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4795B1 - 감열기록체 - Google Patents

감열기록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4795B1
KR100674795B1 KR1020057003137A KR20057003137A KR100674795B1 KR 100674795 B1 KR100674795 B1 KR 100674795B1 KR 1020057003137 A KR1020057003137 A KR 1020057003137A KR 20057003137 A KR20057003137 A KR 20057003137A KR 100674795 B1 KR100674795 B1 KR 1006747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tive recording
recording medium
coating
thermally sensitive
underco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3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58503A (ko
Inventor
마사유키 와타나베
가오루 하마다
준페이 나쯔이
유지 쯔즈키
다카시 다테
Original Assignee
닛폰세이시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폰세이시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폰세이시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58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85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47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47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28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using thermochromic compounds or layers containing liquid crystals, microcapsules, bleachable dyes or heat- decomposable compounds, e.g. gas- libe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40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characterised by the base backcoat, intermediate, or covering layers, e.g. for thermal transfer dye-donor or dye-receiver sheets; Heat, radiation filtering or absorbing means or layers; combined with other image registration layers or compositions; Special originals for reproduction by thermography
    • B41M5/42Intermediate, backcoat, or covering layers
    • B41M5/44Intermediate, backcoat, or covering layers characterised by the macromolecular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30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using chemical colour form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t Sensitive Colour Forming Recording (AREA)

Abstract

지지체 위에 안료와 바인더를 함유하는 하도층, 무색 내지 담색의 염기성 무색 염료와 상기 염기성 무색 염료와 반응해서 발색시키는 현색제를 함유하는 감열기록층을 설치한 감열기록체에 있어서, 상기 하도층이 에테르화도 0.55~0.75의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를 함유하는 감열기록체. 추가로,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를 함유하는 것이 유효하다.
하도층, 현색제, 감열기록체, 에테르화도,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Description

감열기록체{Thermally sensitive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염기성 무색 염료와 현색제와의 발색반응을 이용한 감열기록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감열기록체는 통상 무색 내지 담색의 염기성 무색 염료와 페놀성 화합물 등의 유기 현색제를, 각각 미세한 입자로 마쇄(磨碎) 분산한 후, 양자를 혼합하고 바인더, 충전제, 감도(感度) 향상제, 활제(滑劑) 및 기타 보조제를 첨가하여 얻어진 도료를, 종이, 합성지, 필름, 플라스틱 등의 지지체에 도공(塗工)한 것으로, 서멀 헤드(thermal head), 핫 스탬프(hot stamp), 열팬, 레이저광 등의 가열에 의한 순간적인 화학반응에 의해 발색되어, 기록화상이 얻어진다. 감열기록체는 팩시밀리, 컴퓨터의 말단 프린터, 자동 매표기, 계측용 리코더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최근, 기록장치의 다양화나 고성능화의 진전에 따라, 고속인자(高速印字) 및 고속의 화상형성도 가능해져, 감열기록체의 기록감도에 대해 보다 우수한 품질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용도의 다양화에 따라, 저농도에서 고농도에 이르는 어느 영역에 있어서도, 고화질의 기록상이 얻어지는 것도 요구되고 있다.
이들 요구를 만족시키는 방법으로서, 슈퍼캘린더(super calender) 등에 의해 감열기록층 표면의 평활도를 높이는 것이 일반적으로 행해지고 있지만, 반드시 만 족할 만한 화질이 얻어지지 않게 되어오고 있다. 고화질은 하도층(undercoating layer)의 도공 균일성이 중요한 것이 알려져 있고, 예를 들면 슈퍼캘린더에 의해 하도층의 평활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알려져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에서는 도트 재현성이 우수한 감열기록재료를 제공하기 위해, 지지체와 감열발색층 사이에 제1 중간층, 제2 중간층을 순서대로 적층하고, 또한 제1 중간층의 왕연식(王硏式) 평활도가 700초 이상이고, 제2 중간층의 밀도를 0.1 이하로 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한편, 고감도의 감열기록 시트를 얻기 위해, 예를 들면 특허문헌 2에서는 지지체와 발색층 사이에 2 이상의 중간층을 설치하고, 그 최외층(最外層)에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및/또는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를 안료에 대해 0.3 중량%에서 3 중량% 함유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0-108518호
[특허문헌 2] 일본국 특허공개 제(평)4-348989호
그러나, 슈퍼캘린더에 의한 방법에서는, 캘린더압에 의해 하도층의 다공성(多孔性)이 손상되어 단열성을 잃어 감도가 저하되어 버린다. 또한, 중간층을 복수 적층하는 방법은, 공정이 복잡해지는 등 제조상 불리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들 문제를 초래하지 않고, 기록감도가 높고, 고화질의 기록화상이 얻어지는 감열기록체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발명의 개시
상기 과제는 지지체 위에 안료와 바인더를 함유하는 하도층, 무색 내지 담색의 염기성 무색 염료와 상기 염기성 무색 염료와 반응하여 발색시키는 현색제를 함유하는 감열기록층을 설치한 감열기록체에 있어서, 상기 하도층이 에테르화도 0.55~0.75의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기록체로 함으로써 달성되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하도층은 안료와 바인더를 함유하고, 더욱이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를 함유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우수한 효과가 얻어지는 이유는 명확하지는 않지만, 다음과 같이 생각된다.
화질이 악화되는 이유의 하나로서, 감열기록체에 있어서의 하도층 도료의 고형분농도가 낮고, 수분량이 많은 것을 들 수 있다. 일반적인 인쇄용 도공지의 도공층 도료가 60~70%인 것에 비해, 사용되는 안료나 바인더의 종류에 따라서도 다르지만, 양호한 품질이나 도료의 분산성을 얻기 위해 높아도 40% 정도 이하로 하는 경우가 있어, 원지(原紙) 등의 지지체에 도공하면 도료 중의 수분이 지지체에 침투하기 쉬워, 도공층에 요철이 생겨 버린다. 또한, 수분과 함께 바인더가 아래쪽으로 마이그레이션(migration)(이동)을 일으켜, 도공층 내의 바인더 분포 및 안료 배향(配向)이 불균일해진다. 그 결과, 이러한 하도층 위에 감열기록층을 설치해서 기록하면, 열에너지가 균일하게 전달되지 않아, 도트가 고르지 않게 되어 감도 및 화질이 저하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대해,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는 도료의 보수성(保水性)을 높이는 작용이 있어 지지체로의 수분의 침투를 억제할 수 있어, 요철이 없고 균질한 도공층의 형성에 기여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더욱이, 본 발명자 등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는 그 에테르화도가 도료의 보수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인자인 것을 발견하였다. 여기에서 에테르화도란, 셀룰로오스가 갖는 수산기를 카르복시메틸기로 치환한 평균값을 나타낸다. 에테르화도가 낮을수록, 수산기를 많이 포함하여 물분자와 수소결합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도료의 보수성이 좋아지는 경향이 있지만,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의 분자간 수소결합이 강해지기(결정성이 올라가기) 때문에 물에 용해되기 어려워, 도료 조제가 곤란해져 조업성이 나빠진다. 한편, 에테르화도가 높은 경우에는 그 반대로, 도료의 보수성은 떨어지지만, 물에 대한 용해성이 좋아지기 때문에 취급이 용이해진다. 본 발명에서는 양자의 밸런스로부터 에테르화도 0.55~0.75가 바람직하고, 0.55~0.65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의 중합도는, 클수록 그 분자 중에 물을 넣을 수 있기 때문에 보수성이 높아진다. 그러나, 그 반면 수용액의 점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중합도가 지나치게 커지면 도공 또는 도료 조제가 불가능해진다. 따라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의 중합도는 2000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보수성도 고려하여 500~1500이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의 사용량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의 사용량이 지나치게 적으면 충분한 보수성이 얻어지지 않아, 바람직한 배합량으로서는 안료 100 중량부에 대해 0.1 중량부 이상 5 중량부 이하 정도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3 중량부 이상 2 중량부 이하이다.
이어서, 본 발명에서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에 더하여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를 함유하는 것이 유효하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는 도료의 유동성을 개선하는 작용이 있는 것으로 생각되어, 화상의 균질성에 기여하는 하도층을 부여하는 것으로 추찰된다.
또한,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는 도료의 보수성에 대해서도 향상 작용이 있는 것으로 생각되고, 그 에테르화도는 0.8~2.0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1.5이다. 이 이유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와 거의 동일하여, 에테르화도가 낮을수록 보수성은 향상되지만, 물에 대한 용해성은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반대로 에테르화도가 높아지면 보수성은 저하되지만, 물에 대한 용해성이 좋아지기 때문에 취급하기 쉬워진다. 또한,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의 에테르화도란, 셀룰로오스가 갖는 수산기를 에틸렌옥시드로 치환한 평균값을 나타낸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의 중합도에 관해서는, 본 발명자 등은 중합도와도 관계하지만, 수용액의 점도가 중요한 것을 발견하였다. 구체적으로는 2% 수용액의 B형 점도가 300 mPa·s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 mPa·s 이하로, 수용액의 점도가 지나치게 높으면 도료 조제가 곤란해진다. 낮은 경우는 통상 중합도도 낮아지기 때문에, 충분한 보수성을 얻기 위해서는 사용량을 많게 할 필요가 있고, 하한으로서는 5 mPa·s 정도가 적당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와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의 도료에 대한 작용은, 기본적으로는 동일한 것으로 생각된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에 비해, 예를 들면, 안료인 클레이에 대한 흡착성력이 수십배이고(참고문헌: T.S. Young and E. Fu., Tappi J. 74(4):199(1991)), 도료가 구조체를 형성하기 때문에, 블레이드 코터로 도공할 때 블레이드 바로 아래에서의 보수성(동적인 보수성)이 우수하다. 특히 벤트 블레이드(bent blade)나 베벨 블레이드(bevel blade) 도공방식의 경우, 벤트는 칼날을 눕혀서 면으로 도료를 긁어내고, 베벨은 칼날 끝을 세워서 긁어내기 때문에, 모두 접촉된 부분에 압력이 가해져 도료가 원지에 강하게 꽉 눌려, 도료로부터 수분이 탈수되기 쉬워 도료가 고형화된다. 그 결과, 칼날 끝에 도료의 앙금이 퇴적되어, 도공면에 줄무늬형상의 스트릭(streak)(도공면의 결함)이 발생하는 원인이 된다. 이에 대해, 본 발명의 동적 보수성이 높은 도료에서는, 블레이드 바로 아래에 있어서 원지로 수분이 침투하기 어려워져 도료의 고형화가 방지되기 때문에, 벤트 블레이드나 베벨 블레이드의 도공 적성이 우수하여, 스트릭 등의 결함의 발현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는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에 비해 클레이에 대한 흡착이 적기 때문에, 수분 중에 많이 존재한다. 그 때문에 보수성이라고 해도, 특히 블레이드 전의 보수성(정적인 보수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와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의 양자를 병용함으로써 양호한 도공면을 얻을 수 있어, 도료의 도공 적성도 향상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도료농도는 높은 쪽이 도공량을 적게 할 수 있어 바람직하지만, 한편으로 도료농도를 높게하는 것 보다 고형화되기 쉬워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및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에 의한 작용은, 도료농도가 높아, 보다 고형화되기 쉬운 경우에 특히 유효하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의 사용량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와의 합계로 안료 100 중량부에 대해 0.5~5.0 중량부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안료 100 중량부에 대해 0.5~3.5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의 사용량이 지나치게 적으면, 보수성, 유동성이 충분히 개선되지 않고, 또한 반대로 지나치게 많으면 점도가 높아져 도공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의 바람직한 사용으로서는, 안료 100 중량부에 대해 0.3~3.5 중량부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와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를 병용할 때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의 중합도가 1000 이하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유효하다. 양자를 병용하면 도료의 점도가 높아 작업성이 악화되는 경향이 있어,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의 중합도를 작게 함으로써 보다 조업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하도층에는 바인더로서 전분, 폴리비닐알코올, 메틸셀룰로오스, 스티렌·무수 말레산 등의 수용성 고분자나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아크릴산계 공중합체 등의 합성 수지 에멀젼 등을 함유한다.
이 하도층을 형성할 때는, 도포량은 1~15 g/㎡ 정도로, 통상의 도공기를 사용하여 종이, 재생지, 플라스틱 필름, 합성지 등의 적당한 재질의 지지체 위에 도포함으로써 용이하게 행해진다. 도공방법으로서는 에어 나이프법, 블레이드법, 그라비야법, 롤 코터법 등의 기지의 도포방법을 모두 이용해도 되지만, 고농도의 도공이 가능하여 도료가 지지체로 침투하기 어려워, 균일한 층구성이 형성되기 때문에 블레이드 도공, 특히 벤트 블레이드 도공에 의해 하도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도층에 함유되는 안료로서는, (소성(燒成))카올린, 탄산칼슘, 산화알루미늄, 산화티탄, 탄산마그네슘, 무정형(無定形) 실리카, 규산알루미늄, 규산마그네슘, 규산칼슘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흡유량(吸油量)(JIS K5101법을 토대로 한다)이 80 cc/100 g~120 cc/100 g의 소성 카올린은, 발색 감도와 화질의 밸런스가 우수한 감열기록체가 얻어져 가장 바람직하다. 이러한 소성 카올린을 사용함으로써, 충분한 단열효과가 부여되어 감도가 높아지는 동시에, 바인더가 안료에 다량으로 흡수되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균일한 도공층이 형성되어 양호한 화질이 얻어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으로, 소성 카올린을 사용하면, 일반적으로 형상이 편평(扁平)하기 때문인지 둥근형 탄산칼슘 등에 비해 도료의 유동성이 떨어지는 경향이 있고, 또한, 소성되어 있기 때문에 표면에 실라놀의 OH기(수산기)가 존재하지 않아, 물과의 결합성이 약해져 도료의 보수성이 저하되기 쉬운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대해, 본 발명에서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및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의 작용에 의해, 소성 카올린을 사용한 경우의 도료 적성이 개선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 밖에, 하도층에는 필요에 따라 분산제, 왁스, 증점제, 계면활성제, 자외선흡수제, 산화방지제, 발수(撥水)발유(撥油)제 등을 첨가해도 된다.
하도층 위에 형성하는 감열기록층은, 종래 공지의 제조방법에 의해 형성한다.
본 발명의 감열기록체에 사용하는 무색 내지 담색의 염기성 무색 염료로서는, 종래의 감압 또는 감열기록지 분야에서 공지의 것은 모두 사용 가능하고,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트리페닐메탄계 화합물, 플루오란계 화합물, 플루오렌계, 디비닐계 화합물 등이 바람직하다. 이하에 대표적인 무색 내지 담색의 염기성 무색 염료의 구체예를 나타낸다. 또한, 이들 염기성 무색 염료는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해서 사용해도 된다.
<트리페닐메탄계 로이코염료>
3,3-비스(p-디메틸아미노페닐)-6-디메틸아미노프탈라이드
〔별명 크리스탈 바이올렛 락톤〕
3,3-비스(p-디메틸아미노페닐)프탈라이드
〔별명 말라카이트 그린(malachite green) 락톤〕
<플루오란계 로이코염료>
3-디에틸아미노-6-메틸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
3-디에틸아미노-6-메틸-7-(o,p-디메틸아닐리노)플루오란
3-디부틸아미노-6-메틸-플루오란
3-디부틸아미노-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
3-디부틸아미노-6-메틸-7-(o,p-디메틸아닐리노)플루오란
3-디부틸아미노-7-(o-클로로아닐리노)플루오란
3-디부틸아미노-7-(o-플루오로아닐리노)플루오란
3-n-디펜틸아미노-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
3-(N-에틸-N-이소아밀아미노)-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
3-(N-에틸-N-이소아밀아미노)-6-클로로-7-아닐리노플루오란
3-시클로헥실아미노-6-클로로플루오란
<디비닐계 로이코염료>
3,3-비스〔2-(p-디메틸아미노페닐)-2-(p-메톡시페닐)에테닐〕-4,5,6,7-테트라브로모프탈라이드
3,3-비스〔2-(p-디메틸아미노페닐)-2-(p-메톡시페닐)에테닐〕-4,5,6,7-테트라클로로프탈라이드
3,3-비스-〔1,1-비스(4-피롤리디노페닐)에틸렌-2-일〕-4,5,6,7-테트라브로모프탈라이드
3,3-비스-〔1-(4-메톡시페닐)-1-(4-피롤리디노페닐)에틸렌-2-일〕-4,5,6,7-테트라클로로프탈라이드
<기타>
3-(4-디에틸아미노-2-에톡시페닐)-3-(1-에틸-2-메틸인돌-3-일)-4-아자프탈라이드
3-(4-디에틸아미노-2-에톡시페닐)-3-(1-옥틸-2-메틸인돌-3-일)-4-아자프탈라이드
3-(4-시클로헥실에틸아미노-2-메톡시페닐)-3-(1-에틸-2-메틸인돌-3-일)-4-아자프탈라이드
3,3-비스(1-에틸-2-메틸인돌-3-일)프탈라이드
3,6-비스(디에틸아미노)플루오란-γ-(3'-니트로)아닐리노락탐
3,6-비스(디에틸아미노)플루오란-γ-(4'-니트로)아닐리노락탐
1,1-비스-〔2',2',2",2"-테트라키스-(p-디메틸아미노페닐)-에테닐〕-2,2-디니트릴에탄
1,1-비스-〔2',2',2",2"-테트라키스-(p-디메틸아미노페닐)-에테닐〕-2,β-나프토일에탄
1,1-비스-〔2',2',2",2"-테트라키스-(p-디메틸아미노페닐)-에테닐〕-2,2-디아세틸에탄
비스-〔2,2,2'2'-테트라키스-(p-디메틸아미노페닐)-에테닐〕-메틸말론산 디메틸에스테르
본 발명의 감열기록체에 사용하는 현색제로서는 무색 내지 담색의 염기성 염료를 발색시키는 종래 공지의 현색제를 병용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색제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개 제(평)3-207688호, 일본국 특허공개 제(평)5-24366호 공보 등에 기재된 비스페놀 A류, 4-히드록시안식향산 에스테르류, 4-히드록시프탈산 디에스테르류, 프탈산 모노에스테르류, 비스-(히드록시페닐)설피드류, 4-히드록시페닐아릴설폰류, 4-히드록시페닐아릴설포네이트류, 1,3-디[2-(히드록시페닐)-2-프로필]-벤젠류, 4-히드록시벤조일옥시안식향산 에스테르, 비스페놀설폰류가 예시된다.
또한, 종래의 감열기록체와 마찬가지로 공지의 증감제(增感劑)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증감제로서는, 스테아르산 아미드, 팔미트산 아미드 등의 지방산 아마이드, 에틸렌비스 아미드, 몬탄산 왁스, 폴리에틸렌 왁스, 1,2-디-(3-메틸페녹시)에탄, p-벤질비페닐, β-벤질옥시나프탈렌, 4-비페닐-p-톨릴에테르, m-터페닐, 1,2-디페녹시에탄, 옥살산디벤질, 옥살산 디(p-클로로벤질), 옥살산 디(p-메틸벤질), 테레프탈산 디벤질, p-벤질옥시안식향산 벤질, 디-p-톨릴카보네이트, 페닐-α-나프틸카보네이트, 1,4-디에톡시나프탈렌, 1-히드록시-2-나프토에산 페닐에스테르, o-크실렌-비스-(페닐에테르), 4-(m-메틸페녹시메틸)비페닐, 4,4'-에틸렌디옥시-비스-안식향산 디벤질에스테르, 디벤조일옥시메탄, 1,2-디(3-메틸페녹시)에틸렌, 비스[2-(4-메톡시-페녹시)에틸]에테르, p-니트로안식향산 메틸, p-톨루엔설폰산 페닐을 예시할 수 있지만, 특별히 이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증감제는, 단독 또는 2종류 이상 혼합해서 사용해도 된다.
또한, 기록화상의 내유성 효과 등을 나타내는 화상 안정제로서,
4,4'-부틸리덴(6-t-부틸-3-메틸페놀)
2,2'-디-t-부틸-5,5'-디메틸-4,4'-설포닐디페놀
1,1,3-트리스(2-메틸-4-히드록시-5-시클로헥실페닐)부탄
1,1,3-트리스(2-메틸-4-히드록시-5-t-부틸페닐)부탄
등을 첨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밖에 지방산 금속염 등의 이형제(離型劑), 왁스류 등의 활제, 벤조페논계나 트리아졸계의 자외선흡수제, 글리옥살 등의 내수화제, 분산제, 소포제, 산화방지제, 형광염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감열기록체에 사용하는 염기성 무색 염료, 현색제, 기타 각종 성분의 종류 및 양은 요구되는 성능 및 기록 적성에 따라 결정되고,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통상, 염기성 무색 염료 1부에 대해 현색제 0.5~10부, 전료(塡料) 0.5~10부 정도가 사용된다.
상기 조성으로 되는 도료를 종이, 재생지, 합성지, 필름, 플라스틱 필름, 발포(發泡) 플라스틱 필름, 부직포 등 임의의 지지체에 도포함으로써 목적으로 하는 감열기록체가 얻어진다. 또한 이들을 조합한 복합 시트를 지지체로서 사용해도 된다.
염기성 무색 염료, 현색제 및 필요에 따라 첨가하는 재료는 볼밀, 아토라이터, 샌드그라인더 등의 분쇄기 또는 적당한 유화(乳化)장치에 의해 수 미크론(㎛) 이하의 입자경이 될 때까지 미립화하고, 아크릴에멀젼, 콜로이달실리카 및 목적에 따라 각종 첨가재료를 가하여 도료로 한다. 도포하는 수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주지 관용기술에 따라 도포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에어나이프 코터, 로드 블레이드 코터, 벤트 블레이드 코터, 베벨 블레이드 코터, 커텐 코터 등 각종 코터를 구비한 오프머신 도공기나 온머신 도공기가 적절히 선택되어 사용된다. 그 중에서도 블레이드 도공방식은, 블레이드로 도공량을 제어 가능하여 생산효율이 높아 바람직하지만, 종이와의 접촉면적이 클수록 도공면을 균일화하기 쉬운 것으로 생각되어, 본 발명에서는 특히 벤트 블레이드 도공방식이 가장 적합하다. 감열기록층의 도포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통상 건조중량으로 2~12 g/㎡의 범위이다.
본 발명의 감열기록체는 추가로 보존성을 높일 목적으로, 고분자물질 등의 오버 코트층을 감열기록층 위에 설치하거나, 발색 감도를 높일 목적으로, 전료를 함유한 고분자물질 등의 언더 코트층을 감열기록층 아래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지지체의 감열기록층과는 반대면에 백(back) 코트층을 설치하고, 컬(curl)의 교정을 꾀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층의 도공 후에 슈퍼캘린더 걸기 등의 평활화처리를 행하는 등, 감열기록체 분야에 있어서의 각종 공지의 기술을 필요에 따라 적절히 부가할 수 있다.
<<감열기록체의 제조; 실시예 1, 비교예 1~4>>
이하에 본 발명의 감열기록체를 실시예에 의해 설명한다. 또한, 설명 중, 부 및 %는 각각 중량부 및 중량%를 나타낸다. 각종 용액, 분산액, 또는 도료를 이하와 같이 조제하였다.
[실시예 1]
하기 배합으로 되는 배합물을 교반 분산하여 하도층 도료를 조제하였다. 또한 본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의 도료농도는 약 36%로 하였다.
U액(하도층 도료)
소성 카올린(엥겔하드사(Engelhard Corp.)제 상품명: 안시렉스 90, <흡유량 90 cc/100 g>) 100부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라텍스(고형분 48%) 40부
폴리비닐알코올 10% 수용액 30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2% 수용액
(중합도:500~600, 에테르화도: 0.55~0.65) 25부
물 146부
이어서, 하도층 도료를 지지체(100 g/㎡의 기지(基紙))의 한쪽 면에 도포한 후, 건조를 행하여 도포량 10.0 g/㎡의 하도층을 얻었다.
하기 배합의 현색제 분산액(A액) 및 염기성 무색 염료 분산액(B액)을, 각각 따로따로 샌드그라인더로 평균 입자경 1미크론이 될 때까지 습식(濕式) 마쇄를 행하였다.
A액(현색제 분산액)
4-히드록시-4'-이소프로폭시디페닐설폰 6.0부
폴리비닐알코올 10% 수용액 18.8부
물 11.2부
B액(염기성 무색 염료 분산액)
3-디부틸아미노-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ODB-2) 2.0부
폴리비닐알코올 10% 수용액 4.6부
물 2.6부
이어서 하기의 비율로 분산액을 혼합하여 기록층의 도료로 하였다.
기록층 도료
A액(현색제 분산액) 36.0부
B액(염기성 무색 염료 분산액) 9.2부
카올린 클레이(50% 분산액) 12.0부
이어서, 기록층 도료를 하기 하도층 형성지의 하도층 위에 도포량 6.0 g/㎡가 되도록 도포한 후, 건조를 행하고, 이 시트를 슈퍼캘린더로 평활도가 500~600초가 되도록 처리하여 감열기록체를 얻었다.
[실시예 2]
실시예 1의 U액(하도층 도료)의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를 중합도 600~800, 에테르화도: 0.65~0.75의 것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감열기록체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의 U액(하도층 도료)의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를 중합도 1000~1500, 에테르화도: 0.55~0.65의 것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감열기록체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2의 U액(하도층 도료)에 에테르화도 1.21, 2% 수용액의 점도가 12 mPa·s의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를 2% 수용액으로 25부 첨가하고, 물의 부수(部數)를 122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감열기록체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5]
실시예 4의 U액(하도층 도료)에 사용하고 있는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를 에테르화도 1.32, 2% 수용액의 점도가 100 mPa·s의 것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4와 동일하게 감열기록체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6]
실시예 4의 U액(하도층 도료)에 사용하고 있는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를 에테르화도 1.3, 2% 수용액의 점도가 1500 mPa·s의 것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4와 동일하게 감열기록체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의 U액(하도층 도료)에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를 배합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감열기록체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의 U액(하도층 도료)의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를 중합도 400~500, 에테르화도: 1.3~1.6의 것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감열기록체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3]
실시예 1의 U액(하도층 도료)의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를 중합도 500~800, 에테르화도: 1.3~1.6의 것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감열기록체를 제작하였다.
<기록감도 평가>
제작한 감열기록체에 대해서, 오쿠라덴키사제의 TH-PMD(감열기록지 인자시험기, 교세라사제 서멀 헤드를 장착)를 사용하여, 인가(印加) 에너지 0.27 mJ/dot로 인자하였다. 기록부의 기록농도는 맥베스농도계(RD-914, 앰버 필터(amber filter) 사용)로 측정해서 평가하였다.
<화질 평가>
민인자(solid printing)부를 육안으로 평가하였다.
○ : 흰색부분이 관찰되지 안는다.
△ : 흰색부분이 조금 많이 관찰된다.
× : 흰색부분이 매우 많다.
<도료 평가>
제작한 하도층 도료의 동적 보수도(保水度)(AA 탈수량)를, Kaltec Scientific사제 AA-GWR 워터·리텐션·미터를 사용해서 측정하였다. 이 수치가 작을수록 동적 보수도가 높고, 블레이드 바로 아래의 보수성이 높아져, 스트릭 등의 결함이 도공면에 발생하기 어려워지는 것이 나타내어진다. 또한, 측정시에 사용한 원지는 100 g/㎡ 평량(坪量)의 것이다.
Figure 112006003188987-pct00003
Figure 112005009768616-pct00002
본 발명에 의하면, 하도층의 벤트 블레이드나 베벨 블레이드 도공 적성이 우수하고, 기록감도가 높으며, 화질이 우수한 감열기록체를 얻을 수 있다.

Claims (3)

  1. 지지체 위에 안료와 바인더를 함유하는 하도층, 무색 내지 담색의 염기성 무색 염료와 상기 염기성 무색 염료와 반응해서 발색시키는 현색제를 함유하는 감열기록층을 설치한 감열기록체에 있어서, 상기 하도층이 에테르화도 0.55~0.75의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를 함유하고, 추가로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기록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료는 JIS K-5101법에 의한 흡유량이 8 ml/100 g~120 ml/100 g의 소성 카올린인 감열기록체.
  3. 제1항에 있어서,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의 2% 수용액의 B형 점도가 300 mPa·s 이하인 감열기록체.
KR1020057003137A 2002-08-30 2003-08-28 감열기록체 KR1006747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252279 2002-08-30
JPJP-P-2002-00252279 2002-08-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8503A KR20050058503A (ko) 2005-06-16
KR100674795B1 true KR100674795B1 (ko) 2007-01-29

Family

ID=31972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3137A KR100674795B1 (ko) 2002-08-30 2003-08-28 감열기록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378374B2 (ko)
EP (1) EP1541370A4 (ko)
JP (1) JPWO2004020210A1 (ko)
KR (1) KR100674795B1 (ko)
CN (1) CN100335294C (ko)
TW (1) TWI313228B (ko)
WO (1) WO20040202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08290B2 (ja) * 2007-02-13 2009-08-05 日本製紙株式会社 感熱記録体
US8304113B2 (en) * 2007-03-05 2012-11-06 Advanced Membrane Systems, Inc. Polyolefin and ceramic battery separator for non-aqueous battery applications
US8372545B2 (en) 2007-03-05 2013-02-12 Advanced Membrane Systems, Inc. Separator for non-aqueous lithium-ion battery
WO2008126635A2 (ja) * 2007-03-29 2008-10-23 Nippon Paper Industries Co., Ltd. 感熱記録体
EP2267222B1 (en) * 2008-03-31 2018-05-16 Nippon Paper Industries Co., Ltd. Additive for papermaking and paper containing the same
CN105256660A (zh) * 2015-09-17 2016-01-20 河南江河纸业股份有限公司 隐形图案防伪纸
US20200406658A1 (en) * 2018-03-05 2020-12-31 Nippon Paper Industries Co., Ltd. Thermosensitive recording medium
CN114960275A (zh) * 2022-05-23 2022-08-30 杭州东仪纸业有限公司 高级热熔蓝图纸及其生产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306282A (ja) 1988-06-03 1989-12-11 Mitsubishi Paper Mills Ltd 感熱記録シート
US5128310A (en) 1990-06-18 1992-07-07 Fuji Photo Film Co., Ltd. Thermosensitive recording material
JPH04279389A (ja) 1991-02-08 1992-10-05 Oji Paper Co Ltd 感熱記録材料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306282A (ja) 1988-06-03 1989-12-11 Mitsubishi Paper Mills Ltd 感熱記録シート
US5128310A (en) 1990-06-18 1992-07-07 Fuji Photo Film Co., Ltd. Thermosensitive recording material
JPH04279389A (ja) 1991-02-08 1992-10-05 Oji Paper Co Ltd 感熱記録材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403158A (en) 2004-03-01
US7378374B2 (en) 2008-05-27
CN100335294C (zh) 2007-09-05
JPWO2004020210A1 (ja) 2005-12-15
US20060007765A1 (en) 2006-01-12
EP1541370A4 (en) 2006-07-12
KR20050058503A (ko) 2005-06-16
TWI313228B (en) 2009-08-11
WO2004020210A1 (ja) 2004-03-11
CN1678461A (zh) 2005-10-05
EP1541370A1 (en) 2005-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79523B2 (ja) 感熱記録体
KR100920590B1 (ko) 감열기록체
JP5878271B1 (ja) 感熱記録体
JP2008044227A (ja) 感熱記録体
JP4459074B2 (ja) 感熱記録体
KR100674795B1 (ko) 감열기록체
JP2011020352A (ja) 感熱記録体
JP2009214373A (ja) 感熱記録体
JP2008183745A (ja) 感熱記録体
JP4350709B2 (ja) 感熱記録体
JP2006281501A (ja) 感熱記録体
JP2005096324A (ja) 感熱記録体
JP2005280117A (ja) 感熱記録体の製造方法
JP2005103824A (ja) 感熱記録体
JP2004090299A (ja) 感熱記録体
JP2012076230A (ja) 感熱記録体
JP2005125740A (ja) 感熱記録体
JP2008001046A (ja) 感熱記録体
JP2004114629A (ja) 感熱記録体
JP2004122483A (ja) 感熱記録体
JP2005254471A (ja) 感熱記録体
JP2005103776A (ja) 感熱記録体
JP2004122484A (ja) 感熱記録体
JP2006021340A (ja) 感熱記録体
JP2005103780A (ja) 感熱記録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