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1503A - 재귀반사도를 증대시킨 도로표지병 - Google Patents

재귀반사도를 증대시킨 도로표지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1503A
KR20050111503A KR1020040037597A KR20040037597A KR20050111503A KR 20050111503 A KR20050111503 A KR 20050111503A KR 1020040037597 A KR1020040037597 A KR 1020040037597A KR 20040037597 A KR20040037597 A KR 20040037597A KR 20050111503 A KR20050111503 A KR 200501115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sign
reflector
reflecting
synthetic resin
increa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7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은영
Original Assignee
오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은영 filed Critical 오은영
Priority to KR10200400375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11503A/ko
Publication of KR20050111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150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2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 A44B11/0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with clamping devices
    • A44B11/12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with clamping devices turnable clamp
    • A44B1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with clamping devices turnable clamp with strap tightening means

Landscapes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의 차선, 안전표시재의 일종으로,
중앙선이나 장애물의 표식이 필요한 위치에 설치하여,
일반적인 교통의 소통에 안전을 도모함은 물론이거니와 야간, 우천시 또는 안개로 인한 시계불량의 상황에서도 도로의 상태를 정확히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사고로부터 인명을 보호할 수 있는 수단으로 제공하기 위하여 착안된 도로표지병에 대한 발명이다. 또한 불의의 사고로 도로표지병을 자동차가 침범하였을 경우에도 자발적으로 복원성을 가지므로써 접촉과 동시에 휘어졌다가 다시 복귀되는 구조로 제작된 것이므로 파손에 따른 재설치에 투자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내용의 발명이다.

Description

재귀반사도를 증대시킨 도로표지병{omitted}
본 발명은 도로의 중앙선, 가드레일, 중앙분리대, 도로표지판, 안전지대, 도로표지병, 장애물의 표식 등 교통과 통행의 안전에 관계 되는 장소에 설치하는 반사체의 일종으로,
일반적인 교통의 소통에 안전을 도모함은 물론이거니와 야간, 우천시 또는 안개로 인한 시계불량의 상황에서도 도로의 상태를 정확히 인식할 수 있도록 하며, 일반산업과 기타 건설현장에서 위험표식의 수단으로 사용하므로써, 발생을 예견할 수 있는 다양한 교통사고와 산업재해로부터 인명을 보호할 수 있는 수단으로 제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이다.
국내 지형의 특성상 빈번히 출현하는 급경사나 커브에서 또는 원거리에서 도로의 상태를 명확히 식별할 수 있도록 하여 사고의 가능성을 줄이고, 좁은 도로 상황에서 도로 상황에 대한 식별력을 높여주며,
운전상황에서 돌출되는 위험 장애물을 원거리에서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공지된 종래의 기술이 제공하는 도로표지병에 있어서는, 그 재귀반사의 정도가 원거리 식별력이 떨어져 운전자가 용이하게 도로의 상태를 파악하는데 역부족이었으며, 작은 충격에도 파손되어 재설치해야하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의 문제점인 강력한 재귀반사력과 내구성을 갖춘 도로표지병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에서는,
반사체의 구성요소인 반사부(도1)를 형성함에 있어서,
투명합성수지를 원료로 하여 다양한 반사각을 제공하는 반사부의 구성요소인 반사편을 구성하기 위하여 사출성형, 액상원료를 금형에 충진하고 경화하여 성형, 또는 합성수지를 두꺼운 판상 또는 시트형의 유연성이 있는 박판형으로 제조하여 요철이 형성된 롤러로 압축하여 반사편을 성형하므로써 제조하고,
상기의 방법으로 제조한 반사부의 표면을 보호하기 위한 코팅층과,
상기 반사부의 반사기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ㄱ)상기 반사편에 수은, 크롬,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등을 포함한 반사기능을 갖는 금속을 증착, 형광도료나 야광페인트 도포하여 보조반사층을 형성하거나, (ㄴ)상기 보조 반사층을 제조하는 원료를 판상의 재료에 증착하거나 도포하여 제조한 반사시트를 상기 반사부의 이면에 접착하여 보조반사층으로 구성한다.
또한 상술한 (ㄱ)방법으로 제작한 보조반사층에 있어서,
상기 보조반사층을 보호하고, 반사부에 형성된 요철로 인해 형성된 공극을 합성수지로 충진하므로써,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에 대한 강도를 증대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또 기온의 변화에 따른 온도차로 공극에 생성되는 습기로 인한 보조반사층의 박리와 수분으로 인한 반사도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충진부를 구성한다.
(그러나 상기에서 원하는 반사도의 정도와 제품의 강도를 고려하여, 보조반사층과 충진층을 배제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로표지병을 제조하는 실시예(도-A)에 있어서 다양한 색상의 시트형의 반사부를 몸체부에 접합하여 제조한 도로표지병을 제조할 경우엔 반사부의 이면에 접착부를 구성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가장 특징적으로 측면 충격시 도로표지병이 휘어짐의 기능을 발휘하므로써 충격에 대해 표지병의 파손을 막을 수 있는 구조로 제조되는데,
표지병의 하단에 합성수지나 고무의 원료를 이용하여 자바라식 구조물이나 기둥형의 합성수지를 결합하므로써 외부의 충격에 몸체를 파손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특징적인 구조로 구성하여, 반사기능을 증대시킴과 더불어 내구성을 강화한 도로표지병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반사부를 그림으로 나타낸 것이다.
상기에서의 반사부의 표면은 요철이 없는 평면이며,
이면에 다수의 반사편들이 형성되어 있는 요철형의 구조로 되어 있다.
반사부는 빛의 입사각도와 거리에 따른 다양한 반사도와 반사각을 갖는 다양한 모양과 크기로 구성된 반사편들의 집합체로 구성하여 용도에 따라 바람직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반사편을 선택하게 된다.
그러나 도5의 4번 6번 경우에는 반사편의 표지병의 몸체부에 형성하였으므로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어있다.
상기의 모든 경우에서 입사한 빛을 반사하는 반사체의 구성요소인 반사면은 평면, 오목면, 볼록면 등으로 자유로이 구성할 수 있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인 반사편의 다양한 구성을 이해하기 쉽도록 나타낸 분해도이다.
그러나 상기 도면에서 나타낸 구조의 반사편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반사편를 선택하여 반사부를 제조할 수 있다.
반사부 제조과정에서 원하는 색상의 안료를 투입한 투명합성수지를 원료로 하여 다양한 색상의 반사부를 제조할 수 있으며, 다양한 반사각을 제공하는 다양한 형태의 반사편을 갖는 반사부를 구성하기 위하여 성형한 반사편(도2A-b, )와,
상기 반사부의 표면을 보호하기 위한 코팅층(도2A-a, )과,
상기 반사부의 반사기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상기 반사편에 수은, 크롬,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등의 반사기능을 갖는 금속을 증착하거나, 야광, 형광도료를 도포한 보조반사층(도2A-c)을 구성하거나, 보조반사층의 또 다른 구조로써 상기의 보조반사층의 원료를 박판에 도포한 시트형 보조반사층(도2B-c)을 반사부의 이면에 접합한다.
상기 보조반사층을 보호하고, 반사편을 성형하므로써 형성된 반사부 이면의 요철을 합성수지로 충진하므로써 구성한 충진부(도2A-d),
이는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으로 인한 반사부의 균열과 기온의 변화에 따른 온도차로 생성되는 습기로 인한 보조반사층의 박리와 수분으로 인한 반사도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에 따라 구분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A-a, )코팅층에 있어서는,
반사부의 표면에 생기는 오염과 스크레치 등으로부터 표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UV코팅이나 PET, 광촉매를 사용하여 코팅한다.
반사부(도1)는 투명합성수지를 원료로 하여 다양한 반사각을 제공하는 반사편(도2A-c, )이 구비된 성형한 합성수지 성형물이다.
반사부를 구성하기 위한 투명합성수지 원료로는 PET, 우레탄, 아크릴, PVC, ABS등을 포함한 합성수지 원료를 사용하게 되며,
반사부의 특성상 다수의 반사편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이를 구성하기 위하여 미리 제작한 금형을 이용하여 성형하거나 반사편 형태의 요철이 형성된 로울러를 사용한다.
상기 반사편은 다양한 형태의 반사면으로 구성되어있으며,
상기 반사면의 형태는 평면 또는 곡면 중 어떤 형태로든 구성이 가능하며,
상기에서 평면이란 삼각형 이상의 도형으로 이루어진 평면을 모두 포함하며,
곡면이라 하면, 상기 평면도형의 변형으로 상기 반사부를 이루는 도형에 오목이나 볼록형으로 굴곡을 가한 것이며, 또는 여기에 구형, 반구형(도10), 오목형의 곡면을 이루는 반사면을 포함한다(도3).
(도4-A)상기 투명합성수지원료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원하는 색상의 안료를 첨가하여 더욱 다양한 색상의 반사부를 제조할 수 있으며, 다양한 색상의 반사부로 구성된 도로표지병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때는 다른 색상의 반사부를 각각의 공정으로 제조한 후에 상호 결합하여 구성하므로써 가능하다.(도4-A에서 a,b,c는 각각 이색의 반사부로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시트형의 반사부를 이용하여 표지병을 제공하고자 할 때에는 시트형반사부의 이면에 접착부를 추가로 형성하여 제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도2A-c,도2B-c)는 보조반사층으로서,
반사편의 반사면에 주사되는 빛의 반사도율 높이기 위하여
상기 반사편에 수은, 크롬,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등을 포함하는 반사기능을 갖는 금속을 증착하거나, 야광, 형광도료를 도포하는 방법과, 수은, 크롬,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등의 반사기능을 갖는 금속, 야광, 형광도료를 박판에 증착 또는 도포한 시트형의 보조반사층이다.
이를 반사부의 이면에 결합하여 보조반사층으로 사용한다.
(도2B-c)는 시트형의 보조반사층이며, 이를 시트형으로 제조된 반사부의 이면에, 접합하고, 상기 보조반사층이 접합된 시트형의 반사부를 도로표지병의 형태로 (도4-A) 등과 같은 방법으로 도로표지병의 몸체부에 접합하여 도로표지병을 구성한다. (도2A-d)는 상기(도2A-c)의 보조반사층을 보호하고, 반사편을 성형할 때 형성된 반사부 이면의 요철을 합성수지로 충진하기 위한 목적으로 구성한 충진부이다.
이는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으로 인한 반사부의 균열과 기온의 변화에 따른 온도차로 생성되는 습기로 인한 보조반사층의 박리와 수분으로 인한 반사도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충진부는 (도5-1)의 형태로 제작된 도로표지병의 반사부에 합성수지나 고무원료를 내부 공간에 충진하므로써 형성하거나, 도5의 기타의 구조에서 나타난 것처럼 표지병의 몸체부에 충진부를 연결하여 반사부의 내구성을 보조할 수 있도록 제조하므로써 (도5의1)에서의 충진부의 역할을 대신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구성한 반사부를 몸체부에 결합하므로써 도로표지병을 완성하게 되는데, 몸체부를 구성하는 방법과 구조는 이하 설명할 다양한 구조 중 바람직한 방법으로 일 선택하여 구성할 수 있다.
특히(도4 A,B,C)는 본 발명에 따른 몸체부 하단의 자바라식과 기둥식 구조의 복원부를 가짐으로써,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휘어져 표지병의 파손을 막는 효과가 있다. 이 부분의 구성요소 간에는 서로 호환이 가능하며, 용도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여 도5에서 설명한 다양한 구조의 반사부와 적절히 결합하여 제조한다.
도로표지병의 몸체부 하단에 자바라식과 기둥식 복원부(도4-A,B,C)를 구성하기 위하여,
합성수지나 고무원료를 이용하여 이를 성형하고,
이를 반사부와 접합하여 구성하거나(도5-3),
반사부까지 연결된 길이로 동시에 성형하는 방법으로 구성한다(도5-1,2,4,5,6). 그러나 이 공정에는 본 발명에 따른 표지병을 제조하는데 더욱 바람직한 결과를 유출해 낼 수 있는 작업의 공정과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선택하여 제조함이 바람직하다.
(도6)에서와 같이, 상기 자바라식과 기둥식의 복원부는 자동차 등의 측면의 충격시에 휨현상을 발휘하므로써 상단의 반사부가 자동차의 아래로 휘어들어 눕도록 하였으므로 쉽게 파손되지 않아 설치비를 절감하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이하, 상기에서 설명한 반사부의 반사편에 관해 이하에서 자세히 다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라 바람직한 반사도를 발휘하는 반사편을 제공하고자 함에 있어서,
반사편의 반사면의 모양과 반사각도가 동일한 단일 종의 반사편을 사용하여, 상기 반사면의 배치방향에만 변화를 주어 규칙적(반복 등)으로 배열하거나, 반사면의 모양, 반사각도가 동일하지 않은 다수 종의 이형 반사편들을 반사면의 모양에 따라 또는 반사각도에 따라, 또는 반사면의 배치방향에 따라 규칙성(반복 등)을 부여하여 배열하거나, 또는 특정한 형식없이 불규칙적으로 혼합하여 분포되도록 반사부를 구성한다.
이는 반사부에 요구되는 반사도에 따라 , 혹은 반사부에 요구되는 심미적인 요구에 따라 자유롭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반사면이 이루는 각도나, 반사면의 형태와 크기는 일정거리에서 빛의 재귀반사율이 변화하게 되므로 반사부의 용도에 따라 바람직한 반사도를 제공할 수 있는 반사편의 형태를 선정하여 적절히 배치하므로써 가장 바람직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도로표지병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일반 시내도로의 경우에는 다수의 자동차가 동시에 운행하며,
전조등을 제외한 가로등과 간판을 포함하는 다수의 광원이 확보되는 상황이므로, 당 운행차량의 전조등 불빛의 광원을 기준으로 원거리상에 설치된 도로표지병이라도 앞 선 운행차량이나 기타 광원에 의해 원활히 재귀반사되어 도로상태를 파악할 수 있기에 충분한 시계확보가 가능하나,
국도 등의 차량의 운행이 극히 제한된 경우의 도로에서는 당 차량의 전조등 만이 유일한 광원으로 작용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차량의 전조등 불 빛만으로는 일정거리 내의 도로표지병만이 인식되게 된다. 그리므로 도로의 상태를 명확히 판단 할 수있기에 충분한 시계확보가 되지 않음으로 위험한 환경에 처하게 된다.
그러므로 이 때는 상기와 같은 위험상황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하여, 각기 다른 입사각과 반사각을 갖는 다수 종의 반사면으로 구성된 반사편을 혼용하여 반사부를 구성한다.
상기 도1의 반사부에 나타난 반사편의 배열형태는 본 발명을 알기 쉽게 설명하기 위하여 시각적으로 달리 인식되는 반산편들을 단순한 그림으로 규칙성있게 나열하여 나타낸 것에 불과하며,
상기 반사편의 구조와 형태는 다양한 형태의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도5를 간단히 설명한다.
도5는 반사부와 몸체부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그림들로서,
도5의 1은 반사부에 반사편을 구성하고, 보조반사층을 증착, 도포하여, 기둥의 형태로 제조된 몸체부에 씌워서 접합하는 방법의 구조이며,
도5의 2는 반사부에는 반사편만을 구성하고, 몸체부에 보조반사층을 구성하여 상호결합시키는 방법의 구조이며,
도5의 3은 반사부에 반사편을 구성하고, 보조반사층을 구성하며, 이에 충진부를 추가로 구성하여, 몸체부에 접합하는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5의 4는 반사부는 단순히 원하는 색상의 투명합성수지원료로 투명하게 제조하고(반사체 없음), 몸체부에 반사편을 성형하여, 상호간에 결합시키는 구조를 나타내었으며, 도5의 5는 반사부의 내부에 반사편만을 형성하고, 이를 도면과 같은 형태의 몸체부와 결합하는 구조를 나타내었다.
도5의 6은 반사부는 단순히 원하는 색상의 투명합성수지원료로 투명하게 제조하고(반사편 없음), 몸체부에 반사편을 성형하며, 몸체부 반사편 상부에 증착하여 보조반사부를 형성하고, 반사부와 몸체부를 상호간에 결합한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이 때는 반사체의 상부에 형성할 보조반사층을 투명합성수지원료로 도포하여도 반사도가 상당한 수준으로 증가하게 된다.)
상기에 설명한 모든 도로표지병의 경우에 몸체부 하단에 구성된 복원부는 자바라식과 기둥식 중 임의로 선택하여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도로표지병 사용하므로써,
야간 주행시, 안개시, 우천시, 경사, 커브지역 등 운전자의 시계확보가 난해한 환경에서도 도로의 상태를 명확히 파악할 수 있어, 차선 등의 도로 상태를 파악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는 우발적인 사고를 예방하고,
산업현장이나 공사현장에서 위험의 표식을 위한 수단으로 사용하므로써 산업재해를 줄일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도로표지병을 사용하므로써 파손으로 인한 재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반사편을 나타낸 그림.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반사체의 일실시예의 단면도.
도3은 다양한 반사편의 투시도와 구조.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 대표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들의 다양한 결합형태.

Claims (12)

  1. 광원으로부터 주사되는 불빛을 반사하는 도로표지병에 있어서,
    불빛을 반사하기 위하여 평면 또는 곡면으로 이루어진 반사면을 구비한 요철형태의 다수의 반사편으로 구성된 다양한 색상의 투명합성수지 반사부와,
    도로표지병의 하단에 외부충격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으로부터 내구성을 발휘하기 위하여 휨 기능을 구비한 합성수지 또는 고무를 원료로한 복원부로 구성된 재귀반사도를 증대시킨 도로표지병.
  2. 상기 청구항1에 있어서,
    반사부의 표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UV코팅이나 PET, 광촉매를 사용하여 코팅하여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귀반사도를 증대시킨 도로표지병.
  3. 상기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투명합성수지 반사부에 있어서,
    이를 구성하기 위하여 미리 제작한 금형을 이용하여 합성수지원료를 투입하여 성형하거나 미리 제작된 합성수지시트에 반사편의 모양이 요철로 형성된 로울러로 압축하여 반사부를 제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귀반사도를 증대시킨 도로표지병.
  4. 상기 청구항1에서,
    반사부를 구성하기 위하여 PET, 우레탄, 아크릴, PVC, ABS등을 포함한 합성수지 원료 중 일종을 원료로 한 것을 특징으르 하는 재귀반사도를 증대시킨 도로표지병.
  5.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반사면의 형태에 있어서는, 평면 또는 곡면 중 어떤 형태로든 구성이 가능하며, 상기에서 평면이란 삼각형 이상의 도형으로 이루어진 평면을 모두 포함하며, 곡면이라 하면, 상기 평면도형의 변형으로 상기 반사부를 이루는 도형에 오목이나 볼록형으로 굴곡을 가한 것이며, 그리고 구형, 반구형(도10), 오목형의 곡면을 이루는 반사면, 또 상기의 다양한 형태의 반사편들을 장방형으로 길게 구성한 것들 중 하나 이상으로 반사편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귀반사도를 증대시킨 도로표지병.
  6. 상기 청구항1에 있어서,
    복원부에 있어서는,
    합성수지나 고무 또는 복원력을 일으킬 수 있는 탄력성을 제공할 수 있는 원료를 가공하여 제작된 자바라형과 기둥형의 복원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귀반사도를 증대시킨 도로표지병.
  7. 상기 청구항1에 있어서,
    (도5-4,6)과 같이, 반사부를 투명합성수지로 구성하고, 반사체를 몸체부의 표면에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귀반사도를 증대시킨 도로표지병.
  8. 상기 청구항 1에 있어서,
    반사편에 수은, 크롬,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니켈, Rh 등을 포함하는 반사기능을 갖는 금속, 야광, 형광도료 중 택일 하여 증착, 화학적도금, ion plating, 도포, deeping 등의 적절한 방법을 이용하여 보조반사층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귀반사도를 증대시킨 도로표지병.
  9. 청구항1에 있어서,
    수은, 크롬,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니켈, Rh 등을 포함하는 반사기능을 갖는 금속, 야광, 형광도료 중 택일 하여 박판에 증착, 화학적도금, ion plating, 도포, deeping 등의 적절한 방법을 선택하여 구성한 시트형의 보조반사층을 반사부의 이면에 추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귀반사도를 증대시킨 도로표지병.
  10.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의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에서 보호하기 위하여 반사부의 내부에 합성수지나 고무를 원료로 하여 몸체부의 하단부와 연결하여 제조(도5)해서 반사부와 결합시에 반사부의 내부에 삽입되도록한 구조로 충진부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귀반사도를 증대시킨 도로표지병.
  11. 청구항10에 있어서,
    보조반사층을 상기 몸체부에 연결하여 구성된 충진부(도5-2)에 반사기능을 갖는 금속, 형광도료, 야광도료, 투명합성수지 중 일 종을 증착 또는 도포하는 방법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귀반사도를 증대시킨 도로표지병.
  12. 청구항1에 있어서,
    다양한 색상으로 제작한 시트형의 반사부를 도로표지병의 몸체부에 접합하여 2색 이상을 나타내는 반사부로 구성한 것(도4-A)을 특징으로 하는 재귀반사도를 증대시킨 도로표지병.
KR1020040037597A 2004-05-20 2004-05-20 재귀반사도를 증대시킨 도로표지병 KR200501115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7597A KR20050111503A (ko) 2004-05-20 2004-05-20 재귀반사도를 증대시킨 도로표지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7597A KR20050111503A (ko) 2004-05-20 2004-05-20 재귀반사도를 증대시킨 도로표지병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4760U Division KR200359988Y1 (ko) 2004-05-22 2004-05-22 재귀반사도를 증대시킨 도로표지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1503A true KR20050111503A (ko) 2005-11-25

Family

ID=37286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7597A KR20050111503A (ko) 2004-05-20 2004-05-20 재귀반사도를 증대시킨 도로표지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11150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1196B1 (ko) * 2015-12-22 2016-11-01 김덕수 플렉시블 led 표지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1196B1 (ko) * 2015-12-22 2016-11-01 김덕수 플렉시블 led 표지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055374A1 (en) Retroflective pavement markers for wet weather
KR101293435B1 (ko) 도로표지병
KR101160583B1 (ko) 반사체 및 이를 포함하는 도로 표지병
US5104256A (en) Low profile pavement marker
KR200359988Y1 (ko) 재귀반사도를 증대시킨 도로표지병
KR20050122159A (ko) 재귀반사율을 증대시킨 합성수지반사체
US7905611B1 (en) Vehicle having underside reflector
CN101173506A (zh) 警示装置
KR20050111503A (ko) 재귀반사도를 증대시킨 도로표지병
JP4099318B2 (ja) 支柱貼付用反射体
JP4321377B2 (ja) 道路用視線誘導標識
US20140144370A1 (en) Reflector for marking a road surfa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2001081737A (ja) 反射材および視線誘導構造
JP3129180U (ja) 警告装置
JP2009264049A (ja) 立体矢形付標識
KR101894586B1 (ko) 도로의 노면 표지
CN200988948Y (zh) 警示装置
KR200412731Y1 (ko) 자동차 번호판용 반사밴드
JP2006299661A (ja) 光再帰性反射標識物
KR100382744B1 (ko) 도로표지병
KR101239443B1 (ko) 표지병
CN2721700Y (zh) 全方位警示装置
KR200271330Y1 (ko) 표지병몸체가 삽입된 도로안전표지병
KR20060042856A (ko) 제2반사부를 구성하여 재귀반사율을 증대시킨합성수지반사체
JP2923287B1 (ja) 道路標識用光反射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