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5155B1 - 메톡시모르폴리노 독소루비신을 포함하는, 간 종양 치료를 위한 간내 투여용 약제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메톡시모르폴리노 독소루비신을 포함하는, 간 종양 치료를 위한 간내 투여용 약제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5155B1
KR100685155B1 KR1020017003222A KR20017003222A KR100685155B1 KR 100685155 B1 KR100685155 B1 KR 100685155B1 KR 1020017003222 A KR1020017003222 A KR 1020017003222A KR 20017003222 A KR20017003222 A KR 20017003222A KR 100685155 B1 KR100685155 B1 KR 1006851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ver
pharmaceutical composition
mmdx
administered
methoxymorpholino doxorubic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3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75074A (ko
Inventor
파치아리니마리아아델
발로타올가
커데이비드
Original Assignee
파마시아 앤드 업존 에스.피.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마시아 앤드 업존 에스.피.에이. filed Critical 파마시아 앤드 업존 에스.피.에이.
Publication of KR200100750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50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5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51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5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at least one nitrogen and one oxygen as the ring hetero atoms, e.g. 1,2-oxazines
    • A61K31/5355Non-condensed oxazines and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2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 A61K31/703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attached to a carbocyclic compound, e.g. phloridzin
    • A61K31/70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attached to a carbocyclic compound, e.g. phloridzin attached to a condensed carbocyclic ring system, e.g. sennosides, thiocolchicosides, escin, daunorubic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44Oils, fats or waxes according to two or more groups of A61K47/02-A61K47/42; Natural or modified natural oils, fats or waxes, e.g. castor oil, polyethoxylated castor oil, montan wax, lignite, shellac, rosin, beeswax or lanol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61P35/04Antineoplastic agents specific for metastas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n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Saccharide Compound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 종양을 치료하기 위한 메톡시모르폴리노 독소루비신의 용도에 관한 것이고, 특히 임의로 간 동맥을 통한 주사 후에 간 종양에 선택적으로 잔류하는 제제와 함께 간 종양 치료법에 사용하기 위한 메톡시모르폴리노 독소루비신의 간내 투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메톡시모르폴리노 독소루비신, 간 종양, 간세포암, 담관암, 간내 투여, 간 전이.

Description

메톡시모르폴리노 독소루비신을 포함하는, 간 종양 치료를 위한 간내 투여용 약제학적 조성물{An intrahepatic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f a liver tumor which comprises methoxymorpholino doxorubicin}
본 발명은 간암을 치료하기 위한 메톡시모르폴리노 독소루비신의 용도에 관한 것이고, 특히 간 종양 치료법에 사용하기 위한 메톡시모르폴리노 독소루비신의 간내 투여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Figure 112004038828322-pct00001
의 메톡시모르폴리노 독소루비신(MMDX, 내부 코드 PNU 152243)은 당 잔기의 3' 위치에서 -NH2를 메톡시모르폴리노 그룹으로 치환시킴으로써 수득된 신규한 독소루비신 유도체이다. 당해 화합물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새로운 작용 방식을 갖는 신규한 안트라사이클린의 동정을 목적으로 하는 연구 프로그램 과정에서 합성되었고, 다중약물 내성(mdr) 종양에 대한 활성을 포함하여 광범위한 활성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MMDX는 안트라사이클린에 대해 내성이고 mdr 표현형을 나타내는 종양 세포에 대하여 시험관내 및 생체내 활성이고, 이러한 메카니즘은 또한 사람에게서도 발생하는 것으로 인식된다.
L-PAM 또는 cDDP에 대해 내성인 종양 세포 또는 토포아이소머라제 II 억제제(at-mdr)에 대해 내성인 세포에 대한 교차 내성(cross-resistance)은 전혀 관찰되지 않는다.
MMDX는 쥐의 백혈병 및 쥐 및 사람 고형 종양 모델에 대해 우수한 항종양 활성을 나타내고, 복강내, 정맥내 또는 경구 투여 후 활성이다.
당해 화합물은 생체내 투여될 경우 효능이 높다는 점에서 대부분의 안트라사이클린과는 상이하고, 최적의 정맥내 투여량은 독소루비신의 투여량보다 80배 이상 적다. 이 결과, 및 MMDX의 세포독성이 마우스, 래트 및 사람 간 마이크로솜의 존재하에 시험관내에서 증가된다는 관찰은, MMDX가 세포독성이 높은 대사산물(들)로 전환될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한다.
포유 동물 중의 항종양 안트라사이클린의 익히 공지된 대사 전환 경로는 측쇄 카보닐 그룹을 환원시켜 상응하는 13-디하이드로 유도체를 수득하는 경로이다. MMDX의 환원된 유도체는 모체 약물에 비해 10배 이상 더 많은 투여량에서 독소루비신 내성 모델에 대해 시험관내 및 생체내 활성을 유지한다. 화합물에 높은 세포내 농도에 도달하도록 하는 능력을 부여하고 내성 모델에 대한 이의 효능의 가장 가능할 것 같은 원인 중의 하나인 분자의 높은 친지성은 또한 이를 경구 투여한 후에도 유효하도록 한다. MMDX의 경구 항종양 효능은 각종 투여 계획과 함께 상이한 종양 유형의 패널로 시험되어 왔다. 이의 결과는, MMDX에 의한 경구 처리가 시험될 동물 모델 모두에서 정맥내 투여후 관찰된 것에 필적할 만한 항종양 활성과 관련되어 있다는 것을 입증한다. 이러한 모델에서, MMDX의 유효한 경구 투여량은 효과적인 정맥내 투여량보다 1.3 내지 2배 더 높다. 특히, M5076 쥐 섬유육종으로부터 간 전이에서, 최상의 결과(생존 시간의 배가)는 5일 동안 매일 투여되는 경구 제형으로 달성되고; 주사 제형은 덜 효과적이다. 이는 간으로의 제1 통과 효과로 인해 약물이 상이하게 작용함을 반영하는 것일 수 있다.
간에 침입하는 원발성 간세포암(HCC) 및 담관암을 앓고 있는 환자를 통상적으로 치료하는 것은 현재 효과적이지 않다는 것이 익히 공지되어 있다.
또한, 간은 다수의 사람 암의 통상적인 전이 부위이다.
원발성 간암
간 종양은 전세계에서 가장 통상적인 악성종양 중의 하나이다. 년간 국제적인 질병 발병율은 약 백만명이고, 남성 대 여성의 비율은 약 4:1이다. 사망률은 전세계적으로 년간 백이십만명이다. 북아메리카에서의 2/100,000 내지 동남아시아에서의 30/100,000에 상응하는 막대한 지리학적 변동 발병율이 존재하지만, 이들 수치는 흔히 원발성 및 속발성을 구별하지 않고 "전체 간암"을 의미한다.
가장 높은 간암 발병률은 극동 지역에서 발견되었고, 이는 높은 풍토성 간염 B 보유율, 식료품, 저장 곡물, 음료수 및 토양의 오염과 관련된다. 이들 악성종양 치료는 간염 B 및 C에 대한 면역법 및 특정 기시점의 간경변을 감소시키는 수단의 개발에 따라 진보될 수 있다. 간경변은 흔히, 특히 유럽 및 미국에서 HCC와 연관된다. 반응률이 평균 20% 미만인 전신 화학 요법은 일반적으로 실망스럽다. 안트라사이클린이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제제이다. 미토마이신 C도 또한 사용된다.
각종 외과 및 비외과 치료법 둘 다가 HCC용으로 이용될 수 있게 되었다. 외과 절제 및 정위 이식이 유일한 치료학적 선택법이지만, 이는 10% 미만의 환자가 이러한 접근법에 적합하고, 장기간 결과는 불량한 것으로 추산된다. HCC가 널리퍼진 전이보다는 국소적 간 진행 때문에 치명적이라는 사실과 함께, 낮은 절제 가능성 및 높은 재발률(수술후 5년 내에 40%)은 동맥내 화학 요법을 포함하여 다수의 국소 지역적인 치료학적 방법의 개발을 촉진시켰다. 리피오돌(LIPIODOLTM)과 같은 색전증 제제, 겔 발포체 및 분해가능한 전분 미소구와 함께 투여되는 간 동맥내(IHA) 화학 요법에 대해 보다 높은 반응률이 보고되었다. 이러한 방법은 극동 지역에서 더욱 더 사용된다. 안트라사이클린(독소루비신 및 에피루비신)이 이러한 세팅에 널리 사용된다. 그러나, 현재 화학 요법적 시도로는 생존률이 실질적으로 전혀 개선되지 않는다. 새로운 효과적인 치료법이 매우 요구되고 있다.
속발성 간암
간은 많은 사람 암의 공통적인 전이 부위이고, 간 병발은 흔히 전염된 악성종양의 질병률 및 치사율의 주된 원인이다. 특히, 정맥문 배액법 시스템에 의해 간은 일반적으로 원발성 결장직장암을 앓고 있는 많은 환자에게 있어서 우선적인 -및 유일할 수 있는- 전위 부위이다. 위암 및 췌장암- 뿐만 아니라 흑색종, 폐암 및 유방암-은 또한 간으로 빈번하게 전이할 수 있다. 전이성 간 종양은 흔히 모체 종양이 진행한 1차 증거이고, 특히 결장직장암에서 검출되는 유일한 종양이다. 결장직장암은 산업화된 국가의 질병이다. 미국에서는 년간 160,000명을 초과하는 신규 환자가 진단되고, 이들 중 75,000명이 진행된 질병으로 인해 사망하는 것으로 추산된다. 역학적인 연구에 의해, 결장직장암의 발생률이 증가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간 병발은 진행성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의 40 내지 70%에서 발견되고, 간은 전이성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의 30% 이하에서 초기 종양이 재발할 수 있는 유일한 부위이다. 결장직장암으로부터 간으로의 좌측 처리되지 않은 전이성 병변은 3 내지 24개월의 생존기간과 연관된다.
격리된 간 전이를 앓고 있는 환자의 경우, 외과 절제가 최선의 치료 선택법이고, 5년 동안의 생존률은 20 내지 30%이다. 외과수술은 약 10%의 환자에게만 가능하고, 외과 절제한 환자의 25% 이하에게서 전이성 간암이 재발될 것으로 추산된다.
전신 화학 요법에 의한 경감이 연장되거나 다발성 간 전이를 앓고 있는 대부분의 환자에게 일반적으로 제공된다. 지금까지는, 전신성 5-플루오르우라실(5-FU)+폴린산이 전이성 결장직장암에 대한 최적 치료법으로서 간주되고, 이의 반응률은 단지 20%이고 총 생존기간은 약 12개월이다. 5-FU 류코보린의 실패 후 이리노테칸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삼수화물이 표준 치료수단이고, 이의 반응률은 15%이고, 평균 생존기간은 약 9개월이다. 5-FU 류코보린과 배합하는 제1-라인 치료제로서 이리노테칸의 역할을 결정하기 위해 대상체에 대하여 임상 시험을 진행한다.
질병이 간에 국한되고 수술 불가능한 경우, 국소적 동맥내 화학 요법이 지시될 수 있다. 5-FU 또는 이의 동족체인 5-플루오로데옥시우라딘(FUDR)을 간 동맥 에 주입하면서, 임상 결과를 최대화(반응률이 환자의 50% 이하)하지만 생존기간에는 실질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시도가 행해졌다.
MMDX는 간암을 치료하는데 있어서 치료학적 선택이다.
MMDX가 간 종양에 효과적이라는 기대는 정맥내 경로로 수행되어 간에 대한 반응을 평가할 수 있는 30명의 환자 중 5명이 간 전이 경감을 경험한다는 상 I 및 상 Ib의 연구 결과에 기인한다. 결장직장암을 앓고 있는 2명의 환자는 3 사이클 후 간 병변이 50% 미만으로 경감되고, 직장암을 앓고 있는 2명의 환자는 치료 3 사이클 후 간 병변에서 50%를 초과하는 경감을 나타내고, 처음에(후속적으로 치료 제1 사이클 후 폐 색전증으로 사망함) 결장직장암 및 다발성 간 전이를 앓고 있는 추가의 환자는 부검시 간 전이 증거를 전혀 나타내지 않는다. 종양 축화는 1250 내지 1500mcg/m2의 정맥내 투여량에서 발생한다. 주요 독성은 오심 및 구토(정맥내 진토제 처리 요함), 척수억제 및 트랜스아미나제의 일시적인 상승이다.
또한, 간 전이(전개된 질병에 대해 사전에 치료하지 않음)를 앓고 있는 유방암 환자의 정맥내 경로에 의한 상 II 연구에서, 치료할(1500mcg/m2 정맥내) 6명의 환자의 간 병변에서 1명의 완전한 반응, 3명의 부분적 반응(이들 중 1명은 4주 후에는 확인되지 않는다) 및 1명의 최소 반응이 관찰된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간 병변, 심지어는 결장직장암 및 직장암과 같은 통상의 화학 요법에 대해 내성인 종양 종류에 있어서 MMDX가 관심의 대상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한다.
간에서의 항종양 효능의 강력한 증거는 또한 임상 전의 데이터에 의해 지지된다. M5075 쥐 세망육종으로부터 간 전이에 대한 MMDX의 활성은 정맥내 경로에 비해 경구 투여후 더 높고, 이것은 제1 통과 효과가 간에서의 효능을 지지할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한다. 또한, 경구 투여된 MMDX는 동일한 모델에서 원발성인 고형상에서보다 간 전이에 대해 더욱 효과적이다. 간 전이에 대한 이러한 특정 효과는 간 효소에 의해 생성되는 대사산물(들)에 기인하는 것으로 짐작된다. 이러한 가설은 MMDX가 간 마이크로솜에 의해 시험관내에서 활성화되어 세포독성이 큰 생성물이 된다는 것을 보여주는 다수의 결과에 의해 보강된다. 이 대사산물 전환이 또한 사람에게서 발생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mdr 모델 및 간 전이 모델에서의 MMDX의 활성과 커플링되는 현 임상 실험 경험에서 관찰된 약간의 활성은 간 종양 병변을 앓고 있는 환자에게 향상된 임상 결과에 대한 기대감을 불러 일으킨다.
따라서, 현재 간 농도에서 항종양 활성을 갖고 원발성 간암 및 간 전이에 대한 MMDX의 항종양 효능을 개선시키는 것으로 간주되는 MMDX의 높은 정맥내 투여량을 피하기 위한 약물 전달 방법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신 노출을 감소시켜 독성을 감소시키면서 간 종양 부위에서 MMDX 고농도를 달성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간 동맥에 MMDX를 직접 주사함으로써 간 종양 부위에서 MMDX의 항종양 활성을 감소시키지 않고 MMDX의 양을 감소시키는, 간암을 앓고 있는 환자에게 MMDX를 투여하기 위한 신규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필요성을 충족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MMDX의 간내 투여함을 포함하여, 사람 간 종양 치료용 약물을 제조하는데 있어서의 MMDX의 용도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목적은 치료학적 유효량의 MMDX를 간 종양 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간내 투여함을 포함하여, 사람 간 종양을 치료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목적은 치료학적 유효량의 MMDX를 간암 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간내 투여함을 포함하여, 간암을 앓고 있는 환자의 MMDX 전신 노출을 감소시키는 방법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간 종양은 간세포암 또는 담관암과 같은 주로 간에 국한된 종양 또는 간 전이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MMDX는 간 동맥을 통해 간내 투여된다.
본 발명의 특정 양태에서, MMDX는, 예를 들어 간 전이 암을 앓고 있는 성인 환자, 예를 들어 정맥내 화학 요법 또는 간내 5-플루오로우라실 또는 5-플루오로데옥시우리딘(FUDR) 화학 요법을 수용한 후 진행된 결장직장암을 앓고 있는 환자 또는 예를 들어 간에 관련된 간세포암 또는 담관암과 같은 사전에 치료되지 않은 원발성 간암을 앓고 있는 환자에게 4주마다 약 15 내지 약 30분 동안 주입하거나 8주마다 5 내지 10분 동안 식괴(bolus)로서 주입하는 것과 같이 간 동맥을 통해 투여된다.
본 발명의 보다 특정한 양태에서, MMDX는 환자에게 약 100 내지 약 1000mcg/m2, 바람직하게는 약 100 내지 약 800mcg/m2의 투여량 범위로, 예를 들어 약 200mcg/m2의 투여량으로 투여된다.
본 발명의 보다 특정한 양태에서, 바람직하게는 사전에 식염수 용액에 용해된 MMDX의 적합한 투여량은 간 동맥을 통한 주사 후에 간 종양에 선택적으로 잔류하는 적합한 양의 제제와 혼합된다. 이러한 제제, 예를 들어 요요드화 오일(리피오돌R)의 양은 종양의 크기에 따라 약 3 내지 약 20ml로 변할 수 있다.
리피오돌R은 간 동맥을 통한 주입 후에 간 종양에 선택적으로 잔류하는 것으로 밝혀지고, 항암제의 담체로서 특히 유용한 지질 림프관조영술 제제이다.
다음 표는 종양 크기에 관련되는 적합한 리피오돌R 용적을 예시한다.
종양 크기(㎝) 리피오돌R 용적(ml)
2 이상 3-5
2.1-6 5-8
6.1-11 9-14
11 초과 15-20
MMDX의 투여량은 환자의 질병 상태에 따라서 변한다.
따라서, 투여량 섭생은 모든 치료에 통상적인 특정한 환자의 상태, 반응 및 연합 치료에 맞추어져야 하며, 상태 및/또는 기타 임상 상태 측면에서의 반응 변화율에 따라 조절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간내 치료의 경우, MMDX 500mcg를 함유하는 동결-건조된 바이알을 주사용 멸균 식염수 5ml로 희석하여 MMDX의 농도가 100mcg/ml로 되게 한다. 환자에게 제공되는 MMDX의 적절한 투여량은 적합한 양의 리피오돌R과 임의로 혼합된다.
활성 약물은 상부 앞 복부 벽 아래에 위치하는 간내 포타카트(potacath) 마개에 삽입된 정맥내 라인의 측면 유입구로 직접 투여될 수 있다. 약물은, 예를 들어 표준 식염수 100ml 용적의 30분에 걸친 주입으로 투여할 수 있다. 모든 약물이 제공되도록 이 장치를 식염수 10 내지 20ml로 세척한다. 포타카트를 갖지 않는 환자는 대퇴부 셀딩거(Seldinger) 방법으로 간 동맥에 삽입된 카테터를 갖고, 약물은, 예를 들어 표준 식염수 100ml 용적의 30분에 걸친 주입으로 주입할 수 있다. 카테터를 국소 마취하에 삽입한 다음, 사타구니로부터 제거하고, 압박 붕대를 적용하고, 병원에서 밤새 간호사가 계속 관찰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예를 들어 간 동맥을 통한 간내 주사 후에 간 종양에 선택적으로 잔류하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제제, 및 하나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 및/또는 담체와 함께 활성 물질로서 MMDX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통상 편리한 방법에 따라 제조되며, 약제학적으로 적합한 형태로 투여된다. 예를 들면, 간내 주사 또는 주입용 액제는 담체로서, 예를 들어 멸균수를 함유하거나, 또는 바람직하게는 멸균 등장성 식염수 수용액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하기 실험 프로토콜은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실험 프로토콜
정맥내 화학 요법 또는 간내 5-플루오르우라실 화학 요법을 수용한 후에 진행된 간 전이 결장직장암을 앓고 있는 성인 환자, 또는 간과 관련하여 사전에 치료되지 않은 원발성 간세포암 또는 담관암을 갖는 성인 환자에게 간 동맥(IHA)을 통해 4주마다 30분간의 단시간 주입으로 투여된 MMDX(PNU 152243)에 대해 싱글 암(single arm)의 다중심 투여량-발견 상 I 연구를 수행한다. 이들의 질병은 시험 시작시에 간에 제한한다. 환자는 본래의 위치에 간내 포타카트를 이미 가지거나, 대퇴부 셀딩거 방법에 의해 간 동맥을 통해 투여된 약물을 가질 수 있다.
본 연구의 1차 목적은 간 동맥을 통해 투여하는 경우, MMDX의 최대 내성 투여량(MTD)과 투여량-제한 독성(DLT)을 측정하는 것이다.
항종양 활성이 본 연구에서 입증된다.
개시 투여량은 랫트에서 LD10의 1/3에 상응하는 100mcg/m2이었다.
등록된 23명의 환자 모두에 있어서, 18명에게는 MMDX를 간내 동맥(IHA) 투여하였다.
시험 투여량은 100 내지 800mcg/m2이다.
결과는 13명의 환자에게서 입수할 수 있다: 100mcg/m2에서 3명(6 사이클), 200mcg/m2에서 3명(12 사이클), 400mcg/m2에서 3명(4 사이클), 600mcg/m2에서 3명(10 사이클) 및 800mcg/m2에서 1명(3 사이클).

혈액학적 독성
1등급의 백혈구감소증이 100mcg/m2에서 1명(1 사이클), 200mcg/m2에서 1명(1 사이클) 및 400mcg/m2에서 1명(1 사이클) 관찰되었다. 그러나, AGC는 모두 정상이었다. 1 내지 2등급의 혈소판감소증이 200mcg/m2에서 1명(3 사이클) 및 600mcg/m2에서 1명(1 사이클) 발생하였고, 종양(HCC 환자)과 관련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최대 1등급의 빈혈이 각각 200, 600 및 800mcg/m2에서 3명 보고되었다.
비-혈액학적 독성
연구 약물에 기인할 수 있는, 가장 빈번히 관찰되는 부작용은 오심, 구토 및 피로이다.
100mcg/m2에서: 가벼운 구토가 3명의 환자중 1명에게서 보고되었고(1 사이클에서), 1 내지 2등급의 피로가 2명의 환자에게 존재하였다(3 사이클).
200mcg/m2에서: 2명의 환자(2 사이클)에게서 2등급의 오심, 2명의 환자(3 사이클)에게서 1 내지 2등급의 구토 및 1명의 환자(2 사이클)에게서 2등급의 피로가 보고되었다.
400mcg/m2에서: 2 내지 3등급의 오심이 2명의 환자(2 사이클)에게서 발생하 였고, 2등급의 구토가 1명의 환자(1 사이클)에게서 발생하였다. 포트-아-카트 부위에서 가벼운 국소 통증, 및 가벼운 탈모증이 1명의 환자(1 사이클)에게서 보고되었다.
600mcg/m2에서: 1 내지 2등급의 오심이 2명의 환자(2 사이클)에게서 보고되었고, 2등급의 피로가 1명의 환자(2 사이클)에게서 보고되었으며, 가벼운 탈모증이 1명의 환자(2 사이클)에게서 보고되었다.
800mcg/m2에서: 1등급의 오심, 피로, 점막염 및 고열이 1명의 환자(각각 1 사이클)에게서 발생하였다.
다른 3 내지 4등급의 경우는 전혀 보고되지 않았다.
약간 내지 중간 정도(1 내지 2등급)의 트랜스아미나제의 증가(연구 약물에 기인할 수 있음)가 200mcg/m2(2/3 환자), 400mcg/m2(2/3 환자; 3번째 환자는 적용된 IHA 기술에 기인하는 것 같은 2 내지 3등급의 트랜스아미나제 상승을 나타낸다) 및 600mcg/m2(2/3 환자)에서 관찰되었다. 3등급의 트랜스아미나제 상승이 800mcg/m2로 처리된 환자에게서 보고되었다.
최대 트랜스아미나제 상승은 처리후 첫주 동안에 나타났다. 2등급의 빌리루빈혈증 증가는 100mcg/m2에서부터 관찰되었지만, 이는 연구 약물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되지 않는다.
2종류의 3등급 과혈당증으로 이루어진 기타 중증의 비종양 관련된 실험실 이 상이 200mcg/m2에서 처리된 2명의 환자에게서 관찰되었다(한명의 당뇨병 환자의 경우에는 기준선으로부터 지속하며, 다른 환자의 경우에는 식후 상태부터 지속한다).
활성
2가지 목적의 종양 반응이 HCC를 갖는 환자의 간에서 200mcg/m2에서 관찰되었다.
1명의 환자는 NMR에 따르는 연구 시작시에 측정가능한 간 질환(전체 17.75cm2)을 가지며, 2 IHA 사이클 후에 부분 반응(PR)이 달성되었으며(86% 이상 감소), PR은 4차 IHA 사이클 후에 확인되었고 6차 IHA 사이클 후에 완전한 반응(CR)으로 되었으며, 환자의 치료를 종료한 순간 재발 여부를 재조사한다.
두번째 환자는 기준선에서 다발성 간 병변에 노출시킨다(가장 큰 것은 단층촬영으로 평가한 직경이 6cm이었다). 또한, 이 경우에, PR은 2 IHA 사이클 후에 관찰되었고, 3차 IHA 사이클 후에 확인되었다(가장 큰 병변은 직경이 50% 감소되었다). 간외 종양 진행(골)에도 불구하고, 치료를 중단한 후에 환자에게 또다른 IHA 치료를 제공하였다. 2개월 후, 간의 단층촬영을 반복한 결과, 가장 큰 병변에 대한 이전의 결과가 확인되었으나 가장 작은 병변은 약간 증가하였다.
800mcg/m2에서 처리한 세번째 HCC 환자에 있어서, 3 사이클 후에 최소의 반응이 보고되었다.
이들 활성 데이타는 간 동맥을 통한 MMDX 화학 요법이 정맥내 경로에 의해 사용된 것보다 훨씬 낮은 MMDX 투여량으로 간암 환자에 효과적이고, 위험한 전신 노출을 감소시키고, 따라서 MMDX의 독성을 강력히 감소시킨다는 것을 보여준다.

Claims (19)

  1. 화학식
    Figure 112004038828322-pct00002
    의 메톡시모르폴리노 독소루비신(MMDX)을 포함하는, 간 종양 치료를 위한 간내 투여용 약제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간 종양이 주로 간으로 국한된 종양인 약제학적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주로 간으로 국한된 종양이 간세포암(HCC) 또는 담관암인 약제학적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종양이 간 전이인 약제학적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메톡시모르폴리노 독소루비신이 간 동맥을 통해 간내 투여되는 약제학적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메톡시모르폴리노 독소루비신이 4주마다 약 15분 내지 약 30분간의 주입으로 투여되는 약제학적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메톡시모르폴리노 독소루비신이 8주마다 5 내지 10분간의 식괴(bolus)로서 투여되는 약제학적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메톡시모르폴리노 독소루비신이 요오드화 오일과 함께 투여되는 약제학적 조성물.
  9. 삭제
  10.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메톡시모르폴리노 독소루비신이 약 100 내지 약 1000mcg/m2 범위의 투여량으로 투여되는 약제학적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메톡시모르폴리노 독소루비신이 약 100 내지 약 800mcg/m2 범위의 투여량으로 투여되는 약제학적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투여량이 200mcg/m2인 약제학적 조성물.
  13. 활성 성분으로서의 메톡시모르폴리노 독소루비신과 요오드화 오일을 포함하는, 간 종양을 치료하기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
  14. 삭제
  15. 삭제
  16. 제13항에 있어서, 간내 투여용으로 제형화되는 약제학적 조성물.
  17. 삭제
  18. 삭제
  19. 치료학적 유효량의 메톡시모르폴리노 독소루비신을 간내 투여함을 포함하여 메톡시모르폴리노 독소루비신의 전신 노출을 감소시킨, 간 종양을 치료하기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
KR1020017003222A 1998-09-14 1999-08-27 메톡시모르폴리노 독소루비신을 포함하는, 간 종양 치료를 위한 간내 투여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06851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GB9820012.4A GB9820012D0 (en) 1998-09-14 1998-09-14 Use of an anthracycline derivative for the treatment of a liver tumor
GB9820012.4 1998-09-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5074A KR20010075074A (ko) 2001-08-09
KR100685155B1 true KR100685155B1 (ko) 2007-02-22

Family

ID=10838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3222A KR100685155B1 (ko) 1998-09-14 1999-08-27 메톡시모르폴리노 독소루비신을 포함하는, 간 종양 치료를 위한 간내 투여용 약제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26)

Country Link
EP (1) EP1112066B1 (ko)
JP (2) JP5529360B2 (ko)
KR (1) KR100685155B1 (ko)
CN (1) CN1168452C (ko)
AT (1) ATE245029T1 (ko)
AU (1) AU773451B2 (ko)
BR (1) BR9913627A (ko)
CA (1) CA2343120C (ko)
CZ (1) CZ295901B6 (ko)
DE (1) DE69909636T2 (ko)
DK (1) DK1112066T3 (ko)
EA (1) EA004570B1 (ko)
ES (1) ES2203175T3 (ko)
GB (1) GB9820012D0 (ko)
HK (1) HK1050853A1 (ko)
HU (1) HU229186B1 (ko)
ID (1) ID28035A (ko)
IL (2) IL141645A0 (ko)
MY (1) MY124247A (ko)
NO (1) NO329746B1 (ko)
NZ (1) NZ510445A (ko)
PL (1) PL198025B1 (ko)
PT (1) PT1112066E (ko)
TW (1) TWI222868B (ko)
UA (1) UA69423C2 (ko)
WO (1) WO2000015203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909925D0 (en) * 1999-04-29 1999-06-30 Pharmacia & Upjohn Spa Combined preparations comprising anthracycline derivatives
JP2006503883A (ja) * 2002-10-28 2006-02-02 ファルマシア・イタリア・エス・ピー・エー ネモルビシンの治療効果を最適化するための方法
EP1596874B1 (en) * 2003-02-26 2007-07-11 Nerviano Medical Sciences S.r.l. Method for treating liver cancer by intrahepatic administration of nemorubicin
JP5302300B2 (ja) * 2007-05-11 2013-10-02 ネルビアーノ・メデイカル・サイエンシーズ・エツセ・エルレ・エルレ アンスラサイクリンの医薬組成物
JP2016124818A (ja) * 2014-12-26 2016-07-11 日本化薬株式会社 転移性肝癌治療薬及び転移性肝癌の治療方法
PL244818B1 (pl) * 2021-11-03 2024-03-11 Urteste Spolka Z Ograniczona Odpowiedzialnoscia Związek-marker diagnostyczny raka wątroby, sposób wykrywania aktywności enzymatycznej, sposób diagnozowania raka wątroby, zestaw zawierający taki związek oraz związek do zastosowania medyczneg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D28035A (id) 2001-05-03
JP5529360B2 (ja) 2014-06-25
CA2343120A1 (en) 2000-03-23
CZ295901B6 (cs) 2005-11-16
HK1050853A1 (en) 2003-07-11
JP2002524496A (ja) 2002-08-06
TWI222868B (en) 2004-11-01
NO20011116D0 (no) 2001-03-05
CN1168452C (zh) 2004-09-29
DE69909636D1 (de) 2003-08-21
EP1112066B1 (en) 2003-07-16
CZ2001895A3 (cs) 2001-08-15
GB9820012D0 (en) 1998-11-04
NO329746B1 (no) 2010-12-13
KR20010075074A (ko) 2001-08-09
HU229186B1 (en) 2013-09-30
ES2203175T3 (es) 2004-04-01
NO20011116L (no) 2001-05-14
WO2000015203A2 (en) 2000-03-23
IL141645A (en) 2007-05-15
WO2000015203A3 (en) 2000-07-20
EA004570B1 (ru) 2004-06-24
UA69423C2 (uk) 2004-09-15
ATE245029T1 (de) 2003-08-15
HUP0103557A3 (en) 2002-12-28
AU5742199A (en) 2000-04-03
NZ510445A (en) 2003-01-31
PL198025B1 (pl) 2008-05-30
EP1112066A2 (en) 2001-07-04
MY124247A (en) 2006-06-30
PT1112066E (pt) 2003-11-28
CN1383382A (zh) 2002-12-04
PL348749A1 (en) 2002-06-03
IL141645A0 (en) 2002-03-10
JP2014088398A (ja) 2014-05-15
EA200100353A1 (ru) 2001-10-22
AU773451B2 (en) 2004-05-27
CA2343120C (en) 2009-11-24
HUP0103557A2 (hu) 2002-01-28
DE69909636T2 (de) 2004-06-09
BR9913627A (pt) 2001-05-22
DK1112066T3 (da) 2003-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07867T3 (es) Preparacion combinada que comprende un derivado de morfolinil antraciclina y un inhibidor de topoisomerasa ii.
JP2002537333A (ja) 相乗作用性抗腫瘍組成物
EP2424516A2 (en) Pentamidine combinations for treating cancer
JP2014088398A (ja) 肝臓腫瘍治療へのアントラサイクリン誘導体の使用
JP2002507571A (ja) アントラサイクリン誘導体とカンプトテシン誘導体の相乗組合せを含有する抗腫瘍組成物
Hoshi et al. Internal iliac arterial infusion chemotherapy for rabbit invasive bladder cancer
EP1596874B1 (en) Method for treating liver cancer by intrahepatic administration of nemorubicin
US20020115677A1 (en) Combination comprising camptothecin and a stilbene derivative for the treatment of cancer
US6593303B1 (en) Anti-tumor synergetic composition
Lindnér et al. Digitonin enhances the efficacy of carboplatin in liver tumour after intra-arterial administration
Wright Update in Cancer Chemotherapy: Gastrointestinal Cancer-Colorectal Cancer, Part 1
EP1599210A1 (en) A combined therapy comprising an indolopyrrolocarbazole derivative and another antitumor ag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