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5859B1 - 카메라용 자동초점모듈의 구조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카메라용 자동초점모듈의 구조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5859B1
KR100685859B1 KR1020050075214A KR20050075214A KR100685859B1 KR 100685859 B1 KR100685859 B1 KR 100685859B1 KR 1020050075214 A KR1020050075214 A KR 1020050075214A KR 20050075214 A KR20050075214 A KR 20050075214A KR 100685859 B1 KR100685859 B1 KR 1006858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carrier
yokeless
guide member
auto foc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5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민웅
Original Assignee
(주)로직메카티엠
서민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로직메카티엠, 서민웅 filed Critical (주)로직메카티엠
Priority to KR1020050075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58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5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58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18Focusing ai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47Electrical details of casings, e.g. terminals, passages for cables or wir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5Flexible printed circuits [FP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용 자동초점모듈의 구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디지털 카메라 및 이동통신 단말기 등에 적용되는 보이스 코일을 사용하는 액츄에이터 형태의 자동초점모듈의 마그네트와 보이스 코일의 배열구조를 변경하고 구조를 단순화하며 비자성체의 요크리스 타입 가이드를 적용함으로써 진동 또는 낙하 등의 경우에 자동초점모듈의 손상을 방지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카메라용 자동초점모듈의 구조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조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어 조립성 향상 및 자동화 공정이 가능하므로 제품불량을 현저하게 감소시켜서 높은 제조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카메라용 자동초점모듈의 구조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카메라의 몸체에 부착되는 홀더부재; 상기 홀더부재의 내측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요크리스형 가이드부재; 상기 가이드부재의 내측에 구비되어 유동되는 캐리어부재; 상기 캐리어부재가 유동가능하도록 상기 캐리어부재와 가이드부재에 구비되는 액츄에이터부재; 상기 액츄에이터부재에 의하여 캐리어부재가 유동될 경우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도록 상기 가이드부재와 캐리어부재에 구비되는 탄성부재; 상기 탄성부재가 고정되도록 상기 가이드부재의 내면에 삽입되는 고정부재; 상기 액츄에이터부재와 인쇄회로기판에 접속되어 자동초점이 가능하도록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단자부재; 및 상기 캐리어부재에 구비되는 렌즈를 포함하는 카메라용 자동초점모듈의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 은, 요크리스형 가이드부재에 보이스 코일을 접착한 후 경화시키고; 캐리어부재에 마그네트를 접착한 후 경화시키며; 상기 캐리어부재의 상부측에 스프링을 위치시킨 후 캐리어부재의 상부를 열코킹에 의해서 가압하여 스프링을 고정시키고; 상기 조립된 요크리스 가이드부재를 홀더부재에 삽입하며; 상기 보이스 코일과 연성인쇄회로기판을 솔더링하고; 상기 조립된 요크리스 가이드부재의 내측에 조립된 캐리어부재를 삽입하며; 상기 조립된 요크리스 가이드부재의 내면에 압입고정링을 압입끼워맞춤하여 스프링을 고정시키고; 상기 압입고정링과 요크리스 가이드부재의 틈을 접착시킨 후 상기 조립된 홀더부재의 상부를 열코킹에 의해서 가압하는 카메라용 자동초점모듈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자동초점모듈, 가이드부재, 캐리어부재, 보이스 코일, 마그네트, 압입고정링

Description

카메라용 자동초점모듈의 구조 및 그 제조방법{Structure of auto focus module for camera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도1은 종래의 카메라에 구비되는 자동초점모듈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용 자동초점모듈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용 자동초점모듈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4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용 자동초점모듈의 구조에서 압입고정링을 나타낸 평면도.
도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용 자동초점모듈의 구조에서 압입고정링을 나타낸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홀더부재 200: 요크리스형 가이드부재
300: 캐리어부재 400: 액츄에이터부재
410: 보이스 코일 420: 마그네트
500: 탄성부재(스프링) 600: 고정부재(압입고정링)
700: 단자부재(연성인쇄회로기판)
본 발명은 카메라용 자동초점모듈의 구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 카메라 및 이동통신 단말기 등에 적용되는 보이스 코일(voice coil)을 사용하는 액츄에이터(actuator) 형태의 자동초점모듈의 마그네트와 보이스 코일의 배열구조를 변경하고 구조를 단순화하며 비자성체의 요크리스 타입 가이드를 적용함으로써 진동 또는 낙하 등의 경우에 자동초점모듈의 손상을 방지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카메라용 자동초점모듈의 구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제조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어 조립성 향상 및 자동화 공정이 가능하므로 제품불량을 현저하게 감소시켜서 높은 제조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카메라용 자동초점모듈의 구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카메라를 사용하는 시장은 다변화하고 있으며, 예를 들어 디지털 카메라, 이동통신 단말기 및 감시용 카메라 등에서 그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카메라는 피사체의 이미지가 선명하게 맺혀질 수 있도록 렌즈와 촬상소자의 촬상면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자동초점모듈이 구비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카메라에 구비되는 자동초점모듈의 구 조 및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종래의 카메라에 구비되는 자동초점모듈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카메라용 자동초점모듈의 구조는, 카메라의 몸체에 부착되는 홀더(holder)(10); 상기 홀더(10)의 일측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자성체의 요크(yoke)(20); 상기 홀더(10)의 내측에 구비되어 유동되는 캐리어(carrier)(30) 및 상기 캐리어(30)에 구비되는 렌즈(미도시)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요크(20)와 캐리어(30)에는 상기 캐리어(30)의 외측에 구비되어 캐리어(30)와 동시에 유동되는 코일(31); 상기 요크(20)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코일(31)과 대향되는 마그네트(magnet)(21) 및 상기 유동되는 코일(31)을 외부단자(미도시)와 연결하는 단자부로 사용되며 상기 코일(31)(또는 캐리어(30))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40)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스프링(40)은 코일(31)로부터 외부단자로 연결하는 단자부로 사용되므로 상부스프링(+단자 또는 -단자)(41)과 하부스프링(-단자 또는 +단자)(42)으로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상기 상부스프링(41)과 하부스프링(42) 사이에 절연재인 스페이서(spacer)(43)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카메라용 자동초점모듈의 구조, 동작 및 제조방법을 더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카메라용 자동초점모듈은, 마그네트(21)를 고정부인 요크(20)에 구비시키고, 상기 마그네트(21)에 대향되게 유동부인 캐리어(30)에 코일(31)을 구비시켜서, 자기장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상기 코일(31)이 유동되며, 상기 스프링(40)을 코일(31)로부터 외부단자로 연결하는 단자부로 사용함과 동시에 코일(31)에 복원력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자동초점모듈은 요크(20)를 금속재의 자성체로 사용하고 그 결합은 열경화 등의 방법을 사용한다. 또한, 상기 요크(20)에 마그네트(21)를 열경화하여 부착하고, 상기 캐리어(30)에 코일(31)을 열경화하여 고정시키며, 상기 코일(31)과 스프링(40)을 솔더링(soldering)하여 연결하고, 최종적으로 상기 스프링(40)을 고정하기 위하여 조립된 홀더(10)에 커버(50)를 조립한 후 열경화시킨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카메라용 자동초점모듈은 금속재의 자성체 요크(20)를 사용함으로 인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전력을 필요로하며, 낮은 파워(power)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코일(31)을 유동부(즉, 캐리어(30))에 위치시키고, 외부단자와 연결되는 단자부로 사용되는 스프링(40)을 코일(31)과 솔더링함으로 인하여 진동 또는 낙하 등의 경우에 코일(31)이 끊어지는 문제가 발생되며, 또한 코일(31)과 스프링(40)을 솔더링을 통하여 연결하는데 작업이 쉽지 않으며 시간도 많이 걸려서 작업공수가 길어지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종래의 카메라용 자동초점모듈은 스프링(40)을 단자부로 사용하므로 상부스프링(+단자 또는 -단자)(41)과 하부스프링(-단자 또는 +단자)(42)으로 구성되어야 하며, 이에 따라 상기 상부스프링(41)과 하부스프링(42) 사이에 절연재인 스페이서(43)가 구비되어야 하므로 부품수가 많아짐에 따라 작업시간도 많이 소요되어 작업공수가 많아져서 효과적이지 못한 문제점도 있다.
또한, 최종적으로 스프링(40)을 고정하기 위하여 홀더(10)에 커버(50)를 조립한 후 열경화를 통해 완전결합해야 하므로 작업시간이 길어지고, 또한 진동 또는 낙하 등의 경우에 문제가 발생될 시 부품해체를 하여야 하는데 그 작업이 어려운 문제점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카메라용 자동초점모듈의 구조 및 제조방법에서는 항상 진동 또는 낙하 등의 경우에 신뢰성이 떨어지는 매우 낮은 구조적 취약함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제조과정을 수작업에 의존할 수 밖에 없어서 제조원가가 상승되며 대량생산이 불가능하고, 이로 인하여 작업과실에 의한 결함이 매우 높은 빈도로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디지털 카메라 및 이동통신 단말기 등에 적용되는 보이스 코일을 사용하는 액츄에이터 형태의 자동초점모듈의 마그네트와 보이스 코일의 배열구조를 변경하고 구조를 단순화하며 비자성체의 요크리스 타입 가이드를 적용함으로써 진동 또는 낙하 등의 경우에 자동초점모듈의 손상을 방지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카메라용 자동초점모듈의 구조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조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어 조립성 향상 및 자동화 공정이 가능하므로 제품불량을 현저하게 감소시켜서 높은 제조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카메라용 자동초점모듈의 구조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카메라의 몸체에 부착되는 홀더부재; 상기 홀더부재의 내측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요크리스형 가이드부재; 상기 가이드부재의 내측에 구비되어 유동되는 캐리어부재; 상기 캐리어부재가 유동가능하도록 상기 캐리어부재와 가이드부재에 구비되는 액츄에이터부재; 상기 액츄에이터부재에 의하여 캐리어부재가 유동될 경우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도록 상기 가이드부재와 캐리어부재에 구비되는 탄성부재; 상기 탄성부재가 고정되도록 상기 가이드부재의 내면에 삽입되는 고정부재; 상기 액츄에이터부재와 인쇄회로기판에 접속되어 자동초점이 가능하도록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단자부재; 및 상기 캐리어부재에 구비되는 렌즈를 포함하는 카메라용 자동초점모듈의 구조를 제공한다.
여기에서, 상기 액츄에이터부재는, 상기 요크리스형 가이드부재의 내면의 일측에 구비되는 보이스 코일; 및 상기 캐리어부재의 외면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보이스 코일과 대향되며 캐리어부재와 함께 유동되는 마그네트를 포함한다.
상기 요크리스형 가이드부재는, 상기 보이스 코일이 끼워맞춤될 수 있도록 그 내면의 일측에 형성되는 가이드 삽입부; 및 상기 탄성부재가 위치고정되도록 그 내면의 타측에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요크리스형 가이드부재는 비자성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이스 코일은 구리, 알루미늄, 금합금 또는 은합금재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캐리어부재는, 상기 마그네트가 끼워맞춤될 수 있도록 그 외면의 일측에 형성되는 캐리어 삽입부; 및 상기 탄성부재가 고정되도록 그 외면의 상측에 형 성되는 캐리어 돌기부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부재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부재는 압입고정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단자부재는 연성인쇄회로기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요크리스형 가이드부재에 보이스 코일을 접착한 후 경화시키고; 캐리어부재에 마그네트를 접착한 후 경화시키며; 상기 캐리어부재의 상부측에 스프링을 위치시킨 후 캐리어부재의 상부를 열코킹에 의해서 가압하여 스프링을 고정시키고; 상기 조립된 요크리스 가이드부재를 홀더부재에 삽입하며; 상기 보이스 코일과 연성인쇄회로기판을 솔더링하고; 상기 조립된 요크리스 가이드부재의 내측에 조립된 캐리어부재를 삽입하며; 상기 조립된 요크리스 가이드부재의 내면에 압입고정링을 압입끼워맞춤하여 스프링을 고정시키고; 상기 압입고정링과 요크리스 가이드부재의 틈을 접착시킨 후 상기 조립된 홀더부재의 상부를 열코킹에 의해서 가압하는 카메라용 자동초점모듈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에서, 상기 요크리스형 가이드부재와 보이스 코일의 접착, 캐리어부재와 마그네트의 접착 또는 압입고정링과 요크리스 가이드부재의 틈의 접착은 열경화, 유브이경화, 레이저용접 또는 스팟용접 중 어느 하나의 접착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각각 다른 접착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용 자동초점모듈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용 자동초점모듈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자동초점모듈의 마그네트와 보이스 코일의 배열구조를 변경하고 구조를 단순화하여 구조적 결함 및 작업과실로 인한 자동초점모듈의 결함 및 신뢰성이 향상되도록 구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용 자동초점모듈의 구조는 도2 및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메라의 몸체(미도시)에 부착되는 홀더부재(holder member)(100); 상기 홀더부재(100)의 내측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요크리스형(yokeless type) 가이드부재(guide member)(200); 상기 가이드부재(200)의 내측에 구비되어 유동되는 캐리어부재(carrier member)(300); 상기 캐리어부재(300)가 유동가능하도록 상기 캐리어부재(300)와 가이드부재(200)에 구비되는 액츄에이터부재(actuator member)(400); 상기 액츄에이터부재(400)에 의하여 캐리어부재(300)가 유동될 경우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도록 상기 가이드부재(200)와 캐리어부재(300)에 구비되는 탄성부재(500); 상기 탄성부재(500)가 고정되도록 상기 가이드부재(200)의 내면에 삽입되는 고정부재(600); 상기 액츄에이터부재(400)와 인쇄회로기판(미도시)에 접속되어 자동초점이 가능하도록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단자부재(700); 및 상기 캐리어부재(300)에 구비되는 렌즈(미도시)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유동(일예로, 가이드부재(200)의 내측에 구비되어 유동되는 캐리어부재(300) 등)이란 작은 움직임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카메라용 자동초점모듈은 디지털 카메라 또는 이동통신 단 말기 등에 사용되는 어떤 카메라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액츄에이터부재(400)는, 상기 요크리스형 가이드부재(200)의 내면의 일측에 구비되는 보이스 코일(voice coil)(410); 및 상기 캐리어부재(300)의 외면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보이스 코일(410)과 대향되며 캐리어부재(300)와 함께 유동되는 마그네트(magnet)(4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 보이스 코일(410) 및 마그네트(420)를 구비한 액츄에이터부재(400)에 의해서 캐리어부재(300)가 유동되어 자동초점이 구현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다시 말해서, 상기 보이스 코일(410)에 전류 또는 전기적 신호가 전달되면 보이스 코일(410)과 마그네트(420)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렌즈가 구비된 캐리어부재(300)가 유동되어 자동초점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상기 보이스 코일(410)에 전류 또는 전기적 신호 등이 전달되어 자동초점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일단은 인쇄회로기판에 접속되고 타단은 보이스 코일(410)에 접속되는 단자부재(700)인 연성인쇄회로기판(FPC)이 홀더부재(100)에 구비된다. 또한, 상기 보이스 코일(410)은 전기전도율이 향상되도록 구리, 알루미늄, 금합금 또는 은합금재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보이스 코일(410)과 단자부재(700)인 연성인쇄회로기판은 솔더링(soldering)으로 결합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단자부재(700)가 연성인쇄회로기판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보이스 코일(410)에 전기적 신호 등이 전달될 수 있다면 다른 임의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보이스 코일(420)을 고정측 부재인 상기 가이드부재(200)에 구비시키며 단자부재(700)인 연성인쇄회로기판을 보이스 코일(420)에 접속시키고, 상기 마그네트(420)를 유동측 부재인 상기 캐리어부재(300)에 구비시킴으로 인하여 상기 보이스 코일(410)이 유동될 수 없으므로 진동 또는 낙하 등의 경우에도 자동초점모듈의 신뢰성을 구조적으로 확보할 수 있으며, 또한 이와 같이 제조공정의 단순화로 인하여 제품의 불량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요크리스형 가이드부재(200)는, 상기 보이스 코일(410)이 끼워맞춤될 수 있도록 그 내면의 일측에 가이드 삽입부(410)가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재(500)가 위치고정되도록 그 내면의 타측에는 가이드 돌기부(22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캐리어부재(300)는, 상기 마그네트(420)가 끼워맞춤될 수 있도록 그 외면의 일측에 캐리어 삽입부(310)가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재(500)가 고정되도록 그 외면의 상측에는 캐리어 돌기부(320)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탄성부재(500)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캐리어부재(300)가 유동되는 경우에 복원력을 제공하여 원래의 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다면 다른 임의의 탄성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캐리어부재(300)의 캐리어 돌기부(320)에 탄성부재(500)인 스프링이 위치고정되도록 상기 캐리어 돌기부(320)에 스프링을 위치시킨 후 캐리어부재(300)의 상측부를 열코킹(heat caulking)에 의해 가압하여 스프링을 고정시킨다. 즉, 상기 스프링을 위치(조립)시킨 후 열코킹하여 캐리어부재(300)의 상측부를 말아 접어서 스프링을 완전고정시킨다.
여기에서, 상기 요크리스형 가이드부재(200)는 비자성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요크리스형 가이드부재(200)가 비자성체로 이루어짐으로써 종래의 자성체의 요크를 적용한 것에 비해 낮은 전력이 사용되며 높은 파워(power)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요크리스형 가이드부재(200)에 스프링이 미리 위치고정될 수 있는 가이드 돌기부(220)가 형성되어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4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용 자동초점모듈의 구조에서 압입고정링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용 자동초점모듈의 구조에서 압입고정링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상기 요크리스형 가이드부재(200)의 가이드 돌기부(220)에 위치되는 탄성부재(500)(즉, 스프링)를 완전히 고정시키기 위하여 가이드부재의 내면에 고정부재(600)를 삽입한다. 여기에서, 상기 고정부재(600)는 도4a 및 도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순한 압입 방식의 압입고정링(set ring)을 사용함으로써 제조공정의 단순화를 구현할 수 있어 높은 생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부재(600)가 압입고정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스프링을 단순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다른 임의의 부재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용 자동초점모듈의 제조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설명한다.
도2 내지 도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요크리스형 가이드부재(200)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보이스 코일(410)을 삽입한 후 경화시키고, 캐리어부재(300)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마그네트(420)를 삽입한 후 경화시킨다. 그 후, 상기 캐리어부재의 상부측에 스프링(500)을 위치시킨 후 캐리어부재(300)의 상부를 열코킹에 의해서 가압하여(즉, 말아 접어서) 스프링(500)을 고정시킨다.
그 다음에, 상기 조립된 요크리스 가이드부재(200)를 홀더부재(100)에 삽입하고, 상기 보이스 코일(410)과 연성인쇄회로기판(700)을 솔더링한다. 여기에서, 상기 조립된 요크리스 가이드부재(200)의 내측에 상기 조립된 캐리어부재(300)를 삽입하고, 상기 조립된 요크리스 가이드부재(200)의 내면에 압입고정링(600)을 압입끼워맞춤하여 스프링을 고정시킨다.
그리고, 상기 압입고정링(600)과 요크리스 가이드부재(200)의 틈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경화시키거나, 레이저용접(laser welding) 또는 스팟용접(spot welding)시킨 후 상기 조립된 홀더부재(100)의 상부를 열코킹에 의해서 가압하여(즉, 말아 접어서) 자동초점모듈을 제조한다.
여기에서, 상기 접착제는 열경화 접착제 또는 유브이경화 접착제(UV hardening bond)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부재들을 접착시킬 수 있다면 다른 임의의 접착제 또는 접착방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보이스 코일을 고정측 부재인 가이드부재에 구비시키며 연성인쇄회로기판을 보이스 코일에 접속시키고, 마그네트를 유동측 부재인 캐리어부재에 구비시킴으로 인하여 보이스 코일이 유동될 수 없으므로 진동 또는 낙하 등의 경우에도 자동초점모듈의 신뢰성을 구조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조공정의 단순화 및 부품수의 감소로 인하여 제품의 불량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어 생산성 향상과 더불어 높은 제조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요크리스형 가이드부재가 비자성체로 이루어짐으로써 종래의 자성체의 요크를 적용한 것에 비해 낮은 전력이 사용되며 높은 파워를 발생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요크리스형 가이드부재에 스프링이 미리 위치고정될 수 있는 돌기부가 형성되어 조립성 향상과 높은 품질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프링의 고정방법을 단순한 압입 방식의 압입고정링을 사용함으로써 제조공정의 단순화를 구현할 수 있어 높은 생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11)

  1. 카메라의 몸체에 부착되는 홀더부재;
    상기 홀더부재의 내측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요크리스형 가이드부재;
    상기 가이드부재의 내측에 구비되어 유동되는 캐리어부재;
    상기 캐리어부재가 유동가능하도록 상기 캐리어부재와 가이드부재에 구비되는 액츄에이터부재;
    상기 액츄에이터부재에 의하여 캐리어부재가 유동될 경우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도록 상기 가이드부재와 캐리어부재에 구비되는 탄성부재;
    상기 탄성부재가 고정되도록 상기 가이드부재의 내면에 삽입되는 고정부재;
    상기 액츄에이터부재와 인쇄회로기판에 접속되어 자동초점이 가능하도록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단자부재; 및
    상기 캐리어부재에 구비되는 렌즈
    를 포함하는 카메라용 자동초점모듈의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부재는
    상기 요크리스형 가이드부재의 내면의 일측에 구비되는 보이스 코일; 및
    상기 캐리어부재의 외면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보이스 코일과 대향되며 캐 리어부재와 함께 유동되는 마그네트
    를 포함하는 카메라용 자동초점모듈의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요크리스형 가이드부재는
    상기 보이스 코일이 끼워맞춤될 수 있도록 그 내면의 일측에 형성되는 가이드 삽입부; 및
    상기 탄성부재가 위치고정되도록 그 내면의 타측에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부
    를 포함하는 카메라용 자동초점모듈의 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요크리스형 가이드부재는 비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카메라용 자동초점모듈의 구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이스 코일은 구리, 알루미늄, 금합금 또는 은합금재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카메라용 자동초점모듈의 구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부재는
    상기 마그네트가 끼워맞춤될 수 있도록 그 외면의 일측에 형성되는 캐리어 삽입부; 및
    상기 탄성부재가 고정되도록 그 외면의 상측에 형성되는 캐리어 돌기부
    를 포함하는 카메라용 자동초점모듈의 구조.
  7. 제3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카메라용 자동초점모듈의 구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압입고정링으로 이루어지는
    카메라용 자동초점모듈의 구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재는 연성인쇄회로기판으로 이루어지는
    카메라용 자동초점모듈의 구조.
  10. 요크리스형 가이드부재에 보이스 코일을 접착한 후 경화시키고;
    캐리어부재에 마그네트를 접착한 후 경화시키며;
    상기 캐리어부재의 상부측에 스프링을 위치시킨 후 캐리어부재의 상부를 열코킹에 의해서 가압하여 스프링을 고정시키고;
    상기 조립된 요크리스 가이드부재를 홀더부재에 삽입하며;
    상기 보이스 코일과 연성인쇄회로기판을 솔더링하고;
    상기 조립된 요크리스 가이드부재의 내측에 조립된 캐리어부재를 삽입하며;
    상기 조립된 요크리스 가이드부재의 내면에 압입고정링을 압입끼워맞춤하여 스프링을 고정시키고;
    상기 압입고정링과 요크리스 가이드부재의 틈을 접착시킨 후 상기 조립된 홀더부재의 상부를 열코킹에 의해서 가압하는
    카메라용 자동초점모듈의 제조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요크리스형 가이드부재와 보이스 코일의 접착, 캐리어부재와 마그네트의 접착 또는 압입고정링과 요크리스 가이드부재의 틈의 접착은
    열경화, 유브이경화, 레이저용접 또는 스팟용접 중 어느 하나의 접착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각각 다른 접착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카메라용 자동초점모듈의 제조방법.
KR1020050075214A 2005-08-17 2005-08-17 카메라용 자동초점모듈의 구조 및 그 제조방법 KR1006858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5214A KR100685859B1 (ko) 2005-08-17 2005-08-17 카메라용 자동초점모듈의 구조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5214A KR100685859B1 (ko) 2005-08-17 2005-08-17 카메라용 자동초점모듈의 구조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5859B1 true KR100685859B1 (ko) 2007-02-22

Family

ID=38104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5214A KR100685859B1 (ko) 2005-08-17 2005-08-17 카메라용 자동초점모듈의 구조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585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9372B1 (ko) 2011-07-13 2012-12-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20160121718A (ko) 2015-04-10 2016-10-20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다중 카메라를 이용한 자동 초점 장치 및 그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10A (ja) * 1982-06-25 1984-01-05 Mamiya Koki Kk 一眼レフレツクスカメラ等におけるレンズ駆動装置
JPS59109A (ja) * 1982-06-25 1984-01-05 Mamiya Koki Kk カメラ等のレンズ駆動装置
JPS5994709A (ja) * 1982-11-24 1984-05-31 Mamiya Koki Kk カメラレンズ駆動装置
KR200376032Y1 (ko) * 2004-11-17 2005-03-09 한봉희 카메라 렌즈 작동구조
KR20050093111A (ko) * 2004-03-18 2005-09-23 삼성전기주식회사 전자기력을 이용한 카메라 촛점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10A (ja) * 1982-06-25 1984-01-05 Mamiya Koki Kk 一眼レフレツクスカメラ等におけるレンズ駆動装置
JPS59109A (ja) * 1982-06-25 1984-01-05 Mamiya Koki Kk カメラ等のレンズ駆動装置
JPS5994709A (ja) * 1982-11-24 1984-05-31 Mamiya Koki Kk カメラレンズ駆動装置
KR20050093111A (ko) * 2004-03-18 2005-09-23 삼성전기주식회사 전자기력을 이용한 카메라 촛점조절장치
KR200376032Y1 (ko) * 2004-11-17 2005-03-09 한봉희 카메라 렌즈 작동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9372B1 (ko) 2011-07-13 2012-12-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20160121718A (ko) 2015-04-10 2016-10-20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다중 카메라를 이용한 자동 초점 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74402B2 (ja) 3d立体回路構造の端子脚に板バネが結合された構造
CN107222081B (zh) 音圈电动机
KR100490253B1 (ko) 소형 광학렌즈의 자동초점 조절장치
JP5430361B2 (ja) レンズ駆動装置
KR101241260B1 (ko) 카메라 모듈
KR100678986B1 (ko) 카메라 모듈, 카메라 모듈의 제조방법, 전자기기, 및전자기기의 제조방법
JP4882305B2 (ja) オートフォーカス用アクチュエータ
KR100770680B1 (ko) 모바일용 카메라모듈 패키지 및 이에 사용되는 액추에이터
KR100672836B1 (ko) 카메라 모듈의 조립 구조
JP2006338004A (ja) モバイル用アクチュエータ(ActuatorforMobileTerminal)
KR20060092069A (ko) 렌즈 유닛 및 촬상 장치
JP5341617B2 (ja) レンズ駆動装置
JP5385761B2 (ja) レンズ駆動装置
CN107991752B (zh) 透镜驱动装置、相机模块以及透镜驱动装置的制造方法
JP5719598B2 (ja) レンズ駆動装置の製造方法
JP2011107413A (ja) アクチュエータ、駆動モジュールおよび電子機器
KR100685859B1 (ko) 카메라용 자동초점모듈의 구조 및 그 제조방법
CN212341563U (zh) 透镜驱动装置以及相机模块
CN211826678U (zh) 透镜驱动装置、以及相机模块
KR101973654B1 (ko) 카메라 모듈
CN212989746U (zh) 透镜驱动装置以及相机模块
JP6011922B2 (ja) カメラモジュールの駆動機構用板バネ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8173775A1 (ja) レンズ駆動装置、前記レンズ駆動装置を使用したカメラモジュールおよびレンズ駆動装置の製造方法
KR101705364B1 (ko) 보이스 코일 모터
JP6542051B2 (ja) レンズ駆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