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4452B1 - 반사체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반사체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4452B1
KR100674452B1 KR1020017016562A KR20017016562A KR100674452B1 KR 100674452 B1 KR100674452 B1 KR 100674452B1 KR 1020017016562 A KR1020017016562 A KR 1020017016562A KR 20017016562 A KR20017016562 A KR 20017016562A KR 100674452 B1 KR100674452 B1 KR 1006744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reflector
substrate sheet
retroreflective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6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1139A (ko
Inventor
나카야마나오키
미즈후네가냐
Original Assignee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filed Critical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Publication of KR20020021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11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44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44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12Reflex reflectors
    • G02B5/122Reflex reflectors cube corner, trihedral or triple reflector type
    • G02B5/124Reflex reflectors cube corner, trihedral or triple reflector type plural reflecting elements forming part of a unitary plate or sheet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5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 E01F9/669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for fastening to safety barriers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3Sheet including cover or cas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19Fold at edge
    • Y10T428/24215Acute or reverse fold of exterior compon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777Edge feat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Transition And Organic Metals Composition Catalysts For Addition Polymerization (AREA)

Abstract

반사체는 기판 시트와, 이 기판 시트의 표면을 덮는 재귀반사 시트를 포함한다. 반사체에는, 실질적으로 평탄한 베이스부와, 이 베이스부에 의해 이격되어 있고 상기 재귀반사 시트를 향해 돌출되어 있는 복수의 돌출부가 구비되어 있으며, 기판 시트와 재귀반사 시트가 서로로부터 박리되는 것은 물체의 적어도 표면에 반사체가 고정되는 조건 하에서 다른쪽 시트의 에지의 적어도 일부를 피복하도록 시트 중 하나의 에지의 적어도 일부를 절곡시켜 뒤집음으로써 방지된다.

Description

반사체 및 그 제조 방법{REFLECTIVE ART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기판 시트와, 기판 시트의 주면 상에 고정된 재귀반사 시트를 포함하는 반사체에 관한 것이다. 이 반사체는 야간에 물체의 가시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터널 내벽, 가드레일 또는 표지판과 같은 물체에 부착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실질적으로 평탄한 베이스부와 이 베이스부에 의해 이격되어 있고 재귀반사 시트를 향해 돌출되어 있는 복수의 돌출부를 구비하는 반사면을 가지는 반사체에 관한 것인데, 이 반사체는 넓은 범위의 입사각의 광선에 대한 가시성과 같은 우수한 넓은 입사각 특성을 제공한다.
종래로부터, 재귀반사 시트에 의해 덮힌 실질적으로 평탄한 베이스부와 재귀반사 시트에 의해 덮힌 복수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반사면을 구비하는 플레이트 및 반사 시트와 같은 반사체가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일본 실용신안 공보 소62-41804호는 반사 시트에 종이가 들러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표면에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반사 시트를 개시하고 있다. 이 반사 시트는 예를 들어, 이 기판 시트의 표면에 재귀반사 시트를 접착시키고, 이 시트에 엠보싱 처리를 행하여 표면에 돌출부를 형성시킴으로써 제조된다. 그러나, 각각의 돌출부의 크기는 비교적 작다(예를 들어, 폭이 2 mm이고 높이가 1 mm임). 또한, 상기 공개 공보는 넓은 입사각 반사 특성을 제공하는 반사 시트에서의 돌출부 배열 또는 크기를 개시하지 않고 있다.
국제 공개 공보 제WO97/01677호 및 WO97/01678호는 엠보싱 처리되지 않고 대신에 재귀반사 재료로 덮힌 재귀반사 물체를 개시하고 있는데, 여기에는 반사성의 벽모양 돌출부와 평탄한 표면이 구비되어 있다. 이 반사체에서, 돌출부의 크기 및 배열은 넓은 입사각 반사 특성을 향상시키도록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벽모양 돌출부는 평탄한 표면을 둘러싸도록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또한, 돌출부는 평탄한 표면을 둘러싸기 위해서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평탄한 표면에 들러붙는 물방울 또는 고체 이물질의 제거를 비교적 어렵게 한다.
한편, 일본 특허 공개공보 제10-333616호는 기판 시트 및 이 기판 시트의 표면에 부착된 재귀 반사 시트를 포함하는 적층체를 엠보싱 처리함으로써 형성되고 베이스부를 통해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돌출부를 구비하며 재귀반사 시트에 의해 덮힌 반사면 및 재귀반사 시트로 덮힌 실질적으로 평탄한 베이스부를 갖는 반사 플레이트를 개시하고 있다. 복수의 돌출부는 규칙적으로 반복되는 기하학적 평면 패턴을 형성하도록 배열된다. 이 공보는 상기 돌출부가, 평탄한 표면을 둘러싸도록 연속적으로 형성된 벽모양 돌출부가 아니라 베이스부를 통해 이격 배열되는 것인 형태를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형태에서, 평탄한 표면에 들러붙는 물방울 또는 고체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은 매우 용이하다.
상기 일본 특허 공개공보 제10-333616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넓은 입사각 반사 특성에 있어서 우수한 시트 형상 또는 플레이트 형상의 반사체를 형성하기 위해서, 반사 돌출부는 예정된 크기 및 예정된 패턴의 배열을 가질 필요가 있다. 특히, 이것은 입사각이 비교적 높은(예를 들어, 반사면의 수선에 대해 70°이상인) 광선에 대한 반사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중요하다. 반사체가 옥외에서 사용되는 표지의 구성 부재로서 사용되는 경우에, 반사면에 들러붙는 먼지와 같은 고체 이물질은 세척 작업(또는 소제 작업)에 의해 쉽게 제거되어야 한다. 따라서, 반사 휘도와 같은 원하는 특성을 충분히 획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술한 세척 작업(또는 소제 작업)은 세척 장치를 사용하여 반사체를 수작업으로 실시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러한 세척 장치는 반사체의 반사면에 대하여 고압으로 물을 분무시킴으로써, 또는 브러시와 같은 소제 부재를 가지고 반사면을 브러싱함으로써 사용된다. 예를 들어, 반사체가 터널 내벽의 표면에 고정되어 있는 경우에, 반사체는 물을 고압으로 분무하여 터널 내벽을 세척하는 세척 장치에 의해 내벽과 함께 세척된다.
그러나, 재귀반사 시트가 기판 시트에 부착된 반사 요소에서, 재귀반사 시트는 상기 세척 작업에 의해서 에지부(반사면 내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재귀반사 시트의 단부에 위치된 프레임 부분)에서 기판 시트로부터 박리된다. 특히, 재귀반사 시트가 종방향 및 폭방향을 갖는 경우에, 상대적으로 긴 치수를 갖는 폭방향으로 단부에서의 박리는 현저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재귀반사 시트의 단부가 세척 작업에 의해 기판 시트로부터 박리 및 탈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반사체 및 반사체 제조 방법 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기판 시트와 이 기판 시트의 표면을 덮는 재귀반사 시트를 포함하는 반사체에 관한 것으로서, 반사체에는 실질적으로 평탄한 베이스부와, 이 베이스부에 의해 이격되어 있고 상기 재귀반사 시트를 향해 돌출되어 있는 복수의 돌출부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기판 시트 및 상기 재귀반사 시트가 서로로부터 분리되는 것은, 반사체가 물체의 적어도 표면에 고정되어 있다는 조건 하에서 시트 중 하나의 에지의 적어도 일부를, 다른 시트의 에지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절곡시킴으로써 방지된다. 상기 반사체는 기판 시트와 재귀반사 시트가 모두 길이 및 폭의 방향을 갖고, 상기 기판 시트의 폭 방향으로의 에지 둘레 부분 중 적어도 한부분은 재귀반사 시트 에지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재귀반사 시트의 측부상에서 절곡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은 수지의 인발 신장성을 갖는 금속으로 제조된 평탄한 기판 시트를 제조하는 단계와, 재귀반사 시트가 기판 시트보다 폭이 작도록 하여 상기 기판 시트의 표면에 재귀반사 시트를 고정함으로써 적층체를 형성하고, 재귀반사 시트가 기판 시트에 부착될 때, 기판 시트의 폭방향 에지 둘레 부분에 기판 시트의 폭방향을 따라 신장된 절곡 가능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재귀반사 시트의 단부 및 그 둘레를 덮도록 재귀반사 시트로 덮힌 기판 시트의 표면쪽으로 상기 절곡 가능부를 절곡시킴으로써 절곡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복수의 보스를 구비하는 엠보싱 도구를 재귀반사 시트로 덮히지 않은 기판 시트의 표면에 대해 접촉시킴으로써 적층체에 엠보싱 처리를 행하여 돌출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사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 명세서에서, "시트 중 하나의 에지의 적어도 일부를, 다른 시트의 에지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절곡시킨다"라는 표현은 다음의 상태를 의미하는 것이다.
(i) 상기 재귀반사 시트의 프레임(에지부 및 그 부근)은 기판 시트의 프레임(에지부 및 그 부근)을 절곡시킴으로써 형성된 절곡부에 의해 덮힌다. 또는,
(ii) 상기 기판 시트의 프레임(에지부 또는 그 부근)은 재귀반사 시트의 프레임(에지부 및 그 부근)을 절곡시킴으로써 형성된 절곡부에 의해 덮힌다.
상기 두 가지 상태 중에서, (i)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재귀반사 시트는 일반적으로, 비드와 같은 반사체 또는 광투과성 필름(큐브 코너 프리즘 등)으로 제조된 반사체로 제조된 표면을 덮는 광투과성 필름으로 된 덮개층을 가지기 때문이다. 재귀반사 시트의 이러한 광투과성 필름은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비교적 예리한 각을 형성하기 위해서 재귀반사 시트가 절곡될 때에 파괴되기 쉽다. 따라서, 상기 재귀반사 시트가 절곡되지 않는 상기 (i) 상태가 바람직하다. 반사체가 상기 (i) 상태로 물체 표면에 부착된 후에 절곡부가 형성되어도 좋지만, 절곡부는 일반적으로 반사체가 물체 표면에 부착되기 전에 형성된다.
기판 시트는 일반적으로 폭보다 길이가 길다. 그러나, 길이는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한 폭과 거의 동일할 수도 있다. 재귀반사 시트는 일반적으로 폭보다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지만, 길이는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한 폭과 거의 동일할 수도 있다. 이러한 치수를 갖는 기판 시트 및/또는 재귀반사 시트를 포함하는 반사체는 폭보다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데, 길이는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한 폭과 거의 동일할 수도 있다.
반사성 돌출부의 형상은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그러나, 돌출부는 폭방향으로 재귀반사 시트의 한쪽 단부로부터 다른 쪽 단부에 이르기까지 연속적으로 배열되어 돌출부 라인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돌출부 라인은 종방향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이며, 넓은 반사면에 입사되는 광선을 반사시킬 수 있는 반사면(베이스부에 대해 돌출되어 있는 반사 시트의 표면)을 갖는다. 따라서, 반사 휘도는 반사체의 종방향이 도로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도록 반사체가 배치되는 경우에, 특히 효과적으로 향상될 수 있다.
아래의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돌출부 라인을 갖는 반사체를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 수지의 인발 신장성을 갖는 금속으로 제조된 평탄한 기판 시트를 제조하는 단계, (b) 기판 시트의 폭방향 길이보다 짧은 폭방향 길이를 가지며, 재귀반사 시트가 기판 시트에 고정될 때 기판 시트의 폭방향 에지 둘레의 부분에 기판 시트의 폭방향 길이를 따라 신장되어 있는 절곡 가능부를 가지도록, 기판 시트의 표면에 재귀반사 시트를 부착함으로써 적층체를 형성하는 단계, (c) 재귀반사 시트의 단부 및 그 둘레를 덮도록 재귀반사 시트로 덮힌 기판 시트의 표면쪽으로 상기 절곡 가능부를 절곡시킴으로써 절곡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d) 복수의 보스를 구비하는 엠보싱 도구를 재귀반사 시트로 덮히지 않은 기판 시트의 표면에 대해 접촉시킴으로써 적층체에 엠보싱 처리를 행하여 돌출부를 형성하는 단계.
이 방법에서, 기판 시트는 라인 형상 등을 갖는 돌출부를 마련하는 단계인 엠보싱 처리에 앞서 절곡 처리가 행해진다. 절곡 단계는 재귀반사 시트의 단부에서 행해지고 기판 시트는 평탄하기 때문에, 반사면에서의 돌출부는 기판 시트의 절곡을 방해하지 않으며, 따라서 절곡 작업을 용이하게 한다. 돌출부가 반사 시트의 에지부에 있지 않고(예를 들어, 돌출부가 반사면에 라인으로 배열되지 않고 대신에 규칙적으로 배열될 복수의 점으로 배열되어 있고) 기판 시트의 절곡을 방해하지 않으면, 절곡은 엠보싱 작업 후에 행해질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반사체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측단면도.
도 2a, 2b 및 도 2c는 제조 공정에서 본 발명의 반사체의 에지를 절곡시키는공정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반사체를 제조할 때에 사용되는 재귀반사 시트의 전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반사체의 재귀반사 시트에 자가 소제 부재를 부착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5a는 본 발명의 반사체의 모드의 단면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5b는 반사체의 기하학적 패턴을 도시하는 개략도.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반사체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반사체는 기판 시트(2)와, 이 기판 시트(2)의 표면을 덮는 재귀반사 시트(1)를 포함한다. 반사체 는 실질적으로 평탄한 베이스부(4)와, 재귀반사 시트(1)의 측부를 향해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베이스부(4)에 의해 이격된 복수의 돌출부(6)를 구비한다.
이 반사체는, 시트(1 또는 2)의 에지가 다른 시트(1 또는 2)의 에지를 덮도록 시트 중 하나의 에지를 프레임부의 적어도 일부에서, 또는 적어도 반사체가 물체의 표면에 고정되어 있는 곳에서 절곡되어, 재귀반사 시트(1)가 기판 시트(2)로부터 박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반사체
본 발명에 따른 반사체는 넓은 입사각 반사체로 분류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넓은 입사각 반사체"라는 용어는 수평 표면의 법선에 근접한 방향으로부터 방출된 빛의 반사 휘도가 충분한 수준의 것이며, 수평 표면에 근접한 방향으로부터 방출된 빛의 반사 휘도가 가시 수준(예를 들어, 1.5 CPL 이상)의 것인 반사체를 칭한다. 즉, 본 발명의 반사체는 입사각이 반사체의 수평 표면의 법선에 근접한 방향으로부터 수평 표면에 근접한 방향에 이르기까지 변화될 때, 반사 휘도가 그리 심하게 저하되지 않는(예를 들어, 1 CPL 이하로 저하되지 않음) 충분한 반사 특성을 가지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반사체가 충분한 반사 특성을 띄게 되는 입사각의 범위는 적어도 0 내지 75˚, 바람직하게는 0 내지 86˚이다. 이 각도는 반사체의 베이스부의 평탄한 표면의 법선으로부터 측정된 각도이다.
아래의 관계식 1은 돌출부의 치수 및 배열을 적당하게 설계하기 위한 각각의 변수의 관계를 나타낸다. 돌출부의 배열 및 치수는 다음과 같은데, 돌출부는 하나 또는 복수의 기하학적 평면 패턴을 규칙적으로 반복함으로써 형성된 패턴에 따라 서로로부터 분리되도록 배열되어 있다. 돌출부는 서로로부터 분리되어 있고 독립적이므로, 반사면에 부착되어 있는 고체 이물질은 쉽게 제거될 수 있다.
관계식 1 : 0.05 < h/P < 0.60
P는 두 개의 상호 인접한 돌출부 사이의 거리(피치)를 나타내며, H는 베이스부의 표면으로부터 측정된 돌출부의 높이를 나타낸다.
복수의 P가 고정되어 있을 때, 최대 P가 사용된다. 예를 들어, 도트형 돌출부(6)가 사방형의 꼭지점에 배치되는 경우에, 대각선을 따른 두 돌출부(6) 사이의 거리가 P로 사용된다. 돌출부(6)가 재귀반사 시트의 폭 방향으로 한쪽 단부로부터 다른 쪽 단부에 이르기까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면, P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부(6)의 선에 수직인 단면[재귀반사 시트(1)의 종방향을 따른 단면]에서 두 개의 돌출부(6) 사이의 거리이다.
돌출부의 라인의 배열 및 크기가 고정되어 있을 때, 규칙적으로 반복되는 직사각형에 의해 형성된 패턴에 따라 직사각형의 두 꼭지점을 가로지르도록 돌출부의 라인이 배치되는 것으로 상정될 수 있다. 즉, 돌출부의 라인은 직사각형의 상호 평행한 변에 형성되며, 이들 라인은 상호 분리되어 있고 독립적이다.
상기 관계식 1에서 h/P의 값이 0.05 이하이면, 상대적으로 높은 입사각을 갖는 광선에 대한 반사 휘도는 악화되기 쉽다. 대조적으로, 상기 관계식 1에서 h/P의 값이 0.60 이상이면, 충분한 반사 휘도를 얻을 수 있는 입사각은 높게(예를 들어, 70˚이상) 설계될 수 없다. 이러한 점으로부터, 관계식 1에서 h/P의 값은 바람직하게는 0.07 내지 0.47, 더욱 바람직하게는 0.08 내지 0.30이다.
돌출부에서 충분한 강도로 반사될 수 있는 최대 입사각이 θ이면, 관계식 1에서 h/P는 거의 각도 90-θ의 탄젠트값, 즉 tan(90-θ)가 된다.
관계식 1에서 하한값이 0.05이고 상한값이 0.60인 것은, θ에서 하한값이 약 60˚이고 상한값이 약 87˚인 것과 거의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P는 일반적으로 4 mm 이상이다. P가 이 값보다 작으면, 높은 입사각의 광선의 반사 특성은 향상될 수 없는 것으로 생각된다. P가 너무 크면, 돌출부의 배치 밀도가 작아지고, 높은 입사각의 광선의 반사 특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는 저하되기 쉽다. 이러한 점으로부터, P는 바람직하게는 8 내지 30 mm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5 mm이다.
한편, h는 일반적으로 0.5 mm 이상이다. h가 0.5보다 작으면, 높은 입사각을 갖는 광선에 대한 반사 특성은 향상될 수 없는 것으로 생각된다. h가 너무 크면, 재귀반사 시트(1)는 돌출부(6)를 형성할 때 손상되기 쉽다. 이러한 점으로부터, h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mm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5 mm이다. 돌출부의 경계 지점과, 수직 방향(도 1 기준) 단면에서 인접한 베이스부(4) 사이의 거리는 일반적으로 5 mm 이상이다. 이 값이 너무 작으면, 높은 입사각을 갖는 광선의 반사 특성은 향상될 수 없는 것으로 생각된다. 돌출부의 폭이 너무 크면, 돌출부(6)의 배치 밀도가 작아지고, 높은 입사각에서의 반사 특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저하되기 쉽다. 이러한 점으로부터, 폭은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0 mm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5 mm이다.
돌출부(6)는 하나 또는 복수의 기하학적 평면 형태를 규칙적으로 반복함으로써 형성된 패턴에 따르며, 형태의 모든 꼭지점에서 상호 분리되도록 배치된다. 돌출부(6) 각각은 바닥 형태(바닥부와 함께 경계 표면에서 수평한 단면)의 중력 중심(원의 경우 그 중심)이 실질적으로 기하학적 형태의 꼭지점(돌출부의 배치 중심)과 일치하도록 배치된다. 기하학적 형태의 중력 중심은 수학적 방법에 의해 구할 수 있다. 기하학적 형태의 형상은 관계식 1을 만족하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베이스부(4)를 포함하는 수준 표면에서, 직사각형일 수도 있고, 오각형 및 육각형과 같은 다각형일 수도 있고, 또는 각각의 삼각형의 변이 서로 만나도록 두 개의 삼각형을 배치함으로써 형성되는 사방형일 수도 있다. 복수의 기하학적 평면 형태가 일종의 배열 형태로 나타나고, 따라서 복수의 P값이 결정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모든 P값은 높은 입사각에서의 반사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관계식 1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출부(6)의 배치 밀도는 두 개의 인접 돌출부 서로간의 틈새에 배치된 베이스부(4)의 수평 방향으로 최소 크기[예를 들어, 도 1에서 재귀반사 시트(1)의 종방향에 따른 치수]는 일반적으로 2 내지 20 mm이고,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5 mm이 되도록 결정된다. 배치 밀도가 너무 작거나 너무 크면, 높은 입사각에서의 반사 특성은 저하되기 쉽다. 수직 방향 단면에서의 돌출부(6)의 형상으로는, 예를 들어 반원, 반타원, 수평방향으로 상부가 잘려나간 반원 또는 반타원, 삼각형, 사다리꼴 또는 사각형이 사용될 수도 있다. 복수의 돌출부는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한, 두 가지 이상의 중실형 돌출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엠보싱에 의해 형성된 돌출부(6) 각각은 기판 시트의 배면측에서 중공형이다. 이 경우에, 돌출부는 기판 시트의 두께에 좌우되겠지만, 외력에 의한 변형을 받기 쉽다. 보강을 위해서 수지 등으로 돌출부를 충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외선, 전자선, 열, 습기 등에 의해 경화 가능한 수지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화성 수지의 보강 효과는 중공 내에 경화 수지가 충전된 후에 경화에 의해 나타날 수 있다.
돌출부(6)가 라인을 형성하면, 이들 라인은 일반적으로 기판 시트(2)의 종방향을 따라 베이스부(4)에 의해 분리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경우에, 이들 라인의 종방향 길이는 일반적으로 기판 시트의 폭방향을 따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형성된다. 대안적으로, 바람직하게는 빛의 입사 방향에 수직하게 형성된다. 이는 반사체의 반사 휘도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빛이 기판 시트(즉, 반사체)의 종방향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입사되면, 돌출부 라인의 종방향은 일반적으로 기판 시트의 폭방향을 따라 실질적으로 평행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빛이 반사체의 종방향으로부터 예정된 각도를 갖는 입사각으로 입사되면, 돌출부 라인의 종방향은 기판 시트의 폭방향에 평행하지 않지만 빛의 입사 방향에 수직인 것이 바람직하다. 빛이 복수의 입사각으로 입사되는 경우에, 돌출부 라인은 직선이 아니라 다수의 코너를 갖도록 굽어 있거나 또는 굴곡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판 시트
기판 시트(2)는 일반적으로 금속이나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다. 이들 중에서, 연질 금속이나 연질 플라스틱이 바람직한데, 이는 이들이 인발 특성에 있어서 우수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재료들은 엠보싱 처리(및 절곡 처리)가 쉽게 행해질 수 있으며, 따라서 돌출부(6) 및 절곡부(3)는 쉽게 형성될 수 있다. 연질 금속으로는, 알루미늄, 구리, 은, 금 등이 바람직하다. 연질 플라스틱으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우레탄 등이 바람직하다. 두께 또는 인장 강도와 같은 특성은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그러나, 반사체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엠보싱 처리 및 절곡 처리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에, 기판 시트의 특성은 아래와 같이 선택되는 것이 좋다. 금속의 경우에 두께는 0.05 내지 2 mm인 것이 좋으며, 플라스틱의 경우에 0.1 내지 5 mm가 좋다. 너무 얇으면, 기판 시트는 엠보싱 처리에 의해 돌출부를 형성할 때 파손되기 쉽다. 너무 두꺼우면, 엠보싱 처리에 의해 돌출부를 형성하기가 곤란하다. 인장 강도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5 kg/㎟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2 kg/㎟이다. 인장 강도가 1 kg/㎟보다 낮으면, 기판 시트는 엠보싱 또는 절곡 처리시에 파손되기 쉽다. 인장 강도가 15 kg/㎟보다 높으면, 작업이 어려워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재귀반사 시트
재귀반사 시트(1)는 투명 필름 코팅층을 구비하며, 비드와 같은 반사체의 표면이 노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캡슐 렌즈를 사용하거나 또는 실드 렌즈(sealed lense)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리즘형 재귀반사 시트는 큐브 코너 프리즘과 같은 프리즘 반사체를 갖는 투명 필름을 사용하여 캡슐형으로 프리즘 반사체를 밀봉하고 투명 필름의 배면 상에 밀봉층을 위치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프리즘형 반사 시트에서, 투명 필름의 표면(어떠한 프리즘 반사체도 없는 일반적으로 평탄한 표면임)이 반사면(5)이다. 상기 투명 필름으로 사용될 수 있는 재료로는, 아크릴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플루오로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수지 등이 있다. 투명 필름의 전체 광투과성은 일반적으로 80 % 이상이다.
피복층을 구비하는 반사 시트의 예로는, 3M사에 의해 제조되는 Scotch Light라는 상표명의 No.580, No.3810J 및 No.1570이 있다. 프리즘형 반사 시트의 예로는 3M사에 의해 제조되는 Scotch Light라는 상표명의 No.981이 있다. 반사 시트의 파괴 신장률, 파괴 강도 및 두께와 같은 특성은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그러나, 반사체가 엠보싱 처리에 의해 형성된다면, 다음과 같이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파괴 신장률은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00 %,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80 %이다. 파괴 신장률이 300 % 이상이면, 엠보싱 처리시에 반사면에 주름이 형성된다고 생각된다. 반대로, 파괴 신장률이 5 % 미만이면, 엠보싱 처리가 곤란한 것으로 생각된다. 파괴 강도는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 kg/25 mm, 특히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7.0 kg/25 mm이다. 파괴 강도가 1.0 kg/25 mm 미만이면, 반사 시트는 엠보싱 처리시 파괴되기 쉽다. 반대로, 파괴 강도가 10 kg/25 mm 이상이면, 엠보싱 처리가 곤란한 것으로 생각된다. 바람직한 두께 범위는 10 내지 750 ㎛이다. 두께가 10 ㎛ 미만이면, 반사 시트는 엠보싱 처리시 파괴되기 쉽다. 반대로, 두께가 750 ㎛ 이상이면, 엠보싱 처리가 곤란하다.
재귀반사 시트(1)를 기판 시트(2)에 고정시키기 위해서, 예를 들어 접착제(10)가 사용될 수 있다. 접착제로는, 아크릴 접착제, 폴리올레핀 접착제, 폴리우레탄 접착제, 실리콘 접착제, 에폭시 수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접착제로서, 감압(減壓) 접착제, 감열(減熱) 접착제(고온 용융되는 것을 포함함), 경화성 접착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중에서, 감압 접착제가 가장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감압 접착제가 유동성이 높아서 엠보싱 처리에 의해 돌출부를 형성하기 쉽기 때문이다. 접착제(10)는 일반적으로 기판 시트와 반사 시트 사이에 배치되고, 이러한 적층체는 일반적으로 5 내지 50 ㎛의 두께를 갖는다.
접착제층
기판 시트의 배면(반사 시트가 위치되어 있지 않은 표면)에 접착제층이 제공될 수 있다. 접착제층은 가드레일과 같은 물체에 반사체를 부착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접착제층에 사용되는 접착제로는 앞서 언급한 접착제와 유사한 접착제가 사용될 수 있다. 접착제층은 일반적으로 라이너에 의해 보호된다. 바람직한 라이너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으로 제조된 수지 시트를 부착시킴으로써 형성된 릴리스 페이퍼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과 같은 수지로 제조된 페이퍼 또는 필름이 있다.
반사체의 제조
엠보싱 처리에 의해 돌출부(6)를 형성하기 위한 작업을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서 반사체가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예정된 형상, 크기 및 배열을 갖는 돌출부가 정밀하게 형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엠보싱 처리를 위해서, 예정된 형상, 크기 및 배열을 갖는 복수의 돌출부가 있는 엠보싱 도구가 배면측으로부터 기판 시트에 대해 가압된다. 엠보싱 도구의 형상, 크기 및 배열은 반사체의 형상, 크기 및 배열에 대응하도록 설계된다. 엠보싱 압력은 일반적으로 1 내지 100 kg/㎠이고,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 kg/㎠이다. 기계적 프레싱과 같은 프레스 작업에 의해서 또는 압력 감소식 프레스에 의해서 압력이 가해진다. 표면에 앞서 언급한 돌출부가 있는 플레이트 또는 롤로 이루어진 제1 도구와, 재귀반사 시트의 표면에 접촉하는 제2 도구의 조합이 사용될 수 있다. 제2 도구로는, 제1 도구의 돌출부를 수용할 수 있는 오목부를 구비하는 도구 또는, 평탄한 표면을 가지되 제1 도구가 기판 시트의 배면으로부터 기판 시트에 대해 가압될 때 변형할 수 있는 재료로 만들어진 도구가 사용될 수 있다. 제2 도구(평탄한 표면을 갖는 도구)의 재료로는 고무, 탄성 중합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엠보싱 처리에 의해 제조하는 방법에서, 동일한 조건 및 동일한 엠보싱 도구가 사용된다. 재귀반사 시트(2)와, 라이너에 의해 보호되는 접착제층을 포함하는 적층체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기판 시트(2)의 표면 및 배면에 형성된다. 복수의 돌출부를 가지는 엠보싱 도구는 상기 적층체의 라이너에 대해 가압되어서 돌출부를 형성한다. 대안적으로, 엠보싱 처리는 피복층의 표면에 글자, 디자인 등의 표식이 인쇄된 후에 행해질 수도 있다. 또한, 미리 형성된 돌출부가 있는 기판 시트에 재귀반사 시트가 겹쳐지게 놓이고 나서 감소된 압력 하에서 기판에 접촉하게 되도록 재귀반사 시트가 가압되는 방식으로, 본 발명의 반사체는 제조될 수도 있다.
한편, 재귀반사 시트의 에지부를 보호하는 절곡부(3)를 형성하는 방법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다. 먼저, 인발 신장성을 갖는 금속 또는 수지로 제조된 편평한 기판 시트가 기판 시트로서 준비된다. 다음에, 기판 시트(2)의 표면에 재귀반사 시트(1)가 고정되어 적층체를 형성한다. 이 때, 재귀반사 시트의 폭방향 길이는 기판 시트(2)의 폭방향 길이보다 작다. 기판 시트는 재귀반사 시트의 폭방향 단부가 고정되는 부분으로부터 기판 시트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절곡 가능부를 갖는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곡부(3)가 재귀반사 시트(1)의 양쪽의 폭방향 단부를 모두 덮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재귀반사 시트는 재귀반사 시트(1)의 종방향이 기판 시트(2)의 종방향과 일치하도록 기판 시트의 폭 중앙부에 고정되며, 절곡 가능부는 기판 시트의 양쪽 폭방향 단부에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절곡 가능부는 기판 시트의 표면쪽으로 절곡되어, 재귀반사 시트의 단부 및 단부 근처를 덮는 절곡부(3)를 형성한다. 절곡 과정은 수작업으로 또는 벤더와 같은 장치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 절곡부(3)는 절곡부 사이에 틈새를 형성하지 않도록 반사 시트의 표면(반사면)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반사체가 실외에서 사용되는 경우에, 낙수 또는 고체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고 절곡부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때문이다.
절곡부의 폭방향 치수(도면에서 기판 시트의 폭방향 치수)는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폭방향 치수는 일반적으로 2 내지 30 mm이며,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 mm이다. 절곡부의 폭방향 치수가 너무 작으면, 절곡부는 세척 작업 도중에 박리되기 쉽다. 폭방향 치수가 너무 크면, 노출된 반사면(5)의 면적(절곡부에 의해 덮여 있지 않은 부분)이 작아지고, 휘도가 저해되기 쉽다. 기판 시트(2)가 금속인 경우에, 기판 시트는 전연성(또는 소성 변형성)을 갖는다. 따라서, 절곡이 행해진 후에 절곡부의 상태가 쉽게 유지될 수 있다. 그러나, 절곡부(3)는 필요에 따라서 반사면(5)에 결합될 수도 있다. 기판 시트가 연질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경우에, 기판 시트는 어느 정도의 탄성을 가지며 절곡부의 탄성이 회복되기 때문에, 기판 시트(5)가 반사면(5)으로부터 위로 상승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 절곡부는 필요에 따라서 반사면에 결합(융착을 포함함)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절곡부(3)는 재귀반사 시트의 종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러나, 절곡부(3)는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한 반사 시트의 종방향을 따라 불연속적으로 연장되어 있을 수도 있다. 절곡부가 불연속적으로 배열되어 있는 경우에, 베이스부(4)의 일부에만 배열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곡부의 개방 단부는 선형적으로 되어 있지만, 파형, 톱니형, 빗살형 또는 비선형일 수도 있다. 개방 단부가 비선형인 경우에, 반사면의 노출 면적은 최대한 확장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돌출부의 일부의 절곡부의 크기(도 3의 경우에 기판 시트의 폭방향 치수)를 베이스부(4)의 크기보다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곡부는 재귀반사 시트의 한쪽 종방향 단부를 덮을 수도 있고 양쪽 단부를 덮을 수도 있다.
반사체의 사용
본 발명의 반사체는, 예를 들어 자동차의 전조등 등에 의해 비교적 입사각이 높은 빛이 비춰지는 터널 내벽 또는 도로변에 고정된 교통 표지만이나 표식에 특히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반사체는 야간에 반사체가 고정되어 있는 가드레일, 신호판, 표지 등의 가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이러한 물체에 반사체를 제공함으로써, 운전자와 같은 관찰자는 비교적 먼 위치에서도 물체를 인지할 수 있다. 반사체가 상기 물체 중 하나에 고정될 때, 상기 접착제 외에도 나사 나 볼트와 같은 고정 수단이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반사체의 반사면을 청결하게 유지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세척을 수행하는 것이 좋다. 더러워진 표면은 세척 완료시로부터 다음 세척시까지의 기간 중에 청결하게 유지될 수 있는 것이 더욱 좋다. 따라서, 반사면이 티타늄과 같은 경용매를 함유하는 투명 보호 필름으로 덮이거나,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가 소제 부재(7)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 도시한 자가 소제 부재(7)는 얇은 천조각, 필름 등으로 이루어진다. 차량이 지나갈 때 발생하는 바람 또는 자연적인 바람에 의해 이 부재가 펄럭이게 되도록 반사체의 반사면에 자가 소제 부재의 한쪽 단부가 고정된다. 이 얇은 조각이 펄럭일 때, 반사면을 문지르게 되어 자가 소제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반사체(기판 시트 및 재귀반사 시트)의 종방향이 도로의 연장 방향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반사체가 배열된다. 따라서, 얇은 조각은 바람에 의한 압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 수직 방향으로 아래로 늘어뜨려져 있다. 이 경우에, 단부는 폭방향, 즉 중력 방향으로 반사체의 상측 단부에 고정된다. 얇은 조각은 바람직하게는 투명하다. 투명한 얇은 조각은 예를 들어, 투명 필름, 망사, 그물 등, 투명 재료, 적어도 하나의 투시창을 가지는 불투명 재료로 제조된다. 얇은 조각 대신에 로프나 실과 같은 스트링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가 소제 부재(7)는 바람에 의한 압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 베이스부(4)만이 덮이고 돌출부의 표면(반사측 표면)이 덮이지 않도록 배치된다. 본원 발명의 반사체가 반사식 도로 경계 표시 등으로서 사용될 때, 일반적으로 비교적 높은 입사각을 갖는 빛을 반사하고 이 빛을 관찰자가 인지한다. 따라서, 돌출부의 반사측 표면으로부터 반사된 빛은 베이스부보다 더욱 유용하게 가시성을 향상시키는 작용을 한다. 따라서,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자가 소제 부재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자가 소제 부재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곡부와 재귀반사 시트 사이에 단부가 끼워지도록 고정된다. 반사체로부터 자가 소제 부재가 떨어져 나가는 것은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자가 소제 부재의 고정되는 한 단부는 이 부재가 진자처럼 흔들릴 수 있도록 한 지점에서 고정될 수 있다.
자가 소제 부재(7)의 길이[고정된 단부(8)로부터 고정되어 있지 않은 단부(9)까지의 거리]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라인을 형성하도록 돌출부가 배열되는 경우에, 이 거리는 폭방향으로 고정 단부가 위치되는 기판 부분의 단부로부터 중력 방향으로 베이스부에 인접한 돌출부의 라인의 정점(리지 라인)의 하단에 이르는 거리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예와 비교예를 사용하여 본 발명을 더욱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들 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절대로 아니다.
예 1
기판 시트로는 연알루미늄(Toyo Aluminum에 의해 제조된 AlN30H-O)이 사용되었고, 재귀반사 시트로는 3M사에 의해 제조된 프리즘형 반사 시트 No.981이 사용되었다. 연알루미늄은 두께가 0.08 mm이고 인장 강도가 약 8 kg/㎟이다. 반사 시트는 두께가 170 ㎛이고, 파괴 신장률이 200 %이며, 파괴 강도가 4.8 kg/25 mm이다. 재귀반사 시트(1)는 반사 시트의 배면에 제공된 아크릴 감압 접착제층에 의해 기판 시트(2)에 부착되어, 재귀반사 시트와 기판 시트에 의해 구성되는 적층체를 형성한다. 기판 시트와 반사 시트는, 폭방향으로 기판 시트의 양단부에 절곡부(3)가 될 여유부(절곡 가능부)가 형성되도록 서로에 대해 부착된다.
상기 방법으로 얻어진 적층체에는 먼저, 도 2에 개략적으로 도시한 절곡 과정을 행하였다. 도 3에 도시한 절곡 가능부는 재귀반사 시트의 단부와 단부 근처를 덮는 절곡부를 형성하도록 기판 시트의 표면쪽을 향해 절곡되었다. 절곡 과정은 장치(벤더)를 사용하여 행해졌다. 절곡부(3)는 반사 시트와 절곡부 사이에 틈새를 형성하지 않도록 반사 시트의 표면(반사면)에 부착되었다.
다음에, 적층체는 본 발명의 반사체를 완성하기 위해 엠보싱 처리되었다. 엠보싱 처리는 기판 시트에 대해서 그 배면측(반사 시트 표면의 반대쪽 표면)에 엠보싱 도구의 복수의 돌출부를 가압함으로써 행해졌다. 엠보싱 처리는 돌출부가 있는 제1 도구 및, 제1 도구의 돌출부를 수용할 수 있는 오목부가 있는 제2 도구를 사용하여, 약 70 kg/㎟의 엠보싱 압력 하에서 행해졌다. 돌출부 라인과 베이스부를 가지는 기하학적 패턴이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되어 있다. 이 예에서, 돌출부(6)는 기판 시트의 폭방향(즉, 완성된 반사체의 폭방향)을 따라서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는 복수의 라인을 형성하였다. 돌출부는 폭이 25 mm, 피치가 15 mm, 높이가 2.5 mm였다. 반사체는 길이가 50 cm, 폭이 20 cm였다.
예 2
본 발명의 반사체는 절곡부가 제공되어 있지 않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예 1과동일하게 제조되었다.
예 1 및 예 2의 평가
먼저, 예 1 및 예 2에서 얻은 반사체는 지면에 수직인 벽에 고정되었다. 단부에서 반사 시트의 박리가 야기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고압의 세차 기구에 의해 폭방향으로 각각의 반사체의 단부 및 단부 근처에 물이 분무되었다. 물은 분무 노즐과 반사체의 단부 사이에 30 cm의 거리 및 1 분의 분무 시간의 조건하에서 분무되었다. 결과적으로, 육안으로 반사 시트의 단부에서의 박리를 관찰하였다. 예 1에서, 물의 분무전 및 분무 완료후에 반사성 시트에는 아무런 차이점이 발견되지 않았다. 한편, 분무 완료 후에 반사성 시트의 박리가 관찰되었다.
본 발명의 반사체는 예를 들어 터널의 내벽과 같은 물체 표면에 반사체가 고정되는 것을 최소한의 조건으로 한다. 상기 재귀반사 시트의 적어도 하나의 폭방향 단부는 상기 기판 시트로 피복된다. 따라서, 재귀반사 시트의 단부의 박리는 반사체에 일상적인 물세척 작업을 행하는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Claims (3)

  1. 기판 시트와,
    상기 기판 시트의 표면을 덮는 재귀반사 시트
    를 포함하는 반사체로서,
    상기 반사체에는 실질적으로 평탄한 베이스부와, 상기 재귀반사 시트를 향하여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베이스부에 의해 이격되어 있는 복수의 돌출부가 마련되고,
    상기 반사체가 적어도 물체의 표면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시트 중 하나의 에지의 적어도 일부를, 다른 시트의 에지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절곡시킴으로써, 기판 시트와 재귀반사 시트가 서로로부터 박리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인 반사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시트와 재귀반사 시트는 모두 폭방향과 종방향을 갖고, 상기 기판 시트의 폭방향으로의 에지 둘레 부분 중 적어도 한부분은 재귀반사 시트 에지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재귀반사 시트의 측부상에서 절곡되는 것인 반사체.
  3. 제2항에 따른 반사체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a) 수지의 인발 신장성을 갖는 금속으로 제조된 평탄한 기판 시트를 제조하는 단계와,
    (b) 상기 기판 시트의 폭방향 길이보다 짧은 폭방향 길이를 갖고, 상기 기판 시트에 재귀반사 시트가 고정되어 있을 때, 기판 시트의 폭방향 에지 둘레의 부분에 기판 시트의 폭방향을 따라 신장되어 있는 절곡 가능부를 갖도록, 기판 시트의 표면에 재귀반사 시트를 고정시킴으로써 적층체를 형성하는 단계와,
    (c) 상기 재귀반사 시트의 단부 및 그 둘레를 덮도록, 상기 재귀반사 시트로 덮힌 기판 시트의 표면쪽을 향해 상기 절곡 가능부를 절곡시킴으로써 절곡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d) 상기 재귀반사 시트로 덮히지 않은 기판 시트의 표면에 대해 복수의 보스를 구비하는 엠보싱 도구를 접촉시켜 상기 적층체에 엠보싱 처리를 행하여 돌출부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반사체 제조 방법.
KR1020017016562A 1999-06-25 2000-06-22 반사체 및 그 제조 방법 KR1006744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1999-00179721 1999-06-25
JP17972199A JP4222689B2 (ja) 1999-06-25 1999-06-25 反射材および反射材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1139A KR20020021139A (ko) 2002-03-18
KR100674452B1 true KR100674452B1 (ko) 2007-02-01

Family

ID=16070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6562A KR100674452B1 (ko) 1999-06-25 2000-06-22 반사체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6517923B1 (ko)
EP (1) EP1190267B1 (ko)
JP (1) JP4222689B2 (ko)
KR (1) KR100674452B1 (ko)
CN (1) CN1358277A (ko)
AT (1) ATE343802T1 (ko)
AU (1) AU5758400A (ko)
BR (1) BR0011895A (ko)
CA (1) CA2377022A1 (ko)
DE (1) DE60031534D1 (ko)
MX (1) MXPA01013433A (ko)
NO (1) NO20016287L (ko)
WO (1) WO200100117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54777A1 (ko) * 2019-09-19 2021-03-25 미래나노텍(주) 재귀반사 계수의 향상을 위한 패턴을 포함하는 재귀 반사 시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16029A (ja) * 2002-09-24 2004-04-15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反射性物品
US20040146677A1 (en) * 2003-01-24 2004-07-2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lexible reflective sleeve
KR100612979B1 (ko) * 2004-08-17 2006-08-14 주식회사 엘지화학 평활하지 않은 굴곡면에 안착성이 우수한 역반사 시트 및그 제조방법
US7121155B2 (en) * 2004-12-29 2006-10-1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ressure indicating structure
BRPI0500848A (pt) 2005-01-10 2006-09-05 Avery Dennison Do Brasil Ltda filme, substrato e uso do filme
JP4705825B2 (ja) * 2005-09-06 2011-06-22 株式会社昭和化成 箱型文字看板
US20070237578A1 (en) * 2006-03-31 2007-10-1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lexible sleeve
US8224189B1 (en) * 2007-02-02 2012-07-17 Sunlight Photonics Inc. Retro-directive target for free-space optical communication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WO2008126109A1 (en) * 2007-04-11 2008-10-23 Irc International Reflective Company S.P.A. A structured element for horizontal and/or lateral road signals
WO2008126110A1 (en) * 2007-04-11 2008-10-23 Irc International Reflective Company S.P.A. A structured element for lateral road signals
JP5161538B2 (ja) * 2007-10-31 2013-03-13 帝人ファイバー株式会社 防風雪シート
ITMO20090241A1 (it) * 2009-10-02 2011-04-03 Giorgio Corradi Elemento strutturato per segnaletica stradale orizzontale e/o laterale.
ITMO20100212A1 (it) * 2010-07-23 2012-01-24 Giorgio Corradi Elemento strutturato per segnaletica laterale con strato di ancoraggio.
GB201016748D0 (en) * 2010-10-05 2010-11-17 Univ Leeds Reflective substrate
CN102967892B (zh) * 2011-08-30 2015-12-02 原相科技股份有限公司 用于光学式触控装置的反光镜及使用该反光镜的光学式触控装置
CN105277176B (zh) * 2015-09-18 2017-03-08 北京林业大学 Ccd组合全站仪摄影基站摄影测量方法
CN113611721A (zh) 2016-08-26 2021-11-05 安德鲁·西蒙·菲洛 调制逆向反射压电多层膜
KR101861984B1 (ko) 2016-08-31 2018-05-28 유선진 플러그를 눌러서 뽑는 콘센트
US10221530B2 (en) * 2017-06-12 2019-03-05 Driskell Holdings, LLC Directional surface marking safety and guidance devices and systems
US10697138B2 (en) * 2017-06-12 2020-06-30 Driskell Holdings, LLC Directional surface marking safety and guidance devices and systems
KR20210033924A (ko) * 2019-09-19 2021-03-29 미래나노텍(주) 재귀반사 계수의 향상을 위한 패턴을 포함하는 재귀 반사 시트
CN112108834A (zh) * 2020-07-29 2020-12-22 苏州正赞轨道交通科技有限公司 一种空心开口杆件的生产方法
CN113356105A (zh) * 2021-06-24 2021-09-07 浙江数智交院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柔性线形轮廓标及加工工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12867B2 (ja) * 2006-03-29 2011-06-29 富士通株式会社 通信装置および端末
JP5775835B2 (ja) * 2012-02-22 2015-09-09 安立計器株式会社 ケースの防滴構造と携帯可能な温度計測器用ケース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12867A (en) 1983-03-09 1987-12-15 Santa Barbara Research Center Retroreflector
JPS6241804A (ja) 1985-08-20 1987-02-23 日本電気株式会社 無人車の誘導路
GB8707219D0 (en) * 1987-03-26 1987-04-29 Kt Technologies Inc Cable shielding tape
AU8067191A (en) 1990-06-20 1992-01-07 Giorgio Corradi Marker strip
US5318822A (en) * 1992-09-11 1994-06-07 Davidson Textron Inc. Hollow core instrument panel
US5670264A (en) 1994-05-10 1997-09-23 Shertech, Inc. Thermal barrier
GB2297906B (en) 1995-02-14 1999-03-17 Artlines Ltd Framing method and framing means
ZA965382B (en) * 1995-06-29 1997-12-25 Minnesota Mining & Mfg Wet reflective marking material.
KR19990028471A (ko) 1995-06-29 1999-04-15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습식 역반사 표지 재료
US6451408B1 (en) 1995-06-29 2002-09-1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Retroreflective article
US5775835A (en) 1995-10-26 1998-07-07 Szekely; Kenneth E. J. Embedment tiles for pedestrian platforms and walkways
AU725377B2 (en) * 1997-03-31 2000-10-12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Wide incident angle reflective plate
JPH10333616A (ja) 1997-03-31 1998-12-18 Minnesota Mining & Mfg Co <3M> 広入射角反射プレ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GB9706886D0 (en) * 1997-04-04 1997-05-21 Houghton Harry V Three dimensional traffic safety products
JP2001081735A (ja) 1999-09-03 2001-03-27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清浄装置及び反射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12867B2 (ja) * 2006-03-29 2011-06-29 富士通株式会社 通信装置および端末
JP5775835B2 (ja) * 2012-02-22 2015-09-09 安立計器株式会社 ケースの防滴構造と携帯可能な温度計測器用ケース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04712867
05775835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54777A1 (ko) * 2019-09-19 2021-03-25 미래나노텍(주) 재귀반사 계수의 향상을 위한 패턴을 포함하는 재귀 반사 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1003324A (ja) 2001-01-09
NO20016287D0 (no) 2001-12-20
WO2001001172A1 (en) 2001-01-04
DE60031534D1 (de) 2006-12-07
JP4222689B2 (ja) 2009-02-12
NO20016287L (no) 2002-02-25
US6517923B1 (en) 2003-02-11
EP1190267A1 (en) 2002-03-27
CA2377022A1 (en) 2001-01-04
AU5758400A (en) 2001-01-31
KR20020021139A (ko) 2002-03-18
MXPA01013433A (es) 2002-07-22
ATE343802T1 (de) 2006-11-15
CN1358277A (zh) 2002-07-10
BR0011895A (pt) 2002-04-02
EP1190267B1 (en) 2006-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4452B1 (ko) 반사체 및 그 제조 방법
AU725377B2 (en) Wide incident angle reflective plate
EP2280296B1 (en) Retroreflective film
JP4225897B2 (ja) 再帰反射装置
EP1250611A2 (en) Reflector,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reflector, and internal-lighting display device
US8231234B2 (en) Metallized retroreflective sheeting with increased daytime brightness
JP2009521720A (ja) バックリット(字光式)ナンバープレート作成のための半透明の再帰反射シート及びその使用
JPS6238681B2 (ko)
JPH05107406A (ja) 逆反射シートの製法
US7314284B2 (en) Retroreflection sheeting and film for use in retroreflection sheeting
JP2001081737A (ja) 反射材および視線誘導構造
JPH10333616A (ja) 広入射角反射プレ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950255B2 (ja) 光反射材の製造法
JP2018060134A (ja) 変位可視化センサー
KR102683318B1 (ko) 부착방지성 및 정보시인성을 갖는 부착방지필름 및 그 안내표지시트
JP2001081735A (ja) 清浄装置及び反射装置
KR20150143082A (ko) 원형 피착물의 반사지 부착구조 및 방법
MXPA99008652A (en) Wide incident angle reflective plate
JP2006030759A (ja) 広入射角反射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633500Y2 (ja) 電柱用反射貼紙防止標識板
JP3523946B2 (ja) 蓄光反射材及び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使用方法
KR20050111503A (ko) 재귀반사도를 증대시킨 도로표지병
JP2001281428A (ja) 反射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7023746A (ja) シート状表示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