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8598B1 -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 및 마그네트론 - Google Patents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 및 마그네트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8598B1
KR100678598B1 KR1020000010879A KR20000010879A KR100678598B1 KR 100678598 B1 KR100678598 B1 KR 100678598B1 KR 1020000010879 A KR1020000010879 A KR 1020000010879A KR 20000010879 A KR20000010879 A KR 20000010879A KR 100678598 B1 KR100678598 B1 KR 1006785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 metal
capacitor
insulating
high voltage
insulating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0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62751A (ko
Inventor
후지와라이사오
이토오요시유키
사사키세츠오
사토오츠카사
사토오가즈오
Original Assignee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000627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27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85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85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35Feed-through capacitors or anti-noise capaci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3/00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 F16B13/04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 F16B13/06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combined with expanding sleeve
    • F16B13/063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combined with expanding sleeve by the use of an expander
    • F16B13/065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combined with expanding sleeve by the use of an expander fastened by extracting the screw, nail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3/00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 F16B13/04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 F16B13/08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with separate or non-separate gripping parts moved into their final position in relation to the body of the device without further manual operation
    • F16B13/0841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with separate or non-separate gripping parts moved into their final position in relation to the body of the device without further manual operation with a deformable sleeve member driven against the abutting surface of the head of the bolt or of a plu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Fixed Capacitors And Capacitor Manufacturing Machines (AREA)
  • Microwave Tubes (AREA)
  • Control Of High-Frequency Heating Circuits (AREA)
  • Ceramic Capacitors (AREA)

Abstract

유전체 세라믹재료로 이루어진 콘덴서는 관통홀 및 관통홀이 연통하는 두 표면에 형성된 전극이 구비된다. 전극중 하나는 접지금속의 상승부 위에 고정된다. 콘덴서와 접지전극을 관통하는 도체는 접지금속의 상승부 위에 고정된 전극의 반대편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절연수지는 콘덴서 주위 공간에 채워진다. 절연커버의 일단면은 내부절연수지가 채워지는 간격을 두고 접지금속의 상승부의 내면과 마주하도록 설정된다.

Description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 및 마그네트론{HIGH VOLTAGE THROUGH-TYPE CAPACITOR AND MAGNETR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의 실시예의 단면정면도.
도 2는 도 1에서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에 이용된 절연커버의 확대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에 이용된 접지금속의 단면정면도.
도 5는 도 4의 접지금속의 하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를 이용하는 마그네트론.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접지금속
2 … 콘덴서
4,5 … 도체
6 … 절연케이스
7 …외부절연수지
8 …내부절연수지
9 …절연커버
10,11 … 절연튜브
111 … 상승부
112 … 관통홀
210 … 유전체 세라믹재료
211,212 … 콘덴서의 관통홀
213,214,215 …전극
본 발명은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로 이루어진 필터를 가지는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 및 마그네트론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있어서, 일본특허공개 제96-316099호 및 실용신안공개 제92-40524호 공보에, 이 형식의 고전압 콘덴서의 잘 알려진 예들이 개재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고전압 콘덴서는 콘덴서를 구성하는 유전체 세라믹물질에 두 관통공이 서로 떨어져 형성되어 이루어진 구조를 채택하고 있다. 서로가 독립적인 각각의 전극과 각각의 전극이 공유하는 공통전극은 관통공이 연통되는 2개의 유전체 세라믹 물질의 표면에 구비된다. 상기 공통전극은 납땜과 같은 수단에 의해 접지금속의 돌출부 위에 고정된다. 콘덴서의 관통공과 접지금속의 관통공에 도체가 삽입된다. 상기 도체는 전극커넥터 등을 이용하여 콘덴서의 각각의 전극에 납땜된다. 상기 콘덴서를 둘러싸기 위하여, 접지금속의 돌출부의 외주에 절연케이스가 설치된다. 상기 도체를 둘러싸기 위하여 접지금속의 다른 표면에 절연커버가 설치된다. 상기 절연커버는 접지금속의 돌출부의 내주면과 밀착하도록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절연케이스와 이 절연케이스에 의해 둘러싸인 콘덴서의 내부 및 외부공간을 에폭시 수지와 같은 열경화성 절연수지로 채워서 방습과 양호한 절연성을 확보한다.
그러나, 상기 절연커버는 접지 금속 상승부의 내주면과 밀착하도록 간단히 끼워맞춤되며, 절연커버와 접지금속이 접합되지는 않는다. 결과적으로, 절연수지가 경화되고 수축하는 동안, 그리고 콘덴서 작동 중에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응력으로 인해, 절연커버와 접지금속 상승부의 내주면의 경계에 간격이 형성되고, 또한 절연수지와 접지금속 사이 및 절연수지와 유전체 세라믹 재료 사이에도 간격이 형성된다. 그래서, 종래 이 형식의 고전압 콘덴서는 특성의 저하로 인해 발생하는 초기 결점과 전극 사이에서 발생하는 단락의 위험을 갖는다.
절연커버와 접지금속 사이에 형성된 간격의 주요 원인으로는 에폭시 수지와 같은 열경화성 절연수지가 경화되고 수축하는 동안 발생하는 응력과, 콘덴서를 구성하는 유전체 세라믹재료에 발생하는 전기왜곡 현상(electrostrictive phenomenon)에 기인하는 응력이 있다.
콘덴서를 구성하는 유전체 세라믹물질의 주요 성분은 바륨 티타네이트이다. 이러한 유전체 세라믹물질은 압전결정류에 속하는 강유전물질이다. 압전결정류에 속하는 강유전물질은 역압전효과를 준다. 결과적으로, 높은 AC전압이 인가될 때, 콘덴서를 구성하는 유전체 세라믹물질의 내부에 기계적 에너지가 발생된다. 예를들어, 이러한 형식의 고전압 콘덴서가 마이크로웨이브 오내의 마그네트론의 필터에 설치된다면, 마그네트론을 진동시키는 높은 AC전압이 콘덴서에 인가된다. 이러한 높은 AC전압이 유전체 세라믹물질에 인가될 때, 상기 역압전효과로 인해 전기적 에너지가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된다. 그 결과, 전압이 인가될 때 유전체 세라믹물질이 팽창하고, 전압이 인가되지 않을 때 유전체 세라믹물질이 원상태로 수축하게 된다. 상용주파수 또는 20kHz∼40kHz 범위의 주파수를 가지는 대략 4kVo-p의 전압이 인가되어 마이크로웨이브 오븐에서 마크네트론을 진동시킨다. 또한, 0∼40kVp-p의 전이전압이 마그네트론이 진동을 시작하기 직전에 인가된다. 이들 AC전압에 반응하여, 콘덴서를 구성하는 유전체 세라믹물질이 팽창과 수축 과정을 반복한다. 이것을 유전체 세라믹물질의 전기왜곡 현상이라고 한다.
그러나, 절연커버는 접지금속의 상승부 내주면에 밀착하도록 단지 끼워맞춤되기 때문에, 절연커버와 내주면은 접합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콘덴서를 구성하는 유전체 세라믹재료가 AC전압에 반응하여 팽창과 수축을 반복하는 동안 절연커버와 접지금속 상승부의 내주면의 경계에 간격이 형성되고, 더 나아가, 절연수지와 접지금속의 경계면이 분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접지금속의 내부를 채우는 절연수지와 접지금속사이의 경계면에 접착력을 증가시켜, 이 경계면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특성의 저하와 전기단락을 피하여 신뢰성이 높은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콘덴서는 하나 이상의 접지금속, 하나 이상의 콘덴서, 하나 이상의 도체, 하나 이상의 절연튜브, 하나 이상의 절연커버 및 절연수지를 구비한다.
접지금속에는 그것의 한 표면에 돌출부가 구비되고, 그 돌출부는 한 표면에서 다른 표면까지 관통공으로 연속되는 내부공간을 가진다.
관통홀이 있는 유전체 세라믹재료를 포함하는 콘덴서는 유전체 세라믹재료 내의 상기 관통홀이 연통하는 각각의 두 표면에 전극이 구비되고, 그 전극중 하나가 접지금속의 한 표면 위에 고정된다.
콘덴서와 접지금속을 관통하는 도체는 전기적 연속성을 이루는 다른 전극에 접속된다. 절연튜브는 도체를 덮는다.
접지금속의 다른 표면에 구비되는 절연커버는 상승부에 내부공간에 그것의 일단부가 삽입된다. 접지금속의 한 표면의 콘덴서 주위의 공간과 절연커버 내부의 콘덴서 주위의 공간이 절연수지로 채워진다.
상기 구조를 가정한 고전압 콘덴서가 마이크로웨이브 오븐 내의 마그네트론에서 이용될 때, 도체를 통과하는 소음은 전원 단자로서 도체를 이용하고, 이와같이 얻어진 관통단자(through terminal)와 접지전위를 갖는 접지금속 사이에 콘덴서를 접속함으로써 콘덴서의 여과기능을 통해 흡수될 수 있다.
또한, 접지금속에는 관통공과 콘덴서 및 유전체 세라믹물질을 관통하는 관통공이 구비되기 때문에, 관통공에 의해 얻어진 충분한 전기적 절연이 확보되는 동안, 접지의 터미널보다 더 높은 전위를 이루는 관통터미널은 콘덴서의 전극들 중 하나와 접지전위를 얻는 접지금속 사이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절연수지가 콘덴서 주위의 공간을 채우기 때문에, 고온 부하테스트와 방습 부하테스트, 또는 콘덴서가 고온다습한 환경에서 이용될 때와 같은 신뢰성 테스트에서 높은 신뢰도가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된 일반적으로 채택되는 구조에서 절연커버의 일단부가 공간을 채우는 절연수지와 거리를 두고 접지금속의 상승부의 내부면과 마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절연커버의 일단부는 공간을 채우는 절연수지에 의해 폐쇄되고, 공간을 채우는 절연수지는 접지금속의 내부면에 접합되는 상기 구조에서, 절연수지와 접지금속이 서로 접합하는 힘은 수지가 경화되고 수축되는 동안 또는 콘덴서가 사용되고 있는 동안, 절연수지와 접지금속 사이에 발생하는 분리력을 초과함으로써, 방습성능을 크게 향상시킨다. 그 결과, 고전압 콘덴서는 사용하는 동안, 절연수지의 경화/수축 또는 유전체 세라믹재료에서 발생하는 전기왜곡 현상에 기인한 기계적 응력을 충분히 견딜 수 있다.
또한, 접지금속과 절연커버가 절연수지에 의해 서로 3차원적으로 결합되기 때문에, 그들 사이의 접합력이 매우 향상되어 반경방향으로 절연수지의 수축력이 존재할때도, 접지금속과 절연커버 사이에 간격이 쉽게 형성되지 않는다.
첨부 도면에 대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면,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다수의 이점을 충분히 이해하게 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는 실리콘 등으로 이루어진 절연튜브(10,11), 접지금속(1), 콘덴서(2), 관통도체(4,5), 절연케이스(6), 외부절연수지(7), 내부절연수지(8) 및 절연커버(9)를 포함한다.
접지금속(1)에는 그것의 한 표면에 관통공(112)을 가지는 돌출부(111)가 있다. 돌출부 위에 구비되는 콘덴서(2)에서, 전극(215)은 납땜과 같은 수단에 의해 돌출부(111)에 고정된다. 관통도체(4,5)는 관통공(112)과 콘덴서(2)의 관통공(211,212)을 각각 관통하고, 전기적 연속을 이루는 전극 도체(12,13)를 통하여 전극(213,214)에 각각 연결된다.
외부 절연수지(7)는 접지금속(1)의 한 면에서 콘덴서(2) 주위 공간에 채워지고, 유전체 세라믹재료(210)의 표면과 밀착한다. 접지금속(1)의 다른 표면에서 콘덴서(2)의 관통홀(211,212)에 채워지는 내부절연수지(8)는 유전체 세라믹재료(210)의 표면과 밀착한다. 외부 절연수지(7)와 내부절연수지(8)는 우레탄수지 또는 에폭시수지와 같은 열경화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그들은 페놀수지 또는 실리콘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관통공(211,212)의 내부 각각에 위치하는 관통도체(4,5)의 부분을 절연튜브(10,11)로 덮여진다.
절연케이스(6)와 절연커버(9)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 terephthalat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또는, 변경된 멜라민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접지금속(1)의 상승부(111)의 외주에 절연케이스(6)가 설치된다. 접지금속(1)의 상승부(111)의 내주에 절연커버(9)가 설치된다. 절연케이스(6) 내부 공간에 외부절연수지(7)가 채워지는 반면, 절연커버(9)의 내부, 접지금속(1)의 상승부(111)의 내부 및 콘덴서(2)의 관통홀(211,212)에 내부절연수지(8)가 채워진다.
콘덴서(210)를 구성하는 유전체 세라믹재료(210)의 성분은 공지기술이다. 특정예로서는 그 주요 성분, 하나 또는 다수의 첨가물 형식으로서 BaTiO3-BaZrO3-CaTiO3-MgTiO3를 가지는 성분이다.
접지금속(1)의 한 표면에 고정된 전극(215)을 가지는 접지금속(1) 상에 콘덴서(2)가 구비된다. 관통도체(4,5)는 콘덴서(2)와 접지금속(1)을 관통하여 전기적 연속성을 얻은 전극(213,214)에 연결된다. 그래서, 마이크로웨이브 오븐의 마그네트론의 적용에서, 관통도체(4,5)를 통과하는 소음을 흡수하는 고전압 콘덴서가 얻어진다. 전력공급 터미널로서 관통도체(4,5)를 이용하고 접지전위를 달성하는 접지금속(1)과 관통도체(4,5) 사이에 콘덴서(2)를 연결함으로써 콘덴서(2)의 여과기능이 얻어진다.
접지금속(1)에는 하나 이상의 관통공(112)이 있고, 콘덴서(2)에는 유전체 세라믹물질(210)을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관통공(211,212)이 있다. 그래서, 콘덴서(2)의 전극(215)과 접지전위를 가지는 접지금속(1) 사이에 있는 접지전위보다 더 높은 전위를 가지는 관통도체(4,5)에 대하여 관통공(211,212)이 있으므로써 충분한 정도의 전기적 절연이 보장된다.
절연수지(7,8)가 콘덴서(2) 주위 공간에 채워지기 때문에, 고온 부하테스트와 방습 부하테스트 또는 고전압 콘덴서가 고온다습한 환경에서 이용될 때와 같은 신뢰도 테스트에서 더 높은 신뢰도가 달성된다.
본 발명은 상술된 일반적으로 채택된 구조에서 내부절연수지(8)가 채워지는 간격(g1)을 두고 접지금속(1)의 상승부(111)의 내부면(층하부면)(113)과 절연커버(9)의 일단부(92)가 마주하여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간격(g1)에 채워지는 내부절연수지(8)에 의해 절연커버(9)의 일단부가 폐쇄되고, 간격(g1)의 내부에 채워지는 내부절연수지(8)가 층하부면(113)과 접지금속(1)의 내부면(114)에 접합되는 상기 구조에 있어서, 내부절연수지(8)가 경화/수축하고, 또는 이용되는 동안, 내부절연수지(8)와 접지금속(1)이 서로 접합되는 힘이 내부절연수지(8)와 접지금속(1)사이에 발생하는 분리력을 초과한다. 그래서, 내부절연수지(8)의 경화/수축으로 인해 발생하는 기계적 응력, 또는, 콘덴서(2)를 구성하는 유전체 세라믹물질(210)에서 발생하는 전기왜곡 현상에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가 완전히 저항할 수 있어서,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의 방습이 크게 향상된다.
또한, 간격(g1)은 층하부면(113), 접지금속(1)의 내부면(114) 및 절연커버(9)의 한 끝면에 의해 둘러싸인 3차원 모양이다. 또한, 내부절연수지(8)는 콘덴서(2)를 구성하는 유전체 세라믹물질(210), 접지금속(1) 및 절연커버(9) 내부에 채워진다. 결과적으로, 접지금속(1)과 절연커버(9)는 서로의 접합력을 크게 향상시키도록 내부절연수지(8)에 의해 3차원으로 서로 접합되어, 반경방향을 따라 내부절연수지(8)에 수축력이 있을 경우라도 이 수축력은 접지금속(1)과 절연커버(9) 사이에 간격의 형성을 막도록 억제된다.
표 1은 간격(g1)과 방습테스트의 결과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다. 방습테스트는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간의 길이 변화에 걸쳐서 상대습도 90%, 온도 45℃로 설정한 환경에서, 45샘플유닛으로 각각 이루어지는 샘플군을 방치하고, 그 다음, AC 10KV(r.m.s)를 10초 동안 인가함으로써 실시되었다.
방습테스트에서 시간길이의 변화(hr)
g1 0 240 500 1000
0 0/45 0/45 0/45 5/45
0.1 0/45 0/45 0/45 0/45
0.2 0/45 0/45 0/45 0/45
0.4 0/45 0/45 0/45 0/45
표 1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별적인 샘플군이 1000시간에 걸쳐 상기 환경에 남겨질때에도, 0.1mm 이상으로 설정된 간격(g1)을 가지는 임의의 개별적인 샘플군 내의 임의의 45 샘플에서 방습 결점이 발생되지 않았다. 이것은 간격(g1)을 0.1mm 이상으로 설정함으로써, 고방습도가 보장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간격(g1)이 0.1mm 이상으로 설정될 때, 간격(g1) 내측의 내부절연수지(8)의 층두께는 0.1mm 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1000시간 동안 상기 환경에 남겨졌던 0.1mm 이하로 설정된 간격(g1)을 가지는 45샘플중에, 방습 결점을 가지는 5 샘플유닛이 발견되었다. 그래서 간격(g1)이 0.1mm 이하였을 때, 좋은 결과가 얻어지지 않았다. 이것은 간격(g1)이 0.1mm 이하일 때 내부절연수지(8)가 그 점성 등으로 인하여 간격(g1) 내측으로 불충분하게 침투한 것에 기인한 것으로 추측된다. 또한, 간격(g1)이 0.1mm이하 일 때, 방습은 간격(g1)을 채우는 내부절연수지의 점성의 불일치에 의해 더 쉽게 영향받는 경향이 있다. 이것 역시, 내부절연수지(8)가 간격(g1) 내측 공간 안으로 충분히 침투하는 것을 방해한다.
접지금속(1)의 내부면과 절연커버(9) 사이에 간격(g1)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을 구성하도록 다양한 구조가 채택될 수 있다. 몇가지의 그러한 예를 다음에 설명한다. 우선, 도 3은 절연커버(9)의 단부면(92)에 돌기(91)를 가지는 예를 나타낸다. 돌기(91)는 반구형, 각형, 사다리형 및 원뿔형을 포함하는 임의의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돌기(91)는 절연커버의 일체화된 부분으로서 형성되거나 별도의 부재를 박음으로써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돌기(91)의 양은 임의적이다. 상기 실시예에서, 서로 반대로 마주하는 두 측에 각각 두 개 존재하여, 총 네 개의 돌기(91)가 제공된다.
표 2는 돌기(91)의 높이(h1)와 방습테스트의 결과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다. 방습테스트는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간길이에 걸쳐서 온도 45℃, 상대습도 90%RH에 설정한 환경에서 45 샘플로 각각 이루어지는 샘플군을 방치하고 나서, 5초동안 AC 10KV(r.m.s)를 인가함으로써 실시되었다. 표 2는 각 군에 방습 결점의 수/샘플(45)의 수의 결과를 나타낸다. 방습은 1000시간의 테스트동안에 걸쳐서 어림잡았다.
방습테스트에서의 시간길이의 변화(hr)
h1(mm) 0 240 500 1000
0 0/45 0/45 0/45 5/45
0.2 0/45 0/45 0/45 0/45
0.3 0/45 0/45 0/45 0/45
표 2에서 나타내는 바와같이, 개별적인 샘플군이 방습 테스트시 1000시간에 걸쳐 상기 환경에 남겨질때에도, 0.2mm 이상에 설정된 높이(h1)를 가지며 절연커버(9)의 일체화된 부분으로서 형성된 돌기(91)를 갖는 임의의 샘플군 내의 임의의 45 샘플유닛에서 방습 결점이 발생되지 않았다. 이것은 돌기(91)의 높이(h1)를 0.2mm 이상으로 설정함으로써, 고방습도가 보장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돌기(91)의 높이(h1)가 0.2mm보다 작다면, 절연커버(9)가 접지금속(1)에 삽입될 때, 돌기(91)가 쉽게 찌그러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항상 간격(g1)에 대해 0.1mm 이상의 치수를 보장하는 것이 어렵다. 절연커버(9)가 접지금속(1)에 삽입될 때 발생하는 돌기(91)의 그러한 찌그러짐을 고려하더라도, 0.1mm 이상의 간격(g1)은 돌기(91)의 높이가 0.2mm 이상에 설정되는한 보장될 수 있다.
접지금속(1)의 내면에 돌기가 제공될 수 있다. 이 구조의 예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다. 도 4 및 도 5는 절연커버(9)와 마주하는 접지금속(1)의 내면(113)에 네 개의 돌기(115)를 제공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구조적 예를 나타낸다. 돌기(115)의 양, 형태, 위치 등은 임의적이다.
도 6은, 음극관을 지시하는 참조번호 15, 필터박스를 지시하는 참조번호 16, 각각 유도자를 지시하는 참조번호 17,18, 그리고 필터로서 유도자(17,18)와 결합하여 이용되는 본 발명에 의한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를 지시하는 참조번호 19가 있고, 필터로서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를 이용하는 마그네트론의 부분분리단면도이다. 필터박스(16)는 음금관(15)을 덮고, 고전압 콘덴서(19)는 외부로 필터박스(16)의 외부절연수지(17)를 노출시키기 위하여 필터박스(16)의 측판(161)에 제공되는 홀을 관통하며, 접지금속(1)에 있는 필터박스(16)의 측판(161)에 안전하게 장착된다. 유도자(17,18)는 음극관(15)의 음극터미널과 필터박스(16) 내부 고전압 콘덴서의 유도자(4,5) 사이에 연속하여 연결된다. 참조번호(21)는 냉각핀을 지시하고, 참조번호 22는 개스킷을 지시하며, 참조번호 23은 RF출력을 지시하고, 참조번호 24는 자석을 지시한다.
상용주파수 또는 20kHz∼40kHz의 범위 내에 주파수를 가지는 약 4kVo-p의 전압은 마이크로웨이브 오븐에서 마그네트론을 진동시키는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19)의 관통도체(4,5)에 공급된다. 그래서, 유도자(17,18)를 통하여 관통도체(4,5)로부터 마그네트론에 고전압이 공급된다. 관통도체(4,5)를 통과하는 소음은 콘덴서(2)와 유도자(17,18)에 의해 얻어지는 여과기능을 통하여 흡수된다.
또한, 콘덴서(2)의 주위 공간은 절연수지(7,8)에 의해 채워지기 때문에,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가 뜨겁고 매우 습한 환경의 마이크로웨이브 오븐에 이용될지라도, 충분한 신뢰도가 보장된다.
또한, 도 1 내지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전압 콘덴서의 방습을 향상시키도록 간격(g1)을 채우는 내부절연수지(8)가 있는 간격(g1) 상의 접지금속(1)의 돌출부(111)의 내면(층하부면)(113)에 마주하여 절연커버(9)의 일단부가 설정된다. 그래서,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19)가 뜨겁고 습한 환경의 마이크로웨이브 오븐에 이용될 때, 오히려 더 높은 신뢰도가 보장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접지금속의 경계면에 접합력을 증가하고, 절연수지가 접지금속에 채워져서 접지금속과 절연수지의 경계면에서의 분리를 방지함으로써, 특성의 저하와 전기단락을 피할 수 있는 매우 신뢰할 수 있는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가 얻어진다.

Claims (5)

  1. 하나 이상의 접지금속과, 하나 이상의 콘덴서와, 하나 이상의 관통도체와, 하나 이상의 절연튜브와, 하나 이상의 절연커버와, 절연수지를 포함하는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에 있어서,
    상기 접지금속은, 일면측에 돌출부를 가지고, 상기 돌출부는 일면측으로부터 타면측에 관통하는 관통공 및 상기 관통공과 연속하는 내부공간을 가지며,
    상기 콘덴서는, 관통공을 가지는 유전체 세라믹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유전체 세라믹 물질의 상기 관통공의 개구하는 양면에 전극을 구비하여 구성되며, 상기 전극들 중 일면의 전극이 상기 접지금속의 상기 일면 상에 고정되고,
    상기 관통도체는, 콘덴서 및 상기 접지금속을 관통하고, 상기 전극들 중 타면의 전극에 관통 접속되며,
    상기 절연튜브는, 상기 관통도체를 덮도록 설치되고,
    상기 절연커버는, 상기 접지금속의 타면측에 구비되어, 일단이 상기 돌출부부의 상기 내부공간 내에 삽입되며,
    상기 절연수지는, 상기 접지금속의 상기 일면측에 있어서 상기 콘덴서의 주위에 충진됨과 동시에, 상기 절연커버의 상기 내부공간 내에 있어서 상기 콘덴서의 주위에 충진되고,
    상기 절연커버의 상기 일단측의 단면이 상기 접지금속의 돌출부의 내면과 간격을 두고 마주하고, 상기 간격 내에 상기 절연수지가 충진되어 있으며,
    상기 절연커버의 상기 일단측의 단면에는, 상기 접지금속의 내면과 마주하는 하나 이상의 돌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
  2. 하나 이상의 접지금속과, 하나 이상의 콘덴서와, 하나 이상의 관통도체와, 하나 이상의 절연튜브와, 하나 이상의 절연커버와, 절연수지를 포함하는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에 있어서,
    상기 접지금속은, 일면측에 돌출부를 가지고, 상기 돌출부는 일면측으로부터 타면측에 관통하는 관통공 및 상기 관통공과 연속하는 내부공간을 가지며,
    상기 콘덴서는, 관통공을 가지는 유전체 세라믹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유전체 세라믹 물질의 상기 관통공의 개구하는 양면에 전극을 구비하여 구성되며, 상기 전극들 중 일면의 전극이 상기 접지금속의 상기 일면 상에 고정되고,
    상기 관통도체는, 콘덴서 및 상기 접지금속을 관통하고, 상기 전극들 중 타면의 전극에 관통 접속되며,
    상기 절연튜브는, 상기 관통도체를 덮도록 설치되고,
    상기 절연커버는, 상기 접지금속의 타면측에 구비되어, 일단이 상기 돌출부의 상기 내부공간 내에 삽입되며,
    상기 절연수지는, 상기 접지금속의 상기 일면측에 있어서 상기 콘덴서의 주위에 충진됨과 동시에, 상기 절연커버의 상기 내부공간 내에 있어서 상기 콘덴서의 주위에 충진되고,
    상기 절연커버의 상기 일단측의 단면이 상기 접지금속의 돌출부의 내면과 간격을 두고 마주하고, 상기 간격 내에 상기 절연수지가 충진되어 있으며,
    상기 접지금속의 돌출부의 상기 내면에는, 상기 절연커버의 상기 일단측의 단면과 마주하는 하나 이상의 돌기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내에 충진된 절연수지의 층두께는 0.1m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를 필터로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론.
  5. 제3항에 기재된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를 필터로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론.
KR1020000010879A 1999-03-05 2000-03-04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 및 마그네트론 KR1006785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5810799A JP3248619B2 (ja) 1999-03-05 1999-03-05 高電圧貫通型コンデンサ及びマグネトロン
JP99-58107 1999-03-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2751A KR20000062751A (ko) 2000-10-25
KR100678598B1 true KR100678598B1 (ko) 2007-02-05

Family

ID=13074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0879A KR100678598B1 (ko) 1999-03-05 2000-03-04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 및 마그네트론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288886B1 (ko)
EP (1) EP1035554A3 (ko)
JP (1) JP3248619B2 (ko)
KR (1) KR1006785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3205B1 (ko) * 2000-03-31 2006-07-24 삼성전자주식회사 직류용 전자렌지의 전원 컨넥터
JP3803258B2 (ja) * 2000-04-03 2006-08-02 Tdk株式会社 高電圧貫通型コンデンサ及びマグネトロン
KR100442934B1 (ko) * 2001-10-25 2004-08-0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전자렌지용 캐패시터
JP2005109006A (ja) * 2003-09-29 2005-04-21 Tdk Corp 高電圧貫通型コンデンサ及びマグネトロン
KR100591309B1 (ko) * 2003-12-30 2006-06-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마그네트론용 고압 콘덴서
KR100591307B1 (ko) * 2003-12-30 2006-06-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마그네트론용 고전압 입력 단자
JP2005217296A (ja) * 2004-01-30 2005-08-11 Tdk Corp 高電圧貫通型コンデンサ、高電圧貫通型コンデンサ装置、及び、マグネトロン
JP2006086405A (ja) * 2004-09-17 2006-03-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貫通型コンデンサ及びマグネトロン
US7542095B2 (en) * 2005-01-20 2009-06-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of noise-adaptive motion detection in an interlaced video sequence
JP4338040B2 (ja) * 2005-04-11 2009-09-30 Tdk株式会社 高電圧コンデンサ、高電圧コンデンサ装置、及び、マグネトロン
JP4433198B2 (ja) * 2005-08-29 2010-03-17 Tdk株式会社 高電圧貫通型コンデンサ、及び、マグネトロン
GB2491587B (en) * 2011-06-06 2018-09-05 E2V Tech Uk Limited Magnetron filter
CN106298240B (zh) * 2016-10-17 2018-11-06 常州佳冠电子有限公司 穿芯电容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72139U (ko) * 1986-04-22 1987-10-31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70698A (en) * 1979-10-08 1983-01-25 Tdk Electronics Co., Ltd. Through type high-withstand-voltage ceramic
US4768129A (en) * 1986-01-17 1988-08-30 Tdk Corporation Through type twin capacitor
KR880003356A (ko) * 1986-08-13 1988-05-16 무라다 아끼라 고압콘덴서
DE3781752T2 (de) * 1986-09-11 1993-01-07 Tdk Corp Durchfuehrungstypkondensator, sowie seine verwendung in einem magnetron.
JPS63269509A (ja) * 1987-04-28 1988-11-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貫通形高圧コンデンサ
US5032949A (en) * 1988-06-07 1991-07-16 Tdk Corporation High-voltage through-type ceramic capacitor
US4985802A (en) * 1988-09-20 1991-01-15 Sanyo Electric Co., Ltd. High voltage through type capaci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US5142436A (en) * 1990-02-27 1992-08-25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Piercing through type capacitor
JPH0440524A (ja) 1990-06-07 1992-02-10 Fujitsu Ltd 演算装置
JPH04196031A (ja) * 1990-11-28 1992-07-15 Hitachi Ltd マグネトロン
US5544002A (en) * 1991-08-27 1996-08-06 Tdk Corporation High voltage capacitor and magnetron
JP3473795B2 (ja) 1995-05-22 2003-12-08 Tdk株式会社 高電圧コンデンサ及びマグネトロン
US5798906A (en) * 1996-07-17 1998-08-25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Capacit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72139U (ko) * 1986-04-22 1987-10-3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248619B2 (ja) 2002-01-21
EP1035554A3 (en) 2003-12-10
KR20000062751A (ko) 2000-10-25
JP2000260659A (ja) 2000-09-22
US6288886B1 (en) 2001-09-11
EP1035554A2 (en) 2000-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7980B1 (ko) 관통형 커패시터 및 그를 이용한 마그네트론
KR100678598B1 (ko)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 및 마그네트론
US4266091A (en) Layer-built laminated bus embedding condensers
US6510038B1 (en) High-voltage feedthrough capacitor
US4323865A (en) Ladder-type piezoelectric filter
JP3473795B2 (ja) 高電圧コンデンサ及びマグネトロン
KR940007428B1 (ko) 관통 콘덴서
JPS6345749Y2 (ko)
KR100219336B1 (ko) 압전 변압기와 그 제조 방법 및 그 구동 방법
KR100626682B1 (ko) 고전압콘덴서 및 마그네트론
JPH0350625Y2 (ko)
US7042704B2 (en) High-voltage capacitor, high-voltage capacitor device and magnetron
KR100855836B1 (ko)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 및 마그네트론
JP2580628Y2 (ja) 高電圧コンデンサ及びマグネトロン
JPS6133246B2 (ko)
JPH0525224Y2 (ko)
JP2580629Y2 (ja) 高電圧コンデンサ及びマグネトロン
JP4297284B2 (ja) 高電圧貫通型コンデンサ、高電圧貫通型コンデンサの製造方法、及び、マグネトロン
JPS6028117Y2 (ja) 高電圧貫通形コンデンサ
JPS5943717Y2 (ja) 貫通形コンデンサ
JPS5911448Y2 (ja) 貫通形コンデンサ
JPH069479Y2 (ja) 高圧コンデンサ
JPS5833698Y2 (ja) 高圧用lc複合部品
JPH0518835Y2 (ko)
JP3159958B2 (ja) フライバックトラン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