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9898B1 - 윙 로크 장치 - Google Patents

윙 로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9898B1
KR100649898B1 KR20050060168A KR20050060168A KR100649898B1 KR 100649898 B1 KR100649898 B1 KR 100649898B1 KR 20050060168 A KR20050060168 A KR 20050060168A KR 20050060168 A KR20050060168 A KR 20050060168A KR 100649898 B1 KR100649898 B1 KR 1006498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wing
base
lever handle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50060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9244A (ko
Inventor
아키히코 시로조에
Original Assignee
다키겐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키겐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키겐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092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92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9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98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02Locks for railway freight-cars, freight containers or the like; Locks for the cargo compartments of commercial lorries, trucks or v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윙의 회전반경이 상위하는 각종 윙 형식 화물 트럭에 적용할 수 있고, 윙이나 걸음편의 왜곡 변형이 있어도, 걸음편의 가압 구속을 적확하게 행할 수 있는 윙 로크 장치를 제공한다.
걸음편 받이부에 대하여 진퇴하는 슬라이더를 베이스의 가이드부에 끼워 맞춤 지지하고, 레버 핸들의 기단부를 슬라이더의 하부측에 제1수평축에 의해 피벗식 지지하고, 선단부가 걸음편 받이부에 접리하는 누르기 암의 기단부를 슬라이더의 상부측에 제2수평축에 의해 피벗식 지지하고, 슬라이더가 걸음편 받이부를 향해서 진출한 상승 위치에 있어서, 레버 핸들를 통해 누르기 암을 비스듬히 기립 회전시킴으로써 누르기 암의 선단부에 의한 걸음편의 구속을 해제하고, 해당 구속 해제 자세로 누르기 암을 유지한 상태에서, 슬라이더를 하강 위치로 퇴피시킨다.
윙 로크 장치, 걸음편, 슬라이더, 기단부, 선단부

Description

윙 로크 장치{WING LOCK DEVICE}
도 1 은 본 발명의 윙 로크 장치가 적용되는 윙 형식 화물 트럭의 배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관한 윙 로크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 은 도 2에 도시한 윙 로크 장치의 좌측면도이다.
도 4 는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5 는 도 2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6 은 도 2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7 은 도 2의 윙 로크 장치의 베이스의 정면도이다.
도 8 은 도 7의 D-D선 단면도이다.
도 9 는 도 7의 E-E선 단면도이다.
도 10 은 도 2의 윙 로크 장치의 레버 핸들의 정면도이다.
도 11 은 도 10의 F-F선 단면도이다.
도 12 는 도 10의 G-G선 단면도이다.
도 13 은 도 10의 레버 핸들의 평면도이다.
도 14 는 도 2의 윙 로크 장치의 래치의 정면도이다.
도 15 는 도 14의 래치의 평면도이다.
도 16 은 도 14의 H-H선 단면도이다.
도 17 은 도 2의 윙 로크 장치의 누르기 암의 정면도이다.
도 18 은 도 17의 I-I선 단면도이다.
도 19 는 도 17의 J-J선 단면도이다.
도 20 은 도 2의 윙 로크 장치의 슬라이더의 정면도이다.
도 21 은 도 20의 슬라이더의 저면도이다
도 22 는 도 20의 K-K선 단면도이다.
(도면 부호의 설명)
1 베이스 1a 하층 베이스판
1b 상층 베이스판 2 걸음편 받이부
3 가이드부 4 슬라이더
4a 슬라이더의 다리편부 4b 슬라이더의 다리편부
4c 슬라이더의 중앙 연결 편부 5 레버 핸들
6 제1수평축 7 누르기 암
7a 누르기 암의 주체부재 7b 누르기 암의 안측부재
8 제2수평축 9 안측부재측의 창구멍
10 연동 축 11 레버 핸들측의 받이구멍
12 비틀림 코일 스프링 12a 코일부
12b 직선단부 12c 직선단부
13 수지 커버 14 래치 케이스
15 래치 16 압축 코일 스프링
17 래치측의 제1클릭부 18 래치측의 제2클릭부
19 베이스측의 제1받이쇠부 20 베이스측의 제2받이쇠부
21 레버 핸들의 잡기부의 개구부 22 가이드부의 슬롯
23 레버 핸들측의 표시창 24 래치측의 표시부
25 레버 핸들용 대피 홈 구멍 100 윙 형식 화물 트럭
101 바퀴 102 기초대
103 화물 지지판 104 문형상 부재
105 지주 106 대들보 부재
107 가설재 108 윙
109 지붕 윙부 110 측면 윙부
111 경첩 112 걸음편
113 경첩축 120 윙 로크 장치
본 발명은, 짐받이를 상부로부터 개폐 가능하게 덮는 윙을 구비하고 있는 윙 형식 화물 트럭에 있어서, 이 윙을 폐쇄 위치로 안정되게 구속하기 위해서 화물 지지판에 부착되는 윙 로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윙 형식 화물 트럭(100)은, 소정수의 바퀴(101)에 지지된 기초대(102)와, 기초대(102)의 좌우측면부와 후측면부에 배치한 화물 지지판(103)과, 각 화물 지지판(103)을 끼는 듯이 기초대(102)의 전후단부에 세워서 설치한 문형상 부재(104)와, 이들 문형상 부재(104)의 정상부간에 가설한 가설재(107)를 구비하고 있다. 문형상 부재(104)는, 좌우 한 쌍의 지주(105)와 각 지주(105)의 정상부간의 대들보재(106)로 이루어지고, 가설재(107)는, 각 대들보재(106)의 중앙부간에 전후 방향으로 연접되어 있다.
좌우 한 쌍으로 배치된 윙(108)은, 기단측이 경첩(111)을 통해 가설재(107)에 피벗식 부착된 지붕 윙부(109)와, 지붕 윙부(109)의 선단부에 직각으로 연접된 측면 윙부(110)로 이루어지고, 폐쇄 상태에서는, 지붕 윙부(109) 전후단부가 전후의 대들보재(106)에 맞닿는 한편, 측면 윙부(110) 전후단부가 전후의 지주(105)에 맞닿고, 측면 윙부(110)의 하측 가장자리부가 기립 자세의 기초대(102)의 상측 가장자리부에 맞닿는다.
측면 윙부(110)의 하측 가장자리부에는, 소정 개수의 걸음편(112)이 아랫 방향으로 돌출 설치되고, 화물 지지판(103)의 상측 가장자리부에는 걸음편(112)에 대응한 윙 로크 장치(120)가 장착되어 있다. 윙(108)을 폐쇄 위치로 회전시킨 후, 윙 로크 장치(120)를 조작해서 누르기 부재에 의해 걸음편(112)을 정면측에서 가압하고, 윙(108)을 폐쇄 위치로 구속하고 있다.
이 윙 로크 장치(120)로서 종래 제안되고 있는 것에는, 화물 지지판에 고착한 베이스에 수평축에 의해 레버 핸들을 기복 회전 가능하게 피벗식 지지하고, 레버 핸들의 상부측에 있어서 수평축에 의해 베이스에 누르기 부재를 기복 회전 가능 하게 피벗식 지지하고, 누르기 부재와 레버 핸들을 링크기구에 의해 연결하고, 상기 수평축을 중심으로 레버 핸들을 도복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수평축을 중심으로 누르기 부재를 도복 회전시켜서 상기 걸음편을 베이스와 누르기 부재의 사이에 협지하도록 한 회전 방식의 것이 있다 (특허문헌1의 종래 기술의 설명 부분 참조).
또, 다른 윙 로크 장치로서는, 기초대에 고착한 베이스에 수평축에 의해 레버 핸들을 기복 회전 가능하게 피벗식 지지하고, 레버 핸들의 상부측에 있어서 수평축에 의해 누르기 부재를 레버 핸들에 기복 회전 가능하게 피벗식 지지하고, 상기 수평축을 중심으로 레버 핸들을 일으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수평축을 중심으로 누르기 부재를 도복 회전시켜서 상기 걸음편을 기초대와 누르기 부재의 사이에 협지하도록 한 회전 방식의 것이 있다(특허문헌2 참조).
또한 다른 윙 로크 장치로서는, 화물 지지판에 고착한 베이스에 레버 핸들을 수평축에 의해 기복 회전 가능하게 피벗식 지지하고, 상기 베이스에 누르기 부재를 수평축에 의해 기복 회전 가능하게 피벗식 지지하고, 상기 레버 핸들의 회전에 수반하여, 이 레버 핸들로부터의 가압력을 받아 상기 누르기 부재가 레버 핸들의 회전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해서, 상기 윙에 접근 또는 이간하고, 상기 걸음편을 상기 베이스와 누르기 부재의 사이에 협지하는 것이 있다(특허문헌3 참조).
이상의 윙 로크 장치에서는, 상기 누르기 부재는 수평축을 중심으로 기복 회전하는 방식이지만, 누르기 부재가 베이스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방식의 것도 제안되고 있다.
이 방식의 윙 로크 장치로서는, 화물 지지판에 고착한 베이스에 회전 링크의 일단을 수평축에 의해 기복 회전 가능하게 피벗식 지지하고, 선단에서 일정 간격을 둔 위치에 있어서 레버 핸들을 상기 회전 링크의 타단에 수평축에 의해 기복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고, 누르기 부재의 후단을 상기 레버 핸들의 선단에 수평축에 의해 연결하고, 상기 베이스를 따른 상기 누르기 부재의 왕복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를 상기 베이스에 설치하고, 상기 레버 핸들을 아랫 방향으로 도복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누르기 부재를 윗 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서, 상기 걸음편을 상기 베이스와 누르기 부재의 사이에 협지하는 것이 있다(특허문헌4 참조).
슬라이드 방식의 다른 윙 로크 장치로서는, 화물 지지판에 고착한 베이스의 상부에 레버 핸들을 수평축에 의해 기복 회전 가능하게 피벗식 지지하고, 누르기 부재를 이 레버 핸들의 길이방향를 따라 슬라이딩하도록 이 레버 핸들에 장비하고, 상기 레버 핸들을 도복 회전 조작시킴으로써, 제1스트럿 부재 및 제2스트럿 부재를 통해 상기 누르기 부재를 윗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걸음편을 상기 베이스와 누르기 부재의 사이에 협지하는 것이 있다(특허문헌5 참조).
[특허문헌1]일본 실공평6-44730호 공보
[특허문헌2]일본 실공소55-35258호 공보
[특허문헌3]일본 특허 제3523029호 공보
[특허문헌4]일본 특개평9-119410호 공보
[특허문헌5]일본 특개2003-72379호 공보
상기와 같이 누르기 부재가 회전하는 방식의 윙 로크 장치에서는, 상기 누르 기 부재가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일정한 경사각도로 기립 회전한 퇴피 자세에 있을 때에, 상기 윙이 개방 회전되는 것이지만, 실제에 있어서는 상기 윙의 회전반경에는 차종에 따라 상위가 있기 때문에, 상기 화물 지지판에 대한 상기 베이스의 고착 위치가 적정하게 선택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상기 누르기 부재가 필요 충분한 위치까지 퇴피 이동할 수 없고, 상기 윙의 개방 회전 시에 상기 걸음편이 상기 누르기 부재에 충돌·간섭하는 경우가 있다.
이 간섭의 불량을 회피하려고 한 나머지 상기 베이스의 상기 화물 지지판에 대한 고착 위치를 과도하게 내려 버렸을 때에는, 상기 누르기 부재와 상기 걸음편의 겹치는 치수가 단축화되어 버리고, 상기 누르기 부재에 의한 상기 걸음편의 가압 구속 효과가 저하하게 된다.
또, 상기와 같이 누르기 부재가 슬라이드하는 방식의 윙 로크 장치에서는, 상기 윙 또는 상기 걸음편이 사용 중의 어떠한 원인에 의해 왜곡 변형함으로써, 상기 윙을 폐쇄했을 때, 상기 걸음편의 하단이 정규 위치보다도 떠올라서 배치되는 경우가 있고, 이러한 떠오르기 상태에 있어서 상기 누르기 부재가 윗 방향으로 슬라이드해 왔을 때에는, 상기 누르기 부재가 상기 걸음편의 하단에 맞닿기 때문에, 정규 위치까지 진행할 수 없고, 상기 누르기 부재에 의한 상기 걸음편의 가압 구속을 행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상기 화물 지지판에 대한 상기 베이스의 고착 위치의 선정을 엄밀하게 행할 필요 없이, 윙의 회전반경에 있어서 다른 각종 윙 형식 화물 트럭에 무리없이 적용할 수 있는 범용성을 가지는 동시에, 상기 윙이나 걸음편의 왜곡 변형이 있어도, 상기 걸음편의 가압 구속을 적확하게 행할 수 있는 윙 로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주된 특징은, 윙의 걸음편을 받아내는 걸음편 받이부를 베이스의 상부에 설치하고, 상기 걸음편 받이부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진퇴하는 슬라이더를, 상기 베이스의 가이드부에 끼워 맞춤 지지하고, 상기 베이스의 정면측에 있어서 기복 회전하는 레버 핸들을, 기단부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의 하부측에 제1수평축에 의해 피벗식 지지하고, 상기 베이스의 정면측에 있어서 기복 회전해서 선단부가 상기 걸음편 받이부에 접리하는 누르기 암을, 기단부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의 상부측에 제2수평축에 의해 피벗식 지지하고,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걸음편 받이부를 향해서 전진한 상승 위치에 있어서, 상기 레버 핸들을 비스듬히 기립 회전시켜 상기 누르기 암을 비스듬히 기립 회전시켜서, 상기 누르기 암의 선단부에 의한 상기 걸음편의 구속을 해제하고, 해당 구속 해제 자세로 상기 누르기 암을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걸음편 받이부에서 떨어진 하강 위치로 퇴피 이동시키는 것이다.
(실시예)
상기 베이스, 슬라이더, 레버 핸들, 누르기 암 등의 각 구성부품을 금속재료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제작하면, 사용 중의 기계적인 타격이나 왜곡 변형에 대하여 강해진다.
도시의 실시예에서는, 베이스(1)는 금속판을 2장 용접해서 구성되고, 윙 (108)의 걸음편(112)이 맞닿는 걸음편 받이부(2)는, 하층 베이스판(1a)의 상단부정면측에 융기 형성되어 있다. 좌우 한 쌍의 수평단면 L자 형상의 가이드부(3)는, 상층 베이스판(1b)에 잘라 부구려 형성되어 있다. 정면에서 볼 때 U자 형상의 슬라이더(4)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3, 3)에 좌우 다리편부(4a, 4b)를 끼워 맞춤되어 있다. 레버 핸들(5)의 기단부는, 슬라이더(4)의 다리편부(4a, 4b)의 상부측에 제1수평축(6)에 의해 피벗식 지지되어 있다. 누르기 암(7)은 걸음편(112)에 접리하는 주체 부재(7a)와 이 안측에 용접된 안측 부재(7b)로 구성되고, 안측 부재(7b)의 기단부가 다리편부(4a, 4b)의 하부측에 제2수평축(8)에 의해 피벗식 지지되어 있다. 그 때문에, 레버 핸들(5)과 누르기 암(7)은 교차해서 배치되어 있다.
누르기 암(7)의 안측 부재(7b)의 좌우 한 쌍의 측벽부에는 창구멍(9)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 창구멍(9)에는 연동 축(10)이 삽입 통과되어 있다. 연동 축(10)의 좌우 단부는, 레버 핸들(5)의 좌우 측벽부의 받이구멍(11)에 삽입 통과되어, 빠짐 방지 처리되어 있다. 이 연동 축(10)의 개재에 의해, 누르기 암(7)은 레버 핸들(5)의 기복 회전에 대응해서 반대 방향으로 기복 회전하게 된다. 즉, 도 4에 있어서 레버 핸들(5)이 제1수평축(6)을 중심으로 슬라이더(4)에 대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기립 회전할 때, 누르기 암(7)은 제2수평축(8)을 중심으로 슬라이더(4)에 대하여 시계 방향으로 기립 회전한다. 또, 레버 핸들(5)이 제1수평축(6)을 중심으로 슬라이더(4)에 대하여 시계 방향으로 도복 회전할 때, 누르기 암(7)은 제2수평축(8)을 중심으로 슬라이더(4)에 대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도복 회전한다.
수평 피벗축(8)에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12)의 코일부(12a)가 끼워 맞춤되어 있고, 비틀림 코일 스프링(12)의 일방의 직선단부(12b)는 상기 연동 축(10)의 이면에 맞닿고, 타방의 직선단부(12c)는 슬라이더(4)의 중앙 연결 편부(4c)의 이면에 맞닿아 있고, 누르기 암(7)과 레버 핸들(5)을 비스듬히 기립 회전한 상태로 자세유지하는 가압수단으로 되어 있다.
이렇게 구속 해제 상태에서는 누르기 암(7)이 비틀림 코일 스프링(12)에 의해 비스듬히 기립 회전한 자세로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멀리서도 그 상태를 눈으로 보고 확인할 수 있고, 누르기 암(7) 그 자체가 구속 해제 상태의 적합한 인디케이터가 된다.
누르기 암(7)의 주체부재(7a)의 선단부에는, 걸음편(112)과 접리하는 수지 커버(13)가 끼워 맞춤되어 있다.
레버 핸들(5)의 잡기부측의 이면에는 래치 케이스(14)가 용접되어 있고, 래치 케이스(14)에는 레버 핸들(5)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래치(15)가 수용되어 있다. 래치(15)는, 래치 케이스(14)와의 사이에 장입한 압축 코일 스프링(16)에 의해 제1수평축(6)에서 떨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압되어 있다. 래치(15)의 제1클릭부(17)와 제2클릭부(18)가 베이스(1)측의 제1받이쇠부(19)와 제2받이쇠부(20)에 각각 걸어 맞춤하고 있는 시정(施錠)상태에서는, 래치(15)의 하단부는, 레버 핸들(5)의 잡기부에 형성한 개구부(21)안으로 돌출하고 있다. 제1받이쇠부(19)과 제2받이쇠부(20)는 상하로 간격을 두고, 베이스(1)의 상층 베이스판(1b)에 잘라 구부려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1)에 돌출 설치한 좌우 한 쌍의 가이드부(3, 3)의 측벽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긴 슬롯(22)이 형성되어 있고, 레버 누르기 암(7)의 제2수평축(8)의 좌우 단부가 상기 슬롯(22)에 삽입 통과되어, 빠짐 방지 처리되어 있다. 슬라이더(4)는 이 슬롯(22)의 범위내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한다. 레버 핸들(5)의 정면벽부에는 표시창(23)이 형성되어 있고, 누르기 암(7)이 구속 실행 위치에 있을 때, 이 표시창(23)에는, 래치(15)의 정면부의 착색 표시부(24)가 나타나고, 구속 실행 상태인 것을 표시한다.
누르기 암(7)의 선단부가 베이스(1)의 걸음편 받이부(2)와의 사이에서 윙(108)의 걸음편을 가압하고 있는 구속 실행 상태에 있어서는, 래치(15)의 제1클릭부(17)와 제2클릭부(18)가 베이스(1)측의 제1받이쇠부(19)와 제2받이쇠부(20)에 각각 걸어 맞춤하고 있기 때문에, 레버 핸들(5)은 해당 도복위치로 안정되게 자물쇠 고정되고, 윙 형식 화물 트럭의 주행 중에 진동 충격에 의해 누르기 암(7)에 의한 구속이 우발적으로 해제되는 위험성이 없다.
목적지에 도착해서 화물을 내릴 때에는, 트럭 운전자들의 오퍼레이터는 래치(15)의 하단부를 밀어 올림으로써, 래치(15)의 제1클릭부(17)와 제2클릭부(18)를 베이스(1)측의 제1받이쇠부(19)와 제2받이쇠부(20)로부터 이탈시켜, 베이스(1)에 대한 레버 핸들(5)의 자물쇠 고정을 해제한다.
도 4에 있어서 제1수평축(6)을 중심으로 레버 핸들(5)을 반시계 방향으로 비스듬히 기립 회전시키면, 연동 축(10)에 견인되어 누르기 암(7)이 제2수평축(8)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비스듬히 기립 회전시켜지고, 누르기 암(7)의 선단부가 걸음편(112)으로부터 떨어지고, 이것에 의해 걸음편(112)의 가압 구속이 해제된다. 이 구속 해제 자세는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12)의 가압력에 의해 적확하게 유지된다. 오퍼레이터가 레버 핸들(5)로부터 손을 떼면, 레버 핸들(5)에는 자체 중량에 의해 아랫 방향으로 이동하고, 슬라이더(4)가 가이드부(3)를 따라 상승 위치로부터 하강 위치로 자동적으로 슬라이드한다. 또한, 이 하강 동작은, 오퍼레이터가 레버 핸들(5)을 손으로 잡은 채 끌어 내림으로써도 행할 수 있다.
슬라이더(4), 레버 핸들(5) 및 누르기 암(7)이 소정의 하강 위치에 도달한 후, 도 4에 있어서 제1수평축(6)을 중심으로 레버 핸들(5)을 시계 방향으로 도복 회전시키면, 연동 축(10)에 밀려서 누르기 암(7)이 제2수평축(8)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도복 회전하고, 래치(15)의 제1클릭부(17)가 베이스(1)측의 제2받이쇠부(20)에 걸어 맞춤함으로써, 레버 핸들(5)은 도복위치로 안정되게 자물쇠 고정된다.
이렇게 구속 해제 상태에서는 레버 핸들(5)이 베이스(1)에 대하여 자물쇠 고정되고, 누르기 암(7)도 도복 상태로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윙(108)의 개폐 조작 시에 레버 핸들(5)이나 누르기 암(7)이 장해물이 안되고, 윙(108)의 개폐 시의 조작성이 좋다.
또, 화물 지지판(103)이 경첩축(113)을 중심으로 아랫 방향으로 쳐져 회전했을 때, 누르기 암(7)이나 레버 핸들(5)이 기초대(102)나 바퀴(101)에 간섭하지 않는다. 레버 핸들(5)가 하강 위치에 있어서 베이스(1)측에 자물쇠 고정되었을 때, 레버 핸들(5)의 표시창(23)에는 래치(15)의 표시부(24)는 나타나 있지 않다.
또한, 윙(108)의 개방 회전은, 슬라이더(4)를 하강시킨 후에 이루어지지만, 슬라이더(4)를 하강시킨 후라면, 레버 핸들(5)의 도복 회전 조작 전과 후 중 어느 쪽이라도 된다.
이렇게 슬라이더(4)가 걸음편 받이부(2)에서 크게 떨어진 하강 위치에 있고, 누르기 암(7)이 걸음편 받이부(2)로부터 크게 퇴피한 상태에서 윙(108)을 개방 회전시키기 때문에, 걸음편(112)과 누르기 암(7)의 간섭은, 윙(108)의 회전반경에 상관없이 완전히 방지되게 된다.
화물의 쌓아 내리기가 종료해서 윙(108)을 폐쇄 회전시켜서, 걸음편(112)을 베이스(1)의 걸음편 받이부(2)에 맞닿게 한다. 그 후, 래치(15)를 밀어 올려서 베이스(1)에 대한 레버 핸들(5)의 시정을 해제하고 나서, 레버 핸들(5)을 제1수평축(6)을 중심으로 비스듬히 기립 회전시키고, 연동 축(10)의 견인 작용에 의해 누르기 암(7)을 제2수평축(8)을 중심으로 비스듬히 기립 회전시키고, 이 기립 회전 자세를 유지한 채 슬라이더(4)를 가이드부(3)를 따라 윗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고, 이 상승 위치로의 진출 이동의 완료 후에, 레버 핸들(5)을 제1수평축(6)을 중심으로 도복 회전시켜서, 누르기 암(7)을 연동 축(10)의 가압 작용에 의해 제2수평축(8)을 중심으로 도복 회전시키고, 누르기 암(7)의 선단부로 걸음편(112)을 가압한다.
레버 핸들(5)의 도복 회전의 종단에 있어서, 래치(15)의 제1클릭부(17)와 제2클릭부(18)가 베이스(1)측의 제1받이쇠부(19)와 제2받이쇠부(20)에 각각 걸어 맞춤함으로써, 레버 핸들(5)이 베이스(1)에 대하여 자물쇠 고정되고, 슬라이더(4)는 상승 위치로 견지된다.
또, 본 발명의 윙 로크 장치에서는, 베이스(1)의 걸음편 받이부(2)의 좌우 양측 및 누르기 암(7)의 선단부의 좌우 양측에는, 걸음편(112)에 간섭하는 돌기물이나 부재가 존재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사용 중의 흔들림에 의해 걸음편(112)의 차체의 전후 방향의 위치 관계에 이상이 생겨도, 걸음편(112)의 가압 구속에 곤란을 발생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윙 로크 장치에서는, 상기 슬라이더가 상승 위치에 있을 때, 상기누르기 암의 선단부와 상기 걸음편 받이부와의 사이에서 상기 걸음편이 가압 구속되어 있는 것이지만, 이 구속을 해제하기 위해서 상기 레버 핸들을 비스듬히 기립 회전시켜서 상기 누르기 암을 비스듬히 기립 회전시킨 후, 상기 누르기 암을 해당 구속 해제 자세를 유지한 채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걸음편 받이부에서 떨어진 하강 위치로 크게 퇴피 이동시키고, 이 퇴피 이동의 완료 후에 상기 윙을 개방 회전시키기 때문에, 윙 개방 시에 있어서의 상기 누르기 암과 상기 걸음편과의 간섭은, 상기 윙의 회전반경이 어떠해도 완전히 방지된다.
또, 상기 윙을 폐쇄 회전시켜서 상기 걸음편을 상기 베이스의 상기 걸음편 받이부에 맞닿게 한 후, 상기 레버 핸들을 비스듬히 기립 회전시켜서 상기 누르기 암을 비스듬히 기립 회전시키고, 이 비스듬한 기립 회전 자세를 유지한 채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걸음편 받이부를 향한 상승 위치로 진출 이동시키고, 이 진출 이동의 완료 후에 상기 레버 핸들을 도복 회전시켜서, 상기 누르기 암을 도복 회전시키기 때문에, 윙 폐쇄 시에 있어서의 상기 누르기 암과 상기 걸음편의 간섭도 있을 수 없다.
이렇게 본 발명의 윙 로크 장치에서는, 상기 레버 핸들과 상기 누르기 암을 상기 슬라이더에 피벗식 지지하고 있고,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가이드부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 맞춤 지지되어 있고, 구속 해제 시에는 상기 누르기 암을 비스듬히 기립 회전시킨 상태 그대로 상기 슬라이더가 아랫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한편, 구속 실행 시에는, 상기 누르기 암을 비스듬히 기립 회전시킨 상태 그대로 상기 슬라이더가 윗 방향으로 슬라이드하기 때문에, 상기 화물 지지판에 대한 상기 베이스의 고착 위치의 선정을 엄밀하게 행할 필요 없이, 윙의 회전반경이 다른 각종 윙 형식 화물 트럭에 무리없이 적용할 수 있다.
또, 상기 레버 핸들을 비스듬히 기립 회전시켜서 상기 누르기 암을 비스듬히 기립 회전시킨 후, 이 비스듬한 기립 회전 자세를 유지한 채 상기 슬라이더를 윗 방향으로 진출 이동시키고, 이 진출 이동 후에 상기 레버 핸들을 도복 회전시켜서 상기 누르기 암을 도복 회전시키고, 상기 누르기 판의 선단부에 의해 상기 걸음편을 그 정면측에서 가압하기 때문에, 상기 윙이나 상기 걸음편에 왜곡 변형이 있어도, 상기 누르기 암에 의한 걸음편의 가압 구속은 항상 적확하게 행할 수 있다.

Claims (1)

  1. 윙의 걸음편을 받아내는 걸음편 받이부를 베이스의 상부에 설치하고, 상기 걸음편 받이부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진퇴하는 슬라이더를 상기 베이스의 가이드부에 끼워 맞춤 지지하고, 상기 베이스의 정면측에서 기복 회전하는 레버 핸들을 기단부에서 상기 슬라이더의 하부측에 제1수평축에 의해 피벗 지지하고, 상기 베이스의 정면측에서 기복 회전하여 선단부가 상기 걸음편 받이부에 접리하는 누르기 암을 기단부에서 상기 슬라이더의 상부측에 제2수평축에 의해 피벗 지지하고,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걸음편 받이부를 향해서 전진한 상승 위치에서, 상기 레버 핸들을 비스듬히 기립 회전시켜 상기 누르기 암을 비스듬히 기립 회전시켜서, 상기 누르기 암의 선단부에 의한 상기 걸음편의 구속을 해제하고, 해당 구속 해제 자세로 상기 누르기 암을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걸음편 받이부에서 떨어진 하강 위치로 퇴피 이동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윙 로크 장치.
KR20050060168A 2005-04-14 2005-07-05 윙 로크 장치 KR1006498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117585 2005-04-14
JP2005117585A JP3976204B2 (ja) 2005-04-14 2005-04-14 ウイングロック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9244A KR20060109244A (ko) 2006-10-19
KR100649898B1 true KR100649898B1 (ko) 2006-11-27

Family

ID=37077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0060168A KR100649898B1 (ko) 2005-04-14 2005-07-05 윙 로크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3976204B2 (ko)
KR (1) KR100649898B1 (ko)
CN (1) CN1847591B (ko)
HK (1) HK1096442A1 (ko)
TW (1) TWI28100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72142B2 (ja) * 2005-06-09 2010-10-27 精工技研株式会社 ウイングホルダ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282585Y (zh) * 1996-07-09 1998-05-27 冯锐镜 门窗插销
JP3797485B2 (ja) * 2003-03-27 2006-07-19 タキゲン製造株式会社 扉開閉用ハンドルの掛金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976204B2 (ja) 2007-09-12
HK1096442A1 (en) 2007-06-01
TWI281000B (en) 2007-05-11
CN1847591B (zh) 2010-05-12
JP2006290306A (ja) 2006-10-26
CN1847591A (zh) 2006-10-18
TW200636140A (en) 2006-10-16
KR20060109244A (ko) 2006-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96770B2 (ja) 車両用格納式シートのロック構造
EP3025927B1 (en) Folding travel stroller latch and wheel positioning mechanism
US8113315B2 (en) Rear deck service ladder and handle assembly for combines
WO1993012951A1 (en) Seat reversing and supporting structure for vehicles
JP5251268B2 (ja) 乗物用シート
KR100649898B1 (ko) 윙 로크 장치
JP2022177990A (ja) 車両用スロープ装置
JP4635952B2 (ja) 車両用格納式シートのロック構造
US20140339851A1 (en) Manual Soft Top with Spring Assist Mechanism
JP5102010B2 (ja) 車両用スロープ装置
JP3561369B2 (ja) 折り畳み式テーブル
JP2003175760A (ja) 床下格納式昇降装置
JPH049215Y2 (ko)
JP4073738B2 (ja) 車両の荷受台昇降装置におけるストッパ装置
JP6379440B2 (ja) 車椅子収容装置
JP3171217U (ja) 車椅子格納装置
JPH01266031A (ja) 車輌のシート反転支持装置
JP2007076484A (ja) 折り畳み式荷受台及び床下格納式昇降装置
JPH0710989Y2 (ja) ショッピングカート
JPH0736833Y2 (ja) 車両用リフタのロック機構
JP3132408B2 (ja) 昇降部乗り込み型フォークリフト
JP3057492B2 (ja) ホールディングルーフ車
JP3757492B2 (ja) 車両用の車椅子積降し装置
JP6836461B2 (ja) 車両の荷受台昇降装置におけるストッパーの操作装置
JP3364919B2 (ja) 車両用リフ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7

Year of fee payment: 10