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4599B1 - 순산소가 함유된 희석식 소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순산소가 함유된 희석식 소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4599B1
KR100664599B1 KR1020050068361A KR20050068361A KR100664599B1 KR 100664599 B1 KR100664599 B1 KR 100664599B1 KR 1020050068361 A KR1020050068361 A KR 1020050068361A KR 20050068361 A KR20050068361 A KR 20050068361A KR 100664599 B1 KR100664599 B1 KR 1006645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xygen
pure oxygen
soju
alcohol
prep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8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남
김성흠
한홍석
윤석규
이용우
임윤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선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선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선양
Priority to KR10200500683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4599B1/ko
Priority to CNB2006100987926A priority patent/CN100451095C/zh
Priority to US11/489,203 priority patent/US7858136B2/en
Priority to JP2006199272A priority patent/JP4478130B2/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4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45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GWINE; PREPARATION THEREOF; ALCOHOLIC BEVERAGES; PREPARATION OF ALCOHOLIC BEVERAGES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C12C OR C12H
    • C12G3/00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 C12G3/04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mixing, e.g. for preparation of liqueu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GWINE; PREPARATION THEREOF; ALCOHOLIC BEVERAGES; PREPARATION OF ALCOHOLIC BEVERAGES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C12C OR C12H
    • C12G3/00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 C12G3/08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methods for altering the composition of fermented solutions or alcoholic beverag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12G3/02 - C12G3/07

Abstract

본 발명은 순산소가 함유된 희석식 소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순산소가 함유된 희석식 소주는, 알코올 농도가 95 %인 주정에 물을 넣어 알코올 농도가 20 ~ 36 %가 되도록 희석하고, 활성탄을 이용하여 탈취 및 정제한 다음, 여과하여 소주 나주를 제조하고, 이 소주 나주를 저장탱크로 이송하여 순산소를 폭기함으로써 순산소를 1차 주입하고, 순산소 1차 주입액을 냉각시킨 후, 에어스톤을 이용하여 순산소를 2차 주입한 다음, 병입하고, 에어커튼을 통과해 타전기로 이송시키면서 병구에 순산소를 직접 분사하여 순산소를 3차 주입한 다음, 병마개를 막아 밀봉하여 희석식 소주를 제조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여, 산소의 방출을 막으면서 산소를 최대한 주입하여 산소의 유실량을 극소화하고, 저온에서 미세한 산소기포를 주입하여 용존산소량을 극대화함으로서 경제성이 우수하고, 맛이 순하고 부드러우며, 음주후 숙취감을 크게 덜어주는 순산소가 함유된 희석식 소주와 그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순산소, 소주, 희석식, 에어스톤, 에어커튼, 산소공급기

Description

순산소가 함유된 희석식 소주의 제조방법{A MANUFACTURING METHOD OF DILUTE TYPE SOJU CONTAINING OXYGEN}
도 1은 본 발명의 순산소가 함유된 희석식 소주의 제조공정도 1
도 2는 본 발명의 순산소가 함유되 희석식 소주의 제조공정도 2
도 3은 본 발명의 제1산소공급기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산소공급기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산소공급기의 단면도
<도면 부호의 설명>
100 : 제1산소공급기 110 : 산소발생장치 120 : 순산소 공급배관
121 : 압력게이지 130 : 에어스톤A 140 : 저장탱크
150 : 순산소기포 160 : 소주나주 200 : 제2산소공급기
220 : 배관 221 : 압력게이지 230 : 에어스톤B
260 : 순산소 1차 주입액 270 : 냉각기 280 : 소주이송관
290 : 병구주입기 300 : 제3산소공급기 310 : 컨베어
320 : 타전기 330 : 에어커튼 350 : 에어노즐
360 : 순산소 2차 주입액
본 발명은 순산소가 함유된 희석식 소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은 대부분이 잦은 술자리를 접하며 살고 있는데, 술을 마시는 과정 또는 후에 두통과 구토 등의 숙취를 경험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술을 마시면 술이 체내에서 분해될 때 1 분자의 알코올을 탄산가스와 물로 완전히 분해시키는데 3 분자의 산소가 필요하게 되므로 산소가 부족해지는 현상이 발생된다.
그러므로, 술을 마시면 자연적으로 체내 산소량이 감소하여 저산소 상태가 되므로, 지속적으로 평소보다 많은 양의 산소를 공급할 필요가 있으며, 산소를 충분하게 공급하지 못하게 되면 두통 및 구토 등의 숙취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술을 통해 산소를 공급하여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노력이 있어왔다.
한국공개특허공보 특2003-0038173(산소 소주)에는, PSA 방식으로 발생된 산소를 고압으로 주입하고 용해시켜 줌으로써 용존산소량을 증대시킨 기능성 소주에 관한 것이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의 발명과 같이 다순히 PSA를 이용하여 발생된 산소를 소주에 주입하고 용해시키는 것으로는 산소의 주입량보다 방출되고 유실되는 양이 더 많아 용존산소량이 극히 적어 그 효과가 적으며, 비효율적인 문제가 있었다.
또한, 한국공개특허공보 특2002-0059982(산소함유술의 제조장치)에는, 제조된 소정의 술을 공급하는 주조라인과, 그 주조라인에 설치되며 소정의 공간에서 냉각을 이루는 냉각기가 설치된 열교환기와, 그 열교환기에 의하여 냉각된 술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에 소정의 산소를 발생하는 산소발생기가 연결되어 있는 혼합저장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함유술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의 발명과 같은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술을 제조하면 술에 산소가 용존되는 양이 극히 적으며, 병입하고 포장하는 과정 중에 산소의 대부분이 유실되거나 방출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산소가 유실되지 않도록 소주에 주입하고, 용존산소량을 극대화하여 음주시 저산소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하고, 숙취를 덜어줄 수 있는 소주에 대한 연구가 더욱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3차에 걸쳐 순산소를 주입하는 방법에 의해 산소의 방출을 막으면서 산소를 최대한 주입하여 산소의 유실량을 극소화하고, 저온상태에서 미세한 산소기포를 주입하여 용존산소량을 극대화하여 경제성이 우수하며, 음주 후 숙취감을 크게 덜어주는 순산소가 함유된 희석식 소주와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입 후 유실되는 일부 용존산소는 유실될때 소주 특유의 이취를 소주 밖으로 동반 유출시켜 맛이 순하고 부드러운 순산소가 함유된 희석식 소주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순산소가 함유된 희석식 소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순산소가 함유된 희석식 소주는, 알코올 농도가 95 %인 주정을 준비하는 제1공정, 이 주정에 주조용수를 넣어 알코올 농도가 40 ~ 60 %가 되도록 1차 희석하는 제2공정, 제2공정의 1차 희석액을 상온에서 7 ~ 10 일 동안 숙성시키는 제3공정, 이 숙성액에 주조용수를 넣어 알코올 농도가 20 ~ 36 %가 되도록 2차 희석하는 제4공정, 제4공정의 2차 희석액을 활성탄이 충진된 9 개의 충진탑에 SV 3 ~ 5로 통과시켜 탈취 및 정제하는 제5공정, 제5공정의 정제된 희석액을 여과기를 이용하여 여과시켜 소주 나주를 제조하는 제6공정, 제6공정의 소주 나주를 저장탱크로 이송한 후, 저장탱크 내에 설치된 에어스톤을 이용하여 소주 나주에 순산소(99.8 ~ 99.99 %) 기포를 폭기하여 순산소를 1차 주입하는 제7공정, 이 순산소 1차 주입액을 냉각기로 이송하여 15 ~ 20 ℃로 냉각후, 에어스톤을 이용하여 순산소기포를 분사함으로서 순산소를 2차 주입하는 제8공정, 이 순산소 2차 주입액을 병구주입기로 이송하여 병입하는 제9공정, 병입 후 타전기로 이송시키기 직전에 미타전 상태의 병구에 순산소를 직접 분사하여 순산소를 3차 주입하는 제10공정, 순산소 3 차 주입액을 타전기로 이송하여 병마개를 막아 밀봉하여 용존산소량이 20 ~ 28 ppm이며, 최종 알코올 농도가 19 ~ 35 %인 희석식 소주를 제조하는 제11공정으로 구성된다.
또 다른 방법으로, 본 발명의 순산소가 함유된 희석식 소주는, 알코올 농도가 95 %인 주정을 준비하는 제1공정, 이 주정에 주조용수를 넣어 알코올 농도가 40 ~ 60 %가 되도록 1차 희석하는 제2공정, 제2공정의 1차 희석액을 상온에서 10 일 동안 숙성시키는 제3공정, 이 숙성액에 주조용수를 넣어 알코올 농도가 20 ~ 36 %가 되도록 2차 희석하는 제4공정, 제4공정의 2차 희석액을 활성탄이 충진된 9 개의 충진탑에 SV 3 ~ 5로 통과시켜 탈취 및 정제하는 제5공정, 제5공정의 정제된 희석액을 원적외선 담체와 은입자가 충진된 1 개의 충진탑에 SV 25 로 통과시켜 원적외선 처리하는 제6공정, 제6공정의 원적외선 처리된 희석액에 주세법상 첨가물료 중 6 종 이상을 선택하여 시럽으로 제조한 식품첨가물료를 희석액 전체부피대비 0.01 ~ 2 부피% 첨가하여 혼합하는 제7공정, 제7공정의 혼합액을 여과기를 이용하여 여과하여 소주 나주를 제조하는 제8공정, 제8공정의 소주 나주를 제1산소공급기의 저장탱크로 이송하여, 저장탱크내에 설치된 에어스톤을 이용해 소주 나주에 순산소(99.8 ~ 99.99 %) 기포를 2 ~ 8 ℓ/min 으로 3 ~ 20 분 동안 폭기하여 순산소를 1차 주입하는 제9공정, 이 순산소 1차 주입액을 제2산소공급기로 이송하고, 냉각기를 이용하여 15 ~ 20 ℃로 냉각한 후, 에어스톤을 이용해 기포의 직경이 0.1 ~ 1 ㎛인 순산소기포를 2 ~ 8 ℓ/min 으로 분사하면서 순산소를 2차 주입하는 제10공정, 이 순산소 2차 주입액을 병구주입기로 이송한 후 병입하는 제11공정, 병입 후 타전기로 이송하기 직전에 제3산소공급기를 이용하여 미타전 상태의 병구에 순산소를 직접 분사하여 순산소를 3차 주입하는 제12공정, 순산소 3차 주입액을 타전기로 이송하여 병마개를 막아 밀봉하여 용존산소량이 20 ~ 28 ppm이며, 최종 알코올 농도가 19 ~ 35 %인 희석식 소주를 제조하는 제13공정으로 구성된다.
이때, 제7공정에서 첨가하는 식품첨가물료는 주세법상 첨가물료인 당분, 구연산, 수크랄로스, 솔비톨, 아세설팜K, 에리스리톨, 자일리톨, 다류(단일침출차중 가공곡류차 제외) 중 선택된 6 종 이상을 각각 0.001 ~ 0.5 %(W/V)씩 혼합하여 시럽으로 제조하고, 전체부피대비 0.01 ~ 2 부피%가 되도록 첨가한다.
술을 마시면 술이 체내에서 분해될때 소비되는 산소는 1 분자의 알코올 당 3 분자의 산소가 필요하다. 그러므로, 술을 마시면 자연적으로 체내 산소량이 감소하여 저산소 상태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음주시 체내 산소량이 감소하여 저산소 상태가 되어, 충분한 산소 공급을 못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두통 및 구토 등의 숙취가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많은 연구와 시행착오를 겪은 후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한편,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출원인이 선출원하여 등록한 한국등록특허공보 10-0400822(소주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소주를 이용하거나, 일반 소주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소주에 충분한 산소가 함유되도록 소수를 제조하면, 같 은 양의 소주를 마시더라도 술이 덜 취하고, 체내에서 빨리 분해될 수 있으며, 숙취도 줄여줄수 있는 소주를 제조할 수 있다.
그러나, 소주에 산소를 주입할때 주입량보다 방출량이 많아지고, 병입후 병뚜껑을 막는 과정으로 진행되는 중에 대부분 산소가 방출되거나 유실되어 버리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제1산소공급기, 제2산소공급기, 제3산소공급기를 이용하여 3차에 걸쳐 소주에 순산소를 주입하여 그 효율을 극대화시켰다.
본 발명에서 이용한 제1산소공급기(100)는, 소주 나주(160)를 이송하여 저장하는 저장탱크(140)와; 산소발생장치(110)에서 발생시킨 순산소를 공급하는 순산소 공급배관(120)과; 순산소 공급배관(120)에 설치되어 산소공급시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게이지(121)와; 순산소 공급배관(120)과 연결되어 저장탱크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순산소기포(150)를 폭기하는 에어스톤(130); 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1산소공급기(100)를 이용하여 소주 나주에 순산소를 1차 주입한다.
즉, 알코올 주정을 희석하여 소주 나주(160)를 제조한 다음, 제1산소공급기(100)의 저장탱크(140)로 이송하고, 산소발생장치(110)를 이용하여 발생시킨 순산소(99.8 ~ 99.99 %)를 순산소 공급배관(120)을 통해 저장탱크(140) 내에 설치된 에어스톤(130)으로 순산소를 공급하고, 에어스톤 노즐을 통해 순산소기포(150)를 분사시켜 저장탱크 내의 소주 나주에 순산소를 1차 주입한다.
이때, 일반 노즐을 이용하여 산소를 주입하면 포화될 때까지의 시간이 오래 걸리고, 용존산소량도 빨리 떨어지는 문제가 있어, 본 발명에서는 기포의 직경이 0.1 ~ 1 ㎛가 되도록 조절된 에어스톤을 이용하여 순산소기포(150)를 2 ~ 8 ℓ/min 으로 3 ~ 20 분 동안 폭기하여 주입하는 것이 포화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이 단축되면서도 용존산소량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 게 되었다.
또한, 순산소를 1차 주입 후 병구주입 전에 제2산소공급기(200)를 이용하여 순산소를 2차 주입한다.
본 발명에서 이용한 제2산소공급기(200)는, 순산소 1차 주입액(260)을 이송하는 소주이송관(280)과; 순산소 1차 주입액을 냉각시키는 냉각기(270)와; 산소발생장치(110)에서 발생시킨 순산소를 공급하는 순산소 공급배관(120)과; 순산소 공급배관(120)에 설치되어 산소공급시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게이지(221)와; 순산소 공급배관(120)과 연결되어 소주이송관(280)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순산소기포(150)를 분사하는 에어스톤(230); 으로 구성된다.
순산소 1차 주입액의 온도는 25 ℃ 이상이므로 이 상태로 순산소를 2차 주입하면 용존산소량이 적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순산소 1차 주입액의 온도를 15 ~ 20 ℃로 조절하는 것이 용존산소량을 높이는 방법이므로, -15 ℃ 이하의 냉매를 부착한 제2산소공급기(200)의 냉각기(270)를 거쳐 소주의 온도를 15 ~ 20 ℃로 낮춘 후, 순산소를 기포직경이 0.1 ~ 1 ㎛가 되도록 조절된 에어스톤(230)을 이용하여 순산소기포(150)를 2 ~ 8 ℓ/min 으로 분사하여 2차 주입하여 용존산소량을 높였다.
또한, 순산소 2차 주입액을 병입후 타전기로 이송하기 직전에 제3산소공급기(300)를 이용하여 순산소를 3차 주입한다.
본 발명의 제3산소공급기(300)는, 외부공기와의 접촉을 차단하는 에어커튼(330)과; 산소발생장치(110)에서 발생시킨 순산소를 공급하는 순산소 공급배관(120)과; 순산소를 분사하는 에어노즐(350); 로 구성된다.
순산소 2차 주입액(360)을 병구주입기(290)로 이송하여 소주를 병입한 다음, 병마개를 막기 전에 산소가 일부 유실될 수 있으므로, 상기의 제3산소공급기(300)를 이용하여 순산소를 밀봉 전에 한번 더 직접 분사하여 주입한다.
즉, 순산소 2차 주입액(360)을 병구주입기(290)에서 타전기(320)로 이송하는 과정에서 순산소 공급배관(120)이 설치된 에어커튼(300)을 통과시켜, 에어커튼(300) 내에서 에어노즐(350)을 통해 순산소를 병구에 직접 분사하여 순산소를 3차 주입하도록 한 후, 병마개를 막아 본 발명의 소주를 제조하면 용존산소량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 게 되었다.
이렇게 제조한 본 발명의 소주는 용존산소량이 20 ~ 28 ppm이며, 최종 알코올 농도가 19 ~ 35 %인 순산소가 포함된 희석식 소주이다.
이하, 본 발명의 순산소가 함유된 희석식 소주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순산소가 함유된 희석식 소주의 제조공정 1>
1. 제1공정 : 주정준비
알코올 농도가 95 %인 주정을 준비한다.
2. 제2공정 : 1차 희석액 제조
제1공정에서 준비한 주정을 주조용수에 맞도록 정수 처리한 물을 넣어 알코올 농도가 40 ~ 60 %가 되도록 1차 희석한다.
3. 제3공정 : 숙성
제2공정의 1차 희석액을 상온에서 7 ~ 10 일 동안 숙성시킨다.
4. 제4공정 : 2차 희석액 제조
제3공정의 숙성액에 주조용수를 넣어 알코올 농도가 20 ~ 36 %가 되도록 2차 희석한다.
5. 제5공정 : 탈취 및 정제
제4공정의 2차 희석액을 활성탄이 충진된 9 개의 충진탑에 SV(Space Velocity ; 투입유량/반응기 부피) 3 ~ 5로 통과시켜 탈취 및 정제처리 한다.
6. 제6공정 : 소주 나주의 제조
제5공정의 정제된 희석액을 여과기를 이용하여 여과하여 소주 나주를 제조한다.
7. 제7공정 : 순산소 1차 주입
제6공정의 소주 나주(160)를 저장탱크(140)로 이송한다.
산소발생장치(110)를 이용하여 순산소(99.8 ~ 99.99 %)를 만들고, 이 순산소를 순산소 공급배관(120)을 통해 저장탱크(140) 내에 설치된 에어스톤(130)을 이용하여 순산소를 1차 주입한다.
8. 제8공정 : 순산소 2차 주입
순산소 1차 주입액(260)을 냉각기(270)로 이송하여 15 ~ 20 ℃로 냉각한 후, 냉각기 내에 설치된 에어스톤(130)을 이용하여 순산소기포(150)를 분사하여 2차 주입한다.
9. 제9공정 : 병입
순산소를 2차 주입액(360)을 병구주입기(290)로 이송하여 병입한다.
10. 제10공정 : 순산소 3차 주입
제9공정의 병입 후 타전기로 이송시키기 직전에 에어커튼(330)을 통과시켜 미타전 상태의 병구에 순산소를 직접 분사하여 순산소를 3차 주입한다.
11. 제11공정 : 밀봉
순산소 3차 주입액을 타전기(320)로 이송하고, 병마개를 막아 밀봉하여 본 발명의 산소가 함유된 희석식 소주를 제조한다.
<순산소가 함유된 희석식 소주의 제조공정 2>
1. 제1공정 : 주정준비
알코올 농도가 95 %인 주정을 준비한다.
2. 제2공정 : 1차 희석액 제조
제1공정에서 준비한 주정을 주조용수에 맞도록 정수 처리한 물을 넣어 알코올 농도가 40 ~ 60 %가 되도록 1차 희석한다.
3. 제3공정 : 숙성
제2공정의 1차 희석액을 상온에서 7 ~ 10 일 동안 숙성시킨다.
4. 제4공정 : 2차 희석액 제조
제3공정의 숙성액에 주조용수를 넣어 알코올 농도가 20 ~ 36 %가 되도록 2차 희석한다.
5. 제5공정 : 탈취 및 정제
제4공정의 2차 희석액을 활성탄이 충진된 9 개의 충진탑에 SV(Space Velocity ; 투입유량/반응기 부피) 3 ~ 5로 통과시켜 탈취 및 정제처리 한다.
6. 제6공정 : 원적외선 처리
제5공정의 정제된 희석액을 원적외선 담체와 은입자가 충진된 1 개의 충진탑에 SV 25로 통과시켜 원적외선을 처리한다.
이때, 원적외선 담체는 알루미나, 실리카, 점토, 장석, 산화철, 이산화망간, 산화동, 산화코발트, 마그네시아 등으로 배합하여 1,300 ℃에서 10 시간 소성시킨 것을 사용하며, 은입자는 순도 99.99 %인 은을 1 ~ 5 ㎜의 입자크기로 제조하여 사용한다.
이렇게 원적외선 담체와 은입자가 충진된 탑을 통과시켜 소주에 원적외선 처리를 하면 주정에서 오는 알콜취가 감소되고, 소주의 맛이 순하고 부드러워 진다.
7. 제7공정 : 식품첨가물료 첨가
제6공정의 원적외선 처리된 희석액에 주세법상 첨가물료 중 6 종 이상을 선택하여 시럽으로 제조한 식품첨가물료를 희석액 전체부피대비 0.01 ~ 2 부피% 첨가하여 혼합한다.
이때, 제7공정에서 첨가하는 식품첨가물료는 주세법상 첨가물료인 당분, 구연산, 수크랄로스, 솔비톨, 아세설팜K, 에리스리톨, 자일리톨, 다류(단일침출차중 가공곡류차 제외) 중 선택된 6 종 이상을 각각 0.001 ~ 0.5 %(W/V)씩 혼합하여 시럽으로 제조하고, 이 식품첨가물을 전체부피대비 0.01 ~ 2 부피%가 되도록 첨가한다.
8. 제8공정 : 소주 나주의 제조
제7공정의 혼합액을 여과기를 이용하여 여과시켜 소주 나주를 제조한다.
9. 제9공정 : 순산소 1차 주입
제8공정의 소주 나주(160)를 제1산소공급기(100)의 저장탱크(140)로 이송한다.
산소발생장치(110)를 이용하여 순산소(99.8 ~ 99.99 %)를 발생시키고, 이 순산소를 순산소 공급배관(120)을 통해 저장탱크(140) 내에 설치된 에어스톤(130) 노즐을 통해 기포의 직경이 0.1 ~ 1 ㎛인 순산소기포(150)를 2 ~ 8 ℓ/min 으로 3 ~ 20 분 동안 폭기하여 저장탱크 내의 소주 나주(160)에 순산소를 1차 주입한다.
10. 제10공정 : 순산소 2차 주입
순산소 1차 주입액(260)을 제2산소공급기(200)로 이송한다.
제2산소공급기의 냉각기(270)를 이용하여 15 ~ 20 ℃로 냉각시킨 후, 소주이송관(280) 내에 설치된 에어스톤(230)을 이용하여 기포의 직경이 0.1 ~ 1 ㎛인 순산소기포(150)를 2 ~ 8 ℓ/min 으로 분사하여 2차 주입한다.
11. 제11공정 : 병입
순산소를 2차 주입액(360)을 병구주입기(290)로 이송하여 병입한다.
12. 제12공정 : 순산소 3차 주입
제11공정의 병입 후 타전기로 이송하기 직전에 제3산소공급기(300)로 이송한다.
에어커튼(300)을 통과시켜 미타전 상태의 병구에 에어노즐을 통해 순산소를 직접 분사하여 순산소를 3차 주입한다.
13. 제13공정 : 밀봉
순산소 3차 주입액을 타전기(320)로 이송하고, 병마개를 막아 밀봉하여 본 발명의 산소가 함유된 희석식 소주를 제조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제조된 본 발명의 산소가 함유된 희석식 소주는, 용존산소량이 20 ~ 28 ppm이며, 최종 알코올 농도가 19 ~ 35 % 인 소주이다.
이하, 본 발명의 순산소가 함유된 희석식 소주에 대하여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나, 이들이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순산소가 함유된 희석식 소주의 제조 1
알코올 농도가 95 %인 주정을 준비하였다.
상기의 주정 1,000 ℓ에 주조용수 1,375 ℓ를 넣어 알코올 농도가 40 %가 되도록 1차 희석하고, 상온에서 10 일 동안 숙성시켰다.
이 숙성액 2,375 ℓ에 주조용수 1,425 ℓ를 넣어 알코올 농도가 36 %가 되도 록 2차 희석하였다.
이 2차 희석액을 활성탄이 충진된 9 개의 충진탑에 SV 3 으로 통과시켜 탈취 및 정제처리 한 다음, 여과기를 이용하여 여과시켜 소주 나주를 제조하고, 이 소주 나주를 저장탱크(140)로 이송하였다.
산소발생장치(110)를 이용하여 기포크기가 0.1 ㎛인 순산소(99.90 %)를 제조하고, 저장탱크(140) 내에 설치된 에어스톤(130) 노즐을 이용하여 소주 나주(160)에 순산소기포(150)를 8 ℓ/min 으로 3 분 동안 폭기하여 순산소를 1차 주입하였다.
순산소 1차 주입액(260)을 냉각기(270)로 이송하여 15 ℃로 냉각하면서, 냉각기 내에 설치된 에어스톤(230)을 이용하여 순산소기포(150)를 2ℓ/min 으로 분사하여 2차 주입하고, 병구주입기(290)로 이송하여 병입하였다.
병입 후 컨베어(310)를 통해 에어커튼(330)을 통과하면서 병구에 순산소를 직접 분사하여 3차 주입하였다.
순산소 3차 주입액을 타전기(320)로 이송하고, 병마개를 막아 밀봉하여 용존산소량이 20 ppm이고, 알콜농도가 30 %인 본 발명의 순산소가 함유된 희석식 소주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순산소가 함유된 희석식 소주의 제조 2
알코올 농도가 95 %인 주정을 준비하였다.
상기의 주정 1,000 ℓ에 주조용수 900 ℓ를 넣어 알코올 농도가 50 %가 되도 록 1차 희석하고, 상온에서 10 일 동안 숙성시켰다.
이 숙성액 1,900 ℓ에 주조용수 1,267 ℓ를 넣어 얼코올 농도가 20 %가 되도록 2차 희석하였다.
이 2차 희석액을 활성탄이 충진된 9 개의 충진탑에 3.5 SV로 통과시켜 탈취 및 정제처리 한 다음, 여과기를 이용하여 여과시켜 소주 나주를 제조하여 저장탱크(140)로 이송하였다.
산소발생장치(110)를 이용하여 기포크기가 0.2 ㎛인 순산소(99.80 %)를 제조하고, 저장탱크(140) 내에 설치된 에어스톤(130) 노즐을 이용하여 소주 나주(160)에 순산소기포(150)를 5 ℓ/min 으로 10 분 동안 폭기하여 순산소를 1차 주입하였다.
순산소 1차 주입액(260)을 냉각기(270)를 이용하여 25 ℃로 냉각시킨 후, 냉각기(270) 내에 설치된 에어스톤(330)을 이용하여 기포크기가 0.2 ㎛인 순산소기포(150)를 3 ℓ/min 으로 분사하여 2차 주입하고, 병구주입기(290)로 이송하여 병입하였다.
병입 후 타전기(320)로 이송하기 직전에 제3산소공급기(300)로 이송하였다.
컨베어(310)를 통해 에어커튼(330)을 통과하면서 미타전 상태의 병구에 순산소를 에어노즐(350)을 이용하여 순산소를 직접 분사하여 3차 주입하였다.
순산소 3차 주입액을 타전기(320)로 이송하고, 병마개를 막아 밀봉하여 용존산소량이 23 ppm이고, 알콜농도가 19 %인 본 발명의 순산소가 함유된 희석식 소주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순산소가 함유된 희석식 소주의 제조 3
알코올 농도가 95 %인 주정을 준비하였다.
상기의 주정 1,000 ℓ에 주조용수 900 ℓ를 넣어 알코올 농도가 50 %가 되도록 1차 희석하고, 상온에서 10 일 동안 숙성시켰다.
이 숙성액 1,900 ℓ에 주조용수 1,900 ℓ를 넣어 알코올 농도가 25 %가 되도록 2차 희석하였다.
이 2차 희석액을 활성탄이 충진된 9 개의 충진탑에 SV 3.5로 통과시켜 탈취 및 정제하였다.
알루미나, 실리카, 점토, 장석, 산화철, 이산화망간, 산화동, 산화코발트, 마그네시아를 같은 비율로 배합하여 1300 ℃에서 10 시간 소성시켜 제조한 원적외선 담체를 준비하였다.
상기의 원적외선 담체와 입자크기가 3 ㎜인 은입자가 충진된 1 개의 충진탑에 정제된 희석액을 SV 25로 통과시켜 원적외선을 처리하였다.
구연산 0.02 %(W/V), 고과당 0.1 %(W/V), 자일리톨 0.005 %(W/V), 솔비톨 0.01 %(W/V), 글리신 0.001 %(W/V), 식염 0.005 %(W/V)혼합하여 시럽으로 제조한 다음, 상기의 원적외선 처리된 희석액에 첨가물료 시럽을 첨가하여 혼합하였다.
이 혼합액을 여과기를 이용하여 여과하여 소주 나주를 제조하였다.
이 소주나주를 제1산소공급기(100)의 저장탱크(140)로 이송하였다.
산소발생장치(110)를 이용하여 기포크기가 0.5 ㎛인 순산소(99.80 %)를 제조 하고, 저장탱크(140) 내에 설치된 에어스톤(130) 노즐을 이용하여 소주 나주(160)에 순산소기포(150)를 3 ℓ/min 으로 15 분 동안 폭기하여 순산소를 1차 주입하였다.
순산소 1차 주입액(260)을 제2산소공급기(200)로 이송하였다.
제2산소공급기(200)의 냉각기(270)를 이용하여 15 ℃로 냉각시킨 후, 냉각기(270) 내에 설치된 에어스톤(330)을 이용하여 기포크기가 0.5 ㎛인 순산소기포(150)를 5 ℓ/min 으로 분사하여 2차 주입하고, 병구주입기(290)로 이송하여 병입하였다.
병입 후 타전기(320)로 이송하기 직전에 제3산소공급기(300)로 이송하였다.
컨베어(310)를 통해 에어커튼(330)을 통과하면서 미타전 상태의 병구에 순산소를 에어노즐(350)을 이용하여 순산소를 직접 분사하여 3차 주입하였다.
순산소 3차 주입액을 타전기(320)로 이송하고, 병마개를 막아 밀봉하여 용존산소량이 27 ppm이고, 알콜농도가 20.5 %인 본 발명의 순산소가 함유된 희석식 소주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순산소가 함유된 희석식 소주의 제조 4
알코올 농도가 95 %인 주정을 준비하였다.
상기의 주정 1,000 ℓ에 주조용수 583 ℓ를 넣어 알코올 농도가 60 %가 되도록 1차 희석하고, 상온에서 10 일 동안 숙성시켰다.
이 숙성액 1,583 ℓ에 주조용수 1,584 ℓ를 넣어 알코올 농도가 30 %가 되도 록 2차 희석하였다.
이 2차 희석액을 활성탄이 충진된 9 개의 충진탑에 SV 5로 통과시켜 탈취 및 정제처리하였다.
알루미나, 실리카, 점토, 장석, 산화철, 이산화망간, 산화동, 산화코발트, 마그네시아를 같은 비율로 배합하여 1300 ℃에서 10 시간 소성시킨 원적외선 담체를 제조하였다.
이 원적외선 담체와 입자크기가 1 ㎜인 은입자가 충진된 1 개의 충진탑에 정제된 희석액을 SV 25로 통과시켜 원적외선을 처리하였다.
아세설팜K 0.001 %(W/V), 구연산 0.01 %(W/V), 스쿠랄로스 0.01 %(W/V), 솔비톨 0.02 %(W/V), 자일리톨 0.005 %(W/V), 고과당 0.1 %(W/V)을 혼합하여 첨가물료를 시럽으로 제조한 다음, 상기의 원적외선 처리된 희석액에 첨가하여 혼합하였다.
이 혼합액을 여과기를 이용하여 여과하여 소주 나주를 제조하였다.
이 소주나주를 제1산소공급기(100)의 저장탱크(140)로 이송하였다.
산소발생장치(110)를 이용하여 기포크기가 1 ㎛인 순산소(99.80 %)를 제조하고, 저장탱크(140) 내에 설치된 에어스톤(130) 노즐을 이용하여 소주 나주(160)에 순산소기포(150)를 2 ℓ/min 으로 20 분 동안 폭기하여 순산소를 1차 주입하였다.
순산소 1차 주입액(260)을 제2산소공급기(200)로 이송하였다.
제2산소공급기(200)의 냉각기(270)를 이용하여 25 ℃로 냉각시킨 후, 냉각기(270) 내에 설치된 에어스톤(330)을 이용하여 기포크기가 1 ㎛인 순산소기포(150) 를 8 ℓ/min 으로 분사하여 2차 주입하고, 병구주입기(290)로 이송하여 병입하였다.
병입 후 타전기(320)로 이송하기 직전에 제3산소공급기(300)로 이송하였다.
컨베어(310)를 통해 에어커튼(330)을 통과하면서 미타전 상태의 병구에 순산소를 에어노즐(350)을 이용하여 순산소를 직접 분사하여 3차 주입하였다.
순산소 3차 주입액을 타전기(320)로 이송하고, 병마개를 막아 밀봉하여 용존산소량이 20 ppm이고, 알콜농도가 25 %인 본 발명의 순산소가 함유된 희석식 소주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순산소 주입 여부에 따른 알코올의 이취에 대한 관능실험
순산소 주입 여부에 따른 알코올의 이취 제거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관능실험을 실시하였다.
알코올 농도가 95 %인 주정을 이용하여 정수된 물로 희석하여 알코올 농도가 20.5 %가 되도록 희석하여 준비하였다.
이 알코올 희석액에 알코올의 이취에 영향을 미치는 성분인 아세트알데히드를 200 ppm이 되도록 첨가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나누어, 실험군에는 순산소(99.99 %)를 2 ℓ/min으로 5 분간 주입하였고, 대조군은 순산소를 주입하지 않았다.
관능검사는 남녀 같은 비율로 10 명을 선정하여 실시하였으며, 관능검사의 진행은 초기 샘플의 관능검사를 실시한 후, 다음 관능검사를 위하여 곧바로 맑은 공기를 30 초 이상 마시도록 하여 실험하였다.
샘플의 보관은 초기에 알데히드를 주입한 후 알데히드의 휘발을 위하여 마개를 막지 않은 상태로 보관하면서 실험을 진행하여 그 결과를 아래의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순산소 주입 여부에 따른 알코올의 이취 측정
구 분 1 분 2 분 3 분 4 분 5 분 6 분 7 분 8 분 9 분 10 분
대조군 (순산소 주입 안함) 10명 10명 10명 7명 5명 3명 1명 1명 0 0
실험군 (순산소 주입함) 10명 5명 2명 1명 1명 0 0 0 0 0
상기의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순산소를 주입하지 않았던 대조군은 5 분 경과시 까지 50 %가 이취를 느꼈으며, 8 분이 경과한 후까지 이취를 느끼는 사람이 있었다.
그러나, 순산소를 주입한 실험군은 2 분 경과시에 50 %만이 이취를 느끼고 6분 이후로는 이취를 느끼는 사람이 없었다.
이는, 순산소에 의해 알데히드가 휘발되어 알데히드 냄새가 먼저 없어져 이취가 보다 빨리 제거되는 효과가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실험예 2> 산소 기포의 입자크기 및 온도에 따른 용존산소량의 측정실험
알코올 농도가 20 % 인 소주를 준비하였다.
산소 공기방울이 2 ~ 5 ㎜인 일반노즐과, 기포크기가 0.1 ~ 1.0 ㎛인 에어스톤 노즐을 준비하였다.
소주의 온도 조건은 변화시키면서, 일반노즐과 에어스톤으로 각각 산소를 주 입하여 각각의 용존산소량을 측정하여 아래의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산소기포의 입자크기 및 온도에 따른 용존산소량의 측정결과
구 분 35 ℃ 30 ℃ 25 ℃ 20 ℃ 15 ℃ 10 ℃ 5 ℃ 0 ℃
일반노즐 19.1 19.3 19.4 19.4 19.6 19.8 19.8 20.0
에어스톤 22.7 24.8 27.4 30.1 33.3 37.3 42.2 48.5
* 용존산소량 단위 : ppm
상기의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사용한 에어스톤 노즐을 이용하여 순산소를 주입한 경우는 기포의 크기가 미세하여 소주에 용존되는 량이 일반노즐로 산소를 주입하는 경우에 비해 훨씬 크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소주의 온도가 낮아질수록 용존산소량이 높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산소의 포화 후 시간에 따른 용존산소량의 변화량 측정실험
알코올 농도가 21 % 인 소주를 준비하였다.
산소 공기방울이 2 ~ 5 ㎜인 일반노즐과, 기포크기가 0.1 ~ 1.0 ㎛인 에어스톤 노즐을 준비하였다.
상기 각각의 노즐을 이용하여 용존산소의 변화가 없을때까지 25 ℃의 소주에 순산소를 포화시킨 후, 시간의 변화에 따라 용존산소량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측정하여 아래의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3> 산소의 포화 후 시간에 따른 용존산소량의 변화량 측정결과
구 분 주입직후 5분 10분 20분 30분 1시간 3시간 5시간 15시간 24시간
일반노즐 19.4 14 10.5 9.1 8.9 8.2 8.1 8.0 8.0 8.0
에어스톤 27.4 26.5 25.5 24.3 22.5 22.3 21.5 21.1 20.5 18.0
* 용존산소량 단위 : ppm
상기 표 3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기포크기가 미세하게 분사되는 에어스톤 노즐을 이용한 경우가 용존산소량이 월등히 높았으며, 입자가 미세하여 소주속에 산소가 오랫동안 녹아있어, 용존산소량이 크게 떨어지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4> 본 발명의 순산소가 함유된 희석식 소주에 대한 관능실험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의 방법에 의해 제조한 순산소가 함유된 희석식 소주를 준비하였다.
시중에서 일반 소주를 구입하여 준비하였다.
관능검사는 소주의 부드러움, 알코올 냄새, 맛, 기호도로 구분하여 9 점 평정법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연령과 성별을 고려하여 10 대 ~ 40 대 성인 남녀를 각각 연령대별로 10 명씩 총 40 명을 선발하였다.
관능실험을 하여 그 결과를 아래의 표 4에 나타내었다.
<표 4> 관능실험 결과
구 분 부드러움 알코올냄새 깨끗한 맛 종합적인 맛 기호도 종합
실시예 1 8.8 8.6 8.7 8.8 8.8 8.74
실시예 2 8.8 8.7 8.8 8.8 8.8 8.78
실시예 3 8.9 8.8 8.9 8.9 8.9 8.88
실시예 4 8.6 8.9 8.9 8.9 8.8 8.82
종래의 소주 7.0 6.8 6.9 6.9 6.9 6.9
* 관능검사 수치(9 : 아주 좋음, 0 : 아주 나쁨)
상기 표 4의 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일반 소주에 비해 본 발명의 순산소가 함유된 희석식 소주는 맛이 부드럽고, 알코올 냄새가 거의 나지 않으면서 맛이 깨끗하여 종합적인 맛 또한 월등히 높고, 기호도가 높아, 본 발명의 소주가 일반 소주에 비해 맛, 향, 기호도 등이 모두 뛰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 의하여, 3차에 걸쳐 순산소를 주입하는 방법에 의해 산소의 방출을 막으면서 산소를 최대한 주입하여 산소의 유실량을 극소화하고, 저온상태에서 미세한 산소기포를 주입하여 용존산소량을 극대화함으로서 경제성이 우수하며, 음주 후 숙취감을 크게 덜어주는 순산소가 함유된 희석식 소주와 그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여, 주입 후 유실되는 일부 용존산소는 유실될때 소주 특유의 이취를 소주 밖으로 동반 유출시켜 맛이 순하고 부드러운 순산소가 함유된 희석식 소주가 제공된다.

Claims (8)

  1. 희석식 소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알코올 농도가 95 %인 주정을 준비하는 제1공정,
    이 주정에 주조용수를 넣어 알코올 농도가 40 ~ 60 %가 되도록 1차 희석하는 제2공정,
    제2공정의 1차 희석액을 상온에서 7 ~ 10 일 동안 숙성시키는 제3공정,
    이 숙성액에 주조용수를 넣어 알코올 농도가 20 ~ 36 %가 되도록 2차 희석하는 제4공정,
    제4공정의 2차 희석액을 활성탄이 충진된 9 개의 충진탑에 SV 3 ~ 5로 통과시켜 탈취 및 정제하는 제5공정,
    제5공정의 정제된 희석액을 여과기를 이용하여 여과시켜 소주 나주를 제조하는 제6공정,
    제6공정의 소주 나주를 저장탱크로 이송한 후, 저장탱크 내에 설치된 에어스톤을 이용하여 소주 나주에 순산소(99.8 ~ 99.99 %) 기포를 폭기하여 순산소를 1차 주입하는 제7공정,
    이 순산소 1차 주입액을 냉각기로 이송하여 15 ~ 20 ℃로 냉각후, 에어스톤을 이용하여 순산소기포를 분사함으로서 순산소를 2차 주입하는 제8공정,
    이 순산소 2차 주입액을 병구주입기로 이송하여 병입하는 제9공정,
    병입 후 타전기로 이송시키기 직전에 미타전 상태의 병구에 순산소를 직접 분사하여 순산소를 3차 주입하는 제10공정,
    순산소 3차 주입액을 타전기로 이송하여 병마개를 막아 밀봉하는 제11공정을 거쳐 소주를 제조하는 것으로 구성된,
    순산소가 함유된 희석식 소주의 제조방법.
  2. 희석식 소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알코올 농도가 95 %인 주정을 준비하는 제1공정,
    이 주정에 주조용수를 넣어 알코올 농도가 40 ~ 60 %가 되도록 1차 희석하는 제2공정,
    제2공정의 1차 희석액을 상온에서 7 ~ 10 일 동안 숙성시키는 제3공정,
    이 숙성액에 주조용수를 넣어 알코올 농도가 20 ~ 36 %가 되도록 2차 희석하는 제4공정,
    제4공정의 2차 희석액을 활성탄이 충진된 9 개의 충진탑에 SV 3 ~ 5로 통과시켜 탈취 및 정제하는 제5공정,
    제5공정의 정제된 희석액을 원적외선 담체와 은입자가 충진된 1 개의 충진탑에 SV 25로 통과시켜 원적외선 처리하는 제6공정,
    제6공정의 원적외선 처리된 희석액에 주세법상 첨가물료 중 6 종 이상을 선택하여 시럽으로 제조한 식품첨가물료를 희석액 전체부피대비 0.01 ~ 2 부피% 첨가하여 혼합하는 제7공정,
    제7공정의 혼합액을 여과기를 이용하여 여과시켜 소주 나주를 제조하는 제8공정,
    제8공정의 소주 나주를 제1산소공급기의 저장탱크로 이송하여, 저장탱크내에 설치된 에어스톤을 이용해 소주 나주에 순산소(99.8 ~ 99.99 %) 기포를 폭기하여 순산소를 1차 주입하는 제9공정,
    이 순산소 1차 주입액을 제2산소공급기로 이송하고, 냉각기를 이용하여 15 ~ 20 ℃로 냉각한 후, 에어스톤을 이용해 순산소기포를 분사하여 2차 주입하는 제10공정,
    이 순산소 2차 주입액을 병구주입기로 이송한 후 병입하는 제11공정,
    병입 후 타전기로 이송하기 직전에 제3산소공급기를 이용하여 미타전 상태의 병구에 순산소를 직접 분사하여 순산소를 3차 주입하는 제12공정,
    순산소 3차 주입액을 타전기로 이송하여 병마개를 막아 밀봉하는 제13공정을 거쳐 소주를 제조하는 것으로 구성된,
    순산소가 함유된 희석식 소주의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순산소기포 1차 주입시에는, 2 ~ 8 ℓ/min 으로 3 ~ 20 분 동안 폭기하여 주입하는 것이 특징이고,
    순산소기포 2차 주입시에는, 2 ~ 8 ℓ/min 으로 분사하여 주입하는 것이 특 징인,
    순산소가 함유된 희석식 소주의 제조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제9공정의 제1산소공급기는, 소주 나주를 이송하여 저장하는 저장탱크와; 산소발생장치에서 발생시킨 순산소를 공급하는 순산소공급배관과; 순산소공급배관에 설치되어 산소공급시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게이지와; 순산소공급배관과 연결되어 저장탱크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순산소기포를 폭기하는 에어스톤;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산소가 함유된 희석식 소주의 제조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제10공정의 제2산소공급기는, 순산소 1차 주입액을 이송하는 소주이송관과; 순산소 1차 주입액을 냉각시키는 냉각기와; 산소발생장치에서 발생시킨 순산소를 공급하는 순산소공급배관과; 순산소공급배관에 설치되어 산소공급시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게이지와; 순산소공급배관과 연결되어 소주이송관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순산소기포를 분사하는 에어스톤;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산소가 함유된 희석식 소주의 제조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제12공정의 제3산소공급기는, 외부공기와의 접촉을 차단하는 에어커튼과; 산소발생장치에서 발생시킨 순산소를 공급하는 순산소공급배관과; 순산소를 분사하는 에어노즐;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산소가 함유된 희석식 소주의 제조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순산소가 함유된 희석식 소주.
  8. 제7항에 있어서,
    최종 알코올 농도가 19 ~ 35 %이며, 용존산소량이 20 ~ 28 ppm 인 소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산소가 함유된 희석식 소주.
KR1020050068361A 2005-07-27 2005-07-27 순산소가 함유된 희석식 소주의 제조방법 KR1006645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8361A KR100664599B1 (ko) 2005-07-27 2005-07-27 순산소가 함유된 희석식 소주의 제조방법
CNB2006100987926A CN100451095C (zh) 2005-07-27 2006-07-14 含有纯氧的稀释式烧酒的制备方法
US11/489,203 US7858136B2 (en) 2005-07-27 2006-07-19 Method for manufacturing pure oxygen—containing diluted soju
JP2006199272A JP4478130B2 (ja) 2005-07-27 2006-07-21 純酸素含有甲類焼酎の製造方法および純酸素含有甲類焼酎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8361A KR100664599B1 (ko) 2005-07-27 2005-07-27 순산소가 함유된 희석식 소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4599B1 true KR100664599B1 (ko) 2007-01-04

Family

ID=37673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8361A KR100664599B1 (ko) 2005-07-27 2005-07-27 순산소가 함유된 희석식 소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858136B2 (ko)
JP (1) JP4478130B2 (ko)
KR (1) KR100664599B1 (ko)
CN (1) CN100451095C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8278B1 (ko) * 2007-02-26 2008-09-11 오승환 마이크로나노버블 처리된 주조용수를 이용한 주류의제조방법
KR100919457B1 (ko) * 2008-10-08 2009-09-28 주식회사 선양 순산소가 용존되어 있는 소주의 제조방법
KR101139873B1 (ko) 2009-06-08 2012-05-02 주식회사 선양 다량의 순산소를 용존 시키는 소주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40417B (zh) * 2010-11-26 2013-06-12 叶贤忠 一种酒的醇化方法及装置
US9997006B2 (en) 2011-08-26 2018-06-12 Elwha Llc Treatment system and method for ingestible product dispensing system and method
US10192037B2 (en) 2011-08-26 2019-01-29 Elwah LLC Reporting system and method for ingestible product preparation system and method
US10115093B2 (en) 2011-08-26 2018-10-30 Elwha Llc Food printing goal implementation substrate structure ingestible material preparation system and method
US10239256B2 (en) 2012-06-12 2019-03-26 Elwha Llc Food printing additive layering substrate structure ingestible material preparation system and method
US10026336B2 (en) 2011-08-26 2018-07-17 Elwha Llc Refuse intelligence acquisition system and method for ingestible product preparation system and method
US10121218B2 (en) * 2012-06-12 2018-11-06 Elwha Llc Substrate structure injection treatment system and method for ingestible product system and method
US20130330447A1 (en) 2012-06-12 2013-12-12 Elwha LLC, a limited liability company of the State of Delaware Substrate Structure Deposition Treatment System And Method For Ingestible Product System and Method
WO2016073744A1 (en) * 2014-11-05 2016-05-12 Max Mackenzie Gas-infused fluid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1318A (ko) * 1988-07-05 1990-02-27 최병기 자연수의 탈개스 처리에 의한 고농도 산소 음료 제조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12272A (en) * 1972-09-01 1974-05-21 C Linville Preparation of an additive for alcoholic beverages
SU1751190A1 (ru) * 1990-11-26 1992-07-30 Отраслевой Научно-Технологический Центр Научно-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го Объединения "Алмалы" Восточного Отделения Васхнил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виноградного виноматериала
GB2260315B (en) * 1991-10-08 1995-08-02 Guinness Brewing Worldwide A method of and apparatus for packaging a beverage in a container
KR950005348A (ko) * 1993-08-16 1995-03-20 조안 엠. 젤사 액체로부터 휘발성 성분을 스트립핑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RU2154101C1 (ru) * 1998-12-15 2000-08-10 Кубан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технолог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коньячного спирта
KR20020059982A (ko) * 2001-01-09 2002-07-16 허지석 산소함유술의 제조장치
KR20030038173A (ko) * 2001-11-08 2003-05-16 박해준 산소 소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1318A (ko) * 1988-07-05 1990-02-27 최병기 자연수의 탈개스 처리에 의한 고농도 산소 음료 제조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8278B1 (ko) * 2007-02-26 2008-09-11 오승환 마이크로나노버블 처리된 주조용수를 이용한 주류의제조방법
KR100919457B1 (ko) * 2008-10-08 2009-09-28 주식회사 선양 순산소가 용존되어 있는 소주의 제조방법
KR101139873B1 (ko) 2009-06-08 2012-05-02 주식회사 선양 다량의 순산소를 용존 시키는 소주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026103A1 (en) 2007-02-01
CN1904018A (zh) 2007-01-31
JP2007029092A (ja) 2007-02-08
CN100451095C (zh) 2009-01-14
JP4478130B2 (ja) 2010-06-09
US7858136B2 (en) 2010-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4599B1 (ko) 순산소가 함유된 희석식 소주의 제조방법
EP1946648A1 (en) Method for production of coffee extract
US3437491A (en) Two-stage sequential ion exchange treatment for wine improvement
EP2796416B1 (en) Process for removing fluorine from water and for regenerating the filtration masses, and plant for implementing the process
KR101139873B1 (ko) 다량의 순산소를 용존 시키는 소주의 제조방법
KR100919457B1 (ko) 순산소가 용존되어 있는 소주의 제조방법
CN103798896A (zh) 苏打水及其生产工艺
EA010395B1 (ru) Напиток
CN102603123B (zh) 对热碱泉水进行处理的方法
CN103805407A (zh) 一种白酒及其勾兑工艺
JPH0380466B2 (ko)
CN112646685A (zh) 一种苏打酒及其制备方法
KR100400822B1 (ko) 소주의 제조방법
US20090291177A1 (en) Method of Lowering the Redox Potential of a Liquid by Injection of a Gas While Preventing Foaming
KR100478607B1 (ko) 산소음료 제조 방법 및 그 시스템과 산소물 제조장치
JPS6233859B2 (ko)
KR20050107331A (ko) 은-함유 죽탄으로 처리된 용수를 이용한 주류의 제조 방법
KR20100091076A (ko) 고로쇠 수액 혼합음료수 제조방법
TW201705867A (zh) 抗氧化機能性飲料
CN1121350C (zh) 一种富氧饮用水的制备方法
RU2169185C1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водки
WO2006031154A1 (en) Beverage production method
KR100449055B1 (ko) 이온 칼슘주 및 그 제조 방법
JP7360686B2 (ja) 調味剤、温泉飲料および飲料収容体
CN117243314A (zh) 一种果味五大连池矿泉饮品的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