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3435B1 - 도로표지병 - Google Patents

도로표지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3435B1
KR101293435B1 KR1020110019257A KR20110019257A KR101293435B1 KR 101293435 B1 KR101293435 B1 KR 101293435B1 KR 1020110019257 A KR1020110019257 A KR 1020110019257A KR 20110019257 A KR20110019257 A KR 20110019257A KR 101293435 B1 KR101293435 B1 KR 1012934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sign
main body
sign bottle
reflector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9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2056A (ko
Inventor
박병수
Original Assignee
박병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수 filed Critical 박병수
Publication of KR201101220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20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34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34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53Low discrete bodies, e.g. marking blocks, studs or flexible vehicle-striking members
    • E01F9/559Low discrete bodies, e.g. marking blocks, studs or flexible vehicle-striking members illumin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29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specially adapted for signalling by sound or vibrations, e.g. rumble strips; specially adapted for enforcing reduced speed, e.g. speed bump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76Traffic lines
    • E01F9/582Traffic lines illuminated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표지병에 관한 것으로서, 외부의 충격에도 반사체 및 축광체가 탈락되지 않도록 구성하여 내구성이 우수하며 또한 야간 및 우천 시에도 보행자 및 운전자가 표지병을 선명하게 확인할 수 있는 구조로 설계한 도로표지병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도로표지병은 둘레에 경사면들이 형성되고 상면은 하면보다 좁은 면적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면에 고정된 축광체와, 상기 경사면에 고정된 반사체 및, 상기 본체의 상면과 경사면들을 덮는 투명한 투명부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로표지병{Road Eye}
본 발명은 도로표지병에 관한 것으로서, 외부의 충격에도 반사체 및 축광체가 탈락되지 않도록 내구성이 우수하게 구성하였으며 또한 야간 및 우천 시에도 보행자 및 운전자가 도로표지병을 선명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종래의 도로표지병을 도로의 표면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도로에 구멍을 형성하고, 도로표지병의 기둥에 장착된 앵커를 구멍에 박아 도로표지병을 설치한다.
종래의 도로표지병은 차량의 충격을 견딜 수 있도록 다이캐스팅 재질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도로표지병이 다이캐스팅 재질로 구성됨에 따라 차량의 바퀴와 마찰이 크게 발생하지 않고 도로표지병의 상면에서 바퀴가 미끄러지는 현상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종래의 도로표지병은 그 높이를 3~5cm로 높게 구성한다. 높게 구성된 도로표지병을 차량이 넘어갈 때에 부딪히는 순간 충격이 운전자에게 전달됨으로써, 운전자는 도로표지병이 장착된 차선에 들어섰음을 인식한다.
하지만, 높이가 높은 종래의 도로표지병을 차량이 넘어가면서 발생한 강한 순간충격은 초보운전자에게 불안감을 느끼게 하며, 도로표지병을 피하기 위해 급선회함에 따라 2차 사고발생의 위험이 있다. 더불어 충격에 따른 바퀴의 파손을 걱정하게 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도로표지병은 차량에 충격을 가해 운전자가 인식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2차 사고발생에 대한 위험을 갖고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도로표지병에 있어서, 도로의 주행방향과 마주하는 경사진 측면에 반사체가 부착되거나 또는 발광체가 장착되어 도로를 따라 주행하는 차량의 운전자가 반사체 또는 발광체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차선을 인식할 수 있게 구성된다. 이 경우 도로의 측방에서 진입하는 차량의 경우에는 도로표지병의 반사체 또는 발광체를 인식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반사체가 부착된 도로표지병의 경우에 반사체에 이물질이 묻게 되면 반사체의 기능을 상실하게 되고, 발광체의 경우 자체 고장에 의해 발광체가 발광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 외에도 도로표지병을 도로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지주를 삽입할 수 있는 약 5cm 깊이의 구멍을 천공기로 도로 표면에 형성하여야 한다. 따라서 도로표지병의 설치 전에 전작업에 소요되는 작업량이 많으며 작업시간 또한 길어지고 도로를 파손시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외부 충격에도 반사체 및 축광체가 이탈하지 않도록 일체로 코팅한 도로표지병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야간 및 우천 시에도 주행하는 차량 운전자 및 보행자는 물론 다른 방향에 위치한 차량 운전자 및 보행자들도 반사 또는 발광하는 빛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구조로 설계된 도로표지병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과 접하였을 때에 높이가 낮아 큰 충격이 발생하지 않지만 상면은 차량 바퀴와의 마찰이 크게 발생하도록 구성하여 도로표지병을 넘어가는 차량의 운전자가 차선변경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게 구성한 도로표지병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도로표지병은 둘레에 경사면들이 형성되고 상면은 하면보다 좁은 면적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면에 위치한 축광체와, 상기 경사면에 위치한 반사체 및, 상기 본체의 상면과 경사면들을 덮은 상태로 코팅된 투명부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투명부의 상면에는 돌기들이 정렬되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돌기들은 피라미드 형태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는 4개의 경사면을 갖는 사각구조로서, 대응하는 두 경사면에는 반사체가 위치하고, 다른 두 경사면에는 손잡이 홈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투명부에는 상기 경사면의 손잡이 홈과 대응하는 손잡이 홈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면에는 오목부 패턴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의 상면에는 제1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홈의 바닥에는 오목부 패턴이 형성되며, 상기 제1홈에 상기 축광체가 위치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경사면에는 제2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홈에 반사체가 위치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투명부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질이다.
또한, 본 발명의 도로표지병은 둘레에 경사면들이 형성되고 상면은 하면보다 좁은 면적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면에 위치한 축광패드와, 상기 축광패드의 상면에 형성된 돌기들과, 상기 경사면에 위치한 반사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의 저면에는 오목부 패턴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도로표지병은 둘레에 경사면들이 형성되고 상면은 하면보다 좁은 면적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면에 위치한 축광패드와, 상기 축광패드의 상면에 형성된 돌기들과, 상기 경사면에 위치한 반사체 및, 상기 본체에는 경사면과 다른 경사면을 연통하는 채널과, 상기 채널의 양단부 중 어느 한 쪽 단부에 형성된 오리피스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채널은 상기 본체에 대해 비스듬하게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오리피스가 형성된 채널의 한 쪽 단부는 차량 진행방향에 있어 다른 쪽 단부에 비해 전방에 위치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도로표지병은 본체의 외측면에 반사체 및 축광체가 부착되고, 그 외부를 투명한 엔지니어링플라스틱으로 코팅됨으로써, 차량과 부딪혀 강한 충격이 전달되더라도 반사체 및 축광체가 떨어져 이탈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반사체 및 축광체가 이탈되지 않고 부착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지속적으로 도로표지병의 목적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도로표지병은 반사 또는 방출되는 빛을 다방향으로 굴절시킴으로써 여러 방향에 위치한 운전자 및 보행자가 용이하게 도로표지병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도로표지병은 높이를 낮춰 차량의 바퀴와 부딪혀 발생하는 충격을 감축시킨 대신에 상면에는 돌기가 형성되어 마찰을 증가시킴으로써, 충격에 의한 운전자의 2차 사고를 예방할 뿐만 아니라, 운전자가 차선을 벗어나고 있음을 쉽게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도로표지병은 접착제에 의해 도로에 부착 고정된다. 이와 같이 도로표지병을 접착제로 부착 고정함에 있어 접착제가 손에 묻지 않도록 손잡이를 구성하여 작업이 용이하며, 도로표지병의 하면에는 오목부 패턴이 형성되어 정확한 위치에 견고하게 부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도로표지병은 탄성변형하는 본체를 구비하고 차량이 지나갈 때에 본체가 변형되면서 경고음을 발생함으로써, 운전자가 충격에 의해 놀래지 않고 경고음으로 인해 인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로표지병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도로표지병의 각 구성들의 위치에 따른 분할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도로표지병의 평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도 1에 도시된 도로표지병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도로표지병의 저면도이며,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도로표지병의 한 예를 나타낸 이미지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도로표지병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도로표지병의 변형 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도로표지병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도로표지병의 평면 투시도이며,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채널의 종방향 단면도이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표지병의 양호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실시예]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로표지병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도로표지병의 각 구성들의 위치에 따른 분할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도로표지병의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4a 및 도 4b는 도 1에 도시된 도로표지병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도로표지병의 저면도이며,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도로표지병의 한 예를 나타낸 이미지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표지병(100)은 상면(111)이 평편하고 하면(130)이 평편한 사다리꼴 구조의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상면에 부착된 축광체(140)와, 본체(110)의 4방 경사면(120a, 120b)에 부착 고정된 반사체(150) 및, 상기 반사체(150)와 축광체(140)가 부착된 본체(110)에 씌워지는 투명한 투명부(160)를 포함한다.
아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도로표지병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5에 보이듯이, 본체(110)는 사다리꼴 구조로서, 본체(110)의 상면은 본체(110)의 하면 보다 작은 면적으로 형성되고 4개의 경사면(120a, 120b)이 본체(110)의 4측면을 형성한다.
여기에서 본체(110)의 하면(130)에는 오목부가 소정의 패턴(이하 '오목부 패턴(135)'이라 함)으로 형성된다. 본체(110)의 하면(130)에 오목부 패턴(135)이 형성된 이유는 본체(110)의 하면(130)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도로에 부착함에 있어 도포된 접착제가 도로면에 밀려 오목부로 유입되면서 도로표지병(100)을 부착하고자 하는 지점에 정확하게 접착 고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만약 하면이 오목부가 형성되지 않고 평편할 경우에는 도로표지병(100)이 액체 또는 젤 상태의 접착제에 밀려 이동하게 되면서 부착하고자 하는 지점에 정확하게 부착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접착제가 오목부에 유입된 후에 고착됨에 있어 접착제와의 접촉면적이 크게 증가하여 확고하게 도로표지병(100)이 도로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본체(110)의 상면(111)에는 축광체(140)가 위치할 수 있는 제1홈(113)이 형성되고, 제1홈(113)의 바닥에는 본체(110)의 하면(130)에 형성된 오목부 패턴(135)과 유사한 오목부 패턴(115)으로 형성된다. 이 또한 축광체(140)가 본체(110)의 상면에 확고하게 부착되도록 형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110)에서 상호 대응하는 두 경사면(120a)에는 경사면(120a)의 길이방향으로 반사체(150)가 안착되는 제2홈(122)이 형성된다. 반사체(150) 또한 접착제에 의해 제2홈(122)에 부착 고정된다.
그리고 반사체(150)가 부착 고정되지 않은 다른 2경사면(120b)에는 손잡이 홈(124)이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 홈(124)은 경사면(120b)에만 오목하게 형성되며 본체(110)의 상면(111)과 하면(130)까지는 손잡이 홈(124)이 연장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손잡이 홈(124)이 형성됨에 따라 작업자는 손잡이 홈(124)을 이용하여 도로표지병(100)을 파지할 수 있고, 본체(110)의 하면(130)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도로에 부착하는 과정 중에 접착제가 손에 묻지 않게 된다. 상기 접착제는 짧은 시간 내에 강력하게 접착됨에 따라 접착제가 손에 묻을 경우 작업자의 피부가 찢어지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손잡이 홈(124)을 이용하여 도로표지병(100)을 파지함으로써 접착제가 손에 묻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체(110)에 반사체(150)와 축광체(140)가 부착 고정된 후, 본체(110)의 상부 즉 본체의 상면(111)과 4경사면(120a, 120b)들을 덮는 투명부(160)를 안착하고 코팅처리 과정을 거친다.
상기 투명부(160)는 투명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서, 본체에 안착된 상태에서 고온고압 조건 하에서 코팅처리한 후에 빛이 투명부(160)를 투과하여 반사체(150) 및 축광체(140)로 입사되며 반사된다.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은 공업재료 또는 구조재료로 사용되는 강도 높은 플라스틱으로서, 강철보다도 강하고 알루미늄보다도 전성(展性)이 풍부하며, 금보다도 내약품성이 강한 고분자 구조의 고기능 수지이다. 성능과 특징은 그 화학구조에 따라 다른데, 주로 폴리아마이드, 폴리아세틸, 폴리카보네이트, PBT(폴리에스터수지), 변성 PPO(폴리페닐렌옥사이드) 등으로 분리되며, 분자량이 저분자 물질인 종래의 플라스틱과는 달리, 몇 십만 내지 몇 백만이나 되는 고분자 물질이다.
이와 같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은 강도 및 내구성이 우수하여 본체(110)의 상면(111)과 경사면(120a, 120b)들에 코팅되면서 본체(110), 반사체(150) 및 축광체(140)를 충격 및 자외선으로부터 보호한다.
한편,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투명부(160)는 그 상면 즉 본체(110)의 상면(111)과 대응하는 부위에 피라미드 형태의 돌기(161)가 정렬되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피라미드 형태의 돌기(161)가 형성됨에 따라 우천 시에 빗물은 돌기(161)들 사이의 골을 통해 원활하게 배수되며, 돌기(161)들은 차량의 바퀴와의 마찰면적이 넓어지면서 운전자가 도로표지병(100)이 설치된 차선에 진입하였다는 사실을 쉽게 인식할 수 있다. 또한 피라미드 형태의 투명한 돌기는 축광체(140)에서 발생한 빛이 돌기(161)의 경계면을 통과하면서 굴절되어 방사된다. 따라서 도로표지병(100)을 중심으로 어디에서라도 굴절된 축광체(140)의 빛 및 반사체(150)에서 반사된 빛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차선을 따라 도로표지병(100)을 도로에 부착 고정하였다고 하더라도 차선방향으로 주행하는 차량뿐만 아니라, 주위 어디에서든 도로표지병(100)을 쉽게 인식할 수 있다.
앞에서는 반사체(150) 및 축광체(140)가 본체(110)에 부착 고정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사체(150)는 제2홈(122)에 안착되고 축광체(140)는 제1홈(113)에 안착된 상태에서 투명부(160)가 본체(110)를 덮고 고온고압 조건에서 투명부(160)를 본체(110)에 일체로 코팅 처리할 수 있다. 이는 투명부(160)가 본체(110)에 일체로 성형되기 때문에 반사체(150) 및 축광체(140)를 제2홈(122) 및 제1홈(113)에 각각 안착한 상태에서 투명부(160)를 코팅 처리하더라도 반사체(150) 및 축광체(140)가 이탈하지 않는다.
코팅처리 전에 투명부(160)는 본체(110)의 손잡이 홈(124)과 대응하는 오목한 손잡이 홈(163)이 형성되며, 투명부(160)가 본체(110)를 덮었을 때에 본체(110)의 손잡이 홈(124)과 투명부(160)의 손잡이 홈(163)이 대응하여 위치하며, 고온고압의 조건을 조성하여 투명부(160)를 본체(110)에 일체로 코팅 처리한다.
도 6에 도시된 이미지 사진에서는 본체(100)가 노란색인 것으로 표시하고 있으나, 차선의 색상에 따라 빨강, 흰색, 파랑, 검정 등 다양한 색상으로 제작하여 차선의 색에 따라 설치할 수 있다.
[제2실시예]
앞에서 설명한 제1실시예에 따르면 투명부(160)가 본체(110)를 덮은 상태로 투명부(160)의 상면에 피라미드 돌기(161)가 형성되었으나, 아래에서 설명하는 제2실시예에 따른 도로표지병은 본체(210)의 제1홈(213)에 축광패드(240)가 부착 고정된다.
도면에서,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도로표지병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도로표지병의 변형 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10)는 삼각형의 상면(210H), 상면(210H)보다 넓은 면적의 삼각형의 하면(210L), 본체(210)의 측부에 형성된 세 경사면(210S)을 갖는 삼각형 구조로서, 본체(210)의 상면에는 삼각형의 제1홈(213)이 형성되고, 세 경사면(210S) 중 최소 한 경사면에는 제2홈(222)이 형성되며, 본체(210)의 하면에는 오목부 패턴(도 5의 135와 동일)이 형성된다.
한편, 본체(210)의 제1홈(213)에는 축광패드(240)가 위치하며 축광패드(240)의 저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축광패드(240)를 본체(210)의 제1홈(213)에 부착 고정한다.
축광패드(240)의 상면에는 돌기(241)들이 형성된다. 축광패드(240)의 돌기(241)들은 차량이 도로표지병(200)을 넘어갈 때에 마찰에 의해 운전자가 도로표지병(200)을 인식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제2홈(222)에는 반사체(250)가 고정된다. 여기에서 도 7에서는 제2홈(222)이 3개의 경사면(210S) 중 한 경사면에만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2개의 경사면 또는 3개의 경사면에 제2홈(222)을 형성하여 각 제2홈(222)에 반사체를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2실시예에 따른 도로표지병(200)은 황색, 백색, 청색 등으로 구성하여 차선에 따라 구별하여 도로면에 부착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제2실시예에 따른 도로표지병은 제1실시예에 따른 도로표지병(100)에 비해 투명부(160)가 구성되지 않아 두께를 얇게 구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두께가 얇아짐에 따라 청소 및 제설 시에 도로표지병에 의한 걸림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3개의 경사면은 타이어 자국이나 먼지 등에 의해 쉽게 오염되지 않도록 코팅처리할 수 있고, 축광패드(240)의 상면에 형성된 돌기(241)를 우천 시에 빗물의 배수 및 축광패드(240)의 상면 전체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도로표지병(200)은 강성을 위해 폴리카보네이트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내구성 및 내후성을 위해 자외선 코팅처리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2실시예에 따른 도로표지병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형으로 구성할 수 있지만, 다르게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를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사각 형태로 구성하고 제1홈을 삼각형으로 구성하여 삼각형의 축광패드를 제1홈에 부착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경사면에 부착되는 반사체를 제1실시예와 같이 주행방향에 따라 고정한다.
[제3실시예]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따른 도로표지병의 본체는 차량이 지나가더라도 변형되지 않을 정도의 강성을 갖는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강 재질이었으나,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체는 연성재질로서 차량의 하중에 의해 변형되면서 경고음을 발생하는 도로표지병에 관한 것이다.
도면에서,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도로표지병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도로표지병의 평면 투시도이며,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채널의 종방향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표지병(300)의 본체(310)에는 복수의 채널(370)이 차량의 주행방향에 있어 비스듬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본체(310)의 재질은 연성 재질로서 차량이 지나갈 때에 차량의 하중에 의해 납작하게 변형되고 차량이 지나가면 복원되는 구조이다.
본체(310)가 차량의 하중에 의해 납작하게 변형되는 이유는 본체(310)의 가로로 비스듬하게 채널(370)이 형성되어 차량의 하중에 의해 본체(310)가 변형된다.
한편,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310)가 납작하게 변형되면서 채널(370) 내부에 위치한 공기가 채널(370) 밖으로 빠져나가게 되는데, 이때 이동하는 공기에 의해 경고음(whistle)이 발생한다.
구체적으로 비스듬하게 형성된 채널(370)의 양단에 있어서, 차량이 진행하는 방향의 후방 쪽에 위치한 채널(370)의 후단부에는 피리의 구조와 같은 오리피스(371)가 형성된다. 따라서 차량이 도로표지병(300)을 지나갈 때에 채널(370)의 선단부가 납작해지면서 먼저 폐쇄되고, 채널(370) 내부의 공기는 후단부로 신속하게 빠져 나가면서 오리피스(371)에 의해 경고음을 발생한다.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의 도로표지병(100, 200)의 본체(110, 210)는 강성이 커서 차량이 지나가더라도 변형되지 않아 충격이 운전자에게 전달되지만, 제3실시예에 따른 도로표지병(300)은 차량의 하중에 의해 도로표지병(300)이 변형됨에 따라 충격이 작게 발생하게 되고 그로 인해 차량이 도로표지병(300)을 넘어가는 것을 인식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으로서, 경고음을 발생시켜 운전자를 인식시킨다.
또한 도로표지병(300)의 본체(130)가 변형됨에 따라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와 같이 충격이 운전자에게 전달되어 운전자가 놀라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3실시예에 있어서, 제1홈, 축광패드, 제2홈, 반사체 등의 구성요소는 제2실시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제2실시예에서 부여한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한다.
100, 200, 300 : 도로표지병
110, 210, 310 : 본체
111, 210H : 상면
113, 213 : 제1홈
115, 135, 235 : 오목부 패턴
120a, 120b, 210S : 경사면
122, 222 : 제2홈
124 : 손잡이 홈
130, 210L : 하면
140 : 축광체
150, 250 : 반사체
160 : 투명부
161, 241 : 돌기
163 : 손잡이 홈
240 : 축광패드
370 : 채널
371 : 오리피스

Claims (6)

  1. 둘레에 경사면들이 형성되고 상면은 하면보다 좁은 면적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면에 위치한 축광체와,
    상기 경사면에 위치한 반사체 및,
    상기 본체의 상면과 경사면들을 덮은 상태로 코팅된 투명한 투명부를 포함하며,
    상기 투명부의 상면에는 돌기들이 정렬되어 형성되고,
    상기 돌기들은 피라미드 형태이며,
    상기 본체는 4개의 경사면을 갖는 사각구조로서, 대응하는 두 경사면에는 반사체가 위치하고, 다른 두 경사면에는 손잡이 홈이 형성되며,
    상기 투명부에는 상기 경사면의 손잡이 홈과 대응하는 손잡이 홈이 형성되며,
    상기 하면에는 오목부 패턴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상면에는 제1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홈의 바닥에는 오목부 패턴이 형성되며, 상기 제1홈에 상기 축광체가 위치하고,
    상기 경사면에는 제2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홈에 반사체가 위치하며,
    상기 투명부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표지병.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10019257A 2010-05-03 2011-03-04 도로표지병 KR1012934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1261 2010-05-03
KR20100041261 2010-05-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2056A KR20110122056A (ko) 2011-11-09
KR101293435B1 true KR101293435B1 (ko) 2013-08-05

Family

ID=45392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9257A KR101293435B1 (ko) 2010-05-03 2011-03-04 도로표지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343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5917B1 (ko) * 2016-06-01 2016-10-17 (주)로드시그날 축광표시층이 구비된 도로표지병
KR101952424B1 (ko) 2018-07-10 2019-02-26 광동지엘씨(주) 내진 성능이 강화된 강제 전선관 연결용 커플링
KR101963896B1 (ko) 2017-12-15 2019-04-02 김성태 시선 유도등
KR102157982B1 (ko) * 2020-03-10 2020-09-21 신창기계(주) 접착용 패드를 갖는 도로표지병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3358B1 (ko) * 2019-08-19 2020-03-25 임태섭 광발광성 에코디스크 설치방법
KR102302287B1 (ko) * 2020-02-24 2021-09-15 주식회사 경신 스터드 타입 밴드케이블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5952U (ko) * 1995-07-06 1997-02-21 박재준 야간 보호용 도로표지병
KR200180167Y1 (ko) * 1999-12-07 2000-04-15 김동규 야광 우레탄 도로 표지병
KR200198778Y1 (ko) * 2000-03-24 2000-10-02 김정태 경보장치를 가진 도로 반사경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5952U (ko) * 1995-07-06 1997-02-21 박재준 야간 보호용 도로표지병
KR200180167Y1 (ko) * 1999-12-07 2000-04-15 김동규 야광 우레탄 도로 표지병
KR200198778Y1 (ko) * 2000-03-24 2000-10-02 김정태 경보장치를 가진 도로 반사경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5917B1 (ko) * 2016-06-01 2016-10-17 (주)로드시그날 축광표시층이 구비된 도로표지병
KR101963896B1 (ko) 2017-12-15 2019-04-02 김성태 시선 유도등
KR101952424B1 (ko) 2018-07-10 2019-02-26 광동지엘씨(주) 내진 성능이 강화된 강제 전선관 연결용 커플링
KR102157982B1 (ko) * 2020-03-10 2020-09-21 신창기계(주) 접착용 패드를 갖는 도로표지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2056A (ko) 2011-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3435B1 (ko) 도로표지병
JP5424019B2 (ja) 蓄光タイプ道路鋲の製造方法
KR101958657B1 (ko) 도로표지병
KR100961621B1 (ko) 도로표지병
KR102145933B1 (ko) 도로 노면용 부착식 표지구 및 이를 이용한 도로의 노면표지 시공방법
KR200416619Y1 (ko) 도로 표지병
US7252127B2 (en) Reflecting bicycle tires
US7025527B2 (en) Highway marker
JP2006249723A (ja) 可撓性路面標識物
KR101894586B1 (ko) 도로의 노면 표지
KR102093358B1 (ko) 광발광성 에코디스크 설치방법
KR20180039343A (ko) 도로표지병
KR200419650Y1 (ko) 융착식 도료를 이용한 도로 표지병
KR101082341B1 (ko) 도로 차선 표지병
KR100648890B1 (ko) 완충식 도로 표지병
KR200343192Y1 (ko) 완충식 도로 표지병
KR200375386Y1 (ko) 도로 표지병용 반사체
KR200385869Y1 (ko) 차선 규제봉
KR20090003738U (ko) 도로 경계블럭
JP2011063960A (ja) 道路用標示体
KR102630215B1 (ko) 발광형 차로 이탈방지장치
KR200359988Y1 (ko) 재귀반사도를 증대시킨 도로표지병
KR20230064091A (ko) 접착력이 향상되는 부착식 도로표지병
KR200398245Y1 (ko) 도로 표지병
KR200394481Y1 (ko) 도로표지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