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9966B1 - 잉크 주머니, 잉크 카트리지 및 잉크젯 기록 장치, 잉크충전 방법, 잉크 재충전 방법, 잉크 카트리지의 제조 방법및 잉크 카트리지의 리사이클 방법 - Google Patents

잉크 주머니, 잉크 카트리지 및 잉크젯 기록 장치, 잉크충전 방법, 잉크 재충전 방법, 잉크 카트리지의 제조 방법및 잉크 카트리지의 리사이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9966B1
KR100669966B1 KR1020047018672A KR20047018672A KR100669966B1 KR 100669966 B1 KR100669966 B1 KR 100669966B1 KR 1020047018672 A KR1020047018672 A KR 1020047018672A KR 20047018672 A KR20047018672 A KR 20047018672A KR 100669966 B1 KR100669966 B1 KR 1006699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bag
case
cartridge
h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8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07408A (ko
Inventor
무라나카마사카즈
스즈키마사토
츠유키다카노리
이구치마사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3074520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4276538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076676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4284094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076663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4284093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183326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5014437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ublication of KR200500074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74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99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99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53Oute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13Inne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2Mounting within the printer
    • B41J2/17523Ink conn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56Means for regulating the pressure in the cartri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13Inner structure
    • B41J2002/17516Inner structure comprising a collapsible ink holder, e.g. a flexible bag

Abstract

잉크 주머니는 대략 직사각형 형태의 가요성 주머니 본체와, 상기 주머니 본체의 한 가장자리에 부착되는 유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유지 부재는 주머니 본체에 잉크를 충전하기 위한 잉크 충전 개구와, 상기 주머니 본체 내의 잉크를 배출하기 위한 잉크 배출구와, 잉크 주머니를 이 잉크 주머니가 수용되는 카트리지 케이스에 유지하기 위한 결합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잉크 주머니, 잉크 카트리지 및 잉크젯 기록 장치, 잉크 충전 방법, 잉크 재충전 방법, 잉크 카트리지의 제조 방법 및 잉크 카트리지의 리사이클 방법{INK BAG, INK CARTRIDGE AND INK-JET RECORDING APPARATUS, INK FILLING METHOD, INK REFILLING METHOD, MANUFACTURING METHOD OF INK CARTRIDGE, AND RECYCLING METHOD OF INK CARTRIDGE}
본 발명은 잉크 주머니, 잉크 카트리지 구조 및 잉크젯 기록 장치 및 잉크 충전 방법, 잉크 재충전 방법, 잉크 카트리지의 제조 방법 및 잉크 카트리지의 리사이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프린터, 팩시밀리, 복사기 등의 화상 형성 장치(또는 화상 기록 장치라고 함)용으로 잉크젯 기록 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잉크젯 기록 장치는 기록 헤드로부터 잉크를 토출하여 용지에 화상의 기록을 수행한다. 여기서, 용지는 종이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OHP 시트 등을 또한 포함한다. 따라서, "용지"는 화상이 형성되는 매체를 나타내며, 또한 피기록 매체, 기록 매체 또는 기록지라고도 부른다. 잉크젯 기록 장치는 고속으로, 낮은 러닝 비용으로, 저소음으로 높은 선명도의 화상을 기록하는 성능과, 다색의 잉크를 사용하여 칼라 화상을 용이하게 기록하는 성능 등의 다양한 이점을 갖고 있다.
종래의 잉크젯 기록 장치에 사용되는 잉크 카트리지로서는, 직사각형 셸의 하드 케이스에 잉크를 충전한 장치가 일본 공개 특허 출원 제10-202901호에 개시되어 있고, 또는 잉크 출구를 설치한 가요성의 주머니형 잉크 탱크와, 이 잉크 탱크가 출입 가능한 개구가 마련되어 있는 샤시(케이스)를 구비한 장치가 일본 공개 특허 출원 제10-202900호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잉크를 수납하는 잉크 수납부(501)와, 잉크수납부(501)를 내부에 수용하는 원통형 케이스(502)와, 원통형 케이스(502)의 전면을 덮는 뚜껑 부재(503)로 이루어지는 기지의 잉크 카트리지가 있다. 이 구조에서는, 잉크 수납부(501)와 일체적인 유지 부재(504)가 또한 마련되고, 이 유지 부재(504)는 잉크를 충전하는 데 사용되는 원통형의 밀봉된 잉크 충전 개구(505)와, 잉크를 공급하기 위한 원통형의 잉크 공급 개구(506)를 포함한다. 작동시, 상기 유지 부재(504)는 이 유지 부재(504)의 돌출부(504a)가 원통형 케이스(502)의 벽면 도중에 설치한 구멍(502a)에 결합되도록 유지 부재(504)를 가압함으로써 원통형 케이스(502) 상에 고정된다.
여기서, 잉크 수납부(501)는 유지 부재(504)와 함께 프레임 본체(511)를 형성하고, 이 프레임 본체(511)의 외측에 내측이 수지 필름으로, 외측이 알루미늄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필름형 부재(512)가 융착되어 있다.
한편, 최근의 잉크젯 기록 장치에 있어서는, 요구되는 화질이 증가하고 있고, 이와 관련하여 잉크 소비도 증가하고 있다. 그러한 상황하에서, 잉크 카트리지를 캐리지 상에 장착하는 종래의 잉크젯 기록 장치에서는, 빈번한 잉크 카트리지 의 교환을 필요로 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잉크젯 기록 분야에서는 캐리지에 작은 서브 탱크만을 장착하고, 잉크젯 기록 장치의 본체에 장착한 메인 잉크 카트리지로부터 서브 탱크에 잉크를 공급하는 구성을 채용하는 경향이 있다.
이에 따라, 잉크 카트리지의 크기가 증가되고, 일본 공개 특허 출원 제10-202901호에 개시된 잉크 카트리지의 경우처럼 사용된 잉크 카트리지를 단순히 폐기하면 심각한 자원 낭비 문제가 야기된다. 따라서, 효과적인 자원 재사용이 가능하게 하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전술한 상황의 관점에서, 잉크 탱크를 샤시 부분에 착탈 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는 일본 공개 특허 출원 제10-202900호의 잉크 카트리지가 제안되었지만, 그러한 종래의 구조는 잉크 탱크가 불안정하여, 안정적인 잉크 공급이 어렵다는 단점을 갖는다.
잉크 카트리지를 잉크 공급 개구(보급 개구)가 하방을 향하는 배향으로 잉크젯 기록 장치의 메인 본체 내에 상방으로부터 집어넣는 경우에, 잉크 탱크는 샤시 부분 내에서 어느 정도 안정된 상태로 유지된다. 한편, 잉크 카트리지를 잉크 공급 개구가 측방향 또는 수평 방향을 향하는 배향으로 메인 본체 내에 전방측으로부터 집어넣는 구성을 사용하는 경우(이하, 그러한 구성을 "전면 장전 구성"이라고 함)에, 잉크 탱크는 경사진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그러한 전면 장전 구조를 사용할 수 없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잉크 카트리지에 있어서는, 조립 또는 분해시에 잉크 수납부의 프레임 본체와 일체로 형성된 유지 부재를 이 유지 부재와 거의 동일한 크기의 개구를 갖는 원통형 케이스 내에 가압하고, 이후에 유지 부재를 원통형 케이스로부터 끌어낼 필요가 있다는 점에서 작업성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잉크 공급시에 원통형 케이스로부터 유지 부재와 함께 잉크 수납부를 착탈함으로써 안정성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더욱이, 잉크 수납부가 유지 부재와 함께 원통형 케이스에 장착된 상태에서 잉크가 공급되는 경우에, 잉크 수납부의 상태를 확인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그러한 구성에서는 잉크의 재충전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필름형 부재(512)가 유지 부재(504)와 단일체를 형성하는 프레임 본체(511)에 부착된 도 1의 잉크 수납부의 구성 때문에, 프레임 본체(511)와 필름형 부재(512) 사이에 쉽게 형성되는 간극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필름형 부재(512)에 외압을 가하기 어려워서, 사용되지 않은 잉크가 잉크 수납부 내에 잔류하게 되는 문제에 이르게 된다.
전술한 문제의 관점에서, 잉크 수납부를 전체가 가요성을 갖는 주머니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한편으로, 잉크 수납부를 가요성 주머니 형태로 구성하는 경우에, 기록 장치 본체에 대한 장탈착 조작성을 향상시키고 추가로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보호 커버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해지고, 그러한 필요성은 잉크의 재충전시에 보호 커버를 갖는 가요성 잉크 주머니의 장탈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하는 문제가 생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사용되지 않은 잉크의 낭비가 최소화되고, 보호 커버에 착탈 가능하게 안정적으로 쉽게 장착될 수 있는 잉크 주머니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그러한 잉크 주머니를 수용하는 잉크 카트리지, 그러한 잉크 카트리지를 사용하는 잉크젯 기록 장치, 상기 잉크 주머니에 잉크를 용이하게 충전하는 잉크 충전 방법, 상기 잉크 주머니에 잉크를 용이하게 재충전하는 잉크 재충전 방법, 상기 잉크 카트리지의 리사이클을 가능하게 하는 리사이클 방법, 상기 잉크 카트리지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고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대략 사각형 형태의 가요성 주머니 본체와, 이 본체의 한 가장자리에 부착된 유지 부재를 구비하는 잉크 주머니를 제공하고, 상기 유지 부재에는 주머니 본체에 잉크를 충전하기 위한 잉크 충전 개구와 주머니 본체 내의 잉크를 배출하기 위한 잉크 배출구가 있고, 상기 잉크 주머니는 이 잉크 주머니를 수용하는 카트리지 케이스에 상기 잉크 주머니를 유지하기 위한 결합부를 더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잉크 주머니는 폭(W) 대 높이(H)의 비(W/H)가 1≤W/H≤1.5 또는 1.5≤1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지 부재의 잉크 충전 개구 및 잉크 배출구는 주머니 본체의 한 가장자리의 대략 중앙부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잉크 주머니의 유지 부재는 카트리지 케이스에 수용되었을 때에 잉크 배출구가 높이 방향으로 카트리지 케이스의 대략 중앙에 위치하는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잉크 충전 개구는 잉크 주머니의 주머니 본체 내에 잉크를 충전한 상태에서 융착에 의해 밀봉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유지 부재는 주머니 본체의 긴 가장자리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지 부재의 잉크 배출구에는 그 선단부의 잉크 출구의 개구 밀봉하기 위한 탄성 부재와, 이 탄성 부재를 유지하도록 마련된 캡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원통형 부분의 외주면은 상기 캡 부재에 마련된 걸림편과 결합하기 위한 단차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탄성 부재는 실리콘 고무, 불소 고무, 부틸 고무 등의 고무 재료로 이루어지는 원주형 부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캡 부재는 탄성 부재를 압박하는 플랜지부를 갖는 원통형 부재로 이루어지고, 원통형 부분에는 내측으로 만곡된 복수 개의 걸림편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잉크 카트리지는 외형 형태가 유사한 적어도 제1 케이스 부분과 제2 케이스 부분을 포함하고, 이들 제1 케이스 부분과 제2 케이스 부분은 단일의 카트리지 케이스를 형성하도록 함께 조립되거나 개별 부품으로 분해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의 잉크 주머니는 잉크 카트리지 내에 수용하고 잉크 주머니의 유지 부재와 제1 케이스 부분에 마련된 결합 수단을 맞물림으로써 조립된다.
본 발명의 잉크젯 기록 장치는 상기 잉크 카트리지가 전방으로부터 장전되는 특징을 갖는다는 것을 유념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잉크 카트리지에 사용되는 잉크 주머니에 잉크를 충전하는 잉크 충전 방법을 제공한다는 것을 유념해야 한다. 잉크는 잉크 주머니 의 유지 부재가 제1 케이스 부분에 결합된 상태에서 잉크 충전 개구로부터 충전된다는 것을 유념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잉크 카트리지에 사용되는 잉크 주머니에 잉크를 재충전하는 잉크 재충전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잉크는 잉크 주머니의 유지 부재가 제1 케이스 부분에 결합된 상태에서 잉크 배출구로부터 재충전된다는 것을 유념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잉크 재충전 방법은 본 발명의 잉크 카트리지에 사용되는 잉크 주머니에 잉크를 재충전하는 것으로서, 잉크 주머니의 주머니 본체의 일부에 파단 부분 또는 천공부를 형성하고, 이 파단 부분을 통해 잉크를 재충전한 후, 파단 부분을 밀봉하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잉크 카트리지의 제조 방법은 잉크가 충전된 잉크 주머니의 유지 부재를 제1 케이스 부분에 결합 후, 제1 케이스 부분에 제2 케이스 부분을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잉크 카트리지의 리사이클 방법은 제1 케이스 부분과 제2 케이스 부분을 서로 분해하고, 잉크 주머니의 유지 부재를 제1 케이스 부분으로부터 분리하여 잉크 주머니를 착탈한 다음, 잉크가 충전된 잉크 주머니의 유지 부재를 제1 케이스 부분의 결합부에 결합하고, 추가로 제1 케이스 부분과 제2 케이스 부분을 조립함으로써 잉크 카트리지를 리사이클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잉크 카트리지 내에 가요성 잉크 주머니를 안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잉크 주머니 유지 부재와, 상기 잉크 주머니 유지 부재가 마련 된 잉크 주머니를 수용하는 잉크 카트리지와, 그러한 잉크 카트리지가 마련된 잉크젯 기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사용된 본 발명의 잉크 주머니 유지 부재는 잉크를 주머니 본체에 충전하기 위해 사용되는 잉크 충전 개구와, 주머니 본체 내의 잉크를 배출하기 위한 잉크 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잉크 주머니 유지 부재는 다른 케이스 절반 본체와 함께 카트리지 케이스를 구성하는 케이스 절반 본체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된 결합 수단과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이 유지 부재는 케이스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유지되도록 대략 사각형 형태를 갖는 주머니 본체의 한 가장자리에 열융착 공정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유지 부재는 주머니 본체에 융착되는 부분에 테이퍼형 가장자리가 있는 연결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부, 잉크 충전 개구 및 잉크 배출구는 플랜지부의 상이한 표면들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플랜지부의 측면에는 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잉크 충전 개구는 열융착에 의해 밀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잉크 카트리지는 잉크 주머니 유지 부재를 갖는 본 발명의 잉크 주머니를 내부에 수용하는 것이라는 점을 유념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잉크젯 기록 장치는 본 발명의 잉크 카트리지가 전방측으로부터 장전될 수 있다는 특징을 갖는다는 것을 유념해야 한다.
그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케이스의 재사용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누출을 야기하지 않으면서 안정적으로 잉크를 공급할 수 있는 잉크 카트리지와, 그러 한 잉크 카트리지를 사용하는 잉크젯 기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케이스 절반 본체 중 적어도 하나에 유지 부재를 유지하는 수단을 갖는 분할된 케이스 절반 본체로 이루어지는 잉크 카트리지를 제공하고, 상기 유지 부재는 잉크 배출구와 함께 형성되고, 유지 부재에 잉크 배출구를 형성하는 잉크 출구의 선단부에 있는 개구를 밀봉하는 탄성 부재와, 잉크 배출구에 부착되어 상기 탄성 부재를 압박하는 캡 부재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잉크 배출구의 외주부에는 캡 부재에 마련된 걸림편과 결합하기 위한 단차부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탄성 부재는 실리콘 고무, 불소 고무, 부틸 고무 등의 고무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캡 부재는 탄성 부재를 압박하는 플랜지부를 갖는 원통형 부재로 이루어지고, 원통형 부분에는 내측으로 만곡된 복수 개의 걸림편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잉크젯 기록 장치는 본 발명의 잉크 카트리지를 전방측으로부터 장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되지 않은 잉크의 낭비가 최소화되고, 보호 커버에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장탈착될 수 있으며, 잉크 공급을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는 잉크 주머니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잉크 주머니를 수용하는 잉크 카트리지와, 그러한 잉크 카트리지를 사용하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관한 잉크 주머니는 가요성을 갖는 주머니 본체에 고정되고 주머니 본체에 잉크를 충전하는 데 사용되는 잉크 충전 개구가 있는 유지 부재와, 상기 주머니 본체 내의 잉크를 배출하기 위한 잉크 배출구를 구비하는 구성을 갖고, 상기 잉크 주머니는 분할된 케이스 절반 본체로 이루어지는 카트리지 케이스에 잉크 주머니를 유지하기 위한 결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카트리지 케이스 내에는 잉크 주머니가 수용된다.
여기서, 상기 잉크 배출구는 주머니 본체 내의 잉크를 배출하기 위한 출구를 형성하는 원통형 부분을 포함하고, 이 원통형 부분은 잉크의 특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원통형 부분은 단일체로서 밀봉하기 위해 출구에 삽입되는 탄성 부재를 유지하는 유지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잉크 배출구는 주머니 본체 내의 잉크를 배출하는 데 사용되는 출구를 밀봉하는 탄성 부재를 갖고, 이 탄성 부재는 잉크의 특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탄성 부재는 잉크의 특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실리콘 고무 또는 실리콘계 고무 등의 고무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잉크 배출구는 주머니 본체 내의 잉크를 배출하기 위한 출구를 밀봉하는 탄성 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캡 부재를 갖고, 상기 캡 부재는 잉크의 특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캡 부재에 마련된 걸림편과 결합하는 단차부가 잉크 배출구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캡 부재는 탄성 부재를 압박하는 플랜지부가 있는 원통형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원통형 부분에는 내측으로 만곡된 복수 개의 걸림편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탄성 부재의 외경(D)과 이 탄성 부재가 삽입되는 부분의 내경(D')의 비(D:D')는 1:0.85 - 1:0.92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탄성 부재의 두께(t)와 이 탄성 부재가 삽입되는 부분의 깊이(H)의 비(t:H)는 1:0.77 - 1:1.0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주머니 본체 내의 잉크가 유동되게 하도록 탄성 부재 내로 관통된 중공 니들의 직경(d)은, 이 중공 니들의 직경(d)과 탄성 부재의 외경(D)의 비가 1:3 - 1:10의 범위 내에 있고, 중공 니들의 직경(d)과 탄성 부재의 두께(t)가 1:1.5 - 1:3.5의 범위 내에 있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잉크 주머니의 유지 부재는 잉크 배출구가 수직 방향으로 유지된 카트리지 케이스의 대략 중앙부에 위치되는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잉크 충전 개구는 잉크가 잉크 주머니의 주머니 본체 내에 충전된 상태에서 융착에 의해 밀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잉크 주머니를 수용하는 본 발명에 따른 잉크 카트리지는 함께 조립되고 개별 케이스 본체로 분해될 수 있도록 외측 형태가 유사한 적어도 제1 및 제2 케이스 절반 본체를 구비하고, 본 발명의 잉크 주머니는 잉크 주머니의 유지 부재가 제1 케이스 절반 본체에 마련된 결합 유지 수단과 결합되도록 잉크 카트리지 내에 수용된다.
또한,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는 본 발명의 잉크 카트리지가 장전되는 구 성을 갖는다.
여기서, 잉크 카트리지는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의 전방측으로부터 장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그 외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첨부 도면과 함께 읽으면 명백해 질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잉크 카트리지의 일례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잉크 카트리지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동 잉크 카트리지의 제3 케이스를 착탈한 상태로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동 잉크 카트리지를 전방으로부터 보여주는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잉크 주머니의 측면도.
도 6은 잉크가 잉크 주머니에 충전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 5의 잉크 주머니를 하방으로부터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잉크 주머니의 주머니 본체를 구성하는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필름을 보여주는 횡단면도.
도 8은 잉크 주머니의 유지 부재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9는 도 8의 유지 부재를 후방으로부터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도 8의 유지 부재를 전방으로부터 보여주는 도면.
도 11은 동 잉크 주머니의 잉크 배출구의 일부를 보여주는 횡단면도.
도 12는 잉크 배출구에 마련된 캡 부재를 보여주는 횡단면도.
도 13은 동 캡 부재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14는 잉크 주머니의 길이 대 폭 비와 정수압 사이의 관계의 측정을 설명하는 도면.
도 15는 잉크 주머니의 길이 대 폭 비와 정수압 사이의 관계의 측정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16은 중공 니들의 측면도.
도 17은 중공 니들의 선단부를 보여주는 확대도.
도 18은 유지부와 캡 부재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는 확대도.
도 19는 본 발명의 잉크 주머니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20은 동 잉크 주머니를 잉크가 충전된 상태로 보여주는 사시도.
도 21은 도 20의 잉크 주머니를 잉크가 충전된 상태로 하방으로부터 본 도면.
도 22는 도 2의 잉크 카트리지의 제1 케이스 부분을 보여주는 측면도.
도 23은 도 2의 잉크 카트리지의 제2 케이스 부분을 보여주는 측면도.
도 24는 도 2의 잉크 카트리지의 제1 케이스 부분을 잉크 주머니가 제1 케이스 부분에 유지된 상태로 보여주는 측면도.
도 25는 본 발명의 잉크 카트리지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6은 본 발명의 잉크 카트리지의 또 다른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7은 본 발명의 잉크 카트리지의 또 다른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8은 동 잉크 카트리지와 기록 장치 본체 사이의 연결을 설명하는 측면 도.
도 29는 도 27의 정면도.
도 30은 본 발명의 잉크 카트리지의 추가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1은 본 발명의 잉크젯 기록 장치를 전방에서 본 사시도.
도 32는 본 발명의 잉크젯 기록 장치를 그 잉크 카트리지 장전부의 커버를 개방한 상태로 보여주는 사시도.
도 33은 잉크젯 기록 장치의 기구부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34는 기구부를 보여주는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잉크 카트리지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잉크 카트리지를 제3 케이스 부분을 착탈한 상태로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 도 4는 동 잉크 카트리지의 정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이 잉크 카트리지(1)는 잉크가 충전되는 잉크 주머니(2)와, 이 잉크 주머니(2)를 수용하는 케이스(3)를 포함한다. 이 케이스(3)는 제1 케이스 부분(11)과, 제2 케이스 부분(12)과, 제3 케이스 부분(13)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케이스 부분(11)과 제2 케이스 부분(12)은 잉크 주머니(2)의 측면을 보호하는 보호 커버로서 작용하는 케이스 부분을 함께 구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잉크 주머니를 수용하는 케이스(3)는 잉크 공급 방향(잉크 배출 방향)에 대해 평행한 평면을 따라 제1 케이스 부분(11)과 제2 케이스 부분(12)으로 분할되어 있다.
우선, 본 발명의 잉크 주머니(2)의 일례를 도 5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상기 잉크 주머니의 측면도, 도 6은 잉크가 충전된 상태로 도 5의 잉크 주머니를 보여주는 하방에서 본 도면, 도 7은 잉크 주머니의 주머니 본체를 구성하는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필름의 횡단면도, 도 8은 잉크 주머니의 유지 부재의 측면도, 도 9는 도 8의 유지 부재를 후방에서 본 도면, 도 10은 도 8의 유지 부재를 전방에서 본 도면, 도 11은 잉크 주머니의 잉크 배출구를 보여주는 횡단면도, 도 12는 도 11의 잉크 배출구에 마련된 캡 부재의 횡단면도, 도 13은 캡 부재를 그 전방에서 본 도면이다.
도 5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잉크 주머니(2)는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대략 사각형(본 실시예에서는 직사각형)의 가요성 주머니 본체(21)와, 이 주머니 본체의 긴 가장자리에 고정(융착)되는 수지 재료의 유지 부재(22)를 포함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머니 본체(21)는 LDPE(low-density polyethylene) 베이스(25) 위에 드라이 라미네이션(26), 알루미늄 필름(27), 드라이 라미네이션(28) 및 PA(low-density polyethylene;29)를 순차 적층한 구조를 갖는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필름(30)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의해,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러한 2장의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필름(30, 30)은 둘레부(도 2의 사선 영역)에서 서로 융착되고, 또한 유지 부재(22)에 융착되어 주머니가 형성된다.
이 주머니 본체(21)의 경우에, 종래의 주머니와 달리, 주머니의 형태를 유지하기 위한 프레임 본체가 마련되지 않고, 그 결과 전체 부분이 가요성을 갖는다는 것을 유념해야 한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은 사용되지 않고 주머니에 잔류하는 소모 잉크를 최소화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주머니 본체(21)가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필름(30)으로 이루어지지만, 주머니 본체(21)에 사용되는 재료는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단, 적어도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필름을 포함하는 재료로 주머니 본체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주머니 본체(21)의 폭(W) 대 높이(H)의 비는 1≤W/H≤1.5 또는 1.5≤1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충분한 정수압을 확보하고 잉크 잔량을 최소화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여기서, 주머니 본체(21)의 형상과 잉크 배출구의 정수압 사이의 관계를 도 14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머니 본체(21)의 형상을 직사각형 형상[폭(W)이 높이(H)보다 큼]을 갖도록 결정하였다. 이에 따라, 실험에서는, 3종의 주머니 본체, 즉 ① 높이(H) ×폭(W)이 9O ×116(1:1.29)인 것, ② 높이(H) ×폭(W)이 70 ×106(1:1.5)인 것, ③ 높이(H) ×폭(W)이 50 ×126(1:2.52)인 것인 2 종류의 주머니 본체를 준비하였다. 또한, 케이스(3)로서 두께가 다른 2개의 케이스(얇은 종류와 두꺼운 종류)를 준비하였다.
또한, 주머니 본체와 케이스의 다양한 조합의 경우에, 잉크 잔량과 잉크 배 출구의 정수압 사이의 관계를 측정하였다. 이 결과를 도 15에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50 ×126의 크기와 두꺼운 케이스의 조합에 대해서는 측정이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것을 유념해야 한다.
서브 탱크에 대한 잉크의 안정적인 공급을 위해, 잉크 배출구에서는 약 O(gf/㎠)의 정수압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유념해야 한다.
이제, 도 15의 결과를 평가하면, 주머니의 폭(W) 대 높이(H)의 비(W/H)가 1:1.29인 상기 ①의 경우에는, O(gf/㎠) 근처에서 잉크 잔량에 관계없이 안정적인 정수압이 달성된다는 것을 알 수 있지만, 주먼 본체의 폭 대 높이의 비(W/H)가 1:1.5인 상기 ②의 경우에는, 100 g의 목표량보다 작은 양인 약 70 g의 잉크 충전시 잉크 배출구에서의 정수압이 2(gf/㎠)(얇은 종류) 또는 4(gf/㎠)(두꺼운 종류)로 급상승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폭 대 높이의 비(W/H)가 1:2.52인 상기 ③의 경우의 주머니 본체에서는, 100 g의 목표량을 충전하려고 약 50 g의 잉크가 충전될 때 잉크 배출구에서의 정수압이 급상승하고 있다.
이것으로부터, 케이스(3)의 두께에도 의존하지만, 주머니 본체(21)의 폭 대 높이의 비(W/H)가 1 - 1.5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유지 부재(22)는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랜지부(31)의 한 측면에 주머니 본체(21)를 융착하는 단일의 연결부(32)를 구성하고, 플랜지부(31)의 다른 측면에는 중공의 잉크 충전 개구(33) 및 중공의 잉크 배출구(34)가 단일체(융착 전의 상태로 도시됨)로서 형성되어 있다는 것을 유념해야 한다.
여기서, 연결부(32)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지 부재(22)의 양단부(긴 가장자리의 단부들)를 테이퍼형으로 형성함으로써 대략 마름모 형태를 갖는다는 것을 유념해야 한다. 또한, 외주면에는 오목부(32a)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주머니 본체(21)를 형성하는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필름(30, 30)을 간극없이 연결부(32)의 외주면에 융착할 수 있다.
잉크 충전 개구(33)의 내부에는 잉크를 충전하는 데 사용되는 관통 구멍(35)이 형성되어 있어, 이 관통 구멍(35)이 플랜지부(31) 및 또한 연결부(32)를 관통하고, 잉크 주머니(2)에 잉크를 충전한 후 융착함으로써 잉크 충전 개구가 밀봉된다[도 5 및 도 6에 밀봉부(36)로서 도시되어 있음]. 잉크 충전 개구(33)를 열융착 공정에 의해 밀봉함으로써, 확실한 밀봉이 용이하게 달성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잉크 배출구(34)에는 단일체를 형성하는 원통형 부분(37) 및 밀봉 부재 유지부(38)와, 원통형 부분(37)과 밀봉 부재 유지부(38) 사이에 형성되는 격실(39)이 있다. 또한, 원통형 부분(37)에는 플랜지부(31)와 연결부(32)를 관통하는 잉크 출구(40)가 형성되고, 밀봉 부재 유지부(38)에는 잉크 출구(40)를 밀봉하는 탄성 부재(45)를 삽입하는 개구(4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외주면에는 원통형 부분(37)과 밀봉 부재 유지부(38) 사이에 캡 부재를 장착하는 단차부(42)가 형성되어 있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 부재(45)는 잉크 출구(40)를 밀봉하도록 잉크 배출구(34)의 밀봉 부재 유지부(38)의 개구(41) 내로 삽입되고, 이 탄성 부재(45)는 캡 부재(46)에 의해 덮여 있다.
탄성 부재(45)는 밀봉을 유지할 수 있는 형상을 갖는 것으로, 원주형(원형 단면), 삼각 기둥형, 사각 기둥형, 오각 기둥형, 육각 기둥형, 칠각 기둥형, 팔각 기둥형 등 중에 어느 하나이더라도 좋다.
도 12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캡 부재(46)는 탄성 부재(42)의 림 부분을 압박하는 플랜지부(47a)가 있는 원통형 부분(47)을 포함하고, 플랜지부(47a)의 내주면에는 기록 장치 측면으로부터 공급 니들을 집어넣기 위한 구멍(48)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원통형 부분(47)에는 내측으로 만곡된 복수 개의 걸림편(4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멍(48)의 형상은 원형에 한정되지 않고,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칠각형, 팔각형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되어도 좋다
이 캡 부재(46)를 잉크 배출구(34)의 유지부(38)에 삽입함으로써,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편(48)이 잉크 배출구(34)의 원통형 부분(37)과 유지부(38) 사이에 형성된 단차부(42)와 결합하고, 이에 의해 캡 부재(46)가 더 이상 빠지지 않게 된다.
여기서, 잉크 배출구(34)의 원통형 부분(37)과 유지부(38)는 고밀도 폴리에틸렌과 같이 잉크의 특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재료로 이루어진다는 것을 유념해야 한다. 이에 의해, 출구(40)에 의해 형성되어 항상 잉크에 노출되는 원통형 부분(37) 등이 잉크에 용해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탄성 부재(45)는 실리콘 또는 실리콘계 고무 재료와 같이 잉크의 특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잉크에 항상 노출되는 밀봉 부재를 형성하는 탄성 부재가 잉크에 용해되어 폐색을 일으키는 문제가 제거된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탄성 부재는 기록 장치로 잉크를 도입하는 데 사용되는 잉크 도입 수단으로서 중공의 공급 니들(111)을 기록 장치의 측면으로부터 찔러 넣을 때 밀봉 상태를 유지하면서 기록 장치에 대한 잉크 공급을 가능하게 한다.
여기서, 탄성 부재(45)는 중공의 공급 니들(111)이 찔러 넣은 상태로 남아 있거나, 일단 찔러 넣은 중공의 공급 니들(111)이 잡아 뺀 후에 남아 있는 가능성의 관점에서, 중공의 공급 니들(111)이 찔러 넣은 후에 취출된 경우라도 신뢰성 있는 밀봉 상태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도 16과 도 17을 참조하여 중공의 니들(111)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이 중공의 니들(111)은 그 내부에 잉크 도입 경로(112)가 형성된 원통형 부재로서, 말단 원주면에 형성된 잉크 주입 구멍(113)을 갖는다. 잉크 주입 구멍(113)을 중공 니들(111)의 말단부의 측면에 형성함으로써, 중공 니들은 그 선단부에 날카로운 끝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어, 그 내부에 흠이나 공극을 야기하지 않으면서 니들(111)을 탄성 부재(45)로 쉽게 관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탄성 부재(45)가 손상을 입고, 그 손상된 파편이 잉크 주입 구멍(113)을 폐색하는 문제가 생기지 않는다.
또한, 캡 부재(46)는 잉크의 특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스테인레스강 등의 재료로 형성된다는 것을 유념해야 한다. 이에 의해, 탄성 부재(45)와 접촉하는 플랜지부(47a)가 잉크와 접촉된 경우라도 부식 또는 침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탄성 부재(45)의 재료에 관한 실험의 결과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잉크 주머니(1)의 잉크 배출구(34)에 마련된 탄성 부재(45)에 대해 EDPM + Si의 탄성 재료를 사용하는 실험에 있어서, 35%의 습도, 50℃의 온도에서 중공 니들(111)을 찔러 넣은 상태에서 약 1주일 동안 탄성 부재(45)를 방치한 후에 중공 니들(111)을 제거한 경우에 니들 구멍에서 잉크 누출이 발생되었다는 것을 관찰하였다.
그래서, 본 발명의 발명자는, EPDM + Si(경도 40°, 두께 t = 2 mm), 불소 고무(경도 55°, 두께 t = 2 mm), 부틸 고무(경도 50°, 두께 t = 2 mm), 실리콘 고무(경도는 알려지지 않고 두께 t = 2 mm인 시판 제품), 실리콘 고무(경도 40°, 두께 t = 2 mm), 및 실리콘 고무(경도 50°, 두께 t = 2 mm)를 비롯하여 다양한 고무 재료에 대하여, 중공 니들을 찔러 넣은 상태로 35%의 습도, 50℃의 온도에서 중공 니들(111)을 3일 동안 방치한 후에 잡아 뺀 경우에, 중공 니들(111)을 찔러 넣은 고무판에 빛이 통과하는 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아래의 표 은 상기 결과를 요약하는데, ×는 빛의 통과가 관측된 경우를 나타내고, O는 빛이 통과가 관측되지 않은 경우를 나타낸다는 것을 유념해야 한다.
재료 평가
EPDM+Si(40°, t=2 mm) X
EPDM+Si(50°, t=2 mm) X
불소(55°, t=2 mm) X
부틸(50°, t=2 mm) X
상업용 실리콘(t=2 mm) O
실리콘(40°, t=2 mm) O
실리콘(50°, t=2 mm) O
이 표 1의 결과로부터, (EDPM + Si)의 탄성 부재의 경우, 중공 니들을 찔러 넣은 구멍은 크립 변형을 일으켰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 경우에, 탄성 부재를 직경 방향을 향해 압착 삽입하여 어느 정도로 구멍의 직경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지만, 시간 경과에 의한 변형의 증가는 피할 수 없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른 한편으로, Si 고무가 탄성 부재(45)로서 사용되는 경우에 중공 니들의 삽입 또는 취출에 의해 잉크 누출이 발생하지 않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음에, 탄성 부재(45)의 외경(D)과 탄성 부재(45)가 삽입되는 유지부(38)의 개구(41)의 내경(D') 사이의 관계에 관한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중공 니들(111)을 삽입하고 취출하는 탄성 부재(45)는 중공 니들(111)을 취출한 경우에 잉크 누출을 피하기 위하여 원래의 밀봉 상태로 복원하는 것이 요구된다. 따라서, 탄성 부재(45)는 직경 방향으로 압착된 상태에서 유지부(38)의 개구(41)에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탄성 부재(45)의 외경(D)과 탄성 부재(45)가 삽입되는 유지부(38)의 개구(41)의 내경(D')을 변화시켜 광로에 관한 평가를 행하였다. 이 실험에서, 탄성 부재(45)의 재료로는 실리콘 고무를 사용하였다.
아래의 표 2는 그 결과를 요약한다.
탄성 부재의 외경 D 유지 부재의 내경 D' D'/D 평가
5.5 4.5 0.82 X
5.4 4.6 0.85 O
5.3 4.7 0.89 O
5.2 4.8 0.92 O
5.1 4.9 0.96 X
표 2로부터 알 수 있듯이, 탄성 부재(45)의 외경(D)과 유지부(38)의 개구 (41)의 내경(D') 간의 비(D:D')를 1:0.85 - 1:0.92의 범위 내에 있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비(D'/D)가 0.85보다 작으면, 탄성 부재(45)의 압축이 과도하게 되어 탄성 부재(45)를 개구(41)에 삽입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한편, 상기 비(D'/D)가 0.95를 초과하면, 탄성 부재(45)의 압축이 너무 작게 되어 밀봉 상태의 복원이 불충분해져서 잉크 누출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어서, 탄성 부재의 두께(t)와 이 탄성 부재가 삽입되는 유지부(38)의 개구(41)의 깊이(높이)(H) 간의 관계를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탄성 부재(45)는 유지부(38)의 개구(41) 내로 삽입된 후에 캡 부재(46)의 플랜지부(47a)에 의해 유지되고, 캡 부재(46)는 걸림편(49)과 단차부(42)의 결합의 결과로서 유지부(38)의 외주에 유지된다.
따라서, 탄성 부재(45)의 두께(t)가 유지부(38)의 개구(41)의 깊이(높이)(H) 이하인 경우, 탄성 부재(45)를 캡 부재(46)에 의해 더 이상 유지할 수 없게 된다. 한편, 두께 방향으로 탄성 부재(45)의 압축이 과도한 경우에는, 캡 부재(46)가 탄성 부재(45)의 복원력에 의해 빠질 수도 있다는 위험이 있다.
이어서, 탄성 부재(45)의 두께(t)와 이 탄성 부재(45)가 삽입되는 유지부(38)의 개구(41)의 깊이(H)를 서로 다양하게 변화시킨 후에, 빛의 전달에 관해 평가를 행하였다. 실험에 있어서, 탄성 부재(45)의 재료로는 실리콘 고무를 사용하였다.
표 3은 상기 실험의 결과를 나타낸다.
탄성 부재의 두께 t 유지부의 깊이 H H/t 평가
2.8 1.65 0.59 X
2.6 1.75 0.67 X
2.4 1.85 0.77 O
2.2 1.95 0.89 O
2.1 2.05 0.98 O
2.0 2.10 1.03 X
상기 표 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탄성 부재(45)의 두께(t)와 유지부(38)의 개구(41)의 깊이(H) 간에 비(t:H)는 1:0.77 - 1.1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H/t)가 0.77보다 작으면, 탄성 부재(45)의 압축이 과도하게 되어, 캡 부재(46)의 걸림편(49)이 변형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비가 1을 초과하면, 더 이상 탄성 부재(45)를 캡 부재(46)에 의해 유지할 수 없게 된다.
이어서, 중공 니들(도 17 참조)의 직경(d)과 탄성 부재의 외경(D)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중공 니들(111)을 탄성 부재에 찔러 넣고 잡아 뺀다는 관점에서 탄성 부재(45)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중공 니들(45)의 직경(d)과 탄성 부재의 직경 간의 관계를 적절히 설정하는 것이 탄성 부재(45)에 필요하다.
그래서, 중공 니들(111)의 직경(d)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한편, 탄성 부재(45)의 직경(D)을 변화시켜 실험을 행하였다. 이 실험에서, 탄성 부재(45)의 재료로는 실리콘 고무를 사용하였다.
표 4는 그 실험 결과를 나타낸다.
중공 니들의 직경 d 탄성 부재의 외경 D D/d 평가
1.28 2.56 2 X
3.20 2.5 X
3.84 3.0 O
5.20 4 O
8.96 7 O
12.80 10 O
15.36 12 X
이 표 4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중공 니들의 직경(d)과 탄성 부재의 외경(D) 간의 비(d:D)를 1:3 - 1:10의 범위에 있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D/d)가 3보다 작으면, 중공 니들(111)을 둘러싸는 탄성 부재(45)의 여백이 감소되어, 탄성 부재(45)가 쉽게 크랙킹을 받는다. 한편, 상기 비가 10을 초과하면, 탄성 부재(45)의 직경 방향으로 중공 니들(111)의 안정성이 중공 니들(111)이 삽입될 때에 떨어지게 된다.
이어서, 중공 니들의 직경(d)과 탄성 부재의 두께(t) 간의 관계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탄성 부재(45)에 관해 전술한 바와 같이, 중공 니들(111)을 삽입하고 잡아 빼며, 중공 니들(111)이 탄성 부재(45)를 관통하고, 중공 니들(111)의 칩입이 방해받지 않으며, 중공 니들(111)을 취출하더라도 밀봉 상태가 유지된다는 관점에서, 중공 니들(111)의 직경과 탄성 부재의 두께 간의 관계를 적절히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래서, 중공 니들(111)의 직경(d)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한편, 탄성 부재(45)의 두께(t)를 다양하게 변화시키는 실험을 행하였다. 이 실험에서, 탄성 부재(45)의 재료로는 실리콘 고무를 사용하였다.
표 5는 상기 실험의 결과를 요약한다.
중공 니들의 직경 d 탄성 부재의 두께 t t/d 평가
1.28 1.8 1.41 X
2.0 1.56 O
2.3 1.8 O
3.0 2.34 O
3.5 2.73 O
4.0 3.13 O
4.5 3.5 O
5.0 3.91 X
5.5 4.30 X
표 5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중공 니들의 직경(d)과 탄성 부재(45)의 두께(t) 간의 비(d:t)가 1:1.5 - 1:3.5의 범위 내에 있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t/d)가 1.5보다 작으면, 탄성 부재(45)가 너무 얇아져서 중공 니들(111)을 탄성 부재(45)에 삽입할 때 손상을 받기 쉽다. 또한, 중공 니들(111)을 취출한 후에 형성된 구멍이 완벽하게 밀폐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상기 비가 3.5를 초과하면, 천공을 위해 중공 니들(111)을 탄성 부재(45)에 찔러 넣을 때의 저항이 너무 커지게 된다.
여기서, 유지 부재(22)의 잉크 배출구(3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 방향으로 잉크 주머니(2)의 대략 중앙부에 위치된다는 것을 유념해야 한다. 이에 의해, 잉크 출구가 카트리지의 일단부를 향해 편향되게 마련된 도 1의 경우에 비해 직립 상태(도 2의 상태)의 잉크 카트리지(1)를 사용하면 잉크 주머니(2)의 주머니 본체(21) 내의 잉크 흐름이 원활하게 되어, 사용되지 않은 잉크를 남겨 두지 않고 잉크를 사용해 버릴 수 있다.
더욱이, 유지 부재(22)에는 후술하는 제1 케이스 부분(11) 상에 마련된 걸림 갈고리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51, 52)가 단일체로서 마련되어 있다. 또한, 결합부(51, 52)에 대응하는 플랜지부(31)의 측벽에는 결합부(51, 52)에 각각 대응하게 홈(31a, 31b)이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잉크 주머니(2)는 유지 부재(22)가 대략 사각형 형태의 가요성 주머니 본체의 가장자리에 고정되는 구성을 갖고, 상기 유지 부재(22)에는 주머니 본체(21)에 잉크를 충전하기 위해 사용되는 잉크 충전 개구(33)와 주머니 본체 내의 잉크를 배출하기 위한 잉크 배출구(34)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결합부(51)를 제공하는 결과로서, 그리고 잉크 주머니(2)가 수용되는 카트리지 케이스(3)에 잉크 주머니(2)를 유지하기 위하여, 주머니 내의 잉크 잔량은 최소화되고, 잉크 주머니(2)는 보호 커버로서 작용하는 케이스(3)에 착탈 가능하게 안정적으로 쉽게 부착될 수 있다.
한편, 유지 부재(22)의 잉크 배출구(34)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높이 방향으로 잉크 주머니(2)의 대략 중앙에 위치된다. 또한, 잉크 배출구(34)는 잉크 주머니(2)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잉크 카트리지(1) 내에 유지되는 경우에 잉크 배출구(34)가 케이스(3)의 대략 중앙에 위치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의해, 잉크 주머니(2)의 주머니 본체(21) 내에 잉크의 흐름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잉크 출구가 일단부를 향해 편향되게 마련된 경우에 비해 직립 상태(도 2의 상태)의 잉크 카트리지(1)를 사용하면 원활하게 되어, 확실히 잉크를 사용해 버릴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유지 부재(22)에는 후술하는 제1 케이스 부분(11) 에 마련된 걸림 갈고리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51, 52)가 단일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결합부(51, 52)에 대응하는 플랜지부(31)의 측면에는 홈(31a, 31b)이 형성되어 있다. 그 결과, 제1 케이스 부분(11)과 제2 케이스 부분(12)의 접촉 영역이 감소되어, 케이스(3)의 측면에서 보다 안정적인 유지가 달성된다.
이 방식으로, 잉크 주머니(2)는 본 발명의 잉크 주머니 유지 부재를 구성하는 유지 부재(22)에 부착되어, 상기 유지 부재(22)가 대략 사각형의 가요성 주머니 본체(21)의 가장자리에 고정되고, 상기 유지 부재(22)는 주머니 본체(21)에 잉크를 충전하기 위한 잉크 충전 개구(33)와, 주머니 본체 내의 잉크를 배출하기 위한 잉크 배출구(34)를 포함한다. 또한, 유지 부재(22)는 잉크 주머니(2)를 카트리지 케이스(3)에 유지하기 위한 결합부(51, 52)를 포함하여, 주머니 내에 사용되지 않은 잉크 잔량을 최소화하면서 보호 커버로서 작용하는 케이스(3)에 잉크 주머니(2)를 착탈 가능하고 쉽게 안정적으로 장착할 수 있게 된다.
유지 부재(22)의 잉크 배출구(34)의 말단부가 개구를 밀봉하는 탄성 부재(45)와, 이 탄성 부재(45)를 압박하는 캡 부재(46)를 구비하기 때문에, 탄성 부재(45)의 복원력에 의해 확실한 밀봉이 형성되고, 잉크 카트리지(1)가 기록 장치의 본체에 반복적으로 장착 및 분리되고, 기록 장치의 (잉크를 기록 장치에 도입하기 위한 잉크 도입 수단으로 사용되는)공급 니들을 잉크 배출구(34)에 반복적으로 찔러 넣을지라도, 잉크 누출이 제거되며, 잉크를 기록 장치에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제2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잉크 주머니의 다른 실시예를 도 19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9는 잉크 주머니의 측면도, 도 20은 동 잉크 주머니를 잉크가 충전된 상태로 도시하는 사시도, 도 21은 도 20의 잉크 주머니의 저면도이다.
상기 잉크 주머니(2)는 2장의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필름(30, 30)으로 이루어지는 주머니 본체(21)를 포함하고, 또한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필름(30)으로 이루어지는 후방부(저면부)(21a)가 후방측에 마련되어 있다는 것을 유념해야 한다. 그러한 3장의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필름(30)을 이용함으로써, 잉크 주머니(2)의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잉크 카트리지(1)의 케이스의 구성을 도 22 및 도 2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2는 잉크 카트리지(1)의 제1 케이스 부분(11)의 측면도, 도 23은 잉크 카트리지(1)의 제2 케이스 부분(12)의 측면도이다.
잉크 카트리지(1)의 케이스(3)는 단일의 대략 직사각형 본체로부터 분할된 대략 동일한 형태의 제1 케이스 부분(11)과 제2 케이스 부분(12)을 조립하여 형성되고, 그 전방 하부에는 제3 케이스 부분(13)이 부착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1)의 조립 상태에서, 그 후방측에는 잉크 카트리지(1)의 기록 장치 본체로의 장착탈시에 파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오목부(61) 및 걸림부(6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그 전면측에는 잉크젯 기록 장치의 본체에 대해 잉크 배출구(34)와 정렬되는 개구(73)가 형성되어 있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케이스 부분(11)은 대략 직사각형의 외측 형태를 갖는 것으로서, 그 외주부에는 상기 오목부(61)와 걸림부(62)를 절반으로 분할한 형태의 오목부(61A) 및 걸림부(62A)와, 제1 케이스 부분(11)과 제2 케이스 부분(12)으로 잉크 주머니(2)를 유지한 상태로 잉크 충전 장치에 의해 충전을 행하기 위해서 잉크 충전 장치가 진입 가능한 공간을 형성하는 절취부(63A)와, 기록 장치 본체로의 장전, 잉크 충전 장치로의 장전에 사용되는 안내부(64, 65)를 단일체의 형태로 포함한다.
또한, 제1 케이스 부분(11)의 내벽면의 세 가장자리에는 후술하는 제2 케이스 부분(12)의 걸림 갈고리와 결합하는 결합부(66a, 66b, 66c)가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제1 케이스 부분(11)의 내벽면에는 잉크 주머니(2)의 유지 부재(22)를 유지하기 위하여, 유지 부재(22)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부(67, 68)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유지 부재(22)의 결합용 돌출부(51, 52)를 유지하는 걸림 갈고리(71, 72)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위치 결정부(67, 68)와 걸림 갈고리(71, 72)는 잉크 주머니(2)의 유지 부재(22)를 유지하는 유지 수단 또는 맞물림 유지 수단(맞물어 유지하는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제1 케이스 부분(11)의 전면(장치 본체에 장전할 때의 전면)에는 상기 개구(73)의 일부를 형성하는 1/4의 원호 부분(73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케이스 부분(11)에는 제3 케이스 부분(13)을 부착할 때에 제3 케이스 부분(13)의 걸림 갈고리와 결합하기 위한 오목부(79)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케이스 부분(12)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케이스 부분 (11)과 대략 유사한 외관을 갖고, 그 외주부에는 상기 오목부(61) 및 걸림부(62)를 절반으로 각각 분할한 형태의 오목부(61B) 및 걸림부(62B)와, 제1 케이스 부분(11) 및 제2 케이스 부분(12)으로 잉크 주머니(2)를 유지한 상태로 잉크 충전 장치에 의해서 잉크의 충전을 행하기 위하여 잉크 충전 장치가 진입 가능한 공간을 형성하는 절취부(63B)와, 잉크 카트리지(1)의 잉크 주머니(2)에 충전된 잉크의 색을 지시하는 돌기로 이루어지는 식별 수단(84)을 포함한다.
또한, 제2 케이스 부분(12)의 내벽면의 세 가장자리에는 상기 제1 케이스 부분(11)의 결합부(66a, 66b, 66c)에 각각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86a, 86b, 86c)가 단일체 형태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케이스 부분(12)의 내벽면에는 잉크 주머니(2)의 유지 부재(22)와 결합하기 위한 홈이 있는 결합부(87, 88)가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제2 케이스 부분(12)의 전면(장치 본체에 장전할 때의 전면)에는 상기 개구(73)의 일부를 형성하는 약 1/4의 원호 부분(73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케이스 부분(12)에는 제3 케이스 부분(13)을 부착할 때에 제3 케이스 부분(13)의 걸림 갈고리와 결합하기 위한 오목부(89)가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케이스 부분(13)은 제1 케이스 부분(11)과 제2 케이스 부분(12)을 조립한 상태로 제1 케이스 부분(11) 및 제2 케이스 부분(12)의 잉크 공급측 전면의 절취부(63A, 63B)에 삽입된다. 이 제3 케이스 부분(13)에는 제1 케이스 부분(11) 및 제2 케이스 부분(12)의 결합 오목부(79, 89)에 각각 결합하는 걸림 갈고리(91, 92)가 마련되고, 전술한 개구(73)의 일부를 형성하는 1/2의 원호 부분(73C)을 더 포함하고 있다.
그러한 구성의 결과로서, 잉크 카트리지(1)는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잉크 주머니(2)의 유지 부재(22)를 제1 케이스 부분(11)의 위치 결정부(67, 68)를 이용하여 위치 결정하면서 압박함으로써 제조(조립)된다. 이에 의해, 제1 케이스 부분(11)의 걸림 갈고리(71, 72)가 잉크 주머니(2)의 유지 부재(22)의 돌출부(51, 52)와 각각 결합되고, 이에 따라 유지 부재(22)가 제1 케이스 부분(11)에 유지된다.
그 후, 제2 케이스 부분(12)을 제1 케이스 부분(11) 위에 위치시키고 제1 케이스 부분(11)과 제2 케이스 부분(12)을 서로 압착한다. 이에 의해, 제2 케이스 부분(12)의 걸림 갈고리(86a - 86c)가 제1 케이스 부분(11)의 결합부(66a - 66c)에 결합되어, 제1 케이스 부분(11)과 제2 케이스 부분(12)의 조립체(도 3 참조)가 달성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케이스 부분(13)을 제1 케이스 부분(11) 및 제2 케이스 부분(12)에 끼워맞춤으로써, 제3 케이스 부분(13)의 걸림 갈고리(91, 91)가 제1 케이스 부분(11) 및 제2 케이스 부분(12)의 대응 오목부(79, 89)에 결합하게 된다. 이에 의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잉크 카트리지(1)가 완성된다.
또한, 잉크 카트리지(1)로부터 잉크 주머니(2)를 추출하여 신규의 잉크 주머니(2)로 교체함으로써 잉크 카트리지(1)를 리사이클할 때에는, 반대 순서로, 제3 케이스 부분(13)을 제거하고 제2 케이스 부분(12)과 제1 케이스 부분(11)을 분해한 다. 여기서, 제3 케이스 부분(13)과 제1 케이스 부분(11) 및 제2 케이스 부분(12)은 걸림 갈고리와 대응 오목부에 의해 가볍게 결합되기 때문에, 용이하게 분해될 수 있다는 것을 유념해야 한다.
여기서, 제3 케이스 부분(13)을 반복적으로 사용하면 걸림 갈고리가 손상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유념해야 한다. 한편, 사용자는 제3 케이스 부분(13)을 단순히 착탈함으로써 걸림 갈고리의 상태를 검사할 수 있다. 따라서, 걸림 갈고리가 손상되었다면 제3 케이스 부분을 폐기함으로써, 사용자의 작업 공정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잉크가 충전된 신규의 잉크 주머니(2)를 사용하거나 사용한 잉크 주머니(2)에 잉크를 충전한 후 사용하고, 잉크 카트리지(1)를 전술한 순서로 조립함으로써, 리사이클한 잉크 카트리지(1)가 완성된다.
여기서, 잉크 주머니(2)에 잉크를 충전하는 절차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 절차에 있어서, 잉크 주머니(2)의 유지 부재(22)를 제1 케이스 부분(11)에 유지한 상태로 잉크 충전 개구(33) 내에 중공의 충전 니들을 삽입한다. 이 상태에서 잉크를 외측으로부터 공급함으로써, 주머니 본체(21) 내에 잉크가 충전된다.
여기서, 제1 케이스 부분(11)에 의해 잉크 주머니(2)가 유지된 상태로 잉크 주입을 행할 수 있고, 잉크 주머니(2)의 상태를 확인하면서 잉크를 공급할 수 있다는 것을 유념해야 한다. 또한, 잉크 주머니(2)가 잉크의 충전 절차 동안 제1 케이스 부분(11)에 의해 유지되기 때문에, 잉크 충전시에 잉크 주머니(2)는 안정된 상 태로 유지된다.
잉크 주머니(2)의 주머니 본체(21)로의 잉크 충전이 완료되면, 열압력 헤드가 양측으로부터 잉크 충전 개구(33)에 가압됨으로써, 열압력 헤드에 의한 융착 공정의 결과로서 잉크 충전 개구(33)기 밀봉된다.
이어서, 사용된 잉크 주머니(2)에 잉크를 충전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잉크 배출구(34)에 중공의 충전 니들을 집어넣어 잉크를 외측으로부터 공급한다. 이에 의해, 주머니 본체(21) 내에 잉크가 충전된다. 이 때, 이 절차는 잉크 주머니(2)가 자립 상태에서 적용되거나, 잉크 주머니(2)가 전술한 제1 케이스 부분(11)에 의해 유지되는 상태에서 적용되어도 좋다. 이에 따라, 잉크 주머니(2)에 대한 잉크의 재충전을 용이하게 달성한다.
또한, 잉크 주머니(2)의 주머니 본체(21)의 일부를 파단하거나, 그 일부에 구멍을 천공하고 그러한 구멍으로부터 주머니 본체(21)에 잉크를 충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 상기 파단부 또는 천공부는 재충전 공정 후에 밀봉 부재에 의해 밀봉된다. 또한, 잉크 충전 개구(33)에 충분한 길이가 있는 경우에, 밀봉부(36)를 절단하고, 초기 충전 공정과 유사하게 잉크 충전 개구(33)를 통해 잉크의 재충전을 행할 수 있다. 그 후, 잉크 충전 개구(33)는 열 융착 공정에 의해 밀봉된다.
이와 같이 사용한 잉크 주머니(2)에 대한 잉크의 재충전 후, 전술한 바와 유사하게 잉크 카트리지 케이스(3)를 조립하여, 잉크 주머니(2)를 수용한 잉크 카트 리지(1)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잉크 카트리지(1)는, 잉크 주머니의 유지 부재를 유지하는 제1 케이스 부분와, 제1 케이스 부분과 외측 형태가 유사한 제2 케이스 부분과, 제1 케이스 부분 및 제2 케이스 부분과 조립한 상태로 결합하는 제3 케이스 부분을 사용함으로써, 분해 및 재조립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잉크 주머니의 교체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잉크 주머니의 유지 부재를 분할된 절반을 형성하는 제1 케이스 부분과 제2 케이스 부분으로 유지하는 구성 때문에, 그리고 제1 케이스 부분과 제2 케이스 부분이 잉크 공급 방향에 대해 평행한 평면을 따라 분할되기 때문에, 전면 장전 구성을 채용하더라도 잉크 주머니의 자세가 안정되어, 안정적인 잉크 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걸림 갈고리와 결합부 간의 관계는 전술한 실시예와 비교해서 반대로 될 수도 있다는 것을 유념해야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케이스 부분과 제2 케이스 부분의 상호 결합을 위해 제1 케이스 부분에 걸림 갈고리를, 제2 케이스 부분에 결합부를 제공하거나, 이와 달리 제1 케이스 부분, 제2 케이스 부분 및 제3 케이스 부분 간의 결합을 위해 제1 케이스 부분 및 제2 케이스 부분에 걸림 갈고리를, 제3 케이스 부분에 결합부(결합 오목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지금까지는 잉크 카트리지(1)를 수직 상태로 잉크젯 기록 장치의 전면으로부터 장전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잉크 카트리지(1)를 수평 상태로 전면으로부터 장전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이어서, 잉크 카트리지(1)의 다른 실시예를 도 25 내지 도 30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5의 실시예는 제1 케이스 부분(11) 및 제2 케이스 부분(12)의 외면에 라벨(101)을 붙임으로써, 제3 케이스 부분(13)의 걸림 갈고리(91)와 제1 케이스 부분(11) 및 제2 케이스 부분(12) 간의 결합을 보강한 것이다. 이에 따라, 잉크 카트리지(1)를 빈번하게 삽입 및 착탈하는 경우에도, 제3 케이스 부분(13)이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6의 실시예는 나사 부재(102)를 체결함으로써, 제1 케이스 부분(11) 및 제2 케이스 부분(12)을 고정한다는 것을 유념해야 한다. 이에 따라, 잉크 카트리지(1)를 빈번하게 삽입 및 착탈하는 경우에도 케이스 부분(3)이 분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7의 실시예는 잉크 주머니(2)의 잉크 배출구(34) 및/또는 잉크 배출구(34)의 말단부에 마련된 캡 부재(42)의 측면에 위치되도록 절취부(69A, 69B)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또 제3 케이스 부분(13)에도 잉크 주머니(2)의 잉크 배출구(34) 및/또는 잉크 배출구(34)의 말단부에 마련된 캡 부재(42) 측면에 절취부(99)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잉크 카트리지의 케이스를 얇게 한 경우, 기록 장치측으로부터 잉크 배출구(34)에 니들을 삽입할 때에 니들 둘레에 마련되는 니들 가드가 제1 케이스 부분(11), 제2 케이스 부분(12) 혹은 제3 케이스 부분(13)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잉크 카트리지(1)의 잉크 배출구(34)에 기록 장치 본체측으로부터 니들(111)을 찔러 넣어 잉크 주머니(2)와 잉크젯 기록 장치의 잉크 공급계 간의 접속을 달성하며, 이 경우에, 기록 장치측에는 니들(111)을 보호하기 위해 니들(111) 둘레에 니들 가드(112)가 마련되어 있다.
잉크 카트리지(1)의 두께가 얇아지면, 개구(73)만으로서는 니들 가드(112)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를 확보할 수 없게 된다. 한편, 개구(57)에 연속해서 그 측부에 있는 케이스 부분(11, 12, 13)에서 잉크 배출구(34) 및/또는 캡 부재(42)의 측면에 절취부를 마련함으로써,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니들 가드(112)가 케이스와 접촉하는 일 없이 개구(73) 내로 침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해 잉크 카트리지의 두께를 더욱 얇게 할 수 있게 된다.
도 30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케이스 부분(11) 및 제2 케이스 부분(12)에 는 잉크 수납 수단으로 작용하는 잉크 주머니(2)의 잉크 배출구(34) 및/또는 잉크 배출구(34)의 말단부에 마련된 캡 부재(46)의 측면에 절취부(69A, 69B)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절취부(69A, 69B)의 위치에 따라서는 제3 케이스 부분(13)에 절취부를 형성하지 않은 것도 가능하다.
다음에, 전술한 잉크 카트리지를 사용하는 잉크젯 기록 장치의 일례를 도 31 내지 도 3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1은 본 발명의 잉크젯 기록 장치의 전방에서 본 사시도, 도 32는 도 31의 잉크젯 기록 장치의 잉크 카트리지 장전부를 커버가 개방된 상태로 도시하는 사시도, 도 33은 잉크젯 기록 장치의 기구부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 34는 기구부를 상세히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이 잉크젯 기록 장치는 장치 본체(201)와, 상기 장치 본체(201)에 설정된 용지를 장전하기 위한 급지 트레이(202)와, 장치 본체(201)에 장착되어 화상이 기록된 용지를 축적하는 배지 트레이(203)를 포함하고 있다. 장치 본체(201)의 상부 커버(211)는 대략 평탄한 표면을 형성하고, 장치 본체(201)의 전방 커버는 상기 표면에 대해 후방 하측으로 비스듬하게 경사진 전면(212)을 갖는다.
또한, 상기 경사진 전면(212)의 하부에는 전방(전면)으로 돌출하도록 배지 트레이(203) 및 급지 트레이(202)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전면(212)의 일단부에는 상기 전면(212)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도록 상부 커버(211)의 아래에 잉크 카트리지 장전부(204)가 마련되어 있고, 이 잉크 카트리지 장전부(204)의 상면에 다양한 조작키 및 표시기를 비롯한 조작부(205)가 마련되어 있다. 이 잉크 카트리지 장전부(204)에는 잉크 카트리지(1)의 장탈착을 행하기 위해 개폐되는 전방 커버(215)가 또한 마련되어 있다.
장치 본체(201) 내에는, 도 33 및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에 마련된 도시하지 않은 한쌍의 측판에 의해 측방으로 유지된 가이드 로드(231)와 스테이(232)에 의해 캐리지(233)가 메인 주사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고, 카트리지는 도시하지 않은 메인 주사 모터에 의해서 도 34의 화살표에 의해 지시된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 캐리지(233)에는, 옐로우(Y), 시안(C), 마젠타(M), 블랙(Bk)의 잉크 방울을 각각 토출하는 4개의 잉크젯 헤드로 이루어지는 기록 헤드(234)가 마련되어, 잉크 토출 노즐이 메인 주사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다.
기록 헤드(234)를 구성하는 잉크젯 헤드로서는, 압전 소자 등의 압전 액츄에이터, 저항 히터 등의 전기 열변환 소자에 의한 액체막의 비등과 같은 상 변화를 이용하는 열 액츄에이터, 온도 변화에 의한 금속상 변화를 이용하는 형상 기억 합금 액츄에이터, 정전력을 이용하는 정전 액츄에이터 등을 잉크를 토출하기 위한 에너지 공급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캐리지(233)는 기록 헤드(234)에 잉크를 공급하기 위한 각 색의 서브 탱크(235)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따라, 도시하지 않은 잉크 공급 튜브를 통해 잉크 카트리지 장전부(205)에 장전된 잉크 카트리지(1)의 잉크 주머니(2)의 잉크 배출구(34)로부터 서브 탱크(235)에 잉크가 공급된다.
또한, 급지 트레이(203)의 용지 적재부(압판)(241) 위에 적재한 용지(242)를 한 장씩 급송하기 위한 급지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급지부는 용지 적재부(241)로부터 용지(242)를 한 장씩 급송하는 반원 롤러(급지 롤러)(243) 및 상기 급지 롤러(243)에 대향하고 마찰 계수가 큰 재료로 이루어지는 분리 패드(244)를 포함하고, 이 분리 패드(244)는 급지 롤러(243)를 향해 가압되어 있다.
또한, 상기 급지부에서 급송된 용지(242)를 기록 헤드(234)의 아래에서 반송하기 위한 용지 반송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용지 반송부는 용지(242)를 정전 흡착하여 반송하는 반송 벨트(251)와, 급지부에서 가이드(245)를 통해 이송되는 용지(242)를 반송 벨트(251)와 함께 샌드위치하여 반송하는 카운터 롤러(252)와, 수직 상방으로 급송되는 용지(242)의 방향을 대략 90°변화시켜 용지가 반송 벨트(251) 위를 따르게 하기 위한 반송 가이드(253)와, 압박 부재(254)에 의해 반송 벨트 (251)로 가압된 단부 압력 롤러(255)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반송 벨트(251)의 표면을 정전 대전시키기 위한 대전 롤러(256)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반송 벨트(251)는 반송 롤러(257)와 텐션 롤러(258) 사이에 놓이는 무단 벨트로서, 벨트 반송 방향으로 둘러싼다는 것을 유념해야 한다. 이 반송 벨트(251)는 용지 흡착면으로서 작용하고 40 ㎛의 두께를 갖고 저항 제어를 행하지 않은 수지재, 예컨대 ETFE 퓨어재(pure material)로 이루어지는 표면층 부분과, 이 표면층 부분과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지고 카본에 의한 저항 제어를 행한 이층(중저항층 또는 접지층)을 포함한다.
또한, 반송 벨트(251)의 이면에는 기록 헤드(234)에 의해 용지에 기록이 이루어지는 기록 영역에 대응하여 안내 부재(261)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기록 헤드(234)에 의해 화상이 기록된 용지(242)를 반송 벨트(251)로부터 용지(242)를 분리하기 위한 분리 갈고리(271)와, 배지 롤러(272) 및 배지 롤러(273)에 의해 배출하기 위한 용지 배출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배지 롤러(272)의 아래에는 배지 트레이(203)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장치 본체(201)의 배면에는 양면 기록을 위한 급지 유닛(281)이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고, 이 양면 기록을 위한 급지 유닛(281)은 반송 벨트(251)의 역방향 회전의 결과로서 복귀되는 용지(242)를 추출하여 용지를 반전시킨다. 그 후에, 용지는 다시 카운터 롤러(252)와 반송 벨트(251) 사이에서 급송된다. 또한, 이 양면 기록을 위한 급지 유닛(281) 위에는 수동 급지부(282)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전술한 구성을 갖는 잉크젯 기록 장치에 있어서는, 급지부로부터 용 지(242)가 1장씩 분리되고, 대략 상방으로 급송된 용지(242)는 가이드(245)에 의해 안내되어, 반송 벨트(251)와 카운터 롤러(252) 사이에 끼워져 반송된다. 용지는 또한 선단부가 반송 가이드(253)에 의해 안내되어 그 선단부에서 압력 롤러(255)에 의해 반송 벨트(251)로 가압된다. 이에 의해, 반송 방향이 대략 90°변화된다.
여기서, 대전 롤러(256)에 의해서 반송 벨트(257)가 대전되어 있고, 용지(242)는 정전기에 의해 흡착된 상태로 반송 벨트(251)에 의해 반송된다.
따라서, 캐리지(233)를 이동시키면서 화상 신호에 의해 기록 헤드(234)를 구동함으로써, 기록 용지(22)가 고정 유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잉크 방울의 토출 결과로서 용지(242)에 1행의 기록이 행해진다. 또한, 용지(242)를 예정량 반송한 후, 다음 행의 기록이 수행된다.
용지(242)의 가장자리가 도달하였거나 기록이 완료되었다는 것을 신호가 지시하면, 기록 동작이 종료되고 용지(242)는 배지 트레이(203)로 배출된다.
그리고, 서브 탱크(235) 내의 잉크의 니어-엔드(near-end)가 검출되면, 잉크 카트리지(1)로부터 소요량의 잉크가 서브 탱크(235)에 공급된다.
상기 잉크젯 기록 장치에는 본 발명의 잉크 카트리지(1)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잉크를 다 사용한 경우에 케이스(3)를 분리하여 카트리지(1) 내의 잉크 주머니(2)만을 교체함으로써 잉크 카트리지(1) 내의 잉크 주머니(2)를 교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그러한 구성은 잉크 카트리지(1)가 수직 상태로 전면으로부터 장전되는 경우에도 안정적인 잉크 공급을 가능하게 하고, 이에 따라 잉크젯 기록 장치가 랙(rack) 내에 수용되거나 잉크젯 기록 장치의 본체(201)가 어떤 다른 물건을 지지 하는 데 사용되는 경우처럼 장치 본체(201)의 상부가 막혀 있는 경우에도 잉크 카트리지(1)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캐리지가 기록 용지를 주사하는 셔틀형 잉크젯 기록 장치의 예와 관련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또한 라인형 헤드를 구비한 라인형 잉크젯 기록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잉크젯 기록 장치는 잉크젯 프린터 이외에도, 팩시밀리 장치, 복사 장치, 프린터/팩스/복사기 복합기 등의 각종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잉크 주머니는 대략 사각형 형태의 가요성 주머니 본체와, 상기 가요성 주머니 본체의 가장자리에 고정되는 유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유지 부재에는, 상기 주머니 본체에 잉크를 충전하기 위한 잉크 충전 개구와, 상기 주머니 본체 내의 잉크를 배출하기 위한 잉크 배출구와, 잉크 주머니가 수용되는 카트리지 케이스에 잉크 주머니를 유지하기 위한 결합부가 마련되어 있다. 그러한 구성의 결과로서, 잉크 주머니 내에서 사용되지 않은 잉크의 잔량이 최소화되고, 잉크 주머니를 케이스에 안정적이고도 용이하게 착탈 가능하게 부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잉크 카트리지는, 외측 형태가 유사한 적어도 제1 케이스 부분과 제2 케이스 부분을 포함함으로써, 제1 및 제2 케이스 부분이 서로 조립되고 개별 부품으로 분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잉크 주머니의 유지 부재를 제1 케이스 부분에 마련된 결합 유지 수단에 결합의 결과로서 유지한다. 그 결과, 카트리지는 용 이하게 조립 및 분해되고, 사용되지 않은 잉크의 잔량이 최소화된다. 또한, 잉크 주머니가 잉크 카트리지의 케이스에 대해 용이하게 장탈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잉크젯 기록 장치는 본 발명의 잉크 카트리지를 장치의 전면으로부터 장전할 수 있는 구성을 갖고 있다. 따라서, 잉크 카트리지 내의 잉크를 다 사용한 경우에 잉크 주머니만을 교체할 수 있다. 또한, 잉크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잉크 충전 방법에 따르면, 잉크 주머니의 유지 부재가 제1 케이스 부분에 유지된 상태로 잉크가 잉크 충전 개구로부터 충전되고, 이에 따라 잉크를 안정된 상태에서 용이하게 충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잉크 재충전 방법에 따르면, 잉크 주머니의 유지 부재가 제1케이스 부분에 유지된 상태로 잉크 배출구에서 잉크를 재충전한다. 이에 따라, 잉크를 안정된 상태로 용이하게 재충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잉크 재충전 방법에 따르면, 잉크 주머니의 주머니 본체의 일부에 파단 부분 또는 천공부를 마련하여, 이 파단 부분 또는 천공부로부터 주머니 본체 내에 잉크를 충전한 후 파단 부분을 밀봉하기 때문에, 용이하게 잉크를 재충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잉크 카트리지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잉크가 충전된 잉크 주머니의 유지 부재를 제1 케이스 부분에 유지한 후, 제1 케이스 부분에 제2 케이스 부분을 부착한다. 따라서, 간단히 잉크 카트리지를 조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잉크 카트리지의 리사이클 방법에 따르면, 제1 및 제2 케이스 부 분을 서로 분해하고, 잉크 주머니의 유지 부재를 제1 케이스 부분으로부터 제거하여 잉크 주머니를 착탈한다. 또한, 잉크가 충전된 잉크 주머니의 유지 부재를 제1 케이스 부분의 결합 유지부에 유지하고, 제1 및 제2 케이스 부분을 서로 조립한다. 따라서, 잉크 카트리지 케이스가 폐기되지 않고 효율적으로 리사이클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잉크 주머니 유지 부재는 가요성의 잉크 주머니 본체를 잉크 카트리지에 수용하기 위해 사용되는 부재로서, 주머니 분체에 잉크를 충전하기 위한 잉크 충전 개구와, 주머니 본체 내의 잉크를 배출하기 위한 잉크 배출구와, 카트리지 케이스의 절반 본체를 형성하는 케이스 부분들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된 결합 수단에 의해 유지되는 결합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가요성 잉크 주머니를 잉크 카트리지 내에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잉크 카트리지에 따르면, 본 발명의 잉크 주머니 유지 부재를 갖는 잉크 주머니가 잉크 카트리지의 내부에 수용되고, 이에 따라 가요성의 잉크 주머니를 그 내부에 안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잉크젯 기록 장치에 따르면, 본 발명의 잉크 카트리지는 전방으로부터 장전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잉크 카트리지의 잉크를 다 사용한 경우에 잉크 주머니만을 교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잉크 카트리지에 따르면, 케이스 절반 본체로 형성되는 케이스가 제공되고, 케이스 절반 본체의 적어도 하나는 잉크 배출구에 형성된 유지 부재를 유지하는 수단과, 상기 잉크 배출구의 말단부에 마련되어 개구를 밀봉하기 위해 유지 부재에 형성된 탄성 부재를 갖는다. 또한, 상기 탄성 부재를 압박하기 위한 캡 부재가 마련되어 있다. 그 결과, 잉크의 누출 없이 잉크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 케이스 또는 잉크 수납 수단의 용이한 재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잉크젯 기록 장치에 따르면, 본 발명의 잉크 카트리지가 그 전면으로부터 장전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잉크 카트리지의 잉크를 다 사용한 경우에 잉크 수납 수단만을 교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안정적인 잉크 공급이 실현된다.
본 발명의 잉크 주머니에 따르면, 가요성의 주머니 본체에 유지 부재가 고정되고, 상기 유지 부재에는 잉크 주머니 본체에 잉크를 충전하기 위한 잉크 충전 개구와 상기 주머니 본체 내의 잉크를 배출하기 위한 잉크 배출구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유지 부재에는 잉크 주머니를 케이스 절반 본체로 이루어지는 카트리지 케이스에 유지하기 위한 결합부가 마련되어 있다. 그 결과, 사용되지 않은 잉크의 잔량이 최소화되고, 잉크 주머니가 케이스에 용이하고도 안정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안정적인 잉크 공급이 실현된다.
본 발명의 잉크 카트리지에 따르면, 잉크 카트리지는 외측 형태가 유사한 적어도 제1 및 제2 케이스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이들 제1 및 제2 케이스 부분은 서로 조립되고 분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잉크 주머니의 유지 부재가 제1 케이스 부분에 마련된 결합 유지 수단에 유지된다. 따라서,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사용되지 않은 잉크의 잔량이 최소화된다. 또한, 잉크 주머니를 케이스에 착탈 가능하고, 안정적이며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잉크 카트리지가 장전되는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에 따르면, 잉크 카트리지의 잉크를 다 사용한 경우에 잉크 주머니만을 교체할 수 있다. 또한, 안정적인 잉크 공급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별히 개시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변형 및 수정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은 2003년 3월 18일자로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03-074520호, 2003년 3월 20일자로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03-076676호, 2003년 3월 20일자로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03-076663호 및 2003년 6월 26일자로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03-183326호를 우선권 주장의 기초로 하며, 그 전체 내용을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합체한다.

Claims (46)

  1. 잉크를 내부에 유지하는 잉크 주머니로서,
    사각형 형태의 가요성 주머니 본체와,
    상기 주머니 본체의 한 가장자리에 부착되는 유지 부재
    를 구비하고, 상기 유지 부재는 상기 주머니 본체에 잉크를 충전하기 위한 잉크 충전 개구와, 상기 주머니 본체 내의 잉크를 배출하기 위한 잉크 배출구와, 상기 잉크 주머니를 이 잉크 주머니가 수용되는 카트리지 케이스에 유지하기 위한 결합부를 구비하는 것인 잉크 주머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머니 본체의 폭 대 높이의 비(W/H)는 1≤W/H≤1.5 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인 잉크 주머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의 잉크 충전 개구 및 잉크 배출구는 상기 주머니 본체의 가장자리의 중앙에 위치되는 것인 잉크 주머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 주머니의 유지 부재는 잉크 주머니가 상기 카트리지 케이스에 수용된 경우에, 카트리지 케이스의 높이 방향의 중앙에 상기 잉크 배출구가 위치되는 상태로 유지되는 것인 잉크 주머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 충전 개구는 상기 주머니 본체에 잉크를 충전한 상태에서 융착에 의해 밀봉되는 것인 잉크 주머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는 상기 주머니 본체의 긴 가장자리에 마련되는 것인 잉크 주머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 배출구에는 이 잉크 배출구의 말단부에 있는 개구를 밀봉하는 탄성 부재와, 상기 탄성 부재를 압박하는 캡 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인 잉크 주머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는 상기 캡 부재에 마련된 걸림편과 결합하기 위한 단차부를 상기 잉크 배출구의 외주면에 포함하는 것인 잉크 주머니.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실리콘, 불소, 부틸 중 어느 하나의 고무 재료로 이루어지는 원주형 부재인 것인 잉크 주머니.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캡 부재는 상기 탄성 부재를 압박하는 플랜지부가 있는 원통형 부재이고, 상기 원통형 부재는 내측으로 만곡된 복수 개의 걸림편을 갖는 것인 잉크 주머니.
  11. 잉크 주머니를 수용하는 잉크 카트리지로서,
    외측 형태가 유사하고 서로 조립되었을 때에 단일의 케이스 본체를 형성하는 적어도 제1 케이스 부분 및 제2 케이스 부분
    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케이스 부분 및 제2 케이스 부분은 상기 단일의 케이스 본체가 상기 제1 케이스 부분 및 제2 케이스 부분으로 분해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잉크 주머니는 사각형 형태의 가요성 주머니 본체와, 상기 주머니 본체의 한 가장자리에 부착되는 유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유지 부재는 상기 주머니 본체에 잉크를 충전하기 위한 잉크 충전 개구와, 상기 주머니 본체 내의 잉크를 배출하기 위한 잉크 배출구와, 상기 잉크 주머니를 이 잉크 주머니가 수용되는 카트리지 케이스에 유지하기 위한 결합부를 구비하며,
    상기 잉크 주머니의 유지 부재는 상기 제1 케이스 부분에 마련된 결합부에 유지되는 것인 잉크 카트리지.
  12. 잉크 주머니를 내부에 수용한 잉크 카트리지를 전면으로부터 장전할 수 있는 잉크젯 기록 장치로서,
    상기 잉크 카트리지는, 외측 형태가 유사하고 서로 조립되었을 때에 단일의 케이스 본체를 형성하는 적어도 제1 케이스 부분 및 제2 케이스 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케이스 부분 및 제2 케이스 부분은 상기 단일의 케이스 본체가 상기 제1 케이스 부분 및 제2 케이스 부분으로 분해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잉크 주머니는 사각형 형태의 가요성 주머니 본체와, 상기 주머니 본체의 한 가장자리에 부착되는 유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유지 부재는 상기 주머니 본체에 잉크를 충전하기 위한 잉크 충전 개구와, 상기 주머니 본체 내의 잉크를 배출하기 위한 잉크 배출구와, 상기 잉크 주머니를 이 잉크 주머니가 수용되는 카트리지 케이스에 유지하기 위한 결합부를 구비하며,
    상기 잉크 주머니의 유지 부재는 상기 제1 케이스 부분에 마련된 결합부에 유지되는 것인 잉크젯 기록 장치.
  13. 잉크 카트리지에 수용된 잉크 주머니에 잉크를 충전하는 잉크 재충전 방법으로서,
    상기 잉크 카트리지는, 외측 형태가 유사하고 서로 조립되었을 때에 단일의 케이스 본체를 형성하는 적어도 제1 케이스 부분 및 제2 케이스 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케이스 부분 및 제2 케이스 부분은 상기 단일의 케이스 본체가 상기 제1 케이스 부분 및 제2 케이스 부분으로 분해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잉크 주머니는 사각형 형태의 가요성 주머니 본체와, 상기 주머니 본체의 한 가장자리에 부착되는 유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유지 부재는 상기 주머니 본체에 잉크를 충전하기 위한 잉크 충전 개구와, 상기 주머니 본체 내의 잉크를 배출하기 위한 잉크 배출구와, 상기 잉크 주머니를 이 잉크 주머니가 수용되는 카트리지 케이스에 유지하기 위한 결합부를 구비하며, 상기 잉크 주머니의 유지 부재는 상기 제1 케이스 부분에 마련된 결합부에 유지되고,
    상기 잉크 주머니의 유지 부재를 상기 제1 케이스 부분에 결합한 상태로 상기 잉크 충전 개구로부터 잉크를 충전하는 것인 잉크 재충전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 주머니의 유지 부재를 상기 제1 케이스 부분에 유지한 상태로 상기 잉크 배출구로부터 잉크를 재충전하는 것인 잉크 재충전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 주머니의 주머니 본체의 일부에 임의의 파단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파단부로부터 주머니 본체 내에 잉크를 재충전하는 단계와,
    상기 재충전 단계 후에 상기 파단부를 밀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잉크 재충전 방법.
  16. 잉크 주머니를 수용하는 잉크 카트리지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잉크 카트리지는, 외측 형태가 유사하고 서로 조립되었을 때에 단일의 케이스 본체를 형성하는 적어도 제1 케이스 부분 및 제2 케이스 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케이스 부분 및 제2 케이스 부분은 상기 단일의 케이스 본체가 상기 제1 케이스 부분 및 제2 케이스 부분으로 분해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잉크 주머니는 사각형 형태의 가요성 주머니 본체와, 상기 주머니 본체의 한 가장자리에 부착되는 유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유지 부재는 상기 주머니 본체에 잉크를 충전하기 위한 잉크 충전 개구와, 상기 주머니 본체 내의 잉크를 배출하기 위한 잉크 배출구와, 상기 잉크 주머니를 이 잉크 주머니가 수용되는 카트리지 케이스에 유지하기 위한 결합부를 구비하며, 상기 잉크 주머니의 유지 부재는 상기 제1 케이스 부분에 마련된 결합부에 유지되고,
    잉크가 충전된 잉크 주머니의 유지 부재를 상기 제1 케이스 부분에 유지하고, 상기 제2 케이스 부분을 상기 제1 케이스 부분에 부착하는 것인 잉크 카트리지의 제조 방법.
  17. 잉크 주머니를 내부에 수용한 잉크 카트리지의 리사이클 방법으로서,
    상기 잉크 카트리지는, 외측 형태가 유사하고 서로 조립되었을 때에 단일의 케이스 본체를 형성하는 적어도 제1 케이스 부분 및 제2 케이스 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케이스 부분 및 제2 케이스 부분은 상기 단일의 케이스 본체가 상기 제1 케이스 부분 및 제2 케이스 부분으로 분해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잉크 주머니는 사각형 형태의 가요성 주머니 본체와, 상기 주머니 본체의 한 가장자리에 부착되는 유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유지 부재는 상기 주머니 본체에 잉크를 충전하기 위한 잉크 충전 개구와, 상기 주머니 본체 내의 잉크를 배출하기 위한 잉크 배출구와, 상기 잉크 주머니를 이 잉크 주머니가 수용되는 카트리지 케이스에 유지하기 위한 결합부를 구비하며, 상기 잉크 주머니의 유지 부재는 상기 제1 케이스 부분에 마련된 결합부에 유지되고,
    상기 단일의 케이스 본체를 제1 케이스 부분과 제2 케이스 부분으로 분해하는 단계와,
    상기 유지 부재를 제1 케이스 부분으로부터 제거하여 잉크 주머니를 착탈하는 단계와,
    잉크가 충전된 잉크 주머니의 유지 부재를 제1 케이스 부분의 결합 유지부에 결합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케이스 부분과 제2 케이스 부분을 단일의 케이스로 조립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잉크 카트리지의 리사이클 방법.
  18. 가요성을 갖는 잉크 주머니 본체를 잉크 카트리지에 유지하는 잉크 주머니 유지 부재로서,
    상기 주머니 본체에 잉크를 충전하기 위한 잉크 충전 개구와,
    상기 주머니 본체 내의 잉크를 배출하기 위한 잉크 배출구와,
    케이스 절반 본체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된 대응 결합부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
    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 절반 본체는 잉크 카트리지의 카트리지 케이스를 함께 구성하는 것인 잉크 주머니 유지 부재.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 주머니 유지 부재는 사각형 형태의 상기 주머니 본체의 가장자리에 융착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잉크 주머니 유지 부재는 상기 카트리지 케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유지되는 것인 잉크 주머니 유지 부재.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 주머니 유지 부재는 상기 주머니 본체에 융착된 단부에 테이퍼형 연결부를 갖고, 상기 연결부, 상기 잉크 충전 개구 및 잉크 배출구는 플랜지부의 상이한 표면에 형성되는 것인 잉크 주머니 유지 부재.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의 측면에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인 잉크 주머니 유지 부재.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 충전 개구는 융착에 의해 밀봉되는 것인 잉크 주머니 유지 부재.
  23. 잉크 주머니를 내부에 수용하는 잉크 카트리지로서,
    상기 잉크 주머니는,
    잉크 주머니 본체에 잉크를 충전하기 위한 잉크 충전 개구와,
    상기 잉크 주머니 본체 내의 잉크를 배출하기 위한 잉크 배출구와,
    케이스 절반 본체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된 대응 결합부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
    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 절반 본체는 잉크 카트리지의 카트리지 케이스를 함께 구성하는 것인 잉크 카트리지.
  24. 잉크 주머니를 내부에 수용한 잉크 카트리지가 전면으로부터 장전되는 잉크 젯 기록 장치로서,
    상기 잉크 주머니는,
    잉크 주머니 본체에 잉크를 충전하기 위한 잉크 충전 개구와,
    상기 잉크 주머니 본체 내의 잉크를 배출하기 위한 잉크 배출구와,
    케이스 절반 본체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된 대응 결합부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
    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 절반 본체는 잉크 카트리지의 카트리지 케이스를 함께 구성하는 것인 잉크젯 기록 장치.
  25. 잉크 배출구를 통해 잉크를 외측으로 공급하는 잉크 카트리지로서,
    잉크 카트리지의 단일의 카트리지 케이스를 함께 형성하는 케이스 절반 본체로서, 상기 케이스 절반 본체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잉크 배출구에 형성된 유지 부재를 유지하기 위한 유지부를 갖는 케이스 절반 본체와,
    개구를 밀봉하도록 상기 유지 부재의 잉크 배출구의 말단부에 마련된 탄성 부재와,
    상기 탄성 부재를 압박하는 캡 부재
    를 구비하는 잉크 카트리지.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 배출구의 외주면에는 상기 캡 부재에 마련된 걸림편과 결합하도록 단차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인 잉크 카트리지.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실리콘 고무 재료, 불소 고무 재료 및 부틸 고무 재료 중 어느 하나로부터 선택된 고무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인 잉크 카트리지.
  28.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캡 부재는 상기 탄성 부재를 압박하기 위한 플랜지부가 있는 원통형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원통형 부재는 내측으로 만곡된 복수 개의 걸림편을 갖는 것인 잉크 카트리지.
  29. 잉크 카트리지가 전면으로부터 장전되는 잉크젯 기록 장치로서,
    상기 잉크 카트리지는 잉크 배출구를 통해 상기 잉크젯 기록 장치에 잉크를 공급하고, 잉크 카트리지의 단일의 카트리지 케이스를 함께 형성하는 케이스 절반 본체로서, 상기 케이스 절반 본체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잉크 배출구에 형성된 유지 부재를 유지하기 위한 유지부를 갖는 케이스 절반 본체와, 개구를 밀봉하도록 상기 유지 부재의 잉크 배출구의 말단부에 마련된 탄성 부재와, 상기 탄성 부재를 압박하는 캡 부재를 구비하는 것인 잉크젯 기록 장치.
  30. 잉크를 유지하는 잉크 주머니로서,
    가요성 주머니 본체와,
    상기 주머니 본체에 고정되는 유지 부재
    를 구비하고, 상기 유지 부재는 상기 주머니 본체에 잉크를 충전하기 위한 잉크 충전 개구와, 상기 주머니 본체 내의 잉크를 배출하기 위한 잉크 배출구와, 케이스 절반 본체로 형성된 카트리지 케이스에 잉크 주머니를 유지하는 결합부를 구비하는 것인 잉크 주머니.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 배출구는 상기 주머니 본체 내의 잉크의 출구를 형성하는 원통형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원통형 부분은 상기 잉크의 특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재료로 형성되는 것인 잉크 주머니.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부분은 단일체의 형태로 밀봉하기 위해 상기 출구에 삽입되는 탄성 부재를 유지하는 유지부를 갖는 것인 잉크 주머니.
  33.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 배출구는 상기 주머니 본체 내의 잉크의 출구를 밀봉하기 위한 탄성 부재를 갖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잉크의 특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재료로 형성되는 것인 잉크 주머니.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잉크의 특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실리콘 고무 또는 실리콘계 고무로 이루어지는 것인 잉크 주머니.
  35.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 배출구에는 상기 주머니 본체 내의 잉크의 출구 를 밀봉하는 탄성 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캡 부재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캡 부재는 상기 잉크의 특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재료로 형성되는 것인 잉크 주머니.
  36.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 배출구의 외주면에는 상기 캡 부재에 마련된 걸림편과 결합하기 위한 단차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인 잉크 주머니.
  37.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캡 부재는 상기 탄성 부재를 압박하는 플랜지부가 있는 원통형 부재로 형성되고, 원통형 부분에는 내측으로 만곡된 다수의 걸림편이 있는 것인 잉크 주머니.
  38.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의 외경(D)과 상기 탄성 부재가 삽입되는 부분의 내경(D')은 1:0.85 - 1:0.92의 범위 내에 있는 비(D:D')를 형성하는 것인 잉크 주머니.
  39.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의 두께(t)와 상기 탄성 부재가 삽입되는 부분의 깊이(H)는 1:0.77 - 1:1의 범위 내에 있는 비(t:H)를 형성하는 것인 잉크 주머니.
  40.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주머니 본체 내에 유지된 잉크를 추출하기 위해 상기 탄성 부재에 관통시킨 중공 니들의 직경(d)은 이 직경(d) 대 상기 탄성 부재의 외경(D)의 비(d:D)가 1:3 - 1:10의 범위 내에 있도록 결정되는 것인 잉크 주머니.
  41.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주머니 본체 내에 유지된 잉크를 추출하기 위해 상기 탄성 부재에 관통시킨 중공 니들의 직경(d)은 이 직경(d) 대 상기 탄성 부재의 두께(t)의 비(d:t)가 1:1.5 - 1:3.5의 범위 내에 있도록 결정되는 것인 잉크 주머니.
  42.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 주머니의 유지 부재는 이 잉크 주머니가 카트리지 케이스 내에 수용되었을 때에 잉크 배출구가 카트리지 케이스의 높이 방향으로 중앙에 위치되는 상태로 유지되는 것인 잉크 주머니.
  43.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 충전 개구는 상기 잉크 주머니에 잉크가 충전된 상태로 융착에 의해 밀봉되는 것인 잉크 주머니.
  44. 잉크 주머니를 내부에 수용하는 잉크 카트리지로서,
    외관이 유사한 적어도 제1 케이스 부분 및 제2 케이스 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케이스 부분 및 제2 케이스 부분은 서로 조립되었을 때에 단일의 카트리지 케이스를 형성하며,
    상기 단일의 카트리지 케이스는 제1 케이스 부분과 제2 케이스 부분으로 분해되고,
    상기 잉크 주머니는 가요성 주머니 본체와, 상기 주머니 본체에 고정되는 유지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유지 부재는 상기 주머니 본체에 잉크를 충전하기 위한 잉크 충전 개구와, 상기 주머니 본체 내의 잉크를 배출하기 위한 잉크 배출구와, 케이스 절반 본체로 형성된 카트리지 케이스에 잉크 주머니를 유지하는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잉크 주머니의 유지 부재는 상기 제1 케이스 부분에 마련된 결합 유지 수단에 유지되는 것인 잉크 카트리지.
  45. 잉크를 내부에 유지하는 잉크 카트리지가 장전되는 잉크젯 기록 장치로서,
    상기 잉크 카트리지는 외관이 유사한 적어도 제1 케이스 부분 및 제2 케이스 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케이스 부분 및 제2 케이스 부분은 서로 조립되었을 때에 단일의 카트리지 케이스를 형성하며,
    상기 단일의 카트리지 케이스는 제1 케이스 부분과 제2 케이스 부분으로 분해되고,
    상기 잉크 주머니는 가요성 주머니 본체와, 상기 주머니 본체에 고정되는 유지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유지 부재는 상기 주머니 본체에 잉크를 충전하기 위한 잉크 충전 개구와, 상기 주머니 본체 내의 잉크를 배출하기 위한 잉크 배출구와, 케이스 절반 본체로 형성된 카트리지 케이스에 잉크 주머니를 유지하는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잉크 주머니의 유지 부재는 상기 제1 케이스 부분에 마련된 결합 유지 수단에 유지되는 것인 잉크젯 기록 장치.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 카트리지는 상기 잉크젯 기록 장치의 장치 본체의 전면으로부터 장전되는 것인 잉크젯 기록 장치.
KR1020047018672A 2003-03-18 2004-03-15 잉크 주머니, 잉크 카트리지 및 잉크젯 기록 장치, 잉크충전 방법, 잉크 재충전 방법, 잉크 카트리지의 제조 방법및 잉크 카트리지의 리사이클 방법 KR1006699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074520 2003-03-18
JP2003074520A JP2004276538A (ja) 2003-03-18 2003-03-18 インク袋、インクカートリッジ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並びにインク充填方法、インク再充填方法、インクカートリッジの製造方法、インクカートリッジのリサイクル方法
JPJP-P-2003-00076676 2003-03-20
JP2003076676A JP2004284094A (ja) 2003-03-20 2003-03-20 インクカートリッジ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JP-P-2003-00076663 2003-03-20
JP2003076663A JP2004284093A (ja) 2003-03-20 2003-03-20 インク袋保持部材、インクカートリッジ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003183326A JP2005014437A (ja) 2003-06-26 2003-06-26 インク袋、インク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JP-P-2003-00183326 2003-06-26
PCT/JP2004/003431 WO2004082944A1 (en) 2003-03-18 2004-03-15 Ink bag, ink cartridge and ink-et recording apparatus, ink filling method, ink refilling method, manufacturing method of ink cartridge, and recycling method of ink cartrid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7408A KR20050007408A (ko) 2005-01-17
KR100669966B1 true KR100669966B1 (ko) 2007-01-19

Family

ID=33033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8672A KR100669966B1 (ko) 2003-03-18 2004-03-15 잉크 주머니, 잉크 카트리지 및 잉크젯 기록 장치, 잉크충전 방법, 잉크 재충전 방법, 잉크 카트리지의 제조 방법및 잉크 카트리지의 리사이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287843B2 (ko)
EP (1) EP1603752B1 (ko)
KR (1) KR100669966B1 (ko)
DE (1) DE602004029869D1 (ko)
WO (1) WO20040829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30811B2 (ja) * 2004-11-10 2010-08-25 株式会社リコー インクカートリッジ及び該カートリッジを備えたインクジェット式記録装置
JP4715169B2 (ja) * 2004-11-18 2011-07-0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インクカートリッジのための保護部材
US20060152561A1 (en) * 2004-12-31 2006-07-13 Belfiore David A Ink bag assembly
JP2007015347A (ja) * 2005-07-11 2007-01-25 Brother Ind Ltd ニードル及びその製造方法
US7837311B2 (en) * 2005-09-29 2010-11-23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nk cartridges
JP2007210186A (ja) * 2006-02-09 2007-08-23 Brother Ind Ltd ニードル及びニードルの製造方法
JP4664944B2 (ja) * 2007-06-18 2011-04-06 株式会社リコー リフィルインクカートリッジ
US8109619B2 (en) * 2007-09-10 2012-02-07 Seiko Epson Corporation Method of manufacturing liquid container and liquid container manufactured using the same
USD641400S1 (en) * 2007-11-30 2011-07-12 Brother Industries, Ltd. Ink cartridge
USD647134S1 (en) 2007-11-30 2011-10-18 Brother Industries, Ltd. Ink cartridge
JP5353565B2 (ja) * 2009-03-17 2013-11-27 株式会社リコー 液体収容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5582385B2 (ja) 2010-03-01 2014-09-03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収容器、画像形成装置、トナー収容器製造方法、及びトナー収容器再生方法。
JP2012210726A (ja) 2011-03-30 2012-11-01 Brother Industries Ltd インクカートリッジ
JP5842616B2 (ja) 2012-01-05 2016-01-13 株式会社リコー 液体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
CN103448370B (zh) * 2013-01-02 2016-04-27 珠海天威飞马打印耗材有限公司 墨盒
JP2015080872A (ja) * 2013-10-22 2015-04-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収容容器の再生方法、および液体収容容器
USD756452S1 (en) * 2014-08-01 2016-05-17 Wilson Tool International Inc. Cartridge
JP1592099S (ko) * 2017-06-09 2017-12-04
JP1592097S (ko) * 2017-06-09 2017-12-04
JP1592098S (ko) * 2017-06-09 2017-12-04
WO2020013852A1 (en) 2018-07-13 2020-01-1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liable print liquid supply reservoirs with offset spout
EP3687804B1 (en) 2018-07-13 2022-06-0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lamp plates with wedge-shaped fork ends for a print liquid supply
EP4129699A1 (en) 2018-07-13 2023-02-0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pouts with angled clamp flanges for a print liquid supply
WO2020013839A1 (en) 2018-07-13 2020-01-1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upling systems
EP3687813A1 (en) 2018-07-13 2020-08-0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llar for fluid barrier
CN115583107A (zh) * 2022-08-30 2023-01-10 珠海纳思达企业管理有限公司 一种再生墨盒及制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788A (ja) 1986-06-24 1988-01-07 スズ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可変サスペンシヨン装置
JPH01180351A (ja) * 1988-01-12 1989-07-18 Seiko Epson Corp インク貯留装置
EP0610965B1 (en) * 1989-08-05 1999-12-01 Canon Kabushiki Kaisha Ink jet recording apparatus and ink cartridge for the apparatus
JP3222454B2 (ja) * 1990-02-02 2001-10-29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タンクカートリッジ
JP2752793B2 (ja) * 1990-12-10 1998-05-18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および該装置用インクタンクカートリッジ
US6264314B1 (en) * 1991-05-27 2001-07-24 Seiko Epson Corporation Ink cartridge for ink jet recording apparatus
JPH05162333A (ja) 1991-12-13 1993-06-29 Canon Inc インクタンクカートリッジ
US5307091A (en) * 1992-03-16 1994-04-26 Lexmark International, Inc. Jet ink refill supply
US5682191A (en) * 1994-01-24 1997-10-28 Iris Graphics Inc. Ink jet printing apparatus having modular components
JPH07323559A (ja) 1994-05-31 1995-12-12 Canon Inc インクジェットカートリッジ及び該カートリッジを用いた記録装置
DE4443290A1 (de) * 1994-12-06 1996-06-13 Eastman Kodak Co Vorrichtung zur Flüssigkeitsversorgung einer Mikrodosiervorrichtung
JP3417434B2 (ja) * 1995-01-05 2003-06-1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用インクカートリッジ
US5721576A (en) * 1995-12-04 1998-02-24 Hewlett-Packard Company Refill kit and method for refilling an ink supply for an ink-jet printer
JP3666537B2 (ja) 1996-11-14 2005-06-2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式記録装置用インクカートリッジの製造方法
US5860363A (en) 1997-01-21 1999-01-19 Hewlett-Packard Company Ink jet cartridge with separately replaceable ink reservoir
US5788388A (en) 1997-01-21 1998-08-04 Hewlett-Packard Company Ink jet cartridge with ink level detection
JPH10217499A (ja) * 1997-02-10 1998-08-18 Seiko Epson Corp インク供給容器
JPH11192720A (ja) * 1998-01-05 1999-07-21 Seiko Epson Corp インクジェット式記録装置、インク充填方法、及びインク補給方法
JP2001150691A (ja) 1999-11-26 2001-06-05 Minolta Co Ltd インク記録装置
JP2002248784A (ja) 2001-02-26 2002-09-03 Seiko Epson Corp インクパックの支持構造およびこれを備えたインク供給装置
US7137689B2 (en) * 2002-03-28 2006-11-21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nk cartridge
US6609789B1 (en) * 2002-03-11 2003-08-26 Banctec, Inc. Ink cartridge
JP3431916B2 (ja) 2002-08-06 2003-07-28 株式会社リコー インク補給方法およびインク補給カートリッジ
US6705714B1 (en) * 2002-08-21 2004-03-16 Eastman Kodak Company Ink cartridge having ink supply bag filled to less than capacity and folded in cartridge housing
JP3919734B2 (ja) * 2002-12-06 2007-05-30 株式会社リコー インクカートリッジ及びその筺体、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7408A (ko) 2005-01-17
DE602004029869D1 (de) 2010-12-16
US7287843B2 (en) 2007-10-30
EP1603752A4 (en) 2008-04-02
EP1603752B1 (en) 2010-11-03
EP1603752A1 (en) 2005-12-14
US20050157109A1 (en) 2005-07-21
WO2004082944A1 (en) 2004-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9966B1 (ko) 잉크 주머니, 잉크 카트리지 및 잉크젯 기록 장치, 잉크충전 방법, 잉크 재충전 방법, 잉크 카트리지의 제조 방법및 잉크 카트리지의 리사이클 방법
US7377627B2 (en) Ink cartridge, housing therefor, ink bag, ink-jet recording apparatus, ink container, and image-forming apparatus
US8197045B2 (en) Ink container comprising an ink pack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orporating the ink container
KR0135399B1 (ko) 잉크 유도 요소를 구비한 잉크 카트리지를 갖는 기록 유니트를 사용하는 잉크 제트 기록 장치
US8454136B2 (en) Ink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mploying the ink cartridge
CN101767487B (zh) 墨盒及图像形成装置
JP2004230880A (ja) 画像形成装置及び排紙トレイ
US8052262B2 (en) Liquid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mploying the liquid container
US8272725B2 (en) Liquid container, liquid droplet discharg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7425059B2 (en) Ink container, inkjet printing head, and inkjet printing apparatus
JP2004276538A (ja) インク袋、インクカートリッジ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並びにインク充填方法、インク再充填方法、インクカートリッジの製造方法、インクカートリッジのリサイクル方法
JP5321969B2 (ja) 画像形成装置
JP5440264B2 (ja) インク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5014437A (ja) インク袋、インク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4671881B2 (ja) 液体収容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7136871A (ja) 画像形成装置
US8152286B2 (en) Ink supply device and inkjet image recording device
JP2004284093A (ja) インク袋保持部材、インクカートリッジ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014014951A (ja) 液滴吐出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2192646A (ja) 画像形成装置
JP2007062247A (ja) 記録液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4799447B2 (ja) 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ヘッド保存用液体の封入方法、画像形成装置の輸送・保管方法
JP2004284094A (ja) インクカートリッジ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009214418A (ja) 画像形成装置
JP5186963B2 (ja) 液体収容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