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8482B1 - 근접거리에서의 촬영을 가능하게 하는 화상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근접거리에서의 촬영을 가능하게 하는 화상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8482B1
KR100698482B1 KR1020050005687A KR20050005687A KR100698482B1 KR 100698482 B1 KR100698482 B1 KR 100698482B1 KR 1020050005687 A KR1020050005687 A KR 1020050005687A KR 20050005687 A KR20050005687 A KR 20050005687A KR 100698482 B1 KR100698482 B1 KR 1006984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zoom
image
mode
zoom lens
r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5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76751A (ko
Inventor
히가시야마테루유키
아사다사토시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4015783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5208395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020405A external-priority patent/JP4307277B2/ja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767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67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8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84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relating to control or operation of the camera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1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 G02B7/1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controlled by a microcompu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relating to control or operation of the camera
    • H04N23/635Region indicators; Field of view indic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7Camera operation mode switching, e.g. between still and video, sport and normal or high- and low-resolution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Control of means for changing angle of the field of view, e.g. optical zoom objectives or electronic zoo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04N5/772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the recording apparatus and the television camera being placed in the same enclo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화상처리기는 제1범위에서 이동함으로써 광학 줌을 수행하는 줌 렌즈와, 줌 렌즈를 통해 얻어진 피사체 화상을 화상신호로 변환하는 촬상부와, 상기 화상신호에 대해 전자 줌 동작을 수행하는 전자 줌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줌 렌즈가 상기 제1범위 내부에 있음과 동시에 제2범위 외부에 있을 경우, 상기 전자 줌 유닛은 줌 렌즈를 제2범위로 이동시킴에 따라 전자 줌 동작을 수행한다.
디지털 카메라, 비네팅, 전자 줌, 접사 촬영, 줌 상태 표시

Description

근접거리에서의 촬영을 가능하게 하는 화상 처리장치{IMAGE PROCESSOR ALLOWING SHOOTING AT CLOSE RANG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실시예의 주 루틴의 순서도이고,
도 3은 본 실시예의 매크로 처리의 순서도이고,
도 4는 매크로 모드 및 비매크로 모드 시에 각각 본 실시예의 촬상소자의 기록 영역을 도시한 것이고,
도 5a 내지 5c는 본 실시예에서 비네팅이 쉽게 발생하지 않는 줌 위치 범위를 예시한 것이고,
도 6a 내지 6c는 본 실시예의 줌 바의 표시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고,
도 7a 내지 7b는 본 실시예의 줌 바 표시의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본 실시예를 실행하기 위한 제어 동작을 예시한 것이고,
도 9는 줌 바를 예시한 것이고,
도 10은 줌 바 묘화의 단계들을 도시한 것이고,
도 11은 매크로 아이콘이 표시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12는 줌 바를 예시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4 : 촬상소자 16 : A/D 변환기
18 : 타이밍 발생회로 20 : 화상처리회로
22 : 메모리 제어회로 24 : 화상표시 메모리
26 : D/A 변환기 28 : 화상표시부
30 : 메모리 32 : 압축/신장회로
40 : 노광 제어부 42 : 측거 제어부
44 : 줌 제어부 46 : 배리어 제어부
48 : 플래시 50 : 시스템 제어회로
52 : 메모리 54 : 표시부
56 : 불휘발성 메모리 60 : 모드 다이얼 스위치
62, 64 : 셔터 스위치 66 : 화상표시 온/오프 스위치
67 : 줌 레버 68 : 매크로 온/오프 스위치
70 : 조작부
90, 94, 204, 214 : 인터페이스
98 : 기록매체 착탈 검출부
104 : 광학 파인더 112 : 커넥터
202, 212 : 기록부
본 발명은 화상에 대한 촬상 동작을 수행하는 화상처리장치 및, 화상을 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록매체로서 고체 메모리 소자를 갖는 메모리 카드를 이용하여, 정지화상이나 동화상을 기록 및 재생하는 예를 들어, 전자카메라의 화상처리기가 이미 상업적으로 시판되고 있다. 또한, 피사체의 접사 촬영을 위한 매크로 모드가 구비된 디지털 카메라/디지털 비디오 등의 전자 카메라도 상업적으로 시판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카메라에서는, 장착된 촬영 렌즈에 의해, 소정의 거리보다도 더 가깝게 위치된 피사체가 포커싱되면, 촬영 렌즈의 종류에 따라서는 비네팅(vignetting)이 발생한다. 이것은 렌즈의 주변부에 빛이 더 이상 들어가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최단 촬영거리는 비네팅이 발생하지 않는 거리로 보통 설정된다.
이러한 관련 전자 카메라의 화상처리기는, 비네팅이 발생하지 않는 거리까지만 피사체의 촬영이 수행될 수 있다는 문제를 갖고 있다. 그러므로, 예를 들어, 전자 카메라의 이러한 관련 화상처리기는, 비네팅이 발생하는 거리보다 더 가까운 거리에서 피사체를 촬영하고자 하는 요구를 충족시킬 수가 없다.
본 발명은 상기한 상황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사용자가 줌 상태를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국면에서, 화상처리기는, 광학 줌을 수행함으로써 피사체 화상을 취득하도록 구성되고, 제1범위 내에서 이동 가능한 줌 렌즈와, 상기 줌 렌즈를 통해 취득된 피사체 화상을 화상신호로 변환하는 촬상부와, 상기 화상신호에 대해 전자 줌 동작을 수행하는 전자 줌부와, 상기 줌 렌즈가 상기 제1범위보다 더 좁은 제2범위의 외부에 있을 경우, 상기 줌 렌즈가 상기 제2범위 내부에 있도록 상기 줌 렌즈를 이동시키고, 상기 전자 줌부가 전자 줌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또 다른 국면에서, 화상처리방법은, 줌 렌즈를 제1범위로 이동시켜서 피사체 화상을 취득하는 광학 줌 단계와, 상기 광학 줌 단계에서 취득된 피사체 화상을 화상신호로 변환하는 촬상단계와, 상기 줌 렌즈가 상기 제2범위의 외부에 있을 경우, 상기 줌 렌즈를 상기 제1범위보다 좁은 제2범위로 이동시킴으로써, 화상신호에 대해 전자 줌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국면에서, 제1범위에서 렌즈 구동이 수행될 수 있는 제1모드와, 상기 제1범위보다 좁은 제2범위에서 렌즈 구동이 수행될 수 있는 제2모드가 구비된 촬상방법은, 줌 렌즈에 의해 피사체 화상을 취득하는 취득단계와, 상기 취득단계에서 취득된 피사체 화상을 화상신호로 변환하는 촬상단계와, 상기 화상신호에 대해 전자 줌을 수행하는 전자 줌 단계와, 상기 전자 줌 단계에서 전자 줌이 이루어진 화상을 표시하는 제1표시단계와, 상기 줌 렌즈가 상기 제2범위의 외부에 있으며 상기 제2모드가 설정되어 있을 경우, 줌 렌즈를 상기 제2범위로 이동시키고, 상기 전자 줌 단계에서의 전자 줌에 의해 화상을 확대하여, 상기 제1표시단계에서 상기 확대된 화상을 표시하는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국면에서, 제1범위에서 렌즈 구동이 수행될 수 있는 제1모드와, 상기 제1범위보다 좁은 제2범위에서 렌즈 구동이 수행될 수 있는 제2모드가 구비된 촬상장치는, 피사체 화상을 취득하도록 구성된 줌 렌즈와, 상기 줌 렌즈를 통해 취득된 피사체 화상을 화상신호로 변환하는 촬상부와, 상기 화상신호에 대해 전자 줌 동작을 수행하는 전자 줌부와, 상기 전자 줌부에 의해 전자 줌 동작이 이루어진 화상을 표시하는 제1표시부와, 상기 줌 렌즈가 상기 제2범위의 외부에 있으며 상기 제2모드가 설정되어 있을 경우, 상기 줌 렌즈가 상기 제2범위로 이동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전자 줌부가 화상을 확대하여, 상기 확대된 화상을 상기 제1표시부 상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또 다른 국면에서, 줌을 수행하는 광학 줌 렌즈와, 상기 광학 줌 렌즈를 통과한 피사체 화상을 전기 화상신호로 변환하는 촬상부와, 피사체를 자동적으로 포커싱하는 자동 포커싱부를 구비한 촬상장치의 제어방법은, 현재의 줌 위치를 취득하는 취득단계와, 현재의 줌 위치를 나타내는 제1바와, 근접 범위에서의 자동 포커싱 촬영에 적당하지 않은 줌 영역을 표시하는 표시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국면에서, 줌을 수행하는 광학 줌 렌즈와, 상기 광학 줌 렌즈를 통 과한 피사체 화상을 전기 화상신호로 변환하는 촬상부와, 피사체를 자동적으로 포커싱하는 자동 포커싱부를 구비한 촬상장치의 제어방법은, 현재의 줌 위치를 취득하는 취득단계와, 상기 현재의 줌 위치가 근접 범위에서의 자동 포커싱 촬영에 적당하지 않은 줌 영역에 있을 경우, 상기 현재의 줌 위치가 상기 줌 영역에 있음을 나타내는 표시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국면에서, 줌을 수행하는 광학 줌 렌즈와, 상기 광학 줌 렌즈를 통과한 피사체 화상을 전기 화상신호로 변환하는 촬상부와, 피사체를 자동적으로 포커싱하는 자동 포커싱부를 구비한 촬상장치의 제어방법은, 현재의 줌 위치를 나타내는 제1바를 표시하는 제1표시단계와, 상기 제1바와 평행하고, 상기 제1바보다 더 짧은 제2바를 표시하는 제2표시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은 첨부한 도면과 관련하여 이루어지는 아래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지며, 도면 전반에 걸쳐 동일한 도면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을 나타낸다.
이하, 관련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에서, 도면 번호 100은 화상처리기이다.
도면 번호 10은 줌 렌즈를 나타내고, 도면 번호 11은 포커싱 렌즈를 나타내며, 도면 번호 12는 개구를 개폐하는 셔터를 나타내며, 도면 번호 14는 광학 화상을 전기 화상신호로 변환하는 촬상소자를 나타내며, 도면 번호 16은 촬상소자(14)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A/D : analog-to-digital) 변환기를 나타낸다.
도면 번호 18은 A/D 변환기(16)와 디지털-아날로그(D/A : digital-to-analog) 변환기(26)에 클록신호와 제어신호를 공급하는 타이밍 발생회로를 나타낸다. 타이밍 발생회로(18)는 메모리 제어회로(22)와 시스템 제어회로(50)에 의해 제어된다.
도면 번호 20은, A/D 변환기(16) 또는 메모리 제어회로(22)로부터의 데이터에 대해 소정의 화소 보간동작 또는 소정의 색 변환동작을 수행하는 화상처리회로를 나타낸다.
화상처리회로(20)는, 촬상에 의해 얻어지는 화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소정의 연산동작을 수행하고, 스루-더-렌즈(TTL : through-the-lens) 방법에 의거하여 프리-플래시(EF : pre-flashing) 동작, 자동 노광(AE : automatic exposing) 동작 및, 자동 포커싱(AF : auto-focusing)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얻어진 연산결과에 의거하여, 시스템 제어회로(50)가 노광 제어부(40)와, 측거 제어부(42)를 제어한다.
또한, 화상처리회로(20)는, 촬상에 의해 얻어지는 화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소정의 연산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얻어진 연산결과에 의거하여 TTL 방법에 따른 자동 화이트 밸런싱(AWB : auto-white balancing) 동작을 수행한다.
메모리 제어회로(22)는, A/D 변환기(16), 타이밍 발생회로(18), 화상처리회로(20), 화상표시 메모리(24), D/A 변환기(26), 메모리(30) 및, 압축/신장회로(32)를 제어한다.
A/D 변환기(16)로부터의 데이터는, 화상처리회로(20) 및 메모리 제어회로(22)를 통하거나, 메모리 제어회로(22)를 통해, 화상표시 메모리(24) 또는 메모리(30)에 기록된다.
도면 번호 28은 예를 들어, TFT 또는 LCD를 포함하는 화상표시부를 나타낸다. 화상표시 메모리(24)에 기록된 표시용 화상 데이터는 D/A 변환기(26)를 통해 화상표시부(28) 상에 표시된다.
화상표시부(28) 상에서의 촬상에 의해 얻어지는 화상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표시함으로써, 전자 파인더 기능을 실현할 수 있게 한다.
화상표시부(28)는 시스템 제어회로(50)로부터의 지시에 의해 언제라도 온(ON) 및 오프(OFF) 될 수 있다. 오프될 경우, 화상처리기(100)의 전력소비는 대폭 감소될 수 있다.
메모리(30)는 정지화상 또는 동화상을 기억한다. 메모리(30)는 소정 매수의 정지화상과, 소정 시간 분량의 동화상을 기억하기에 충분한 기억용량을 갖고 있다.
따라서, 복수 매수의 정지화상에 대한 파노라마 촬영 또는 연속 촬영이 수행되더라도, 많은 수의 화상을 고속으로 메모리(30)에 기록하는 것이 가능하다.
메모리(30)는 시스템 제어회로(50)의 작업 영역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압축/신장회로(32)는 예를 들어, 적응 이산 코사인 변환(ADCT : adaptive discrete cosine transformation)에 의해 화상 데이터를 압축 또는 신장한다. 상기 압축/신장회로는 메모리(30)에 기억된 화상을 판독하고, 상기 판독된 화상을 압축 또는 신장시키며, 상기 처리된 데이터를 메모리(30)에 기록한다.
노광 제어부(40)는 개구를 개폐하는 셔터(12)를 제어하고, 플래시(48)에 의해 조작함으로써 플래시 제어기능을 제공한다.
측거 제어부(42)는 포커싱 렌즈(11)의 포커싱(focusing)을 제어한다. 도면 번호 44는 줌 렌즈(10)의 줌(zooming)을 제어하는 줌 제어부를 나타내며, 도면 번호 46은 배리어(barrier)인 보호부(102)의 동작을 제어하는 배리어 제어부를 나타낸다.
플래시(48)는 AF 보조광 투광기능과, 플래시 제어기능을 갖고 있다.
노광 제어부(40)와 측거 제어부(42)는 TTL 방법에 의해 제어된다. 시스템 제어회로(50)는, 화상처리회로(20)에 의해 촬상한 후에 얻어지는 화상 데이터에 대해 연산을 수행하여 얻어지는 연산결과에 의거하여, 노광 제어부(40)와, 측거 제어부(42)를 제어한다.
시스템 제어회로(50)는 전체 화상처리기(100)를 제어한다. 도면 번호 52는 예를 들어, 시스템 제어회로(50)를 동작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변수 및, 상수를 기억하는 메모리를 나타낸다.
도면 번호 54는, 시스템 제어회로(50)에서의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문자, 화상, 음성 등을 이용하여 예를 들어, 메시지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액정 표시장치 또는, 예를 들어, 스피커를 위한 표시부를 나타낸다. 적어도 하나의 표시부(54)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표시부(54)가 쉽게 발견될 수 있는 화상처리기(100)의 조작부 근처에 설치되며, 예를 들어, LCD, LED 및, 음성발생소자의 조합을 포함한다.
표시부(54)의 일부 동작은 광학 파인더(104)에 의해 제공된다. 예를 들어, 표시부(54)의 LCD는, 싱글 샷(shot)/연속 촬영의 표시, 셀프-타이머 표시, 압축률 표시, 기록 화소수 표시, 기록매수 표시, 촬영 가능한 잔여 매수 표시, 셔터 속도 표시, 조리개 정지 표시, 노광 보정 표시, 플래시 표시, 적안(red-eye) 순화 표시, 매크로 촬영 표시, 부저 설정 표시, 시계용 잔여 전지출력 표시, 잔여 전지출력 표시, 에러 표시, 1자릿수 이상의 수에 의한 정보표시, 기록매체 200 및 210의 착탈상태 표시, 통신 I/F 동작 표시 및, 날짜와 시간의 표시를 제공한다.
광학 파인더(104)는, 표시부(54)에 의해 제공되는 표시 내용 중에서, 예를 들어, 초점이 맞춰진 상태의 표시, 진동 경고 표시, 플래시 충전 표시, 셔터 속도 표시, 조리개 정지 표시 및, 노출 보정 표시를 제공한다.
도면 번호 56은 데이터가 전기적으로 소거 및 기록 가능하게 하는 EEPROM과 같은 불휘발성 메모리를 나타낸다.
도면 번호 60, 62, 64, 66, 68 및 70은 시스템 제어회로(50)의 각종 동작지시를 입력하기 위한 조작부를 나타낸다. 조작부 60, 62, 64, 66, 68 및 70은 예를 들어, 스위치, 다이얼, 터치 패널(touch panel), 시선검출을 이용하는 포인터(pointer), 음성인식장치이며,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조합되어 사용된다.
상기 조작부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조작부(60)는, 전원오프 모드, 자동촬영 모드, 촬영 모드, 파노라마 촬영 모드, 재생 모드, 멀티화면 재생/소거 모드 및, PC 접속 모드 등의 각종 기능모드 사이에서 전환하기 위한 모드 다이얼 스위치이다.
조작부(62)는, 셔터 버튼(도시하지 않음)이 조작되는 동안에 온(ON)으로 스위칭되어, EF 동작, AWB 동작, AE 동작 및, AF 동작과 같은 동작들을 시작시키는 지시를 하는 셔터 스위치 SW1이다.
조작부(64)는, 셔터 버튼(도시하지 않음)의 조작이 완료된 경우에 온(ON)으로 스위칭되어, 노광동작, 현상동작 및, 기록동작을 시작시키는 지시를 하는 셔터 스위치 SW2이다. 노광동작에서는, 촬상소자(14)로부터 판독된 신호가 A/D 변환기(16)와 메모리 제어회로(22)를 통해 화상 데이터를 메모리(30)에 기록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현상동작은 화상처리회로(20)와 메모리 제어회로(22)에서의 연산에 의해 수행된다. 기록동작에서는, 화상 데이터가 메모리(30)로부터 판독되고, 압축/신장회로(32)에서 압축되며, 기록매체 200 또는 210에 기록된다.
조작부(66)는 화상표시부(28)를 온(ON) 또는 오프(OFF)로 설정하는 화상표시 온/오프 스위치이다.
조작부(66)의 상기 기능은, 광학 파인더(104)에 의해 촬영을 수행할 경우, 화상표시부(28)로의 전류 공급을 차단함으로써 전력을 절약할 수 있게 한다.
조작부(68)는 접사 촬영 모드 온(ON) 또는 오프(OFF)를 설정하는 매크로 온/오프 스위치이다.
조작부(70)는, 예를 들어, 각종 버튼과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조작부이다. 상기 각종 버튼의 예는, 메뉴 버튼, 설정 버튼, 멀티화면 재생 새페이지 버튼, 플래시 설정 버튼, 단일촬영/연속촬영/셀프타이머 전환 버튼, 메뉴 이동 플러스 버튼, 메뉴 이동 마이너스 버튼, 재생화상 이동 플러스 버튼, 재생화상 마이너스 버 튼, 촬영화질 선택 버튼, 노출 보정 버튼 및, 날짜/시간 설정 버튼이다.
도면 번호 80은 전지 검출회로, DC-DC 변환기 및, 통전되는 블록으로 전환하는 스위칭회로를 포함하는 전원 제어부를 나타낸다. 상기 전원 제어부(80)는 전지가 장착되어 있는지 아닌지와, 전지의 종류와, 잔여 전지출력을 검출하여, 상기 검출결과와 상기 시스템 제어회로(50)로부터의 지시에 의거하여 DC-DC 변환기를 제어함으로써, 필요한 전압이 필요한 시간 동안, 기록매체를 포함하는 각부에 인가된다.
도면 번호 82 및 84는 커넥터를 나타내고, 도면 번호 86은 예를 들어, AC 어댑터와, (알칼리 전지 또는 리튬 전지 등의) 1차 전지 또는, (NiCd 전지, NiMH 전지 또는, Li 전지 등의) 2차 전지를 포함하는 전원부를 나타낸다.
도면 번호 90 및 94는 메모리 카드나 하드 디스크 등의 기록매체로의 접속을 가능하게 하는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도면 번호 92 및 96은 상기 기록매체로의 접속을 가능하게 하는 커넥터를 나타낸다. 도면 번호 98은, 커넥터 92 및/또는 커넥터 96에 기록매체 200 및/또는 기록매체 210이 장착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검출하는 기록매체 착탈 검출부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록매체에 장착된 인터페이스와 커넥터가 쌍을 이루어 구비되지만, 명백히, 쌍을 이루어서 구비될 필요는 없다. 인터페이스와 커넥터는 단독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둘 이상의 수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이한 사양의 인터페이스와 커넥터는 조합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설명된 인터페이스와 커넥터로서, 예를 들어, PCMCIA 카드나 컴팩트 플 래시(CF : compact flash) 카드의 사양을 따르는 인터페이스와 커넥터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 90 및 94와, 커넥터 92 및 96이 예를 들어, PCMCIA 카드나 CF 카드의 사양에 따를 경우, LAN 카드, 모뎀 카드, USB 카드, IEEE1394 카드, P1284 카드, SCSI 카드 및, PHS 통신 카드 등의 각종 통신 카드 중의 어느 하나를 접속함으로써, 예를 들어, 다른 컴퓨터나 프린터의 주변기기와 화상처리기(100)와의 사이에서 화상 데이터와, 화상 데이터에 포함된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배리어(barrier)인 보호부(102)는, 화상처리기(100)의 렌즈(10)를 포함하는 촬영부를 피복함으로써, 상기 촬영부가 오염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화상 표시부(54)의 전자 파인더 기능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즉, 광학 파인더(104)만을 사용하여 촬영이 수행될 수 있다. 광학 파인더(104)는, 초점이 맞춰진 상태의 표시기능, 진동 경고 표시기능, 플래시 충전 표시기능, 셔터 속도 표시기능, 조리개 정지 표시기능 및, 노출 보정 표시기능 등의, 표시부(54)의 기능들 중의 일부를 제공한다.
도면 번호 110은 RS232C, USB, IEEE1394, P1284, SCSI, 모뎀, LAN 및, 무선통신 등의 각종 통신기능을 갖는 통신부를 나타낸다.
도면 번호 112는 통신수단(110)에 의해 화상처리기(100)를 다른 장치와 접속하는 커넥터를 나타낸다. 무선통신이 수행될 경우, 도면 번호 112는 안테나를 나타낸다.
기록매체(200)는 예를 들어, 메모리 카드나 하드 디스크일 수 있다.
기록매체(200)는 기록부(202)와, 화상처리기(100)와의 접속을 가능하게 하는 인터페이스(204)와, 화상처리기(100)와의 접속을 가능하게 하는 커넥터(206)를 포함한다. 상기 기록부(202)는 예를 들어, 반도체 메모리나 자기 디스크를 포함한다.
다른 기록매체(210)는 예를 들어, 메모리 카드나 하드 디스크일 수 있다.
기록매체(210)는 기록부(212)와, 화상처리기(100)와의 접속을 가능하게 하는 인터페이스(214)와, 화상처리기(100)와 접속하는 커넥터(216)를 포함한다. 상기 기록부(212)는 예를 들어, 반도체 메모리나 자기 디스크를 포함한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실시예의 화상처리기(10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의 화상처리기(100)의 주 루틴의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화상처리기(10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예를 들어, 전지가 교환될 경우의 전력 기동에 의해, 단계 S101에서, 시스템 제어회로(50)는 예를 들어, 플래그(flag)나 제어 변수를 초기화하고, 그 다음에, 단계 S102에서 화상 표시부(28)를 오프 상태(초기 상태)로 설정한다.
단계 S103에서, 모드 다이얼 스위치(60)가 오프 위치에 설정된 것으로 상기 시스템 제어회로가 판단하면, 단계 S105에서, 소정의 완료 동작이 수행되고, 처리절차는 단계 S103으로 돌아간다. 상기 소정의 완료 동작은, 각 표시부의 상태를 완료 상태로 변경하고, 배리어(즉, 보호부(102))를 닫아서 촬상부를 보호하며, 설정값과, 필요한 플래그와 제어 변수를 포함하는 파라미터와, 설정 모드를 불휘발성 메모리(56)에 기록하며, 전원 제어부(80)에 의해, 화상표시부(28)를 포함하는 화상처리기(100)의 각부로의 불필요한 전원을 차단하는 것을 포함한다.
단계 S103에서, 모드 다이얼 스위치(60)가 촬영 모드로 설정되어 있으면, 처리절차는 단계 S106으로 진행한다.
단계 S103에서, 모드 다이얼 스위치(60)가 다른 모드로 설정되어 있으면, 단계 S104에서, 시스템 제어회로(50)는 선택된 모드에 따라 동작을 실행한다. 이 동작이 완료되면, 처리절차는 단계 S103으로 돌아간다.
단계 S106에서, 시스템 제어회로(50)는 전원 제어부(80)에 의해, 전원부(86)의 잔여 전력량과 동작 상태가 화상처리기(100)에서 문제를 일으키는지 아닌지에 대해 판단한다. 단계 S106에서, 문제를 일으키는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S108에서, 표시부(54)는 화상이나 음성을 이용하여 소정의 경고를 제공한다. 그 다음, 처리절차는 단계 S103으로 돌아간다.
단계 S106에서,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 것으로 상기 시스템 제어회로(50)가 판단하면, 단계 S107에서, 상기 시스템 제어회로(50)는 기록매체 200 또는 기록매체 210의 동작 상태가 화상처리기(100)의 동작, 특히 기록매체에 대한 데이터의 기록/재생에서 문제를 일으키는지 아닌지에 대해 판단한다. 문제를 일으키는 것으로 판단하면, 단계 S108에서, 표시부(54)는 화상이나 음성을 이용하여 소정의 경고를 제공한다. 그 다음, 처리절차는 단계 S103으로 돌아간다.
단계 S107에서, 기록매체 200 또는 기록매체 210의 동작 상태가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 것으로 상기 시스템 제어회로(50)가 판단하면, 단계 S109에서, 표시부 (54)는 화상이나 음성을 이용하여 화상처리기(100)의 각종 설정 상태를 표시한다. 화상표시부(28)가 온(ON)이면, 화상표시부(28)는 화상이나 음성에 의해 화상처리기(100)의 각종 설정 상태를 표시한다.
단계 S110에서, 시스템 제어회로(50)는 표시부(28)를 온(ON)으로 하고, 단계 S111에서, 촬상 후에 얻어지는 화상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표시하는 스루 표시 상태(through display state)를 설정한다. 그 다음, 처리절차는 단계 S112로 진행한다.
스루 표시 상태에서는, 촬상소자(14), A/D 변환기(16), 화상처리회로(20) 및, 메모리 제어회로(22)를 통해, 화상표시 메모리(24)에 연속적으로 기록된 데이터가 메모리 제어회로(22)와 D/A 변환기(26)를 통해 화상표시부(28) 상에 연속적으로 표시되어, 전자 파인더 기능을 수행한다.
단계 S112에서, 시스템 제어회로(50)는 매크로 온/오프 스위치(68)가 눌러진 것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눌러진 경우에는, 단계 S113에서, 매크로 처리가 수행된다. 그 다음, 처리절차는 단계 S114로 진행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매크로 처리(단계 S113)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매크로 온/오프 스위치(68)가 눌러지지 않은 경우에는, 처리절차가 단계 S114로 진행한다. 단계 S114에서, 셔터 스위치 SW의 상태가 판단된다. 셔터 스위치가 눌러져 있는 경우, 단계 S115에서, 촬영/기록이 수행된다. 촬영/기록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촬영/기록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셔터 스위치 SW가 눌러지지 않은 경우에는, 처리절차가 단계 S103으로 돌 아간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도 2의 단계 S113의 매크로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매크로 모드 및 비매크로(non-macro) 모드 시에 각각 촬상소자의 기록영역을 도시한 것이다. 매크로 시에는, 비매크로 시보다도 더 작은 영역의 화상신호가 기록된다. 가장 근접한 피사체에 포커싱되면, 촬상소자(14)의 주변부에 빛이 들어가지 않게 되어, 비네팅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므로, 촬상소자(14)로부터의 화상신호의 부분들 중에서, 비네팅이 발생하지 않는 촬상소자(14)의 중심부분에서의 화상신호의 부분만이 기록된다. 또한, 전자 파인더는, 비네팅이 발생하지 않는 영역 내의 화상 부분만을 표시한다. 촬상소자의 일부분에 따라 화상신호의 일부를 확대하여 표시하는 기능은 전자 줌으로서 널리 알려져 있다. 촬상소자의 일부분에서 화상신호의 일부만을 기록하는 방법도, 전자 줌과 함께 잘 알려져 있다. 비네팅이 발생하지 않는 촬상소자의 영역은 미리 불휘발성 메모리(56)에 기억되어 있다.
도 5a 내지 5c는 줌 위치 범위와 비네팅간의 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a 내지 5c에서, 비네팅의 양은 광각 단부(wide-angle end)(W)와 망원 단부(telephoto end)(T)에서 크다. 줌 렌즈(10)가 도 5b의 검은색 점 위치에 있을 경우, 매크로 처리가 수행되어야 하면, 줌 렌즈(10)는 비네팅의 양이 작은 도 5c에 도시된 검은색 점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렌즈의 특성에 따라, 비네팅의 양이 작은 범위는 불휘발성 메모리(56)에 미리 기억된다. 시스템 제어회로(50)는, 비네팅의 양이 작은 범위의 현재의 줌 위치에 가장 가까운 줌 위치로 상기 줌 렌즈(10)를 이동한다.
도 3은 도 2의 단계 S113에서의 매크로 처리를 상세하게 예시하는 순서도이다.
화상처리기(100)가 현재 매크로 모드에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기 위하여, 단계 S201에서, 시스템 제어회로(50)는 매크로 플래그 상태를 조사한다. 매크로 플래그가 오프(OFF)이면, 처리절차는 단계 S202로 진행하여 매크로 모드를 온(ON)으로 설정한다. 단계 S202에서, 매크로 플래그가 온(ON)으로 설정되면, 단계 S203에서, 전자 줌 모드가 설정된다. 전자 줌 모드로 설정하는 것은, 촬상하여 얻어지는 화상 데이터 중에서 비네팅이 발생하지 않는 부분만을, 화상표시부(28)가 연속적으로 표시할 수 있게 한다.
다음으로, 단계 S204에서, 시스템 제어회로(50)는 현재의 줌 위치를 취득하고, 단계 S205에서, 현재의 줌 렌즈 위치가 비네팅의 양이 큰 영역에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비네팅의 양이 큰 영역에 있지 않은 경우에는, 처리가 종료된다. 이에 반해, 비네팅의 양이 큰 영역에 있을 경우에는, 단계 S206에서, 비네팅의 양이 작은 영역에서 현재의 줌 위치에 가장 가까운 위치로 줌 렌즈(10)가 이동하게 된다. 그 다음, 단계 S207에서, 포커싱 렌즈(11)가 근접한 곳을 향해 이동하게 된다. 포커싱 렌즈(11)는 렌즈 특성 즉, 예를 들어, 피사체에 대해 약 5㎝에서 포커싱하도록 하는 특성에 따라 근접한 곳을 향해 이동하게 된다.
한편, 단계 S201에서 매크로 플래그가 온(ON)인 경우, 시스템 제어회로(50)는 매크로 모드를 해제한다. 단계 S208에서, 매크로 플래그는 오프(OFF)로 설정된 다. 그 다음, 단계 S209에서, 포커싱 렌즈(11)는 통상 위치로 돌아오게 된다. 포커싱 렌즈(11)가 통상 위치로 돌아오게 되면, 촬상소자의 주변부에서 더 이상 비네팅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단계 S210에서, 전자 줌 모드는 해제된다.
<줌 위치의 표시>
도 6a 내지 6c는 화상표시부(28) 상의 줌 바의 표시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줌 바는 현재의 줌 위치를 나타내기 위하여 표시된다. 도 6a는 줌 바의 표시를 도시한 것이다. W는 광각 단부를 나타내고, T는 망원 단부를 나타낸다. 도 6a에서, 줌 렌즈는 망원 단부 근처에 배치되어 있다. 즉, 줌 레버(67)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조작되면, 시스템 제어회로(50)는 줌 렌즈(10)를 구동하고, 도 6a에 도시한 것과 같이 줌 바를 표시한다.
매크로 모드가 오프(OFF)인 경우에, 줌 바가 도 6b에 도시한 것과 같이 표시되면, 매크로 모드를 온(ON)으로 설정하는 것은, 비네팅이 쉽게 발생하지 않는 범위에서 망원 단부에 가장 가까운 위치로 줌 렌즈가 이동하게 하며, 줌 바가 도 6c에 도시한 것과 같이 표시되도록 한다. 즉, 줌 바의 길이 X를 변경하지 않고, 줌 레버에 의해, 가동 줌 위치 범위의 폭이 변경(즉, 이 경우에는 증가)된다. 도 6c는, 비네팅이 쉽게 발생하지 않는 영역에서 광각 측에 가장 가까운 곳을 망원측으로 하고, 비네팅이 쉽게 발생하지 않는 영역에서 망원 측에 가장 가까운 곳을 광각 측으로 하여, 길이 X인 줌 바를 도시한 것이다. 도 6b에 도시된 상태에서 매크로 모드가 온(ON)으로 설정되면, 비네팅이 쉽게 발생하지 않는 영역에서 망원 측에 가 장 가까운 곳으로 줌 렌즈가 이동하게 되므로, 줌 바는 길이 X인 것으로 표시되고, 이 위치는 망원 단부가 된다. 그러므로, 쌍방의 경우에 줌 바는 길이 X인 것으로 표시되므로, 줌 렌즈 위치를 표시하는 상기 방법은, 사용자가 줌 바에서 현재의 줌 렌즈 위치를 쉽게 확인하도록 함에 있어서 효과적이다.
매크로 모드가 온(ON)일 경우에 줌 레버(67)가 조작되면, 시스템 제어회로(50)는, 비네팅이 쉽게 발생하지 않는 범위에서만 줌 렌즈(10)가 구동되도록 한다.
도 7a 내지 7b는 화상표시부(28) 상에서의 줌 바 표시의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다.
매크로 모드가 오프(OFF)일 경우에 도 7a에 도시된 줌 바가 표시되면, 매크로 모드를 온(ON)으로 설정하는 것은 도 7b에 도시된 줌 바가 표시되도록 한다. 도 7b에서, 삼각형은 줌 바에서 비네팅이 쉽게 발생하지 않는 범위의 경계를 가리킨다. 매크로 모드가 온(ON)이면, 줌 렌즈는 비네팅이 쉽게 발생하지 않는 범위에서만 이동한다. 매크로 모드가 온(ON)일 경우에 줌 렌즈가 이동하지 않는 범위(즉, 비네팅의 양이 큰 범위)는 완전히 노란색으로 칠해져서, 줌 바의 길이 X가 변경되지 않고, 줌 렌즈가 이동하지 않는 것을 표현하고 있다. 매크로 모드가 온(ON) 또는 오프(OFF)인 것에 관계없이, 줌 바는 동일한 길이 X를 갖고 있다. 이것은, 매크로 설정이 온(ON) 또는 오프(OFF)인 것에 관계없이 현재의 줌 렌즈 위치를 사용자가 쉽게 확인하도록 함에 있어서 효과적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매크로 모드가 온(ON)일 경우에 줌 렌즈가 이동하지 않는 범위가 완전히 노란색으로 칠해져 있지만, 청색, 빨간색 또는 녹색 등의 식별 가능 한 기타 다른 색으로 칠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범위는 줄무늬 패턴을 가질 수도 있다.
<화상표시부(28)의 온/오프(ON/OFF)>
상기 실시예에서는, 화상표시부(28)가 항상 온(ON)인 것으로 설명되고 있지만, 화상표시 온/오프 스위치(66)에 의해, 화상표시부(28)가 온(ON) 또는 오프(OFF)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화상표시부(28)가 오프(OFF)로 되면, 화상표시부(28)는 매크로 모드를 해제하고, 화상표시부(28)가 오프(OFF)이면, 매크로 모드의 설정을 허가하지 않을 수도 있다. 화상표시부(28)가 오프(OFF)일 경우에는 전자 파인더와 줌 바가 표시되지 않으므로, 사용자는 매크로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알 수 없다. 그러므로, 화상표시부(28)가 오프(OFF)일 경우에는, 매크로 촬영을 허용하지 않음으로써, 부적당한 조작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매크로 모드에서의 줌 위치의 표시>
근접 범위에서 AF 촬영(매크로 AF)이 수행될 수 없는 광학 줌 영역이 있을 경우, 사용자의 조작성을 고려하는 관련 기술이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은 예를 들어, 일본 특개평11-183782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기술에서는, 매크로 AF 모드가 선택되면, AF 매크로 제어가 줌 영역에서 광학적으로 수행될 수 없을 경우에는, 렌즈부가 이동하여 제어 가능한 줌 영역 범위 내에 배치된다. 매크로 AF 제어를 수행하는 것이 불가능하더라도, 사용자는 줌 영역이 변경되지 않는 상태를 선 택할 수 있고, 표시장치가 매크로 모드 상태에 따라 번쩍이게 함으로써, 부적당한 조작을 방지한다.
그러나, 광학 렌즈부가 매크로 AF 제어가 수행될 수 없는 줌 영역 내에 있는지 없는지에 대해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것은 어렵다.
도 9는 상기 실시예를 수행할 때에 표시부(54) 상에서 표시되는 줌 바(zoom bar) 구성의 일례를 예시한 것이다. 도면 번호 300은, 줌 바의 좌측이 줌 광각 단부이고 줌 바의 우측이 망원 단부임을 나타내는 아이콘 301 내지 305를 포함하는 전체 줌 바를 나타낸다. 아이콘 303은 전체 줌 가동 영역을 나타내는 바(bar) 부분이다. 아이콘 302는 현재의 줌 위치를 나타내는 바 부분이다. 줌 렌즈가 광각 단부에 있을 경우에는, 아이콘 302는 아이콘 303의 좌측 단부에서만 검은색으로 완전히 칠해진다. 이에 반해, 줌 렌즈가 망원 단부에 있을 경우에는, 아이콘 302는, 전체 줌 영역 303에 거의 해당하는 완전히 검은색으로 칠해진 영역이 된다. 아이콘 304는, 매크로 AF 촬영에 부적당한 줌 위치 영역을 나타내는 바 부분이다. 줌 바가 상기 구성을 갖고 있을 경우에는, 현재의 줌 위치를 나타내는 영역 302가 줌 조작에 따라 이동하고, 매크로 AF 촬영에 부적당한 영역을 나타내는 바 부분 304과 중첩하도록 표시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현재의 줌 위치가 매크로 촬영에 대해 부적당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상기 실시예를 수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제어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줌 구동이 수행될 경우의 조작 및 표시를 제어하는 조작/표시 제어모듈과, 줌 구동을 제어하는 줌 구동 제어모듈간의 교환 조작을 예시한 것이 다. 여기서, 상기 모듈은 시스템 제어회로(50)에 포함되며, 예를 들어, 회로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된다. 조작/표시 제어모듈이 줌 레버(70)의 조작을 검출하면, 단계 S2-1에서, 줌 레버의 조작 방향에 따라, 줌 구동 제어모듈에 줌 구동 시작요구가 송신된다. 다음으로, 단계 S2-2에서, 줌 구동 시작요구를 수신한 줌 구동 제어모듈은 줌 구동을 시작하고, 줌 위치의 변경을 주기적으로 표시 제어모듈에 통지한다. 상기 조작/표시 제어모듈이 상기 통지를 수신하면, 단계 S2-3에서, 상기 조작/표시 제어모듈은 줌 위치 취득요구를 줌 구동 제어모듈에 송신한다. 다음으로, 단계 S2-4에서, 상기 조작/표시 제어모듈은 상기 줌 구동 제어모듈로부터 줌 위치 통지를 수신하여 줌 위치를 취득한다. 다음으로, 단계 S2-5에서, 상기 조작/표시 제어모듈은 줌 바(300)를 묘화(drawing)한다. 그 다음, 단계 S2-6 및 S2-7에서, 상기 단계 S2-2 내지 S2-5가 반복된다.
단계 S2-8에서, 사용자가 줌 레버의 조작을 중지한 것으로 상기 조작/표시 제어모듈이 검출한 경우에는, 줌 구동 제어모듈에 줌 구동 정지요구를 송신하여 줌 렌즈 이동을 종료한다. 줌 시작으로부터 줌 이동이 종료할 때까지, 단계 S2-2 내지 단계 S2-5를 반복(즉, 단계 S2-6, S2-7, ...)함으로써, 줌 바(300)의 묘화를 갱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0을 참조하여, 줌 바 묘화 단계(단계 S2-5)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묘화 처리에서는, 서브 단계 S4-1에서, 줌 바의 광각 단부와 망원 단부를 각각 나타내는 아이콘 301 및 305가 묘화된다. 그 다음, 서브 단계 S4-2에서, 전체 줌 영역을 나타내는 사각형 303이 묘화된다. 다음으로, 단계 S4-3에서, 현재의 위치를 나타내는 사각형 302가 묘화된다. 단계 S4-3에서, 줌 위치의 전체 수가 X이고, 현재의 위치가 XC이며, 전체 줌 영역을 나타내는 사각형의 폭이 W이면, 묘화될 사각형의 폭 w와, 묘화가 시작되는 X 좌표는, 전체 줌 영역에 대해 아래의 수학식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x = 0
w = W * (XC/X)
다음으로, 단계 S4-4에서, 전체 줌 영역에서 매크로 촬영에 부적당한 영역을 나타내는 사각형 304가 묘화된다. 묘화될 사각형 304의 위치와 폭이 각각 x-macro와 w-macro이고, 매크로 촬영에 부적당한 영역의 실제 시작 위치와 종료 위치가 각각 X0과 X1이면, 사각형 304의 시작 위치와 묘화의 폭을 결정하기 위해 아래의 수학식이 사용될 수 있다.
x-macro = W * (X0/X)
w-macro = W * ((X1-X0)/X)
줌 위치가 변경될 때마다 전체 줌 바가 묘화되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지만, 묘화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갱신될 필요가 있는 줌 바의 부분만을 변경하는 것, 즉, 현재의 줌 위치를 나타내는 사각형 302만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른 실시예가 아래와 같이 구현될 수도 있다. 매크로 AF 모드가 설정될 경우에 매크로 AF 모드를 나타내는 아이콘을 묘화할 때, 줌 구동 제어부는 현재의 줌 위치를 취득하여, 상기 현재의 줌 위치가 매크로 AF 모드로 부적당한 이전에 취득된 광학 줌 영역에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현재 의 줌 위치가 매크로 제어에 부적당한 영역에 있을 경우에는 도 11에 도시된 아이콘 502가 묘화되고, 그렇지 않고, 상기 현재의 줌 위치가 매크로 제어에 부적당한 영역에 있지 않을 경우에는 도 11에 도시된 아이콘 501이 묘화된다.
사용자는 조작부(70)를 조작함으로써, 매크로 AF 모드 또는 통상 AF 모드 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설정할 수 있다. 매크로 AF 모드에서는, 근접한 범위의 피사체에 대해 매크로 AF 촬영이 연속적으로 수행되고, 근접한 범위에서 자동 포커싱이 수행될 수 있다. 통상의 AF 모드에서는, 근접 범위의 거리보다 더 멀리 떨어진 피사체에 대해 통상의 AF 촬영이 수행되고, 근접 거리 범위 내에서 자동 포커싱이 수행될 수 있다. 매크로 AF 모드에서는, 매크로 AF 제어가 수행될 수 없기 때문에, 포커싱이 수행될 수 없는 광학 줌 영역이 존재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현재의 광학 줌 위치가 취득되어 표시부 상에 표시된다. 매크로 AF 촬영이 수행될 수 없는 광학 줌 영역이 취득되어, 상기 현재의 줌 위치와 함께 표시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9에 도시한 것과 같이, 매크로 AF 모드가 설정되면, 매크로 AF 촬영에 적당하지 않은 줌 영역이 현재의 줌 위치와 함께 표시되고, 통상의 AF 모드가 설정되면, 매크로 AF 촬영에 적당하지 않은 줌 영역이 표시되지 않는다. 사용자는 조작부(70)를 조작함으로써, 촬영 렌즈(광학 줌 렌즈)(1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매크로 AF 촬영 모드가 설정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정보가 표시되고, 매크로 AF 촬영이 수행될 수 없다는 정보를 취득한 후에 현재의 광학 줌 위치에서 매크로 AF 촬영이 수행될 수 없을 경우에는, 매크로 AF 촬영이 수행될 수 없음을 나타내는 정보가, 매크로 AF 촬영 모드가 설정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정보에 부가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1에 도시한 것과 같이, 매크로 AF 모드가 설정되어 있을 경우, 매크로 AF 모드가 설정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함에 있어서, 현재의 줌 위치가 줌 영역에 있으면, 현재의 줌 위치가 매크로 AF 촬영에 적당하지 않은 줌 영역에 있음을 나타내는 정보가 부가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매크로 AF 모드가 설정되어 있을 경우, 이것에 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고, 현재의 줌 렌즈 위치가 매크로 AF 촬영에 적당한 줌 영역에 있지 않을 경우에는, 이것에 관한 정보가 표시될 수도 있다.
도 12에 도시한 것과 같이, 도면 번호 300은 도 9와 마찬가지로, 표시부(54) 상에 표시되는 바 부분 301 내지 305를 포함하는 전체 줌 바를 나타낸다. 바 부분 301 내지 305는 도 9에 도시된 것과 유사하다. 도면 번호 306은 매크로 AF 촬영에 적당한 줌 위치 영역을 나타내는 바 부분을 나타낸다. 줌 바가 상기 구성을 가질 경우, 현재의 줌 위치를 나타내는 영역 302는 줌 조작에 따라 이동하여, 매크로 AF 촬영에 적당한 영역을 나타내는 바 부분 306과 중첩하도록 표시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현재의 줌 위치가 매크로 촬영에 적당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광학 줌 렌즈를 이동하여 매크로 AF 모드를 설정할 경우, 사용자는 줌 렌즈와 매크로 AF 모드간의 현재의 상태와 그 관계를 알 수 있음으로써, 사용자가 화상처리기(100)를 부적절하게 조작하거나, 사용자가 촬영하고자 하지 않은 화상을 촬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광학 줌 영역에서 매크로 촬영에 부적당한 영역이 있을 경우, 사용자는 혼동되지 않고 장치를 조작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본 실시예는 컴퓨터가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에 실현될 수도 있다. 프로그램을 기록하고 있으며 컴퓨터에 의해 상기 프로그램이 판독될 수 있도록 하는 기록매체(예를 들어, CD-ROM)와, 상기 프로그램을 전송하기 위한 전송매체(예를 들어, 인터넷) 등의, 컴퓨터에 프로그램을 공급하기 위한 수단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 프로그램을 기록하고 있으며 컴퓨터에 의해 상기 프로그램이 판독될 수 있도록 하는 예를 들어, 기록매체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제공될 수도 있다. 프로그램, 기록매체, 전송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상기 기록매체의 예로는, 플렉시블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CD-ROM, 자기 테이프, 불휘발성 메모리 카드 및 ROM이 있다.
본 발명은 전형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을 수행함에 있어서의 예시를 위한 용도로만 이러한 설명이 이루어진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전형적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개념 및 주요 특징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이 수행될 수도 있다.
이상으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르면, 광학 줌 렌즈를 이동하여 매크로 AF 모드를 설정할 경우, 사용자는 줌 렌즈와 매크로 AF 모드간의 현재의 상태와 그 관계를 알 수 있음으로써, 사용자가 화상처리기를 부적절하게 조작하거나, 사용자가 촬영하고자 하지 않은 화상을 촬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광학 줌 영역에서 매크로 촬영에 부적당한 영역이 있을 경우, 사용자는 혼동되지 않고 장치를 조작할 수 있다.

Claims (19)

  1. 제 1 범위를 이동하는 것에 의해 광학 줌이 가능한 줌 렌즈를 통하여 얻어지는 피사체 화상을 화상신호로 변환하는 촬상수단과,
    상기 화상신호를 전자 줌 하기 위한 전자 줌 수단과,
    촬상모드를 지시하는 모드 지시수단과,
    상기 모드 지시수단에 의해 소정 촬상모드가 지시된 경우에 상기 줌 렌즈의 위치가 상기 제 1 범위 내부에 있는 동시에 제 2 범위 외부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줌 렌즈를 상기 제 2 범위 내부로 이동시키는 동시에, 상기 전자 줌 수단에 전자 줌을 행하게 하는 제어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수단에 의해 변환된 화상신호를 기록하는 기록수단을 구비하고,
    또한, 상기 기록수단은 상기 소정 촬상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소정 촬상모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보다도 상기 변환된 전기 화상신호 중 좁은 화상영역을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구비하고,
    또한, 상기 표시수단은 상기 소정 촬상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소정 촬상모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보다도 상기 변환된 화상신호 중 좁은 화상영역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화상신호를 기록하는 기록수단을 구비하고,
    또한, 상기 기록수단은 상기 소정 촬상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소정 촬상모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보다도 주변부를 제외한 중심부가 좁은 화상영역의 화상신호 또는 그것을 기초로 한 화상신호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장치.
  7. 제 1 범위를 이동하는 것에 의해 광학 줌이 가능한 줌 렌즈를 통하여 얻어지는 피사체의 화상을 화상신호로 변환하는 촬상단계와,
    촬상모드를 지시하는 모드 지시단계와,
    상기 모드 지시단계에서 소정 촬상모드가 지시된 경우에 상기 줌 렌즈의 위치가 상기 제 1 범위 내부에 있는 동시에 제 2 범위 외부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줌 렌즈를 상기 제 2 범위 내부로 이동시키는 동시에, 상기 화상신호를 전자 줌하는 제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방법.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줌을 행하기 위한 광학 줌 렌즈를 통과한 피사체 화상을 전기 화상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촬상수단과,
    피사체에 포커스를 자동적으로 맞추기 위한 자동 포커스 수단을 갖는 촬상장치에 있어서,
    현재의 줌 위치를 나타내는 제 1 바와 함께 근접 거리의 자동 포커스에서의 촬영에 적절하지 않은 줌 영역을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근접 거리의 자동 포커스에서의 촬영을 행하기 위한 제 1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표시수단은, 상기 제 1 모드가 설정되면, 현재의 줌 위치와 함께 근접 거리의 자동 포커스에서의 촬영에 적절하지 않은 줌 영역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은, 상기 제 1 모드가 설정되면, 현재의 줌 위치와 함께 근접 거리의 자동 포커스에서의 촬영에 적절하지 않은 줌 영역을 표시하고, 상기 제 1 모드가 해제되면, 근접 거리의 자동 포커스에서의 촬영에 적절하지 않은 줌 영역을 표시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15. 줌을 행하기 위한 광학 줌 렌즈를 통과한 피사체 화상을 전기 화상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촬상수단과,
    피사체에 포커스를 자동적으로 맞추기 위한 자동 포커스 수단을 갖는 촬상장치에 있어서,
    현재의 줌 위치가 근접 거리의 자동 포커스에서의 촬영에 적절하지 않은 줌 영역내에 있을 때에는 그 취지를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16. 줌을 행하기 위한 광학 줌 렌즈를 통과한 피사체 화상을 전기 화상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촬상수단과,
    피사체에 포커스를 자동적으로 맞추기 위한 자동 포커스 수단을 갖는 촬상장치에 있어서,
    현재의 줌 위치를 나타내는 제 1 바와 함께 제 1 바보다도 짧은 제 2 바를 상기 제 1 바와 평행하게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17. 줌을 행하기 위한 광학 줌 렌즈와, 상기 광학 줌 렌즈를 통과한 피사체 화상을 전기 화상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촬상수단과, 피사체에 포커스를 자동적으로 맞추기 위한 자동 포커스 수단을 구비한 촬상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현재의 줌 위치를 취득하는 취득단계와,
    상기 현재의 줌 위치를 나타내는 제 1 바와 함께 근접 거리의 자동 포커스에서의 촬영에 적절하지 않은 줌 영역을 표시하는 표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의 제어방법.
  18. 줌을 행하기 위한 광학 줌 렌즈와, 상기 광학 줌 렌즈를 통과한 피사체 화상을 전기 화상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촬상수단과, 피사체에 포커스를 자동적으로 맞추기 위한 자동 포커스 수단을 구비한 촬상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현재의 줌 위치를 취득하는 취득단계와,
    상기 현재의 줌 위치가 근접 거리의 자동 포커스에서의 촬영에 적절하지 않은 줌 영역 내에 있을 경우는, 그 취지를 표시하는 표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의 제어방법.
  19. 줌을 행하기 위한 광학 줌 렌즈와, 상기 광학 줌 렌즈를 통과한 피사체 화상을 전기 화상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촬상수단과, 피사체에 포커스를 자동적으로 맞추기 위한 자동 포커스 수단을 구비한 촬상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현재의 줌 위치를 나타내는 제 1 바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바보다도 짧은 제 2 바를 상기 제 1 바와 평행하게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의 제어방법.
KR1020050005687A 2004-01-23 2005-01-21 근접거리에서의 촬영을 가능하게 하는 화상 처리장치 KR1006984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015783A JP2005208395A (ja) 2004-01-23 2004-01-23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JP-P-2004-00015783 2004-01-23
JP2004020405A JP4307277B2 (ja) 2004-01-28 2004-01-28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JP-P-2004-00020405 2004-01-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6751A KR20050076751A (ko) 2005-07-27
KR100698482B1 true KR100698482B1 (ko) 2007-03-23

Family

ID=34797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5687A KR100698482B1 (ko) 2004-01-23 2005-01-21 근접거리에서의 촬영을 가능하게 하는 화상 처리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3) US7064904B2 (ko)
KR (1) KR100698482B1 (ko)
CN (1) CN100504490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68446B2 (ja) * 2004-10-29 2007-01-17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撮像装置
US7531773B2 (en) * 2005-09-08 2009-05-12 Flextronics Ap, Llc Auto-focus and zoom module having a lead screw with its rotation results in translation of an optics group
US8112128B2 (en) * 2006-08-31 2012-02-07 Flextronics Ap, Llc Discreetly positionable camera housing
CN101730863B (zh) 2007-04-24 2011-12-28 弗莱克斯电子有限责任公司 相机模块及其制造方法
US8083421B2 (en) * 2007-05-07 2011-12-27 Flextronics Ap, Llc AF/zoom shutter with two blades function
US7825985B2 (en) 2007-07-19 2010-11-02 Flextronics Ap, Llc Camera module back-focal length adjustment method and ultra compact components packaging
US8488046B2 (en) * 2007-12-27 2013-07-16 Digitaloptics Corporation Configurable tele wide module
JP5020805B2 (ja) * 2007-12-28 2012-09-05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5384145B2 (ja) * 2009-03-05 2014-01-08 株式会社ザクティ ズームレンズを具えた撮像装置
US9578251B2 (en) * 2010-09-13 2017-02-21 Canon Kabushiki Kaisha Imag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US8611737B2 (en) * 2010-12-22 2013-12-17 Canon Kabushiki Kaisha Lens driving device, control method, and lens system
US8545114B2 (en) 2011-03-11 2013-10-01 Digitaloptics Corporation Auto focus-zoom actuator or camera module contamination reduction feature with integrated protective membrane
EP2698658B1 (en) * 2011-04-15 2018-09-12 Panasonic Corporation Image pickup apparatus,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and image pickup method
US8982267B2 (en) 2011-07-27 2015-03-17 Flextronics Ap, Llc Camera module with particle trap
US9215377B2 (en) * 2013-12-04 2015-12-15 Nokia Technologies Oy Digital zoom with sensor mode change
CN107770433B (zh) * 2016-08-15 2020-08-04 广州立景创新科技有限公司 影像获取装置及其影像平顺缩放方法
KR20220055230A (ko) * 2020-10-26 2022-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한 사진 촬영 방법 및 그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63241A (en) * 1992-04-07 1994-11-08 Hughes Aircraft Company Focusable virtual image display
JPH07248445A (ja) * 1994-03-14 1995-09-26 Sony Corp ズームレンズ装置
US5808813A (en) * 1996-10-30 1998-09-15 Smith & Nephew, Inc. Optical coupler
JPH11183782A (ja) 1997-12-22 1999-07-09 Canon Inc 撮像装置
US6839086B1 (en) * 1998-06-11 2005-01-04 Konica Corporation Camera including multiple lenses, a ranging means, and multiple image processors
JP2001045364A (ja) * 1999-07-30 2001-02-16 Fuji Photo Film Co Ltd ディジタル・カメラおよびその動作制御方法
US6292307B1 (en) * 2000-06-28 2001-09-18 Motorola, Inc. Automatically focusing an optical instrument having a lens with only two focus positions
JP2003161874A (ja) * 2001-09-17 2003-06-06 Olympus Optical Co Ltd 撮像装置
JP3678205B2 (ja) 2002-03-27 2005-08-03 コニカミノルタフォト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ディジタルカメ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379248B2 (en) 2008-05-27
US7864447B2 (en) 2011-01-04
US20060245074A1 (en) 2006-11-02
CN1655002A (zh) 2005-08-17
KR20050076751A (ko) 2005-07-27
US20080192138A1 (en) 2008-08-14
US20050162534A1 (en) 2005-07-28
US7064904B2 (en) 2006-06-20
CN100504490C (zh) 2009-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8482B1 (ko) 근접거리에서의 촬영을 가능하게 하는 화상 처리장치
US6510283B1 (en) Photo-tak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dapted for the photo-taking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supplying control program adapted for the photo-taking apparatus
US7750968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storage medium
JP4367955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7062162B2 (en) Image taking apparatus capable of optically and electrically changing magnification of taken images
JP2010096790A (ja) 撮像装置
JP4881195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2005221771A (ja) 撮像装置及び機能表示方法
JP2004096227A (ja) 音声処理装置、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JP4164178B2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
JP4307277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2006042028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2006039203A (ja) 撮像装置、及び制御方法
JP2005208395A (ja)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2314872A (ja) 撮像装置及び方法
JP2012156886A (ja) 撮像装置
JP2007033775A (ja) 撮像装置
JP5371602B2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の駆動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361973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2003046850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記録媒体及びプログラム
JP2001324750A (ja)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10272942A (ja) 撮像装置
JP2003244524A (ja) 撮像装置
JP2006203465A (ja) 撮像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6332859A (ja) 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