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7727B1 - 의료 폐기물 및 다른 폐기물들의 열분해 방법 - Google Patents

의료 폐기물 및 다른 폐기물들의 열분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7727B1
KR100677727B1 KR1020047019768A KR20047019768A KR100677727B1 KR 100677727 B1 KR100677727 B1 KR 100677727B1 KR 1020047019768 A KR1020047019768 A KR 1020047019768A KR 20047019768 A KR20047019768 A KR 20047019768A KR 100677727 B1 KR100677727 B1 KR 1006777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yrolysis
vessel
chamber
waste
oxidation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9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19117A (ko
Inventor
피터데이비드 바르바
Original Assignee
호누아 테크놀로지즈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누아 테크놀로지즈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호누아 테크놀로지즈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50019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91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77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77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08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having supplementary heating
    • F23G5/14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having supplementary heating including secondary combustion
    • F23G5/16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having supplementary heating including secondary combustion in a separate combustion cha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02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 F23G5/027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pyrolising or gasifying st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C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FLUID FUEL OR SOLID FUEL SUSPENDED IN  A CARRIER GAS OR AIR 
    • F23C7/00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air supply
    • F23C7/002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air supply the air being submitted to a rotary or spinning mo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02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 F23G5/027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pyrolising or gasifying stage
    • F23G5/0273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pyrolising or gasifying stage using indirect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08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having supplementary heating
    • F23G5/12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having supplementary heating using gaseous or liqu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7/00Control
    • F23G2207/10Arrangement of sensing devices
    • F23G2207/101Arrangement of sensing devices for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7/00Control
    • F23G2207/30Oxidant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9/00Specific waste
    • F23G2209/20Medical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900/00Special features of, or arrangements for incinerators
    • F23G2900/70Incinerating particular products or waste
    • F23G2900/7009Incinerating human or animal corpses or rem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Gasification And Melting Of Waste (AREA)
  • Incineration Of Wast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폐기물, 특히 의료 폐기물의 열분해 공정이 제공된다. 상기 열분해 공정에서, 폐기물(36)은 밀봉 용기(38) 내에 놓여진다. 상기 밀봉 용기(38)는 적재 챔버(34) 내에 놓여지고, 상기 폐기물(36)이 열분해된다. 상기 공정은 휘발성 유기 화합물을 함유하는 열분해 가스를 생성하고, 이 열분해 가스는 접선형(20) 및 방사형(22)의 공기 유입구 포트를 포함하는 산화 챔버(14) 내로 유입된다. 상기 산화 챔버(14)에서 상기 열분해 가스가 연소되어, 고온의 가스가 생성된다. 작동시, 발생된 열 및 고온의 가스의 적어도 일부는 열분해 용기(38)를 수용하는 적재 챔버(34)로 유입된다.

Description

의료 폐기물 및 다른 폐기물들의 열분해 방법{PROCESS FOR THE PYROLYSIS OF MEDICAL WASTE AND OTHER WASTE MATERIALS}
관련 출원들에 대한 상호 참고
본 출원은 2002년 6월 3일에 출원된 미합중국 가출원(Provisional Application) 제60/385,772호의 잇점을 청구하고 있으며, 그 내용은 여기에서 참고로서 도입된다.
본 발명은 폐기물들, 특히 의료 폐기물의 열분해 방법에 일반적으로 관련된다. 보다 특정적으로는, 본 발명은 폐기물이 밀봉된 용기(sealed container) 내에 놓여지는 열분해 방법에 관련된다. 이 밀봉된 용기는 적재 챔버(load chamber) 내에 삽입되고, 폐기물은 열분해 공정을 겪는다.
최근, 정부기관, 산업 및 다른 조직들은 화학적 및 생물학적 생산물을 포함하는 유기 폐기물들의 취급 및 처리에 관계된 다양한 문제점들을 겪어야만 해 왔다. 의료 폐기물의 처치는, 그 폐기물 중에 감염성 박테리아, 바이러스 및 다른 병원체가 존재하기 때문에, 특히 어려운 문제이다. 그러한 유기 폐기물들을 극히 높은 온도로 가열하면, 그 성분들이 열적으로 분해를 일으킨다는 것은 알려져 왔다. 이 열 에너지는 폐기물의 화학적 성분들(기본적으로 탄소, 수소, 및 흔적성 원소 들)을 기체로 전환시킨다. 폐기물들을 열적으로 분해시키고 화학적으로 변환시키기 위하여, 열분해 공정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용어 "열분해(pyrolysis)"는 문맥에 따라 다른 의미를 지닐 수 있다. 예를 들어, "열분해"는 "열 단독에 의해, 즉, 산화없이, 화합물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물질들로 변환하는 것"으로 정의된다(Hawley의 축약 화학 사전, 13판. (1997)). 병원/의료/감염성 폐기물 소각로(incinerator)의 성능에 대한 기준을 밝힌 미 연방규정집(Code of Federal Regulations(CFR))에 있어서, "열분해"는 "외부 에너지를 이용한 폐기물들의 흡열 기체화"를 의미한다(40 C.F.R. §60.51c). 전형적으로, 상업적 열분해 운전에 있어서, 폐기물은 열분해 로(furnace) 또는 챔버(chamber) 내에 적재되고, 이 로 내에는 소량의 공기(산소)가 일반적으로 존재한다. 로 내에 공기가 존재하는 데에는 몇몇 이유가 있을 수 있다. 일부 공기는, 로 챔버 내에 폐기물을 적재하는 동안 챔버로 향하는 문이 열리고 닫힐 때, 로 내로 들어갈 수 있다. 또한, 일부 공기는 폐기물 내에 혼입(entrain)될 수 있다. 또한, 열분해 로가 약간의 음압에서 작동할 수도 있으며, 그 결과, 소량의 공기가 결함있는 밀봉부를 통하여 로 내로 빨려 들어갈 수 있다. 따라서, 용어 "열분해"는, 열분해 로 내의 분위기가 열분해 반응동안 때때로 매우 적은 양의 공기(산소)를 포함할 수 있으나, 그 양은 가시적인 연소의 존재를 배제할 수 있을 정도로 적은 공정을 포함하는 것으로, 산업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며, 여기에서 사용된다.
산업적 응용에 있어서, 폐기물의 열분해는, 전형적으로는, 그 물질의 전체적인 파괴 중에서 첫번째 단계이다. 열분해 공정은 폐기물 중의 유기 화합물들을 휘 발 또는 기체화시키고, 휘발성 유기 화합물들을 함유하는 배출 가스를 생산한다. 두번째 단계에서, 버너 유니트(burner unit)가 휘발성 유기 화합물들을 연소 내지 산화시킨다.
열분해 로들은 공기-결핍 상태(starved-air mode)로 작동하는 소각로(incinerator)와 혼동되어서는 안된다. 그러한 소각로들은 전형적으로 1차 및 2차 연소 챔버를 포함한다. 소각 공정에 있어서, 버너 또는 다른 점화원(ignition source)은 1차 챔버 내에서 개방 화염(open flame)을 만든다. 연소 공기는, 유기 폐기물들의 분해로부터 방출되는 휘발성 유기 화합물들의 완전연소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산소의 화학양론적 당량보다 적은 속도로, 1차 챔버에 공급된다. 그러면, 2차 연소 챔버에서, 과량의 연소 공기가 공급되어 폐기물 배출 가스를 완전히 분해하고, 산화시키게 된다. Lewis의 미합중국 특허 제4,474,121호 및 4,517,906호에는, 첫번째 단에서 공기-결핍 상태로 작동되고, 두번째 단에서 공기-과잉 상태로 작동되는 2단 연소로 시스템에의 보조 연료 첨가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한 공기-결핍 소각로의 문제점 중 하나는, 1차 연소 챔버 내의 개방 화염이, 난류(turbulence)를 만들고, 배출 가스 스트림 내에서 입자들의 부유(suspension)를 일으킨다는 것이다. 이 미립자들은, 추가적인 오염 통제 시스템(예컨대, 스크러버(scrubber))이 채택되지 않는다면, 2차 연소 챔버를 통과하여 오염물질로서 배출된다. 그러한 대기 오염 통제 시스템들을 소각로 상에 장착하는 것은 고비용이 소요되나, 배출 기준을 맞추기 위해서는 그러한 시스템들이 종종 필수적이다.
상기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폐기물들을 파괴하기 위한 열분해 공정들은 산업분야에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Hansen 등의 미합중국 특허 제5,868,085호에는, 메인 프레임(main frame); 원하지 않는 공기 또는 산소가 열분해 공정 내로 혼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어될 수 있는 밸브 배열을 통하여 처리될 폐기물이 투입되는 투입단; 및 타원형 열분해 챔버를 동축방향으로 둘러싸는 단열된 외부 하우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열분해 어셈블리를 갖는 폐기물 처리 유니트가 개시되어 있다. 회전가능한 스크류가, 열분해 반응이 일어나도록, 밀봉 고열처리장치(retort)를 통과하여 폐기물을 이송한다. 가열 챔버는 외부 하우징과 밀봉 고열처리장치 사이의 공간으로 규정된다. 연료 가스들은 가열 챔버 내에서 연소되어 열분해를 위한 열 에너지원을 제공한다. '085 특허에 따르면, 열분해동안 투입물질로부터 방출되는 기체들은, 그 안에 함유된 오염물질들이 응축 및 열산화의 조합에 의해 빠져 나오도록 처리된다. 그러면, 기체들은 대기 중으로 배기되거나, 또는 에너지를 공급하도록 스팀 발생기와 같은 곳으로 보내어진다.
Keough의 미합중국 특허 제4,648,328호에는, 사용된 차량용 타이어의 열분해를 위한 장치 및 공정이 개시되어 있다. 이 장치는 반응 챔버를 포함한다. '328 특허에 따르면, 타이어 조각들이 체인 및 플라이트(flight) 컨베이어에 의해 챔버를 통과하여 이송될 때, 주위 공기의 유입을 막기 위한 에어락(airlock) 메커니즘을 통하여, 타이어 조각들이 반응 챔버 내로 투입되고, 이로부터 제거된다. 이 공정은, 사용된 타이어를 조각조각 절단하는 단계, 타이어 조각들을 예열하는 단계, 조각들을, 반응 챔버를 통과시켜 이송하는 단계, 고체 및 기체 산물을 분리하는 단 계, 및 기체 산물의 일부를 가열수단으로 재순환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폐기물을 연소시키기 위하여 화염을 소각로 챔버 내에 도입하는 소각로 공정들이 알려져 있다. Brooks의 미합중국 특허 제4,603,644호에는, 뒷 벽에 개구(opening)(통기구(vent))를 가진 수용(receiving) 챔버를 갖는 소각로가 개시되어 있다. 점화 챔버에는 연료 및 공기가 공급되며, 챔버 내에 놓여진 생물 폐기물(biomass) 위로 화염을 하향 점화시킨다. 수용 챔버 내의 개구는, 수용 챔버로부터 나온 기체 내의 휘발성 구성성분들을 태우는 버너 부재(member)를 갖는, 재연소(afterburner) 챔버로 이어진다. 재연소 챔버는, 수용 챔버의 아래쪽 공간을 차지하는 덕트(duct), 열전달 챔버로 열을 전달한다.
앞서의 공정들에 있어서 하나의 문제점은, 챔버 내에서 버너를 점화시키는 것이, 미립자 및 재 물질(ash material)의 배출로 이어지는 불안정성과 난류를 일으킬 수 있다는 점이다. 이들 물질들은 시스템으로부터 오염물질로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폐기물을 열적으로 분해하기 위하여 화염이 열분해 챔버 내에 도입되지 않는 열분해 공정에 대한 요구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 중 하나는 그러한 열분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Brooks의 미합중국 특허 제5,611,289호에는, 생물 폐기물의 기체화를 위한 기화장치(gasifier)가 개시되어 있다. 이 기화장치는, 폐기물을 수용하는 1차 챔버, 연기(fume)전달 통기구, 및 1차 챔버로부터 열분해 기체를 받아들이는 혼합 챔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면, 연기는 재연소 챔버로 유입되고, 거기에서 연소 화염이 연기의 구성성분들을 산화시킨다. '289 특허에 따르면, 가열 화염이 챔버 내로 들어가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화염 챔버와 1차 챔버 사이에 분할 벽(partitioning wall)이 배치된다. 열전달 쳄버는 완전 산화된 연기를 받아들이고, 연기로부터 나온 열은 열전달 챔버의 가열을 일으킨다. 1차 챔버는 열전도성 바닥를 가지며, 열전달 챔버 위에 포개어진다. 열전달 챔버로부터 나온 열은 바닥을 통해 올라가 1차 챔버와 생물 폐기물을 가열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열분해 공정에 있어서 하나의 불리한 점은, 1차 챔버의 바닥을 통한 열전달이 상대적으로 느린 공정이라는 점이다. 따라서, 1차 챔버 내의 온도를 올리고 열분해 반응을 완료시키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장시간이 소요된다. 이 시간-소모적인 공정은 비용이 많이 들고, 비효율적일 수 있다.
상기 종래의 열분해 공정에 있어서 다른 불리한 점은, 심지어 열이 바닥을 통하여 장시간 공급된다고 하더라도, 폐기물의 종류에 따라, 1차 챔버 안이 필요한 온도에 도달하지 못할 수도 있다는 점이다. 이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1차 챔버의 문은, 소량의 공기가 챔버 내로 들어올 수 있도록 작은 공기 유입구(inlet)를 가진다. 공기의 유입은, 폐기물의 연소에 의해 챔버의 온도를 상승시킨다. 일단 연소가 일어나면, 공정은 발열공정이 되며, 더이상 열분해 공정이 아니다.
또한, 재연소 챔버는 열전달 챔버와 항상 유체연결되어 있고, 뜨거운 기체가 항상 열전달 챔버를 통제없이 통과한다. 따라서, 재연소 챔버 내의 보조 열투입 버너가 연소하고 있는 한, 열이 연속적으로 1차 챔버에 전달된다. 이는 두가지의 잠재적인 문제점들을 낳는다: 1) 재연소 챔버가 적절한 운전 온도에 다다르기 전에, 1차 챔버 내에서 휘발성 유기 화합물이 생성될 수 있으며, 그 결과, 불완전 연소 및 배출이 일어날 수 있다; 그리고 2) 고휘발성 폐기물이, 1차 챔버의 온도가 허용가능한 온도를 초과하도록 할 정도의 높은 속도로 휘발성 유기 화합물을 배출할 수 있고, 따라서, 지나친 온도 한계 및 지나친 배출로 이어지도록, 휘발 속도를 훨씬 더 빠르게 몰고 갈 수 있다.
종래의 열분해 공정에 있어서의 상기 문제점들의 관점에서, 산화 챔버로부터 열분해 챔버로의 뜨거운 기체의 전달이, 제어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시스템이 요구된다. 원한다면, 이 뜨거운 기체는, 폐기물들을 가열하도록, 열분해 챔버에 빠르게 전달될 수 있도록 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그러한 열분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잇점들은 이하의 기재 및 도면들로부터 명확하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폐기물, 특히 의료 폐기물의 열분해 공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기 공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폐기물을 밀봉 열분해 용기 내에 수용시키고, 상기 용기를 적재 챔버에 삽입한다. 상기 용기의 배출 포트(port)는 열분해 가스 이송 덕트에 연결되어, 상기 용기가 산화 챔버와 유체 연결(fluid communication)되도록 한다. 상기 배출 포트는 실질적으로 기밀(air-tight)한 밀봉을 형성하기 위한 기계적인 락킹(locking) 수단에 의해, 열분해 가스 이송 덕트에 연결되어야 한다.
열분해 용기를 갖는 상기 적재 챔버는 가열되고, 열이 용기 내로 전달되어, 폐기물이 분해되고, 휘발성 유기 화합물들을 포함하는 열분해 가스가 생성된다. 상기 열분해 가스는 열분해 용기로부터 열분해 가스 이송 덕트을 통하여 산화 챔버로 흐른다. 상기 열분해 가스 이송 덕트는 열분해 용기를 음압 상태로 유지하고, 공기 유입구에서 초기의 열분해 가스 연소를 위한 공기 흐름을 산화 챔버에 공급하기 위하여, 공기 유입구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산화 챔버는 산화 챔버로의 공기 흐름을 조절하기 위하여, 버너 유니트와 적어도 하나의 공기 유입구 포트를 포함한다. 상기 버너 유니트는 산화 챔버의 상부에 위치하고, 산화 챔버를 예비 가열하고, 열분해 가스의 연소를 위해 필요한 온도를 유지하기 위한 화염을 생성한다. 상기 산화 챔버는 일반적으로 다수개의 공기 유입구 포트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산화 챔버는 공기를 상기 챔버에 접선형으로 이송하기 위한 접선형 공기 유입구 포트와, 공기를 상기 챔버에 방사형으로 이송하기 위한 방사형 공기 유입구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산화 챔버에서, 열분해 가스가 연소되어, 열이 생성된다. 상기 산화 챔버에서 생성된 열의 적어도 일부는 고온 가스(hot gas) 이송 덕트를 통하여 적재 챔버로 이송된다.
상기 고온 가스 이송 덕트는 적어도 하나의 고온 가스 조절 댐퍼(damper)를 포함한다. 상기 고온 가스 조절 댐퍼를 제어하고, 적재 챔버로 이송되는 열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상기 공정의 종말점(endpoint)을 결정하기 위하여, 시간/온도 프로필, 연소 공기 투입 속도 및 버너 투입 속도를 포함하는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 있다.
다양한 열분해 용기가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구체예에서, 상기 용기는 4개 의 측벽 패널, 베이스 패널, 커버 및 배출 포트를 포함하는 일체형 구조를 갖는다. 상기 용기는 내고온성 금속 합금으로 제조될 수 있고, 상기 커버를 밀봉하기 위한 내고온성 개스킷(gasket)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기는 이송 가이드 레일에 의하여 적재 챔버로 도입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열분해 용기는 직사각형의 와부(recessed portion)를 포함하며, 상기 와부는 중심 가열면을 제공하기 위하여 베이스 패널로부터 상부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다른 구조 및 디자인을 갖는 다양한 다른 밀봉 열분해 용기가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본 발명의 특징적인 신규한 사항은 후술하는 청구항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 및 그에 따른 이점과 함께 바람직한 구체예는 첨부 도면과 연관하여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므로써 가장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열분해 공정의 하나의 구체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산화 챔버의 확대 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열분해 공정에 따라 사용하기 위한 밀봉 열분해 용기에 관한 하나의 구체예를 나타내는 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뚜껑 밀폐 메커니즘에 관한 하나의 구체예를 나타내는, 도 3에서 표시된 뚜껑 부위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열분해 공정에 따라 사용하기 위한 밀봉 열분해 용기에 관한 다른 구체예를 나타내는 투시도이다.
바람직한 구체예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폐기물, 특히 의료 폐기물의 열분해 공정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의하면, 본 발명의 열분해 공정의 개략적인 설명이 일반적으로 도시화되어 있다. 폐기물의 분해를 수행하는 데에 사용되는 전체 시스템이 열분해 유니트로서 언급될 수 있고, 일반적으로 도 1에서 부호 10으로 표시된다. 실제로, 열분해 유니트(10)는 우선 공기로 정화(purge)될 수 있다. 그 다음, 산화 챔버(14) 내에 위치하는 버너 유니트(12)가 가열 화염을 생산하도록 발화될 수 있다. 상부(16)와 하부(18)를 갖는 산화 챔버(14)는 수직으로 배열된다. 화염이 아래쪽으로 발사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버너 유니트(12)는 산화 챔버(14)의 상부(16)에 위치된다. 버너 유니트(12)의 연료 소스는 일반적으로 프로판가스 또는 천연가스와 같은 산업용 가스이다. 상기 연료의 연소를 돕기 위하여, 상기 버너 유니트(12)에 공기(산소)가 공급된다. 일반적으로, 산소를 공급하기 위하여 주변 공기가 사용되지만, 산소가 풍부한 공기와 같이, 충분한 양의 산소를 함유하는 어떠한 물질도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구체예에서, 연료의 연소를 돕기 위하여, 열분해 공정의 열로부터 발생한 사전 가열된 공기가 사용될 수 있다.
열분해 가스 분해를 위한 연소 공기가 적어도 하나의 공기 유입구 포트에 의하여 산화 챔버(14)에 공급된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산화 챔버는 도 2에 나타낸 구조를 갖는 다수개의 공기 유입구 포트(20, 22)를 포함한다. 접선형 공기 유입구 포트(20)는 산화 챔버에 공기를 접선형으로 이송하고, 방사형 공기 유입구 포트(22)는 산화 챔버에 공기를 방사형으로 이송한다. 접선형 공기가 연소를 개시하고, 가장 높은 화염 온도를 가질 수 있는 영역의 챔버 벽을 보호하고, 방사형 공 기가 상기 챔버에서 물리적인 배플(baffle)의 사용 없이 우수한 연소를 촉진하는 난류성 혼합을 일으키기 때문에, 이러한 디자인을 갖는 공기 유입구 포트가 특히 이점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도 1에 의하면, 연료의 연소에 의해 산화 챔버(14)에서 초기에 발생된 고온의 가스와 산소가, 바이패스 댐퍼(26)를 갖는 배출 바이패스 덕트(24)를 통하여 대기로 배출된다. 상기 산화 챔버(14)에서 고온의 배출 가스의 온도는 온도 센스 부재(28)에 의해 측정된다. 상기 온도 센스 부재(28)는 상기 가스가 충분한 연소를 위해 필요한 시간동안 상기 산화 챔버(14)에 보유되는 시점에서, 상기 고온의 배출 가스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위치된다. 상기 배출 가스가 사전 세팅한 온도에 도달할 때, 고온 가스 이송 덕트(32)내의 주 고온 가스 조절 댐퍼(30)가 열리기 시작하고, 바이패스 배출 덕트(24)내의 바이패스 댐퍼(26)가 닫히기 시작한다. 주 댐퍼(30)의 열림은 고온 가스를 고온 가스 이송 덕트(32)로 이송시키고, 그 결과 고온 가스가 산화 챔버(14)로부터 적재 챔버(34)로 이송되도록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적재 챔버(34)내의 온도가 상기 적재 챔버(34)와 바이패스 배출 덕트(24) 사이의 고온 가스 흐름의 균형에 의해 조절된다. 상기 고온 가스 흐름은 주 댐퍼(30)와 바이패스 댐퍼(26)의 위치 관계에 의해 조절된다.
열분해 공정에서 분해되는 폐기물(36)은 배출 컨넥터 포트(39)를 구비한 밀봉 열분해 용기(38) 내에 놓여진다. 여기서 사용되는 "폐기물"이란, 규제 물질, 약제학적 산물, 동물의 사체, 화학 물질, 유독 물질, 위험 물질, 생물학적 제제 및 의료 폐기물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열분해 공정에 적용될 수 있는 어떠 한 적합한 산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공정은 예를 들면, 생물학적 배양물, 인간 병리 조직 및 기관, 혈액-유래 산물, 유리병, 정맥내 백, 바늘, 주사기, 외과용 메스 날, 밀봉선, 면봉, 붕대, 드레싱, 및 다른 병원 및 감염 폐기물을 포함하는 의료 폐기물을 분해하기에 특히 적합하다. 열분해 용기(38)의 구조는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더욱 설명된다.
도 1에 의하면, 상기 밀봉 열분해 용기(38)가 적재 챔버(34)내에 삽입되어 있다. 상기 열분해 용기(38)는 이송 가이드 레일(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상기 적재 챔버(34)내에 삽입될 수 있다. 배출 컨넥터 포트(39)가 산화 챔버(14)로 통하는 열분해 가스 이송 덕트(40)에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열분해 용기(38)는 산화 챔버(14)와 유체 연결되어 위치한다. 상기 열분해 용기(38)는 어떠한 적당한 기계적인 고정 수단을 사용하여 열분해 가스 이송 덕트(40)와 연결된다. 예를 들면, 열분해 용기(38)가 락킹 봉(locking rod) 수단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락킹 메커니즘은 상기 열분해 용기(38)와 열분해 가스 이송 덕트(40)가 서로 강하게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여, 그 결과 내고온성의, 실질적으로 기밀된 밀봉을 만들기에 충분한 힘을 발휘한다. 상기 열분해 용기(38)가 적재 챔버(34) 내에 놓여진 후, 적재 챔버(34)의 도어(42)가 닫히고, 따라서 내고온성의 단단한 밀봉이 만들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산화 챔버(14)에서 생성되는 열과 고온 가스가 고온 가스 이송 덕트(32)를 통하여 흘러, 적재 챔버(34)에 들어간 결과, 고강도의 열이 열분해 용기(38)에 있는 폐기물(36)로 전달되고, 상기 폐기물(36)이 열분해되어 변 형된다. 일반적으로, 폐기물의 열분해는 약 450°F의 온도에서 시작된다. 이 온도에서, 상기 폐기물의 더 많은 휘발성 성분이 기화되기 시작한다. 많은 예에서, 열분해 용기(38)의 내부 온도가 약 800°F~약 1600°F의 범위내에 있을 때까지 열이 계속 공급되고, 그 결과 폐기물의 모든 유기 성분이 기화된다. 열분해 용기(38)를 수용한 적재 챔버(34)가 일반적으로 약 1000°F~약 1800°F의 범위의 온도로 가열되고, 열분해 용기(38)내의 원하는 온도 확보를 보장하는 데에 필요한 온도로 유지된다. 적재 챔버(34)내의 고온 가스가 열을 열분해 용기(38) 내로 이송한 후, 이들 가스는 적재 챔버 배출 덕트(48)를 통하여 배출된다.
열분해 용기(38)에서 생성되는 열분해 가스는 휘발성 유기 화합물을 함유하고, 열분해 가스 이송 덕트(40)를 통하여 산화 챔버(14)로 배출된다. 상기 열분해 가스 이송 덕트(40)는 공기 유입구 포트(44)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 덕트(40)내에 벤투리 효과(venturi effect)에 의한 약간의 음압을 야기하기 위하여, 상기 공기 유입구 포트(44)에 공기가 주입된다. 상기 음압은 열분해 용기(38)로부터의 열분해 가스의 누출을 막는 것을 돕는다. 휘발성 유기 화합물을 함유하는 열분해 가스는 산화 챔버(14)로 들어가고, 여기서 상기 열분해 가스가 연소되고, 상기 휘발성 유기 화합물은 실질적으로 산화된다. 열분해 유니트는 산화된 열분해 가스와 고온 가스를 대기중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대기 배출구(46)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예에서, 상기 열분해 유니트(10)는 다수개의 적재 챔버(34)를 포함한다. 폐기물이 수용되어 있는 열분해 용기(38)는 상기한 바와 같이 각 적재 챔버(34)내로 도입된다. 각 열분해 용기(38)는 별개의 열분해 가스 이송 덕트(40)를 통하여 단일 산화 챔버(14)와 연결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다수개의 적재 챔버(34)가 하나의 산화 챔버(14)와 통합될 수 있고, 효율적인 공정이 유지될 수 있다.
전형적인 마이크로프로세서 조절부가 공정 단계를 프로그램화하고, 적당한 명령을 내리는 데에 사용된다. 특히,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열분해 유니트(10)의 여러 위치에서의 온도와 통풍을 모니터하고, 센서로부터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버너(12)로 투입되는 연료의 양; 상기 산화 챔버(14)로 주입되는 연소 공기; 적재 챔버(34)로 향하는 고온 가스 유속; 바이패스 배출 덕트(24)로 이송되는 고온 가스 유속; 및 상기 공정을 통하여 가스를 이동시키는 통풍 음압(negative draft pressure)을 조절한다. 상기 프로그램 순서가 완료되면, 마이크로프로세서가 버너(12)를 닫고, 냉기를 적재 챔버(34)로 향하게 하므로써, 상기 유니트를 쿨 다운 모드로 전환한다. 산화 챔버(14)에서 비통제의 열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상기 시스템에서 에너지 균형을 조절한다. 더욱이, 적재 챔버(34)가 사전 세팅 온도로 냉각되기 전에 적재 챔버(34)의 도어(42)가 열리는 것을 막기 위하여,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인터락킹(interlocking) 메커니즘을 조절한다.
도 3에, 열분해 용기(38)가 더 상세히 나타나 있다. 열분해 용기(38)는 4개의 측벽 패널(48, 49, 50 및 51); 저부 패널(52); 및 제거가능한 커버(뚜껑)(53)를 포함하는 박스모양의 구조를 가진다. 열분해 용기(38)는 금속 또는 세라믹과 같은 적합한 내고온성을 가지는 것이면 어느 것이나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그러한 물질은 열전도성이어서 열분해 용기(38)의 내부로 열을 전달할 수 있다. 열분해 용기(38)는 우수한 기계적 강도를 가지고 있어서 상당량의 폐기물을 용이하게 수용하고, 이송시키고, 취급할 수 있게 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처리할 폐기물을 넣은 후, 밀봉 개스킷(sealing gasket(s))(54)을 장착하고, 뚜껑(53)을 고온 압착 하드웨어(56) 또는 다른 적절한 고정재(fastener)를 사용하여 부착시켜, 실질적으로 기밀한 밀봉(seal)을 만든다. 그리고 나서, 밀봉 열분해 용기(38)를 이송 가이드 레일(58)을 사용하여 적재 챔버(34)에 삽입할 수 있다(도 3). 열분해 용기(38)를 적재 챔버(34)에 삽입하고 나서, 배출 컨넥터 포트(39)를 열분해 가스 이송 덕트(40)로 락킹시킨다(도 1). 이 락킹 메커니즘은 열분해 용기(38)를 위치 유지하고, 용기와 열분해 가스 이송 덕트(40)간에 단단한 밀봉이 형성되게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열분해 용기(38)는 산화 챔버(14)와 직접적으로 유체 연결되도록 위치된다.
열분해 용기(38)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박스모양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 구체예에서, 용기(38)의 저부 패널(52)은 직사각형 모양의 와부(recessed portion)(60)를 포함한다. 이 오목부(60)는 저부 패널(52)로부터 상부로 연장하여 중심 가열면을 제공한다. 이 채널 모양의 부분(60)은 용기(38)의 표면적을 증가시켜서, 더 많은 열이 용기(38) 내에 전달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라, 열분해 용기는 열이송능력을 더 향상시키거나, 또는 특정한 유형의 폐기물의 수용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다른 형태 및 디자인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전도성 봉(rod)이나 고온 열파이프와 같은 다른 열전도성 부재들을 외벽에 연결하여, 열분해 용기의 공간 내 로 돌출되게 하여 수용물 내의 면적으로 열전달되는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열분해 용기 내에 폐기물을 수용시키고, 이 용기를 적재 챔버 내에 삽입하므로써, 상기에서 논의된 바와 같은, 폐기물을 열분해 소각로 또는 챔버에 직접 수용하는, 종래의 시스템에 비하여 여러가지 잇점을 얻을 수 있다. 이 잇점들은 다음과 같은 것을 포함하며,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1) 열분해 용기의 모든 표면이 고온 가스에 노출된다; (2) 열분해 용기 내로의 공기 유입이 제어된다; (3) 고온의 열분해 용기는 기계적 수단으로 신속히 제거하여, 파괴할 폐기물을 수용하고 있는 새 열분해 용기로 대체될 수 있는데, 이로 인해 고온의 적재 챔버가 유지되어, 적재 챔버를 가열하는 데에 소모되는 연료를 절약할 수 있으며, 열분해과정의 효율을 탁월하게 증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4) 열분해 공정으로부터 생성된 잔류물이, 폐기지점으로의 취급이 용이하도록 수용된다.
본 분야의 당업자들은, 본 발명의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설명 및 여기에 개시된 구체예에 대하여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그러한 모든 수정과 변경은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의도된 것이다.

Claims (21)

  1. 하기의 단계들을 포함하는 폐기물의 열분해 방법:
    a) 폐기물을, 배출 포트를 가진, 밀봉 열분해 용기 내에 수용시키는 단계;
    b) 상기 열분해 용기를 적재 챔버 내에 삽입하고, 상기 용기의 배출 포트를 열분해 가스 이송 덕트에 연결하여, 상기 용기가 산화 챔버와 유체 연결되도록 하는 단계;
    c) 상기 적재 챔버를 가열하여 열이 열분해 용기 내로 전달되게 하므로써, 폐기물을 분해시키고, 휘발성 유기 화합물들을 포함하는 열분해 가스를 생성시키는 단계;
    d) 상기 열분해 가스를 열분해 용기로부터 열분해 가스 이송 덕트를 통하여 산화 챔버 내로 통과시켜, 산화 챔버 내에서 열분해 가스가 연소하여 열이 생성되게 하는 단계; 및
    e) 상기 산화 챔버 내에서 생성된 열의 적어도 일부를 고온 가스 이송 덕트를 통하여 상기 적재 챔버로 보내는 단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산화 챔버는 버너 유니트와, 산화 챔버로의 공기 흐름을 조절하기 위한 공기 유입구 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분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고온 가스 이송 덕트는 적어도 하나의 고온 가스 조절 댐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분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열분해 용기의 배출 포트는 기계적인 락킹 수단에 의해 열분해 가스 이송 덕트와 연결되어 기밀한 밀봉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분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열분해 가스 이송 덕트는 열분해 용기를 음압 상태로 유지시키고, 초기 열분해 가스 연소를 일으키기 위한 공기 흐름을 산화 챔버의 유입구로 공급하기 위한 공기 유입구 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분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적재 챔버는 1000℉~1800℉ 범위의 온도로 가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분해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산화 챔버는 상부와 하부를 가지는 수직으로 배열된 챔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분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의 버너 유니트는 산화 챔버의 상부에 위치하고, 산화 챔버의 예비 가열 및 열분해 가스의 연소에 필요한 온도를 유지하기 위한 화염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분해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산화 챔버는 다수개의 공기 유입구 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분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의 산화 챔버는 공기를 챔버 내로 접선형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접선형 공기 유입구 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분해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의 산화 챔버는 공기를 챔버내로 방사형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방사형 공기 유입구 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분해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의 산화 챔버는 접선형 및 방사형 공기 유입구 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분해 방법.
  13. 제3항에 있어서,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고온 가스 조절 댐퍼를 제어하고, 적재 챔버로 이송되는 열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분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의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시간/온도 프로필, 연소 공기 투입 속도, 및 공정의 종말점을 결정하기 위한 버너 투입 속도를 포함하는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분해 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폐기물은 규제 물질, 약제학적 산물, 동물의 사체, 화학 물질, 독성 물질, 위험 물질, 생물학적 제제 및 의료 폐기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분해 방법.
  16. 하기의 단계들을 포함하는 폐기물의 열분해 방법:
    a) 각 용기는 폐기물을 수용하고 있고, 또한 각 용기는 별개의 배출 포트를 가지고 있는, 다수개의 밀봉 열분해 용기를 제공하는 단계;
    b) 다수개의 적재 챔버를 제공하고, 각 열분해 용기를 별개의 적재 챔버 내에 삽입하고, 각 용기의 배출 포트를 각 용기를 위한 별개의 열분해 가스 이송 덕트에 연결하여, 각 용기가 단일 산화 챔버와 유체 연결되도록 하는 단계;
    c) 각 적재 챔버를 가열하여, 열이 각 열분해 용기로 전달되게 하므로써 폐기물을 분해시키고, 휘발성 유기 화합물들을 포함하는 열분해 가스를 생성시키는 단계;
    d) 상기 열분해 가스를 각 열분해 용기로부터 각 열분해 가스 이송 덕트를 통하여 상기 단일 산화 챔버 내로 통과시켜, 산화 챔버 내에서 열분해 가스가 연소하여 열이 생성되게 하는 단계; 및
    e) 상기 산화 챔버 내에서 생성된 열의 적어도 일부를 각 적재 챔버로 보내는 단계.
  17. 하기의 단계들을 포함하는 폐기물의 열분해 방법:
    a) 폐기물을, 4개의 측벽 패널, 베이스 패널, 커버, 및 배출 포트를 포함하는 일체형 구조를 가지는, 밀봉 열분해 용기에 수용하는 단계;
    b) 상기 열분해 용기를 적재 챔버 내에 삽입하고, 상기 용기의 배출 포트를 열분해 가스 이송 덕트에 연결하여, 상기 용기가 산화 챔버와 유체 연결되도록 하는 단계;
    c) 상기 적재 챔버를 가열하여 열이 열분해 용기로 전달되게 하므로써, 폐기물을 분해시키고, 휘발성 유기 화합물들을 포함하는 열분해 가스를 생성시키는 단계;
    d) 상기 열분해 가스를 열분해 용기로부터 열분해 가스 이송 덕트를 통하여 산화 챔버 내로 통과시켜, 산화 챔버 내에서 열분해 가스가 연소하여 열이 생성되게 하는 단계; 및
    e) 상기 산화 챔버 내에서 생성된 열의 적어도 일부를 고온 가스 이송 덕트를 통하여 상기 적재 챔버로 보내는 단계.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의 용기는 내고온성 금속 합금 또는 세라믹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분해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의 용기는 커버를 용기에 밀봉시키기 위한 내고온성 개스킷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분해 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의 열분해 용기는 이송 가이드 레일에 의하여 상기 적재 챔버 내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분해 방법.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의 용기는 직사각형의 와부를 포함하고, 그 와부는 베이스 패널로부터 상부쪽으로 연장되어 중심 가열면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분해 방법.
KR1020047019768A 2002-06-03 2003-06-02 의료 폐기물 및 다른 폐기물들의 열분해 방법 KR1006777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8577202P 2002-06-03 2002-06-03
US60/385,772 2002-06-03
PCT/US2003/017364 WO2003102470A2 (en) 2002-06-03 2003-06-02 Process for the pyrolysis of medical waste and other waste material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9117A KR20050019117A (ko) 2005-02-28
KR100677727B1 true KR100677727B1 (ko) 2007-02-02

Family

ID=29712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9768A KR100677727B1 (ko) 2002-06-03 2003-06-02 의료 폐기물 및 다른 폐기물들의 열분해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701855B2 (ko)
KR (1) KR100677727B1 (ko)
CN (1) CN100356103C (ko)
AU (1) AU2003239935A1 (ko)
TW (1) TW200404980A (ko)
WO (1) WO2003102470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19440A1 (de) * 2002-04-26 2003-11-13 Peggy Diana Berndt Verfahren und Anlage zur Niedrigtemperatur-Pyrolyse von Gummi-Erzeugnissen, Stahl-Gummi-Verbunden und dergleichen
AU2004268209B2 (en) * 2003-08-21 2009-06-11 International Environmental Solutions Corporation Chamber support for pyrolytic waste treatment system
US20050223954A1 (en) * 2004-04-08 2005-10-13 Forsberg Bruce W Mini batch waste treatment system
EP1838817A4 (en) * 2004-11-23 2008-01-23 Davison Kenneth METHOD AND APPARATUS FOR GASIFYING SOLID ORGANIC MATERIALS USING A LATERAL / CENTRAL SUPPLY ASH DISPOSAL SYSTEM
ATE521681T1 (de) * 2005-07-11 2011-09-15 Carbo Tec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ufbereiten von kohlenwasserstoffhaltigen produkten
RU2380436C1 (ru) * 2005-09-27 2010-01-27 В.К. Хераеус Гмбх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cжигания материалов, содержащих благородные металлы
US20080127867A1 (en) * 2006-06-01 2008-06-05 International Environmental Solutions Corporation Production of Synthetic Gas From Organic Waste
WO2007143190A2 (en) * 2006-06-01 2007-12-13 International Environmental Solutions Corporation Production of synthetic gas from organic waste
KR100831897B1 (ko) * 2007-04-06 2008-05-23 백종호 복합열원을 이용한 소각로
US8199790B2 (en) * 2007-11-02 2012-06-12 Plasma Waste Recycling, Inc. Reactor vessel for plasma gasification
WO2010011137A2 (en) * 2008-07-19 2010-01-28 Btg Biomass Technology Group B.V. Device for treating organic material
CA2783082C (en) 2012-04-02 2013-11-19 Andrew Marszal Waste material converter using rotary drum
US9115894B1 (en) * 2013-03-01 2015-08-25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Two-chamber eductor based incinerator with exhaust gas recirculation
CN103254916B (zh) * 2013-05-21 2014-11-05 湖州市病死害动物处置中心有限公司 一种病死害动物炭化处理工艺
CN103604125B (zh) * 2013-11-08 2015-12-16 伍绍忠 一种垃圾气化燃烧装置
CN103697481A (zh) * 2013-12-20 2014-04-02 天津大学 一种热解气可回用的医疗垃圾热解处理装置
KR101513877B1 (ko) * 2014-05-14 2015-04-23 에스지티(주) 폐 플라스틱 고형연료 소각로
CN104864395B (zh) * 2015-05-08 2017-09-01 蒋子才 一种有机废弃物处理系统
CN105003916B (zh) * 2015-05-08 2017-11-14 江苏碧诺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有机废弃物处理炉
WO2016209092A2 (en) * 2015-06-23 2016-12-29 Lim Ivan Spencer A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waste material
ITUB20159583A1 (it) * 2015-12-29 2017-06-29 Microsystemfuel S R L Autocombustore di biomassa.
KR101825285B1 (ko) 2016-03-21 2018-02-02 김성우 다종 고체연료 연소기
CA3035525A1 (en) 2016-09-02 2018-03-08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nnesota Systems and methods for body-proximate recoverable capture of mercury vapor during cremation
KR101765271B1 (ko) * 2016-09-06 2017-08-04 이성주 병원폐기물 플라즈마 소각처리기
CN106701127A (zh) * 2016-12-26 2017-05-24 中国科学院过程工程研究所 一种篮式生物质基土壤改良剂制备装置
CN108458345A (zh) * 2018-03-28 2018-08-28 金华水清清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生活垃圾自热解处理装置及其处理方法
CN109489054A (zh) * 2018-12-11 2019-03-19 恩伟(杭州)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挥发性有机物处理装置
CN109737428B (zh) * 2018-12-21 2020-07-17 南昌白云药业有限公司 一种药厂废药处理方法
CN112934401B (zh) * 2021-01-25 2022-04-12 山东第一医科大学附属省立医院(山东省立医院) 一种医疗废物环保处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85906A (en) * 1974-05-21 1975-05-27 Alexei Petrovich Shurygin Cyclone furnace
US4474121A (en) * 1981-12-21 1984-10-02 Sterling Drug Inc. Furnace control method
US4412889A (en) * 1982-03-22 1983-11-01 Kleenair Products Co., Inc. Pyrolysis reaction apparatus
US4931171A (en) * 1982-08-03 1990-06-05 Phillips Petroleum Company Pyrolysis of carbonaceous materials
US4517906A (en) * 1983-08-30 1985-05-21 Zimpro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uxiliary fuel addition to a pyrolysis furnace
CA1227969A (en) * 1984-05-18 1987-10-13 David R. Brookes Incinerator and cremator
US4648328A (en) * 1985-09-30 1987-03-10 Keough William R Apparatus and process for the pyrolysis of tires
US4917023A (en) * 1986-02-20 1990-04-17 Jones Bradford H System for fixing, encapsulating, stabilizing and detoxifying heavy metals in metal-containing sludges, soils, ash and similar materials
DE3633212A1 (de) * 1986-09-30 1988-04-14 Kwu Umwelttechnik Gmbh Pyrolyseanlage
US5387321A (en) * 1987-05-13 1995-02-07 Holland Kenneth Michael Apparatus for waste pyrolysis
US4863702A (en) * 1987-09-01 1989-09-05 Thermolytica Corporation Autoclave for hazardous waste
US4759300A (en) * 1987-10-22 1988-07-26 Balboa Pacific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pyrolysis of waste products
US4913069A (en) * 1989-03-17 1990-04-03 Surface Combustion, Inc. Batch pyrolysis system
US4934283A (en) * 1989-09-08 1990-06-19 Partnerships Limited, Inc. Solid waste disposal unit
US5040972A (en) * 1990-02-07 1991-08-20 Systech Environmental Corporation Pyrolyzer-kiln system
US5271827A (en) * 1990-11-29 1993-12-21 Stone & Webster Engineering Corp. Process for pyrolysis of hydrocarbons
US5411714A (en) * 1992-04-06 1995-05-02 Wu; Arthur C. Thermal conversion pyrolysis reactor system
DE4234385A1 (de) * 1992-10-06 1994-04-07 Formex Trading Gmbh Verfahren zur Pyrolyse von organischen Stoffen
US5292695A (en) * 1992-11-18 1994-03-08 Synthetica Technologies, Inc. Process for reactivating particulate adsorbents
CA2157776C (en) * 1993-03-08 2006-06-06 Terry Randolph Galloway Method and system for steam-reforming of liquid or slurry feed materials
US5409675A (en) * 1994-04-22 1995-04-25 Narayanan; Swami Hydrocarbon pyrolysis reactor with reduced pressure drop and increased olefin yield and selectivity
US5421275A (en) * 1994-05-13 1995-06-06 Battelle Memorial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mixed waste
AU3286495A (en) * 1994-09-22 1996-04-26 Balboa Pacific Corporation Pyrolytic waste treatment system
US5579704A (en) * 1994-12-27 1996-12-03 Mansur Industries Inc. Apparatus for disposing of refuse by thermal oxidation
US5611289A (en) * 1995-03-28 1997-03-18 Brookes; David Gasifier for biomass waste and related volatile solids
JP4154029B2 (ja) * 1998-04-07 2008-09-24 株式会社東芝 廃棄物の処理方法および廃棄物処理装置
US6305302B2 (en) * 1999-09-14 2001-10-23 Waste Tire Gas Technologies, Inc. Waste tire gasification in a negative ambient pressure environment
US6552295B2 (en) * 1999-12-20 2003-04-22 Research Triangle Institute Plasma furnace disposal of hazardous wastes
US6551563B1 (en) * 2000-09-22 2003-04-22 Vanguard Research, Inc. Methods and systems for safely processing hazardous was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356103C (zh) 2007-12-19
KR20050019117A (ko) 2005-02-28
AU2003239935A1 (en) 2003-12-19
WO2003102470A3 (en) 2004-09-16
US6701855B2 (en) 2004-03-09
US20030221597A1 (en) 2003-12-04
AU2003239935A8 (en) 2003-12-19
TW200404980A (en) 2004-04-01
WO2003102470A2 (en) 2003-12-11
CN1671994A (zh) 2005-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7727B1 (ko) 의료 폐기물 및 다른 폐기물들의 열분해 방법
CN1910401B (zh) 多蒸馏器型热解废物处理系统
EP0437666B1 (en) Solid waste disposal unit
US376842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pyrolysis of solid waste material
EP3318802B1 (en) Crematorium furnace and related coffin for corpse cremation
Mosse et al. Plasma furnaces for toxic waste processing
JP3270743B2 (ja) 廃棄物の処理装置
JP2001341129A (ja) 廃棄物・有価物の炭化処理装置及び炭化処理方法
JPH0712321A (ja) 焼却排ガス有害物質熱分解炉
RU2768146C1 (ru) Способ утилизации медицинских отходов
JP4406347B2 (ja) 汚染物質の分解装置及び土壌中の汚染物質処理装置
KR950007415B1 (ko) 소각 장치
KR101084840B1 (ko) 브라운가스 의료폐기물소각로
JP2003083520A (ja) 廃棄物処理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3071172B2 (ja) 廃棄物の溶融装置
JPH06341626A (ja) ゴミ焼却炉
RU2127848C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термического обезвреживания медицинских отходов
JPH0544913A (ja) 乾留式焼却炉
RU2573137C1 (ru) Способ переработки и утилизации отходов
JPH1182960A (ja) 廃棄物の焼却方法および装置
JP2002089814A (ja) 焼却炉
RU50635U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утилизации отходов
CN112756382A (zh) 医疗废弃物处理设备
KR20230064033A (ko) 스크류 타입형 연속식 저온 열분해장치
JPH11325451A (ja) 熱触媒利用焼却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