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7223B1 - Rf 단자를 포함한 pcb 커넥터 - Google Patents

Rf 단자를 포함한 pcb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7223B1
KR101587223B1 KR1020150092932A KR20150092932A KR101587223B1 KR 101587223 B1 KR101587223 B1 KR 101587223B1 KR 1020150092932 A KR1020150092932 A KR 1020150092932A KR 20150092932 A KR20150092932 A KR 20150092932A KR 101587223 B1 KR101587223 B1 KR 1015872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unit
grounding
ground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2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3823A (ko
Inventor
방국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이나트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이나트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이나트론
Publication of KR201500838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38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7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72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01R13/6461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 H01R13/6464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by adding capacitive elements
    • H01R13/6466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by adding capacitive elements on substrate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PCB 커넥터는 베이스부, 단자유닛, RF 단자유닛, 단자 접지유닛, 및 RF 접지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부는 서로 마주하는 제1 및 제2 측부들을 포함한다. 상기 단자유닛은 상기 베이스부의 제1 측부에 실장되는 제1 단자부, 상기 베이스부의 제2 측부에 실장되는 제2 단자부, 및 상기 제1 및 제2 단자부들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RF 단자유닛은 상기 베이스부의 제1 측부에 실장되는 제1 RF 단자, 상기 베이스부의 제2 측부에 실장되는 제2 RF 단자, 및 상기 제1 및 제2 RF 단자들을 연결하는 RF 단자 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단자 접지유닛은 상기 베이스부를 관통하는 격벽(wall) 형상을 가지고, 상기 RF 단자유닛의 그라운드(ground)로 사용되며, 상기 단자유닛과 상기 RF 단자유닛의 사이를 쉴드하여 차폐시킨다. 상기 RF 접지유닛은 상기 RF 단자유닛을 기준으로 상기 단자 접지유닛의 반대 측에 위치하며, 상기 베이스부를 관통하는 격벽 형상을 가지고, 상기 RF 단자유닛의 그라운드(ground)로 사용되며, 상기 RF 단자유닛과 외부 사이를 쉴드(shield)하여 차폐시킨다.

Description

RF 단자를 포함한 PCB 커넥터{PCB CONNECTOR HAVING RF TERMINAL}
본 발명은 PCB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단말기에 사용되어 RF 신호의 동시 연결이 가능하며 노이즈 차단이 효과적인 RF 단자를 포함한 PCB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단말기에 포함되는 PCB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에 포함되는 PCB는 배터리의 위치 및 최적의 디자인을 고려하여 메인 PCB(11)와 서브 PCB(12)로 구분되며, 상기 메인 PCB(11) 및 서브 PCB(12)의 연결을 위해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가 사용된다. 이 경우, 상기 FPCB에는 FPCB 커넥터가 연결되어, 상기 메인 PCB(11)와 상기 서브 PCB(12) 사이를 연결시킨다.
한편,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단말기의 경우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다양한 신호가 전송되어야 하므로, FPCB 외에 RF 케이블(15)과 같은 별도의 연결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를 위해 메인 PCB(11) 및 서브 PCB(12)에는 각각 RF 단자들(16, 17)이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RF 케이블(15)이 RF 단자들(16, 17)을 통해 PCB와는 별도로 연결되어야 하므로, 설계 및 내부 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으며, 특히, RF 케이블(15)을 RF 단자들(16, 17)에 연결하는 작업은 수작업에 의해 진행되어야 하므로 생산비의 상승 및 자동화의 저해 요인에 해당된다. 나아가, RF 케이블(15)을 RF 단자들(16, 17)에 연결하는 경우, 접촉 불량 등의 문제가 자주 발생하여 내구성 및 품질 저하의 요인에 해당된다.
이에 따라,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5-0007494호와 같이 접속이 용이한 RF 커넥터를 가지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한 기술이 개발되고는 있으나, 현재까지 RF 케이블과 RF 단자를 별도로 사용하여야 하는 것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 방법으로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노이즈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일체화된 커넥터의 제작으로 자동화가 가능하여 생산성이 향상되며 내구성 및 품질의 향상이 가능한 RF 단자를 포함한 PCB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PCB 커넥터는 베이스부, 단자유닛, RF 단자유닛, 단자 접지유닛, 및 RF 접지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부는 서로 마주하는 제1 및 제2 측부들을 포함한다. 상기 단자유닛은 상기 베이스부의 제1 측부에 실장되는 제1 단자부, 상기 베이스부의 제2 측부에 실장되는 제2 단자부, 및 상기 제1 및 제2 단자부들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RF 단자유닛은 상기 베이스부의 제1 측부에 실장되는 제1 RF 단자, 상기 베이스부의 제2 측부에 실장되는 제2 RF 단자, 및 상기 제1 및 제2 RF 단자들을 연결하는 RF 단자 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단자 접지유닛은 상기 베이스부를 관통하는 격벽(wall) 형상을 가지고, 상기 RF 단자유닛의 그라운드(ground)로 사용되며, 상기 단자유닛과 상기 RF 단자유닛의 사이를 쉴드하여 차폐시킨다. 상기 RF 접지유닛은 상기 RF 단자유닛을 기준으로 상기 단자 접지유닛의 반대 측에 위치하며, 상기 베이스부를 관통하는 격벽 형상을 가지고, 상기 RF 단자유닛의 그라운드(ground)로 사용되며, 상기 RF 단자유닛과 외부 사이를 쉴드(shield)하여 차폐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단자 접지유닛은, 상기 제1 측부를 관통하는 격벽 형상을 가지는 제1 단자 접지부, 상기 제2 측부를 관통하는 격벽 형상을 가지는 제2 단자 접지부, 및 양 끝단이 각각 상기 제1 및 제2 단자 접지부들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베이스부를 관통하는 격벽 형상을 가지는 단자접지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단자 접지부들 각각의 표면에는 상기 단자접지 연결부가 접촉된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들이 돌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단자 접지유닛과 상기 RF 단자유닛 사이는 제1 절연부, 및 상기 RF 단자유닛과 상기 RF 접지유닛 사이는 제2 절연부로 각각 절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절연부들을 포함하는 절연유닛은 유전체(dielectric material)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절연부의 두께 및 상기 제2 절연부의 두께의 비율을 변화시켜 상기 RF 단자유닛의 임피던스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RF 접지유닛은, 상기 제1 측부를 관통하는 격벽 형상을 가지는 제1 RF 접지부, 상기 제2 측부를 관통하는 격벽 형상을 가지는 제2 RF 접지부, 및 양 끝단이 각각 상기 제1 및 제2 RF 접지부들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베이스부를 관통하는 격벽 형상을 가지는 RF 접지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RF 접지부들 각각의 표면에는 상기 RF 접지 연결부가 접촉된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들이 돌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단자 접지유닛 및 상기 RF 접지유닛은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하나의 PCB 커넥터에 RF 커넥팅이 가능하도록 RF 단자를 동시에 형성함으로써, 종래에 RF 커넥팅을 위한 별도의 RF 케이블 및 RF 전용 단자를 생략할 수 있어, 특히 수작업으로 진행되어왔던 RF 케이블의 연결작업을 생략할 수 있어, 인건비가 감소하며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특히, 종래의 PCB 커넥터와 RF 커넥터의 경우, 서로 주파수 대역이 다른 신호를 전달하므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신호가 간섭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RF 단자의 양 측으로 접지단자를 형성하고, RF 단자와 인접한 접지단자 사이에 절연부를 형성함으로써, RF 단자를 통한 신호 전달시 전파 차폐의 효과를 향상시킨다.
나아가, 접지 단자에 해당되는 단자 접지유닛 및 RF 접지유닛을 격벽으로 형성함으로써, 인접 단자유닛의 단자부들과의 전파 차폐 효과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자 접지유닛은 양 끝단에 격벽 형상으로 위치하는 제1 및 제2 단자 접지부들과 상기 단자 접지부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자접지 연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단자 접지부들이 돌출부를 포함하도록 엠보싱 형상의 격벽 형상을 가지므로 상기 단자접지 연결부를 통한 전기적 접속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는 RF 접지유닛도 동일한 구조로 격벽 형상을 형성하여 전기적 접속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제1 절연부의 두께 및 제2 절연부의 두께의 비율을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RF 단자유닛의 임피던스를 제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RF 단자유닛의 임피던스 매칭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단말기에 포함되는 PCB 구조를 나타낸 이미지이다.
도 2는 도 1의 PCB 커넥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RF 단자를 포함한 PCB 커넥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 부분을 상세히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a는 도 4의 단자 접지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b는 도 4의 RF 접지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단말기에 포함되는 PCB 구조를 나타낸 이미지이다. 도 2는 도 1의 PCB 커넥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기술에 의한 PCB 구조(10)에서 메인 PCB(11)와 서브 PCB(12)를 연결하기 위한 PCB 커넥터(20)는(일반적으로는 FPCB 커넥터가 많이 사용되나 이하에서는 PCB 커넥터로 통칭한다) 베이스부(21) 상에 양 측으로 단자부(22)가 실장되는 구조를 가진다.
그리하여, 상기 베이스부(21)의 일측 단자부(22)는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를 통해 서브 PCB(12)와 연결되며, 다른측 단자부(22)는 메인 PCB(11)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종래의 PCB 커넥터(20)에 실장되는 단자부(2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단자들이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실장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RF 단자를 포함한 PCB 커넥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 부분을 상세히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a는 도 4의 단자 접지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b는 도 4의 RF 접지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PCB 커넥터(100)는 서로 마주하는 제1 및 제2 측부들(113, 114)을 포함하는 베이스부(110), 단자유닛(150), 단자 접지유닛(200), RF 단자유닛(300), RF 접지유닛(400) 및 절연유닛(500)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부(110)는 상기 단자부들이 실장되는 몸체를 형성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는 사각 형상을 가지며, 이에 따라 서로 마주하는 제1 및 제2 측부들(113, 114)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측부들(113, 114)과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 끝단부들(111, 112)을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베이스부(1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측부들(113, 114)로부터 중앙으로 갈수록 비스듬하게 형성되어, 단면이 사다리꼴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단면은 직사각형 등의 형태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단면이 사다리꼴인 형상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단자유닛(150)은 제1 단자부(120), 제2 단자부(130) 및 연결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단자부(120)는 상기 베이스부(110)의 제1 측부(113) 상에 실장되며, 상기 제1 단자부(1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단자들이 제1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실장된다.
마찬가지로, 제2 단자부(130)는 상기 베이스부(110)의 제2 측부(114) 상에 실장되며, 상기 제2 단자부(120)도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단자들이 제1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실장된다.
상기 연결부(140)는 상기 베이스부(110) 상에 실장되어 상기 제1 및 제2 단자부들(120, 130)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이 경우, 상기 연결부(140)는 자세히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1 및 제2 단자부들(120, 130)을 연결하는 핀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및 제2 단자부들(120, 130)은 일대일 대응을 하도록 한 쌍으로 실장되며, 상기 연결부(140)를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필요한 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제1 및 제2 단자부들(120, 130) 및 상기 연결부(140)는 종래기술에 의한 PCB 커넥터에 실장되는 단자부들 및 연결구조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단자 접지유닛(200)은 제1 단자접지부(210), 제2 단자접지부(220) 및 단자접지 연결부(23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단자접지부(210)는 후술되는 상기 제1 RF 단자(310)의 접지(ground)에 해당되며, 상기 제2 단자접지부(220)는 후술되는 상기 제2 RF 단자(320)의 접지(ground)에 해당된다.
상기 제1 단자접지부(210)는 상기 베이스부(110)의 제1 측부(113) 측에 위치하여 상기 베이스부(110)를 관통하도록 격벽(wall)을 형성하며 수직으로 위치하며, 상기 제2 단자접지부(220)는 상기 베이스부(110)의 제2 측부(114) 측에 위치하며 상기 베이스부(110)를 관통하도록 격벽(wall)을 형성하며 수직으로 위치한다.
또한, 상기 단자접지 연결부(230)는 일 단은 상기 제1 단자접지부(210)와 중첩되며 접속하고, 타 단은 상기 제2 단자접지부(220)와 중첩되며 접속하며, 상기 베이스부(110)의 중앙을 관통하도록 수직으로 격벽을 형성하며 위치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5a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단자접지부(210)는 상기 제1 측부(113)를 통해 외부로 인출되는 제1 단자접지 끝단부(211), 상기 베이스부(110)의 경사진 빗면 형상을 따라 빗면을 형성하며 상기 베이스부(110)를 관통하는 격벽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단자접지 경사부(212), 및 상기 베이스부(110)의 중앙을 관통하며 격벽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단자접지 접속부(213)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베이스부(110)의 단면이 사다리꼴 대신 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경우라면, 상기 제1 단자접지부(210)는 전체적으로 상기 베이스부(110)의 단면과 동일한 사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단자접지부(210)에는 중앙을 따라 제1 단자접지 돌출부(214)가 형성된다. 상기 제1 단자접지 돌출부(214)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단자접지 끝단부(211)의 연장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제1 단자접지부(210)의 중앙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복수의 제1 단자접지 돌출부들(214)이 상기 제1 단자접지부(210)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단자접지 돌출부들(214)은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된 형태가 아닌, 엠보싱(embossing) 형상으로 돌출되며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2 단자접지부(220)는 상기 제1 단자접지부(210)와 대칭으로 형성되며, 대칭인 것을 제외하면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제2 단자접지부(220)는 상기 제2 측부(114)를 통해 외부로 인출되는 제2 단자접지 끝단부(221), 상기 베이스부(110)의 경사진 빗면 형상을 따라 빗면을 형성하며 상기 베이스부(110)를 관통하는 격벽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단자접지 경사부(222), 및 상기 베이스부(110)의 중앙을 관통하며 격벽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단자접지 접속부(223)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베이스부(110)의 단면이 사다리꼴 대신 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경우라면, 상기 제2 단자접지부(220)는 전체적으로 상기 베이스부(110)의 단면과 동일한 사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단자접지부(220)에는 중앙을 따라 제2 단자접지 돌출부(224)가 형성된다. 상기 제2 단자접지 돌출부(224)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단자접지 끝단부(221)의 연장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제2 단자접지부(220)의 중앙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복수의 제2 단자접지 돌출부들(224)이 상기 제2 단자접지부(220)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단자접지 돌출부들(224)은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된 형태가 아닌, 엠보싱(embossing) 형상으로 돌출되며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단자접지연결부(230)는 상기 제1 및 제2 단자접지부들(210, 220)의 일 측에 상기 제1 및 제2 단자접지부들(210, 220)과 접촉되며 상기 베이스부(110)를 관통하도록 수직으로 격벽을 형성하도록 위치한다.
이 경우, 상기 단자접지연결부(230)는 상기 베이스부(110)의 중앙을 관통하도록 위치하므로 사각형의 블록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단자접지 돌출부들(214, 224)과 접촉하여 상기 제1 및 제2 단자접지부들(210, 220)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킨다.
즉, 상기 제1 및 제2 단자접지 돌출부들(214, 224)이 돌출되도록 형성되므로 상기 단자접지 연결부(230)와 상기 제1 및 제2 단자접지부들(210, 220) 사이의 접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단자접지부(210), 제2 단자접지부(220) 및 상기 단자접지 연결부(230)는 전체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 측부들(113, 114) 측으로 제1 및 제2 단자접지 끝단부들(211, 221)이 각각 돌출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베이스부(110)의 단면과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블록들이 서로 중첩되어 격벽을 형성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단자 접지유닛(200)이 상기 베이스부(110)를 수직으로 관통하며 격벽을 형성하도록 위치하므로, 상기 단자유닛(150)과의 쉴드(shield) 및 차폐를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단자 접지유닛(200)은 전기 전도성이 높은 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RF 단자유닛(300)은 제1 RF 단자(310), 제2 RF 단자(320) 및 RF 단자 연결부(33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RF 단자(310)는 상기 제1 측부(113)에 실장되며, 상기 단자 접지유닛(200) 및 상기 RF 접지유닛(400)의 사이에 위치한다. 이 경우, 상기 제1 RF 단자(310)와 상기 단자접지유닛(200) 또는 상기 RF 접지유닛(400) 사이의 이격거리는 상기 제1 단자부들(120) 각각의 이격거리보다 클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RF 단자(310)는 도면에서는 하나의 단자가 형성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복수개가 형성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 RF 단자(320)는 상기 제2 측부(114)에 실장되며, 상기 단자 접지유닛(200) 및 상기 RF 접지유닛(400)의 사이에 위치한다. 이 경우, 상기 제2 RF 단자(320)와 상기 단자접지유닛(200) 또는 상기 RF 접지유닛(400) 사이의 이격거리는 상기 제2 단자부들(130) 각각의 이격거리보다 클 수 있다.
즉, 상기 제1 및 제2 RF 단자들(310, 320)도 서로 일대일 대응을 하도록 한 쌍으로 실장되며, 전기적으로 상기 RF 단자 연결부(330)를 통해 연결되어 신호를 전달한다.
상기 RF 단자 연결부(330)는 자세히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연결부(140)와 같이 핀이나 소켓 등이 상기 베이스부(110) 상에 실장되어 상기 제1 및 제2 RF 단자들(310, 320)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이 경우, 상기 제1 및 제2 RF 단자들(310, 320)을 통해서는, 종래 PCB 커넥터와는 구별되는 RF 케이블을 통해 전달되던 RF 신호(radio frequency signal)가 전달된다.
상기 RF 접지유닛(400)은 제1 RF 접지부(410), 제2 RF 접지부(420) 및 RF접지 연결부(43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RF 접지부(410)는 상기 제1 RF 단자(310)의 접지(ground)에 해당되며, 상기 제2 RF 접지부(420)는 상기 제2 RF 단자(320)의 접지(ground)에 해당된다.
즉, 앞서 설명한 바를 동시에 참조하면, 상기 제1 RF 단자(310)는 상기 제1 RF 접지부(410) 및 상기 제1 단자 접지부(210)에 의해 그라운드되며, 상기 제2 RF 단자(320)는 상기 제2 RF 접지부(420) 및 상기 제2 단자 접지부(220)에 의해 그라운드 된다.
상기 제1 RF접지부(410)는 상기 베이스부(110)의 제1 측부(113) 측에 위치하여 상기 베이스부(110)를 관통하도록 격벽(wall)을 형성하며 수직으로 위치하며, 상기 제2 RF접지부(420)는 상기 베이스부(110)의 제2 측부(114) 측에 위치하며 상기 베이스부(110)를 관통하도록 격벽(wall)을 형성하며 수직으로 위치한다.
또한, 상기 RF접지 연결부(430)는 일 단은 상기 제1 RF접지부(410)와 중첩되며 접속하고, 타 단은 상기 제2 RF접지부(420)와 중첩되며 접속하며, 상기 베이스부(110)의 중앙을 관통하도록 수직으로 격벽을 형성하며 위치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제1 RF접지부(410)는 상기 제1 측부(113)를 통해 외부로 인출되는 제1 RF접지 끝단부(411), 상기 베이스부(110)의 경사진 빗면 형상을 따라 빗면을 형성하며 상기 베이스부(110)를 관통하는 격벽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RF접지 경사부(412), 및 상기 베이스부(110)의 중앙을 관통하며 격벽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RF접지 접속부(413)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베이스부(110)의 단면이 사다리꼴 대신 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경우라면, 상기 제1 RF접지부(410)는 전체적으로 상기 베이스부(110)의 단면과 동일한 사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RF접지부(410)에는 중앙을 따라 제1 RF접지 돌출부(414)가 형성된다. 상기 제1 RF접지 돌출부(414)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RF접지 끝단부(411)의 연장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제1 RF접지부(410)의 중앙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복수의 제1 RF접지 돌출부들(414)이 상기 제1 RF접지부(410)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RF접지 돌출부들(414)은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된 형태가 아닌, 엠보싱(embossing) 형상으로 돌출되며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2 RF접지부(420)는 상기 제1 RF접지부(410)와 대칭으로 형성되며, 대칭인 것을 제외하면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제2 RF접지부(420)는 상기 제2 측부(114)를 통해 외부로 인출되는 제2 RF접지 끝단부(421), 상기 베이스부(110)의 경사진 빗면 형상을 따라 빗면을 형성하며 상기 베이스부(110)를 관통하는 격벽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RF접지 경사부(422), 및 상기 베이스부(110)의 중앙을 관통하며 격벽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RF접지 접속부(423)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베이스부(110)의 단면이 사다리꼴 대신 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경우라면, 상기 제2 RF접지부(420)는 전체적으로 상기 베이스부(110)의 단면과 동일한 사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RF접지부(420)에는 중앙을 따라 제2 RF접지 돌출부(424)가 형성된다. 상기 제2 RF접지 돌출부(424)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RF접지 끝단부(421)의 연장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제2 RF접지부(420)의 중앙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복수의 제2 RF접지 돌출부들(424)이 상기 제2 RF접지부(420)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RF접지 돌출부들(424)은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된 형태가 아닌, 엠보싱(embossing) 형상으로 돌출되며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RF접지연결부(430)는 상기 제1 및 제2 RF접지부들(410, 420)의 일 측에 상기 제1 및 제2 RF접지부들(410, 420)과 접촉되며 상기 베이스부(110)를 관통하도록 수직으로 격벽을 형성하도록 위치한다.
이 경우, 상기 RF접지연결부(430)는 상기 베이스부(110)의 중앙을 관통하도록 위치하므로 사각형의 블록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RF접지 돌출부들(414, 424)과 접촉하여 상기 제1 및 제2 RF접지부들(410, 420)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킨다.
즉, 상기 제1 및 제2 RF접지 돌출부들(414, 424)이 돌출되도록 형성되므로 상기 RF접지 연결부(430)와 상기 제1 및 제2 RF접지부들(410, 420) 사이의 접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RF접지부(410), 제2 RF접지부(420) 및 상기 RF접지 연결부(430)는 전체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 측부들(113, 114) 측으로 제1 및 제2 RF접지 끝단부들(411, 421)이 각각 돌출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베이스부(110)의 단면과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블록들이 서로 중첩되어 격벽을 형성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RF 접지유닛(400)이 상기 베이스부(110)를 수직으로 관통하며 격벽을 형성하도록 위치하므로, 외부와의 쉴드(shield) 및 차폐를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RF 접지유닛(400)은 전기 전도성이 높은 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RF 신호의 경우, 고주파 신호에 해당되므로, 상기 제1 및 제2 RF 단자들(310, 320)이 상기 베이스부(110) 상에 제1 및 제2 단자부들(120, 130)과 동시에 실장되는 경우, 전달되는 신호가 서로 왜곡되는 등의 신호 전달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RF 단자유닛(300)이 실장된 위치를 기준으로 양 측에 각각 상기 단자접지유닛(200) 및 RF 접지유닛(400)을 격벽의 형태로 형성하여 차폐성을 향상시킨다. 나아가, 상기 RF 단자유닛(300)과 인접 단자들 사이의 이격 거리를 상기 단자유닛(150)의 단자부들 사이의 이격 거리보다 증가시켜 차폐성을 향상시킨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단자 접지유닛(200) 및 상기 RF 단자유닛(300)의 사이, 및 상기 RF 단자유닛(300) 및 상기 RF 접지유닛(400) 사이를 각각 제1 및 제2 절연부들(510, 520)로 절연시켜, 차폐성을 향상시킨다.
특히, 종래의 RF 커넥터의 경우 유전체(dielectric material)의 특징을 포함하여 RF 신호의 보다 효과적인 전달을 도모하고 있는데,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도 상기 제1 및 제2 절연부들(510, 520)을 유전체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PCB 커넥터(100)를 통해 RF 신호를 일체로 전달하는 경우에도, 종래의 RF 커넥터의 유전체적 특징을 그대로 포함할 수 있어, 상기 RF 신호의 보다 효과적인 전송이 가능하게 된다.
나아가,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절연부(510)는 제1 두께(X1)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절연부(520)는 제2 두께(X2)로 형성되며, 상기 제1 두께 및 상기 제2 두께의 비율은 서로 다르게 설계될 수 있다.
즉, 상기 RF 단자유닛(300)은 다양한 임피던스 값을 갖도록 설계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RF 단자유닛(300)이 필요로 하는 임피던스 값이 적절하게 구현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1 두께 및 제2 두께의 비율을 서로 다르게 설계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RF 단자유닛(300)의 임피던스 매칭 성능의 보다 효과적인 구현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하나의 PCB 커넥터에 RF 커넥팅이 가능하도록 RF 단자를 동시에 형성함으로써, 종래에 RF 커넥팅을 위한 별도의 RF 케이블 및 RF 전용 단자를 생략할 수 있어, 특히 수작업으로 진행되어왔던 RF 케이블의 연결작업을 생략할 수 있어, 인건비가 감소하며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특히, 종래의 PCB 커넥터와 RF 커넥터의 경우, 서로 주파수 대역이 다른 신호를 전달하므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신호가 간섭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RF 단자의 양 측으로 접지단자를 형성하고, RF 단자와 인접한 접지단자 사이에 절연부를 형성함으로써, RF 단자를 통한 신호 전달시 전파 차폐의 효과를 향상시킨다.
나아가, 접지 단자에 해당되는 단자 접지유닛 및 RF 접지유닛을 격벽으로 형성함으로써, 인접 단자유닛의 단자부들과의 전파 차폐 효과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자 접지유닛은 양 끝단에 격벽 형상으로 위치하는 제1 및 제2 단자 접지부들과 상기 단자 접지부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자접지 연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단자 접지부들이 단자접지 돌출부를 포함하도록 엠보싱 형상의 격벽 형상을 가지므로 상기 단자접지 연결부를 통한 전기적 접속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는 RF 접지유닛도 동일한 구조로 격벽 형상을 형성하여 전기적 접속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제1 절연부의 두께 및 제2 절연부의 두께의 비율을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RF 단자유닛의 임피던스를 제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RF 단자유닛의 임피던스 매칭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PCB 커넥터는 스마트 폰 등의 모바일 단말기에 사용될 수 있는 산업상 이용 가능성을 갖는다.
100 : PCB 커넥터 110 : 베이스부
150 : 단자유닛 120 : 제1 단자부
130 : 제2 단자부 200 : 단자 접지유닛
210 : 제1 단자접지부 220 : 제2 단자접지부
230 : 단자접지 연결부 300 : RF 단자유닛
310 : 제1 RF 단자 320 : 제2 RF 단자
330 : RF 단자 연결부 400 : RF 접지유닛
410 : 제1 RF 접지부 420 : 제2 RF 접지부
430 : RF 접지 연결부

Claims (9)

  1. 서로 마주하는 제1 및 제2 측부들을 포함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제1 측부에 실장되는 제1 단자부, 상기 베이스부의 제2 측부에 실장되는 제2 단자부, 및 상기 제1 및 제2 단자부들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단자유닛;
    상기 베이스부의 제1 측부에 실장되는 제1 RF 단자, 상기 베이스부의 제2 측부에 실장되는 제2 RF 단자, 및 상기 제1 및 제2 RF 단자들을 연결하는 RF 단자 연결부를 포함하는 RF 단자유닛;
    상기 베이스부를 관통하는 격벽(wall) 형상을 가지고, 상기 RF 단자유닛의 그라운드(ground)로 사용되며, 상기 단자유닛과 상기 RF 단자유닛의 사이를 쉴드(shield)하여 차폐시키는 단자 접지유닛; 및
    상기 RF 단자유닛을 기준으로 상기 단자 접지유닛의 반대 측에 위치하며, 상기 베이스부를 관통하는 격벽 형상을 가지고, 상기 RF 단자유닛의 그라운드(ground)로 사용되며, 상기 RF 단자유닛과 외부 사이를 쉴드(shield)하여 차폐시키는 RF 접지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단자 접지유닛과 상기 RF 단자유닛 사이는 제1 절연부, 상기 RF 단자유닛과 상기 RF 접지유닛 사이는 제2 절연부로 각각 절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B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접지유닛은,
    상기 제1 측부를 관통하는 격벽 형상을 가지는 제1 단자 접지부;
    상기 제2 측부를 관통하는 격벽 형상을 가지는 제2 단자 접지부; 및
    양 끝단이 각각 상기 제1 및 제2 단자 접지부들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베이스부를 관통하는 격벽 형상을 가지는 단자접지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B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단자 접지부들 각각의 표면에는 상기 단자접지 연결부가 접촉된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들이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B 커넥터.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절연부들을 포함하는 절연유닛은 유전체(dielectric materia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B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연부의 두께 및 상기 제2 절연부의 두께의 비율을 변화시켜 상기 RF 단자유닛의 임피던스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B 커넥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F 접지유닛은,
    상기 제1 측부를 관통하는 격벽 형상을 가지는 제1 RF 접지부;
    상기 제2 측부를 관통하는 격벽 형상을 가지는 제2 RF 접지부; 및
    양 끝단이 각각 상기 제1 및 제2 RF 접지부들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베이스부를 관통하는 격벽 형상을 가지는 RF 접지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B 커넥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RF 접지부들 각각의 표면에는 상기 RF 접지 연결부가 접촉된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들이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B 커넥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접지유닛 및 상기 RF 접지유닛은 금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B 커넥터.

KR1020150092932A 2015-06-22 2015-06-30 Rf 단자를 포함한 pcb 커넥터 KR1015872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88136 2015-06-22
KR1020150088136 2015-06-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3823A KR20150083823A (ko) 2015-07-20
KR101587223B1 true KR101587223B1 (ko) 2016-01-20

Family

ID=53874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2932A KR101587223B1 (ko) 2015-06-22 2015-06-30 Rf 단자를 포함한 pcb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72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3356A (ko) 2016-09-23 2018-04-03 주식회사 에이엘 Pcb 케이블 연결 단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76226B2 (ja) 2004-12-28 2010-11-04 ホシデン株式会社 同軸コネクタ一体型基板接続用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02011A (en) * 1981-10-19 1983-08-30 Motorola, Inc. Vertical sync counter with automatic recognition of TV line standar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76226B2 (ja) 2004-12-28 2010-11-04 ホシデン株式会社 同軸コネクタ一体型基板接続用コネク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3356A (ko) 2016-09-23 2018-04-03 주식회사 에이엘 Pcb 케이블 연결 단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3823A (ko) 2015-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97097B2 (en) Electrical connector device
JP6179564B2 (ja) 基板接続用電気コネクタ
US9306345B2 (en) High-density cable end connector
JP6256426B2 (ja) 基板接続用電気コネクタ
US10381747B2 (en) Multiple polarized antenna
US9577364B2 (en) Cable connector component, board connector component, and electric connector assembly thereof
US9692151B2 (en) Coaxial connector with switch
CN101924283B (zh) 具有安装至电路板的连接器的电连接器组件
KR20140100924A (ko) 차동 신호쌍 사이에서 스큐를 감소시킬 수 있는 차동 신호 커넥터
US11563288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electromagnetic shielding frame surrounding plurality of terminals and connector housing
CN113924700B (zh) 阴型多极连接器以及具备该阴型多极连接器的多极连接器组
CN108432065B (zh) 具有电气共用接地的电气连接器
CN103548215A (zh) 电连接器的串扰减少
US11721922B2 (en) Multipole connector set
KR20160069484A (ko) 회로 보드들의 조립체 및 상기 조립체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KR20200145713A (ko) 기판 커넥터
JP2011077608A (ja) アンテナ装置
US20220360023A1 (en) Board connector
US20230144353A1 (en) Board connector
KR101587223B1 (ko) Rf 단자를 포함한 pcb 커넥터
KR20170061295A (ko) 안테나 구조체
KR102317945B1 (ko) 리셉터클 커넥터
KR101568858B1 (ko) Rf 단자를 포함한 pcb 커넥터
JP7446461B2 (ja) 基板コネクタ
KR20220069796A (ko) 기판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