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3111A - 전자기력을 이용한 카메라 촛점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전자기력을 이용한 카메라 촛점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3111A
KR20050093111A KR1020040018357A KR20040018357A KR20050093111A KR 20050093111 A KR20050093111 A KR 20050093111A KR 1020040018357 A KR1020040018357 A KR 1020040018357A KR 20040018357 A KR20040018357 A KR 20040018357A KR 20050093111 A KR20050093111 A KR 200500931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lens holder
magnet
lens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83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68295B1 (ko
Inventor
최태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183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8295B1/ko
Publication of KR200500931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31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8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82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31/00Means for collecting, retaining, or draining-off lubricant in or on machines or apparatus
    • F16N31/002Drain pans
    • F16N31/004Drain pans combined with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40/00Types of refuse collected
    • B65F2240/152Oi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의 렌즈를 이동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자기력에 의한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켜 렌즈의 촛점을 조절하는 전자기력을 이용한 카메라 촛점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안내부가 돌출형성된 평판형의 바디; 상기 안내부에 결합되어 안내되고 내부에 렌즈가 고정되며 외측에 마그네트가 고정된 렌즈홀더; 및 상기 바디에 고정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어 상기 마그네트의 둘레에 배치되는 코일이 감긴 보빈을 포함하는 보빈 조립체;를 포함하여 상기 코일에서 발생되는 전자기력에 의해 상기 렌즈홀더가 회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력을 이용한 카메라 촛점조절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기어류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작동시 소음을 줄일 수 있고, 정확한 회전각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축방향으로의 이송량이 정밀하며,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킴으로써 렌즈 촛점거리의 미세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기력을 이용한 카메라 촛점조절장치{An apparatus for adjusting focal distance of camera lens using electro-magnetic force}
본 발명은 카메라의 렌즈를 이동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기력에 의한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켜 렌즈의 촛점을 조절하는 전자기력을 이용한 카메라 촛점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메라는 다수개의 렌즈를 구비하고 있으며 각각의 렌즈를 이동시켜 그 상대거리를 변화시킴으로써 광학적인 촛점거리를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최근 카메라가 탑재된 휴대전화가 등장하여 휴대전화에 의해 정지화상 및 동영상의 촬영이 가능해지게 되었다. 현재 고해상도 및 고화질의 촬영을 위해 카메라의 성능이 점차 개선되어 가고 있는 추세이다.
이를 위해 자동초점 조절장치, 접사장치 및 광학 줌 장치등을 구비한 카메라의 필요성이 대두되었으나 종래 방식으로 제작된 카메라는 소형의 휴대전화에 탑재하는데 무리가 있었다.
즉, 종래의 방식은 DC모터나 스테핑 모터(stepping motor)에 다수개의 종감속 기어를 사용하는 것이므로 그 부피와 소음이 크며 에너지 효율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DC모터를 사용하는 경우 기동시간과 정지시간이 길기 때문에 정확한 위치제어가 곤란하였다.
또한, 기어의 원활한 동작을 위한 치형간의 간극 및 기어간의 유격으로 인해 제어신호와 실제 회전각 사이에 오차가 생기므로 기어를 이용한 구조에 의해서 촛점거리를 정확하게 조절하는 것은 용이하지 못했다.
한편, 카메라 촛점거리의 조절을 위해 압전 엑츄에이터가 사용되는 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다. 이 방식은 일반적으로 높은 전압과 수십KHz의 고주파 전원이 필요하기 때문에 구동회로가 복잡해지고, 동력 전달 방식이 마찰구동이기 때문에 그 효율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2초점 방식과 리니어 액추에이터 방식이 제안되었다.
도 1에는 일본공개특허공보 1999-72693호가 도시되어 있는데, 일본공개특허공보 1999-72693호는 기본위치와 접사(macro)위치의 두 곳으로만 렌즈가 이송될 수 있도록 구성된 2초점 방식이다.
즉, 가동철편(2)을 광축 중심으로 좌우대칭되도록 설치하고 스프링(3)에 의해 상기 가동철편(2)을 경통판(4)에 탄성적으로 설치한다. 상기 경통판(4)에는 복수의 스토퍼(4a,4b)들이 형성되어 상기 가동철편(2)과 접촉하며 경통(1)을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요크(5)에는 코일(6)이 감겨있어 자극부(磁極部)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가동철편(2)이 상기 스프링(3)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상기 요크(5)에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가동철편(2)에 설치된 경통(1)내의 렌즈(1a,1b,1c)가 이동하여 그 촛점거리가 조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가동철편(2)이 경통판(4)에 형성된 복수의 스토퍼(4a,4b,4c)와 접촉하도록 스프링(3)에 의해 제 1위치에 위치해 있다가 코일(6)에 전류가 흐르면 전자기력에 의해 가동철편(2)이 요크(5)의 자극부에 부착되며 제 2의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렌즈의 촛점거리가 조정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는 제 1위치와 제 2위치 2곳으로만 렌즈(1a,1b,1c)가 이동가능하기 때문에 그 중간위치에 대한 촛점거리는 맞출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도 2에는 일본공개특허공보2002-169073호가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일본공개특허공보2002-169073호도 상술한 일본공개특허공보 1999-72693호와 마찬가지로 마그네트(102a,102b)와 가동코일(103)사이에서 발생하는 전자기력에 의해 두개의 위치로 렌즈를 이동시키며 촛점거리를 조절하는 2초점 방식이므로 정확하게 촛점거리를 맞추는 것이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도 3a에는 리니어 엑츄에이터 방식인 일본공개특허공보2000-352656호가 도시되어 있는데, 일본공개특허공보2000-352656호는 상술한 2초점 방식에 비해 다단계로 촛점거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다단계로 촛점거리를 조절하기 위해 이와 같은 방식을 적용하는 경우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형 마그네트(202)를 다수개 착자하고, 소형 코일(204)를 축방향으로 다수개 구비해야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조로는 카메라를 소형화하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휴대폰용 카메라 등의 소형 광학기기에는 적용하기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렌즈의 직경이 작은 경우 그 초점거리도 짧아서 초점거리 조절시 렌즈의 최대 이동거리도 백~수백 마이크로미터에 불과하다. 이와 같은 소형광학계의 미세초점거리 조절을 위해서는 한 스텝(step)의 이송거리는 수 마이크로미터에서 수십 마이크로미터의 분해능을 가져야 하나 상기와 같이 선형 마그네트(202)와 코일(204)을 설치하는 구조는 상기 마그네트(202)와 코일(204)을 설치하는데 필요한 최소 폭 한계가 있기 때문에 필요로 하는 분해능을 만족시킬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자기력에 의한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켜 렌즈의 촛점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개선된 전자기력을 이용한 카메라 촛점조절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안내부가 돌출형성된 평판형의 바디; 상기 안내부에 결합되어 안내되고 내부에 렌즈가 고정되며 외측에 마그네트가 고정된 렌즈홀더; 및 상기 바디에 고정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어 상기 마그네트의 둘레에 배치되는 코일이 감긴 보빈을 포함하는 보빈 조립체;를 포함하여 상기 코일에서 발생되는 전자기력에 의해 상기 렌즈홀더가 회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력을 이용한 카메라 촛점조절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보빈의 내측에는 다수개의 극편(pole piece)이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극편은 규소강판 또는 전기아연도금강판으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보빈은 상기 하우징내에 다단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보빈은 2단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안내부는 내측면에 암나사부가 형성된 중공형의 원통형상이고, 상기 렌즈홀더는 외주면에 숫나사부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안내부는 내측면에 나선형의 홈이 형성된 중공형의 원통형상이고, 상기 렌즈홀더는 외주면에 안내핀이 돌출되도록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안내부가 돌출형성된 평판형의 바디; 상기 안내부에 결합되고 내부에 렌즈가 고정되는 렌즈홀더; 및 상기 바디에 고정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어 상기 렌즈홀더의 둘레에 배치되는 코일이 감긴 보빈, 및 상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보빈의 내측에 배치된 마그네트를 구비한 보빈 조립체;를 포함하여 상기 코일에서 발생되는 전자기력에 의해 상기 마그네트가 회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력을 이용한 카메라 촛점조절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보빈의 내측에는 다수개의 극편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극편은 규소강판 또는 전기아연도금강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보빈은 상기 하우징내에 다단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보은은 2단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렌즈홀더의 외주면에는 숫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마그네트의 내측에는 상기 숫나사부와 결합하는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렌즈홀더의 외주면에 안내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안내부의 내측에는 상기 안내돌기가 결합되는 안내홈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렌즈홀더의 외주면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마그네트의 내측에는 상기 돌출부와 결합하는 나선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력을 이용한 카메라 촛점조절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a)는 전체 분해사시도, (b)는 보빈 조립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력을 이용한 카메라 촛점조절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a)는 결합사시도, (b)는 결합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력을 이용한 카메라 촛점조절장치의 변형구조를 도시한 부분사시도이다.
도 7a와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력을 이용한 카메라 촛점조절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결합단면도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력을 이용한 카메라 촛점조절장치(1)는 바디(12), 렌즈홀더(32) 및 보빈 조립체(50)를 포함하고 있는데, 우선 바디(12)에 대해 먼저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바디(12)는 중앙부에 안내부(12a)가 돌출되도록 형성된 원판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안내부(12a)는 내측면에 암나사부(12b)가 형성된 중공형의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바디(12)는 상기 안내부(12)를 통해 관통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바디(12)의 하부에는 광학기기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통상의 적외선필터와 화상센서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렌즈홀더(32)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렌즈홀더(32)는 원통형을 이루며 중앙부에 다수개의 렌즈(34)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렌즈홀더(32)의 하부 외주면에는 숫나사부(32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렌즈홀더(32)의 둘레에는 중공형의 원통형상을 가진 마그네트(magnet)(36)가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렌즈홀더(32)는 상기 바디(12)의 안내부(12a)에 결합된다. 즉, 상기 렌즈홀더(32)의 외주면에 형성된 숫나사부(32a)와 상기 안내부(12a)에 형성된 암나사부(12b)가 회전가능하도록 나사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렌즈홀더(32)가 상기 바디(12)에 대해 회전운동하게 되면, 상기 렌즈홀더(32)의 회전운동은 직선운동으로 변환되어 상기 렌즈홀더(32)가 직선적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는 보빈 조립체(50)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빈 조립체(50)는 하우징(52), 보빈(bobbin)(54) 및 코일(56)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하우징(52)은 중공의 원통형으로 그 내부로 절곡된 극편(52a)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52)의 외측면(52b)과 상기 극편의 사이에는 보빈안착부(52c)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빈안착부(52c)에는 그 둘레에 코일(56)이 권취되어 있는 환형의 보빈(54)이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보빈(54)은 상기 하우징(52)의 내부에 복수개가 삽입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두개의 보빈(54)이 삽입되는 구조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52)에 삽입되는 보빈(54)과 보빈(54)사이, 및 그 하부에는 다수개의 극편(62a,64a,66a)이 각각 수직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된 극편체(62,64,66)들이 삽입됨으로써 상기 보빈(54)의 내측면에 일정간격으로 극편(62a,64a,66a)을 형성하도록 결합된다.
이때, 상기 보빈(54)에 권취된 코일(56)은 상기 하우징(52)의 외측면(52b)에 고정되는 FPC등의 단자(53)를 통해 외부의 전원(미도시)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보빈 조립체(50)는 상기 보빈(54)내부에 배치되는 극편(52a,62a,64a,66a)과 상기 렌즈홀더(32)의 외부에 고정되는 마그네트(36)가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상기 원판형상의 바디(12)에 고정된다.
따라서, 도 5a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빈(54)에 권취된 코일(56)에 전류가 인가되면 상기 극편(52a,62a,64a,66a)과 상기 마그네트(36) 사이에서 전자기력이 발생되어 상기 렌즈홀더(32)가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렌즈홀더(32)는 상기 극편(52a,62a,64a,66a)이 이루는 각도 만큼 단계적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렌즈홀더(32)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렌즈홀더(32)에 형성된 숫나사부(32a)와 상기 바디(12)의 안내부(12a)에 형성된 암나사부(12b)에 의해 상기 렌즈홀더(32)의 회전운동이 직선운동으로 전환되어 상기 렌즈(34)의 촛점거리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바디(12)에는 광센서(투과식 Photo Interrupter, 반사식 Photo Interrupter등)를 사용하는 방법, 자력을 검출 센서(MR센서, Hall센서등)를 사용하는 방법, 판스프링을 이용하는 방법등의 통상적인 리미트 스위치가 설치될 수 있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미트 스위치(74)는 상기 렌즈홀더(32)의 지나친 이동을 방지하도록 감지시 전원공급을 차단하는 제어회로(미도시)등과 함께 사용될 수 있으며, 렌즈홀더(32)의 하한점 즉, 렌즈와 화상센서 간의 최소거리를 제한 하는 역할과 렌즈 위치제어의 원점 역할을 하게 된다.
상술한 구조는 스테핑모터 원리를 이용한 것인데, 스테핑모터는 외부의 DC전압 또는 전류를 모터의 각 상단자에 스위칭방식으로 입력시켜 줌에 따라 일정한 각도의 회전을 하는 모터로 펄스형식의 회전각 제어가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극편(52a,62a,64a,66a)의 갯수를 적당하게 조절함으로써 상기 렌즈홀더(32)의 회전각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극편(52a,62a,64a,66a)은 자기회로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규소강판을 사용하고 일반적으로는 전기아연도금강판 등을 사용하여 프레스 작업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바디(12)의 안내부(12a)와 상기 렌즈홀더(32)가 나사결합됨으로써 회전운동이 직선운동으로 전환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렌즈홀더(32)의 외주면에 안내핀(72)이 돌출되도록 고정되고, 상기 바디(12) 안내부(12a)의 내측면에 나선홈(12b')이 형성된 구조도 적용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구조는 상기 렌즈홀더(32)의 회전시 상기 안내핀(72)이 상기 나나선홈(12c)을 따라 회전하며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마찰력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와는 달리 마그네트가 상기 하우징내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구조도 가능하다.
즉,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12')는 상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중앙부에 안내부(12a')가 돌출되도록 형성된 원판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안내부(12a')는 중공형의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렌즈홀더(32')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렌즈홀더(32')는 원통형을 이루며 중앙부에 다수개의 렌즈(34')가 고정되어 있고, 그 상부 외주면에는 숫나사부(32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렌즈홀더(32')는 상기 바디(12')의 안내부(12a')에 결합되어 안내된다.
이때, 상기 렌즈홀더(32')의 외주면에는 안내돌기(32b')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바디(12') 안내부(12a')의 내측면에는 상기 안내돌기(32b')가 삽입되어 안내되는 안내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상기 렌즈홀더(32')는 회전하지 않고 직선적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는 보빈 조립체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빈 조립체는 하우징(52'), 보빈(54'), 코일(56') 및 마그네트(36')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하우징(52')은 중공의 원통형으로 그 내부로 절곡된 극편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52')의 외측면(52b')과 상기 극편의 사이에는 보빈안착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빈안착부에는 그 둘레에 코일(56')이 권취되어 있는 환형의 보빈(54')이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보빈(54')은 상기 하우징(52')의 내부에 복수개가 삽입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두개의 보빈(54')이 삽입되는 구조로 구성된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하우징(52')에 삽입되는 보빈(54')과 보빈(54')사이, 및 그 하부에는 다수개의 극편이 수직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된 극편체들이 삽입됨으로써 상기 보빈(54')의 내측면에 일정간격으로 극편을 형성하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52')에는 환형의 마그네트(36')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보빈(54')의 내측에 배치되는데, 상기 마그네트(36')의 내주면에는 암나사부(36a')가 형성되어 상기 렌즈홀더(32')의 상부 외주면에 형성된 숫나사부(32a')와 회전가능하도록 나사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보빈(54')에 권취된 코일(56')은 상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하우징(52')의 외측면에 고정되는 FPC등의 단자를 통해 외부의 전원(미도시)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빈(54')에 권취된 코일(56')에 전류가 인가되면 상기 극편과 상기 마그네트(36') 사이에서 전자기력이 발생되어 상기 마그네트(36')가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마그네트(36')는 상기 극편이 이루는 각도 만큼 단계적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마그네트(36')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렌즈홀더(32')에 형성된 숫나사부(32a')와 상기 마그네트(36')의 암나사부(36a')에 의해 상기 안내돌기(32b')가 상기 안내홈(미도시)을 따라 안내되며 직선운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상기 마그네트(36')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렌즈홀더(32')가 직선운동을 하게 되어 상기 렌즈(34')의 촛점거리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마그네트(36')의 회전각은 상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극편의 갯수를 적당하게 조절함으로써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극편은 자기회로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규소강판을 사용하고 일반적으로는 전기아연도금강판 등을 사용하여 프레스 작업으로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렌즈홀더(32")의 외주면에 돌출부(32a")가 형성되고 마그네트(36")의 내측면에 암나사부(36a")가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32a")가 상기 암나사부(36a")와 결합되는 구조도 가능하다. 즉, 상기 마그네트(36")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렌즈홀더(32")가 직선운동하도록 구성될 수 도 있다. 이때, 상기 렌즈홀더(32")에는 안내홀(32b")이 형성되어 상기 바디(12")에 고정된 안내바(12a")에 의해 안내되도록 삽입될 수 도 있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코일의 위치는 상기 극편에 전자기력이 발생되는 구조이면 어떠한 구조라도 변화되어 적용가능하고,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시키는 기타 다른 구조도 적용가능하다.
상술한 구조에서 상기 마그네트(36',36")는 상기 다수개의 극편과 전자기력을 발생시켜 단계별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보빈(54',54")은 2단으로 형성되어 번갈아 가며 전자기력이 발생되므로 마그네트(36',36")의 회전각을 보다 미세하게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암,수나사부의 피치를 조절하면 회전각에 따른 축방향 렌즈 이송량의 미세화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력을 이용한 카메라 촛점조절장치는 기어류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작동시 소음을 줄일 수 있으며, 외장모터 방식의 경우 수천~수만 rpm으로 회전하는 모터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정확한 회전각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축방향으로의 이송량이 정밀하고,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킴으로써 미세조절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기어류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작동시 소음을 줄일 수 있고, 정확한 회전각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축방향으로의 이송량이 정밀하며,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킴으로써 렌즈 촛점거리의 미세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2초점 방식의 카메라 촛점조절장치의 결합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2초점 방식의 다른 카메라 촛점조절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기술에 의한 리니어 액추에이터 방식의 카메라 촛점조절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a)는 결합단면도,
(b)는 (a)의 선형 마그네트와 코일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력을 이용한 카메라 촛점조절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a)는 전체 분해사시도,
(b)는 보빈 조립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력을 이용한 카메라 촛점조절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a)는 결합사시도,
(b)는 결합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력을 이용한 카메라 촛점조절장치의 변형구조를 도시한 부분사시도이다.
도 7a와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력을 이용한 카메라 촛점조절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결합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2..... 바디 12a..... 안내부
32..... 렌즈홀더 32a..... 숫나사부
34..... 렌즈 36..... 마그네트
50..... 보빈 조립체 52..... 하우징
54..... 보빈 56..... 코일
52a,62a,64a,66a ..... 극편
62a,64a,66..... 극편체

Claims (15)

  1. 안내부가 돌출형성된 평판형의 바디;
    상기 안내부에 결합되어 안내되고 내부에 렌즈가 고정되며 외측에 마그네트가 고정된 렌즈홀더; 및
    상기 바디에 고정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어 상기 마그네트의 둘레에 배치되는 코일이 감긴 보빈을 포함하는 보빈 조립체;를 포함하여 상기 코일에서 발생되는 전자기력에 의해 상기 렌즈홀더가 회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력을 이용한 카메라 촛점조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의 내측에는 다수개의 극편(pole piece)이 배치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력을 이용한 카메라 촛점조절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극편은 규소강판 또는 전기아연도금강판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력을 이용한 카메라 촛점조절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은 상기 하우징내에 다단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력을 이용한 카메라 촛점조절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은 2단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력을 이용한 카메라 촛점조절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내측면에 암나사부가 형성된 중공형의 원통형상이고, 상기 렌즈홀더는 외주면에 숫나사부가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력을 이용한 카메라 촛점조절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내측면에 나선형의 홈이 형성된 중공형의 원통형상이고, 상기 렌즈홀더는 외주면에 안내핀이 돌출되도록 고정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력을 이용한 카메라 촛점조절장치.
  8. 안내부가 돌출형성된 평판형의 바디;
    상기 안내부에 결합되고 내부에 렌즈가 고정되는 렌즈홀더; 및
    상기 바디에 고정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어 상기 렌즈홀더의 둘레에 배치되는 코일이 감긴 보빈, 및 상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보빈의 내측에 배치된 마그네트를 구비한 보빈 조립체;를 포함하여 상기 코일에서 발생되는 전자기력에 의해 상기 마그네트가 회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력을 이용한 카메라 촛점조절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의 내측에는 다수개의 극편이 배치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력을 이용한 카메라 촛점조절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극편은 규소강판 또는 전기아연도금강판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력을 이용한 카메라 촛점조절장치.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은 상기 하우징내에 다단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력을 이용한 카메라 촛점조절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은 2단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력을 이용한 카메라 촛점조절장치.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홀더의 외주면에는 숫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마그네트의 내측에는 상기 숫나사부와 결합하는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력을 이용한 카메라 촛점조절장치.
  14.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홀더의 외주면에 안내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안내부의 내측에는 상기 안내돌기가 결합되는 안내홈이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력을 이용한 카메라 촛점조절장치.
  15.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홀더의 외주면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마그네트의 내측에는 상기 돌출부와 결합하는 나선홈이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력을 이용한 카메라 촛점조절장치.
KR1020040018357A 2004-03-18 2004-03-18 전자기력을 이용한 카메라 촛점조절장치 KR1005682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8357A KR100568295B1 (ko) 2004-03-18 2004-03-18 전자기력을 이용한 카메라 촛점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8357A KR100568295B1 (ko) 2004-03-18 2004-03-18 전자기력을 이용한 카메라 촛점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3111A true KR20050093111A (ko) 2005-09-23
KR100568295B1 KR100568295B1 (ko) 2006-04-05

Family

ID=37274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8357A KR100568295B1 (ko) 2004-03-18 2004-03-18 전자기력을 이용한 카메라 촛점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829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5859B1 (ko) * 2005-08-17 2007-02-22 (주)로직메카티엠 카메라용 자동초점모듈의 구조 및 그 제조방법
WO2008063019A1 (en) * 2006-11-23 2008-05-29 Lg Innotek Co., Ltd Lens driving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5210B1 (ko) 2005-12-15 2008-01-16 양지원 소형 줌 카메라장치
KR100952488B1 (ko) 2008-06-11 2010-04-13 (주)아이엠 카메라모듈용 자동초점 액추에이터
DE102018102917B3 (de) * 2018-02-09 2019-01-24 Sick Ag Kamera und Verfahren zur Fokusverstellung
CN111348346B (zh) * 2020-04-01 2021-05-21 简胜坚 一种基于电磁吸附固定的易拆装环保用垃圾桶
CN115484358A (zh) 2021-05-31 2022-12-16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致动器、摄像头模组和电子设备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5859B1 (ko) * 2005-08-17 2007-02-22 (주)로직메카티엠 카메라용 자동초점모듈의 구조 및 그 제조방법
WO2008063019A1 (en) * 2006-11-23 2008-05-29 Lg Innotek Co., Ltd Lens driving apparatus
US7885023B2 (en) 2006-11-23 2011-02-08 Lg Innotek Co., Ltd. Lens driving apparatus
US8451553B2 (en) 2006-11-23 2013-05-28 Lg Innotek Co., Ltd. Lens driving apparatus
TWI457630B (zh) * 2006-11-23 2014-10-21 Lg Innotek Co Ltd 鏡片驅動裝置
US9921387B2 (en) 2006-11-23 2018-03-20 Lg Innotek Co., Ltd. Lens driving apparatus
US9939606B2 (en) 2006-11-23 2018-04-10 Lg Innotek Co., Ltd. Lens driving apparatus
US10983298B2 (en) 2006-11-23 2021-04-20 Lg Innotek Co., Ltd. Lens driving apparatus
US11754800B2 (en) 2006-11-23 2023-09-12 Lg Innotek Co., Ltd. Lens driv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68295B1 (ko) 2006-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00068B2 (en) Voice coil motor apparatus
US7146097B2 (en) Focusing device
KR20060135639A (ko) 렌즈 구동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30015666A (ko) 초소형 카메라모듈의 자동초점조절장치
KR101072404B1 (ko) 요크를 사용하지 않는 카메라 자동초점 조절장치
JP2001324663A (ja) 撮像装置
KR100947285B1 (ko) 자동초점 조절용 경통 구동기구 및 이를 구비한 셔터구동장치
US7881602B2 (en) Driving device, optical apparatus, and image pickup apparatus
KR100568295B1 (ko) 전자기력을 이용한 카메라 촛점조절장치
KR200370323Y1 (ko) 카메라 자동초점조절용 액튜에이터
US7715704B2 (en) Auto-focusing camera
US7941043B2 (en) Automatic focal point control for camera
KR100636649B1 (ko) 오토포커스 기능이 있는 소형 카메라장치
US8305675B2 (en) Light control apparatus
KR100817033B1 (ko) 소형렌즈모듈의 자동 초점 조절 장치
KR100640097B1 (ko) 영상 촬영 장치
JP2007178779A (ja) レンズ移動装置及びカメラモジュール
KR20080082834A (ko) 휴대폰용 카메라의 자동초점조절장치
JPH11109212A (ja) リヤフォーカス式ズームレンズ装置
KR20050106630A (ko) 카메라모듈의 촛점조절장치
CN216145007U (zh) 对焦装置及具有其的镜头
KR200341129Y1 (ko) 디지털 카메라용 소형 광학 줌 렌즈 구동 장치
KR20050123363A (ko) 폰 카메라의 자동초점조절용 경통 구동장치
TWI437795B (zh) 音圈馬達
KR20050123083A (ko) 소형 줌 카메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