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7695B1 - 밀감을 주재료로 한 고추장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밀감을 주재료로 한 고추장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7695B1
KR100697695B1 KR1020050043612A KR20050043612A KR100697695B1 KR 100697695 B1 KR100697695 B1 KR 100697695B1 KR 1020050043612 A KR1020050043612 A KR 1020050043612A KR 20050043612 A KR20050043612 A KR 20050043612A KR 100697695 B1 KR100697695 B1 KR 1006976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d pepper
citrus
pepper paste
natural
vegetab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3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21434A (ko
Inventor
방금순
Original Assignee
방금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방금순 filed Critical 방금순
Priority to KR1020050043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7695B1/ko
Publication of KR200601214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14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76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76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05Mashed or comminuted pulses or legumes; Products made therefrom
    • A23L11/07Soya beans, e.g. oil-extracted soya bean flak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50Fermented pulses or legumes; Fermentation of pulses or legumes based on the addition of 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9Mashed or comminuted products, e.g. pulp, purée, sauce, or products made therefrom, e.g. snack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A23L27/14Dried spi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3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carbohydrate syrups; containing sugars; containing sugar alcohols, e.g. xylitol; containing starch hydrolysates, e.g. dextr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otan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일 및 채소를 이용한 고추장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밀감, 무화과, 복분자, 복숭아, 비파, 감, 선인장, 당근, 호박 등의 천연 과일 및 채소를 주원료로 하여 고추장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겉껍질을 제거한 천연과일(0 ~ 80중%)을 내피 그대로 중백당(0 ~ 5중%)과 함께 불의 세기를 처음엔 강한 불(적어도 100℃ 이상)로 가열하여 끓기 시작하면 불의 세기를 약한 불(적어도 80℃ 이상)로 조절하여 3 ~ 4시간 계속 저어주며 졸이는 제 1단계와; 상기 졸인 천연과일의 내용물을 끈끈한 점도 상태에 따라 가열을 중지한 후 고추 가루(0 ~ 10중%)와 식염(0 ~ 5중%), 메주분(0 ~ 3중%)을 넣어 함께 혼합하는 제 2단계; 및 상기 내용물을 저장고에 담아 자연 상태에서 한달간 숙성 시키는 제 3단계를 포함하는 고추장 제조방법을 제시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맛과 향을 갖춘 밀감, 무화과, 복분자, 복숭아, 비파, 감, 선인장, 당근, 호박 등의 천연과일 및 채소를 주원료로 하는 새로운 형태의 고추장을 제조함으로써 매운 맛과 전통고추장의 발효냄새를 기피하는 청소년 및 외국인들도 거부감 없이 누구나 즐겨 먹을 수 있다.
고추장, 과일, 채소, 밀감, 무화과, 복분자, 복숭아, 비파, 당근, 감,선인장

Description

밀감을 주재료로 한 고추장 제조 방법 { Method for manufacturing gochujang using mandarin oranges as the main materials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과일 및 채소를 이용한 고추장 제조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과일 및 채소를 이용한 고추장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밀감, 무화과, 복분자, 복숭아, 비파, 감, 선인장, 당근, 호박 등의 천연 과일 및 채소를 주원료로 하여 고추장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국인이 즐겨먹는 장의 종류에는 고추장, 간장, 된장 등이 있다. 그 중에서 간장과 된장은 일본에도 있지만, 고추장은 한국에만 있는 전통 식품이다. 우리의 음식문화는 경제발전에 따라 급격히 서구화되고 있으나, 서구화된 음식은 우리의 체질에 맞지 않기 때문에 여러 건강상의 이상을 일으키고 있다. 그에 따라, 전통음식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서 김치, 된장, 고추장 등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고추장의 재료에 대한 기준은 식품공정 상에 고춧가루 6% 이상 을 첨가하도록 하고, 찹쌀고추장과 쌀 고추장의 경우 찹쌀 또는 쌀을 15% 이상 첨가하고, 조단백질 4% 이상 및 아미노산성 질소 150mg%(찹쌀 또는 쌀 고추장은 100mg% 이상)을 함유하도록 지정되어 있다.
이러한 성분을 함유하는 고추장은 엿기름 가루를 물에 용해 시켜 여과한 엿기름 액에 찹쌀가루를 소정량 혼합하여 약 40℃에서 약 6시간 정도 삭힌 후, 찹쌀가루 혼합 엿기름 액을 노르스름한 색이 날 때까지 끓인 다음, 메주가루, 고추 가루 및 소금을 소정량씩 혼합한 후 옹기에 넣고 소정기간동안 자연 숙성시켜 제조된다.
그러나, 이러한 고추장은 자연식품으로서 건강에 유익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그 맛이 맵고, 메주 특유의 케케한 발효냄새에 익숙하지 않는 청소년들이나 외국인들이 종종 거부감을 느끼게 된다.
따라서 고추장의 개념을 달리하여 주성분이 곡류가 아닌 천연과일이나 채소를 이용하여 고추장을 제조함으로써 맛과 영양 및 향이 뛰어나며, 우리의 전통음식에 거부감을 느끼는 청소년들이나 외국인들도 즐길 수 있는 고추장을 제조할 필요성이 요구되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맛과 향을 갖춘 밀감, 무화과, 복분자, 복숭아, 비파, 감, 선인장, 당근, 호박 등의 천연과일 및 채소를 주원료로 하는 새로운 형태의 고추장을 제조함으로써 종래 고추장의 맛을 기피하는 청소년 및 외국인 들도 거부감 없이 누구나 즐겨 먹을 수 있도 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 본 발명은
겉껍질을 제거한, 전체재료중량비 70 ~ 85%를 갖는, 내피 그대로인 밀감을 전체재료중량비 0.5 ~ 8 %를 갖는 중백당과 함께 가열용기에 담아 가열하여 끓기 시작하면 불의 세기를 조절하여 혼합된 재료의 온도를 80 ~ 90℃로 유지하면서 3~4시간 계속 저어주며 졸이는 1단계와;
졸인 밀감혼합물의 점도 상태가 주걱을 이용하여 밀감혼합물의 일부를 뜬 후 떨어뜨렸을 때 덩어리 형태로 떨어지는 상태가 되면, 가열을 멈추고 전체재료중량비 5 ~ 18%를 갖는 고추 가루와, 전체재료중량비 3 ~ 5 %를 갖는 식염을 상기 밀감혼합물에 더 혼합하여 섞어주는 2단계; 및
상기 2단계를 마친 밀감혼합물을 항아리에 담아 한 달간 자연상태에서 숙성시키는 3단계를 포함하는 밀감을 주재료로 한 고추장 제조 방법을 제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구성 및 그 작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과일 및 채소를 이용한 고추장 제조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천연과일 및 채소로서 밀감, 무화과, 복분자, 복숭아, 비파, 감 등의 천연과일 및 선인장, 당근, 호박 등의 채소를 주원료로 하여 각기 다른 고추장을 제조하나, 각 천연과일 고추장 혹은 채소 고추장에 혼합되는 각 비율은 동일하므로 하나의 실시 예를 바탕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 실시 예 >
껍질을 거피한 밀감: 70 ~ 85 %
중백당: 0.5 ~ 8 %
고추 가루: 5 ~ 18 %
식염: 3 ~ 5 %
메주분: 0 또는 1 ~ 3 %
상기 실시 예의 경우 밀감 고추장의 혼합비율을 나타낸 것으로서 과일의 산도와 당도, 수분에 따라 혼합비율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물론, 무화과, 복분자, 복숭아, 비파, 감 등의 천연과일 및 선인장, 당근, 호박 등 채소의 경우도 이와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 1을 참조하여 밀감 고추장의 제조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겉껍질을 제거한, 전체재료중량비 70 ~ 85 %를 갖는, 내피 그대로인 밀감을 전체재료중량비 0.5 ~ 8 %를 갖는 중백당과 함께 가열용기에 담아 가열하여 끓기 시작하면 불의 세기를 조절하여 혼합된 재료의 온도를 80 ~ 90℃로 유지하면서 3~4시간 계속 저어주며 졸이게 된다(S10).
졸인 밀감혼합물의 점도 상태가 주걱을 이용하여 밀감혼합물의 일부를 뜬 후 떨어뜨렸을 때 덩어리 형태로 떨어지는 상태가 되면, 가열을 멈추고 전체재료중량비 5 ~ 18 %를 갖는 고추 가루와, 전체재료중량비 3 ~ 5 %를 갖는 식염과, 전체재료중량비 1 ~ 3 %를 갖는 메주분을 상기 밀감혼합물에 더 혼합하여 잘 섞는다(S20). 이때 경우에 따라서는 메주분을 넣지 않을 수도 있다.
그 후, 항아리 등의 저장고에 담아 자연상태의 그늘에서 약 한달간 숙성 시킴으로써 밀감 고추장의 제조공정이 완료된다.
이때, 상기 저장고로서 김치 냉장고를 이용하는 경우 숙성 온도를 조절하여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숙성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S30).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전통식 곡류 고추장에 비해 과일 혹은 채소의 맛과 영양 및 향을 고스란히 간직한 장점 때문에 종래 고추장의 맛을 기피하는 청소년이나 외국인들로 즐겨 먹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과일 및 채소를 이용한 고추장 제조방법에 따르면, 맛과 영양 및 향을 고루 갖춘 밀감, 무화과, 복분자, 복숭아, 비파, 감, 선인장, 당근, 호박 등의 천연과일 및 채소를 주원료로 하는 새로운 형태의 고추장 을 제조함으로써 맵고 텁텁한 전통 고추장의 맛을 기피하는 청소년 및 외국인 들도 거부감 없이 누구나 즐겨 먹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조공정이 간단하여 누구나 쉽게 조리하여 만들 수 있으므로 원하는 과일 및 채소를 이용한 나만의 고추장을 제조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예시적인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설명들은 제한적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과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참고로 하여 예시적인 실시 예를 다양하게 부가 또는 한정하거나 다르게 실시할 수 있음은 명백하다. 따라서, 아래에 기술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이러한 변경과 실시 예들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6)

  1. 겉껍질을 제거한, 전체재료중량비 70 ~ 85 %를 갖는, 내피 그대로인 밀감을 전체재료중량비 0.5 ~ 8 %를 갖는 중백당과 함께 가열용기에 담아 가열하여 끓기 시작하면 불의 세기를 조절하여 혼합된 재료의 온도를 80 ~ 90℃로 유지하면서 3~4시간 계속 저어주며 졸이는 1단계와;
    졸인 밀감혼합물의 점도 상태가 주걱을 이용하여 밀감혼합물의 일부를 뜬 후 떨어뜨렸을 때 덩어리 형태로 떨어지는 상태가 되면, 가열을 멈추고 전체재료중량비 5 ~ 18 %를 갖는 고추 가루와, 전체재료중량비 3 ~ 5 %를 갖는 식염을 상기 밀감혼합물에 더 혼합하여 섞어주는 2단계; 및
    상기 2단계를 마친 밀감혼합물을 항아리에 담아 한 달간 자연상태에서 숙성시키는 3단계를 포함하는 밀감을 주재료로 한 고추장 제조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2단계에서 전체재료중량비 1 ~ 3 %를 갖는 메주분을 더 혼합하여 섞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감을 주재료로 한 고추장 제조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3단계에서의 숙성은 그늘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감을 주재료로 한 고추장 제조 방법.
  4. ( 삭 제 )
  5. ( 삭 제 )
  6. ( 삭 제 )
KR1020050043612A 2005-05-24 2005-05-24 밀감을 주재료로 한 고추장 제조 방법 KR1006976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3612A KR100697695B1 (ko) 2005-05-24 2005-05-24 밀감을 주재료로 한 고추장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3612A KR100697695B1 (ko) 2005-05-24 2005-05-24 밀감을 주재료로 한 고추장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1434A KR20060121434A (ko) 2006-11-29
KR100697695B1 true KR100697695B1 (ko) 2007-03-20

Family

ID=37707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3612A KR100697695B1 (ko) 2005-05-24 2005-05-24 밀감을 주재료로 한 고추장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76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7693A (ko) 2019-05-31 2020-12-09 장사창 고추장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고추장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5665B1 (ko) * 2007-03-07 2008-09-03 최희재 감과 한약재 조성물을 함유한 항콜레스테롤용 고추장 및 그제조방법
KR101235038B1 (ko) * 2010-07-21 2013-02-25 이민환 홍시고추장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되는 홍시고추장
KR101365551B1 (ko) * 2012-05-17 2014-02-2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감 시럽 첨가 고추장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16779B1 (ko) * 2013-03-06 2013-10-10 김성애 복숭아 농축액을 이용한 고추장 및 그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8953B1 (ko) * 1999-01-25 2001-09-13 박동하 단감을 주성분으로 하는 고추장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KR20040099715A (ko) * 2003-05-20 2004-12-02 김현수 손바닥 선인장을 성분으로 하는 고추장의 제조방법 및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고추장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8953B1 (ko) * 1999-01-25 2001-09-13 박동하 단감을 주성분으로 하는 고추장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KR20040099715A (ko) * 2003-05-20 2004-12-02 김현수 손바닥 선인장을 성분으로 하는 고추장의 제조방법 및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고추장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02989530000 *
1020040099715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7693A (ko) 2019-05-31 2020-12-09 장사창 고추장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고추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1434A (ko) 2006-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7695B1 (ko) 밀감을 주재료로 한 고추장 제조 방법
KR20200062941A (ko) 떡볶이용 간편식 분말소스 및 그 제조방법
KR102073781B1 (ko) 아보카도 루를 이용한 돈가스 소스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701639B1 (ko) 녹차소스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006959A (ko) 감귤 돈까스 소스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178189B1 (ko) 고추씨 백김치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고추씨 백김치
KR101478026B1 (ko) 파인애플 동치미 음료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파인애플 동치미 음료
KR102407197B1 (ko) 겉절이 양념 제조방법
KR101183247B1 (ko) 마늘 고추장 및 그 제조방법
KR102509364B1 (ko) 간장 및 그 제조방법
KR101933790B1 (ko) 토마토 샐러드 드레싱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686185B1 (ko) 겔 함유 고추장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39102A (ko) 고구마 고추장 및 그 제조방법
KR101470289B1 (ko) 꾸지뽕 고추장 및 그 제조방법
KR101689444B1 (ko) 영양식 곡물화채의 제조방법
KR102430100B1 (ko) 약초 냉면 육수 및 그의 제조 방법
RU2183412C1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овощной закуски
KR102099055B1 (ko) 딸기 볶음고추장의 제조방법
JP2003023959A (ja) キムチの製造方法
KR20110043930A (ko) 소스 및 그 제조 방법
KR101186435B1 (ko) 토마토 고추장의 제조방법
KR101785362B1 (ko) 메이플시럽을 첨가한 김치의 제조방법
RU2300214C1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консервов из редиса
KR20170014748A (ko) 갈비용 소스의 제조방법
KR20230035979A (ko) 새싹보리를 함유하는 소스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