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5083B1 - 휴대 단말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5083B1
KR100665083B1 KR1020060004401A KR20060004401A KR100665083B1 KR 100665083 B1 KR100665083 B1 KR 100665083B1 KR 1020060004401 A KR1020060004401 A KR 1020060004401A KR 20060004401 A KR20060004401 A KR 20060004401A KR 100665083 B1 KR100665083 B1 KR 1006650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cap
fitting
fitting rib
ri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4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리야스 하야카와
타케츠구 가와미치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50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50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01R13/443Dummy plu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01R13/447Shutter or cover plate
    • H01R13/453Shutter or cover plate opened by engagement of counterpa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1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telephon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Abstract

본 발명은 갈고리 구조 방식을 베이스로 해서, 캡 개폐 조작시에는 쉽게 빠지지 않는 높은 발거력과 캡 장착 조작을 용이하게 하는 낮은 삽입력의 양립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갈고리부(27)가 삽입 방향에 있어서 갈고리 감합 리브(30)에 간섭하는 부위에서, 이 삽입 방향에 대하여 옆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하여 형성된 경사면(27a, 30c)을 포함하고, 캡 장착부(22)의 삽입 조작에 따른 삽입 방향과 다른 옆 방향으로의 캡 장착부(22)의 탄성적인 변형 이동에 의해 갈고리부(27)가 갈고리 감합 리브(30)의 옆 방향으로부터 돌아 들어가 갈고리 감합 리브(30)에 감합하는 우회 감합 구조(40)를 구비함으로써, 갈고리부(27)가 감합 간극 내를 타고 넘도록 통과하지 않기 때문에, 높은 발거력과 낮은 삽입력을 양립시킬 수 있도록 했다.

Description

휴대 단말 장치{MOBILE TERMINAL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휴대 전화기를 도시하는 외관 사시도.
도 2는 송화측 케이스의 선단측 단부의 내부 구성예를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
도 3은 전면 케이스를 분리하여 캡 장착 전의 모습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4는 캡의 장착 조작시의 우회 감합 구조의 작용을 조작순으로 도시하는 평면도.
도 5는 종래의 갈고리 구조 방식을 도시하는 장착 전의 사시도.
도 6은 장착 후의 구조예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
도 7은 종래의 회전에 의한 장착 방식을 도시하는 장착 전의 사시도.
도 8은 장착 도중의 모습을 도시하는 저면도.
도 9는 장착 후의 모습을 저면측에서 도시하는 사시도.
도 10은 종래의 핀에 의한 고정 방식을 도시하는 장착 고정 전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휴대 전화기
3: 송화측 케이스
10: 배면 케이스
14: 개구부
20: 캡
21: 캡 본체
22: 캡 장착부
26: 연결부
27: 갈고리부
27a: 경사면
30: 갈고리 감합 리브
30c: 경사면
31: 감합 간극
32: 간격 조정 부재
40: 우회 감합 구조
본 발명은 커넥터, 이어폰 잭, 메모리 카드 슬롯 등을 위해 케이스의 일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자유롭게 개폐할 수 있도록 폐색하는 캡을 구비하는 휴대 전화기 등의 휴대 단말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분리 가능한 캡을 케이스 내에 용이하게 장착하기 위한 삽입력과 간단히 빠지지 않기 위한 발거력의 균형을 갖는 것이 용이한 휴대 단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 전화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와 같은 소형 정보 처리 단말, 소형 음악 재생 장치, 휴대 텔레비전 등의 각종 휴대 단말 장치가 보급되고 있다. 이들 휴대 단말 장치에서는 데이터 통신, 충전 등을 위해 외부 기기, 전원에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를 구비하는 것 이외에, 용도에 따라서 이어폰 잭, 메모리 카드 슬롯 등을 구비하고 있다. 이들 커넥터 등은 케이스의 일부에 형성된 개구부에 의해 외부에 노출되는 상태로 마련된다. 여기서, 비사용시에는 방수·방진, 디자인성 등의 관점에서 커넥터 등이 직접 보이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개구부를 자유롭게 개폐할 수 있도록 폐색하는 캡을 케이스에 장착하여, 커넥터 등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캡을 개방시키도록 하고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여기서 이러한 캡의 장착 방식에는 각종 방식이 있지만, 이하에 몇 가지 예를 들어 설명한다. 제1 방식으로서, 갈고리 구조 방식이 있다. 도 5는 종래의 갈고리 구조 방식을 도시하는 장착 전의 사시도이며, 도 6은 장착 후의 구조예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갈고리 구조 방식은 주로 캡(100) 측에 유연성 재료에 의한 갈고리형의 갈고리부(101)를 마련하고, 2분할 구조의 케이스(110, 111) 중의 한 쪽 케이스(110) 측에는 캡(100) 측의 갈고리 높이보다도 좁은 감합 간극(112)을 남기고 갈고리 감합 리브(113)를 마련하여, 캡(100)의 장착 후에는 갈고리부(101)가 갈고리 감합 리브(113)에 대하여 빠지지 않도록 감합함으로써 발거력을 발생시키고 있다. 캡(100)의 장착은 케이스(111) 측에 내장된 커넥터(114)에 대응시켜 케이스(110, 111) 사이에 형성된 개구부(115)의 일부에 연속시켜 단차부(116) 부분으로부터 갈고리부(101) 측을 갈고리 감합 리브(113) 측을 향해 삽입하며, 감합 간극 (112) 부분에서는 캡(100) 측 또는 케이스(110) 측 혹은 양쪽의 탄성 변형을 이용하여 서로의 감합부를 타고 넘음으로써 갈고리부(101)를 갈고리 감합 리브(113)에 감합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장착시의 삽입 조작을 조금이라도 쉽게 하기 위한 사면(102, 117)이 갈고리부(101), 갈고리 감합 리브(113)의 모두 또는 한 쪽에 형성되어 있다.
제2 방식으로서, 회전에 의한 장착 방식이 있다. 도 7은 종래의 회전에 의한 장착 방식을 도시하는 장착 전의 사시도이고, 도 8은 장착 도중의 모습을 도시하는 저면도이며, 도 9는 장착 후의 모습을 저면측에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회전에 의한 장착 방식의 구조는, 2분할 구조의 케이스(120, 121) 중의 한 쪽 케이스(120)에 캡(130)의 개폐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슬릿(122)을 형성하고, 캡(130) 측에는 그 발거력과 동일한 방향으로 슬릿(122)과 쌍을 이루는 치수, 형상의 고정용 돌기(131)를 마련하며,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종적인 장착 방향과 수직으로 회전시켜 돌기(131)를 슬릿(122)에 감합시키고 나서, 캡(130)을 더욱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최종적인 장착 방향으로 회전시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립하는 구조이다. 이때, 케이스(120)의 내측에서 슬릿(122) 주위에 돌기(123)를 마련하여, 캡(130) 측의 돌기(131)와 감합시킴으로써, 빠지는 방향으로의 회전을 방지하는 것도 있다. 유사한 구조로서는 캡 측에 슬릿을 형성하고, 케이스 측에 고정용 돌기를 마련하는 구조예도 있다. 특허문헌 2에는 이러한 제2 방식과 유사한 장착 방식이 개시되어 있다.
제3 방식으로서, 핀 등에 의한 고정 방식이 있다. 도 10은 종래의 핀에 의한 고정 방식을 나타내는 장착 고정 전의 사시도이다. 핀에 의한 고정 방식은 주로 캡(140)의 장착부(141)에 구멍(142)을 형성하고, 2분할 구조의 케이스(150) 측의 내부에는 고정용 핀(151)을 마련하며, 장치 조립 완료 전에 고정용 핀(151)에 캡(140)의 구멍(142)을 미리 감합시켜 둠으로써, 캡(140)을 케이스(150)에 장착 고정시키는 방법이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5-44547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02-9911호 공보
이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서는 케이스 구조 및 디자인의 자유도, 비용, 수리성, 그 밖의 요구 사양의 우선도에 따라 제1 내지 제3 방식을 구별지어 사용하는 고안을 하고 있지만, 어떤 방식에 의한 구조에서도 장치의 소형·박형화에 필요한 캡 장착부의 소형·박형화, 캡 개폐시에 쉽게 빠지지 않는 발거력의 확보, 조립하기 쉬운 삽입력의 확보, 부품 정밀도나 조립 변화에 의한 영향의 감소 또는 배제, 장치의 분해나 전용 공구를 필요로 하지 않는 우수한 보수(保守)성, 게다가 무리한 발거력에 의한 파손의 방지 등에 대해서, 그 모두를 동시에 만족시키는 데에는 이르지 못하고 있다.
예컨대, 제1 방식의 것에서는 발거력이 갈고리 감합 리브(113)에 대한 갈고리부(101)의 감합량에 의존하기 때문에, 발거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감합량을 늘리거나 갈고리부(101)의 재질 경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 그런데, 장착시에는 갈고리부(101)가 케이스(110) 측의 감합부[감합 간극(112), 갈고리 감합 리브(113)]를 타고 넘는 구조이기 때문에, 발거력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감합량이나 갈고리부(101)의 재질 경도를 증가시키면, 케이스(110) 측의 감합부에서는 갈고리 높이보다 좁은 감합 간극(112)을 캡(100)이나 케이스(110)의 탄성 변형에 의해 통과해야 하므로, 필요한 삽입력도 증가하고 장착하기 어렵게 되어 장치 조립성이나 수리성에 악영향을 미친다. 반대로, 삽입력을 저하시키기 위해서 감합량 또는 갈고리부(101)의 재질 경도를 감소시키면, 필연적으로 발거력도 저하하여 캡(100)의 탈락이나 분실이 문제가 된다. 즉, 제1 방식은 발거력과 삽입력이 밀접하게 관련되므로, 높은 발거력과 낮은 삽입력의 양립이 용이하지 않다.
특히,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합 간극(112)이 갈고리 감합 리브(113)의 단부면과, 이 단부면에 대향 배치시킨 회로 기판(118), 커넥터(114), 판형 부재(119) 등의 복수의 구성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경우, 감합 간극(112)이 이들 구성 부품의 정밀도나 조립 변화 등의 영향을 받기 쉽게 되어, 결과적으로 캡(100)의 갈고리부(101)와 케이스(110) 측의 갈고리 감합 리브(113)와의 감합량을 정밀하고 일정하게 유지하기 어려워져, 안정된 발거력이나 삽입력을 확보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또한, 부품 공차와 조립 변화의 관리를 엄하게 규정하여 설계·제조를 실시하기 위해서는 관리비 등이 필요하게 되어 비용 상승을 초래하는 동시에, 발거력의 확보와 장착하기 쉬운 삽입력의 균형을 시작(試作) 등의 실물 조사에 의해 규정·관리하여, 부품 치수나 형상을 몇 번이나 조정하는 작업이 발생하기 때문에, 캡을 적용하는 휴대 단말 장치의 개발 공정 수가 증대한다.
또한, 제2 방식의 것은 발거력과 삽입력이 서로 관련하지 않는 구조이기 때 문에, 높은 발거력과 낮은 삽입력의 확보가 용이하다. 그러나, 도 9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120)의 외부에 캡(130)의 장착부(132)가 보이는 구조이므로, 디자인성의 자유도를 저해시킨다. 또한, 회전에 의한 장착 구조이기 때문에, 외관으로서 보이는 장착부(132)의 형상에도 제약이 발생하여, 장착부(132)의 형상의 자유도도 저해된다. 게다가, 장착부에는 캡(130)의 장착부 두께, 케이스(120)의 장착부 두께 및 캡(130)의 고정부 두께의 치수를 확보할 필요가 있어, 소형·박형화에 지장을 초래한다. 또한, 장착시에, 삽입 조작과 회전 조작이라는 다른 2가지의 조작이 필요하기 때문에 장착 공정 수도 증가한다.
또한 제3 방식의 것은 캡(140)의 장착부(141)에 형성된 구멍(142)을 케이스(150) 측에 마련한 고정용 핀(151)에 감합하여 고정하기 때문에, 케이스(150)로의 캡(140)의 장착 고정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어, 높은 발거력의 확보도 용이하다. 그러나 장착에는 2분할 케이스를 조립하기 전에 미리 고정용 핀(151)에 구멍(142)을 감합시켜 두어야 하므로, 장치의 조립성이나 보수성이 나쁜 것이다. 게다가 캡(140)에 통상 사용을 초과하는 무리한 발거력이 가해진 경우에는, 구멍(142)이 고정용 핀(151)으로부터 빠지지 않기 때문에, 캡(140)의 장착부(141)나 케이스(150)의 고정용 핀(151)이 손상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에 의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외관상 직접 보이지 않고, 또한 분리 가능한 갈고리 구조 방식을 베이스로 해서, 캡 개폐 조작시에는 쉽게 빠지지 않는 높은 발거력과 캡 장착 조작을 용이하게 하는 낮은 삽입력의 양립이 가능한 휴대 단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청구항 1의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 장치는 일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이 개구부 내측에서 캡 삽입 인출 방향으로 간섭하는 위치에 갈고리 감합 리브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갈고리 감합 리브에 감합하여 캡 인출 방향으로 빠지지 않는 갈고리형의 갈고리부 및 상기 갈고리 감합 리브 단부면에 상기 갈고리부의 갈고리 높이보다 좁게 형성된 감합 간극에 들어가는 두께로 형성되고 상기 갈고리부를 선단에 일체로 갖는 연결부를 갖는 유연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캡 장착부와, 상기 연결부의 후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를 자유롭게 개폐할 수 있도록 폐색하는 캡 본체를 갖는 캡과, 상기 캡 장착시에 상기 갈고리부가 상기 갈고리 감합 리브에 대하여 이 갈고리 감합 리브 옆쪽으로부터 돌아 들어가 감합하는 우회 감합 구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2의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 장치는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우회 감합 구조는 상기 캡 장착부의 삽입 조작에 따른 삽입 방향과 다른 옆 방향으로의 이 캡 장착부의 탄성적인 변형 이동에 의해 상기 갈고리 감합 리브 옆 방향으로부터 돌아 들어가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3의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 장치는 청구항 2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우회 감합 구조는 상기 갈고리부가 삽입 방향에 있어서 상기 갈고리 감합 리브에 간섭하는 부위에서 이 삽입 방향에 대하여 옆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하여 형성된 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4의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 장치는 청구항 3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은 상기 갈고리 감합 리브 및 상기 갈고리부 양쪽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 장치의 적합한 실시 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또, 이 실시 형태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본 실시예는 휴대 단말 장치로서 휴대 전화기에의 적용예를 도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휴대 전화기를 도시하는 외관 사시도이다. 휴대 전화기(1)는 힌지부(2)에 의해 자유롭게 절첩할 수 있도록 연결된 송화측 케이스(3)와 수화측 케이스(4)를 구비한다. 송화측 케이스(3)는 마이크로 폰 등을 내장한 송화부(5)나, 다이얼 키, 기능 키 등의 각종 조작 키(6) 등을 구비하고, 수화측 케이스(4)는 스피커 등을 내장한 수화부(7)나 액정 표시부(8) 등을 구비한다.
도 2는 송화측 케이스(3)의 선단측 단부의 내부 구성예를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이며, 도 3은 전면 케이스를 분리하여 캡 장착 전의 모습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손바닥 사이즈로 직사각형의 편평한 형상인 송화측 케이스(3)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키(6) 등이 배설되는 내면측에 위치하는 전면 케이스(9)와 외면이 되는 배면측에 위치하는 배면 케이스(10)의 2분할 구조로 이루어져, 전면 케이스(9)와 배면 케이스(10)를 조합시킴으로써 형성된다. 전면 케이스(9)는 내부에 각종 회로 부품(11)이 실장되는 회로 기판(12)을 구비한다. 회로 기판(12)은 전면 케이 스(9)의 선단측 단부 중앙에 위치시켜 실장된 커넥터(13)를 구비한다. 이 커넥터(13)는 예컨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플러그(도시하지 않음)를 선택적으로 삽입하여 접속하기 위한 것이다. 송화측 케이스(3)는 선단측 단부 중앙에서 각각의 케이스(9, 10)에 형성된 오목부를 조합시킴으로써, 커넥터(13)를 외부에 노출하여 플러그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편평한 개구부(14)를 구비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휴대 전화기(1)는 개구부(14)를 자유롭게 개폐할 수 있도록 폐색하는 캡(20)과, 배면 케이스(10) 내에 형성되어 캡(20)이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갈고리 감합 리브(30)를 구비한다. 캡(20)은 엘라스토머 등의 변형하기 쉬운 유연성을 갖는 수지재로 이루어지고, 일체로 형성된 캡 본체(21)와 캡 장착부(22)를 구비한다. 캡 본체(21)는 개구부(14)를 자유롭게 개폐할 수 있도록 폐색하기 위해서 개구부(14)의 형상, 크기에 대응시켜 형성된 직사각형의 편평한 형상의 것으로, 커넥터(13) 부분 등에 가볍게 감합하여 폐색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리브(23)와, 조금 오목하게 하여 형성된 개폐 조작부(24)를 가지고, 캡 장착부(22)측과는 자유롭게 절곡·전개할 수 있는 얇은 두께의 구조인 힌지부(25)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또, 힌지부(25)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90 도의 절곡 상태를 기본으로 형성되어 있거나,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개 상태를 기본으로 형성되어 있더라도 좋다. 또한, 캡 장착부(22)는 캡 본체(21)에 비해 좁은 폭으로 형성되어 힌지부(25)에 의해 캡 본체(21)의 폭 방향 중앙의 하단부로부터 돌출하는 것으로, 평탄한 형상의 연결부(26)와 연결부(26)의 선단에 아래를 향한 갈고리 형상으로 일체로 형성된 갈고리부(27)로 이루어진다.
또한, 갈고리 감합 리브(30)는 배면 케이스(10)의 개구부(14)보다 안쪽에서 캡 삽입 인출 방향으로 간섭하는 폭 방향 중앙 위치에 위치시켜 폭 방향으로 갈고리부(27)와 대략 동일한 폭의 평판 형상을 이루도록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 갈고리부(27)가 캡 인출 방향으로 빠지지 않도록 감합하는 감합면(30a)을 내면측에 갖는다. 여기서, 갈고리부(27)와 힌지부(24) 사이의 길이는, 개구부(14)와 갈고리 감합 리브(30)의 감합면(30a) 사이의 거리 이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배면 케이스(10) 측의 개구부(14) 부분의 갈고리 감합 리브(30)에 대응하는 폭 방향 중앙 위치에는, 캡 장착부(22)의 삽입 조작을 가이드하기 위해 오목부(14a)가 한 단 낮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갈고리 감합 리브(30)의 단면과 이 갈고리 감합 리브(30)의 단면에 대향 배치시킨 커넥터(13) 사이에는 감합 간극(31)을 갖는다. 커넥터(13)는 이 감합 간극(31)의 간극 간격을 원하는 값으로 설정하여 조정하기 위한 다른 부재인 평판형의 간격 조정 부재(32)를 갖는다. 여기서 감합 간극(31)은 갈고리부(27)의 갈고리 높이보다 좁고, 또한 연결부(26) 부분이 자유롭게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들어갈 수 있는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휴대 전화기(1)는 송화측 케이스(3)에 대한 캡(20)의 장착시에 갈고리부(27)가 갈고리 감합 리브(30)에 대하여 이 갈고리 감합 리브(30)의 옆쪽으로부터 돌아 들어가 감합면(30a)에 감합하는 우회 감합 구조(40)를 구비한다. 이 우회 감합 구조(40)는 캡 장착부(22)의 삽입 조작에 따른 삽입 방향 및 감합 방향과 다른 옆 방향으로의 캡 장착부(22)의 탄성적인 변형 이동에 의해 갈고리 감합 리브(30)의 옆 방향으로부터 돌아 들어가는 구조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캡 장 착부(22)가 갖는 탄성적으로 변형 이동하는 유연성과, 삽입 조작시에 캡 장착부(22)를 강제적으로 변형 이동시키기 위한 소정의 경사면을 이용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경사면은 갈고리부(27)의 선단측이 삽입 방향에 있어서 갈고리 감합 리브(30)의 맞닿음 면(30b)에 간섭하는 부위에서, 삽입 방향에 대하여 옆 방향(즉, 삽입 방향 및 감합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하여 형성된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갈고리부(27)의 선단면에 형성된 경사면(27a)과, 갈고리 감합 리브(30)의 맞닿음 면(30b)에 형성된 경사면(30c)을 갖는다. 이들 경사면(27a, 30c)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일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하여 좌우 방향(리브 폭 방향)의 다른 측에 좌우 반씩 형성되고, 폭방향으로 본 이들 경사면(27a, 30c)의 경계가 폭 방향 중심선 상에서 연속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경사면(27a, 30c)의 경계는 폭 방향으로 보아 다른 쪽 경사면(30c, 27a)에 오버랩하도록 형성되어 있더라도 좋다. 또한, 갈고리부(27)와 갈고리 감합 리브(30) 중 어느 한쪽에만 경사면을 형성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다음에, 송화측 케이스(3)에 대한 캡(20)의 장착 조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캡(20)의 장착 조작시의 우회 감합 구조(40)의 작용을 조작순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우선, 개구부(14)의 오목부(14a) 및 간격 조정 부재(32)를 가이드로 해서,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캡 장착부(22)를 갈고리 감합 리브(30)를 향해 삽입한다. 이 삽입 조작에 따라, 갈고리부(27)의 선단측이 캡 삽입 인출 방향으로 간섭하는 위치에 형성된 갈고리 감합 리브(30)의 맞닿음 면(30b)에 맞닿지만, 갈고리부(27)의 갈고리 높이는 감합 간극(31)의 간격보다 충분히 높기 때문에, 갈고리부 (27)가 감합 간극(31) 내에 들어오는 일은 없다. 캡 장착부(22)를 더욱 내측으로 삽입시키면, 경사면(27a, 30c)끼리도 맞닿은 상태가 되도록 유연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캡 장착부(22) 측이 경사면(27a, 30c)의 기울기 방향을 따라서 강제적으로 갈고리 감합 리브(30)의 옆쪽, 여기서는 좌측쪽으로 변형하여 이동하기 시작한다. 도 4b는 경사면(27a, 30c)끼리가 맞닿아 캡 장착부(22)가 좌측쪽으로 변형하여 이동하고 있는 모습을 도시한다. 이 때, 본 실시예에서는 경사면(27a, 30c)의 경계가 폭 방향으로 보아 연속(또는 오버랩)하고 있기 때문에, 갈고리부(27)의 선단측이 갈고리 감합 리브(30)의 맞닿음 면(30b)에 맞닿은 시점에서부터 원활하게 경사면(27a, 30c)끼리도 맞닿는 상태로 이행하게 되어, 캡 장착부(22)의 좌측쪽으로의 변형 이동을 확실하고 또한 원활하게 시작시킬 수 있다.
캡 장착부(22)를 더욱 내측으로 삽입시키면, 도 4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경사면(27a, 30c)끼리의 맞닿음이 없어지는 위치까지 캡 장착부(22)가 갈고리 감합 리브(30)의 좌측쪽으로 크게 변형 이동한다. 그리고 경사면(27a, 30c)끼리의 맞닿음이 없어지면, 도 4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캡 장착부(22)의 탄성적인 복원력에 의해 갈고리부(27)가 갈고리 감합 리브(30)의 좌측쪽으로부터 돌아 들어가 감합면(30a)에 감합한다. 이 때, 캡 장착부(22)의 연결부(26)도 추종하여 감합 간극(31)에 대하여 좌측쪽으로부터 들어오고, 캡 장착부(22)는 변형이 없는 상태로 복원된다. 이에 따라 캡 장착부(22)의 부상(浮上)이 방지된 상태에서 갈고리부(27)와 갈고리 감합 리브(30)의 감합 상태를 얻을 수 있다. 그 후 연결부(26)가 감합 간극(31)에 들어간 상태에서 캡 장착부(22)를 밀어 넣는 위치까지 삽입시켜, 캡 본체 (21)를 개구부(14)에 대하여 폐색 상태로 함으로써, 송화측 케이스(3)에 대한 캡(20)의 장착이 완료된다.
그리고 휴대 전화기(1)의 사용시에 있어서, 커넥터(13)에 소켓을 삽입해야 하는 경우에는 개폐 조작부(24)에 손가락 끝을 걸어 캡 본체(21)를 개방시킴으로써 개구부(14)를 개방하는 조작을 행하면 좋다. 이 때, 커넥터(13)에 대한 소켓의 삽입 조작을 쉽게 행하기 위해서, 갈고리부(27)가 갈고리 감합 리브(30)의 감합면(30a)에 감합하는 위치까지 캡 장착부(22)를 인출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전술하여 온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송화측 케이스(3)에 대한 캡(20)의 장착시에, 갈고리부(27)가 갈고리 감합 리브(30)의 감합면(30a)에 대하여 이 갈고리 감합 리브(30)의 옆쪽으로부터 돌아 들어가 감합하는 우회 감합 구조(40)를 구비하기 때문에, 갈고리부(27)가 감합 간극(31)을 거쳐서 일단 갈고리 감합 리브(30)를 타고 넘도록 삽입하여 갈고리 감합 리브(30)에 감합시킬 필요가 없고, 갈고리부(27)가 감합 간극(31) 내를 통과하지 않기 때문에, 통상의 캡 개폐 조작에서는 갈고리부(27)가 갈고리 감합 리브(30)의 감합면(30a)으로부터 빠지지 않는 발거력을 확보하기 위한 갈고리부(27)의 감합량의 설계와, 연결부(26)가 들어갈 만큼의 낮은 삽입력을 확보하기 위한 감합 간극(31)의 설계를 독립적으로 행할 수 있어, 높은 발거력과 낮은 삽입력을 양립시킬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제1 방식으로서 도시한 바와 같은 갈고리 구조 방식을 베이스로 하고 있기 때문에, 캡(27)의 장착 부분이 휴대 전화기(1)의 외관상 직접 보이는 일이 없어 디자인성의 자유도를 저해시키는 일도 없다. 또한, 어떠한 원인으로 통상 사용을 초과하는 무리한 발거력이 캡 (20)에 가해진 경우라도, 갈고리 감합 리브(30)의 감합면(30a)에 감합하고 있던 갈고리부(27)가 자신이 갖는 유연성에 의해 탄성 변형하여 갈고리 감합 리브(30), 감합 간극(31)을 타고 넘어 송화측 케이스(3)로부터 분리되는 분리 가능한 구조이며, 캡(20)이나 갈고리 감합 리브(30) 혹은 그 주변 구조물의 파손을 방지할 수도 있다. 게다가, 장치[케이스(9, 10)]의 분해나 전용 공구를 필요로 하지 않고서 캡(20)의 장착을 행할 수도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유연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캡 장착부(22)의 삽입 조작에 따른 탄성적인 변형 이동을 이용함으로써, 갈고리 감합 리브(30)의 감합면(30a)에 대하여, 갈고리부(27)가 갈고리 감합 리브(30)의 옆쪽으로부터 돌아 들어가 감합하는 우회 감합 구조(40)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게다가, 갈고리부(27)가 삽입 방향에 있어서 갈고리 감합 리브(30)에 간섭하는 부위에서, 이 삽입 방향에 대하여 옆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하여 형성된 경사면(27a, 30c)을 포함하는 우회 감합 구조(40)로 하고 있기 때문에, 캡 장착부(22)를 통상과 마찬가지로 갈고리 감합 리브(30)를 향해 삽입하는 삽입 조작을 행하는 것만으로, 경사면(27a, 30c)에 의한 갈고리부(27)와 갈고리 감합 리브(30)의 맞닿음 면(30b)의 간섭을 가이드로 해서 캡 장착부(22)를 갈고리 감합 리브(30)의 옆쪽으로부터 돌아 들어가도록 강제적이고 또한 탄성적으로 변형 이동시켜 감합할 수 있어, 장착 공정 수가 증가하는 일이 없이 장착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경사면(27a, 30c)이 갈고리부(27)와 갈고리 감합 리브(30) 양쪽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캡 장착부(22)의 삽입 조작에 따른 캡 장착부(22)의 강제적이고 또한 탄성적인 변형 이동을 안정 되게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휴대 전화기(1)의 커넥터(13) 부분용 개구부(14)를 폐색하기 위한 캡(20)을 적용예로 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와 같은 소형 정보 처리 단말, 소형 음악 재생 장치, 휴대 텔레비전 등의 다른 각종 휴대 단말 장치의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이어폰 잭, 메모리 카드 슬롯 등을 위한 개구부를 폐색하기 위한 캡의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부기 1)
일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이 개구부 내측에서 캡 삽입 인출 방향으로 간섭하는 위치에 갈고리 감합 리브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갈고리 감합 리브에 감합하여 캡 인출 방향으로 빠지지 않는 갈고리형의 갈고리부 및 선단에 이 갈고리부를 일체로 갖고 상기 갈고리 감합 리브 단부면에 상기 갈고리부의 갈고리 높이보다 좁게 형성된 감합 간극에 들어가는 두께로 형성된 연결부를 갖는 유연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캡 장착부와, 상기 연결부의 후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를 자유롭게 개폐할 수 있도록 폐색하는 캡 본체를 갖는 캡과,
상기 캡 장착 시에 상기 갈고리부가 상기 갈고리 감합 리브에 대하여 이 갈고리 감합 리브 옆쪽으로부터 돌아 들어가 감합하는 우회 감합 구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부기 2)
상기 우회 감합 구조는 상기 캡 장착부의 삽입 조작에 따른 삽입 방향과 다른 옆 방향으로의 이 캡 장착부의 탄성적인 변형 이동에 의해 상기 갈고리 감합 리브 옆 방향으로부터 돌아 들어가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에 기재한 휴대 단말 장치.
(부기 3)
상기 우회 감합 구조는 상기 갈고리부가 삽입 방향에 있어서 상기 갈고리 감합 리브에 간섭하는 부위에서 이 삽입 방향에 대하여 옆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하여 형성된 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2에 기재한 휴대 단말 장치.
(부기 4)
상기 경사면은 상기 갈고리 감합 리브 또는 상기 갈고리부의 한쪽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3에 기재한 휴대 단말 장치.
(부기 5)
상기 경사면은 상기 갈고리 감합 리브 및 상기 갈고리부 양쪽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3에 기재한 휴대 단말 장치.
(부기 6)
상기 갈고리 감합 리브 및 상기 갈고리부 양쪽의 경사면은 이 경사면의 경계가 리브 폭 방향으로 연속하고, 또는 오버랩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5에 기재한 휴대 단말 장치.
(부기 7)
상기 갈고리 감합 리브 및 상기 갈고리부 양쪽의 경사면은 상기 갈고리 감합 리브 및 상기 갈고리부에 있어서 동일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하여 리브 폭 방향의 다른 쪽에 반씩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5 또는 6에 기재한 휴대 단말 장치.
(부기 8)
상기 감합 간극은 상기 갈고리 감합 리브 단부면과,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고 이 갈고리 감합 리브 단부면에 대하여 대향 배치된 다른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휴대 단말 장치.
(산업상이용가능성)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 장치는 휴대 단말 장치의 케이스의 일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폐색하는 캡에 유용하며, 특히 갈고리 구조 방식의 캡을 장착하는 경우에 적합하다.
청구항 1의 발명에 따르면, 캡 장착시에 갈고리부가 갈고리 감합 리브에 대하여 이 갈고리 감합 리브 옆쪽으로부터 돌아 들어가 감합하는 우회 감합 구조를 구비하기 때문에, 갈고리부가 감합 간극을 거쳐서 일단 갈고리 감합 리브를 타고 넘도록 삽입하여 갈고리 감합 리브에 감합시킬 필요가 없고, 갈고리부가 감합 간극 내를 통과하지 않기 때문에, 통상의 캡 개폐 조작에서는 갈고리부가 갈고리 감합 리브로부터 빠지지 않는 발거력을 확보하기 위한 갈고리부의 감합량의 설계와, 연결부가 들어갈 만큼의 낮은 삽입력을 확보하기 위한 감합 간극의 설계를 독립적으로 행할 수 있어, 높은 발거력과 낮은 삽입력을 양립시킬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갈고리 구조 방식을 베이스로 하고 있기 때문에, 캡의 장착 부분이 외관상 직접 보이는 일이 없어 디자인성의 자유도를 저해시키는 일이 없고, 또한 통상 사용을 초과하는 무리한 발거력이 캡에 가해진 경우라도 갈고리 감합 리브에 감합하고 있던 갈고리부가 탄성 변형하여 갈고리 감합 리브, 감합 간극을 타고 넘어 케이스로부터 분리되기 때문에, 캡이나 케이스의 파손을 방지할 수도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청구항 2의 발명에 따르면, 유연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캡 장착부의 삽입 조작에 따른 탄성적인 변형 이동을 이용함으로써, 갈고리 감합 리브에 대하여 갈고리부가 갈고리 감합 리브 옆쪽으로부터 돌아 들어가 감합하는 우회 감합 구조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청구항 3의 발명에 따르면, 갈고리부가 삽입 방향에 있어서 갈고리 감합 리브에 간섭하는 부위에서 이 삽입 방향에 대하여 옆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하여 형성된 경사면을 포함하는 우회 감합 구조로 했기 때문에, 캡 장착부를 통상과 마찬가지로 갈고리 감합 리브를 향해 삽입하는 삽입 조작을 행하는 것만으로, 경사면에 의한 갈고리부와 갈고리 감합 리브의 간섭을 가이드로 해서 캡 장착부를 갈고리 감합 리브 옆쪽으로부터 돌아 들어가도록 탄성적으로 변형 이동시켜 감합시킬 수 있어, 장착 공정 수가 증가하는 일이 없이 장착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청구항 4의 발명에 따르면, 경사면이 갈고리 감합 리브와 갈고리부 양쪽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캡 장착부의 삽입 조작에 따른 캡 장착부의 탄성적인 변형 이동을 안정되게 가이드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Claims (4)

  1. 일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이 개구부 내측에서 캡 삽입 인출 방향으로 간섭하는 위치에 갈고리 감합 리브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갈고리 감합 리브에 감합하여 캡 인출 방향으로 빠지지 않는 갈고리형의 갈고리부 및 선단에 이 갈고리부를 일체로 갖고 상기 갈고리 감합 리브 단부면에 상기 갈고리부의 갈고리 높이보다 좁게 형성된 감합 간극에 들어가는 두께로 형성된 연결부를 갖는 유연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캡 장착부와, 상기 연결부의 후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를 자유롭게 개폐할 수 있도록 폐색하는 캡 본체를 갖는 캡과;
    상기 캡 장착시에 상기 갈고리부가 상기 갈고리 감합 리브에 대하여 이 갈고리 감합 리브 옆쪽으로부터 돌아 들어가 감합하는 우회 감합 구조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회 감합 구조는 상기 캡 장착부의 삽입 조작에 따른 삽입 방향과 다른 옆 방향으로의 이 캡 장착부의 탄성적인 변형 이동에 의해 상기 갈고리 감합 리브 옆 방향으로부터 돌아 들어가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우회 감합 구조는 상기 갈고리부가 삽입 방향에 있어 서 상기 갈고리 감합 리브에 간섭하는 부위에서 이 삽입 방향에 대하여 옆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하여 형성된 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은 상기 갈고리 감합 리브 및 상기 갈고리부 양쪽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KR1020060004401A 2005-09-27 2006-01-16 휴대 단말 장치 KR1006650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280089A JP4491393B2 (ja) 2005-09-27 2005-09-27 携帯端末装置
JPJP-P-2005-00280089 2005-09-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5083B1 true KR100665083B1 (ko) 2007-01-09

Family

ID=36710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4401A KR100665083B1 (ko) 2005-09-27 2006-01-16 휴대 단말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083439B1 (ko)
JP (1) JP4491393B2 (ko)
KR (1) KR1006650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39629A1 (ja) * 2007-05-09 2008-11-20 Yoshiaki Takida 携帯型コンポーネントオーディオ
CN101436731B (zh) * 2007-11-16 2010-11-10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电子装置
US7950935B2 (en) * 2008-04-18 2011-05-31 Asustek Computer Inc. Electronic device with covering lid for covering insert hole
TWI401937B (zh) * 2008-04-18 2013-07-11 Asustek Comp Inc 具遮蔽插孔設計之電子裝置
CN101567505B (zh) * 2008-04-25 2012-11-21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连接器盖体结构及具有该盖体结构的电子装置
JP5141583B2 (ja) * 2009-02-12 2013-02-13 富士通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電子機器
CN101841103B (zh) * 2009-03-19 2013-01-09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连接器盖体结构及具该盖体结构的电子装置
JP5236558B2 (ja) * 2009-03-31 2013-07-17 能美防災株式会社 電気機器
CN101908689B (zh) * 2009-06-08 2012-11-21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连接器盖体结构及具该盖体结构的电子装置
CN101997231B (zh) * 2009-08-26 2014-04-16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便携式电子装置及其接口保护盖组件
US8259445B2 (en) * 2009-09-07 2012-09-0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Enclosure mechanism for a computing device
CN102025075A (zh) * 2009-09-21 2011-04-20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连接器盖体结构及具该盖体结构的电子装置
CN102170760A (zh) * 2010-02-26 2011-08-31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便携式电子装置
CN102340076B (zh) * 2010-07-22 2013-10-09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接口保护盖及具有该接口保护盖的便携式电子装置
US8708205B2 (en) * 2010-10-15 2014-04-29 Trail Tech, Inc. Handlebar mount for motorcycle meter or the like
JP2013167864A (ja) * 2012-01-16 2013-08-29 Panasonic Corp 蓋取り付け構造及び電子機器
KR101187735B1 (ko) * 2012-02-28 2012-10-08 (주) 에이스엔 구취 측정 시스템
KR20130104138A (ko) * 2012-03-13 2013-09-2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방수 케이스
KR101966259B1 (ko) * 2012-10-11 2019-04-0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기기의 실링 장치
JP6044830B2 (ja) * 2012-12-27 2016-12-1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子機器
TWI592084B (zh) * 2014-06-17 2017-07-11 啟碁科技股份有限公司 電子卡保護機構
KR102501571B1 (ko) * 2016-02-12 2023-02-21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장치의 키 장치
CN107681345B (zh) * 2016-08-01 2021-03-23 东莞莫仕连接器有限公司 电连接器组件
JP6869805B2 (ja) * 2017-05-15 2021-05-12 河村電器産業株式会社 キャビネッ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5407A (ko) * 1999-12-29 2001-07-11 윤종용 무선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커넥터 커버
JP2003125046A (ja) * 2001-10-10 2003-04-25 Kyocera Corp 端末装置
JP2003283157A (ja) * 2002-03-25 2003-10-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端末装置
JP2005044547A (ja) * 2003-07-23 2005-02-17 Kyocera Corp 携帯端末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57947A (ja) * 2000-06-12 2001-12-26 Niles Parts Co Ltd 車両用ソケット
JP2002009911A (ja) 2000-06-21 2002-01-11 Hitachi Ltd 携帯端末装置
US6309246B1 (en) * 2000-08-31 2001-10-30 Telxon Corporation Protective RF terminator cap
US7300292B2 (en) * 2001-07-13 2007-11-27 Hosiden Corporation Jack type connector with a shutter, and plug type connector
US6840796B2 (en) * 2003-06-06 2005-01-11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Portable electronic devices with a flexible connection between internal electronics and an auxiliary connec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5407A (ko) * 1999-12-29 2001-07-11 윤종용 무선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커넥터 커버
JP2003125046A (ja) * 2001-10-10 2003-04-25 Kyocera Corp 端末装置
JP2003283157A (ja) * 2002-03-25 2003-10-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端末装置
JP2005044547A (ja) * 2003-07-23 2005-02-17 Kyocera Corp 携帯端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083439B1 (en) 2006-08-01
JP4491393B2 (ja) 2010-06-30
JP2007096467A (ja) 2007-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5083B1 (ko) 휴대 단말 장치
US8568154B2 (en) Structure for electronically connecting between two devices
US7306491B1 (en) Chip card retaining mechanism and electronic device therewith
WO2006093294A1 (ja) カード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US7819696B2 (en) Shielded connector having prolonged latches to provide reliable retaining force to positioning the camera module mounted therein
KR20050024245A (ko) 복수의 카드 수용부들을 구비하고 소형화될 수 있는 카드장착 기구
KR101310740B1 (ko) 접촉 핀
CN1494347A (zh) 便携式无线电话的卡夹持装置
US7794250B2 (en) Card mounting apparatus
WO2008057424A2 (en) Substrate connector
US8746573B2 (en) Smart card holding member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employing the same
US8368835B2 (en) Grounding mechanism for liquid crystal module
JP2000332448A (ja) 電子機器の筐体構造
TW201547125A (zh) 至少一電子配件之電氣接地配件及其電子板和電子裝置
JP4271560B2 (ja) カードコネクタ
JP4672413B2 (ja) コネクタ、コネクタの製造方法及び電子機器
JP5166325B2 (ja) 接触ピン
JP4804124B2 (ja) 携帯型電子機器
KR101106675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이어잭 접속 구조
JP2016171049A (ja) 電子機器
JP2006186639A (ja) 電子機器
CN115348343B (zh) 一种线卡结构和电子设备
KR20060077693A (ko) 연성인쇄회로기판(fpcb)용 커넥터 및 이를 구비하는이동통신단말기
CN109841989B (zh) 电子装置
KR20060114139A (ko)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