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8884B1 - 동축 커넥터 일체형 기판접속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동축 커넥터 일체형 기판접속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8884B1
KR100658884B1 KR1020050131245A KR20050131245A KR100658884B1 KR 100658884 B1 KR100658884 B1 KR 100658884B1 KR 1020050131245 A KR1020050131245 A KR 1020050131245A KR 20050131245 A KR20050131245 A KR 20050131245A KR 100658884 B1 KR100658884 B1 KR 1006588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xial connector
plug
connector
coaxial
recepta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1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76727A (ko
Inventor
아키히토 시치다
토루 이마이
타카유키 나가타
Original Assignee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76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67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88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88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5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mounted on a PCB [Printed Circuit 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02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1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telephony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품점수가 적고 조립공정수도 증가시키는 일 없는, 저비용화가 가능한 동축 커넥터 일체형 기판접속용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며, 그 해결수단에 있어서, 병렬 컨텍트부인 멀티 커넥터를 구성하는 리셉터클쪽 절연하우징과 플러그쪽 보디의 각각의 단부에 특성임피던스가 조정된 동축 리셉터클과 동축 플러그를 형성함으로서, 멀티 커넥터를 끼워맞춤시킴과 동시에 동축 커넥터에 의한 신호의 반사나 방사가 적은 전송라인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동축 커넥터 일체형 기판접속용 커넥터{BOARD TO BOARD CONNECTOR INTEGRATED WITH COOXIAL CONNECTOR}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동축 커넥터 일체형 기판접속용 커넥터의 일실시예를 표시하는 도면
도 2는 도 1(a)에서 표시한 동축 리셉터클을 확대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Ⅲ-Ⅲ면을 절단한 단면도
도 4는 도 2의 Ⅳ-Ⅳ면을 절단한 단면도
도 5는 도 1(b)에서 표시한 동축 플러그를 확대한 사시도
도 6은 도 5에서 가변 직경 어스링을 떼어낸 凸부의 사시도
도 7은 동축 플러그를 표시한 도 5의 Ⅶ-Ⅶ면의 단면도
도 8은 제 2의 중심도체를 단체로 표시하는 도면
도 9는 동축 리셉터클과 동축 플러그가 끼워맞춤하고 있을 때의 단면도
도 10은 가변 직경 어스링의 형상을 바꾼 실시예를 표시하는 도면
도 11은 도 1(c)에 표시한 멀티 커넥터가 끼워맞춤한 XI-XI면의 단면도
도 12는 멀티 커넥터부를 전자 차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도면
도 13은 종래의 기판간 접속의 일예를 표시하는 사시도
도 14는 절연보디에 제 2의 중심도체가 고정되는 상태를 표시하는 도면.
본 발명은, 접촉자를 다수 준비하여 기판과 기판을 접속하는 멀티 커넥터와, 예를 들면 고주파신호와 같은 전송선로의 특성임피던스를 고려해야 하는 신호를 동시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한 기판접속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기판간에 있어서, 임피던스 정합이 필요한 신호 전달에 사용되는 멀티 커넥터로서는, 4층기판에 의해서 전송라인을 스트립라인구조로 한 것이 공지되어 있다(비특허문헌: HIROSE ELECTRIC CO., LTD.FL 시리즈제품 카탈로그). 임피던스 정합이 필요한 신호가 다수 있는 경우는 이와 같은 커넥터를 사용한다. 그러나, 기판간에 전달하는 신호에서는, 예를 들면 휴대전화를 예로 들면, 일반적으로 임피던스 정합이 필요한 신호의 수는, 그것을 문제삼지 않아도 되는 신호보다도 적은 경우가 많다. 예를 들면 베이스밴드화되기 전의 안테나신호에 대해서는, 전송로의 특성임피던스를 제대로 정합시킬 필요가 있다. 그 이외의 음성계의 신호이거나, LSI의 동작상태를 설정하기 위한 직류전압 레벨의 제어신호 등에 대해서는, 전송로의 특성임피던스를 고려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모든 신호에 대해서 상기한 바와 같은 특성임피던스가 조정된 멀티 커넥터를 사용하는 것은 경제적이 아닌 경우가 많다.
그래서 특성임피던스를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신호의 접속에 대해서는, 일반적인 멀티 커넥터가 사용되고, 안테나신호에 대해서는 특성임피던스가 고려된 동축 커넥터가 사용된다. 그 종래예를 도 13에 표시한다. 도 13(a)는, 종래의 기판간 접속의 일예를 표시하는 사시도이다. I/O기판(131)에는 도시하지 않은 안테나 및 도시하지 않은 스피커, 추신기(sounder), 진동모터가 실장된다. 그 I/O기판(131)의 장변(長邊)의 한 변 쪽에, 긴쪽방향을 I/O기판(131)의 장변에 평행으로 한 플러그쪽 멀티 커넥터(132)가 실장되어 있다. 동일한 I/O기판(131) 위의 플러그쪽 멀티 커넥터(132)의 긴쪽방향 연장선상, I/O기판(131)의 코너부에, 동축 리셉터클(134)이 실장되어 있다.
I/O기판(131) 위의 플러그쪽 멀티 커넥터(132)는, 대향하는 위치에 있는 RF(라디오ㆍ주파수 이하 RF로 생략함)/BB(베이스밴드 이하 BB로 생략함)기판(135)의 단변(短邊)쪽의 한 변의 단부에 단변과 평행하게 실장되어 있는 리셉터클쪽 멀티 커넥터(136)와 끼워맞춤하고 있다. I/O기판(131) 위의 동축 리셉터클(134)에는, RF/BB기판(135)에 일단부가 납땜된 동축 케이블(133)의 타단부를 형성하는 동축 플러그(137)가 끼워 넣어져 있다. 이와 같이 특성임피던스의 정합이 필요한 안테나신호에 대해서는, 동축 케이블에 의해 접속되고, 다른 특성임피던스의 정합의 필요성이 없는 음성계의 신호에 대해서는, 멀티 커넥터가 사용되고 있었다.
도 13(b)에 다른 종래예를 나타내는 사시도를 표시한다. 도 13(a)와 동일한 것은 참조번호를 동일로 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I/O기판(131)의 장변의 한 변 쪽에, 제 1의 플랫 케이블 리셉터클(138)이 실장되어 있다. 제 1의 플랫 케이블 리셉터클(138)은, 복수의 배선을 배선의 피복끼리가 일체로 되어서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플랫 케이블(140)의 일단부를 형성하는 제 1의 플랫 케이블 플러그(139)와 끼 워맞춤한다. 제 1의 플랫 케이블 리셉터클(138)의 긴쪽방향 연장선의 I/O기판(131)의 코너에 동축 리셉터클(134)이 실장되어 있다. 동축 리셉터클(134)은, RF/BB기판(135) 위에 직접 실장되어 있는 동축 플러그(137)와 케이블을 개재하지 않고 직접 접속하고 있다. I/O기판(131) 위의 제 1의 플랫 케이블 리셉터클(138)에는 플랫 케이블(140)의 일단부를 형성하고 있는 제 1의 플랫 케이블 플러그(139)가 삽입되어 있다. 플랫 케이블(140)의 타단부에는 제 2의 플랫 케이블 플러그(141)가 접속되고, 제 2의 플랫 케이블 플러그(141)는 RF/BB기판(135)의 단변쪽의 한 변에 평행하게 실장되어 있는 제 2의 플랫 케이블 리셉터클(142)에 끼워맞춤하고 있다. 이와 같이 특성임피던스의 정합이 필요한 안테나신호에 대해서는, 기판 위에 실장된 동축 커넥터끼리를 직접 접속시키고, 특성임피던스의 정합의 필요가 없는 신호에 대해서는, 플랫 케이블을 사용해서 전송하는 방법도 있다.
[비특허문헌 1]
HIROSE ELECTRIC CO.,LTD.FL 시리즈제품 카탈로그
전송라인을 스트립라인구조로 한 멀티 커넥터는, 각 전송라인의 특성임피던스 Zo를 식 (1)에 표시하는 관계에서 예를 들면 50Ω이나 75Ω로 설정하는 것이다.
Figure 112005077017359-pat00001
(1)
L은 전송라인의 단위길이 당의 인덕턴스이며, C는 동일하게 단위길이 당의 커패시턴스이다. 이 식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각 전송라인의 특성임피던스를 조정하기 위해서는, 각 전송라인에, 어느 정도의 사이즈(조정대)가 필요하며, 멀티 커넥터 전체로서는 확대되어 버리는 과제가 있었다. 그 확대된 멀티 커넥터는, 소형화 박형화가 진행된 휴대전화 단말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또, 특성임피던스를 정합시킬 필요가 있는 전송라인의 수가 적은 기기에서는, 그 필요가 없는 신호에 대해서도 그 전송라인을 사용하게 되어 경제적이 아니었다.
그래서 배경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특성임피던스의 정합의 필요가 없는 신호에 대해서는, 통상의 멀티 커넥터에 의해 접속하고, 정합이 필요한 신호에 대해서는 동축 커넥터를 사용하는 방법이 취해진다.
여기서 의문이 발생한다고 생각한다. 어째서, 배경기술에서 설명한 도 13(a)와 도 13(b)를 조합해서, 케이블류를 사용하지 않고 기판끼리를 직접 접속하지 않는 것일까, 라는 의문이다. 즉, 멀티 커넥터끼리를 도 13(a)에 표시하는 방법에 의해 플랫 케이블(140)을 사용하지 않고 접속하여, 동축 커넥터는 도 13(b)에 표시하는 방법에 의해 동축 리셉터클(134)과 동축 플러그(137)를 직접 동축 케이블(133)을 개재하지 않고 접속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과 같이 복수의 리셉터클과 복수의 플러그의 부품을 기판 위에 직접 실장해서 한 번에 접속시키는 경우는, 각 부품끼리의 실장정밀도나 각 부품의 마무리정밀도가 문제로 되며 접속부의 위치가 맞지 않게 되어 버리는 문제가 있다. 이것을 무리하게 접속시키고자 하면 접속부를 파괴하거나, 접속할 수 있어도 신뢰성이나 내구성이 현저히 열악화하는 경우가 있다.
이것을 방지하는 목적으로 복수 개의 접속부의 한쪽을 케이블접속으로 해서, 그 정밀도가 나쁜 부분을 흡수하고 있었던 것이 도 13(a) 및 도 13(b)에서 표시한 방법이다. 그러나, 이 방법으로는, 접속부의 파괴나 신뢰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었지만, 부품점수가 증가해 버리는 과제가 있었다. 또, 케이블부의 둘러치기에 공간을 필요로 하는 것과 케이블의 둘러치기의 처리에 공정수(조립시간)를 필요로 하여 비용상승의 원인으로 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부품점수가 적고 조립공정수도 증가시키는 일이 없는, 저비용화가 가능한 동축 커넥터 일체형 기판접속용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직육면체형상 절연하우징의 1면 중앙부에 그 긴쪽방향을 따른 상대 플러그 삽입용 凹부가 형성되고, 그 삽입용 凹부의 긴쪽방향을 따르는 대향면에 각각 정피치로 접촉자수납부가 배열 형성되며, 각 접촉자수납부에 리셉터클 접촉자가 수납된 절연하우징의 일단부에 제 1의 동축 커넥터가 일체로 형성된 리셉터클과, 그 리셉터클 삽입용 凹부와 끼워맞춤하는 절연보디의 긴쪽방향의 양쪽에 플러그 접촉자수납부가 상기와 동일한 피치로 배열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 접촉자수납부에 플러그 접촉자가 수납된 절연보디의 일단부에 상기 제1 동축 커넥터와 끼워맞춤하는 제2 동축 커넥터가 일체로 형성된 플러그와의 한 조로 기판접속용 커넥터를 구성하였다.
<발명의 실시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 실시예 1]
[제1 실시형태]
도 1에 본 발명에 의한 동축 커넥터 일체형 기판접속용 커넥터의 일실시예를 표시하는 리셉터클과 플러그와 그 양자가 끼워맞춤했을 경우의 사시도를 표시한다.
리셉터클은, 리셉터클 본체를 형성하는 직육면체형상 절연하우징의 1면 중앙부에 그 긴쪽방향을 따른 상대 플러그 삽입용 凹부와, 그 삽입용 凹부의 긴쪽방향을 따르는 대향면에 각각 정피치로 접촉자수납부가 배열 형성되는 접촉자수납부와, 각 접촉자수납부에 수납되는 리셉터클 접촉자와, 직육면체형상 절연하우징의 일단부에 형성된 제 1의 동축 커넥터로 구성된다.
플러그는, 상기 삽입용 凹부에 끼워맞춤하는 절연보디와, 절연보디의 긴쪽방향의 양쪽에 플러그 접촉자수납부가 상기와 동일한 피치로 배열 형성되는 플러그 접촉자수납부와, 각 플러그 접촉자수납부에 수납되는 플러그 접촉자와, 절연보디의 일단부에 형성된 제 2의 동축 커넥터로 구성된다.
이들 리셉터클과 플러그와는, 각각이 다른 기판에 실장되고, 각각을 끼워맞춤시킴으로서, 기판끼리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것이다.
〔리셉터클의 구성〕
도 1(a)는 본 발명의 동축 커넥터 일체형 기판접속용 커넥터를 구성하는 리셉터클의 일실시예를 표시하는 사시도이다. 리셉터클 본체를 형성하는 절연하우징(1)은 직육면체이며, 그 1면 중앙부의 긴쪽방향을 따라서 상대 플러그가 삽입되는 삽입용 凹부(2)가 형성되어 있다. 그 삽입용 凹부(2)의 긴쪽방향을 따르는 대향면에 각각 정피치로 접촉자수납부(3)가 배열 형성되고, 각 접촉자수납부(3) 각각에 리셉터클 접촉자(4)가 수납되어 있다. 삽입용 凹부(2)의 이면쪽이 절연하우징(1)이 실장되는 도시하지 않는 기판의 표면(이하 실장면이라고 칭함)에 접한다. 절연하우징(1)의 긴쪽방향의 일단부는, 접촉자수납부(3)가 형성되어 있는 폭보다도 좁은 폭이며 또한 실장면(300)에 근접하는 두께(제1 동축 커넥터 형성부(5)의 두께가 접촉자수납부보다 얇음)의 제1 동축 커넥터 형성부(5)가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있다.
제1 동축 커넥터 형성부(5)의 중앙에는, 실장면에 대해서 수직방향으로 제 1의 중심도체(7)가 세워 형성되어 있다. 제 1의 중심도체(7)와 일체의 금속부품이며, 제 1의 중심도체(7)를 실장면(300) 위의 도시하지 않은 배선패턴에 전달하는 센터 핀(6)을 제1 동축 커넥터 형성부(5)의 접촉자수납부(3)와 반대쪽의 한 변에 돌출시키고 있다. 이 제 1의 중심도체(7)와 센터 핀(6)을 형성하는 금속부품은, 제1 동축 커넥터 형성부(5)에 조립되어져 있다.
제 1의 중심도체(7)를 중심으로 제 1의 중심도체(7)와 대략 동일한 높이의 벽을 가진 링형상의 제1 어스링(9)이 세워 형성되어 있다. 제1 어스링(9)을 접지시키는 어스단자(8)가 제1 동축 커넥터 형성부(5)의 절연하우징(1)의 긴쪽방향을 따르는 두 변의 실장면(300) 위에 돌출하고 있다.
제1 어스링(9)과 어스단자(8)는 일체로 형성된 금속부품이며, 절연하우징(1)을 제조할 때에 제1 동축 커넥터 형성부(5)의 부분에 인서트 성형되어 있다.
제 1의 동축 커넥터 형성부(5)에 제 1의 중심도체(7)와 제1 어스링(9)에 의 한 제 1의 동축 커넥터(10)가 동축 리셉터클(이하 제 1의 동축 커넥터(10)를 동축 리셉터클(1O)이라고 칭함)로서 형성되어 있다.
동축 리셉터클(10)의 반대쪽의 절연하우징(1)의 단부는, 접촉자수납부(3)가 형성되는 면보다도 실장면(300)쪽으로 낮고 또한 제1 동축 커넥터 형성부(5)보다 높은 면을 가지는 리셉터클 단부(11)가 형성되어 있다. 리셉터클 단부(11)의 거의 중앙부분에서 삽입용 凹부(2)에 인접하는 위치에 걸어맞춤용 돌출부(12)가 실장면(300)에 대해서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플러그의 구성〕
도 1(b)는 본 발명의 동축 커넥터 일체형 기판접속용 커넥터를 구성하는 플러그의 일실시예를 표시하는 사시도이다. 리셉터클의 삽입용 凹부(2)와 끼워맞춤하는 절연보디(13)의 긴쪽방향의 양쪽에 플러그 접촉자수납부(14)가, 리셉터클쪽과 동일한 정피치로 배열 형성되고, 플러그 접촉자수납부(14)에 플러그 접촉자(15)가 수납되어 있다. 리셉터클의 삽입용 凹부(2)에 삽입되는 절연보디(13)의 삽입방향과 반대쪽의 면이 절연보디(13)가 실장되는 도시하지 않은 기판의 표면(이하 플러그 실장면이라고 칭함)에 접한다.
절연보디(13)의 긴쪽방향의 일단부는, 절연보디(13)를 실장하는 플러그 실장면(400)으로부터의 두께가 플러그 접촉자수납부(14)의 두께보다 얇아서, 절연보디(13)와 대략 동일한 폭의 제2 동축 커넥터 형성부(16)가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있다.
제2 동축 커넥터 형성부(16)의 플러그 접촉자수납부(14)와 반대쪽의 단부에, 동축 리셉터클(10)의 제1 어스링(9)의 내경과 거의 동일한 외경의 원통형상 장착부(19)가, 플러그 실장면(400)에 대해서 수직방향으로 절연보디(13)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원통형상 장착부(19)의 실장면(400)과 반대 면의 중앙에는 제 1의 동축 커넥터(10)의 제 1의 중심도체(7)가 삽입되는 원통부 구멍(17)이 뚫리고, 원통부 구멍(17)을 중심으로 절구형상의 凹부(18)가 형성되어 있다.
원통형상 장착부(19)의 주위에는 원고리형상의 공극(20)을 뚫어서 제1 어스링(9)의 외경과 거의 동일한 내경을 가지고, 거의 원통형상 장착부(19)와 동일한 높이의 링형상의 제2 어스링(21)이 제2 동축 커넥터 형성부(16)에 걸림되어 있다. 제2 어스링(21)의 절연보디(13)의 긴쪽방향을 따르는 두 변에, 제2 어스링(21)을 플러그 실장면(400) 위의 접지전극에 납땜하는 접지단자(22)가 제2 어스링(21)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원통형상 장착부(19)의 상부면 중앙부분에 형성된 원통부 구멍(17)은, 플러그 실장면(400)을 향한 관통구멍이며, 관통구멍 안에 플러그 실장면(400)으로부터 도시하지 않은 제 2의 중심도체가 삽입되어 있다. 제2 동축 커넥터 형성부(16)의 선단부의 플러그 실장면(400)의 높이에는, 제 2의 중심도체와 일체의 금속부품인 컨텍트(23)가 돌출되어 있다. 제 2의 동축 커넥터 형성부(16)에 원통형상 장착부(19)와 제2 어스링(21)과 제 2의 중심도체(도 1(b)에서는 도시되지 않고 후술함)로 제 2의 동축 커넥터(24)가 동축 플러그로서 형성되어 있다.(이하 제 2의 동축 커넥터를 동축 플러그라고 칭함으로서, 이후 동축 플러그(24) 및 동축 플러그 형성부(16)라고 칭함)
동축 플러그(24)와 반대쪽의 절연보디(13)의 단부에는, 플러그 접촉자수납부(14)가 형성되는 면보다도 플러그 실장면(400)쪽으로 낮고 약간 넓은 폭의 플러그 단부(25)가 형성되어 있다. 플러그 단부(25)의 거의 중앙부분에는 리셉터클의 걸어맞춤용 돌출부(12)와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 구멍(26)이 형성되어 있다.
〔리셉터클과 플러그의 끼워맞춤〕
도 1(c)는 이들 리셉터클과 플러그를 끼워맞춤한 사시도를 표시한다. 도 1(c)에서는, 리셉터클과 플러그가 실장되는 각각 별체의 기판은 생략하고 있다. 도 1(c)는, 도 1(a)의 리셉터클, 즉 절연하우징(1)을 180˚ 시계반대방향으로 반전시켜서, 리셉터클의 걸어맞춤용 돌출부(12)를 플러그의 걸어맞춤 구멍(26)에 걸어맞춤시키고, 삽입용 凹부(2)에 절연보디(13)를 삽입 끼워맞춤시키고, 동축 플러그(24)의 공극(20)에 제1 어스링(9)을, 凹부(18)에 제 1의 중심도체(7)를 삽입 끼워맞춤시킨 도면이다.
리셉터클 본체를 형성하는 직육면체의 절연하우징(1)의 긴쪽방향을 따라서 정피치로 접촉자수납부(3)가 배열 형성되고, 끼워 형성된 리셉터클 접촉자(4)의 일단부가 실장면(300)의 높이로 절연하우징(1)으로부터 돌출하고 있다. 리셉터클의 삽입용 凹부(2)에 삽입된 플러그의 절연보디(13)의 긴쪽방향에는, 리셉터클 접촉자(4)와 1대 1로 대응한 플러그 접촉자(15)가 플러그 실장면(400)의 높이로 그 일단부를 절연보디(13)로부터 돌출시켜서 배열하고 있다. 이 1대 1로 대응한 리셉터클 접촉자(4)와 플러그 접촉자(14)가 접촉함으로써, 다른 기판간의 배선패턴을 도통시킬 수 있다. 이 리셉터클 접촉자(4)와 플러그 접촉자(15)에 의한 전송라인은, 특성 임피던스가 고려되어 있지 않으므로, 음성계의 저주파의 신호나 LSI의 동작상태를 설정하기 위한 직류전압신호 등의 전송로로서 사용된다.
동축 플러그(24)를 구성하는 제2 어스링(21)은, 동축 리셉터클(10)을 구성하는 제1 어스링(9)과 끼워맞춤한다. 그때, 제 1의 중심도체(7)는 동축 플러그(24)를 구성하는 원통형상 장착부(19)의 중앙에 뚫린 관통구멍인 원통부 구멍(17)에 삽입된다. 또, 동축 리셉터클(10)의 제1 어스링(9)은 동축 플러그(24)의 원통형상 장착부(19)와 제2 어스링(21)의 내경에서 형성하는 공극(20)에, 삽입되어서 끼워맞춤한다.
동축 플러그(24)가 형성되는 쪽의 절연보디(13)의 최단부에는 컨텍트(23)가 플러그 실장면(400)의 높이로 돌출하고 있다. 컨텍트(23)가 돌출한 한 변과 다른 동축 플러그 형성부(16)의 다른 두 변에는, 제2 어스링(21)과 일체로 형성된 접지용 단자(22)가 플러그 실장면(400)의 높이로 배치되어 있다.
절연하우징(1)과 절연보디(13)를 끼워맞춤하면 동축 리셉터클을 구성하는 제 1의 중심도체(7)는, 동축 플러그(24)를 구성하는 원통형상 장착부(19)의 중앙부분에 형성된 원통부 구멍(17)에 삽입되고, 원통부 구멍(17)의 내부면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가동전극인 제 2의 중심도체(제 2의 중심도체에 대해서는 후술함)와 접촉한다. 이 결과, 센터 핀(6)에 접속되는 절연하우징(1)이 실장되는 기판 위의 신호는, 절연보디(13)가 실장되는 대향하는 위치에 있는 다른 기판 위의 배선패턴에 컨텍트(23)를 개재해서 전달된다.
이 동축 리셉터클(10)과 동축 플러그(24)에 의한 전송라인의 특성임피던스 는, 예를 들면 50Ω로 설정되어 있다. 특성임피던스의 조정은, 제 1의 중심도체(7)의 외경이나 길이, 원통형상 장착부(19)를 형성하는 재료의 유전율이나, 센터 핀(6) 및 컨텍트(23)의 전극폭 등을 바꿈으로서, 식 (1)에서 표시한 전송라인의 단위길이 당의 인덕턴스와 커패시턴스를 바꿔서 실시한다. 따라서, 이들을 조정함으로서 특성임피던스를 50Ω이나 75Ω로 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송라인의 특성임피던스를 소망하는 값으로 할 수 있으므로, 전송라인의 임피던스 정합이 구해지는 예를 들면 안테나신호 등의 고주파신호를 손실이 적은 형태로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제2 어스링(21) 및 제1 어스링(9)에 의해서 제 1의 중심도체(9) 및 제 2의 중심도체(후술함)가 전자 차폐되어 있으므로, 신호의 방사가 문제로 되는 예를 들면 마이크로파회로의 신호의 전송라인으로서 매우 적합하다.
도 1에 표시하는 실시예에 의하면, 음성계의 신호나, 직류전압 레벨에 의한 LSI의 제어신호 등, 특성임피던스를 문제삼지 않지만 비교적으로 수가 많은 신호와, 수는 적지만 전송라인의 특성임피던스 정합을 취해야 하는 예를 들면 안테나신호를, 하나의 기판간 접속용 커넥터에 의해 접속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도 1에 표시하는 실시예에 의하면, 제1 동축 커넥터 형성부(5)와 제2 동축 커넥터 형성부(16)의 두께가 접촉자수납부보다 얇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끼워맞춤 시에 커넥터의 두께를 저배화(低背化)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에 표시한 실시예에서는, 멀티 커넥터의 리셉터클을 형성하는 절연하우징(1)과 일체로 제 1의 동축 커넥터(10)로서 동축 리셉터클을, 멀티 커넥터의 플러 그를 형성하는 절연보디(13)와 일체로 제 2의 동축 커넥터(24)로서 동축 플러그를, 각각 형성한 예를 표시하였다. 본 발명은 이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멀티 커넥터의 리셉터클쪽에 동축 플러그를, 멀티 커넥터의 플러그쪽에 동축 리셉터클을 형성해도 된다.
〔동축 리셉터클의 상세한 구조〕
도 2는 도 1(a)에서 표시한 동축 리셉터클(10)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1(a)에서 표시한 것과 대응하는 부분은, 참조부호를 동일로 하여 설명을 반복하지 않는다. 도 2에 의해서 보다 구조가 명확하게 되는 부분에 대하여 설명을 추가한다.
제 1의 중심도체(7)의 다른 쪽의 단부를 형성하는 센터 핀(6)은, 절연하우징(1)의 최단부의 한 변 중앙부분에 센터 핀(6)의 바닥면을 실장면(300)의 높이로 해서 돌출하고 있다.
제1 어스링(9)을 접지시키는 어스단자(8)는, 절연하우징(1)의 긴쪽방향을 따르는 두 변에 실장면(300)의 높이로 돌출하고 있다.
도 3에 도 2의 Ⅲ-Ⅲ면을 절단한 단면도를 표시한다. 제 1의 중심도체(7)는 제1 동축 커넥터 형성분(5)의 중앙부분에 뚫린 구멍(30)에, 실장면(300)쪽으로부터 삽입되어 기판에 대해서 수직으로 세워 형성되어 있다. 제 1의 중심도체(7)와 일체이며 기판면과 평행인 센터 핀(6)은, 동축 리셉터클 형성부(5)의 실장면(300)쪽에 형성된 홈(31)에 조임부를 가진 끼워맞춤구조로 고정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 1의 중심도체(7)와 센터 핀(6)을 형성하는 대략 L자형상의 부품을 조립한 부품으로 설명했지만, 절연하우징(1)을 제조할 때에 인서트 성형해도 된다.
도 4에 도 2의 Ⅳ-Ⅳ면을 절단한 단면도를 표시한다. 제1 동축 커넥터 형성분(5)의 중앙부분에는 제 1의 중심도체(7)를 삽입하는 구멍(30)이 개방되어 있으며, 구멍(30)에 제 1의 중심도체(7)가 삽입되어, 실장면(300)에 대해서 수직으로 제 1의 중심도체(7)가 세워 형성되어 있다. 도 4에 표시하는 제 1의 중심도체(7)의 예는, 드로잉가공에 의해 제조된 것이므로 시험관과 같이 중공(中空)형상으로 되어 있다. 제1 어스링(9)은, 제 1의 중심도체(7)를 중심으로 제 1의 중심도체(7)와 거의 동일한 높이를 가진 벽을 형성해서 원고리형상으로 배치되고, 제1 어스링(9)과 일체의 어스단자(8)를 실장면(300)의 높이로 동축 리셉터클 형성부(5)의 좌우로 돌출시키고 있다.
제1 어스링(9)을 형성하는 원고리형상의 벽의 단면은, 동축 플러그(24)와의 끼워맞춤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끼워맞춤을 확실히 하기 위해서 높이방향으로 3단구조로 되어 있다. 최상단(最上段)부(실장면(300)과 반대의 방향)의 내경은 제1 어스링(9)의 최소 내경 B보다도 약간 큰 내경 C를 가지고, 제1 어스링(9)의 최대 두께(40)의 약 4분의 1의 크기의 폭으로 되어 있다. 동축 플러그(24)에 끼우기 쉽도록 상단(上端)부 바깥가장자리부로부터 최상단부의 벽의 높이의 약 5분의 1 내려간 위치의 제1 어스링(9)의 외부벽면이 이루는 직경을 최대 외경 A로 하도록, 바깥쪽으로 갈수록 외경이 커지는 테이퍼형상(41)으로 되어 있다. 최대 외경으로 된 후는, 그 외경을 유지해서 잘라 놓여진 형태로 최상단부를 형성하고 있다.
중간단(中段)부는, 반대로 최대 외경으로부터 제1 어스링(9)의 상단부 바깥 가장자리부의 직경을 향해서 제1 어스링(9)의 외부벽면이 이루는 직경이 작아지는 방향의 테이퍼형상(42)을 형성하고, 상단부 바깥가장자리부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으로 된 후, 그 직경으로 테이퍼형상(42)과 거의 동일한 높이 연장되고, 그 후 다시 외부벽면이 이루는 직경을 최대 외형 직경 A로 하도록, 바깥쪽으로 갈수록 외경이 커지는 테이퍼형상(43)이 형성되어 있다.
최하단(最下段)부는, 최대 외경 A에서 동축 리셉터클 형성부(5)의 상부면(실장면(300)의 반대쪽의 면)까지 연장되어 있다.
제1 어스링(9)의 단면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형상으로 되어 있어서, 최상단부에서 동축 플러그(24)에 삽입하기 쉽게 하여, 중간단(中斷)부의 테이퍼형상(42)에서 동축 플러그(24)와 확실한 접촉이 얻어지도록 하고 있다. 이 제1 어스링(9) 및 어스단자(8)는, 절연하우징(1)을 제조할 때에 인서트 성형되어서 만들어지고 있다.
〔동축 플러그의 상세한 구조〕
도 5는 도 1(b)에서 표시한 동축 플러그(24)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1(b)에서 표시한 것과 대응하는 부분은, 참조부호를 동일로 해서 설명을 반복하지 않는다. 도 5에 의해서 보다 구조가 명확하게 되는 부분에 대하여 설명을 추가한다.
원통형상 장착부(19)와 거의 동일한 높이를 가진 원고리형상의 제2 어스링(21)이, 제2 어스링(21)의 회전을 규제하기 위한 노치부(50)를 제2 동축 커넥터 형성부(16)의 선단부에 형성된 위치결정용 돌기(51)에 맞물리게 해서 위치결정되어 있다. 위치결정용 돌기는, 제2 동축 커넥터 형성부(16)의 선단부에 플러그 실장면 (400)에 대해서 수직의 방향으로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돌출하고 있다.
제2 어스링(21)의 노치부(50)의 중앙으로부터 제2 어스링(21)의 링형상의 벽상부에 걸쳐서 슬릿(52)이 절개 통과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2 어스링(21)의 벽의 플러그 실장면(400)쪽으로부터 반대쪽까지 절개 통과되어 있지만, 삽입방향의 단부의 일부가 절단되어 있는 것만으로도 된다.
제2 어스링(21)의 슬릿(52)으로부터 시계방향 약 60˚ 부근에 걸어맞춤용 구멍(53a)이, 제2 어스링(21)의 원고리형상의 벽의 높이의 중앙부분보다 플러그 실장면(400) 근처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 걸어맞춤용 구멍(53a)을 원통형상 장착부(19)의 외주에 형성된 클로에 걸어맞춤시켜서 제2 어스링(21)은 절연보디(13)에 고정되어 있다. 클로는 클로(54a)를 기준으로 시계반대방향 120˚의 위치에 클로(54b)(도 5에서는 보이지 않음), 시계방향 120˚의 위치에 클로(54c)(도 5에서는 보이지 않음)의 3개소에 형성되어 있다. 제2 어스링(21)의 걸어맞춤용 구멍도 원통형상 장착부(19)의 클로에 대응한 위치, 걸어맞춤용 구멍(53a)을 기준으로 시계반대방향 120˚의 위치에 클로(54b)(도 5에서는 보이지 않음), 시계방향 120˚의 위치에 클로(54c)(도 5에서는 보이지 않음)의 3개소에 배치되어 있다.
원통형상 장착부(19)의 플러그 실장면(400)과 반대의 방향으로부터, 제2 어스링(21)을 원통형상 장착부(19)의 위치결정용 돌기(51)에 노치부(50)의 위치에 맞춰서 떨어뜨린다. 그러면, 제2 어스링(21)에 형성된 슬릿(52)에 의해서 제2 어스링(21)을 직경방향으로 확대되어서 원통형상 장착부(19)의 클로(54a, 54b, 54c)와 제2 어스링(21)의 걸어맞춤용 구멍(53a, 53b, 53c)이 걸어맞춤하고, 제2 어스링(21) 이 절연보디(13)와 일체로 된다.
도 6에 도 5에서 제2 어스링(21)을 떼어낸 원통형상 장착부(19)의 사시도를 표시한다. 원통형상 장착부(19)는, 플러그 실장면(400)에 근접하는 부분의, 직경을 제2 어스링(21)의 내경과 거의 동일하게 하는 원통부(19b)와, 원통부(19b)보다도 직경이 작은 제1 어스링(9)의 내경과 거의 동일한 직경의 원통부(19a)와의 2단구조로 되어 있다. 원통부(19a)의 상부면(플러그 실장면(400)과 반대쪽)에는, 동축 리셉터클의 제 1의 중심도체(7)의 직경에 거의 동일한 원통부 구멍(17)이 개방되어 플러그 실장면(400)까지 관통하고 있다. 원통형상 장착부(19)의 상부면은, 제 1의 중심도체(7)를 원통부 구멍(17)에 삽입하기 쉽도록 원통부(19a)의 외경과 원통부 구멍(17)과의 사이를 대략 3등분한 길이 원통부 구멍(17)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떨어진 위치로부터 원통부 구멍(17)을 향해서 절구형상(60)으로 되어 있다. 절구형상(60)의 상단부는, 그 3등분한 길이 평탄부(61)가 형성되어 있다. 평탄부(61)의 바깥쪽은 동축 리셉터클의 제1 어스링(9)의 거의 내경의 크기의 지름까지 바깥쪽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테이퍼형상(62)으로 되어 있다. 원통부(19a)의 외경이 동축 리셉터클의 제1 어스링(9)의 거의 내경의 크기로 된 지점으로부터 거의 플러그 실장면(400)에 대해서 수직으로, 제1 어스링(9)의 높이 이상의 길이 원통부(19a)가 연장된다.
원통부(19a)의 상단부로부터의 길이가 동축 리셉터클의 제1 어스링(9)의 높이 이상으로 된 지점에서, 평탄부(61)와 거의 동일한 폭이며, 플러그 실장면(400)에 대해서 수평인 면(63)이 형성되고, 그 바깥쪽에는 테이퍼형상(62)과 거의 동일 한 바깥쪽으로 가면 낮아지는 테이퍼형상(64)이 제2 어스링(21)의 거의 내경과 동일한 크기까지 형성된다. 원통부(19b)의 외경이 제2 어스링(21)의 거의 내경과 동일해진 지점으로부터 그 외경에서 거의 수직으로 플러그 실장면(400)까지 연장되어서 원통부(19b)를 형성하고 있다.
동축 플러그 형성부(16)의 선단부에는 제 2의 중심도체와 도통한 컨텍트(23)가 돌출되어 있다. 컨텍트(23)를 중심으로서 컨텍트(23)의 약 2배의 폭을 가진 위치결정용 돌기(51)가, 원통부(19a)로부터 제2 어스링(21)의 외경의 크기까지 돌출하여 원통부(19b)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원통부(19b)의 컨텍트(23)의 중심 위치로부터 시계방향으로 약 60˚의 위치에 클로(54a)가 형성되어 있다. 클로(54a)는, 제2 어스링(21)의 원고리형상의 벽에 형성된 걸어맞춤용 구멍의 크기로 플러그 실장면(400)에 근접할수록 제2 어스링(21)의 외경의 크기에 근접하는 테이퍼형상이며, 원통부(19b)의 외주면으로 형성되어 최초 클로의 플러그 실장면(400)에 대해서 수직방향의 길이의 약 2/3정도의 위치에서 제2 어스링(21)의 외경과 동일한 두께로 되고, 그 후, 플러그 실장면(400)에 대해서 수직으로 잘라 놓여진 형상을 하고 있다. 즉 원통부(19b)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한 형상을 하고 있다. 클로는 클로(54a)를 기준으로 하면 시계반대방향 약 120˚의 위치에 클로(54b), 시계방향 약 120˚의 위치에 클로(54c)(도 6에서는 보이지 않음)의 3개소에 형성되어 있다.
도 7에 동축 플러그(24)를 표시한 도 5의 Ⅶ-Ⅶ면의 단면도를 표시한다. 원통부 구멍(17)은 플러그 실장면(400)까지 관통하고 있다. 원통형상 장착부(19)의 상단부의 원통부 구멍(17)은 원형이지만 원통형상 장착부(19)의 직경방향의 내부 단면의 형상은 대략 사각형이며, 그 사각형의 내부면에 삼각형을 이루는 형태로 세 방향으로 전극(70, 71, 72)을 구비한 제 2의 중심도체(73)가 배치되어 있다. 도 7에서는 확인할 수 없지만, 도 7에 표시하는 제 2의 중심도체(70)의 플러그 실장면(400) 근처의 지점에서 제 2의 중심도체(73)와 전극(70, 71, 72)은 일체로 된 하나의 부품이다. 원통부(19a)의 측벽에 형성된 클로(54b)가, 제2 어스링(21)의 원고리형상의 벽에 형성된 걸어맞춤용 구멍(53b)과 걸어맞춤해서 제2 어스링(21)과 절연보디(13)가 일체로 되어 있다.
도 8에 제 2의 중심도체(73)를 단체로 표시한다. 플러그 실장면(400) 위의 배선패턴에 납땜되는 컨텍트(23)을 형성하는 금속부품은, 컨텍트(23)의 폭의 긴 직사각형 형상으로 플러그 실장면(400)에 평행으로 연장된다. 긴 직사각형 형상으로 연장된 후, 컨텍트(23)의 단부 변과 평행인 방향의 전극(70)을 플러그 실장면(400)에 대해서 수직방향으로 형성한다. 전극(70)의 폭은 컨텍트(23)의 단부 변보다 약간 크고, 높이는 대략 원통형상 장착부(19)의 내부에 뚫린 관통구멍의 높이에 동일하다. 전극(70)의 거의 절반의 높이로부터 거의 전극(70)의 폭에 동일한 전극이, 전극(70)의 폭의 양단부로부터 안쪽으로 절곡 연장되어서 대략 삼각형을 형성하고 있다. 삼각형의 정점은 공극으로 되어 있으며 전극(70)의 상단부방향(플러그 실장면(400)과 반대쪽)에서 바라보면 주먹밥형상을 하고 있다. 절곡 연장된 선단부(공극)로부터 연장된 전극의 약 절반의 폭의 부분이 전극(70)과 동일한 높이까지 연장되고, 전극(71)과 전극(72)를 형성하고 있다. 전극(71)과 전극(72)의 선단부의 두 께는 얇아지고 있으며 주먹밥형상의 안쪽을 향해서 서서히 두꺼워지는 테이퍼형상을 하고 있다. 절곡되어 삼각형의 두 변을 이루는 전극(71)과 전극(72)의 변의 중간부분의 대향하는 길이가 삽입되는 제 1의 중심도체(7)의 직경보다도 짧은 길이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제 1의 중심도체(7)가 삽입되면, 제 1의 중심도체(7)의 직경방향으로 제 2의 중심도체(73)는 가변한다.
도 14에 절연보디(13)에 제 2의 중심도체(73)가 고정되는 상태를 플러그 실장면(400)쪽에서 바라본 도면을 표시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부분은, 참조부호를 동일로 해서 설명을 반복하지 않는다. 원통형상 장착부(19)의 축방향의 단면이 대략 사각형의 제 2의 중심도체 장착구멍(90)에, 플러그 실장면(400)쪽으로부터 제 2의 중심도체(73)가 삽입되어 있다. 제 2의 중심도체(73)는, 동축 플러그 형성부(16)의 플러그 실장면(400)쪽에 형성된 고정용 홈(91)에 조임부를 가진 끼워맞춤구조로 고정되고, 동축 플러그 형성부(16)의 단부의 플러그 실장면(400)에 컨텍트(23)를 돌출시키고 있다.
도 9에 동축 리셉터클(10)과 동축 플러그(24)가 끼워맞춤하고 있을 때의 단면도를 표시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부분은, 참조부호를 동일로 하고 설명을 반복하지 않는다. 도 9에 의해서 보다 구조가 명확하게 되는 부분에 대하여 설명을 추가한다. 동축 리셉터클(10)을 구성하는 제 1의 중심도체(7)는, 동축 리셉터클 형성부(5)의 중앙부분에 뚫린 구멍(30)에 실장면(300)쪽으로부터 삽입되고, 실장면(300)에 대해서 수직으로 세워 형성되어 있다. 제 1의 중심도체(7)와 일체이며 실장면(300)과 평행인 센터 핀(6)은, 동축 리셉터클 형성부(5)의 실장면(300)쪽(동축 리 셉터클 형성부(5)의 이면)에 형성된 홈(31)에 조임부를 가진 끼워맞춤구조로 고정되고, 동축 리셉터클 형성부(5)의 실장면(300)의 높이로 센터 핀(6)을 돌출시키고 있다.
제 1의 중심도체(7)는 원통부 구멍(17)에 삽입되고, 원통부 구멍(17)의 관통구멍 내부면에 배치된 제 2의 중심도체(73)의 상부부분(플러그 실장면(400)과 반대방향)에서 제 1의 중심전극(7)과 제 2의 중심도체(73)가 접촉하고 있다. 제2 어스링(21)의 상단부(플러그 실장면(400)과 반대쪽)는, 동축 리셉터클(10)의 제1 어스링(9)이 끼워맞춤하기 쉽도록, 화판형상으로 바깥쪽으로 개방된 형상을 하고 있다. 제2 어스링(21)의 상단부 바깥가장자리부가, 제2 어스링(21)의 최대 외경을 형성하고 있다. 그 제2 어스링(21)의 상단부로부터 직경방향 안쪽으로 직경이 축소되는 테이퍼형상하고 있으며, 끼워맞춤하는 동축 리셉터클(10)의 제1 어스링(9)의 최대 외경보다도 약간 작은 지름까지 축소한 뒤, 역방향으로 직경이 확대되는 테이퍼형상으로 되며 원통부(19b)의 외경에 제2 어스링(21)의 내경이 동일해진 지점으로부터 그 외경에서 플러그 실장면(400)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즉, 제2 어스링(21)의 상단부의 끼워맞춤방향의 단면의 일부는 “く"자형을 형성하고 있다. 이 “く"형상부(92)가 형성하는 내경은, 끼워맞춤하는 제1 어스링(9)의 최대 외경보다도 약간 작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끼워맞춤은 제1 어스링(9)이 제2 어스링(21)을 확대하도록 해서 실시된다.
이와 같이 끼워맞춤이 직경방향으로 확대해서 실시되기 때문에, 제2 어스링(21)은 직경의 안쪽을 향해서 본래로 되돌아가고자 하는 힘이 항상 작용한다. 이것 은, 끼워맞춤부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요인으로 된다. 특히 소형의 푸쉬 온 타입이라고 불리는 동축 커넥터에서는, 끼워맞춤하는 축방향으로만 변위부분을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이 실시예는 그들에 대해서 유리한 구조로 되어 있다.
제1 어스링(9)과 제2 어스링(21)과의 접촉은, 제2 어스링(21)의 “く"형상부(92)와 제1 어스링(9)의 테이퍼형상(42)의 경사면이 접촉해서 실시된다.
이 끼워맞춤력은, 예를 들면 제2 어스링(21)의 형상을 바꿈으로서 조정이 가능하다. 그 예를 도 10에 표시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부분은, 참조부호를 동일로 하고 설명을 반복하지 않는다. 도 10(a)는 제2 어스링(21)의 직경을 간격을 두고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 2개의 접지전극(8)과 직교하는 부분에 슬릿(100)을 형성한 예이다. 슬릿(100)은, 슬릿(52)의 상단부분(접지전극(8)과 반대쪽의 부분)의 원둘레방향의 노치폭을 확대해서 형성되어 있다. 슬릿(100)을 형성함으로서, 동축 리셉터클(10)이 끼워맞춤할 때에 제2 어스링(21)이 바같쪽으로 개방되기 쉬워지므로, 끼워맞춤력을 약하게 할 수 있다.
도 11(b)은 보다 끼워맞춤력을 약하게 하기 위하여, 슬릿(100)과 제2 어스링(21)의 직경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위치에 2번째의 슬릿(101)을 형성한 예이다. 슬릿(101)은, 제2 어스링(21)의 직경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위치에 있는 걸어맞춤용 구멍(53c)에 연결되어 있지만, 걸어맞춤용 구멍(53c)의 접지단자(22)쪽의 제2 어스링(21)의 벽은 절단되어 있지 않다.
도 11(c)은 슬릿(100)을 기준으로서 시계방향 약 120˚의 위치에 슬릿(102), 시계반대방향으로 슬릿(103)을 형성한 예이다. 슬릿(102)과 슬릿(103)은 슬릿(52) 과 같은 폭의 가는 절개 통과하는 부분이 없는 형상을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슬릿을 추가 형성함으로서 끼워맞춤력을 약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제1 어스링(9)이나 제2 어스링(21)의 두께나 직경이나 재질을 바꿔도 끼워맞춤력은 조정할 수 있다.
〔멀티 커넥터부의 접점구조〕
도 11에 도 1(c)에 표시한 멀티 커넥터가 끼워맞춤한 XI-XI면의 단면도를 표시한다.
우선 리셉터클쪽의 구조를 설명한다.
절연하우징(1)이 실장되는 실장면(300), 도 11에서는, 절연하우징(1)의 상부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접촉자(110)를 고정하는 유지기둥(111a과 11b)(이하, 삽입용 凹부(2)를 중심으로서 대향하는 위치에 있는 동일한 구성 b에 대해서는, 특별히 필요가 없는 한 생략함)이, 절연하우징(1)의 긴쪽방향 양쪽의 벽을 형성하고 있다. 유지기둥(111a)을 중심으로 리셉터클 접촉자(4)를 수납하는 접촉자수납부(3)를 형성하는 벽(112a)이, 유지기둥(111a)을 중심으로 좌우로, 절연하우징(1)의 단변방향의 중심을 향해서 연장되어 접촉자수납부(3)를 형성한다. 그 반대쪽은, 유지기둥(111a)의 폭과 거의 동일한 길이 비쭉 나오고 있다. 유지기둥(111a)을 중심으로 레셉터클 접촉자(4)를 형성하는 도체선의 굵기분의 폭, 벽(112a)이 노치되어서 접촉자 가이드부(113a)가 형성되어 있다.
실장면(300)과 평행으로 리셉터클 접촉자(4)의 결선부(結線部)(4α)가 형성되어 있다. 리셉터클 접촉자(4)는 결선부(4α)로부터 삽입용 凹부(2)의 방향으로 연장되고, 유지기둥(111a)의 부분에서 수직방향으로 우뚝 나와(도 11에서는 들어감) 연장되고, 유지기둥(111a)의 상단부에서 헤어핀형상으로 되접어 꺾여져, 장착용 헤어핀부(4β)를 형성한다. 또한 절연하우징(1)의 실장면(300)방향으로 연장되고, 절연하우징(1)의 바닥부에서 다시 크게 U자형상으로 절곡 연장되고, 유지기둥(111a)의 거의 상단부의 위치에 결선부(4α)의 타단부로서 접촉부(4γ)를 형성하고 있다. 접촉부(4γ)는 원호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정점은 삽입용 凹부(2)를 향해서 벽(112a)보다도 삽입용 凹부(2)쪽으로 돌출하고 있다. 리셉터클 접촉자(4)가 절연하우징(1)의 바닥부에서 크게 U자형상으로 절곡 연장된 것으로서, 리셉터클 접촉자(4)는 삽입용 凹부(2)로부터 유지기둥(111a)을 향한 횡방향의 탄성력을 지닌다.
다음에 플러그쪽을 설명한다.
절연보디(13)가 플러그 실장면(400)과 접하는 바닥면으로부터 수직으로 보디 중심부(114)가 형성되고, 보디 중심부(114)로부터 양바깥쪽으로 벽(115a, 115b)(여기에서도 보디 중심부(114)를 중심으로서 대향하는 위치에 있는 동일한 구성 b에 대해서는, 특별히 필요가 없는 한 생략함)이 비쭉 나와서 플러그 접촉자수납부(14)(도 1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플러그 접촉자수납부(14)는, 벽(115a)에 의해서 형성된다. 벽(115a, 115b) 및 보디 중심부(114)의 크기는, 각각의 폭을 합친 길이가, 삽입용 凹부(2)의 폭보다 약간 짧게 되도록 설정된다. 벽(115a)이 보디 중심부(114)로부터 연장되는 부분인 벽(115a)의 근원부분에, 플러그 접촉자(15)를 절연보디(13)에 삽입할 때의 가이드로 되는 홈이 형성된 플러그 접촉자 가이드부(116a)가 형성되어 있다.
즉, 절연보디(13)는 보디 중심부(114)를 중심으로 해서, 양쪽으로 벽(115a, 115b)이 비쭉 나온 등골과 같은 형상을 하고 있다.
플러그 접촉자(15)의 일단부를 형성하는 플러그 결선부(15α)는, 플러그 실장면(400)과 동일면 내에서 절연보디(13)의 바깥쪽으로부터 절연보디 중심부(130)까지 연장된 뒤, 수직방향으로 우뚝 나와 연장되어, 절연보디(13)의 천정판의 직전의 위치에서 되접어 꺾이고, 되접어 꺾인 플러그 접촉자(15)의 다른 쪽의 단부는 "く"자형상(도 11에서는“く"를 역모양으로 한 형태)으로 형성되어 플러그 접촉부(15β)로 된다. "く"자의 산의 부분은 보디 중심부(114)와 반대방향인 바깥쪽을 향하고 있다.
리셉터클의 삽입용 凹부(2)의 단변방향의 길이를 결정하고 있는 벽(112a, 112b)에 플러그 접촉자수납부(14)를 형성하는 벽(115a, 115b)이 안내되는 형태로, 삽입용 凹부(2)에 플러그의 절연보디(13)가 삽입된다. 절연보디(13)가 삽입되면, 플러그 접촉자(15)의 “く"자형상으로 형성된 접촉부(15β)의 “く"형상의 선단부분이, 원호형상으로 형성된 리셉터클 접촉자(4)의 접촉부(4γ)를 타고 넘어서 접촉자끼리의 접촉이 이루어진다. 이때, 리셉터클 접촉자(4) 및 플러그 접촉자(15)는, 삽입용 凹부(2)의 단변방향의 탄성력을 지니므로 그 방향에 있어서 서로 가지는 탄성력이 맞버팀하는 위치에 안정된다. 이와 같이 각각의 리셉터클 접촉자 및 플러그 접촉자가 탄성력을 지니고 접촉하기 때문에, 양호한 접속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해서 리셉터클 실장면(300) 위의 신호와 플러그 실장면(400) 위의 신호와의 도통을 얻을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상술한 멀티 커넥터부의 접점은, 특성임피던스가 고려되어 있지 않은 전송라인이다. 멀티 커넥터부도 특성임피던스를 맞추고자 하면, 배경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커넥터 전체가 대형화되어 버리는 과제가 있었다. 그래서, 특성임피던스를 정합시킬 정도의 필요는 없지만, 멀티 커넥터부를 전자 차폐하고 싶다고 하는 요구도 있다. 그 요구에 응답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 12에 표시하고, 본 발명을 추가로 설명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부분은, 참조부호를 동일로 해서 설명을 반복하지 않는다. 도 12에 의해서 보다 구조가 명확하게 되는 부분에 대하여 설명을 추가한다.
〔제2 실시예의 리셉터클의 구성〕
도 12(a)에 제2 실시예의 리셉터클을 표시한다. 삽입용 凹부(2)의 긴쪽방향에 대향하는 양단부에 고정판(150, 151)이 배치되어 있다. 고정판(150)은, 접촉자수납부(3)보다도 절연하우징(1)이 실장되는 실장면(3O0)쪽으로 낮은 면의 리셉터클 단부(11)을 피복하고 있다. 삽입용 凹부(2)의 긴쪽방향에 대향하는 위치의 리셉터클 단부(11)와 실장면(300)으로부터의 높이가 동일한 리셉터클 단부(152)를 고정판(151)이 피복하고 있다.
고정판(150)의 절연하우징(1)의 긴쪽방향을 따르는 면의 대략 절반의 폭이 실장면(300)방향으로 절곡되어, 실장면(300)까지 연장되어 있다. 실장면(300)까지 연장된 고정판(150, 151)은, 리셉터클 단부(11, 152)의 실장면(300)으로부터의 높이의 약 절반의 높이로 절연하우징(1)의 양단부방향으로 연장되어 걸림부(153, 154, 155, 156)를 형성한다.
고정판(150)의 삽입용 凹부(2)와 반대쪽의 변의 절연하우징(1)의 긴쪽방향을 따르는 모서리부를 제외한 부분이 실장면(300)까지 절곡 연장되고, 변의 중앙분에 고정판(150)을 실장면(300)의 접지패턴과 납땜하는 고정다리(157)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판(151)의 접촉자수납부(3)의 반대쪽 중앙에는, 리셉터클 단부(152)보다 실장면(300)쪽으로 낮고 절연하우징(1)의 긴쪽방향을 따르는 대향방향의 폭이 좁은 동축 커넥터 형성부(5)가 형성되어 있다. 동축 커넥터 형성부(5)를 중심으로 고정판(151) 삽입용 凹부(2)와 반대쪽의 변의 절연하우징(1)의 긴쪽방향을 따르는 모서리부를 제외한 부분이 실장면(300)까지 절곡 연장되어, 고정다리(158, 159)가 형성되어 있다.
각 걸림부(153, 154, 155, 156)의 접촉자수납부(3)쪽은, 리셉터클 접촉자(4)의 바로 위에서 절연하우징(1)의 천정판(실장면(300)의 반대쪽)을 넘는 높이로 다른 쪽의 고정판까지 연장되어 쉴드판(157, 158)을 형성한다.
쉴드판(157, 158)에 의해서, 삽입용 凹부(2)의 긴쪽방향에 대향하는 양단부의 고정판(150, 151)은 일체로 형성되어 쉴드판 부착 고정판(200)을 구성하고 있다. 쉴드판 부착 고정판(200)은, 절연하우징(1)의 네 모퉁이에 형성된 걸림용 클로(160, 161, 162, 163)와 걸림부(153, 154, 155, 156)가 걸어맞춤함으로서 절연하우징(1)과 일체로 되어 있다.
〔제2 실시예의 플러그의 구성〕
도 12(b)에 제2 실시예의 플러그를 표시한다. 절연보디(13)의 긴쪽방향의 일단부에는, 제2 동축 커넥터 형성부(16)가 있으며 동축 플러그(24)가 형성되어 있다. 절연보디(13)의 반대쪽의 일단부에는 플러그 접촉자수납부(14)가 형성된 면보다도 플러그 실장면(400)쪽으로 낮고 넓은 폭으로 연장된 플러그 단부(25)가 절연보디(13)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플러그 단부(25)의 거의 중앙부분에는, 리셉터클의 걸어맞춤용 돌출부(12)와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 구멍(26)이 형성되고, 걸어맞춤 구멍(26)의 주위에는 끼워맞춤 시에 리셉터클의 고정판(130)과 접촉하는 플러그 고정판(170)이 배치되어 있다. 플러그 고정판(170)은 절연보디(13)의 긴쪽방향을 따르는 두 변에 형성된 凹부(171, 172)와 걸어맞춤해서 절연보디(13)와 일체로 고정된다. 플러그 고정판(170)의 플러그 접촉자(15)가 배치되는 방향과 반대쪽의 변에는, 플러그를 플러그 실장면(400)에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플러그 고정다리(173)가 형성되어 있다.
플러그 고정다리(173)의 절연보디(13)를 사이에 두고 반대쪽의 플러그 접촉자수납부(14)와 동축 플러그(24)와의 사이에 다른 한 쪽의 플러그 고정판(174)이 배치되어 있다. 플러그 고정판(174)은 절연보디(13)의 긴쪽방향을 따르는 두 변에 형성된 凹부(175, 176)와 걸어맞춤해서 절연보디(13)와 일체로 고정된다. 플러그 고정판(174)의 절연보디(13)의 긴쪽방향을 따르는 두 변에는, 플러그를 플러그 실장면(400)에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플러그 고정다리(177, 178)가 형성되어 있다.
〔제2 실시예의 리셉터클과 플러그의 끼워맞춤〕
도 12(c)는 이들 제2 실시예의 리셉터클과 플러그를 끼워맞춤한 사시도를 표 시한다. 도 12(c)에서는, 리셉터클과 플러그가 실장되는 각각 별체의 기판은 생략하고 있다. 도 1(c)는, 도 12(a)의 리셉터클, 즉 절연하우징(1)을 180˚ 시계반대방향으로 반전시켜서, 리셉터클의 걸어맞춤용 돌출부(12)를 플러그의 걸어맞춤 구멍(26)에 걸어맞춤시키고, 삽입용 凹부(2)에 절연보디(13)를 삽입 끼워맞춤시켜서, 동축 리셉터클(10)과 동축 플러그(24) 끼워맞춤시킨 도면이다. 지금까지 설명한 부분은, 참조부호를 동일로 하고 설명을 반복하지 않는다.
플러그 본체를 구성하는 절연보디(13)의 플러그 접촉자수납부(14)의 긴쪽방향 양단부에 플러그 고정판(174)과 플러그 고정판(170)이 배치되어, 끼워맞춤한 리셉터클쪽의 고정판(151)과 고정판(150)에 접촉하고 있다. 끼워맞춤한 리셉터클과 플러그의 긴쪽방향의 양쪽 면을, 리셉터클이 실장되는 기판의 실장면(300) 위의 위치에 있는 리셉터클 접촉자(4)의 바로 아래에서 플러그가 실장되는 기판의 실장면(400) 위의 위치에 있는 플러그 접촉자(15)의 바로 위의 높이까지 쉴드판(157, 158)이 피복되어 있다.
리셉터클쪽의 고정판(151)과 고정판(150)을 리셉터클이 실장되는 기판 위의 접지전극과 납땜해서 도통시킴으로서, 멀티 커넥터의 양쪽 면을 전자 차폐할 수 있다.
또, 플러그 고정판(170, 174)을 플러그가 실장되는 기판쪽의 접지전극과 납땜함으로서, 리셉터클이 실장되는 기판과 플러그가 실장되는 기판의 접지전위를 공통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제2 실시예에 의하면, 특성임피던스가 조정되고 또한 전자 차폐된 한개의 전송선로와, 전자 차폐된 멀티 커넥터를 한 조의 리셉터클과 플러그로 구성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동축 커넥터를 병렬 컨텍트부를 형성하는 직육면체형상 절연하우징 및 절연보디의 긴쪽방향의 일단부에 배치한 예를 이용하여 설명해 왔지만, 동축 커넥터를 양단부에 배치해도 된다.
또, 동축 리셉터클과 동축 플러그의 끼워맞춤력은, 가변 직경 어스링에 형성하는 슬릿의 수나 재료, 두께 등으로 조정 가능한 것을 설명했지만, 그 끼워맞춤력에 의해서는 동축 커넥터쪽에 형성되는 고정판을 삭제해도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멀티 커넥터를 구성하는 리셉터클쪽 절연하우징과 플러그쪽 보디의 각각과 일체로 동축 커넥터를 형성함으로서, 멀티 커넥터와 동축 커넥터와의 위치관계를 고정밀도로 만들 수 있다. 그 결과, 특성임피던스의 정합이 필요한 신호와 임피던스 정합의 필요는 없지만 다수 있는 신호를 한 쌍의 커넥터에 의해서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케이블을 없애고, 조립공정수도 삭감하여, 저비용화도 가능하게 한 동축 커넥터 일체형 기판접속용 커넥터가 실현될 수 있다.

Claims (12)

  1. 직육면체형상 절연하우징의 1면 중앙부에 그 긴쪽방향을 따른 상대 플러그삽입용 凹부가 형성되고,
    그 삽입용 凹부의 긴쪽방향을 따르는 대향면에 각각 정(定)피치로 접촉자수납부가 배열 형성되고, 각 접촉자수납부에 리셉터클 접촉자가 수납된 절연하우징의 일단부에 제 1의 동축 커넥터가 일체로 형성된 리셉터클과,
    상기 삽입용 凹부와 끼워맞춤하는 절연보디의 긴쪽방향의 양쪽에 플러그 접촉자수납부가 상기와 동일한 피치로 배열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 접촉자수납부에 플러그 접촉자가 수납된 절연보디의 일단부에 상기 제 1의 동축 커넥터와 끼워맞춤하는 제 2의 동축 커넥터가 일체로 형성된 플러그를 한 조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일체형 기판접속용 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직육면체형상 절연하우징과 상기 절연보디의 한쪽의 긴쪽방향의 일단부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고, 커넥터 결합방향과 수직인 평판형상의 제1 동축 커넥터 형성부와, 다른 쪽의 상기 일단부와 동일쪽의 일단부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커넥터 결합방향과 수직인 평판형상의 제2 동축 커넥터 형성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의 동축 커넥터는 상기 제1 동축 커넥터 형성분의 중앙부에 돌출해서 형성된 제 1의 중심도체와, 상기 제1 동축 커넥터 형성부에 장착되고, 그 제 1 의 중심도체를 중심으로서 링형상의 제1 어스링을 구비하고,
    상기 제 2의 동축 커넥터는, 상기 제 1의 동축 커넥터와 끼워맞춤방향에서 대향하는 상기 제2 동축 커넥터 형성부의 중앙부에 일체로 형성된 원통형상 장착부와, 상기 원통형상 장착부의 끼워맞춤방향 상부면 중앙에 상기 제 1의 중심도체가 삽입되는 원통부 구멍이 뚫리고, 상기 원통부 구멍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 2의 중심도체와, 상기 원통형상 장착부에 장착되는 링형상의 제2 어스링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일체형 기판접속용 커넥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동축 커넥터 형성부와 상기 제 2의 동축 커넥터 형성부는, 상기 직육면체형상 절연하우징 및 절연보디의 접촉자수납부가 형성되는 병렬 컨텍트부의 두께보다도 얇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일체형 기판접속용 커넥터.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중심도체와 상기 제1 어스링은, 상기 제1 동축 커넥터 형성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동축 커넥터 형성부에 원통형상 장착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원통형상 장착부의 외주면에 제2 어스링이 장착되고,
    상기 원통형상 장착부의 돌출쪽의 외주의 직경이 작아지고,
    상기 원통형상 장착부와 상기 제2 어스링과의 사이에 상기 제1 어스링이 삽입되고,
    상기 원통형상 장착부의 안쪽에 제 2의 중심도체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일체형 기판접속용 커넥터.
  5. 제 2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어스링에는 상기 원통형상 장착부의 축심과 평행인 슬릿이 상기 원통형상 장착부의 돌출단부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중심도체는 축과 직각방향으로 탄성 변위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일체형 기판접속용 커넥터.
  6. 제 2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의 상기 제1 어스링쪽의 직경방향의 폭이 반대방향의 폭보다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어스링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일체형 기판접속용 커넥터.
  7. 제 2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이 직경방향의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2 어스링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일체형 기판접속용 커넥터.
  8. 제 2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을 중심으로 원둘레 상부좌우방향 120˚의 각각의 위치에 제 2 및 제 3의 슬릿이 형성된 제2 어스링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일체형 기판접속용 커넥터.
  9. 제 2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부 구멍을 중심에 구비한 상기 리셉터클쪽 어스링의 내경과 거의 동일한 외경을 가지는 원통형상 장착부의 끼워맞춤방향 상부면이, 원통형상 장착부의 외경보다도 작은 직경으로부터 원통부 구멍에 걸쳐서 절구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상 장착부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일체형 기판접속용 커넥터.
  10. 제 2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동축 커넥터 형성부의 제 1의 중심도체 돌출쪽과 반대쪽의 면은, 제1 동축 커넥터 형성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절연하우징 또는 절연보디의 실장면과 동일면 위에 있으며,
    상기 제2 동축 커넥터 형성부의 원통형상 장착부 돌출쪽과 반대쪽의 면은, 제2 동축 커넥터 형성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절연하우징 또는 절연보디의 실장면과 동일 면 위에 있고,
    각각의 면이 기판에 대한 실장면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 넥터 일체형 기판접속용 커넥터.
  11.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직육면체형상 절연하우징의 상기 병렬 컨텍트부를 형성하는 양단부에 금속재료로 이루어지는 리셉터클 고정판과,
    그들 양고정판과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절연하우징의 긴쪽방향 양쪽 면과 대향하고, 적어도 이들의 양쪽 면을 피복하는 쉴드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일체형 기판접속용 커넥터.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어스링의 접지단자가 한쪽의 고정판을 겸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일체형 기판접속용 커넥터.
KR1020050131245A 2004-12-28 2005-12-28 동축 커넥터 일체형 기판접속용 커넥터 KR1006588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378855 2004-12-28
JP2004378855A JP4576226B2 (ja) 2004-12-28 2004-12-28 同軸コネクタ一体型基板接続用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6727A KR20060076727A (ko) 2006-07-04
KR100658884B1 true KR100658884B1 (ko) 2006-12-15

Family

ID=36121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1245A KR100658884B1 (ko) 2004-12-28 2005-12-28 동축 커넥터 일체형 기판접속용 커넥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198492B2 (ko)
EP (1) EP1677388B1 (ko)
JP (1) JP4576226B2 (ko)
KR (1) KR100658884B1 (ko)
CN (1) CN100479269C (ko)
AT (1) ATE386349T1 (ko)
DE (1) DE602005004750T2 (ko)
TW (1) TWI28732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874807Y (zh) * 2005-10-31 2007-02-28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线缆连接器组件
US20070194089A1 (en) * 2006-02-22 2007-08-23 Ralph Ebbutt Facility and method for high-performance circuit board connection
US7808341B2 (en) * 2007-02-21 2010-10-05 Kyocera America, Inc. Broadband RF connector interconnect for multilayer electronic packages
TWM317693U (en) * 2007-04-13 2007-08-21 Advanced Connectek Inc Electrical connector
KR100776582B1 (ko) * 2007-05-11 2007-11-16 성진씨앤티(주) 전기 접속용 커넥터
TWM327109U (en) * 2007-09-07 2008-02-11 Insert Entpr Co Ltd Microwave connector socket used in RF communication
WO2009061022A1 (en) * 2007-11-06 2009-05-14 Gigalane Co. Ltd. Connector capable of coupling to printed circuit board
JP5094343B2 (ja) * 2007-11-20 2012-12-12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該コネクタの接続部の検査方法
JP5131455B2 (ja) * 2007-12-05 2013-01-30 第一精工株式会社 同軸コネクタ装置
CN102246364B (zh) * 2008-12-16 2014-01-29 株式会社藤仓 线缆连接器以及天线元件
WO2010087202A1 (ja) * 2009-01-30 2010-08-05 株式会社フジクラ Rf用プラグコネクタ、rf用リセプタクルコネクタ、及び、rf用コネクタ
KR101081747B1 (ko) * 2009-03-16 2011-11-14 (주)기가레인 기판 실장형 초소형 커넥터
JP4325885B1 (ja) 2009-03-27 2009-09-02 株式会社アイペックス 同軸コネクタ装置
WO2011013747A1 (ja) * 2009-07-31 2011-02-03 株式会社フジクラ 同軸コネクタ
JP5590991B2 (ja) * 2010-06-30 2014-09-17 京セラコネクタプロダクツ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12230820A (ja) * 2011-04-26 2012-11-22 Daiichi Seiko Co Ltd 同軸型電気コネクタ
JP5472272B2 (ja) * 2011-12-05 2014-04-1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同軸コネクタプラグ及びその製造方法
CN104126255B (zh) * 2012-04-02 2017-06-09 第一电子工业株式会社 插塞式连接器及由该插塞式连接器构成的同轴连接器
JP5727544B2 (ja) * 2012-04-25 2015-06-03 昆山嘉華電子有限公司 同軸コネクタ装置
US8888506B2 (en) * 2013-01-29 2014-11-18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Connector
TWM497353U (zh) * 2014-08-20 2015-03-11 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Ltd 電連接器及其組合
JP6537890B2 (ja) * 2014-09-26 2019-07-0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9502834B2 (en) * 2015-01-28 2016-11-22 Dai-Ichi Seiko Co., Ltd. Coaxial-type electric connector
JP6520179B2 (ja) * 2015-02-13 2019-05-29 日本電産リード株式会社 中継コネクタ、及び基板検査装置
KR101587223B1 (ko) 2015-06-22 2016-01-20 주식회사 다이나트론 Rf 단자를 포함한 pcb 커넥터
KR20170036529A (ko) * 2015-09-24 2017-04-03 몰렉스 엘엘씨 기판 대 기판 커넥터 및 rf 커넥터 일체형 커넥터 조립체
KR102609194B1 (ko) * 2016-03-10 2023-12-05 삼성전자 주식회사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TWI648922B (zh) * 2016-10-18 2019-01-21 日商村田製作所股份有限公司 Coaxial connector
JP6325706B1 (ja) * 2017-02-23 2018-05-1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基板実装用コネクタ
JP2018170177A (ja) * 2017-03-30 2018-11-0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同軸コネクタ
WO2020039666A1 (ja) 2018-08-24 2020-02-2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気コネクタセットおよび該電気コネクタセットの実装された回路基板
JP6638873B1 (ja) * 2018-08-24 2020-01-29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気コネクタセットおよび該電気コネクタセットの実装された回路基板
JP7273525B2 (ja) 2019-01-29 2023-05-15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CN113924700B (zh) * 2019-08-01 2024-04-12 株式会社村田制作所 阴型多极连接器以及具备该阴型多极连接器的多极连接器组
CN113054470A (zh) * 2019-12-10 2021-06-29 电连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公座、母座及板对板射频连接器
US20230020293A1 (en) * 2019-12-19 2023-01-19 Qorvo Us, Inc. Coaxial connector
KR102494901B1 (ko) * 2020-05-13 2023-02-06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커넥터 조립체 및 커넥터
JP7395437B2 (ja) 2020-07-14 2023-12-1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組立体
JP7400647B2 (ja) * 2020-07-10 2023-12-19 I-Pex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KR20230083334A (ko) * 2020-10-16 2023-06-09 아이펙스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커넥터 장치 및 커넥터의 제조 방법
DE102021211805B3 (de) * 2021-10-19 2022-09-29 Robert Karst Gmbh & Co. Kg. Steckverbinder mit Außenleiterteil mit nach innen versetzten Plateau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18603A1 (en) 1995-11-16 1997-05-22 The Whitaker Corporation Surface mountable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2001160465A (ja) 1999-12-02 2001-06-12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プラグコネクタ、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及び同軸コネクタ
JP2003151689A (ja) 2001-11-15 2003-05-23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嵌合検出端子付き同軸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309155C2 (de) * 1993-03-22 1995-06-01 Itt Cannon Gmbh Steckverbinder, insbesondere für ein Mobiltelefon
JP3370857B2 (ja) * 1996-07-29 2003-01-27 ケル株式会社 コネクタ
DE29915180U1 (de) 1999-08-30 2001-01-18 Itt Mfg Enterprises Inc Kontaktverbindermodul für Mobiltelefongeräte
TW532587U (en) * 2002-03-13 2003-05-1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couple
JP3761501B2 (ja) * 2002-07-31 2006-03-29 本多通信工業株式会社 同軸コネクタ及びそれが実装されるグランドパッド
JP3834309B2 (ja) * 2002-12-26 2006-10-18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同軸電気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18603A1 (en) 1995-11-16 1997-05-22 The Whitaker Corporation Surface mountable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2001160465A (ja) 1999-12-02 2001-06-12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プラグコネクタ、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及び同軸コネクタ
JP2003151689A (ja) 2001-11-15 2003-05-23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嵌合検出端子付き同軸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287324B (en) 2007-09-21
JP2006185773A (ja) 2006-07-13
CN1797868A (zh) 2006-07-05
ATE386349T1 (de) 2008-03-15
JP4576226B2 (ja) 2010-11-04
US7198492B2 (en) 2007-04-03
US20060141811A1 (en) 2006-06-29
DE602005004750T2 (de) 2009-03-05
TW200638616A (en) 2006-11-01
KR20060076727A (ko) 2006-07-04
EP1677388B1 (en) 2008-02-13
CN100479269C (zh) 2009-04-15
EP1677388A1 (en) 2006-07-05
DE602005004750D1 (de) 2008-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8884B1 (ko) 동축 커넥터 일체형 기판접속용 커넥터
KR100756802B1 (ko) 기판 대 기판 접속용 동축 커넥터
US8298007B2 (en) RF plug connector, RF receptacle connector, and RF connector
US7121883B1 (en) Coax connector having steering insulator
US4768962A (en) Feed-through connector for RF signals
US20080026612A1 (en) Multiposition RF connector
JP6588403B2 (ja) 同軸コネクタ
US5145382A (en) Molded plastic surface-mountable coaxial connector
US9136655B2 (en) Cable connection device
JP2006049276A (ja) スイッチ付き同軸コネクタ
JP2000260538A (ja) アングル型同軸コネクタモジュール
JP2001043941A (ja) 基板に設置可能な同軸コネクタ
US7081016B2 (en) Multipole high-frequency coaxial connector
US6462637B1 (en) Electrical connector
US7014480B1 (en) Grounding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nector assemblies
US6224390B1 (en) Coaxial connector
CN111029864B (zh) 一种射频同轴连接器及绝缘支撑
US9520676B1 (en) Communication connector
JPH10233266A (ja) 同軸コネクタ
EP2779326A2 (en) Shunt for electrical connector
EP1388189B1 (en) Apparatus for connecting transmissions paths
WO2019217521A1 (en) Coaxial connector system
JP2003133015A (ja) 同軸コネクタ
US20240154288A1 (en) Angled coaxial cable adapter structurally configured to provide an enhanced radio frequency (rf) signal
US20230092528A1 (en) Ultra-low profile coaxial cable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