나는 교행할 때 대향차의 운전자가 현혹되지 않도록 광도를 약하게 하고 동시에 비임을 낮추는 로우비임(Low beam)의 역할을 하게 되어 있다.
상기 헤드램프는 차량의 정면 범퍼에 설치되며, 범퍼의 양측에 외부의 충격에서 헤드램프를 보호하기 위해서 설치된 케이스에 반사경이 구비된다. 이 반사경 내에 필라멘트를 붙이고, 또 여기에 렌즈를 녹여 붙인 다음, 그 내부에 불활성 가스를 넣어 진공상태로 하나의 전구가 되게 한 시일드 비임식 헤드램프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첨부도면, 도 1은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설치되는 헤드램프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1을 살펴보면, 헤드램프는 자동차의 배터리전원에 의해 구동되며, 라이트스위치(1), 디머스위치(Dimmer switch:2)등으로 구성되며, 양쪽의 헤드램프(3)는 하이비임(상향등:31)과 로우비임(하향등:32) 별로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상기 라이드스위치(1)는 2단계로 작동하게 되어 있으며, 제 1단계는 차량의 미등을 점등시키고, 제 2단계는 헤드램프(3)를 점등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 라이트스위치(1)를 2단계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손잡이(Knob)를 움직여 내부의 스위치접점이 섭동되어 전원과 접속하게 된다. 또, 디머스위치(2)는 라이트의 비임을 바꾸는 스위치로, 운전자가 손으로 손잡이를 전·후로 섭동시켜 작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차량에 설치되어 전방을 비추는 헤드램프(3)의 조작은 운전자가 차량의 시동을 건 상태로 차량을 운행하는 과정에서 라이트스위치(1)의 접점을 조절하고 디머스위치(2)를 전·후방향으로 운전자가 필요에 따라 헤드램프(3)의 상향등(31)과 하향등(32)을 선택하여 점등시키는 것이다. 특히, 헤드램프(3)는 운전자의 전방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배터리전원으로 헤드램프(3)를 점등시켜 전방의 시야를 확보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자동차의 헤드램프(3)는 상향등으로 점등한 상태로 운행하게 될 때에는 대향된 자동차의 운전자의 시선을 일시적으로 방해하게 되므로 고속으로 운행하는 과정에서 전방의 시야를 확보하지 못하게 되어 운행과정에서 다른 자동차와 충돌 사고를 일으킬 수 있는 문제점을 갖게 되고, 또한 대향된 운전자가 직접 헤드램프를 점멸시켜 상대편 운전자에게 상향등이 점등된 상태를 알려줌으로 대향된 자동차의 운전자가 일일이 헤드램프를 점멸시키게 되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자동차를 운행하는 과정에서 운행중인 자동차의 상향등이 점등된 상태로 주행하게 되는 경우, 대향된 자동차에서 상향등이 점등된 상태를 감지하여 감지된 신호로 전조등을 점멸시켜 운행중인 운전자에게 알리도록 한 자동차 헤드램프 상향등 점등상태 표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대향된 자동차에서 전방을 비추는 헤드램프의 광원을 감지하는 광감지부와; 전원전압에 의해 일정한 주기를 갖는 펄스를 출력하는 사각파발생수단과; 상기 광감지부에서 감지된 신호를 증폭하고, 증폭된 신호로 광원량을 감지하여 상향등 또는 하향등신호 인지를 비교하는 비교수단과; 상기 비교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따라 일정한 단 펄스를 출력하는 단펄스발생수단; 상기 단펄스발생수단과 사각파발생수단에서 출력된 신호를 논리 신호로 변환하는 논리곱회로와; 상기 논리곱회로에서 출력된 신호에 의해 운행중인 자동차의 운전자에게 상향등이 점등된 상태를 알리도록 헤드램프를 간헐적인 점소등시키는 헤드램프점멸부로 이루어진 자동차 헤드램프 상향등 점등상태 표시장치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설치되는 헤드램프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회로도
도 2는 종래에 따른 자동차에 설치된 헤드램프의 상향등과 하향등이 점등된 상태로 운행하게 될 때 대향된 자동차로 비추는 광원을 보인 정면도
도 3 본 발명에 따른 헤드램프의 상향등이 점등된 상태를 알리는 장치의 구성을 보인 회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광감지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광감지부11: 광소자
20 : 비교수단21 : 증폭기
23 : 비교기30 : 단펄스발생수단
40 : 사각파발생수단50 : 논리곱회로
60 : 헤드램프점멸부61 : 제 1스위칭소자
63 : 제 2스위칭소자 65 : 헤드램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헤드램프의 상향등이 점등된 상태를 알리는 장치의 구성을 보인 회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광감지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살펴보면, 야간에 고속 운행이 가능한 도로에서 자동차(100)의 헤드램프가 상향등으로 점등된 상태로 운행하게 되는 경우엔, 대향된 자동차에서 상향등이 점등된 상태를 감지하도록 광감지부(10)가 설치되고, 이 광감지부(10)는 광소자를 이용하여 자동차의 상향등이 점등된 상태를 감지하게 된다. 또한, 광감지부(10)는 룸미러에 광소자를 설치하여 대향된 자동차(100)에서 전방을 비추는 광원을 감지도록 설치되며, 감지된 신호는 비교수단(20)에 입력된다.
상기 비교수단(20)은 증폭기(21)와 비교기(23) 및 저항(R2,R3)을 포함한다. 상기 비교수단(20)으로 입력된 신호는 증폭기(21)에 의해 증폭되고, 이 증폭된 신호는 비교기(23)의 입력단으로 입력되는 기준전압(Vref)으로 광감지부(10)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비교하여 비교된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 기준전압(Vref)은 다른 광원(가로등 혹은 후방의 차량에서 비추는 광원)에 의해 헤드램프(65)를 점멸하지 않도록 저항(R2)출력단의 전방을 입력하게 된다. 상기 비교기의 출력은 단펄스발생수단(30)에 입력된다.
상기 단펄스발생수단(30)은 비교수단(20)에서 출력된 신호가 하이에서 로우로 변환될 때 일정한 단 펄스를 출력하게 되고, 이 단 펄스는 논리곱회로(50)에 입력된다. 또한, 전원전압에 의해 일정한 펄스를 주기적으로 출력하는 사각파발생수단(40)의 출력신호는 논리곱회로(50)에 입력된다.
상기 논리곱회로(50)는 단펄스발생수단(30)과 사각파발생수단(40)에서 출력된 신호를 논리곱 신호로 변환시켜 변환된 신호는 헤드램프점멸부(60)에 입력된다. 상기 헤드램프점멸부(60)는 논리곱회로(50)에서 출력된 신호에 의해 자동차의 배터리전원을 제 1스위칭소자(61)를 제한적으로 작동시킴과 동시에 제 2스위칭소자(63)의 접점을 제한하여 헤드램프(65)를 간헐적으로 점소등시키게 되므로 대향된 자동차의 헤드램프가 점멸되어 운행중인 자동차의 상향 등을 점등한 상태를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고속운행이 가능한 도로에서 운전자가 전방의 시야를 많이 확보하기 상향 등을 킨 상태로 운행하는 경우가 있다. 이렇게 상향등을 킨 상태로 운행하는 경우엔, 대향된 자동차에서 상대편 자동차의 전방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상향등이 점등된 상태로 운행하게 될 때 대향된 자동차의 실내 룸미러에 상대편의 자동차에서 나오는 광원을 감지하도록 광소자가 설치되고, 이 설치된 광소자는 대향된 차량의 광원에 의해 작동되어 전원전압(Vcc)은 비교수단(20)의 증폭기(21)에 입력된다.
상기 비교수단(20)의 증폭기(21)는 입력된 전압을 증폭하고, 이 증폭된 전압은 비교기(23)에 입력되며, 또 비교기(23)는 대향된 자동차에서 비추는 광원량을 감지하기 위해 입력되는 기준전압과 광감지부(10)에서 입력되는 전압을 비교하게 된다. 이 비교기(23)는 광감지부(10)에서 입력되는 전압이 크면 출력을 반전하게 되고, 광감지부에서 입력되는 전압이 작으면 출력은 비반전하게 된다. 즉, 광감지부(10)에서 출력된 전압이 크게 되면, 출력을 반전시켜 단펄스발생수단(30)에 입력된다.
상기 단펄스발생수단(30)은 비교기(23)의 출력이 반전될 때 단 펄스를 출력하게 되고, 이 단 펄스는 논리곱회로(50)에 입력된다. 또한, 논리곱회로(50)는 전원전압(Vcc)에 의해 일정한 펄스를 출력하는 사각파발생수단(40)의 출력도 입력된다.
상기 논리곱회로(50)는 단펄스발생수단(30)과 사각파발생수단(40)에서 출력된 신호를 논리신호로 변환시켜 변환된 신호는 헤드램프점멸부(60)에 입력된다. 이 입력된 신호로 제 1스위칭소자(61)를 논리곱회로(50)의 출력으로 인하여 배터리전원을 제한적으로 작동시킴과 동시에 제 2스위칭소자(63)의 접점을 제한하여 헤드램프(65)가 간헐적으로 점등되어 운행중인 자동차의 운전자에게 상향등이 점등된 상태를 알려주게 된다.
따라서, 야간에 전방 시야를 보다 많이 확보하기 위해 상향등으로 점등한 상태로 운행하게 되는 경우엔, 대향된 자동차에서 상향등이 점등된 상태를 비교하여 비교된 신호로 대향된 자동차의 헤드램프를 간헐적으로 점소등시키게 되므로 운행중인 자동차의 운전자가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헤드램프 상향등 점등상태 표시장치로, 야간이 고속 운행이 가능한 도로에서 운전자가 전방 시야를 보다 많이 확보하기 위해 상향등을 점등한 상태로 운행하게 되는 경우, 대향된 자동차에 설치된 광감지부에서 헤드램프의 밝기를 감지하여 감지된 신호와 기준 신호를 비교하여 비교된 신호로 운행중인 자동차 운전자에게 헤드램프의 상향등이 점등된 상태를 자동적으로 헤드램프를 점멸하게 되므로 운행중인 자동차의 운전자가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 장치인 것이다.

Claims (3)

  1. 대향된 자동차에서 전방을 비추는 헤드램프의 광원을 감지하는 광감지부(10)와;
    전원전압(Vcc)에 의해 일정한 주기를 갖는 펄스를 출력하는 사각파발생수단(40)과;
    상기 광감지부(10)에서 감지된 신호를 증폭하고, 증폭된 신호로 광원량을 감지하여 상향등 또는 하향등신호 인지를 비교하는 비교수단(20)과;
    상기 비교수단(20)으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따라 일정한 단 펄스를 출력하는 단펄스발생수단(30);
    상기 단펄스발생수단(30)과 사각파발생수단(40)에서 출력된 신호를 논리 신호로 변환하는 논리곱회로(50)와;
    상기 논리곱회로(50)에서 출력된 신호에 의해 운행중인 자동차의 운전자에게 상향등이 점등된 상태를 알리도록 헤드램프(65)를 간헐적인 점소등시키는 헤드램프점멸부(6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램프 상향등 점등상태 표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감지부(10)는
    자동차의 실내 룸미러에 광소자를 설치하여 대향된 자동차의 광원을 감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램프 상향등 점등상태 표시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램프점멸부(60)는
    상기 논리곱회로(50)에서 출력된 신호에 의해 제 1스위칭소자(61)를 제한적으로 작동시킴과 동시에 제 2스위칭소자(63)의 접점을 제한하여 헤드램프(65)를 간헐적으로 점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램프 상향등 점등상태 표시장치.
KR1019960042524A 1996-09-25 1996-09-25 자동차 헤드램프 상향등 상태 표시장치 KR199800230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2524A KR19980023092A (ko) 1996-09-25 1996-09-25 자동차 헤드램프 상향등 상태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2524A KR19980023092A (ko) 1996-09-25 1996-09-25 자동차 헤드램프 상향등 상태 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3092A true KR19980023092A (ko) 1998-07-06

Family

ID=66325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2524A KR19980023092A (ko) 1996-09-25 1996-09-25 자동차 헤드램프 상향등 상태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2309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2357A (ko) * 2014-11-25 2016-06-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후방 차량의 하이빔 감지 경고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2357A (ko) * 2014-11-25 2016-06-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후방 차량의 하이빔 감지 경고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30903A (en) Arrangement in vehicle headlamps
US3517384A (en) Low beam signaling apparatus
KR19980023092A (ko) 자동차 헤드램프 상향등 상태 표시장치
KR200282037Y1 (ko) 자동차의 상향등 제어장치
KR0134526B1 (ko) 전조등 선택 제어 알림장치
KR100197965B1 (ko) 광감지수단을 갖는 보조헤드램프구동장치
KR200148265Y1 (ko) 헤드램프의 이상유무에 따른 보조램프구동장치
KR200273381Y1 (ko) 사고 표시등
RU2041084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реключения света фар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200147853Y1 (ko) 광감지수단을 갖는 보조헤드램프점등장치
KR19980067894U (ko) 부정논리회로를 이용한 램프경고장치
KR100350633B1 (ko) 차량의 아웃사이드 미러에 운행정보제공을 위한 표시장치
KR19980029782U (ko) 광감지수단을 갖는 보조헤드램프점등장치
KR19980039763A (ko) 광감지수단을 갖는 보조헤드램프점등장치
KR19980026651A (ko) 자동차의 상향전조등 점등식별 장치
KR19980029757U (ko) 헤드램프의 이상유무에 따른 보조램프구동장치
KR200140884Y1 (ko) 자동차의 계기판조명등과 후미등 점등 지시 장치
KR19980029755U (ko) 헤드램프의 이상유무에 따른 보조램프구동장치
KR970008541B1 (ko) 차량의 제동등 제어회로
KR19980029756U (ko) 헤드램프의 이상유무에 따른 보조헤드램프구동장치
KR19980037220U (ko) 차량용 2중헤드램프
KR19980037223U (ko) 차량용 2중램프
KR19980039762A (ko) 광감지수단을 갖는 보조헤드램프구동장치
KR19980044063A (ko) 전조등 빛 각도 자동 변환 장치
KR19990041851A (ko) 자동차용 퍼지 등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