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4735B1 - 편집장치 및 편집방법 - Google Patents

편집장치 및 편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4735B1
KR100664735B1 KR1020000014000A KR20000014000A KR100664735B1 KR 100664735 B1 KR100664735 B1 KR 100664735B1 KR 1020000014000 A KR1020000014000 A KR 1020000014000A KR 20000014000 A KR20000014000 A KR 20000014000A KR 100664735 B1 KR100664735 B1 KR 1006647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memory
folder
name
mo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40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62963A (ko
Inventor
카토후미히코
이이지마히토시
미나카타요시미치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00062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29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47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47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1/00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 G11B31/006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with video camera or receiv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4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1/00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 G11B31/02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with automatic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2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그룹으로 분류되고 적어도 하나의 기록매체에 기록된 파일이 다른 그룹으로 이동되는 경우에, 소스 그룹명, 수신지 그룹명, 각각의 소스 그룹과 소스 그룹의 총 파일번호를 통합 아이콘으로 표시하도록 하는 편집장치와 편집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편집장치 및 편집방법{Editing apparatus and editing method}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음성 기록 또는 재생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음성 기록 또는 재생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음성 기록 또는 재생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성 기록 또는 재생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의 형태를 설명하는 기능적 블록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실시의 형태의 제 1상태를 설명하는 기능적 플로우차트이다.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실시의 형태의 제 2상태를 설명하는 기능적 플로우차트이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실시의 형태의 제 1상태를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실시의 형태의 제 2상태를 설명하는 개략도이 다.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실시의 형태의 제 3상태를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5d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실시의 형태의 제 4상태를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실시의 형태의 제 1상태를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실시의 형태의 제 2상태를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실시의 형태의 제 3상태를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6d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실시의 형태의 제 4상태를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음성 기록 또는 재생장치의 구성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a는 하나의 메모리로부터 다른 메모리로 폴더를 이동시키는 처리를 설명하는 제 1개략도이다.
도 8b는 하나의 메모리로부터 다른 메모리로 폴더를 이동시키는 처리를 설명하는 제 2개략도이다.
도 8c는 하나의 메모리로부터 다른 메모리로 폴더를 이동시키는 처리를 설명 하는 제 3개략도이다.
도 9a는 하나의 메모리로부터 다른 메모리로 용건기록파일을 이동시키는 처리를 설명하는 제 1개략도이다.
도 9b는 하나의 메모리로부터 다른 메모리로 용건기록파일을 이동시키는 처리를 설명하는 제 2개략도이다.
도 9c는 하나의 메모리로부터 다른 메모리로 용건기록파일을 이동시키는 처리를 설명하는 제 3개략도이다.
도 10a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실시의 형태의 제 1상태를 설명하는 기능적 플로우차트이다.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실시의 형태의 제 2상태를 설명하는 기능적 플로우차트이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의 형태에 따른 제 1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1b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의 형태에 따른 제 2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1c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의 형태에 따른 제 3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1d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의 형태에 따른 제 4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2a는 본 발명에 따른 제 3실시의 형태의 제 1상태의 구성을 설명하는 기 능적 플로우차트이다.
도 12b는 본 발명에 따른 제 3실시의 형태의 제 2상태의 구성을 설명하는 기능적 플로우차트이다.
도 12c는 본 발명에 따른 제 3실시의 형태의 제 3상태의 구성을 설명하는 기능적 플로우차트이다.
도 13a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의 형태에 따른 제 1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3b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의 형태에 따른 제 2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3c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의 형태에 따른 제 3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3d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의 형태에 따른 제 4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3e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의 형태에 따른 제 5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50. 표시부 51. 조작부
52. 모드전환키 53a,53b. 선택키
54. 확정키
본 발명은 그룹으로 분류되어 적어도 하나의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파일을 다른 그룹으로 이동시키는 경우에, 소스 그룹명, 수신지 그룹명, 각 소스 그룹과 수신지 그룹의 파일의 총 수, 수신지 그룹의 파일삽입위치를 통합 아이콘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편집장치 및 편집방법에 관한 것이다.
마이크로폰에서 입력된 음성신호를 디지털화하고, 그 디지털 데이터를 압축하여 비휘발성 반도체 메모리에 압축된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재생하도록 한 음성 기록 또는 재생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비휘발성 반도체 메모리를 사용한 음성 기록 또는 재생장치는 소형, 경량화할 수 있기 때문에 휴대하기에 편리하다. 또한, 음성 기록 또는 재생장치는 외부로부터의 진동이나 쇼크(shock)에 대하여 저항력을 가지며, 취급이 용이하다. 따라서, 음성 기록 또는 재생장치는 상담에서의 회담을 기록한다든지 회의에서의 담화를 기록하는데 있어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근래, 큰 저장용량을 갖는 비휘발성 메모리가 개발되어 왔다. 따라서, 용건파일의 수와 기록시간이 대폭적으로 증가하게 되었다. 그러나, 음성 기록 또는 재생장치의 비휘발성 메모리에 이와 같은 다수의 용건파일이 기록되면 사용자가 목적으로 하는 용건기록파일을 검색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그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비휘발성 반도체 메모리를 사용한 음성기록 및 재생장치에 있어서는 파일들을 그룹(폴더)으로서 분류한다. 용건기록파일을 그룹(폴더)으로서 분류하여 관리하면 용건기록파일이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서 편집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목적으로 하는 용건기록파일을 용이하게 검색할 수 있다. 또, 각 사용자들은 개개의 폴더를 사용하여 용건기록파일을 기록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사용자들이 하나의 기기를 공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각 사용자는 업무나 개인적인 용도로 다른 폴더를 만들수도 있다. 사용자는 그들의 업무나 개인적인 용도 등에 따라서 용건기록파일을 다른 폴더에 기록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이와 같은 음성 기록 또는 재생장치에 있어서는 시간순으로 용건기록파일이 기록된다. 즉, 동일의 폴더내에 있어서, 최초에 기록된 용건기록파일은 용건기록번호 1로 할당되며, 두번째 기록된 용건기록파일은 용건기록번호 2로 할당된다. 마찬가지로, 세번째 기록된 용건기록파일은 용건기록번호 3으로 되도록 용건기록번호가 부여된다.
그렇지만, 사용자가 재생하고 싶어하는 용건기록파일의 순번은 항상 기록한 시간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사용자는 용건기록파일의 순번을 변경하려고 생각하는 경우가 자주 있다. 또, 사용자는 다른 폴더로 용건기록파일을 이동하려고 생각할 수도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음성 기록 또는 재생장치에서는 용건기록번호의 변경이나 다른 폴더로의 용건기록파일의 이동을 행하지 못하였다.
또, 최근 비휘발성 메모리장치로서 카드형의 착탈가능한 메모리장치와 스틱(stick)형의 착탈가능한 메모리장치가 등장하고 있다. 따라서, 음성 기록 또는 재생장치에 이와 같은 착탈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장치를 장착하는 것이 고려된다. 또, 기록시간의 향상이나 용건기록파일의 수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복수의 비휘발성 메모리장치를 장착하는 것이 고려된다. 이와 같이, 착탈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를 사용한 경우나 복수의 비휘발성 메모리장치를 탑재한 경우에는 하나의 메모리장치의 폴더를 다른 메모리장치로 이동하거나 하나의 폴더에서 다른 폴더로 용건기록파일을 이동할 수 있는 것이 소망된다.
본 발명의 제 1관점은 기록매체에 저장된 파일을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하고 그 그룹으로 파일을 관리하며, 동일한 그룹 또는 하나의 그룹으로부터 다른 그룹까지의 기록매체에 기록된 파일을 이동하는 편집장치에 있어서,
파일이 이동되는 그룹과 그룹의 삽입위치를 지정하는 조작수단과, 지정된 그룹으로서 분류된 총 파일수와 지정된 그룹의 모든 파일의 지정된 파일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번호와 지정된 그룹을 식별하는 태그(tag)를 표시하는 표시수단과, 상기 표시수단으로 하여금 상기 조작수단에 의해 지정된 그룹명, 지정된 그룹명으로 분류된 총 파일 수와 상기 조작수단에 의해 지정된 그룹의 파일의 위치번호를 표시하도록 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2관점은 복수의 메모리 기록매체에 저장된 파일을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하고 그 그룹으로 파일을 관리하며, 하나의 기록매체에 기록된 그룹을 다른 기록매체로 이동하는 편집장치에 있어서,
그룹이 이동되는 기록매체와 그 기록매체의 그룹의 삽입위치를 지정하는 조작수단과, 그룹이 이동되는 기록매체의 기록명과 그룹이 이동되는 기록매체의 그룹의 그룹명을 나타내는 태그를 표시하는 표시수단과, 상기 표시수단으로 하여금 상기 조작수단에 의해 지정된 기록매체의 식별명과 그룹이 이동되는 기록매체의 그룹명을 표시하도록 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3관점은 기록매체에 기록된 파일을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하고 그 그룹으로 파일을 관리하며, 동일한 그룹 또는 하나의 그룹으로부터 다른 그룹까지의 기록매체에 기록된 파일을 이동하는 편집방법에 있어서,
파일이 이동되는 그룹의 그룹명과 사용자에 의해 지정되는 그룹명을 나타내는 태그를 표시하는 단계(a)와, 파일이 이동되는 그룹으로서 분류된 파일의 총 수를 표시하는 단계(b)와, 그룹의 파일 총 수와 함께 그룹의 파일의 파일 삽입위치를 나타내는 위치번호를 표시하는 단계(c)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 4관점은 복수의 기록매체에 저장된 파일을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하고 그 그룹으로 파일을 관리하며, 제 1기록매체로부터 제 2기록매체로 그룹을 이동하는 편집방법에 있어서,
그룹이 이동되는 기록매체의 식별명을 표시하는 단계와, 그룹이 이동되는 기록매체에 기록된 그룹명을 나타내는 태그를 표시하는 단계와, 그룹이 이동될 기록매체의 식별명을 표시하는 단계와, 그룹이 이동될 기록매체에서 그룹의 삽입위치를 나타내는 태그를 표시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 특징, 장점은 첨부된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의 실시형태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a, 도 1b,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음성 기록 또는 재생장치(1) 전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음성 기록 또는 재생장치(1)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2)가 설치되어 있다. 또, 녹음버튼(3), 소거버튼(4), 파일버튼(5), 중요마크버튼(6), 정지버튼(7)이 설치되어 있다. 또, 표시기 램프(indicator lamp)(8), 스피커(9), 마이크로폰(10)이 설치되어 있다.
디스플레이부(2)는, 예를 들면 액정(liquid crystal) 디스플레이장치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 디스플레이부(2)에는 용건기록파일에 관한 정보, 기록시각 등이 표시된다. 또한, 기록된 음성정보가 용건기록파일로서 관리된다.
녹음버튼(3)은 기록모드로 설정하거나 일시정지하기 위한 버튼이다. 이 녹음버튼(3)이 단압되면(momentarily pressed) 기록상태로 설정된다. 기록모드에서 외부의 음성신호가 입력되면 그 음성신호가 음성 기록 또는 재생장치(1)내에 설치된 비휘발성 반도체 메모리에 기록된다. 그리고, 용건기록파일의 녹음시에는 표시기(8)가 붉게 점등된다. 용건기록파일의 녹음중에 녹음버튼(3)이 눌려지면 기록동작이 일시정지된다.
소거버튼(4)은 음성 기록 또는 재생장치(1)내에 설치된 비휘발성 반도체 메모리에 기록된 용건기록파일을 소거하기 위한 버튼이다. 용건기록파일의 재생중에 소거버튼(4)이 단압되거나 기록동작이 일시정지중에 소거버튼(4)이 장압되면(continuously pressed), 장치는 용건기록파일의 1건 소거모드로 설정된다. 그 후, 소거버튼(4)이 단압되면 용건기록파일의 소거가 실행된다. 비휘발성 반도체 메모리에 저장된 모든 용건기록파일을 소거하기 위해서는 정지버튼(7)을 누르면서 소거버튼(4)을 장압한 후, 소거버튼(4)을 단압한다.
폴더버튼(5)은 폴더 아이콘을 선택하기 위한 버튼이다. 중요 마크버튼(6)은 용건기록파일의 우선순위를 변경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음성 기록 또는 재생장치(1)의 측면에는 재생버튼(11), FF/REW버튼(12), 홀드스위치(13)가 배치된다.
음성 기록 또는 재생장치(1)의 정지중에 재생버튼(11)이 단압되면 음성 기록 또는 재생장치(1)내에 설치된 비휘발성 반도체 메모리에 기록되어 있던 용건기록파일이 재생된다. 재생음은 스피커(9)에서 출력된다. 용건기록파일의 재생중에 재생버튼(11)이 단압되면, 재생동작이 일시 정지상태로 설정된다. 용건기록파일의 녹음중에 재생버튼(11)이 단압되면 지금까지 녹음되어 있던 용건기록파일이 재생된다. 한편, 용건기록파일의 녹음중에 재생버튼(11)이 장압되면 용건기록파일은 반복재생으로 된다. 음성 기록 또는 재생장치(1)의 정지중에 재생버튼(11)이 장압되면 용건기록파일은 스캔재생으로 된다(scan-reproduced).
FF/REW버튼(12)이 단압되면 찾기동작이 실행된다. 마찬가지로, 용건기록파일의 재생중에 FF/REW버튼(12)이 단압될 때도 찾기동작이 실행된다. 용건기록파일의 재생중에 FF/REW버튼(12)이 장압되면 용건기록파일이 큐(cue) 또는 리뷰(review)로 된다.
홀드스위치(13)는 음성 기록 또는 재생장치(1)의 현재 모드를 홀드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홀드스위치(13)를 홀드 온으로 설정하면 전체의 입력이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도 1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음성 기록 또는 재생장치(1)의 상면에는 메뉴버튼(14), 회전식 음량볼륨 제어기(15)가 설치된다. 메뉴버튼(14)이 단압되면 음성 기록 또는 재생장치(1)는 메뉴모드로 들어간다. 이 후, FF/REW버튼(12)에서 음성 기록 또는 재생장치(1)의 각 모드가 설정된다. 회전식 음량볼륨 제어기(15)는 용건기록파일의 음량레벨을 설정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성 기록 또는 재생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에 있어서, 참조부호 21은 신호처리부이다. 신호처리부(21)는 음성신호에 대하여 엔코드처리와 디코드처리를 행한다. 신호처리부(21)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로 구성되어 있다. 이 신호처리부(21)는 A/D변환기(22)와 엔코더(23)와 디코더(24)와 D/A변환기(25)와 인터페이스(26)로 이루어진다. 엔코더(23)는, 예를 들면 ADPCM(Adaptive Differential Pulse Code Modulation)에 따라서 오디오 데이터를 압축부호화하는 것이다. 디코더(24)는 ADPCM에 따라서 부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것이다. 또한, 부호화방식은 ADPCM에 한정되지 않는다. ATRAC(Adaptive Transform Acoustic Coding) 등의 다른 엔코딩방식을 사용하도록 하여도 좋다.
참조부호 (31)은 제어부이다. 제어부(31)는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는 것이다. 제어부(31)는 마이크로 컴퓨터로 구성할 수 있다. 제어부(31)는 조작부(32)에서 입력신호를 수신한다. 조작부(32)는 도 1a, 도 1b, 도 1c의 음성(메세지) 기록 또는 재생장치상의 각 버튼에 대응한다. 조작부(32)로부터의 출력신호는 조작제어부(33)에 공급된다. 조작제어부(33)에서는 조작정보를 인식하여 전달한다. 조작제어부(33)의 출력신호가 모드생성부(34)에 공급된다. 모드생성부(34)에서는 조작부(32)로부터의 출력신호에 대응하여 모드제어명령이 생성된다. 모드생성부(34)의 출력신호가 모드제어부(35)에 공급된다. 모드제어부(35)는 모드생성부(34)의 출력신호에 대응하여 모드를 설정한다.
모드제어부(35)에 의해 설정된 모드에 따라서, RAM제어부(36)는 버퍼RAM(37)의 독출동작 또는 기입동작을 제어한다. 표시구동부(38)는 모드제어부(35)에 의해 설정된 모드에 대응하는 표시신호를 생성한다. 표시부(39)는 디스플레이 신호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39)는 도 1a에서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부(2)에 대응하고 있다.
참조부호 (41)은 플래시 메모리이다. 플래시 메모리(41)는 비휘발성의 반도체 메모리로 이루어진다. 플래시 메모리(41)는 음성 기록 또는 재생장치(1)의 용건기록파일에 대한 기록매체로서 사용된다. 플래시 메모리(41)는 비휘발성 반도체 메모리이기 때문에, 주전원이 오프되어도 플래시 메모리(41)에 저장된 데이터는 유지된다.
용건기록파일의 기록시에는 도 1에 나타낸 마이크로폰(10)에 대응하는 마이크로폰(51)으로부터 외부의 음성신호가 입력된다. 마이크로폰(51)의 출력신호가 엠프(52), AGC(Automatic Gain Control)회로(53)를 통하여 신호처리회로(21)의 A/D변환기(22)에 공급된다.
A/D변환기(22)에서는 아날로그의 오디오신호가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된다. A/D변환기(22)의 출력데이터는 엔코더(23)에 공급된다. 엔코더(23)에서는 A/D변환기(22)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가, 예를 들면 ADPCM에 대응하여 압축부호화된다.
엔코더(23)의 출력데이터는 인터페이스회로(26)를 통하여 제어부(31)의 버퍼RAM(37)에 공급된다. 엔코더(23)의 출력데이터는 버퍼RAM(37)에 일시 축적된다. 버퍼RAM(37)의 출력데이터는 플래시 메모리(41)에 축적된다.
목적으로 하는 용건기록파일의 재생시에는 플래시 메모리(41)로부터 관련된 데이터가 독출된다. 플래시 메모리(41)의 출력데이터가 버퍼RAM(37)에 일시 저장된다. 그 후, 플래시 메모리(41)의 출력데이터는 신호처리부(21)의 인터페이스부(26)를 통하여 디코더(24)에 공급된다. 디코더(24)에서는 ADPCM에 대응하여 부호화되어 플래시 메모리(41)로부터 독출된 데이터에 대하여 복호처리가 행해진다. 디코더(24)의 출력데이터는 D/A변환기(25)에 공급된다. D/A변환기(25)에서는 디지털 오디오신호가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로 변환된다.
D/A변환기(25)의 출력신호는 필터회로(54), 엠프(55)를 통하여 스피커(56)에 공급된다. 스피커(56)는 도 1에 나타낸 스피커(9)에 대응한다. 스피커(56)에서는 플래시 메모리(41)로부터 독출된 재생데이터에 기초하여 재생된 음성을 출력한다.
이와 같은 음성 기록 또는 재생장치(1)는 플래시 메모리(41)에 음성데이터를 기록한다. 음성 기록 또는 재생장치(1)는 소형, 경량으로 휴대에 편리하게 되며, 기계적인 진동에 강하고, 손쉽게 취급하기 때문에, 예를 들면 업무적 상담이나 취재, 회의의 기록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또, 이 음성 기록 또는 재생장치(1)의 플래시 메모리(41)에 음악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다. 따라서, 음성 기록 또는 재생장치(1)는 헤드셋 스테레오장치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성 기록 또는 재생장치(1)에서는 소정수의 용건기록파일을 폴더로서 관리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MOVE모드에서는 용건기록파일을 하나의 폴더에서 다른 폴더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동일의 폴더내에서 특정의 용건기록번호를 변경할 수 있다.
도 3은 용건기록파일을 하나의 폴더에서 다른 폴더로 이동시키는 처리와 동일의 폴더내에서 용건기록번호를 변경하는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기능블록도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부(51)에는 모드전환키(52)와 선택키(53A, 53B)와 확정키(confirmation key)(54)가 설치되어 있다. 또, 표시부(50)에는 폴더 아이콘(61)이 표시된다. 폴더 아이콘(61)은 플래시 메모리(53)에 기록된 용건기록파일을 나타낸다. 제어기(54)에는 모드제어부(55), 메모리 제어부(56), 모드생성부(57), 표시제어부(58)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3에 있어서의 조작부(51), 표시부(50), 플래시 메모리(53), 제어기(54)는 도 2에 있어서의 조작부(32), 표시부(39), 플래시 메모리(41), 제어 기(31)와 각각 대응하고 있다.
또, 조작부(51)에 설치되는 모드전환키(52), 선택키(53A, 53B), 확정키(54)는 키의 수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다른 키와 겸용하고 있다. 예를 들면, 모드전환키(52)는 도 1a에 나타낸 녹음버튼(3)과 파일버튼(5)을 동시에 누루는 것에 의해 실현된다. 선택키(53A, 53B)는 FF/REW버튼(12)에 의해 실현된다. 마찬가지로, 확정키(54)는 녹음버튼(3)에 의해 실현된다.
조작부(51)에 입력된 데이터는 모드생성부(57)에 보내진다. 모드생성부(57)는 조작부(51)로부터의 입력데이터에 기초하여 모드신호를 생성한다. 이 모드생성부(57)의 출력데이터는 모드제어부(55)에 공급된다. 이것에 의해, 장치는 조작부(51)로부터의 입력데이터에 기초하여 모드가 설정된다.
모드제어부(55)의 출력데이터는 메모리 제어부(56)에 공급되는 동시에 표시제어부(58)에 보내진다. 메모리 제어부(56)는 동작모드에 따라서 플래시 메모리(53)의 독출동작 또는 기입동작을 제어한다. 표시제어부(58)는 동작모드에 따른 데이터를 표시한다.
하나의 폴더에서 다른 폴더로 용건기록파일을 이동하는 경우에, 장치는 조작부(51)의 모드전환키(52)에 의해 MOVE모드로 설정된다. 장치가 MOVE모드로 설정되면 우선 수신지의 폴더를 변경하는 처리가 행해진다. 이 때에, 표시부(50)의 폴더 아이콘(61)에는 태그(62A)와 태그(63B)가 표시된다. 태그(62A)는 소스 폴더를 나타내고, 태그(63B)는 수신지 폴더를 나타낸다. 선택키(53A, 53B)에 의해 수신지 폴더의 태그(62B)를 선택하는 것으로, 수신지의 폴더가 선택될 수 있다.
목적으로 하는 수신지의 폴더가 선택되면 확정키(54)에 의해 선택된 수신지의 폴더가 확정된다.
수신지의 폴더가 확정된 후, 용건기록번호의 변경처리가 행해진다. 이 때, 선택키(53A, 53B)에 의해 소망의 용건기록번호가 선택된다. 그 폴더의 총 용건기록파일의 수는 폴더 아이콘(61)의 표시기(indicator)(63)로 표시된다. 현재의 폴더번호는 폴더 아이콘(61)중의 표시기(64)에 의해 표시된다. 선택키(53A, 53B)에 의해 현재의 폴더번호를 나타내는 표시기(64)상에 소망의 용건기록번호가 선택될 수 있다.
소망의 용건기록번호가 선택된 후, 확정키(54)에 의해 수신지 폴더의 용건기록번호가 확정된다.
이것에 의해, 선택키(53A, 53B)에 의해 수신지 폴더를 지정한 후, 확정키(54)를 누른다. 수신지 폴더의 용건기록번호를 선택한 후 확인키(54)를 누룸으로써, 하나의 폴더에서 다른 폴더로 선택된 용건 데이터파일이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전체의 조작은 폴더 아이콘(61)의 태그(tag)를 참조하여 시각적으로 행해질 수 있다. 따라서, 양호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설치된다.
또, 동일의 폴더내에서 용건기록번호를 이동할 경우에, 수신지 폴더명의 변경처리가 행해지면 소스 폴더와 수신지 폴더를 동일 폴더에 설정한다. 즉, 소스의 폴더를 나타내는 태그(62A)가 수신지의 폴더를 나타내는 태그(62B)가 되도록, 선택키(53A, 53B)에 의해 수신지의 폴더를 선택한다. 그 후에, 확정키(54)를 누른다. 이와 같이 하면, 다음에 용건기록번호의 변경처리를 행하면 동일 폴더내에서의 용건기록번호가 변경된다. 따라서, 모두 동일한 조작으로 하나의 폴더에서 다른 폴더로 용건기록파일이 이동될 수 있다. 또, 동일의 폴더내에서의 용건기록번호가 변경될 수 있는 것이다.
도 4는 이와 같이 용건기록파일을 하나의 폴더에서 다른 폴더로 이동시키는 처리와 동일의 폴더내에서 용건기록번호를 변경하는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4에 있어서, 단계(S1)에서는 장치가 MOVE모드로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MOVE모드는 모드전환키(52)에 의해 설정된다. 단계(S1)에서의 판단결과가 No이면 그 처리는 종료된다. 단계(S1)에서의 판단결과가 Yes이면 단계(S2)로 진행한다. 단계(S2)에서는 수신지의 폴더가 초기 설정된다.
장치가 MOVE모드로 설정되면 단계(S3)에서 폴더 아이콘에는 소스의 폴더명을 나타내는 태그(62A)가 표시되는 동시에 수신지의 폴더를 나타내는 태그(62B)가 점멸한다. 그 후, 처리는 단계(S4)로 진행한다. 단계(S4)에서는 수신지 폴더의 변경이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에서, 선택키(53A, 53B)를 조작하면 수신지의 폴더가 변경된다. 그리고, 수신지 폴더명을 나타내는 태그(62B)가 점멸한다. 단계(S4)에서의 판단결과가 Yes이면 처리는 단계(S5)로 진행한다. 단계(S5)에서는 입력된 수신지 폴더번호에 대응하여 수신지 폴더명이 변경된다.
그 후, 처리는 단계(S6)로 진행한다. 단계(S6)에서는 입력된 수신지 폴더명이 확정키(54)로 확정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수신지 폴더명이 결정되면 확정키(54)를 누른다. 단계(S6)에서의 판단결과가 No이면 처리는 단계(S4)로 진행한다. 단계(S4)에서는 수신지 폴더명의 변경처리가 반복된다.
단계(S4)∼단계(S6)의 루프에서는 수신지 폴더명의 변경처리가 실행된다. 수신지 폴더명이 결정된 후, 처리는 단계(S6)로 진행한다. 단계(S6)에서, 확정키(54)를 누른다.
단계(S6)에서의 판단결과가 Yes이면 처리는 단계(S7)로 진행한다. 단계(S7)에서는 수신지 폴더명을 나타내는 태그(62A)가 사라진다. 단계(S8)에서는 수신지 폴더명을 나타내는 태그(62B)만이 나타난다. 그 후, 처리는 단계(S9)로 진행한다. 단계(S9)에서는 폴더 아이콘(61)의 태그(63, 64)에 의해 각각 표시되는 파일의 총 수와 현재 용건기록번호가 수신지 폴더의 것으로 변경된다. 수신지 폴더의 용건기록번호를 나타내는 표시기(64)가 점멸한다. 이렇게 하여, 수신지 폴더의 용건기록번호가 변경될 수 있다. 그 후, 처리는 단계(S10)로 진행한다. 단계(S10)에서는 수신지 폴더의 용건기록번호가 선택키(53A, 53B)로 변경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선택키(53A, 53B)에 의해 수신지 폴더의 용건기록번호가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수신지 폴더의 현재 용건기록번호를 나타내는 표시기(64)가 점멸한다. 단계(S10)의 판단결과가 Yes이면 처리는 단계(S11)로 진행한다. 단계(S11)에서는 수신지 폴더의 용건기록번호가 입력된 수신지 용건기록번호에 대응하여 변경된다. 단계(S10)의 판단결과가 No이면 처리는 단계(S12)로 진행한다. 단계(S12)에서는 확정키(54)가 눌려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용건기록번호가 변경되면 처리는 단계(S12)로 진행한다. 단계(S12)에서는 확정키(52)가 눌려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용건기록번호가 판정되면 확정키(54)를 누른다. 단계(S12)의 판단결과가 No이면 처리는 단계(S10)로 진행한다. 단계(S10)에서는 수신지 폴더명의 변경처리가 반복된다.
단계(S10)∼단계(S12)의 루프에서는 수신지 폴더에 대하여 용건기록번호의 변경처리가 실행된다. 수신지 폴더의 입력된 용건기록번호가 확정되면 단계(S12)의 판단결과가 Yes로 된다.
단계(S12)의 판단결과가 Yes이면 처리는 단계(S13)로 진행한다. 단계(S13)에서는 하나의 폴더로부터 다른 폴더로 용건기록파일을 이동시키는 처리가 실행된다. 그 후, 처리는 단계(S14)로 진행한다. 단계(S14)에서, 처리가 종료된다.
따라서, 상술된 처리에서 하나의 폴더로부터 다른 폴더로 용건기록파일을 이동시키는 처리와 동일 폴더에서의 용건기록파일을 변경시키는 처리가 실행된다.
도 5a, 도 5b, 도 5c, 도 5d는 하나의 폴더로부터 다른 폴더로 용건기록파일을 이동시키는 처리를 나타낸다.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태그(62A)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현재의 폴더명을 A로 하고, 폴더 A는 표시기(6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총 10개의 용건기록파일을 가지며, 표시기(6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현재의 용건기록번호를 3이라고 가정하자. 또한, 폴더 A의 용건기록파일(용건기록번호(3))은 폴더C의 용건기록파일(용건기록번호(7))로 이동된다.
용건기록파일을 하나의 폴더로부터 다른 폴더로 이동시키면, 장치는 MOVE모드로 설정된다. MOVE모드에서는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스의 폴더명을 나타내는 태그(62A)와 수신지의 폴더명을 나타내는 태그(62B)가 점멸한다. 이와 같이 하여, 태그(62A)와 표시기(64)에 의해 표시되는 용건기록파일명이 이동되는 파일이다.
도 5b에 있어서, 태그(62B)에 의해 표시되는 수신지의 폴더명이 C이다. 그러나, 태그(62B)에 의해 표시되는 수신지의 폴더명이 항상 C가 아니라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즉,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소스 폴더명이 디폴드(default)로서 점멸하는 태그(62B)에 의해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수신지 폴더가 디폴트로서 점멸하는 태그(62B)에 의해 표시될 수도 있다.
이점에서 선택키(53A 및 53B)로, 태그(62A)로 나타낸 수신지의 폴더명이 A, B, C의 순서로 이동된다. 본 예에서, 선택키(53A 및 53B)로 수신지 폴더명이 C이므로, 점멸하는 태그(62)로 나타낸 수신지 폴더명이 C가 되도록 수신지 폴더명이 선택된다.
수신지 폴더명이 선택된 후, 확정키(54)가 눌려진다. 도 5c에 나타낸 것처럼 확정키(54)가 눌려지면, 수신지 폴더명(A)을 나타내는 태그(62)는 사라진다. 수신지 폴더명(C)을 나타내는 태그(62B)만이 나타난다. 또, 폴더 아이콘(61)중 표시기(63, 64)로 각각 나타낸 총 용건 파일의 수나 현재의 용건번호가 수신지 폴더의 정보로 변경된다. 또한, 현재 용건번호를 나타내는 표시기(64)가 점멸한다
표시기(64)로 나타낸 디폴트(default) 수신지 용건번호는 다양한 방법으로 확정될 수 있다. 도 5c에 나타낸 예에서, 점멸하는 표시기(64)로 나타낸 디폴트 수신지 용건번호는 7이다. 선택적으로, 점멸하는 표시기(64)로 나타낸 디폴트 수신지 용건번호는 가장 작은 용건번호가 되는 1이 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점멸하는 표시기(64)로 나타낸 디폴트 수신지 용건번호는 가장 큰 용건번호가 되는 1이 될 수 있다. 또한, 표시기(64)로 나타낸 디폴트 수신지 용건번호는 사용자에 의해 처음에 확정된다. 점멸하는 표시기(64)로 나타낸 디폴트 수신지 용건번호는 최후에 사용자에 의해 확정된 수신지 용건번호일 수 있다.
선택키(53A 및 53B)에 의해, 수신지 폴더의 용건번호가 변경된다. 본 예에서, 수신지 폴더의 용건번호는 선택키(53A 및 53B)에 의해 7이 되므로, 표시기(64)에 의해 나타낸 용건번호가 7이 되도록 용건번호가 선택된다.
수신지 폴더의 용건번호가 선택되면, 확정키(54)가 눌려진다. 도 5d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확정키(54)가 눌려되면 용건파일이 수신지 폴더 C의 용건파일(용건번호 7)로 이동된다. 하나의 용건파일이 수신지 폴더 C로 삽입되기 때문에, 표시기(63)로 나타낸 총 기록파일의 총 수는 19가 된다.
도 6a, 6b, 6c 및 6d는 동일한 폴더에서 용건파일을 이동하는 처리(즉, 폴더에서 용건파일을 변경하는 처리)이다. 이 처리는 폴더에서 다른 폴더로 용건파일을 이동하는 처리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행될 수 있다.
도 6a에 나타낸 것처럼, 현재 폴더명을 A, 폴더 A에서 용건 파일의 총 수를 10, 현재 용건번호를 3으로 가정한다. 또한, 동일한 폴더내에서 용건파일(용건번호 3)이 용건파일(용건번호 8)로 이동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용건파일이 동일한 폴더내에서 이동할 때, 장치는 MOVE 모드로 설정된다. 도 6b에 나타낸 것처럼, 장치가 MOVE 모드로 설정되면 소스 폴더명을 나타내는 태그(62A)와 수신지 폴더번호를 나타내는 태그(62B)가 함께 점멸한다.
선택키(53a 및 53b)에 의해, 태그(62B)로 나타낸 수신지 폴더명이 변경된다. 본 예에서, 수신지 폴더명은 A, B, 및 C순서로 변경된다. 본 예에 있어서, 선택키(53A 및 53B)에 의해 용건파일이 동일한 폴더내에서 이동하기 때문에, 태그(62B)로 나타낸 수신지 폴더명이 A가 되도록 수신지 폴더명이 선택된다. 이 점에서, 소스 폴더명은 도 6b에 나타낸 것처럼 수신지 폴더명과 동일하며, 소스 폴더명을 나타내는 태그(62A)는 수신지 폴더명을 나타내는 태그(62B)와 동일하다.
도 6b에 있어서, 태그(62B)로 나타낸 수신지 폴더명은 A이다. 그러나, 수신지 폴더명은 A에 한정되지 않는 것에 주의해야 한다. 태그(62B)로 나타낸 디폴트 수신지 폴더명은 소스폴드명과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선택한 폴더명은 점멸하는 태그(62B)로 나타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사용자가 최후에 선택한 수신지 폴더명은 디폴트로서 태그(62B)로 나타낼 수 있다.
수신지 폴더명이 선택된 후, 확정키(54)가 눌려진다. 확정키(54)가 눌려진 후에, 소스 폴더명A를 나타내는 태그(62A)는 사라진다. 수신지 폴더명을 나타내는 태그(62b)만이 나타난다. 폴더 아이콘(61)중 표시기(63, 64)로 각각 나타낸 총 용건 파일의 수나 현재의 용건번호가 수신지 폴더의 정보로 변경된다. 현재 용건번호를 나타내는 표시기(64)가 점멸한다. 그러나, 본 예에 있어서, 도 6c에 나타낸 것처럼 소스 폴더명과 수신지 폴더명은 동일하기 때문에(본 예에서, 폴더명은 A), 현재 용건번호를 나타내는 표시기(64)가 점멸한다.
점멸하는 표시기(64)로 나타낸 디폴트 수신지 용건번호는 다양한 방식으로 지정될 수 있다. 도 6c에서, 점멸하는 표시기(64)로 나타낸 디폴트 용건번호는 8이다. 점멸하는 표시기(64)로 나타낸 디폴트 용건번호는 가장 작은 용건번호가 되는 1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점멸하는 표시기(64)로 나타낸 디폴트 용건번호는 8이다. 점멸하는 표시기(64)로 나타낸 디폴트 용건번호는 가장 큰 용건번호가 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표시기(64)로 나타낸 디폴트 용건번호는 사용자에 의해 눌려진다. 마찬가지로, 점멸하는 표시기(64)로 나타내는 디폴트 용건번호는 사용자가 최후에 선택한 수신지 용건번호일 수 있다.
선택키(53A 및 53B)에 의해, 수신지 폴더의 용건번호는 변경된다. 본 예에서, 선택키(53A 및 53B)로 수신지 폴더의 용건번호가 8이되기 때문에 표시기(64)로 나타낸 용건번호가 8이되도록 용건번호 8이 선택된다.
수신지 폴더의 용건번호가 선택된 후에, 확정키(54)가 눌려진다. 도 6d에 나타낸 것처럼 확정키(54)가 눌려진 후에 용건파일은 폴더 A의 용건파일(용건번호 8)로 이동된다.
폴더 아이콘(61)은 총 용건파일 수를 나타내는 표시기(63)와 현재 용건번호를 나타내는 표시기(64)를 갖는다. 또한, 폴더 아이콘(61)은 폴더명을 나타내는 태그(62A 및 62B)를 갖는다. 폴더 아이콘(61)으로, 사용자는 폴더에서 다른 폴더로 용건파일을 변경하고 동일한 폴더내에서 용건파일을 변경하는 것을 시각적으로 볼 수 있다.
도 2에 나타낸 음성기록 또는 재생장치에서는, 용건파일은 고정 메모리장치인 플래시 메모리(41)에 기록된다. 플래시 메모리(41)의 일례로서, 카드형이나 스틱형의 착탈가능한 플래시 메모리가 이용될 수 있다.
상술한 예에서는, 1개의 플래시 메모리(41)에 용건파일이 기록된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택적으로 용건파일은 복수의 플래시 메모리(41a, 41b, 41c)에 기록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착탈가능한 플래시 메모리나 복수의 플래시 메모리를 사용한 경우에는, 폴더 또는 용건파일이 하나의 메모리에서 다른 메모리로 이동될 수 있다.
즉, 도 8a, 8b 및 8c에 나타낸 것 같이, 메모리 MEM1, MEM2, MEM3가 배치되고, 각 메모리는 폴더 A, B 및 C를 가지며, 각 폴더는 용건파일 1, 2 및 3을 저장한다. 본 예에서, 예를 들면 메모리 MEM2의 폴더 B의 모든 용건파일을 메모리3의 폴더 A로 이동하는 처리는 메모리에서 다른 메모리 이동하는 처리이다. 폴더가 이러한 방식으로 이동될 때 폴더내의 용건파일 1, 2, 3도 함께 이동한다.
도 9a, 9b, 9c에 나타낸 것 같이, 예를 들면 메모리 MEM1의 폴더 B의 용건파일(용건번호 2)을 메모리 MEM2의 폴더C의 용건파일(용건번호 1)로 이동시키도록 하는 처리는 메모리에서 다른 메모리로 용건파일을 이동하는 처리이다.
도 10은, 복수의 메모리 사이에서 폴더를 이동시키는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0에 있어서, 단계(S21)에서 폴더가 메모리에서 다른 메모리로 이동될 때, 장치가 FOLDER MOVE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가 아닌가가 판단된다. 모드 전환키(52)에 의해 장치가 FOLDER MOVE 모드로 설정된다. 단계(S21)에서 판단결과가 No이면, 처리는 종료된다. 단계(S21)에서 판단결과가 Yes이면, 흐름은 단계(S22)로 진행한다. 도 11b에 나타낸 것처럼 단계(S22)에서, FOLDER MOVE 모드를 나타내는 모드표시기(70)가 나타난다. 이후에, 단계(S23)로 진행한다. 단계(S23)에서, 수신지의 메모리명이 초기화된다.
단계(S24)에서 장치가 FOLDER MOVE 모드로 설정되면, 메모리마크(71A, 71B 및 71C) 중 수신지 메모리마크(71A)가 점멸한다. 이후에, 흐름은 단계(S25)로 진행한다. 단계(S25)에서, 변경되는 수신지 메모리가 입력되어 있는가 아닌가가 판단된다.
조작키(53A 및 53B)로, 수신지의 메모리가 변경된다. 수신지 메모리를 나타내는 메모리마크(71A)가 점멸한다. 단계(S25)에서 판단결과가 Yes이면, 흐름은 단계(S26)로 진행한다. 단계(S26)에서, 수신지 메모리명은 입력된 수신지 메모리명에 대응하여 변경된다.
이후에, 흐름은 단계(S27)로 진행한다. 단계(S27)에서, 수신지 메모리가 확정되었는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수신지 메모리가 결정되면, 확정키(54)가 눌려진다. 단계(S27)에서 판단결과가 No이면, 흐름은 단계(S25)로 복귀한다. 단계(S25)에서, 수신지 메모리명 변경처리가 반복된다.
단계(S27)에서 판정결과가 Yes이면, 흐름은 단계(S28)로 진행한다. 단계(S28)에서, 수신지 메모리마크(71A)는 점멸을 정지한다. 이후에, 흐름은 단계(S29)로 진행한다. 단계(S29)에서, 액티브한 메모리마크(72)는 수신지 메모리명을 나타낸다. 이후에, 흐름은 단계(S30)로 진행한다. 단계(S30)에서, 폴더마크의 태그(62)가 점멸한다. 폴더마크의 태그(62)가 점멸하면, 수신지 폴더명을 변경할 수 있다. 이후에, 흐름은 단계(S31)로 진행한다. 단계(S31)에서 선택키(53A 및 54B)에 의해 변경되는 수신지 폴더명이 입력되었는가 아닌가가 판단된다.
이 점에서 선택키(53A 및 54B)로 수신지 폴더명이 변경된다. 메모리 폴더명을 나타내는 폴더마크태그(62)는 점멸한다. 이후에, 처리는 단계(S31)로 진행한다. 단계(S31)에서 판단결과가 Yes이면, 흐름은 단계(S32)로 진행한다. 단계(S32)에서 입력된 수신지에 대응하여 폴더명이 변경된다.
이후에, 흐름은 단계(S33)로 진행한다. 단계(S33)에서, 확정키(54)가 눌려지는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폴더명이 결정되면, 확정키(54)가 눌려진다. 단계(S33)에서 판단결과가 No이면, 흐름은 단계(S31)로 복귀한다. 단계(S31)에서 수신지 폴더명의 변경처리가 반복된다.
단계(S31 ∼ S33)의 루프에서, 수신지 폴더명의 변경처리가 행해진다. 수신지 폴더명이 결정되면, 흐름은 단계(S33)로 진행한다. 단계(S33)에서, 확정키(54)가 눌려지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단계(S33)에서 판단결과가 Yes이면, 흐름은 단계(S34)로 진행한다. 단계(S34)에서, 폴더를 수신지 폴더로 이동하는 처리가 실행된다. 이후에, 흐름은 단계(S35)로 진행한다. 단계(S35)에서, FOLDER MOVE모드가 종료된다.
이 점에서, 소스명의 메모리명과 수신지의 메모리명으로서 동일한 메모리명이 선택되면, 폴더명의 순서는 동일한 메모리에서 변경될 수 있다.
도 11a, 11b, 11c 및 11d는 폴더가 메모리에서 다른 메모리로 이동되는 경우에 아이콘의 상태 예를 나타낸다. 도 11a ∼ 도 11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메모리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폴더마크(61)와 함께 배치된 메모리를 나타내는 표시기(71A, 71B 및 71C)와 현재 액티브한 메모리를 나타내는 표시기(72)가 배치된다. 폴더마크(61)는 3개의 태그(63, 64 및 62)를 갖는다. 태그(63)는 현재 폴더의 용건파일의 총 수를 나타낸다. 태그(64)는 용건번호를 나타낸다. 태그(62)는 현재 폴더명을 나타낸다.
도 1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현재의 액티브한 메모리는 메모리 MEM2이며, 폴더명은 B로, 그 폴더 B는 총 13건의 용건파일을 가지며, 현재의 용건번호가 9인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메모리 MEM2의 폴더명 B의 모든 용건파일은 메모리 MEM3의 폴더명 A의 폴더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가정한다.
폴더가 메모리에서 다른 메모리로 이동할 때에는, 장치는 FOLDER MOVE모드로 설정된다. 도 1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FOLDER MOVE 모드로 설정되면 메모리마크(71A, 71B 및 71C) 중 수신지의 메모리마크(71a)가 점멸한다.
선택키(53A 및 53B)가 눌려지면, 점멸하는 수신지 메모리마크는 각각 MEM1, MEM2 및 MEM3를 나타내는 71C, 71B 및 71A의 순서로 변경한다. 본 예에서, 선택키(53A 및 53B)로 수신지 폴더명이 MEM3이 되기 때문에, 메모리마크(71A)가 MEM3으로 되도록 수신지 폴더명이 선택된다.
수신지 메모리가 선택되면, 확정키(54)가 눌려진다. 도 11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확정키(54)가 눌려지면 액티브한 메모리 표시기(72)는 MEM3을 나타낸다. 또한, 메모리마크(71A)는 점멸을 중지한다. 이후에, 수신지 폴더를 나타내는 태그(62)가 점멸된다. 또, 폴더 아이콘(61) 중 표시기(63 및 64)로 각각 나타낸 용건파일의 총 수와 현재 용건번호는 수신지 폴더의 정보로 변경된다.
여기에서, 선택키(53A 및 53B)가 눌려지면, 태그(62)의 위치는 변경된다. 태그(62)의 수신지 폴더명은 A, B 및 C 순서로 변경된다. 본 예에서, 수신지 폴더명은 A이므로, 태그(62)가 A를 나타내도록 선택키(53a 및 53b)에 의해 수신지 폴더명이 선택된다.
수신지 폴더명이 선택된 후, 확정키(54)가 눌려진다. 도 11d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확정키(54)가 눌려지면 액티브한 메모리 표시기(72)는 MEM3을 나타낸다. 또한, 태그(62)는 폴더명 A를 나타낸다.
여기에서, 소스 메모리명과 수신지 메모리명으로서 동일한 메모리명이 선택되면, 홀더의 순서는 동일한 메모리로 변경될 수 있다.
도 12는, 복수의 메모리 중에서 용건폴더를 이동시키는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용건파일을 이동시킬 때에는, 장치는 MOVE 모드로 설정된다. 도 12에 있어서, 단계(S41)에서 장치가 MOVE 모드로 설정되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모드전환키(52)로, 장치는 MOVE 모드로 설정된다. 단계(S41)에서 판단결과가 No이면, 처리는 종료된다. 단계(S41)에서 판단결과가 Yes이면, 흐름은 단계(S42)로 진행한다. 도 13b에 나타낸 것처럼 단계(S42)에서 장치가 MOVE 모드로 설정되는 것을 나타내는 모드 표시기(70)가 나타난다. 이후에, 흐름은 단계(S43)로 진행한다. 단계(S43)에서, 수신지 메모리명이 초기화된다.
장치가 MOVE 모드로 설정되면, 흐름은 단계(S44)로 진행한다. 단계(S44)에서, 메모리마크(71A, 71B 및 71C) 중 수신지 메모리마크(71B)가 점멸한다. 이후에, 흐름은 단계(S45)로 진행한다. 단계(S45)에서, 변경되는 수신지 메모리명이 입력되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선택키(53A 및 53B)로, 수신지 메모리가 변경된다. 입력된 수신지 메모리명에 대응하여 메모리마크(71A, 71B 및 71C)중 하나가 점멸한다. 이후에, 흐름은 단계(S45)로 진행한다. 단계(S45)에서 판단결과가 Yes이면, 흐름은 단계(S46)로 진행한다. 단계(S46)에서, 입력된 수신지 메모리명에 대응하여 수신지 메모리명이 변경된다.
이후에, 흐름은 단계(S47)로 진행한다. 단계(S47)에서, 입력된 수신지 메모리명이 확정키(54)에 의해 확정되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수신지의 메모리명이 결정되면, 확정키(54)가 눌려된다.
삭제
단계(S47)에서 판단결과가 No이면, 흐름은 단계(S45)로 복귀한다. 단계(S45)에서, 수신지 메모리명의 변경처리가 반복된다.
단계(S47)에서 판단결과가 Yes이면, 흐름은 단계(S48)로 진행한다. 단계(S48)에서, 수신지 메모리 마크(71B)는 점멸을 중단한다. 이후에, 흐름은 단계(S49)로 진행한다. 단계(S49)에서, 액티브한 메모리마크(72)는 수신지 메모리명을 나타낸다. 이후에, 흐름은 단계(S50)로 진행한다. 단계(S50)에서, 폴더마크의 태그(62)가 점멸한다. 폴더마크(52)가 점멸하면, 수신지 폴더명은 변경될 수 있다. 이후에, 흐름은 단계(S51)로 진행한다. 단계(S51)에서, 수신지 폴더명이 선택키(52A 및 53B)로 변경될 수 있는지 없는지를 판단한다.
여기에서, 선택키(53A 및 53B)로 수신지 폴더명이 변경된다. 메로리 폴더명을 나타내는 폴더마크의 태그(62)가 점멸한다. 단계(S51)에서 판단 결과가 Yes이면, 흐름은 단계(S52)로 진행한다. 단계(S52)에서, 폴더명은 입력된 수신지 폴더명에 대응해서 변경된다.
수신지 폴더명이 변경되면, 흐름은 단계(S53)로 진행한다. 단계(S53)에서, 확정키(54)가 눌려졌는가 아닌가가 판단된다. 단계(S53)에서 판단결과가 No이면, 흐름은 단계(S51)로 복귀된다. 단계(S51)에서, 수신지 폴더명의 변경 처리가 반복된다.
단계(S51 ∼ S53)의 루프에서, 수신지 폴더명의 변경 처리가 행해진다. 수신지 폴더명이 결정되면, 흐름은 단계(S53)로 진행한다. 단계(S53)에서 확정키(54)가 눌려지는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폴더명이 변경된 후, 수신지 폴더마크의 태그(62)는 점멸을 중단한다. 이후에, 흐름은 단계(S55)로 진행한다. 단계(S55)에서, 수신지 폴더의 용건을 나타내는 표시기(64)가 점멸한다. 이후에, 흐름은 단계(S56)로 진행한다. 단 계(S56)에서, 수신지 폴더에서 변경되는 용건번호가 입력되었는가 아닌가가 판단된다.
여기에서, 선택키(53A 및 53B)로 수신지 폴더의 용건번호가 변경된다. 수신지 폴더의 현재 용건번호를 나타내는 표시기(64)가 점멸한다. 단계(S56)에서 판단결과가 Yes이면, 흐름은 단계(S57)로 진행한다. 단계(S57)에서, 용건번호는 입력된 용건번호에 대응해서 변경된다.
용건번호가 변경된 후, 흐름은 단계(S58)로 진행한다. 단계(S58)에서, 확정키(54)가 눌려졌는가 아닌가가 판단된다. 용건번호가 결정되면, 확정키(54)가 눌려진다. 용건번호가 결정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확정키(54)는 눌려지지 않는다. 단계(S58)에서 판단결과가 No이면, 흐름은 단계(S56)로 복귀한다. 단계(S56)에서, 용건번호의 변경처리가 반복된다.
단계(S56 ∼ S58)의 루프에서, 수신지 폴더에 대해서 용건번호의 변경처리가 실행된다. 수신지 폴더의 용건번호가 확정된 후, 흐름은 단계(S58)로 진행한다. 단계(S58)에서는, 단계(S54)에서의 판단결과가 Yes가 된다. 단계(S58)에서 판단결과가 Yes이면, 흐름은 단계(S59)로 진행한다. 단계(S59)에서, 용건파일을 지정된 폴더의 지정된 용건번호로 이동하는 처리가 실행된다. 이후에, 흐름은 단계(S60)로 진행한다. 단계(S60)에서 MOVE 모드는 종료된다.
상술한 것과 같은 처리에 의해, 메모리에서 다른 메모리로 용건파일을 이동하는 처리가 실행될 수 있다.
도 13a, 13b, 13c 및 13d는 용건파일이 메모리에서 다른 메모리로 이동되는 경우에 아이콘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1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현재의 액티브한 메모리는 MEM1이며, 폴더명이 B로, 그 폴더 B는 총 5건의 용건파일을 가지며, 현재의 용건번호가 2로 가정한다.
또한, 이 메모리 MEM1의 폴더 B의 용건파일(용건번호 2)은 메모리 MEM2의 폴더 C의 용건파일(용건번호 3)로 이동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용건파일이 메모리에서 다른 메모리로 이동할 때, 장치는 MOVE모드로 설정된다. 도 1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MOVE모드에서 있어서 수신지 메모리마크(71A, 71B 및 71C) 중 수신지 메모리마크(71B)가 점멸 한다.
선택키(53a 및 53b)가 눌려지면, 점멸하는 수신지 메모리마크는 각각 MEM1, MEM2 및 MEM3을 나타내는 71C, 71B 및 71A의 순서로 변경한다. 본 예에서, 수신지 폴더명은 MEM2이므로, 선택키(53A 및 53B)로 메모리마크(71B)가 MEM2를 나타내도록 수신지 폴더명이 선택된다.
수신지 메모리가 선택된 후, 확정키(54)가 눌려진다. 확정키(54)가 눌려지면, 도 1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티브한 메모리 표시기(72)는 MEM2를 나타낸다. 또한, 메모리마크(71B)는 점멸을 중단한다. 이후에, 수신지의 폴더를 나타내는 태그(62)가 점멸한다. 폴더 아이콘(61) 중 표시기(63 및 64)로 각각 나타낸 총 용건파일수 및 현재의 용건번호는 수신지 폴더의 그것으로 변경된다.
여기에서, 선택키(53A 및 53B)가 눌려지면 태그(62)의 위치가 변경된다. 태그(62)의 폴더명은 A, B 및 C 순서로 변경된다. 본 예에서, 수신지 폴더명이 C가 되기 때문에, 태그(62)가 C가 되도록 선택키(53A 및 53B)에 의해 수신지 폴더명이 선택된다.
수신지 폴더명이 선택된 후, 확정키(54)가 눌려진다. 확정키(54)가 눌려지면, 수신지 폴더명 C를 나타내는 태그(62)는 점멸을 중단한다. 또한, 현재의 용건번호를 나타내는 표시기(64)가 점멸한다.
선택키(53A 및 53B)에 의해, 수신지 용건번호가 변경된다. 이 경우에, 수신지 용건번호는 3이므로, 표시기(64)가 3을 나타내도록 선택키(53A 및 53B)에 의해 용건번호가 선택된다.
수신지 용건번호가 선택된 후에, 확정키(54)가 눌려진다. 확정키(54)가 눌려지면, 도 13e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모리 MEM1의 폴더 B의 용건파일(용건번호 2)은 메모리 MEM2의 폴더 C의 용건파일(용건번호 3)로 이동된다.
동일한 메모리명이 소스 메모리명과 수신지 메모리명으로서 선택되면, 동일한 메모리내에서 폴더의 순서가 변경될 수 있다. 수신지 메모리와 폴더가 소스 메모리와 폴더와 동일하게 되면, 용건번호는 동일한 메모리의 동일한 폴더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소스 폴더의 파일은 수신지 폴더에 첨부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처리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보다는, 수신지 폴더가 하나씩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수신지 폴더명은 폴더의 증가에 따라서 변경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소스 폴더의 파일번호는 변경되지 않는다. 따라서, 파일이 첨부될 때, 파일명은 변경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폴더가 개별 접촉을 위해 관리되면, 하나의 접촉을 위한 폴더는 다른 접촉에 대해서 용건파일을 포함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신지 폴더를 소스 폴더로 덮어 쓸수 있다. 이 방법은 낡은 수신지 폴더를 소스 폴더로 교체할 때 효과적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메모리가 사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장치는 복수의 메모리 슬롯을 갖는다. 이 경우, 소스 메모리는 메모리 슬롯에 부착된다. 소스 메모리에 저장된 파일은 임시 버퍼에 저장된다. 이후에, 소스 메모리는 수신지 메모리로 대체된다. 이후에, 임시파일에 저장된 파일은 수신지 메모리에 저장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총 용건파일의 수와 현재 용건번호는 폴더 아이콘으로 나타낸다. 폴더 아이콘은 폴더명을 나타내는 태그를 갖는다. 폴더 아이콘으로, 용건파일이 폴더에서 다른 폴더로 시각적으로 이동되거나 용건번호가 동일한 폴더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 복수의 메모리에 대한 표시기와 액티브 메모리에 대한 표시기로, 폴더가 메모리에서 다른 메모리로 시각적으로 이동될 수 있거나, 파일이 메모리에서 다른 메모리로 시각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용건파일은 폴더에서 다른 폴더로 이동될 수 있고, 용건파일은 동일한 폴더내에서 변경될 수 있고, 폴더는 메모리에서 다른 메모리로 이동될 수 있고, 용건파일은 메모리에서 다른 메모리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용건파일은 편집될 수 있고, 원하는 용건파일이 용이하게 검색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는바, 본 발명은 그 명확한 실시예에 한정되지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청구항에서 한 정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 또는 진의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 이 분야에서 숙련된 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폴더 아이콘 내에 총 용건파일일 수와 현재의 용건번호를 표시하는 동시에 폴더명을 표시하는 태그를 표시시키고, 이들의 표시를 사용하여 시각적으로 간단히 다른 폴더에의 용건파일의 이동이나 동일한 폴더 내에서의 용건번호의 변경이 행해진다. 또, 복수의 메모리의 표시와 그 중에서 액티브한 메모리의 표시를 사용하여 메모리 사이의 폴더의 이동, 메모리 사이의 용건파일의 이동을 시각적으로 간단히 행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와 같이 폴더 사이의 용건파일의 이동이나 폴더 내에서의 용건번호의 변경, 메모리 사이의 폴더의 이동, 메모리 사이의 용건파일의 이동이 행해지므로, 용건파일을 정돈할 수 있고, 용건파일의 검색이 용이하게 된다.

Claims (15)

  1. 기록매체에 저장된 파일을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하고(categorizing) 상기 그룹으로 상기 파일을 관리하며(managing),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된 파일을 동일한 그룹 내에서 또는 하나의 그룹으로부터 다른 그룹으로 이동시키는(moving) 편집장치(editing apparatus)에 있어서,
    그룹이 이동될 그룹(a group to which a group is moved)과 그룹이 이동되는 상기 파일(the file to which a group is moved)의 삽입위치(insertion position)를 지정하는 조작수단(operating means)과,
    상기 지정된 그룹으로서 분류된 총 파일수와, 상기 지정된 그룹의 모든 파일 중 지정된 파일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번호(position number)를 표시하고, 상기 그룹이 이동되어온 그룹명(a group name from which the group is moved)과, 그룹이 이동될 그룹명(a group name to which a group is moved)을 지정하는 그룹이 이동될 그룹명을 식별하는 태그(tag)를 표시하는 표시수단(displaying means)과,
    상기 표시수단으로 하여금, 상기 조작수단에 의해 그룹이 이동될 그룹명이 지정되면 상기 태그에 의해 파일이 이동될 상기 그룹명(the group name to which a file moved)을 표시하고, 상기 조작수단에 의해 그룹 내의 상기 파일의 상기 삽입위치가 지정되면 상기 파일의 상기 삽입위치의 위치번호를 표시하도록 하는 제어수단(controlling means)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장치.
  2. 삭제
  3. 삭제
  4. 복수의 기록매체에 저장된 파일을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하고, 상기 그룹으로 상기 파일을 관리하며, 하나의 기록매체에 기록된 그룹을 다른 기록매체로 이동하시키는 편집장치에 있어서,
    그룹이 이동될 기록매체와, 상기 그룹이 이동될 상기 기록매체 내의 상기 그룹의 삽입위치를 지정하는 조작수단과,
    상기 지정된 그룹으로서 분류된 총 파일수와, 상기 지정된 그룹의 모든 파일 중 지정된 파일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번호를 표시하고, 상기 그룹이 이동해온 그룹명과, 그룹이 이동될 그룹명을 지정하는 그룹이 이동될 그룹명과, 메모리가 이동되어온 메모리명과, 상기 메모리가 이동될 메모리명을 식별하는 태그를 표시하는 표시수단과,
    상기 표시수단으로 하여금, 상기 조작수단에 의해 상기 메모리가 이동될 상기 메모리명이 지정되면 파일이 이동될 상기 메모리명을 상기 태그에 의해 표시하고, 상기 조작수단에 의해 상기 메모리가 이동될 상기 메모리의 그룹 내의 상기 그룹의 삽입위치가 지정되면 상기 그룹의 상기 삽입위치를 상기 태그에 의해 표시하도록 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장치.
  5. 삭제
  6. 기록매체에 저장된 파일을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하고, 상기 그룹으로 상기 파일을 관리하며,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된 파일을 동일한 그룹 내에서 또는 하나의 그룹으로부터 다른 그룹으로 이동시키는 편집방법에 있어서,
    그룹이 이동될 그룹과, 그룹이 이동될 상기 파일의 삽입위치를 지정하는 조작단계와,
    상기 지정된 그룹으로 분류된 총 파일수와, 상기 지정된 그룹의 모든 파일 중 지정된 파일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번호를 표시하고, 상기 그룹이 이동되어온 그룹명과, 그룹이 이동될 그룹명을 지정하는 그룹이 이동될 그룹명을 식별하는 태그를 표시하는 표시단계와,
    상기 표시단계에 대하여, 상기 조작단계에 의해 그룹이 이동될 상기 그룹명이 지정되면 파일이 이동될 상기 그룹명을 상기 태그에 의해 표시하고, 상기 조작단계에 의해 그룹 내의 상기 파일의 상기 삽입위치가 지정되면 상기 파일의 상기 삽입위치의 위치번호를 표시하도록 하는 제어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복수의 기록매체에 저장된 파일을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하고, 상기 그룹으로 상기 파일을 관리하며, 하나의 기록매체에 기록된 그룹을 다른 기록매체로 이동시키는 편집방법에 있어서,
    그룹이 이동될 기록매체와, 상기 그룹이 이동될 상기 기록매체 내의 상기 그룹의 삽입위치를 지정하는 조작단계와,
    상기 지정된 그룹으로서 분류된 총 파일수와, 상기 지정된 그룹의 모든 파일 중 지정된 파일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번호를 표시하고, 상기 그룹이 이동해온 그룹명과, 그룹이 이동될 그룹명을 지정하는 그룹이 이동될 그룹명과, 메모리가 이동되어온 메모리명과, 상기 메모리가 이동될 메모리명을 식별하는 태그를 표시하는 표시단계와,
    상기 표시단계에 대하여, 상기 조작단계에 의해 상기 메모리가 이동될 상기 메모리명이 지정되면 파일이 이동될 상기 메모리명을 상기 태그에 의해 표시하고, 상기 조작단계에 의해 상기 메모리가 이동될 상기 메모리의 그룹 내의 상기 그룹의 상기 삽입위치가 지정되면 상기 그룹의 상기 삽입위치를 상기 태그에 의해 표시하도록 하는 제어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방법.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000014000A 1999-03-23 2000-03-20 편집장치 및 편집방법 KR1006647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077572 1999-03-23
JP07757299A JP4332927B2 (ja) 1999-03-23 1999-03-23 編集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2963A KR20000062963A (ko) 2000-10-25
KR100664735B1 true KR100664735B1 (ko) 2007-01-03

Family

ID=13637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4000A KR100664735B1 (ko) 1999-03-23 2000-03-20 편집장치 및 편집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829747B1 (ko)
JP (1) JP4332927B2 (ko)
KR (1) KR100664735B1 (ko)
CN (1) CN100388270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72948B1 (en) 1997-07-09 2001-01-09 Advanced Audio Devices, Llc Optical storage device
JP2003051179A (ja) * 2001-08-03 2003-02-21 Sony Corp 編集装置および編集方法
JP2003117241A (ja) * 2001-10-11 2003-04-22 Sega Corp キャラクタ配置方法、データ管理方法及びモデル形成方法
JP2007095185A (ja) * 2005-09-29 2007-04-12 Kenwood Corp 電子機器、電子機器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7095184A (ja) * 2005-09-29 2007-04-12 Kenwood Corp 電子機器、電子機器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080010405A1 (en) * 2006-07-10 2008-01-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lectable profiles and actions for removable memory devices
CN105976828A (zh) * 2016-04-19 2016-09-28 乐视控股(北京)有限公司 一种声音区分方法和终端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37682A (en) * 1987-10-19 1993-08-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File management system for a computer
WO1994012944A1 (en) * 1992-11-23 1994-06-09 Paragon Concepts, Inc. Computer filing system with user selected categories to provide file access
US5442732A (en) * 1992-12-10 1995-08-15 Xerox Corporation Print folder application for electronic reprographic systems
JPH07182218A (ja) * 1993-11-12 1995-07-21 Sony Corp ディスク記録装置及びそのファイル管理方法
CN1144127C (zh) * 1995-11-10 2004-03-31 索尼公司 信息处理装置及信息处理方法
US6571211B1 (en) * 1997-11-21 2003-05-27 Dictaphone Corporation Voice file header data in portable digital audio recorder
US6038199A (en) * 1997-11-21 2000-03-14 Dictaphone Corporation Portable digital audio recorder with adaptive control configurations
US6671567B1 (en) * 1997-11-21 2003-12-30 Dictaphone Corporation Voice file management in portable digital audio recor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2963A (ko) 2000-10-25
CN1269555A (zh) 2000-10-11
JP4332927B2 (ja) 2009-09-16
US6829747B1 (en) 2004-12-07
JP2000276192A (ja) 2000-10-06
CN100388270C (zh) 2008-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727965B (zh) 录音装置
JP2007042169A (ja) 再生制御装置、および再生制御方法
KR100664735B1 (ko) 편집장치 및 편집방법
KR19980703806A (ko) 딕테이션 시스템
CN1901082B (zh) 音频记录装置和音频记录方法
KR100293158B1 (ko) 다양한 기능을 갖는 휴대용 mp3 플레이어
JP3963701B2 (ja) 音声記録再生装置
JPH09305464A (ja) 音声情報記録装置および音声情報再生装置
US6604082B1 (en) Voice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JP4981204B2 (ja) 音声記録再生装置
JP4307697B2 (ja) 編集装置及び編集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録媒体
JP4378270B2 (ja) 画像処理装置
JP2005099107A (ja) データ再生装置
US771993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gital contents playback
JP4090617B2 (ja) 記録再生装置
JP2002215191A (ja) 音声記録再生装置
JP4716675B2 (ja) 録音再生装置
KR200178039Y1 (ko) 음성 및 신호의 녹음/재생 및 소거기능을 갖는디지털/아날로그 알람시계
JP2005235365A (ja) 情報再生装置及び音声録音・再生装置
JPH103300A (ja) ディジタル音声記録再生装置
JP2002315087A (ja) データ処理装置
JP4836851B2 (ja) オーディオ装置及びその再生方法
JP4436558B2 (ja) 音声記録再生装置
JPH0627982A (ja) カラオケ用ディスク
JP2003223190A (ja) データ記録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