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1260B1 -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1260B1
KR101241260B1 KR1020110065594A KR20110065594A KR101241260B1 KR 101241260 B1 KR101241260 B1 KR 101241260B1 KR 1020110065594 A KR1020110065594 A KR 1020110065594A KR 20110065594 A KR20110065594 A KR 20110065594A KR 101241260 B1 KR101241260 B1 KR 1012412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magnet
coil
camera module
imaging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5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3401A (ko
Inventor
요시히로 세키모토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034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34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1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12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lens and mount having complementary engagement means, e.g. screw/threa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3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permitting adjustmen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to co-operate with a remote control mechanis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 G03B2205/0069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using electromagnetic actuators, e.g. voice coils

Abstract

카메라 모듈은 촬상 렌즈를 광축 방향으로 움직이는 렌즈 구동 장치로 구비하고, 렌즈 구동 장치는 마그넷과 코일을 사용하여 전자력으로 촬상 렌즈를 구동하는 전자 구동 수단을 갖고, 촬상 렌즈는 평면으로 볼 때 직사각형 형상이고, 직사각형 형상의 적어도 1조의 서로 대향하는 변 각각을 따라 마그넷 및 코일이 배치되어 있다. 촬상 렌즈가 직사각형 형상이다고 하는 특성을 살려서 적어도 1조의 서로 대향하는 변 각각을 따라 렌즈 구동 장치의 마그넷 및 코일을 배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촬상 렌즈의 코너부에 마그넷을 배치할 경우에 비해 렌즈 구동 장치의 풋 프린트(점유 스페이스)을 작게 한 카메라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
본 발명은 휴대 전화 등의 전자 기기에 탑재되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웨이퍼 레벨 렌즈(즉, 웨이퍼 레벨에서 제작된 렌즈)를 탑재한 오토 포커스 기능을 가진 카메라 모듈 및 오토 포커스 기능을 가진 리플로 가능한 카메라 모듈(즉, 리플로 환경하의 온도에 대응한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휴대 전화는 휴대 전화에 카메라 모듈을 조립한 기종이 대부분을 차지하게 되고 있다. 이들 카메라 모듈에 있어서는 렌즈 구동 장치에 의해 오토 포커스 기능을 발휘하는 타입의 것이 많이 채용되고 있다. 렌즈 구동 장치에는 스테핑 모터를 이용하는 타입, 압전 소자를 이용하는 타입, VCM(Voice Coil Motor: 보이스 코일 모터)을 이용하는 타입 등의 각종 타입이 존재하고, 이미 시장에 유통되고 있다.
이러한 오토 포커스 기능을 갖는 카메라 모듈에서는 통상적으로 렌즈를 구동하기 위한 렌즈 구동 장치, 촬상 소자를 내부에 수용하는 센서 커버, 및 촬상 소자가 고정되는 회로 기판 등이 적층된 구조를 갖고 있다.
여기서 사용되고 있는 렌즈는, 통상적으로는 개별적으로 성형에 의해 제조되므로 상하면에 곡면 형상을 갖는 대략 원통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대략 원통 형상을 갖는 렌즈를 구동하기 위한 오토 포커스 기구로서는 예를 들면 이하의 구조가 제안되어 있다. 다시 말해, 보이스 코일 모터에 있어서는 액츄에이터의 직사각형 형상과 렌즈의 원통 형상의 차이에 의해 생기는 스페이스를 이용하여 4개소의 코너 부분에 각각 마그넷을 배치하는 구조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이 예에서는 4개소의 코너 부분 이외에도 2변에 마그넷이 배치되어 있지만, 이 2개의 마그넷은 렌즈의 형상과의 차이를 이용한 것이 아니고 외형상이 완전한 직사각형이 아닌 일부 돌출한 형상이다. 이 때문에, 이 스페이스를 이용한 것으로서 다른 렌즈 형상을 상정한 것이 아니다.
상기 특허문헌 1은 가동부(可動部)에 코일을, 고정부에 마그넷을 배치한 소위 무빙 코일 타입의 보이스 코일 모터에 대해서 설명한 것이다.
이에 대하여, 가동부에 마그넷을, 고정부에 코일을 배치한 소위 무빙 마그넷 타입의 보이스 코일 모터에 대해서도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5 참조).
이 예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액츄에이터의 직사각형 형상과 렌즈의 원통 형상의 차이에 의해 생기는 스페이스를 이용하여 4개소의 코너 부분에 코일을 배치하고, 이 코일에 대향하여 가동부에 마그넷을 배치하고 있다.
한편, 특허문헌 5와 같은 무빙 마그넷 타입의 보이스 코일 모터에 있어서 코일이 4개소의 코너가 아닌 4변에 배치된 마그넷에 대향하도록 배치된 예도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6 참조).
그렇지만, 이 예에서 액츄에이터의 직사각형 형상과 렌즈의 원통 형상의 차이에 의해 생기는 스페이스는 구동 기구로서는 유효하게 활용되지 않고 다른 렌즈 형상을 상정한 것이 아니다.
그런데, 카메라 모듈용 렌즈로서 최근에는 웨이퍼 레벨에서 제작하는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웨이퍼 레벨에서의 제작에 대해서 특허문헌 2에서는 다수의 렌즈 어레이를 배치한 광학 렌즈용 기판을 복수장 적층하고 접합 후에 블레이드를 사용하여 개별 조각으로 절단한다. 그 때문에, 특허문헌 2의 도 4로부터 분명해지는 바와 같이 개별화된 렌즈 유닛은 직사각형 형상이 된다. 또한, 특허문헌 2에서는 오토 포커스 기능이나 리플로 대응에 대해서는 특별히 설명되어 있지 않다.
한편, 이러한 웨이퍼 레벨 렌즈(즉, 웨이퍼 레벨에서 제작된 렌즈, 보다 구체적으로는 어레이 형상으로 형성된 렌즈군을 커팅함으로써 개별 조각 렌즈로서 제작된 렌즈)로서 리플로에 대응한 렌즈를 사용하는 검토도 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3). 특허문헌 3에서는 웨이퍼 레벨 렌즈를 리플로에 대응한 렌즈로 한다. 이에 따라, 렌즈 기판 재료로서 유리를 사용하는 것이나 열경화형 수지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지만 오토 포커스 기능에 대해서는 특별히 설명되어 있지 않다.
또한, 리플로에 대응하고 있음과 아울러 오토 포커스 기능 등의 기능을 갖는 렌즈 구동 기구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에 대해서도 검토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4). 특허문헌 4에서는 렌즈를 구동하기 위한 액츄에이터로서 서보 모터, 스테핑 모터, 솔레노이드 등의 명칭이 거론되고 있지만 구체적인 구조 설명은 되어 있지 않다.
일본국 공개 특허 공보 「특허 공개 제2008-299103호 공보(2008년 12월 11일 공개)」 일본국 공개 특허 공보 「특허 공개 제2008-129606호 공보(2008년 6월 5일 공개)」 일본국 공개 특허 공보 「특허 공개 제2010-54810호 공보(2010년 3월 11일 공개)」 일본국 공개 특허 공보 「특허 공개 제2009-204721호 공보(2009년 9월 10일 공개)」 일본국 공개 특허 공보 「특허 공개 제2011-039481호 공보(2011년 2월 24일 공개)」 일본국 공개 특허 공보 「특허 공개 제2009-069611호 공보(2009년 4월 2일 공개)」
웨이퍼 레벨 렌즈의 개발이 진행되어 그 성능이 향상됨과 아울러 웨이퍼 레벨 렌즈를 고화소 카메라 모듈로 채용하는 것에 대한 요망도 높아지고 있다. 웨이퍼 레벨 렌즈가 채용된 고화소 카메라 모듈에는 오토 포커스 기능이 탑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토 포커스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오토 포커스 기구로서 상술한 바와 같은 스테핑 모터를 이용하는 타입, 압전 소자를 이용하는 타입, VCM을 이용하는 타입 등의 각종 타입이 존재하고 있지만 VCM을 이용하는 타입이 압도적으로 주류가 되고 있다. 따라서, 웨이퍼 레벨 렌즈를 탑재한 오토 포커스 기구로서도 VCM이 이용될 수 있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렇지만, 특허문헌 1의 VCM에 특허문헌 2와 같은 직사각형 형상 렌즈를 탑재한 경우 4코너에 배치되는 마그넷이 원인이 되어 카메라 모듈이 대형화되어 버린다[풋 프린트(점유 스페이스)가 커짐]는 과제가 있다.
마찬가지로, 특허문헌 5나 특허문헌 6에서는 직사각형 형상의 렌즈는 상정되어 있지 않고, 직사각형 형상 렌즈를 탑재한 경우에 마그넷이나 코일을 어떻게 배치할지에 대해서 아무것도 시사되어 있지 않다.
또한, 특허문헌 3과 같은 리플로에 대응한 렌즈를 탑재하고 있어도 종래 그대로의 VCM을 사용한 것은 리플로 온도까지 온도가 상승하면 마그넷에 비가역의 영구 열감자(熱減磁)가 생기므로 제조시에 리플로가 행하여지면 성능이 열화되고, 구체적으로는 리플로 후에 자속 밀도가 저하되어 VCM의 추력이 저하된다는 과제가 발생한다.
또한, 특허문헌 4에서는 리플로에 대응하는 취지가 기재되어 있지만, 자석의 감자에 대해서는 기재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풋 프린트를 작게 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리플로로의 대응도 고려한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촬상 렌즈 및 그 촬상 렌즈를 유지하는 렌즈 유지 부재를 갖는 광학부, 상기 촬상 렌즈를 광축 방향으로 움직이는 렌즈 구동부에 포함되고 상기 렌즈 유지 부재를 내부에 유지하며 렌즈 구동부의 고정부에 대하여 광축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홀더부, 상기 촬상 렌즈를 통해서 입사된 광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촬상 소자, 및 상기 촬상 소자가 탑재된 기판부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로서, 상기 렌즈 구동부는 마그넷과 코일을 사용하여 전자력으로 촬상 렌즈를 구동하는 전자 구동 수단을 갖고, 상기 촬상 렌즈는 평면으로 볼 때 직사각형 형상이고, 상기 직사각형 형상의 적어도 1조(組)의 서로 대향하는 변 각각을 따라 상기 마그넷 및 상기 코일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명에 의하면, 상기 촬상 렌즈가 직사각형 형상이다고 하는 특성을 살려서 적어도 1조의 서로 대향하는 변 각각을 따라 렌즈 구동부의 마그넷 및 코일을 배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촬상 렌즈의 코너부에 마그넷을 배치하는 경우에 비해 렌즈 구동부의 풋 프린트(점유 스페이스)를 작게 한 카메라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은 이상과 같이, 렌즈 구동부는 마그넷과 코일을 사용하여 전자력으로 촬상 렌즈를 구동하는 전자 구동 수단을 갖고, 상기 촬상 렌즈는 평면으로 볼 때 직사각형 형상이고, 직사각형 형상의 적어도 1조의 서로 대향하는 변 각각을 따라 상기 마그넷 및 상기 코일이 배치되어 있는 것이다.
그 때문에, 풋 프린트를 작게 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한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리플로로의 대응도 고려한 카메라 모듈을 제공한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카메라 모듈에 있어서의 촬상 렌즈, 렌즈 배럴 및 렌즈 홀더의 형상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촬상 렌즈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카메라 모듈의 A-A 화살표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카메라 모듈에 있어서의 도 4의 B-B 화살표로부터 본 단면도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카메라 모듈에 있어서의 도 4에 상당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마그넷, 요크, 코일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마그넷, 요크, 코일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종래의 발명의 실시형태 및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마그넷의 감자 곡선과 퍼미언스 계수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카메라 모듈에 있어서의 마그넷의 배치의 설명도이며, (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카메라 모듈에 있어서 평면으로 볼 때 삼각형 형상의 마그넷을 평면으로 볼 때 직사각형 형상의 촬상 렌즈의 각 변을 따라 배치한 변 배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b)는 종래의 카메라 모듈에 있어서 평면으로 볼 때 삼각형 형상의 마그넷을 평면으로 볼 때 직사각형 형상의 촬상 렌즈의 코너(네 모퉁이)에 배치한 코너 배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c)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카메라 모듈에 있어서 평면으로 볼 때 직사각형 형상의 마그넷을 평면으로 볼 때 직사각형 형상의 촬상 렌즈의 1조의 서로 대향하는 변을 따라 배치한 변 배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d)는 종래의 카메라 모듈에 있어서 평면으로 볼 때 직사각형 형상의 마그넷을 평면으로 볼 때 직사각형 형상의 촬상 렌즈에 있어서 마주보는 2개의 코너에 배치한 코너 배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렌즈 배럴의 높이 위치 결정 수단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카메라 모듈에 있어서의 촬상 렌즈, 렌즈 배럴 및 렌즈 홀더의 형상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카메라 모듈에 있어서의 촬상 렌즈, 렌즈 배럴 및 렌즈 홀더의 형상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 1 ~ 도 14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카메라 모듈의 일실시형태)
도 3은 본 실시형태의 카메라 모듈(100)의 사시도이다. 카메라 모듈(100)은 촬상 광학계인 광학부(1), 광학부(1)를 구동하기 위한 렌즈 구동 장치(2)(렌즈 구동부), 광학부(1)를 경유한 광의 광전 변환을 행하는 촬상 소자나 그 주변 회로 부품을 그 표면 또는 일부를 내부에 적재하는 기판부(3)를 구비하고 있다.
광학부(1)는 후술하는 촬상 렌즈(4)와 후술하는 렌즈 배럴(5)(렌즈 유지 부재)을 갖고 있고, 렌즈 구동 장치(2)의 내부에 유지되어 있다. 카메라 모듈(100)은 기판부(3) 상에 렌즈 구동 장치(2)가 적층된 구성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편의상 광학부(1)측을 상방, 기판부(3)측을 하방이라고 한다.
여기서, 도 4에 의거하여 카메라 모듈(100)의 전체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도 3의 카메라 모듈(100)의 A-A 화살표로부터 본 단면도이며, 절단면이 광축이 신장되는 방향과 평행해지도록 카메라 모듈(100)의 중앙부를 절단한 단면도이다. 또한, 렌즈 구동 장치(2)는 마그넷(10a ,10b)과 코일(8)을 사용하여 전자력에 의해 촬상 렌즈(4)를 구동하는 전자 구동 수단을 갖고, 일반적으로 보이스 코일 모터(Voice Coil Motor: VCM)로 불린다.
광학부(1)는 피사체상을 형성하는 촬상 광학계이며 외부의 광을 기판부(3) 상의 촬상 소자(6)로 인도한다. 광학부(1)는 복수장(도 1에서는 2장)의 촬상 렌즈(4), 및 촬상 렌즈(4)를 유지하는 렌즈 배럴(5)을 갖고 있다. 렌즈 배럴(5)은 렌즈 구동 장치(2) 내의 렌즈 홀더(7)(홀더부)에 고정되어 있다. 촬상 렌즈(4)의 광축과 렌즈 배럴(5)의 축심은 일치하고 있다.
렌즈 구동 장치(2)는 전자력에 의해 광학부(1)를 광축 방향으로 구동한다. 다시 말해, 렌즈 구동 장치(2)는 무한원단으로부터 매크로단까지 사이에서 촬상 렌즈(4)를 상하 이동시킨다(광축 방향으로 구동시킴). 이에 따라, 카메라 모듈(100)이 오토 포커스 기능을 발휘한다.
또한, 촬상 렌즈(4)의 무한원단이란 무한원에 있는 피사체에 대하여 포커싱하는 위치를 의미하고, 촬상 렌즈(4)의 매크로단이란 소망의 매크로 거리(예를 들면 10㎝)에 있는 피사체에 대하여 포커싱하는 위치를 의미한다.
렌즈 구동 장치(2)는 촬상 렌즈(4)의 구동시에 광축 방향으로 이동되어 광학부(1)[촬상 렌즈(4)]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가동부, 및 촬상 렌즈(4)의 구동시에 위치가 변동되지 않는 고정부를 구비하고 있다. 가동부는 고정부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다. 가동부는 렌즈 홀더(7) 및 코일(8)(전자 구동 수단)을 갖고 있고, 고정부는 요크(9)(전자 구동 수단), 마그넷(영구 자석, 전자 구동 수단)(10a, 10b), 커버(11) 및 베이스(12)(베이스 부재)를 갖고 있다.
도 4에서는 요크(9)의 측면에 커버(11)의 측면을 설치하고 있지만, 요크(9)를 커버(11)의 측면부로서 사용하고 커버(11)의 천장면부를 수지 등으로 형성하여도 상관없다. 또는, 커버(11)를 금속으로 형성하여 전자파 노이즈의 영향을 제거 또는 경감하기 위한 실드 케이스로서의 역할을 갖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실드 케이스로서의 커버(11)의 일부를 그라운드에 전기적으로 접속해두는(즉, 전기적으로 접지해둠) 것이 바람직하다.
렌즈 구동 장치(2)는 구체적으로 렌즈 배럴(5)을 내부에 유지하는 렌즈 홀더(7)가 베이스(12)와 커버(11)에 의해 형성된 공간 내에 수용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렌즈 홀더(7)는 그 내부에 촬상 렌즈(4)를 유지한 렌즈 배럴(5)을 유지하고 있다. 렌즈 배럴(5) 및 렌즈 홀더(7)는 모두 중공 형상(통형 형상)의 부재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렌즈 배럴(5)의 외측면 및 렌즈 홀더(7)의 내측면에는 나사 절삭이 실시되어 있지 않고 평탄하다. 또한, 렌즈 배럴(5)과 렌즈 홀더(7)의 접착 강도를 높이기 위해서 렌즈 배럴(5) 및 렌즈 홀더(7)의 한쪽 또는 양쪽에 오목부를 형성하여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렌즈 배럴(5)의 외측면 및 렌즈 홀더(7)의 내측면에는 나사 절삭이 실시되어 있지 않으므로 렌즈 홀더(7)에 대하여 렌즈 배럴(5)을 광축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킴으로써[렌즈 배럴(5)은 렌즈 배럴(5)을 탑재하고 있는 렌즈 홀더(7)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가능함] 포커스 조정이 실시된다. 부품의 고정밀도화를 도모함으로써 포커스 조정을 행하지 않은 조립 구조에 대해서는 제 3 실시형태로서 후술한다. 또한, 렌즈 배럴(5)의 외측면 및 렌즈 홀더(7)의 내측면에 나사 절삭이 실시되어 있지 않은 이유에 대해서도 후술한다.
이어서, 도 1 및 도 2에 의거하여 촬상 렌즈(4), 렌즈 배럴(5) 및 렌즈 홀더(7)의 형상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카메라 모듈(100)에 있어서의 촬상 렌즈(4), 렌즈 배럴(5) 및 렌즈 홀더(7)의 형상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의 평면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렌즈 배럴(5)이나 렌즈 홀더(7)는 평면으로 볼 때 직사각형 형상이다. 그것은 도 1의 평면도 및 도 2의 사시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촬상 렌즈(4)의 외형이 평면으로 볼 때 직사각형 형상이기 때문이다. 마그넷(10a ,10b) 및 코일(8)은 촬상 렌즈(4)에 있어서의 상기 직사각형 형상의 적어도 1조의 서로 대향하는 변 각각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마그넷(10a ,10b) 및 코일(8)은 촬상 렌즈(4)에 있어서의 상기 직사각형 형상의 1조의 서로 대향하는 변 각각에만 배치되어 있다.
촬상 렌즈(4)는 유리 등으로 형성된 1장의 큰 시트 상에 다수의 렌즈 형상이 형성된 것을 복수장 중첩시킨 후 다이싱에 의해 개별 조각으로 절단된 것이다. 시트의 다이싱은 복수장 중첩시킨 후로 한정되지 않고, 중첩을 행하지 않은 1장의 시트를 다이싱하여도 상관없다.
촬상 렌즈(4)는 렌즈로서 기능하는 중앙부의 렌즈 본체(4a)(렌즈부), 및 렌즈 본체(4a)의 주위의 플랜지부(4b)로 이루어진다. 렌즈 본체(4a)의 외형은 평면으로 볼 때 대략 원 형상(바람직하게는 원 형상)이다. 촬상 렌즈(4)가 다이싱에 의해 개별 조각으로 절단된 것이므로 플랜지부(4b)의 외주위(4c)는 직사각형이 되고, 플랜지부(4b)의 내주위(4d)는 대략 원 형상(또는 원 형상)이 된다.
또한, 복수장을 중첩시킨 렌즈의 경우, 중첩시킨 후의 접착은 플랜지부(4b)에 있어서 행해진다. 이 때문에, 접착 강도를 보다 높이기 위해서는 플랜지부(4b)에 있어서 소정의 면적이 필요하게 된다.
본 실시형태의 촬상 렌즈(4)에서는 렌즈 본체(4a)의 외형이 평면으로 볼 때 대략 원형인 것, 및 렌즈 본체(4a)의 주위에 위치하는 플랜지부(4b)의 외형이 평면으로 볼 때 직사각형인 것에 의한 면적의 차이를 이용한다. 플랜지부(4b)의 면적은 대각 방향에서[촬상 렌즈(4)의 네 모퉁이에서]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평면으로 본 플랜지부(4b)의 외주위(4c)에 있어서의 4변 각각의 중점에 위치하는 부위(4m)의 두께(T)는 평면으로 본 플랜지부(4b)의 네 모퉁이의 두께(T')보다 얇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의 촬상 렌즈(4)의 제조에서는 평면으로 본 렌즈 본체(4a)의 면적과 평면으로 본 플랜지부(4b)의 면적의 차이가 가능한 작아지도록 다이싱을 행한다. 이에 따라, 촬상 렌즈(4) 그 자체의 외형 사이즈를 극히 작게 할 수 있음과 아울러 촬상 렌즈(4)의 대각 방향에 위치하는 플랜지부(4b)의 네 모퉁이에 있어서 접착에 필요한 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외형 사이즈의 축소와 접착 면적의 확보(접착 강도의 확보) 양쪽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촬상 렌즈(4)에서는 평면으로 본 플랜지부(4b)의 외주위(4c)에 있어서의 4변 각각의 중점에 위치하는 부위(4m)의 두께(T)를 종래의 촬상 렌즈(4)보다 좁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두께(T)를 좁게 한 만큼의 스페이스를 마그넷(10a ,10b)을 배치하기 위한 면적에 추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카메라 모듈(100)에서는 마그넷(10a ,10b)의 두께(Lm)를 종래의 카메라 모듈보다 두껍게 할 수 있으므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리플로 환경하의 온도에 대응할 때의 대책이 취하기 쉬워진다.
도 1에 있어서, 렌즈 홀더(7)의 내측에 있어서의 구멍(7h)의 사이즈는 렌즈 배럴(5)의 외형 사이즈보다 약간 크게 되고 렌즈 홀더(7)의 중앙에 렌즈 배럴(5)이 장착된다. 렌즈 홀더(7)의 축심은 촬상 렌즈(4)의 광축 및 렌즈 배럴(5)의 축심에 일치하고 있다. 렌즈 배럴(5)의 외형, 렌즈 홀더(7)의 구멍(7h)의 형상이 이와 같이 직사각형 형상이므로 종래의 카메라 모듈에서 널리 채용되고 있는 나사에 의해 높이 조정하는 구조는 채용될 수 없다(채용이 곤란함). 렌즈 홀더(7) 내에 있어서 렌즈 배럴(5)은 슬라이딩 가능하고, 나사를 설치하지 않아도 렌즈 배럴(5)의 높이 조정이 가능해진다.
렌즈 배럴(5)을 장착한 후 렌즈 배럴(5)의 광축 방향의 위치(높이)가 조정되고, 그 후 렌즈 홀더(7)와 렌즈 배럴(5)이 접착제 등으로 고정된다. 접착제로서는 예를 들면 열경화형 UV 접착제 또는 혐기성 UV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렌즈 배럴(5)의 광축 방향의 위치를 조정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렌즈 홀더(7)의 외주 단부에는 코일(8)이 고정되어 있다. 한편, 요크(9)의 내측면에는 코일(8)과 대향하도록 마그넷(10a ,10b)이 고정되어 있고, 요크(9)와 마그넷(10a ,10b)에 의해 자기 회로를 구성하고 있다.
베이스(12)는 렌즈 구동 장치(2)의 저부를 구성하고 있고, 촬상 소자(6)를 둘러싸는 센서 커버의 역할을 겸하고 있다. 이와 같이, 베이스와 센서 커버를 일체화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부품점수를 삭감할 수 있음과 아울러 부재의 중첩에 의한 높이 정밀도의 악화를 방지할 수 있다. 베이스(12)의 중앙부에는 광로를 확보하기 위해서 개구부(13)가 형성되어 있다.
렌즈 구동 장치(2)는 코일(8)과 마그넷(10a ,10b)에 의해 발생시킨 전자력에 의해 촬상 렌즈(4)를 광축 방향으로 구동한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마그넷(10a ,10b)에 의해 형성되는 자장 중에 위치하는 코일(8)에 전류를 흘려보낸다. 상기 전류를 흘려보냄으로써 발생되는 힘(전자력)에 의해 렌즈 홀더(7)를 광축 방향으로 구동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렌즈 홀더(7)의 내측에 수용된 촬상 렌즈(4)를 광축 방향으로 구동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렌즈 구동 장치(2)에서 렌즈 홀더(7)의 상하면(천장면 및 저면)에는 도시되지 않은 판 용수철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가동부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메라 모듈(100)을 조립한 상태에서는 렌즈 홀더(7)의 저면에 형성된 돌기(7a)가 베이스(12)에 접촉하면서 판 용수철의 탄성력에 의해 렌즈 홀더(7)는 하방향으로 여압이 가해져 있다. 렌즈 홀더(7)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12)에 접촉한 위치가 무한원측의 메커니즘단(mechanism end) 위치가 된다. 무한원측의 메커니즘단 위치에 있어서는 무한원에 있는 피사체에 대하여 포커싱하도록 촬상 렌즈(4)의 광축 방향의 위치를 조정할 필요가 있다. 조정 방법에 대해서는 상술한 대로이며 렌즈 배럴(5)의 광축 방향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촬상 렌즈(4)의 광축 방향의 위치가 조정된다.
촬상 소자(6)는 렌즈 구동 장치(2)에 의해 형성된 피사체상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소자이다. 즉, 렌즈 구동 장치(2)의 촬상 렌즈(4)를 통해서 수광된 광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센서 디바이스이다.
촬상 소자(6)는 예를 들면 CCD(charge coupled device: 전하 결합 디바이스)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Semiconductor: 상보성 금속산화막 반도체) 센서 IC이다. 촬상 소자(6)의 표면(상면)에는 복수의 화소가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된 수광부(도시 생략)가 형성되어 있다. 이 수광부는 렌즈 구동 장치(2)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결상하는 영역이며, 화소 에리어로도 바꾸어 말할 수 있다.
촬상 소자(6)는 상기 수광부에 입사된 광(즉, 상기 화소 에리어에 입사된 광)을 결상함으로써 형성된 피사체상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아날로그의 화상 신호로서 출력한다. 즉, 이 수광부에서 광전 변환이 행해진다. 촬상 소자(6)의 동작은 도시되지 않은 DSP(Digital Signal Processor: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로 제어되고, 촬상 소자(6)에서 생성된 화상 신호는 DSP로 처리된다.
기판부(3)는 도시되지 않은 패터닝된 배선을 갖는다. 이 배선에 의해 기판부(3)과 촬상 소자(6)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기판부(3)는 예를 들면 프린트 기판 또는 세라믹 기판 등이다. 기판부(3)에는 도시되지 않은 촬상 소자(6) 주변의 회로 부품도 탑재되지만, 상기 회로 부품은 기판부(3)의 표면에 탑재되어 있어도 좋고, 기판부(3)의 내부에 내장되어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촬상 소자(6)에 입사된 광이 광전 변환되고, 변환된 전기 신호가 기판부(3)를 통하여 도시되지 않은 제어 회로(예를 들면, 상기 DSP) 등에 입력되어 상기 제어 회로에 있어서 화상 신호로서 인출된다.
베이스(12)의 촬상 소자(6)측의 면에는 IR 커트 필터(1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12)의 하측면에는 볼록부(12a)가 형성되어 있고, 이 볼록부(12a)가 촬상 소자(6)의 상면에 접촉하는 기준면을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렌즈 구동 장치(2)를 직접 촬상 소자(6)면에 적재하는 칩 접촉 구조를 채용하고 있다. 다시 말해, 기판부(3) 상에 촬상 소자(6)가 설치되고, 그 촬상 소자(6) 상에 직접 렌즈 구동 장치(2)가 설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렌즈 구동 장치(2)가 탑재되었을 때의 높이는 촬상 소자(6) 상에서 촬상 소자(6)와 접촉하는 볼록부(12a)의 높이에 의해 결정된다. 이 때문에, 베이스(12)의 하면측, 즉 베이스(12)와 기판부(3) 사이에는 약간의 간극이 형성되어 있고, 이 간극을 충전하도록 접착제(15)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카메라 모듈(100)에서는 상술한 칩 접촉 구조를 채용한다. 이에 따라, 칩면에 대하여 베이스(12)와 렌즈 홀더(7)를 개재한 상태에서 렌즈 배럴(5) 및 촬상 렌즈(4)가 장착된다. 이 때문에, 기판부(3)의 휘어짐의 영향 등을 받지 않고 촬상 소자(6)에 대한 틸트가 보다 낮은 상태에서 촬상 렌즈(4)를 장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후술하는 바와 같이 촬상 렌즈(4)의 높이 위치를 조정하지 않고, 부재 정밀도만으로 위치 결정하는 방식의 경우에는 틸트에 대하여 유효한 구조가 됨과 아울러, 높이 위치의 고정밀도화에 대해서도 많이 유효한 구조가 된다.
(카메라 모듈의 제 2 실시형태)
이어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 5 및 도 6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의 카메라 모듈(200)의 사시도이다. 도 5의 카메라 모듈(200)의 A-A 화살표로부터 본 단면도로 나타내어지는 구조는 도 4와 같은 구조이며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카메라 모듈(200)에 있어서의 도 4의 B-B 화살표로부터 본 단면도에 상당하는 도면이 도 6이다. 도 3 및 도 4에 기재된 부재와 같은 기능을 갖는 부재에 대하여는 같은 참조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도 4의 카메라 모듈(100)과 도 6의 카메라 모듈(200)의 다른 점에 대해서 도 4의 카메라 모듈(100)에 있어서는 직사각형 형상의 촬상 렌즈(4)의 2변을 따라 요크(9)가 배치되어 있었다. 이에 대하여, 도 6의 카메라 모듈(200)에 있어서는 직사각형 형상의 촬상 렌즈(4)의 4변(2조의 서로 대향하는 변) 각각을 따라 요크(9)가 배치되어 있다.
도 6의 카메라 모듈(200)에서는 코너부에 데드 스페이스가 생기고, 풋 프린트(점유 스페이스)의 점에서는 도 2의 카메라 모듈보다 불리하지만, 4개의 상기 코너부에 각각 요크(9)를 배치하는 구조보다는 공간 절약화가 가능하다.
또한, 추력의 발생 개소가 4개소가 되므로 고추력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도 5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추력의 발생 개소가 4개소 있는 종래의 카메라 모듈과 마찬가지로 투영 형상은 거의 정사각형이라고 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의 제 3 실시형태)
이어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 7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실시형태의 카메라 모듈(300)의 도 4에 상당하는 단면도이다. 도 4에 기재된 부재와 같은 기능을 갖는 부재에 대하여는 같은 참조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도 4의 카메라 모듈(100)과 도 7의 카메라 모듈(300)의 다른 점은 렌즈 배럴(5)의 형상, 및 렌즈 배럴(5)의 렌즈 홀더(7)로의 장착 구조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부품의 고정밀도화를 도모함으로써 포커스 조정을 행하지 않는 조립 구조를 채용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렌즈 홀더(7)가 무한원측의 메커니즘단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렌즈 배럴(5)도 베이스(12)에 접촉하고 있고, 이러한 상태에서 렌즈 배럴(5)이 렌즈 홀더(7)에 접착 고정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포커싱 상태가 되도록 촬상 렌즈(4)는 렌즈 배럴(5)에 대하여 고정밀도로 장착되거나 또는 약간의 장착 오차를 예상하여 조금 스트로크된 위치에서 포커싱이 되는 위치에 조립되어 있다. 베이스(12)는 도 4와 마찬가지로 촬상 소자(6) 상에 직접 적재되어 고정밀도화가 도모되고 있다. 렌즈 배럴(5)이 베이스(12)에 접촉되는 구조를 채용한 후에 촬상 렌즈(4)의 장착 위치를 적절히 조정하는 것만으로 좋으므로 포커스 조정의 공정이 불필요하게 되어 가공 비용의 저감이 가능해진다.
(카메라 모듈의 제 4 실시형태)
이어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 12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본 실시형태의 카메라 모듈(400)의 도 4에 상당하는 단면도이다. 도 4에 기재된 부재와 같은 기능을 갖는 부재에 대하여는 같은 참조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카메라 모듈로서 완성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에 대하여, 도 12는 조립 도중 단계에서의 렌즈 배럴이 위치 결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의 카메라 모듈(100)에 있어서 렌즈 배럴(5)은 렌즈 홀더(7) 내를 슬라이딩하여 광학적으로 최적 위치를 구하여 고정되는 것을 상정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 도 12의 카메라 모듈(400)에 있어서 렌즈 배럴(5)은 지그를 사용함으로써 높이 방향에 있어서 위치 결정이 되어 있다.
도 12는 카메라 모듈에 있어서 렌즈 구동 장치(2)의 저면측에 IR 커트 필터(14)나 촬상 소자(6), 기판부(3) 등이 고정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이들 부재 대신에 렌즈 구동 장치(2)는 높이 위치 결정 지그(20) 상에 탑재되어 있다.
높이 위치 결정 지그(20)는 돌출부(20a)를 구비하고 있다. 돌출부(20a) 상에 렌즈 배럴(5)을 접촉시킴으로써 렌즈 배럴(5)이 소정의 높이에 위치 결정되도록 돌출부(20a)의 높이가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위치 결정된 상태에서 도시되지 않은 접착제에 의해 렌즈 배럴(5)을 렌즈 홀더(7)에 고정함으로써 렌즈 배럴(5)의 위치가 고정밀도로 결정된 후에 렌즈 배럴(5)이 고정되게 된다.
이 후, 높이 위치 결정 지그(20)를 분리하고, 렌즈 구동 장치(2)의 저면측에 IR 커트 필터(14)를 고정한다. IR 커트 필터(14)의 고정과 아울러 촬상 소자(6)가 탑재된 기판부(3)에 대하여 렌즈 구동 장치(2)의 베이스(12)의 볼록부(12a)가 촬상 소자(6)의 표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렌즈 구동 장치(2)와 기판부(3)를 접착 고정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본 실시형태의 카메라 모듈이 얻어진다.
〔코일, 요크, 마그넷의 구조, 리플로 환경하의 온도로의 대응〕
이어서, 코일, 요크, 마그넷의 구조와 리플로 환경하의 온도로의 대응의 관계에 대해서 도 8 ~ 도 10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마그넷(10a ,10b), 요크(9), 코일(8)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마그넷(10a ,10b), 요크(9), 코일(8)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종래의 발명의 실시형태 및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마그넷의 감자 곡선과 퍼미언스 계수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우선, 도 10을 사용하여 리플로 온도에서의 영구 감자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은 일반적인 마그넷의 감자 곡선을 나타내고 있다. 도 10으로부터도 명확해지는 바와 같이, 감자 곡선은 온도 특성을 갖고 있고, 고온이 됨에 따라 자속 밀도도 자계도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특징적인 경향으로서 도 10의 예에서는 220℃에 있어서 Knee으로 불리는 굴곡점(Knee 포인트)이 감자 곡선 상에 생기게 되는 것이다. 물론, Knee가 발생하는 온도, 위치는 마그넷의 재질이나 그레이드에 따라 다르다.
일반적으로, Sm-Co계 마그넷에서는 굴곡점(Knee)이 생기기 어렵고, NdFeB계 마그넷에서는 생기기 쉽다. 또한, 마그넷의 에너지 적(積)이 작은 쪽이 굴곡점(Knee)의 위치에서의 자속 밀도가 작아지는 경향이 있다.
마그넷을 사용하여 자기 회로를 구성한 경우 자기 회로의 구조, 사이즈 등에 의해 결정되는 퍼미언스 계수(p)가 중요하다. 퍼미언스 계수(p)의 값에 따라 그려진 직선과 감자 곡선의 교점이 자석의 동작점이 되고, 자석의 동작점의 자속 밀도가 굴곡점(Knee)에 있어서의 자속 밀도보다 충분히 크면 고온에 있어서 일단 감자하지만, 이 감자는 상당한 가역성을 갖고 있고, 온도가 저하되면 거의 원래의 상태로 돌아간다.
한편, 자석의 동작점의 자속 밀도가 굴곡점(Knee)에 있어서의 자속 밀도와 거의 같은 경우, 또는 자석의 동작점의 자속 밀도가 굴곡점(Knee)에 있어서의 자속 밀도보다 작은 경우에는 고온에서의 감자의 일부가 불가역 감자가 되고, 온도가 저하되어도 완전히는 원래의 자기 특성으로 돌아오지 않는 영구 감자가 되어 렌즈 구동 장치의 성능을 열화시켜버리게 된다.
리플로의 조건은 여러가지이지만 일반적으로 230℃로부터 260℃ 정도의 환경에 10초부터 수10초 정도 노출되게 된다. 따라서, 리플로 환경하의 온도에 있어서 영구 감자를 생기게 하지 않기 위해서는 마그넷의 재질, 그레이드를 정확하게 선택하는 것도 리플로에 대응시키기 위한 하나의 방법이다.
여기서, 리플로에 견딜 수 있는 마그넷은 일반적으로 굴곡점(Knee)의 위치에서의 자속 밀도가 작아지도록 에너지 적이 작아진다. 이 때문에, 최초부터(고온 환경하에 놓이기 전부터) 자기 특성에 의한 성능이 저하되고 있다고도 말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에너지 적의 감소에 의한 성능 저하와는 별도로 자기 회로의 퍼미언스 계수(p)가 높아지도록 설계하여 리플로 환경하의 온도에 있어서의 자석의 동작점에서의 자속 밀도가 굴곡점(Knee)의 자속 밀도보다 충분히 높아지도록 하는 것도 리플로에 대응시키기 위한 하나의 방법이다.
마그넷의 두께를 Lm, 마그넷의 자극면의 표면적을 Am, 자기 갭(gap)의 단면적을 Ag, 자기 갭의 길이를 Lg, 누설 계수를 σ, 기자력 손실 계수를 f로 나타내면 퍼미언스 계수(p)는,
p = (Lm/Am)*(Ag/Lg)*(σ/f)
로 나타내어진다. 마그넷의 자극면이 자기 갭면이 되는 경우는 Am=Ag가 된다. 이 때문에, 퍼미언스 계수(p)를 크게 하기 위해서는 마그넷의 두께(Lm)를 크게 하거나 마그넷의 자극면의 표면적(Am)을 작게 하면 좋게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그넷(10a)과 마그넷(10b)을 적층하여 구성함으로써 다른 자극면을 인접하여 배치한 2극 마그넷 구조를 채용하고 있다. 도 9의 예에서 상측의 마그넷(10a)(제 1 마그넷부)은 N극이 코일(8)에 대향하고, 하측의 마그넷(10b)(제 2 마그넷부)은 S극이 코일(8)에 대향하고 있다(극성이 다름). 그 때문에, 마그넷(10a)으로부터 유래한 자속(Φ)은 마그넷(10a)의 N극으로부터 마그넷(10b)의 S극을 향하고,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코일(8)을 가로 절단한다. 자속(Φ)이 쇄교하는 코일(8)에 전류를 흘려보내면 플레밍의 왼손 법칙에 따라서 전자력이 생긴다. 이 예에서는 코일(8)을 가동부측에, 요크(9)와 마그넷(10a ,10b)을 고정부측에 배치하고 있고, 코일(8)에 전류를 흘려보냄으로써 코일(8)이 움직인다.
마그넷(10a ,10b)의 코일(8)이 대향하는 면과 반대측의 면에는 자성체로 이루어진 요크(9)가 접하여 설치되어 있고, 요크(9)는 마그넷(10a ,10b)의 광축에 수직한 면에 선단이 돌출된 대략 コ자형 형상(또는 대략 U자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함으로써 코일(8), 요크(9) 및 마그넷(10a ,10b)이 구성하는 자기 회로의 자기 저항을 보다 낮게 할 수 있으므로 퍼미언스 계수(p)를 보다 높이는 것도 가능해진다. 퍼미언스 계수(p)는 자기 회로를 구성하는 각각의 부재의 치수에도 의하지만, p=1.5 정도까지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마그넷을 2극으로 하지 않고, 요크도 コ자가 아닌 배면에만 배치하는 구조의 경우, 퍼미언스 계수(p)는 0.5 이하 정도가 된다. 따라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은 자기 회로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퍼미언스 계수(p)를 높일 수 있고, 리플로 환경하의 온도에서 굴곡점(Knee)이 생기는 마그넷(10a ,10b)을 사용한 경우에도 영구 감자를 극히 야기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도 9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은 2극 마그넷 구조에 대하여 코일(8)은 도 8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구멍난 타원형 형상(대략 타원형 형상)이다. 도 9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은 위치에서 코일(8)의 상하 부분에 흐르는 전류는 도 9의 화살표로 나타내듯이 서로 역방향이 되고, 마그넷(10a ,10b)으로부터는 역방향의 자속이 작용되므로 전자력은 코일(8)의 상하 부분의 어느 쪽에도 같은 방향으로 작용하게 된다. 전류 및 자속이 도 9에 나타내어지는 상태에서 코일(8)은 위로 이동한다.
또한, 리플로 환경하의 온도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코일(8)도 공심(空芯)이 아니고 렌즈 홀더(7)에 대하여 직접 감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일(8)로서 자기 용착 선을 사용한 경우, 그 용착력은 120~130℃ 정도에서 반감한다. 다시 말해, 예를 들면 230℃로부터 260℃ 정도의 리플로 온도에서는 코일선끼리의 접착력은 거의 없어져 버리므로 공심 코일에서는 코일선의 흩어짐이 생긴다. 따라서, 코일(8)로서 자기 용착선을 사용한 경우는 렌즈 홀더로의 직접 감음이 필수적이다.
또한, 코일(8)의 단자의 형성 처리에 땜납을 사용하면 리플로 온도에서 땜납이 재용융될 가능성이 있다. 단자의 형성 처리에 사용하는 땜납의 용융 온도보다 낮은 용융 온도의 땜납을 리플로에 사용하거나 또는 코일(8)의 단자의 형성 처리에 땜납을 사용하지 않고 리플로용 땜납보다 높은 온도에서 경화되는 도전성 페이스트를 사용하는 등, 마그넷(10a, 10b) 이외의 부분에서도 리플로 대응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게 된다.
〔변 배치와 코너 배치〕
상기 기재에서 마그넷(10a ,10b)은 평면으로 볼 때 직사각형 형상이었지만,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카메라 모듈에서는 평면으로 볼 때 삼각형 형상의 마그넷(20)을 사용하여도 좋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형태의 카메라 모듈에 있어서의 마그넷의 배치의 설명도이다. 도 11의 (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카메라 모듈에 있어서 평면으로 볼 때 삼각형 형상의 마그넷(20)을 평면으로 볼 때 직사각형 형상의 촬상 렌즈(4)의 각 변을 따라 배치한 변 배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LL은 평면으로 볼 때 직사각형 형상의 촬상 렌즈(4)의 한 변의 길이이다.
도 11의 (b)는 종래의 카메라 모듈에 있어서 평면으로 볼 때 삼각형 형상의 마그넷을 평면으로 볼 때 직사각형 형상의 촬상 렌즈의 코너(네 모퉁이)에 배치한 코너 배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의 (c)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카메라 모듈에 있어서 평면으로 볼 때 직사각형 형상의 마그넷(10a ,10b)을 평면으로 볼 때 직사각형 형상의 촬상 렌즈(4)의 1조의 서로 대향하는 변을 따라 배치한 변 배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의 (d)는 종래의 카메라 모듈에 있어서 평면으로 볼 때 직사각형 형상의 마그넷(10a ,10b)을 평면으로 볼 때 직사각형 형상의 촬상 렌즈(4)에 있어서 마주보는 2개의 코너에 배치한 코너 배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의 (a)~(d)에 나타낸 각 치수에 관해서 간극 등의 치수는 생략하고 있다.
도 11의 (a)와 도 11의 (b)를 비교하면 도 11의 (b)의 코너 배치보다 도 11의 (a)의 변 배치쪽이 카메라 모듈을 소형화할 수 있다. 도 11의 (c) 및 도 11의 (d)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도 11의 (d)의 코너 배치보다 도 11의 (c)의 변 배치쪽이 카메라 모듈을 소형화할 수 있다.
평면으로 볼 때 삼각형 형상의 마그넷(20)에서는 정점 부분의 두께(Lm)에 비해 완만하게 경사진 부분의 두께가 얇아지고 영구 감자가 생길 가능성이 마그넷(10a ,10b)보다 높지만 코일이나 요크의 형상·치수를 적절히 설계하여 퍼미언스 계수(p)를 높임으로써 도 11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면으로 볼 때 삼각형 형상의 마그넷(20)을 사용하여도 좋다.
(카메라 모듈의 제 5 실시형태)
이어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 13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본 실시형태의 카메라 모듈(500)에 있어서의 촬상 렌즈(4), 렌즈 배럴(5) 및 렌즈 홀더(7)의 형상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지금까지의 실시형태에서는 가동부에 코일을, 고정부에 마그넷을 배치하는 형태로 설명해왔다. 이에 대하여, 도 13의 카메라 모듈(500)에서는 가동부에 마그넷을 배치함과 아울러, 고정부에 코일과 자성체를 배치하고 있다.
도 13의 구성은 특허문헌 5의 구성에 근접하지만, 탑재되어 있는 렌즈의 형상이 달라 직사각형 렌즈에 적합한 마그넷, 코일 등의 배치를 제안한 것이다.
도 13의 평면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렌즈 배럴(5)이나 렌즈 홀더(7)는 평면으로 볼 때 직사각형 형상이다[엄밀하게 말하면, 렌즈 홀더(7)는 팔각형 형상임].
도 13의 카메라 모듈(500)에서는 4장의 평판 형상 마그넷(10)이 렌즈 홀더(7)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마그넷(10)에 대향하여 카메라 모듈의 4개소의 코너부에 삼각형 형상의 코일(8)이 고정되어 있다.
코일(8)의 중앙부에는 자성체(21)가 설치되어 있고, 자성체(21)와 마그넷(10) 사이에서 자기적 흡인력이 작용하고 있다. 이 자기적 흡인력이 작용하고 있는 상태에서 코일(8)에 전류를 흘림으로써 마그넷(10)과 코일(8)의 상호 작용에 의해 렌즈 홀더(7)가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해진다.
렌즈 홀더(7)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가동)하게 지지하기 위한 가이드 구조로서는, 특허문헌 5와 마찬가지로, 커버(11)의 내부로 돌출된 돌기(11a)가 가이드가 되는 예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가이드 구조는 이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문헌 6과 같이 가이드 축을 사용하여 가이드하는 구성이어도 상관없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자기적 흡인력을 이용하여 렌즈 홀더(7)의 위치 유지가 가능하다. 이것과 아울러, 가이드 축과 자기적 흡인력의 상승 작용에 의해 가동부와 고정부 사이에 마찰력이 작용한다. 이 때문에, 초점 위치가 변화되지 않는 상황에서의 코일로의 통전이 불필요하게 되어 저소비 전력화가 가능해진다.
또한, 마그넷으로서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평8-335508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본드 자석을 사용함으로써 리플로시에 있어서의 마그넷의 열감자의 영향을 저감할 수 있다.
본드 자석과 같은 마그넷에는 마그넷의 재료가 되는 자성분끼리를 가두기 위한 수지 재료가 포함된다. 이 때문에, 통상의 소결 마그넷에 비해 아무래도 자기적인 파워(마그넷의 에너지 적)이 저하되어 버린다.
그렇지만, 자기적 흡인력이나 마찰력에 의해 무통전시에도 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구조에 본드 자석과 같은 마그넷을 사용함으로써 파워 저하분을 보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전류를 일시적으로 많이 흘려도 전체 소비 전력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짐).
또한, 본드 자석은 페라이트 자석 등의 자석을 분쇄하여 고무나 플라스틱에 이겨서 넣은 자석이다.
(카메라 모듈의 제 6 실시형태)
이어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 14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본 실시형태의 카메라 모듈(600)에 있어서의 촬상 렌즈(4), 렌즈 배럴(5) 및 렌즈 홀더(7)의 형상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4의 카메라 모듈(600)에서는 도 13의 카메라 모듈(500)과 마찬가지로 가동부에 마그넷을, 고정부에 코일과 자성체를 배치하고 있다. 도 14의 구성은 특허문헌 6의 구성에 근접하지만, 탑재되어 있는 렌즈의 형상이 달라 직사각형 렌즈에 적합한 마그넷, 코일 등의 배치를 제안한 것이다.
도 14의 평면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렌즈 배럴(5)이나 렌즈 홀더(7)는 평면으로 볼 때 직사각형 형상이다. 4장의 평판 형상 마그넷(10)이 렌즈 홀더(7)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마그넷(10)에 대향하여 카메라 모듈의 커버(11) 내측 전체 둘레에 직사각형 형상의 코일(8)이 고정되어 있다.
커버(11)는 자성체로 구성되어 있고 커버(11)와 마그넷(10) 사이에서 자기적 흡인력이 작용하고 있다. 이 자기적 흡인력이 작용하고 있는 상태에서 코일(8)에 전류를 흘림으로써 마그넷(10)과 코일(8)의 상호 작용에 의해 렌즈 홀더(7)가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해진다.
렌즈 홀더(7)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가동)하게 지지하기 위한 가이드 구조로서는, 특허문헌 6과 마찬가지로, 렌즈 홀더(7)의 2개소의 구멍(7a, 7b)에 삽입된 2개의 가이드 축(22)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가이드 구조는 이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구성이어도 상관없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자기적 흡인력을 이용하여 렌즈 홀더(7)의 위치 유지가 가능하다. 이것과 아울러, 가이드 축(22)(안내부)과 자기적 흡인력의 상승 작용에 의해 가동부와 고정부 사이에 마찰력이 작용한다. 이 때문에, 초점 위치가 변화되지 않는 상황에서의 코일로의 통전이 불필요하게 되어 저소비 전력화가 가능해진다.
또한, 마그넷으로서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평8-335508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본드 자석을 사용함으로써 리플로시에 있어서의 마그넷의 열감자의 영향을 저감할 수 있다.
본드 자석과 같은 마그넷은 마그넷의 재료가 되는 자성분끼리를 가두기 위한 수지 재료가 포함된다. 이 때문에, 통상의 소결 마그넷에 비해 아무래도 자기적인 파워(마그넷의 에너지 적)가 저하되어 버린다.
그렇지만, 자기적 흡인력이나 마찰력에 의해 무통전시에도 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구조에 본드 자석과 같은 마그넷을 사용함으로써 파워 저하분을 보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전류를 일시적으로 많이 흘려도 전체 소비 전력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짐).
또한, 본드 자석은 페라이트 자석 등의 자석을 분쇄하여 고무나 플라스틱에 이겨서 넣은 자석이다.
상기 카메라 모듈에서 상기 촬상 렌즈는 평면으로 볼 때 대략 원 형상의 렌즈부, 및 그 렌즈부의 외측에 형성되어 외주위가 평면으로 볼 때 직사각형 형상인 플랜지부를 갖고 있고,
평면으로 본 상기 플랜지부의 외주위에 있어서의 4변 각각의 중점에 위치하는 부위의 두께는 평면으로 본 상기 플랜지부의 네 모퉁이의 두께보다 얇아도 좋다.
이에 따라, 상기 촬상 렌즈 렌즈부에 보다 근접하여 렌즈 구동부의 코일이나 마그넷을 배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렌즈 구동부의 풋 프린트를 작게 한 카메라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랜지부의 외주위에 있어서의 4변 각각의 중점에 위치하는 부위의 두께는 상기 플랜지부의 네 모퉁이에 있어서의 두께보다 좁다. 따라서, 중점부의 두께가 좁은 만큼 마그넷의 두께를 두껍게 할 수 있고 자기 회로의 퍼미언스 계수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리플로시에 자속 밀도가 저하되어도 감자 곡선에 있어서의 굴곡점(Knee)에 있어서의 자속 밀도보다 큰 자속 밀도로 할 수 있다. 따라서, 리플로시의 열감자에 있어서의 영구 감자를 방지하여 자기 특성에 관한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리플로 환경하의 온도에 대응한 카메라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에서 상기 마그넷은 제 1 마그넷부와 제 2 마그넷부를 적층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마그넷부의 상기 코일에 대향하는 자극과, 상기 제 2 마그넷부의 상기 코일에 대향하는 자극은 극성이 달라도 좋다. 단일의 자극이 코일에 대향하고 있는 경우에 비해 1극당 자극의 면적을 반감할 수 있어서 자기 회로의 퍼미언스 계수를 높일 수 있으므로 리플로시의 열감자에 있어서의 영구 감자의 영향을 완화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에서는 상기 제 1 마그넷부 및 상기 제 2 마그넷부의 상기 코일에 대향하는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자성체로 이루어진 요크를 구비하고, 상기 요크는 상기 마그넷의 광축에 수직한 면에 선단이 돌출된 대략 コ자형 형상을 하고 있어도 좋다.
상기 요크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코일, 상기 요크, 상기 제 1 마그넷부 및 상기 제 2 마그넷부가 구성하는 자기 회로의 자기 저항을 보다 낮게 할 수 있으므로 자기 회로의 퍼미언스 계수를 높일 수 있고 리플로시의 열감자에 있어서의 영구 감자의 영향을 완화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에서 상기 렌즈 유지 부재는 상기 렌즈 유지 부재를 탑재하고 있는 상기 홀더부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가능하여도 좋다.
상기 렌즈 유지 부재를 상기 홀더부의 내부에서 슬라이딩시킴으로써 광축 방향의 높이 조정이 가능하다. 상기 렌즈 유지 부재가 평면으로 볼 때 직사각형 형상인 경우에는 나사에 의한 광축 방향의 높이 조정이 곤란하지만, 상기 발명에 의하면 나사를 설치하지 않아도 상기 렌즈 유지 부재의 높이 조정이 가능해진다.
상기 카메라 모듈에서 상기 렌즈 유지 부재는 상기 홀더 내부에서 슬라이딩하면서 높이 위치 결정 지그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상기 홀더에 대하여 고정되어도 좋다.
슬라이딩 가능한 상기 렌즈 유지 부재를 상기 높이 위치 결정 지그에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렌즈 유지 부재의 위치 결정을 행한다. 그리고, 위치 결정된 상태에서 상기 렌즈 유지 부재를 고정한다. 따라서, 포커스 조정 공정을 행하지 않고 직사각형 렌즈를 고정밀도로 위치 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카메라 모듈에서 상기 렌즈 구동부는 상기 촬상 소자측의 저면을 형성하는 베이스 부재를 갖고 있고, 상기 렌즈 유지 부재는 상기 렌즈 유지 부재가 상기 베이스 부재에 접촉하고 있어도 좋다.
상기 발명에 의하면 상기 촬상 렌즈의 장착 위치를 적절히 조정하는 것만으로 좋으므로 포커스 조정의 공정이 불필요하게 되어 가공 비용의 저감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렌즈 유지 부재가 평면으로 볼 때 직사각형 형상인 경우에는 나사에 의한 광축 방향의 높이 조정이 곤란하지만, 상기 발명에 의하면 나사를 설치하지 않아도 상기 렌즈 유지 부재의 광축 방향의 위치가 고정밀도로 위치 결정된다.
상기 카메라 모듈에서 상기 마그넷 및 상기 코일은 상기 촬상 렌즈에 있어서의 상기 직사각형 형상의 1조의 서로 대향하는 변 각각에만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어느 것도 좋다. 이에 따라, 4변(2조의 서로 대향하는 변)에 마그넷을 배치하는 경우에 비해 풋 프린트를 작게 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에서 상기 마그넷은 상기 홀더부에 설치되고, 상기 코일은 상기 고정부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고정부의 일부에 자성체를 배치하고 있어도 좋다.
이에 따라, 상기 마그넷과 상기 자성체 사이에서 자기적 흡인력이 작용한다. 따라서, 그 자기적 흡인력을 이용한 상기 홀더부의 위치 유지가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상기 코일로의 통전이 불필요하게 되고 소비 전력의 저감이 가능해진다.
또한, 리플로로 대응하는 것에 따라 파워가 작은 마그넷을 사용한 경우에도 소비 전력의 증가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카메라 모듈에서는 상기 홀더부를 광축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지지하기 위한 안내부를 구비하여도 좋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상기 안내부와 자기적 흡인력의 상승 작용에 의해 상기 렌즈 구동부의 가동부와 상기 렌즈 구동부의 고정부 사이에 마찰력이 작용한다. 이 때문에, 초점 위치가 변화되지 않는 상황에서의 상기 코일로의 통전이 불필요하게 되어 저소비 전력화가 가능해진다.
상기 카메라 모듈에서 상기 마그넷은 본드 자석이어도 좋다. 본드 자석을 사용함으로써 리플로시에 있어서의 마그넷의 열감자의 영향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항에 나타낸 범위에서 여러가지 변경이 가능하고, 다른 실시형태에 각각 개시된 기술적 수단을 적절히 조합시켜 얻어지는 실시형태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웨이퍼 레벨 렌즈를 대표 예로서 설명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이싱 등의 방법에 의해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렌즈에 대하여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은 풋 프린트를 작게 할 수 있고, 또한 리플로로의 대응도 고려하고 있으므로 휴대용 단말 등의 통신 기기를 비롯한 각종 전자 기기에 탑재되는 카메라 모듈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100, 200, 300, 400, 500, 600: 카메라 모듈
1: 광학부 2: 렌즈 구동 장치(렌즈 구동부)
3: 기판부 4: 촬상 렌즈
4a: 렌즈 본체(렌즈부) 4b: 플랜지부
4c: 외주위 4d: 내주위
4m: 중점에 위치하는 부위 5: 렌즈 배럴(렌즈 유지 부재)
6: 촬상 소자 7: 렌즈 홀더(홀더부)
7a: 돌기 8: 코일(전자 구동 수단)
9: 요크(전자 구동 수단) 10a, 10b: 마그넷(전자 구동 수단)
10a: 마그넷(제 1 마그넷부) 10a: 마그넷(제 2 마그넷부)
11: 커버 12: 베이스
12a: 볼록부 13: 개구부
14: IR 커트 필터 15: 접착제
20: 마그넷 21: 자성체
22: 가이드 축(안내부) Knee: 굴곡점
p: 퍼미언스 계수

Claims (20)

  1. 삭제
  2. 촬상 렌즈 및 그 촬상 렌즈를 유지하는 렌즈 유지 부재를 갖는 광학부,
    상기 촬상 렌즈를 광축 방향으로 움직이는 렌즈 구동부에 포함되고 상기 렌즈 유지 부재를 내부에 유지하며 렌즈 구동부의 고정부에 대하여 광축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홀더부,
    상기 촬상 렌즈를 통해서 입사된 광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촬상 소자, 및
    상기 촬상 소자가 탑재된 기판부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로서:
    상기 렌즈 구동부는 마그넷과 코일을 사용하여 전자력으로 촬상 렌즈를 구동하는 전자 구동 수단을 갖고;
    상기 촬상 렌즈는 평면으로 볼 때 직사각형 형상이고;
    상기 직사각형 형상의 적어도 1조의 서로 대향하는 변 각각을 따라 상기 마그넷 및 상기 코일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촬상 렌즈는 평면으로 볼 때 원 형상의 렌즈부, 및 그 렌즈부의 외측에 형성되어 외주위가 평면으로 볼 때 직사각형 형상인 플랜지부를 갖고 있고,
    평면으로 본 상기 플랜지부의 외주위에 있어서의 4변 각각의 중점에 위치하는 부위의 두께는 평면으로 본 상기 플랜지부의 네 모퉁이의 두께보다 얇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3. 촬상 렌즈 및 그 촬상 렌즈를 유지하는 렌즈 유지 부재를 갖는 광학부,
    상기 촬상 렌즈를 광축 방향으로 움직이는 렌즈 구동부에 포함되고 상기 렌즈 유지 부재를 내부에 유지하며 렌즈 구동부의 고정부에 대하여 광축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홀더부,
    상기 촬상 렌즈를 통해서 입사된 광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촬상 소자, 및
    상기 촬상 소자가 탑재된 기판부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로서:
    상기 렌즈 구동부는 마그넷과 코일을 사용하여 전자력으로 촬상 렌즈를 구동하는 전자 구동 수단을 갖고;
    상기 촬상 렌즈는 평면으로 볼 때 직사각형 형상이고;
    상기 직사각형 형상의 적어도 1조의 서로 대향하는 변 각각을 따라 상기 마그넷 및 상기 코일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마그넷은 제 1 마그넷부와 제 2 마그넷부를 적층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마그넷부의 상기 코일에 대향하는 자극과 상기 제 2 마그넷부의 상기 코일에 대향하는 자극은 극성이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넷은 제 1 마그넷부와 제 2 마그넷부를 적층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마그넷부의 상기 코일에 대향하는 자극과 상기 제 2 마그넷부의 상기 코일에 대향하는 자극은 극성이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마그넷부 및 상기 제 2 마그넷부의 상기 코일에 대향하는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자성체로 이루어진 요크를 구비하고,
    상기 요크는 상기 마그넷의 광축에 수직한 면에 선단이 돌출된 コ자형 형상을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마그넷부 및 상기 제 2 마그넷부의 상기 코일에 대향하는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자성체로 이루어진 요크를 구비하고,
    상기 요크는 상기 마그넷의 광축에 수직한 면에 선단이 돌출된 コ자형 형상을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7. 삭제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유지 부재는 상기 렌즈 유지 부재를 탑재하고 있는 상기 홀더부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9. 삭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유지 부재는 상기 홀더 내부에서 슬라이딩하면서 높이 위치 결정 지그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상기 홀더에 대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11. 촬상 렌즈 및 그 촬상 렌즈를 유지하는 렌즈 유지 부재를 갖는 광학부,
    상기 촬상 렌즈를 광축 방향으로 움직이는 렌즈 구동부에 포함되고 상기 렌즈 유지 부재를 내부에 유지하며 렌즈 구동부의 고정부에 대하여 광축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홀더부,
    상기 촬상 렌즈를 통해서 입사된 광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촬상 소자, 및
    상기 촬상 소자가 탑재된 기판부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로서:
    상기 렌즈 구동부는 마그넷과 코일을 사용하여 전자력으로 촬상 렌즈를 구동하는 전자 구동 수단을 갖고;
    상기 촬상 렌즈는 평면으로 볼 때 직사각형 형상이고;
    상기 직사각형 형상의 적어도 1조의 서로 대향하는 변 각각을 따라 상기 마그넷 및 상기 코일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렌즈 구동부는 상기 촬상 소자측의 저면을 형성하는 베이스 부재를 갖고 있고,
    상기 렌즈 유지 부재는 상기 렌즈 유지 부재가 상기 베이스 부재에 접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1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구동부는 상기 촬상 소자측의 저면을 형성하는 베이스 부재를 갖고 있고,
    상기 렌즈 유지 부재는 상기 렌즈 유지 부재가 상기 베이스 부재에 접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13. 삭제
  1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넷 및 상기 코일은 상기 촬상 렌즈에 있어서의 상기 직사각형 형상의 1조의 서로 대향하는 변 각각에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15. 삭제
  1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넷은 상기 홀더부에 설치되고,
    상기 코일은 상기 고정부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고정부의 일부에 자성체를 배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17. 삭제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를 광축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지지하기 위한 안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19. 삭제
  20. 삭제
KR1020110065594A 2010-07-02 2011-07-01 카메라 모듈 KR1012412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52363 2010-07-02
JPJP-P-2010-152363 2010-07-02
JPJP-P-2011-095432 2011-04-21
JP2011095432A JP2012032778A (ja) 2010-07-02 2011-04-21 カメラモジュー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3401A KR20120003401A (ko) 2012-01-10
KR101241260B1 true KR101241260B1 (ko) 2013-03-15

Family

ID=45399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5594A KR101241260B1 (ko) 2010-07-02 2011-07-01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20002102A1 (ko)
JP (1) JP2012032778A (ko)
KR (1) KR101241260B1 (ko)
CN (1) CN102314046A (ko)
TW (1) TW20121392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9524B1 (ko) 2012-06-29 2014-01-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TWI485457B (zh) * 2012-09-07 2015-05-21 晶片上支撐架之模組結構
CN103716513A (zh) * 2012-09-28 2014-04-09 宏翔光电股份有限公司 芯片上支撑架的模块结构
JP5765361B2 (ja) 2013-04-11 2015-08-19 Tdk株式会社 レンズ保持装置
JP5765362B2 (ja) 2013-04-11 2015-08-19 Tdk株式会社 レンズ保持装置
CN104284060B (zh) * 2013-07-12 2019-07-02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相机模组
JP6388361B2 (ja) * 2014-01-28 2018-09-12 オリンパス株式会社 駆動ユニット、光学ユニット、撮像装置及び内視鏡
JP6678163B2 (ja) * 2015-04-15 2020-04-08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光学ユニット及び内視鏡
JP6619427B2 (ja) * 2015-06-02 2019-12-11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光学ユニット及び内視鏡
CN106873121B (zh) * 2015-12-08 2019-12-17 台湾东电化股份有限公司 双镜头模块
JP2017161609A (ja) * 2016-03-07 2017-09-14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搭載装置
CN115561947A (zh) * 2016-07-18 2023-01-03 台湾东电化股份有限公司 镜头驱动机构以及具有镜头驱动机构的电子装置
WO2018107725A1 (zh) * 2016-12-14 2018-06-21 华为技术有限公司 摄像单元、摄像头模组及移动终端
JP6878018B2 (ja) * 2017-01-26 2021-05-26 ソニーセミコンダクタ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Afモジュール、カメラモジュール、および、電子機器
CN110086981B (zh) * 2018-01-25 2021-08-31 台湾东电化股份有限公司 光学系统以及光学系统的控制方法
CN111866237B (zh) * 2019-04-30 2022-06-03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弹出式摄像模组和终端
US11733538B2 (en) * 2019-12-10 2023-08-22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CN114787681A (zh) * 2019-12-12 2022-07-22 华为技术有限公司 可进行多级移动的音圈驱动器
US11428894B2 (en) 2020-02-04 2022-08-30 Hand Held Products, Inc. Discrete variable focus assemblies and apparatuse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37193A (ja) * 2008-03-27 2009-10-15 Nidec Sankyo Corp レンズ駆動装置
KR20100005882A (ko) * 2008-07-08 2010-01-18 삼성전기주식회사 웨이퍼 레벨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방법
KR100947949B1 (ko) 2008-06-27 2010-03-15 삼성전기주식회사 모바일 기기용 카메라모듈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1630B1 (ko) * 2003-04-16 2007-09-27 니혼 덴산 산쿄 가부시키가이샤 렌즈 구동 장치 및 카메라 부착 휴대 기기
JP2005122026A (ja) * 2003-10-20 2005-05-12 Toshiba Corp レンズ鏡筒および撮像装置
JP2006237135A (ja) * 2005-02-23 2006-09-07 Tdk Corp フィルタ内蔵型コネクタ
JP4495705B2 (ja) * 2006-08-31 2010-07-07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
CN101042459B (zh) * 2006-03-25 2010-06-02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对焦结构
JP2008040114A (ja) * 2006-08-04 2008-02-21 Tamron Co Ltd シャッタ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撮像装置
US7771132B2 (en) * 2006-08-04 2010-08-10 Tamron Co., Ltd. Shutter unit, shutter unit with built-in lens, and imaging apparatus
JP2008090008A (ja) * 2006-10-02 2008-04-17 Nippon Chemicon Corp レンズ駆動装置
US7972738B2 (en) * 2006-10-18 2011-07-05 Olympus Imaging Corp. Residual capacity detection method and residual capacity detection system for fuel cell battery
JP5008414B2 (ja) * 2007-02-13 2012-08-22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
JP2010112965A (ja) * 2007-02-21 2010-05-20 Panasonic Corp レンズ鏡筒
CN101285921A (zh) * 2007-04-13 2008-10-15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成像模组
JP5082934B2 (ja) * 2008-03-05 2012-11-28 ソニー株式会社 カメラモジュール
JP5429190B2 (ja) * 2008-12-05 2014-02-26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撮像装置
JP5214425B2 (ja) * 2008-12-12 2013-06-19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
CN101770063B (zh) * 2009-01-07 2011-07-27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调焦模组制造方法
CN101959012B (zh) * 2009-07-17 2013-08-21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相机模组
TWI483055B (zh) * 2010-12-06 2015-05-01 Hon Hai Prec Ind Co Ltd 相機模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37193A (ja) * 2008-03-27 2009-10-15 Nidec Sankyo Corp レンズ駆動装置
KR100947949B1 (ko) 2008-06-27 2010-03-15 삼성전기주식회사 모바일 기기용 카메라모듈
KR20100005882A (ko) * 2008-07-08 2010-01-18 삼성전기주식회사 웨이퍼 레벨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002102A1 (en) 2012-01-05
JP2012032778A (ja) 2012-02-16
CN102314046A (zh) 2012-01-11
KR20120003401A (ko) 2012-01-10
TW201213920A (en) 2012-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1260B1 (ko) 카메라 모듈
US7590341B2 (en) Camera module
JP6138969B2 (ja) カメラモジュール
EP2124431B1 (en) Camera module comprising three members
CN114706261B (zh) 摄像头模块以及光学装置
TWI424246B (zh) Lens drive
KR101494823B1 (ko) 카메라 모듈
US8564896B2 (en) Compact imaging device
KR101221316B1 (ko) 자동초점 기능을 갖는 카메라 모듈
KR20110008478U (ko) 카메라 모듈용 베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렌즈 액츄에이터
KR101190254B1 (ko) 멤스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608087B1 (ko)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탑재 장치
WO2014126275A1 (ko) 렌즈 액츄에이터,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KR20180119595A (ko)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탑재 장치
KR20110068504A (ko) 저가 제작 및 소형화가 가능한 렌즈 액츄에이터
KR100919117B1 (ko) 모바일 기기용 자동 초점 렌즈 조립체
KR101431182B1 (ko) 모바일 기기용 렌즈 액추에이터
CN216718788U (zh) 光学元件驱动机构
JP5719598B2 (ja) レンズ駆動装置の製造方法
KR20100062657A (ko) 촬상 장치용 렌즈 액츄에이터
CN214474266U (zh) 光学系统
KR101093738B1 (ko) 소형화 및 경량화가 가능한 렌즈 구동 장치
JP2009198948A (ja) レンズ駆動装置及びカメラ装置
KR100817033B1 (ko) 소형렌즈모듈의 자동 초점 조절 장치
WO2022054513A1 (ja) レンズ駆動モジュール、撮像モジュール、電子機器及びレンズ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