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2424B1 - 내진 성능이 강화된 강제 전선관 연결용 커플링 - Google Patents
내진 성능이 강화된 강제 전선관 연결용 커플링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52424B1 KR101952424B1 KR1020180079998A KR20180079998A KR101952424B1 KR 101952424 B1 KR101952424 B1 KR 101952424B1 KR 1020180079998 A KR1020180079998 A KR 1020180079998A KR 20180079998 A KR20180079998 A KR 20180079998A KR 101952424 B1 KR101952424 B1 KR 10195242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nection port
- connection
- circumferential surface
- flexible braided
- pip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배선에서 전선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스틸 파이프로 이루어진 강제 전선관들을 상호 연결하여 길이를 연장하는 강제 전선관 연결용 커플링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외부 충격이나, 혹은 지진으로 인해 발생하는 충격파가 커플링을 통해 상호 연결된 강제 전선관들을 통해 전이되는 것을 차단하여 충격파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내진이 강화된 강제 전선관 연결용 커플링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기배선에서 전선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스틸 파이프로 이루어진 강제 전선관들을 상호 연결하여 길이를 연장하는 강제 전선관 연결용 커플링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외부 충격이나 지진으로 인해 발생하는 충격파가 커플링을 통해 상호 연결된 강제 전선관들을 통해 전이되는 것을 차단하여 충격파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내진이 강화된 강제 전선관 연결용 커플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제 전선관은 전기배선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전선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선관으로서, 내부에 삽입되는 전선의 굵기나 전선 수에 따라 다양한 굵기 및 재질의 전선관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굵기에 따라 박강 전선관과 후강 전선관으로 구분되고, 또한 전선관의 끝단에 나사산이 없는 전선관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강제 전선관은 인발하여 제작된 스틸 파이프의 양 끝단을 균일한 길이로 관축에 대하여 직각으로 절단한 후 모때기를 하여 제작한다. 이와 같이, 강제 전선관은 균일한 길이로 제작됨에 따라 강제 전선관의 길이를 수평으로 연장하기 위해서는 이들 전선관을 상호 연결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커플링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커플링은 강제 전선관의 종류, 예를 들면 박강 및 후강 전선관과 같이, 양 끝단에 나사산이 형성된 전선관에 사용되는 커플링의 경우에는 양 끝단에 나사산이 형성된 원통 관으로 이루어지고, 나사산이 없는 전선관에 사용되는 커플링(일명: AP 커플링)의 경우에는 연결부품(볼트)을 통해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커플링은 기계적 강도를 위해 금속 재질의 관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외부 충격이나 지진 발생으로 인해 충격파가 발생하는 경우, 일측에 연결된 강제 전선관에 가해지는 충격파를 타측에 연결된 다른 강제 전선관으로 그대로 전달하는 매개체로 작용하기 때문에 지진 피해를 가중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외부 충격이나 지진 발생시 발생하는 충격파를 완충하여 상기 충격파가 커플링을 통해 상호 연결된 강제 전선관들을 통해 전이되는 것을 차단하여 충격파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내진이 강화된 강제 전선관 연결용 커플링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은 제1 강제 전선관이 내부에 삽입 고정되는 제1 접속구; 제2 강제 전선관이 내부에 삽입 고정되는 제2 접속구; 및 금속 재질, 합성수지 또는 화이버 글라스로 이루어진 여러 가닥의 실 또는 박편 사이에 탄성을 갖는 우레탄 고무줄 또는 실리콘 고무줄을 편조 기법을 이용하여 서로 엮어 제조된 관 구조로 이루어지고, 일단부가 상기 제1 접속구의 내부로 삽입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2 접속구의 내부로 삽입 고정되어 상기 제1 및 제2 접속구를 상호 연결하는 가요성 편조 연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성능이 강화된 강제 전선관 연결용 커플링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요성 편조 연결관의 일측부 내주면에 삽입되고, 상기 가요성 편조 연결관의 일측부를 상기 제1 접속구의 내주면에 삽입 고정하는 원추형 구조로 이루어진 제1 부싱; 및 상기 가요성 편조 연결관의 타측부 내주면에 삽입되고, 상기 가요성 편조 연결관의 타측부를 상기 제2 접속구의 내주면에 삽입 고정하는 원추형 구조로 이루어진 제2 부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부싱은 상기 제1 접속구의 내부로 삽입되어 외주면이 상기 제1 접속구의 내주면에 긴밀하게 압착되는 일측부에서 상기 가요성 편조 연결관의 내부로 삽입되어 외주면이 상기 가요성 편조 연결관의 내주면에 긴밀하게 압착되는 타측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원추형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접속구의 내부로 삽입되는 일측부가 상기 제1 접속구를 관통하는 볼트부재에 의해 상기 제1 접속구에 고정되고, 상기 제2 부싱은 상기 제2 접속구의 내부로 삽입되어 외주면이 상기 제2 접속구의 내주면에 긴밀하게 압착되는 일측부에서 상기 가요성 편조 연결관의 내부로 삽입되어 외주면이 가요성 편조 연결관의 내주면에 긴밀하게 압착되는 타측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원추형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접속구의 내부로 삽입되는 일측부가 상기 제2 접속구를 관통하는 볼트부재에 의해 상기 제2 접속구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요성 편조 연결관의 외주면을 감싸는 방수 비닐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방수 비닐관은 가요성을 갖도록 얇은 비닐 재질로 이루어지고, 그 내주면에 상기 가요성 편조 연결관이 삽입된 상태로 상기 제1 및 제2 접속구의 내부로 삽입된 후 상기 볼트부재를 통해 상기 제1 및 제2 접속구의 내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인접하게 배치된 강제 전선관을 가요성 편조 연결관을 이용하여 상호 연결함으로써 외부 충격이나 지진 발생시 발생하는 충격파를 가요성 편조 연결관을 통해 완충하여 상기 충격파가 상호 연결된 강제 전선관들을 통해 전이되는 것을 차단하여 충격파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제 전선관 연결용 커플링을 도시한 조립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강제 전선관 연결용 커플링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강제 전선관 연결용 커플링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제 전선관 연결용 커플링의 동작 특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강제 전선관 연결용 커플링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제 전선관 연결용 커플링의 다른 동작 특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강제 전선관 연결용 커플링을 조립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강제 전선관 연결용 커플링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6에 도시된 강제 전선관 연결용 커플링의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강제 전선관 연결용 커플링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강제 전선관 연결용 커플링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제 전선관 연결용 커플링의 동작 특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강제 전선관 연결용 커플링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제 전선관 연결용 커플링의 다른 동작 특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강제 전선관 연결용 커플링을 조립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강제 전선관 연결용 커플링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6에 도시된 강제 전선관 연결용 커플링의 단면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제 전선관 연결용 커플링을 설명하기 위해 강제 전선관이 조립된 조립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강제 전선관 연결용 커플링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강제 전선관 연결용 커플링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제 전선관 연결용 커플링(10)은 제1 및 제2 강제 전선관(1, 2)과 접속되는 제1 및 제2 접속구(11, 12)와, 제1 및 제2 접속구(11, 12)를 상호 연결하는 가요성 편조 연결관(13)을 포함한다.
제1 접속구(11)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원형 관 구조로 이루어지고, 그 내부에는 제1 강제 전선관(1)의 일단부가 내부로 삽입된다. 제1 접속구(11)의 내부에 삽입된 제1 강제 전선관(1)은 제1 접속구(11)에 구비된 볼트부재(111)에 의해 고정된다.
제2 접속구(12)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제1 접속구(11)와 동일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원형 관 구조로 이루어지고, 그 내부에는 제2 강제 전선관(2)의 일단부가 내부로 삽입된다. 제2 접속구(12)의 내부로 삽입된 제2 강제 전선관(2)은 제2 접속구(12)를 외측에서 내측으로 관통 결합되는 볼트부재(121)에 의해 고정된다.
본 발명에서는 제1 및 제2 강제 전선관(1, 2)이 나사산이 없는 전선관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제1 및 제2 접속구(11, 12)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고, 볼트부재(111, 121)를 통해 제1 및 제2 강제 전선관(1, 2)을 제1 및 제2 접속구(11, 12)에 고정하고 있으나, 이는 일례로서, 제1 및 제2 강제 전선관(1, 2)에 나사산이 형성된 경우에는 이와 대응하여 제1 및 제2 접속구(11, 12)에도 나산산이 형성되어 제1 및 제2 강제 전선관(1, 2)은 제1 및 제2 접속구(11, 12)와 나사 결합될 수도 있다.
가요성 편조 연결관(13)은 여러 가닥의 실 또는 박편을 편조 기법을 이용하여 서로 엮어 제조한 원형 관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3과 같이, 일단부가 오링(14)에 의해 제1 접속구(11)의 내부로 삽입 고정되고, 타단부가 오링(15)을 통해 제2 접속구(12)의 내부로 삽입 고정되어 제1 및 제2 접속구(11, 12)를 상호 연결한다.
가요성 편조 연결관(13)을 구성하는 여러 가닥의 실 또는 얇은 박편은 강제 전선관을 지지하기 위해 강성을 유지하면서 외부 충격이나 지진 발생시 발생하는 충격파를 완충하여 충격파가 타측으로 전이되지 않도록 금속, 합성수지, 화이버 글라스 또는 패브릭 재질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으로 제조할 수도 있다.
한편, 가요성 편조 연결관(13)의 내부에는 전선이 관통 삽입됨에 따라 가요성 편조 연결관(13)의 내부로 습기나 물(빗물 등)이 유입되지 않도록 방수 처리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가요성 편조 연결관(13)을 방수 코팅액으로 코팅할 수도 있으나, 이 경우 방수 코팅액의 경화로 인해 가요성 편조 연결관(13)이 딱딱하게 굳어지고, 이로 인해 충격파의 완충성이 저하됨에 따라 충격파를 안정적으로 흡수할 수 없다.
다른 방수 처리 방법으로, 가요성 편조 연결관(13)을 편조 기법으로 제조할 때, 여러 가닥의 실 또는 얇은 박편을 비교적 촘촘하게 엮어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가요성 편조 연결관(13)을 비교적 촘촘하게 엮어 형성하는 경우 완충성이 저하되어 외부 충격이나 지진 발생시 전달되는 충격파를 안정적으로 흡수하는데 한계가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편조로 제조할 때 가요성 편조 연결관(13)을 금속 재질, 합성수지 또는 화이버 글라스(유리 섬유)로 이루어진 실 또는 박편 사이에 탄성을 갖는 우레탄 고무줄 또는 실리콘 고무줄을 함께 엮어 형성할 수 있다.
즉, 실 또는 얇은 박편과 탄성 고무줄을 함께 편조 기법으로 엮어 가요성 편조 열결관(13)을 형성함으로써 비교적 촘촘하게 제직이 가능하여 방수 성능을 향상시키는 한편, 탄성 고무줄의 탄성력으로 인해 가요성과 완충성을 향상시켜 충격파를 안정적으로 흡수하여 충격파가 타측으로 전이되는 것을 최소화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제 전선관 연결용 커플링의 동작 특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강제 전선관 연결용 커플링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와 같이, 외부 충격이나, 혹은 지진이 발생하여 충격파가 제1 강제 전선관(1)을 통해 가요성 편조 연결관(13)의 일측부로 전달되면, 가요성 편조 연결관(13)의 일측부로 전달되는 충격파는 가요성 편조 연결관(13)을 구성하는 편조 직물의 완충력에 의해 가요성 편조 연결관(13)의 타측부로 전달되지 못하고 흡수되어 소멸된다. 이에 따라 제2 강제 전선관(2)으로 전이되지 않아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제 전선관 연결용 커플링의 다른 동작 특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 5와 같이, 강제 전선관 연결용 커플링(10)은 가요성 편조 연결관(13)의 가요성을 이용하여 가요성 편조 연결관(13)을 수직으로 절곡시켜 서로 직교하게 배치된 제1 및 제2 강제 전선관(1, 2)을 연결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강제 전선관 연결용 커플링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조립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강제 전선관 연결용 커플링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6에 도시된 강제 전선관 연결용 커플링의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강제 전선관 연결용 커플링(20)은 도 1에 도시된 강제 전선관 연결용 커플링(10)과 마찬가지로, 제1 및 제2 접속구(21, 22)와, 제1 및 제2 접속구(21, 22)를 연결하는 가요성 편조 연결관(23)을 포함하고, 가요성 편조 연결관(23)을 제1 및 제2 접속구(21, 22)의 내부에 삽입 고정하는 원추형 구조로 이루어진 제1 및 제2 부싱(24, 25)을 더 포함한다.
제1 부싱(24)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접속구(21)의 내부로 삽입되어 외주면이 제1 접속구(21)의 내주면에 긴밀하게 압착되는 일측부에서 타측부(가요성 편조 연결관의 내부로 삽입되어 외주면이 가요성 편조 연결관의 내주면에 긴밀하게 압착되는 측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원추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부싱(25) 또한, 제1 부싱(24)과 마찬가지로, 제2 접속구(22)의 내부로 삽입되어 외주면이 제2 접속구(22)의 내주면에 긴밀하게 압착되는 일측부에서 타측부(가요성 편조 연결관의 내부로 삽입되어 외주면이 가요성 편조 연결관의 내주면에 긴밀하게 압착되는 측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원추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및 제2 부싱(24, 25)이 가요성 편조 연결관(23)과 결합되는 방향으로 직경이 작아지는 원추형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전선을 가요성 편조 연결관(23)을 관통시켜 삽입할 때 전선이 제1 및 제2 부싱(24, 25)으로 인해 가요성 편조 연결관(23)의 중심으로 안내됨으로써 전선을 가요성 편조 연결관(23)에 삽입시키는 과정에서 편조 기법으로 제조된 가요성 편조 연결관(23)에 전선이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1 및 제2 접속구(21, 22)에는 도 6 내지 도 8과 같이, 제1 및 제2 강제 전선관(1, 2)을 고정하는 볼트부재(211, 221) 이외에 제1 및 제2 부싱(24, 25)을 제1 및 제2 접속구(21, 22)에 고정하기 위해 볼트부재(212, 222)가 구비된다.
제1 및 제2 부싱(24, 25)은 각각 도 8과 같이, 가요성 편조 연결관(23)의 내주면에 긴밀하게 결합된 상태로 제1 및 제2 접속구(21, 22)의 내부로 삽입된 후 볼트부재(212, 222)를 통해 제1 및 제2 접속구(21, 22)의 내부에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강제 전선관 연결용 커플링(20)은 방수 성능을 향상시키는 한편, 가요성 편조 연결관(23)의 가요성과 완충성을 저하시키지 않도록 가요성 편조 연결관(23)의 외주면을 감싸는 방수 비닐관(2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방수 비닐관(28)은 가요성을 갖도록 얇은 비닐 재질로 이루어지며, 그 내주면에 가요성 편조 연결관(23)이 삽입된 상태로 제1 및 제2 접속구(21, 22)의 내부로 삽입된 후 볼트부재(212, 222)를 통해 제1 및 제2 접속구(21, 22)의 내부에 고정된다.
그리고, 가요성 편조 연결관(23)이 삽입되는 제1 및 제2 접속구(21, 22)에는 가요성 편조 연결관(23)의 외주면과 제1 및 제2 접속구(21, 22)의 내주면 간의 틈새로 습기나 물 등이 유입되지 않도록 긴밀하게 밀폐하기 위해 밀폐링(26, 27)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밀폐링(26, 27)은 각각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이처럼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제1 강제 전선관
2 : 제2 강제 전선관
10, 20 : 커플링
11, 21 : 제1 접속구
12, 22 : 제2 접속구
13, 23 : 가요성 편조 연결관
14, 15 : 오링
24 : 제1 부싱
25 : 제2 부싱
26, 27 : 밀폐링
28 : 방수 비닐관
111, 121, 211, 221, 212, 222 : 볼트부재
2 : 제2 강제 전선관
10, 20 : 커플링
11, 21 : 제1 접속구
12, 22 : 제2 접속구
13, 23 : 가요성 편조 연결관
14, 15 : 오링
24 : 제1 부싱
25 : 제2 부싱
26, 27 : 밀폐링
28 : 방수 비닐관
111, 121, 211, 221, 212, 222 : 볼트부재
Claims (3)
- 원형 관 구조로 제1 강제 전선관(1)의 일단부가 내부에 삽입 고정되는 제1 접속구(21);
원형 관 구조로 제2 강제 전선관(2)의 일단부가 내부에 삽입 고정되는 제2 접속구(22); 및
금속 재질, 합성수지 또는 화이버 글라스로 이루어진 여러 가닥의 실 또는 박편 사이에 탄성을 갖는 우레탄 고무줄 또는 실리콘 고무줄을 편조 기법을 이용하여 서로 엮어 제조된 관 구조로 이루어지고, 일단부가 상기 제1 접속구(21)의 내부로 삽입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2 접속구(22)의 내부로 삽입 고정되어 상기 제1 및 제2 접속구(21, 22)를 상호 연결하는 가요성 편조 연결관(23);
상기 가요성 편조 연결관(23)의 일측부 내주면에 삽입되고, 상기 가요성 편조 연결관(23)의 일측부를 상기 제1 접속구(21)의 내주면에 삽입 고정하는 원추형 구조로 이루어진 제1 부싱(24); 및
상기 가요성 편조 연결관(23)의 타측부 내주면에 삽입되고, 상기 가요성 편조 연결관(23)의 타측부를 상기 제2 접속구(22)의 내주면에 삽입 고정하는 원추형 구조로 이루어진 제2 부싱(25);
상기 가요성 편조 연결관(23)이 삽입되는 제1 및 제2 접속구(21, 22)에는 가요성 편조 연결관(23)의 외주면과 제1 및 제2 접속구(21, 22)의 내주면 간의 틈새로 습기나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밀폐하기 위해 설치되는 밀폐링(26, 27);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부싱(24)은 제1 접속구(21)의 내부로 삽입되어 외주면이 제1 접속구(21)의 내주면에 긴밀하게 압착되는 일측부에서 상기 가요성 편조 연결관(23)의 내부로 삽입되어 외주면이 상기 가요성 편조 연결관(23)의 내주면에 긴밀하게 압착되는 타측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원추형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접속구(21)의 내부로 삽입되는 일측부가 상기 제1 접속구(21)를 관통하는 볼트부재(212)에 의해 상기 제1 접속구(21)에 고정되고,
상기 제2 부싱(25)은 제2 접속구(22)의 내부로 삽입되어 외주면이 상기 제2 접속구(22)의 내주면에 긴밀하게 압착되는 일측부에서 상기 가요성 편조 연결관(23)의 내부로 삽입되어 외주면이 가요성 편조 연결관(23)의 내주면에 긴밀하게 압착되는 타측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원추형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접속구(22)의 내부로 삽입되는 일측부가 상기 제2 접속구(22)를 관통하는 볼트부재(222)에 의해 상기 제2 접속구(22)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성능이 강화된 강제 전선관 연결용 커플링.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편조 연결관(23)의 외주면을 감싸는 방수 비닐관(28)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방수 비닐관(28)은 가요성을 갖도록 얇은 비닐 재질로 이루어지고, 그 내주면에 상기 가요성 편조 연결관(23)이 삽입된 상태로 상기 제1 및 제2 접속구(21, 22)의 내부로 삽입된 후 상기 볼트부재(212, 222)를 통해 상기 제1 및 제2 접속구(21, 22)의 내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성능이 강화된 강제 전선관 연결용 커플링.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79998A KR101952424B1 (ko) | 2018-07-10 | 2018-07-10 | 내진 성능이 강화된 강제 전선관 연결용 커플링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79998A KR101952424B1 (ko) | 2018-07-10 | 2018-07-10 | 내진 성능이 강화된 강제 전선관 연결용 커플링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52424B1 true KR101952424B1 (ko) | 2019-02-26 |
Family
ID=65562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79998A KR101952424B1 (ko) | 2018-07-10 | 2018-07-10 | 내진 성능이 강화된 강제 전선관 연결용 커플링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52424B1 (ko) |
Citation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203572A (ja) * | 1995-01-27 | 1996-08-09 | Mitsubishi Electric Corp | 導体接続装置 |
JP2000193173A (ja) * | 1998-12-28 | 2000-07-14 | Sankei Seisakusho:Kk | 管継手 |
JP2002142317A (ja) * | 2000-11-02 | 2002-05-17 | Mitsubishi Electric Corp | 可撓性接続導体 |
JP2002147663A (ja) * | 2000-11-16 | 2002-05-22 | Totaku Industries Inc | 管継手、ケーブル用保護管の配管構造及びケーブル用保護管の配管方法 |
KR20050116764A (ko) | 2004-06-08 | 2005-12-13 | 주식회사 새치로 | 축광 유도등 |
KR20120038177A (ko) * | 2010-10-13 | 2012-04-23 | 대한전선 주식회사 | 전력케이블의 평활 알루미늄 쉬스와 접속함의 보호케이스와의 접속 구조 |
KR101293435B1 (ko) | 2010-05-03 | 2013-08-05 | 박병수 | 도로표지병 |
JP2013162724A (ja) * | 2012-02-08 | 2013-08-19 | Sumitomo Wiring Syst Ltd | シールドシェルへのシールド用筒状編組部材の固定方法 |
KR101665917B1 (ko) | 2016-06-01 | 2016-10-17 | (주)로드시그날 | 축광표시층이 구비된 도로표지병 |
-
2018
- 2018-07-10 KR KR1020180079998A patent/KR10195242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203572A (ja) * | 1995-01-27 | 1996-08-09 | Mitsubishi Electric Corp | 導体接続装置 |
JP2000193173A (ja) * | 1998-12-28 | 2000-07-14 | Sankei Seisakusho:Kk | 管継手 |
JP2002142317A (ja) * | 2000-11-02 | 2002-05-17 | Mitsubishi Electric Corp | 可撓性接続導体 |
JP2002147663A (ja) * | 2000-11-16 | 2002-05-22 | Totaku Industries Inc | 管継手、ケーブル用保護管の配管構造及びケーブル用保護管の配管方法 |
KR20050116764A (ko) | 2004-06-08 | 2005-12-13 | 주식회사 새치로 | 축광 유도등 |
KR101293435B1 (ko) | 2010-05-03 | 2013-08-05 | 박병수 | 도로표지병 |
KR20120038177A (ko) * | 2010-10-13 | 2012-04-23 | 대한전선 주식회사 | 전력케이블의 평활 알루미늄 쉬스와 접속함의 보호케이스와의 접속 구조 |
JP2013162724A (ja) * | 2012-02-08 | 2013-08-19 | Sumitomo Wiring Syst Ltd | シールドシェルへのシールド用筒状編組部材の固定方法 |
KR101665917B1 (ko) | 2016-06-01 | 2016-10-17 | (주)로드시그날 | 축광표시층이 구비된 도로표지병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80198269A1 (en) | Cable reinforcement sleeve for subsea cable joint | |
KR20230031866A (ko) | 심해용 엄비리컬 케이블 | |
JP5612206B2 (ja) | 光ケーブルを中間分岐へガイドし接続する作業に適合する光ケーブル接続筐体 | |
KR101952424B1 (ko) | 내진 성능이 강화된 강제 전선관 연결용 커플링 | |
CN212543260U (zh) | 一种抗压性能强的电力电缆铺设管道 | |
US4207428A (en) | Telecommunications submarine cable assemblies | |
KR100706785B1 (ko) | 지중 케이블 관로의 연결구 | |
US5932842A (en) | Strength member for combined fluid/electrical hose | |
JPS63253307A (ja) | 光ファイバを備えたケーブル用ジョイント | |
US10151410B2 (en) | Extending/contracting flexible pipe and method for assembling extending/contracting flexible pipe | |
CN207817266U (zh) | 一种具备较强抗压性能的层绞式光缆 | |
CN208656347U (zh) | 一种弯曲限制器 | |
KR101671850B1 (ko) | 광케이블 | |
CN209781907U (zh) | 一种深水用非粘结柔性管及其连接接头 | |
CN207145842U (zh) | 一种高强度塑胶管连接件 | |
CN210109425U (zh) | 一种柔性耐水压光纤光栅传感器单芯光缆接续保护装置 | |
CN110837155B (zh) | 一种光纤线路结构单元及光纤线路 | |
WO2016192779A1 (en) | A rigid joint assembly | |
CN206546732U (zh) | 一种海洋勘探用光纤电缆 | |
CN219200762U (zh) | 用于油套管气密封检测的高压管线安全防护装置 | |
JP6270540B2 (ja) | 水底ケーブル接続構造、水底ケーブル接続部の補強構造および水底ケーブルの接続方法 | |
CN220154696U (zh) | 一种具有双护套结构的引入光缆 | |
JP2014002189A (ja) | 光ファイバケーブルの端部構造、端部構造製造方法 | |
CN113300157B (zh) | 一种紧凑型耐水压的电缆连接器 | |
US11796745B2 (en) | Cable anchor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