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7484B1 - 액정 조성물 및 화장료 - Google Patents

액정 조성물 및 화장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7484B1
KR100697484B1 KR1020000010346A KR20000010346A KR100697484B1 KR 100697484 B1 KR100697484 B1 KR 100697484B1 KR 1020000010346 A KR1020000010346 A KR 1020000010346A KR 20000010346 A KR20000010346 A KR 20000010346A KR 100697484 B1 KR100697484 B1 KR 1006974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water
weight
phase
cosm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0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62704A (ko
Inventor
와타나베케이
마츠자키후미아키
야나키토시오
나카무라카즈요시
후지이나츠코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305116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697484(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ublication of KR200000627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27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74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74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95Liquid cryst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14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스킨케어 화장료로 이용한 경우에는 피부 친화가 양호하게 되는 감촉을 주고, 또 메이크 제거로 이용한 경우에는 메이크와의 친화가 양호하여 메이크 제거 효과가 높고, 헤어케어 화장료로 이용한 경우에는 모발과의 친화가 양호하여 윤기를 주는 양호한 사용감촉을 갖는 액정 조성물 및 화장료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관한 화장료는 (A)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10-60중량%, (B) 수산기를 갖는 수용성물질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의 합계가 1-50중량%, (C) 실리콘유 1-70중량%, (D) 물 10-60중량%를 함유하고, 액정상 및/또는 등방성 계면활성제 연속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액정조성물, 화장료, 스킨케어, 메이크, 헤어케어

Description

액정 조성물 및 화장료{LIQUID CRYSTAL COMPOSITIONS AND COSMETICS}
본 발명은 액정 조성물 및 화장료, 특히 화장료의 사용성의 개선과, 메이크 제거로 사용한 경우의 메이크 제거 효과의 개선에 관한 것이다.
피부의 보습을 목적으로 하는 스킨케어크림, 유액(乳液), 에센스, 마사지크림 등은 수용성 및 유용성(油溶性)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들을 균일하게 유화할 목적으로 소량의 비이온 계면활성제 등의 양친매성 물질이 이용되고 있다. 또, 파운데이션 등의 베이스메이컵과 입술 연지 등의 포인트메이컵을 제거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메이크 제거에는 메이컵을 용해, 분산할 목적으로 유분(油分)이 배합되어 있고, 양친매성 물질에 의해 유화되어 있는 O/W 및 W/O 유화타입, 수종의 유분을 혼합한 오일타입 등이 있다. 또, 최근에는 유분을 배합하지 않고, 중정도의 HLB를 갖는 계면활성제를 대량으로 배합한 수성 타입 등도 있다.
그러나, 스킨케어 제품의 경우에는 피부에 친화되는 과정에서 유화파괴에 의해 방출된 물과 기름이 분리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피부친화를 양호하게 하기 위해서는 계면활성제의 배합량과 유분의 종류 등에 제약이 있었다. 또, 매끈매끈한 감촉을 주는 실리콘 오일의 배합에는 계면활성제의 종류 등에 제약이 있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O/W 유화타입 메이크 제거의 경우에는 메이컵과의 친화가 유화입자의 합일 후에 일어나기 때문에, 친화가 느려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 W/O 유화타입과 오일타입 메이크 제거의 경우에는 메이컵과의 친화와 제거에는 문제는 적은 것이고, 티슈오프와 세안 후에 기름기가 남는 등의 사용감촉상의 문제가 크다. 또, 수성 타입의 경우에는 기름기는 완전하지 않은 것의 메이크 제거 효과가 충분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메이크 제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극성유(極性油)와 파라핀류를 유분으로써 사용한 액정 1상계를 이용하는 기술이 특공평1-53845호, 특공평3-71475호 공보 등에 개시되어 있으나, 근년에, 각종 메이컵류의 화장 유지가 대폭으로 향상되고, 극성유와 파라핀류에서는 메이크와의 친화와 메이크 제거 효과가 충분하지 않은 것이 현상이다. 또 액정 1상계를 그대로 메이크 제거로서 사용한 경우에는 액정 구조가 약간 부서지기 어렵기 때문에 도포시에 무거운 감촉으로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스킨케어 화장료로 이용한 경우에는 피부 친화가 양호하게 되는 감촉을 주고, 또 메이크 제거로 이용한 경우에는 메이크와의 친화가 양호하여 메이크 제거 효과가 높고, 헤어케어 화장료로 이용한 경우에는 모발과의 친화가 양호하여 윤기를 주는 양호한 사용감촉을 갖는 액정 조성물 및 화장료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현상에 비추어 본 발명자들은 예의 검토를 거듭한 결과,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10-60중량%, 수산기를 갖는 수용성물질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의 합계가 1-50중량%, 실리콘유 1-70중량%, 물 10-60중량%를 함유하는 액정상 및/또는 등방성 계면활성제 연속상을 갖는 화장료가 상기 문제를 해결하고, 스킨케어 화장료로 사용한 경우에는 피부친화가 양호하여 매끈매끈한 감촉을 주고, 또 메이크 제거로 사용한 경우에는 메이크와의 친화가 양호하여 메이크 제거 효과가 높고, 헤어케어 화장료로 사용한 경우에는 모발과의 친화가 양호하여 윤기를 주는 양호한 사용감촉을 갖는 화장료인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에 관한 액정 조성물은 (a)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10-60중량%, (b) 수산기를 갖는 수용성물질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의 합계가 1-50중량%, (c) 실리콘유 1-70중량%, (d) 물 10-60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관한 화장료는 (A)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10-60중량%, (B) 수산기를 갖는 수용성물질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의 합계가 1-50중량%, (C) 실리콘유 1-70중량%, (D) 물 10-60중량%를 함유하고, 액정상 및/또는 등방성 계면활성제 연속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관한 화장료에 있어서는, 피부에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관한 화장료에 있어서는, 메이컵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관한 화장료에 있어서는, 수산기를 갖는 수용성물질의 적어도 1종이 수용성의 1가 알코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관한 화장료에 있어서는, 수산기를 갖는 수용성물질의 적어도 1종이 수용성의 다가 알코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관한 화장료에 있어서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 물의 비율(비이온성 계면활성제/물)이 0.5-4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관한 화장료에 있어서는, 화장료가 계면활성제가 회합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는 겔상, 액정상, 등방성 계면활성제 연속상 중 어느 1상계이거나, 혹은 겔상, 액정상, 등방성 계면활성제 연속상 중 어느 것과 다른 상과의 공존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관한 화장료에 있어서는, 화장료가 액정 1상계 혹은 액정상을 포함하는 복수상의 공존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관한 화장료에 있어서는, 화장료가 액정상을 포함하는 복수상의 공존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관한 화장료에 있어서는, 화장료가 등방성 계면활성제 연속상 1상계 혹은 등방성 계면활성제 연속상을 포함하는 복수상의 공존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는 예를 들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의 산화에틸렌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알킬 에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알킬 페닐 에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피마자유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경화피마자유 유도체 등이 있다. 배합량으로는 바람직하게는 10-60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15-50중량%이다. 10중량% 미만에서는 피부와 메이컵, 모발과의 친화가 충분하지 않고, 60중량%를 넘으면 끈적거리는 감촉을 주는 경우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수산기를 갖는 수용성물질로는 수용성 1가 알코올 및 수용성 다가 알코올 등이 있다. 수용성 1가 알코올로는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이소부탄올 등이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이다. 수용성 다가 알코올로는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폴리글리세린, 에리트리톨, 펜타에리트리톨, 소르비탄, 글루코스, 소르비톨, 말티톨, 트리할로스,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이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1,3-부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이다. 이들 수산기를 갖는 수용성물질은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고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배합량은 목적하는 화장료의 점도, 경도 등에 의해 달라지지만, 1-50중량% 범위로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중량% 미만에서는 피부와 메이컵, 모발과의 친화가 충분하지 않고, 배합량이 50중량%를 넘으면 다가 알코올의 경우는 끈적거림, 1가 알코올의 경우는 따끔거림 등의 바람직하지 않은 사용감을 주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실리콘유로는, 예를 들면 디메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메틸하이드로디엔폴리실록산 등의 쇄상 실리콘, 옥타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헥사실록산 등의 환상 실리콘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디메틸폴리실록산, 옥타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옥타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데카메틸시클 로펜타실록산이다. 이들 실리콘유는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고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배합량은 1-70중량%이다. 1중량% 미만에서는 피부와 메이컵, 모발과의 친화가 충분하지 않고, 70중량%를 넘으면 배합하면 효과의 향상이 작아서 바람직하지 않다.
또 수분량은 사용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10-60중량%이다. 이때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 물의 비율(비이온성 계면활성제/물)이 0.5-4인 것이 바람직하다. 0.5 미만에서는 피부와 메이컵, 모발과의 친화가 충분하지 않고, 4를 초과하여 배합하면 끈적거리는 사용감촉를 주어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는 액정상, 등방성 계면활성제 연속상 등의 회합형태를 갖는 상의 1상 영역, 혹은 액정상, 등방성 계면활성제 연속상 등의 회합형태를 갖는 상과 다른 상의 공존계의 조성으로 조제하여도 좋다. 바람직하게는 액정상과 다른 상의 공존계로는 O/LC(액정상 중에 기름이 분산됨, 이하 동일함), LC/O, W/LC, LC/W, D/LC, LC/D 등이 있다. 여기서 LC는 액정상, D는 등방성 계면활성제 연속상, O는 오일상 혹은 미셀유용액상, W는 수상 혹은 미셀수용액상을 나타낸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O/LC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에는 통상 화장품에 사용되는 각종 성분을 안정성을 손상하지 않는 범위로 배합할 수가 있다.
액체유지로는 아마인유, 동백기름, 마카데미아너트유, 옥수수유, 밍크유, 올리브유, 아보가도유, 산다화유, 피마자유, 잇꽃유, 호호바유, 해바라기유, 아몬드유, 유채기름, 참기름, 대두유, 낙화생유, 트리글리세린, 트리옥탄산글리세린, 트 리이소팔미틴산글리세린 등이 있다.
에스테르유로는 옥탄산세틸, 라우린산헥실, 미리스틴산이소프로필, 팔미틴산옥틸, 스테아린산이소세틸, 이소스테아린산 이소프로필, 이소팔미틴산옥틸, 올레인산이소데실, 트리 2-에틸 헥산산글리세릴, 테트라 2-에틸헥산산 펜타에리트리트, 호박산 2-에틸헥실, 세바신산디에틸 등이 있다.
탄화수소유로는 유동파라핀, 스쿠알란, 스쿠알렌, 파라핀, 이소파라핀, 세레신 등이 있다.
수용성고분자로는 아라비아고무, 카라기난, 펙틴, 한천, 퀸스 시드(마루메로), 전분, 아르게코로이드(갈조 엑기스) 등의 식물계 고분자, 덱스트란, 풀루란 등의 미생물계 고분자, 콜라겐, 카제인, 젤라틴 등의 동물계 고분자, 카르복시메틸전분, 메틸히드록시프로필전분 등의 전분계 고분자, 알긴산나트륨 등의 알긴산계 고분자, 카르복시비닐폴리머(카르보폴 등) 등의 비닐계 고분자, 폴리옥시에틸렌계 고분자,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계 고분자, 폴리아크릴산나트륨, 폴리아크릴아미드 등의 아크릴계 고분자, 벤토나이트, 규산알루미늄마그네슘, 라포나이트 등의 무기계 수용성고분자 등이 있다.
자외선흡수제로는 파라아미노 안식향산 등의 안식향산계 자외선흡수제, 안트라밀산 메틸 등의 안트라닐산계 자외선흡수제, 살리실산옥틸, 살리실산페닐 등의 살리실산계 자외선흡수제, 파라메톡시 계피산이소프로필, 파라메톡시 계피산 옥틸, 디파라메톡시 계피산 모노-2-에틸헥산산 글리세릴 등의 계피산계 자외선흡수제, 2,4-디히드록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 페논-5-술폰산 등의 벤조페논계 자외선흡수제, 우로카닌산, 2-(2'-히드록시-5-메틸페논)벤조트리아졸, 4-tert-부틸-4'-메톡시벤조일메탄 등이 있다.
금속이온봉쇄제로는 에테트산나트륨염, 메타인산나트륨, 인산 등이 있다.
산화방지제로는 아스코르빈산, α-토코페롤,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등이 있다.
약제로는 비타민 A유, 레티놀, 팔미틴산레티놀, 이노시톨, 염산피리독신, 니코틴산벤질, 니코틴산아미드, 니코틴산 DL-α-토코페롤, 아스코르빈산인산마그네슘,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 비타민 D2(에르고카시페롤), dl-α-토코페롤 2-L 아스코르빈산인산디에스테르칼륨염, dl-α-토코페롤, 초산 dl-α-토코페롤, 판토텐산, 비오틴 등의 비타민류, 에스토라디올, 에티닐에스토라디올 등의 호르몬, 아란토인, 아즈렌 등의 항염증제, 알부틴 등의 미백제, 산화아연, 탄닌산 등의 수렴제, L-멘톨, 캄풀 등의 청량제와 황, 염화리소자임, γ-오리자놀 등이 있다.
각종 추출액으로는 삼백초엑기스, 황벽나무엑기스, 메리로트엑기스, 광대수염엑기스, 감초엑기스, 작약엑기스, 잼보아엑기스, 수세미외엑기스, 키나엑기스, 범의귀엑기스, 고삼엑기스, 개연꽃엑기스, 회향엑기스, 앵초엑기스, 가시나무엑기스, 지황엑기스, 레몬엑기스, 자근엑기스, 알로에엑기스, 창포근엑기스, 유카리엑기스, 쇠뜨기엑기스, 샐비어엑기스, 타임엑기스, 차엑기스, 해조엑기스, 큐캄바엑기스, 정향엑기스, 나무딸기엑기스, 메릿사엑기스, 인삼엑기스, 당근엑기스, 마로니에엑기스, 복숭아엑기스, 복숭아잎엑기스, 뽕나무엑기스, 수레국화엑기스, 하마 메리스추출액, 프라젠타엑기스, 흉선(胸線)추출물, 실크추출액 등이 있다.
또, 상기 약물은 유리 상태로 사용되는 외에, 조염가능한 것은 산이나 염기의 염형태로, 그리고 카르본산기를 갖는 것은 그 에스테르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화장료에는 필요에 따라 적절한 향료, 색소 등을 안정성을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보습 크림, 보습 유액(乳液), 보습 로션, 마사지 크림, 마사지 로션, 에센스 등의 스킨 케어 화장료, 헤어크림, 헤어로션, 정발료 등의 헤어케어 화장료, 선스크린, 보디크림, 보디로션 등의 보디케어 화장료, 입술연지 마스카라, 아이라이너, 네일에나멜, 액상파운데이션, 겔상파운데이션 등의 메이컵화장료, 메이크제거, 샴푸, 린스, 린스인샴푸 등의 세정료 등 가능한 모든 화장료에 이용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실시예의 조성을 나타내고, 평가기준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를 평가함에 있어서, 다음 3가지의 사용테스트를 행하였다.
메이크 제거의 사용테스트
전문 패널 10명에 의해 메이크 제거의 사용테스트를 행하였다. 평가항목은 메이크와의 친화 및 씻어내림에 의해 메이크를 지운후의 기름기이다.
<메이크와의 친화의 평가기준>
○ : 10인 중 7인 이상이 친화를 양호하게 평가
△ : 10인 중 4인 이상이 친화를 양호하게 평가
× : 10인 중 3인 이하가 친화를 양호하게 평가
<기름기의 평가기준>
○ : 10인 중 7인 이상이 기름기가 없이 양호하게 평가
△ : 10인 중 4인 이상이 기름기가 없이 양호하게 평가
× : 10인 중 3인 이하가 기름기가 없이 양호하게 평가
<메이크 제거의 효과테스트>
메이크 제거를 메이크와 친화되게 하고, 닦아내거나 씻어냄으로써 피부상에서 제거하고, 그 후 에탄올을 소량 함유된 티슈로 강하게 닦아내어 티슈상에 부착한 메이크의 안료 등의 양에 의해 판정하였다.
◎ : 티슈상에 안료가 전혀 확인되지 않음
○ : 티슈상에 안료가 매우 약간 확인됨
△ : 티슈상에 안료가 약간 확인됨
× : 티슈상에 안료가 명확하게 확인됨
본 발명자등은 물/비이온성 계면활성제/수산기를 갖는 수용성물질/실리콘유의 계로 검토한 결과,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수산기를 갖는 수용성물질의 혼합물괴 실리콘유는 물의 배합량이 적어지는 경우에는 넓은 범위에서 균일하게 용해하고, 광학적으로 등방성의 역미셀 용액상(이하, "역미셀·등방성"이라 함)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알았다. 한편 혼합물 농도가 희박한 조성에서는 2상 공존계(이하, "유화·등방성"이라 함)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알았다. 그리고 역미셀 용액상에 물 을 첨가하기 시작하면, 라메라 액정이 상분리하게 된다. 이 라메라 액정의 가능한 범위내에서, 점성이 매우 높고, 투명한 외관을 나타내는 부분이 존재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이것을 "겔상"이라 칭하여 구별하는 것으로 하였다. 이 겔은 과잉량의 물과 접촉하면, 물/겔 계면에 있어서, O/W 에멀션을 자발적으로 형성하고, 수상으로 이동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 이것과는 별도로 바이-컨티뉴어스(bi-continuous)형 마이크로에멀션이라고 생각되는 광학적으로 등방성의 균일 용액상이 얻어지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 균일상은 본 발명에서는 "등방성 계면활성제 연속상"이라 칭하는 것으로 한다.
실시예 1 메이크 제거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 1 및 종래의 메이크 제거인 비교예 1-3의 조성을 그 평가와 함께 표 1에 나타낸다. 또 실시예 1은 액정 공존 타입의 것이다.
원료명 실시예1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정제수 폴리옥시에틸렌 5몰 도데실에테르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2-에틸헥산산글리세릴 에탄올 글리세린 25% 25 45 - 5 - 25% 25 - 45 5 - 15% 25 - 45 - 15 42% 8 45 - 5 -
상 상태 액정공존 액정공존 액정공존 유화 (등방성)
메이크와의 친화 기름기 메이크제거효과 ○ ○ ◎ △ △ ○ △ △ ○ △ △ △
제법 : 실온에서 각각의 원료를 혼합한다.
표 1에 의해 액정 공존 타입의 실시예 1의 화장료는 메이크와의 친화가 좋고, 기름기가 없는 양호한 사용감촉을 갖고, 메이크 제거 효과가 양호한 것을 알았 다. 이것에 반하여 실리콘유를 다른 유분으로 변경한 비교예 1 및 비교예 2 에서는 액정 공존 타입임에도 불구하고 메이크의 친화, 기름기에 있어서 본 발명 보다도 떨어지는 것을 알았다. 또, 비교예 2는 비교예 1의 조성 중 에탄올을 글리세린으로 바꾼 것이다. 또 액정 타입 또는 등방성 계면활성제 연속상 1상계 타입에도 해당하지 않는 유화조성물인 비교예 3에 있어서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수산기를 갖는 수용성물질, 실리콘유 및 물을 모두 포함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모든 평가항목에 대하여 떨어진 것을 알았다.
실시예 2 메이크 제거 로션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 2 및 종래의 메이크 제거인 비교예 4-6의 조성을 그 평가와 함께 표 2에 나타낸다. 또 실시예 2는 등방성 계면활성제 연속상 타입의 것이다.
원료명 실시예2 비교예4 비교예5 비교예6
정제수 폴리옥시에틸렌 8몰 모노이소스테아린산글리세릴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2-에틸헥산산글리세릴 에탄올 40% 37 13 - 10 40% 37 - 13 10 53% 37 - - 10 - 37 26.5 26.5 10
상 상태 등방성계면활성제연속상 (1상) 등방성계면활성제연속상 (1상) 미셀 수용액 (유화) 역미셀 용액
메이크와의 친화 기름기 메이크제거효과 ○ ○ ◎ △ △ ○ △ △ △ ○ × ○
제법 : 실온에서 각 성분을 혼합한다.
표 2에 의해 등방성 계면활성제 연속상 1상의 실시예 2의 화장료는 메이크와의 친화가 좋고, 기름기가 없는 양호한 사용감촉을 갖고, 메이크 제거 효과가 양호 한 것을 알았다. 이것에 대하여 실리콘유를 다른 유분으로 변경한 비교예 4 에서는 메이크의 친화, 기름기에 있어서 뒤떨어졌다. 또, 유분을 함유하지 않는 계의 비교예 5에 있어서는 어느 평가항목에 있어서도 뒤떨어졌다. 또, 물을 함유하지 않는 오일 타입의 비교예 6에 있어서는 메이크와의 친화, 메이크 제거 효과에 있어서는 문제는 없지만, 기름기가 느껴진다는 점에서 두드러지게 뒤떨어졌다.
다음에 각 성분의 배합량의 검토를 행하였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배합량
먼저, (A)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B) 수산기를 갖는 수용성물질, (C) 실리콘유, (D) 물의 계에 있어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배합량의 검토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원료명 실험예1 실험예2 실험예3 실험예4 실험예5 실험예6
정제수 폴리옥시에틸렌 5몰 도데실에테르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에탄올 42% 8 45 5 20% 10 65 5 30% 15 50 5 15% 50 30 5 15% 60 20 5 15% 65 15 5
상 상태 유화·등방성 액정 공존 액정 공존 액정 공존 액정 공존 역미셀등방성
메이크와의 친화 기름기 메이크제거효과 △ △ △ ○ ○ ○ ○ ○ ◎ ○ ○ ◎ ○ ○ ○ ○ × ○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화장료에서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배합량은 10-60중량%인 것을 알았다.
수산기를 갖는 수용성물질의 배합량
먼저, (A)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B) 수산기를 갖는 수용성물질, (C) 실리콘유, (D) 물의 계에 있어서, 수산기를 갖는 수용성물질의 배합량의 검토를 행하였 다.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원료명 실험예7 실험예8 실험예9 실험예10 실험예11
정제수 폴리옥시에틸렌 5몰 도데실에테르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글리세린 25% 25 49.9 0.1 25% 25 49 1 10% 25 35 30 10% 25 15 50 10% 25 5 60
상 상태 유화· 등방성 액정 공존 액정 공존 액정 공존 역미셀·등방성
메이크와의 친화 기름기 메이크제거효과 △ △ △ ○ ○ ○ ○ ○ ◎ ○ ○ ○ ○ × ○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화장료에서의 수산기를 갖는 수용성물질의 배합량은 1-50중량%인 것을 알았다.
실리콘유의 배합량
먼저, (A)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B) 수산기를 갖는 수용성물질, (C) 실리콘유, (D) 물의 계에 있어서, 실리콘유의 배합량의 검토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5에 나타낸다.
원료명 실험예12 실험예13 실험예14 실험예15
정제수 폴리옥시에틸렌 5몰 도데실에테르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에탄올 60% 34.9 0.1 5 60% 34 1 5 30% 25 40 5 10% 15 70 5
상 상태 유화· 등방성 액정 공존 액정 공존 액정 공존
메이크와의 친화 기름기 메이크제거효과 △ △ △ ○ ○ ○ ○ ○ ◎ ○ ○ ○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화장료에서의 실리콘유의 배합량은 1-70중량%인 것을 알았다. 또, 70중량%를 넘는 배합은 사용성의 효과의 향상을 기대할 수 없다.
물의 배합량
(A)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B) 수산기를 갖는 수용성물질, (C) 실리콘유, (D) 물의 계에 있어서, 물의 배합량의 검토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6에 나타낸다.
원료명 실험예17 실험예18 실험예19 실험예20 실험예21
정제수 폴리옥시에틸렌 5몰 도데실에테르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에탄올 5% 20 70 5 10% 25 60 5 30% 25 40 5 60% 30 5 5 65% 30 1 4
상 상태 역미셀· 등방성 액정 공존 액정 공존 액정 공존 유화· 등방성
메이크와의 친화 기름기 메이크제거효과 ○ × ○ ○ ○ ○ ○ ○ ◎ ○ ○ ○ △ △ △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화장료에서의 물의 배합량은 10-60중량%인 것을 알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장료는 (A)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10-60중량%, (B) 수산기를 갖는 수용성물질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의 합계가 1-50중량%, (C) 실리콘유 1-70중량%, (D) 물 10-60중량%를 함유하고, 액정상 및/또는 등방성 계면활성제 연속상을 갖는 조성물인 것이 이해된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액정 조성물도 대개 상기의 조성범위에 있는 것을 알았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 물의 배합중량비
(A)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B) 수산기를 갖는 수용성물질, (C) 실리콘유, (D) 물의 계에 있어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물의 배합중량비율의 검토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7에 나타낸다.
원료명 실험예22 실험예23 실험예24 실험예25 실험예26
정제수 폴리옥시에틸렌 5몰 도데실에테르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에탄올 45% 5 45 5 33% 17 45 5 25% 25 45 5 10% 40 45 5 8% 42 45 5
배합중량비 비이온성계면활성제/물 0.11 0.52 1.00 4.00 5.25
상 상태 유화· 등방성 액정 공존 액정 공존 액정 공존 역미셀· 등방성
메이크와의 친화 기름기 메이크제거효과 △ △ △ ○ ○ ○ ○ ○ ◎ ○ ○ ○ ○ × ○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화장료에서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물의 배합중량비율은 약 0.5-4 인 것을 알았다.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를 메이크 제거 이외의 화장료도 포함하여 이하에 나타낸다.
실시예 3 마사지크림
원료명 배합량(%)
정제수 폴리옥시에틸렌8몰스테아릴에테르 옥타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2-에틸헥산산글리세릴 에탄올 글리세린 16 30 30 4 10 10
제법 : 각 성분을 70℃에서 가열용해하여 혼합한다.
실시예 4 에센스
원료명 배합량(%)
정제수 폴리옥시에틸렌10몰콜레스테릴에테르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1,3-부틸렌글리콜 염화나트륨 카라기난 29.5 15 3 50 2 0.5
제법 : 정제수에 카라기난을 용해후, 그 외의 성분을 70℃에서 가열용해하여 혼합한다.
실시예 5 메이크 제거
원료명 배합량(%)
정제수 폴리옥시에틸렌 5몰 도데실에테르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에탄올 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 19.8 28 45 7 0.2
제법 : 정제수에 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를 용해후, 그 외의 성분을 용해하여 혼합한다.
실시예 6 보습크림
원료명 배합량(%)
정제수 폴리옥시에틸렌 5몰 도데실에테르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에탄올 스쿠알란 10 40 39 10 1
제법 : 각 성분을 실온에서 용해하여 혼합한다.
실시예 7 헤어크림
원료명 배합량(%)
폴리옥시에틸렌 10몰 모노이소스테아린산글리세릴 메틸실록산 20cs 이소파라핀 2-에틸헥산산세틸 디프로필렌글리콜 에탄올 정제수 40 1 20 4 10 20 5
제법 : 각 성분을 실온에서 용해하여 혼합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A)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10-60중량%, (B) 수산기를 갖는 수용성물질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의 합계가 1-50중량%, (C) 실리콘유 1-70중량%, (D) 물 10-60중량%를 함유하고, 액정상 및/또는 등방성 계면활성제 연속상을 갖기 때문에, 스킨케어 화장료로 사용한 경우에는 피부친화가 양호하여 매끈매끈한 감촉을 주고, 또 메이크 제거로 사용한 경우에는 메이크와의 친화가 양호하여 메이크 제거 효과가 높고, 헤어케어 화장료로 사용한 경우에는 모발과의 친화가 양호하여 윤기를 주는 양호한 사용감촉을 갖는 화장료로 할 수 있다.

Claims (11)

  1. (a)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10-60중량%, (b) 수산기를 갖는 수용성물질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의 합계가 1-50중량%, (c) 실리콘유 1-70중량%, (d) 물 10-60중량%를 함유하고 액정상 및/또는 등방성 계면활성제 연속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조성물.
  2. (A)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10-60중량%, (B) 수산기를 갖는 수용성물질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의 합계가 1-50중량%, (C) 실리콘유 1-70중량%, (D) 물 10-60중량%를 함유하고, 액정상 및/또는 등방성 계면활성제 연속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3. 제 2 항에 있어서, 피부에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메이컵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5. 제 2 항에 있어서, 수산기를 갖는 물질의 적어도 1종이 수용성의 1가 알코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6. 제 2 항에 있어서, 수산기를 갖는 물질의 적어도 1종이 다가 알코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7. 제 2 항에 있어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 물의 비율(비이온성 계면활성제/물)이 0.5-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8. 제 2 항에 있어서, 화장료가 계면활성제가 회합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는 겔상, 액정상, 등방성 계면활성제 연속상 중 어느 1상계이거나, 혹은 겔상, 액정상, 등방성 계면활성제 연속상 중 어느 것과 다른 상과의 공존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9. 제 2 항에 있어서, 화장료가 액정 1상계 혹은 액정상을 포함하는 복수상의 공존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10. 제 2 항에 있어서, 화장료가 액정상을 포함하는 복수상의 공존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11. 제 2 항에 있어서, 화장료가 등방성 계면활성제 연속상 1상계 혹은 등방성 계면활성제 연속상을 포함하는 복수상의 공존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KR1020000010346A 1999-03-04 2000-03-02 액정 조성물 및 화장료 KR1006974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5728199A JP4570705B2 (ja) 1999-03-04 1999-03-04 メーキャップ除去用化粧料
JP?11-57281 1999-03-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2704A KR20000062704A (ko) 2000-10-25
KR100697484B1 true KR100697484B1 (ko) 2007-03-20

Family

ID=13051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0346A KR100697484B1 (ko) 1999-03-04 2000-03-02 액정 조성물 및 화장료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346507B1 (ko)
EP (1) EP1053740B1 (ko)
JP (1) JP4570705B2 (ko)
KR (1) KR100697484B1 (ko)
DE (1) DE60011184T2 (ko)
TW (1) TWI25519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E990934A1 (en) * 1999-11-08 2002-04-03 Procter & Gamble Cosmetic Compositions
DE10057769A1 (de) * 2000-11-22 2002-05-23 Beiersdorf Ag Haarpflegeprodukte mit einem Gehalt an dispersen Flüssigkristallen, welche kubische Phasen darstellen
AU2003227189A1 (en) * 2002-03-26 2003-10-08 Kao Corporation Cleansing preparation
KR100445966B1 (ko) * 2002-06-15 2004-08-25 (주) 아름다운 화장품 액상의 모발 보습영양제 조성물
US20040136943A1 (en) * 2002-12-27 2004-07-15 Kao Corporation Skin cleansing composition
WO2004103324A1 (ja) * 2003-05-26 2004-12-02 Shiseido Co., Ltd. 毛髪用乳化組成物
EP1593364B1 (en) * 2004-05-05 2008-10-15 KPSS-Kao Professional Salon Services GmbH Three-phase hair care composition
US7901699B2 (en) * 2004-06-30 2011-03-08 The Nisshin Oillio Group, Ltd. Cosmetic composition and cosmetics
FR2878746B1 (fr) * 2004-12-02 2007-02-23 Vetoquinol Sa Sa Nouvelle composition pharmaceutique utilisable dans le domaine des vaccins
JP5220271B2 (ja) * 2005-10-20 2013-06-26 株式会社 資生堂 泡状エアゾールメーキャップ洗浄料
FR2900818B1 (fr) * 2006-05-15 2010-09-24 Lvmh Rech Compositions cosmetiques aqueuses, en particulier lotions hydratantes
US8030267B2 (en) 2006-09-11 2011-10-04 Shiseido Company Ltd. Silica composite capsules obtained by blending water-soluble silane derivative,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and transparent gel-form composition
JP5172119B2 (ja) * 2006-09-11 2013-03-27 株式会社 資生堂 透明ゲル状化粧料
JP4602999B2 (ja) * 2007-01-29 2010-12-22 花王株式会社 クレンジング組成物
TWI413529B (zh) 2007-01-29 2013-11-01 Kao Corp 卸妝劑組成物
JP5013943B2 (ja) * 2007-04-23 2012-08-29 株式会社 資生堂 化粧料
JP5311842B2 (ja) * 2008-02-20 2013-10-09 株式会社マンダム クレンジング化粧料並びにその製造方法
WO2010134562A1 (ja) 2009-05-19 2010-11-25 株式会社 資生堂 化粧料
JP5413977B2 (ja) * 2009-05-19 2014-02-12 株式会社 資生堂 化粧料
JP5414064B2 (ja) * 2009-05-19 2014-02-12 株式会社 資生堂 化粧料
KR102076003B1 (ko) * 2015-11-27 2020-02-12 (주)아모레퍼시픽 양친매성 이방성 분체를 포함하는 이중 연속상 유화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27512A (ja) * 1994-10-31 1996-05-21 Nonogawa Shoji Kk ゲル型クレンジング用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46123A (ja) 1982-09-05 1984-03-15 Pola Chem Ind Inc ゲル状エマルシヨン及び水中油型エマルシヨンの製造法
JPS6296585A (ja) 1985-10-24 1987-05-06 Kao Corp ラメラ型液晶構造体
JPS6253910A (ja) 1985-09-02 1987-03-09 Kao Corp 液晶型油性化粧料
US4767625A (en) 1985-09-02 1988-08-30 Kao Corporation Lamella type single phase liquid crystal composition and oil-base cosmetic compositions using the same
JPH01252664A (ja) 1988-04-01 1989-10-09 Nippon Unicar Co Ltd 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を含む透明ゲル組成物
JP3088029B2 (ja) 1991-05-24 2000-09-18 伊藤製油株式会社 シリコーンオイル含有ゲル組成物
CA2081932A1 (en) 1991-11-07 1993-05-08 Zia Haq Cosmetic composition
JP2946145B2 (ja) 1992-07-30 1999-09-06 花王株式会社 化粧料
JP3220324B2 (ja) * 1994-04-28 2001-10-22 花王株式会社 水中油型化粧料
JP3602237B2 (ja) 1995-12-28 2004-12-15 花王株式会社 クレンジング用組成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27512A (ja) * 1994-10-31 1996-05-21 Nonogawa Shoji Kk ゲル型クレンジング用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570705B2 (ja) 2010-10-27
EP1053740A1 (en) 2000-11-22
TWI255190B (en) 2006-05-21
JP2000256124A (ja) 2000-09-19
US6346507B1 (en) 2002-02-12
EP1053740B1 (en) 2004-06-02
DE60011184T2 (de) 2005-06-23
KR20000062704A (ko) 2000-10-25
DE60011184D1 (de) 2004-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7484B1 (ko) 액정 조성물 및 화장료
JP3664734B2 (ja) 水中油型乳化組成物及び水中油型乳化剤
KR101052493B1 (ko) 베시클 분산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CN102361626B (zh) 油包水型乳化组合物
JP5373381B2 (ja) 化粧品組成物並びに当該化粧品組成物を用いる美容処理方法
KR101898244B1 (ko) 유중 수형 고형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JPH01287008A (ja) スキンコンディショニング組成物
KR20040042876A (ko) 유중수형 에멀젼 화장용 조성물
KR20090023728A (ko) 개인 케어 조성물
KR101075692B1 (ko)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JP5203623B2 (ja) 水中油型乳化化粧料
KR20100043453A (ko) 천연색소를 함유하는 유중수형 립메이크업 조성물
JP3615904B2 (ja) 固形状水中油型乳化化粧料
CN112739312A (zh) 油包水型乳化固体化妆品
CN101720218A (zh) 油包水型乳化组合物
JP2000256132A (ja) 液晶組成物および化粧料
CN110227040B (zh) 一款可以出水的蜡基棒状化妆品及制备方法
JPH03279319A (ja) 固型状水中油型メーキャップ化粧料
JP2006321769A (ja) 高含水油中水型乳化化粧料
JP2004059526A (ja) 油中水型乳化化粧料
KR101815127B1 (ko) 온도 감응성 색조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TW201336519A (zh) 高內水相油中水型乳化組成物
JP2004067628A (ja) 油中水型乳化組成物
JP2010132621A (ja) 油中水型乳化化粧料
JP4732638B2 (ja) 油中水型乳化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