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0520B1 - 액액열교환기 - Google Patents

액액열교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0520B1
KR100650520B1 KR1020060007610A KR20060007610A KR100650520B1 KR 100650520 B1 KR100650520 B1 KR 100650520B1 KR 1020060007610 A KR1020060007610 A KR 1020060007610A KR 20060007610 A KR20060007610 A KR 20060007610A KR 100650520 B1 KR100650520 B1 KR 1006505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liquid
heat exchanger
plate
out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7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6862A (ko
Inventor
히데카츠 나루세
시게키 다케우치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600868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68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0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05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22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 F24H1/40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with water tube or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0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 F24H1/12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in which the water is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 F24H1/14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in which the water is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by tubes, e.g. bent in serpentine for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48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incorporating heaters for domestic water
    • F24H1/52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incorporating heaters for domestic water incorporating heat exchangers for domestic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09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water heaters
    • F24H9/183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 F24H9/183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using flu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3/00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Assemblies of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 F28F3/005Arrangements for preventing direct contact between different heat-exchange medi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 Details Of Fluid Heaters (AREA)

Abstract

[과제] 열원기에 설치된 버너를 열원으로 하는 열교환기로 가열된 열매체가 흐르는 제1유로(74)와, 피가열액체가 흐르는 제2유로(75)를 구비하고, 열매체에 의해 피가열액체를 가열하는 액액열교환기(7)에 있어서, 콤팩트화와 비용절감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다.
[해결수단] 제1, 2외판(71,72)과 양 외판 사이에 껴지는 중판(73)으로 구성되는 프레스 성형된 3장의 판을 중첩시킨다. 그리고, 제1외판(71)과 중판(73) 사이에 곡관상의 제1유로(74)를 형성하고, 제2외판(72)과 중판(73) 사이에 중판(73)을 통해 제1유로(74)에 겹쳐지도록 곡관상의 제2유로(75)를 형성한다.
액액열교환기, 난방용열교환기, 난방용버너, 제1외판, 제2외판

Description

액액열교환기{Heat exchanger by using conduct between two liquids}
도 1은 액액열교환기를 구비한 열원기의 회로구성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2는 열원기의 요부 절단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액액열교환기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IV-IV선으로 전단된 절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V-V선으로 절단된 절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열원기 3 : 난방용열교환기
3a : 난방용버너 7 : 액액열교환기
71 : 제1외판 72 : 제2외판
74 : 제1유로 74a : 유입구
74b : 유출구 75 : 제2유로
75a : 유입구 75b : 유출구
본 발명은 열원기에 설치된 버너를 열원으로 하는 열교환기로 가열된 액체인 열매체가 흐르는 제1유로와, 피가열액체가 흐르는 제2유로를 구비하고, 제1유로로 흐르는 열매체에 의해 제2유로로 흐르는 피가열액체가 가열되는 액액열교환기(液液熱交換器)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종래, 버너를 열원으로 하는 급탕용과 난방용열교환기를 갖는 열원기에 있어서, 난방용열교환기로 가열된 부동액 등 열매체가 흐르는 제1유로와, 욕조물이 흐르는 제2유로를 구비한 액액열교환기를 설치하여 식은 목욕물을 다시 끓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여기서, 목욕물 재가열용 액액열교환기는 일반적으로 제1유로를 형성하는 내관과, 내관과의 사이에 제2유로를 형성하는 외관으로 이루어진 2중관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특개평6-3075호공보) 참조]. 이러한 2중관 구조의 액액열교환기를 제조하는 것은 우선, 직관상의 내관을 직관상의 외관에 삽입한 후 외관의 단부를 축경(縮經)시키는 동시에 내관을 확경(擴經)시켜 외관의 단부를 내관의 외주에 밀착시킴으로써 2중관으로 되고, 다음에, 이 2중관을 지그재그 형상 등 소정의 형상으로 굴곡시킨다. 이때, 내관과 외관 양자의 동심도를 일치시키면서 동시에 굴곡시킬 필요가 있지만, 이것은 상당히 어려운 작업이다. 특히, 2중관을 작은 곡률 반경으로 굴곡시키면 내관과 외관의 동심도가 극단적으로 악화되기 때문에 2중관의 곡률 반경은 크게 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2중관을 작은 곡률 반경으로 가늘게 굴곡시켜서 외형치수를 콤팩트하게 정리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또한, 액액열교환기의 제조에는 외관의 축경 및 내관의 확경, 2중관의 굴곡 에 더해서 외관의 양단 근방에 제2유로로 흐르는 액체의 유입구와 유출구를 절삭가공으로 형성할 필요가 있어 공수가 많고 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콤팩트하고 저 비용의 액액열교환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열원기에 설치된 버너를 열원으로 하는 열교환기에서 가열된 액체인 열매체가 흐르는 제1유로와, 피가열액체가 흐르는 제2유로를 구비하고, 제1유로로 흐르는 열매체에 의해 제2유로로 흐르는 피가열액체가 가열되는 액액열교환기에 있어서, 제1, 2외판과 양 외판사이에 배치되는 중판으로 이루어진 프레스 성형된 3장의 판을 중첩시켜 구성되고, 제1외판과 중판 사이에 곡관상의 제1유로가 형성되며, 제2외판과 중판 사이에 중판을 통해 제1유로에 겹쳐지도록 곡관상의 제2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각 판의 오목한 곳 등 유로형성부를 프레스 성형하여 제1외판과 중판 사이에 관상의 제1유로와, 제2외판과 중판 사이의 관상의 제2유로가 형성된다. 여기서, 유로형성부는 작은 곡률 반경으로 굴곡된 형상으로 무리없이 프레스 성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종래의 2중관 구조의 액액열교환기에서 문제가 되는 곡률 반경의 제약을 받는 일이 없고, 제1, 2유로를 작은 곡률 반경으로 가늘게 굴곡시킬 수가 있다.
그러므로, 외형 치수를 크게 하지 않고도 양 유로의 유로길이를 소요(所要) 의 열교환 효율을 얻는데 필요한 길이로 확보할 수 있고 콤팩트한 액액열교환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프레스 성형된 3장의 판을 중첩시키는 것만으로도 액액열교환기를 제조할 수 있고, 각 유로로 흐르는 액체의 유입구 및 유출구도 프레스 성형으로 간단하게 형성 가능하며, 공수를 삭감하여 비용다운을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외판에는 제1유로의 상류단부와 하류단부로 연통되도록 열매체의 유입구와 유출구를 설치하는 동시에 제2외판에는 제2유로의 상류단부와 하류단부로 연통되도록 피가열액체의 유입구와 유출구를 설치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열매체의 유입구와 유출구에 대한 열매체용 배관부재의 접속작업과, 피가열액체의 유입구와 유출구에 대한 피가열액체용 배관부재의 접속작업을 액액열교환기의 상호 반대측에서 행하여야 하기 때문에 배관부재의 접속작업이 번거롭고, 또한, 액액열교환기의 제1외판의 외측과 제2외판의 외측에 각각 배관부재의 처리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어 공간효율이 나빠진다.
이것에 대해서, 상기 제1, 2외판 중 어느 하나의 외판에 상기 제1, 2유로 중 해당 일방의 외판과 중판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일방의 유로 상류단부와 하류단부에 연통되도록, 해당 일방의 유로로 흐르는 액체의 유입구와 유출구가 설치되고, 제1, 2유로 중 타방의 유로 상류단부 및 하류단부가 상기 일방의 유로의 상류단부 및 하류단부에 겹치지 않는 위치까지 연장되며, 상기 일방의 외판에 중판을 통해 상기 타방의 유로의 상류단부와 하류단부로 연통되도록 해당 타방의 유로로 흐르는 액체의 유입구와 유출구가 설치되어 있으면, 열매체용 배관부재의 접속작업과 피가열액체용 배관부재의 접속작업을 액액열교환기의 같은 쪽에 행할 수 있어 작업성이 향 상되는 동시에 액액열교환기의 타방의 외판 외측에 배관부재의 처리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없어 공간 효율도 향상된다.
그런데, 중판은 제1유로로 흐르는 열매체와 제2유로로 흐르는 피가열액체 사이의 열교환을 효율 좋게 행하기 위해 열전도율이 높은 동판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 2외판은 제1, 2유로로 흐르는 열매체 및 피가열액체의 방열을 억제하기 위해 구리보다 열전도율이 낮은 스텐레스 등의 재료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외판을 스텐레스로 형성하면, 중판과 외판을 납땜할 수 없게 된다. 이 경우, 중판과 각 외판의 접합면에 패킹을 개설하여 3장의 판을 복수개소에 피스나 리벳 등으로 체결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지만, 이것은 부품점수가 증가하는 동시에 체결 작업이 필요하게 되고, 외판에 설치된 유입구와 유출구에 배관부재를 납땜할 수도 없게 되며, 비용절감을 도모하는데 불리하다.
이것에 대해, 상기 중판을 동판으로 형성하고, 상기 제1, 2외판은 구리보다 열전도율이 낮은 모재(예를 들어, 스텐레스)에 구리도금을 행한 판으로 형성하면, 방열 손실을 억제하여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중판에 각 외판을 납땜할 수 있고, 외판에 설치되는 유입구와 유출구에 배관부재를 납땜할 수도 있어 비용측면에서 유리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구리는 순동뿐만 아니라 동합금도 포함된다.
도 1을 참조하여, 1은 급탕용열교환기(2)와 난방용열교환기(3)를 갖는 열원기를 나타내고 있다. 급탕용과 난방용 양 열교환기(2,3)는 열원기(1) 내에 배치된 관체(罐體)(4)의 상부에 병설되어 있다. 관체(4)의 하부에는 급탕용열교환기(2)의 열원이 되는 급탕용버너(2a)와 난방용열교환기(3)의 열원이 되는 난방용버너(3a)가 병설되어 있고, 관체(4) 내에 그 하방의 팬(4a)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연소용공기로 하여 버너(2a,3a)의 연소가 행해진다. 또한, 관체(4)의 상방에는 각 열교환기(2,3)를 통과한 연소배기를 배출하는 배기덕트(4b)가 설치되어 있다.
급탕용열교환기(2)에는 상류측 급수로(5a)와 하류측 출탕로(5b)가 접속되어 있다. 급수로(5a)에는 유량센서(51)와 유량조절밸브(52)가 설치되고, 유량조절밸브(52)의 하류측에는 급수로(5a)와 출탕로(5b)를 연결하는 바이패스통로(5c)를 설치하며, 바이패스통로(5c)에 바이패스통로조절밸브(53)가 개설(介設)되어 있다. 출탕로(5b)의 하류단 출탕꼭지(54)를 열어 급탕용열교환기(2)로 통수시키고, 이 통수를 유량센서(51)가 검지하면 급탕용버너(2a)에 점화되어, 버너(2a)의 연소량, 유량조절밸브(52,53)에 의한 통수량의 제어에 의해 설정온도의 탕수가 출탕된다.
난방용열교환기(3)에는 난방회로(6)를 통해 팬코일 등의 난방단말(61)이 접속되어 있다. 난방회로(6)는 난방용열교환기(3)에서 가열된 부동액 등의 열매체를 난방단말(61)로 보내는 난방왕복통로(6a)와, 난방단말(61)을 통과한 열매체를 난방용열교환기(3)로 복귀시키는 난방복귀통로(6b)로 구성되어 있다. 난방복귀통로(6b)에는 시스템(62)과 난방펌프(63)가 개설되어 있다. 그리고, 난방단말(61)의 운전스위치가 온(on) 되었을 때, 난방단말(61)용 밸브(61a)가 열리는 동시에 난방펌프(63)가 구동되고, 난방용버너(3a)로 점화되어 난방용열교환기(3)에서 가열된 열매체가 난방회로(6)를 통해 난방단말(61)과 난방용열교환기(3) 사이로 순환된다.
또는, 열원기(1)에는 목욕물 재가열용 액액열교환기(7)가 설치되어 있다. 액 액열교환기(7)는 욕조(8)에 접속되는 목욕회로(9)에 목욕펌프(91)와 함께 개설되어 있다. 그리고, 난방회로(6)에 난방왕복통로(6a)에서 액액열교환기(7)를 통해 시스템(62)에 도달하는 재가열통로(6c)를 설치하고, 재가열통로(6c)에 재가열밸브(92)가 설치되어 있다. 재가열운전스위치가 온(on)되면 목욕펌프(91)가 구동되어 목욕회로(9)로 욕조(8)의 탕수가 순환되고, 재가열밸브(92)가 열리는 동시에 난방펌프(63)가 구동되어 난방용열교환기(3)로 액액열교환기(7)를 경유하여 열매체가 순환되며, 목욕회로(9)로 순환되는 욕조(8)의 탕수가 액액열교환기(7)에서 가열된다.
액액열교환기(7)는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열원기(1) 내의 관체(4) 후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하, 이 액액열교환기(7)의 구조에 대해 상술한다.
액액열교환기(7)는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제1, 2외판(71,72)과 양 외판(71,72) 사이에 껴있는 중판(73)으로 이루어진 대략 방형(方形)의 3장의 판을 중첩시켜 구성된다. 제1외판(71)에는 중판(73)에서 이반(離反)되는 방향에 오목한 유로형성부(71a)가 제1외판(71)의 판면내에서 지그재그가 되도록 프레스 성형되고, 제2외판(72)에도 중판(73)에서 이반(離反)되는 방향에 오목한 유로형성부(72a)가 제1외판(71)의 유로형성부(71a)에 연(沿)하여 지그재그(蛇行) 형상이 되도록 프레스 성형되어 있다. 이리하여, 제1, 2외판(71,72)을 중판(73)을 끼워 넣은 상태로 중첩시키면, 제1외판(71)의 유로형성부(71a)와 중판(73)과의 사이에 구불구불한 곡관상의 제1유로(74)가 형성되고, 제2외판(72)의 유로형성부(72a)와 중판(73)과의 사이에 중판(73)을 통해 제1유로(74)에 겹쳐있는 구불구불한 곡관상의 제2유로(75)가 형성된다.
제1유로(74)는 난방용열교환기(3)에서 가열된 열매체가 흐르는 유로가 되고, 제2유로(75)는 욕조(8)의 물(피가열액체)이 흐르는 유로가 된다. 그리고, 제2유로(75)로 흐르는 피가열액체는 제1유로(74)로 흐르는 열매체의 열에 의해 중판(73)을 통해 가열된다. 그리고, 제2유로(75)에는 제1유로(74)의 열매체의 흐름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피가열액체가 흐르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소요의 열교환 효율을 얻으려면 제1, 2유로(74,75)의 유로길이를 소정길이 이상으로 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각 외판(71,72)의 유로형성부(71a,72a)는 작은 곡률 반경으로 굴곡된 형상으로 무리없이 프레스 성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종래의 2중관 구조의 액액열교환기에서 문제가 되는 곡률 반경의 제약을 받는 일 없고, 제1, 2유로(74,75)를 작은 곡률 반경으로 가늘게 굴곡시킬 수가 있다. 그러므로, 외형 치수를 크게 하지 않고 양 유로(74,75)의 유로길이를 소요의 열교환 효율을 얻는데 필요한 길이로 확보할 수 있어 액액열교환기(7)의 콤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1, 2유로(74,75)의 격벽이 되는 중판(73)의 부분(73a)을 단면이 대략 M자형으로 형성하는 동시에 이 격벽부분(73a)에 가느다란 파상(波狀)의 요철을 부착시켜 열매체와 열가열액체의 열교환 면적을 넓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제2외판(72)의 유로형성부(72a)도 중판(73)의 격벽부분(73a)의 단면형상에 맞춰 단면이 대략 M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외판(72)에는 제2유로(75)의 상류단부와 하류단부에 연통되도록 피가열액체의 유입구(75a)와 유출구(75b)가 설치되어 있고, 이들 유입구(75a)와 유출구(75b)에 상기 목욕회로(9)의 상류측의 배관부재와 하류측의 배관부재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1외판(71)의 유로형성부(71a)는 제1유로(74)의 상류측과 하류측의 각 단부가 제2유로(75)의 하류측과 상류측의 각 단부에 겹치지 않는 위치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외판(72)에 중판(73)을 통해 제1유로(74)의 상류단부와 하류단부로 연통되도록 열매체의 유입구(74a)와 유출구(74b)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열매체의 유입구(74a)와 유출구(74b)에는 각각 납땜금(76)이 취부되어 있고, 유입구(74a)의 납땜금(76)과 유출구(74b)의 납땜금(76)에 상기 재가열통로(6c)의 상류측의 배관부재와 하류측의 배관부재가 접속된다.
여기서, 제1외판(71)에 제1유로(74)의 상류단부와 하류단부로 연통되는 유입구와 유출구를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지만, 이것은 열매체용 배관부재의 접속작업과 피가열액체용 배관부재의 접속작업을 액액열교환기(7)의 서로 반대측에서 행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어 배관부재의 접속작업이 번거롭게 되고, 또한, 액액열교환기(7)의 제1외판(71)의 외측과 제2외판(72)의 외측에 각각 배관부재의 처리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어 공간 효율이 악화된다. 이것에 대해, 본 실시예와 같이, 제2외판(72)에 제2유로(75)에 대한 유입구(75a) 및 유출구(75b)에 더해 제1유로(74)에 대한 유입구(74a) 및 유출구(74b)를 설치하면 열매체용 배관부재의 접속작업과 피가열액체용 배관부재의 접속작업을 액액열교환기(7)의 같은 측에서 행할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되는 동시에 제1외판(71)의 외측에 배관부재의 처리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없어 공간 효율도 향상된다. 그리고, 액액열교환기(7)는 열원기(1) 내의 관체(4)의 후측에 제2외판(72)을 전방을 향한 상태로 배치하고, 제1외판(71)의 외측, 즉, 후측에 배관부재의 처리 공간을 확보하지 않고 끝낼 수 있게 되어 액 액열교환기(7)를 열원기(1)의 배면판(1a)에 가급적 접근시켜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액액열교환기(7)를 제1외판(71)이 전방을 향한 자세로 배치하는 경우에는 제1유로(74)에 대한 유입구(74a) 및 유출구(74b)와 제2유로(75)에 대한 유입구(75a) 및 유출구(75b)를 제1외판(71)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중판(73)은 동판(예를 들어, C1220제판)으로 형성되고, 구리가 갖는 고열전도성을 이용하여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키게 된다. 한편, 제1, 2외판(71,72)은 제1유로(74)로 흐르는 열매체의 제1외판(71)을 통해 방열 및 제2유로(75)로 흐르는 피가열액체의 방열을 억제하기 위해서 구리보다 열전도율이 낮은 재료, 예를 들어, 스텐레스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각 외판(71,72)을 스텐레스로 형성하면, 중판(73)에 각 외판(71,72)을 납땜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어 중판(73)과 각 외판(71,72) 사이의 실(seal) 성질을 확보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각 외판(71,72)을 구리보다 열전도율이 낮은 모재(예를 들어, 스텐레스)에 구리도금을 행한 판으로 형성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면, 각 외판(71,72)은 구리도금층으로 납땜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므로, 각 외판(71,72)과 중판(73)의 접합면(유로형성부71a, 72a 이외의 부분)에 시트상 및 분말상의 납땜재를 끼워 넣은 상태에서 이들 3장의 판(71,72,73)을 중첩하여 로(爐) 중에서 가열함으로써 각 외판(71,72)을 중판(73)에 납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피가열액체용 배관부재를 제2외판(72)에 형성한 제2유로(75)에 대한 유입구(75a)와 유출구(75b)에 납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납땜금(76)도 제2외판(72)에 형성된 제1유로(74)에 대한 유입구(74a)와 유출구(74b)에 납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각 외판(71,72)의 모재는 구리보다 열전도율이 낮기 때문에 각 외판(71,72)을 통해 열매체 및 피가열액체의 방열이 억제되어 열교환 효율도 향상된다.
그리고, 각 외판(71,72)을 동판으로 형성하고, 동판제의 중판(73)에 각 외판(71,72)을 납땜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지만, 이것은 각 외판(71,72)을 통한 방열손실이 크게 된다. 이 경우, 각 외판(71,72)의 외면을 커버로 덮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이것은 비용이 높아진다. 또한, 각 외판(71,72)을 스텐레스제로 하고 중판(73)과 각 외판(71,72)의 접합면에 패킹을 개설하여 3장의 판(71,72,73)을 복수개소에 피스, 리벳 등으로 체결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이것은 부품점수가 증가하는 동시에 체결작업이 소요되어 비용절감을 도모하기에는 불리하게 된다. 따라서,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키고 비용절감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상기 실시예와 같이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1, 2유로(74,75)를 구불구불하게 곡관상(曲管狀)으로 형성하였지만, 이것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어, 각 유로(74,75)를 와권형(渦卷形)의 곡관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1, 2외판(71,72)의 유로형성부(71a,72a) 및 중판(73)의 격벽부분(73a)의 단면형상도 상기 실시예의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실시예의 액액열교환기(7)는 목욕물 재가열용이지만, 다른 용도의 액액열교환기, 예를 들어, 욕실에 배치되는 증기사우나용 증기노즐에 공급되는 물을 열원기의 난방용열교환기에 의한 열매체를 통해 가열하기 위한 액액열교환기에도 같은 형태로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액열교환기는 외형 치수를 크게 하지 않고도 양 유로의 유로길이를 소요(所要)의 열교환 효율을 얻는데 필요한 길이로 확보할 수 있고 콤팩트한 액액열교환기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프레스 성형된 3장의 판을 중첩시키는 것만으로도 액액열교환기를 제조할 수 있고, 각 유로로 흐르는 액체의 유입구 및 유출구도 프레스 성형으로 간단하게 형성 가능하며, 공수를 삭감하여 비용다운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열매체용 배관부재의 접속작업과 피가열액체용 배관부재의 접속작업을 액액열교환기의 같은 쪽에 행할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되는 동시에 액액열교환기의 타방의 외판 외측에 배관부재의 처리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없어 공간 효율도 향상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상기 중판을 동판으로 형성하고, 상기 제1, 2외판은 구리보다 열전도율이 낮은 모재(예를 들어, 스텐레스)에 구리도금을 행한 판으로 형성하여 방열 손실을 억제하고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중판에 각 외판을 납땜할 수 있으며 외판에 설치되는 유입구와 유출구에 배관부재를 납땜할 수도 있어 비용측면에서 유리하게 되는 효과를 얻는다.

Claims (3)

  1. 열원기에 설치된 버너를 열원으로 하는 열교환기에서 가열된 액체인 열매체가 흐르는 제1유로와, 피가열액체가 흐르는 제2유로를 구비하고, 제1유로로 흐르는 열매체에 의해 제2유로로 흐르는 피가열액체가 가열되는 액액열교환기에 있어서,
    제1, 2외판과 양 외판사이에 배치되는 중판으로 이루어진 프레스 성형된 3장의 판을 중첩시켜 구성되고, 제1외판과 중판과의 사이에 곡관상의 제1유로가 형성되며, 제2외판과 중판 사이에 중판을 통해 제1유로에 겹쳐지도록 곡관상의 제2유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액열교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외판 중 어느 하나의 외판에 상기 제1, 2유로 중 해당 일방의 외판과 상기 중판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일방 유로의 상류단부와 하류단부에 연통되도록, 해당 일방의 유로로 흐르는 액체의 유입구와 유출구가 설치되고, 제1, 2유로 중 타방의 유로 상류단부 및 하류단부가 상기 일방의 유로의 상류단부 및 하류단부에 겹치지 않는 위치까지 연장되며, 상기 일방의 외판에 중판을 통해 상기 타방의 유로의 상류단부와 하류단부로 연통되도록 해당 타방의 유로로 흐르는 액체의 유입구와 유출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액열교환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판은 동판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2외판은 구리보다 열전도율이 낮은 모재에 구리도금을 행한 판으로 형성되며, 각 외판 과 중판이 납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액열교환기.
KR1020060007610A 2005-01-25 2006-01-25 액액열교환기 KR1006505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16969 2005-01-25
JP2005016969A JP4084359B2 (ja) 2005-01-25 2005-01-25 液々熱交換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6862A KR20060086862A (ko) 2006-08-01
KR100650520B1 true KR100650520B1 (ko) 2006-11-28

Family

ID=36844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7610A KR100650520B1 (ko) 2005-01-25 2006-01-25 액액열교환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084359B2 (ko)
KR (1) KR100650520B1 (ko)
CN (1) CN100510601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9790B1 (ko) * 2016-07-29 2016-12-27 주식회사 가나에너지 연속 온수 가열용 히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79796A1 (ja) * 2009-01-09 2010-07-15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複合型熱交換器
WO2015146464A1 (ja) * 2014-03-27 2015-10-0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CN105091638A (zh) * 2015-08-26 2015-11-25 浙江嘉熙光电设备制造有限公司 一体化盘绕式热交换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5490A (ja) * 1993-07-21 1995-02-07 Hitachi Ltd プレート式熱交換器
JPH09210379A (ja) * 1996-02-05 1997-08-12 Noritz Corp 燃焼装置
JPH09280764A (ja) * 1996-04-17 1997-10-31 Hitachi Ltd プレ−ト式熱交換器
JPH11101456A (ja) 1997-09-30 1999-04-13 Inax Corp 温水供給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91441U (zh) * 1991-02-11 1991-12-25 四平市换热器总厂 焊接板式换热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5490A (ja) * 1993-07-21 1995-02-07 Hitachi Ltd プレート式熱交換器
JPH09210379A (ja) * 1996-02-05 1997-08-12 Noritz Corp 燃焼装置
JPH09280764A (ja) * 1996-04-17 1997-10-31 Hitachi Ltd プレ−ト式熱交換器
JPH11101456A (ja) 1997-09-30 1999-04-13 Inax Corp 温水供給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9790B1 (ko) * 2016-07-29 2016-12-27 주식회사 가나에너지 연속 온수 가열용 히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11323A (zh) 2006-08-02
CN100510601C (zh) 2009-07-08
JP2006207854A (ja) 2006-08-10
JP4084359B2 (ja) 2008-04-30
KR20060086862A (ko) 2006-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7122765A1 (ja) 1缶式複合熱源機
KR100650520B1 (ko) 액액열교환기
WO2009003817A2 (en) Heat exchanger for a boiler
JP5882491B2 (ja) 給湯熱交換器
JP5890136B2 (ja) 給湯器
EP2122287A1 (en) Plate heat exchanger
JP2007240098A (ja) 熱交換器
JP5887352B2 (ja) 側方流体供給を伴う熱交換器
JP2019095096A (ja) プレート式熱交換器及びプレート式熱交換器を備えたヒートポンプ式給湯システム
JP2006057988A (ja) 燃焼式熱源機の廃熱回収用熱交換器
CN111322755A (zh) 热源机
JP3932877B2 (ja) 熱交換器
JP2007107776A (ja) 燃焼式熱源機の廃熱回収用熱交換器
CN107850341B (zh) 热交换器
JP2004093064A (ja) 熱交換器
JP2002333289A (ja) 熱交換器
JP7242044B2 (ja) ガス器具用熱交換器
JPH1114278A (ja) 熱交換器
GB2403790A (en) Secondary heat exchanger for a boiler assembly
JP7332140B2 (ja) ガス器具用熱交換器
JP7144831B2 (ja) 熱交換器及び複合給湯器
JP3786025B2 (ja) 熱交換器
JP2012122663A (ja) 熱交換器およびそれを用いた給湯器
JP2006292193A (ja) 燃焼式熱源機の廃熱回収用熱交換器
JP2003050047A (ja) 一缶多回路式熱交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