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5051B1 - 비스페놀 a 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비스페놀 a 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5051B1
KR100675051B1 KR1020037009710A KR20037009710A KR100675051B1 KR 100675051 B1 KR100675051 B1 KR 100675051B1 KR 1020037009710 A KR1020037009710 A KR 1020037009710A KR 20037009710 A KR20037009710 A KR 20037009710A KR 100675051 B1 KR100675051 B1 KR 1006750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ylthio
bis
dithio
acetone
methyl mercapt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9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0132A (ko
Inventor
꼬마리유아니
Original Assignee
아르끄마 프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885913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675051(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아르끄마 프랑스 filed Critical 아르끄마 프랑스
Publication of KR20030070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01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50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50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7/00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hydroxy or O-metal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07C37/11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hydroxy or O-metal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by reactions increasing the number of carbon atoms
    • C07C37/20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hydroxy or O-metal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by reactions increasing the number of carbon atoms using aldehydes or ketones

Abstract

강산 촉매 및 조촉매의 존재하에 페놀 및 아세톤을 반응시켜 본 발명에 따른 비스페놀 A 를 연속 제조 하는 방법이, 조촉매로 하기 화학식 (I) 의 디티오 에테르를 사용하여 수행된다:
[화학식 I]
Figure 112003026725188-pct00006
[식중, 기호 R 및 R' 는, 각기 수소 원자, 알킬 라디칼, 또는 페닐 라디칼을 나타내며, 기호 R" 는 임의로 치환된 알킬 라디칼이다.]

Description

비스페놀 A 의 제조 방법 {METHOD FOR MAKING BISPHENOL A}
본 발명은 비스페놀 분야에 관한 것이며 그 주제는 특히 더 비스페놀 A (4,4'-이소프로필리덴디페놀) 의 제조이다.
비스페놀 A 는 공업적으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비스페놀이다. 이것은 100 만톤 이상 제조되며, 플라스틱 제조, 특히 폴리카르보네이트, 에폭시 수지 및 폴리에스테르 제조에서 중간체로써 주로 사용된다.
비스페놀 A 는 오랫동안 공지되어 왔으며 이의 합성에 대한 다수의 문헌이 있다 (예를 들어, Ullmann's Encyclopaedia of Industrial Chemistry 5 판, Vol. A 19, pp. 350-351 참조). 공업적으로는, 비스페놀 A 는 1 몰의 아세톤과 2 몰의 페놀을 하기 반응에 따라 축합시켜 수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Figure 112003026725188-pct00001

이반응은 일반적으로 강산촉매(HCl 또는 술폰수지)및 메틸 머캅탄(MM) 또는 3-머캅토프로피온산과 같은 머캅탄 조촉매의 존재하에 수행된다. 머캅탄 촉매의 부재하에서 반응은 가능하지만, 반응이 느리며 덜선택적이고, 이에따라 2,4'이성질체가 더쉽게형성된다.
첨부된 도 1 은 통상의 공업적인 비스페놀 A 제조 방법의 공정도이다. 이 방법은 아세톤, 페놀, 강산 및 머캅탄 (새 공급물 및 재순환 공급물)이 공급된 반응 구역 및 가벼운 분획 및 무거운 분획을 분리하기 위한 수단 및 머캅탄 (MM) 을 재순환하기 위한 수단이 있는 비스페놀 A 를 결정화하기 위한 구역을 필수적으로 포함한다.
이 방법에서, 머캅탄은 모두 재순환될 수 없으므로 새로운 머캅탄의 공급을 도입할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공급은 필요로하는 총량의 99 % 까지 가능하다.
불행하게도, 높은 독성으로 인하여, 메틸 머캅탄의 송출은 안전상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이것은 메틸 머캅탄을 조촉매로 사용하는 비스페놀 A 제조업자에게 메틸 머캅탄을 대체 하는 해결책 을 탐색하게 하고있다. 따라서, 미국 특허 제 4 517 387 호에서는 비스페놀 A 를 합성하기 위해 반응에 소듐 메틸 머캅티드 (SMM) 를 직접 주입하여 메틸 머캅탄 공급을 대체하도록 제안하였다.
이 방법은 반응기에서 나트륨 염의 침전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공업적인 규모로 사용하기에는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구상되어온 또 다른 해결책으로는, 비스페놀 A 합성 반응기로 주입하기 전에 SMM 으로부터 메틸 머캅탄을, 사용자 사이트의 특정 플랜트내에서, 발생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 방법은 강산으로 SMM 을 중화시키기 위한 추가의 반응기 설치가 필요하며 악취가 나는 수성 염류 유출물을 발생하기 때문에 이 해결책은 상대적으로 이행하기가 성가신 것이다.
금회, 하기 화학식 (I) 의 디티오 에테르(이 물질은 1 분자의 카르보닐 유도체 (II) 와 2 분자의 머캅탄 (III) 을 축합시켜 수득된다.)로 메틸 머캅탄을 대체하여 이러한 문제가 해결될 수 있음을 알아내었다:
Figure 112003026725188-pct00002

머캅탄 제조 사이트에서 장외 (ex situ) 합성될 때, 디티오 에테르는 취급이 용이한 생성물이다. 비스페놀 A 의 합성을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온도 (25-180℃) 에서 액체이기 때문에, 액체 디티오 에테르는 계량 펌프를 사용하여 비스페놀 A 합성 반응기로 직접 도입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이들의 사용은 존재하는 비스페놀 A 제조 플랜트의 실질적인 변형이 필요하지 않다. 또한, SMM 과는 달리, 디티오 에테르는 악취가 나는 알칼리성 유출물을 발생하지 않는다는 장점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제는, 화학 식 (I) 의 디티오 에테르를 조촉매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산 촉매 및 조촉매의 존재하에 페놀 및 아세톤을 반응시켜 비스페놀 A 를 연속 제조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식 (I), 식 (II), 및 식 (III) 에서, 기호 R 및 R' 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각기 수소 원자, 탄소수 1 내지 12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 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 라디칼, 또는 페닐 라디칼을 나타내며, 기호 R" 는 탄소수 1 내지 12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 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 라디칼을 나타내며, 카르복실산 기로 임의로 치환된다.
조촉매로서 메틸 머캅탄을 사용하는 방법에서 너무 많이 벗어나지 않도록, 메틸 머캅탄으로부터 유도된 디티오 에테르 (R"=CH3)가 바람직하다. 메틸 머캅탄 또는 3-머캅토프로피온산과 포름알데히드 (R = R'= H) 또는 아세톤 (R = R'= CH3) 의 축합에 의해 수득된 디티오 에테르가 특히 적당하다. 특히 더 바람직한 디티오 에테르는 1 분자의 아세톤과 2 분자의 메틸 머캅탄과의 축합 생성물인 2,2-비스(메틸티오)프로판 (3,3-디메틸-2,4-디티아펜탄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이후, BMTP 로 약칭함):
Figure 112003026725188-pct00003

및, 1 분자의 포름알데히드와 2 분자의 메틸 머캅탄과의 축합 생성물인 비스(메틸티오)메탄 (2,4-디티아펜탄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이후, BMTM 으로 약칭함) 이다:
Figure 112003026725188-pct00004

이들 두 디티오 에테르는 하기의 특징을 갖는다:
BMTM BMTP
결정화 온도 <0℃ -18℃
끓는점 147℃ 155℃

BMTP 및 BMTM 은 메틸 머캅탄의 동등물로써 고려될 수 있다. 이들은 반응 혼합물 중 등농도(isoconcentration) 의 황에서 작업시 메틸 머캅탄에서와 동일한 조건하에 존재하는 비스페놀 A 제조용 플랜트에서 사용될 수 있다. 1 몰의 티오 에테르가 2 몰의 메틸 머캅탄에 상응하므로, 1 kg 의 BMTP 는 활성에 있어서 0.7 kg 의 메틸 머캅탄과 동등하며, 1 kg 의 BMTM 은 활성에 있어서 0.88 kg 의 메틸 머캅탄과 동등하다.
통상의 공업적인 비스페놀 A 제조 방법에서, 반응 혼합물의 메틸 머캅탄 농도는 강산 촉매 (술폰 수지, 염산 또는 황산) 에 대하여 1 몰 % 내지 100 몰 % 이므로, 사용될 디티오에테르의 양은 강산 촉매에 대하여 0.5 몰 % 내지 50 몰 % 이며, 바람직하게는 2.5 몰 % 내지 25 몰 % 이다.
사용된 디티오 에테르는 공지의 방법으로 합성될 수 있지만, 이들은 실온에서 강산 촉매 예컨대 염산, 황산, 또는 술폰 수지 (예를 들어, 수지 암버리스트(Amberlyst) 15) 또는 제올라이트와 같은 산성 고체의 존재하에 머캅탄 (III) 을 카르보닐 유도체 (II) 에 주입한 후, 회전 증발기 또는 증류로 생성된 과량의 카르보닐 유도체 및 물을 제거하여 유리하게 합성될 수 있다. 합성 말기의 반응 혼합물은 디티오 에테르, 물 및 미반응된 카르보닐 유도체로 필수적으로 이루어진다. 이것은 또한 그 자체 (즉, 물 및 카르보닐 유도체와 혼합된 디티오 에테르) 가 비스페놀 A 공정으로 주입될 수 있다. (특히, 디티오 에테르가 BMTP 일때 혼합물의 모든 성분이 반응 매질에 존재하므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비스페놀A 는 조촉매가 메틸머캅탄일 때 사용된 것과 완전히 동일한 조건하에서 합성될 수 있다, 즉:
- 페놀/아세톤 몰비: 1 내지 50 및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
- 온도: 25-180 ℃ 및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160 ℃
- 압력: 0.5-20 바 및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바
- 접촉 시간: 5-180 분 및 바람직하게는 10-120 분.
반응동안 BMTP 가 메틸 머캅탄을 발생하기 때문에, 기체상 유출물을 수집하고 이어서 재순환시키거나 수산화 나트륨으로 중화시키기 위해 통상의 분리 트레인을 변형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BMTP 로 메틸 머캅탄을 대체하는 것은 존재하는 비스페놀 A 제조용 플랜트의 실질적인 변형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단지 변형은 첨부된 도 2 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메틸 머캅탄 입구 대신 액체 BMTP 입구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한 특정 구현예에서, 순수한 BMTP 의 주입은 예를 들어, 과량의 아세톤과 메틸 머캅탄의 반응에 의한 BMTP 의 장외(ex situ) 합성으로 부터 생성되는 BMTP, 아세톤 및 물의 혼합물로 대체될 수 있다. 반응기로의 새 아세톤 공급을 조절하기 위해 이 혼합물에 존재하는 아세톤을 충분히 고려하여야 한다. BMTP-아세톤-물 혼합물은 순수한 BMTP 를 수송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용이하며, 따라서, BMTP 를 정제하기 위한 조작은 하지않아도 된다.
유사하게, 순수한 BMTM 의 주입은 과량의 포름알데히드와 메틸 머캅탄의 반응에 의한 BMTM 의 장외(ex situ) 합성으로 부터 생성되는 BMTM, 포름알데히드 및 물의 혼합물로 대체될 수 있다.

Claims (15)

  1. 하기 화학식 (I) 의 디티오 에테르가 조촉매로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강산 촉매 및 조촉매의 존재하에 페놀 및 아세톤을 반응시켜 비스페놀 A 를 연속 제조 하는 방법:
    Figure 112006067531293-pct00005
    [식중, 기호 R 및 R' 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각기 수소 원자, 탄소수 1 내지 12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 라디칼, 또는 페닐 라디칼을 나타내며, 기호 R" 는 탄소수 1 내지 12 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 라디칼을 나타내며 카르복실산 기로 치환될 수 있다.]
  2. 제 1 항에 있어서, 디티오 에테르의 알킬 라디칼이 1 내지 4 의 탄소를 포함하는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디티오 에테르가 메틸 머캅탄으로부터 유도되는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디티오 에테르가 2,2-비스(메틸티오)프로판인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순수한 2,2-비스(메틸티오)프로판을 사용하는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2,2-비스(메틸티오)프로판, 아세톤 및 물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혼합물이 메틸 머캅탄과 아세톤의 반응에 의한 2,2-비스(메틸티오)프로판의 장외(ex situ) 합성으로부터 생성되는 방법.
  8. 제 3 항에 있어서, 디티오 에테르가 비스(메틸티오)메탄인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순수한 비스(메틸티오)메탄을 사용하는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비스(메틸티오)메탄, 포름알데히드 및 물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혼합물이 포름알데히드와 메틸 머캅탄과의 반응에 의한 비스(메틸티오)메탄의 장외 (ex situ) 합성으로부터 생성되는 방법.
  1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사용된 디티오 에테르의 양은 강산 촉매에 대하여 0.5 몰 % 내지 50 몰 % 인 방법.
  1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25 내지 180 ℃ 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방법.
  1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작업 압력이 0.5 내지 20 바인 방법.
  1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접촉 시간이 5 내지 180 분인 방법.
KR1020037009710A 2001-01-23 2002-01-08 비스페놀 a 의 제조 방법 KR1006750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1/00882 2001-01-23
FR0100882A FR2819805B1 (fr) 2001-01-23 2001-01-23 Procede de fabrication du bisphenol a
PCT/FR2002/000042 WO2002059069A1 (fr) 2001-01-23 2002-01-08 Procede de fabrication du bisphenol a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0132A KR20030070132A (ko) 2003-08-27
KR100675051B1 true KR100675051B1 (ko) 2007-01-26

Family

ID=8859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9710A KR100675051B1 (ko) 2001-01-23 2002-01-08 비스페놀 a 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7227046B2 (ko)
EP (1) EP1353891B1 (ko)
JP (4) JP2004526697A (ko)
KR (1) KR100675051B1 (ko)
CN (1) CN1210242C (ko)
BR (1) BR0206661B1 (ko)
CA (1) CA2435640C (ko)
ES (1) ES2601462T3 (ko)
FR (1) FR2819805B1 (ko)
MX (1) MXPA03006585A (ko)
PT (1) PT1353891T (ko)
WO (1) WO20020590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19805B1 (fr) * 2001-01-23 2003-03-21 Atofina Procede de fabrication du bisphenol a
CN101448772B (zh) * 2006-05-04 2012-10-10 巴杰尔许可有限责任公司 生产多酚的改进工艺
KR100985485B1 (ko) * 2009-11-09 2010-10-05 김범식 항균, 소취, 방오부를 형성한 기능성 위생복
US9290618B2 (en) 2011-08-05 2016-03-22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Polycarbonate compositions having enhanced optical properties, methods of making and articles comprising the polycarbonate compositions
US8962117B2 (en) 2011-10-27 2015-02-24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Process for producing bisphenol A with reduced sulfur content, polycarbonate made from the bisphenol A, and containers formed from the polycarbonate
EP2810309A1 (en) 2012-02-03 2014-12-10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Light emitting diode device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containing conversion material chemistry
WO2013130606A2 (en) 2012-02-29 2013-09-06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Polycarbonate made from low sulfur bisphenol a and containing converions material chemistry, and articles made therefrom
KR101965761B1 (ko) 2012-02-29 2019-04-04 사빅 글로벌 테크놀러지스 비.브이. 변환 물질 화학을 포함하며 광학 특성이 개선된 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
US9346949B2 (en) 2013-02-12 2016-05-24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High reflectance polycarbonate
EP2912107B1 (en) 2012-10-25 2018-03-28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Light emitting diode devices, method of manufacture, uses thereof
US9553244B2 (en) 2013-05-16 2017-01-24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Branched polycarbonate compositions having conversion material chemistry and articles thereof
KR101739756B1 (ko) 2013-05-29 2017-06-08 사빅 글로벌 테크놀러지스 비.브이. 색 안정성 열가소성 조성물
EP3004234B1 (en) 2013-05-29 2021-08-18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Illuminating devices with color stable thermoplastic light-transmitting articles
RU2626005C1 (ru) * 2016-06-15 2017-07-21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унитарное предприятие "Российский научный центр "Прикладная химия"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бисфенолов
CN115466204B (zh) * 2022-03-22 2024-04-09 合肥江新化工科技有限公司 一种2,2-二甲硫基丙烷的连续化生产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02821A (en) * 1951-07-23 1952-07-08 Schell Dev Company Production of bis (hydroxyphenyl) compounds
AU474155B2 (en) 1972-12-29 1975-07-03 Monsanto Australia Limited Production of bis (hydroxyphenyl) alkanes
GB1449207A (en) * 1972-12-29 1976-09-15 Monsanto Australia Production of bis -hydroxyphenyl- alkanes
JPS56131534A (en) * 1980-03-17 1981-10-15 Mitsubishi Chem Ind Ltd Preparation of bisphenol
JPS56142227A (en) * 1980-04-08 1981-11-06 Mitsubishi Chem Ind Ltd Preparation of bisphenol
JPS5785335A (en) * 1980-11-14 1982-05-28 Mitsubishi Chem Ind Ltd Production of bisphenol
JPS5962542A (ja) * 1982-09-30 1984-04-10 Mitsui Petrochem Ind Ltd 精製2,2−ビス(4−ヒドロキシフエニル)プロパンのフエノ−ル付加物の製法
JPS5962544A (ja) * 1982-09-30 1984-04-10 Mitsui Petrochem Ind Ltd 2,2−ビス(4−ヒドロキシフエニル)プロパンのフエノ−ル付加物の製法
US4517387A (en) * 1982-09-30 1985-05-14 Mitsui Petrochemical Industries, Ltd. Process for production of 2,2-bis(4-hydroxyphenyl) propane
JPS5962543A (ja) * 1982-09-30 1984-04-10 Mitsui Petrochem Ind Ltd 2,2−ビス(4−ヒドロキシフエニル)プロパンの製法
US5777180A (en) * 1995-12-19 1998-07-07 Shell Oil Company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bisphenols
JP4012322B2 (ja) * 1998-10-22 2007-11-21 出光興産株式会社 ビスフェノールaの製造方法
FR2819805B1 (fr) * 2001-01-23 2003-03-21 Atofina Procede de fabrication du bisphenol a
US6465697B1 (en) * 2001-04-13 2002-10-15 Resolution Performance Products Llc Catalyst promotor for the manufacture of polypheno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487912A (zh) 2004-04-07
KR20030070132A (ko) 2003-08-27
BR0206661A (pt) 2004-02-25
EP1353891B1 (fr) 2016-10-05
JP2012149068A (ja) 2012-08-09
BR0206661B1 (pt) 2012-05-02
CA2435640C (fr) 2010-08-31
FR2819805B1 (fr) 2003-03-21
EP1353891A1 (fr) 2003-10-22
JP5804976B2 (ja) 2015-11-04
WO2002059069A1 (fr) 2002-08-01
US7227046B2 (en) 2007-06-05
FR2819805A1 (fr) 2002-07-26
JP2014221777A (ja) 2014-11-27
JP2008273966A (ja) 2008-11-13
JP2004526697A (ja) 2004-09-02
PT1353891T (pt) 2016-11-04
ES2601462T3 (es) 2017-02-15
CA2435640A1 (fr) 2002-08-01
US20040110992A1 (en) 2004-06-10
MXPA03006585A (es) 2004-12-06
CN1210242C (zh) 2005-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04976B2 (ja) ビスフェノールaの製造方法
KR100847180B1 (ko) 비스페놀 a의 제조 방법
KR100582808B1 (ko) 비스페놀 에이의 제조방법
US6429343B1 (en) Process for producing bisphenol a
EP2718251B1 (en) Recovery of phenol and acetone from bisphenol-a streams
TW200808712A (en) Improved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polyphenols
TWI297336B (en) Catalyst promoter for the manufacture of polyphenols
JPH0639459B2 (ja) 低級ジアルキルジスルフィドの製造方法
JP2002316962A (ja) ビスフェノールaの製造方法
EP1318134B1 (en) Process for producing 1,1-bis(4-hydroxyphenyl)-3,3,5-trimethylcyclohexane
MXPA02007009A (es) Procedimiento para la fabricacion de bisfenoles.
EP1318135A1 (en) Method for producing 1,1-bis-(4-hydroxyphenyl)-3,3,5-trimethylcyclohexane
JP2649722B2 (ja) 4,4’‐(1―フェニルエチリデン)ビスフェノールの製造方法
JPS643175B2 (ko)
KR20080067714A (ko) 비스페놀 a의 제조방법
TW200412338A (en) Process for producing bisphenol A
JP2001181225A (ja) ビスフェノール類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